KR102363880B1 - 난방 시스템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난방 시스템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3880B1
KR102363880B1 KR1020200011046A KR20200011046A KR102363880B1 KR 102363880 B1 KR102363880 B1 KR 102363880B1 KR 1020200011046 A KR1020200011046 A KR 1020200011046A KR 20200011046 A KR20200011046 A KR 20200011046A KR 102363880 B1 KR102363880 B1 KR 102363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type
temperature
room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1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7398A (ko
Inventor
이홍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1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3880B1/ko
Publication of KR20210097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7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3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3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24D19/101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using a valve or valv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1927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방 시스템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 시스템 제어 장치는 배관을 통해 복수 개의 방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며 복수 개의 방마다 설치되는 복수 개의 밸브, 복수 개의 방 중 적어도 하나의 방에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방에 설치된 밸브의 개폐를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모스탯, 복수 개의 방 중 서모스탯이 설치되지 않은 방에 설치되며, 서모스탯이 설치되지 않은 방의 온도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 감지 센서, 사용자로부터 복수 개의 방에 대한 온도 조절 유형 입력을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온도 감지 센서가 설치된 방에 대한 희망 온도 입력을 수신하는 입출력 장치 및 온도 조절 유형 입력, 적어도 하나의 온도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된 온도 및 희망 온도 입력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온도 감지 센서가 설치된 방에 설치된 밸브의 개폐를 조절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난방 시스템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HEATING SYSTEM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난방 시스템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난방 시스템은 복수 개의 방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배관을 통해 복수 개의 방에 설치된 난방 장치로 물을 공급하고, 이를 통해 복수 개의 방의 온도를 조절한다. 이때 난방 시스템은 AWHP(Air to Water Heat Pump)를 이용하여 배관을 통해 물을 공급하는 방식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난방 시스템은 제품 설치 및 사용 환경의 특성 상, 각각의 방 별로 물 공급을 제어함으로써, 난방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밸브를 통해 각각의 방의 온도를 조절하는 난방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가 등록특허 KR 10-1634257에 개시된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에 따른 방법은 각각의 방의 현재 상태를 고려하지 않고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므로 각각의 방 별로 적절한 온도 조절이 이루어지기 어렵다. 따라서 각각의 방 별로 적절한 온도 조절이 가능한 난방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각 방마다 다른 장치를 통해 감지된 온도를 이용하여 밸브를 조절하는 난방 시스템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방에 연결된 장치와 이에 따른 사용자의 입력이 올바른지 판단할 수 있는 난방 시스템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각 방의 온도 제어가 적절히 이루어지는지 용이하게 확인 가능한 난방 시스템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복수 개의 방에는 각각 서모스탯 또는 온도 감지 센서가 설치되고, 제어 회로는 서모스탯 및 온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밸브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각 방의 온도를 자동으로 조절하고, 결과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난방 시스템 제어 장치는 배관을 통해 복수 개의 방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며 상기 복수 개의 방마다 설치되는 복수 개의 밸브, 상기 복수 개의 방 중 적어도 하나의 방에 설치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에 설치된 밸브의 개폐를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모스탯, 상기 복수 개의 방 중 상기 서모스탯이 설치되지 않은 방에 설치되며, 상기 서모스탯이 설치되지 않은 방의 온도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 감지 센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방에 대한 온도 조절 유형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도 감지 센서가 설치된 방에 대한 희망 온도 입력을 수신하는 입출력 장치 및 상기 온도 조절 유형 입력,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도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된 온도 및 상기 희망 온도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도 감지 센서가 설치된 방에 설치된 밸브의 개폐를 조절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온도 조절 유형 입력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모스탯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도 감지 센서와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입출력 장치를 통해 상기 판단 결과를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온도 조절 유형이 제1 유형으로 입력된 방에 온도 감지 센서가 설치되었거나, 상기 온도 조절 유형이 제2 유형 또는 제3 유형으로 입력된 방에 서모스탯이 설치되었으면, 상기 입출력 장치를 통해 오설정 알림을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온도 조절 유형이 제1 유형으로 입력된 방의 밸브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 결과를 상기 입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온도 조절 유형이 제2 유형으로 입력된 방의 상기 온도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된 온도가 상기 희망 온도 이상이면, 상기 온도 조절 유형이 제2 유형으로 입력된 방의 밸브가 닫히도록 제어하고, 상기 온도 조절 유형이 제2 유형으로 입력된 방의 상기 온도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된 온도가 상기 희망 온도 미만이면, 상기 온도 조절 유형이 제2 유형으로 입력된 방의 밸브가 열리도록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입출력 장치를 통해 상기 온도 조절 유형이 제2 유형으로 입력된 방의 밸브의 개폐 상태를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온도 조절 유형이 제3 유형으로 입력된 방의 밸브의 개폐를 조절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배관을 통해 복수 개의 방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며 상기 복수 개의 방마다 설치되는 복수 개의 밸브, 상기 복수 개의 방 중 적어도 하나의 방에 설치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에 설치된 밸브의 개폐를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모스탯, 상기 복수 개의 방 중 상기 서모스탯이 설치되지 않은 방에 설치되며, 상기 서모스탯이 설치되지 않은 방의 온도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 감지 센서, 입출력 장치 및 제어 회로를 이용하여 난방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방에 대한 온도 조절 유형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출력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도 감지 센서가 설치된 방에 대한 희망 온도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회로가 상기 온도 조절 유형 입력,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도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된 온도 및 상기 희망 온도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도 감지 센서가 설치된 방에 설치된 밸브의 개폐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 개의 방에 대한 온도 조절 유형 입력을 수신하고 나서, 상기 제어 회로가 상기 온도 조절 유형 입력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모스탯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온도 감지 센서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입출력 장치가 상기 판단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회로가 상기 온도 조절 유형이 제1 유형으로 입력된 방에 온도 감지 센서가 설치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회로가 상기 온도 조절 유형이 제2 유형 또는 제3 유형으로 입력된 방에 서모스탯이 설치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난방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상기 복수 개의 방에 대한 온도 조절 유형 입력을 수신하고 나서, 상기 제어 회로가 상기 온도 조절 유형이 제1 유형으로 입력된 방의 밸브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입출력 장치가 상기 감지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밸브의 개폐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온도 조절 유형이 제2 유형으로 입력된 방의 상기 온도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된 온도가 상기 희망 온도 이상이면, 상기 제어 회로가 상기 온도 조절 유형이 제2 유형으로 입력된 방의 밸브가 닫히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온도 조절 유형이 제2 유형으로 입력된 방의 상기 온도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된 온도가 상기 희망 온도 미만이면, 상기 제어 회로가 상기 온도 조절 유형이 제2 유형으로 입력된 방의 밸브가 열리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난방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상기 입출력 장치가 상기 온도 조절 유형이 제2 유형으로 입력된 방의 밸브의 개폐 상태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밸브의 개폐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온도 조절 유형이 제3 유형으로 입력된 방의 밸브의 개폐를 조절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 시스템 제어 장치는 각 방마다 다른 장치를 통해 감지된 온도를 이용하여 밸브를 조절함으로써, 각 방의 온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 시스템 제어 장치는 각 방에 연결된 장치와 이에 따른 사용자의 입력이 올바른지 판단함으로써, 사용자가 초기 설정을 잘못하더라도 이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 시스템 제어 장치는 각 방의 온도 제어가 적절히 이루어지는지 확인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복수 개의 방의 온도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 시스템 제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서 온도 조절 유형 입력이 올바른지 판단하는 방법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서 밸브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 시스템 제어 장치의 입출력 장치가 출력할 수 있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난방 시스템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 시스템 제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 시스템 제어 장치(100)는 복수 개의 밸브(110a, 110b, 110c), 적어도 하나의 서모스탯(120), 적어도 하나의 온도 감지 센서(130a, 130b), 입출력 장치(140) 및 제어 회로(150)를 포함한다.
난방 시스템은 복수 개의 방(160a, 160b, 160c)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배관을 통해 복수 개의 방(160a, 160b, 160c)에 설치된 난방 장치(170a, 170b 170c)로 물을 공급하고, 이를 통해 복수 개의 방(160a, 160b, 160c)의 온도를 조절한다.
도 1에는 복수 개의 방(160a, 160b, 160c)이 3개의 방이고, 난방 장치(170a, 170b 170c)도 3개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 개의 밸브(110a, 110b, 110c)는 복수 개의 방마다 설치된다. 그리고 복수 개의 밸브(110a, 110b, 110c)는 배관을 통해 복수 개의 방(160a, 160b, 160c)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한다. 이때 복수 개의 밸브(110a, 110b, 110c)는 서모스탯(120) 또는 제어 회로(150)에 의하여 개폐가 조절된다.
적어도 하나의 서모스탯(120)은 복수 개의 방(160a, 160b, 160c) 중 적어도 하나의 방(160a)에 설치된 밸브(110a)의 개폐를 조절한다. 이때 서모스탯(120)은 설치된 방의 온도에 따라 열리거나 닫히게 됨으로써 밸브(110a)의 개폐를 조절한다.
도 1에는 복수 개의 방(160a, 160b, 160c) 중 하나의 방(160a)에만 서모스탯(120)이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적어도 하나의 온도 감지 센서(130a, 130b)는 복수 개의 방(160a, 160b, 160c) 중 서모스탯(120)이 설치되지 않은 방(160b, 160c)에 설치되며, 서모스탯(120)이 설치되지 않은 방(160b, 160c)의 온도를 감지한다. 즉, 온도 감지 센서(130a, 130b)는 설치된 방(160b, 160c)의 온도를 감지하며, 이를 제어 회로(150)로 출력한다.
도 1에는 복수 개의 방(160a, 160b, 160c) 중 두 개의 방(160b, 160c)에만 서모스탯(120)이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출력 장치(140)는 사용자로부터 복수 개의 방(160a, 160b, 160c)에 대한 온도 조절 유형 입력을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온도 감지 센서(130a, 130b)가 설치된 방(160b, 160c)에 대한 희망 온도 입력을 수신한다. 그리고 입출력 장치(140)는 수신한 온도 조절 유형 입력 및 희망 온도 입력을 제어 회로(150)로 전송한다.
또한, 입출력 장치(140)는 복수 개의 밸브(110a, 110b, 110c)의 개폐 상태를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이때 온도 조절 유형 입력은 어떠한 방법으로 복수 개의 방(160a, 160b, 160c)과 연결된 복수 개의 밸브(110a, 110b, 110c)의 개폐가 조절되는지를 나타내는 지를 포함하는 입력으로, 온도 조절 유형은 제1 유형, 제2 유형 및 제3 유형을 포함한다. 제1 유형은 밸브의 개폐가 서모스탯(120)에 의해 조절되는 유형이다. 제2 유형은 밸브의 개폐가 온도 감지 센서(130a, 130b)에 의해 감지된 온도 및 희망 온도 입력에 따라 조절되는 유형이다. 제3 유형은 밸브의 개폐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만 조절되는 유형이다.
이때 희망 온도 입력은 적어도 하나의 온도 감지 센서(130a, 130b)가 설치된 방(160b, 160c)의 희망 온도를 포함하는 입력이다.
제어 회로(150)는 온도 조절 유형 입력, 적어도 하나의 온도 감지 센서(130a, 130b)를 통해 감지된 온도 및 희망 온도 입력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온도 감지 센서(130a, 130b)가 설치된 방(160b, 160c)에 설치된 밸브(110b, 110c)의 개폐를 조절한다.
이때 제어 회로(150)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물리적인 요소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우선 제어 회로(150)는 입출력 장치(140)로부터 온도 조절 유형 입력을 수신하면, 온도 조절 유형 입력이 적어도 하나의 서모스탯(120) 또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 감지 센서(130a, 130b)와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입출력 장치(140)가 판단 결과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보다 상세히, 제어 회로(150)는 온도 조절 유형이 제1 유형으로 입력된 방에 온도 감지 센서(130a, 130b)가 설치되었거나, 온도 조절 유형이 제2 유형 또는 제3 유형으로 입력된 방에 서모스탯(120)이 설치되었으면, 입출력 장치(140)를 통해 오설정 알림을 출력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온도 조절 유형이 잘못 입력된 방의 온도 조절 유형 입력을 다시 입출력 장치(140)를 통해 인가할 수 있다.
제어 회로(150)는 온도 조절 유형이 제1 유형으로 입력된 방의 밸브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입출력 장치(140)를 통해 출력한다. 이는 온도 조절 유형이 제1 유형으로 입력된 방은 서모스탯(120)을 통해 밸브의 개폐 상태가 결정되므로, 제어 회로(150)는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지 않고, 현재 밸브의 개폐 상태만을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또한 제어 회로(150)는 온도 조절 유형이 제2 유형을 입력된 방의 온도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된 온도가 희망 온도 이상이면, 온도 조절 유형이 제2 유형으로 입력된 방의 밸브가 닫히도록 제어하고, 온도 조절 유형이 제2 유형으로 입력된 방의 온도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된 온도가 희망 온도 미만이면, 온도 조절 유형이 제2 유형으로 입력된 방의 밸브가 열리도록 제어한다. 이는 온도 조절 유형이 제2 유형으로 입력된 방은 온도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 및 희망 온도 입력에 따라 조절 및 을 통해 밸브의 개폐 상태가 결정되므로, 제어 회로(150)는 이를 비교하여 밸브의 개폐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제어 회로(150)는 입출력 장치(140)를 통해 온도 조절 유형이 제2 유형인 방의 밸브의 개폐 상태를 출력한다.
제어 회로(150)는 온도 조절 유형이 제2 유형을 입력된 방의 밸브의 개폐 상태를 제어할 때,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값을 더 고려하여 밸브의 개폐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히스테리시스 값은 밸브의 상태 및 현재의 온도에 따라 일정 시간 후의 방의 온도를 예측한 값이다. 즉, 제어 회로(150)는 히스테리시스 값을 고려할 때, 밸브가 열린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방의 온도가 희망 온도보다 높아질 것이라고 판단하면, 미리 밸브를 닫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제어 회로(150)는 히스테리시스 값을 고려할 때, 밸브가 닫힌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방의 온도가 희망 온도보다 낮아질 것이라고 판단하면, 미리 밸브를 열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 회로(150)가 어떠한 히스테리시스 값을 이용하여 밸브의 개폐를 제어할 지는 입출력 장치(14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제어 회로(150)는 온도 조절 유형이 제3 유형인 방의 밸브의 개폐를 조절하지 않는다. 이는 온도 조절 유형이 제3 유형으로 입력된 방은 밸브의 개폐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만 조절되므로, 제어 회로(150)는 별도의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지 않고, 현재 밸브의 개폐 상태만을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이와 같은 난방 시스템 제어 장치(100)를 이용함으로써, 각 방의 온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초기 설정을 잘못하더라도 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각 방의 온도 제어가 적절히 이루어지는지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우선 입출력 장치(140)가 사용자로부터 복수 개의 방(160a, 160b, 160c)에 대한 온도 조절 유형 입력을 수신한다(S210).
그리고 나서 제어 회로(150)는 온도 조절 유형 입력이 올바른지 판단한다(S220). 즉, 제어 회로(150)는 온도 조절 유형 입력이 적어도 하나의 서모스탯(120) 또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 감지 센서(130a, 130b)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제어 회로(150)가 온도 조절 유형 입력이 올바른지 판단하는 방법은 도 3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서 온도 조절 유형 입력이 올바른지 판단하는 방법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순서도이다.
우선 제어 회로(150)는 온도 조절 유형이 제1 유형으로 입력된 방에 온도 감지 센서(130a, 130b)가 설치되었는지 판단한다(S310). 이는 온도 조절 유형이 제1 유형인 방은 서모스탯(120)에 의해 밸브의 개폐가 제어되는 방인데, 온도 감지 센서(130a, 130b)가 연결된 것으로 입력하면 오동작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나서 제어 회로(150)는 온도 조절 유형이 제2 유형 또는 제3 유형으로 입력된 방에 서모스탯(120)이 설치되었는지 판단한다. 이는 온도 조절 유형이 제2 유형 또는 제3 유형인 방은 온도 감지 센서(130a, 130b)와 연결되어 밸브의 개폐가 제어되는 방인데, 서모스탯(120)이 연결된 것으로 입력하면 오동작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나서 제어 회로(150)는 판단 결과를 출력한다. 즉, 제어 회로(150)는 잘못 입력된 방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입출력 장치(140)를 통해 오설정 알림을 출력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온도 조절 유형이 잘못 입력된 방의 온도 조절 유형 입력을 다시 입출력 장치(140)를 통해 인가할 수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와서, 그 다음 입출력 장치(140)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 감지 센서(130a, 130b)가 설치된 방(160b, 160c)에 대한 희망 온도 입력을 수신한다(S230). 이때 희망 온도 입력은 적어도 하나의 온도 감지 센서(130a, 130b)가 설치된 방(160b, 160c)의 희망 온도를 포함하는 입력이다.
그리고 나서 제어 회로(150)는 밸브의 개폐를 조절한다(S240).
제어 회로(150)가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방법은 도 4를 이용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서 밸브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제어 회로(150)는 온도 조절 유형이 제2 유형인지를 판단한다(S410).
만일 온도 조절 유형이 제1 유형 또는 제3 유형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 회로(150)는 밸브의 개폐 제어를 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어 회로(150)는 밸브의 개폐를 조절하지 않는다(S460).
만일 온도 조절 유형이 제2 유형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 회로(150)는 온도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된 온도가 희망 온도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420).
이때 온도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된 온도가 희망 온도 이상이면, 제어 회로(150)는 온도 조절 유형이 제2 유형으로 입력된 방의 밸브가 닫히도록 제어한다(S430). 그리고 온도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된 온도가 희망 온도 미만이면, 제어 회로(150)는 온도 조절 유형이 제2 유형으로 입력된 방의 밸브가 열리도록 제어한다(S440).
그리고 나서 제어 회로(150)는 입출력 장치(140)를 통해 밸브의 개폐 상태를 출력한다(S450).
이때 입출력 장치(140)를 통해 밸브의 개폐 상태가 출력된 화면의 일 실시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 시스템 제어 장치의 입출력 장치가 출력할 수 있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각각의 존(zone, 방) 별로 밸브의 개폐 상태 등이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도면 부호 501과 같이 표시된 것은 각 존의 감지된 현재 실내 온도를 의미한다. 그리고 도면 부호 502와 같이 표시된 것은 각 존의 희망 온도를 의미한다. 그리고 도면 부호 503과 같이 표시된 것은 밸브의 개폐 상태를 나타내고, 흰색 원은 밸브가 열린 상태인 것을 나타내고, 검은색 원은 밸브가 닫힌 상태인 것을 나타낸다.
존 1은 현재 실내 온도가 30도이고, 희망 온도가 25도이고, 밸브가 열린 상태인 것을 나타낸다. 존 2는 현재 실내 온도가 27도이고, 희망 온도가 30도이고, 밸브가 닫힌 상태인 것을 나타낸다. 존 7는 현재 실내 온도가 25도이고, 희망 온도가 18도이고, 밸브가 닫힌 상태인 것을 나타낸다. 이때 존 1, 존 2 및 존 7은 현재 실내 온도 및 희망 온도에 의해 밸브의 개폐 상태가 제어되는 제2 유형의 방이다.
존 3은 현재 실내 온도가 25도 이고, 밸브는 닫힌 상태이다. 이때 존 3은 희망 온도에 의해 밸브의 개폐 상태가 제어되지 않으나, 온도 감지 센서에 의한 현재 실내 온도가 25도이므로, 제3 유형의 방이다.
존 4 및 존 8은 서모스탯에 의해 밸브가 현재 닫힌 상태의 방으로, 제1 유형의 방이다.
존 5는 희망 온도가 21도이고, 밸브는 열린 상태이나, 온도 감지 센서의 문제로 인해 현재 실내 온도가 측정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는 도면 부호 504와 같은 알림 표시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존 6은 서모스탯에 의해 밸브의 개폐가 제어되는 제1 유형인 것으로 온도 조절 유형 입력이 수신되었으나, 온도 감지 센서와 연결된 상태인 것이다. 따라서 이는 도면 부호 505와 같은 알림 표시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와서, 도 4 및 도 5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 회로(150)는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고, 입출력 장치(140)를 통해 사용자에게 현재 상태를 출력한다.
이와 같은 난방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각 방의 온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초기 설정을 잘못하더라도 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각 방의 온도 제어가 적절히 이루어지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난방 시스템 제어 장치 110a, 110b, 110c: 밸브
120: 서모스탯 130a, 130b: 온도 감지 센서
140: 입출력 장치 150: 제어 회로

Claims (14)

  1. 배관을 통해 복수 개의 방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며 상기 복수 개의 방마다 설치되는 복수 개의 밸브;
    상기 복수 개의 방 중 적어도 하나의 방에 설치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에 설치된 밸브의 개폐를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모스탯;
    상기 복수 개의 방 중 상기 서모스탯이 설치되지 않은 방에 설치되며, 상기 서모스탯이 설치되지 않은 방의 온도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 감지 센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방에 대한 온도 조절 유형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도 감지 센서가 설치된 방에 대한 희망 온도 입력을 수신하는 입출력 장치; 및
    상기 온도 조절 유형 입력,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도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된 온도 및 상기 희망 온도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도 감지 센서가 설치된 방에 설치된 밸브의 개폐를 조절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난방 시스템 제어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온도 조절 유형이 제1 유형으로 입력된 방에 온도 감지 센서가 설치되었거나, 상기 온도 조절 유형이 제2 유형 또는 제3 유형으로 입력된 방에 서모스탯이 설치되었으면, 상기 입출력 장치를 통해 오설정 알림을 출력하는
    난방 시스템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온도 조절 유형이 제1 유형으로 입력된 방의 밸브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 결과를 상기 입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난방 시스템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온도 조절 유형이 제2 유형으로 입력된 방의 상기 온도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된 온도가 상기 희망 온도 이상이면, 상기 온도 조절 유형이 제2 유형으로 입력된 방의 밸브가 닫히도록 제어하고,
    상기 온도 조절 유형이 제2 유형으로 입력된 방의 상기 온도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된 온도가 상기 희망 온도 미만이면, 상기 온도 조절 유형이 제2 유형으로 입력된 방의 밸브가 열리도록 제어하는
    난방 시스템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입출력 장치를 통해 상기 온도 조절 유형이 제2 유형으로 입력된 방의 밸브의 개폐 상태를 출력하는
    난방 시스템 제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온도 조절 유형이 제3 유형으로 입력된 방의 밸브의 개폐를 조절하지 않는
    난방 시스템 제어 장치.
  8. 배관을 통해 복수 개의 방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며 상기 복수 개의 방마다 설치되는 복수 개의 밸브, 상기 복수 개의 방 중 적어도 하나의 방에 설치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에 설치된 밸브의 개폐를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모스탯, 상기 복수 개의 방 중 상기 서모스탯이 설치되지 않은 방에 설치되며, 상기 서모스탯이 설치되지 않은 방의 온도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 감지 센서, 입출력 장치 및 제어 회로를 이용하여 난방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방에 대한 온도 조절 유형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출력 장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도 감지 센서가 설치된 방에 대한 희망 온도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회로가 상기 온도 조절 유형 입력,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도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된 온도 및 상기 희망 온도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도 감지 센서가 설치된 방에 설치된 밸브의 개폐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난방 시스템의 제어 방법.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가 상기 온도 조절 유형이 제1 유형으로 입력된 방에 온도 감지 센서가 설치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어 회로가 상기 온도 조절 유형이 제2 유형 또는 제3 유형으로 입력된 방에 서모스탯이 설치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온도 조절 유형이 제1 유형으로 입력된 방에 온도 감지 센서가 설치되었거나, 상기 온도 조절 유형이 제2 유형 또는 제3 유형으로 입력된 방에 서모스탯이 설치되었으면, 상기 입출력 장치를 통해 오설정 알림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난방 시스템의 제어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방에 대한 온도 조절 유형 입력을 수신하고 나서,
    상기 제어 회로가 상기 온도 조절 유형이 제1 유형으로 입력된 방의 밸브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입출력 장치가 상기 감지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난방 시스템의 제어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의 개폐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온도 조절 유형이 제2 유형으로 입력된 방의 상기 온도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된 온도가 상기 희망 온도 이상이면, 상기 제어 회로가 상기 온도 조절 유형이 제2 유형으로 입력된 방의 밸브가 닫히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온도 조절 유형이 제2 유형으로 입력된 방의 상기 온도 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된 온도가 상기 희망 온도 미만이면, 상기 제어 회로가 상기 온도 조절 유형이 제2 유형으로 입력된 방의 밸브가 열리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난방 시스템의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장치가 상기 온도 조절 유형이 제2 유형으로 입력된 방의 밸브의 개폐 상태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난방 시스템의 제어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의 개폐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온도 조절 유형이 제3 유형으로 입력된 방의 밸브의 개폐를 조절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난방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200011046A 2020-01-30 2020-01-30 난방 시스템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63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046A KR102363880B1 (ko) 2020-01-30 2020-01-30 난방 시스템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046A KR102363880B1 (ko) 2020-01-30 2020-01-30 난방 시스템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7398A KR20210097398A (ko) 2021-08-09
KR102363880B1 true KR102363880B1 (ko) 2022-02-15

Family

ID=77313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1046A KR102363880B1 (ko) 2020-01-30 2020-01-30 난방 시스템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388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420Y1 (ko) 2001-03-28 2001-10-10 김훈 실내온도 조절장치
KR200342139Y1 (ko) 2003-12-03 2004-02-14 대성산업 주식회사 무선 각방 제어 난방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3222B1 (ko) * 2001-02-13 2004-03-18 류중열 난방용 보일러 제어장치
KR20060070885A (ko) * 2004-12-21 2006-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420Y1 (ko) 2001-03-28 2001-10-10 김훈 실내온도 조절장치
KR200342139Y1 (ko) 2003-12-03 2004-02-14 대성산업 주식회사 무선 각방 제어 난방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7398A (ko) 2021-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33965A1 (en) Control and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ic water heater
US10274104B2 (en) Hot water heater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electronic mixing valves
US2008008084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condition of a heating element
US20160187028A1 (en) Immediate hot-water supplying system
KR20230042686A (ko) 정수기의 제어장치,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CN113433988A (zh) 一种加热系统的控制方法、装置、加热系统及存储介质
KR102363880B1 (ko) 난방 시스템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8146128A (ja) 給湯システム
KR20180092019A (ko) 욕조용 탕온 유지 가열시스템
JP5171142B2 (ja) ガスメータ
EP3564593A3 (en) Thermostatic device and sanitary water supply and/or dispensing system comprising such a thermostatic device
CN105867448B (zh) 具有取向传感器的温度调节控制设备
US11408643B2 (en) Water heating apparatus with immediate hot water supply function and water heating system
US11639813B2 (en) Water heating apparatus and water heating system
US20170348481A1 (en) Water delivery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water
JPH02136646A (ja) 給湯装置
JP2001280693A (ja) 給湯装置
KR950014794A (ko) 보일러의 동작 제어회로 및 제어방법
US9851124B2 (en) Room heater
JP2010008009A (ja) 給湯装置
KR20150020969A (ko) 열수 온도 자동조절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64809Y1 (ko) 온수난방시스템의 실내온도조절장치
KR102203593B1 (ko) 비데의 순간온수모듈에 내장된 온수히터출력 제어장치 및 방법
JP2008216376A (ja) 定着部の温度制御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960010916B1 (ko) 순간정전시 써미스터입력신호 검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