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1551B1 - 차량의 안전벨트에 의한 압박을 완화하는 임산부용 완충 프로텍터 - Google Patents

차량의 안전벨트에 의한 압박을 완화하는 임산부용 완충 프로텍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1551B1
KR102361551B1 KR1020210092196A KR20210092196A KR102361551B1 KR 102361551 B1 KR102361551 B1 KR 102361551B1 KR 1020210092196 A KR1020210092196 A KR 1020210092196A KR 20210092196 A KR20210092196 A KR 20210092196A KR 102361551 B1 KR102361551 B1 KR 102361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user
buffer
fixing
seat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2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진우
반영환
양세연
한종문
최민혁
이수안
Original Assignee
선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진우 filed Critical 선진우
Priority to KR1020220015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1849A/ko
Priority to KR1020220015569A priority patent/KR20230011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1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1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2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02Measuring pulse or heart 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19Anchoring device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022/008Belts; Fixing thereof specially adapted for pregnant u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0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Abstract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안전벨트의 압박을 완화하도록 마련되는 완충 프로텍터를 개시한다. 완충 프로텍터는 사용자의 몸통과 안전벨트 사이에 배치되고, 안전벨트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로부터 이격시키는 쿠션부 및 상기 쿠션부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쿠션부를 안전벨트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안전벨트에 의한 압박을 완화하는 임산부용 완충 프로텍터{A CUSHIONING PROTECTOR FOR PREGNANT WOMEN THAT RELIEVES PRESSURE FROM VEHICLE SEAT BELTS}
본 발명은 완충 프로텍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차량의 안전벨트에 의하여 임산부에게 가해지는 압박을 완화하는 완충 프로텍터에 관한 것이다.
1936년 스웨덴의 차량 생산업체에서 사용하기 시작한 차량용 안전벨트는, 도입 초기에 운전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로 채용되었으나 이제는 탑승자 전원을 대상으로 적용되는 차량의 주요 장치 중에 하나이다.
도입 초기에는 허리를 좌우로 가로지르는 2점식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최근의 대부분의 차량들은 3점식 안전벨트를 주로 적용하고 있다.
다수의 충돌 실험에서, 안전벨트는 그 중요성을 명확히 증명하고 있다. 추돌, 충돌 사고는 물론이고 심각한 전복사고에서도, 안전벨트 착용과 미 착용의 차이는 탑승자의 생사를 가름할 절도로, 극명하게 구분된다는 것이 대부분의 실험에서 증명되었으며, 최근에는 유아용 안전장구까지 많이 보급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법적 의무사항으로 규정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안전벨트 착용에서 사각지대에 있는 차량 탑승자들이 있다. 바로 임산부들로서, 안전벨트 자체가, 차량 충돌 시 탑승자의 상체를 좌석에 고정시키는 장치이다. 현재의 차량용 안전벨트를 이용하는 경우 생명을 지킬 수는 있으나 탑승자에 엄청난 압력이 가해지는 것은 피할 수 없다.
도 1을 참조할 때, 안전벨트는 탐승자의 상체 중, 복부와 가슴 부위에 큰 압력을 가하는데, 임산부의 경우에 복부에 대한 압력은 태아에 대한 안전은 물론이고, 임산부 자신의 건강에도 치명적인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88373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임산부용 안전벨트 고정제품(이하, 종래기술)이 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제품들은 안전벨트의 랩 벨트 부분 만을 사타구니 쪽으로 잡아당겨서 복부에 직접적으로 압력을 가하지 못하게 하는 것들로, 숄더 벨트에 의한 가슴 및 복부 압박에 대해서는 어떠한 해결책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임산부를 고정시키는 것에 집중할 뿐 직접적으로 복중 태아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없다. 더욱이, 종래기술은 랩 벨트를 사타구니 쪽으로 잡아당기기 때문에 랩 벨트가 복부 또는 허리에 위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사고 시 전방으로 튕겨 나가려는 임산부를 저지하는 안전벨트의 지지력을 현저하게 저하시킬 수밖에 없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8837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1995-0013854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13740호
본 발명은 안전벨트가 가하는 압력에 의하여 사용자 및 그 복중의 태아가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 프로텍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느끼는 안전벨트의 압박감을 완화할 수 있는 완충 프로텍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태아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태아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완충 프로텍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사상에 따른 완충 프로텍터는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안전벨트의 압박을 완화하도록 마련되는 완충 프로텍터로서, 상기 완충 프로텍터는 사용자의 몸통과 안전벨트 사이에 배치되고, 안전벨트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로부터 이격시키는 쿠션부; 및 상기 쿠션부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쿠션부를 안전벨트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쿠션부는 사용자의 복부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쿠션부는 안전벨트에 의한 압박을 흡수하도록 라텍스 또는 메모리폼으로 형성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사용자의 어깨를 지나고 사용자의 흉부에 대응되는 숄더 벨트에 상기 쿠션부를 고정시키는 상단고정부; 및 사용자의 복부 또는 허리를 가로지르는 랩 벨트에 상기 쿠션부를 고정시키는 하단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단고정부는 좌우 거울 대칭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상단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가슴을 압박하지 않도록 상기 쿠션부의 상단부는 밴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쿠션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쿠션부의 형상을 사용자의 복부에 대응되도록 볼록하게 유지시키는 보강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단이 상기 쿠션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헤드레스트 스테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 스트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용자의 복부를 마주하는 상기 쿠션부의 타면에 배치되고, 태아의 심박동을 측정하는 태아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임산부용 완충 프로텍터는 숄더 벨트와 랩 벨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안전벨트에 고정되고, 상기 차량용 안전벨트에 의하여 임산부에게 가해지는 압력을 완화하는 임산부용 완충 프로텍터로서, 상기 임산부용 완충 프로텍터는 임산부의 복부와 상기 차량용 안전벨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차량용 안전벨트의 적어도 일부를 임산부로부터 이격시키는 쿠션부; 상기 쿠션부의 상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숄더 벨트에 상기 쿠션부를 고정시키는 상단고정부; 및 상기 쿠션부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랩 벨트에 상기 쿠션부를 고정시키는 하단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단고정부는 임산부가 운전석에 착석할 때, 운전석의 숄더 벨트에 결합 가능한 제1 상단고정부; 및 임산부가 조수석에 착석할 때, 조수석의 숄더 벨트에 결합 가능한 제2 상단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쿠션부는 전면이 상기 숄더 벨트와 상기 랩 벨트에 접촉되고 후면이 임산부의 복부에 접촉되며, 상기 쿠션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쿠션부 외피; 및 상기 쿠션부 외피에 둘러싸여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숄더 벨트와 상기 랩 벨트가 임산부의 상체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숄더 벨트와 상기 랩 벨트를 지지하는 완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임산부용 완충 프로텍터는 내부에 완충부재가 배치되는 쿠션부; 및 상기 쿠션부의 전면에 배치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쿠션부는 임산부의 복부와 가슴에 가해지는 안전벨트의 압박을 완화하도록 임산부의 복부와 안전벨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쿠션부를 상기 안전벨트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쿠션부의 전면은 상기 안전벨트와 접촉되고, 상기 쿠션부의 후면은 임산부의 복부와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완충 프로텍터를 이용하여 사용자(특히, 임산부)는 안전벨트에 의하여 가해지는 압력 등 외부의 충격에서 복부 및 가슴과 같은 사용자의 신체와 복중의 태아를 직접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완충 프로텍터는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안전벨트를 이격시킨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안전벨트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느끼는 안전벨트의 압박감을 완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한 쌍으로 마련되는 상단고정부를 가지는 하나의 완충 프로텍터를 운전석 및 조수석에서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완충 프로텍터는 사용자의 복부를 커버하고 보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완충 프로텍터는 운전 중 태아의 심음을 측정하여 태아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고, 태아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임산부가 안전벨트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 프로텍터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완충 프로텍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X-X'에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 프로텍터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 프로텍터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 프로텍터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완충 프로텍터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보강 프레임을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 프로텍터의 블럭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 "상단", "하단", "전방", "후방"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임산부가 안전벨트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 프로텍터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완충 프로텍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X-X'에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할 때, 안전벨트(2)(또는, 차량용 안전벨트)는 3점식 안전벨트에 해당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안전벨트(2)는 2점식 안전벨트, 4점식 안전벨트, 5점식 안전벨트, 및 6점식 안전벨트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될 수 있다. 안전벨트(2)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차량용 안전벨트에 해당될 수 있다.
안전벨트(2)는 시트(또는, 차량 좌석)에 앉은 사용자의 어깨를 지나 사용자의 흉부 및/또는 복부 측부에 대응되고 사용자의 허리 측방을 향해 대각선으로 연장되는 숄더 벨트(2a)와, 사용자의 복부 및/또는 허리를 가로지르는 랩 벨트(2b)를 포함할 수 있다. 숄더 벨트(2a)와 랩 벨트(2b)는 연결될 수 있고, 숄더 벨트(2a)와 랩 벨트(2b)가 연결되는 부분에 버클(2c)이 마련될 수 있다.
배가 나오게 되는 임산부의 경우, 숄더 벨트(2a) 및/또는 랩 벨트(2b)에 의하여 복부가 압박됨에 따라서 불편함을 느낄 수 있고, 임신 후 확대되는 가슴이 숄더 벨트(2a)에 의하여 압박됨에 따라서 불편함(또는, 압박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급정지, 추돌사고 등에 의하여 임산부의 몸이 전방으로 튕겨져 나가는 경우, 임산부의 몸을 고정시키는 안전벨트(2)에 의하여 임산부의 신체(특히, 복부)가 심히 압박됨으로써 임산부의 신체에 상해가 발생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태아에 충격이 가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안전벨트(2)에 의한 압박감을 해소하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복중 태아를 보호하기 위하여 완충 프로텍터(100)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차량용 안전벨트 시스템(1)이라 함은 안전벨트(2)와 완충 프로텍터(100)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완충 프로텍터(100)는 사용자(예: 임산부)의 몸통과 안전벨트(2) 사이에 배치되는 쿠션부(120)와, 쿠션부(120)의 일면에 배치되고 쿠션부(120)를 안전벨트(2)에 고정시키는 고정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쿠션부(120)는 대략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쿠션부(120)는 사용자의 몸통과 안전벨트(2) 사이에 배치되어 안전벨트(2)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자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쿠션부(120)는 사용자의 몸통을 커버할 수 있다. 쿠션부(120)는 사용자의 복부를 커버할 수 있다.
쿠션부(120)는 일면(예: 전면)이 숄더 벨트(2a) 및 랩 벨트(2b)와 접촉될 수 있고 타면(예: 후면)이 사용자의 몸통(예: 복부)에 접촉될 수 있다. 쿠션부(120)는 숄더 벨트(2a) 및 랩 벨트(2b)를 지지할 수 있다.
쿠션부(120)는 외관을 형성하는 쿠션부 외피(121)와, 쿠션부 외피(121)에 의하여 커버되는 완충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
쿠션부 외피(121)는 가죽, 천, 합성섬유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쿠션부 외피(121)는 플렉서블한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완충부재(122)는 쿠션부(1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완충부재(122)는 쿠션부 외피(121)에 둘러싸여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쿠션부 외피(121)의 측면에는 지퍼가 배치될 수 있으며, 지퍼의 개방을 통하여 쿠션부 외피(121)에 둘러싸여 형성되는 공간(즉, 쿠션부(120) 내부)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개방된 지퍼를 통하여 완충부재(122)가 쿠션부(120)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완충부재(122)는 안전벨트(2)에 의한 압박 또는 가압을 흡수하도록 발포비즈, 라텍스 또는 메모리폼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완충부재(122)는 충격을 분산시키거나 완화시킬 수 있는 재질이면 족하다.
완충부재(122)는 대략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완충부재(2)는 쿠션부(120) 및/또는 쿠션부 외피(121)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완충부재(122)는 완충부재(122)의 전면과 후면을 연결하는 복수의 관통홀(123)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123)이 형성된 완충부재(122)는 유연성이 향상되어 사용자의 복부에 맞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한편, 쿠션부 외피(121)와 완충부재(122)는 보온성이 뛰어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쿠션부 외피(121)와 완충부재(122)는 뛰어난 보온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쿠션부(120)는 사용자의 복부를 커버하고 보온할 수 있다.
고정부(110)는 대략 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고정부(110)의 중앙부는 접착제 등에 의하여 쿠션부 외피(121)의 일면(예: 전면)에 부착되거나, 바느질에 의하여 쿠션부 외피(121)의 일면(예: 전면)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110)는 복수의 고정부(111,112,11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11,112,113)는 고정부(111,112,113)의 일단에 배치되는 벨크로(111a)를 포함할 수 있다. 벨크로(111a)에 의하여 고정부(111,112,113)의 양단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111,112,113)의 중앙부에 안전벨트(2)가 배치된 상태에서 고정부(111,112,113)의 양단은 안전벨트(2)를 감싸도록 밴딩될 수 있고, 고정부(111,112,113)가 안전벨트(2)를 감싼 상태에서 고정부(111,112,113)의 양단은 벨크로(111a)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고정부(111,112,113)는 안전벨트(2)를 감싸는 고리 형태를 이루어 안전벨트(2)에 고정될 수 있다. 또는 고정부(111, 112, 113)는 일단에 안전벨트(2)가 배치된 상태에서 고정부(111, 112, 113)의 다른 일단이 안전벨트(2)를 감싸도록 밴딩될 수도 있고, 이를 위해 일단이 쿠션부 외피(121)의 일면(예: 전면)에 부착되거나, 바느질에 의하여 쿠션부 외피(121)의 일면(예: 전면)에 고정될 수 있고, 중앙부 및 다른 일단은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정부(110)는 안전벨트(2)에 후크 결합될 수 있는 후크를 포함할 수도 있고, 안전벨트(2)를 물도록 마련되는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10)는 안전벨트(2)에 고정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 및 형상의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10)는 쿠션부(120)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상단고정부(111,112)와, 쿠션부(120)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하단고정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고정부(111,112)는 숄더 벨트(2a)에 고정될 수 있고, 하단고정부(113)는 랩 벨트(2b)에 고정될 수 있다.
상단고정부(111,112)는 쿠션부(120)의 상단 우측에 배치되는 제1 상단고정부(111)와, 쿠션부(120)의 상단 좌측에 배치되는 제2 상단고정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단고정부(111)와 제2 상단고정부(112)는 좌우 거울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상단고정부(111)와 제2 상단고정부(112)는 상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제1 상단고정부(111)와 제2 상단고정부(112) 중 어느 하나는 선택적으로 숄더 벨트(2a)에 고정될 수 있고, 쿠션부(120)를 안전벨트(2)(예: 숄더 벨트(2a))에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운전석에 착석한 상태에서 완충 프로텍터(100)를 착용하는 경우, 제1 상단고정부(111)가 운전석의 숄더 벨트(2a)에 고정될 수 있고, 하단고정부(113)가 운전석의 랩 벨트(2b)에 고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조수석에 착석한 상태에서 완충 프로텍터(100)를 착용하는 경우, 제2 상단고정부(112)가 조수석의 숄더 벨트(2a)에 고정될 수 있고, 하단고정부(113)가 조수석의 랩 벨트(2b)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한 쌍으로 마련되는 상단고정부(111,112)를 가지는 하나의 완충 프로텍터(100)를 운전석 및 조수석에서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쿠션부(120)의 일부(예: 하단부)는 랩 벨트(2b)와 사용자의 복부 사이에 배치되어 랩 벨트(2b)를 사용자의 복부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랩 벨트(2b)가 직접적으로 사용자의 복부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쿠션부(120)의 완충부재(122)가 랩 벨트(2b)에 의하여 사용자의 복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 및/또는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쿠션부(120)의 일부(예: 상단부)는 숄더 벨트(2a)와 사용자의 몸통(예: 흉부) 사이에 배치되어 숄더 벨트(2a)를 사용자의 흉부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숄더 벨트(2a)가 직접적으로 사용자의 몸통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쿠션부(120)의 완충부재(122)가 숄더 벨트(2a)에 의하여 사용자의 흉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 및/또는 완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완충 프로텍터(100)는 안전벨트(2)와 사용자 신체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함으로써 안전벨트(2)에 의하여 발생하는 찰과상 등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고, 안전벨트(100)가 사용자에 가하는 압력을 분산 및/또는 완화함으로써 사용자의 압박감 완화 및/또는 복중의 태아 보호가 가능할 수 있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 프로텍터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도 1 내지 4에 도시된 완충 프로텍터에 관한 설명은 도 5에 도시된 완충 프로텍터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 내지 4에 도시된 완충 프로텍터의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들은 도 5에 도시된 완충 프로텍터에 포함될 수 있다.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할 때, 쿠션부(120)가 사용자의 가슴 및/또는 명치를 압박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쿠션부(120)의 상단부(예: 밴딩부(120b))는 밴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쿠션부(120)는 대략 편평하게 형성되는 플랫부(120a)와, 플랫부(120a)의 상단에서 밴딩 가능하게 형성되는 밴딩부(120b)를 포함할 수 있다. 밴딩부(120b)는 전방을 향하여 밴딩될 수 있다. 한편, 플랫부(120a) 역시 플렉서블하므로 사용자의 복부의 곡면에 대응되게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완충부재(122)는 플랫부(120a)에 배치되는 제1 완충부재와, 밴딩부(120b)에 배치되는 제2 완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완충부재와 제2 완충부재는 분리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할 때, 제1 완충부재와 제2 완충부재는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제2 완충부재 및 이를 커버하는 쿠션부 외피(121) 일부를 포함하는 밴딩부(120b)는 사용자의 가슴에 의하여 전방을 향해 가압될 수 있고, 신축성을 갖는 쿠션부 외피(121)가 늘어나면서 전방을 향해 밴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쿠션부(120)는 숄더 벨트(2a)에 의하여 사용자의 흉부가 압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쿠션부(120)의 상단부가 사용자의 흉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됨(또는, 쿠션부(120)의 상단부가 사용자의 흉부를 커버함)과 동시에, 쿠션부(120)의 상단부를 형성하는 밴딩부(120b)가 사용자의 가슴에 의하여 가압되어 전방을 향해 밴딩됨으로써 쿠션부(120)에 의하여 사용자의 가슴 및/또는 명치가 압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 프로텍터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도 1 내지 4에 도시된 완충 프로텍터에 관한 설명 및/또는 도 5에 도시된 완충 프로텍터에 관한 설명은 도 6에 도시된 완충 프로텍터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 내지 4에 도시된 완충 프로텍터의 구성 및/또는 도 5에 도시된 완충 프로텍터의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들은 도 6에 도시된 완충 프로텍터에 포함될 수 있다.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할 때, 완충 프로텍터(100-1)는 쿠션부(120)에 연결되고 차량 시트(또는, 차량 좌석)에 쿠션부(120)를 고정시키는 고정 스트랩(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스트랩(130)은 복수의 고정 스트랩(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스트랩(130)은 제1 고정 스트랩(131)과, 제2 고정 스트랩(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2 고정 스트랩(131,132)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좌우 거울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고정 스트랩(130)은 차량 시트의 헤드레스트(3)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 스테이(4)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고정 스트랩(131)은 일단이 쿠션부(120)(예: 쿠션부 외피(121))의 상단에 고정되는 제1 스트랩(131a)과, 제1 스트랩(131a)의 타단에 고정되는 제1 고정 후크(13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고정 스트랩(132)은 일단이 쿠션부(120)(예: 쿠션부 외피(121))의 상단에 고정되는 제2 스트랩(132a)과, 제2 스트랩(132a)의 타단에 고정되는 제2 고정 후크(13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트랩(131a)과 제2 스트랩(132a) 각각에는 길이 조절 부재(예: 왈자조리개)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길이 조절 부재에 의하여 제1 스트랩(131a)의 길이는 조절될 수 있다. 제2 길이 조절 부재에 의하여 제2 스트랩(132a)의 길이는 조절될 수 있다.
제1 고정 스트랩(131) 및 제2 고정 스트랩(132)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으로 헤드레스트 스테이(4)에 결합될 수 있다.
제1,2 고정 후크(131b,132b)는 헤드레스트 스테이(4)에 분리 가능하게 후크 결합될 수 있다. 제1,2 스트랩(131a,132a)은 사용자의 가슴 위에 안착될 수 있다.
제1,2 고정 스트랩(131,132)이 헤드레스트 스테이(4)에 결합됨으로써 쿠션부(120)는 안전벨트(2)에 고정된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이게 고정될 수 있다.
완충 프로텍터(100-1)는 쿠션부(120)의 일면(예: 전면)에 배치되는 후크걸이(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후크걸이(133)는 복수의 후크걸이(133)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걸이(133)는 쿠션부(120)의 하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크걸이(133)는 쿠션부 외피(121)의 외측면(예: 전면) 상에 부착될 수 있고, 하단고정부(113)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후크걸이(133)에는 제1 고정 스트랩(131)(예: 제1 고정 후크(131b)) 및/또는 제2 고정 스트랩(132)(예: 제2 고정 후크(132b))이 선택적으로 후크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고정 스트랩(131)은 헤드레스트 스테이(4)에 결합될 수 있고, 제2 고정 스트랩(132)은 후크걸이(133)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 고정 스트랩(132)의 스트랩(132a)은 제2 길이 조절 부재에 의하여 길이가 줄어든 상태일 수 있다. 물론, 제2 고정 스트랩(132)은 헤드레스트 스테이(4)에 결합되고 제1 고정 스트랩(131)은 후크걸이(133)에 결합될 수도 있고, 제1,2 고정 스트랩(131,132) 모두 후크걸이(133)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헤드레스트 스테이(4)에 결합되지 않는 고정 스트랩(130)을 후크걸이(133)에 결합시켜 보관할 수 있으므로, 헤드레스트 스테이(4)에 결합되지 않은 고정 스트랩(130)이 흔들림에 의하여 사용자를 가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 프로텍터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완충 프로텍터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보강 프레임을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의 (a)는 보강 프레임을 전면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도면이고, 도 9의 (b)는 보강 프레임을 후면에서 올려다보고 도시한 도면이고, 도 9의 (c)는 보강 프레임을 좌측면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도 1 내지 4에 도시된 완충 프로텍터에 관한 설명 및/또는 도 5에 도시된 완충 프로텍터에 관한 설명 및/또는 도 6에 도시된 완충 프로텍터에 관한 설명은 도 7 내지 9에 도시된 완충 프로텍터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 내지 4에 도시된 완충 프로텍터의 구성 및/또는 도 5에 도시된 완충 프로텍터의 구성 및/또는 도 6에 도시된 완충 프로텍터의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들은 도 7 내지 9에 도시된 완충 프로텍터에 포함될 수 있다.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할 때, 완충 프로텍터(100-3)는 쿠션부(120) 내부에 배치되고, 쿠션부(120)의 형상을 사용자의 복부에 대응되도록 볼록하게 유지시키는 보강 프레임(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 프레임(140)은 쿠션부 외피(121)의 내측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보강 프레임(140)은 완충부재(122)를 커버할 수 있다. 보강 프레임(140)은 완충부재(122)를 지지할 수 있다. 보강 프레임(140)은 플라스틱, 금속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보강 프레임(140)은 상측에 절개부(145)가 형성되어 상방을 향하여 개방된 'C'자형을 가지는 C자 프레임(141)과, C자 프레임(141)의 일단(예: 전단)에서 대략 보강 프레임(140)(또는, 쿠션부(120))의 중심을 향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돌기편(142,143)을 포함할 수 있다.
C자 프레임(141)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상측이 절단된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C자 프레임(141)의 외측면(141a)은, 중심축이 전후 방향에 나란하고 후방에서 전방으로 연장될수록 단면의 직경이 감소되는 원뿔대의 옆면의 적어도 일부분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전후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에서 C자 프레임(141)을 바라볼 때 C자 프레임(141)의 외측면(141a)은 후단에서 전단으로 갈수록 중심을 향하도록 기울어진 형상일 수 있다.
절개부(145)는 쿠션부(120)의 상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절개부(145)에 의하여 C자 프레임(141)이 사용자의 가슴을 압박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쿠션부(120)가 밴딩부(120b)를 포함할 때, 밴딩부(120b)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절개부(145)가 배치될 뿐 C자 프레임(141)이 배치되지 않으므로 밴딩부(120b)는 C자 프레임(141)에 간섭받지 않고 자유롭게 밴딩될 수 있다.
C자 프레임(141)의 내측에는 C자 프레임(141)에 의하여 둘러싸여 형성되는 수용공간(144)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공간(144)에는 완충부재(122)가 배치될 수 있다. 완충부재(122)는 사용자의 복부에 대응되도록 전방을 향해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지지돌기편(142,143)은 C자 프레임(141)의 전단에서 수용공간(144)의 중심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지지돌기편(142,143)은 C자 프레임(141)의 내주를 따라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지지돌기편(142,143)은 복수의 지지돌기편(142,14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돌기편(142,143)은 제1 지지돌기편(142)과 제2 지지돌기편(143)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돌기편(142,143)의 외측면은 C자 프레임(141)의 외측면(141a)과 연결될 수 있다. 지지돌기편(142,143)의 외측면은 C자 프레임(141)의 외측면(141a)과 같은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돌기편(142,143)의 외측면은 C자 프레임(141)의 외측면(141a)과 다른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지지돌기편(142,143)은 수용공간(144)에 배치된 완충부재(122)의 일면(예: 전면)을 지지할 수 있다. 완충부재(122)의 일면(예: 전면)은 접착제 등에 의하여 지지돌기편(142,143)의 내측면(또는, 후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돌기편(142,143)은 완충부재(122)가 수용공간(144)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전방을 향해 볼록한 완충부재(122)의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다.
완충 프로텍터(100-3)는 보강 프레임(140)에 의하여 사용자의 복부의 형상에 맞추어 전방을 향해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므로, 완충 프로텍터를(100-3) 이용하는 사용자가 느끼는 착용감이 더욱 향상될 수 있고 쿠션부(120)에 의하여 사용자의 복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 및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 프로텍터의 블럭도이다.
상술한 도 1 내지 4에 도시된 완충 프로텍터에 관한 설명 및/또는 도 5에 도시된 완충 프로텍터에 관한 설명 및/또는 도 6에 도시된 완충 프로텍터에 관한 설명 및/또는 도 7 내지 9에 도시된 완충 프로텍터에 관한 설명은 도 10에 도시된 완충 프로텍터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 내지 4에 도시된 완충 프로텍터의 구성 및/또는 도 5에 도시된 완충 프로텍터의 구성 및/또는 도 6에 도시된 완충 프로텍터의 구성 및/또는 도 7 내지 9에 도시된 완충 프로텍터의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들은 도 10에 도시된 완충 프로텍터에 포함될 수 있다.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을 참조할 때, 완충 프로텍터는 태아의 상태를 감지 가능한 태아 센서부(150)와, 태아 센서부(150)를 통해 획득한 정보를 기초로 태아의 상태를 판단하고 사용자인 임산부에게 태아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출력 가능한 판단 모듈(200)과, 태아 센서부(150)의 신호를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판단 모듈(200)에 전달하는 태아 통신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태아 센서부(150)는 산모의 복부에 조사된 초음파가 태아의 심장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도플러효과를 이용하여 태아 심박수를 검출할 수 있다.
태아 센서부(150)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태아 센서부(150)는 심전도 센서 등 다양한 원리를 이용하여 작동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통상적으로 태아심음측정기에 사용되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의 발생과 검출을 겸할 수 있다. 태아 센서부(150)는 복수 개의 초음파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태아 센서부(150)는 임산부의 복부를 마주보는 쿠션부(120)의 일면(예: 후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태아 센서부(150)는 쿠션부(120)의 내부에 배치되고, 임산부의 복부를 마주보는 쿠션부(120)의 일면(예: 후면)에 형성되는 개구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개구는 완충부재(122) 및/또는 쿠션부 외피(121)에 형성될 수 있다.
완충 프로텍터가 고정부(110)에 의하여 안전벨트(2)에 고정될 때, 태아 센서부(150)(예: 초음파 센서)는 임산부의 복부에 밀착될 수 있다. 한편, 태아 센서부(150)와 임산부의 복부 사이에는 초음파 겔이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태아 센서부(150)는 태아의 심음(또는, 심박동수)을 측정할 수 있다. 태아 센서부(150)는 태아의 심박동을 측정한 후 감지 신호를 태아 통신부(160)로 전달할 수 있다.
태아 통신부(160)는 쿠션부(1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태아 센서부(150)의 감지 신호를 판단 모듈(200)로 전달할 수 있다.
판단 모듈(160)은 태아 통신부(160)와 커뮤니케이션하는 통신부(210)와, 통신부(210)를 통해 획득한 태아 센서부(150)의 감지 신호를 기초로 태아의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220)와, 제어부(220)로부터 출력 신호를 수신하여 태아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230)(예: 스피커 및/또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판단 모듈(200)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는 입력부(예: 터치 패널)를 포함할 수 있다.
판단 모듈(200)은 스마트기기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에 해당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메모리 및/또는 저장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와 저장 장치는 휘발성 저장 매체 및/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220)는 통신부(210)와 태아 통신부(160)를 매개로 태아 센서부(150)(예: 초음파 센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기 설정된 일정 시간 마다 태아 센서부(150)(예: 초음파 센서)를 작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를 통해 기 설정된 시간 간격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에 기초하여 태아 센서부(150)(예: 초음파 센서)를 작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220)는 초음파 센서를 통해 획득한 태아의 박동수가 기준값을 초과한다고 판단되면 경고 신호를 출력하도록 출력부(230)에 출력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기준값은 기 설정된 값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해 직접 제어부(220)에 저장한 값일 수도 있고, 임산부가 차량 시트에 착석하고 완충 프로텍터를 착용한 후 차량의 운전을 시작하기 전에 측정된 값일 수도 있다.
경고 신호는 "태아의 안정이 필요합니다"와 같은 음성 신호 형태로 판단 모듈(200)의 출력부(230)(예: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임산부는 음성 신호를 듣고 태아의 안정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태아 센서부(150)는 쿠션부(120)에 배치되는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력 센서는 쿠션부(120)가 임산부의 복부 및/또는 태아에 가하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압력 센서(120)는 임산부의 복부를 마주보는 쿠션부(120)의 일면(예: 후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압력 센서는 일부가 쿠션부(120)의 내부에 배치되고, 임산부의 복부를 마주보는 쿠션부(120)의 일면(예: 후면)에 형성되는 개구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개구는 완충부재(122) 및/또는 쿠션부 외피(121)에 형성될 수 있다.
완충 프로텍터가 고정부(110)에 의하여 안전벨트(2)에 고정될 때, 압력 센서는 임산부의 복부에 밀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압력 센서는 쿠션부(120)의 전면(예: 하단고정부(113)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안전벨트(2)(예: 랩 벨트(2b))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완충 프로텍터가 안전벨트(2)에 고정될 때, 압력 센서는 안전벨트(2)(예: 랩 벨트(2b))의 후면에 밀착될 수 있으며, 안전벨트(2)가 쿠션부(120)를 가압하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압력 센서는 안전벨트(2)가 쿠션부(120)에 가하는 압력의 정도를 감지 및/또는 측정할 수 있고, 제어부(220)는 태아 통신부(160) 및 통신부(210)를 통해 전달받은 압력 센서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임산부의 복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간접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 센서가 일정 수치 이상의 압력을 감지하였을 때, 태아 센서부(150)는 압력 센서의 감지 신호를 태아 통신부(160) 및 통신부(210)를 통해 제어부(220)에 전달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태아 센서부(150)는 압력 센서의 측정 값에 관계없이 계속적으로 압력 센서의 감지 신호를 태아 통신부(160) 및 통신부(210)를 통해 제어부(22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압력 센서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쿠션부(120)에 의하여 임산부의 복부에 가해진 압력의 정도(또는, 압력값)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압력 센서를 통해 측정된 압력값이 기 설정된 값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초음파 센서를 작동시켜 초음파 센서가 태아의 박동수를 감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초음파 센서를 통해 획득한 태아의 박동수가 기준값을 초과한다고 판단되면 경고 신호를 출력하도록 출력부(230)에 출력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기준값은 기 설정된 값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해 직접 제어부에 저장한 값일 수도 있고, 임산부가 차량 시트에 착석하고 완충 프로텍터를 착용한 후 차량의 운전을 시작하기 전에 측정된 값일 수도 있다.
경고 신호는 "태아의 안정이 필요합니다"와 같은 음성 신호형태로 판단 모듈(200)의 출력부(230)(예: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임산부는 음성 신호를 듣고 외부의 충격으로 태아의 안정이 방해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압력 센서를 통해 측정된 압력값이 제1 임계치보다 크다고 판단되어, 초음파 센서를 통해 태아의 박동수를 감지한 결과, 태아의 박동수가 기준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를 카운팅할 수 있으며, 카운팅한 횟수를 기반으로 압력값의 비교 대상이 되는 임계치를 변경할 수도 있다. 여기서, 임계치는 상술한 기준값 또는 기 설정된 값을 나타낼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220)는 카운팅한 횟수가 기준 횟수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임계치 정도의 압력값은 태아에게 무해한 것으로 판단하여 압력값의 비교 대상이 되는 임계치를 상기 제1 임계치에서 제2 임계치로 기준을 상향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 임계치는 제1 임계치보다 미리 설정된 제1 수치만큼 높은 값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카운팅 횟수는 연속적인 횟수를 나타낼 수 있으며, 태아의 안정이 필요하다는 경고 신호가 발생된 이후에는 다시 처음부터 횟수가 카운팅될 수 있다.
더불어, 제어부(220)는 제2 임계치로 기준을 상향시킨 후에도 지속적으로 카운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동일하게 카운팅한 횟수가 기준 횟수 이상인 경우 비교 대상이 되는 임계치를 상기 제2 임계치에서 제3 임계치로 기준을 상향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3 임계치는 제2 임계치보다 미리 설정된 제2 수치만큼 높은 값을 나타낼 수 있으며, 제2 수치는 제1 수치보다 작은 값일 수 있다. 이는 비교 대상이 되는 임계치가 값이 커지는 것이 높은 압력값에도 초음파 센서가 작동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바, 높은 압력값에 대응되는 구간에서는 태아의 안정을 위해 임계치들 간의 차이에 해당하는 구간을 세밀하게 구분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태아의 안전을 확인함과 동시에 불필요한 초음파 센서의 동작을 줄여 배터리 또는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안전벨트의 압박을 완화하도록 마련되는 완충 프로텍터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몸통과 상기 안전벨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안전벨트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이격시키는 쿠션부; 및
    상기 쿠션부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쿠션부를 상기 안전벨트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쿠션부는 상기 사용자의 복부를 커버하고,
    상기 쿠션부는 상기 안전벨트에 의한 압박을 흡수하도록 발포비즈, 라텍스 또는 메모리폼으로 형성되는 형성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쿠션부는 상기 사용자의 복부에 따라 상기 쿠션부가 유연하게 구부러지도록 상기 완충부재의 전면과 후면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쿠션부는 상기 사용자의 복부에 대응되도록 형상을 볼록하게 유지시키며 상기 완충부재를 지지하는 보강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방을 향하여 개방된 C자 프레임 및 상기 C자 프레임의 전단에서 상기 쿠션부의 중심을 향해 연장되는 복수의 지지돌기편들을 포함하고,
    상기 C자 프레임은 후단에서 전단으로 연장될수록 단면의 직경이 감소되는 원뿔대의 옆면의 적어도 일부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지지돌기편들 각각의 외측면은 상기 C자 프레임의 외측면과 연결되고 서로 동일한 기울기를 가지는 완충 프로텍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사용자의 어깨를 지나고 사용자의 흉부에 대응되는 숄더 벨트에 상기 쿠션부를 고정시키는 상단고정부; 및
    상기 사용자의 복부 또는 허리를 가로지르는 랩 벨트에 상기 쿠션부를 고정시키는 하단고정부;를 포함하는 완충 프로텍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고정부는
    좌우 거울 대칭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상단고정부를 포함하는 완충 프로텍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는 상기 C자 프레임의 개방된 상방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의 밴딩부 및 상기 상방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의 플랫부를 포함하고,
    상기 밴딩부는 전방을 향하여 밴딩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가슴 또는 명치가 압박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플랫부에 배치되는 제1 완충부재 및 상기 밴딩부에 배치되는 제2 완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완충부재 및 상기 제2 완충부재는 분리되게 형성되는 완충 프로텍터.
  6. 임산부에게 가해지는 안전벨트의 압박을 완화하도록 마련되는 완충 프로텍터에 있어서,
    상기 임산부의 몸통과 상기 안전벨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안전벨트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임산부로부터 이격시키는 쿠션부; 및
    상기 쿠션부의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쿠션부를 상기 안전벨트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쿠션부는 상기 임산부의 복부를 커버하고,
    상기 임산부의 복부를 마주하는 상기 쿠션부의 타면에 배치되고, 태아의 심박동을 측정하는 태아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쿠션부는 상기 안전벨트에 의한 압박을 흡수하도록 발포비즈, 라텍스 또는 메모리폼으로 형성되는 형성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쿠션부는 상기 임산부의 복부에 따라 상기 쿠션부가 유연하게 구부러지도록 상기 완충부재의 전면과 후면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쿠션부는 상기 임산부의 복부에 대응되도록 형상을 볼록하게 유지시키며 상기 완충부재를 지지하는 보강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방을 향하여 개방된 C자 프레임 및 상기 C자 프레임의 전단에서 상기 쿠션부의 중심을 향해 연장되는 복수의 지지돌기편들을 포함하고,
    상기 C자 프레임은 후단에서 전단으로 연장될수록 단면의 직경이 감소되는 원뿔대의 옆면의 적어도 일부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지지돌기편들 각각의 외측면은 상기 C자 프레임의 외측면과 연결되고 서로 동일한 기울기를 가지는 완충 프로텍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임산부의 어깨를 지나고 임산부의 흉부에 대응되는 숄더 벨트에 상기 쿠션부를 고정시키는 상단고정부; 및
    상기 임산부의 복부 또는 허리를 가로지르는 랩 벨트에 상기 쿠션부를 고정시키는 하단고정부;를 포함하는 완충 프로텍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고정부는
    좌우 거울 대칭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상단고정부를 포함하는 완충 프로텍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는 상기 C자 프레임의 개방된 상방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의 밴딩부 및 상기 상방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의 플랫부를 포함하고,
    상기 밴딩부는 전방을 향하여 밴딩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임산부의 가슴 또는 명치가 압박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플랫부에 배치되는 제1 완충부재 및 상기 밴딩부에 배치되는 제2 완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완충부재 및 상기 제2 완충부재는 분리되게 형성되는 완충 프로텍터.
KR1020210092196A 2021-07-01 2021-07-14 차량의 안전벨트에 의한 압박을 완화하는 임산부용 완충 프로텍터 KR102361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570A KR20230011849A (ko) 2021-07-01 2022-02-07 차량의 안전벨트에 의한 압박을 완화하는 임산부용 완충 프로텍터
KR1020220015569A KR20230011848A (ko) 2021-07-01 2022-02-07 차량의 안전벨트에 의한 압박을 완화하는 임산부용 완충 프로텍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86198 2021-07-01
KR1020210086198 2021-07-01
KR20210086911 2021-07-02
KR1020210086911 2021-07-02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5570A Division KR20230011849A (ko) 2021-07-01 2022-02-07 차량의 안전벨트에 의한 압박을 완화하는 임산부용 완충 프로텍터
KR1020220015569A Division KR20230011848A (ko) 2021-07-01 2022-02-07 차량의 안전벨트에 의한 압박을 완화하는 임산부용 완충 프로텍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1551B1 true KR102361551B1 (ko) 2022-02-14

Family

ID=8025407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196A KR102361551B1 (ko) 2021-07-01 2021-07-14 차량의 안전벨트에 의한 압박을 완화하는 임산부용 완충 프로텍터
KR1020220015570A KR20230011849A (ko) 2021-07-01 2022-02-07 차량의 안전벨트에 의한 압박을 완화하는 임산부용 완충 프로텍터
KR1020220015569A KR20230011848A (ko) 2021-07-01 2022-02-07 차량의 안전벨트에 의한 압박을 완화하는 임산부용 완충 프로텍터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5570A KR20230011849A (ko) 2021-07-01 2022-02-07 차량의 안전벨트에 의한 압박을 완화하는 임산부용 완충 프로텍터
KR1020220015569A KR20230011848A (ko) 2021-07-01 2022-02-07 차량의 안전벨트에 의한 압박을 완화하는 임산부용 완충 프로텍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3615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3639A (ko) 2022-04-29 2023-11-07 (주)대한솔루션 사용하지 않을 때 소음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자동차용 3점식 안전벨트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3854A (ko) 1993-11-24 1995-06-15 이중원 차량용 안전 쿠션
KR200213740Y1 (ko) 2000-06-27 2001-02-15 이철 유아 및 임산부용 겸용 차량보조시트
US20030052528A1 (en) * 2001-09-14 2003-03-20 Huggins Bridgette B. Detachable protective pad for abdominal area
JP2010540016A (ja) * 2007-09-25 2010-12-24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着席している人のバイタル身体サインを監視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KR20180109346A (ko) * 2017-03-28 2018-10-08 최기은 차량용 안전벨트
KR200488373Y1 (ko) 2017-01-05 2019-04-10 주식회사 다이치에스앤비 임산부용 카시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3854A (ko) 1993-11-24 1995-06-15 이중원 차량용 안전 쿠션
KR200213740Y1 (ko) 2000-06-27 2001-02-15 이철 유아 및 임산부용 겸용 차량보조시트
US20030052528A1 (en) * 2001-09-14 2003-03-20 Huggins Bridgette B. Detachable protective pad for abdominal area
JP2010540016A (ja) * 2007-09-25 2010-12-24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着席している人のバイタル身体サインを監視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KR200488373Y1 (ko) 2017-01-05 2019-04-10 주식회사 다이치에스앤비 임산부용 카시트
KR20180109346A (ko) * 2017-03-28 2018-10-08 최기은 차량용 안전벨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3639A (ko) 2022-04-29 2023-11-07 (주)대한솔루션 사용하지 않을 때 소음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자동차용 3점식 안전벨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1848A (ko) 2023-01-25
KR20230011849A (ko) 2023-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46191A (en) Motor vehicle seat with a back rest and air bag assembly
EP0347505B1 (en) Child's safety restraining vest
KR102361551B1 (ko) 차량의 안전벨트에 의한 압박을 완화하는 임산부용 완충 프로텍터
US9480308B2 (en) Buckle-tongue arrangement for four point seat belt system
US20090256337A1 (en) Seat belt airbag module
US3706472A (en) Head rest with energy absorbing head pad, particularly for vehicle seats
US6557895B2 (en) Implant protective pad for use with seatbelts
US4145074A (en) Automotive body harness
JP3754015B2 (ja) 自動車用シートベルト装置
EP2895358B1 (en) Safety belt retention device
JP4165150B2 (ja) 車両用乗員拘束装置
US7318606B1 (en) Lap belt comfort cushion
KR20180002971U (ko) 유아용 카시트
KR200488373Y1 (ko) 임산부용 카시트
KR101353237B1 (ko) 임산부용 벨트 안전장치
US5482324A (en) Supplemental car seat belt for protecting users wtih stomas
KR20100125595A (ko)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시트
US5135256A (en) Side impact bolster attached to seat belt
KR102249205B1 (ko) 아동용 안전시트
KR200460844Y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보조 체결장치
JP4206927B2 (ja) シートベルトデバイス
JP4421585B2 (ja) シート着座補助装置
JP2002087121A (ja) チャイルドシート
WO2024098784A1 (zh) 安全带装置、车辆座椅、车辆和安全带装置的调节方法
JPH09188221A (ja) 乗員保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