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1835B1 - 가스 홀더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스 홀더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1835B1
KR102361835B1 KR1020210066124A KR20210066124A KR102361835B1 KR 102361835 B1 KR102361835 B1 KR 102361835B1 KR 1020210066124 A KR1020210066124 A KR 1020210066124A KR 20210066124 A KR20210066124 A KR 20210066124A KR 102361835 B1 KR102361835 B1 KR 102361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gas holder
holder
pressure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6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굉선
Original Assignee
김굉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굉선 filed Critical 김굉선
Priority to KR1020210066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18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1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1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BGAS-HOLDERS OF VARIABLE CAPACITY
    • F17B1/00Gas-holders of variable capacity
    • F17B1/02Details
    • F17B1/14Safety devices, e.g. prevention of excess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BGAS-HOLDERS OF VARIABLE CAPACITY
    • F17B1/00Gas-holders of variable capacity
    • F17B1/013Gas-holders of variable capacity with movables dis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BGAS-HOLDERS OF VARIABLE CAPACITY
    • F17B1/00Gas-holders of variable capacity
    • F17B1/24Gas-holders of variable capacity of dry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1/00Pipe-line systems
    • F17D1/02Pipe-line systems for gases or vapours
    • F17D1/04Pipe-line systems for gases or vapours for distribution of g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 홀더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가스를 생산하는 생산공장에서 생산되어 유입되는 가스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저장된 가스를 필요에 따라 배출하는 가스 홀더(A); 가스 홀더(A)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게 분배하여 공급하는 분배기(B); 가스 홀더(A)로 유입되는 가스의 유입 압력, 가스 홀더(A)에 저장된 가스의 저장 압력, 가스 홀더(A)에서 배출되는 가스의 배출 압력, 분배기(B)에서 각 사용자로 공급되는 가스의 공급 압력을 센싱하는 센서부(C); 센서부(C)에서 제공되는 각 센싱값에 따라 가스 홀더(A)의 동작을 제어하는 관제서버(D); 를 포함하여 가스 홀더 제어 시스템을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스의 유입, 저장, 배출, 공급 과정에서 각 과정의 압력 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가스 홀더(A) 운용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연재해 발생 시 저장 가스의 비상 방출을 통해 폭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스 홀더 제어 시스템{Gas Holder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가스 홀더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가스의 유입, 저장, 배출, 공급 과정에서 각 과정의 압력 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가스 홀더 운용의 효율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자연재해 발생 시 저장 가스의 비상 방출을 통해 폭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 가스 홀더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바이오매스'란 광합성에 의하여 생성되는 다양한 조류(藻類) 및 식물 자원, 즉 나무, 풀, 농작물의 가지, 잎, 뿌리, 열매 등을 일컫는다. 하지만 근래에는 이보다 광범위한 의미로 모든 산업 활동에서 발생하는 유기성 폐자원, 예를 들면 톱밥, 볏짚 등과 같은 농·임업 부산물, 하수 슬러지(sludge)를 포함하는 각종 유기성 산업 슬러지, 음식 및 농수산 시장에서 발생하는 쓰레기, 축산 분뇨 등을 모두 바이오매스 자원이라고 한다.
바이오매스 자원인 농작물과 산림은 공기 중 이산화탄소와 태양 에너지를 이용하여 식량을 생산하면서 산소를 발생하는 이로운 자원이지만, 각종 유기성 산업 슬러지, 음식물 쓰레기, 축산 분뇨 등은 토양과 하천 오염의 주원인으로 골치 아픈 바이오매스 자원이기도 하다.
따라서, 바이오매스 자원의 양면성을 경험하면서, 궁극적으로 생활에 이롭고 환경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바이오매스 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바이오매스 자원의 에너지화'를 꾀하고 있다.
바이오매스 자원의 에너지화를 위한 가장 대표적인 것이 바이오매스를 통해 얻은 에너지로 전기를 생산하는 바이오매스 발전이며, 바이오매스 발전은 석유와 석탄 등 화석연료를 대체하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신재생에너지 발전 중 태양광이나 풍력 발전은 가동률이 1~3%에 불과하지만, 바이오매스 발전은 날씨에 좌우되지 않고, 가동률이 80%에 달해 안정적인 전력의 공급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세계적으로 바이오매스 발전을 위한 기술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바이오매스 발전 기술 중 음식물 쓰레기와 같은 유기성 폐기물을 수집 처리하여 혐기소화시설 내에서 바이오 가스(이하, ‘가스’라 함)를 발생시킨 후, 이 가스를 가스 홀더(gas holder) 내에 수집 저장하였다가 자동차의 연료 또는 난방용으로 사용되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한편, 가스 생산공장에서는 혐기소화시설에서 발생한 가스를 생산하고, 그 생산된 가스는 가스 홀더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후,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발전소, 공장, 주택, 상업건물 등으로 공급하게 되는데, 이때 가스 홀더에 저장되는 가스량과, 사용자가 사용하는 가스 사용량이 균형을 이루어야 가스의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케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사용자에서 가스 사용량이 급증하거나 급감하는 경우에 가스 홀더에 저장된 가스의 저장 압력이 불안정해지면서 가스 홀더 내에 설치된 피스톤데크의 기울어짐이 발생하고 그로 인해 피스톤데크의 승강이 불안정해지는 단점이 있다.
즉, 일반적인 가스 홀더는, 내부에 가스가 저장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수용부로 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수용부에 저장된 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저장탱크와, 수용부 내부에 저장되는 가스량에 따라 승강하는 피스톤데크와, 피스톤데크의 승강 시 피스톤데크의 수평을 유지하는 수평유지장치와, 저장탱크의 내주면과 피스톤데크 간에 설치되는 러버씰(멤브레인)로 구성된다.
따라서, 유입구를 통해 저장탱크의 수용부 내부로 가스가 유입되면 수용부 내부의 압력 상승으로 인해 피스톤데크가 상승하고, 수용부 내부의 가스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면 수용부 내부의 압력 저하로 인해 피스톤테크가 하강하게 된다.
이때, 피스톤데크는 저장탱크와 피스톤데크 간에 설치된 와이어 타입의 수평유지장치에 의해 승강 시 피스톤데크의 수평이 유지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수평유지장치는 저장탱크의 상부와 피스톤데크 및 저장탱크 하부 간에 연결된 다수의 와이어를 이용하는 방식으로서, 수용부 내부의 가스 압력분포가 불균일하거나 불안정하면, 와이어가 가지는 유연성으로 인해 피스톤데크의 기울어짐이 발생하고 그로 인해 피스톤데크의 승강이 불안정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위와 같이 피스톤데크의 기울어짐이 발생하면 불규칙한 반복 하중으로 인해 러버씰이 손상되면서 그 손상 부위로 가스가 누설되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피스톤데크의 기울어짐이 반복되면 수평유지장치의 와이어 마모가 가중되면서 와이어 절상이 발생하고 그로 인해 피스톤데크가 추락하면서 수용부 내부의 가스가 폭발할 가능성이 큰 단점이 있다.
또한, 우리나라는 역사적, 지리적으로 자연재해 발생이 많은 편은 아니나, 최근 통계자료 상 지진 발생률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종래의 가스 홀더는 내부에 가연성 가스가 저장된 상태에서 내진설계 기준을 초과하는 지진 발생 시, 이에 대응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으며, 외부에 노출된 가스 홀더의 특성상, 강력한 지진 발생 시 폭발 위험이 크고, 특히 가스의 유입이나 배출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강력한 지진 발생 시 가스 홀더의 폭발뿐만 아니라, 가스 홀더와 가스 공급 배관으로 연결된 발전소, 공장, 주택, 상업건물 등의 가스 사용지에도 연쇄 폭발이 발생할 가능성이 큰 단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1829호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스의 유입, 저장, 배출, 공급되는 과정에서 각 과정의 압력 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가스 홀더의 운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한 가스 홀더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연재해 발생 시 저장 가스의 비상 방출을 통해 폭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 가스 홀더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가스 홀더 제어 시스템은,
가스를 생산하는 생산공장에서 생산되어 유입되는 가스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저장된 가스를 필요에 따라 배출하는 가스 홀더(A);
상기 가스 홀더(A)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게 분배하여 공급하는 분배기(B);
상기 가스 홀더(A)로 유입되는 가스의 유입 압력, 가스 홀더(A)에 저장된 가스의 저장 압력, 가스 홀더(A)에서 배출되는 가스의 배출 압력, 분배기(B)에서 각 사용자로 공급되는 가스의 공급 압력을 센싱하는 센서부(C);
상기 센서부(C)에서 제공되는 각 센싱값에 따라 가스 홀더(A)의 동작을 제어하는 관제서버(D); 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가스 홀더(A)는,
지면에 설치되는 기초구조물(10);
상기 기초구조물(10) 상부에 설치되되, 내부에 가스가 저장되는 수용부(201)를 가지며, 주벽 일측에 수용부(201)와 연통하는 유입구(202)가 형성되고, 주벽 타측에 수용부(201)와 연통하는 배출구(203)가 형성된 저장탱크(20);
상기 저장탱크(20) 내부에 설치되어 수용부(201)에 저장되는 가스량에 따라 승강하는 피스톤모듈(30);
상기 기초구조물(10)에 수직으로 매립 설치되어 피스톤모듈(30)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모듈(40);
상기 저장탱크(20)의 내주면과, 피스톤모듈(30) 간에 설치되어 수용부(201)에서 가스가 저장되는 저장공간(201a)과, 비어있는 잉여공간(201b)을 구획하는 러버씰(5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피스톤모듈(30)은,
원형의 평판 형상으로 되되, 가장자리를 따라 러버씰(50)이 고정되는 피스톤플레이트(301);
상기 피스톤플레이트(301)의 저면에서 수직 하방으로 형성되어 가이드모듈(40)의 안내관체(401) 내에서 승강하는 승강체(30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승강체(302)는 다각 관체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승강체(302)는 소정 간격으로 복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승강체(302)의 하단부에는 무게추(303)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가이드모듈(40)은,
상기 기초구조물(10)에서 수직으로 매립 설치되어 피스톤모듈(30)의 승강체(302)가 내부에 삽입되어 승강하게 안내하는 안내관체(401);
상기 안내관체(401)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가스 유입을 차단하는 기밀부재(40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안내관체(401)의 내주면에는 저마찰코팅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가스 홀더(A)는,
상기 가이드모듈(40)의 하부에 설치되어 피스톤모듈(30)의 승강 시 진동과 충격을 완화하는 댐핑수단(6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댐핑수단(60)의 실린더 상부에는 탄성부재(601)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가스 홀더(A)는,
상기 가이드모듈(40)의 하부에 설치되어 피스톤모듈(30)의 승강을 제어하는 액추에이터(7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센서부(C),
상기 저장탱크(20)의 유입구(202)에 설치되어 유입구(202)로 유입되는 가스의 유입 압력을 센싱하고 그 센싱값을 관제서버(D)에 제공하는 유입압력센서(c1);
상기 저장탱크(20)의 저장공간(201a) 내부에 설치되어 저장공간(201a) 내부에 저장된 가스의 저장 압력을 센싱하고 그 센싱값을 관제서버(D)에 제공하는 저장압력센서(c2);
상기 저장탱크(20)의 배출구(203)에 설치되어 배출구(203)로 배출되는 가스의 배출 압력을 센싱하고 그 센싱값을 관제서버(D)에 제공하는 배출압력센서(c3);
상기 분배기(B)의 공급라인에 설치되어 분배기(B)에서 사용자에게로 공급되는 가스의 공급 압력을 센싱하고 그 센싱값을 관제서버(D)에 제공하는 공급압력센서(c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센서부(C)는 피스톤모듈(30)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관제서버(D)로 제공하는 자이로센서(c5)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관제서버(D)는,
상기 센서부(C)에서 제공되는 센싱값에 따라 유입제어밸브(202a)와 배출제어밸브(203a)의 동작 제어 신호를 자동 생성하여 가스의 유입 및 배출을 자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가스 홀더 제어 시스템은,
상기 가스 홀더(A) 내부로 폭발억제제를 주입하면서 내부에 저장된 가스가 긴급 방출되게 하는 비상방출부(F);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비상방출부(F)는,
폭발억제제가 저장되는 폭발억제제저장탱크(f1);
상기 폭발억제제저장탱크(f1)에 저장된 폭발억제제의 배출을 제어하는 폭발억제제배출밸브(f2);
상기 가스 홀더(A)의 배출구(203)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비상방출밸브(f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가스 홀더 제어 방법은, 상기 가스 홀더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가스 생산공장(P)에서 생산된 가스가 가스 홀더(A)의 유입구(202)를 통해 가스 홀더(A)로 유입되는 압력을 센싱하고, 그 센싱값을 관제서버(D)에 제공하는 유입 압력 센싱단계(S10);
상기 가스 홀더(A) 내에 저장된 가스의 압력을 센싱하고, 그 센싱값을 관제서버(D)에 제공하는 저장 압력 센싱단계(S20);
상기 가스 홀더(A)의 배출구(203)를 통해 가스가 배출되는 압력을 센싱하고, 그 센싱값을 관제서버(D)에 제공하는 배출 압력 센싱단계(S30);
상기 분배기(B)에서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가스의 공급 압력을 센싱하고, 그 센싱값을 관제서버(D)에 제공하는 공급 압력 센싱단계(S40);
상기 관제서버(D)가 가스 공급 압력에 따라 가스 홀더(A)의 유입제어밸브(202a)와 배출제어밸브(203a) 제어값을 자동 생성하여 유입제어밸브(202a)와 배출제어밸브(203a)를 실시간으로 원격 제어하는 제어단계(S50); 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가스 홀더 제어 방법은,
기상관측서버(W)에서 관제서버(D)로 제공되는 재난정보가 가스 홀더(A)의 내진설계기준을 초과하면, 가스 홀더(A) 내에 저장된 가스를 비상 방출하는 가스 비상 방출 단계(S6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스의 유입, 저장, 배출, 공급되는 과정에서 각 과정의 압력 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가스 홀더의 운용을 효율적으로 자동 제어함으로써 가스의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케 된다.
또한, 자연재해 발생 시 가스홀더에 저장된 가스의 비상 방출을 통해 자연재해로 인한 가스 폭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저장탱크 내부에서 승강하는 피스톤모듈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모듈이 지중에 수직으로 설치됨으로써 피스톤모듈의 안정적인 수평 유지 및 정밀한 승강이 가능케 되어 가스의 안정적인 유입, 저장, 배출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피스톤모듈이 승강하는 과정에서 러버씰의 손상 및 유해가스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저장탱크 내부 구조가 간소화됨으로써 제작 및 설치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스톤모듈과 가이드모듈의 부하 및 마모가 적어 사용 수명이 길고, 유지 및 관리비도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저장탱크의 잉여공간 내부에 불필요한 구조물의 설치가 배제됨으로써 피스톤모듈의 최대 상승 가능 높이가 더 높아지고, 그로 인해 저장탱크 내부에 더 많은 양의 가스를 저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구조적 안정성이 크게 향상됨으로써 태풍이나 지진, 해일 등 각종 자연재해 발생으로 인한 피스톤모듈의 추락과 그에 따른 폭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스톤모듈의 승강 시 진동과 충격을 완화하는 댐핑수단을 더 구비함으로써 가스의 안정적인 유입, 저장, 배출이 가능케 될 뿐만 아니라, 피스톤모듈의 갑작스런 승강으로 인한 러버씰의 손상 및 유해가스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스톤모듈의 승강을 제어하는 액추에이터를 더 구비함으로써 수용부 내의 과압 및 러버씰이나 저장탱크의 손상으로 인한 가스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스 홀더 제어 시스템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가스 홀더 제어 시스템의 가스 홀더를 나타낸 정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가스 홀더 제어 시스템의 가스 홀더의 피스톤모듈의 상승 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가스 홀더 제어 시스템의 가스 홀더의 피스톤모듈의 하강 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가스 홀더 제어 시스템의 가스 홀더의 댐핑수단을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가스 홀더 제어 시스템의 가스 홀더의 액추에이터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가스 홀더 제어 시스템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비상방출부를 나타낸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가스 홀더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서로 다른 구성 요소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이들 용어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스 홀더 제어 시스템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가스 홀더 제어 시스템의 가스 홀더를 나타낸 정면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가스 홀더 제어 시스템의 가스 홀더의 피스톤모듈의 상승 상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가스 홀더 제어 시스템의 가스 홀더의 피스톤모듈의 하강 상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가스 홀더 제어 시스템의 가스 홀더의 댐핑수단을 나타낸 단면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가스 홀더 제어 시스템의 가스 홀더의 액추에이터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가스 홀더 제어 시스템은 가스의 유입, 저장, 배출, 공급되는 과정에서 각 과정의 압력 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가스 홀더(A)의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도록 가스 홀더(A), 분배기(B), 센서부(C), 관제서버(D)를 포함한다.
상기 가스 홀더(A)는 가스 생산공장(P)에서 음식물 쓰레기와 같은 유기성 폐기물을 수집 처리하여 혐기소화시설 내에서 발생되어 유입되는 가스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였다가, 사용자에게 공급하도록 기초구조물(10), 저장탱크(20), 피스톤모듈(30), 가이드모듈(40), 러버씰(50)을 포함한다.
상기 기초구조물(10)은 가스 홀더(A)가 설치되는 지면에 설치되되, 가스 홀더(A)가 구조적 안정성을 가지도록 소정 두께의 콘크리트 구조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탱크(20)는 기초구조물(10) 상부에 설치되되, 저장탱크(20)는 상하부가 막힌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가스가 저장되는 수용부(201)가 형성되며, 주벽 일측에는 수용부(201)와 연통하는 유입구(202)가 형성되어 유입구(202)를 통해 수용부(201)로 가스가 유입되고, 주벽 타측에는 수용부(201)와 연통하는 배출구(203)가 형성되어 수용부(201)의 내부에 저장된 가스가 배출구(203)를 통해 배출 가능케 된다.
한편, 유입구(202)에는 가스 유입을 제어하는 유입제어밸브(202a)가 구비되고, 배출구(203)에는 가스 배출을 제어하는 배출제어밸브(203a)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스톤모듈(30)은 저장탱크(20) 내부에 설치되어 수용부(201)에 저장되는 가스량에 따라 승강하도록 피스톤플레이트(301), 승강체(302)를 포함한다.
상기 피스톤플레이트(301)는 원형의 평판 형상으로 되되, 그 소재와 두께 및 직경은 한정하지 않으며, 가장자리를 따라 러버씰(50)이 고정됨으로써 피스톤플레이트(301)와 러버씰(50)에 의해 저장탱크(20)의 수용부(201)가 상하로 구획되어 하부 공간이 가스가 저장되는 저장공간(201a)이 되고, 상부 공간이 가스가 저장되지 않는 잉여공간(201b)이 된다.
이때, 피스톤플레이트(301)와 러버씰(50)에 의해 구획된 각 공간은 가스의 누출을 막기 위해 밀폐된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승강체(302)는 피스톤플레이트(301)의 저면에서 수직 하방으로 형성되어 가이드모듈(40) 내에서 승강한다.
승강체(302)는 피스톤모듈(30) 전체의 정밀하고 안정적인 승강을 위하여 넓은 외경과, 가벼운 중량을 만족하면서도 가스에 노출되더라도 손상이 없는 소재로 된 관체로 형성되고, 그 길이는 피스톤플레이트(301)의 승강 구간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승강체(302)는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승강체(302)가 하나만 형성되는 경우에 승강체(302)는 피스톤플레이트(301)의 저면 중심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체(302)가 하나만 형성되는 경우에, 승강체(302)의 단면 형상은, 다각형 단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체(302)가 다각형 단면 형상의 관체로 되고, 가이드모듈(40)도 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승강체(302)가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회전하지 않게 됨으로써 피스톤모듈(30)이 회전하면서 피스톤플레이트(301)의 가장자리를 따라 고정된 러버씰(50)의 꼬임이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그로 인해 러버씰(50)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승강체(302)를 복수로 형성하는 경우에 승강체(302)는 피스톤플레이트(301)의 저면에 좌우 대칭형으로 형성함으로써 피스톤모듈(30)의 승강 과정에서 복수의 승강체(302)로 인해 피스톤모듈(30)의 더욱 안정적인 승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피스톤모듈(30)의 승강 과정에서 피스톤플레이트(301)가 중심축선으로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승강체(302)의 하단부에는 무게추(30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피스톤모듈(30)을 구성하는 피스톤플레이트(301)의 소재나 직경에 따라 피스톤플레이트(301)의 무게가 승강체(302)의 무게보다 더 무거워지면, 피스톤모듈(30)의 무게 중심이 높아지기 때문에 피스톤모듈(30)의 승강 과정에서 안정성과 정밀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피스톤모듈(30)의 승강 과정에서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설계상 피스톤플레이트(301)의 무게가 승강체(302)의 무게보다 더 무거워지면 승강체(302)의 하단부에 무게추(303)를 더 구비하여 피스톤모듈(30)의 무게 중심을 승강체(302)의 하단으로 낮춰줌으로써 피스톤모듈(30)이 승강할 때, 안정성과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승강체(302)의 하단부에는 세로 방향으로 소정 길이의 수나사부를 형성하고, 무게추(303)에는 암나사부를 형성하여 수나사부에 무게추(303)를 탈부착 가능케 함으로써 무게추(303)의 탈부착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이드모듈(40)은 기초구조물(10)에 수직으로 매립 설치되어 피스톤모듈(30)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안내관체(401), 기밀부재(402)를 포함한다.
상기 안내관체(401)는 기초구조물(10)에서 수직으로 매립 설치되어 피스톤모듈(30)의 승강체(302)의 승강을 안내한다.
안내관체(401)의 단면 형상은 승강체(302)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그 길이는 승강체(302)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내관체(401)는 전체 길이에서 상부의 일부만 기초구조물(10)에 매립되고, 그 나머지 하부는 지중에 매립 설치하거나, 안내관체(401) 전체를 모두 기초구조물(10)에 매립되게 할 수 있다.
한편, 저장탱크(20)의 용량에 따라 저장탱크(20)의 크기가 커지고, 그로 인해 피스톤모듈(30)의 승강 범위가 커지면서 피스톤모듈(30)의 승강 안내에 필요한 안내관체(401)의 길이가 길어지더라도 안내관체(401)가 지중에 매립되기 때문에 안내관체(401)의 안정적이고, 정밀하며, 용이한 설치가 가능케 된다.
상기 기밀부재(402)는 안내관체(401)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안내관체(401)를 따라 승강하는 피스톤모듈(30)의 승강체(302) 외주면과 안내관체(401)의 내주면 간 기밀성을 확보함으로써 승강체(302)의 승강 과정에서 따라 안내관체(401)의 내부로 저장 가스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피스톤모듈(30)의 승강 시, 피스톤모듈(30)의 무게 중심이 아래로 위치하게 하는 승강체(302)가 안내관체(401)의 내부에 항상 위치하면서 피스톤모듈(30)의 승강이 이루어짐에 따라 피스톤모듈(30)의 승강 과정에서 피스톤모듈(30)의 진동이 억제된다.
특히, 수용부(201) 내부의 가스 압력분포가 균일하지 않더라도 피스톤플레이트(301)의 기울어짐이 방지됨으로써, 피스톤플레이트(301)의 기울어짐에 의해 발생하는 러버씰(50)의 손상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안내관체(401)의 내주면에는 저마찰코팅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안내관체(401)의 내부에서 승강체(302)가 승강할 때, 안내관체(401)의 내주면과 승강체(302)의 외주면 간 마찰을 저감시킴으로써 승강체(302)의 승강이 더욱 안정적이고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러버씰(50)은 저장탱크(20)의 내주면과, 피스톤모듈(30)의 피스톤플레이트(301)의 가장자리 간에 환상으로 설치되어 저장탱크(20) 내부의 수용부(201)에서 가스가 저장되는 저장공간(201a)과, 비어있는 잉여공간(201b)을 구획한다.
러버씰(50)은 신축성과 기밀성을 가지면서, 가스투과율이 낮고, 내구성이 높은 합성고무 등의 소재로 되어 저장탱크(20)의 수용부(201) 내부로 가스가 유입되면서 저장공간(201a)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여 피스톤모듈(30)이 상승하거나, 저장공간(201a) 내부에 저장된 가스가 배출되면서 저장공간(201a)의 내부 압력이 감소하여 피스톤모듈(30)이 자중에 의해 하강하는 과정에서 피스톤모듈(30)의 위치에 따라 유연하게 신축되면서 저장공간(201a) 내부의 기밀성을 유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가스 홀더(A)는 가이드모듈(40)의 하부에 설치되어 피스톤모듈(30)의 승강 시 진동과 충격을 완화하는 댐핑수단(6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댐핑수단(60)은 안내관체(401)의 하단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되, 안내관체(401)의 내부에서 승강하는 승강체(302)의 하단부에 댐핑수단(60)의 피스톤로드가 연결되게 설치된다.
상기 댐핑수단(60)은 유체의 점성 저항이나 난류 저항을 이용하여 움직임을 감쇠시키고, 충격을 완화하는 통상의 유압댐퍼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피스톤모듈(30)의 승강 과정에서 댐핑수단(60)에 의해 피스톤모듈(30)의 급격한 승강이 방지됨으로써 저장탱크(20)의 수용부(201) 내에 가스의 안정적인 유입, 저장, 배출이 가능케 될 뿐만 아니라, 피스톤모듈(30)의 갑작스런 승강으로 인한 러버씰(50)의 손상 및 유해가스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댐핑수단(60)의 실린더 상부에는 탄성부재(60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601)는 코일스프링이나 러버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내구수명이 다하거나, 자연재해 등의 영향으로 인하여 댐핑수단(60)이 정상 작동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피스톤모듈(30)의 급격한 하강 발생 시 댐핑수단(60)의 실린더 상부에 위치하는 탄성부재(601)가 빠르게 하강하는 피스톤모듈(30)의 승강체(302)를 받쳐 피스톤모듈(30)의 하강 충격을 흡수, 완화함으로써 피스톤모듈(30)의 추락으로 인한 수용부(201) 내부의 가스 폭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가스 홀더(A)는 가이드모듈(40)의 하부에 설치되어 피스톤모듈(30)의 승강을 제어하는 액추에이터(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액추에이터(70)는 안내관체(401)의 하단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되, 안내관체(401)의 내부에서 승강하는 승강체(302)의 하단부에 액추에이터(70)의 피스톤로드가 연결되게 설치된다.
상기 액추에이터(70)는 전기, 유압,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다양한 형태의 액추에이터(70) 중 어떠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유압식 액추에이터(7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저장탱크(20) 내부로 유입되는 가스에 의한 저장공간(201a) 내부의 압력 변화로 인해 피스톤모듈(30)이 승강하는 과정에서 액추에이터(70)를 이용해 피스톤모듈(30)의 승강을 임의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일 예로서, 저장탱크(20)의 수용부(201) 내부로 가스가 유입되면서 저장공간(201a)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여 피스톤모듈(30)이 상승하거나, 저장공간(201a) 내부에 저장된 가스가 배출되면서 저장공간(201a)의 내부 압력이 감소하여 피스톤모듈(30)이 자중에 의해 하강할 때, 액추에이터(70)의 추력이나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피스톤모듈(30)의 승강 속도나 저장공간(201a)의 내부 압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저장탱크(20)의 수용부(201) 내에 가스가 유입, 저장, 배출되는 과정에서 수용부(201) 내의 과압 및 러버씰(50)이나 저장탱크(20)의 손상으로 인한 가스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분배기(B)는 가스 홀더(A)와 연결되어 가스 홀더(A)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게 분배하여 공급한다.
이때 사용자는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가스 발전 시설이나 가스 연소 시설을 가진 발전소, 공장, 주택, 상업건물 등일 수 있다.
상기 센서부(C)는 가스 홀더(A)로 유입되는 가스의 유입 압력, 가스 홀더(A)에 저장된 가스의 저장 압력, 가스 홀더(A)에서 배출되는 가스의 배출 압력, 분배기(B)에서 각 사용자로 공급되는 가스의 공급 압력을 센싱하여 관제서버(D)에 제공한다.
이를 위해 센서부(C)는 유입압력센서(c1), 저장압력센서(c2), 배출압력센서(c3), 공급압력센서(c4)를 포함한다.
상기 유입압력센서(c1)는 저장탱크(20)의 유입구(202)에 설치되어 유입구(202)로 유입되는 가스의 유입 압력을 센싱하고 그 센싱값을 관제서버(D)에 제공한다.
상기 저장압력센서(c2)는 저장탱크(20)의 저장공간(201a) 내부에 설치되어 저장공간(201a) 내부에 저장된 가스의 저장 압력을 센싱하고 그 센싱값을 관제서버(D)에 제공한다.
상기 배출압력센서(c3)는 저장탱크(20)의 배출구(203)에 설치되어 배출구(203)로 배출되는 가스의 배출 압력을 센싱하고 그 센싱값을 관제서버(D)에 제공한다.
상기 공급압력센서(c4)는 분배기(B)의 공급라인에 설치되어 분배기(B)에서 사용자에게로 공급되는 가스의 공급 압력을 센싱하고 그 센싱값을 관제서버(D)에 제공한다.
이때, 분배기(B)에서 다수의 사용자에게 가스를 공급하는 경우에, 공급압력센서(c4)는 각각의 공급라인마다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센서부(C)는 피스톤모듈(30)의 움직임을 센싱하고, 그 센싱값을 관제서버(D)에 제공하는 자이로센서(c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관제서버(D)는 센서부(C)에서 제공되는 각 센싱값에 따라 가스 홀더(A)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한다.
즉, 관제서버(D)는 센서부(C)에서 제공하는 가스 공급 압력에 따라 가스 홀더(A)의 유입제어밸브(202a)와 배출제어밸브(203a)의 제어값을 실시간으로 생성하여 가스 홀더(A) 내의 가스 저장 압력을 실시간으로 조절함으로써 가스 홀더(A)의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케 되어 사용자의 가스 사용이 급감하거나 급증하더라도 안정적인 가스 공급이 가능케 된다.
또한, 관제서버(D)는 센서부(C)에서 제공되는 센싱값에 따라 액추에이터(70)의 동작 제어 신호를 자동 생성하여 액추에이터(70)를 자동 제어함으로써 액추에이터(70)의 추력이나 속도를 보다 정밀하게 제어하여 피스톤모듈(30)의 승강 속도나 저장공간(201a)의 내부 압력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가스 홀더 제어 시스템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비상방출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가스 홀더 제어 시스템은, 가스 홀더(A) 내부로 폭발억제제를 주입하면서 내부에 저장된 가스가 긴급 방출되게 하는 비상방출부(F)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비상방출부(F)는 폭발억제제저장탱크(f1), 폭발억제제배출밸브(f2), 비상방출밸브(f3)를 포함한다.
상기 폭발억제제저장탱크(f1)는 가스 홀더(A)의 가스 저장 용량에 대응하는 폭발억제제가 저장되되, 폭발억제제저장탱크(f1)와 가스 홀더(A)의 유입구(202)는 연결배관으로 연결된다.
상기 폭발억제제배출밸브(f2)는 폭발억제제저장탱크(f1)에 저장된 폭발억제제의 배출을 제어한다. 이때 폭발억제제배출밸브(f2)의 동작은 관제서버(D)에 의해 원격 제어된다.
상기 비상방출밸브(f3)는 가스 홀더(A)의 배출구(203)에 연결되게 설치된다.
이때 비상방출밸브(f3)의 동작은 관제서버(D)에 의해 원격 제어된다.
따라서, 태풍, 폭풍, 지진, 해일 등의 재난 발생 시, 관제서버(D)가 생산공장에서 생산된 가스가 가스 홀더(A)로 유입되는 것을 제어하는 유입제어밸브(202a)와, 가스 홀더(A)의 저장공간(201a)에 저장된 가스의 배출을 제어하는 배출제어밸브(203a)를 동시에 차단한 상태에서 폭발억제제배출밸브(f2)와 비상방출밸브(f3)를 개방하면, 폭발억제제저장탱크(f1)에 저장된 질소가 가스 홀더(A)의 저장공간(201a) 내부로 유입됨과 동시에 저장공간(201a) 내부에 저장된 가연성의 바이오 가스는 비상방출밸브(f3)를 통해 대기 중으로 비상 방출된다.
이때, 관제서버(D)는 가스 홀더(A)의 액추에이터(70)의 동작을 제어하여 가스 홀더(A) 내부의 피스톤모듈(30)을 강제 하강시킴으로써 가스 홀더(A) 내부에 저장된 바이오 가스의 비상 방출이 더욱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폭발억제제가 가스 홀더(A)의 저장공간(201a) 내부에 유입되는 압력에 의해 가스 홀더(A)의 저장공간(201a) 내에 저장된 가연성의 바이오 가스가 비상 배출되는 과정에서 폭발억제제가 바이오 가스의 폭발을 억제하면서 바이오 가스가 비상방출밸브(f3)를 통해 대기 중으로 비상 방출됨으로써 태풍, 폭풍, 지진, 해일 등 각종 재난에 의한 가스 홀더(A)의 폭발 사고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스 홀더(A)와 공급배관으로 연결되는 분배기(B) 및 바이오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발전소, 공장, 주택, 상업건물 등 사용자 시설의 연쇄 폭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기체폭발은 가연성인 기체, 또는 증기와 공기의 혼합물이 점화 또는 압축되어 폭발하는 현상인데, 혼입하는 물질에 따라 폭발의 억제가 가능한데, 이와 같이 기체폭발을 억제하는 물질을 폭발억제제라고 하며, 폭발성인 기체의 안전성을 증가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상기 폭발억제제는 가연성 기체의 종류에 따라 화학적 성질이 다른 기체나 액체 등 다양한 폭발억제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질소가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질소는 지구 대기에서 가장 많은 원소 두 개가 삼중 결합으로 매우 강하게 연결된 이원자 분자로 공기 중에 존재하며 무색, 무취, 무미한 기체이다.
질소는 또한 지구 생태계에서 매우 중요한 화학 원소이다. 공기 중의 질소가 생물권과 유기 화합물로 이동하고 다시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질소의 순환 사이클은 지구 생태계 유지에 매우 중요하다.
질소는 대기의 78%를 차지하는 비활성 기체로써 독성이 없고 인화성이 없다.
따라서 질소가스를 폭발억제제로 활용하여 가스 홀더(A)의 내부에 주입함으로써 가스 홀더(A) 내부에 저장된 바이오 가스의 폭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가스 홀더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본 발명의 가스 홀더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가스 홀더 제어 방법은 유입 압력 센싱단계(S10), 저장 압력 센싱단계(S20), 배출 압력 센싱단계(S30), 공급 압력 센싱단계(S40), 제어단계(S50)를 포함한다.
상기 유입 압력 센싱단계(S10)는 가스 생산공장(P)에서 생산된 가스가 가스 홀더(A)의 유입구(202)를 통해 가스 홀더(A)로 유입되는 압력을 센싱하고, 그 센싱값을 관제서버(D)에 제공한다.
상기 저장 압력 센싱단계(S20)는 가스 홀더(A) 내에 저장된 가스의 압력을 센싱하고, 그 센싱값을 관제서버(D)에 제공한다.
상기 배출 압력 센싱단계(S30)는 가스 홀더(A)의 배출구(203)를 통해 가스가 배출되는 압력을 센싱하고, 그 센싱값을 관제서버(D)에 제공한다.
상기 공급 압력 센싱단계(S40)는 분배기(B)에서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가스의 공급 압력을 센싱하고, 그 센싱값을 관제서버(D)에 제공한다.
상기 제어단계(S50)는, 관제서버(D)가 가스 공급 압력에 따라 가스 홀더(A)의 유입제어밸브(202a)와 배출제어밸브(203a) 제어값을 자동 생성하여 유입제어밸브(202a)와 배출제어밸브(203a)를 실시간으로 원격 제어함으로써 가스 홀더(A)의 효율적인 운용을 통해 가스의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케 된다.
일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가스 홀더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가스 홀더 제어 방법은, 기상관측서버(W)에서 관제서버(D)로 제공되는 재난정보가 가스 홀더(A)의 내진설계기준을 초과하면, 가스 홀더(A) 내에 저장된 가스를 비상 방출하는 가스 비상 방출 단계(S6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관제서버(D)는 태풍, 폭풍, 지진, 해일 등 각종 재난정보를 제공하는 기상청의 기상관측서버(W)에서 재난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네트워크로 연결된다.
따라서, 기상관측서버(W)에서 제공되는 지진 등의 재난정보가 가스 홀더(A)의 내진설계기준을 초과하면, 관제서버(D)는 생산공장에서 생산된 가스가 가스 홀더(A)로 유입되는 것을 제어하는 유입제어밸브(202a)와, 가스 홀더(A)의 저장공간(201a)에 저장된 가스의 배출을 제어하는 배출제어밸브(203a)를 동시에 차단한 상태에서 폭발억제제배출밸브(f2)와 비상방출밸브(f3)를 개방하면, 폭발억제제저장탱크(f1)에 저장된 질소가 가스 홀더(A)의 저장공간(201a) 내부로 유입됨과 동시에 저장공간(201a) 내부에 저장된 가연성의 바이오 가스는 비상방출밸브(f3)를 통해 대기 중으로 비상 방출된다.
또한, 관제서버(D)는 가스 홀더(A)의 액추에이터(70)의 동작을 제어하여 가스 홀더(A) 내부의 피스톤모듈(30)을 강제 하강시킴으로써 가스 홀더(A) 내부에 저장된 바이오 가스의 비상 방출이 더욱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태풍, 폭풍, 지진, 해일 등 각종 재난에 의한 가스 홀더(A)의 피스톤모듈(30)의 추락이나 가스 폭발 사고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스 홀더(A)와 공급배관으로 연결되는 분배기(B) 및 바이오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발전소, 공장, 주택, 상업건물 등 사용자 시설의 연쇄 폭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A: 가스 홀더 B: 분배기
C: 센서부 D: 관제서버
E1, E2, E3: 사용자 F: 비상방출부
f1: 폭발억제제저장탱크 f2: 폭발억제제배출밸브
f3: 비상방출밸브 P: 가스 생산공장
W: 기상관측서버 10: 기초구조물
20: 저장탱크 201: 수용부
201a: 저장공간 201b: 잉여공간
202: 유입구 202a: 유입제어밸브
203: 배출구 203a: 배출제어밸브
30: 피스톤모듈 301: 피스톤플레이트
302: 승강체 303: 무게추
40: 가이드모듈 401: 안내관체
402: 기밀부재 50: 러버씰
60: 댐핑수단 601: 탄성부재
70: 액추에이터 c1: 유입압력센서
c2: 저장압력센서 c3: 배출압력센서
c4: 공급압력센서 c5: 자이로센서
S10: 유입 압력 센싱단계 S20: 저장 압력 센싱단계
S30: 배출 압력 센싱단계 S40: 공급 압력 센싱단계
S50: 제어단계 S60: 가스 비상 방출 단계

Claims (5)

  1. 가스를 생산하는 생산공장(P)에서 생산되어 유입되는 가스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저장된 가스를 필요에 따라 배출하는 가스 홀더(A);
    상기 가스 홀더(A)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게 분배하여 공급하는 분배기(B);
    상기 가스 홀더(A)로 유입되는 가스의 유입 압력, 가스 홀더(A)에 저장된 가스의 저장 압력, 가스 홀더(A)에서 배출되는 가스의 배출 압력, 분배기(B)에서 각 사용자로 공급되는 가스의 공급 압력을 센싱하는 센서부(C);
    상기 센서부(C)에서 제공되는 각 센싱값에 따라 가스 홀더(A)의 동작을 제어하는 관제서버(D); 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홀더(A)는,
    지면에 설치되는 기초구조물(10);
    상기 기초구조물(10) 상부에 설치되되, 내부에 가스가 저장되는 수용부(201)를 가지며, 주벽 일측에 수용부(201)와 연통하는 유입구(202)가 형성되고, 주벽 타측에 수용부(201)와 연통하는 배출구(203)가 형성된 저장탱크(20);
    상기 저장탱크(20) 내부에 설치되어 수용부(201)에 저장되는 가스량에 따라 승강하는 피스톤모듈(30);
    상기 기초구조물(10)에 수직으로 매립 설치되어 피스톤모듈(30)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모듈(40);
    상기 저장탱크(20)의 내주면과, 피스톤모듈(30) 간에 설치되어 수용부(201)에서 가스가 저장되는 저장공간(201a)과, 비어있는 잉여공간(201b)을 구획하는 러버씰(50); 을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모듈(30)은,
    원형의 평판 형상으로 되되, 가장자리를 따라 러버씰(50)이 고정되는 피스톤플레이트(301);
    상기 피스톤플레이트(301)의 저면에서 수직 하방으로 형성되어 가이드모듈(40)의 안내관체(401) 내에서 승강하는 승강체(302);
    상기 승강체(302)의 하단부에는 무게추(303); 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모듈(40)의 하부에 설치되어 피스톤모듈(30)의 승강을 제어하는 액추에이터(70); 를 더 구비하여,
    상기 가스 홀더(A)로 유입되는 가스의 유입 압력, 가스 홀더(A)에 저장된 가스의 저장 압력, 가스 홀더(A)에서 배출되는 가스의 배출 압력, 분배기(B)에서 각 사용자로 공급되는 가스의 공급 압력을 센싱하는 센서부(C)의 신호에 따라 관제서버(D)가 액추에이터(70)와, 유입제어밸브(202a)와 배출제어밸브(203a)의 동작 제어 신호를 자동 생성하여 가스의 유입 및 배출을 자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홀더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홀더(A) 내부로 폭발억제제를 주입하면서 내부에 저장된 가스가 긴급 방출되게 하는 비상방출부(F);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홀더 제어 시스템.
  5. 삭제
KR1020210066124A 2021-05-24 2021-05-24 가스 홀더 제어 시스템 KR102361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124A KR102361835B1 (ko) 2021-05-24 2021-05-24 가스 홀더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124A KR102361835B1 (ko) 2021-05-24 2021-05-24 가스 홀더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1835B1 true KR102361835B1 (ko) 2022-02-14

Family

ID=80253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6124A KR102361835B1 (ko) 2021-05-24 2021-05-24 가스 홀더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1835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27997A (ja) * 1984-11-27 1986-06-16 Mitsubishi Heavy Ind Ltd ガスホルダ運転装置
KR200441829Y1 (ko) 2007-10-31 2008-09-09 진명환경산업 주식회사 가스 저장탱크
KR101212008B1 (ko) * 2012-05-25 2012-12-13 진명환경산업 주식회사 이동 포스트를 포함하는 가스 홀더
KR20130129698A (ko) * 2012-05-21 2013-11-29 대우정보시스템 주식회사 압축성 유체 분배 시스템의 누설 감지를 위한 시스템, 제어장치 및 방법
CN204280372U (zh) * 2014-12-01 2015-04-22 青岛伊科思技术工程有限公司 带浮盘的固定顶存储设备
KR20190068147A (ko) * 2017-12-08 2019-06-18 비에이치아이 주식회사 저회 순환설비용 에어 탱크
KR102071978B1 (ko) * 2019-08-30 2020-01-31 진명환경산업 주식회사 이동 포스트형 가스홀더
CN112032547A (zh) * 2020-09-15 2020-12-04 河北省应急管理科学研究院(河北省危险化学品登记注册中心) 煤气柜运行中活塞卡塞、卡死在线实时监测方法
KR102231700B1 (ko) * 2020-10-28 2021-03-25 주식회사 서정개발 가스팩에 의한 가스 차단 방식의 가스 홀더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27997A (ja) * 1984-11-27 1986-06-16 Mitsubishi Heavy Ind Ltd ガスホルダ運転装置
KR200441829Y1 (ko) 2007-10-31 2008-09-09 진명환경산업 주식회사 가스 저장탱크
KR20130129698A (ko) * 2012-05-21 2013-11-29 대우정보시스템 주식회사 압축성 유체 분배 시스템의 누설 감지를 위한 시스템,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212008B1 (ko) * 2012-05-25 2012-12-13 진명환경산업 주식회사 이동 포스트를 포함하는 가스 홀더
CN204280372U (zh) * 2014-12-01 2015-04-22 青岛伊科思技术工程有限公司 带浮盘的固定顶存储设备
KR20190068147A (ko) * 2017-12-08 2019-06-18 비에이치아이 주식회사 저회 순환설비용 에어 탱크
KR102071978B1 (ko) * 2019-08-30 2020-01-31 진명환경산업 주식회사 이동 포스트형 가스홀더
CN112032547A (zh) * 2020-09-15 2020-12-04 河北省应急管理科学研究院(河北省危险化学品登记注册中心) 煤气柜运行中活塞卡塞、卡死在线实时监测方法
KR102231700B1 (ko) * 2020-10-28 2021-03-25 주식회사 서정개발 가스팩에 의한 가스 차단 방식의 가스 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04935B2 (en) System for energy storage and electrical power generation
CN109335366B (zh) 一种超大尺寸柔性储气库及方法
US20070199560A1 (en) Method of supporting a solar energy collection unit
KR102361835B1 (ko) 가스 홀더 제어 시스템
KR101710713B1 (ko) 수상 태양광발전시스템
CN102399682A (zh) 一体式正负压保护器
JP5960422B2 (ja) 分散型圧縮空気貯蔵発電システム
CN206191257U (zh) 一种复合式贮气柜系统
KR102354466B1 (ko) 바이오매스 발전용 가스 홀더
KR101109769B1 (ko) 발전장치
CN107801669B (zh) 网箱升降控制平台、可沉浮式网箱的升降控制系统及升降控制方法
CN85108427A (zh) 供水系统的改进
CN204729911U (zh) 一种埋地式球罐组
CN202252206U (zh) 沼气节气装置
CN218379439U (zh) 一种生物天然气工程集中放散联合装置
CN209112832U (zh) 一种超大尺寸柔性储气库
CN202509660U (zh) 景观墙
CN101833591A (zh) 一种多个化学风险源优化布局方法
CN208266901U (zh) 一种箱型重力式海上风电基础结构
WO2015167281A1 (ko) 자유대류 발전타워
CN103047533B (zh) 压缩空气的储气装置及装有这种装置的自然能源发电站
CN216449769U (zh) 一种草地生态定位观测点便携式降雨量测定装置
CN202349577U (zh) 压缩空气的储气装置及装有这种装置的自然能源发电站
CN211922836U (zh) 一种用于森林火灾的存蓄水装置
US11781520B2 (en) Method to lift water and generate electrical pow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