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1125B1 -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의 고온 전기양생방법 - Google Patents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의 고온 전기양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1125B1
KR102361125B1 KR1020190146025A KR20190146025A KR102361125B1 KR 102361125 B1 KR102361125 B1 KR 102361125B1 KR 1020190146025 A KR1020190146025 A KR 1020190146025A KR 20190146025 A KR20190146025 A KR 20190146025A KR 102361125 B1 KR102361125 B1 KR 102361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ltra
performance concrete
concrete composition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6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8498A (ko
Inventor
정명준
정우람
류상효
김현태
정충헌
Original Assignee
정명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명준 filed Critical 정명준
Priority to KR1020190146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1125B1/ko
Publication of KR20210058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8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1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1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246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curing concrete in situ, e.g. by covering it with protective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22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38Fibrous materials; Whiskers
    • C04B14/48Metal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06Combustion residues, e.g. purification products of smoke, fumes or exhaust gases
    • C04B18/08Flue dust, i.e. fly as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1Slag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1Slags
    • C04B18/142Steelmaking slags, converter slag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6Silica fum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0/00Processes, in general, for influencing 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mpositions, e.g. their setting or hardening ability
    • C04B40/0003Processes, in general, for influencing 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mpositions, e.g. their setting or hardening ability making use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4B40/0007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 C04B2201/5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for the mechanical streng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a)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을 형틀에 타설하는 단계; (b) 상기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에 도전성 연결부를 설치하는 단계; 및 (c) 상기 도전성 연결부에 전원을 인가하여 전기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의 양생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의 고온 전기양생방법{AN ELECTRIC CURING METHOD OF ULTRA HIGH PERFORMANCE CONCRETE COMPOSITION UNDER HIGH TEMPERATURE}
본 발명은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의 전기양생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고성능 콘크리트 내부에 도전성 탄소가 균일하게 분산되어 저전압으로 고온의 양생조건을 구현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세계적으로 경제, 사회 및 문화가 발전함에 따라 교량, 도로, 원자력발전소, 댐 등 사회기반시설물에 대한 수요가 대량으로 창출되고 있다. 이러한 수요는 기존의 건축재료에 비하여 재료적 특성이 향상된 건축재료에 대한 요청으로 이어지고 있다. 특히 사회기반시설물 중 방재시설, 집단에너지시설 및 교통시설의 경우, 특별한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는 건축재료가 필요하다.
콘크리트의 한 종류인 초고성능 콘크리트(ultra high performance concrete, UHPC)는 기존의 초고강도 콘크리트(ultra high strength concrete, UHSC)에 비하여 압축강도 내지 내구성 등의 재료적 특성이 더욱 향상된 콘크리트로서, 방재시설, 집단에너지시설 및 교통시설의 건축재료로서 요구되는 물성, 예를 들면, 압축강도 내지 내구성 등을 충족한다.
초고성능 콘크리트는 수화과정에서 최소 60℃의 온도에서 충분한 습도가 공급되어야 150 MPa 이상의 압축강도를 발현할 수 있으며, 최대 성능의 발현을 위해서는 초기 수화과정에 60℃ 내지 90℃의 고온으로 양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3일간 60℃의 조건에서 양생되거나, 2일간 90℃의 조건에서 양생되어야 필요한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고온다습한 기후를 가진 싱가폴 등과 달리, 한국의 기후 특성 상 전술한 온도와 습도 조건을 충족시키기 어려워 별도의 양생조건을 조성하지 않는 한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재령 28일 압축강도는 140 MPa 미만으로 발현된다.
건설현장에서는 전술한 온도와 습도의 구현에 과도한 비용이 소요되어 실질적인 적용이 어렵다. 또한, 건설현장에서 고온으로 증기양생을 실시하더라도 콘크리트 내·외부의 온도 차가 발생하거나, 부분적인 살수로 콘크리트 표면 상에 온도 차가 발생하여 균열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실무적으로는 특정 부재에 한하여 초고성능 콘크리트를 프리캐스트(precast) 형식으로 공장에서 생산하여 일부 적용되는 수준에 불과하다.
전기양생방법은 이러한 종래의 양생방법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 전기양생방법은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아서 비용이 적게 들고, 콘크리트 내부에 열을 균일하게 가할 수 있어서 균열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콘크리트 조성물은 저항 성능을 충분히 개선하지 못하여, 전기양생방법은 특수한 상황, 예를 들면 극단적으로 낮은 온도와 습도를 나타내는 러시아, 네덜란드 등에서만 사용되었다. 특히,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의 경우, 타설 후 최초 저항은 400 Ω 정도이나 수화가 진행되면 저항이 약 400 kΩ까지 증가하기 때문에 전기양생에 과도한 고전력이 요구되어 비효율적이고, 감전 등의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높아 실질적인 적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McIntosh, J. D. 외, Magazine of Concrete Research 1.1 (1949) Kim, G. M. 외, Composite Structures 158 (2016)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 내부에 도전성 탄소가 균일하게 분산되어 전열망을 형성함으로써,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을 균일하게 고온으로 양생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의 저항 성능을 극도로 개선하여, 건설현장에서 용이하게 고온의 양생조건을 구현함으로써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의 시공성이 향상된 양생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a)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을 형틀에 타설하는 단계; (b) 상기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에 도전성 연결부를 설치하는 단계; 및 (c) 상기 도전성 연결부에 전원을 인가하여 전기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의 양생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도전성 연결부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배근된 철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도전성 연결부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의 온도를 40℃ 내지 200℃로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전원은 10~30 V의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은 물-결합재 비(W/B)가 0.2 내지 0.25이고, 시멘트, 결합재, 채움재, 감수제, 강섬유, 물 및 도전성 탄소를 포함하며, 재령 3일 압축강도가 150 MPa 이상 발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재는 실리카 흄, 실리카 샌드, 고로슬래그, 플라이애시 및 이들 중 2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채움재는 회수 더스트, 전기로 제강 더스트, 주물 더스트, 석영 미분말, 석회석 미분말, 석분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탄소는 그래핀, 탄소섬유, 탄소나노와이어, 탄소나노튜브,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다발형 탄소나노튜브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탄소의 겉보기 밀도는 0.01 내지 0.07 g/mL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결합재의 함량은 120 내지 150중량부, 상기 채움재의 함량은 20 내지 50중량부, 상기 감수제의 함량은 1 내지 10중량부, 상기 물의 함량은 15 내지 35중량부, 상기 도전성 탄소의 함량은 1 내지 10중량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 총량을 기준으로, 상기 강섬유의 함량은 1 내지 3부피%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은 상기 (c) 단계의 전기양생을 거친 후 ASTM D-257 규정에 따라 측정된 표면저항이 500 Ω/sq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 내부에 도전성 탄소가 균일하게 분산되어 전열망을 형성함으로써,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을 균일하게 고온으로 양생할 수 있는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의 저항 성능을 극도로 개선하여, 건설현장에서 고온의 양생조건을 구현함으로써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의 시공성이 향상된 양생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의 내부 온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작된 공시체를 대상으로 압축시험한 결과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수치적 값의 범위가 기재되었을 때, 이의 구체적인 범위가 달리 기술되지 않는 한 그 값은 유효 숫자에 대한 화학에서의 표준규칙에 따라 제공된 유효 숫자의 정밀도를 갖는다. 예를 들어, 10은 5.0 내지 14.9의 범위를 포함하며, 숫자 10.0은 9.50 내지 10.49의 범위를 포함한다.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중량백분율은 별도의 기재가 없는 한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정하며, 중량부는 별도의 기재가 없는 한 포틀랜드 시멘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정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부피백분율은 별도의 기재가 없는 한 매트릭스의 부피를 기준으로 정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매트릭스(matrix)"는 일반적으로 2종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복합물에서 연속상을 구성하는 성분을 의미하며, 본 명세서에서는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에서 연속상을 구성하는 성분을 뜻한다. 예를 들어, 콘크리트 조성물 중의 시멘트가 이러한 매트릭스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콘크리트(concrete)"는 고성능 콘크리트, 초고성능 콘크리트, 섬유보강 콘크리트, 레미콘 등을 포함하는 광의의 콘크리트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초고성능 콘크리트(ultra high performance concrete)"는 압축강도가 150 MPa 이상인 콘크리트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작업성(workability)"은 콘크리트의 시공공정에서 재료의 분리를 발생시키지 않음과 동시에 시공에 적합한 연도를 가지는 콘크리트의 성질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전기양생(electric curing)"은 직류 또는 교류 전원을 인가하여 발생하는 전열을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촉진 양생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의 양생방법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의 양생방법은, (a)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을 형틀에 타설하는 단계; (b) 상기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에 도전성 연결부를 설치하는 단계; 및 (c) 상기 도전성 연결부에 전원을 인가하여 전기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의 도전성 연결부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배근된 철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도전성 연결부는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도전성 연결부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의 온도를 40℃ 이상, 50℃ 이상, 또는 60℃ 이상이고, 200℃ 이하, 190℃ 이하, 180℃ 이하, 170℃ 이하, 160℃ 이하, 150℃ 이하, 140℃ 이하, 130℃ 이하, 120℃ 이하, 110℃ 이하, 100℃ 이하 또는 90℃ 이하로 조절할 수 있다. 전기양생 조건은 건설 현장의 온도 및 습도 등을 고려하여 전술한 범위에서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의 온도가 과도하게 낮으면 수화 반응이 저하되어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감소할 수 있고, 과도하게 높으면 수분이 증발함에 따라 공극을 형성하여 초고성능 콘크리트 내부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불필요하게 많은 에너지를 소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cIntosh, J. D의 연구("Electrical curing of concrete." Magazine of Concrete Research 1.1 (1949): 21-28)에 따르면 250 Ω·inch의 공시체에 250 V를 인가하여 콘크리트 조성물의 온도를 76 내지 82℃로 조절할 수 있으며, Kim, G. M.의 연구("The electrically conductive carbon nanotube (CNT)/cement composites for accelerated curing and thermal cracking reduction." Composite Structures 158 (2016): 20-29.)에 따르면 543.72 Ω·cm의 공시체에 30 V를 인가하여 30분 내에 콘크리트 조성물의 온도를 50℃로 조절할 수 있으나, 콘크리트 조성물의 저항이 증가함에 따라 고전압을 장시간 동안 인가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전원은 10~30 V의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이러한 양생방법의 비제한적인 일 예시로, 본 발명의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은 저항이 극도로 개선되어, 10 V를 30분 동안 인가하여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의 온도를 60℃로 조절하거나, 15 V의 전압을 15분 동안 인가하여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의 온도를 60℃로 조절할 수 있다. 또는, 30 V의 전압을 인가하여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의 온도를 200℃로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전압은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저항에 영향을 주는 요소, 예를 들면,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에 혼입된 도전성 탄소 내지 강섬유의 성분, 밀도, 형상, 구조 등을 고려하여 조절될 수 있다.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
상기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은 물-결합재 비(W/B)가 0.2 내지 0.25이고, 시멘트, 결합재, 채움재, 감수제, 강섬유, 물 및 도전성 탄소를 포함하며, 재령 3일 압축강도가 150 MPa 이상 발현될 수 있다.
상기 결합재는 실리카 흄(silica fume), 실리카 샌드(silica sand), 고로슬래그, 플라이애시 및 이들 중 2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실리카 흄 및 실리카 샌드의 조합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결합재는 입자 간 마찰이 적어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의 유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초고성능 콘크리트 내부의 공극을 메워 밀실한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석회석 미분말과 같은 채움재와 포졸란 반응을 일으켜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채움재는 회수 더스트, 전기로 제강 더스트, 주물 더스트, 석영 미분말, 석회석 미분말, 석분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석영 미분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채움재는 초고성능 콘크리트 내부의 공극을 메워 밀실한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비제한적인 일 예시로, 상기 감수제는 고성능감수제일 수 있다. 고성능감수제는 시멘트 입자를 강하게 분산시킬 수 있기에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물-결합재비(W/B)를 낮추어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도전성 탄소는 그래핀, 탄소섬유, 탄소나노와이어, 탄소나노튜브,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다발형 탄소나노튜브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도전성 탄소는 부도체인 초고성능 콘크리트에 전기 전도성을 부여하기 위한 물질로서, 상기 도전성 탄소의 함량에 따라 초고성능 콘크리트에 도체와 같은 전기전도성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제한적인 일 예시로, 상기 도전성 탄소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특히 본원발명의 출원인이 선출원한 '연속식 공정을 이용한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의 제조방법(출원번호 : 제10-2018-0024472호)'에 따라 제조된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일 수 있다.
이러한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는 응집되어 다발형 탄소나노튜브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다발형 탄소나노튜브는 기본적으로 복수의 탄소나노튜브,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다중벽 탄소나노튜브가 상호 응집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각각의 탄소나노튜브 및 그 집합체는 직선형, 곡선형, 또는 이들이 혼합된 형태일 수 있다.
이 때, 다발형 탄소나노튜브의 평균 다발 직경이 0.5 ㎛ 이상, 1.5 ㎛ 이상, 또는 2.5 ㎛ 이상이고, 20 ㎛ 이하, 19 ㎛ 이하, 또는 18 ㎛ 이하일 수 있으며, 평균 다발 길이가 10 ㎛ 이상, 20 ㎛ 이상, 또는 30 ㎛ 이상이고, 200 ㎛ 이하, 190 ㎛ 이하, 또는 180 ㎛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의 라만 분광 강도비(IG/ID)가 0.7 이상, 0.8 이상, 또는 0.9 이상이고, 1.5 이하, 1.4 이하, 또는 1.3 이하일 수 있고, 평균 직경은 5 nm 이상, 7 nm 이상, 또는 9 nm 이상이고, 50 nm 이하, 48 nm 이하, 또는 46 n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도전성 탄소의 겉보기 밀도는 0.01 g/mL 이상, 0.02 g/mL 이상, 또는 0.03 g/mL 이상이고, 0.07 g/mL 이하, 0.06 g/mL 이하, 또는 0.05 g/mL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도전성 탄소의 겉보기 밀도가 0.01 g/mL 미만이면 과도한 비산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0.07 g/mL 초과이면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 배합 시 도전성 탄소의 분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결합재의 함량은 120중량부 이상, 125중량부 이상, 또는 130중량부 이상이고, 150중량부 이하, 145중량부 이하, 또는 140중량부 이하일 수 있고, 상기 채움재의 함량은 20중량부 이상, 25중량부 이상, 또는 30중량부 이상이고, 50중량부 이하, 45중량부 이하, 또는 40중량부 이하일 수 있고, 상기 감수제의 함량은 1중량부 이상, 2중량부 이상, 또는 3중량부 이상이고, 10중량부 이하, 9중량부 이하, 또는 8중량부이하일 수 있고, 상기 물의 함량은 15중량부 이상, 17중량부 이상, 또는 19중량부 이상이고, 35중량부 이하, 33중량부 이하, 또는 31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비제한적인 일 예시로, 상기 도전성 탄소의 함량은 1중량부 이상, 2중량부 이상, 또는 3중량부 이상이고, 10중량부 이하, 9중량부 이하, 또는 8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도전성 탄소의 함량은 구현하고자 하는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재료적 특성, 예를 들면, 표면저항, 전자파 차폐효과, 압축강도 등을 고려하여 전술한 범위에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탄소의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이면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표면저항이 급격하게 상승하여 전기양생하는데 과도한 고전압이 필요할 수 있고, 10중량부 초과이면 초고성능 콘크리트 본연의 기계적 물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상기 강섬유의 함량은 상기 시멘트를 기준으로 1부피% 이상, 1.2부피% 이상, 또는 1.4부피% 이상이고, 3부피% 이하, 2.8부피% 이하, 또는 2.6부피% 이하일 수 있다. 강섬유의 함량은 구현하고자 하는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재료적 특성, 예를 들면, 표면저항, 전자파 차폐효과, 압축강도 등을 고려하여 전술한 범위에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강섬유의 함량이 1부피% 미만이면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재료적 특성이 저하될 수 있고, 3부피% 초과이면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의 배합 과정에서 믹서기에 과도한 부하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강섬유의 높은 가격으로 인하여 경제성이 현저히 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강섬유는 초고성능 콘크리트에 내구성 내지 압축강도를 부여하기 위한 물질로서, 도전성 탄소와 망상구조(network)를 형성함으로써 전자파 차폐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은 상기 (c) 단계의 전기양생을 거친 후 ASTM D-257 규정에 따라 측정된 표면저항이 500 Ω/sq 이하, 300 Ω/sq 이하, 또는 200 Ω/sq 이하일 수 있다.
이러한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은 방재시설, 집단에너지시설 및 교통시설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댐, 원자력발전소, 도로, 비행장 활주로, 스마트 도로, 제설 도로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의 실험 결과는 상기 실시예 중 대표적인 실험 결과만을 기재한 것이며, 실시예 등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와 내용이 축소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될 수 없다. 아래에서 명시적으로 제시하지 않은 본 발명의 여러 구현예의 각각의 효과는 해당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기재하도록 한다.
실시예 1
포틀랜드 시멘트 100중량부, 실리카 흄 25중량부, 실리카 샌드 110중량부, 고성능감수제 5중량부, 석영 미분말 35중량부, 강섬유 2.0부피%, 물 24중량부,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분말 1.5중량부를 준비하였다.
포틀랜드 시멘트 100중량부, 실리카 흄 25중량부, 실리카 샌드 110중량부, 고성능감수제 5중량부, 석영 미분말 35중량부, 강섬유 2.0부피%를 믹서기에 투입하고 배합하여 배합물을 제조하였다.
물 24중량부에 상기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분말 1.5중량부를 투입하고 초음파를 인가하여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을 제조한 뒤, 상기 배합물에 투입하고 배합함으로써,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강섬유의 부피%는 상기 시멘트 총량을 기준으로 측정하였다.
실시예 2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분말을 3.0중량부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분말을 3.6중량부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분말을 4.5중량부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5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분말을 6중량부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1
상기 강섬유 및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분말을 투입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2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분말을 투입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1. 저항 성능 측정 실험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내지 강섬유를 첨가함에 따른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저항 성능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을 타설하고 양생하여 와셔(washer) 형상의 공시체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공시체를 대상으로 ASTM D-257 규정에 따라 표면저항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의 중량백분율(%) 강섬유의 부피백분율(%) 표면저항(Ω/sq)
실시예 1 0.5 2.0 1.6×105
실시예 2 1.0 2.0 241
실시예 3 1.2 2.0 30
실시예 4 1.5 2.0 17
실시예 5 2.0 2.0 11
비교예 1 0 0 6×109
비교예 2 0 2.0 1.5×104
표 1을 참고하면, 비교예 1~2에 따라 제조한 초고성능 콘크리트와 비교할 때, 실시예 1~5에 따라 제조한 초고성능 콘크리트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내지 강섬유의 투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표면저항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1.2~2.0중량% 투입함과 동시에 강섬유를 2.0부피% 투입한 초고성능 콘크리트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와 강섬유가 시너지효과를 나타내어 11~30 Ω/sq의 표면저항을 나타낸다.
이러한 실험 결과에 따르면,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와 같은 도전성 탄소 내지 강섬유의 투입량이 클수록 표면저항이 감소하여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전력 내지 발열량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전성 탄소 내지 강섬유의 투입량을 조절하여 발열량의 조절이 용이한 초고성능 콘크리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의 경우, 15 V를 15분 동안 인가하여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의 내부 온도를 60℃로 조절할 수 있으며, 3일 동안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의 내부 온도를 60℃로 유지할 수 있다.
실험예 2. 압축강도 비교 실험
양생법에 따른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내구성 내지 압축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을 타설하고 양생하여 입방 형상의 공시체를 제작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5에 따라 수득한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을 타설하고, 타설한 다음날 15 V를 15분 동안 인가하여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의 내부 온도를 60℃로 조절한 뒤, 3일 동안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의 내부 온도를 60℃로 유지한 채 전기양생하여 공시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에 따라 수득한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은 타설된 다음날 항온항습기를 이용하여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의 온도를 60℃로 조절한 뒤, 3일 동안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의 온도를 60℃로 유지한 채 증기양생하여 공시체를 제조하였다.
제작된 공시체를 대상으로 KS F 2405 규정에 준하여 압축강도를 측정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도 2는 실시예 3 및 비교예 2에 따라 제작된 공시체를 대상으로 압축시험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구분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의 중량백분율(%) 재령 3일 압축강도(MPa)
실시예 1 0.5 187.390
실시예 2 1.0 194.283
실시예 3 1.2 196.564
실시예 4 1.5 175.486
실시예 5 2.0 150.752
비교예 2 0 181.064
표 2를 참고하면, 비교예 2에 따라 제조한 초고성능 콘크리트와 비교할 때, 실시예 1~5에 따라 제조한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공시체의 압축강도에 비교할 때,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공시체의 압축강도는 8.56%나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동일한 온도 조건이라면, 증기양생법에 따라 제조된 초고성능 콘크리트에 비하여, 전기양생방법에 따라 제조된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에 실질적으로 전달되는 열량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전기양생방법에 따라 제조된 초고성능 콘크리트 내부에는 망상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망상구조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와 같은 도전성 탄소 내지 강섬유가 매트릭스 사이 존재하는 빈 공간을 침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전기양생방법에 따르면 망상구조를 통하여 열을 균일하게 전달할 수 있다. 아울러,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와 같은 도전성 탄소는 열전도 성능이 매우 우수하기에 열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기양생방법은 초고성능 콘크리트 내부에 열을 균일하고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전기양생방법의 특성은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의 시공성을 매우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 차이가 큰 댐 내지 원자력발전소와 같은 건설 현장에서 구조물 내·외부의 온도 차이로 인한 구조물의 균열을 예방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2)

  1. (a)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을 형틀에 타설하는 단계;
    (b) 상기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에 도전성 연결부를 설치하는 단계; 및
    (c) 상기 도전성 연결부에 전원을 인가하여 전기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전원은 10~30 V의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은 상기 (c) 단계의 전기양생을 거친 후 ASTM D-257 규정에 따라 측정된 표면저항이 500 Ω/sq 이하인,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의 양생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도전성 연결부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배근된 철근을 포함하는,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의 양생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도전성 연결부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의 온도를 40℃ 내지 200℃로 조절하는,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의 양생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은 물-결합재 비(W/B)가 0.2 내지 0.25이고,
    시멘트, 결합재, 채움재, 감수제, 강섬유, 물 및 도전성 탄소를 포함하며,
    재령 3일 압축강도가 150 MPa 이상 발현되는,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의 양생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재는 실리카 흄, 실리카 샌드, 고로슬래그, 플라이애시 및 이들 중 2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인,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의 양생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채움재는 회수 더스트, 전기로 제강 더스트, 주물 더스트, 석영 미분말, 석회석 미분말, 석분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인,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의 양생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탄소는 그래핀, 탄소섬유, 탄소나노와이어, 탄소나노튜브,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다발형 탄소나노튜브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를 포함하는,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의 양생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탄소의 겉보기 밀도는 0.01 내지 0.07 g/mL인,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의 양생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결합재의 함량은 120 내지 150중량부,
    상기 채움재의 함량은 20 내지 50중량부,
    상기 감수제의 함량은 1 내지 10중량부,
    상기 물의 함량은 15 내지 35중량부,
    상기 도전성 탄소의 함량은 1 내지 10중량부인,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의 양생방법.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 총량을 기준으로,
    상기 강섬유의 함량은 1 내지 3부피%인,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의 양생방법.
  12. 삭제
KR1020190146025A 2019-11-14 2019-11-14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의 고온 전기양생방법 KR102361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025A KR102361125B1 (ko) 2019-11-14 2019-11-14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의 고온 전기양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025A KR102361125B1 (ko) 2019-11-14 2019-11-14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의 고온 전기양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498A KR20210058498A (ko) 2021-05-24
KR102361125B1 true KR102361125B1 (ko) 2022-02-09

Family

ID=76153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6025A KR102361125B1 (ko) 2019-11-14 2019-11-14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의 고온 전기양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11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94851A (zh) * 2022-02-26 2022-04-26 河北工业大学 一种高发热电激养护混凝土结构的制备方法
CN115650663B (zh) * 2022-10-18 2023-07-07 北京交通大学 以二氧化碳作为内养护剂的超高性能混凝土的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4202B1 (ko) * 2016-12-01 2017-12-06 한국과학기술원 전기 전도성 시멘트계 복합체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3448B2 (ja) * 1994-02-28 2002-02-04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の電気化学的処理方法
JP3207382B2 (ja) * 1997-09-29 2001-09-10 東洋エクステリア株式会社 電動門扉
KR20140132486A (ko) * 2013-05-08 2014-11-1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아크 용접기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양생 방법
KR20180020643A (ko) * 2016-08-19 2018-02-2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산업부산물을 활용한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4202B1 (ko) * 2016-12-01 2017-12-06 한국과학기술원 전기 전도성 시멘트계 복합체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498A (ko) 2021-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en et al. Mechanical and smart properties of carbon fiber and graphite conductive concrete for internal damage monitoring of structure
KR102246779B1 (ko) 도전성 탄소를 포함하여 전자파 차폐효과를 구현함과 동시에 우수한 압축강도를 갖는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EP0745061B1 (en) Conductive cement-based compositions
US8951343B2 (en) Ultra high performance concrete reinforced with low-cost graphite nanomaterials and microfibers,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Li et al. Mechanical and conductive performance of electrically conductive cementitious composite using graphite, steel slag, and GGBS
Yao et al. Mechanical properties and failure mechanism of carbon nanotube concrete at high temperatures
CN115140974B (zh) 含粗骨料的200MPa级免蒸养超高性能混凝土及其制备方法
CN110510955B (zh) 一种高导热水泥混凝土及其制备方法
KR102361125B1 (ko) 초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의 고온 전기양생방법
KR102000102B1 (ko) 고강도 스마트 투수콘크리트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고강도 스마트 투수콘크리트 제품
Hou et al.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carbon fiber conductive concrete
Abolhasani et al. Towards new generation of electrode-free conductive cement composites utilizing nano carbon black
CN109626908A (zh) 一种导电超高延性的水泥基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11732382A (zh) 利用尾矿砂制成的补偿收缩型超高性能混凝土及制备方法
Cheng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flexural and compressive toughness of mortar and concrete with hybrid toughening materials
Song et al. Mechanical properties of early-age concrete reinforced with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Hakeem et al. Properties and durability of self‐compacting concrete incorporated with nanosilica, fly ash, and limestone powder
KR101343454B1 (ko) Cnt를 혼입한 수화열 방열 콘크리트 조성물
Oluremi et al. Early strength development assessment of concrete produced from cement replaced with nano silica activated Corn Cob Ash
Prasath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s on flexural behaviour of self compacting concrete beam with silica fume
CN117645451A (zh) 一种纤维增韧抗裂型水泥稳定碎石及其制备方法和施工方法
KR100281697B1 (ko) 도전성 복합물
CN111268970A (zh) 一种接地导电混凝土及其制备方法
CN108178542B (zh) 一种导电高流态自流平磷酸镁水泥的制备方法
Restuccia et al. An investigation of the beneficial effects of adding carbon nanotubes to standard injection grou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