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2043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2043B1
KR102362043B1 KR1020160001138A KR20160001138A KR102362043B1 KR 102362043 B1 KR102362043 B1 KR 102362043B1 KR 1020160001138 A KR1020160001138 A KR 1020160001138A KR 20160001138 A KR20160001138 A KR 20160001138A KR 102362043 B1 KR102362043 B1 KR 102362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base station
broadcast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1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2014A (ko
Inventor
윤승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1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2043B1/ko
Publication of KR20170082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2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26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location or mo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4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6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with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e.g. for direction or speed deter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및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을 위한 기술과 관련된 것이다. 본 개시는 상기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지능형 서비스(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활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으로 상기 단말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자원 제어 설정 완료 전에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으로 상기 단말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로 페이징 메시지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노드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로 페이징 메시지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장치는, 기지국으로 상기 단말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장치는,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로 페이징 메시지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노드의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로 페이징 메시지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기지국 및 제어 노드로 단말이 고정된 위치에 위치함을 알리는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데이터 송수신 시간 및 통신 장치에서 소모되는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노드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절차를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절차를 도시한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절차를 도시한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절차를 도시한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노드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절차를 도시한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식별 정보를 이용한 그룹 통신 수행 절차를 도시한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방송 요청 정보를 송신 절차를 도시한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방송 정보 송신 절차를 도시한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노드의 동작 절차를 예시한다.
도 1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모드를 알리는 절차를 도시한다.
도 1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모드에 따른 정보 송신 절차를 도시한다.
도 1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지원 정보 비트맵을 도시한다.
도 17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지원 정보 비트맵을 도시한다.
도 1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재 전송 요청 절차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특히,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기지국 및 제어 노드로 단말의 위치 정보를 갱신하는 과정에서 단말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이하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수의 단말들이 데이터를 송수신함에 있어서,무선 자원 및 전송 시간을 절약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제어 정보를 지칭하는 용어, 망 객체(network entity)들을 지칭하는 용어, 메시지들을 지칭하는 용어, 장치의 구성 요소를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3GPP LTE(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규격에서 정의하고 있는 용어 및 명칭들이 일부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상기 용어 및 명칭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규격에 따르는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허가 혹은 비허가 주파수를 이용한 통신이 제공되는 휴대용 또는 비휴대용 전자 장치(portable electronic device)일 수 있으며,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전화(mobile phone), 이동 패드(mobile pad),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는 상술한 장치들 중 둘 이상의 기능들을 결합한 장치일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들, 단말들 및 제어 노드가 위치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환경을 예시한다.
도 1을 참고하면, 제어 노드 130은 기지국 120-1 및 기지국 120-2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한다. 기지국 120-1은 다수의 단말들 110-1, 110-2, 110-3, 110-4, 110-5, 110-6, 110-7 및 110-8과 통신을 수행한다. 기지국 120-2는 다수의 단말들 110-9, 110-10, 110-11, 110-12, 110-13, 110-14, 110-15 및 110-16과 통신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통신을 위해, 단말들 110-1, 110-2, 110-3, 110-4, 110-5, 110-6, 110-7 및 110-8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무선 자원 제어 (radio resource control, RRC) 연결 설정을 수행한다. 제어 노드 130은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일수 있다. RRC 연결 설정은 단말들 110-1, 110-2, 110-3, 110-4, 110-5, 110-6, 110-7 및 110-8이 기지국 120-1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이전에 수행된다. 단말들 110-1, 110-2, 110-3, 110-4, 110-5, 110-6, 110-7 및 110-8은 기지국 120-1로 RRC 연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기지국 120-1로부터 RRC 연결 설정 메시지를 수신하고,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RRC 연결 설정을 수행한다. 단말들 110-1, 110-2, 110-3, 110-4, 110-5, 110-6, 110-7 및 110-8은 RRC 연결 설정을 수행함으로써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들 110-1, 110-2, 110-3, 110-4, 110-5, 110-6, 110-7 및 110-8은 단말의 위치 정보를 갱신하면서 기지국 120-1로 단말의 비 이동(stationary)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송신한다. 기지국 120-1은 제어 노드 130으로 단말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전달한다. 기지국 120-1은 단말들 110-1, 110-2, 110-3, 110-4, 110-5, 110-6, 110-7 및 110-8로부터 단말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단말들의 위치가 각각 고정된 위치에 위치함을 판단할 수 있다. 기지국 120-1은 단말들 110-1, 110-2, 110-3, 110-4, 110-5, 110-6, 110-7 및 110-8의 고정된 위치에 관련된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한다. 제어 노드 130은 기지국 120-1로부터 단말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단말의 위치 정보를 변경하고, 단말들 110-1, 110-2, 110-3, 110-4, 110-5, 110-6, 110-7 및 110-8가 고정된 위치에 위치함을 인지한다. 제어 노드 130이 단말들 110-1, 110-2, 110-3, 110-4, 110-5, 110-6, 110-7 및 110-8가 고정된 위치에 위치함을 인지함으로써, 다수의 기지국들의 그룹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즉, 기지국 120-1 및 기지국 120-2는 그룹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노드 130, 기지국 120-1 및 기지국 120-2는 단말의 위치가 고정됨을 인지함으로써, 단말의 RRC 연결 전 페이징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다수의 단말들 110-1, 110-2, 110-3, 110-4, 110-5, 110-6, 110-7, 110-8, 110-9, 110-10, 110-11, 110-12, 110-13, 110-14, 110-15 및 110-16은 3GPP(3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23.682 v13 CR 0113에 소개된 예측 가능한(predictable) 통신(communication) 패턴 정보 중에 비 이동 지시(indication)을 특정 서버를 통하여 제어노드 130으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단말 110은 기지국 120으로 RRC 연결 설정에서 RRC 연결 요청 메시지에 단말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포함하여 송신한다. 기지국 120은 RRC 연결 설정 메시지에 데이터를 포함하여 송신한다. 단말 110은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에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대한 응답을 포함하여 송신한다. 기지국 120은 단말 110으로부터 수신한 단말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고, 단말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110이 고정된 위치에 위치함을 인지한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단말 110의 구성을 예시한다. 이하 사용되는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단말은 통신부 210, 저장부 220, 제어부 230을 포함한다.
통신부 210은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 210은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통신부 21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통신부 210은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통신부 210은 기지국 120으로 랜덤 액세스 요청(random access request)를 송신하고, 기지국 120으로부터 상향링크 자원 할당(uplink resource allocation)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향링크 자원 할당 메시지는 단말 110이 송신한 랜덤 넘버(random number) 및 RACH 자원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 210은 송신부, 수신부 및 송수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통신부 210은 제어부 230의 제어에 기초하여 동작한다.
일 실시 예에따라, 통신부 210은 단말의 위치 정보를 갱신하는 과정에서 단말 110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기지국 120으로 송신한다. 통신부 210은 기지국 120으로 단말 110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제어 노드 130으로부터 페이징(paging) 메시지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한다. 페이징 메시지는 호출 메시지로 지칭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는 긴급(emergency) 확인(check up) 메시지 또는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와 같은 단문 메시지(short message)일 수 있다. 데이터는 페이징 메시지 또는 RRC 연결 설정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을 정도의 작은 크기의 데이터이다. 통신부 210은 RRC 연결 전 기지국 120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 210은 기지국 120을 통하여 제어 노드 130으로 단말 110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 210은 RRC 연결 설정 과정에서 RRC 연결 설정 요청 메시지에 단말 110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한다. 통신부 210은 기지국 120으로부터 RRC 연결 설정 메시지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한다. 통신부 210은 기지국 120으로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를 통하여 수신한 데이터에 대한 응답을 송신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 210은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를 통하여 단말 110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송신한다. 응답은 ACK (acknowledge) 또는 NACK(non-acknowledge) 일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 210은 기지국 120으로 단말 110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송신하고, 방송(broadcasting)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한다. 통신부 210은 기지국 120에 단말 110의 비 이동 모드임이 등록된 경우, 기지국 120으로부터 방송 정보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 210은 기지국 120 및 제어 노드 130으로부터 단말의 비 이동 모드 지원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을 수신한다. 시스템 정보는 단말의 비 이동 모드 지원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및 비 이동 모드 설정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 210은 기지국 120 및 제어 노드 130으로부터 방송 식별자를 수신한다. 방송 식별자는 단말 110의 그룹 통신을 위하여 이용된다.
예를 들어, 통신부 210은 랜덤 액세스 요청을 송신하고, 상향링크 자원 할당 메시지를 수신하고, 프리앰블을 송신하고, 데이터를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응답을 수신하고, 데이터의 수신 여부에 따라서 데이터 수신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미 수신 데이터에 대한 재 송신을 요청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 210은 송수신부로 지칭 될 수 있다. 송수신부는 기지국으로 단말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송신하고, 기지국으로부터 자원 제어 설정 완료 전에 데이터를 수신한다.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는, 단말이 일정한 위치에 일정시간 동안 고정되게 위치함을 알리는 정보, 단말의 비 이동 모드 지원 여부를 알리는 정보 및 가용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송수신부는 기지국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 및 자원 제어 설정 메시지 중 하나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한다. 송수신부는 기지국으로 방송 식별 정보 및 방송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요청 정보를 송신한다. 송수신부는 자원 제어 설정 요청 메시지를 통하여 단말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송신한다. 송수신부는 랜덤 액세스 메시지를 통하여 미 수신 데이터에 대한 재 전송 요청을 송신한다.
저장부 220은 단말 110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 220은 채널 정보의 피드백을 위한 코드북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저장부 220은 단말 110의 움직임에 대하여 측정하는 가속계(accelerometer)의 측정 값을 저장한다. 저장부 220은 가속계의 측정 값과 비교하기 위한 특정 값을 저장한다. 저장부 220은 단말 110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 220은 기지국 120 또는 제어 노드 130으로부터 통신부 210을 통하여 수신되는 방송 식별자를 저장한다. 저장부 220은 기지국 120 또는 제어 노드 130으로부터 통신부 210을 통하여 수신되는 시스템 정보에 포함된 기지국 120 또는 제어 노드 130의 비 이동 모드 지원 여부를 알리는 정보를 저장한다. 통신부 210은 자원 제어 설정 메시지들 중 하나를 통하여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송신한다.
제어부 230은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 230은 통신부 210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제어부 230은 저장부 22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이를 위해, 제어부 23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230은 통신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CP(communication processor) 및 응용 프로그램 등 상위 계층(layer)을 제어하는 AP(appl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 230은 가속계의 측정 값과 임계값을 비교함으로써, 단말 110의 이동 모드를 판단한다. 가속계의 측정 값이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제어부 230은 단말 110을 비 이동 모드로 판단한다. 가속계의 측정 값이 임계값보다 클 경우 단말 110을 이동 모드로 판단한다. 제어부 230은 통신부 210 및 저장부 22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 230은 저장부 220에 저장된 방송 식별자에 기초하여 통신부 210의 방송 정보 송수신을 제어한다. 제어부 23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230은 가속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의 위치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장치를 이용하여 단말이 특정 지역 또는 특정 위치에 고정적으로 위치한다고 판단할 경우, 단말 110을 비 이동 모드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 230은 단말 110이 이하 도 5, 도 6, 도 7, 도 10, 도 11, 도 14, 도 15, 도 18에 도시된 절차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기지국 120의 구성을 예시한다. 이하 사용되는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기지국은 통신부 310, 저장부 320, 백홀 통신부 330, 제어부 340를 포함한다.
통신부 310은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 310은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통신부 31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통신부 310은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또한, 통신부 310은 기저대역 신호를 RF(radio frequency) 대역 신호로 상향 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 310은 송신 필터(filter),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mixer), 오실레이터(oscillator), DAC(Digital to Analog Convertor), ADC(Analog to Digital Conver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 310은 다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 310은 빔포밍(beamforming)을 수행할 수 있다. 빔포밍을 위해, 통신부 310은 다수의 안테나들 또는 안테나 요소(element)들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각각의 위상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통신부 3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에 따라, 통신부 310은 송신부, 수신부 또는 송수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통신부 310은 제어부 340의 제어에 기초하여 동작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통신부 310은 단말 110으로부터 단말 110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수신한다. 통신부 310은 단말로부터 수신한 단말 110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제어 노드 130으로 송신한다. 통신부 310은 제어 노드 130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한다. 통신부 310은 제어 노드 130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통하여 수신한 데이터를 단말 110으로 전달한다. 통신부 310은 제어 노드 130으로부터 방송 식별자를 수신한다. 통신부 310은 제어 노드 130으로부터 수신한 방송 식별자를 단말 110으로 송신한다. 통신부 310은 주파수 자원 관리 (radio resource control, RRC)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RRC 연결 요청 메시지는 단말 110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 310이 단말 110으로부터 단말 110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포함한 RRC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단말 110으로 RRC 연결 설정 메시지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신한다. 통신부 310이 단말 110으로 RRC 연결 설정 메시지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신한 경우,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를 통하여 데이터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RRC 연결 요청 메시지, RRC 연결 설정 메시지 및 RRC 연결 설정 완료(radio resource control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는, 단말 110에 의하여 시작되는 RRC 연결 설정 절차에서 단말 110 및 기지국 120 사이에서 송수신 된다. 응답은 ACK (acknowledge) 또는 NACK(non-acknowledge) 일수 있다. 통신부 310은 제어 노드 130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한다. 데이터는 페이징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을 정도로 작은 데이터이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송수신부는 단말로부터 단말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수신하고, 단말로 자원 제어 설정 완료 전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는, 상기 단말이 일정한 위치에 일정시간 동안 고정되게 위치함을 알리는 정보, 상기 단말의 비 이동 모드 지원 여부를 알리는 정보 및 가용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통신부 310은 자원 제어 설정 메시지들 중 하나를 통하여 단말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수신한다.
저장부 320은 기지국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 320은 데이터 신호의 빔포밍을 위한 코드북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 320은 제어부 34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저장부 320은 단말 110으로부터 수신되는 단말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 320은 제어 노드 130으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식별자를 저장한다. 저장부 320은 단말 110으로부터 송신되는 단말 110의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 320은 내부 저장 장치(internal storage)로 지칭될 수 있다. 저장부 320은 단말의 비 이동 모드 지원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한다.
백홀 통신부 330은 네트워크 내 다른 노드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백홀통신부 330는 기지국에서 다른 노드, 예를 들어, 다른 기지국, 제어 노드, 코어망 등으로 송신되는 비트열을 물리적 신호로 변환하고,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물리적 신호를 비트열로 변환한다. 일 실시 예에따라, 백홀 통신부 330은 다른 기지국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제어부 340은 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 340은 통신부 310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제어부 340은 저장부 32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이를 위해, 제어부 34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 340은 단말들의 그룹 통신 가능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 340은 기지국 120이 이하 도 5, 도 6, 도 8, 도 10, 도 10, 도 12, 도 14, 도 18 등에 도시된 절차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노드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도 4는 제어 노드 130의 구성을 예시한다. 이하 사용되는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제어 노드 130은 통신부 410, 저장부 420 및 제어부 430을 포함한다.
통신부 410은 네트워크 내 다른 노드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통신부 410은 제어 노드에서 다른 노드, 예를 들어, 기지국, 코어 망, 인증 서버 등으로 송신되는 비트열을 물리적 신호로 변환하고,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물리적 신호를 비트열로 변환한다. 일 실시 예에따라, 통신부 410은 기지국 120으로부터 단말 110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수신한다. 통신부 410은 기지국 120으로 페이징 메시지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신한다. 데이터는 작은 크기의 데이터이다. 통신부 410은 기지국 120으로 그룹 통신 지원을 위한 방송 식별자를 송신한다. 통신부 410은 단말 110의 데이터 수신 여부를 나타내는 응답을 기지국 120을 통하여 수신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통신부 410은 송수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송수신부는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수신하고, 기지국으로 페이징 메시지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신한다.
저장부 420은 제어 노드 130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저장부 420은 단말들의 서빙 셀 관리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서빙 셀 관리 정보는 상기 단말들 각각의 서빙 셀 목록, 서빙 셀 별 무선 링크 품질 정보, 서빙 셀 별 부하 수준 정보 등을 포함하며, 테이블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 420은 제어부 43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저장부 420은 단말 110으로부터 기지국 120을 통하여 수신되는 단말 110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 420은 단말 110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에 기초하여 갱신된 단말의 위치를 저장한다.
제어부 430은 제어 노드 130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 430은 통신부 410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제어부 430는 상기 저장부 42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제어부 430은 기지국 120-1 및 기지국 120-2의 셀 내에 존재하는 다수의 단말들 110-1, 110-2, 110-3, 110-4, 110-5, 110-6, 110-7, 110-8, 110-9, 110-10, 110-11, 110-12, 110-13, 110-14, 110-15 및 110-16의 이동성을 관리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 430은 기지국 120으로부터 수신하는 단말 110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110이 고정된 위치에 위치함을 결정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 430은 방송 식별 정보를 생성한다. 방송 식별 정보는 단말들의 그룹 통신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 430는 제어 노드가 도시된 절차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 430은 제어 노드 130이 이하 도 5, 도 6, 도 9, 도 10, 도 13, 도 14에 도시된 절차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절차를 도시한다. 도 5는 단말 110이 RRC 연결 설정 절차에서 단말 110의 비 이동(stationary)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절차를 예시한다.
도 5를 참고하면, 501단계에서 단말 110은 단말의 위치 정보를 갱신한다. 단말 110은 단말 110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 120으로 송신한다. 기지국 120은 단말 110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어 노드 130으로 전송한다. 제어 노드 130은 단말 110의 위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의 위치 정보를 갱신한다.
503단계에서 제어 노드 130은 갱신된 단말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하는 단말 110에게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하여 기지국 120으로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페이징 메시지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페이징 메시지에 포함된 데이터는 기지국 120이 저장할 수 있다.
505단계에서 단말 110은 기지국 120으로 단말 110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송신한다. 단말 110은 기지국 120으로 RRC 연결 설정 요청 메시지를 통하여 단말 110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송신한다. 단말 110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는, 단말 110이 특정 위치에 고정되고 위치함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단말 110은 단말 110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와 가용 시간(valid time)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507단계에서 기지국 120은 단말 110으로 데이터를 송신한다. 기지국 120은 RRC 연결 설정 메시지를 통하여 제어 노드 130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송신한다. 기지국 120은 501단계에서 단말 110의 갱신된 위치 정보와 505단계에서 수신한 단말 110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의 위치가 변경이 없음을 알 수 있다. 갱신된 위치 정보는 기지국 120의 저장부에 저장된다.
509단계에서 단말 110은 데이터에 대한 응답을 송신한다. 단말 110은 데이터에 대한 응답을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를 통하여 송신한다. 505단계, 507단계 및 509단계에 따라서, 단말 110은 단말 110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송신 함으로써 RRC 연결 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110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 및 가용 시간 정보는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를 통하여 송신될 수 있다. 단말 110이 비 이동 모드인 경우, 비 이동 단말 또는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단말로 지칭될 수 있다. 여기서 505단계, 507단계 및 509단계를 자원 제어 연결 설정 511 절차로 지칭할 수 있다. 단말 110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 및 가용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RRC 연결 설정 완료 메시지는 하기의 표 1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6000965304-pat00001
표 1에 따르면, RRC 연결 요청 완료 메시지는 MTC 모드와 MTC 모드 가용 시간 설정 정보를 포함한다. MTC 모드는 이동(non-stationary) 모드, 비 이동(stationary) 모드 및 여분(spare)을 포함한다. MTC 가용 시간은 정수로 0 부터 7200까지 설정된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절차를 도시한다. 도 6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110이 영구히 또는 일정시간 동안 비 이동 모드일 경우, 단말 110이 RRC 설정 절차 없이 페이징(paging) 메시지를 통하여 제어 노드 130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절차를 예시한다.
도 6을 참고하면, 601단계에서 단말 110은 단말의 위치 정보를 갱신한다. 단말 110은 주기적으로 자신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 120을 통하여 제어 노드 130으로 보고한다. 기지국 120은 단말 110으로부터 수신되는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제어 노드 130으로 전달한다. 여기서, 단말 110은 단말 110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기지국 120으로 송신한다. 기지국 120은 단말 110으로부터 수신된 단말 110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제어 노드 130으로 전달한다.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는, 단말 110이 단말 110의 위치가 일정시간 동안 변함없이 특정 위치에 고정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단말 110이 특정 위치에서 이동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위치함을 알리는 정보이다. 단말 110은 단말 110의 위치가 특정 위치에 고정됨을 가속계를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603단계에서, 단말 110은 동일한 위치에 정지한다. 즉, 기지국 120을 통하여 제어 노드 130으로 단말 110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송신한 단말 110은 동일한 위치에 정지한다. 예를 들어, 단말 110은 시간적으로 가장 최근에 위치했던 기지국 120의 셀 내에서 동일한 위치에 정지한다. 예를 들어, 단말 110은 가속계, GPS 등의 단말 위치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장치를 이용하여 단말 110이 특정 지역 또는 특정 위치에 고정적으로 위치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605단계에서, 제어 노드 130은 기지국 120으로 페이징 메시지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는 페이징 메시지 내에 포함되는 작은 크기의 데이터 일수 있다. 또한, 데이터는 하향링크(downlink) 데이터로 지칭될 수 있다. 제어 노드 130은 601단계에서 수신한 단말 110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110이 동일한 위치에 고정됨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노드 130은 단말 110의 위치가 동일한 위치에 고정됨에 따라서, 단말 110으로부터 단말의 갱신된 위치 정보의 수신 또는 단말 110의 RRC 연결 설정 절차 수행 없이 단말 110으로 페이징 메시지 송신 절차에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607단계에서, 기지국 120은 단말 110으로 페이징 메시지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신한다. 기지국 120은 601단계에서 수신한 단말 110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110이 동일한 위치에 고정됨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120은 단말 110의 위치가 동일한 위치에 고정됨에 따라서, 단말 110으로부터 단말의 갱신된 위치 정보의 수신 또는 단말 110의 RRC 연결 설정 절차 수행 없이 단말 110으로 페이징 메시지 송신 절차에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607단계는, 기존에 제시된 RRC 메시지를 통한 데이터 송신 방법보다 기지국 120이 더 빠르게 데이터를 단말 110으로 송신할 수 있다.
609단계에서, 단말 110은 기지국 120으로 데이터에 대한 응답을 송신한다. 단말 110은 RRC 연결 설정 절차 중 RRC 연결 설정 요청 메시지 송신 절차를 통하여 수신한 데이터에 대한 응답을 송신한다. 단말 110은 단말 110의 위치가 고정됨을 인지한다. 기지국 120 및 제어 노드 130은 단말 110의 위치가 고정됨을 인지한다. 따라서 기지국 120은 자원 제어 연결 설정 이전에 페이징 메시지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신한다. 도 5에서 설명한 자원 제어 연결 설정 절차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보다, 보다 앞서서 데이터를 수신한다. 따라서, 기지국 120이 단말 110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절차가 자원 제어 연결 설정 이전으로 이동 602한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절차를 도시한다. 도 7은 단말 110이 단말 110의 비 이동 모드를 지시하는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특정 위치에 고정됨을 기지국 120 또는 제어 노드 130으로 알리고 고정된 위치에서 자원 제어 연결 설정 전에 데이터를 수신하는 절차를 예시한다.
도 7을 참고하면, 701단계에서 단말 110은 기지국 120으로 단말 110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송신한다.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는, 단말 110이 가속계를 이용하여 가속계의 측정 값이 임계 값보다 작을 경우, 단말 110이 단말 110의 위치가 일정 위치에 고정되었다 판단하고, 단말 110이 기지국 120으로 송신한다. 기지국 120은 단말 110으로부터 수신한 단말 110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한다. 다시 말해, 기지국 120은 단말 110의 위치가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기지국 120은 제어 노드 130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통하여 수신한 데이터를 단말 110으로 전달할 수 있다.
703단계에서, 단말 110은 기지국 120과 페이징 메시지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말 110, 기지국 120 및 제어 노드 130은 단말 110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110이 특정 위치에 고정되었음을 알고 있다. 일반적으로, 단말 110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RRC 연결 설정 절차를 수행해야 한다. 그러나, 기지국 120과 제어 노드 130은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110이 특정 위치에 고정되었다 판단한다. 기지국 120은 단말 110이 고정되었다 판단된 위치로 페이징 메시지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신한다. 고정된 위치에 단말 110은, 기지국 120으로부터 수신되는 페이징 메시지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한다. 페이징 메시지는, 기지국 120이 단말 110을 호출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메시지이다. 페이징 메시지는 작은 크기의 데이터를 포함하여 송신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절차를 도시한다. 도 8은 기지국 120이 단말 110으로부터 단말 110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수신한 경우, 자원 제어 연결 설정 전 단말 110으로 페이징 메시지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절차를 예시한다.
도 8을 참고하면, 801단계에서 기지국 120은 단말 110으로부터 단말 110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수신한다.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는, 단말 110이 가속계를 이용하여 가속계의 측정 값이 임계 값보다 작을 경우, 단말 110이 단말 110의 위치가 일정 위치에 고정되었다 판단하고, 단말 110이 기지국 120으로 송신한다. 기지국 120은 단말 110으로부터 단말 110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한다. 기지국 120은 단말 110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110의 위치가 고정됨을 판단한다. 따라서, 기지국 120은 단말 110의 고정된 위치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803단계에서 기지국 120은 단말 110으로부터 수신한 단말 110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제어 노드 130으로 송신한다. 제어 노드 130은 단말 110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110의 위치를 추정하고 단말 110의 위치가 고정됨을 판단한다. 제어 노드 130은 기지국 120으로 페이징 메시지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신한다.
805단계에서 기지국 120은 제어 노드 130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페이징 메시지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 120은 저장부에 저장된 단말 110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110이 고정된 위치에 위치함을 알고 있다.
809단계에서 기지국 120은 페이징 메시지를 통하여 단말 110으로 데이터를 송신한다. 기지국 120은 단말 110과 RRC 연결 전 단말 110으로 페이징 메시지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신한다. 페이징 메시지는 단말 110을 호출하는 메시지이다. 단말 110은 특정 위치에 고정되 있고, 기지국 120은 단말 110이 특정 위치에 고정됨을 저장부에 저장한 단말 110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함으로써 페이징 메시지를 통하여 단말 110으로 데이터를 송신한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노드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절차를 도시한다. 도 9는 제어 노드 130이 단말 110으로부터 기지국 120을 통하여 단말 110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수신하고, 단말 110의 위치 정보를 갱신함으로써, 페이징 메시지를 통하여 단말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절차를 예시한다. 제어 노드 130은 단말 110이 비 이동 모드임을 인지한다.
도 9를 참고하면, 901단계에서 제어 노드 130은 기지국 120으로부터 단말 110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수신한다.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는, 단말 110이 가속계를 이용하여 가속계의 측정 값이 임계 값보다 작을 경우, 단말 110이 단말 110의 위치가 일정 위치에 고정되었다 판단하고, 단말 110이 기지국 120으로 송신한다. 제어 노드 130은 단말 110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110의 위치가 특정 위치에 고정됨을 판단한다. 제어 노드 130은 이동성 관리 객체(mobile management entity, MME)이다. 제어 노드 130은 단말 110의 이동성을 관리한다.
903단계에서 제어 노드 130은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에 기초하여 페이징 및 단말의 위치 정보를 변경한다. 제어 노드 130은 단말 110이 비 이동 모드임을 판단함으로써, 페이징 메시지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신한다. 제어 노드 130은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의 위치 정보를 특정 위치에 고정됨으로 변경한다.
905단계에서 제어 노드 130은 기지국 120으로 페이징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신한다. 단말 110, 기지국 120 및 제어 노드 130이 단말 110이 비 이동 모드임을 인지하고 있을 경우, 기지국 120은 제어 노드 130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통하여 수신한 데이터를 단말 110으로 전달한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식별 정보를 이용한 그룹 통신 수행 절차를 도시한다. 도 10은 비 이동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들에게 방송 식별 정보를 할당하여 단말 간에 일 대 다의 그룹통신을 제공하는 절차를 예시한다.
도 10을 참고하면, 1001단계에서 단말들 110-N은 단말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기지국 120으로 송신한다. 기지국 120은 제어 노드 130으로 단말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전달한다. 기지국 120이 제어 노드 130으로 전달하는 단말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는 메시지 형태로 전달될 수 있다. 메시지는 제어 노드 130이 기지국 120이 셀 내에 비 이동 모드로 동작하는 단말들 110-N을 포함하고 있고, 제어 노드 130이 방송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동안 기지국 120이 단말들로 방송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음을 인지시키기 위하여 기지국에 의하여 전송된다. 메시지의 구성은 하기 표 2 및 표 3과 같다.
Figure 112016000965304-pat00002
표 2에 따르면, 메시지는 메시지의 종류를 포함하고, MTC 국한적 서비스 지시를 포함한다. 메시지는 정보 객체의 종류 및 기준을 포함하고, 중요성을 판단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Figure 112016000965304-pat00003
표 3에 따르면, MTC 국한적 서비스 식별자는, MTC 국한적 서비스의 지원 여부를 나타낸다. MTC 국한적 서비스 식별자가 0으로 설정될 경우, 비 지원 또는 비 동작 이다. 1로 설정될 경우, 서비스를 시작한다.
1003단계에서 제어 노드 130은 기지국 120으로 그룹 통신을 위한 방송 식별 정보를 송신한다. 방송 식별 정보는, 기지국 120이 비 이동 모드 단말들 110-N에게 방송 정보를 전달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방송 식별 정보는, 하기 표 4와 같이 제어 노드 130으로부터 기지국 120으로 전달되는 메시지에 포함된다.
Figure 112016000965304-pat00004
표 4에 따르면, 제어 노드 130으로부터 기지국 120으로 전달되는 메시지는, 메시지 타입, 방송 식별 정보, MTC 타겟 방송 데이터를 포함한다. 방송 식별 정보는 RRC 연결 설정 완료 또는 MTC 방송 허가에서 설정된 2부터 100까지 값 중 하나로 지정된다. 방송 식별 정보는 단말에 대하여 지정되고, 지정된 방송 식별 정보에 응답하여 단말에게 방송 정보를 송신하는데 이용된다. 방송 식별 정보는, 방송 ID(identity)로 지칭될 수 있다. 단말 110은 MTC 방송 허가에 설정된 숫자들 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방송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1005단계에서 단말들 110-N 중 하나의 단말이 기지국 120으로 방송 요청 정보를 송신한다. 기지국 120은 방송 요청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요청 정보는 방송 식별 정보 및 방송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방송 정보는 단말들 110-N 중 하나의 단말이 기지국 120으로 전송함으로써, 기지국 120이 방송 정보를 수신하고, 동일한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단말들에게 제공하는 데이터이다.
1007단계에서 기지국 120은 단말들 110-N에 방송 정보를 송신한다. 기지국 120은 저장부에 저장된 방송 식별 정보에 따라서 방송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단말들 110-N에게 방송 정보를 송신한다. 기지국 120은 상위 노드와 연계 없이 제어 노드 130으로부터 수신한 방송 정보를 단말들 110-N으로 송신할 수 있다. 기지국 120으로부터 단말들 110-N으로 송신되는 방송 정보는 하기의 표 5와 같이 정의 된다.
Figure 112016000965304-pat00005
표 5에 따르면, 방송 정보는 하향링크 작은 데이터로 명명될 수 있다. 방송 정보의 최대로 방송될 수 있는 크기 정보를 포함한다.
1009단계에서 단말 110-N은 기지국 120으로 방송 정보에 대한 응답을 송신한다. 예를 들어, 방송 정보에 대한 응답은 ACK 메시지 또는 NACK 메시지일 수 있다. 기지국 120은 제어 노드 130으로 방송 정보에 대한 응답을 전달한다. 기지국 120으로부터 제어노드 130으로 전달되는 응답은 메시지로 전달될 수 있다. 메시지는 하기 표 6 및 표 7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Figure 112016000965304-pat00006
표 6에 따르면, 단말 110-N이 송신하는 응답은 MTC 서비스 요청 결과를 포함한다. 여기서, MTC 서비스 요청은, 단말 110-N이 1105단계에서 요청한 방송 요청 정보와 동일하다. MTC 서비스 요청 결과는 9.2.1.ss IE(information element) 종류 및 기준으로 분리된다. 9.2.1.ss는 하기 표 7에서 설명할 수 있다.
Figure 112016000965304-pat00007
표 7에 따르면, MTC 서비스 요청 결과는 0 부터 255까지의 범위를 가지며, 0으로 표시될 경우, 방송 정보 수신 성공을 나타낸다. 1로 표시될 경우 실패를 나타낸다. 2부터 255 사이의 숫자로 표시될 경우, 방송 정보 수신 예약을 나타낸다.
기지국 120은 제어노드 130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통하여 수신되는 데이터를 단말 110으로 전달한다. 단말 110이 페이징 메시지를 통하여 수신하는 데이터는 하기 표 8를 통하여 설명할 수 있다.
Figure 112016000965304-pat00008
표 8에 따르면, 데이터를 나타내는 메시지는 방송 식별 정보 및 데이터를 포함한다. 메시지는 방송 식별 정보 및 데이터를 포함한다. 방송 식별 정보는 101부터 65535까지의 범위로 지정될 수 있다. 데이터는 1부터 페이징에서 최대 데이터로 지정된다. 메시지는 제어 노드 130가 설정한다. 예를 들어, 방송 식별 정보를 수신한 단말들 110-N은 동일한 방송 식별 정보를 수신한 단말들 간에 그룹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동일한 방송 식별 정보를 수신한 단말들 중 하나의 단말은 기지국 120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한다. 동일한 방송 식별 정보를 수신한 단말들 중 하나의 단말은 페이징 메시지를 통하여 수신한 데이터를 주변 단말들에게 송신한다. 예를 들어, 주변 단말들은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말과 동일한 방송 식별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단말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 단말들은 기지국 120을 대신하여 동일 방송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을 핫 스팟(hot spot) 또는 Ad-hoc 네트워크상의 기지국으로 인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동일 방송 정보는 페이징 메시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요청 메시지의 구조는 하기 표 9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Figure 112016000965304-pat00009
표 9에 따르면, 방송 요청 정보는 방송 식별 정보인 broadcasting ID 및 방송 데이터인 broadcasting small data를 포함한다. 방송 식별 정보는 정수로 1부터 100까지 설정된다. 방송 데이터는 최대 크기가 한정된다.
예를 들어 페이징 메시지는 하기 표 10과 같은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112016000965304-pat00010
표 10에 따르면, 페이징 메시지는 방송(broadcasting) 플래그(flag), 데이터 플래그를 포함한다. 방송 플래그는, 상위 네트워크나 서버가 기본적인 단말에 대한 데이터를 전달하는 경우, 거짓(false)로 설정되고, 방송 식별 정보는 101로 설정된다. 여기서, 단말 110은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단말 110은 데이터가 상위 서버나 제어 노드 130으로부터 전달된 것을 인지한다. 단말 110은 페이징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에 따라서 데이터를 처리한다.
예를 들어, 단말이 방송을 요청한 경우 또는 기지국 내 다른 서버에서 국한적 방송을 요청한 경우, 기지국 120은 요청을 수신하고, 기지국 셀 내에 위치하는 단말에게 방송 플래그가 진실(true)로 설정하여 단말로 전달한다. 여기서, 단말들은 방송 식별 정보에서 정해진 방송 서비스 절차에 따라서 데이터를 처리한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방송 요청 정보 송신 절차를 도시한다. 도 11은 단말 110이 기지국 120을 통하여 방송 정보를 방송하는 절차를 예시한다.
도 11을 참고하면, 1101단계에서 단말 110은 단말 110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 송신 여부를 판단한다. 단말 110이 단말 110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송신하였다 판단 한경우, 단말 110은 단말 110이 비 이동 모드임을 인지한다. 단말 110이 비 이동 모드일 경우, 단말 110은 일정시간 이동 없이, 동일한 위치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단말 110은 MTC 단말일 수 있다. 단말 110은 방송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식별 정보는 제어 노드 130에 의하여 설정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단말 110은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송신 하지 않음으로 판단 할 경우, 단말 110은 단말 110이 이동 모드로 인지한다. 단말 110이 이동 모드로 인지함에 따라서, 단말 110은 기지국 120을 통하여 제어 노드 130으로 단말의 위치를 갱신한다.
1103단계에서 단말 110은 기지국 120으로 방송 요청 정보를 송신한다. 방송 요청 정보는, 방송 식별 정보 및 방송 정보를 포함한다. 방송 정보는, 단말 110이 상향링크를 통하여 전송하는 데이터이다. 방송 정보는, 단말 110이 기지국 120으로 방송 요청 정보를 송신하고, 기지국 120이 방송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비 이동 모드임을 알리는 정보를 송신한 다른 단말들에게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방송 정보는, 기지국 120이 방송하는 정보이다. 기지국 120은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단말들의 위치를 저장부에 저장한다. 단말 110은 기지국 120을 통하여 방송 정보를 방송 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방송 정보 송신 절차를 도시한다. 도 12는 기지국 120이 단말 110으로부터 방송 요청 정보를 수신할 경우, 상위 노드와 연계 없이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송신한 단말들에게 방송 정보를 송신하는 절차를 예시한다.
도 12를 참고하면, 1201단계에서 기지국 120은 단말 110으로부터 단말 110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 수신 여부를 판단한다. 기지국 120은 단말 110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수신한 경우 단말 110을 비 이동 모드로 판단한다. 단말 110은 단말 110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한다. 기지국 120은 비 이동 모드의 단말의 경우 상위 노드와 연계 없이 방송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비 이동 모드의 단말의 경우 제어 노드 130나 상위 서버가 단말에게 방송 정보를 전달하기 보다는 기지국 120이 방송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기지국 120은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단말들에게 방송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기지국 120은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단말들의 위치를 저장부에 저장하고 있다. 기지국 120은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단말들의 위치를 상위 노드와 연계하지 않고 인지할 수 있다.
1203단계에서 기지국 120은 단말 110으로부터 방송 요청 정보를 수신한다. 기지국 120은 단말 110으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요청 정보에 포함되는 방송 식별 정보와 방송 정보를 파악한다. 기지국 120은 방송 정보를 방송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다른 단말들에게 방송 정보를 송신한다. 방송 요청 정보는 방송 식별 정보와 방송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방송 식별 정보는, 방송 ID로 지칭될 수 있다.
1205단계에서 기지국 120은 방송 정보를 송신한다. 기지국 120은 단말 110으로부터 수신한 방송 요청 정보에 포함된 방송 정보를 방송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단말들에게 방송한다. 예를 들어, 방송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단말들은 기지국 120의 셀 내에 위치하는 단말들 일 수 있다. 방송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단말들의 상태는,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기지국 120 및 제어 노드 130으로 송신하여 위치 정보를 갱신한 상태이다. 기지국 120이 단말 110으로부터 방송 요청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다른 단말들에게 방송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 방송 정보 송신은 일 대 다 그룹 통신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노드의 동작 절차를 예시한다. 도 13은 제어 노드 130이 방송 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방송 식별 정보를 기지국 120으로 송신하는 절차를 예시한다.
도 13을 참고하면, 1301단계에서 제어 노드 130은, 방송 식별 정보를 생성한다. 방송 식별 정보는, 단말 110이 방송 요청 정보를 기지국 120으로 송신하고, 기지국 120이 방송 요청 정보에 포함된 방송 정보를 방송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다른 단말들로 송신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방송 식별 정보는 1부터 101까지 정수로 설정 될 수 있다. 방송 식별 정보는 방송 플래그를 포함한다. 방송 플래그는 방송 플래그가 거짓으로 설정된 경우, 방송 요청 정보는 상위노드로 전달된다. 방송 플래그가 진실로 설정된 경우, 기지국 120은 방송 정보를 상위 노드와 연계 없이 다른 단말들로 송신할 수 있다.
1303단계에서 제어 노드 130은 기지국 120으로 방송 식별 정보를 송신한다. 기지국 120은 방송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단말들에게 페이징 메시지를 통하여 방송 식별 정보를 송신한다. 단말들은 비 이동 모드일 경우, 방송 식별 정보 및 방송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요청 정보를 기지국 120으로 송신함으로써, 주변 단말들에게 방송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기지국 120은 방송 정보를 상위 노드와 연계없이 단말들에게 송신할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모드를 알리는 절차를 도시한다. 도 14는 단말 110이 단말 110이 비 이동 모드로 동작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절차를 예시한다.
도 14를 참고하면, 1401단계에서 단말 110은 이동 검출에 기초하여 위치를 갱신한다. 단말 110은 위치가 고정된 비 이동 모드의 단말이다. 단말 110은 가속계를 이용하여 이동이 감지된다. 감지된 이동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를 갱신한다. 단말 110은 갱신된 위치 정보를 기지국 120으로 송신한다. 기지국 120은 갱신된 위치 정보를 제어노드 130으로 송신한다. 기지국 120은 단말 110의 갱신된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 제어 노드 130은 단말 110의 갱신된 위치 정보에 따라 단말 110의 위치 정보를 변경한다.
1403단계에서 단말 110은 위치 갱신 여부를 판단한다. 단말 110은 가속계를 이용하여 단말 110의 위치 정보가 갱신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가속계가 측정한 값이 임계값보다 작을 경우, 단말 110은 위치 정보를 갱신하지 않는다. 가속계가 측정한 값이 임계값보다 클 경우, 단말 110은 위치 정보를 갱신한다. 가속계가 측정한 값이 임계값보다 클 경우, 단말 110은 이동이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판단한다. 즉, 단말 110이 빈번하게 이동할 경우, 단말 110은 비 이동 모드로 동작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1405단계에서 단말 110은 위치가 빈번하게 갱신될 경우 기지국 120으로 이동 모드임을 알리는 정보를 송신한다. 기지국 120은 단말 110으로부터 수신한 이동 모드임을 알리는 정보를 제어노드 130으로 송신한다. 기지국 120 및 제어 노드 130은 단말 110이 비 이동 모드가 아님을 인지한다. 단말 110이 기지국의 서빙(serving) 셀 내에서 위치가 빈번하게 바뀔 경우, 단말 110은 비 이동 모드로 동작하지 않는다는 정보를 기지국 120로 송신한다. 단말 110은 위치가 빈번하게 갱신될 경우 비 이동 모드에 알맞지 않다고 판단한다. 단말 110이 비 이동 모드에 적합하지 않음을 알리는 정보를 기지국 120 및 제어 노드 130으로 송신함으로써,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전력 절약한다.
도 1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모드에 따른 정보 송신 절차를 도시한다. 도 15는 단말 110이 가속계의 측정 값에 따라 단말 110의 이동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서 다르게 정보를 송신하는 절차를 예시한다.
1501단계에서, 단말 110은 가속계를 이용하여 단말의 이동 속도를 측정하고, 측정 값과 임계값을 비교한다. 단말 110은 가속계의 측정 값이 임계값보다 작을 경우 단말 110의 이동이 빈번하지 않다고 판단한다. 예를 들어, 단말 110은 단말 110의 이동이 빈번하지 않은 경우, 단말 110의 위치는 고정되었다 판단한다. 단말 110은 가속계의 측정 값이 임계값보다 클 경우 단말 110의 이동이 빈번하다고 판단한다. 예를 들어, 단말 110은 단말 110의 이동이 빈번한 경우, 단말 110의 위치가 고정 되지 않았다고 판단한다.
1503단계에서, 단말 110은 단말 110의 위치가 고정되었다고 판단한다. 판단 결과에 따라서, 단말 110은 기지국 120으로 비 이동 모드임을 알리는 정보를 송신한다. 단말 110은 기지국 120으로 비 이동 모드임을 알리는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RRC 연결 설정 절차 없이 제어 노드 130으로부터 송신되는 페이징 메시지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한다.
1505단계에서, 단말 110은 단말 110의 위치가 빈번하게 이동된다 판단한다. 판단 결과에 따라서, 단말 110은 기지국 120으로 이동 모드임을 알리는 정보를 송신한다. 단말 110은 이동 모드임을 알리는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페이징 메시지에 소모되는 전력을 절약한다.
도 1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지원 정보 비트맵을 도시한다. 도 16은 시스템 정보에 단말의 비 이동 모드 지원 정보를 추가한 지원 정보 비트맵을 예시한다.
도 16을 참고하면 시스템 정보는 1 영역부터 8 영역에 포함된다. 1 영역은 타이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4 영역 1602는 예비용으로써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 5 영역부터 8 영역은 단말 네트워크의 지원 정보를 포함한다. 단말 110은 시스템 정보를 기지국 120으로 송신한다.
단말 110의 비 이동 모드 지원 정보는 예비용으로 표시된 4 영역 1602에 포함될 수 있다. 단말 110의 비 이동 모드 지원 정보는 단말 110이 비 이동 모드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비 이동 모드 지원 정보에 1로 입력될 경우, 단말 110은 비 이동 모드를 지원한다. 반면에, 비 이동 모드 지원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에 0으로 입력될 경우, 단말 110은 비 이동 모드를 지원하지 않는다. 단말 110의 비 이동 모드는, 단말 110이 특정 위치에 고정되게 위치함을 나타낸다. 특정 위치에 고정된 단말은 MTC 단말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정보 비트맵을 도시한다. 도 17은 비 이동 모드 지원 정보 및 가용 시간을 포함하는 비 이동 모드 정보 구성의 비트맵을 예시한다.
도 17을 참고하면 정보 비트맵은 제1 영역 1702 및 제2 영역 1704를 포함한다. 제1 영역 1702에는 단말의 비 이동 모드 정보를 포함한다. 제2 영역 1704에는 가용 시간 정보와 비 이동 모드 지원 정보를 포함한다. 정보 비트맵은 단말 110으로부터 기지국 120을 통하여 제어 노드 130으로 전달되는 정보이다.
제1 영역 1702는 1부터 8까지 모두 단말의 비 이동 모드의 정보를 포함한다.
제2 영역 1704는 1부터 2까지 단말의 비 이동 모드 지원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단말의 비 이동 모드 지원 정보는, 숫자를 이용하여 설정될 수 있다. 0으로 설정될 경우, 단말은 비 이동 모드를 지원하지 않는다. 1로 설정될 경우 단말은 비 이동 모드를 지원한다. 제2 영역 1704는 3부터 8까지 가용 시간 정보를 포함한다. 가용 시간 정보는 시간단위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재 전송 요청 절차를 도시한다. 도 18은 단말 110이 랜덤 액세스를 통하여 미 수신 데이터에 대한 재 전송을 요청하는 절차를 예시한다.
도 18을 참고하면, 1801단계에서 단말 110은 기지국 120으로 프리앰블(preamble)을 송신한다. 단말 110은 기지국 120으로부터 송신되는 시스템 정보에 기초하여 RACH 자원을 선택하고, 선택한 RACH(random access channel) 자원을 통하여 프리앰블(preamble)을 송신한다.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는 경쟁(contention) 방식 및 비경쟁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비경쟁 방식의 랜덤 액세스의 경우, 기지국 120이 특정 단말에게 경쟁 없이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고, 액세스에 성공할 수 있도록 특정한 랜덤 액세스 자원을 할당하는 방식이다. 특정한 단말에게 특정한 랜덤 액세스 자원을 할당하는 것은, 기지국 120이 단말 110의 존재를 알고 있는 경우에 가능하다. 따라서, 비경쟁 방식의 랜덤 액세스는 단말 110이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경우와 같이 제한적인 상황에서만 적용된다. 경쟁 방식의 랜덤 액세스 경우, 기지국 120이 특정한 단말을 지정하지 아니하고 할당한 랜덤 액세스 자원에 대해서, 단말들이 경쟁을 통해 랜덤 액세스를 시도한다.
1803단계에서 단말 110은 기지국 120으로부터 PDSCH(physical downlink service channel)에서 랜덤 액세스 응답을 수신한다. 여기서, 단말 110은 기지국 120으로부터 상향링크 자원, 프리앰블 식별자 및 임시 C-RNTI(cel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할당 받는다. 기지국 120은 상향링크 자원 할당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상향링크 자원 할당 메시지를 통하여 단말에 C-RNTI를 할당할 수 있다.
1805단계에서 단말 110은 랜덤 액세스 메시지를 송신한다. 단말 110은 기지국 120으로부터 할당받은 상향링크 자원을 통하여 랜덤 액세스 메시지를 송신한다. 랜덤 액세스 메시지는 S-TMSI(S Temporary Mobile Subscriber Identity) 및 BSR을 따라서 송신된다. 단말 110은 랜덤 액세스 메시지 내에 단말 110의 데이터 수신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한다. 예를 들어, 단말 110은 랜덤 액세스에 데이터의 미 수신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한 경우, 기지국 120으로부터 미 수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시지 내에 포함된 단말 110의 데이터 수신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는 CL-FLAG에 따라서 전송된다.
1807단계에서 단말 110은 C-RNTI를 이용하여 PDSCH를 통하여 경합 해결(contention solution) 메시지를 수신한다. 여기서 단말 110은 기지국 120으로부터 DRB(default data radio bearer)를 통하여 미 수신 데이터를 수신한다. DRB는 단말 110 및 기지국 120 사이에 공동으로 설정된다. 기지국 120은 데이터를 위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한다. 이어서, 단말 110 및 기지국 120은 랜덤 액세스 과정을 동일하게 수행한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그러한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전자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전자 장치가 본 개시의 방법을 실시하게 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휘발성(volatile) 또는 (ROM: Read Only Memory)과 같은 불휘발성(non-volatile) 저장장치의 형태로, 또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메모리 칩(memory chips), 장치 또는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s)와 같은 메모리의 형태로, 또는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s: Digital Versatile Discs), 자기 디스크(magnetic disk) 또는 자기 테이프(magnetic tape)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저장 장치 및 저장 미디어는, 실행될 때 일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그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절한 기계-판독 가능 저장 수단의 실시 예들이다. 실시 예들은 본 명세서의 청구항들 중 어느 하나에 청구된 바와 같은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그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나아가, 그러한 프로그램들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어떠한 매체에 의해 전자적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실시 예들은 동등한 것을 적절히 포함한다.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상술한 실시 에들이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실시 예들이 내포하는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34)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위치가 일정 시간 동안 비 이동 상태로 식별된 경우, 기지국에게 상기 단말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데이터를 포함하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단말이 전송한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에 기반하여 RRC(remote resource control) 연결 설정 전 수신되고;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는 상기 RRC 연결 설정 전, 제어 노드로부터 상기 기지국에 저장된 데이터이고; 및
    상기 수신된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응답을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는, 상기 단말이 일정한 위치에 일정시간 동안 고정되게 위치함을 알리는 정보, 상기 단말의 비 이동 모드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 및 가용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의 비 이동 모드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는 타이머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비트 및 상기 단말의 네트워크의 지원 정보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비트로 구성되고;
    상기 가용 시간 정보는 시간 단위로 설정되는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은,
    가속계의 측정 값과 임계 값을 비교하는 과정;
    상기 측정 값이 상기 임계 값보다 작을 경우,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측정 값이 상기 임계 값보다 클 경우, 상기 기지국으로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은,
    자원 제어 설정 메시지들 중 하나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대한 방송 식별 정보 및 방송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방송 식별 정보는 방송 정보를 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 노드에 의해 설정되는 방법.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은,
    자원 제어 설정 메시지들 중 하나를 통하여 상기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랜덤 액세스 메시지를 통하여 미 수신 데이터에 대한 재 전송 요청을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 방법에 있어서,
    단말의 위치가 일정 시간 동안 비 이동 상태로 식별된 경우,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단말의 비 이동성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제어 노드에게 전송하는 과정;
    상기 제어 노드로부터 하향링크 데이터를 포함하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제어 노드에 의해 상기 단말의 비 이동성 모드를 알리는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되고;
    상기 단말에게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포함하는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단말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에 기반하여 RRC(remote resource control) 연결 설정 전 수신되고,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는 상기 RRC 연결 설정 전, 상기 제어 노드로부터 상기 기지국에 저장된 데이터이고; 및
    상기 단말에게 전송한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는, 상기 단말이 일정한 위치에 일정시간 동안 고정되게 위치함을 알리는 정보, 상기 단말의 비 이동 모드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 및 가용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의 비 이동 모드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는 타이머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비트 및 상기 단말의 네트워크의 지원 정보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비트로 구성되고;
    상기 가용 시간 정보는 시간 단위로 설정되는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에게, 자원 제어 설정 메시지들 중 하나를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대한 방송 식별 정보 및 방송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방송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방송 정보를 다른 단말들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방송 식별 정보는 방송 정보를 수신하기 위하여 제어 노드에 의해 설정되는 방법.
  13. 삭제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은,
    자원 제어 설정 요청 메시지들 중 하나를 통하여 상기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 방법에 있어서,
    단말의 위치가 일정 시간 동안 비 이동 상태로 식별된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단말에게 하향링크 데이터를 포함하는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단말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에 기반하여 RRC(remote resource control) 연결 설정 전 단말에게 전송되고; 및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RRC 연결 설정 전, 상기 기지국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는, 상기 단말이 일정한 위치에 일정시간 동안 고정되게 위치함을 알리는 정보, 상기 단말의 비 이동 모드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 및 가용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의 비 이동 모드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는 타이머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비트 및 상기 단말의 네트워크의 지원 정보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비트로 구성되고;
    상기 가용 시간 정보는 시간 단위로 설정되는 방법.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대한 방송 식별 정보를 설정하는 과정; 및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방송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1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부와 기능적으로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는,
    상기 단말의 위치가 일정 시간 동안 비 이동 상태로 식별된 경우, 기지국에게 상기 단말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데이터를 포함하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단말이 전송한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에 기반하여 RRC(remote resource control) 연결 설정 전 수신되고,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는 상기 RRC 연결 설정 전, 제어 노드로부터 상기 기지국에 저장된 데이터이고; 및
    상기 수신된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응답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는, 상기 단말이 일정한 위치에 일정시간 동안 고정되게 위치함을 알리는 정보, 상기 단말의 비 이동 모드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알리는 정보 및 가용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의 비 이동 모드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는 타이머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비트 및 상기 단말의 네트워크의 지원 정보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비트로 구성되고;
    상기 가용 시간 정보는 시간 단위로 설정되는 장치.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가속계의 측정 값과 임계 값을 비교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이동 식별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말 이동 식별 제어부는,
    상기 측정 값이 상기 임계 값보다 작을 경우,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측정 값이 상기 임계 값보다 클 경우, 상기 기지국으로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1.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는,
    자원 제어 설정 메시지들 중 하나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2. 청구항 18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는,
    상기 기지국으로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대한 방송 식별 정보 및 방송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요청 정보를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방송 식별 정보는 방송 정보를 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 노드에 의해 설정되는 장치.
  23. 삭제
  24.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는, 자원 제어 설정 메시지들 중 하나를 통하여 상기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5.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는, 랜덤 액세스 메시지를 통하여 미 수신 데이터에 대한 재 전송 요청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부와 기능적으로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는,
    단말의 위치가 일정 시간 동안 비 이동 상태로 식별된 경우,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의 비 이동성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제어 노드에게 전송하고,
    상기 제어 노드로부터 하향링크 데이터를 포함하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제어 노드에 의해 상기 단말의 비 이동성 모드를 알리는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되고,
    상기 단말에게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포함하는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단말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에 기반하여 RRC(remote resource control) 연결 설정 전 수신되고,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는 상기 RRC 연결 설정 전, 상기 제어 노드로부터 상기 기지국에 저장된 데이터이고; 및
    상기 단말에게 전송한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는, 상기 단말이 일정한 위치에 일정시간 동안 고정되게 위치함을 알리는 정보, 상기 단말의 비 이동 모드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 및 가용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의 비 이동 모드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는 타이머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비트 및 상기 단말의 네트워크의 지원 정보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비트로 구성되고;
    상기 가용 시간 정보는 시간 단위로 설정되는 장치.
  28.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는, 상기 단말에게 자원 제어 설정 메시지들 중 하나를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
  29.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는,
    상기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대한 방송 식별 정보 및 방송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및
    상기 방송 식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방송 정보를 다른 단말들로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방송 식별 정보는 방송 정보를 수신하기 위하여 제어 노드에 의해 설정되는 장치.
  30. 삭제
  31.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는, 자원 제어 설정 요청 메시지들 중 하나를 통하여 상기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3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노드의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부와 기능적으로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는,
    단말의 위치가 일정 시간 동안 비 이동 상태로 식별된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에게 하향링크 데이터를 포함하는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페이징 메시지는 상기 단말의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에 기반하여 RRC(remote resource control) 연결 설정 전 단말에게 전송되고; 및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RRC 연결 설정 전, 상기 기지국에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33. 청구항 32에 있어서,
    상기 비 이동 모드를 알리는 정보는, 상기 단말이 일정한 위치에 일정시간 동안 고정되게 위치함을 알리는 정보, 상기 단말의 비 이동 모드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알리는 정보 및 가용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의 비 이동 모드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는 타이머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비트 및 상기 단말의 네트워크의 지원 정보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비트로 구성되고;
    상기 가용 시간 정보는 시간 단위로 설정되는 장치.
  34. 청구항 32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대한 방송 식별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방송 식별 정보를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KR1020160001138A 2016-01-05 2016-01-0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362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138A KR102362043B1 (ko) 2016-01-05 2016-01-0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138A KR102362043B1 (ko) 2016-01-05 2016-01-0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014A KR20170082014A (ko) 2017-07-13
KR102362043B1 true KR102362043B1 (ko) 2022-02-11

Family

ID=59352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1138A KR102362043B1 (ko) 2016-01-05 2016-01-0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20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3955A (ko) 2019-07-29 2021-02-08 삼성전기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88682A1 (en) * 2007-03-08 2013-10-31 Peter S. Wang Balancing paging load and tracking area updates
US20150140993A1 (en) * 2007-11-16 2015-05-21 Qualcomm Incorporated Using identifiers to establish commun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11895B2 (en) * 2009-10-30 2013-12-17 Apple Inc. Methods for optimizing paging mechanisms using device context information
KR101452992B1 (ko) * 2013-03-28 2014-11-03 주식회사 앰투앰넷 이동 단말 및 그 측위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88682A1 (en) * 2007-03-08 2013-10-31 Peter S. Wang Balancing paging load and tracking area updates
US20150140993A1 (en) * 2007-11-16 2015-05-21 Qualcomm Incorporated Using identifiers to establish commun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014A (ko) 2017-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63091B2 (en) Method and system for handling pag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1434143B (zh) 用于管理网络切片拥塞的用户设备及其方法
US11140596B2 (en) Method and device for service continuity of terminal
KR102394218B1 (ko) 단말 간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을 위한 동기화 절차 및 자원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N111164996B (zh) 无线通信系统、网络装置、无线基站及无线通信方法
US9313607B2 (en) Network-assisted UE detection in direct mode UE-to-UE communication
CN109392083B (zh) 位置区管理方法和核心网控制器
EP2903363A1 (en) Indicating properties of a user equipment to a network control node
US9635697B2 (en) User equipment pairing processing method, network side device, and user equipment
TW201831002A (zh) 處理新無線能力的裝置及方法
CN101959301A (zh) 处理定位服务的方法及其通讯装置
TWI422257B (zh) 無線通訊系統網路端傳呼用戶端處理錯誤回復的方法及相關通訊裝置
US11818650B2 (en)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method,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for transmitting on demand system information
KR20160011339A (ko) 디바이스간 통신을 위한 자원 관리 방법 및 장치
EP3485687B1 (en) Method and device for inclusion of data in paging messages
CN112312347B (zh) 一种通信方法、装置及存储介质
EP3105950B1 (en) Methods for service acquisition in device-to-device operation
US9198083B1 (en) Integrated paging mechanism
KR10236204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220217670A1 (en) Method and ue for handling colli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N110062394B (zh) 更新系统消息的方法及装置
CN116420418A (zh) 非活跃状态下进行数据传输的无线通信方法及相关装置
CN115696242A (zh) 多用户识别模块保护定时器的方法及用户设备
CN115884290A (zh) 处理非接入层信令连接释放和拒绝寻呼的方法及装置
KR20210076958A (ko) 사용자 장비 능력 식별자 삭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