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3487B1 -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3487B1
KR102363487B1 KR1020200061535A KR20200061535A KR102363487B1 KR 102363487 B1 KR102363487 B1 KR 102363487B1 KR 1020200061535 A KR1020200061535 A KR 1020200061535A KR 20200061535 A KR20200061535 A KR 20200061535A KR 102363487 B1 KR102363487 B1 KR 102363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image
information
clustering
setting information
camera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1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4326A (ko
Inventor
이기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투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투비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투비즈
Priority to KR1020200061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3487B1/ko
Publication of KR20210144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4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3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3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4Computer-aided capture of images, e.g. transfer from script file into camera, check of taken image quality, advice or proposal for image composition or decision on when to take image
    • H04N5/2322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04N5/2321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설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 서버가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 서버가 사용자 정보를 기준으로 기준 이미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 서버가 기준 이미지 및/또는 기준 이미지의 카메라 설정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METHOD FOR PROVIDING SETTING INFORMATION OF CAMERA AND APPARATUS USING THE METHOD}
본 발명은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관광지와 같은 장소에서 촬영 시 촬영 장소, 촬영 시각을 기반으로 효과적으로 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설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가 발표한 '2018 OECD 관광 트렌드 및 정책 보고서(The OECD Tourism Trends and Policies 2018 Report)에 따르면, 관광 산업은 OECD 지역의 평균 GDP의 4.2%와 고용의 86.9%, 서비스 수출의 21.7%를 차지하고 있다
최근 관광 산업은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2016년 전세계 관광객은 12억 명 이상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전년 대비 3.9%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였다.
OECD는 항공 요금이 보다 저렴해지고 관광 산업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는 것 등이 호재로 작용하여 전 세계 관광 산업은 2030년까지 매년 평균 3.3%의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분석했으며, 해당 기간 선진국은 2.2%, 신흥 관광국은 4.4%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러한 관광 산업의 증가에 따라 다양한 업체들에 의해 관광 관련 비즈니스, 관광 관련 어플리케이션들이 개발 및 연구되고 있다. 스마트 정보화의 흐름에 따라 지방자치단체도 스마트폰과 무선인터넷을 이용한 모바일 중심의 행정 서비스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행정 서비스는 주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고 있으며, 행정 서비스뿐만 아니라 문화유산과 음식, 쇼핑, 전시, 축제 등을 앱을 통하여 알리고자 하는 관광앱의 개발로 이어지고 있다.
한편,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손목시계(Wrist watch), HMD(Head-Mounted Display)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등의 다양한 전자 장치는 카메라를 포함하고, 카메라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자 장치의 카메라를 이용해 이미지를 촬영하고, 촬영한 이미지를 인스타그램이나 페이스북 등 SNS(Social Network Service)에 업로드할 수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사용자 환경에 알맞은 전자 장치의 카메라 기능을 직접 조절하며 사용하기 어렵다.
또한, 마케팅 측면에서 사용자의 인스타그램이나 페이스북 등 SNS의 활발한 이용으로 마케팅 대상 소비자층에 대한 정보 수집이 쉬워지면서 위치 및 시간을 마케팅의 도구로 활용하는 방식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삭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관광지와 같은 특정 촬영 장소에서 사용자에게 사진을 효과적으로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설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촬영 위치에서 촬영 보조 기술을 활용하여 관광지에서 효과적으로 사용자의 사진을 보조하는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촬영 스타일에 대한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니즈에 맞는 촬영 효과를 추천하는 등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 설정에 어려움 없이 사용자 촬영 환경에 적절한 검증된 퀄리티의 촬영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사용자의 촬영 위치, 촬영 시간을 기반으로 최신 트렌드에 맞는 카메라 설정 정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 방법은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 서버가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정보를 기준으로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 서버에서 기준 이미지를 결정하는 단계, 기준 이미지 및/또는 기준 이미지의 카메라 설정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카메라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설정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준 이미지는 촬영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되고, 촬영 기록 정보는 이미지 정보, 메타데이터 정보, 연관 텍스트 정보 및/또는 제3자 반응을 포함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기준 이미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 서버가 기촬영된 이미지의 촬영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제1 후보 기준 이미지를 결정하는 단계,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 서버가 촬영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제1 후보 기준 이미지 중 제2 후보 기준 이미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 서버가 촬영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제2 후보 기준 이미지 중 기준 이미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설정 정보를 제공하는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 서버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현된 통신부, 통신부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되, 제어부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정보를 기준으로 기준 이미지를 결정하고, 기준 이미지 및/또는 기준 이미지의 카메라 설정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기준 이미지는 촬영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되고, 촬영 기록 정보는 이미지 정보, 메타데이터 정보, 연관 텍스트 정보 및/또는 제3자 반응을 포함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제어부는 기촬영된 이미지의 촬영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제1 후보 기준 이미지를 결정하고, 촬영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제1 후보 기준 이미지 중 제2 후보 기준 이미지를 결정하고, 촬영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제2 후보 기준 이미지 중 기준 이미지를 결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관광지와 같은 특정 촬영 장소에서 사용자에게 사진을 효과적으로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설정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는 촬영 위치에서 촬영 지원 기술을 기반으로 관광지와 같은 특정 촬영 장소에서 효과적으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촬영 스타일 등에 대한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니즈에 맞는 촬영 효과를 추천하는 등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가 제공될 수 있고, 다양한 이미지 및 다양한 이미지에 관련된 촬영 장소, 촬영 시간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촬영 위치와 촬영 시간에 따른 카메라 설정 정보 추천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설정 정보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 기록 정보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 서버의 기준 이미지 결정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1 후보 기준 이미지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2 후보 기준 이미지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기준 이미지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준 이미지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설정안내정보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 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설정 정보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0), 촬영 기록 제공 서버(120),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 서버(140)를 포함하는 카메라 설정 정보 서비스 시스템이 개시된다.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 서버(14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 서버(14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촬영 기록 제공 서버(120)와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사용 또는 소지하여 촬영할 수 있는 기기이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카메라 설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정보처리 장치라면 그 종류에 구애받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 서버(140)로 전송하고,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 서버(140)로부터 기준 이미지 및/또는 기준 이미지의 카메라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촬영 위치 정보(사용자), 촬영 시간 정보(사용자)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기준 이미지의 카메라 설정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기준 이미지의 카메라 설정 정보를 선택하여 촬영할 수 있다. 이때, 기준 이미지는 제3자 반응을 추가적으로 고려해 사용자의 촬영 환경과 유사한 환경에서 효과적인 촬영을 가능하게 하는 이미지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카메라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촬영 기록 정보이다. 이때, 촬영 기록 정보는 촬영 기록 제공 서버(12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촬영 기록 정보는 촬영시 기록된 이미지의 정보로, 촬영 기록 제공 서버(120)에 저장된 데이터이거나 웹 크롤링(web crawling), 연동된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해 수집될 수 있다. 이하, 촬영 기록 정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개시한다.
촬영 기록 제공 서버(120)는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 서버(140)에 촬영 기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 기록 제공 서버(120)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사업자의 서버일 수 있고, 이미지 공유 플랫폼, 웹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 서버(140)는 촬영 기록 제공 서버(120)로부터 수신한 촬영 기록 정보를 직접 저장하고, 결정된 기준 이미지 및/또는 기준 이미지의 설정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 서버(140)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사용자의 촬영 위치 정보(사용자), 촬영 시간 정보(사용자)를 수신할 수 있다.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 서버(140)는 기준 이미지 및/또는 기준 이미지의 카메라 설정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기준 이미지 및/또는 기준 이미지의 카메라 설정 정보는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 서버(140) 자체에 기설정된 기준 이미지 및/또는 기준 이미지의 카메라 설정 정보일 수 있다. 기설정된 기준 이미지 및/또는 기준 이미지의 카메라 설정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 서버(140)는 촬영 기록 제공 서버(120)로부터 수신한 촬영 기록 정보를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을 위한 기준 이미지로 결정할 수도 있다. 이하, 기준 이미지에 대해선 후술한다.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 서버(140)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현된 통신부와 통신부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는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 서버(140)에 포함된 각 구성부를 제어하여 후술할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 서버(140)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 기록 정보(200)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에서는 촬영 기록 정보(200)가 구체적으로 개시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촬영 기록 정보(200) 각각은 이미지 정보, 메타데이터 정보, 연관 텍스트 정보 또는 제3자 반응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정보를 기반으로 기준 이미지(220)가 결정될 수 있다.
촬영 기록 정보(200)는 촬영 기록 제공 서버(200)로부터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 서버를 거쳐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될 수 있다. 촬영 기록 정보(200)는 사용자에게 제공될 카메라 설정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로, 카메라 설정 정보는 촬영 기록 정보(200)의 메타데이터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의 촬영 기록 정보(200) 중 기준 이미지(220)에 대응되는 하나의 촬영 기록 정보(200)의 메타데이터 정보에 포함되는 카메라 설정 정보를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 서버 및/또는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될 수 있다.
이미지 정보는 이미지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이미지 정보는 화소의 집합으로, 이미지 정보로부터 촬영 이미지 내의 객체 정보와 배경 정보를 고려하여 촬영 스타일을 분류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 정보는 이미지와 연관된 촬영 환경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타데이터 정보는 촬영 시각, 촬영 위치, 노출값, 셔터 속도값, 플래시 사용 유무, 화이트 밸런스 조정값, 감마 보정값, 조리개 크기, ISO(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감도값, 이미지 크기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연관 텍스트 정보는 이미지를 업로드한 업로더에 의해 생성된 텍스트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관 텍스트 정보는 업로더가 촬영 기록 제공 서버 상에 이미지를 업로드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남겨진 이미지와 연관된 텍스트 정보(예를 들어, 해시 태그)일 수 있다.
제3자 반응 정보는 이미지에 대해 제3자의 온라인 상의 반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자 반응 정보는 이미지를 좋아하거나 이미지에 반응한 다른 사용자의 수, 다른 사용자들이 남긴 코멘트, 이미지 조회 수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업로더에 의해 업로드된 복수의 촬영 기록 정보(200)는 기준 이미지(220)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기준 이미지(220)는 사용자의 촬영 환경과 유사한 환경에서 효과적인 촬영을 가능하게 하는 이미지로, 사용자는 기준 이미지(220)의 카메라 설정 정보가 저장된 사용자 단말기로 촬영을 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기준 이미지(220)는 촬영 위치 정보(사용자), 촬영 시간 정보(사용자)에 대응되는 촬영 위치, 촬영 시간을 가지는 기촬영된 이미지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기준 이미지(220)는 트렌드를 고려한 이미지일 수 있다. 이때, 트렌드를 고려한 이미지는 소셜 미디어의 사용자들이 공통적으로 관심을 가지는 이미지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트렌드가 반영된 이미지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상에서 이미지 조회수, 이미지 반응수(좋아요, 코멘트 등)를 기반으로 수치화되어 결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기준 이미지(220)는 사용자의 촬영 습관을 고려한 이미지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촬영 습관은 사용자의 기존 촬영 이미지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촬영 습관은 기존 촬영 이미지에 기록된 촬영 시간 정보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기준 이미지(220)의 카메라 설정 정보는 기준 이미지(220)의 메타데이터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 서버(300)의 기준 이미지 결정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에 따르면,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 서버(300)는 제1 후보 기준 이미지 결정부(320), 제2 후보 기준 이미지 결정부(340), 기준 이미지 결정부(360), 통신부(380), 제어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준 이미지는 제1 후보 기준 이미지 결정부(320), 제2 후보 기준 이미지 결정부(340), 기준 이미지 결정부(360)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후보 기준 이미지 결정부(320), 제2 후보 기준 이미지 결정부(340)를 통해 후보 기준 이미지가 결정되고, 기준 이미지 결정부(360)를 통해 후보 기준 이미지로부터 최종적인 기준 이미지가 결정된다. 후보 기준 이미지는 촬영 위치 정보(사용자), 촬영 시간 정보(사용자)와 대응되는 위치 정보, 시간 정보를 갖는다.
제어부(390)는 제1 후보 기준 이미지 결정부(320), 제2 후보 기준 이미지 결정부(340), 기준 이미지 결정부(360), 통신부(38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 서버(300)는 촬영 기록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촬영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기준 이미지를 결정하고, 사용자 단말기로 기준 이미지 및/또는 기준 이미지에 대응되는 촬영 설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후보 기준 이미지 결정부(320)는 촬영 위치 정보(사용자)를 기반으로 제1 후보 기준 이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후보 기준 이미지는 촬영 위치 정보(사용자)에 의해 지시된 촬영 위치를 기준으로 임계 거리 이내에서 촬영된 이미지일 수 있다. 이때, 임계 거리는 기준 이미지의 장소 범위일 수 있다.
제2 후보 기준 이미지 결정부(340)는 제1 후보 기준 이미지 중 촬영 시간 정보(사용자)를 기준으로 제2 후보 기준 이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촬영 시간 정보(사용자)를 기반으로 제1 후보 기준 이미지 중 제2 후보 기준 이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제2 후보 기준 이미지는 촬영 시간 정보(사용자)를 기준으로 임계 시간 내에 촬영된 이미지일 수 있다. 이때, 임계 시간은 기준 이미지의 시간 범위일 수 있다.
기준 이미지 결정부(360)는 제2 후보 기준 이미지를 기반으로 기준 이미지를 결정할 수 있다. 기준 이미지 결정부는 이미지 조회수, 이미지 반응수(좋아요, 코멘트 등), 사용자 촬영 습관을 활용하여 기준 이미지 점수를 결정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기준 이미지 결정부는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 서버(300) 자체에 기설정된 기준 이미지를 기준 이미지로 결정할 수도 있다. 이때, 기설정된 기준 이미지는 위치 정보, 시간 정보를 갖는다. 기설정된 기준 이미지가 제1 후보 기준 이미지 결정부(320), 제2 후보 기준 이미지 결정부(340)를 통해 결정된 촬영 장소 범위와 촬영 시간 범위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는 경우, 기준 이미지 결정부(360)는 기설정된 기준 이미지를 기준 이미지로 결정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기준 이미지 점수 결정 방법은 후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1 후보 기준 이미지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제1 후보 기준 이미지 결정부는 제1 후보 기준 이미지를 결정하기 위해 장소 범위를 설정하는 클러스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클러스터링은 촬영 위치 정보(사용자)를 기준으로 사용자와 인접한 위치에서 기촬영된 이미지의 메타데이터 정보에 포함된 촬영 위치 정보(업로더)를 기반으로 수행된다.
제1 후보 기준 이미지 결정부는 기촬영된 이미지의 촬영 위치 정보(업로더)에 의해 지시되는 촬영 위치(업로더)(480), 촬영 위치 정보(사용자)에 의해 지시되는 촬영 위치(사용자)(400) 각각을 좌표 축 상에서 표현할 수 있다. 촬영 위치(사용자)(400)를 기준으로 기촬영된 이미지의 촬영 위치(업로더)(480)를 기반으로 1차 클러스터링이 수행되는 경우, 촬영 위치(사용자)(400)와 인접한 촬영 위치(업로더)(480)가 모여서 하나의 1차 클러스터(420)가 생성될 수 있다. 이때, 1차 클러스터(420)에 포함되는 기촬영 이미지의 촬영 위치(업로더)(480)의 개수가 임계값 미만인 경우, 1차 클러스터(420)는 기준 이미지의 장소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1차 클러스터(420)에 포함되는 기촬영 이미지는 제1 후보 기준 이미지로 결정될 수 있다.
반대로, 1차 클러스터에 속한 촬영 위치(업로더)(480)의 개수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2차 클러스터링이 진행된다. 2차 클러스터(460)는 1차 클러스터링이 수행된 장소 범위를 일정한 단위 면적을 기준으로 분할한 후, 분할된 단위 면적 상에서 촬영 위치가 포함된 단위 면적들에 대한 클러스터링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차 클러스터링은 격자 구조(440)를 기반으로 분할된 1차 클러스터링 된 영역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격자(440) 크기는 일정 기준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이에 대한 기준은 1차 클러스터(420) 영역의 밀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1차 클러스터(420) 영역에 대한 데이터의 밀도가 임계값 이상이라면, 격자(440)의 실제 크기는 가로 3m, 세로 3m의 정사각형 형태의 단위 면적일 수 있다. 반대로, 1차 클러스터(420) 영역에 대한 데이터의 밀도가 임계값 미만이라면, 격자(440)의 실제 크기는 가로 10m, 세로 10m의 정사각형 형태의 단위 면적일 수 있다. 격자(440)는 지면 상의 실제 가로 길이, 실제 세로 길이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격자(440)의 실제 크기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1차 클러스터(420) 영역에 대한 데이터의 밀도의 크기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단위 면적으로의 분할이 수행되는 경우, 2차 클러스터(460)는 촬영 위치(사용자)(400)가 포함된 격자(440)를 중심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때, 2차 클러스터(460)는 기준 이미지의 장소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2차 클러스터(460)에 포함되는 기촬영 이미지는 제1 후보 기준 이미지로 결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2 후보 기준 이미지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후보 기준 이미지 결정부는 제2 후보 기준 이미지를 결정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2 후보 기준 이미지 결정부는 제1 후보 기준 이미지를 기반으로 제2 후보 기준 이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후보 기준 이미지 결정부는 촬영 시간 정보(사용자)(500)와 제1 후보 기준 이미지의 촬영 시간(업로더)을 기반으로 한 클러스터링을 통해 제2 후보 기준 이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제2 후보 기준 이미지 결정부는 제1 시간 단위로 설정된 x 축 상에 대응되는 촬영 시간을 가지는 제1 후보 기준 이미지의 개수를 y 축 상의 값으로 설정한 히스토그램으로 표현할 수 있다. 히스토그램을 생성하기 위한 제1 시간 단위는 미리 설정된 시간의 단위로서 예를 들어, 1시간 단위일 수 있다.
제2 후보 기준 이미지는 제1 시간 단위를 기반으로 결정된 정보가 x값, 제1 후보 기준 이미지의 개수를 기반으로 결정된 y값으로 결정한 새로운 좌표 평면 상에서 촬영 시간 정보(사용자)(500)를 기준으로 한 클러스터링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하나의 클러스터는 제1 시간 단위를 기준으로 인접한 촬영 시간 내에 유사한 촬영 횟수를 가지는 히스토그램의 집합일 수 있다.
1차 클러스터링이 수행된 후, 시간당 촬영 빈도수의 변화가 임계 퍼센트 미만으로 발생하는 경우, 해당 촬영 장소 범위는 시간의 변화에 따라 카메라 설정 정보가 변하지 않는 촬영 장소라고 볼 수 있다. 이때, 1차 클러스터(520)는 기준 이미지의 시간 범위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1차 클러스터(520) 내 복수의 촬영 기록 정보는 제2 후보로 결정될 수 있다.
반대로, 1차 클러스터링이 수행된 후, 시간당 촬영 빈도수의 변화(540)가 임계 퍼센트 이상으로 발생하는 경우, 해당 촬영 장소 범위는 시간의 변화에 따라 카메라 설정 정보가 변하는 촬영 장소라고 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촬영 시각 정보를 기준으로 2차 클러스터링이 수행될 수 있다. 2차 클러스터링은 제1 시간 단위를 기준으로 인접한 촬영 시간 내에 유사한 촬영 횟수를 가지는 히스토그램의 집합인 1차 클러스터(520)를 대상으로 수행된다. 또한, 촬영 시간 구간은 제2 시간 단위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제2 시간 단위는 미리 설정된 시간의 단위로서 제1 시간 단위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고, 예를 들어 10분 단위일 수 있다. 사용자의 촬영 시각 정보(사용자)(500)를 기반으로 2차 클러스터링이 수행되는 경우, 인접한 촬영 시간이 모여 2차 클러스터(560)가 생성될 수 있다. 이때, 2차 클러스터(560)는 기준 이미지의 시간 범위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2차 클러스터(560) 내 복수의 촬영 기록 정보는 제2 후보로 결정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시간 단위로 촬영 시간 범위를 결정하는 방법이 개시되었으나, 시간 단위는 월 단위, 주 단위로 설정되어 촬영 시간 범위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월, 특정 주에 촬영 횟수가 증가하는 경우(예를 들어, 벚꽃축제 등), 이러한 행사가 있을 때 별도의 시간 범위로서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촬영 시간 범위를 결정하는 다양한 시간 단위를 설정하여 촬영 시간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기준 이미지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에서는 기준 이미지 결정부의 제 3자 반응 점수 결정 방법이 개시된다.
도 6을 참조하면, 기준 이미지 결정부는 제2 후보 기준 이미지 중 기준 이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제2 후보 기준 이미지는 촬영 위치 정보(사용자)를 기준으로 결정된 제1 후보 기준 이미지 중 촬영 시간 정보(사용자)를 기준으로 촬영 시간 범위가 한정된 촬영 기록 정보이다.
기준 이미지 결정부는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 서버 자체에 기설정된 기준 이미지를 기준 이미지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기설정된 기준 이미지는 제1 후보 기준 이미지 결정부, 제2 후보 기준 이미지 결정부로부터 결정된 촬영 장소 범위와 촬영 시간 범위 조건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다. 기설정된 기준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기준 이미지 결정부는 제 3자 반응 점수 및/또는 사용자 촬영 습관 점수를 고려하여 기준 이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 3자 반응 점수와 사용자 촬영 습관 점수의 합을 통해 기준 이미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때, 제3자 반응 점수는 제2 후보 기준 이미지에 포함된 연관 텍스트 정보, 제3자 반응 정보가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촬영 습관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촬영 습관이 활용될 수 있다. 이하 제 3자 반응 점수와 사용자 촬영 습관 점수의 산출 방법은 후술한다.
제 3자 반응 점수는 연관 텍스트 정보 및/또는 제3자 반응 정보에 포함된 이미지 조회수, 이미지 반응수(좋아요, 코멘트 등) 각각을 수치화하여 각각의 합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추가적으로, 제3자 반응 점수는 제2 후보 기준 이미지를 업로드한 업로더의 다른 업로드 이미지를 고려한 가중치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후보 기준 이미지가 다른 이미지보다 얼마나 더 높은 반응을 얻었는지를 고려하여 제 3자 반응 점수가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제2 후보 기준 이미지가 다른 이미지보다 얼마나 더 높은 반응을 얻었는지는 수치화되어 반응 스코어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후보 기준 이미지 A, B가 존재하는 경우, 제2 후보 기준 이미지 A를 업로드한 제1 업로더의 다른 이미지(A')에 대한 반응 스코어가 90이었다가 100이 된 경우에 제1 가중치(600), 제2 후보 기준 이미지 B를 업로드한 제2 업로더의 다른 이미지(B')에 대한 반응 스코어가 20이었다가 50이 된 경우에 제2 가중치(610)가 적용되어 제2 후보 기준 이미지의 제3자 반응 점수가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가중치(600)보다 제2 가중치(610)가 상대적으로 높은 값으로 설정되어 제3자 반응 점수가 결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준 이미지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에 따르면, 사용자 촬영 습관 점수는 사용자 촬영 습관에 따라 가중치가 적용되어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촬영 습관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기존 촬영 이미지(사용자)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 촬영 습관은 사용자가 촬영시 주로 사용하는 구도 정보, 객체 정보 등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촬영 습관은 기존 촬영 이미지(사용자) 내의 객체 정보와 배경 정보가 고려되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촬영 습관은 사용자에 따라 다양한 1) 사람을 중심으로 사진을 촬영하는 경우, 2) 사람이 아닌 객체를 중심으로 촬영하는 경우, 3) 사람이 없이 객체만을 촬영하는 경우 4) 복수의 사람을 촬영하는 경우로 분류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촬영 습관 점수는 사용자의 사용자 촬영 습관이 표현된 제2 후보 기준 이미지에 가중치가 적용되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 촬영 이미지(사용자)를 통해 분석된 사용자 촬영 습관이 3) 사람이 없이 객체만을 촬영하는 경우로 결정되는 경우, 사람이 없이 객체만 촬영된 제2 후보 기준 이미지에 다른 이미지보다 더 높은 가중치가 적용되어 사용자 촬영 습관 점수가 결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 촬영 습관은 기존 촬영 이미지(사용자)에 기록된 촬영 시간 정보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사용자가 친구들과 여행 중인 경우, 친구들과 사진을 찍은 결과물이 저장되고, 추후에도 촬영 위치에서 친구들과 사진을 촬영할 경우가 많을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임계 시간(예를 들어, 2시간) 이내에 찍은 기존 촬영 이미지(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이미지를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사용자 촬영 습관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임계 시간(예를 들어, 2시간) 이내에 찍은 기존 촬영 이미지(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분석된 사용자 촬영 습관에 대해 더 높은 가중치를 설정하여 사용자 촬영 습관 점수가 결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시간 정보를 고려하여 결정된 사용자 촬영 습관은 사용자 촬영 습관으로 분류된 기존 촬영 이미지 중 시간에 따른 사용자 촬영 습관 변화를 고려한 이미지로 결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시간에 따른 사용자 촬영 습관 변화를 고려한 이미지는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최근에 찍은 이미지일수록 이미지에 표현된 사용자 촬영 습관에 더 높은 가중치를 두어 결정될 수 있다.
즉,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 방법은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 서버가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 서버가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준으로 기준 이미지를 결정하는 단계와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 서버가 상기 기준 이미지 및/또는 상기 기준 이미지의 카메라 설정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준 이미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 서버가 기촬영된 이미지의 상기 촬영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제1 후보 기준 이미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 서버가 상기 촬영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후보 기준 이미지 중 제2 후보 기준 이미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 서버가 상기 촬영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후보 기준 이미지 중 기준 이미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설정안내정보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이루어지는 카메라 설정 안내에 대해 개시한다.
사용자 단말기는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기준 이미지 및/또는 기준 이미지의 카메라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수신한 기준 이미지의 카메라 설정 정보를 사용자에게 카메라 설정 안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카메라 설정을 기준 이미지의 설정 정보에 맞춰 자동으로 보정해 줄 수 있고, 설정안내정보를 통해 카메라 설정 정보를 안내할 수도 있다. 이때, 설정안내정보는 사용자의 촬영 위치 정보(사용자)와 촬영 시간 정보(사용자)(510)에 최적화된 촬영 구도, 촬영 효과 등을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이미지 효과 정보(AR 효과 정보)일 수 있고, 카메라 설정 정보를 안내하는 디스플레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설정 정보를 안내하는 디스플레이 형태의 설정안내 정보는 기준 이미지의 설정 정보를 리스트로 표현해 설정안내정보 팝업창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좌우 스와이프 제스처를 통해 카메라 설정의 세밀성을 변경하여 사용자 자신이 원하는 만큼 카메라 설정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기준 이미지 카메라 설정 정보를 템플릿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카메라 설정 정보들을 조작하지 않아도 최신 트렌드에 맞는 최적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이를 위해 카메라 촬영설정 정보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조 조명장치인 플래시 사용여부, 빛에 대한 민감성을 나타낸 감도정보(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빛이 들어오는 넓이를 나타낸 조리개(Aperture), 조리개가 열려 있는 시간을 나타내는 셔터스피드(Shutter Speed)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삭제

Claims (6)

  1. 카메라 설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 서버가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 서버가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준으로 기준 이미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 서버가 상기 기준 이미지 및/또는 상기 기준 이미지의 카메라 설정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기준 이미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 서버가 기촬영된 이미지의 상기 촬영 기록 정보 중 촬영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제1 후보 기준 이미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 서버가 상기 촬영 기록 정보 중 촬영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후보 기준 이미지 중 제2 후보 기준 이미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 서버가 상기 촬영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후보 기준 이미지 중 기준 이미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후보 기준 이미지는 1차 클러스터링 및 2차 클러스터링을 기반으로 결정되고,
    상기 1차 클러스터링은 촬영 위치(사용자)와 인접한 촬영 위치(업로더)를 클러스터링하여 1차 클러스터를 생성하고, 상기 1 차 클러스터에 포함되는 기촬영 이미지의 촬영 위치(업로더)의 개수가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1차 클러스터를 기반으로 상기 제1 후보 기준 이미지가 결정되고,
    상기 2차 클러스터링은 상기 1 차 클러스터에 포함되는 상기 기촬영 이미지의 상기 촬영 위치(업로더)의 개수가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 수행되고,
    상기 2차 클러스터링은 상기 1차 클러스터링이 수행된 장소 범위를 일정한 단위 면적을 기준으로 분할한 후, 분할된 단위 면적 상에서 촬영 위치가 포함된 단위 면적들에 대한 클러스터링을 통해 2차 클러스터를 생성하고, 상기 2차 클러스터를 기반으로 상기 제1 후보 기준 이미지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후보 기준 이미지는 1차 클러스터링 및 2차 클러스터링을 기반으로 결정되고,
    상기 1차 클러스터링은 제1 시간 단위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시간 단위 상에서 촬영된 상기 제1 후보 기준 이미지의 촬영 횟수를 기반으로 클러스터링된 1차 클러스터를 생성하고,
    상기 2차 클러스터링은 상기 1차 클러스터링의 수행 이후, 시간당 촬영 빈도수의 변화가 임계 퍼센트 이상으로 발생하는 경우 수행되고,
    상기 2차 클러스터링은 상기 1차 클러스터 상에서 제2 시간 단위로 수행되어 2차 클러스터를 결정하고,
    상기 제2 시간 단위는 상기 제1 시간 단위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 방법.
  3. 삭제
  4. 카메라 설정 정보를 제공하는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 서버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현된 통신부;
    상기 통신부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를 기준으로 기준 이미지를 결정하고,
    상기 기준 이미지 및/또는 상기 기준 이미지의 카메라 설정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구현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 이미지를 결정하기 위해
    기촬영된 이미지의 상기 촬영 기록 정보 중 촬영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제1 후보 기준 이미지를 결정하고,
    상기 촬영 기록 정보 중 촬영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후보 기준 이미지 중 제2 후보 기준 이미지를 결정하고,
    상기 촬영 기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 후보 기준 이미지 중 기준 이미지를 결정하도록 구현되고,
    상기 제1 후보 기준 이미지는 1차 클러스터링 및 2차 클러스터링을 기반으로 결정되고,
    상기 1차 클러스터링은 촬영 위치(사용자)와 인접한 촬영 위치(업로더)를 클러스터링하여 1차 클러스터를 생성하고, 상기 1 차 클러스터에 포함되는 기촬영 이미지의 촬영 위치(업로더)의 개수가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1차 클러스터를 기반으로 상기 제1 후보 기준 이미지가 결정되고,
    상기 2차 클러스터링은 상기 1 차 클러스터에 포함되는 상기 기촬영 이미지의 상기 촬영 위치(업로더)의 개수가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 수행되고,
    상기 2차 클러스터링은 상기 1차 클러스터링이 수행된 장소 범위를 일정한 단위 면적을 기준으로 분할한 후, 분할된 단위 면적 상에서 촬영 위치가 포함된 단위 면적들에 대한 클러스터링을 통해 2차 클러스터를 생성하고, 상기 2차 클러스터를 기반으로 상기 제1 후보 기준 이미지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 서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후보 기준 이미지는 1차 클러스터링 및 2차 클러스터링을 기반으로 결정되고,
    상기 1차 클러스터링은 제1 시간 단위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시간 단위 상에서 촬영된 상기 제1 후보 기준 이미지의 촬영 횟수를 기반으로 클러스터링된 1차 클러스터를 생성하고,
    상기 2차 클러스터링은 상기 1차 클러스터링의 수행 이후, 시간당 촬영 빈도수의 변화가 임계 퍼센트 이상으로 발생하는 경우 수행되고,
    상기 2차 클러스터링은 상기 1차 클러스터 상에서 제2 시간 단위로 수행되어 2차 클러스터를 결정하고,
    상기 제2 시간 단위는 상기 제1 시간 단위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 서버.
  6. 삭제
KR1020200061535A 2020-05-22 2020-05-22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KR102363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535A KR102363487B1 (ko) 2020-05-22 2020-05-22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535A KR102363487B1 (ko) 2020-05-22 2020-05-22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4326A KR20210144326A (ko) 2021-11-30
KR102363487B1 true KR102363487B1 (ko) 2022-02-16

Family

ID=78722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1535A KR102363487B1 (ko) 2020-05-22 2020-05-22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348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9397A (ja) * 2008-03-26 2009-10-15 Seiko Epson Corp 撮影装置、撮影システム、撮影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2016167237A (ja) * 2015-03-10 2016-09-1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検索装置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9397A (ja) * 2008-03-26 2009-10-15 Seiko Epson Corp 撮影装置、撮影システム、撮影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2016167237A (ja) * 2015-03-10 2016-09-1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検索装置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4326A (ko) 202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8680B2 (en) Event-based image classification and scoring
US10896478B2 (en) Image grid with selectively prominent images
CN107408212B (zh) 用于识别存储在设备上的不需要的照片的系统和方法
CN105981368B (zh) 在成像装置中的照片构图和位置引导
US20170039746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KR101725884B1 (ko) 이미지들에 대한 자동 프로세싱
JP6953128B2 (ja) 画像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506110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CN106454064B (zh) 图像处理装置以及图像处理方法
JP2020140577A (ja)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63977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US11107260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11501476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10460494B2 (en)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CN116195263A (zh) 为数字照片推荐位置和内容感知过滤器
US10917529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CN111480168B (zh) 基于情景的图像选择
US20210090233A1 (en) Cognitive object emotional analysis based on image quality determination
KR102363487B1 (ko) 카메라 설정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JP2014182650A (ja) 画像共有装置、画像共有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093733B1 (ko) 이미지추천장치 및 이미지추천장치의 동작 방법
JP2006350546A (ja) 情報処理装置、画像分類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102303880B1 (ko) 촬영 스팟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JP2017117407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900681B2 (en) Visual media management for mobile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