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2559B1 -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알츠하이머병 진단 시스템 - Google Patents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알츠하이머병 진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2559B1
KR102362559B1 KR1020210121754A KR20210121754A KR102362559B1 KR 102362559 B1 KR102362559 B1 KR 102362559B1 KR 1020210121754 A KR1020210121754 A KR 1020210121754A KR 20210121754 A KR20210121754 A KR 20210121754A KR 102362559 B1 KR102362559 B1 KR 102362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yloid
subject
wearable
beta plaque
ret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1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 진
Original Assignee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21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25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8Diagnosing of monitoring cognitive diseases, e.g. Alzheimer, prion diseases or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16Operational features thereof
    • A61B3/0025Operational features thereof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e.g. eye mod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02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2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 A61B3/1225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using coherent radiation
    • A61B3/1233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using coherent radiation for measuring blood flow, e.g. at the reti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3Head-worn items, e.g. helmets, masks, headphones or gogg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61B5/7264Classification of physiological signals or data, e.g. using neural networks, statistical classifiers, expert systems or fuzzy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processing medical images, e.g. edit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Neurology (AREA)
  • Psychia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Physiology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mat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sych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피검자의 머리에 착용가능하며, 피검자의 안구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장착본체와 장착본체에 연결되어 피검자의 머리 상에 접촉하는 걸침부를 포함하는 장착부; 및 피검자의 안구를 마주보는 상기 장착본체의 일면에 설치되는 망막촬영부를 포함하고, 상기 망막촬영부는 '망막 두께'와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를 검출할 수 있는 망막 영상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망막 검사에 용이한 착용 검사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알츠하이머병 진단에 필요한 '망막 두께'와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를 검출할 수 있는 망막 영상을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검자의 망막에 대한 '망막 두께'와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를 검출하고 망막 내에 착색된 아밀로드-베타 펩티드의 증감을 정량화하여 알츠하이머병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알츠하이머병 진단 시스템{WEARABLE AMYLOID-BETA PLAQUE DETECTION DEVICE AND ALZHEIMER'S DISEASE DIAGNOSIS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알츠하이머병을 진단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착용자의 망막에서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를 검출하여 알츠하이머병을 진단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매란 기억력이 떨어지고 다른 종류의 인지기능도 같이 떨어져 사회생활이나 일상생활이 곤란한 상태를 의미하고, 중앙치매센터의 자료에 따르면, 2015년 62만 5,259명이던 치매 환자 수가 2025년에는 약 107만 명으로 두 배 가까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치매의 대표적인 질병인'알츠하이머병'은 뇌신경세포가 점점 줄어들어 뇌가 위축되는 가장 흔한 퇴행성 뇌 질환으로서, 정상인의 뇌보다 뇌가 위축되고 신경세포가 현저히 감소되어 기억력을 포함한 인지 기능이 점점 악화되는 병이다. 2012년 전국 치매 역학조사에 따르면 알츠하이머병이 전체 치매 중 70.5%를 차지하였고, 65세 이후의 노년층에서 주로 발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알츠하이머병은 65세 이전에 나타나는 '조발성 알츠하이머 치매(ECAD, early onset AD)'와 65세 이후에 나타나는 '후발성 알츠하이머 치매(LCAD, late onset AD)'로 나누어진다. 알츠하이머병의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신경세포 밖의 '아밀로이드-베타(Amyloid β)'가 침착된 플라크(plaque)와 '과인산화된 타우(hyperphosphorylated tau)' 단백질(protein)축적을 병리적 특징으로 하며, 이들이 원인이 되어 뇌신경세포(neurons) 사멸을 초래해 발병한다고 알려져 있다.
첫 번째 병리적 특성인 플라크는 신경세포 밖에서 만들어지는 물질이다. 우리 뇌에는 뉴런과 뉴런 간 전기신호나 화학물질을 통해 각종 정보가 전달되고, 이 과정에서 아밀로이드-베타가 생성된다. 그런데, 아밀로이드-베타가 헤르페스로 인해 과다하게 생성되면서 인접한 뉴런에 플라크라는 막이 침착된다. 이러한 플라크로 인하여 인접 뉴런은 사멸하고 신경전달체계는 새로운 경로를 찾는 등 교란작용이 일어나며 병이 발생하게 된다. 즉, 뇌세포에 아밀로이드(Amyloid)라는 단백질이 쌓여서 뇌세포가 죽게 되는 질환이라 할 수 있다.
신경세포는 내부의 찌꺼기 등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통로를 가지고 있는데, '타우단백질(tau protein)'이 이러한 기능유지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타우단백질에 필요 이상의 인산기(phosphate)가 붙으면 단백질에 섬유조직 현상이 발생하고 서로 엉키게 되면서 노폐물 배출 능력이 떨어진다. 노폐물 배출 능력이 떨어지면 독성물질이 쌓여서 그 신경조직은 사멸하게 된다. 이러한 신경세포의 조직의 사멸 현상이 반복되고 주변으로 확산되면 알츠하이머병이 진행되어 병증으로 나타나게 된다. 즉, 외부로부터 신경세포가 차단되어 병이 오던지, 내부로부터 노폐물과 독성물질이 축적되어 병이 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알츠하이머병(AD)은 신경변성 질환으로 분류되고, 질병의 발병 원인은 완전히 이해되지 않은 상태이지만,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가 정상 '알츠하이머 단백질'을 변형시켜 '플라크' 덩어리를 형성해 고유기능을 잃어버리게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조직병리학적으로는 '뇌의 전반적인 위축', '뇌실의 확장', '신경섬유의 다발성 병변'과 '초로성 반점' 등의 특징을 보인다.
질병은 네 개의 단계로 나누어져 인지적 기능적장애가 나타나게 된다.
먼저, 알츠하이머병 전(前) 단계에서 나타나는 증상은 흔히 노화나 스트레스로 잘못 해석된다. 세부적인 신경심리학적 테스트는 사람이 알츠하이머병 진단에 대한 임상 기준을 충족하기 최대 8년 전에 가벼운 인지적 장애를 드러낼 수 있다. 이러한 초기 증상은 일상생활의 가장 복잡한 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가장 눈에 띄는 현상은 단기 기억상실이며, 이는 최근에 배운 사실을 기억하기 어렵고 새로운 정보를 얻을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난다.
알츠하이머병의 전(前) 단계는 '경도인지장애(이하 MCI, Mild cognitive impairment)'라고 지칭된다. 이것은 흔히 정상적인 노화와 치매 사이의 과도기적인 단계로 나타난다. '경도인지장애(MCI)'는 다양한 증상을 나타낼 수 있으며, 기억 상실이 지배적인 증상일 때는 '아마추어 경도인지장애(MCI)'라고 불리며, 알츠하이머병의 전 단계로 자주 나타난다. 즉, 정상 노화와 치매의 중간 단계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알츠하이머병의 초기 단계는 학습과 기억력의 손상이 증가하며 결국 결정적인 진단을 받게 된다. 적은 비율에서 언어, 실행 기능, 인식(agnosia) 또는 동작의 실행(apraxia)의 어려움이 기억력 문제보다 더 두드러진다.
알츠하이머병의 중간 단계에는 점진적 악화로 인하여 독립성을 저해하고, 피험자는 일상생활의 가장 일반적인 활동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어휘를 회수하지 못해 언어장애가 뚜렷해지고, 이로 인해 잘못된 단어 대체(파라파시아스)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읽기와 쓰기 능력도 점차 상실되고, 이전에는 온전했던 장기 기억도 손상된다.
마지막인 알츠하이머병의 후기 단계에서 환자는 완전히 간병인에게 의존할 수 밖에 없다. 언어는 단순한 구절이나 심지어 단어로도 축소되어 결국 완전한 말실수로 이어진다. 언어 능력의 상실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종종 감정적인 신호를 이해하고 되돌려 줄 수 있다.
치매 증상이 심한 경우는 일반인들도 쉽게 알 수 있으나 초기 단계에는 치매의 유무를 감별하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자세한 증상기록과 함께 '신경학적검사'와 '신경심리검사'를 실시해야 한다. 치매로 진단이 되면 원인을 밝히기 위한 여러 검사를 실시하는데 뇌 자기공명촬영(MRI), 단일광자방출촬영(SPECT),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법(Positron Emission Tomography, 아밀로이드 PET검사), 혈액검사(간 기능, 신장 기능 검사, 빈혈검사, 비타민검사), 뇌파검사, 갑상선기능검사 등을 실시한다. 기존의 검사법으로는 뇌 속의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침착을 직접 확인할 방법이 없었지만, 최근에는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법(아밀로이드 PET 검사)'을 통해 뇌 속 어느 부분에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가 침착되어 있는지 영상으로 확인이 가능해졌다.
다만, 아밀로이드 PET 검사는 일반적으로 수행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초기 단계의 검출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10-2051666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체에 착용하여 망막에 침착된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를 검출함으로써 알츠하이머병의 초기 진단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는, 피검자의 머리에 착용가능하며, 피검자의 안구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장착본체와 장착본체에 연결되어 피검자의 머리 상에 접촉하는 걸침부를 포함하는 장착부; 및 피검자의 안구를 마주보는 상기 장착본체의 일면에 설치되는 망막촬영부를 포함하고, 상기 망막촬영부는 '망막 두께'와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를 검출할 수 있는 망막 영상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알츠하이머병(AD)은 변성 및 말기 인지 장애로서 확인되는, 모든 형태의 치매를 지칭한다. 알츠하이머병은 정적이거나, 독특한 포괄적인 뇌 손상의 결과이거나, 또는 진행성일 수 있어서, 정상적인 노화로부터 예상될 수 있는 것을 넘어서는 신체 손상 또는 질환으로 인한 인지 기능에서의 장기적인 쇠퇴를 초래한다. 알츠하이머병은 통상적이고 파괴적인 연령-의존적 신경변성 질환이다. 알츠하이머병에 대한 뇌 병리학은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이하 APP, Amyloid Precursor Protein)'의 단백질 분해성 생성물인 '아밀로이드-베타 펩티드'의 전형적인 축적을 특징으로 하고, 이는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로 명명된 세포 외 응집물을 형성한다. 알츠하이머병환자의 '망막 두께'와 '망막 내에서의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의 형성이 이의 뇌에서의 출현에 선행한다는 것이 알려졌으나, 적절한 검진 장치가 개발되지 못하여 알츠하이머병의 초기 진단에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망막에서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를 확인 및 측정하는 장치를 제공하며, 특히 망막 검사에 용이하도록 인체에 착용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장착부에 연결되며 표시부가 구비된 스마트 기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에 설치된 제어부가 상기 망막촬영부로부터 영상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스마트 기기로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망막촬영부로부터 영상 정보를 분석하는 컴퓨터시스템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시스템이 소형컴퓨터, 매립형 컴퓨터 또는 태블릿 컴퓨터일 수 있다.
상기 망막촬영부로부터 영상 정보를 분석하는 컴퓨터시스템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시스템이 에지 컴퓨팅 방식으로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망막촬영부가 광간섭단층영상(Optical Coherence Tomograph, OCT)을 촬영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한 알츠하이머병 진단 시스템은, 피검자의 머리에 착용가능하며 피검자의'망막 두께'와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를 검출할 수 있는 망막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망막촬영부를 포함하는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 및 상기 피검자의 망막 영상을 기초로 상기 피검자의 알츠하이머병 진단 데이터를 생성하는 진단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진단 서버는, 기준 데이터를 기초로 학습되는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알츠하이머병 진단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학습 모델에 상기 피검자의 망막 영상 및 상기 피검자에 관한 정보인 피검자 정보를 포함하는 테스트 데이터가 입력되고, 상기 진단 서버는, 상기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테스트 데이터 및 상기 기준 데이터 간의 비교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알츠하이머병 진단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망막촬영부로부터 영상 정보를 분석하는 컴퓨터시스템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시스템은 상기 진단 서버와 에지 컴퓨팅 방식으로 구조화된 것이 바람직하다.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로 도출된 데이터세트를 상기 컴퓨터시스템 또는 상기 진단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다른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로 도출된 데이터세트와 비교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알츠하이머병 진단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망막 검사에 용이한 착용 검사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알츠하이머병 진단에 필요한 '망막 두께'와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를 검출할 수 있는 망막 영상을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검자의 망막에 대한 '망막 두께'와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를 검출하고 망막 내에 착색된 아밀로드-베타 펩티드의 증감을 정량화하여 알츠하이머병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의 내주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의 표시부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클라우드 컴퓨팅과 에지 컴퓨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를 사용하여 특정 망막층 내부에서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와 '아밀로이드 함유 드루젠'을 확인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를 사용하여 조영제와 데이터베이스로 특정 망막층 내부의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와 아밀로이드 함유 '드루젠'을 식별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츠하이머 진단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 서버의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이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구비할 수 있는 것을 의미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의 내주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의 표시부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10)는 장착부(100), 망막촬영부(200) 및 상기 장착부와 별개로 구비되는 스마트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100)는 검사를 받는 피검자의 머리에 착용 가능한 것으로, 고글형(goggle) 또는 머리 착용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장착부(100)는 장착본체(110), 걸침부(130), 스토퍼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본체(110)는 피검자의 안구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망막촬영부(200), 제1 외부촬영부(250), 제2 제어부(400), 센서부(500), 전원공급부(60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스마트 기기(300)가 탈착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장착본체(110)는 고글형 또는 머리 착용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기기로 구현될 수 있고, 웨어러블(wearable)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걸침부(130)가 고정된 상태에서 장착본체(110)가 회전 또는 슬라이딩에 의해서 움직이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10)를 착용한 상태에서 장착본체(110)만을 움직여서 상단으로 착용자의 눈을 노출시킴으로써, 검사 중간에 피검자(환자)의 상태를 살펴볼 수 있다. 이때, 회전 또는 슬라이딩되는 구조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움직임이 표현되지는 않았지만,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머리 전체를 둘러싸는 형태의 걸침부(130)에 장착본체(110)가 힌지 결합되어 장착본체(110)가 힌지 회전을 통해서 위로 젖혀지는 방식으로 움직이는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 이때, 도시된 것과 같이 스마트 기기(300)는 장착본체(110)의 전면부에 탈착되어, 장착본체(110)의 움직임을 따라서 함께 움직인다.
또한, 장착본체(110)가 전체적으로 회전 또는 슬라이딩될 수도 있고, 장착본체(110)를 피검자의 얼굴에 밀착되어 움직이지 않는 고정부(미도시)와 고정부에 대하여 회전 또는 슬라딩되도록 구성된 이동부(미도시)로 분리하여 구성하고 이동부에 스마트 기기(300)가 탈착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원공급부(600)는 걸침부(130)를 포함하는 장치의 '후면부'에 배치되어 기기 자체의 무게 배분에 기여함으로써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의 장착부의 무게로 인해 밑으로 밀려 내려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장착본체(110)에는 스마트 기기(300)의 제1 제어부를 도와주는 제2제어부(400)가 설치될 수 있다.
장치 착용 시에 장착본체(110)에서 피검자의 안구(망막)를 마주보는 일면에는 '망막촬영부(200)'가 설치되며 이에 대향되는 타면(외주면)에는 스마트 기기(300)가 안착되는 장착위치(111)가 형성될 수 있다.
장착위치(111)는 홈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스마트 기기(300)가 장착본체(110)의 외주면 상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기술적 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장착본체(110)에는 무선 충전 모듈(도면 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고, 장착위치(111)에 스마트 기기(300)가 안착되면 스마트 기기(300)가 충전될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은 전원공급부(6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은 장착본체(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스마트 기기(300)와 통신이 가능하다. 이로 인하여 스마트 기기(300)에 설치된 앱을 통하여 충전 모드 on/off의 제어가 가능하다.
걸침부(130)는 장착본체(110)에 연결되는 것으로, 피검자의 머리 상에 접촉될 수 있다. 걸침부(130)는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며,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피검자의 머리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걸침부(130)와 후면부는 셔틀모양 등의 돌림장치를 통해 머리 장착 시, 피검자의 머리에 밀착할 수 있게 도와줄 수 있다. 후면부는 환자의 후두부에 밀착할 수 있게 인체공학적인 각도를 적용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걸침부(130)의 형태는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스토퍼부(150)는 장착부(1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장착본체(110) 상에서 이동 또는 탄성에 의해 스마트 기기(300)를 고정함으로써, 장착본체(110)에 안착된 스마트 기기(300)의 이동,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스토퍼본체(151)는 장착본체(110)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모터 등의 구동부(도면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 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스토퍼본체(151)는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탄성에 의해서 스마트 기기(300)를 고정할 수도 있다. 안착센서(153)는 장착본체(1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장착위치(111)에 안착되는 스마트 기기(300)의 안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장착위치(111) 상에 스마트 기기(300)가 안착되었음을 안착센서(153)가 감지하면, 안착센서(153)는 제2 제어부(400)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고, 제2 제어부(400)는 이동식으로 구성된 스토퍼본체(151)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여 스토퍼본체(151)를 장착본체(110) 상에서 이동하게 한다.
이와 같이, 스토퍼부(150)를 이용하여 스마트 기기(300)가 장착본체(110)로부터 이탈,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장착본체(110)에 스마트 기기(300)가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센서(153)는 장착본체(110)의 장착위치(111) 상에 스마트 기기(300)가 안착되는 것을 감지하는 기술적 사상 안에서 거리 센서, 접촉 센서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스토퍼본체(151)의 이동 방식은 제2 제어부(400)를 이용한 자동 제어뿐만 아니라 검사자의 수동 이동, 별도의 스위치를 이용한 이동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망막촬영부(200)는 피검자의 안구(망막)를 마주보는 장착부(100), 구체적으로 장착본체(110)의 일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피검자의 망막과 안저를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간섭단층영상(Optical Coherence Tomograph, OCT)을 적용하여 망막단층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광간섭단층촬영은 근적외선(IR)을 이용하여 망막의 단층검사(3차원 영상해석)를 시행하며, 각각의 망막층에 따른 이상 소견을 발견하고 진단할 수 있다.
이때, 망막촬영부(200)는 망막과 안저 외에 안구(홍체포함-홍체의 색상, 노출 정도)를 촬영할 수도 있다. 망막촬영부(200)는 피검자의 망막을 포함하는 안구 및 홍체, 구체적으로 좌안, 우안에 대응되도록 한 쌍이 구비될 수 있으며, 피검자의 좌안, 우안을 동시에 촬영할 수 있다.
망막촬영부(200)는 사진 촬영과 녹화 촬영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검사자의 조작에 의해 피검자의 '망막' 및/또는 '안저'를 사진 또는 영상으로 기록할 수 있다. 후술하는 '입력 안구 영상(S1)'은 망막촬영부(200)에 의해 촬영되어 획득된 망막 및/또는 안저 사진 또는 영상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망막촬영부(200)에는 양 안 부분에 각각 제1 카메라부(210), 제2 카메라부(220) 및 제3 카메라부(230)가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부들(210, 220, 230)을 통해 입력 안구 영상이 획득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들(210, 220, 230)은 각각 촬영 용도(예를 들어, 안구전체, 홍채, 망막, 안저 등)에 따른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부들(210, 220, 230)은 촬영 용도에 따라 안저를 포함한 안구 전체 및/또는 안구나 망막의 특정 부분을 촬영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부들(210, 220, 230)이 한꺼번에 상, 하, 좌, 우로 이동하거나, 제1 내지 제3 카메라부(210, 220, 230) 각각이 카메라부들(210, 220, 230) 사이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스마트 기기의 제1 제어부와 장착부(100)의 제2 제어부(400)는 망막촬영부(200)의 카메라부들(210, 220, 23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망막촬영부(200)의 양 안 부분에 각각 3개의 카메라부를 도시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카메라부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피검자의 망막과 안저를 촬영하여 알츠하이머병 진단 및 예측을 위한 '망막 두께'와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등을 검출(식별)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알츠하이머병 진단 및 예측에 대한 영상 분석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제1 외부촬영부(250)는 장착부(100), 특히 장착본체(110)에 설치되어 피검자 시야로 보는 외부 환경의 배경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제1 외부촬영부(250)는 장착본체(110)의 상하좌우의 사방에 설치되어 전방의 상기 외부 환경을 촬영할 수 있다. 제1 외부촬영부(250)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통해, 피검자가 본 실시예의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를 착용하더라도 후술하는 제2 표시부(410)에 외부 환경 영상이 그대로 투영되게 하여 어라운드 뷰 형식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에 따르면, 알츠하이머병 진단 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제1 외부촬영부(250)를 통한 배경 영상을 이용하여 검사 수행 중 또는 진단 데이터 제공 시 피검자에 현실감 및 안정감 있는 검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기기(300)는 제1 제어부(340), 표시부(310), 제1 저장부(320) 및 제1 센서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기기(300)는 장착부(100)에 결합 가능한 것으로 전면에 표시부(310)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기기(300)는 장착본체(110)에 결합되며, 장착본체(110)에 형성되는 장착위치(111)에 안착될 수 있다. 스마트 기기(300)는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소형 PC 등 디스플레이 기능이 가능한 다양한 전자 기기가 될 수 있다.
스마트 기기(300)의 제1 제어부(340)를 통해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스마트 기기(300)에는 앱이 설치되어 제1 저장부(310)에 저장될 수 있고, 해당 앱은 제1 제어부(340)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제1 제어부(340)는 스마트 기기(300)의 앱 실행을 제어하고, 상기 앱 실행을 통해 생성되는 전기적 신호를 장착본체(110)로 전달하여 망막촬영부(200)로 하여금 피검자의 망막을 촬영하도록 망막촬영부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스마트 기기(300)는 통신부(미도시) 및/또는 제1 제어부(340)를 이용하여 망막촬영부(200)로부터 피검자의 입력 안구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1 저장부(320) 및/또는 후술하는 제2 저장부(420)에 저장할 수 있다. 스마트 기기(300)에는 제1 저장부(320) 이외의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저장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제1 표시부(310)에는 망막촬영부(200)로부터 수신한 피검자의 좌안, 우안에 관한 영상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 기기(300)는 제1 제어부(340)의 동작을 통해 망막촬영부(200)가 촬영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달받을 수 있고, 이를 제1 표시부(31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 표시부(310)에는 피검자의 좌안, 우안에 대응되는 위치에 피검자의 좌안, 우안을 촬영한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본 개시의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는 스마트 기기(300)의 제1 제어부(340) 이외에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의 제어부(미도시)와 별도의 외부 서버의 제어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제어될 수도 있다. 스마트 기기(300)와 별도로 구성된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의 제어부 및 외부 서버의 제어부는 모두 구비될 수도 있고,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만 구비될 수도 있다.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본 명세서의 설명들 중에서 스마트 기기의 제어부에 의해서 수행되는 동작이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에 구비된 제어부 또는 외부 서버의 제어부를 통해서 수행된다. 나아가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본 명세서의 설명들 중에서 스마트 기기에 의해서 수행되는 동작에 필요한 구성들은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에 추가적으로 설치된다.
본 개시에 따른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는 장착본체(110) 상에 후술하는 제2 제어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1 표시부(310)는 터치(touch)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표시부(310)에 접촉하는 피검자의 신체(예를 들어, 손가락) 동작에 의하여 제1 표시부(310)에 표시되는 영상의 확대, 축소가 가능할 수 있다. 제1 표시부(310)는 피검자의 좌안이 위치하는 제1 영역과 우안이 위치하는 제2 영역을 분리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스마트 기기(300)에 설치되는 앱을 통하여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독립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 표시부(310)를 통해 상술한 안구(망막) 영상뿐만 아니라, 검사자(또는 피검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다양한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의 모드가 제시될 수 있고, 후술하는'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로 식별(도출)된 데이터' 등의 검출(또는 진단) 결과가 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장소의 제한 없이 용이한 알츠하이머병 진단 및 예측을 위한 '망막 두께'와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등을 검출( 또는 식별)하고 이에 따른 알츠하이머병의 진단 및 예측을 위한 '망막 두께'와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등을 검출(또는 식별)한 결과의 제공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10)가 피검자에 착용된 상태에서의 제1 표시부(310)의 일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 제1 표시부(310)에는 피검자의 입력 안구(망막) 영상(Ug) 및 후술하는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로 식별(도출)된 데이터'로 알츠하이머병 진단 및 예측을 위한 '망막 두께'와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등을 검출(또는 식별)과 관련한 다양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장착본체(110)에는 제3 표시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스마트 기기와 결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장착본체의 제3 표시부를 통해 제1 표시부의 모든 기능과 작동 방식을 그대로 구현할 수 있다.
스마트 기기(300)의 제1 센서부(350)를 통해 피검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센서부(350)는 중력 센서, 각속도 센서 및 자이로스코프 센서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부(350)를 이용하여 피검자의 상태 등을 더욱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 센서부(350)가 포함하는 센서의 종류는 전술한 예시에 한정되지 않으며, 안구(망막) 영상을 촬영하여 임상적인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는 후술하는 제2 센서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제어부(400)는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의 장착부(1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스마트 기기(300)의 제1 제어부(340)와 같이, 망막촬영부(200)로부터 영상 정보를 전달 받고 상기 영상 정보를 스마트 기기(300)로 전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2 제어부(400)의 동작 없이 제1 제어부(340)만을 이용하여, 망막촬영부(200)에 의해 획득된 입력 안구(망막) 영상을 스마트 기기(300)로 전달할 수도 있다.
제2 제어부(400)에는 전술한 망막촬영부(200), 스토퍼부(150)와 후술하는 센서부(5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해당 구성(200, 150, 500)들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제어부(400)는 제2 표시부(410) 및 제2 저장부(4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저장부(420)는 제2 제어부(400)를 통해 장착부(100)나 스마트 기기(300)를 이용하여 처리되는 데이터를 일시적 및/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제2 저장부(420)는 장착부(100)에 구비된 저장부로서, 전술한 제1 저장부(320)의 백업 역할을 하는 보조 저장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가령, 전술한 미리 정해진 저장 용량을 가지는 제1 저장부(320)에 피검자의 입력 안구(망막) 영상 데이터가 저장되고, 상기 저장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제2 저장부(420)에 상기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장착부(100)에는 제2 저장부(420) 이외의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저장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제2 표시부(410)는 장착본체(110)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알츠하이머병 진단 및 예측을 위한 '망막 두께'와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등을 검출(또는 식별)과 관련한 다양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2 표시부(410)는 피검자의 안구와 마주보도록 배치된 장착본체(110)의 내주면에 형성된 표시장치로서, 피검자에게 필요한 정보 또는 영상을 제공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망막촬영부(200)가 형성된 위치를 제외한 모든 영역을 제2 표시부(410)로 구성한 풀 스크린(full screen)(풀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제2 표시부(410)를 구현하였으며, 이러한 형태에서는 피검자에게 넓은 시야의 영상을 제공하고 효과적이고 안정적인 검사가 수행될 수 있다.
일예로, 제2 표시부(410) 상에, 알츠하이머병 진단 및 예측을 위한 '망막 두께'와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등의 검출(또는 식별)을 시작하기 전에는 잔잔한 자연 풍경과 같은 배경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어 피검자의 안정을 도모할 수 있고, 검사가 시작되는 순간에는 검은색 배경이 디스플레이 되어 암막 효과를 줄 수 있다. 이후, 검사 시작 후에는 다양한 알츠하이머병 진단 및 예측을 위한 '망막 두께'와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등을 검출(또는 식별)하기 위한 모드에 따라 설정된 다양한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제2 표시부(410)에는 알츠하이머병 진단 및 예측을 위한 '망막 두께'와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등을 검출(또는 식별)과 관련한 다양한 안내 문자들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안내 문자들은 어떤 모드의 검사가 수행 중인지, 선택된 모드의 검사 수행 후 경과된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표시부(410)의 위치, 형태 및 크기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검사 모드 별 양안의 입력 안구(망막)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제2 표시부(410)는 풀 스크린 형태로, 일체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풀 화면이 아닐 수도 있고, 좌안 및 우안 각각에 분리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제2 센서부(500)는 장착부(100)에 설치되는 것으로, 피검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 센서부(500)는 한 쌍의 망막촬영부(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나, 피검자의 상태를 명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제2 센서부(500)는 중력 센서, 각속도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센서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안구(망막) 영상을 촬영하여 임상적인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스마트 기기(300)에 제1 센서부(350)가 구비된 경우 제2 센서부(500)는 생략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10)는 통신망(40)을 통해 제2 외부촬영부(700), 외부기기(E)와도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제2 외부촬영부(700)는 피검자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장착부(100)를 착용하고 있는 피검자를 촬영할 수 있다. 제2 외부촬영부(700)는 피검자의 외부 상태에 관한 정보, 예를 들어, 앉아 있는 상황, 서있는 상황, 고개 회전 상황 등에 관한 영상 정보를 제어부(340, 40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340, 400)는 외부기기(E)나 외부 서버와도 통신이 가능하여 망막촬영부(200)를 통해 획득된 피검자의 입력 안구(망막) 영상을 외부기기(E)나, 후술할 진단 서버나 병원 서버 등의 외부 서버로도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에 의하면, 검사 수행 시 장착본체(110)에 설치되는 망막촬영부(200)로 안구(망막)영상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장착본체(110)에 결합되는 스마트 기기(300)의 표시부(310)를 통해 피검자에게 제공하여 장소에 제한 등의 환경의 제약 없이 알츠하이머병 진단 및 예측을 위한 '망막 두께'와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등을 검출(또는 식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다양한 용도에 맞게 안구(망막)를 촬영하는 망막촬영부(200)를 이용하여 알츠하이머병 진단 및 예측을 위한 '망막 두께'와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등을 검출(또는 식별)을 위한 정밀한 안구(망막)영상 획득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제 2표시부를 통하여 다양한 영상을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피검자에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검사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알츠하이머병 검사의 정확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스마트 기기(300)의 표시부(310)에는 피검자를 대상으로 수행되는 복수의 알츠하이머병 진단 및 예측을 위한 '망막 두께'와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등을 검출(식별)하는 검사 모드가 제시될 수 있다.
스마트 기기(300)에 설치된 앱을 통해 복수의 검사 모드 별 검사가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검사자 및/또는 피검자)에 의해 제1 표시부(310) 상에 제시된 검사 모드가 선택되고, 망막촬영부(200) 및/또는 제2 표시부(410) 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각각의 검사 모드 별로 해당 검사들이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한 검사 모드들은 스마트 기기의 앱이나 제1 표시부(310)가 아닌 외부 서버나 별도의 기기에 의해 제시 및 수행될 수 있고, 전술한 검사 모드는 망막촬영부(200) 및/또는 제2 표시부(410)가 아닌 별도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시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를 통해서 알츠하이머병 진단 및 예측을 위한 '망막 두께'와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등을 검출(또는 식별)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망막 내의 '아밀로이드-베타 펩티드'를 염색하기 위해 환자에게 '형광마커'를 투여한 뒤에 환자의 망막을 본 발명의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로 영상화하여 염색된 '아밀로이드-베타 펩티드'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출(또는 식별)을 통한 알츠하이머병의 조기 진단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는 망막촬영부가 아밀로이드-베타 펩티드 염색용 형광마커를 투여한 환자의 망막을 촬영하며, 이때 촬영 영상은 광간섭단층영상(Optical Coherence Tomograph, OCT)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의 망막촬영부는 형광 현미경, 수은 및 제논아크 램프, CCD 카메라, AOTF(음향 광학 변조 필터)-기반 스펙트럼 영상 획득 기구 및 사후 분석 영상화 소프트웨어의 사용이 통합된다. 염색된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의 망막 영상을 제공하는 상기의 도구가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에 통합되어, 미가공(raw)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스펙트럼 특징의 가시적인 모조색상 표현을 제공하고, 이는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의 크기 및 위치를 나타낸다.
망막을 촬영한 영상은 사용자의 망막 내부나 뇌 내부에 있는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아밀로이드' 또는 '아밀로이드-베타 펩티드' 기타 병리학적이나 해부학적 특징들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는 '스펙트럼 특징(signature)'으로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나 '아밀로이드-베타 펩티드'를 감지하고, MIP/MinIP(maximum and minimum intensity projection)을 실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는 특히 다수의 망막층들에서 '드루젠(drusen)'을 함유한 '아밀로이드' 와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를 확인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에서 망막 영상을 촬영하는 과정에서, 커큐민, 커큐민 유도체, 치오플라빈 에스(Thioflavin S)와 그 유도체, 치오플라빈 티와 그 유도체, 콩고레드(Congo Red)와 그 유도체, 메톡시-X04(methoxy-X04), PiB(Pittsburgh Compound B), DDNP, 크리사민-지(Chrysamine-G) 및 이들의 화합물을 포함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조영제를 형광마커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아밀로이드에 결합하는 다양한 물질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는 망막층 안에 잔류하는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영상, '아밀로이드' 영상이나 '아밀로이드-베타 펩티드' 영상을 생성한다. 또한, 특수한 특징(signature)으로서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영상, '아밀로이드'영상이나 '아밀로이드-베타 펩티드'영상을 생성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에서 촬영된 망막 영상을 분석하기 위한 컴퓨터시스템을 포함한다.
컴퓨터시스템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에 통합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로 분리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컴퓨터시스템의 여러 기능이 분리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별도의 장치로는 소형컴퓨터, 매립형 컴퓨터 또는 표준 연산시스템을 이용해 처리용량이 큰 태블릿 등일 수 있다. 이때 태블릿의 경우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에 결합되는 태블릿일 수도 있다.
나아가 별도의 장치는 통신망으로 연결된 서버 등일 수 있으며, 중앙 서버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을 적용할 수도 있고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의 주변 또는 장치 자체에 데이터를 처리하는 에지 컴퓨팅(edge computing)을 적용할 수도 있다.
도 5는 클라우드 컴퓨팅과 에지 컴퓨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중앙 서버(1100)에서 모든 데이터 처리가 수행되고 에지 장치(1200)와 기기(1300)는 중앙 서버(1100)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중앙 서버(1100)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만을 수행한다. 에지 컴퓨팅은 대부분의 데이터 처리를 에지 장치(1200)에서 수행하고, 중앙 서버(1100)에 저장된 정보만을 이용하거나 특수한 일부 데이터 처리에만 클라우드 서버(1100)에서 수행된다. 도시된 그림에서 기기(13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에서 망막촬영부를 포함하는 장치 구성을 의미하고, 에지 장치(1200)는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제어부를 통칭한다. 예를 들면, 에지 장치(12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에 자체적으로 구비된 제어부일 수도 있고 장치에 결합된 스마트 기기일 수도 있으며, 장치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장치 주변의 소형컴퓨터, 매립형 컴퓨터 또는 태블릿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는 다수의 이산 망막층들 내부의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를 확인하는데 이용되고, 이산 망막층의 여러 위치의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의 크기와 위치를 평가한다.
특정 파장이나 특징의 확인은 망막 내부의 '아밀로이드'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영상추출법과 다른 영상처리법을 적용하여 '아밀로이드'를 고립시키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를 통해 망막 내부의 침적물의 위치를 결정한다.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로 식별(도출)된 데이터'는 망막 영상에 좀 더 익숙해지도록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와 결합된 스마트기기의 디스플레이 또는 다른 기기의 컴퓨터시스템과 연결된 디스플레이에 제공된다. 또는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의 전면부에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식별된 상기 데이터를 기존의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고, 좀 더 혹독한 질병상태를 나타내는 플라크 부하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때, 통신망으로 연결된 외부의 서버에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와의 비교 과정에서 인공지능을 적용할 수 있다.
망막 내부와 뇌 내부의 '아밀로이드'나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를 보이게 하는 특정한 특징을 이용해 본 발명의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를 실행하는데, 이때 조영제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로 식별(도출)된 데이터' 세트를 구한 다음, 데이터를 분석하여 크기를 포함하는 망막층 내부 '아밀로이드'의 특정한 특징과 위치 특성을 확인한다. 이때 '아밀로이드'의 특정한 특징은 '망막 두께'도 포함한다.
'아밀로이드'에 해당하는 이런 스펙트럼 성분들이 종래의 망막영상모델을 포함한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로 식별(도출)된 데이터' 세트에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 된다. 한편, 최소임계법을 적응한 스펙트럼 윈도우 기법과 함께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로 식별(도출)된 데이터'에 적용하여, 이전에 보이지 않던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로 식별(도출)된 데이터' 세트의 특징들을 보이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이 기술을 '아밀로이드'만이 아니라, 다른 망막 병증이나 해부학적 특징에도 적용할 수 있는데, 이때 조영제를 사용하거나 또는 사용하지 않고 형광특징이나 반사율을 분석할 수 있다.
조영제 촬영은 기존의 광학촬영, 멀티/하이퍼스펙트럼/자가형광을 연계한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에 특화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스펙트로미터, 형광현미경, 실체현미경, 수은아크등, 가변파장 광원, 제논아크등, LED, 가변광원이나 파장변환광원, 조율형 광원, 스웹트 광원, CCD게이트 카메라, 컬러 디지털카메라, 음향-광학 가변 필터기반 스펙트럴 영상획득 시스템, 적응형 광학계, 촬영 소프트웨어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요소를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에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멀티스펙트럴 촬영, 하이퍼스펙트럴 촬영, 자가형광촬영, 망막혈관조영, 공초점 망막촬영기, 스펙트로미터, 형광현미경, 입체현미경, 수은아크등, 가변파장광원, 제논아크등, LED, CCD/CMOS 게이트 카메라, 컬러 디지털카메라, 음향-광학 가변 필터기반 스펙트럴 영상획득 시스템, 하나 이상의 공초점 촬영기, 하나 이상의 스캔 레이저 진단기, 적응형 광학계, 촬영 소프트웨어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다수의 모델에 본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를 적용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를 사용하여 특정 망막층 내부에서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와 '아밀로이드 함유 드루젠'을 확인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 방법은 먼저, '망막색소상피' 위에 있는 '아밀로이드-베타 펩티드'를 확인하여 '드루젠'과 구분(S110)하고,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를 사용해 환자의 망막을 촬영해서 '아밀로이드-베타 펩티드'의 영상을 생성(S120)한다. 그리고 (조영제를 사용하거나 않고) '아밀로이드-베타 펩티드'의 영상을 검사(S130)하고, 환자의 망막 내부의 '아밀로이드-베타 펩티드'의 증감을 정량화(S140)하는 과정과 '망막색소상피' 위의 특정 망막층 내부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의 식별을 기초로 환자의 망막 내부 '아밀로이드-베타 펩티드'의 레벨을 예측(S150)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S150 단계에서 특정 망막 층 내부의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의 위치를 평가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을 적용하여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를 통해 환자의 망막을 촬영하여 환자의 망막 內의 '아밀로이드'를 감지한다. S150 단계에서는 '망막색소상피' 위의 망막층 내의 '플라크'의 위치를 파악하여, '망막색소상피' 내부나 밑에 잔류하는 '드루젠'과 구분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를 사용하여 조영제와 데이터베이스로 특정 망막층 내부의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와 아밀로이드 함유 '드루젠'을 식별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S210 단계에서 '아밀로이드-베타 펩티드'를 투여/착색하고, S220 단계에서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로 도출된 데이터 세트의 '아밀로이드'의 스펙트럼 특징과 망막층 구간을 확인하거나 기타 다른 모델을 이용해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으로 환자의 망막을 촬영한다.
S230 단계에서는 착색된 '아밀로이드-베타 펩티드'의 영상을 분석하고, S240 단계에서는 환자의 망막 SOQN의 착색된 '아밀로이드-베타 펩티드'의 증감을 정량화하며, S250 단계에서는 환자의 망막 내부의 착색된 '아밀로이드-베타 펩티드'의 레벨을 기초로 예측 하여 망막층 내부 '플라크'들을 확인한다.
본 발명의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로 도출된 데이터세트를 컴퓨터 시스템 또는 진단 서버에 포함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다른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로 도출된 데이터세트와 비교한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와의 비교는 인공지능 시스템을 통해서 수행될 수 있다.
S250 단계에서 망막층 내부 플라크 '위치'를 평가한다. '아밀로이드'의 스펙트럼 특징은 스펙트럴 분석 및 영상처리로 구해지고, '아밀로이드'는 조영제로 생성되어 분석된다.
조영제는 커큐민, 커큐민 유도체, 치오플라빈 에스(Thioflavin S)와 그 유도체, 치오플라빈 티와 그 유도체, 콩고레드(Congo Red)와 그 유도체, 메톡시-X04(methoxy-X04), PiB(Pittsburgh Compound B), DDNP, 크리사민-지(Chrysamine-G) 및 이들의 화합물을 포함한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로 도출된 데이터세트는 데이터베이스내의 다른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로 도출된 데이터세트와 비교되고, 관련 질병상태와 정상상태는 다른 질병상태와 비교한 망막 내부의 위치와 데이터베이스의 비교를 기초로 결정된다. 이러한 과정은 인공지능 시스템을 통해서 수행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츠하이머 진단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알츠하이머 진단 시스템(2000)은 검사 장치(10), 진단 서버(20) 및 병원 서버(30)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병원 서버(30)는 생략될 수도 있다. 검사 장치(10), 진단 서버(20) 및 병원 서버(30)는 통신망(40)으로 연결되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검사 장치(10)는 앞서 살펴본 본 발명의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를 적용하며, 장소에 제한 등의 환경의 제약 없이 알츠하이머병 진단 및 예측을 위한 '망막 두께'와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등을 검출(또는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내측 망막 위쪽 신경 섬유층 구조'와 '성분 변화'를 검사할 수도 있다.
진단 서버(20)는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환자의 망막을 본 발명의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로 영상화하여 염색된 '아밀로이드-베타 펩티드'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출(또는 식별)을 통한 알츠하이머병의 조기 진단 방법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진단 서버(20)는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출(또는 식별) 과정과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로 도출된 데이터세트는 데이터베이스내의 다른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로 도출된 데이터세트와 비교 과정 등이 진단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인공지능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진단 서버(20)는 컴퓨터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클라우드 컴퓨팅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고 에지 컴퓨팅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다.
병원 서버(30)는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10)에서 생성된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로 식별(도출)된 데이터' 및 진단 서버(20)에 의해 생성된 진단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로 식별(도출)된 데이터' 및 진단 데이터 생성에 필요한 기준 피검자들의 안구(망막) 영상 및 기준 피검자 정보 등을 진단 서버(20)로 송신할 수도 있다.
진단 서버(20) 및 병원 서버(30) 각각은 통신부(21, 31), 제어부(22, 32) 및 저장부(23, 33)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 31)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 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장치,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통신부(21, 31)는 통신망(4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제어부(22, 32)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2, 32)는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저장부(23, 33)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제어부(22, 32)를 구비하는 각 서버(20, 3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일예로,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진단 서버(20)의 저장부(23), 병원 서버(30)의 저장부(33)는 각 저장부(23, 33)를 구비하는 각 서버(20, 3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저장부(23, 33)는 피검자의 알츠하이머병 진단 및 예측을 위한 '망막 두께'와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식별을 위해 필요한 복수의 기준 피검자의 망막 영상, 기준 피검자들의 기준 피검자 정보, 테스트 피검자의 입력 망막 영상, 테스트 피검자의 피검자 정보 및 상기 데이터들의 입출력을 통해 학습되는 학습 모델 등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23, 33)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망(40)은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망, 예를 들어 인터넷, 인트라넷 및 엑스트라넷, 셀룰러 시스템, 예를 들어 3G 이동통신, GSM, WCDMA, CDMA 2000, LTE, 5G 이동통신, LAN, WA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및 지그비(Zigbee), 울트라와이드밴드(Ultra Wide Band, UWB) 및 이들의 조합을 비롯한 임의의 적절한 통신망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 서버의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진단 서버(20)는 학습 모델(MM)을 이용하여 피검자의 검사 모드 별 안구(망막) 영상인 입력 안구(망막) 영상(S1) 및 피검자 정보(S2)를 기초로 상기 피검자의 알츠하이머병 진단 데이터(D)를 생성할 수 있다.
진단 서버(20)의 제어부(22)는 학습 모델(MM)을 복수의 기준 피검자들의 '기준 데이터'로 학습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부(22)는 외부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상기 '기준 데이터'를 기초로 학습된 학습 모델(MM)을 이용하여 알츠하이머병 진단 데이터(D)를 생성할 수도 있다.
학습 모델(MM)에 테스트 피검자(이하, '피검자'로 지칭한다.)의 '테스트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고, 상기 '테스트 데이터'는 피검자의 입력 안구(망막) 영상(S1) 및 피검자에 관한 정보인 피검자 정보(S2)를 포함할 수 있다. 진단 서버(20)에 의해 학습 모델(MM)을 이용하여 '테스트 데이터' 및 '기준 데이터' 간의 비교 동작이 수행됨으로써 안진 진단 데이터(D)가 생성될 수 있다.
학습 모델(MM)은 피검자 정보(S2)를 입력 받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피검자 정보(S2)는 다음의 피검자의 신체 상태, 심리적 상태 및 생활 습관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기준 피검자 정보'에 대하여도 후술하는 피검자 정보(S2)와 동일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체 상태에 대한 정보는 피검자의 성별, 연령, 신체사이즈, 동반 질환, 기능적 장애(일 예로, 시력문제로 인한 활동 제한 여부, 운동능력에 의한 활동 제한에 대한 정보 및 일상 활동에 지장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심리적 상태에 대한 정보는 피검자에게 우울증이 있는지 여부, 스트레스 정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생활 습관에 대한 정보는 피검자의 흡연 여부, 음주 여부, 수면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피검자 정보는 전술한 예시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피검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준 데이터'는 학습 모델(MM)을 학습시키는 소스로 사용되는 데이터로서, 복수의 기준 피검자들의 망막 검사 모드 별 안구(망막) 영상 및 상기 복수의 기준 피검자들의 기준 피검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준 데이터'는 테스트 피검자의 알츠하이머병(AD) 진단 및 예측을 위한 '망막 두께'와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등을 검출(식별) 위하여 테스트 데이터와 비교되는 학습 모델(MM) 상의 데이터베이스로서, 학습 모델(MM)은 진단 서버(20)의 저장부(23)에 저장될 수도 있고, 진단 서버(20)의 외부 서버(미도시)에 내장될 수도 있다.
학습 모델(MM)은 일예로, 컨볼루션 계층(Convolution Layer) 및 풀링 계층(Pooling Layer)을 포함하는 인공 신경망을 이용할 수 있다.
컨볼루션 계층은 입력 영상에 대하여 필터 뱅크를 적용하여 일정한 특징값을 추출하는 계층이고, 풀링 계층(Max-Pooling Layer 또는 Subsampling Layer)은 입력 영상에 대하여 지역적으로 최댓값을 추출하여 2D 이미지로 맵핑하는 계층일 수 있다. 컨볼루션 계층과 풀링 계층은 개수는 구현하는 방식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학습 모델(MM)이 이용하는 인공 신경망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안구(망막) 영상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다양한 인공 신경망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인공 신경망'은, 인공 지능의 학습 방법으로서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 또는 딥러닝(Deep Learning) 기법에 의해 학습된 것 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검사 장치 100: 장착부
110: 장착본체 130: 걸침부
200: 망막촬영부 210, 220, 230: 카메라부
250: 제1 외부촬영부 300: 스마트 기기
310: 제1 표시부 320: 제1 저장부
340: 제1 제어부 350: 제1 센서부
400: 제2 제어부 410: 제2 표시부
420: 제2 저장부 500: 제2 센서부
600: 전원공급부 20: 진단 서버
30: 병원 서버 S1: 입력 안구(망막) 영상
S2: 피검자 정보 MM: 학습 모델
D: 알츠하이머병 진단 데이터

Claims (10)

  1. 피검자의 머리에 착용가능하며, 피검자의 안구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장착본체와 장착본체에 연결되어 피검자의 머리 상에 접촉하는 걸침부를 포함하는 장착부; 및
    피검자의 안구를 마주보는 상기 장착본체의 일면에 설치되는 망막촬영부를 포함하고,
    상기 망막촬영부는 '망막 두께'와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를 검출할 수 있는 광간섭단층영상(Optical Coherence Tomograph, OCT)을 촬영할 수 있으며,
    상기 장착부는 상기 걸침부를 머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피검자의 양안이 장착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장착본체만을 움직일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검사 중간에 검자가 피검자의 눈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에 연결되며 표시부가 구비된 스마트 기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에 설치된 제어부가 상기 망막촬영부로부터 영상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스마트 기기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망막촬영부로부터 영상 정보를 분석하는 컴퓨터시스템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시스템이 소형컴퓨터, 매립형 컴퓨터 또는 태블릿 컴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망막촬영부로부터 영상 정보를 분석하는 컴퓨터시스템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시스템이 에지 컴퓨팅 방식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착본체에서 피검자의 안구와 마주보는 내주면에 배치되어 피검자가 볼 수 있도록 정보와 영상을 표시하는 내측 표시부 및 상기 장착본체의 전면에 설치되어 전방의 외부환경을 촬영하는 외부 촬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
  6. 피검자의 머리에 착용하기 위한 걸침부와 상기 걸침부에 연결되어 피검자의 안구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장착본체 및 상기 장착본체의 내측 일면에 설치되어 피검자의'망막 두께'와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를 검출할 수 있는 광간섭단층영상(Optical Coherence Tomograph, OCT)을 촬영할 수 있는 망막촬영부를 포함하되, 상기 걸침부를 머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피검자의 양안이 장착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장착본체만을 움직일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검사 중간에 검자가 피검자의 눈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 및
    상기 피검자의 망막 영상을 기초로 상기 피검자의 알츠하이머병 진단 데이터를 생성하는 진단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진단 서버는, 기준 데이터를 기초로 학습되는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알츠하이머병 진단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츠하이머병 진단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학습 모델에 상기 피검자의 망막 영상 및 상기 피검자에 관한 정보인 피검자 정보를 포함하는 테스트 데이터가 입력되고,
    상기 진단 서버는, 상기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테스트 데이터 및 상기 기준 데이터 간의 비교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알츠하이머병 진단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츠하이머병 진단 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망막촬영부로부터 영상 정보를 분석하는 컴퓨터시스템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시스템은 상기 진단 서버와 에지 컴퓨팅 방식으로 구조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츠하이머병 진단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로 도출된 데이터세트를 상기 컴퓨터시스템 또는 상기 진단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다른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로 도출된 데이터세트와 비교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알츠하이머병 진단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츠하이머병 진단 시스템.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에서 피검자의 안구와 마주보는 내주면에 배치되어 피검자가 볼 수 있도록 정보와 영상을 표시하는 내측 표시부 및 검사 장치의 전면에 설치되어 전방의 외부환경을 촬영하는 외부 촬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츠하이머병 진단 시스템.
KR1020210121754A 2021-03-15 2021-09-13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알츠하이머병 진단 시스템 KR102362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754A KR102362559B1 (ko) 2021-03-15 2021-09-13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알츠하이머병 진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3604A KR102322531B1 (ko) 2021-03-15 2021-03-15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알츠하이머병 진단 시스템
KR1020210121754A KR102362559B1 (ko) 2021-03-15 2021-09-13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알츠하이머병 진단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3604A Division KR102322531B1 (ko) 2021-03-15 2021-03-15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알츠하이머병 진단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2559B1 true KR102362559B1 (ko) 2022-02-14

Family

ID=7852152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3604A KR102322531B1 (ko) 2021-03-15 2021-03-15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알츠하이머병 진단 시스템
KR1020210121754A KR102362559B1 (ko) 2021-03-15 2021-09-13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알츠하이머병 진단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3604A KR102322531B1 (ko) 2021-03-15 2021-03-15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알츠하이머병 진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225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2951A (ko) 2021-12-30 2023-07-0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저 영상 학습을 이용한 치매 예측 선별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6353A (ko) * 2010-10-25 2014-10-02 스티븐 버두너 알츠하이머 병, 외상성 뇌손상, 시력감퇴, 신경병 및 안질환의 진단과 예측을 위해 망막내 아밀로이드를 감지하는 장치와 방법
KR20180089710A (ko) * 2017-02-01 2018-08-09 (주)루티헬스 휴대용 망막 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망막 촬영 방법
KR102051666B1 (ko) 2017-12-07 2019-12-04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아밀로이드 페트(pet) 영상을 이용한 알츠하이머 치매의 병기 측정 방법 및 장치
JP2021504075A (ja) * 2017-11-27 2021-02-15 レティスペック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Retispec Inc. アルツハイマー病の病状のためのハイパースペクトル画像誘導ラマン眼球撮像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6353A (ko) * 2010-10-25 2014-10-02 스티븐 버두너 알츠하이머 병, 외상성 뇌손상, 시력감퇴, 신경병 및 안질환의 진단과 예측을 위해 망막내 아밀로이드를 감지하는 장치와 방법
KR20180089710A (ko) * 2017-02-01 2018-08-09 (주)루티헬스 휴대용 망막 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망막 촬영 방법
JP2021504075A (ja) * 2017-11-27 2021-02-15 レティスペック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Retispec Inc. アルツハイマー病の病状のためのハイパースペクトル画像誘導ラマン眼球撮像装置
KR102051666B1 (ko) 2017-12-07 2019-12-04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아밀로이드 페트(pet) 영상을 이용한 알츠하이머 치매의 병기 측정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2531B1 (ko) 202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hompson et al. A deep learning algorithm to quantify neuroretinal rim loss from optic disc photographs
EP3020326B1 (en) Simultaneous capture of filtered images of the eye
US10117579B2 (en) Simultaneous capture of filtered images of the eye
US20220400943A1 (en) Machine learning methods for creating structure-derived visual field priors
US20200375521A1 (en) Method and system for quantifying biomarker of a tissue
Villarruel et al. Anterior lamina cribrosa surface position in idiopathic intracranial hypertension and glaucoma
Nishi et al. Detection of early visual impairment in patients with epiretinal membrane
KR102362559B1 (ko) 착용형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검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알츠하이머병 진단 시스템
Dogan et al. Objectifying the conjunctival provocation test: photography-based rating and digital analysis
US9566000B2 (en) Method for detecting amyloid beta plaques and drusen
Moscaritolo et al. An image based auto-focusing algorithm fordigital fundus photography
Attiku et al. Current status and future possibilities of retinal imaging in diabetic retinopathy care applicable to low-and medium-income countries
KR20140064727A (ko) Oct 망막층의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를 식별하는 장치와 방법
Silbert et al. Comparison of the iScreen and the MTI photoscreeners for the detection of amblyopia risk factors in children
Powell et al. Inter-examiner reliability in meibomian gland dysfunction assessment
Waisbourd et al. Evaluation of nonmydriatic hand-held optic disc photography grading in the Philadelphia Glaucoma Detection and Treatment Project
KR101369565B1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동공 측정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동공 측정 방법
Filgueira et al. Discrimination between surgical and nonsurgical nuclear cataracts based on ROC analysis
KR102418399B1 (ko) 인공지능 기반 치매 조기 진단 플랫폼
Tang et al. Imaging amyloid and tau in the retina: current research and future directions
Di Cecilia et al. Hyperspectral imaging of the human iris
Van Stavern Current opinion neurology: visual pathway biomarkers in Alzheimer's disease
US20220346644A1 (en) Color Checker Device for a Fundus Imaging Camera
Ramesh et al. Evaluation of quality of non-mydriatic fundus images obtained with non-contact TrueColor, confocal scanner during third phase of nationwide lockdown
US11875480B1 (en) Distinguishing artifacts from pathological features in digital ima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