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2394B1 -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 - Google Patents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2394B1
KR102362394B1 KR1020200139609A KR20200139609A KR102362394B1 KR 102362394 B1 KR102362394 B1 KR 102362394B1 KR 1020200139609 A KR1020200139609 A KR 1020200139609A KR 20200139609 A KR20200139609 A KR 20200139609A KR 102362394 B1 KR102362394 B1 KR 102362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ing
wire
unit
support
fire evac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9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옥
Original Assignee
이근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옥 filed Critical 이근옥
Priority to KR1020200139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23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8Other single parts for rope lowering-devices, e.g. take-up rollers for ropes, devices for shooting ro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의 발코니나 배란다 등의 완충 공간을 통해 사람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지상으로 대피시킬 수 있는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는, 건물의 외부와 내부를 연결하는 발코니 등의 완충 공간에 설치되어 화재시에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로, 상기 완충 공간의 벽면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지주 프레임; 상기 지주 프레임을 상기 벽면에 지지하며 상기 지주 프레임의 요 모션을 안내하는 회전 지지부; 상기 지주 프레임에 요 모션을 제공하는 요 회전부; 상기 지주 프레임의 상단부에 외팔보 형태로 구비되는 붐 프레임; 상기 붐 프레임의 말단부에 메인 와이어를 통해 구비되며 사람이 탑승하는 탑승부; 및 상기 탑승부가 승강되도록 상기 메인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는 윈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Apparatus for fire evacuation at home}
본 발명은 화재 대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주 공간의 확대와 좁은 부지를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인구 밀집형 도시의 팽창으로 고층 건물이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고층 건물은 시야 경관이 좋고 건물 내부에 여러 편의 시설을 갖추고 있어 장점이 있는 반면에, 화재 시에는 피할 곳이 마땅치 않아 대피에는 취약한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화재 대피 장치로 완강기가 알려져 있다. 하지만 완강기는, 밧줄을 타야 하는 기술이어서 상당한 체력과 등벽 전문요원 수준의 절벽타기 등의 고난이도 기술을 요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이러한 완강기를 이용하여 고층건물을 빠져나올 수 있는 사람은 전문요원 등 극소수에 불과할 뿐이어서 이러한 완강기는 인명의 효율적인 구조 또는 대피기구로 부족함이 크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가정의 발코니나 배란다 등의 완충 공간을 통해 사람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지상으로 대피시킬 수 있는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는, 건물의 외부와 내부를 연결하는 발코니 등의 완충 공간에 설치되어 화재시에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로, 상기 완충 공간의 벽면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지주 프레임; 상기 지주 프레임을 상기 벽면에 지지하며 상기 지주 프레임의 요 모션을 안내하는 회전 지지부; 상기 지주 프레임에 요 모션을 제공하는 요 회전부; 상기 지주 프레임의 상단부에 외팔보 형태로 구비되는 붐 프레임; 상기 붐 프레임의 말단부에 메인 와이어를 통해 구비되며 사람이 탑승하는 탑승부; 및 상기 탑승부가 승강되도록 상기 메인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는 윈치;를 포함하고, 상기 탑승부는, 탑승한 사람이 발로 디딜 수 있는 탑승 바닥판; 상기 탑승 바닥판의 가장자리부에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선단부가 각각 고정되는 3개 이상의 고정 와이어; 및 상기 각각의 고정 와이어의 말단부가 가장자리부에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고정되며 상기 메인 와이어와 연결되는 탑승 천정판;을 포함하고, 상기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는, 상기 탑승 천장판에 구비되며 상기 메인 와이어의 후단측을 거는 제1 걸림 도르래; 상기 탑승 천장판에 구비되며 상기 제1 걸림 도르래를 기준으로 상기 메인 와이어의 후단측을 거는 제2 걸림 도르래; 및 상기 붐 프레임의 말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메인 와이어의 말단을 고정시키는 와이어 고정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는, 상기 탑승부가 승강되는 동안 상기 메인 와이어 중 상기 제1 걸림 도르래에 진입되기 전인 제1 와이어 부분과 상기 제2 걸림 도르래로부터 진출된 후인 제2 와이어 부분이 서로 엉키는 것을 방지하는 와이어 엉킴 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엉킴 방지부는, 상기 메인 와이어 중 상기 제1 와이어 부분과 상기 제2 와이어 부분 사이에 구비되며 그 사이를 이격시키는 이격 부재; 상기 이격 부재의 일측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와이어 부분을 안내하는 일측 상단 안내 롤러부; 상기 이격 부재의 일측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와이어 부분을 안내하는 일측 하단 안내 롤러부; 상기 이격 부재의 타측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와이어 부분을 안내하는 타측 상단 안내 롤러부; 및 상기 이격 부재의 타측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와이어 부분을 안내하는 타측 하단 안내 롤러부;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 지지부는, 상기 지주 프레임의 길이를 따라 간격을 두고 그 둘레면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복수의 지지 칼라(support collar); 상기 각각의 지지 칼라를 회전 가능하게 받치는 각각의 지지 브라켓(support bracket); 상기 각각의 지지 브라켓을 상기 벽면에 고정시키는 벽면 고정부; 및 상기 지지 칼라와 상기 지지 브라켓 사이에 구비되는 스러스트 베어링(thrust bearing);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지지부는, 상기 지주 프레임의 둘레면과 상기 지지 브라켓의 내주면 사이에 구비되는 볼 베어링(ball bearing)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벽면 고정부는, 상기 복수의 지지 브라켓이 장착되는 벽면 고정판; 및 상기 벽면 고정판을 상기 벽면에 고정시키는 복수의 앵커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앵커 볼트는, 상기 고정판의 아래쪽 보다 위쪽에 상대적으로 더 많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윈치는, 상기 벽면 고정판에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는, 상기 탑승부에 구비되며 상기 탑승부가 승강되도록 상기 윈치에 구동 신호를 송신하거나 상기 지주 프레임이 좌우 회전되도록 상기 요 회전부에 구동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구동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는, 상기 붐 프레임의 말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안테나; 및 상기 수신 안테나의 상기 구동 신호를 상기 윈치나 상기 요 회전부로 전송하는 신호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전송부는 유선일 수 있다.
삭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는, 상기 탑승 바닥판의 저면이 상기 완충 공간의 벽면에 접한 상태로 상기 탑승 바닥판을 상기 벽면에 장착하거나 탈거시키는 벽면 착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벽면 착탈부는, 상기 탑승 바닥판에 구비되는 고리 부재; 및 상기 벽면에 구비되며 상기 고리 부재를 거는 걸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는, 상기 붐 프레임의 선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메인 와이어의 일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 도르래; 및 상기 붐 프레임의 말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메인 와이어의 타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 도르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걸림 도르래와 상기 제2 걸림 도르래는, 상기 탑승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는, 상기 요 회전부와 상기 윈치로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 및 상기 건물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축전지를 충전하는 태양 전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는, 상기 요 회전부, 상기 윈치, 그리고 상기 축전지를 덮으며 화염으로부터 보호하는 전장부 화염 보호 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는, 상기 수신 안테나에 구비되며 상기 수신 안테나를 화염으로부터 보호하는 안테나 화염 보호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건물의 외부와 내부를 연결하는 발코니 등의 완충 공간에 설치되어 화재시에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로, 지주 프레임과, 회전 지지부와, 요 회전부와, 붐 프레임과, 탑승부와, 그리고 윈치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발코니 등의 완충 공간으로 대피한 사람이 탑승부에 탑승한 상태에서 윈치를 통해 탑승부의 높이를 조절한 후 요 회전부를 통해 지주 프레임 및 붐 프레임을 좌우 회전시켜 붐 프레임의 말단부에 위치한 탑승부를 완충 공간의 밖으로 위치시키고, 그 다음 윈치를 다시 이용하여 탑승부를 지상까지 안전하게 내릴 수 있어, 발코니 등의 완충 공간으로 대피한 사람들을 추락의 위험없이 신속하고 안전하게 지상으로 대피시킬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는 완충 공간 중에서도 외부 창호가 없이 난간만 있는 타입의 완충 공간에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고, 난간의 높이가 높을 경우(즉, 난간의 상단과 완충 공간의 천장 사이의 높이가 사람의 키 보다 낮을 경우)에는 탑승부가 밖으로 나갈 수 있도록 난간에는 별도의 난간 여닫이 도어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회전 지지부는, 복수의 지지 칼라, 복수의 지지 브라켓, 벽면 고정부, 그리고 스러스트 베어링을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회전 지지부에 의해 지주 프레임의 회전을 안내하고 지주 프레임의 수직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탑승부를 완충 공간의 밖으로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밖으로 안내된 탑승부의 무게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벽면 고정부는 벽면 고정판과 복수의 앵커 볼트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복수의 지지 브라켓을 하나의 커다란 벽면 고정판에 이미 설치된 상태로 공급할 수 있어, 즉 각각의 지지 브라켓의 설치 위치를 개별적으로 계산하지 않고도 이미 그 위치가 셋팅된 벽면 고정판만 완충 공간의 벽면에 앵커 볼트로 고정하면 되므로, 본 발명의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의 설치가 빠르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윈치는 벽면 고정판에 구비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벽면 고정판에 윈치가 장착된 상태로 공급할 수 있어, 즉 윈치의 설치를 별도로 하지 않아도 되므로, 본 발명의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의 설치가 빠르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무선 구동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탑승부에 탑승한 상태에서 탑승부가 승강되도록 윈치에 구동 신호를 보내거나 지주 프레임이 좌우 회전되도록 요 회전부에 구동 신호를 보내는 등 발코니 등의 완충 공간으로 대피한 사람이 탑승부에 탑승한 상태에서도 충분히 윈치와 요 회전부를 구동시킬 수 있어, 탑승자 모두가 안전하게 지상으로 대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수신 안테나와 신호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탑승부에 탑승한 상태에서 무선 구동 스위치에서 송출되는 구동 신호가 상 방향으로 보이는 붐 프레임의 말단부에 구비된 수신 안테나로 보내질 수 있어, 즉 구동 신호가 벽 등의 장애물이 중간에 없이 수신 안테나로 바로 보내질 수 있어, 윈치나 요 회전부의 구동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탑승부는, 탑승 바닥판, 3개 이상의 고정 와이어, 그리고 탑승 천장판을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측벽이 없는 구조여서 탑승 바닥판과 탑승 천장판을 서로 중첩시킬 수 있어, 본 발명의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는 탑승 바닥판과 탑승 천장판을 서로 중첩시킨 상태로 보관하는 것으로 발코니 등의 완충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벽면 착탈부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벽면 착탈부를 통해 탑승 바닥판의 저면이 완충 공간의 벽면에 접한 상태로 탑승 바닥판을 벽면에 장착하거나 탈거시킬 수 있어, 발코니 등의 완충 공간을 더욱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지지 도르래, 제2 지지 도르래, 제1 걸림 도르래, 제2 걸림 도르래, 그리고 와이어 고정대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윈치를 감으면 와이어의 길이가 줄어들면서 제1 및 제2 걸림 도르래가 탑승부와 함께 동시에 올라가고 윈치를 풀면 와이어의 길이가 길어지면서 제1 및 제2 걸림 도르래가 탑승부와 함께 동시에 내려갈 수 있어, 즉 하나의 윈치에서 나오는 하나의 와이어로 탑승부를 안전하게 승강시킬 수 있다. 특히, 두 개 이상의 윈치를 사용하는 기술의 경우 시스템 오류나 조작 미숙으로 어느 하나의 윈치가 너무 많이 감겨 발생되는 안전 사고, 즉 탑승부가 기울어지는 등의 안전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경우 이러한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두 개 이상의 윈치를 사용하는 기술에 비해 제품 단가를 상당히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 걸림 도르래와 제2 걸림 도르래는 탑승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구조적으로 탑승부의 좌우 균형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와이어 엉킴 방지부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탑승부가 승강되는 동안 메인 와이어가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탑승부가 승강되는 동안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축전지와 태양 전지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태양 전지를 통해 항시 축전지를 충전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화재 등으로 가정의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본 발명의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전장부 화염 보호 덮개와 안테나 화염 보호 부재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요 회전부, 윈치, 그리고 축전지 등의 전장부를 화염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어, 대피를 할 수 있는 소정의 시간 동안 본 발명의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의 안전한 구동을 허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 중 회전 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회전 지지부의 "A" 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회전 지지부를 IV-IV 선으로 잘라 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 중 탑승부가 펼쳐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 중 와이어 엉킴 방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의 사용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의 다른 사용 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 중 회전 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회전 지지부의 "A" 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4는 도 3의 회전 지지부를 IV-IV 선으로 잘라 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 중 탑승부가 펼쳐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 중 와이어 엉킴 방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의 사용 예를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10)의 외부와 내부를 연결하는 발코니 등의 완충 공간(11)에 설치되어 화재시에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로, 지주 프레임(110)와, 회전 지지부(120)과, 요 회전부(130)와, 붐 프레임(140)과, 탑승부(150)과, 그리고 윈치(160)를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지주 프레임(pillar frame)(110)은, 붐 프레임(140)이 이에 외팔보 형태(cantilever shape)로 지지되는 등 본 발명의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100)의 기둥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지주 프레임(1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코니 등의 완충 공간(11)의 벽면(11a)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구비될 수 있다.
회전 지지부(120)는, 본 발명의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100)를 발코니 등의 완충 공간(11)의 벽면(11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회전 지지부(1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 프레임(110)을 벽면(11a)[즉, 실내외 실외를 구획하는 벽 중에서 발코니 등의 완충 공간(11)을 향하는 면]에 지지될 수 있으며 지주 프레임(110)의 요 모션[yaw motion; 지주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모션]을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지지부(120)는, 벽면(11a)에 양측 가장자리부 고정되고 중심부에서 지주 프레임(1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구조(bearing structure)를 가질 수 있다.
요 회전부(yaw rotation part)(130)는, 지주 프레임(110)에 요 모션(yaw motion)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요 회전부(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지지부(120)와 지주 프레임(11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 회전부(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모터(132), 구동 기어(133), 그리고 피동 기어(134)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모터(132)는 벽면(11a)이나 후술할 벽면 고정판(123a) 등에 구비될 수 있다. 구동 기어(133)는 구동 모터(132)에 축 결합될 수 있고, 피동 기어(134)는 지주 프레임(110)의 하단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구동 기어(133)에 맞물릴 수 있다. 따라서, 구동 모터(132)의 정역 회전력이 구동 기어(133)와 피동 기어(134)를 통해 지주 프레임(110)에 전달될 수 있고, 이 회전력을 전달받은 지주 프레임(110)은 좌우 회전되면서 요 모션을 취할 수 있다.
나아가, 요 회전부(130)는, 감속된 상태로 지주 프레임(110)을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 모터(132)와 구동 기어(133) 사이에 감속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붐 프레임(boom frame)(140)은, 지주 프레임(110)으로부터 설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탑승부(150)를 위치시키기 위한 팔(arm)과 같은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붐 프레임(14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 프레임(110)의 상단부에 외팔보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붐 프레임(140)의 말단부가 아래로 처지는 것을 막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 프레임(110)의 상단과 붐 프레임(140)을 연결하는 인장 와이어(W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탑승부(150)는, 발코니 등의 완충 공간으로 대피한 사람이 탑승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탑승부(1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붐 프레임(140)의 말단부에 메인 와이어(W10)를 통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탑승부(150)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코니의 등의 완충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그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윈치(winch)(160)는, 탑승부(150)가 승강(昇降)되도록 메인 와이어(W1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윈치(16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11a)이나 후술한 벽면 고정판(123a) 등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이 제공되므로, 발코니 등의 완충 공간(11)으로 대피한 사람이 탑승부(150)에 탑승한 상태에서 윈치(160)를 통해 탑승부(150)의 높이를 조절한 후 요 회전부(130)를 통해 지주 프레임(110) 및 붐 프레임(140)을 좌우 회전시켜 붐 프레임(140)의 말단부에 위치한 탑승부(150)를 완충 공간(11)의 밖으로 위치시키고(도 7 참조), 그 다음 윈치(160)를 다시 이용하여 탑승부(150)를 지상까지 안전하게 내릴 수 있어, 발코니 등의 완충 공간(11)으로 대피한 사람들을 추락의 위험없이 신속하고 안전하게 지상으로 대피시킬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100)는 발코니 등의 완충 공간(11) 중에서도 외부 창호가 없이 난간만 있는 타입의 완충 공간에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고, 난간(12)의 높이가 높을 경우[즉, 난간(12)의 상단과 완충 공간(11)의 천장 사이의 높이가 사람의 키 보다 낮을 경우]에는 탑승부(150)가 밖으로 나갈 수 있도록 난간(12)에는 별도의 난간 여닫이 도어(12a)가 구비될 수도 있다(도 1 및 도 7 참조).
이하, 도 2 내지 도 4을 계속 참조하여, 회전 지지부(12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회전 지지부(12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지지 칼라(support collar)(121), 복수의 지지 브라켓(support bracket)(122), 벽면 고정부(123), 그리고 스러스트 베어링(thrust bearing)(124)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지지 칼라(121)는 지주 프레임(110)의 길이를 따라 간격을 두고 그 둘레면에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고, 각각의 지지 브라켓(122)은 각각의 지지 칼라(121)를 회전 가능하게 받칠 수 있다. 벽면 고정부(123)는 각각의 지지 브라켓(122)을 벽면(11a)에 고정시킬 수 있고, 스러스트 베어링(124)은 지지 칼라(121)와 지지 브라켓(122)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지지부(120)에 의해 지주 프레임(110)의 회전(요 모션)을 안내하고 지주 프레임(110)의 수직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탑승부(150)를 완충 공간(11)의 밖으로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밖으로 안내된 탑승부(150)의 무게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다.
나아가, 회전 지지부(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 베어링(ball bearing)(1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볼 베어링(125)은 지주 프레임(110)의 둘레면과 지지 브라켓(122)의 내주면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지주 프레임(110)의 둘레면과 지지 브라켓(122)의 내주면 사이의 마찰을 방지하여 지주 프레임(110)의 회전(요 모션)을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벽면 고정부(123)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 고정판(123a)과 복수의 앵커 볼트(123b)를 포함할 수 있다. 벽면 고정판(123a)은 복수의 지지 브라켓(122)이 이에 장착될 수 있고, 복수의 앵커 볼트(123b)는 벽면 고정판(123a)을 벽면(11a)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지지 브라켓(122)을 하나의 커다란 벽면 고정판(123a)에 이미 설치된 상태로 공급할 수 있어, 즉 각각의 지지 브라켓(122)의 설치 위치를 개별적으로 계산하지 않고도 이미 그 설치 위치의 셋팅이 완료된 벽면 고정판(123a)만을 완충 공간(11)의 벽면(11a)에 앵커 볼트(123b)로 고정하면 되므로, 본 발명의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100)의 설치가 빠르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앵커 볼트(123b)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 고정판(123a)의 아래쪽 보다 위쪽에 상대적으로 더 많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붐 프레임(140) 등의 하중이 미치는 지주 프레임(110)의 상단부를 보다 견고히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벽면 고정판(123a)에는 윈치(160)와 구동 모터(132)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벽면 고정판(123a)에 윈치(160)가 장착된 상태로 공급할 수 있어, 즉 윈치(160)의 설치를 별도로 하지 않아도 되므로, 본 발명의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100)의 설치가 빠르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도 1, 도 5 및 도 7을 계속 참조하여, 탑승부(15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탑승부(150)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 바닥판(151), 3개 이상의 고정 와이어(152), 그리고 탑승 천장판(153)을 포함할 수 있다. 탑승 바닥판(151)은 탑승한 사람이 발로 디딜 수 있는 면적을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고정 와이어(152)는 탑승 바닥판(151)의 가장자리부에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이의 선단부가 각각 고정될 수 있다. 탑승 천장판(153)은 이의 가장자리부에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각각의 고정 와이어(152)의 말단부가 고정될 수 있으며 메인 와이어(W1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측벽이 없는 구조여서 탑승 바닥판(151)과 탑승 천장판(153)을 서로 중첩시킬 수 있어, 본 발명의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100)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는 탑승 바닥판(151)과 탑승 천장판(153)을 서로 중첩시킨 상태로 보관하는 것으로 발코니 등의 완충 공간(11)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 착탈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벽면 착탈부(170)는 탑승 바닥판(151)의 저면이 완충 공간(11)의 벽면(11a)에 접한 상태로 탑승 바닥판(151)과 탑승 천장판(153)을 벽면(11a)에 장착하거나 탈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발코니 등의 완충 공간(11)을 더욱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벽면 착탈부(170)는, 고리 부재(171)와 걸이 부재(172)를 포함할 수 있다. 고리 부재(171)는 탑승 바닥판(151)과 탑승 천장판(153)에 구비될 수 있고, 걸이 부재(172)는 벽면(11a)에 구비될 수 있으며 고리 부재(171)를 걸 수 있다. 물론, 벽면 착탈부(170)는, 다른 예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밸크로(valcro)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구동 스위치(18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구동 스위치(181)는 탑승부(150)에 구비될 수 있으며 탑승부(150)가 승강되도록 윈치(160)에 구동 신호를 송신하거나 지주 프레임(110)이 좌우 회전되도록 요 회전부(130)에 구동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탑승부(150)에 탑승한 상태에서 탑승부(150)가 승강되도록 윈치(160)에 구동 신호를 보내거나 지주 프레임(110)이 좌우 회전되도록 요 회전부(130)에 구동 신호를 보내는 등 발코니 등의 완충 공간으로 대피한 사람이 탑승부(150)에 탑승한 상태에서도 충분히 윈치(160)와 요 회전부(130)를 구동시킬 수 있어, 사람들 모두가 안전하게 지상으로 대피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대피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안테나(182)와 신호 전송부(1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안테나(182)는 붐 프레임(140)의 말단부에 구비될 수 있고 구동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신호 전송부(183)는 수신 안테나(182)의 구동 신호를 윈치(160)나 요 회전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탑승부(150)에 탑승한 상태에서 무선 구동 스위치(181)에서 송출되는 구동 신호가 상 방향으로 보이는 붐 프레임(140)의 말단부에 구비된 수신 안테나(182)로 보내질 수 있어, 즉 구동 신호가 벽 등의 장애물이 중간에 없이 수신 안테나(182)로 바로 보내질 수 있어, 윈치(160)나 요 회전부(130)의 구동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전송부(183)는 유선일 수 있다. 따라서, 수신 안테나(182)와 윈치(160), 그리고 수신 안테나(182)와 요 회전부(130)가 유선을 통해 간단하게 연결될 수 있어, 고가의 무선 통신 기기를 추가적으로 사용하지 않아도 되어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 도르래(R11), 제2 지지 도르래(R12), 제1 걸림 도르래(R13), 제2 걸림 도르래(R14), 그리고 와이어 고정대(R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도르래(R11)는 붐 프레임(140)의 선단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메인 와이어(W10)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고, 제2 지지 도르래(R12)는 붐 프레임(140)의 말단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메인 와이어(W10)의 타부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걸림 도르래(R13)는 탑승부(150)의 제1 부분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지지 도르래(R12)를 기준으로 메인 와이어(W10)의 후단측[즉, 메인 와이어(W10)의 말단 방향으로, 메인 와이어(W10) 중 제2 지지 도르래(R12)를 지나친 부분]을 걸 수 있고, 제2 걸림 도르래(R14)는 탑승부(150)의 제2 부분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걸림 도르래(R13)를 기준으로 메인 와이어(W10)의 후단측[즉, 메인 와이어(W10)의 말단 방향으로, 메인 와이어(W10) 중 제1 걸림 도르래(R13)를 지나친 부분]을 걸 수 있다. 와이어 고정대(R15)는 붐 프레임(140)의 말단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메인 와이어(W10)의 말단을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윈치(160)를 감으면 메인 와이어(W10)의 길이가 줄어들면서 제1 및 제2 걸림 도르래(R13)(R14)가 탑승부(150)와 함께 동시에 올라가고 윈치(160)를 풀면 메인 와이어(W10)의 길이가 길어지면서 제1 및 제2 걸림 도르래(R13)(R14)가 탑승부(150)와 함께 동시에 내려갈 수 있어, 즉 하나의 윈치(160)에서 나오는 하나의 메인 와이어(W10)로 탑승부(150)의 두 군데가 지지되면서 탑승부(150)를 안전하게 승강시킬 수 있다. 특히, 두 개 이상의 윈치를 사용하는 기술(미도시)의 경우 시스템 오류나 조작 미숙으로 어느 하나의 윈치가 너무 많이 감겨 발생되는 안전 사고, 즉 탑승부가 기울어지는 등의 안전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경우 이러한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두 개 이상의 윈치를 사용하는 기술에 비해 탑승부(150)의 상하 구동(이동) 속도를 대략 1.5배 이상 높일 수 있으며 제품 단가를 상당히 낮출 수 있다.
나아가, 제1 걸림 도르래(R13)와 제2 걸림 도르래(R1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부(15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구조적으로 탑승부(150)의 좌우 균형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100)는,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엉킴 방지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엉킴 방지부(190)는 탑승부(150)가 승강되는 동안 메인 와이어(W10)가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탑승부(150)가 승강되는 동안 와이어 엉킴 방지부(190)를 통해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와이어 엉킴 방지부(190)의 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메인 와이어(W10)는, 제1 와이어 부분(W10a)과 제2 와이어 부분(W1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와이어 부분(W10a)은 제2 지지 도르래(R12)와 제1 걸림 도르래(R13) 사이에 위치하고, 제2 와이어 부분(W10b)은 제2 걸림 도르래(R14)와 와이어 고정대(R15) 사이에 위치한다. 물론, 제1 와이어 부분(W10a)과 제2 와이어 부분(W10b)은 한 줄로 이루어진 메인 와이어(W10)의 일 부분일 뿐이며, 메인 와이어가 여러 줄로 이루어졌다는 의미는 아니다.
이 경우, 와이어 엉킴 방지부(19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 부재(191), 일측 상단 안내 롤러부(192), 일측 하단 안내 롤러부(193), 타측 상단 안내 롤러부(194), 그리고 타측 하단 안내 롤러부(195)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격 부재(191)는 제1 와이어 부분(W10a)과 제2 와이어 부분(W10b) 사이에 구비되며 그 사이를 이격시킬 수 있다. 일측 상단 안내 롤러부(192)는 이격 부재(191)의 일측 상단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와이어 부분(W10a)을 안내할 수 있고, 일측 하단 안내 롤러부(193)는 이격 부재(191)의 일측 하단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와이어 부분(W10a)을 계속 안내할 수 있다. 타측 상단 안내 롤러부(194)는 이격 부재(191)의 타측 상단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와이어 부분(W10b)을 안내할 수 있고, 타측 하단 안내 롤러부(195)는 이격 부재(191)의 타측 하단에 구비될 수 있으며 타측 상단 안내 롤러부(194)와 함께 제2 와이어 부분(W10b)을 안내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100)는,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전지(B10)와 태양 전지(B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축전지(B10)는 요 회전부(130)와 윈치(16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태양 전지(B20)는 건물의 외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축전지(B10)를 충전할 수 있다.
따라서, 태양 전지(B20)를 통해 항시 축전지(B10)를 충전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화재 등으로 가정의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본 발명의 가정용 화재 대비 장치(10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장부 화염 보호 덮개(F10)와 안테나 화염 보호부(F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장부 화염 보호 덮개(F10)는, 요 회전부(130), 윈치(160), 그리고 축전지(B10) 등을 덮을 수 있으며 화염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점토나 석고 등의 내화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안테나 화염 보호 부재(F20)는 고분자 화합물의 방염 재질로 수신 안테나(182)에 코팅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수신 안테나(182)를 화염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나아가, 유선의 신호 전송부(183)가 매입되는 붐 프레임(140)의 외면에도 방염 재질의 화염 보호 부재(미도시)가 코팅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100)는, 일 예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고층 건물(예를 들어, 아파트, 주상복합, 호텔, 모텔, 연립주택, 빌라 등)의 각 호실의 완충 공간(발코니나 배란다 등)에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사용될 수도 있고, 다른 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층 건물의 각호 라인(층은 다르지만 동일한 호수로 이루어진 라인, 예를 들어, 30층 건물의 경우, 1층 1호와 30층 1호는 동일한 1호 라인이고, 1층 2호와 30층 2호는 동일한 2호 라인임)의 맨 꼭대기 층의 완충 공간에만 한 대 설치되어 관리실 등에서 이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것으로 그 이하 층 모두의 대피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100)가 고층 건물의 각호 라인의 맨 꼭대기 층에만 설치되어 사용될 경우, 각각의 호실에 각각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에 비해 비용을 상당히 절약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건물 11: 발코니 등의 완충 공간
11a: 완충 공간의 벽면 12: 난간
100: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 110: 지주 프레임
120: 회전 지지부 121: 지지 칼라
122: 지지 브라켓 123: 벽면 고정부
124: 스러스트 베어링 125: 볼 베어링
130: 요 회전부 132: 구동 모터
133: 구동 기어 134: 피동 기어
140: 붐 프레임 150: 탑승부
151: 탑승 바닥판 152: 고정 와이어
153: 탑승 천장판 160: 윈치
W10: 메인 와이어 W10a: 제1 와이어 부분
W10b: 제2 와이어 부분 170: 벽면 착탈부
181: 무선 구동 스위치 182: 수신 안테나
183: 신호 전송부 R11: 제1 지지 도르래
R12: 제2 지지 도르래 R13: 제1 걸림 도르래
R14: 제2 걸림 도르래 R15: 와이어 고정대
190: 와이어 엉킴 방지부 B10: 축전지
B20: 태양 전지 F10: 전장부 화염 보호 덮개
F20: 안테나 화염 보호부

Claims (3)

  1. 건물의 외부와 내부를 연결하는 발코니 등의 완충 공간에 설치되어 화재시에 사람을 대피시키기 위한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로,
    상기 완충 공간의 벽면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지주 프레임;
    상기 지주 프레임을 상기 벽면에 지지하며 상기 지주 프레임의 요 모션을 안내하는 회전 지지부;
    상기 지주 프레임에 요 모션을 제공하는 요 회전부;
    상기 지주 프레임의 상단부에 외팔보 형태로 구비되는 붐 프레임;
    상기 붐 프레임의 말단부에 메인 와이어를 통해 구비되며 사람이 탑승하는 탑승부; 및
    상기 탑승부가 승강되도록 상기 메인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는 윈치;
    를 포함하고,
    상기 탑승부는,
    탑승한 사람이 발로 디딜 수 있는 탑승 바닥판;
    상기 탑승 바닥판의 가장자리부에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선단부가 각각 고정되는 3개 이상의 고정 와이어; 및
    상기 각각의 고정 와이어의 말단부가 가장자리부에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고정되며 상기 메인 와이어와 연결되는 탑승 천장판;
    을 포함하고,
    상기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는,
    상기 탑승 천장판에 구비되며 상기 메인 와이어의 후단측을 거는 제1 걸림 도르래;
    상기 탑승 천장판에 구비되며 상기 제1 걸림 도르래를 기준으로 상기 메인 와이어의 후단측을 거는 제2 걸림 도르래; 및
    상기 붐 프레임의 말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메인 와이어의 말단을 고정시키는 와이어 고정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는,
    상기 탑승부가 승강되는 동안 상기 메인 와이어 중 상기 제1 걸림 도르래에 진입되기 전인 제1 와이어 부분과 상기 제2 걸림 도르래로부터 진출된 후인 제2 와이어 부분이 서로 엉키는 것을 방지하는 와이어 엉킴 방지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엉킴 방지부는,
    상기 메인 와이어 중 상기 제1 와이어 부분과 상기 제2 와이어 부분 사이에 구비되며 그 사이를 이격시키는 이격 부재;
    상기 이격 부재의 일측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와이어 부분을 안내하는 일측 상단 안내 롤러부;
    상기 이격 부재의 일측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와이어 부분을 안내하는 일측 하단 안내 롤러부;
    상기 이격 부재의 타측 상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와이어 부분을 안내하는 타측 상단 안내 롤러부; 및
    상기 이격 부재의 타측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와이어 부분을 안내하는 타측 하단 안내 롤러부;
    를 포함하는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회전 지지부는,
    상기 지주 프레임의 길이를 따라 간격을 두고 그 둘레면에 돌출되게 구비되는 복수의 지지 칼라;
    상기 각각의 지지 칼라를 회전 가능하게 받치는 각각의 지지 브라켓;
    상기 각각의 지지 브라켓을 상기 벽면에 고정시키는 벽면 고정부; 및
    상기 지지 칼라와 상기 지지 브라켓 사이에 구비되는 스러스트 베어링;
    을 포함하는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는,
    상기 탑승부에 구비되며 상기 탑승부가 승강되도록 상기 윈치에 구동 신호를 송신하거나 상기 지주 프레임이 좌우 회전되도록 상기 요 회전부에 구동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구동 스위치
    를 더 포함하는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
KR1020200139609A 2020-10-26 2020-10-26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 KR102362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609A KR102362394B1 (ko) 2020-10-26 2020-10-26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609A KR102362394B1 (ko) 2020-10-26 2020-10-26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2394B1 true KR102362394B1 (ko) 2022-02-14

Family

ID=80254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9609A KR102362394B1 (ko) 2020-10-26 2020-10-26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239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524Y1 (ko) * 2004-04-01 2004-09-20 정춘열 완강기 거치대
KR20170089692A (ko) * 2016-01-27 2017-08-04 주식회사 스맥 전동식 건물 비상 탈출 장치
KR20190131296A (ko) * 2018-05-16 2019-11-26 한세욱 완강형 소방 및 재난 대피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524Y1 (ko) * 2004-04-01 2004-09-20 정춘열 완강기 거치대
KR20170089692A (ko) * 2016-01-27 2017-08-04 주식회사 스맥 전동식 건물 비상 탈출 장치
KR20190131296A (ko) * 2018-05-16 2019-11-26 한세욱 완강형 소방 및 재난 대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40384A (en) Emergency evacuation system for high-rise buildings
US4406351A (en) Emergency escape system for use in multistoried buildings
JP4511520B2 (ja) 高層建築物の上層階に外側から到達する方法と装置
KR101934979B1 (ko) 소방용 무인 인명구조장치
EP3030325B1 (en) Device for evacuating individuals
US20100163339A1 (en) Fire escape apparatus for building
US3945469A (en) Escape elevator
KR100841211B1 (ko) 건물용 화재피난장치
US6318503B1 (en) Exterior emergency escape system for use on a multi-storied building
KR20070024457A (ko) 고층 소방, 구조 및 건설 장비
KR102362394B1 (ko) 가정용 화재 대피 장치
KR101771711B1 (ko)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
KR102362388B1 (ko) 화재 대피 장치
CN211169414U (zh) 住宅外加装电梯的结构
KR101771712B1 (ko)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
US20050016794A1 (en) High-rise fire-fighting, rescue and construction equipment
WO2015180629A1 (zh) 一种具有灭火救援功能的放绳设备
KR20140133378A (ko) 고층 건물 화재 대비 비상용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형성하는 방법
KR20180118502A (ko) 긴급상황 대피 또는 화재진압용 리프트장치
WO2021141556A1 (en) Innovation in facade access systems
KR101898984B1 (ko) 고층건물의 긴급 대피용 엘리베이트장치
RU2288759C2 (ru) Спаса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высотных зданий
WO2023140392A1 (ko) 화재 대피 장치
KR101771709B1 (ko)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
CN104906701A (zh) 一种具有灭火救援功能的建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