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1999B1 - 인-이어 헤드폰 피팅의 음향 검출 - Google Patents

인-이어 헤드폰 피팅의 음향 검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1999B1
KR102361999B1 KR1020200083873A KR20200083873A KR102361999B1 KR 102361999 B1 KR102361999 B1 KR 102361999B1 KR 1020200083873 A KR1020200083873 A KR 1020200083873A KR 20200083873 A KR20200083873 A KR 20200083873A KR 102361999 B1 KR102361999 B1 KR 102361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
user
tip
headphones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3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6303A (ko
Inventor
에스게 비. 앤더슨
앤드류 이. 그린우드
톰-데이비 더블유. 소
밥티스테 피. 파퀴어
한치 첸
라가벤드라 에스. 프라부
Original Assignee
애플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6/918,950 external-priority patent/US11470413B2/en
Application filed by 애플 인크. filed Critical 애플 인크.
Publication of KR20210006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6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1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1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04R29/004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for microphones
    • H04R29/005Microphone arrays
    • H04R29/006Microphone ma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6Spatial arrangements of separate transducers responsive to two or more frequency r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04R29/001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4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rrecting frequency respon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3Combination of monophonic or stereophonic headphones with audio players, e.g. integrated in the head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5Determination of the acoustic seal of ear moulds or ear tips of hea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인-이어 헤드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사용자의 외이도 내로 삽입되는 제1 이어 팁이 인-이어 헤드폰에 결합된다. 본 방법은 인-이어 헤드폰과 페어링되는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고, 이 신호를 사용하여 헤드폰의 스피커를 구동하여 외이도에 사운드를 출력한다. 방법은 출력된 사운드에 응답하는 마이크로폰 신호를 획득한다. 방법은 마이크로폰 신호와 연관된 파라미터가 미리 선택된 임계치보다 작은 것에 응답하여 제1 이어 팁을 제2 이어 팁으로 교체하도록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Description

인-이어 헤드폰 피팅의 음향 검출{ACOUSTIC DETECTION OF IN-EAR HEADPHONE FIT}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는 인-이어 헤드폰(in-ear headphone)에 대한 이어 팁(ear tip)을 선택하기 위해 피팅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다른 양태들이 또한 설명된다.
헤드폰은 한 쌍의 스피커들을 포함하는 오디오 디바이스이며, 스피커들 각각은 헤드폰이 사용자의 머리 상에 또는 그 주위에 착용될 때 사용자의 귀의 최상부에 배치된다. 헤드폰과 유사하게, 이어폰(또는 인-이어 헤드폰)은 사용자의 귀 내로 삽입되는 스피커를 각각 갖는 2개의 별개의 오디오 디바이스들이다. 헤드폰 및 이어폰 둘 모두는 보통, 사운드(예컨대, 음악)를 생성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들의 스피커들 각각을 구동하는 MP3 플레이어와 같은 별개의 재생 디바이스에 유선 접속된다. 헤드폰 및 이어폰은 사용자가 오디오 콘텐츠를 인근의 다른 사람들에게 브로드캐스트할 필요 없이 오디오 콘텐츠를 개별적으로 청취할 수 있는 편리한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는 이어 팁 피팅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해 인-이어 헤드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이다. 프로세스의 수행 동안, 제1 이어 팁이 인-이어 헤드폰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외이도 내로 삽입된다. 헤드폰은 인-이어 헤드폰과 페어링되는(paired)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고, 오디오 신호를 사용하여, 외이도 내로 사운드를 출력하기 위해 인-이어 헤드폰의 스피커를 구동한다. 헤드폰은 출력된 사운드에 응답하는 마이크로폰 신호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인-이어 헤드폰은 내부 마이크로폰 또는 외이도 내의 사운드를 캡처하도록 구성되는 마이크로폰을 가질 수 있다. 헤드폰은 마이크로폰 신호와 연관된 (제1) 파라미터가 미리 선택된 임계치보다 작은 것에 응답하여 제1 이어 팁을 제2 이어 팁으로 교체하도록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파라미터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 대해 마이크로폰 신호의 주파수 응답과 목표 주파수 응답 사이의 차이(또는 델타)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예를 들어, 헤드폰은 1) 1000 ㎐ 미만인 저주파수 대역(예컨대, 20 ㎐ 내지 400 ㎐의 대역) 및 2) 1000 ㎐ 이상인 고주파수 대역에서 주파수 응답과 목표 주파수 응답 사이의 차이에 기초하여 주어진 이어 팁에 대한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이어 팁 피팅 프로세스는 여러번 수행될 수 있고, 각각의 시간에 상이한 이어 팁이 인-이어 헤드폰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이어 팁에 대해, 인-이어 헤드폰은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해 이어 팁 선택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인-이어 헤드폰은 이어 팁들에 대한 파라미터들의 비교에 기초하여 이어 팁들 중 어느 것이 사용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폰은 최고 파라미터를 갖는 이어 팁을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는 동작들 중 적어도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폰은 파라미터들의 비교에 기초하여 이어 팁들 중 어느 것이 사용될지를 결정하는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에 각각의 파라미터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는 최고 파라미터를 갖는 이어 팁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의 발명의 내용은 본 개시내용의 모든 양태들의 총망라한 목록을 포함하지는 않는다. 본 개시내용이 앞서 요약된 다양한 양태들의 모든 적합한 조합들로부터 실시될 수 있는 모든 시스템들 및 방법들은 물론, 아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 개시되고 청구범위에서 특히 지적된 것들을 포함한다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한 조합들은 상기의 발명의 내용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특정의 장점들을 가질 수 있다.
양태들은 첨부 도면의 도면들에 제한으로서가 아니라 예로서 예시되며, 첨부 도면에서 유사한 도면 부호들은 유사한 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개시내용의 "일" 또는 "하나의" 양태에 대한 언급들이 반드시 동일한 양태에 대한 것은 아니며, 이들이 적어도 하나를 의미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간결함을 위해 그리고 도면들의 총수를 감소시키기 위해, 주어진 도면은 하나 초과의 양태의 특징들을 예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주어진 양태에 대해 도면에서의 모든 요소들이 요구되지는 않을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사용자의 외이도에 가장 잘 피팅하는 이어 팁이 선택되는 피팅 프로세스의 스테이지들의 진행을 도시한다.
도 2는 이어 팁을 선택하기 위해 피팅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오디오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인-이어 헤드폰을 위한 이어 팁을 선택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일 양태의 흐름도이다.
도 4는 이어 팁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일 양태의 흐름도이다.
도 5는 피팅 프로세스를 설정 및 수행하는 프로세스의 일 양태의 신호 도면이다.
도 6은 피팅 프로세스를 중단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일 양태의 신호 도면이다.
도 7은 피팅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프로세스의 일 양태의 신호 도면이다.
본 개시내용의 몇몇 양태들이 이제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주어진 양태에서 설명된 부분들의 형상들, 상대 위치들 및 다른 양태들이 명확히 정의되지 않을 때마다, 여기서의 본 개시내용의 범위는 단지 예시의 목적을 위해 의도되는 도시된 부분들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수많은 세부사항들이 기재되지만, 일부 양태들이 이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다른 예들에서, 본 설명의 이해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잘 알려진 회로들, 구조들, 및 기술들은 상세히 나타내어져 있지 않다. 더욱이, 의미가 명백히 반대로 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범위들은 각각의 범위의 종점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어폰 또는 이어버드와 같은 많은 인-이어 헤드폰은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기 위해 이어 팁(또는 이어폰 팁)에 의존한다. 이어 팁은 사용자의 외이도 내로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는 인-이어 헤드폰의 일부분을 둘러싸는 외부 구조체이다. 일부 양태들에서, 이어 팁은 외이도 내에 보다 양호한 피팅을 형성하기 위해 가요성 또는 성형가능한 재료(예컨대, 실리콘, 고무, 플라스틱, 발포체 등)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인-이어 헤드폰을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는 인-이어 헤드폰(또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어 팁을 포함하는 부분)을 사용자의 외이도 내로 삽입한다. 이어 팁은 사용자의 외이도 둘레에 순응하도록(또는 그와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기밀 밀봉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밀봉은 헤드폰이 사용 중인 동안 일정 양의 외부 환경 잡음이 사용자의 외이도 내로 누출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것을 돕는다. 또한, 이러한 밀봉은 헤드폰이 더 양호한 저주파수 응답을 제공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전체적인 더 양호한 사운드 경험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밀봉이 기밀하지 않거나 전혀 밀봉이 없는 경우, 스피커의 이동에 의해 생성되는 음압이 외이도로부터 환경으로 빠져나갈 것이기 때문에 저주파수 응답이 문제가 될 수 있다. 또한, 밀봉이 없는 경우, 환경 잡음은 사용자의 외이도 내로 누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이어 팁이 외이도 내부에서 거의 완벽한 밀봉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제조자들은 일반적으로 주어진 쌍의 인-이어 헤드폰을 갖는 단일의 "널리 적용되도록 만든(one-size-fits-all)" 쌍의 이어 팁들을 제공한다. 이러한 이어 팁들이 일부 사용자들에 대한 밀봉을 제공할 수 있지만, 이들은 다른 사용자들에게 덜 효과적일 수 있다. 이는 상이한 사용자의 외이도들의 형상 및/또는 크기가 사용자마다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일부 이어 팁들은 일부 외이도들에 대해 너무 작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사용자는 상이한 크기들의 이어 팁들의 교체 쌍을 구매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가장 잘 피팅되는 크기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시간 소모적이고 비효율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가장 최적의 이어 팁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자는 각각의 쌍을 수동으로 테스트하고, 어느 이어 팁이 헤드폰으로 하여금 더 양호한 사운드(예를 들어, 전술된 바와 같이, 최상의 저주파수 응답)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지를 (주관적으로) 판정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최적"은 사용자의 외이도에 대해 가장 잘 피팅되는(예컨대, 기밀 밀봉을 생성함) 그리고/또는 헤드폰이 다른 이어 팁들보다 전체적인 더 양호한 사운드 경험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이어 팁을 지칭한다. 따라서, 각각의 쌍의 이어 팁들에 대해, 사용자는 헤드폰 상의 기존의 이어 팁을 교체하고, 헤드폰이 오디오 콘텐츠를 재생하게 하고(예컨대, 이어버드와 페어링되는 컴패니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이어버드를 통해 음악을 스트리밍하게 함), 이어 팁들 사이의 전체적인 사운드 경험을 비교하여 더 나은 것을 판정(또는 선택)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결함들을 극복하기 위해, 본 개시내용은 복수의 쌍들의 이어 팁들 중 어느 쌍의 이어 팁들이 주어진 사용자에 대해 가장 최적인지(예컨대, 최상의 피팅을 갖는지)를 자동으로 결정하는 이어 팁 피팅 프로세스(또는 피팅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는 오디오 시스템을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이어 팁의 경우, 오디오 시스템은 사운드(예컨대, 테스트 사운드)를 출력하는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의 외이도의 주파수 응답(예컨대, 좌측 외이도 및 우측 외이도)을 측정한다. 시스템은 측정된 주파수 응답에 기초하여 이어 팁이 사용자의 각각의 외이도 내에 얼마나 잘 피팅되는지를 나타내는 (예컨대, 피팅)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오디오 시스템은 피팅 파라미터를 상이한 이어 팁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이전에 결정된 피팅 파라미터와 비교하고, 다른 이어 팁들 각각보다 높은 피팅 파라미터를 갖는 이어 팁을 선택한다. 따라서, 그러한 오디오 시스템은 가장 최적인 이어 팁들을 자동으로 선택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어느 이어 팁들이 사용되어야 하는지를 수동으로 결정할 필요성을 경감시킬 수 있다.
피팅 파라미터는 목표 주파수 응답에 대한 측정된 주파수 응답의 영역(또는 부분)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최적의 이어 팁의 하나의 특성은 최상의 기밀 밀봉을 생성하는 것이다.
일 양태에서, 어느 이어 팁이 최상의 기밀 밀봉을 제공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피팅 파라미터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측정된 주파수 응답의 저주파수 부분(예컨대, 1000 ㎐ 미만의 주파수 부분 또는 대역)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목표 응답에 더 가까운 저주파수 응답을 갖는 이어 팁은 목표 응답에 더 멀리 있는(또는 유사하지 않은) (또는 임계치 미만인) 저주파수 응답을 갖는 다른 이어 팁보다 더 높은 피팅 파라미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이어 팁이 더 양호한 밀봉을 제공할 수 있지만, 이는 반드시 이어 팁이 특정 사용자에 대해 "최상의 피팅"이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외이도 내로 삽입될 때, 이어 팁은 외이도의 형상에 순응한다. 관의 형상이 사용자들 사이에서 다양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순응성은 헤드폰의 오디오 성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이어 팁의 형상을 상당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이도는 사용자의 고막을 향해 좁아질 수 있다. 이어 팁이 삽입될 때, 외이도의 좁은 부분은 이어 팁의 개구(이어 팁의 가장 원위부)를 핀칭할 수 있다. 이러한 핀칭은, 사운드 출력의 스펙트럼 콘텐츠의 일부, 예를 들어, 고주파수 콘텐츠가 사용자의 외이도에 진입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는데, 그 이유는, 그것이 이어 팁 내에 포함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핀칭은 저주파수 콘텐츠와 같은 다른 주파수 콘텐츠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저주파수 응답에만 기초하는 피팅 파라미터는 변형된 이어 팁이 이어 팁의 고주파수 응답을 야기할 수 있는 임의의 부작용들을 고려하지 않는다.
본 개시내용은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들에서 측정된 주파수 응답과 목표 주파수 응답 사이의 차이들(또는 델타들)에 기초하여 이어 팁의 피팅 파라미터를 결정함으로써 이들 결함들을 극복하는 오디오 시스템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오디오 시스템은 1000 ㎐ 미만, 예컨대 20 ㎐ 내지 400 ㎐인 저주파수 대역에서 측정된 주파수 응답과 목표 주파수 응답 사이의 차이에 기초하여 주어진 이어 팁에 대한 피팅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다른 예로서, 저주파수 대역은 그 대역 내의 임의의 대역, 예컨대 80 ㎐ 내지 200 ㎐일 수 있다. 또한, 피팅 파라미터는 1000 이상, 예컨대 1 ㎑ 내지 20 ㎑인 고주파수 대역에서의 2개의 응답들 사이의 차이에 기초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고주파수 대역은 그 대역 내의 임의의 대역, 예컨대 1000 ㎐ 내지 1400 ㎐일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저주파수 대역 및/또는 고주파수 대역은 단일 주파수일 수 있다(예컨대, 저주파수 대역은 80 ㎐일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시스템은 이어 팁들 사이의 피팅 파라미터들을 비교하고, 다른 피팅 파라미터들 중 최고 피팅 파라미터를 갖는 이어 팁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최고 피팅 파라미터는 다른 이어 팁들에 비해 그의 대응하는 측정된 주파수 응답과 목표 주파수 응답 사이의 최저 차이들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이어 팁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사용자의 외이도에 가장 잘 피팅하는(또는 가장 최적으로는 또는 적절하게 피팅하는, 예를 들어, "최상으로 적합한") 이어 팁이 선택되는 피팅 프로세스의 스테이지들의 진행을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이들 도면들은, 사용자(3)가 상이한 이어 팁들을 갖는 인-이어 헤드폰(4)을 삽입하고 있는 2개의 스테이지들(1 및 2) 및 목표 주파수 응답에 대해 각각의 이어 팁에 대한 측정된 주파수 응답을 도시하는 비교 그래프(8)를 예시한다.
도 1a는 사용자의 좌측 귀 내에 제1 이어 팁(5)을 갖는 인-이어 헤드폰(4)(좌측 헤드폰)을 착용하는 사용자(3)를 도시하는 스테이지(1)를 예시한다. 이러한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헤드폰(4)은 제1 이어 팁(5)과 (상호교환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된 이어폰이다. 헤드폰(4)을 착용하기 위해, 사용자(3)는 제1 이어 팁(5)을 포함하는 헤드폰의 부분을 사용자의 외이도(6) 내로 삽입하였다. 또한, 사용자(3)는 스마트폰으로 예시된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는 이어 팁 피팅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오디오 컴퓨터 시스템(또는 오디오 시스템)(20)을 형성하기 위해 인-이어 헤드폰(4)과 페어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이어 헤드폰(4)은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예컨대, 블루투스 프로토콜 또는 임의의 다른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와의 무선 접속을 확립하도록 구성된 무선 전자 디바이스일 수 있다. 확립된 무선 통신 링크 동안, 인-이어 헤드폰은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와 데이터 패킷들(예컨대, 인터넷 프로토콜(IP) 패킷들)을 교환(예컨대,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링크를 확립하는 것 및 데이터를 교환하는 것에 대해 더 많은 것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다.
외이도(6)의 제1 이어 팁(5)과 (측벽들)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 간극들(7)이 또한 예시되어 있다. 간극들(7)은 사용자의 외이도(6)에 대해 너무 작은 이어 팁(5)의 결과(및/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외이도(6)의 형상의 결과)일 수 있다.
헤드폰(4)이 착용되면(또는 "사용 중" 상태에 있을 때), 이어 팁 피팅 프로세스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폰(4)은 통신 링크를 통해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로부터 오디오 신호(예컨대, 테스트 신호)를 획득하고 오디오 신호를 이용하여 스피커(22)를 구동하여 사용자의 외이도(6) 내로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인-이어 헤드폰(4)의 내부 마이크로폰(23)은 출력된 사운드에 응답하여 마이크로폰 신호를 생성한다. 마이크로폰 신호로부터, 사용자의 외이도(6)의 주파수 응답이 측정된다.
비교 그래프(8)는 그래픽 표현 목표 응답(11)에 대한 측정된 주파수 응답(10)의 그래픽 표현을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그래프는 주파수에 대한 응답의 세기(또는 에너지) 레벨을 도시한다. 일 양태에서, 목표 응답(11)은 제어된 환경(예컨대, 실험실)에서 측정된 미리 정의된 응답일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목표 응답(11)은 전체 집단의 평균에 대한 응답일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목표 응답(11)은 이러한 특정(또는 임의의 특정) 이어 팁이 사용자의 외이도 내에 기밀 밀봉을 생성할 때 생성되는 응답일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주어진 주파수(또는 주파수 대역)에서 목표 응답(11)과 측정된 응답(10) 사이의 차이들을 표현하는 2개의 델타들이 그래프(8)에 있다. 구체적으로, 그래프(8)는 저주파수 λLow에서의 ΔLow1 및 더 높은 주파수 λHigh에서의 ΔHigh1을 도시한다. 일 양태에서, 측정된 응답(10)의 저주파수 콘텐츠는 목표 응답(11)보다 훨씬 더 낮아서, ΔLow1이 높아지게 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이러한 모순은, 다수의 공기 간극들(7)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어 팁(5)이 기밀 밀봉을 생성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기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4)는 측정된 응답(10)(및/또는 측정된 응답(10)과 목표 응답(11) 사이의 차이)에 기초하여 피팅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차이 ΔLow1이 크기 때문에, 피팅 파라미터는 낮은 값(예를 들어, 1 내지 100의 범위에서, 피팅 파라미터는 30일 수 있음)인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값은 그래프(8)에 예시된 Δs 둘 모두(또는 일부)에 기초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피팅 파라미터는 주어진 주파수에서 스펙트럼 콘텐츠의 세기 또는 에너지 레벨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피팅 파라미터는 세기 레벨에 대응할 수 있는 값들의 어레이일 수 있다(예를 들어, ΔLow1에 대해 10 dB 및 ΔHigh1에 대해 3 dB). 일부 양태들에서, 피팅 파라미터는 측정된 응답과 목표 응답 사이의 임의의 관계일 수 있다. 피팅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것에 대해 더 많은 것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다.
피팅 파라미터로부터, 오디오 시스템은 이어 팁이 사용자(3)에 가장 적합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이어 헤드폰(4)은 이러한 결정을 수행하기 위해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에 피팅 파라미터를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는 피팅 파라미터를, 미리 정의된(예컨대, 실험실 테스트된) 피팅 파라미터일 수 있는 목표 피팅 파라미터와 비교할 수 있다. 이전 예를 계속 참조하면, 피팅 파라미터가 30일 때,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는 파라미터를 50의 목표 파라미터와 비교할 수 있다. 피팅 파라미터가 목표 파라미터 미만이기 때문에, 현재 사용되는 제1 이어 팁(5)은 사용자의 외이도 내에 적절하게 피팅되지 않는다. 일 양태에서,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는 사용자(3)에게 상이한 이어 팁을 시도하도록 통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바이스(9)는 현재 선택된 이어 팁(5)이 사용자의 외이도에 적절히 피팅되지 않음을 나타내고 기존 팁(5)을 다른 팁으로 교체하도록 사용자(3)에게 통지하는 통지 오디오를 (통합형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장치(9)는 현재 결정된 피팅 파라미터를 상이한 이어 팁들에 대한 하나 이상의 이전에 결정된 피팅 파라미터들과 비교할 수 있다. 피팅 파라미터들을 비교하는 것에 기초하여 이어 팁이 최적인지 여부를 시스템이 결정하는 방법에 대한 더 많은 것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다.
도 1b는 제2 이어 팁(12)을 갖는 인-이어 헤드폰(4)을 착용한 사용자(3)를 도시하는 스테이지(2)를 예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3)는 제1 이어 팁(5)을 제2 이어 팁(12)으로 교체하도록 통지 오디오에 의해 통지받은 것에 응답하여 그렇게 수행했을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이어 팁(12)이 사용자의 외이도(6) 내로 삽입될 때, 더 이상 임의의 간극들이 없다. 일 양태에서, 제2 이어 팁(12)은 제1 이어 팁(5)보다 더 커서(또는 더 넓어서), 그 결과 이어 팁(12)이 외이도(6) 내에 더 양호한 밀봉을 형성한다.
다시, 제2 이어 팁(12)이 사용 중인 상태에서, 오디오 시스템은 다른 이어-팁 피팅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예컨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것에 응답하여, 헤드폰은 사용자의 외이도의 새로운 주파수 응답을 측정할 수 있다). 스테이지 2의 비교 그래프(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2 이어 팁(12)에 대한 새로 측정된 주파수 응답(13)은 이전의 응답(10)보다 목표 응답(11)에 대한 더 양호한 근사치이다. 구체적으로, ΔLow2는 ΔLow1보다 낮은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예를 들어, 10 dB보다는 2 dB). 저주파수 대역에서의 차이는 제2 이어 팁(12)이 제1 이어 팁(5)보다 (더 양호한) 기밀 밀봉을 생성하는 결과일 수 있다. 또한, ΔHigh2는 ΔHigh1보다 낮은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예를 들어, 2 dB보다는 1 dB). 이는 제1 이어 팁(5)이 외이도(6) 내부에 있는 동안 변형되어(예컨대, 핀칭되어), 제2 이어 팁(12)보다 더 불량한 고주파수 응답을 초래함을 나타낼 수 있다.
새로 측정된 주파수 응답(13)이 보다 양호한 근사치인 결과로서, 제2 이어 팁(12)에 대한 피팅 파라미터는 제1 이어 팁(5)에 대한 피팅 파라미터보다 더 높을 수 있다(예컨대, 100 중 70). 일 양태에서,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는 새로 결정된 피팅 파라미터를 목표 피팅 파라미터와 비교할 수 있다. 피팅 파라미터가 목표 파라미터 초과인 경우, 인-이어 헤드폰(4)은 제2 이어 팁(12)이 잘 피팅되는지(예컨대, 사용자의 외이도 내에 적절하게 피팅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인-이어 헤드폰은 제2 이어 팁(12)이 양호한(또는 적합한) 피팅을 제공하는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고 피팅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는 새로 결정된 피팅 파라미터를 이전의 피팅 파라미터와 비교하여 어느 이어 팁을 선택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2 이어 팁(12)이 제1 이어 팁(5)보다 높은 피팅 파라미터를 갖기 때문에, 사용자(3)는 현재 이어 팁(12)이 둘 중 더 양호한 이어 팁인 것을 통지받을 수 있다. 따라서, 이전의 피팅 파라미터는 새로 결정된 피팅 파라미터가 비교되는 미리 선택된 임계치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통지들과 유사하게, 인-이어 헤드폰(4)은 이어 팁(12)을 사용하도록 사용자(3)에게 통지하는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오직 좌측 인-이어 헤드폰에 대한 피팅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으로 예시되지만, 이러한 프로세스는 한 쌍(좌측 및 우측)의 인-이어 헤드폰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스는 인-이어 헤드폰 둘 모두가 사용자의 각각의 귀들 내로 삽입되는 동안 수행될 수 있거나, 프로세스는 개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2는 인-이어 헤드폰(4) 및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를 포함하는 오디오 시스템(2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인-이어 헤드폰(4)은 외부 마이크로폰(21), 스피커(22), 증폭기(AMP)(24),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25), 내부 마이크로폰(23), 제어기(26),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를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헤드폰(4)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더 많거나 더 적은 요소들(또는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폰(4)은 2개 이상의 스피커들(22), 2개 이상의 외부(및/또는 내부) 마이크로폰들, 및/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폰(4)은 사용자의 귀 상에, 그 내에, 또는 그 위에 배치될 수 있는 교환가능한(그리고/또는 교체가능한)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임의의 전자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가 이어폰 또는 이어버드와 같은 인-이어 헤드폰일 때, 컴포넌트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이어 팁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디바이스가 온-이어(on-ear) 및/또는 오버-디-이어(over-the-ear) 헤드폰일 때, 컴포넌트는 이어 컵일 수 있다. 어느 경우이든,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귀 내로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단일 귀 상에 삽입 또는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거나(예컨대, 단일 이어 버드), 또는 디바이스는 브리지와 연결되는 2개의 이어 컵(좌측 귀에 대해 하나 및 우측 귀에 대해 하나)을 포함하는 온-이어 헤드폰과 같이 사용자의 양쪽 귀에 삽입되거나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헤드폰은 유선 접속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헤드폰(4)은 임의의 무선 통신 방법(예를 들어, 블루투스 프로토콜, 무선 로컬 네트워크 링크 등)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를 통해, 다른 전자 디바이스와 무선 접속 링크를 확립할 수 있도록 무선일 수 있다. 헤드폰(4)이 어떻게 다른 디바이스와의 무선 접속 링크를 확립하는지에 대한 더 많은 것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다. 일 양태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는 무선 네트워크(예를 들어, 인터넷)를 통해 전자 서버와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 통신 링크를 확립하도록 구성된다.
외부 마이크로폰(21)(및/또는 내부 마이크로폰(23))은 음향 환경에서 전파되는 음파에 의해 야기되는 음향 에너지를 입력 마이크로폰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유형의 마이크로폰(예를 들어, 차동 압력 구배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마이크로폰)일 수 있다. 마이크로폰(21)은 음향 환경으로부터 사운드를 캡처하도록 구성된 "외부"(또는 기준) 마이크로폰인 반면, 마이크로폰(23)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귀(또는 외이도) 내의 사운드를 캡처(및/또는 압력 변화들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내부"(또는 에러) 마이크로폰이다. 스피커(22)는, 예를 들어, 우퍼(woofer), 트위터(tweeter), 또는 미드레인지(midrange) 드라이버와 같은, 특정 주파수 대역들에서의 사운드 출력을 위해 특별히 설계될 수 있는 전기역학적 드라이버(electrodynamic driver)일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스피커(22)는 가능한 한 많은 가청 주파수 범위를 재현하는 "전체 범위(full-range)"(또는 "전체 대역(full-band)") 전기역학적 드라이버일 수 있다.
제어기(26)는 주문형 집적 회로(ASIC), 범용 마이크로프로세서,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디지털 신호 제어기, 또는 하드웨어 로직 구조들(예를 들어, 필터들, 산술 로직 유닛들, 및 전용 상태 머신들)의 세트와 같은 특수 목적 프로세서일 수 있다. 제어기는 이어-팁 피팅 프로세스 동작들 및 네트워킹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어기(26)는 인-이어 헤드폰(4)에 의해 현재 사용되고 있는(또는 그에 결합되는) 이어 팁의 피팅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해 이어 팁 피팅 측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일단 결정되면, 제어기(26)는 추가 프로세싱을 위해 팁 파라미터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를 통해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에 송신할 수 있다. 인-이어 헤드폰(4)에 의해 수행되는 피팅 프로세스의 동작들에 대한 더 많은 것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다.
다른 양태에서, 제어기(26)는 몇몇 오디오 출력 모드들 중 하나를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그리고/또는 마이크로폰(21)에 의해 생성된 오디오(또는 마이크로폰) 신호에 대한 오디오 신호 프로세싱 동작들과 같은 신호 프로세싱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모드들 및 동작들에 관한 더 많은 것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다. 일 양태에서, 제어기(26)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소프트웨어로(예를 들어, 메모리에 저장되고 제어기(26)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들로서) 구현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하드웨어 로직 구조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제어기(26)는 스피커(22)를 통한 재생을 위해 한 편의 오디오 프로그램 콘텐츠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예를 들어, 음악 등)의 입력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신호로서)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일 양태에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입력 오디오 신호는 테스트 신호일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제어기(26)는 로컬 메모리로부터 입력 오디오 신호를 획득할 수 있거나, 또는 제어기(26)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로부터 입력 오디오 신호를 획득할 수 있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는 그 신호를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와 같은 외부 소스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이어 헤드폰(4)은 스피커(22)를 통한 재생을 위해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로부터의 입력 오디오 신호를 스트리밍할 수 있다. 오디오 신호는 신호 입력 오디오 채널(예를 들어, 모노)일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제어기(26)는 2개 이상의 스피커들을 통해 출력하기 위한 2개 이상의 입력 오디오 채널(예를 들어, 스테레오)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헤드폰(4)이 2개 이상의 스피커들을 포함하는 경우에, 제어기(26)는 추가적인 오디오 신호 프로세싱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26)는 적어도 2개의 스피커(예를 들어, 헤드폰(4)의 좌측 스피커 및 우측 스피커)를 구동하기 위한 바이노럴(binaural) 출력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입력 오디오 채널들을 공간적으로 렌더링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인-이어 헤드폰(4)은 사용자의 귀 내로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스피커(22)보다는, 음향 환경 내로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여분의-청각적" 스피커들인 적어도 2개의 스피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제어기(26)는 2개 이상의 스피커를 구동할 때 공간 선택적(spatially selective) 사운드 출력을 생성하는 스피커 드라이버 신호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사운드 출력 빔포머(sound output beamformer)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스피커들을 구동하는 데 사용될 때, 헤드폰(4)은 환경 내의 위치들 쪽으로 지향되는 지향성 빔 패턴들을 생성할 수 있다.
DAC(25)는 입력 오디오 신호를 제어기(26)에 의해 생성되는 출력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서 수신할 것이고 이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할 것이다. AMP(24)는 DAC(25)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를 획득할 것이고, 스피커(22)에 구동 신호를 제공할 것이다. 비록 DAC와 AMP가 별개의 블록들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일 양태에서 이들에 대한 전기 회로 컴포넌트들은, 예를 들어, 클래스 D 증폭기 기술을 사용하여, 드라이버 신호의 더 효율적인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및 증폭 동작을 제공하기 위해 조합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제어기(26)는 하나 이상의 사운드 소스 위치들에 더 민감하도록 특정 방향들로 공간적으로 선택적인 사운드 픽업을 위한 (하나 이상의 오디오 신호들로서) 지향성 빔 패턴들을 형성하기 위해 인-이어 헤드폰의 2개 이상의 외부 마이크로폰들을 생성하는 오디오(또는 마이크로폰) 신호들을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사운드 픽업 빔포머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폰(4)은 지향성 빔 패턴들을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들에 대해 오디오 프로세싱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고(예컨대, 스펙트럼 형상화를 수행함), 그리고/또는 오디오 신호들을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제어기(26)는 몇몇 오디오 출력 모드들 중 하나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은 상이한 레벨의 오디오 격리를 수행할 수 있다(예를 들어, 음향 환경으로부터의 주변 사운드들이 사용자에 의해 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모드들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해 제어기(26)는 사용자(3)로부터 요청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3)는 그 안에 포함된 커맨드를 식별하기 위해 음성 인식 알고리즘에 의해 프로세싱되는 마이크로폰 신호로서 마이크로폰(21)에 의해 캡처되는 커맨드(예컨대, "컴퓨터, 모드 개시")를 말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사용자(3)는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아이템을 선택함으로써 모드를 개시할 수 있다. 일단 선택되면, 디바이스(9)는 커맨드를 인-이어 헤드폰(4)에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다.
몇몇 오디오 출력 모드들 중에서, 능동 감쇠 모드(또는 제1 모드) 및 수동 감쇠 모드(또는 제2 모드)가 있다. 능동 감쇠 모드에 있는 동안, 제어기(26)는 능동 잡음 소거(ANC) 기능을 활성화하여 헤드폰의 스피커(22)가 잡음 방지를 생성하게 하여 사용자의 귀 내로 누설되는 환경으로부터의 주변 잡음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일 양태에서, 잡음은 헤드폰의 이어 팁의 불완전한 밀봉의 결과일 수 있다. ANC 기능은 피드포워드 ANC, 피드백 ANC, 또는 이들의 조합 중 하나로서 구현될 수 있다. 그 결과, 제어기(26)는 마이크로폰(21)과 같은 외부 주변 사운드를 캡처하는 마이크로폰으로부터 기준 마이크로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기(26)는 마이크로폰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잡음 방지 신호를 생성하고, 스피커(22)를 구동하여 잡음 방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모드와는 대조적으로, 수동 감쇠 모드에 있는 동안 제어기(26)는 능동 잡음 감쇠 동작들을 수행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대신에, 헤드폰은 주변 잡음들을 수동적으로 감쇠시키기 위해 헤드폰(예컨대, 이어 팁)의 물리적 특성에 의존한다.
제3 모드는, 헤드폰(4)에 의해 재생되는 사운드가, 예컨대 헤드폰이 사용자에 의해 착용되고 있지 않은 것처럼, "투명" 방식으로 디바이스의 외부 마이크로폰에 의해 캡처되는 주변 사운드의 재생인 투명 모드이다. 제어기(26)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마이크로폰(21)에 의해 캡처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 신호를 프로세싱하고, 신호를 투명 필터를 통해 필터링하고, 이는 사용자의 귀 내에 있는 헤드폰의 이어 팁으로 인한 음향 폐색을 감소시키면서, 또한 착용자의 해부학적 특징부들(예컨대, 머리, 귓바퀴, 어깨 등)의 공간 필터링 효과를 보존한다. 필터는 또한 실제 주변 사운드와 연관된 음색 및 공간 단서들을 보존하는 것을 돕는다. 따라서, 일 양태에서, 투명 모드의 필터는 사용자의 머리의 특정 측정들에 따라 사용자 특정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26)는 머리 관련 전달 함수(HRTF) 또는, 동등하게, 사용자의 인체계측들에 기초하는 머리 관련 임펄스 응답(HRIR)에 따라 투명 필터를 결정할 수 있다.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는 스피커(30), AMP(31), DAC(32), 디스플레이 스크린(3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4), 및 제어기(35)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33)은 디지털 이미지들 또는 비디오들을 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33)은 입력 신호들로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터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다. 일 양태에서, 소스 디바이스(9)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더 많은 또는 더 적은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9)는 2개 이상의 스피커들(3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디바이스(9)는 하나 이상의(외부) 마이크로폰과 같은 추가적인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는 오디오 신호 프로세싱 동작들 및/또는 네트워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전자 디바이스일 수 있다. 그러한 디바이스의 예는 데스크톱 컴퓨터, 스마트 스피커,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 또는 홈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일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소스 디바이스는 도 1a 및 도 1b에 예시된 바와 같은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디바이스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소스 디바이스(9)는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머리 장착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예컨대, 스마트 워치)와 같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임의의 휴대용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제어기(35)는 팁 피팅, 오디오 프로세싱 동작들, 및/또는 네트워킹 동작들을 측정하기 위해 피팅 프로세스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어기(35)는 인-이어 헤드폰(4)으로부터 팁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피팅 파라미터와 연관된 이어 팁이 이러한 주어진 사용자에 적합한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소스 디바이스(9)에 의해 수행되는 피팅 프로세스의 동작들에 대해 더 많은 것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다.
다른 양태에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오디오 시스템(20)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 중 적어도 일부는 소스 디바이스(9)에 의해 그리고/또는 인-이어 헤드폰(4)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이어 헤드폰(4)보다는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가 피팅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는 두 디바이스들 모두를 함께 페어링하는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인-이어 헤드폰(4)에 의해 측정된 주파수 응답을 획득하고,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피팅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인-이어 헤드폰은 피팅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고, 피팅 파라미터가 미리 선택된 임계치 미만인 것에 응답하여 이어 팁을 교체하도록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동작들 중 적어도 일부는 컴퓨터 네트워크(예컨대, 인터넷)를 통해 원격 서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오디오 출력 모드들과 연관된 오디오 프로세싱 동작들 중 적어도 일부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주어진 사용자(예컨대, 사용자(3))에 대해, 인-이어 헤드폰(4)과 함께 사용될 적합한 이어 팁을 선택하기 위한 프로세스(40)의 일 양태의 흐름도이다. 일 양태에서, 프로세스(40)는 인-이어 헤드폰(4)(예를 들어, 헤드폰의 제어기(26))에 의해 및/또는 오디오 시스템(20)의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예를 들어, 디바이스의 제어기(35))에 의해 수행된다. 따라서, 이러한 도면은 도 1a, 도 1b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프로세스(40)는 (블록(41)에서) 인-이어 헤드폰(4)과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 사이에 통신 링크를 확립함으로써 시작한다. 예를 들어,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는 (예컨대, 블루투스 프로토콜 또는 임의의 무선 접속 프로토콜을 통해) 인-이어 헤드폰(4)과 무선 RF(radio frequency)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링크는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의 제어기(35)(및/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4))에 의해 수행되는 자동 검색 프로세스에 응답하여 매우 근접한(예를 들어, 20 피트 떨어진) 다른 RF 무선 디바이스들을 검출하고 그와 페어링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그러한 통신 링크는 자동으로(예컨대, 사용자 개입 없이) 확립된다. 다른 양태에서, 사용자(3)는 (예컨대,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의 디스플레이 스크린(33) 상에 디스플레이된 UI 아이템을 통해) 통신 링크를 수동으로 확립할 수 있다.
프로세스(40)는 (블록(42)에서) 현재 인-이어 헤드폰(4)에 의해 현재 사용되고 있는(또는 현재 그에 결합된) 이어 팁에 대한 피팅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해 이어-팁 피팅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일 양태에서, 오디오 시스템(20)은 선택적으로, 피팅 프로세스 동안에 어느 이어 팁이 사용될지를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는 몇몇 이어 팁들 중 어느 것이 사용될지의 시각적 표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는 어느 이어 팁이 측정 동안 사용될지를 나타내는 텍스트(예컨대, "청색 이어 팁을 설치해 주세요")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오디오 시스템(20)은 어느 이어 팁이 사용될지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통지 오디오를 (소스 디바이스(9)의 스피커(30)를 통해 그리고/또는 인-이어 헤드폰(4)의 스피커(22)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블록(43)에서, 프로세스(40)는 피팅 파라미터가 목표 피팅 파라미터로부터 임계치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진행한다. 예를 들어, 목표 피팅 파라미터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예컨대, 제어된 설정에서 측정된) 목표 주파수 응답(예를 들어, 도 1a의 목표 주파수 응답(11))에 기초하여 미리 정의된 피팅 파라미터일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임계치는 목표 피팅 파라미터의 허용오차 레벨(예를 들어, 5%, 10%, 15% 등 이내)을 표현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프로세스는 피팅 파라미터가 (예컨대, 임계치만큼) 목표 피팅 파라미터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그렇다면, 프로세스(40)는 (블록(44)에서) 현재 이어 팁이 적합하고 사용자가 이러한 이어 팁을 인-이어 헤드폰(4)과 함께 사용해야 한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도록 진행한다. 일 양태에서, 오디오 시스템(20)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다른 통지들과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이어 헤드폰(4)은 통지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인-이어 헤드폰이 여전히 사용자의 귀 내에 삽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예로서,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는 통지 오디오 또는 통지의 시각적 표현으로서 통지를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피팅 파라미터가 목표 피팅 파라미터로부터 임계치 내에 있지 않은 경우, 프로세스(40)는 (블록(46)에서) 사용자에게 상이한 이어 팁을 시도하도록 통지하도록 (또는) 알리도록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시스템은 임계치 미만인 주파수 응답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마이크로폰 신호와 연관된 피팅 파라미터에 응답하여 (제1) 이어 팁을 제2 이어 팁으로 교체하도록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임계치는 다른 이어 팁과 연관된 이전에 결정된 피팅 파라미터일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및/또는 인-이어 헤드폰)는 특정 이어 팁(예컨대, 청색 이어 팁)을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디바이스(들)는 사용자가 어느 이어 팁을 시도해야 하는지를 정확하게 특정함이 없이, 상이한 이어 팁을 시도하도록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일단 팁이 교체되면, 프로세스(40)는 다시 블록(42)으로 진행하여, 새로운 이어 팁에 대한 피팅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해 피팅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일 양태에서, 판정 블록(45)에서, 프로세스(40)는 선택적으로 이어 팁 피팅 프로세스가 수행되어야 하는 임의의 다른 이어 팁들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제어기(35)는 이어 팁 피팅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을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인-이어 헤드폰(4)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이어 팁들에 대한 미리 정의된 규격들(예를 들어, 설명 데이터, 물리적 특성들에 관한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시점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이어 팁들의 메뉴를 제시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제어기(35)는 오디오 시스템(20)의 일부인 인-이어 헤드폰(4)의 유형에 기초하여 그 내부에 저장된 이어 팁들의 규격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이어 헤드폰(4)은 하나 이상의 이어 팁들(예컨대, 제조자에 의한 인-이어 헤드폰의 패키징에 제공됨)을 포함할 수 있다. 일단 인-이어 헤드폰(4)이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와 페어링되면, 인-이어 헤드폰(4)은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하나 이상의 이어 팁들의 규격들을 송신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인-이어 헤드폰(4)은 헤드폰에 관한 식별 정보를 소스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이어서, 디바이스(9)는 인-이어 헤드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함으로써 원격 서버로부터 이어 팁 규격들을 검색할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원격 서버는 소스 디바이스(9)에 이어 팁 규격들을 송신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오디오 시스템(20)이 이어 팁 피팅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은 이어 팁들이 있는 경우, 프로세스(40)는 (블록(46)에서) 현재 이어 팁을 다른 이어 팁으로 교체하도록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의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예를 들어, 인-이어 헤드폰은 "이어 팁을 제조자에 의해 제공된 청색 이어 팁들로 교체하세요"라는 음성을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피팅 프로세스를 수행할 이어 팁들이 더 이상 없는 경우, 프로세스(40)는 (블록(47)에서) 결정된 피팅 파라미터들 중 어느 것이 다른 피팅 파라미터들 중 최고인지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오디오 시스템(20)은, 피팅 파라미터가, 각각 인-이어 헤드폰의 상이한 이어 팁들이 사용자의 외이도 내에 적절히 피팅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수행된 피팅 측정의 성능의 결과였던 하나 이상의 이전에 획득된 피팅 파라미터들 미만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이전에 결정된 피팅 파라미터는 시스템이 현재 결합된 이어 팁과 연관된 다른 결정된 피팅 파라미터를 비교하는 (예컨대, 미리 선택된) 임계치로서 정의되거나 선택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비교된 피팅 파라미터들 각각은 하나 이상의 저주파수 대역들 및 하나 이상의 고주파수 대역들에서 각각의 측정된 주파수 응답들과 목표 주파수 응답들 사이의 차이들에 기초할 수 있다. 주파수 대역들에 관한 더 많은 것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다. 일 양태에서, 시스템은 각각의 이전에 결정된 피팅 파라미터를 미리 선택된 임계치와 비교할 수 있다. 하나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그 피팅 파라미터는 이어서 미리 선택된 임계치로서 정의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이전에 결정된 피팅 파라미터들의 나머지가 비교된다. 일 양태에서, 피팅 파라미터는 파라미터가 적어도 허용오차 레벨(예컨대, 5%, 10%, 15% 등)만큼 임계치보다 높을 때 임계치를 초과한다. 일단 비교가 완료되면, 최고 피팅 파라미터를 갖는 이어 팁이 선택된다.
일 양태에서, 프로세스(40)는 모든 이어 팁들(예컨대, 인-이어 헤드폰(4)의 원래의 패키징에서 제조자에 의해 제공됨)에 대한 피팅 파라미터를 결정한 후에 이러한 단계로 진행될 수 있거나(블록(47)), 또는 프로세스(40)는 이어 팁들의 서브세트의 2개 이상의 피팅 파라미터들을 결정한 후에 진행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프로세스(4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 이상의 이어 팁들에 대한 피팅 파라미터들을 결정할 때, 사용자는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UI 아이템을 선택하여 어느 것이 최고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이어 팁의 피팅 파라미터는 목표 주파수 응답과 측정된 주파수 응답 사이의 차이들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최적 이어 팁의 피팅 파라미터는, 도 1a 및 도 1b에 예시된 바와 같이, 그 이어 팁의 측정된 주파수 응답과 목표 주파수 응답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차이가 다른 이어 팁들에 대한 대응하는 차이들보다 낮을 때 다른 피팅 파라미터보다 높은 피팅 파라미터를 갖는다. 일단 결정되면, 프로세스(40)는 (블록(48)에서) 최고 피팅 파라미터를 갖는 이어 팁을 사용하도록 오디오 시스템(20)의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예를 들어, 도 1b를 참조하면, 오디오 시스템(20)은 제2 이어 팁(12)을 사용하도록 사용자(3)에게 통지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현재 이어 팁의 피팅 파라미터가 이전에 결정된 피팅 파라미터(예컨대, 미리 선택된 임계치)보다 낮은 경우, 오디오 시스템은 현재 이어 팁이 사용자의 외이도 내에 적절하게 피팅되지 않음을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고/있거나 현재 팁을 이전에 측정된 다른 팁으로 교체하도록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시스템(20)은 사용자가 현재 이어 팁을 이전에 측정된 이어 팁으로 교체하도록 하는 음성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로 스피커(22)를 구동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오디오 시스템(20)은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의 디스플레이 스크린(33)으로 하여금, 사용자가 현재 이어 팁을 교체하도록 하는 텍스트, 이미지들, 및/또는 비디오를 포함할 수 있는 시각적 명령어들을 디스플레이하게 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피팅 프로세스는 일정 기간(예를 들어, 1 초, 2 초, 5 초 등)에 걸쳐 이어질 수 있다. 기간은 제2 무선 접속을 확립하는 데 걸리는 시간 및 인-이어 헤드폰이 피팅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데 걸리는 시간(예컨대, 주파수 응답을 측정하는 등)과 같은 몇몇 인자들에 기초할 수 있다. 이러한 기간 동안, 인-이어 헤드폰(예컨대, 헤드폰의 제어기(26))은 적어도 일부 동작 능력들을 프로세스에 전용시킴으로써, 헤드폰이 다른 태스크들을 수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스 동안, 인-이어 헤드폰은 스피커(22)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상이한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경우들에서, 인-이어 헤드폰(4)은 피팅 프로세스 대신에 이러한 다른 태스크들을 수행하도록 요구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경우들에서, 피팅 프로세스는 종료(또는 보류)되어야 하고, 이러한 다른 더 높은 우선순위 태스크들이 수행된다.
일부 양태들은 도 3에 설명된 프로세스(40)의 변형들을 수행한다. 일 양태에서, 프로세스(40)의 동작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어 팁이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머신 학습 알고리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머신 학습 알고리즘은 이어 팁에 대한 피팅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그 이어 팁이 특정 사용자에 대해 가장 적합한지(또는 가장 최적인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신경망들(예컨대, 콘볼루션 신경망들, 재발성 신경망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피팅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스(60)의 일 양태의 흐름도이다. 프로세스(60)는 도 3의 블록(42) 및/또는 도 5의 블록(54)과 동일하고/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프로세스(60)에 설명된 동작들 중 적어도 일부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인-이어 헤드폰(4) 및/또는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스(60)는 (블록(61)에서)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로부터 송신되는(또는 스트리밍되는) 오디오 신호를 획득함으로써 시작한다. 예를 들어, 인-이어 헤드폰은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인-이어 헤드폰은 로컬 메모리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된 오디오 신호를 사용하여, 프로세스(60)는 사용자가 (블록(62)에서) 헤드폰(4)에 결합된 이어 팁을 갖는 인-이어 헤드폰을 착용하는 동안 사용자의 외이도 내로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스피커(22)를 구동한다. 예를 들어, 도 1a를 참조하면, 이어 팁은 제1 이어 팁(5)일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인-이어 헤드폰은 스피커(22)를 구동하기 전에 일정 기간을 대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는 인-이어 헤드폰이 사용자의 귀 내로 안착되게 하기 위해 피팅 프로세스를 시작하라는 요청을 전송하기 전에 일정 기간을 대기할 수 있다.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8)가 일정 기간을 대기하는 것에 더하여 또는 그 대신에, 인-이어 헤드폰은 스피커(22)를 구동하기 전에 일정 기간 동안 대기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인-이어 헤드폰(4)은 (도 5의 블록(51)에서)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에 의해 획득된 표시가 인-이어 헤드폰의 귀 내 존재(예컨대, 근접 데이터)를 검출하는 것에 기초할 때 대기할 수 있다.
프로세스(60)는 (블록(63)에서) 스피커(22)를 구동하고 있는 오디오 신호에 대한 내부 마이크로폰(23)에서의 외이도의 주파수 응답을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스피커(22)에 의해 출력되는 사운드에 응답하여, 내부 마이크로폰(23)은 마이크로폰 신호를 캡처한다. 인-이어 헤드폰(4)은 외이도의 주파수 응답을 측정하기 위해 마이크로폰 신호를 프로세싱한다.
프로세스(60)는 (블록(64)에서) 측정된 주파수 응답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외이도 내로 현재 삽입되는 이어 팁에 대한 적어도 제1 피팅 파라미터(또는 피팅 파라미터)를 결정(또는 컴퓨팅)한다. 일 양태에서, 제1 피팅 파라미터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목표 주파수 응답과 측정된 주파수 응답 사이의 차이(또는 델타)에 기초하여 제어기(26)가 결정하는 피팅 파라미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기(26)는 피팅 파라미터를,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2개의 응답들 사이의 세기(또는 에너지) 차이, 예컨대 저주파수 대역(예컨대, 1000 ㎐ 미만)에 기초로 할 수 있다. 일단 차이가 결정되면, 제어기(26)는 (이러한 주어진 목표 응답과 관련하여) 델타들을 피팅 파라미터들과 연관시키는 데이터 구조(제어기(26) 내에 저장됨)로 테이블 룩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차이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2개의 응답들 사이의 스펙트럼 밀도의 차이일 수 있다.
일 양태에서, 피팅 파라미터는 수치 값(예컨대, 30)일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목표 응답과 측정된 응답 사이의 차이가 클수록, 피팅 파라미터가 더 낮다. 예를 들어, 더 큰 차이(예를 들어, 더 분리된 응답들 둘 모두는 서로 떨어져 있음)는 100 중 30과 같은 더 낮은 값을 초래할 수 있다. 더 낮은 차이는 100 중 80과 같은 더 높은, 더 양호한 값을 초래할 수 있다. 보다 유리한 피팅 파라미터와 덜 유리한 피팅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에 대해 더 많은 것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일 양태에서, 피팅 파라미터는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에 대해 목표 응답과 측정된 응답 사이의 차이들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팅 파라미터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저주파수 대역 및 고주파수 대역에 대한 차이들에 기초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고주파수 대역은 1000 ㎐ 이상일 수 있다. 일 양태에서, 고주파수 대역은 1000 ㎐(예컨대, 1000 ㎐ 내지 1200 ㎐ 등) 내의 대역일 수 있다. 이전의 계산과 유사하게, 제어기(26)는 2개 이상의 차이들에 기초하여 테이블 룩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피팅 파라미터는 값들의 어레이일 수 있으며, 각각의 값은 대응하는 차이에 기초한다.
일 양태에서, 인-이어 헤드폰(4)은 스피커(22)를 구동하고 있는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주파수 응답을 측정하기 위해 마이크로폰 신호의 어느 부분들이 프로세싱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인-이어 헤드폰(4)은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들에서 측정된 주파수 응답과 목표 주파수 응답 사이의 차이들에 기초하여 피팅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성공적인 측정을 보장하기 위해, 인-이어 헤드폰(4)은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 오디오 신호의 부분들(예컨대, 각각의 프레임, 모든 다른 프레임 등)의 에너지 레벨들(또는 스펙트럼 밀도)이 임계 레벨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오디오 신호를 프로세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기(26)는 주파수(또는 주파수 대역)에서의 에너지 레벨이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오디오 신호의 스펙트럼 콘텐츠의 에너지 레벨들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에너지 레벨이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제어기(26)는 오디오 신호를 프로세싱하여 외이도의 주파수 응답을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에너지 레벨이 임계치 미만인 경우, 인-이어 헤드폰(4)은 오디오 신호로 스피커(22)를 계속 구동하고, 임계치를 초과하는 에너지 레벨을 갖는 스펙트럼 콘텐츠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의 장래의 부분이 획득될 때까지 주파수 응답을 측정하는 것을 대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기(26)는 그러한 조건들이 충족될 때까지 오디오 신호를 프로세싱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오디오 신호가 테스트 오디오 신호일 때,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들은 충분한 에너지 레벨들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오디오 신호가 사용자-원하는 콘텐츠(예컨대, 음악)인 경우, 인-이어 헤드폰(4)은 음악을 재생하고 에너지 레벨들이 임계치를 초과할 때까지 주파수 응답을 측정하는 것을 대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도 3의 프로세스(40)를 수행하기 위해, 인-이어 헤드폰(4)은 블루투스 링크를 통해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고 오디오 신호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외이도의 주파수 응답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인-이어 헤드폰(4)(또는 제어기(26))이 오디오 신호를 사용하여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는 피팅 프로세스를 시작하도록 인-이어 헤드폰(4)에 지시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는 오디오 신호가 헤드폰(4)으로 스트리밍되기 전에 헤드폰(4)에 지시한다. 그러나, 종래의 무선 표준들은 그러한 명령어를 제공할 수 없다. 대신에, 소스 디바이스가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수신기(또는 싱크) 디바이스에 오디오 데이터를 스트리밍할 때, 수신기 디바이스는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되고 있는 이유(또는 무엇에 대한 것인지)에 관한 임의의 명령어 없이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구성될 뿐이다. 구체적으로, 오디오 분배 프로파일(예컨대, 블루투스 어드밴스드 오디오 분배 프로파일(A2DP))을 사용하는 무선 접속을 통해 오디오 데이터를 스트리밍할 때, 수신기 디바이스는 재생의 목적(예컨대, 재생이 이어 팁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것인지 여부)을 알지 못한다. 오히려, A2DP 프로파일은 임의의 추가 정보 없이 비동기식 비접속(Asynchronous Connection-Less, ACL) 채널들을 통해 오디오 데이터의 분배 및 재생을 위한 프로토콜들 및 절차들을 정의한다.
이러한 결핍을 극복하기 위해, 본 개시내용은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와 인-이어 헤드폰 사이의 통신 링크를 통해 2개의 무선 접속들을 확립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며, 각각의 접속은 상이한 무선 프로파일을 사용한다. 접속들 중 하나에 대해, 프로세스를 시작하도록 인-이어 헤드폰에 지시하는 데이터가 하나의 프로파일에 따라 포맷되는 반면, 다른 프로파일에 따라, 피팅 프로세스 동안 사용하기 위해 오디오 신호를 인-이어 헤드폰에 분배(또는 스트리밍)하기 위해 다른 접속이 사용된다. 그러한 방법은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가 피팅 프로세스를 위해 헤드폰으로 스트리밍될 오디오 신호를 사용하도록 인-이어 헤드폰에 지시할 수 있게 한다.
도 5는 도 3의 블록(42)에 설명된 바와 같이, 피팅 프로세스를 설정 및 수행하는 프로세스(50)의 블록도이다. 예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프로세스(50)의 동작들은 오디오 시스템(20)(예컨대,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 및/또는 인-이어 헤드폰(4))에 의해 수행된다. 일 양태에서, 피팅 프로세스를 설정하기 위해,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는 통신 링크를 통해 2개의 무선 접속들을 확립하고, 여기서, 접속들 중 하나는 피팅 프로세스가 수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인-이어 헤드폰(4)에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다른 것은 오디오 신호를, 피팅 프로세스 동안 사용하기 위해 헤드폰으로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프로세스(50)는 (블록(51)에서) 이어-팁 피팅 프로세스가 수행되어야 한다는 표시를 획득하는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에 의해 시작한다. 예를 들어, 소스 디바이스(9)(디바이스의 제어기(35))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이어-팁 피팅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을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소스 디바이스(9)의 디스플레이 스크린(33) 상에서 피팅 프로세스를 개시하기 위해 UI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UI 아이템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때(예컨대, 디스플레이 스크린(33) 상의 탭 제스처), 제어기(35)는 표시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표시는 인-이어 헤드폰(4)이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고 있고, 따라서 프로세스를 시작하도록 지시될 준비가 되었다는 통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이어 헤드폰(4)의 제어기(26)는 인-이어 헤드폰(4)이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지(또는 사용자의 귀 내로 삽입되는지) 여부를 제어기(26)가 결정하는 귀 내 존재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결정은 하나 이상의 센서들에 의해 획득된 센서 데이터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이어 헤드폰(4)은 헤드폰(4)으로부터 물체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센서 데이터를 생성하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26)는 센서 데이터를 획득하고, 거리가 임계치(예를 들어, 1 인치) 미만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거리가 임계치 미만일 때, 사용자가 사용자의 머리(또는 귀)에 대항하여 헤드폰(4)을 배치하고 있다고 판단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이러한 결정은 거리의 변화 속도에 기초할 수 있고/있거나 거리가 일정 기간(예컨대, 10 초) 동안 임계치 미만인지 여부에 기초할 수 있다. 일단 인-이어 헤드폰(4)이 사용되고 있다고 제어기(26)가 결정하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는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에 통지를 송신한다. 다른 양태에서, 일단 인-이어 헤드폰이 사용 상태에 있다고 제어기(26)가 결정하면, 제어기(26)는 링크가 이미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경우,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와의 무선 통신 링크를 확립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에 지시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인-이어 헤드폰(4)이 사용 중이라는 결정은, 이어 팁과 함께 삽입되는 공기압 센서에 의한 사용자의 외이도 내로의 검출된 압력 변화에 기초할 수 있다. 공기압 센서는, 헤드폰(또는 이어 팁)이 사용자의 귀 내로 삽입될 때 외이도 내의 공기압을 나타내는 공기압 신호를 생성한다. 삽입 동안 그리고 삽입 후에, 공기압 센서는 주변 대기압과 관련하여 외이도 내의 공기압의 변화들을 검출한다. 이러한 변화들은, 이어폰이 귀 내로 삽입되는 동안 외이도 내에 밀봉을 생성하고 공기의 부피를 압축할 때 이어폰의 팁에 의해 야기된다. 이어폰은 사용자가 헤드폰을 사용자의 외이도 내로 삽입하는 것을 나타내는 펄스들과 같은, 공기압의 변화들을 검출하기 위해 공기압 신호를 프로세싱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공기압 센서는 독립형 공기압 센서일 수 있다. 다른 양태들에서, 공기압 센서는 내부 마이크로폰(23)과 같은 마이크로폰일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마이크로폰이 공기압의 변화들에 기초하여 마이크로폰 신호를 생성하기 때문이다.
일부 양태들에서, 표시는 사용자가 원하는 오디오 콘텐츠(예컨대, 음악)의 재생을 요청하는 미디어 재생 애플리케이션(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의 제어기(35)에 의해 실행되고 있음)에 응답하여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의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예를 들어, 소스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스크린(33)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UI 아이템의 선택을 통해) 오디오 콘텐츠의 재생을 개시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입력 및 응답으로 요청 재생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인-이어 헤드폰(4)은 이어 팁의 피팅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가 원하는 오디오 콘텐츠를 사용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표시는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의 재생 동안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의 제어기(35)에 의해 주기적으로(예를 들어, 자동으로) 획득될 수 있다. 이는 피팅 프로세스가 백그라운드에서(예를 들어, 이어 팁이 결정된 피팅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교체될 필요가 있다고 시스템이 결정할 때까지 사용자가 알지 못하게) 수행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는 액세서리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블루투스 링크를 통해 그리고 제1 무선 접속(또는 통신 채널)을 통해 피팅 프로세스를 시작하도록 하는 (제1) 요청을 송신한다. 일 양태에서,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는 블록(51)에서 표시를 획득하는 것에 응답하여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는 요청을 송신하라는 표시를 획득한 후에 일정 기간(예를 들어, 1 초)을 대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이어 헤드폰이 사용자의 귀 내로 삽입되었음을 검출하는 것과 표시가 연관되는 경우에,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는 요청을 송신하기 전에 헤드폰이 안착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액세서리 프로파일은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로부터 인-이어 헤드폰(4)으로 데이터를 송신(예컨대, 요청)하기 위한 파라미터들(또는 프로토콜들) 및 절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제1 무선 접속이 이미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경우,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는 표시를 획득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1 무선 접속을 확립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무선 접속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오디오 분배에 사용될 제2 무선 접속 이전에 확립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액세서리 프로파일은 특정 액션들을 수행하기 위해 인-이어 헤드폰과 같은 액세서리 디바이스들을 구성하기 위한 프로파일이다. 예를 들어, 액세서리 프로파일은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가 인-이어 헤드폰(4)에 대한 식별 정보를 재구성할 수 있게 하고/하거나 디바이스(9)가 피팅 프로세스와 같은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인-이어 헤드폰에 지시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액세서리 프로파일은 블루투스 직렬 포트 프로파일(Bluetooth Serial Port Profile, SPP)일 수 있다.
요청을 획득하면, 인-이어 헤드폰(4)은 (블록(52)에서) 피팅 프로세스를 시작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로부터) 요청을 획득할 때, 제어기(26)는 오디오 신호의 수신을 예상하여 하나 이상의 동작들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기(26)는 마이크로폰에 의해 생성되는 마이크로폰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내부 마이크로폰(23)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어기(26)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동작들을 수행하기 시작하고/하거나 오디오 신호를 프로세싱 및/또는 출력할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미디어 재생 애플리케이션 등)을 실행하기 시작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어기(26)는 현재 조건들이 성공적인 피팅 측정을 허용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요청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파수 응답의 측정이 주변 잡음에 취약할 수 있기 때문에, 제어기(26)는 사용자의 (환경으로부터의 주변 잡음에 대해) 외이도 내의 잡음이 임계치 미만인지 여부(예컨대, 내부 마이크로폰(23)에 의해 생성된 마이크로폰 신호의 신호 대 잡음(SNR) 비가 임계치 초과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 조건들은 측정을 수행하는 데 적절할 수 있다.
프로세스를 시작한 후에, 인-이어 헤드폰(4)은 요청이 수신되었음을 확인응답하고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로의 제1 무선 접속을 통해 프로세스가 시작된 것(또는 시작될 것)이라는 확인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일 양태에서, 헤드폰(4)은, 전술된 바와 같이, 조건들이 측정을 수행하는 데 유리할 때까지 확인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대기할 수 있다(예를 들어, SNR이 임계치를 초과할 때까지 대기함). 확인응답 메시지의 수신 시에,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는 인-이어 헤드폰(9)에 대한 오디오 분배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제2 무선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커맨드 메시지를 송신한다. 일 양태에서, 오디오 분배 프로파일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블루투스 A2DP일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제2 무선 접속은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통한 송신을 위해 오디오 데이터를 포맷할 수 있는 임의의 프로파일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는 제2 무선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 커맨드 메시지를 송신하기 전에 확인응답 메시지가 수신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인-이어 헤드폰(4)은 (블록(53)에서)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와의 제2 무선 접속을 확립한다. 예를 들어, 인-이어 헤드폰(4)은 제2 무선 접속을 통해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인-이어 헤드폰 내에서 실행되고 있는(예컨대,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되고 있는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코덱을 협상하는 것 등) 블루투스 스택을 구성하기 위해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일단 확립되면, 인-이어 헤드폰(4)은 제2 무선 접속의 확립을 확인응답하고 인-이어 헤드폰이 오디오 신호를 수신(또는 스트리밍)할 준비가 되었다는 확인응답 메시지를 송신한다. 일단 수신되면,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는 오디오 신호를 제2 무선 접속을 통해 인-이어 헤드폰(4)으로 송신한다(또는 스트리밍한다). 일 양태에서,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는 인-이어 헤드폰이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준비가 되어 있음을 확인응답하는 확인응답 메시지가 수신될 때까지 오디오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대기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오디오 신호는 테스트 사운드를 포함하는 미리 정의된 테스트 오디오 신호일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오디오 신호는 음악과 같은 사용자가 원하는 오디오 사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오디오 신호는 다른 목적을 위해 또한 사용되는 시스템 생성 오디오 신호(예컨대, 인-이어 검출 톤 또는 차임(chime))일 수 있다. 오디오 신호에 관한 더 많은 것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인-이어 헤드폰(4)은 (블록(54)에서) 피팅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해 이어 팁 피팅 측정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인-이어 헤드폰은 제2 무선 접속을 통해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고, 오디오 신호를 사용하여 스피커(22)를 구동하여 사용자의 외이도 내로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된 사운드에 응답하여, 인-이어 헤드폰(4)은 피팅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인-이어 헤드폰은 출력된 사운드를 사용하여 외이도의 주파수 응답을 측정한다. 인-이어 헤드폰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측정된 주파수 응답에 기초하여 피팅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피팅 파라미터를 결정할 때, 인-이어 헤드폰은 제1 무선 접속을 통해 피팅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로 송신한다.
일 양태에서, 측정은 주변 잡음에 취약할 수 있고, 따라서 상당한 양의 주변 잡음이 있다면, 측정은 부정확할 수 있다. 따라서, 오디오 시스템(20)은 주변 조건들에 기초하여 피팅 프로세스를 중단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6은 피팅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피팅 프로세스를 중단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프로세스(80)의 일 양태의 신호 도면을 예시한다. 일 양태에서, 프로세스(80)는 도 4 및 도 5에 설명된 바와 같이,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가 인-이어 헤드폰(4)으로부터 피팅 파라미터를 획득한 후에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스(80)는 (판정 블록(81)에서) 피팅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피팅 프로세스가 성공적인지 또는 실패했는지 여부를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가 결정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예를 들어, "성공적인" 피팅 프로세스는 피팅 파라미터가 예상 범위(예컨대, 20 내지 100) 내에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스의 "실패"는 피팅 파라미터가 그 범위 밖에 있거나 또는 매우 낮은(또는 높은) 피팅 파라미터(예를 들어, 100 중 1)인 것으로 결정될 때 생성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피팅 파라미터를 송신하기보다는, 인-이어 헤드폰(4)은 제1 무선 접속을 통해 실패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실패 메시지는 인-이어 헤드폰이 유용한 피팅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없었음(또는 전적으로 피팅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없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실패한 피팅 프로세스는 주파수 응답의 측정과 간섭하는 환경 내의 주변 잡음에 기초할 수 있다. 주변 잡음을 완화시키기 위해, 인-이어 헤드폰(4)은 ANC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여기서 제어기(26)는 외부 마이크로폰(21)으로부터의 기준 마이크로폰 신호 및/또는 내부 마이크로폰(23)으로부터의 에러 마이크로폰 신호를 사용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외이도 내로 누설되는 주변 잡음을 감소시키기 위해 스피커(22)를 통해 출력되는 잡음 방지 신호를 컴퓨팅한다. ANC 기능을 수행하는 동안, 제어기(26)는 기준 마이크로폰 신호 내에 포함된 주변 잡음의 레벨 또는 양에 따라, ANC 기능을(예컨대, 그 필터 계수들을) 주기적으로 (예를 들어, 매 1 내지 100 밀리초마다) 적응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일부 경우들에서, ANC 기능은 동결될 수 있고, 이는 ANC 필터 계수들이 하나 이상의 기간 동안 변화되지 않은 채로 유지됨을 의미한다. ANC 기능은 다양한 이유들로 동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는 오디오 시스템에서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람 잡음은 상당한 양의 저주파수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주파수 응답과 간섭하는 바람 잡음은 저주파수 범위에서 높은 산발적인 에너지 스파이크들을 야기할 수 있으며, 이는 ANC 기능이 동결되게 할 수 있다.
ANC 기능이 동결될 때, 기준 마이크로폰 신호 내에 포함된 많은 양의 주변 잡음(예를 들어, 임계량을 초과함)이 생성될 수 있다. ANC 기능이 소정 시간 동안 주파수 응답의 측정 동안 동결되면, 그것은 피팅 프로세스가 실패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이 1 초 동안 발생하고, ANC 기능이 그 시간의 임계치(예컨대, 0.5 초 또는 시간의 50%) 동안 동결되면, 오디오 시스템은 측정이 실패라고 결정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시스템에서 불안정성을 야기할 수 있는 상당한 양의 주변 잡음이 또한 측정과 간섭할 수 있기 때문이다. 측정의 적어도 일부분 동안 ANC 기능이 동결된다고 오디오 시스템이 결정하는 경우, 오디오 시스템(20)은 측정이 실패라고 결정할 수 있다.
피팅 프로세스가 실패(또는 성공이 아님)인 것으로 결정되면, 프로세스(80)는 (블록(82)에서) 피팅 프로세스를 재시작하기 위해 도 5의 블록(51)으로 복귀한다. 일 양태에서, 프로세스(80)는 피팅 프로세스가 성공적일 때까지 반복될 수 있거나, 또는 프로세스가 이러한 시간에 적절히 수행될 수 없다는 것을 오디오 시스템이 사용자에게 통지할 때까지 소정 횟수 반복될 수 있다.
그러나, 피팅 프로세스가 성공이었다면,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는 제1 무선 접속을 통해 확인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며, 이는 프로세스가 성공적이었음을 확인응답하고, 프로세스를 중단하도록 인-이어 헤드폰(4)에 지시한다. 응답으로, 인-이어 헤드폰(4)은 (블록(83)에서) 프로세스를 중단한다. 예를 들어, 인-이어 헤드폰(4)은 내부 마이크로폰(23)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고/있거나 제어기(26)는 이어 팁 측정과 연관된 동작들(또는 기능들)을 수행하는 것을 중지할 수 있다.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는 또한 (블록(84)에서) 제2 무선 접속을 통해, 인-이어 헤드폰으로 오디오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중단한다. 일 양태에서,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는 확인응답 메시지의 송신 전에, 그 후에 또는 동시에 오디오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중단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는 제1 무선 접속을 통해, 인-이어 헤드폰으로부터 확인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오디오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중단할 수 있으며, 이는 인-이어 헤드폰(4)이 (예를 들어, 블록(83) 이후에) 프로세스를 중단했음을 확인응답한다. 일 양태에서, 피팅 프로세스는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는 것을 중단하는 인-이어 헤드폰(4)에 의해 중단된다.
이어서,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는 제2 무선 접속을 해제하라는 요청을 송신한다. 일 양태에서, 이러한 요청은 제1 또는 제2 무선 접속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응답으로, 인-이어 헤드폰(4)은 제2 무선 접속을 해제하고(또는 종료하고) 제2 무선 접속의 해제를 확인응답하는 확인응답 메시지를 다시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로 송신한다. 일 양태에서, 인-이어 헤드폰(4)은 또한 제1 무선 접속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무선 접속의 해제에 의해, 오디오 시스템(20)은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가 도 5의 블록(51)에서 표시를 획득하기 전의 상태로 복귀한다. 일부 양태들은 도 6에 설명된 프로세스(80)의 변형들을 수행한다. 일 변형에서, 판정 블록(81)에서 수행되는 동작들은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가 (프로세스(80)의 끝에서) 제2 무선 접속이 해제되었다는 확인응답 메시지를 획득한 후에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피팅 프로세스가 성공적이지 않은 경우, 프로세스는 도 5의 블록(51)으로 진행하여 프로세스(50)의 동작들을 반복할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프로세스(80)는 종료될 것이다.
도 7은 피팅 프로세스를 종료하기 위한 프로세스(90)의 일 양태의 신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프로세스(90)는 인-이어 헤드폰(4)이 도 5의 블록(52)에서 프로세스를 시작한 후에 그리고/또는 프로세스가 도 6의 블록(83)에서 중단되기 전에 수행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이러한 프로세스(90)는 언제든지 수행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프로세스(90)에 설명된 동작들은 오디오 시스템(20)의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 및/또는 인-이어 헤드폰(4)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스(90)는 (블록(91)에서) 피팅 프로세스가 종료되어야 한다고 결정하는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에 의해 시작한다. 일 양태에서, 결정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의 사용자는, 선택될 때 프로세스를 종료하도록 제어기(35)(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지시하는 UI 아이템(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스크린(33) 상에 디스플레이됨)을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 입력은 음성 커맨드(예컨대, 외부 마이크로폰의 마이크로폰 신호 내에 포함되고 제어기(35)의 음성 인식 기능에 의해 검출됨)에 기초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결정은 측정을 위해 사용될 오디오 신호 대신에 재생을 위해 상이한 오디오 신호를 인-이어 헤드폰에 스트리밍하기 위해 (제어기(35)에 의해)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 내에서 실행되고 있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요청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화 애플리케이션은 (예컨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에 의해 획득된 표시를 통해) 착신 호출이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에 의해 수신되고 있음을 식별할 수 있다. 착신 호출을 식별할 때, 전화 애플리케이션은 인-이어 헤드폰의 스피커(22)를 통해 착신 호출(예컨대, 그 링 톤 신호 및/또는 다운링크 신호)을 출력하도록 제어기(35)에 요청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상이한 오디오 신호를 스트리밍한다는 결정은 보다 높은 (출력) 우선순위를 갖는 상이한 오디오 신호에 기초할 수 있다. 제어기는 어느 오디오 신호(또는 프로세스)가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제어기는 미디어 재생 요청들(및/또는 재생을 요청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우선순위 값과 연관시키는 데이터 구조로 테이블 룩업을 수행할 수 있다. 착신 호출이 피팅 프로세스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제어기(35)는 착신 호출을 출력하기 위해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결정은 인-이어 헤드폰(4)(및/또는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에 의해 수행되고 있는 진행 중인 피팅 프로세스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스는 타임아웃될(예컨대, 임계 시간을 초과함) 수 있고, 따라서 프로세스를 (가능하게는, 과도한 기간 동안) 계속 실행시키기보다는,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는 프로세스를 종료시키는 것으로 결정한다.
따라서, 프로세스가 종료되어야 한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는 제1 무선 접속을 통해 프로세스를 중단하도록 하는 (제2) 요청을 인-이어 헤드폰(4)으로 송신한다. 인-이어 헤드폰은 요청에 응답하여, 그리고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블록(83)에서 프로세스를 중단한다. 인-이어 헤드폰(4)은 제1 무선 접속을 통해 프로세스가 중단되었음을 확인응답하는 확인응답 메시지를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에 송신한다. 일단 수신되면,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는 블록(84)에서 오디오 신호를 인-이어 헤드폰(4)으로 송신하는 것을 중단하고, 도 6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제2 무선 접속을 해제하도록 하는 요청을 송신한다.
일 양태에서, 오디오 시스템은 상이한 오디오 신호의 재생이 완료된다고 결정할 시에 피팅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전 예를 계속하면, 착신 호출이 (예컨대, 호출을 종료하기 위해 소스 디바이스(9) 상에 제시되는 UI 아이템의 사용자 선택을 통해) 종료된 후에, 오디오 시스템은 도 5의 프로세스(50)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호출의 종료는, 이어 팁 피팅 프로세스가 블록(51)에서 수행되어야 한다는 표시일 수 있다.
일부 양태들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프로세스들에 대한 변형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스들의 적어도 일부의 특정 동작들은 도시되고 설명된 정확한 순서로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상이한 양태들에서 특정 동작들이 하나의 연속적인 일련의 동작들로 수행되지 않을 수 있고 상이한 특정 동작들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스(90)에서 피팅 프로세스가 종료되어야 한다고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9)가 결정하기보다는, 인-이어 헤드폰(4)이 그러한 결정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이어 헤드폰은 사용자가 (예컨대, 근접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이어 헤드폰을 벗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그 결과, 인-이어 헤드폰(4)은 프로세스를 중단하고, 프로세스가 중단되었다는 확인응답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동작들 중 적어도 일부는 수행될 수 있거나 수행되지 않을 수 있는 가동 동작들이다. 구체적으로, 파선 또는 점선 경계들을 갖는 것으로 예시된 블록들은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다른 블록들에 관하여 설명된 다른 동작들은 또한 선택적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기술의 일 양태는 인-이어 헤드폰을 위한 가장 최적의 이어 팁을 자동으로 선택하기 위한 특정적인 또는 적법한 소스들로부터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수집 및 사용이다. 본 개시내용은, 일부 예시들에서, 이러한 수집된 데이터가 특정 사람을 고유하게 식별하거나 또는 그를 식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개인 정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음을 고려한다. 그러한 개인 정보 데이터는 인구통계 데이터, 위치 기반 데이터, 온라인 식별자, 전화 번호, 이메일 주소, 집 주소, 사용자의 건강 또는 피트니스 레벨에 관한 데이터 또는 기록(예컨대, 바이탈 사인(vital sign) 측정치, 투약 정보, 운동 정보), 생년월일, 또는 임의의 다른 개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본 기술에서의 그러한 개인 정보 데이터의 이용이 사용자들에게 이득을 주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음을 인식한다. 예를 들어, 개인 정보 데이터는 시간 경과에 따라 최적의 이어 팁을 효율적으로 선택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이어 팁들에 대한 결정된 피팅 파라미터들은 사용자의 개인 정보 데이터(예컨대, 사용자의 이름)를 통해 사용자와 연관되고, 인-이어 헤드폰(예컨대, 헤드폰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가 다른 이어 팁들에 대한 장래의 피팅 파라미터들을 결정하기 위한 장래의 이어 팁 선택 측정들을 수행할 때, 헤드폰은 최적의 이어 팁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자의 이전에 결정된 피팅 파라미터들을 검색하여 그것들을 장래의 피팅 파라미터들과 비교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그러한 개인 정보 데이터의 수집, 분석, 공개, 전달, 저장, 또는 다른 사용을 담당하는 그러한 엔티티들이 잘 확립된 프라이버시 정책들 및/또는 프라이버시 관례들을 준수할 것이라는 것을 고려한다. 특히, 그러한 엔티티들은 사용자들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하기 위한 산업 또는 행정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거나 능가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인식되는 프라이버시 관례들을 구현하고 일관되게 적용할 것으로 예상될 것이다. 개인 데이터의 사용에 관한 그러한 정보는 눈에 잘 띄고 사용자들에 의해 쉽게 액세스가능해야 하며, 데이터의 수집 및/또는 사용이 변화함에 따라 업데이트되어야 한다. 사용자들로부터의 개인 정보는 적법한 사용들을 위해서만 수집되어야 한다. 추가로, 그러한 수집/공유는 사용자들의 동의 또는 적용가능한 법률에 규정된 다른 적법한 근거를 수신한 후에만 발생해야 한다. 부가적으로, 이러한 엔티티들은, 이러한 개인 정보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를 보호하고 안전하게 하며 개인 정보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를 갖는 다른 사람들이 그들의 프라이버시 정책들 및 절차들을 고수한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임의의 필요한 조처들을 취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게다가, 이러한 엔티티들은 널리 인정된 프라이버시 정책들 및 관례들에 대한 그들의 고수를 증명하기 위해 제3자들에 의해 그들 자신들이 평가를 받을 수 있다. 그에 부가하여, 정책들 및 관례들은 수집되고 그리고/또는 액세스되는 특정 유형들의 개인 정보 데이터에 대해 적응되어야 하고, 상위 표준을 부과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 관할구역 특정 고려사항들을 포함한, 적용가능한 법률들 및 표준들에 적응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 소정 건강 데이터의 수집 또는 그에 대한 액세스는 연방법 및/또는 주의 법, 예를 들어 미국 건강 보험 양도 및 책임 법령(Health Insurance Portability and Accountability Act, HIPAA)에 의해 통제될 수 있는 반면; 다른 국가들에서의 건강 데이터는 다른 규정들 및 정책들의 적용을 받을 수 있고 그에 따라 취급되어야 한다.
전술한 것에도 불구하고, 본 개시내용은 또한 사용자들이 개인 정보 데이터의 사용, 또는 그에 대한 액세스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실시예들을 고려한다. 즉, 본 개시내용은 그러한 개인 정보 데이터에 대한 액세스를 방지하거나 차단하기 위해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한다. 예를 들어, 이를테면 광고 전달 서비스들의 경우에, 본 기술은 사용자들이 서비스를 위한 등록 중 또는 이후 임의의 시간에 개인 정보 데이터의 수집 시의 참여의 "동의함" 또는 "동의하지 않음"을 선택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사용자들은, 사용자의 이름과 같은 특정 데이터를 제공하지 않기로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사용자들은 이러한 데이터가 유지되는 시간의 길이를 제한할 것을 선택할 수 있다. "동의" 및 "동의하지 않음" 옵션들을 제공하는 것에 부가하여, 본 개시내용은 개인 정보의 액세스 또는 사용에 관한 통지들을 제공하는 것을 고려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그들의 개인 정보 데이터가 액세스될 앱을 다운로드할 시에 통지받고, 이어서 개인 정보 데이터가 앱에 의해 액세스되기 직전에 다시 상기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의도하지 않은 또는 인가되지 않은 액세스 또는 이용의 위험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개인 정보 데이터가 관리되고 취급되어야 한다는 것이 본 개시내용의 의도이다. 데이터의 수집을 제한하고 데이터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되면 데이터를 삭제함으로써 위험이 최소화될 수 있다. 추가로, 그리고 소정의 건강 관련 애플리케이션들을 비롯하여, 적용가능할 때,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해 데이터 비식별화가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한 경우, 식별자들을 제거하는 것, 저장된 데이터의 양 또는 특이성(specificity)을 제어하는 것(예를 들어, 주소 레벨에서보다는 도시 레벨에서 위치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 데이터가 저장되는 방법을 제어하는 것(예를 들어, 사용자들에 걸쳐 데이터를 집계하는 것), 그리고/또는 차등 프라이버시(differential privacy)와 같은 다른 방법들에 의해, 비식별화가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이 하나 이상의 다양한 개시된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해 개인 정보 데이터의 사용을 광범위하게 커버하지만, 본 개시내용은 다양한 실시예들이 또한 그러한 개인 정보 데이터에 액세스할 필요 없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또한 고려한다. 즉, 본 기술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이러한 개인 정보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분의 결여로 인해 동작 불가능하게 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콘텐츠는 사용자의 디바이스 상에서만 다루어지는 콘텐츠 또는 콘텐츠 전달 서비스들에 이용가능한 다른 비-개인 정보와 같은 수집된 비-개인 정보 데이터 또는 최소량의 개인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되고 사용자들에게 전달될 수 있다.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양태는 명령어들을 저장하고 있는 (마이크로전자 메모리와 같은) 비일시적 머신 판독가능 매체일 수 있으며, 이 명령어들은 네트워크 동작들, 신호 프로세싱 동작들, 오디오 신호 프로세싱 동작들, 및 이어 팁 선택 피팅 프로세스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하나 이상의 데이터 프로세싱 컴포넌트(본 명세서에서 총칭하여 "프로세서"라고 지칭됨)를 프로그래밍한다. 다른 양태들에서, 이러한 동작들 중 일부는 하드와이어드 로직(hardwired logic)을 포함하는 특정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 동작들은, 대안적으로, 프로그래밍된 데이터 프로세싱 컴포넌트들과 고정된 하드와이어드 회로 컴포넌트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특정 양태들이 설명되고 첨부 도면들에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양태들이 광범위한 개시내용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하는 것이며, 다양한 다른 수정들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안출될 수 있기 때문에, 본 개시내용이 도시되고 설명된 특정 구성들 및 배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설명은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본 개시내용은 문언(language), 예를 들어 "[요소 A] 및 [요소 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문언은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는 "A", "B", 또는 "A 및 B"를 지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는 "A 중 적어도 하나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지칭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본 개시내용은 문언, 예를 들어 "[요소 A], [요소 B], 및/또는 [요소 C]"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문언은 요소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B, 및/또는 C"는 "A", "B", "C", "A 및 B", "A 및 C", "B 및 C", 또는 "A, B, 및 C"를 지칭할 수 있다.

Claims (20)

  1. 인-이어 헤드폰(in-ear headphone)에 결합되는 제1 이어 팁(ear tip)에 대하여 이어 팁 피팅(fitting)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인-이어 헤드폰과 페어링되는(paired)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오디오 신호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외이도 내로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상기 인-이어 헤드폰의 스피커를 구동하는 단계 - 상기 제1 이어 팁이 상기 인-이어 헤드폰에 결합되고 상기 사용자의 상기 외이도 내로 삽입됨 -;
    상기 출력된 사운드에 응답하는 마이크로폰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마이크로폰 신호와 연관되는 제1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파라미터와 제2 파라미터 사이의 비교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이어 팁을 제2 이어 팁으로 교체하도록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파라미터는 상기 제2 이어 팁이 상기 인-이어 헤드폰에 결합되고 상기 사용자의 상기 외이도 내로 삽입된 동안에 상기 제2 이어 팁에 대한 이전의 이어 팁 피팅 측정 동안 결정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는 제1 오디오 신호이고, 상기 제1 이어 팁을 교체하도록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이어 팁을 상기 제2 이어 팁으로 교체하도록 하는 음성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제2 오디오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스피커를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이어 팁을 상기 제2 이어 팁으로 교체하도록 하는 텍스트 명령어들을 디스플레이하게 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라미터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 대해 상기 마이크로폰 신호의 주파수 응답과 목표 주파수 응답 사이의 차이에 기초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대역은 1000 ㎐ 미만인 저주파수 대역인,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라미터는 1000 ㎐ 이상인 고주파수 대역에 대해 상기 주파수 응답과 상기 목표 주파수 응답 사이의 차이에 추가로 기초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라미터는 상기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제2 이어 팁이 상기 인-이어 헤드폰에 결합된 동안 이전에 측정된 주파수 응답과 상기 목표 주파수 응답 사이의 다른 차이에 기초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라미터 및 상기 제2 파라미터는 상기 저주파수 대역 및 상기 고주파수 대역에서 각각의 측정된 주파수 응답들과 상기 목표 주파수 응답 사이의 차이들에 기초하는, 방법.
  8.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로서,
    프로세서; 및
    명령어들이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로 하여금,
    이어 팁이 인-이어 헤드폰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외이도 내에 삽입되는 동안, 상기 인-이어 헤드폰으로 하여금 복수의 이어 팁들 각각에 대한 이어 팁 피팅(fitting) 측정을 수행하게 하고;
    상기 복수의 이어 팁들의 각각의 이어 팁에 대해, 상기 이어 팁 피팅 측정에 의해 결정되고, 대응하는 이어 팁이 상기 사용자의 상기 외이도 내에 얼마나 잘 피팅되는지를 나타내는 피팅 파라미터를 획득하게 하고;
    상기 복수의 이어 팁들에 대한 피팅 파라미터들의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이어 팁들 중 어느 것이 사용될지를 결정하게 하는,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어 팁들 중 어느 것이 사용될지를 결정하기 위한 명령어들은 상기 복수의 이어 팁들 중 다른 이어 팁 각각보다 높은 피팅 파라미터를 갖는 상기 복수의 이어 팁들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각각의 피팅 파라미터는 2개 이상의 주파수 대역들에서 대응하는 이어 팁이 상기 인-이어 헤드폰에 결합되는 동안 측정되는 주파수 응답과 목표 주파수 응답 사이의 차이들에 기초하는,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각각의 피팅 파라미터는 저주파수 대역에서의 차이 및 고주파수 대역에서의 다른 차이에 기초하는,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수 대역은 1000 ㎐ 미만이고, 상기 고주파수 대역은 1000 ㎐ 이상인,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
  13. 제10항에 있어서, 더 높은 피팅 파라미터를 갖는 상기 이어 팁은 상기 2개 이상의 주파수 대역들에서 상기 복수의 이어 팁들 중 다른 이어 팁보다 낮은 차이들을 갖는,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1) 상기 복수의 이어 팁들 중 어느 것을 사용할지를 나타내는 텍스트 명령어들을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것 및 2) 상기 복수의 이어 팁들 중 어느 것을 사용할지를 나타내는 음성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이용하여 스피커를 구동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복수의 이어 팁들 중 어느 것이 사용될지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명령어들을 추가로 포함하는,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
  15. 인-이어 헤드폰으로서,
    스피커;
    사용자의 외이도 내의 사운드를 캡처하도록 구성되는 내부 마이크로폰;
    적어도 하나의 센서;
    프로세서; 및
    명령어들을 갖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인-이어 헤드폰으로 하여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해 생성되는 센서 데이터를 획득하게 하고;
    상기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인-이어 헤드폰이 상기 사용자의 상기 외이도 내로 삽입되었다는 것을 결정하게 하고;
    상기 인-이어 헤드폰이 삽입되었다는 결정 이후, 오디오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외이도 내로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상기 스피커를 구동하게 하고;
    상기 출력된 사운드에 응답하여, 상기 내부 마이크로폰에서 캡처된 마이크로폰 신호의 주파수 응답을 측정하게 하고;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마이크로폰 신호의 상기 주파수 응답과 연관된 파라미터를 오디오 소스 디바이스로 송신하게 하는, 인-이어 헤드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저주파수 대역 및 고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측정된 주파수 응답과 목표 주파수 응답 사이의 차이들에 기초하는, 인-이어 헤드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수 대역은 1000 ㎐ 미만이고, 상기 고주파수 대역은 1000 ㎐ 이상인, 인-이어 헤드폰.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오디오 신호의 스펙트럼 콘텐츠의 에너지 레벨이 임계치 초과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오디오 신호를 프로세싱하는 추가 명령어들을 갖고, 상기 주파수 응답을 측정하는 명령어들은 상기 에너지 레벨이 상기 임계치 초과인 것에 응답하는, 인-이어 헤드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레벨이 상기 임계치 미만인 것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는
    상기 오디오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스피커를 계속해서 구동하고;
    상기 임계치를 초과하는 에너지 레벨을 갖는 상기 주파수 대역에서 스펙트럼 콘텐츠를 포함하는 상기 오디오 신호의 장래의 부분이 획득될 때까지 상기 주파수 응답을 측정하는 것을 대기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갖는, 인-이어 헤드폰.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는 상기 인-이어 헤드폰이 상기 사용자의 상기 외이도 내로 삽입되었다고 결정된 때로부터 일정 기간 동안 대기한 이후에 상기 스피커를 구동하도록 사용되는, 인-이어 헤드폰.
KR1020200083873A 2019-07-08 2020-07-08 인-이어 헤드폰 피팅의 음향 검출 KR1023619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71623P 2019-07-08 2019-07-08
US62/871,623 2019-07-08
US16/918,950 2020-07-01
US16/918,950 US11470413B2 (en) 2019-07-08 2020-07-01 Acoustic detection of in-ear headphone f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6303A KR20210006303A (ko) 2021-01-18
KR102361999B1 true KR102361999B1 (ko) 2022-02-10

Family

ID=74006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3873A KR102361999B1 (ko) 2019-07-08 2020-07-08 인-이어 헤드폰 피팅의 음향 검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1722809B2 (ko)
KR (1) KR102361999B1 (ko)
CN (2) CN117880720A (ko)
DE (1) DE1020201177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77449A1 (en) * 2021-05-21 2022-11-24 Bose Corporation Dynamic seal testing and feedback for audio wearable devices
US20220386048A1 (en) * 2021-05-28 2022-12-01 Starkey Laboratori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assessing insertion position of hearing instrument
KR20230019533A (ko) * 2021-08-02 2023-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WO2023106427A1 (ko) * 2021-12-06 2023-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음향기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32048A1 (en) * 2008-09-19 2018-05-10 Staton Techiya Llc Acoustic Sealing Analysis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61260A2 (en) 2006-11-18 2008-05-22 Personics Holdings Inc. Method and device for personalized hearing
US8401200B2 (en) 2009-11-19 2013-03-19 Apple Inc. Electronic device and headset with speaker seal evaluation capabilities
BR112013017071A2 (pt) 2011-01-05 2018-06-05 Koninl Philips Electronics Nv método para detectar e aparelho para determinar uma indicação de qualidade da vedação para uma vedação de um canal auditivo.
US9293128B2 (en) 2014-02-22 2016-03-22 Apple Inc. Active noise control with compensation for acoustic leak in personal listening devices
US9486823B2 (en) 2014-04-23 2016-11-08 Apple Inc. Off-ear detector for personal listening device with active noise control
US20160330546A1 (en) 2015-05-06 2016-11-10 Aliphcom Headset with leakage detection
US9967647B2 (en) 2015-07-10 2018-05-08 Avnera Corporation Off-ear and on-ear headphone detection
US10045107B2 (en) * 2015-07-21 2018-08-07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Eartip that conforms to a user's ear canal
DK3335434T3 (da) 2015-08-14 2021-09-06 Widex As System og fremgangsmåde til at personliggøre et høreapparat
EP3188495B1 (en) * 2015-12-30 2020-11-18 GN Audio A/S A headset with hear-through mode
US9779716B2 (en) 2015-12-30 2017-10-03 Knowles Electronics, Llc Occlusion reduction and active noise reduction based on seal quality
US20170214994A1 (en) 2016-01-25 2017-07-27 Knowles Electronics, Llc Earbud Control Using Proximity Detection
KR102498095B1 (ko) * 2016-10-24 2023-02-08 아브네라 코포레이션 헤드폰 오프-이어 검출
KR102535726B1 (ko) * 2016-11-30 2023-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어폰 오장착 검출 방법, 이를 위한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US10564925B2 (en) * 2017-02-07 2020-02-18 Avnera Corporation User voice activity detection methods, devices, assemblies, and components
US10264365B2 (en) 2017-04-10 2019-04-16 Bose Corporation User-specified occluding in-ear listening devices
US10257602B2 (en) 2017-08-07 2019-04-09 Bose Corporation Earbud insertion sensing method with infrared technology
US10334347B2 (en) 2017-08-08 2019-06-25 Bose Corporation Earbud insertion sensing method with capacitive technology
US10817252B2 (en) * 2018-03-10 2020-10-27 Staton Techiya, Llc Earphone software and hardware
CN208227263U (zh) * 2018-05-28 2018-12-11 易力声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用软胶圈密封皮套与喇叭盖之间配合工艺的耳机
US11153678B1 (en) 2019-01-16 2021-10-19 Amazon Technologies, Inc. Two-way wireless headphon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32048A1 (en) * 2008-09-19 2018-05-10 Staton Techiya Llc Acoustic Sealing Analysis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880720A (zh) 2024-04-12
US11722809B2 (en) 2023-08-08
US20230015418A1 (en) 2023-01-19
KR20210006303A (ko) 2021-01-18
CN112203204A (zh) 2021-01-08
US20240040297A1 (en) 2024-02-01
DE102020117780A1 (de) 2021-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1999B1 (ko) 인-이어 헤드폰 피팅의 음향 검출
US11470413B2 (en) Acoustic detection of in-ear headphone fit
US9838811B2 (en) Electronic devices and accessories with media streaming control features
US11665488B2 (en) Auditory device assembly
KR20180095542A (ko) 결합된 이어컵과 이어버드를 갖춘 헤드폰
US11558697B2 (en) Method to acquire preferred dynamic range function for speech enhancement
EP3310075B1 (en) Audio system with concealed space detection or calibration
EP3448064A1 (en) A hearing aid device including a self-checking unit for determine status of one or more features of the hearing aid device based on feedback response
US114560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udio output device type
US20230199368A1 (en) Acoustic device and methods
US11706555B2 (en) Setup management for ear tip selection fitting process
US11853642B2 (en) Method and system for adaptive volume control
US20230113703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dio bridging with an output device
KR20230043729A (ko) 귀 특성들을 측정하고 추적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2014192878A (ja) 受話品質測定方法、受話品質測定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