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2518B1 - Fruits collec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Fruits collec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2518B1
KR102362518B1 KR1020210146513A KR20210146513A KR102362518B1 KR 102362518 B1 KR102362518 B1 KR 102362518B1 KR 1020210146513 A KR1020210146513 A KR 1020210146513A KR 20210146513 A KR20210146513 A KR 20210146513A KR 102362518 B1 KR102362518 B1 KR 102362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bar
coupled
support
t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65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병욱
Original Assignee
안병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병욱 filed Critical 안병욱
Priority to KR1020210146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251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5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6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Fruit catching devices to be used therewit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6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Fruit catching devices to be used therewith
    • A01D2046/262Collecting surfaces extended around a tree in order to catch the frui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ruits collecting apparatus comprises: a first bracket mounted to surround an upper part of a tree; a second bracket mounted to surround a lower part of the tree; a plurality of mounting bars having longitudinal sides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bracket so that the mounting bars are radially arranged around the second bracket; a plurality of draw bars having both longitudinal end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bracket and the mounting bars so that the longitudinal other sides of the mounting bars are located higher than the second bracket; and a support net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s of the mounting bars to cover the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mounting bars. The fruits collecting apparatus can be commonly applied to several types of trees with different thicknesses, thereby having excellent availability, can quickly collect the fruits that have fallen on the support net, and can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installation and removal, thereby being easily used.

Description

과실 수집장치{FRUITS COLLECTING APPARATUS}Fruit collection device {FRUITS COLL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나무의 하단에 받침망을 설치하여 과실을 손상 없이 효율적으로 수집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다양한 규격의 나무에 사용할 수 있고 사용이 편리한 과실 수집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efficiently collecting fruit without damage by installing a support net at the bottom of a tre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ruit collecting device that can be used for trees of various specifications and is convenient to use.

일반적으로 과실이라 함은 사과나 배, 밤, 호두, 대추, 은행 등과 같이 나무에서 열리는 열매를 뜻한다. 현재까지는 마땅한 과실 수거 장치가 없기 때문에 상기 과실의 수확작업은 일일이 수작업을 통해 낱개로 따거나, 자연적으로 떨어진 상태의 과실을 줍거나, 대나무와 같은 막대기를 이용해 땅에 일부러 과실을 땅에 떨어뜨린 후 줍는 방식으로 수행되고 있다.In general, fruit refers to fruits that grow on trees, such as apples, pears, chestnuts, walnuts, dates, and ginkgo biloba. Until now, there is no proper fruit collection device, so the above-mentioned fruit harvesting is done individually by hand, picking up the naturally fallen fruit, or deliberately dropping the fruit on the ground using a stick such as bamboo. It is carried out in a pick-up method.

이때, 사용자가 나무에 올라가 과실을 직접 따는 경우 많은 노동력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단시간 내에 많은 양의 과실을 수집할 수 없고, 지면에 떨어진 과실을 수집하는 경우에는 과실이 지면에 떨어지는 과정에서 손상되어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된다는 단점이 있다.At this time, when the user climbs a tree and directly picks the fruit, a lot of labor is required and a large amount of fruit cannot be collected in a short tim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is falling problem occurs frequently.

이와 더불어, 나무가 식재된 곳이 경사져 있을 경우 경사면 상에서 사용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과실을 줍는 과정 역시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줍는 과정에서 미끄러져 부상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하였다. In addition, if the place where the trees are planted is inclined, it is not easy for users to manually pick up fruits one by one on the slope, and there is a risk of injury due to slipping during the picking process.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나무의 하측에 설치되는 받침망을 구비하는 '나무열매 수집장치(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72679호)'가 제안된바 있으나, 종래의 나무열매 수집장치는 굵기가 상이한 여러 종류의 나무에 공용으로 적용될 수 없어 활용성이 떨어지고, 받침망에 떨어진 과실을 빠르게 수집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설치 및 철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tree fruit collecting device (Korean Patent No. 10-1772679)' having a support net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tree has been proposed, but the conventional tree fruit collecting device has a thick There are disadvantages in that it cannot be commonly applied to several different types of trees, so the usability is low, it is difficult to quickly collect the fruits that have fallen on the support net, and it takes a lot of time to install and dismantle them.

KRKR 10-1772679 10-1772679 B1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굵기가 상이한 여러 종류의 나무에 공용으로 적용될 수 있어 활용성이 우수하고, 받침망에 떨어진 과실을 빠르게 수집할 수 있으며, 설치 및 철거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과실 수집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can be commonly applied to several types of trees with different thicknesses, so it has excellent usability, can quickly collect fruits that have fallen on a support net, and can be used for installation and demol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ruit collecting device capable of reducing the time requir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과실 수집장치는, 나무의 상측부를 감싸도록 장착되는 제1 브라켓; 상기 나무의 하측부를 감싸도록 장착되는 제2 브라켓; 상기 제2 브라켓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되도록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제2 브라켓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거치바; 상기 거치바의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제2 브라켓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하도록, 길이방향 양단이 상기 제1 브라켓과 상기 거치바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견인바; 상기 복수 개의 거치바 사이 공간을 덮도록 상기 거치바의 저면에 결합되는 받침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ruit collecting device comprising: a first bracket mounted to surround an upper part of a tree; a second bracket mounted to surround the lower part of the tree; a plurality of mounting bars having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upled to the second bracket in a rotatable structure so as to be radially arranged around the second bracket; a plurality of draw bars having both longitudinal ends coupled to the first bracket and the holding bar in a rotatable structure so that the other longitudinal side of the holding bar is located at a higher point than the second bracke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upport net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bar so as to cover the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support bars.

상기 제1 브라켓의 외측면 둘레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슬롯 형상을 이루되 내부공간보다 입구가 좁은 복수 개의 상부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브라켓의 외측면 둘레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슬롯 형상을 이루되 내부공간보다 입구가 좁은 복수 개의 하부결합홈이 형성되며, 폭은 상기 상부결합홈의 입구보다 좁고 길이는 상기 상부결합홈의 입구보다 큰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견인바의 길이방향 일단이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상부결합블록과, 폭은 상기 하부결합홈의 입구보다 좁고 길이는 상기 하부결합홈의 입구보다 큰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거치바의 길이방향 일단이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하부결합블록을 더 포함한다.A plurality of upper coupling grooves are forme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bracket to form a slot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but have a narrower entrance than the inner space. A plurality of lower coupling grooves having a slot shape and having a narrower entrance than the inner space are formed, the width is narrower than the entrance of the upper coupling groove and the length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larger than the entrance of the upper coupling groove, A plurality of upper coupling blocks having one longitudinal end coupled in a rotatable structure, the width is narrower than the entrance of the lower coupling groove, and the length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larger than the entrance of the lower coupling groove, the longitudinal end of the mounting bar It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lower coupling blocks coupled to the rotatable structure.

상기 거치바에는 다수 개의 장공이 상기 거치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 배열되고, 상기 견인바의 길이방향 타단에는 상기 장공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 가능한 체결블록이 구비된다.A plurality of elongated holes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the holding ba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ding bar, and the other end of the draw ba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block insertable in a fitting manner to the long hole.

하나의 거치바에는 두 개의 견인바가 연결되되, 어느 하나의 견인바 길이방향 타측은 상기 거치바의 길이방향 타측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견인바 길이방향 타측은 상기 거치바의 중단에 연결된다.Two draw bars are connected to one support bar, and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one draw bar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bar, and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ther draw bar is connected to the middle of the support bar.

상기 제1 브라켓은, 착탈 가능한 구조로 폭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1 단위패널과, 폭방향 가장 끝에 위치하는 두 개의 제1 단위패널을 연결하는 제1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브라켓은, 착탈 가능한 구조로 폭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2 단위패널과, 폭방향 가장 끝에 위치하는 두 개의 제2 단위패널을 연결하는 제2 스프링으로 구성된다.The first bracket has a detachable structure and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unit panels connected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first spring connecting two first unit panels positioned at the extreme ends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second bracket includes: , it has a detachable structure and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unit panels connected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second spring connecting two second unit panels located at the extreme ends in the width direction.

상기 받침망은, 이웃하는 두 개의 거치바 사이를 덮도록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단위망으로 구성된다.The support network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unit networks formed in an arc shape so as to cover between two adjacent support bars.

상기 받침망은, 이웃하는 두 개의 거치바에 결합되는 지점 사이가 개폐될 수 있도록 지퍼가 구비된다.The support network is provided with a zipper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between the points coupled to the adjacent two support bars.

상기 받침망의 하부 중 상기 지퍼에 의해 개방되는 지점에 결합되어, 개방된 지퍼를 통해 떨어지는 과실이 담겨지는 수확자루를 더 포함한다.It further includes a harvest bag coupled to a point opened by the zipper among the lower portions of the support net, in which fruits falling through the open zipper are contained.

상기 제2 브라켓의 하단 전체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되 하측으로 갈수록 나무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며 금속보다 마찰계수가 낮은 물질로 표면이 코팅되는 유충차단판을 더 포함한다.It further includes a larvae blocking plat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entire lower end of the second bracket, extending downwar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tree and having a surface coated with a material having a lower coefficient of friction than metal.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견인바에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나무의 가지를 지지하여, 상기 나무의 가지 처짐을 방지하는 가지행거를 더 포함한다.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upled to the pull bar and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upports the branch of the tree, further comprising a branch hanger to prevent sagging of the branch of the tree.

본 발명에 의한 과실 수집장치는, 굵기가 상이한 여러 종류의 나무에 공용으로 적용될 수 있어 활용성이 우수하고, 받침망에 떨어진 과실을 빠르게 수집할 수 있으며, 설치 및 철거에 소요되는 시간이 짧아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The frui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mmonly applied to several types of trees with different thicknesses, so it has excellent usability, can quickly collect fruits that have fallen on a support net, and is used because the time required for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is short. This has the advantage of being convenien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과실 수집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브라켓과 견인바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제2 브라켓과 거치바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거치바에 견인바 및 받침망이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과실 수집장치에 포함되는 제2 브라켓 및 유충차단판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과실 수집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제1 브라켓 및 제2 브라켓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과실 수집장치 제2 실시예에 포함되는 받침망의 분해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과실 수집장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과실 수집장치 제3 실시예를 도시한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ui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first bracket and the draw bar.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second bracket and the holding bar.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draw bar and a support net are coupled to a support bar.
5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ond bracket and the larvae blocking plate included in the frui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the frui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plan views of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9 is an exploded plan view of a support net included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frui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the frui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shows a third embodiment of the frui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과실 수집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frui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과실 수집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제1 브라켓과 견인바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제2 브라켓과 거치바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거치바에 견인바 및 받침망이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과실 수집장치에 포함되는 제2 브라켓 및 유충차단판의 수직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과실 수집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ui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first bracket and a draw bar,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second bracket and a holding bar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draw bar and a support net are coupled to the holding bar, and FIG. 5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of the second bracket and the larvae blocking plate included in the frui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is a use state diagram of the frui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과실 수집장치는 나무(10)에 열린 과실이 지상으로 떨어지는 낙과현상을 방지하면서 과실 수집을 보다 빠르고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장치로서, 구성이 간단하고 설치가 용이하여 활용성이 매우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The frui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faster and more effective fruit collection while preventing the fruit open on the tree 10 from falling to the ground. There is this.

즉, 본 발명에 의한 과실 수집장치는, 나무(10)의 상측부를 감싸도록 장착되는 제1 브라켓(100)과, 상기 나무(10)의 하측부를 감싸도록 장착되는 제2 브라켓(200)과, 상기 제2 브라켓(200)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되도록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제2 브라켓(200)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거치바(300)와, 상기 거치바(300)의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제2 브라켓(200)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하도록 길이방향 양단이 상기 제1 브라켓(100)과 상기 거치바(300)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견인바(400)와, 상기 복수 개의 거치바(300) 사이 공간을 덮도록 상기 거치바(300)의 저면에 결합되는 받침망(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at is, the frui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racket 100 mounted to surround the upper part of the tree 10 and a second bracket 200 mounted to surround the lower part of the tree 10; A plurality of mounting bars 300 having one 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upled to the second bracket 200 in a rotatable structure so as to be radially arranged around the second bracket 200,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ing bar 300 A plurality of draw bars 400 having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upled to the first bracket 100 and the holding bar 300 in a rotatable structure so that the other side is positioned at a higher point than the second bracket 200, and th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upport network 500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bar 300 so as to cover the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support bars 300 .

상기 제1 브라켓(100)과 제2 브라켓(200)은 나무의 어느 한 지점 외측을 둘러싸도록 결합되는데, 상기 제1 브라켓(100)과 제2 브라켓(200) 사이의 이격 거리는 나무 및 과실의 종류나 견인바(400) 및 거치바(300)의 규격 등 여러가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선정될 수 있다.The first bracket 100 and the second bracket 200 are coupl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any one point of the tree, and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bracket 100 and the second bracket 200 is the type of tree and fruit. It can be freely selected according to various conditions, such as the specifications of the draw bar 400 and the holding bar 300 .

상기 견인바(400)와 거치바(300)는 우산살이 우산대에 결합되는 구조와 같이, 수평방향 힌지축(미도시)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각각 제1 브라켓(100) 및 제2 브라켓(200)에 연결되는바, 상기 제1 브라켓(100)과 제2 브라켓(200) 사이의 간격이 변경되었을 때 상기 견인바(400)와 거치바(300)는 경사도가 변경된다.The pull bar 400 and the support bar 300 have a structure rotatable about a horizontal hinge axis (not shown), such as a structure in which an umbrella is coupled to an umbrella stand, and a first bracket 100 and a second bracket ( 200),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bracket 100 and the second bracket 200 is changed, the inclination of the draw bar 400 and the mounting bar 300 is changed.

한편, 상기 받침망(500)은 낙과하는 과실을 받치기 위한 그물의 일종으로서, 거치바(300)가 배치되는 지점 전체를 둘러싸되, 제2 브라켓(200)과 대응되는 측이 하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진 형상 즉,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network 500 is a kind of net for supporting falling fruits, and surrounds the entire point where the support bar 300 is disposed, so that the sid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bracket 200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It is formed in an inclined shape, that is, a funnel shap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과실 수집장치를 나무에 설치하면, 나무에서 떨어지는 과실이 받침망(500)에 안착되므로 지상에 부딪혀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받침망(500)에 떨어진 과실이 받침망(500)의 하측으로 모아지므로 과실 수집을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When the fruit collecting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on a tree, the fruit falling from the tree is seated on the support net 500 to prevent damage by hitting the ground, and the fruit falling on the support net 500 is supported. Since it is collected on the lower side of the net 500, there is an advantage that fruit collection can be performed more quickly and conveniently.

견인바(400)와 거치바(300)가 각각 제1 브라켓(100)과 제2 브라켓(200)에 결합되는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structure in which the draw bar 400 and the support bar 300 are coupled to the first bracket 100 and the second bracket 200, respectively,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브라켓(100)의 외측면 둘레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슬롯 형상을 이루되 내부공간보다 입구가 좁은 복수 개의 상부결합홈(102)이 형성되고, 상기 견인바(400)의 길이방향 일단에는 폭은 상기 상부결합홈(102)의 입구보다 좁고 길이는 상기 상부결합홈(102)의 입구보다 큰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견인바(400)의 길이방향 일단이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상부결합블록(41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상부결합블록(410)과 견인바(40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견인바(400)의 길이방향과 직각을 이루면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된다.As shown in FIG. 2 , a plurality of upper coupling grooves 102 are forme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bracket 100 to form a slot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have a narrower entrance than the inner space, and the draw bar At one end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400, the width is narrower than the inlet of the upper coupling groove 102 and the length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larger than the inlet of the upper coupling groove 102, the longitudinal end of the draw bar 400 A plurality of upper coupling blocks 410 coupled in this rotatable structure are provided. At this time, the upper coupling block 410 and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aw bar 400 are coupled in a structure rotatable about a rotation axis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ile forming a right angle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aw bar 400 .

마찬가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브라켓(200)의 외측면 둘레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슬롯 형상을 이루되 내부공간보다 입구가 좁은 복수 개의 하부결합홈(202)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바(300)의 길이방향 일단에는 상기 하부결합홈(202)의 입구보다 좁고 길이는 상기 하부결합홈(202)의 입구보다 큰 사각판 형상의 하부결합블록(33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하부결합블록(330)과 거치바(30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거치바(300)의 길이방향과 직각을 이루면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된다.Similarly, as shown in FIG. 3 , a plurality of lower coupling grooves 202 are forme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racket 200 to form a slot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have a narrower entrance than the inner space, and the A lower coupling block 330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having a length narrower than the entrance of the lower coupling groove 202 and having a length larger than the entrance of the lower coupling groove 202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mounting bar 3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lower coupling block 330 and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unting bar 300 are coupled in a structure rotatable about a rotational shaft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ile forming a right angle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ing bar 300 .

따라서 사용자가 상부결합블록(410)을 상부결합홈(102)에 삽입시킨 후, 견인바(400)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견인바(400)를 90도 자전시키면, 상기 상부결합블록(410)은 상부결합홈(102) 내부에서 90도 회전하게 되는바 상기 상부결합홈(102)의 입구를 통과하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하부결합블록(310)을 하부결합홈(202)에 삽입시킨 후, 거치바(300)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거치바(300)를 90도 자전시키면, 상기 하부결합블록(310)은 하부결합홈(202) 내부에서 90도 회전하게 되는바 상기 하부결합홈(202)의 입구를 통과하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Therefore, when the user inserts the upper coupling block 410 into the upper coupling groove 102 and then rotates the draw bar 400 by 90 degrees about the longitudinal central axis of the draw bar 400, the upper coupling block ( The bar 410 is rotated 90 degrees inside the upper coupling groove 102 , and it is in a state where it cannot pass through the inlet of the upper coupling groove 102 . Similarly, when the user inserts the lower coupling block 310 into the lower coupling groove 202, and then rotates the mounting bar 300 by 90 degrees about the longitudinal central axis of the mounting bar 300, the lower coupling block 310 is rotated by 90 degrees inside the lower coupling groove 202, it is in a state that does not pass through the inlet of the lower coupling groove (202).

즉, 사용자는 상부결합블록(410)과 하부결합블록(310)을 각각 상부결합홈(102) 및 하부결합홈(202)에 삽입시킨 후 견인바(400)와 거치바(300)를 각각 90도 자전시키는 조작만으로 견인바(400)와 거치바(300)를 제1 브라켓(100) 및 제2 브라켓(200)에 체결시킬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의한 과실 수거장치를 보다 빠르고 간편하게 설치 및 철거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That is, after the user inserts the upper coupling block 410 and the lower coupling block 310 into the upper coupling groove 102 and the lower coupling groove 202, respectively, the draw bar 400 and the mounting bar 300 are respectively 90 Since the tow bar 400 and the holding bar 300 can be fastened to the first bracket 100 and the second bracket 200 only by rotating them, the fruit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and removed more quickly and conveniently.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do it.

또한, 상기 거치바(300)에는 다수 개의 장공(310)이 상기 거치바(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 배열되고, 상기 견인바(400)의 길이방향 타단에는 상기 장공(310)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 가능한 체결블록(420)이 구비된다. 사용자는 체결블록(420)을 장공(310)에 삽입시킨 후 상기 견인바(400)를 90도 회전시킴으로써 견인바(400)를 거치바(300)에 연결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long holes 310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the supporting bar 30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ing bar 300 , and the other end of the pulling bar 4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inserted into the long hole 310 . A fastening block 420 that can be inserted in a custom manner is provided. After inserting the fastening block 420 into the long hole 310 , the user can connect the draw bar 400 to the mounting bar 300 by rotating the draw bar 400 by 90 degrees.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과실 수거장치는 별도의 연결수단 없이도 견인바(400)와 거치바(300)를 간편하게 연결 및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ruit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connect and separate the draw bar 400 and the holding bar 300 without a separate connection means, and thus has the advantage of being convenient to use.

또한, 받침망(500) 역시 거치바(300)에 간편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바(300)의 저면에는 다수 개의 후크(320)가 구비되고, 상기 받침방에는 상기 후크(320)에 체결 가능한 다수 개의 체결고리(502)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거치바(300)와 받침망(500)에 각각 후크(320)와 체결고리(502)가 구비되면, 사용자는 체결고리(502)를 후크(320)에 거는 조작만으로 받침망(500)을 거치바(300)에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받침망(500)의 설치 및 철거를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후크(320)와 체결고리(502)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체결 및 분리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hooks 320 ar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bar 300 so that the support network 500 can also be easily fastened to the support bar 300 , and the support room is fastened to the hooks 320 . A plurality of possible fastening rings 502 may be provid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hook 320 and the fastening ring 502 are provided on the support bar 300 and the support net 500, respectively, the user only operates the fastening ring 502 on the hook 320 to the support network 500. Since it can be coupled to the support bar 300 ,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very easily install and remove the support network 500 . At this time, the hook 320 and the fastening ring 502 may be formed in any shape as long as the user can easily fasten and separate them.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과실 수거장치는, 하나의 거치바(300)에 두 개의 견인바(400)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견인바(400) 길이방향 일측에 구비된 두 개의 상부결합블록(410)이 하나의 상부결합홈(102)에 상하로 배열되도록 삽입 체결되고, 한 쌍의 견인바(400) 중 어느 하나의 견인바(400) 길이방향 타측에 구비된 체결블록(420)은 상기 거치바(300)의 길이방향 타측에 형성된 장공(310)에 삽입되며, 한 쌍의 견인바(400) 중 다른 하나의 견인바(400) 길이방향 타측에 구비된 체결블록(420)은 상기 거치바(300)의 길이방향 중단에 형성된 장공(310)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uit coll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wo pull bars 400 are connected to one support bar 300 . That is, the two upper coupling blocks 410 provided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ir of draw bars 400 are inserted and fastened so as to be vertically arranged in one upper coupling groove 102, and the pair of draw bars 400 The fastening block 420 provided on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ny one of the draw bars 400 is inserted into the long hole 310 formed on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ding bar 300, and among the pair of draw bars 400 Another fastening block 420 provided on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ull bar 400 may be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long hole 310 formed in the longitudinal middle of the holding bar 300 .

이와 같이 하나의 거치바(300)에 한 쌍의 견인바(400)가 체결되면, 상기 거치바(300)가 휘어지거나 비틀어지지 아니하고 직선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As such, when a pair of pull bars 400 are fastened to one support bar 300 , the support bar 300 is not bent or twisted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tably maintain a straight state.

한편, 지상에 있던 각종 유충이 나무를 타고 올라가서 과실을 갉아먹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의한 과실 수거장치는 유충의 이동을 차단하는 유충차단판(600)을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in order to prevent various larvae on the ground from climbing trees and gnawing fruit, the fruit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larval blocking plate 600 that blocks the movement of larvae.

상기 유충차단판(600)은 상기 제2 브라켓(200)의 하단 전체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되, 하측으로 갈수록 나무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뒤집어진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larvae blocking plate 600 may be formed in an inverted funnel shap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entire lower end of the second bracket 200 , and extending obliquely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tree as it goes downward.

이때, 상기 유충차단판(600)의 표면은 금속보다 마찰계수가 낮은 물질로 코팅되어 있으므로, 지상에서 나무를 타고 올라가던 유충이 유충차단판(600)의 내측면을 타고 하향으로 기어갈 때 유충차단판(600)으로부터 미끄러져 지상으로 떨어지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브라켓(200)에 유충차단판(600)이 설치되면, 지상에 있던 유충이 나무를 타고 올라가지 못하게 되므로, 유충에 의한 과실 피해를 방지할 수 있게된다는 장점이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surface of the larvae blocking plate 600 is coated with a material having a lower coefficient of friction than metal, when the larvae that climbed up the trees from the ground crawl downwar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arvae blocking plate 600 , the larvae It slides from the blocking plate 600 and falls to the ground. That is, as shown in this embodiment, if the larvae blocking plate 600 is installed on the second bracket 200, the larvae on the ground cannot climb the tree,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fruit damage caused by the larvae. There are advantages.

이때, 유충차단판(600)의 표면에 코팅되는 물질은 유충이 기어서 넘어가지 못할 만큼 매끄러운 특성을 가진다면 어떠한 물질로도 적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aterial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larvae blocking plate 600 may be applied with any material as long as it has a smooth characteristic that the larvae cannot crawl over.

도 7 및 도 8은 제1 브라켓(100) 및 제2 브라켓(200)의 평면도이다.7 and 8 are plan views of the first bracket 100 and the second bracket 200 .

본 발명에 의한 과실 수거장치는, 나무를 둘러싸도록 체결되는 제1 브라켓(100)과 제2 브라켓(200)이 다양한 굵기의 나무에 공용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규격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The fruit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size can be adjusted so that the first bracket 100 and the second bracket 200, which are fastened to surround the tree, can be commonly used for trees of various thicknesses. have.

즉, 상기 제1 브라켓(100)은, 착탈 가능한 구조로 폭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1 단위패널(110)과, 폭방향 가장 끝에 위치하는 두 개의 제1 단위패널(110)을 연결하는 제1 스프링(1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나무의 굵기에 맞춰 적절한 개수의 제1 단위패널(110)을 연결하여 나무를 감싼 후, 제1 스프링(120)을 체결하여 상기 복수 개의 제1 단위패널(110)들을 나무의 외측면에 밀착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first bracket 100 is a first unit panel connecting a plurality of first unit panels 110 connected in the width direction in a detachable structure and two first unit panels 110 located at the extreme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ne spring 120 may be configured. The user connects an appropriate number of first unit panels 110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tree to wrap the tree, and then fastens the first spring 120 to attach the plurality of first unit panels 110 to the outer surface of the tree. It can be fixed tightly.

상기 제1 단위패널(110)은 별도의 연결수단 없이도 폭방향으로 연결 및 분리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보다 입구가 좁은 패널홈(112)이 폭방향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패널홈(112)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되도록 목이 가늘게 형성된 패널돌기(114)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단위패널(110)의 폭방향 양단에 패널홈(112)과 패널돌기(114)가 구비되면, 상기 패널돌기(114)는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되어 패널홈(112)에 삽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지만, 폭방향으로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서는 패널홈(112)으로부터 탈거되지 아니하므로 견고하게 나무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In order that the first unit panel 110 can be connected and separated in the width direction without a separate connecting means, a panel groove 112 having a narrower entrance than the internal space is formed to be elong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panel groove A panel protrusion 114 having a narrow neck may be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the 112 in a fitting manne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anel grooves 112 and the panel projections 114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irst unit panel 110 in the width direction, the panel projections 114 are sli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be inserted or drawn out into the panel grooves 112 . However, since it is not detached from the panel groove 112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in the width direct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firmly mounted state on the tree.

마찬가지로 상기 제2 브라켓(200) 역시, 착탈 가능한 구조로 폭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2 단위패널(210)과, 폭방향 가장 끝에 위치하는 두 개의 제2 단위패널(210)을 연결하는 제2 스프링(2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단위패널(210)이 나무에 장착되는 구조나 제2 단위패널(210)에 형성된 패널홈(212)에 패널돌기(214)가 결합되는 구조는 상기 제1 단위패널(110)을 참조하여 설명한 구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imilarly, the second bracket 200 also has a detachable structure, and connects a plurality of second unit panels 210 connected in the width direction and two second unit panels 210 located at the extreme ends in the width direction. It may be composed of a spring 220 .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second unit panels 210 are mounted on a tree or a structure in which a panel protrusion 214 is coupled to a panel groove 212 formed in the second unit panel 210 includes the first unit panel 110 . Since the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with referenc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과실 수집장치 제2 실시예에 포함되는 받침망(500)의 분해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과실 수집장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9 is an exploded plan view of a support net 500 included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frui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shows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frui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나무의 굵기에 따라 제1 브라켓(100) 및 제2 브라켓(200)의 지름이 증감되면, 상기 제1 브라켓(100) 및 제2 브라켓(200)에 결합되는 거치바(300) 및 견인바(400)의 개수 역시 증감되고, 상기 거치바(300)에 장착되는 받침망(500)의 크기 역시 달라지게 된다.When the diameters of the first bracket 100 and the second bracket 200 increase or decrease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tree, the support bar 300 and the draw bar coupled to the first bracket 100 and the second bracket 200 ( The number of 400) is also increased or decreased, and the size of the support net 500 mounted on the support bar 300 is also changed.

본 발명에 포함되는 받침망(500)은 거치바(300)의 개수가 증감되더라도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받침망(5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두 개의 거치바(300) 사이를 덮도록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단위망(510)으로 구성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network 500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it can be used in common even if the number of the support bars 300 is increased or decreased. That is, as shown in FIG. 9 , the support network 50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unit networks 510 formed in an arc shape to cover between two adjacent support bars 300 .

이와 같이 상기 받침망(500)이 다수 개의 단위망(510)으로 구성되면, 거치바(300)의 개수가 증감됨에 따라 단위망(510) 개수를 증감시켜 받침망(500)의 규격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활용성이 매우 우수해진다는 장점이 있다.As such, when the support network 50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unit networks 510 , the number of unit networks 510 is increased or decreased as the number of mounting bars 300 is increased or decreased to adjust the standard of the support network 500 .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ability is very excellent.

또한, 상기 받침망(500) 상에 과실이 적재되었을 때 상기 받침망(500)을 거치바(300)로부터 탈거하지 아니하더라도 과실을 수거할 수 있도록, 상기 단위망(510)에는 지퍼(504)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퍼(504)는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망(510) 중 이웃하는 두 개의 거치바(300)와 결합되는 지점 사이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단위망(510)의 폭방향 중단에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ruit is loaded on the support net 500 , the unit network 510 has a zipper 504 so that the fruit can be collected without removing the support network 500 from the holding bar 300 . may be provided. At this time, as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zipper 504 opens and closes between the points coupled with two adjacent holding bars 300 among the unit networks 510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unit network 510 . Interruptions can be provided.

이와 같이 단위망(510)에 지퍼(504)가 구비되면, 사용자는 받침망(500) 상에 과실이 적재되었을 때 지퍼(504)만을 개폐시킴으로써 과실을 수거할 수 있으므로, 과실 수거를 매우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받침망(500)이 다수 개의 단위망(510)으로 구성되지 아니하고 하나의 깔때기 형상으로 제작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받침망(500)에는 지퍼(504)가 구비될 수도 있다.As such, when the zipper 504 is provided in the unit network 510, the user can collect the fruit by opening and closing only the zipper 504 when the fruit is loaded on the support network 500, so that the fruit collection is very convenient.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do it. On the other hand, even when the support network 500 is not composed of a plurality of unit networks 510 and is manufactured in a funnel shape, the support network 500 may include a zipper 504 .

또한, 개방된 지퍼(504)를 통해 아래로 떨어지는 과실을 그대로 모을 수 있도록, 상기 받침망(500)의 하부 중 상기 지퍼(504)에 의해 개방되는 지점에는 개방된 지퍼(504)를 통해 떨어지는 과실이 담겨지는 수확자루(700)가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확자루(700)가 장착되면, 사용자는 지퍼(504)를 개방시켜 받침망(500) 상의 과실을 수확자루(700)에 곧바로 모을 수 있고, 수확자루(700) 내부가 과실로 모두 채워진 이후에는 지퍼(504)를 닫고 수확자루(700)를 탈거한 후, 새로운 빈 수확자루(700)를 장착시켜 과실 수거를 재수행할 수 있게 되는바, 과실 수거가 매우 편리해진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collect the fruits falling down through the open zipper 504 as it is, at the point opened by the zipper 504 among the lower portions of the support net 500 , the fruits falling through the open zipper 504 . A harvest bag 700 in which this is contained may be mounted. When the harvest bag 700 is mounted in this way, the user can open the zipper 504 to collect the fruits on the support net 500 directly into the harvest bag 700, and the harvest bag 700 is completely filled with fruits. Thereafter, after closing the zipper 504 and removing the harvest bag 700 , a new empty harvest bag 700 is mounted to allow fruit collection to be re-performed, which has an advantage in that fruit collection becomes very convenient.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과실 수집장치 제3 실시예를 도시한다.11 shows a third embodiment of the frui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일반적으로 나무의 가지가 무거워 아래로 처지는 경우 과실이 정상적으로 열리지 질 뿐만 아니라, 가지의 처짐이 과중되는 경우 상기 가지가 부러지는 현상까지 발생될 수 있다.In general, when the branches of a tree are heavy and droop down, the fruit does not open normally, and when the sagging of the branches is excessive, the branch may even break.

본 발명에 의한 과실 수집장치는 가지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견인바(400)에 가지를 지지하는 가지행거(8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지행거(8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 일측(본 실시예에서는 상측)이 상기 견인바(400)에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측(본 실시예에서는 하측)이 나무의 가지를 걸어 지지하도록 후크(320)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ruit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ranch hanger 800 for supporting the branch on the draw bar 400 to prevent the branch from sagging. As shown in FIG. 11, the branch hanger 800 has one longitudinal side (upper side in this embodiment) coupled to the draw bar 400, and the other longitudinal side (lower side in this embodiment) holds the branch of a tree. It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hook 320 to hang and support.

이와 같이 견인바(400)에 가지행거(800)가 구비되면, 가지가 아래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가지가 부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과실 수확량을 현저히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가지행거(800)는 아래로 처지는 가지를 지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branch hanger 800 is provided on the draw bar 400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ranch from drooping down and the branch to be broken, so that the fruit yield can be significantly increased. At this time, the branch hanger 800 may be formed in any shape as long as it can support the branches hanging down.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using preferred embodimen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understan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제1 브라켓 102 : 상부결합홈
110 : 제1 단위패널 120 : 제1 스프링
200 : 제2 브라켓 202 : 하부결합홈
210 : 제2 단위패널 220 : 제2 스프링
300 : 거치바 310 : 장공
320 : 후크 330 : 하부결합블록
400 : 견인바 410 : 상부결합블록
420 : 체결블록 500 : 받침망
502 : 체결고리 504 : 지퍼
510 : 단위망 600 : 유충차단판
700 : 수확자루 800 : 가지행거
100: first bracket 102: upper coupling groove
110: first unit panel 120: first spring
200: second bracket 202: lower coupling groove
210: second unit panel 220: second spring
300: hold bar 310: long hole
320: hook 330: lower coupling block
400: draw bar 410: upper coupling block
420: fastening block 500: support net
502: fastening hook 504: zipper
510: unit network 600: larvae blocking plate
700: harvest bag 800: branch hanger

Claims (11)

삭제delete 삭제delete 나무의 상측부를 감싸도록 장착되는 제1 브라켓;
상기 나무의 하측부를 감싸도록 장착되는 제2 브라켓;
상기 제2 브라켓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되도록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제2 브라켓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거치바;
상기 거치바의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제2 브라켓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하도록, 길이방향 양단이 상기 제1 브라켓과 상기 거치바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견인바;
상기 복수 개의 거치바 사이 공간을 덮도록 상기 거치바의 저면에 결합되는 받침망;
을 포함하며,
상기 거치바에는 다수 개의 장공이 상기 거치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 배열되고,
상기 견인바의 길이방향 타단에는 상기 장공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 가능한 체결블록이 구비되며,
상기 체결블록은 상기 견인바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견인바의 길이방향 타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 수집장치.
a first bracket mounted to surround the upper part of the tree;
a second bracket mounted to surround the lower part of the tree;
a plurality of mounting bars having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upled to the second bracket in a rotatable structure so as to be radially arranged around the second bracket;
a plurality of draw bars having both longitudinal ends coupled to the first bracket and the holding bar in a rotatable structure so that the other longitudinal side of the holding bar is positioned at a higher point than the second bracket;
a support net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bar to cover the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support bars;
includes,
A plurality of long holes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the support ba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bar,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ull bar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block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long hole in a fitting manner,
The fastening block is a fruit coll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ull bar in a structure rotatable about the longitudinal central axis of the pull bar.
나무의 상측부를 감싸도록 장착되는 제1 브라켓;
상기 나무의 하측부를 감싸도록 장착되는 제2 브라켓;
상기 제2 브라켓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되도록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제2 브라켓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거치바;
상기 거치바의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제2 브라켓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하도록, 길이방향 양단이 상기 제1 브라켓과 상기 거치바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견인바;
상기 복수 개의 거치바 사이 공간을 덮도록 상기 거치바의 저면에 결합되는 받침망;
을 포함하며,
하나의 거치바에는 두 개의 견인바가 연결되되,
어느 하나의 견인바 길이방향 타측은 상기 거치바의 길이방향 타측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견인바 길이방향 타측은 상기 거치바의 중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 수집장치.
a first bracket mounted to surround the upper part of the tree;
a second bracket mounted to surround the lower part of the tree;
a plurality of mounting bars having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upled to the second bracket in a rotatable structure so as to be radially arranged around the second bracket;
a plurality of draw bars having both longitudinal ends coupled to the first bracket and the holding bar in a rotatable structure so that the other longitudinal side of the holding bar is positioned at a higher point than the second bracket;
a support net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bar to cover the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support bars;
includes,
Two draw bars are connected to one support bar,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ny one draw bar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ding bar,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ther draw bar is a fruit coll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middle of the holding bar.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켓은, 착탈 가능한 구조로 폭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1 단위패널과, 폭방향 가장 끝에 위치하는 두 개의 제1 단위패널을 연결하는 제1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브라켓은, 착탈 가능한 구조로 폭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2 단위패널과, 폭방향 가장 끝에 위치하는 두 개의 제2 단위패널을 연결하는 제2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 수집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The first bracket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unit panels connected in the width direction in a detachable structure, and a first spring connecting the two first unit panels located at the extreme ends in the width direction,
The second bracket comprises a plurality of second unit panels connected in the width direction in a detachable structure and a second spring connecting the two second unit panels located at the extreme ends in the width direction. Device.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받침망은, 이웃하는 두 개의 거치바 사이를 덮도록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단위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 수집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The receiving net is a fruit coll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unit nets formed in an arc shape to cover between two adjacent support bars.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받침망은, 이웃하는 두 개의 거치바에 결합되는 지점 사이가 개폐될 수 있도록 지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 수집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The support net is a fruit coll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zipper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between the points coupled to the adjacent two support bars.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받침망의 하부 중 상기 지퍼에 의해 개방되는 지점에 결합되어, 개방된 지퍼를 통해 떨어지는 과실이 담겨지는 수확자루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 수집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and a harvest bag coupled to a point opened by the zipper among the lower portions of the support net to contain the fruit falling through the opened zipper.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라켓의 하단 전체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되 하측으로 갈수록 나무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며 금속보다 마찰계수가 낮은 물질로 표면이 코팅되는 유충차단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 수집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and a larval barrier plat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entire lower end of the second bracket, extending in a downward direction away from the tree, and coated on the surface with a material having a lower coefficient of friction than metal.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견인바에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나무의 가지를 지지하여, 상기 나무의 가지 처짐을 방지하는 가지행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 수집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Fruit collect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branch hanger having one longitudinal side coupled to the pull bar and the other longitudinal side supporting the branch of the tree to prevent sagging of the branch of the tree.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켓의 외측면 둘레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슬롯 형상을 이루되 내부공간보다 입구가 좁은 복수 개의 상부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브라켓의 외측면 둘레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슬롯 형상을 이루되 내부공간보다 입구가 좁은 복수 개의 하부결합홈이 형성되며,
폭은 상기 상부결합홈의 입구보다 좁고 길이는 상기 상부결합홈의 입구보다 큰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견인바의 길이방향 일단이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상부결합블록과,
폭은 상기 하부결합홈의 입구보다 좁고 길이는 상기 하부결합홈의 입구보다 큰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거치바의 길이방향 일단이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하부결합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 수집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A plurality of upper coupling grooves having a slot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a narrower entrance than the inner space are forme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bracket,
A plurality of lower coupling grooves having a slot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a narrower entrance than the inner space are forme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racket,
A plurality of upper coupling blocks having a width narrower than the entrance of the upper coupling groove and having a length larger than the entrance of the upper coupling groove are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and the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aw bar is coupled in a rotatable structure;
The width is narrower than the entrance of the lower coupling groove and the length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larger than the entrance of the lower coupling groove,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lower coupling blocks coupled to the longitudinal end of the mounting bar in a rotatable structure A fruit coll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KR1020210146513A 2021-10-29 2021-10-29 Fruits collecting apparatus KR1023625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513A KR102362518B1 (en) 2021-10-29 2021-10-29 Fruits collec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513A KR102362518B1 (en) 2021-10-29 2021-10-29 Fruits collect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2518B1 true KR102362518B1 (en) 2022-02-14

Family

ID=80253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6513A KR102362518B1 (en) 2021-10-29 2021-10-29 Fruits collec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251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67072A (en) * 2022-07-29 2022-09-20 浙江农林大学 Folding tree-holding inverted-umbrella-shaped forest fruit collecting devic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2051A (en) * 2013-11-28 2015-06-05 주식회사 자연인 Eco-friendly trap device for pest control using attractant
KR101602707B1 (en) * 2014-11-18 2016-03-11 김철우 Clamping apparatus for supporting tree
KR101766660B1 (en) * 2016-04-18 2017-08-10 박현옥 Collector for Falling Fruits of a Ginkgo Tree
KR101772679B1 (en) 2017-01-17 2017-08-29 빈경환 Fruit Collecting Apparatus
KR101975560B1 (en) * 2017-03-24 2019-05-07 김성희 Apparatus For Receiving Fruits And Leaves Of Tree
KR20190069741A (en) * 2017-12-12 2019-06-20 박동석 Apparatus for prevention of falling fruit and collecting fallen leaves
KR20210056006A (en) * 2019-11-08 2021-05-18 성화시스템챤넬(주) A fixing structure for bracket and channel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2051A (en) * 2013-11-28 2015-06-05 주식회사 자연인 Eco-friendly trap device for pest control using attractant
KR101602707B1 (en) * 2014-11-18 2016-03-11 김철우 Clamping apparatus for supporting tree
KR101766660B1 (en) * 2016-04-18 2017-08-10 박현옥 Collector for Falling Fruits of a Ginkgo Tree
KR101772679B1 (en) 2017-01-17 2017-08-29 빈경환 Fruit Collecting Apparatus
KR101975560B1 (en) * 2017-03-24 2019-05-07 김성희 Apparatus For Receiving Fruits And Leaves Of Tree
KR20190069741A (en) * 2017-12-12 2019-06-20 박동석 Apparatus for prevention of falling fruit and collecting fallen leaves
KR20210056006A (en) * 2019-11-08 2021-05-18 성화시스템챤넬(주) A fixing structure for bracket and channel
KR102250244B1 (en) * 2019-11-08 2021-05-28 성화시스템챤넬(주) A fixing structure for bracket and channe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67072A (en) * 2022-07-29 2022-09-20 浙江农林大学 Folding tree-holding inverted-umbrella-shaped forest fruit collecting device
CN115067072B (en) * 2022-07-29 2023-11-03 浙江农林大学 Folding tree-holding inverted umbrella type forest fruit collect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2518B1 (en) Fruits collecting apparatus
KR101672968B1 (en) Device for collecting falling fruits and deciduous
US6708832B1 (en) Device for hanging objects on a vertical support
US20090025357A1 (en) Tree fruit collection device v-shaped support
KR20160105128A (en) Apparatus for collecting fruit
WO2016171405A1 (en) Device for artificially binding/supporting branches of fruit tree and method therefor
KR20180108348A (en) Apparatus For Receiving Fruits And Leaves Of Tree
US5463859A (en) Fruit picking apparatus
KR200487755Y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falling off of fruits
US5249412A (en) Mechanical fruit picker with delivery system
KR102114291B1 (en) Leaf and fruits collector including pockets
CN211353146U (en) Apple is planted with picking device
KR20120059253A (en) fruit trees receiver with discharging net for falling fruit
US6745551B2 (en) Overhead shaker harvester
US4456113A (en) Picking implement
CN112997695B (en) Conifer seed real collection protection device with impurity removal function
KR20230143275A (en) Fruits collecting apparatus
KR102218285B1 (en) A frame module for fruit harvesting apparatus that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 rod
CN214385220U (en) Net rack for pulling branches of pear trees
CN208594807U (en) A kind of protective device
KR200229297Y1 (en) Net for harvesting fruits and preventing them from falling
JPH089788A (en) Flowerpot and support bag for flowerpot
RU2337520C1 (en) Device for careful fruit picking from trees
GB2338636A (en) Fruit collecting device
KR101300932B1 (en) fruit harves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