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0603B1 - Heat dissipation structure, heating module and cooking device - Google Patents

Heat dissipation structure, heating module and cook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0603B1
KR102360603B1 KR1020207030942A KR20207030942A KR102360603B1 KR 102360603 B1 KR102360603 B1 KR 102360603B1 KR 1020207030942 A KR1020207030942 A KR 1020207030942A KR 20207030942 A KR20207030942 A KR 20207030942A KR 102360603 B1 KR102360603 B1 KR 102360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air duct
radiator
blower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09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35865A (en
Inventor
진펑 천
커즈 자오
서우칭 츄
졘 천
? 천
페이 류
밍량 라이
Original Assignee
선전 씨에이치케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810965966.7A external-priority patent/CN110366284A/en
Priority claimed from CN201811055996.0A external-priority patent/CN109287018B/en
Application filed by 선전 씨에이치케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선전 씨에이치케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claimed from PCT/CN2019/078314 external-priority patent/WO2019196593A1/en
Publication of KR20200135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58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6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H05B6/42Cooling of co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72Fan mounting or fan specifications

Abstract

본 출원은 수평 브라켓부 및 상기 수평 브라켓부와 연결된 수직 브라켓부를 포함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 상에 설치된 라디에이터; 상기 수평 브라켓부 상에 설치된 송풍기 및 상기 수직 브라켓부에 설치된 제어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어셈블리의 수직 투영은 상기 송풍기의 수직 투영과 교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 구조를 공개했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bracket including a horizontal bracket part and a vertical bracket part connected to the horizontal bracket part; a radiator installed on the bracket; Disclosed is a heat dissipation structure comprising a blower installed on the horizontal bracket part and a control assembly installed on the vertical bracket part, wherein a vertical projection of the control assembly does not intersect a vertical projection of the blower.

Description

방열 구조, 가열 모듈 및 조리 장치Heat dissipation structure, heating module and cooking device

본 출원은 2018년 4월 11일자로 중국 전리국에 제출한 발명의 명칭이 "IH가열 모듈”인 중국특허출원 제201810321525.3호, 2018년 8월 23일자로 중국 전리국에 제출한 발명의 명칭이 "가열 모듈”인 중국특허출원 제201810965966.7호, 및 2018년 9월 11일자로 중국 전리국에 제출한 발명의 명칭이 "전자기 유도 가열 모듈 및 방열 구조”인 중국특허출원 제201811055996.0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모든 내용은 본 출원에 원용된다.This application has been filed with the Chi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810321525.3 with the title of "IH heating module", filed with the Patent Office of China on April 11, 2018, and the title of the invention submitted to the Patent Office of China on August 23, 2018 Claiming priority to Chi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810965966.7, which is a "heating module," and Chi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811055996.0, which is entitled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module and heat dissipation structure", the invention filed with the Patent Office of China on September 11, 2018. , all contents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본 출원은 가전 제품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열 구조, 가열 모듈 및 조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is application relates to the field of home applianc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t dissipation structure, a heating module, and a cooking device.

일반 IH가열(induction heating, 유도 가열) 가전 제품은 통상적으로 상부 커버, 베이스, 코일 플레이트 및 코일 브라켓, 전기제어 메인보드, 라디에이터, 내솥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전기제어 메인보드(일반적으로 PCB회로기판 형태), 특히 IGBT와 같이 전기제어 메인보드에 탑재된 전력 소자는 작동 중에 많은 열을 발생하고, 전기제어 메인보드 외에도 기타 발열 부품이 구비된다. 예를 들면, 전자기 유도 가열 모듈은 인덕턴스 코일 플레이트에서 생성되는 교번 자기장을 이용하여 상기 자기장에 놓인 자기 전도성 물체에 와전류가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열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전자기 유도 가열 모듈이 작동 중일 때, 통전된 인덕턴스 코일 플레이트 및 전기제어 메인보드는 모두 많은 열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열량을 전자기 유도 가열 모듈 밖으로 적시에 효과적으로 배출하지 못할 경우, 장치 내부의 온도가 너무 높아져, 장치 구성품의 정상적인 작동에 영향을 미치고, 더 나아가 구성품이 손상된다. A general IH heating (induction heating) home appliance typically includes an upper cover, a base, a coil plate and a coil bracket, an electric control main board, a radiator, an inner pot, and the like. Here, the electric control main board (generally in the form of a PCB circuit board), in particular, the power device mounted on the electric control main board such as IGBT generates a lot of heat during operation, and other heating components are provided in addition to the electric control main board. For example,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module generates heat by using an alternating magnetic field generated by an inductance coil plate to generate an eddy current in a magnetically conductive object placed in the magnetic field. Therefore, when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module is in operation, both the energized inductance coil plate and the electrical control main board generate a lot of heat. If this amount of heat cannot be efficiently and timely discharged out of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module, the temperature inside the device becomes too high, which affects the normal operation of the device components, and further damages the components.

또한, 현재 시중의 유도 가열 어셈블리의 방열은 일반적으로 코일 브라켓 상에 설치된 방열 어셈블리에 의해 완성된다. 그러나 가열 어셈블리(예를 들면 가열 코일, 메인 제어 PCB기판) 및 방열 어셈블리(팬, 방열 에어덕트 등)는 모두 분리형 맞춤 설계로서, 표준화, 범용화 정도가 낮고, 제품마다 맞춤형 개발 설계가 필요하며, 최종적으로 조립되어 가열 및 방열 기능을 실현할 경우, 상이한 가열 어셈블리 및 방열 어셈블리 사이의 범용성이 떨어지고, 통일된 일체화 설계가 부족하여, 동일한 유형의 제품에 대한 개발주기가 길어진다. 동시에 분리형 설치는 생산 조립이 어렵고 재료 및 공정 비용이 높은 단점이 있다.In addition, heat dissipation of induction heating assemblies on the market is generally completed by a heat dissipation assembly installed on a coil bracket. However, heating assembly (eg heating coil, main control PCB board) and heat dissipation assembly (fan, heat dissipation air duct, etc.) are all separate custom designs, so standardization and generalization are low, and customized development design is required for each product. When assembled with a heating and heat dissipation function, the versatility between different heating assemblies and heat dissipation assemblies is poor, and a unified and integrated design is lacking, and the development cycle for the same type of product is prolonged. At the same time, the detachable installation has the disadvantage of difficult production assembly and high material and process costs.

본 출원의 목적은 상술한 하나 이상의 기술문제에 대해, 전자기 유도 가열 모듈 및 방열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o provide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module and a heat dissipation structure in response to one or more technical problems described above.

방열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방열 구조는, 수평 브라켓부 및 상기 수평 브라켓부와 연결된 수직 브라켓부를 포함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 상에 설치된 라디에이터, 상기 수평 브라켓부 상에 설치된 송풍기 및 상기 수직 브라켓부에 설치된 제어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어셈블리의 수직 투영은 상기 송풍기의 수직 투영과 교차하지 않는다. In 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includes a bracket including a horizontal bracket part and a vertical bracket part connected to the horizontal bracket part, a radiator installed on the bracket, a blower installed on the horizontal bracket part, and a control installed in the vertical bracket part assembly, wherein a vertical projection of the control assembly does not intersect a vertical projection of the blower.

실시예 중 하나에서, 상기 라디에이터는 상기 송풍기와 상기 제어 어셈블리 사이에 위치한다. In one of the embodiments, the radiator is located between the blower and the control assembly.

실시예 중 하나에서, 상기 라디에이터는 상기 수평 브라켓부 상에 설치되며, 상기 수직 브라켓부 일단의 내측에 가깝거나, 또는 상기 라디에이터는 상기 수직 브라켓부 상에 설치되며, 상기 수평 브라켓부의 내측에 가깝고, 상기 제어 어셈블리는 상기 수직 브라켓부의 내측에 설치된다. In one of the embodiments, the radiator is installed on the horizontal bracket part, close to the inside of one end of the vertical bracket part, or the radiator is installed on the vertical bracket part, and close to the inside of the horizontal bracket part, The control assembly is installed inside the vertical bracket part.

실시예 중 하나에서, 상기 라디에이터는 상기 수평 브라켓부 상에 설치되며, 상기 수직 브라켓부 일단의 외측에 가깝거나, 또는 상기 라디에이터는 상기 수직 브라켓부 상에 설치되며, 상기 수평 브라켓부의 외측에 가깝고, 상기 송풍기는 상기 수평 브라켓부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 어셈블리는 상기 수직 브라켓부의 외측에 설치된다. In one of the embodiments, the radiator is installed on the horizontal bracket part, close to the outside of one end of the vertical bracket part, or the radiator is installed on the vertical bracket part, and close to the outside of the horizontal bracket part, The blower is installed outside the horizontal bracket part, and the control assembly is installed outside the vertical bracket part.

실시예 중 하나에서, 상기 송풍기는 상기 수평 브라켓부의 중심 부분 또는 중심 부분 근처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송풍기는 상기 수평 브라켓부의 외측 중심 부분 또는 중심 부분 근처에 설치된다. In one of the embodiments, the blower is installed at or near a central portion of the horizontal bracket portion, or the blower is installed at an outer central portion or near the central portion of the horizontal bracket portion.

실시예 중 하나에서, 상기 브라켓은 L자형 브라켓이고, 상기 제어 어셈블리 및 라디에이터로 구성된 구조는 브라켓과 결합되어 T자형을 구성한다. In one of the embodiments, the bracket is an L-shaped bracket, and the structure composed of the control assembly and the radiator is combined with the bracket to form a T-shape.

실시예 중 하나에서, 상기 송풍기에서 생성된 기류의 흐름 방향은, 기류가 상기 라디에이터의 랙 표면을 통해 상기 라디에이터를 통과하여, 상기 브라켓 상의 상기 수평 브라켓부와 상기 수평 브라켓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의 틈새로부터 송출되는 경우; 라디에이터의 상부 공극을 통해 상기 제어 어셈블리로 송풍되어 상기 제어 어셈블리를 통과하여, 상기 브라켓 상의 상기 수평 브라켓부와 상기 수평 브라켓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의 틈새로부터 송출되는 경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In one of the embodiments,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flow generated by the blower is from a gap between the horizontal bracket part on the bracket and the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horizontal bracket part, so that the airflow passes through the radiator through the rack surface of the radiator. When transmitted; when the air is blown to the control assembly through the upper gap of the radiator, passes through the control assembly, and is blown out from a gap between the horizontal bracket part on the bracket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horizontal bracket part; includes one or more of

실시예 중 하나에서, 상기 방열 구조는 상기 수평 브라켓부 상에 설치되고 상기 송풍기를 둘러싸거나 절반 둘러싸는 에어덕트 벽 구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에어덕트 벽 구조는 상기 송풍기에서 생성된 기류를 안내하여 상기 라디에이터 또는 상기 제어 어셈블리의 방향으로 측면으로 안내되도록 한다. In one of the embodiments, 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further includes an air duct wall structure that is installed on the horizontal bracket and surrounds or half surrounds the blower, wherein the air duct wall structure guides the air flow generated by the blower to to be guided laterally in the direction of the radiator or the control assembly.

실시예 중 하나에서, 상기 에어덕트 벽 구조는 상기 라디에이터의 상부와 상기 브라켓의 외부 표면 사이의 공극을 통과하는 기류가 상기 제어 어셈블리 상의 구성품으로 송풍되어 상기 에어덕트 벽 구조 중앙부 또는 상부로부터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모듈 부분을 포함한다. In one of the embodiments, the air duct wall structure guides the airflow passing through the void between the top of the radiator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racket to be blown to components on the control assembly and discharged from a central portion or top of the air duct wall structure. It contains the module part that

실시예 중 하나에서, 상기 에어덕트 벽 구조는 상기 송풍기 일측을 호형으로 둘러싸는 제1 부분; 상기 에어덕트 벽의 제1 부분의 양단을 따라 상기 제어 어셈블리를 향해 연장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한다. In one of the embodiments, the air duct wall structure includes: a first portion that arcs around one side of the blower; and a second portion extending along opposite ends of the first portion of the air duct wall toward the control assembly.

실시예 중 하나에서, 상기 에어덕트 벽 구조는 상기 에어덕트 벽의 제2 부분의 말단에서 시작하여, 상기 에어덕트 벽의 제2 부분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외부를 향하여 연장된 후, 상기 브라켓의 외측부를 따라 상기 브라켓 상부에 가까운 위치까지 상향 연장되는 제3 부분; 상기 브라켓의 상부에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에어덕트 벽의 제3 부분의 연장된 말단과 연결되는 제4 부분;을 더 포함한다. In one of the embodiments, the air duct wall structure starts at the distal end of the second portion of the air duct wall and extends outwar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econd portion of the air duct wall, after which the outer portion of the bracket is a third portion extending upward to a position clos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racket; It further includes; a fourth portion positioned clos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racket and connected to the extended end of the third portion of the air duct wall.

실시예 중 하나에서, 상기 에어덕트 벽 구조는 상기 에어덕트 벽의 제2 부분에 대응하는 제5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에어덕트 벽의 제5 부분의 각각의 일측 부분은 대응하는 제2 부분의 선단에 가까운 위치에서 시작하여, 상기 제5 부분의 타측에 점차 가까워지면서 상기 제어 어셈블리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In one of the embodiments, the air duct wall structure further comprises a fifth portion corresponding to a second portion of the air duct wall, each one side portion of the fifth portion of the air duct wall comprising a corresponding second portion It starts at a position close to the tip of the , and extends along a direction toward the control assembly as it gradually approaches the other side of the fifth part.

실시예 중 하나에서, 상기 송풍기 측면으로부터 송출되는 기류는 상기 에어덕트 벽의 제2 부분 및 상기 에어덕트 벽의 제5 부분을 통해 집중되어 풍압을 형성하고, 일부는 상기 라디에이터로 송풍되고, 상기 라디에이터의 랙 표면을 통과하면서 상기 방열 구조에서 열량을 방출시키며, 일부 기류는 상기 라디에이터 상부와 상기 브라켓 외부 표면 사이의 공극을 통해 상기 제어 어셈블리로 송풍되고, 아래에서 위로 상기 제어 어셈블리 상의 구성품 및 상기 에어덕트 벽의 상기 제4 부분 상의 펜스 홈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방열 구조 밖으로 배출된다. In one of the embodiments, the airflow discharged from the side of the blower is concentrated through a second portion of the air duct wall and a fifth portion of the air duct wall to form wind pressure, a portion of which is blown to the radiator, and the radiator dissipating heat from 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while passing through the rack surface of It is discharged out of 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by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fence grooves on the fourth part of the wall.

실시예 중 하나에서, 상기 수평 브라켓부는 메인 보드 브라켓 및 송풍기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어셈블리는 상기 메인 보드 브라켓 상에 고정되고, 상기 에어덕트 벽 구조는 에어덕트 둘레 골격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에어덕트 둘레 골격은 폐쇄된 완전히 둘러싸인 구조이고, 상기 에어덕트 둘레 골격의 상기 브라켓의 외측부를 따라 상향 연장된 2개의 구간에는 모두 슬라이딩 레일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메인 보드 브라켓은 상기 슬라이딩 레일로부터 상기 에어덕트 둘레 골격에 끼워지면 송풍기 커버와 걸림 결합되고, 상기 에어덕트 둘레 골격은 상기 메인 보드 브라켓, 송풍기 커버와 함께 둘러싸여 에어덕트 챔버를 형성한다. In one of the embodiments, the horizontal bracket portion includes a main board bracket and a blower cover, the control assembly is fixed on the main board bracket, and the air duct wall structure further includes an air duct circumferential skeleton, The duct circumferential frame is a closed and completely enclosed structure, and sliding rails are installed in both sections of the air duct circumferential frame extending upward along the outer side of the bracket, and the main board bracket is separated from the air duct from the sliding rail. When fitted to the circumferential frame, it is engaged with the blower cover, and the air duct circumferential frame is surrounded together with the main board bracket and the blower cover to form an air duct chamber.

실시예 중 하나에서, 상기 제어 어셈블리는 전자기 가열 IH 제어 모듈 및 외부 메모리 컨트롤러 EMC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IH 제어 모듈 및 상기 EMC 모듈은 제어 어셈블리 상의 회로 기판에 함께 통합되거나, 또는 상기 IH 제어 모듈 및 EMC 모듈은 분리 설치 모드이고, 상기 IH 제어 모듈은 상기 회로 기판에 설치되고, 상기 EMC 모듈은 상기 브라켓의 외측부의 기타 위치에 설치된다. In one of the embodiments, the control assembly includes an electromagnetic heating IH control module and an external memory controller EMC module, wherein the IH control module and the EMC module are integrated together in a circuit board on a control assembly, or the IH control module and The EMC module is in a separate installation mode, the IH control module is installed on the circuit board, and the EMC module is installed at other positions outside the bracket.

실시예 중 하나에서, 상기 수평 브라켓부와 상기 수직 브라켓부는 힌지 연결 또는 걸림 연결을 통해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수평 브라켓부와 상기 수직 브라켓부는 일체 성형으로 연결된다. In one embodiment, the horizontal bracket part and the vertical bracket part are connected through a hinge connection or a hook connection, or the horizontal bracket part and the vertical bracket part are integrally connected.

가열 모듈에 있어서, 상기 가열 모듈은 상기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방열 구조를 포함하고, 가열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풍기의 투영은 상기 가열 어셈블리의 투영 내에 위치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가열 어셈블리의 외부를 커버한다. A heating module, wherein the heating module includes a heat dissip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y of the above embodiments, further comprising a heating assembly, wherein the projection of the blower is located within a projection of the heating assembly, and the bracket is external to the heating assembly. covers the

실시예 중 하나에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수평 브라켓부의 측면 및 상기 수평 브라켓부의 측면 상에 설치된 브라켓 둘레 골격을 더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둘레 골격의 외부 가장자리는 기본적으로 상기 가열 어셈블리의 외부 가장자리와 형상이 서로 매칭되어, 상기 브라켓과 상기 가열 어셈블리가 함께 둘러싸여 에어덕트 챔버를 형성하도록 한다. In one of the embodiments, the bracket further comprises a bracket circumferential frame installed on a side surface of the horizontal bracket part and a side surface of the horizontal bracket part, and the outer edge of the bracket circumferential frame is basically in shape with the outer edge of the heating assembly Matched to each other, the bracket and the heating assembly are surrounded together to form an air duct chamber.

실시예 중 하나에서, 상기 가열 어셈블리는 상기 브라켓 내부에 끼움 연결되고, 상기 송풍기는 상기 브라켓의 저부 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라디에이터는 상기 송풍기의 측면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라디에이터의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In one embodiment, the heating assembly is fitted inside the bracket, the blower is installed below the bottom of the bracket, the radiator is installed horizontally on the side of the blower, and the circuit board is It is installed vertically on the top.

실시예 중 하나에서, 상기 라디에이터의 투영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가열 어셈블리의 투영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어 어셈블리의 투영은 상기 가열 어셈블리의 투영과 교차하지 않는다. In one of the embodiments, the projection of the radiator is at least partially located within the projection of the heating assembly, and the projection of the control assembly does not intersect the projection of the heating assembly.

실시예 중 하나에서, 상기 브라켓의 저부에는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송풍기의 상부에서 송출되는 기류는 상기 간극을 통해 상기 브라켓과 상기 가열 어셈블리 사이의 간격으로 유입되어 상기 가열 모듈 밖으로 배출된다. In one embodiment, a gap is formed in the bottom of the bracket, and the airflow discharg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blower flows into the gap between the bracket and the heating assembly through the gap and is discharged out of the heating module.

실시예 중 하나에서, 상기 가열 어셈블리는 하향 오목한 용기 형상이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가열 어셈블리의 외부를 감싸고, 상기 가열 어셈블리의 외부 표면에는 복수 그룹의 배열 리브가 설치되어 있고, 각 그룹의 배열 리브는 상기 가열 어셈블리의 외측부, 외측 저부, 외측부와 외측 저부를 연결하는 코너부에 분포되는 복수의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인접한 2개의 스페이서 사이에 코일을 수용하기 위한 코일 홈이 형성되고, 상기 코일은 코일 홈의 순서대로 상기 가열 어셈블리의 외부 표면에 와인딩 된다. In one of the embodiments, the heating assembly is shaped like a vessel concave downward, the bracket surrounds the outside of the heating assembly, and an outer surface of the heating assembly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roups of alignment ribs, wherein each group of alignment ribs comprises the and a plurality of spacers distributed in a corner portion connecting the outer portion, the outer bottom, and the outer portion and the outer bottom of the heating assembly, wherein a coil groove for accommodating a coil is formed between two adjacent spacers, wherein the coil is formed of the coil groove. are woun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ing assembly in sequence.

실시예 중 하나에서, 각 그룹의 상기 배열 리브의 하방에 스트립 리브를 설치하고, 상기 스트립 리브는 가열 어셈블리의 외측 저부로부터 가열 어셈블리 외측부까지 상향 연장되고, 상기 스트립 리브는 상기 코일을 받쳐주어, 상기 코일과 상기 가열 어셈블리의 외부 표면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브라켓의 내부 표면과 상기 가열 어셈블리의 외부 표면 사이에 에어덕트가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의 저부에는 펜스 간극이 형성되고, 송풍기 상부에서 송출되는 기류는, 상기 펜스 간극, 상기 에어덕트를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가열 모듈 밖으로 배출된다. In one embodiment, a strip rib is provided below the array rib of each group, the strip rib extending upwardly from an outer bottom of the heating assembly to an outer portion of the heating assembly, the strip rib supporting the coil, a gap is formed between the coil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ing assembly, an air duct is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bracket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ing assembly, and a fence gap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racket, and at the top of the blower The discharged air flow passes through the fence gap and the air duct in order and is discharged out of the heating module.

실시예 중 하나에서, 코일은 상기 가열 어셈블리의 외부 표면에 밀접와인딩 방식으로 와인딩되고, 상기 브라켓의 내부 표면과 상기 가열 어셈블리의 외부 표면 사이에 에어덕트가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의 저부에는 펜스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송풍기 상부에서 송출되는 기류는 상기 펜스 간극, 상기 에어덕트를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가열 모듈 밖으로 배출된다. In one of the embodiments, the coil is wound in a close-wound manne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ing assembly, an air duct is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bracket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ing assembly, and a fence gap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bracket. is formed, and the airflow discharg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blower passes through the fence gap and the air duct in order and is discharged out of the heating module.

실시예 중 하나에서, 상기 브라켓의 내부에는 배열 리브의 위치에 대응하는 마그네틱 스트립을 설치하기 위한 오목홈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열 어셈블리의 상부에는 복수의 가열 어셈블리 마운팅 이어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열 어셈블리 마운팅 이어는 상기 가열 어셈블리와 브라켓이 끼움 연결된 후 나사 또는 역 걸림 구조를 통해 브라켓에 고정된다. In one embodiment, a concave groove for installing a magnetic strip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arrangement rib is installed inside the bracket, and a plurality of heating assembly mounting ears are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heating assembly, and the heating assembly is provided. The assembly mounting ear is fixed to the bracket through a screw or reverse locking structure after the heating assembly and the bracket are fitted.

상기 브라켓 내부에는 상기 가열 어셈블리에 대응하는 고속 장착 기둥이 분포 설치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 외부에는 전체 기계와 결합되는 브라켓 마운팅 이어가 설치되어 있다. High-speed mounting posts corresponding to the heating assembly are distributed inside the bracket, and bracket mounting ears coupled to the entire machine are installed outside the bracket.

실시예 중 하나에서, 상기 가열 모듈은 상기 가열 어셈블리 저부에 설치되는 온도 측정 어셈블리를 더 포함한다. In one of the embodiments, the heating module further comprises a temperature measuring assembly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heating assembly.

실시예 중 하나에서, 상기 가열 어셈블리 저부의 중심에 가까운 위치에는 장착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열 어셈블리의 내부 표면의 상기 장착 구멍 주변에 보스가 형성되고, 상기 보스에 상기 가열 어셈블리의 내부 표면의 물 흐름을 상기 장착 구멍으로 안내하는 배수로가 개설되어 있고, 상기 가열 어셈블리의 외부 표면의 상기 장착 구멍 주변에 환형 끼움용 둘레 골격이 형성되고, 상기 온도 측정 어셈블리가 상기 끼움용 둘레 골격에 역 걸림 설치되고, 상기 온도 측정 어셈블리의 상부는 보스 상부로 노출되고, 상기 브라켓의 수평 브라켓부의 중심에서 가까운 위치에 누수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의 외측 저부의 상기 누수 구멍 바깥 주변에 누수관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끼움용 둘레 골격이 상기 누수 구멍에 관통 설치되면 상기 누수관 내부에 끼움 연결되고, 상기 가열 어셈블리 내부의 물 흐름은 보스의 배수로를 거쳐 끼움용 둘레 골격으로 흐른 후, 누수관으로부터 배출된다. In one of the embodiments, a mounting hole is provided at a position proximal to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heating assembly, and a boss is formed around the mounting hole in an inner surface of the heating assembly, the boss being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eating assembly. A drainage conduit is established to direct water flow to the mounting hole, and an annular fitting circumferential frame is formed around the mounting aperture on an outer surface of the heating assembly, and wherein the temperature measurement assembly is reversely latched to the fitting circumferential frame. The upper part of the temperature measuring assembly is exposed to the upper part of the boss, a water leak hole is install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bracket part of the bracket, and a water leak pipe is installe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leak hole at the outer bottom of the bracket. And, when the circumferential frame for fitting is installed through the leak hole, it is fitted and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leak pipe, and the water flow inside the heating assembly flows to the circumferential frame for fitting through the drainage passage of the boss, and then is discharged from the leak pipe .

실시예 중 하나에서, 상기 누수관은 상기 끼움용 둘레 골격 외부에 끼움 연결되는 커버부 및 배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의 상기 송풍기에서 멀리 떨어진 일측에는 관통 구멍이 개설되어 있고, 상기 관통 구멍의 가장자리는 상기 커버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하향 연장되어 상기 배수부를 형성한다. In one of the embodiments, the leak pipe includes a cover part and a drain part that are fitted and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circumferential frame for fitting, and a through hole is opened on one side of the cover part far away from the blower, and the edge of the through hole extends downwar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over part to form the drain part.

실시예 중 하나에서, 상기 가열 어셈블리는 코일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In one of the embodiments, the heating assembly comprises a coil plate.

조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리 장치는 상기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가열 모듈을 포함한다. In the cooking apparatus, the cooking apparatus includes the heating module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arbitrary embodiment.

상기 방열 구조, 가열 모듈 및 조리 장치는, 라디에이터, 송풍기 및 제어 어셈블리를 브라켓 상에 설치하는 것을 통해 브라켓 주변의 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어, 방열 구조, 가열 모듈 및 조리 장치의 설계의 콤팩트화를 추진하여, 장치의 부피를 줄였고, 동시에 제어 어셈블리의 수직 투영과 송풍기의 수직 투영이 교차하지 않도록 하여, 송풍기에서 송출된 바람이 복수의 부품으로 송풍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방열 효과를 향상시켰다. 또한 이러한 콤팩트한 설계로 인해, 방열 구조가 가열 모듈에 일체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방열 구조 및 가열 모듈의 일체화 설계를 실현하였고, 표준화를 형성할 수 있고, 범용화 정도가 높아, 각 제품의 맞춤형 개발을 방지하여, 조리 장치의 개발 주기를 단축시켰다. 동시에 가열 모듈, 조리 장치의 조립 난이도를 줄였고, 원료 및 공정 비용을 줄였다.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the heating module and the cooking device can fully utilize the space around the bracket by installing the radiator, the blower and the control assembly on the bracket, thereby promoting the compact design of 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the heating module and the cooking device. Thus, the volume of the device is reduced, and at the same time, the vertical projection of the control assembly and the vertical projection of the blower do not intersect, so that the wind blown from the blower can be blown to a plurality of parts, thereby improving the heat dissipation effect. In addition, due to this compact design, 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can be integrally installed in the heating module, so that the integrated design of 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and the heating module is realized, standardization can be formed, and the degree of generalization is high, so that each product can be customized By preventing development, the development cycle of the cooking device was shortened. At the same time, the difficulty of assembling the heating module and cooking equipment was reduced, and the cost of raw materials and processing was reduced.

본 출원의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의 기술방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실시예 또는 종래기술의 설명에 필요한 도면을 간단하게 소개할 것이며, 자명한 것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도면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일뿐, 당업자는 창조적인 노동이 없이, 이러한 도면에 근거하여 기타 도면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의 방열 구조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의 도 1에 도시된 방열 구조의 L자형 브라켓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3은 다른 일 실시예의 방열 구조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4는 또 다른 일 실시예의 방열 구조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5는 또 다른 일 실시예의 방열 구조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의 가열 모듈의 개략적인 구조 사시도이다.
도 7은 다른 일 실시예의 가열 모듈의 개략적인 구조 사시도이다.
도 8은 또 다른 일 실시예의 가열 모듈의 개략적인 구조 사시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의 조립된 가열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의 가열 모듈의 개략적인 구조 사시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의 도 10에 도시된 가열 모듈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의 도 10에 도시된 가열 모듈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의 브라켓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의 에어덕트 및 방수 개략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의 에어덕트 벽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6은 다른 일 실시예의 도 10에 도시된 가열 모듈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17은 다른 일 실시예의 브라켓의 구조 개략도이다.
In order to explain in more detail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or the technical solutions of the prior art, the drawings necessary for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r the prior art will be briefly introduced below, and it is apparent that the drawings described below are These are only some embodiments of the drawing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obtain other drawings based on these drawings without creative labor.
1 is a structural schematic diagram of a heat dissip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2 is a structural schematic diagram of the L-shaped bracket of 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shown in Figure 1 of an embodiment.
3 is a structural schematic diagram of a heat dissip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4 is a structural schematic diagram of a heat dissip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5 is a structural schematic diagram of a heat dissip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6 is a schematic structural perspective view of a hea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is a schematic structural perspective view of a heating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8 is a schematic structural perspective view of a heating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9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ssembled heating module of one embodiment;
10 is a schematic structural perspective view of a hea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11 is a partially exploded view of the heating module shown in FIG. 10 in one embodiment;
Fig. 12 is a schematic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heating module shown in Fig. 10 in one embodiment;
13 is a structural schematic diagram of a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14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air duct and waterproofing in one embodiment.
15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air duct wall structure in one embodiment;
16 is a partial exploded view of the heating module shown in FIG.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7 is a structural schematic diagram of a bracket of another embodiment.

본 출원의 상기 목적, 특징 및 장점을 보다 명확하고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도면을 결합하여 본 출원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이하 설명에서는 본 출원을 충분히 이해하도록 많은 구체적인 세부 사항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출원은 여기에 설명된 것과 다른 많은 기타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고, 본 출원의 내용에 위배되지 않는 한 당업자는 유사한 개선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본 출원은 이하에서 공개된 구체적인 실시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 및 실시예의 구체적인 특징은 본 출원의 기술방안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본 출원의 기술방안에 대한 상세한 설명임을 이해해야 하며, 모순되지 않는 한, 본 출원의 실시예 및 실시예의 기술특징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In order to make 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application clearer and easier to understand,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numerous specific details are set forth so that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fully understood. However,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specific implementation disclosed hereinafter, since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practiced in many other ways than those described herein, and similar improvement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pecific features of the embodiments and example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olutio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but are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technical solutio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unless contradictory, the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s a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Features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설명드릴 것은, 소자가 다른 소자에 “고정된다”고 언급되는 경우, 다른 소자에 직접 고정되거나 또는 중간에 다른 소자가 존재할 수도 있다. 하나의 소자가 다른 소자에 연결되는 것으로 판단될 때, 다른 소자에 직접 연결될 수 있거나 중간에 다른 소자가 존재할 수도 있다. 본 문에서 사용된 용어 “수직”, “수평”, “좌”, “우” 및 유사한 표현은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유일한 실시예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It should be note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fix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fixed to the other element, or another element may exist in between. When it is determined that one element is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or another element may exist in the middle. The terms “vertical”, “horizontal”, “left”, “right” and similar expressions used herein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do not mean the only embodiments.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문에 사용된 모든 기술 및 과학 용어는 본 출원의 기술 분야의 기술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문에서 본 출원의 설명서에 사용된 용어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출원을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this application. The terms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the text are only for describing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application.

본 설명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와 같은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 요소는 이러한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용어를 사용하는 목적은 하나의 요소를 다른 하나의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도 있다.As used herei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 purpose of using these terms is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발명 본 출원은 코일 플레이트, 코일 브라켓, 전기제어 메인보드, 송풍기 및 에어덕트 벽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 브라켓은 메인 조립부품이고, 코일 플레이트, 전기제어 메인보드, 송풍기 및 에어덕트 벽 구조는 코일 브라켓의 외부 및 내부의 대응하는 구조 상에 각각 설치되는 가열 모듈을 제공한다. 코일 브라켓의 하방 및 측면 하방의 여유 공간을 충분히 활용하여, 콤팩트한 구조의 목적을 달성할 뿐만 아니라, 우수한 열 방출을 보장할 수 있다. The present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il plate, a coil bracket, an electric control main board, a blower and an air duct wall structure, the coil bracket is a main assembly part, and the coil plate, the electric control main board, the blower and the air duct wall structure are Provided is a heating module that is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corresponding structure of the outside and the inside of the coil bracket. By fully utilizing the free space below and below the side of the coil bracket, it is possible not onl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compact structure, but also to ensure excellent heat dissipation.

일 실시예에서, 수평 브라켓부 및 수평 브라켓부와 연결된 수직 브라켓부를 포함하는 브라켓; 브라켓 상에 설치된 라디에이터; 수평 브라켓부 상에 설치된 송풍기; 및 수직 브라켓부에 설치된 제어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제어 어셈블리의 수직 투영과 송풍기의 수직 투영이 교차하지 않는, 즉 제어 어셈블리와 송풍기의 수직 방향 투영이 교차하지 않는, 방열 구조를 제공한다. In one embodiment, a bracket including a horizontal bracket portion and a vertical bracket portion connected to the horizontal bracket portion; radiator installed on the bracket; a blower installed on the horizontal bracket; and a control assembly installed in the vertical bracket portion, wherein the vertical projection of the control assembly and the vertical projection of the blower do not intersect, that is, the vertical projection of the control assembly and the blower do not intersec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은 힌지 연결, 걸림 연결 등 다양한 조합 형식의 연결을 포함할 수 있고, 일체 성형으로 복수의 부품을 일체로 형성하는 방식의 연결을 더 포함한다. 즉 상기 수평 브라켓부와 수직 브라켓부는 힌지 연결, 걸림 연결 등의 조합 형식을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일체 성형 방식으로 브라켓을 형성할 수도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onnection" may include a connection of various combination types such as a hinge connection and a hook connection, and further includes a connection of a method of integrally forming a plurality of parts by integral molding. That is, the horizontal bracket part and the vertical bracket part may be connected through a combination type such as a hinge connection and a hook connection, and the bracket may be formed by an integral molding method.

일 실시예에서, 브라켓은 방열 구조 상의 송풍기, 제어 어셈블리 및 라디에이터 등 부품을 지지하는 부품이거나, 또는 방열 구조 상의 송풍기, 제어 어셈블리 및 라디에이터를 매달거나 고정하는 부품일 수 있고, 브라켓의 형상은 L자형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브라켓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브라켓(600)일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듯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브라켓(600)은 브라켓의 예시적인 설명일 뿐, 브라켓은 기타 형식으로 존재하거나 기타 이름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방열 구조, 가열 모듈 또는 조리 장치에 도 1에 도시된 브라켓(600)과 유사한 브라켓이 존재하지 않고, 송풍기, 제어 어셈블리 및 라디에이터 등 부품을 하우징에 고정할 경우, 이때 하우징이 방열 구조 상의 송풍기, 제어 어셈블리 및 라디에이터를 지지하거나 매달거나 고정하는 작용을 하면, 상기 하우징이 바로 브라켓이다. In one embodiment, the bracket may be a component supporting components such as a blower, a control assembly and a radiator on a heat dissipation structure, or a component for suspending or fixing a blower, a control assembly and a radiator on a heat dissipation structure, and the shape of the bracket is L-shaped can be For example, the bracket may be a bracket 600 as shown in FIGS. 1 to 4 . As can be understood, the bracket 600 shown in FIGS. 1 to 4 is only an exemplary description of the bracket, and the bracket may exist in other formats or have other names. For example, when a bracket similar to the bracket 600 shown in FIG. 1 does not exist in 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the heating module, or the cooking device, and parts such as a blower, a control assembly, and a radiator are fixed to the housing, in this case, the housing is formed on 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The housing is the bracket if it serves to support, suspend or secure the blower, control assembly and radiator.

제어 어셈블리는 방열 구조 상의 송풍기, 라디에이터 등 하나 이상의 부품을 제어하도록 사용되는 부품일 수 있고, 추가적으로, 상기 방열 구조를 포함하는 가열 모듈 또는 조리 장치 상의 기타 부품을 더 제어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가열 모듈 상의 코일 플레이트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어셈블리는 전기제어 메인보드일 수 있다. 송풍기는 방열 구조, 가열 모듈, 조리 장치 상의 일부 발열 부품에 의해 생성되는 열량을 배출하도록 송풍하는데 사용되고, 송풍기는 팬일 수 있으며, 기타 송풍 작용을 갖는 장치일 수도 있다. 라디에이터는 송풍기와 제어 어셈블리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The control assembly may be a component used to control one or more components, such as a blower, a radiator, etc. on 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and may additionally control other components on the heating module or the cooking device including 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for example, heating You can control the coil plate on the module. The control assembly may be an electrical control main board. The blower is used to blow the heat generated by 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the heating module, and some heat generating parts on the cooking device, and the blower may be a fan or other device having a blowing action. A radiator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blower and the control assembly.

일 실시예에서, 도 1 내지 도 4를 결합하면, 상기 방열 구조는 전기제어 메인보드(100) 상의 전력 소자에 대해 열을 방출시키기 위한 에어 홈(風槽)식 라디에이터(300)를 포함하고, 전기제어 메인보드(100)는 라디에이터(300) 상에 수직으로 지지되게 설치되고, 라디에이터(300)와 결합되어 하나의 일체형 구조를 구성한다. 선택적으로, 전기제어 메인보드(100)와 라디에이터(300)로 구성된 일체형 구조는 대략 L자형 구조이다. 물론, 여기서 설명하는 L자형 구조는, 인위적인 명명 및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라디에이터(300)와 전기제어 메인보드(100)가 매우 표준적인 L자형으로 조립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그 형상은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라디에이터(300)의 수평 길이가 너무 긴 경우, 그 좌측 단부는 이미 전기제어 메인보드를 넘어갔을 수 있고, 이때, 기존의 L자형 구조는 L자형 구조와 유사할 뿐이며, 넘어간 부분이 많으면, 심지어 역 T형으로 간주될 수 있다. 그러나 의심할 여지가 없이, 이러한 설계도 본 출원의 발명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고, 동일하게 전자기 유도 코일 플레이트 하부의 공간을 활용하였고, 마찬가지로 본 출원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실질적으로, 설계 필요 또는 조립의 오차로 인해, 라디에이터와 전기제어 메인보드 사이는 완전히 수직될 필요가 없고, 경우에 따라, 전기제어 메인보드는 수직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되고 라디에이터는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도 허용된다. 다만, 이때 측면에서 L자형 구조를 보면, 표준 L자형이 아니라, 일부 변형된 L자형으로, 실제 경험에 따르면, 경사가 30° 이하인 경우 모두 본 출원의 목적을 기본적으로 완성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combining FIGS. 1 to 4, 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includes an air groove type radiator 300 for dissipating heat to the power element on the electrical control main board 100, The electrical control main board 100 is installed to be vertically supported on the radiator 300 , and is combined with the radiator 300 to constitute one integrated structure. Optionally, the integrated structure composed of the electric control main board 100 and the radiator 300 is approximately an L-shaped structure. Of course, the L-shaped structure described here is only for the convenience of artificial naming and explanation, and the radiator 300 and the electric control main board 100 do not have to be assembled in a very standard L-shaped, in some cases, Its shape can be changed. For example, if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radiator 300 is too long, the left end thereof may have already passed the electrical control main board, and at this time, the existing L-shaped structure is only similar to the L-shaped structure, and if there are many parts that have passed , can even be considered an inverted T. However, without a doubt, this design can also realize the purpose of the inven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equally utilize the space under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coil plate, and likewise fall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Practically, due to design needs or assembly errors, there is no need to be completely vertical between the radiator and the electric control main board, and in some cases, the electric control main board is installe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radiator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Installation is also permitted. However, if you look at the L-shaped structure from the side at this time, it is not a standard L-shape, but a partially modified L-shape, and according to actual experience, in all cases where the inclination is 30° or less, the purpo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can be basically completed.

전기제어 메인보드(100) 및 라디에이터(300)로 구성된 구조를 L자형 브라켓(600)에 설치하는 것은, 주로 라디에이터(300)를 수평 브라켓(610) 상에 설치하고, 전기제어 메인보드(100)를 수직 브라켓(620) 상에 설치하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상”은 라디에이터가 수평 브라켓 상방에 설치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상부, 하부, 중간, 측면 등 위치에 설치되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복수의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라디에이터 및 전기제어 메인보드의 설치 위치는 상대적으로 유연하며, 최종적으로 구성된 전체 구조가 대략 L자형을 이루고, 일부 구조가 가열 코일 플레이트 저부에 배치되어 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으면 된다. Installing the structure consisting of the electric control main board 100 and the radiator 300 on the L-shaped bracket 600 mainly installs the radiator 300 on the horizontal bracket 610, and the electric control main board 100 It refers to installing on the vertical bracket (620). Here, “upper” does not mean that the radiator is installed above the horizontal bracket, and may include installation in positions such as upper, lower, middle, and side surfaces. As shown in a plurality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radiator and the electrical control main board is relatively flexible, and the overall structure finally constructed is approximately L-shaped, and some structures are arranged at the bottom of the heating coil plate to space You should be able to use it sufficiently.

방열 구조는 라디에이터(300)의 측면에 설치된 팬(200)을 더 포함하고, 팬(200)은 수평 브라켓부(610)에 설치되고, 전기제어 메인보드(100)의 수직 투영과 팬(200)의 수직 투영은 교차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라디에이터는 모두 수평으로 설치되므로, 상기 팬(200)의 측면은 라디에이터(300)의 에어 홈의 포트를 향하고, 이때, 팬(200)에 의해 송출된 측면 기류는, 별도의 흐름 안내 장치가 필요 없이, 라디에이터(300)의 에어 홈 내부로 직접 송풍될 수 있어, 방열 효율이 향상되고, 구조가 단순화된다. 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further includes a fan 200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radiator 300, the fan 200 is installed on the horizontal bracket part 610, the vertical projection of the electric control main board 100 and the fan 200 The vertical projections of do not intersect, and in general, since all radiators are installed horizontally, the side of the fan 200 faces the port of the air groove of the radiator 300, and at this time, the side emitted by the fan 200 The air flow can be blown directly into the air groove of the radiator 300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flow guide device, thereby improving heat dissipation efficiency and simplifying the structure.

일 실시예에서, 도 1을 참조하면, 라디에이터는 수평 브라켓부 상에 설치되고, 수직 브라켓부의 일단의 내측에 가깝거나, 또는 라디에이터는 수직 브라켓부 상에 설치되고, 수평 브라켓부의 내측에 가깝고, 송풍기는 수평 브라켓부의 내측에 설치되고, 제어 어셈블리는 수직 브라켓부의 내측에 설치된다. In one embodiment, referring to Figure 1, the radiator is installed on the horizontal bracket part, close to the inside of one end of the vertical bracket part, or the radiator is installed on the vertical bracket part, close to the inside of the horizontal bracket part, the blower is installed inside the horizontal bracket part, and the control assembly is installed inside the vertical bracket part.

라디에이터(300)는 전기제어 메인보드(100)와 수직으로 설치되는 열 흡수 기판(310) 및 열 흡수 기판(310) 상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핀(320);을 포함하고, 인접한 2개의 핀(320)은 열 흡수 기판(310)과 결합되어 에어 홈을 형성한다. 라디에이터(300)의 에어 홈의 연신 방향은 팬(200)의 반경 방향과 일치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팬(200)에 의해 생성된 측면 기류는 라디에이터(300)의 에어 홈을 직접 흐르면서, 라디에이터(300) 상의 열을 빠르게 제거할 수 있다. The radiator 300 includes a heat absorbing substrate 310 vertically installed with the electrical control main board 100 and a plurality of fins 320 vertically formed on the heat absorbing substrate 310; The fins 320 are coupled to the heat absorption substrate 310 to form an air groove.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air groove of the radiator 300 coincides with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an 200 . In this way, the side airflow generated by the fan 200 can quickly remove heat on the radiator 300 while flowing directly through the air groove of the radiator 300 .

일 실시예에서, L자형 구조는 상기 L자형 브라켓(600)의 내측에 설치되고, 전기제어 메인보드(100) 상의 전력 소자는 전기제어 메인보드(100) 본체의 수직 브라켓부(620)를 등지는 측면에 위치한다. 물론, 여기서 L자형은 인위적인 명몇 및 설명 상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수평 브라켓부(610)과 수직 브라켓부(620)가 매우 표준적인 L자형인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그 형상은 라디에이터(300)와 전기제어 메인보드(100)의 형상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라디에이터(300)의 수평 길이가 너무 길면, 좌측 단부는 이미 전기제어 메인보드(100)를 넘어갔을 수 있고, 이때, 지지 강도를 보장하거나 외부 윤곽의 정렬 등 원인으로, 설계자는 필요에 따라 L자형 브라켓의 저부 가장자리를 연장할 수 있고, 이때, 기존의 L자형 브라켓은 L자형 구조와 거의 유사하게 될 뿐, 실질적으로 역 T형과 더 비슷하다. In an embodiment, the L-shaped structure is installed inside the L-shaped bracket 600 , and the power element on the electric control main board 100 faces the vertical bracket part 620 of the electric control main board 100 body. is located on the side Of course, the L-shape here is only for artificial description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it does not mean that the horizontal bracket part 610 and the vertical bracket part 620 are very standard L-shape, and in some cases, the shape is It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radiator 300 and the electrical control main board 100 . For example, if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radiator 300 is too long, the left end may have already passed the electrical control main board 100, at this time, for reasons such as guaranteeing the support strength or alignment of the external contour, the designer needs to Accordingly, the bottom edge of the L-shaped bracket can be extended, and at this time, the existing L-shaped bracket is almost similar to the L-shaped structure, and is substantially more similar to the inverted T-shaped.

일 실시예에서, 브라켓은 주요 부분을 제외하고, 배플, 연결 부재, 장착 구멍, 위치 결정부와 같은 일부 부속 구조가 더 존재하며, 마찬가지로 브라켓의 구체적인 형상을 변화시킬 것이나, 전체적으로 보면, 브라켓은 여전히 수평 부분과 수직 부분이 연결되어 형성된다. 어떻게 조절하든, 이러한 설계도 본 출원의 발명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고, 모두 본 출원의 보호범위 내에 있다. L자형 브라켓(600)은 수평 브라켓부(610) 및 이에 연결된 수직 브라켓부(620)을 포함하며, 라디에이터(300)는 수평 브라켓부(610) 상에 설치되고, 전기제어 메인보드(100)는 수직 브라켓부(620) 상에 설치되며, 추가적으로, 수평 브라켓부(610) 상에는 장착 구멍(611)이 개설되고, 팬(200)은 상기 장착 구멍(611) 내에 설치된다. 물론, 수평 브라켓부(610) 상에 장착 구멍을 설치하는 것은, 팬(200)을 설치하는 하나의 방법일 뿐, 실제로 팬(200)은 지지 프레임, 팬 배플 등을 사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수평 브라켓부(610)에 설치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except for the main part, the bracket has some accessory structures such as baffles, connecting members, mounting holes, and positioning portions, which will likewise change the specific shape of the bracket, but as a whole, the bracket is still The horizontal part and the vertical part are connected and formed. Regardless of how it is adjusted, these designs can also realize the purpose of the inven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all fall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L-shaped bracket 600 includes a horizontal bracket part 610 and a vertical bracket part 620 connected thereto, the radiator 300 is installed on the horizontal bracket part 610, and the electrical control main board 100 is It is installed on the vertical bracket part 620 , and additionally, a mounting hole 611 is opened on the horizontal bracket part 610 , and the fan 200 is installed in the mounting hole 611 . Of course, installing the mounting hole on the horizontal bracket part 610 is only one method of installing the fan 200 , and the fan 200 is actually horizontally installed in various ways, such as using a support frame, a fan baffle, etc. It may be installed on the bracket part 610 .

기류의 안정성 및 정확성을 위해, 완전 폐쇄 또는 거의 완전 폐쇄 장착 구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첫째, 구조 강도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고, 둘째, 기류를 안내하는 것이 더 유리하고, 셋째 미관성 및 방진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L자형 브라켓(600)을 통해 팬(200), 라디에이터(300) 및 전기제어 메인보드(100)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를 고정시켰다. For the stability and accuracy of the airflow, a fully closed or almost completely closed mounting structure can be used, firstly, it can meet the structural strength requirements, secondly, it is more advantageous to guide the airflow, and thirdly, it has more aesthetics and dustproofness. can be improved In this way, the relative positions between the fan 200 , the radiator 300 and the electrical control main board 100 were fixed through the L-shaped bracket 600 .

일 실시예에서, 본 출원의 “내측” 및 “외측”의 설명은 상대적 위치에 대한 설명이며, 부품의 “내측”은 일반적으로 해당 부품에 의해 둘러싸이거나 절반 둘러싸인 공간 내의 일측에 위치하는 것을 가리키며, 부품의 “외측”은 일반적으로 해당 부품에 의해 둘러싸이거나 절반 둘러싸인 공간 외의 일측에 위치하는 것을 가리킨다. 예를 들면 L자형 구조의 내측이라고 함은, 일반적으로 L자형 구조에 의해 절반 둘러싸인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가리킨다. 유사하게, 브라켓의 수평 브라켓부의 내측은, 수평 브라켓부와 수직 브라켓부에 포함된 영역에서, 수평 브라켓부에 가까운 영역을 의미할 수 있고, 브라켓의 수직 브라켓부의 외측은, 수평 브라켓부와 수직 브라켓부에 포함된 영역에서, 수직 브라켓부에 가까운 영역을 의미할 수 있고, 수평 브라켓부의 외측과 수직 브라켓부의 외측은 이와 상반된다. In one embodiment, the description of "inside" and "outside" in the present application is a description of a relative position, and "inside" of a part generally refers to being located on one side within a space surrounded by or half surrounded by the part, “Outside” of a part generally refers to being located on one side outside the space enclosed or half-enclosed by the part. For example, the term "inside the L-shaped structure" generally refers to being located in a region half surrounded by the L-shaped structure. Similarly, the inside of the horizontal bracket part of the bracket may mean an area close to the horizontal bracket part in the region included in the horizontal bracket part and the vertical bracket part, and the outside of the vertical bracket part of the bracket includes the horizontal bracket part and the vertical bracket part. In the region included in the part, it may mean an area close to the vertical bracket part, and the outside of the horizontal bracket part and the outside of the vertical bracket part are opposite to this.

도 3 내지 도 5를 결합하여, L자형 브라켓의 정방향 배치를 예로 들어 설명할 것이며, 브라켓(600)의 수평 브라켓부(610)의 내측은 수평 브라켓부 상단에 위치한 영역일 수 있고, 수평 브라켓부(610)의 외측은 수평 브라켓부의 하단에 위치한 영역일 수 있으며, 브라켓(600)의 수직 브라켓부(620)의 내측은 수직 브라켓부의 우측 단부에 위치한 영역일 수 있고, 수직 브라켓부(620)의 외측은 수직 브라켓부의 좌측 단분에 위치한 영역일 수 있다. 3 to 5, the forward arrangement of the L-shaped bracke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and the inside of the horizontal bracket part 610 of the bracket 600 may be an area located at the top of the horizontal bracket part, and the horizontal bracket part The outside of 610 may be an area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horizontal bracket part, and the inside of the vertical bracket part 620 of the bracket 600 may be an area located at the right end of the vertical bracket part, and of the vertical bracket part 620 . The outer side may be an area located at the left end of the vertical bracket part.

일 실시예에서, 라디에이터는 수평 브라켓부 상에 설치되고, 수직 브라켓부의 일단의 외측 부분에 가깝거나, 또는 라디에이터는 수직 브라켓부 상에 설치되고, 수평 브라켓부의 외측 부분에 가깝고, 송풍기는 수평 브라켓부의 외측에 설치되고, 제어 어셈블리는 수직 브라켓부의 외측에 설치된다. In one embodiment, the radiator is installed on the horizontal bracket part, close to the outer part of one end of the vertical bracket part, or the radiator is installed on the vertical bracket part, close to the outer part of the horizontal bracket part, and the blower is the horizontal bracket part It is installed on the outside, and the control assembly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vertical bracket part.

일 실시예에서, 송풍기는 수평 브라켓부의 내측 중심 부분 또는 중심 부분 근처에 설치되거나, 또는 송풍기는 수평 브라켓부의 외측 중심 부분 또는 중심 부분 근처에 설치된다. In one embodiment, the blower is installed at an inner central portion or near the central portion of the horizontal bracket portion, or the blower is installed at or near the outer central portion or central portion of the horizontal bracket portion.

도 3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의 방열 구조의 구조 개략도를 도시한다. 여기서, 전기제어 메인보드(100)는 수직 브라켓부(620) 상에 설치되고, 라디에이터(300)는 수평 브라켓부(610)의 반대방향으로 수평으로 설치되고, 팬(200)은 수평 브라켓부(610) 상(여기서는 상부가 아님)에 설치되어, L자형 구조와 L자형 브라켓(600)이 결합되어 대략 T자형(도치(倒置))을 이루도록 하고, 전기제어 메인보드(100) 상의 전력 소자는 전기제어 메인보드(100) 본체의 수직 브라켓부(620)를 등지는 측면에 위치한다. 이 경우, 장착이 용이하며, 구조 연결이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라디에이터의 배치도 훨씬 간단하다. 해당 실시예에서, 팬의 기류는 전기제어 메인보드(100)의 구성품으로 직접 송풍되지 않고, 기류는 수직 브라켓부(620)과 전기제어 메인보드(100)의 간격을 통해서만 회로기판으로 송풍될 수 있으므로, 이전 실시예에 비해, 방열 효과가 약간 못하다. 그러나, 수평 브라켓부(610)의 길이가 단축되었으므로, 인덕턴스 코일 플레이트(400)의 하부 형상이 L자형 브라켓의 배치에 적절하지 않은 경우 작용을 발휘할 수 있다. 3 shows a structural schematic diagram of a heat dissipation structur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Here, the electric control main board 100 is installed on the vertical bracket part 620, the radiator 300 is installed horizontally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horizontal bracket part 610, and the fan 200 is the horizontal bracket part ( 610) is installed on the top (not the upper part here), so that the L-shaped structure and the L-shaped bracket 600 are combined to form an approximately T-shape (inverted), and the power element on the electrical control main board 100 is It is located on the side facing the vertical bracket part 620 of the main body of the electrical control main board 100 . In this case, mounting is easy, the structural connection is relatively simple, and the arrangement of the radiator is also much simpler. In this embodiment, the air flow of the fan is not blown directly to the components of the electrical control main board 100, and the air flow can be blown to the circuit board only through the gap between the vertical bracket part 620 and the electrical control main board 100. Therefore, compared to the previous embodiment, the heat dissipation effect is slightly inferior. However, since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bracket part 610 is shortened, it can exhibit an action when the lower shape of the inductance coil plate 400 is not suitable for the arrangement of the L-shaped bracket.

도 4는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의 방열 구조의 구조 개략도를 도시하였다. 여기서, L자형 구조는 상기 L자형 브라켓(600)의 외측에 설치되고, 전기제어 메인보드(100) 상의 전력 소자는 전기제어 메인보드(100) 본체의 수직 브라켓부(620)을 향하는 측면에 위치하며, 물론 전력 소자는 다른 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다만, 해당 실시예에서, 팬의 기류는 전기제어 메인보드(100)의 구성품으로 직접 송풍되지 않고, 기류는 수직 브라켓부(620)을 통해 전기제어 메인보드(100)로 송풍되나, 프레임 구조를 통과하므로, 방열 효율은 크게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전기제어 메인보드(100)는 L자형 브라켓의 외측에 위치하므로, 조립이 간단하여, 직접 삽입 연결하면 된다. 4 is a structural schematic diagram of a heat dissipation structur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Here, the L-shaped structure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L-shaped bracket 600 , and the power element on the electric control main board 100 is located on the side facing the vertical bracket part 620 of the electric control main board 100 body. and, of course, the power device may be installed on the other side. 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air flow of the fan is not blown directly to the components of the electric control main board 100, and the air flow is blown to the electric control main board 100 through the vertical bracket part 620, but the frame structure Therefore, the heat dissipation efficiency is not greatly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 electrical control main board 100 is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L-shaped bracket, it is easy to assemble and can be directly inserted and connected.

도 5는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의 방열 구조의 구조 개략도를 도시하였다. 여기서, 팬(200)은 수평 브라켓부(610)의 측면에 분리 설치되고, 팬(200)은 L자형 브라켓(600)과 고정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별도로 독립적으로 고정된다. 이는 물론 본 출원의 일체성에 영향을 미치나, 팬(200)이 일관적으로 수평 브라켓(610)의 측면에 설치되므로, 본 출원의 부피를 줄이는 발명 목적을 여전히 달성할 수 있다. 5 is a structural schematic diagram of a heat dissipation structur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Here, the fan 200 is separately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horizontal bracket unit 610 , and the fan 200 is not fixedly connected to the L-shaped bracket 600 , but is separately and independently fixed. This, of course, affects the integrity of the present application, but since the fan 200 is consistently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horizontal bracket 610, the object of the invention of reducing the volu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can still be achieved.

추가적으로, L자형 브라켓(600)은 하우징(500)과 결합되어 에어덕트 벽 구조(700)인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방열 구조의 복잡성을 줄이고, 조립 난이도를 줄일 수 있다. 동일하게, 브라켓 둘레 골격(630)을 추가로 설치할 수도 있고, 추가 조립 위치만 상기 일부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Additionally, the L-shaped bracket 600 is combined with the housing 500 to form a structure that is the air duct wall structure 700 , thereby reducing the complexity of 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and reducing the assembly difficulty. In the same way, it is also possible to additionally install the frame around the bracket 630, only the additional assembly position is different from some embodiments.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방열 구조는 일반적인 일체화 부품일 수 있고, 방열 부재(팬, 에어덕트 벽, L자형 브라켓)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일부 발열부재(라디에이터, 전기제어 메인보드 상의 구성품)도 포함한다. 이러한 통합된 일체화 방열 구조는, 대부분의 전기 밥솥, 전기 압력솥 및 전기솥 등 호형 내솥이 구비된 유도 코일로 가열되는 가전 제품에 응용될 수 있고, 본 출원의 실시예의 방열 구조를 대응되는 코일 브라켓 상에 설치하면, 전체 유도 가열 모듈의 조립을 완성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방열 구조는 범용성이 강하고, 원호 형상 내솥이 구비된 유도 코일로 가열되는 가전 제품에 응용될 수 있고, 팬 부분 및 라디에이터 부분(L자형 브라켓의 수평 부분)은 조립된 후 모두 가열 모듈이 하방 또는 측면 하방에 위치하며, 내솥의 외부 가장자리에 “밀착”되게 설치하는 것에 해당하며, 솥 바닥의 공간을 충분히 활용하여, 구조가 콤팩트하고, 기타 부품에 충분한 공간을 남겨, 설계자가 나머지 부분에 대한 설계를 완성하는데 매우 유리하다. 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a general integrated part, and not only include a heat dissipation member (fan, air duct wall, L-shaped bracket), but also some heat dissipation member (radiator, components on the electrical control main board) include This integrated integrated heat dissipation structure can be applied to home appliances heated by an induction coil equipped with an arc-shaped inner pot, such as most electric rice cookers, electric pressure cookers, and electric cookers, and 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pplied to the corresponding coil bracket. When installed in the , the assembly of the entire induction heating module can be completed. 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s strong versatility and can be applied to home appliances heated by an induction coil equipped with an arc-shaped inner pot, and after the fan part and the radiator part (horizontal part of the L-shaped bracket) are assembled In all cases, the heating module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r the lower side of the inner pot and is installed “closely” to the outer edge of the inner pot. is very advantageous in completing the design for the rest.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열 구조는 가열 모듈에 응용될 수 있다. 여기서, 가열 모듈은 본 출원의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방열 구조를 포함할 수 있고, 가열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송풍기의 투영은 가열 어셈블리의 투영 내에 위치하고, 브라켓은 가열 어셈블리의 외부를 커버한다. In one embodiment, 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may be applied to a heating module. Here, the heating module may include a heat dissip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urther comprising a heating assembly, the projection of the blower is located within the projection of the heating assembly, and the bracket covers the outside of the heating assembly.

일 실시예에서, 가열 어셈블리는 상술한 코일 플레이트(예를 들면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가열되는 코일 플레이트)일 수 있고, 동시에 상기 가열 어셈블리는 다른 방식으로 가열되는 가열 어셈블리(예를 들면 전기저항으로 가열되는 가열 어셈블리)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heating assembly may be a coil plate (eg a coil plate heated in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manner) as described above, while at the same time the heating assembly is a heating assembly that is otherwise heated (eg an electrically resistive heating assembly). heating assembly).

일 실시예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열 모듈은 전자기 유도 가열 모듈일 수 있고, 방열 구조가 전자기 유도 가열 모듈에 사용될 경우, 상기 전자기 유도 가열 모듈은 인덕턴스 코일 플레이트(400) 및 상기 전기제어 메인보드(100)를 포함하고, 인덕턴스 코일 플레이트(400)는 팬(200)의 상방에 위치하고, 인덕턴스 코일 플레이트(400)는 나선 상승으로 와인딩되는 방식으로 오목한 구조를 형성하여, 이 오목한 구조의 윤곽에 의해 팬(200)에서 발생하는 기류가 전기제어 메인보드(100)로 흐르도록 안내한다. In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 6 , the heating module may be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module, and when 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is used in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module,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module includes an inductance coil plate 400 and the Including the electrical control main board 100, the inductance coil plate 400 is located above the fan 200, the inductance coil plate 400 forms a concave structure in such a way that it is wound in a spiral rise, this concave structure Guides the airflow generated by the fan 200 to flow to the electrical control main board 100 by the contour of the .

본 실시예에서, 전자기 유도 가열 모듈은 오목한 가열 코일(42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열 코일(420)은 팬(200)의 바로 위에 위치하고, 가열 코일(420)의 외측 바닥 및 외측면은 원호 형상의 리브로 권선 홈(421)이 구성되며, 인덕턴스 코일 플레이트(400)은 권선 홈(421)에 와인딩되고, 팬(200)에 의해 형성된 기류의 일부는 가열 코일(420)을 따라 흐르고, 도 6의 기류 경로1과 같다. In this embodiment,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module further includes a concave heating coil 420 , wherein the heating coil 420 is located directly above the fan 200 , and the outer bottom and outer surface of the heating coil 420 are arcuate. A winding groove 421 is constituted by a rib-shaped rib, and the inductance coil plate 400 is wound on the winding groove 421, and a portion of the airflow formed by the fan 200 flows along the heating coil 420, FIG. Same as airflow path 1 of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방열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팬(200)에 의해 생성된 기류는 3가지 경로를 따른 흐른다. 여기서, 기류 경로1은 팬(200)에 의해 생성된 상향 축 방향 기류가 인덕턴스 코일 플레이트(400)와 지지벽(413) 사이의 기류 통로를 따라 흘러서 최종적으로 하우징(500) 상부의 출구로부터 유출되는 경로이고, 기류 경로2는 팬(200)의 측 방향 기류가 지지벽(413)과 L자형 구조 사이의 기류 통로를 따라 흐르면서 전기제어 메인보드(100)를 거쳐, 위에서 전기제어 메인보드(100)를 우회하여 아래로 흘러, 최종적으로 출구(520)로부터 유출되는 경로이고, 기류 경로3은 팬(200)의 측 방향 기류가 라디에이터(300)의 에어 홈의 연장 방향을 따라 흘러서 출구(520)로부터 유출되는 경로이다. As shown in Fig. 6, by using 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of this embodiment, the airflow generated by the fan 200 flows along three paths. Here, in the airflow path 1, the upward axial airflow generated by the fan 200 flows along the airflow path between the inductance coil plate 400 and the support wall 413 and finally flows out from the outlet at the top of the housing 500 The airflow path 2 is the electric control mainboard 100 while the lateral airflow of the fan 200 flows along the airflow path between the support wall 413 and the L-shaped structure, and the electric control mainboard 100 from above. It bypasses and flows downward and finally flows out from the outlet 520 , and in the airflow path 3 , the lateral airflow of the fan 200 flows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air groove of the radiator 300 and flows from the outlet 520 . is the outflow path.

본 출원의 방열 구조를 인덕턴스 코일 플레이트(400)에 조립하면, 이러한 L자형 브라켓(600), 인덕턴스 코일 플레이트(400), 팬(200), 전기제어 메인보드(100), 라디에이터(300) 및 에어덕트 벽의 배치방식은, 종래의 상하 적층 설치와는 명백하게 다르며, 이전에는 축 방향 상승 기류가 인덕턴스 코일 플레이트(400)의 방열을 완료해야 할 뿐만 아니라, 전기제어 메인보드 및 라디에이터 방열을 완료해야 했던 문제를 방지하였고, 방열 구조의 높이를 크게 낮췄고, 또한 부피의 일부를 솥 제품의 인덕턴스 코일 플레이트의 하방에 배치할 수 있어, 공간을 크게 절약하고, 하나의 메인 조립부품을 제공하여, 부품의 일체화 정도를 향상시켰다. When 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ssembled to the inductance coil plate 400, the L-shaped bracket 600, the inductance coil plate 400, the fan 200, the electrical control main board 100, the radiator 300, and the air The arrangement method of the duct wall is clearly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top-down stacking installation, and previously, the axial upward airflow not only had to complete the heat dissipation of the inductance coil plate 400, but also had to complete the electrical control main board and radiator heat dissipation. The problem was prevented, the height of 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was greatly lowered, and a part of the volume could be placed under the inductance coil plate of the pot product, which greatly saves space, and provides one main assembly part, The degree of integration was improved.

본 출원은 하나의 콤팩트한 일체형 구조 공간 내에서 기류에 대한 정밀 제어를 완성하였고, 팬(200)의 기류를 세 부분으로 나누어, 두 갈래의 접선 방향의 기류는 각각 전기제어 메인보드(100) 및 라디에이터(300)의 열 방출에 사용하고, 축 방향 기류는 인덕턴스 코일 플레이트(400)(가열 코일(420) 등 포함)의 열 방출에 사용함으로써, 세 갈래의 기류가 각각 고유한 유로를 가지도록 하여, 서로 간섭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어, 하우징 내부의 난류를 줄이고 에너지 손실을 줄였다. 기류는 하우징 내부의 모든 발열 부품을 거쳐 흐르며, 유출 경로가 겹치지 않아, 가열 모듈 심지어 전체 하우징에 이른바 기류“정체 영역”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공간 내의 모든 기류를 흐르게 하고, 서로 간섭하지 않으면서 각자 임무를 수행하며 적절하게 협동한다. The present application has completed precise control of airflow in one compact integrated structure space, and divided the airflow of the fan 200 into three parts, and the two tangential airflows are respectively generated by the electrical control main board 100 and It is used for heat dissipation of the radiator 300, and the axial airflow is used for heat dissipation of the inductance coil plate 400 (including the heating coil 420, etc.), so that the three airflows each have their own flow path. , can operate independently without interfering with each other, reducing turbulence inside the housing and reducing energy loss. The airflow flows through all the heating elements inside the housing, and the outflow paths do not overlap, so there is no so-called airflow “stagnant zone” for the heating module or even the entire housing, allowing all the airflows in the space to flow, each on its own without interfering with each other. and cooperate appropriately.

팬(200)이 인덕턴스 코일 플레이트(400)의 하방의 중심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면 인덕턴스 코일 플레이트(400) 저부의 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으며, 그 이유는 현재 방열 팬의 공기 유입구는 대부분 하우징 저면에 설치되고, 또한 팬 높이를 상대적으로 작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인덕턴스 코일 플레이트(400) 하방에 배치하면, 전기 밥솥의 두께가 크게 증가하지 않고, 동시에 하우징 측면의 폭이 크게 감소한다. 즉 기타 구성품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증가시킨다. 그리고, 이러한 배치는 팬(200)의 축 방향 배출구를 인덕턴스 코일 플레이트(400)에 매우 가까워지게 함으로써, 풍압 손실을 최대한 줄일 수 있어, 기류가 인덕턴스 코일 플레이트(400)의 외부 표면의 공극을 따라 더 잘 흐를 수 있게 하여, 전체 인덕턴스 코일 플레이트(400)에 대한 방열이 더 잘 진행될 수 있다. 인덕턴스 코일 플레이트(400)가 거의 폐쇄형일 경우, 이러한 배치는 마찬가지로 장점을 발휘할 수 있고, 축 방향 기류는 안내할 추가 부품이 거의 필요하지 않고, 직접 미리 설정된 간극을 통해 인덕턴스 코일 플레이트(400)와 지지 구조(410) 사이의 공극으로 유입될 수 있고, 또한 마그네틱 스트립, 코일 등으로 구성된 실제 의미상의 에어덕트를 따라 인덕턴스 코일 플레이트(400)의 각 부분으로 빠르게 흐르면서, 최종적으로 인덕턴스 코일 플레이트(400) 또는 지지 구조(410) 상부의 배출구를 통해 가열 모듈로부터 배출된다. When the fan 200 is install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center of the lower side of the inductance coil plate 400, the space at the bottom of the inductance coil plate 400 can be fully utilized, because the air inlet of the current heat dissipation fan is mostly located on the bottom of the housing. installed, and since the height of the fan can be adjusted relatively small, if it is disposed below the inductance coil plate 400, the thickness of the electric rice cooker does not increase significantly, and at the same time, the width of the side of the housing is greatly reduced. That is, it increases the space for installing other components. And, this arrangement makes the axial outlet of the fan 200 very close to the inductance coil plate 400, so that the wind pressure loss can be minimized, so that the air flow is further along the air gap of the outer surface of the inductance coil plate 400. By allowing a good flow, heat dissipation for the entire inductance coil plate 400 can proceed better. If the inductance coil plate 400 is nearly closed, this arrangement can likewise be advantageous, and the axial airflow requires few additional parts to guide and directly supports the inductance coil plate 400 through a preset gap. It can flow into the voids between the structures 410 and flow rapidly to each part of the inductance coil plate 400 along the air duct in the actual sense composed of magnetic strips, coils, etc., and finally, the inductance coil plate 400 or It is discharged from the heating module through an outlet on the top of the support structure 410 .

라디에이터(300)는 팬(200) 측면에 설치되고, 팬(200)의 접선 방향 기류를 효과적으로 이용하였고, 또한 라디에이터(300)로부터 송출된 열풍은 직접 하우징으로부터 배출되고, 기타 전기제어 메인보드(100) 구성품으로 송풍되지 않으며, 기타 방열 기류와의 간섭도 발생하지 않으므로, 방열 연속성과 유효성을 보장하였다. 또한, 일반적으로, 라디에이터(300)의 에어 홈은 팬(200)의 상기 인덕턴스 코일 플레이트(400)의 중심에서 멀리 떨어진 측면을 향하고, 라디에이터(300)의 에어 홈은 팬(200)의 측면 또는 측 방향 배출구와 높이가 거의 같고, 거리가 매우 가까우므로, 팬(200)의 접선 방향 기류는 비교적 큰 풍압 및 풍량으로 라디에이터(300)의 에어 홈으로 직접 유입되어, 방열 효율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모터의 두께는 라디에이터의 두께와 거의 일치하고, 방열 핀은 수직으로 설치되고, 연장 방향은 기류 방향과 일치하며, 기류 가이드 부재에 의해 형성된 배출구의 폭은 방열판의 폭과 거의 일치하거나 약간 더 크다. 이러한 방식으로, 측 방향 기류를 안내할 때, 수평 방향의 대부분의 기류는 라디에이터의 에어 홈의 방열 핀으로 비교적 균일하게 유입된다. 라디에이터의 에어 홈의 방향이 기류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 기류를 에어 홈과 같은 방향으로 유입시킬 별도의 가이드 부재가 필요하며, 뜨거운 기류 방향에 대해 특별한 요구 사항이 있는 경우와 같은 일부 특수한 경우에는, 이러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방열 핀 하방에 하나의 밑판을 더 설치하여, 기류 흐름이 보다 방향성이 있도록 함으로써, 하우징 저부에 대한 가열을 방지하였고, 외관상으로도 보다 일체성을 갖게 된다. The radiator 300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fan 200, effectively using the tangential airflow of the fan 200, and the hot air sent from the radiator 300 is directly discharged from the housing, and other electrical control main board 100 ) as a component, it does not blow air and does not interfere with other heat dissipation airflows, so heat dissipation continuity and effectiveness are guaranteed. In addition, in general, the air groove of the radiator 300 faces the side away from the center of the inductance coil plate 400 of the fan 200 , and the air groove of the radiator 300 is the side or side of the fan 200 . Since the height of the directional outlet is almost the same and the distance is very close, the tangential airflow of the fan 200 directly flows into the air groove of the radiator 300 with a relatively large wind pressure and air volume, thereby improving heat dissipation efficiency. Optionally, the thickness of the motor almost coincides with the thickness of the radiator, the heat dissipation fins are installed vertically, the extending direction coincides with the airflow direction, and the width of the outlet formed by the airflow guide member is approximately equal to or slightly equal to the width of the heat sink bigger In this way, when guiding the lateral airflow, most of the horizontal airflow is introduced relatively uniformly into the heat dissipation fins of the air grooves of the radiator. When the direction of the air groove of the radiator does not match the direction of the air flow, a separate guide member is required to introduce the air flow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air groove, and in some special cases, such as when there are special requirements for the direction of the hot air flow , you can use this method. In addition, by installing one more bottom plate under the heat dissipation fins to make the airflow more directional, heating to the bottom of the housing is prevented, and it has more integrity in appearanc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디에이터(300)의 적어도 일부는 인덕턴스 코일 플레이트(400)의 수직 투영 범위 내에 있다. 즉, 라디에이터(300)의 상당 부분의 부피는 인덕턴스 코일 플레이트(400) 측면 하부의 공간 내에 있다. 따라서, 이 부분의 여분의 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고, 이는 전기 밥솥 및 전기 압력솥형 제품에 특히 유리하다. 또한, 라디에이터(300)는 수평으로 배치되므로, 상부 커버판은 열풍을 전기제어 메인보드 및 라디에이터의 기타 구성품과 격리시키고, 또한 공극을 통해 기타 소자로 송풍되는 접선 방향 기류를 안내하는 작용을 일으키므로, 라디에이터(300)를 사용하여 에어덕트 저부 벽의 기능을 추가로 실현하는 것에 해당하여, 공간을 추가로 절약하였고, 기류 통로를 개선하였다. 물론, 이른바 수평 설치는 절대적인 것이 아니며, 대략 수평으로 이해해야 하고, 예를 들면 수평 방향 경사도가 5° 이내인 경우 허용 범위 내에 속한다. 코일 브라켓 주변의 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한, 상기 라디에이터(300)는 수평 방향에 대해 30°미만의 각도로 상기 팬(200)의 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6 , at least a portion of the radiator 300 is within the vertical projection range of the inductance coil plate 400 . That is, a substantial portion of the volume of the radiator 300 is in the space under the side of the inductance coil plate 400 . Therefore, the extra space of this part can be fully utilized, which is particularly advantageous for electric rice cooker and electric pressure cooker type products. In addition, since the radiator 300 is disposed horizontally, the upper cover plate isolates the hot air from the electric control main board and other components of the radiator, and also acts to guide the tangential air flow blown to other elements through the gap. , corresponding to further realizing the function of the air duct bottom wall by using the radiator 300, further saving space and improving the airflow passage. Of course, the so-called horizontal installation is not absolute, it should be understood as approximately horizontal, for example, if the inclina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within 5°, it falls within the allowable range. As long as the space around the coil bracket can be sufficiently utilized, the radiator 300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fan 200 at an angle of less than 30°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일 실시예에서, 전기제어 메인보드(100)는 짧은 변이 아래에 있는 것과 같이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고, 대부분의 소자가 인덕턴스 코일 플레이트(400)의 전자기 간섭이 가장 큰 저부 및 저부 가장자리 영역에서 멀리 떨어져있을 수 있도록 하여, 구성품을 보호하는데 유리하다. 또한, 전기 밥솥형 제품의 경우, 팬의 직경이 일반적으로 회로 기판의 짧은 변의 길이보다 크지 않으므로, 전기제어 메인보드(100)를 수직으로 설치하면, 솥 본체의 깊이를 충분히 활용하여, 공간을 최대한 절약할 수 있다. 전기제어 메인보드(100)를 라디에이터(300)의 팬(200)에서 멀리 떨어진 일측의 단부에 설치되는 것과 같이 라디에이터(300) 위에 세워 놓음으로써, 대략 L자형 구조를 구성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물론, 여기서 L자형 구조의 양쪽은 어느 정도의 경사를 가질 수도 있으며, 이는 특정 상황에서 라디에이터와 회로 기판이 경사지게 설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팬(200)에서 송풍되는 접선 방향 기류는, 대부분 라디에이터(300)로 흐르는 것을 제외하고, 접선 방향 기류의 일부는 라디에이터(300)의 팬(200)에 가까운 단부와 인덕턴스 코일 플레이트(400) 외벽 사이의 간격을 통해, 아래에서 위로 전기제어 메인보드 및 라디에이터의 다른 부분으로 송풍된다. 물론, 전기제어 메인보드(100)는 라디에이터(300) 상부의 기타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고, 더 나아가 전기제어 메인보드(100) 구성품이 위치한 표면이 팬(200)과 마주하지 않을 수도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electrical control main board 100 may be installed vertically, such that the short side is below, and most elements are placed away from the bottom and bottom edge regions where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f the inductance coil plate 400 is greatest. By allowing it to be apart, it is advantageous to protect the components. In addition, in the case of an electric rice cooker type product, since the diameter of the fan is generally not larger than the length of the short side of the circuit board, when the electric control main board 100 is installed vertically, the depth of the pot body is fully utilized, and the space is maximized. can save By placing the electric control main board 100 on the radiator 300 as if it is installed at the far end of the fan 200 of the radiator 300, it constitutes an approximately L-shaped structure, as shown in FIG. It's like a bar. Of course, here both sides of the L-shaped structure may have a certain degree of inclination, since the radiator and the circuit board are installed to be inclined in certain circumstances. Therefore, the tangential airflow blown from the fan 200, except that most flows to the radiator 300, a part of the tangential airflow is the end close to the fan 200 of the radiator 300 and the inductance coil plate 400 Through the gap between the outer walls, air is blown from the bottom up to the electrical control main board and other parts of the radiator. Of course, the electric control main board 100 may be installed at other positions above the radiator 300 , and further, the surface on which the electric control main board 100 components are located may not face the fan 200 .

물론, 이른바 수직 설치는 절대적이지 않으며, 대략 수직인 것으로 이해해야 하고, 예를 들면 수직 방향의 경사각이 5° 이내이기만 하면 허용 범위 내에 속한다. 코일 브라켓 주변의 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으면, 전기제어 메인보드(100)는 수직 방향에 대해 30°미만의 각도로 상기 라디에이터(300)의 상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인덕턴스 코일 플레이트(400)의 측면 하부에 공간이 충분한 경우, 전기제어 메인보드(100)를 라디에이터(300)의 상부에 경사지게 설치하되, 일단은 인덕턴스 코일 플레이트(400)의 측면 하부에 연장 삽입하고, 타단은 가능한 라디에이터의 범위 내에 설치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회로 기판이 차지하는 높이를 더욱 줄일 수 있어, 구조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동시에, 방열 기류는 여전히 회로 기판 상의 구성품 표면을 스쳐 지나갈 수 있다. Of course, the so-called vertical installation is not absolute and should be understood as being approximately vertical, for example, as long as the inclination angle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within 5°, it falls within the allowable range. If the space around the coil bracket can be sufficiently utilized, the electric control main board 10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adiator 300 at an angle of less than 30°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For example, if there is enough space on the lower side of the inductance coil plate 400, the electric control main board 100 is installed at an angle on the upper part of the radiator 300, but one end extends on the lower side of the inductance coil plate 400 Inserted, the other end can be considered to be installed within the range of possible radiators. In this way, the height occupied by the circuit board can be further reduced, and the structure can be made compact. At the same time, the heat dissipation airflow can still brush the component surfaces on the circuit board.

L자형 브라켓(600)은 방열 구조의 메인 조립부품으로 사용되며, 전기제어 메인보드(100), 라디에이터(300), 팬(200), 에어덕트 벽 등 부재는 모두 L자형 브라켓(600)을 기준으로 조립됨으로써, 기존의 흩어진 각각의 부재가 L자형 브라켓(600) 상에 집중되어, 크기가 매우 작은 하나의 표준 모듈로 통합된다. 각 부재는 모두 L자형 브라켓(600) 상에서 자체에 대응하는 설치 위치를 찾을 수 있고, 생산 시 각 부재를 L자형 브라켓(600)에 직접 삽입 연결하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본 출원의 방열 구조는 조립이 매우 간단하고, 각 부재 사이의 위치 결정 정확도가 매우 높으며, 관련 부재의 유지 보수 및 교체가 매우 용이하다. 모듈의 범용화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하나의 범용 부재 또는 범용 모듈로서 다양한 종류 또는 모델의 전기 밥솥, 전기 압력솥 및 전기솥 등 원호형 내솥을 가진 유도 코일로 가열되는 가전 제품에 사용될 수 있고, 설계자는 일부 부가 기능 및 제품의 외관, 하우징, 패널 디자인을 완성하기만 하면 새로운 제품을 개발할 수 있고, 전체 기계 개발 주기가 현저히 단축되고, 비용이 현저히 절감된다. The L-shaped bracket 600 is used as the main assembly part of 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and the electrical control main board 100, the radiator 300, the fan 200, the air duct wall, etc. are all based on the L-shaped bracket 600 By being assembled as a , each existing scattered member is concentrated on the L-shaped bracket 600, and is integrated into one standard module with a very small size. Each member can find an installation position corresponding to itself on the L-shaped bracket 600 , and it is only necessary to directly insert and connect each member to the L-shaped bracket 600 during production. Therefore, 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very simple to assemble, the positioning accuracy between each member is very high, and the maintenance and replacement of the related member is very easy. The degree of generalization of the module can be improved, and as one general-purpose member or general-purpose module, it can be used for home appliances heated by an induction coil having an arc-shaped inner pot such as various types or models of electric rice cookers, electric pressure cookers and electric cookers, and designers can develop new products simply by completing some additional functions and product exterior, housing, and panel designs, and significantly shortens the overall machine development cycle and significantly reduces costs.

일 실시예에서, L자형 브라켓(600)은 수평 브라켓부(610) 및 수직 브라켓부(620) 가장자리의 내측에 둘러싸여 설치되는 브라켓 둘레 골격(630)을 더 포함한다. 브라켓 둘레 골격(630)의 외부를 향하여 연장된 부분의 가장자리는 기본적으로 가열 코일(420)의 호형 외부 가장자리와 형상이 서로 매칭되고, 브라켓 둘레 골력(630), 전기제어 메인보드(100), 라디에이터(300), 팬(200)은 가열 코일(420)과 함께 둘러싸여 하나의 에어덕트 챔버를 형성한다. 둘레 골격의 안내에 따라, 팬(200)의 측 방향 기류는 전기제어 메인보드(100)로 안내되어, 에어덕트 챔버 상부로부터 송출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L-shaped bracket 600 further includes a bracket circumferential skeleton 630 that is installed surrounded by the inside of the horizontal bracket portion 610 and the vertical bracket portion 620 edge. The edge of the portion extending toward the outside of the bracket circumferential skeleton 630 basically matches the arc-shaped outer edge and shape of the heating coil 420, the bracket circumferential bone force 630, the electrical control main board 100, the radiator 300 and the fan 200 are surrounded together with the heating coil 420 to form one air duct chamber. According to the guidance of the circumferential skeleton, the lateral airflow of the fan 200 may be guided to the electric control main board 100 and sent out from the upper part of the air duct chamber.

브라켓 둘레 골격(630) 측면에는 마운팅 이어(631)가 설치되어 있고, 수직 브라켓부(620)은 브라켓 둘레 골격(630)과 수직으로 연결되는 브라켓 위치 제한 골격(621) 및 수직 브라켓부 내부에 설치되는 윈도우 프레임(622)을 포함하고, 이는 L자형 브라켓(600)과 하우징(500) 사이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하고, 브라켓의 중량을 감소시킨다. 팬(200)에 의해 생성된 기류는 전기제어 메인보드(100)를 통과한 후, 일부 기류는 전기제어 메인보드(100)의 측 방향 공극을 통해 윈도우 프레임(622)으로 유입되어 통과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 기류는 여전히 전체 전기제어 메인보드(100)를 통과한 후 상부를 지나가고, 그 다음 이 부분의 기류가 하우징 저부 또는 중부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일정한 풍압을 가진 방열 기류는 전기제어 메인보드의 뒷면을 흐르면서, 전기제어 메인보드의 열량을 가져가므로, 라디에이터로부터 방출되는 방열 기류가 해당 영역을 더 이상 통과하지 않도록 하여, 전기제어 메인보드에 2차 가열을 형성하지 않게 되어, 에어덕트의 설치가 매우 합리적이고, 서로 간섭하지 않고, 중복 가열되지 않도록 한다. Mounting ears 631 ar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bracket circumferential frame 630, and the vertical bracket part 620 is installed inside the bracket position limiting frame 621 and the vertical bracket vertically connected to the bracket circumferential frame 630 and a window frame 622 that is formed, which facilitates positioning between the L-shaped bracket 600 and the housing 500, and reduces the weight of the bracket. After the airflow generated by the fan 200 passes through the electrical control main board 100, some airflow flows into the window frame 622 through the lateral gap of the electrical control main board 100 and may pass. . However, most of the airflow still passes through the entire electrical control mainboard 100 and then passes the upper part, and then the airflow in this part can be guided to be discharged from the housing bottom or central outlet. At this time, the heat radiation airflow with a constant wind pressure flows through the back side of the electrical control main board and takes the amount of heat from the electrical control main board, so that the heat radiation airflow emitted from the radiator does not pass through the area any longer, so that the electric control main board It does not form secondary heating in the air duct, so the installation of the air duct is very reasonable, does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and does not overlap heating.

추가적으로, 방열 구조는 수평 브라켓부(610) 상에 설치되고 팬(200)을 절반 감싸며, 팬(200)에 의해 생성된 기류가 라디에이터(300)를 향하도록 안내하는 에어덕트 벽 구조(700)를 더 포함하고, 구체적으로, 상기 에어덕트 벽 구조(700)는 팬(20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서로 평행하는 제1 에어덕트 벽(710) 및 제2 에어덕트 벽(720)을 포함하고, 양단이 제1 에어덕트 벽(710) 및 제2 에어덕트 벽(720)에 연결된 호형 제3 에어덕트 벽(730)을 더 포함하고, 제1 에어덕트 벽(710) 및 제2 에어덕트 벽(720)은 또한 라디에이터(300)의 양측으로 각각 연장된다. 팬(200)에 의해 생성된 기류는 제1 에어덕트 벽(710), 제2 에어덕트 벽(720) 및 제3 에어덕트 벽(730)을 통해 집결된다. Additionally, 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is installed on the horizontal bracket part 610 and surrounds the fan 200 in half, and an air duct wall structure 700 that guides the airflow generated by the fan 200 toward the radiator 300. Further including, specifically, the air duct wall structure 700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an 200 and includes a first air duct wall 710 and a second air duct wall 720 that are parallel to each other, It further comprises an arc-shaped third air duct wall 730 connected at both ends to the first air duct wall 710 and the second air duct wall 720, the first air duct wall 710 and the second air duct wall ( 720 also extends to either side of the radiator 300 , respectively. The airflow generated by the fan 200 is collected through the first air duct wall 710 , the second air duct wall 720 , and the third air duct wall 730 .

팬(200)에 의해 생성된 방열 기류의 방향은 일반적으로 원하는 경로에 있지 않으므로, 에어덕트 벽 구조를 설치하여 기류를 안내한다. 본 출원에서 에어덕트 벽 구조(700)는 주로 기류를 라디에이터(300) 및 전기제어 메인보드(100)로 안내한다. 비록 전기제어 메인보드 상의 다른 요소는 발열이 그다지 강하지는 않지만, 새로운 기류 통로를 형성하였으므로, 이 부분의 요소는 보다 균일하게 열을 방출하며, 방열 효율을 높이고, 모든 가능한 에어덕트를 효과적으로 이용함으로써, 모듈 내의 기류가 충분히 흐르도록 하고, 전기제어 메인보드 및 라디에이터 주변에 양의 풍압을 형성하여, 기류의 상호 간섭을 방지하고, 분출된 기류가 회로 기판 뒷면의 공간을 채움으로써, 다른 방열 소자에 의해 생성되는 열풍이 회로 기판 영역으로 다시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각 부재의 상호 삽입 연결로 인해, 방열 구조의 전체 강도가 향상되었고, 외관이 말끔하고 미적이며, 내부 구조가 콤팩트하다. 물론, 에어덕트 벽의 구조는 상술한 것에 제한되지 않으며, 분할된 것 또는 일체인 것, 팬 블레이드에서 먼 것 또는 가까운 것 모두 가능하며, 기류의 측 방향 안내 기능을 완성할 수 있는 한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The direction of the heat dissipation airflow generated by the fan 200 is generally not in the desired path, so an air duct wall structure is installed to guide the airflow.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air duct wall structure 700 mainly guides the airflow to the radiator 300 and the electrical control main board 100 . Although other elements on the electrical control main board do not generate very strong heat, they have formed a new airflow path, so the elements of this part dissipate heat more uniformly, improve heat dissipation efficiency, and effectively utilize all possible air ducts, By allowing the airflow in the module to flow sufficiently, to form a positive wind pressure around the electrical control main board and the radiator, to prevent the mutual interference of the airflows, and the blown airflow to fill the space on the back side of the circuit board, Prevents the generated hot air from flowing back into the circuit board area. Due to the interconnection of each member, the overall strength of 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is improved, the appearance is neat and aesthetic, and the internal structure is compact. Of course, the structure of the air duct wall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it can be divided or integrated, far from or close to the fan blade, and various forms can be used as long as it can complete the lateral guiding function of the air flow. It is possible.

추가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방열 구조는 L자형 브라켓(600) 상에 설치되며, 인덕턴스 코일 플레이트(400)를 지지하는 지지 구조(410)를 더 포함한다. 인덕턴스 코일 플레이트(400)와 대응되게, 지지 구조(410)도 오목형상이다. 일 실시예에서, 방열 구조 전체가 지지 구조(410)에 설치된다. Additionally, in this embodiment, 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is installed on the L-shaped bracket 600 , and further includes a support structure 410 for supporting the inductance coil plate 400 . Corresponding to the inductance coil plate 400 , the support structure 410 also has a concave shape. In one embodiment, the entire heat dissipation structure is installed on the support structure 410 .

추가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지지 구조(410)는 에어덕트 벽 구조(700) 상부에 설치된 중공 지지 다리(411) 및 상기 지지 다리(411) 상에 설치된 지지 부재(412)를 더 포함하고,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 다리(411)는 제1 에어덕트 벽(710) 및 제2 에어덕트 벽(720) 상에 전체에 걸쳐서 설치된다. Additionally, 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ing structure 410 further includes a hollow supporting leg 411 installed on the air duct wall structure 700 and a supporting member 412 installed on the supporting leg 411, specifically As a result, the support legs 411 are installed throughout the first air duct wall 710 and the second air duct wall 720 .

일 실시예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방열 구조의 인덕턴스 코일 플레이트, 지지 구조 및 L자형 브라켓의 조합 개략도이다. 지지 구조(410)는 지지 부재(412)를 감싸면서 설치된 원통형 중공 지지벽(413)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인덕턴스 코일 플레이트(400)와 지지벽(413) 사이에 기류 통로가 형성되고, 지지벽(413)과 L자형 구조 사이에도 기류 통로가 형성되고, 이러한 복수의 통로 설치를 통해, 팬에 의해 생성된 기류의 흐름이 더 안정되도록 한다. In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 7 , FIG. 7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mbination of the inductance coil plate of 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shown in FIG. 6 , the support structure and the L-shaped bracket. The support structure 410 further includes a cylindrical hollow support wall 413 installed while surrounding the support member 412 . In this way, an air flow passage is formed between the inductance coil plate 400 and the support wall 413, and an air flow passage is also formed between the support wall 413 and the L-shaped structure. to make the flow of airflow produced by

추가적으로,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방열 구조의 다른 구조 개략도를 도시했다. 방열 구조는 하우징(5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500)의 저부에는 개공(510)이 개설되고, 상기 하우징(500)의 측면에는 라디에이터(300)의 에어 홈을 향하는 출구(520)가 개설되어 있고, L자형 브라켓(600)은 하우징(500) 상에 설치됨으로써, 장착 구멍(611)과 개공(510)이 동축으로 설치되도록 하고, 또한 수직 브라켓부(620)과 하우징(500)의 출구(520)를 갖는 측면이 간격을 두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개공(510) 부분에 제1 펜스(511)가 설치되어 있고, 출구(520) 부분에는 제2 펜스(521)가 설치되어 있다. 물론, 배출구의 위치는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 있고, 예를 들면 하우징(500)의 중앙부 또는 상부에도 대응되는 배출구를 설치하여, 팬에서 송출되는 복수의 기류를 독립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Additionally, FIG. 8 shows another structural schematic diagram of 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shown in FIG. 6 . 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further includes a housing 500, an opening 510 is opened at the bottom of the housing 500, and an outlet 520 toward the air groove of the radiator 300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housing 500. The L-shaped bracket 600 is installed on the housing 500 so that the mounting hole 611 and the opening 510 are installed coaxially, and also the vertical bracket part 620 and the housing 500 . The side with the outlet 520 is spaced. Additionally, a first fence 511 is installed in the opening 510 portion, and a second fence 521 is installed in the outlet 520 portion. Of course, the position of the outlet may be adjusted as needed, and for example, a corresponding outlet may be installed in the center or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500 to independently guide a plurality of airflows emitted from the fan.

추가적으로, 본 출원은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방열 구조를 포함하고, 가열 코일(420)을 더 포함하고, 팬(200)의 투영은 가열 코일(420)의 투영 내에 위치하는 전자기 유도 가열 모듈을 더 제공한다. 브라켓 둘레 골격(630)의 브라켓 내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외부 가장자리는 기본적으로 가열 코일(420)의 외부 가장자리와 형상이 서로 매칭되고, 브라켓 둘레 골겨(630), L자형 브라켓(600)은 가열 코일(420)과 함께 둘러싸여 에어덕트 챔버를 형성한다. Additionally,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 heat dissip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further comprising a heating coil 420 , and the projection of the fan 200 further includes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module located within the projection of the heating coil 420 . to provide. The outer edge of the portion extending inside the bracket of the circumferential skeleton of the bracket 630 basically matches the shape of the outer edge of the heating coil 420 with each other, the perimeter of the bracket 630, the L-shaped bracket 600 is a heating coil Surrounded with 420 to form an air duct chamber.

일 실시예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9는 본 출원의 전자기 유도 가열 모듈의 다른 일 실시예의 조립 완료된 사시도이다. 해당 도면을 통해 일체형 방열 구조의 장점을 명확하게 알 수 있고, 팬 및 라디에이터를 인덕턴스 코일 플레이트(400)의 하부에 숨길 수 있고, L자형 브라켓(600)을 통해 전체 일체형 방열 구조를 지지 구조(410) 상에 고정시킬 수 있고, 라디에이터(300)에 밑판을 추가로 설치하거나 또는 수평 브라켓부(610)이 라디에이터(300)의 저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직 브라켓부에 배출구를 설치하여, 수평 기류 및 상승하는 두 갈래의 기류가 방열 구조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브라켓 둘레 골격(630)의 브라켓 내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외부 가장자리는 기본적으로 가열 코일(420)의 외부 가장자리와 형상이 서로 매칭되고, 팬(200) 주변에 송풍기 커버(8)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기류 안내가 보다 면밀하고 정확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설계를 통해, 방열 구조의 모든 부재를 하나의 유기적인 전체로 통합시켜, 구조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코일 플레이트와 밀착 결합시켜, 전체적인 외관이 매우 깔끔하고 미적이고, 내부 가스 흐름은 독립적이고 질서 정연하여, 방열 기류가 방향 없이 움직이지 않으며 방열 효율이 높다. In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9, Figure 9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modu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advantages of the integrated heat dissipation structure can be clearly seen through the drawing, the fan and the radiator can be hidden under the inductance coil plate 400, and the entire integrated heat dissipation structure can be supported through the L-shaped bracket 600 . ), by installing an additional bottom plate on the radiator 300 or by allowing the horizontal bracket part 610 to cover the bottom of the radiator 300, by installing an outlet in the vertical bracket, horizontal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airflow and the ascending bifurcated airflow to be discharged from 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and the outer edge of the portion extending inside the bracket of the bracket circumferential frame 630 is basically the outer edge and shape of the heating coil 420 . These are matched with each other, and by additionally installing the blower cover 8 around the fan 200 , it is possible to make the airflow guidance more precise and accurate. Through the above design, all members of 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are integrated into one organic whole, so that the structural strength can be improved, and it is closely coupled with the coil plate, so that the overall appearance is very neat and aesthetic, and the internal gas flow is independent and orderly The heat dissipation airflow does not move without direction and the heat dissipation efficiency is high.

본 출원의 전자기 유도 가열 모듈 및 방열 구조는 전자기 유도 가열 모듈의 방열 구조를 창의적으로 설계함으로써, 구조가 콤팩트하고, 통합성이 강하고, 팬에 의해 생성된 기류는 전기제어 메인보드의 방열에 사용될 뿐만 아니라, 다른 발열 부재(예를 들면 인덕턴스 코일 플레이트)의 방열에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전자기 유도 가열 모듈 및 방열 구조는 설계가 독창적이고, 실용성이 강하고, 비용이 저렴하여, 다양한 솥 제품에 사용된다.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module and heat dissipation structure of the present application creatively design 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of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module, so that the structure is compact and the integration is strong. Instead, it may be used for heat dissipation of other heat generating members (eg, inductance coil plates).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module and heat dissipation structure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ve a unique design, strong practicality, and low cost, and are used in various pot products.

일 실시예에서, 도 10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가열 모듈은, 코일 플레이트(1), 코일 브라켓(2), 전기제어 메인보드(4), 송풍기(5) 및 에어덕트 벽 구조를 포함하고, 코일 플레이트(1)는 코일 브라켓(2) 내부에 끼움 연결되고, 송풍기(5)는 코일 브라켓(2)의 저부 하방에 설치되고, 또한 그 중심의 투영은 코일 플레이트(1)의 투영 내부에 위치하고, 전기제어 메인보드(4)는 회로 기판(41) 및 라디에이터(42)를 포함하고, 라디에이터(42)는 송풍기(5)의 측면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회로 기판(41)은 라디에이터(42)의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에어덕트 벽 구조는 기류를 송풍기(5) 측면으로부터 전기제어 메인보드(4)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사용된다. In one embodiment, referring to FIGS. 10 to 17 , the heating module includes a coil plate 1 , a coil bracket 2 , an electrical control main board 4 , a blower 5 and an air duct wall structure, and , the coil plate (1) is fitted inside the coil bracket (2), and the blower (5) is installed below the bottom of the coil bracket (2), and the projection of its center is inside the projection of the coil plate (1). located, the electrical control main board 4 includes a circuit board 41 and a radiator 42, the radiator 42 is installed horizontally on the side of the blower 5, and the circuit board 41 is a radiator 42 ), and the air duct wall structure is used to guide the airflow from the blower (5) side to the electrical control main board (4) direction.

코일 브라켓(2)는 메인 조립부품이다. 송풍기(5)의 투영은 코일 플레이트(1)의 투영 내에 위치한다. 라디에이터(42)의 투영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코일 플레이트(1)의 투영 내에 위치한다. 회로 기판(41)의 투영은 코일 플레이트(1)의 투영과 교차하지 않는다. The coil bracket 2 is the main assembly part. The projection of the blower 5 is located in the projection of the coil plate 1 . The projection of the radiator 42 lies at least partially within the projection of the coil plate 1 . The projection of the circuit board 41 does not intersect the projection of the coil plate 1 .

여기서, 투영은 코일 브라켓(2)의 깊이 또는 높이 방향에서의 투영일 수 있고, 즉 코일 브라켓(2) 저부에 평행하는 평면에서의 투영일 수 있다. Here, the projection may be a projection in the depth or height direction of the coil bracket 2 , that is, a projection in a plane parallel to the bottom of the coil bracket 2 .

코일 브라켓(2)은 코일 플레이트(1)의 외부를 대략적으로 커버하고, 저부에는 간극(21)이 형성되어 있고, 송풍기(5) 상부에서 송출된 기류는, 간극(21)을 통해 코일 브라켓(2)과 코일 플레이트(1) 사이의 간격으로 유입되어 모듈 밖으로 배출된다. The coil bracket 2 roughly covers the outside of the coil plate 1, and a gap 21 is formed at the bottom, and the airflow sent from the upper part of the blower 5 passes through the gap 21 to the coil bracket ( 2) is introduced into the gap between the coil plate (1) and discharged out of the module.

송풍기 장착 구조(25)는 코일 브라켓(2)의 저부 하방의 중심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다. The blower mounting structure 25 is install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coil bracket 2 .

전기제어 메인보드(4)는 대략 L자형이고, 라디에이터(42) 에어 홈의 포트는 송풍기(5)의 측면을 향한다. The electrical control main board 4 is approximately L-shaped, and the port of the radiator 42 air groove faces the side of the blower 5 .

송풍기(5) 측면에서 송출된 기류의 일부는 라디에이터(42)의 에어 홈으로 송풍되고, 일부는 라디에이터(42) 상부와 코일 브라켓(2)의 외부 표면 사이의 공극을 통해 회로 기판(41)으로 송풍된다. A part of the airflow blown out from the side of the blower 5 is blown into the air groove of the radiator 42, and a part is blown into the circuit board 41 through the gap between the upper part of the radiator 42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il bracket 2 is blown

에어덕트 벽 구조는 브라켓 에어덕트 벽(23)을 더 포함하고, 라디에이터(42) 상부와 코일 브라켓(2)의 외부 표면 사이의 공극을 통과하는 기류가 회로 기판(41) 상의 구성품으로 송풍되도록 안내하고, 또한 브라켓 에어덕트 벽(23)의 중앙부 또는 상부로부터 모듈 밖으로 배출된다. The air duct wall structure further includes a bracket air duct wall 23 , and guides the airflow passing through the air gap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radiator 42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il bracket 2 to be blown to the components on the circuit board 41 . and is also discharged out of the module from the central portion or upper portion of the bracket air duct wall 23 .

회로 기판(41)은 수직 방향에 대해 30° 미만의 각도로 라디에이터(42)의 상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라디에이터(42)는 수평 방향에 대해 30° 미만의 각도로 송풍기(5)의 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The circuit board 41 may be installed on top of the radiator 42 at an angle of less than 30°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The radiator 42 may b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blower 5 at an angle of less than 30°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상술한 이러한 코일 브라켓(2), 송풍기(5), 회로 기판(41), 라디에이터(42) 및 에어덕트 벽의 배치 방식은, 종래의 상하 적층 설치와는 명백하게 다르며, 이전에는 축 방향 상승 기류가 코일 플레이트(1)의 방열을 완료해야 할 뿐만 아니라, 전기제어 메인보드(4) 방열을 완료해야 했던 문제를 방지하였고, 부피 및 조립의 난이도를 크게 줄였다. 상당히 콤팩트한 구조 공간 내에서 정확한 기류 제어를 창의적으로 완성하였고, 송풍기(5)의 기류를 세 부분으로 나누어, 두 갈래의 접선 방향 기류는 각각 전기제어 메인보드(4)의 회로 기판(41) 및 라디에이터(42)의 방열에 사용하고, 축 방향 기류는 코일 플레이트(1)(판체, 코일, 마그네틱 스트립 등)의 방열에 사용함으로써, 세 갈래의 기류가 각각 고유 유로를 가지도록 하여,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고, 서로 간섭하지 않으며, 하우징 내부의 난류를 줄이고, 에너지 손실도 줄일 수 있다. 복수의 기류는 하우징 내부의 모든 발열 부재를 거쳐 흐르며, 거의 모든 공간을 채우고, 유출 경로가 겹치지 않아, 가열 모듈 심지어 전체 하우징에 이른바 기류“정체 영역”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공간 내의 모든 기류를 흐르게 하고, 서로 간섭하지 않면서, 각자 임무를 수행하며 적절하게 협동한다. The above-described arrangement of the coil bracket 2, the blower 5, the circuit board 41, the radiator 42, and the air duct wall is clearly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top-down stacking installation, and previously the axial upward airflow was The problem of not only having to complete the heat dissipation of the coil plate 1, but also having to complete the heat dissipation of the electrical control main board 4 was prevented, and the volume and difficulty of assembly were greatly reduced. Accurate airflow control is creatively completed within a fairly compact structural space, and the airflow of the blower 5 is divided into three parts, so that the two-pronged tangential airflow is generated by the circuit board 41 and Used for heat dissipation of the radiator 42, and the axial airflow is used for heat dissipation of the coil plate 1 (plate body, coil, magnetic strip, etc.) ,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reduce turbulence inside the housing, and reduce energy loss. The plurality of airflows flow through all the heating elements inside the housing, fill almost all the space, and the outlet paths do not overlap, so that there is no so-called airflow “stagnant zone” in the heating module even the entire housing, so that all the airflows in the space flow and , without interfering with each other, performing their respective duties and cooperating appropriately.

송풍기(5)가 코일 플레이트(1)의 하방의 중심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면, 코일 플레이트(1) 저부의 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으며, 그 이유는 현재 방열 팬의 공기 유입구는 대부분 하우징 저면에 설치되고, 또한 팬 높이를 상대적으로 작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코일 플레이트(1) 하방에 배치하면, 전기 밥솥의 두께가 크게 증가하지 않고, 동시에 하우징 측면의 폭이 크게 감소한다. 즉 기타 구성품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증가시킨다. 그리고, 이러한 배치는 송풍기(5)의 축 방향 배출구를 코일 플레이트(1)에 매우 가까워지게 함으로써, 풍압 손실을 최대한 줄일 수 있어, 기류가 코일 플레이트(1)의 외부 표면의 공극을 따라 더 잘 흐를 수 있게 하여, 전체 코일 플레이트(1)에 대한 방열이 더 잘 진행될 수 있다. 코일 브라켓(2)이 코일 플레이트(1)를 거의 커버하는 폐쇄형일 경우, 이러한 배치는 마찬가지로 장점을 발휘할 수 있고, 축 방향 기류는 안내할 추가 부품이 거의 필요하지 않고, 직접 간극(21)을 통해 코일 플레이트(1)와 코일 브라켓(2) 사이의 공극으로 유입될 수 있고, 또한 마그네틱 스트립(26), 코일(3), 스트립 리브(12) 등으로 구성된 실제 의미상의 에어덕트를 따라 코일 플레이트(1)의 각 부분으로 빠르게 흐르면서, 최종적으로 코일 플레이트(1) 상부의 배출구를 통해 가열 모듈로부터 배출된다. When the blower 5 is install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center of the lower side of the coil plate 1, the space at the bottom of the coil plate 1 can be fully utilized, because the air inlet of the current heat dissipation fan is mostly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housing. In addition, since the height of the fan can be adjusted relatively small, if it is arranged below the coil plate 1, the thickness of the electric rice cooker does not increase significantly, and at the same time, the width of the side of the housing is greatly reduced. That is, it increases the space for installing other components. And, this arrangement makes the axial outlet of the blower 5 very close to the coil plate 1, so that the wind pressure loss can be reduced as much as possible, so that the airflow better flows along the air gap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oil plate 1 By doing so, the heat dissipation for the entire coil plate 1 can be better progressed. If the coil bracket 2 is of the closed type, almost covering the coil plate 1 , this arrangement can likewise be advantageous, the axial airflow requiring few additional parts to be guided, directly through the gap 21 , It can be introduced into the air gap between the coil plate 1 and the coil bracket 2, and also the coil plate ( As it flows rapidly into each part of 1), it is finally discharged from the heating module through the outlet on the top of the coil plate (1).

라디에이터(42)는 송풍기(5) 측면에 설치되고, 송풍기(5)의 접선 방향 기류를 효과적으로 이용하였고, 또한 라디에이터(42)로부터 송출된 열풍은 직접 하우징으로부터 배출되고, 기타 회로 기판(41) 구성품으로 송풍되지 않으며, 기타 방열 기류와의 간섭도 발생하지 않으므로, 방열 연속성과 유효성을 보장하였다. 또한, 일반적으로, 라디에이터(42)의 에어 홈은 송풍기(5)의 코일 브라켓(2)의 중심에서 멀리 떨어진 측면을 향하고, 라디에이터(42)의 에어 홈의 포트는 송풍기(5)의 측면 또는 측 방향 배출구와 높이가 거의 같고, 거리가 매우 가까우므로, 송풍기(5)의 접선 방향 기류는 비교적 큰 풍압 및 풍량으로 라디에이터(42)의 에어 홈으로 직접 유입되어, 방열 효율을 향상시킨다. 물론, 바람직한 방식은 모터의 두께가 라디에이터의 두께와 거의 일치하고, 방열 핀은 수직으로 설치되고, 연장방향은 기류 방향과 일치한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측 방향 기류를 안내할 때, 기류는 라디에이터의 에어 홈의 방열 핀으로 비교적 균일하게 유입된다. The radiator 42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blower 5, effectively using the tangential airflow of the blower 5, and the hot air sent from the radiator 42 is directly discharged from the housing, and other circuit board 41 components As it does not blow air through the air and does not interfere with other heat dissipation airflows, heat dissipation continuity and effectiveness are guaranteed. Also, in general, the air groove of the radiator 42 faces the side away from the center of the coil bracket 2 of the blower 5, and the port of the air groove of the radiator 42 is on the side or side of the blower 5 Since the height of the directional outlet is almost the same and the distance is very close, the tangential airflow of the blower 5 directly flows into the air groove of the radiator 42 with a relatively large wind pressure and air volume, thereby improving the heat dissipation efficiency. Of course, the preferred way is that the thickness of the motor almost coincides with the thickness of the radiator, the heat dissipation fins are installed vertically, and the direction of extension coincides with the direction of the airflow. In this way, when guiding the lateral airflow, the airflow is introduced relatively uniformly into the heat dissipation fins of the air grooves of the radiator.

또한, 방열 핀 하방에 하나의 밑판을 더 설치할 수 있고, 이 경우 기류의 흐름이 보다 방향성을 갖게 된다. 라디에이터의 에어 홈의 방향이 기류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 기류를 에어 홈과 같은 방향으로 유입시킬 별도의 가이드 부재가 필요하며, 뜨거운 기류 방향에 대해 특별한 요구 사항이 있는 경우와 같은 일부 특수한 경우에는, 이러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urther install one bottom plate under the heat dissipation fin, in this case, the flow of air flow has more directionality. When the direction of the air groove of the radiator does not match the direction of the air flow, a separate guide member is needed to introduce the air flow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air groove, and in some special cases, such as when there are special requirements for the direction of the hot air flow , you can use this method.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설명과 반대로, 송풍기는 외부의 바람을 에어덕트 챔버로 송풍할 수 있는 것 외에도, 에어덕트 챔버 내의 공기를 송풍기로부터 뽑아낼 수 있으므로, 상술한 배출구는 유입구가 된다. In one embodiment, contrary to the above description, since the blower can blow the air in the air duct chamber from the blower in addition to blowing external wind into the air duct chamber, the above-mentioned outlet becomes the inlet.

일 실시예에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디에이터(42)의 적어도 일부는 코일 플레이트(1)의 수직 투영 범위 내에 있다. 즉, 라디에이터(42)의 상당 부분의 부피는 코일 플레이트(1) 측면 하부의 공간 내에 있다. 따라서, 이 부분의 여분의 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고, 이는 전기 밥솥 및 전기 압력솥형 제품에 특히 유리하다. 또한, 라디에이터(42)는 수평으로 배치되므로, 상부 커버판은 열풍을 전기제어 메인보드(4)의 기타 구성품과 격리시키고, 또한 공극을 통해 기타 소자로 송풍되는 접선 방향 기류를 안내하는 작용을 일으키므로, 라디에이터(42)를 이용하여 에어덕트 저부 벽의 기능을 추가로 실현하는 것에 해당하여, 공간을 추가로 절약하였고, 기류 통로를 개선하였다. 물론, 이른바 수평 설치는 절대적인 것이 아니며, 대략 수평으로 이해해야 하고, 예를 들면 경사도가 5° 이내인 경우 허용 범위 내에 속한다. 코일 브라켓 주변의 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한, 라디에이터(42)는 수평 방향에 대해 30° 미만의 각도로 송풍기(5)의 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In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 14 , at least a portion of the radiator 42 is within the vertical projection range of the coil plate 1 . That is, a substantial portion of the volume of the radiator 42 is in the space under the side of the coil plate 1 . Therefore, the extra space of this part can be fully utilized, which is particularly advantageous for electric rice cooker and electric pressure cooker type products. In addition, since the radiator 42 is arranged horizontally, the upper cover plate isolates the hot air from the other components of the electrical control main board 4, and also acts to guide the tangential air flow blown to the other elements through the air gap. Therefore, using the radiator 42 corresponds to further realizing the function of the bottom wall of the air duct, further saving space and improving the airflow passage. Of course, the so-called horizontal installation is not absolute, it should be understood as approximately horizontal, for example, if the inclination is within 5°, it falls within the allowable range. As long as the space around the coil bracket can be fully utilized, the radiator 42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blower 5 at an angle of less than 30°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회로 기판(41)은 수직으로 설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짧은 변이 아래에 있고, 긴 변이 측면에 있지만, 긴 변이 아래에 있어도 본 출원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짧은 변이 아래에 있을 경우, 대부분의 소자가 코일 플레이트(1)의 전자기 간섭이 가장 큰 저부 및 저부 가장자리 영역에서 멀리 떨어져 있을 수 있도록 하여, 구성품을 보호하는데 유리하다. 전기 밥솥 및 전기 압력솥형 제품의 경우, 회로 기판(41)을 수직으로 설치하면, 솥 본체의 깊이를 충분히 활용하여, 공간을 최대한 절약할 수 있다. 본 출원에 있어서, 회로 기판(41)를 라디에이터(42) 위에 세워 놓으며, 가장 바람직한 위치는 라디에이터(42)의 송풍기(5)로부터 멀리 떨어진 일측의 단부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나의 L자형 구조를 구성하였고, 물론, 이는 대략 L자 형상이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다. The circuit board 41 is installed vertically, preferably the short side is under and the long side is on the side, but even if the long side is below, the obj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can be realized. When the short side is below, most elements can be far away from the bottom and bottom edge regions where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f the coil plate 1 is greatest, which is advantageous for protecting components. In the case of an electric rice cooker and an electric pressure cooker type product, when the circuit board 41 is installed vertically, the depth of the main body of the pot is fully utilized, and space can be saved as much as possibl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circuit board 41 is placed on the radiator 42 , and the most preferable position is one end of the radiator 42 away from the blower 5 . In this way, one L-shaped structure was constructed, which, of course, is approximately L-shaped, as shown in FIG. 14 .

여기서 L자형으로 전기제어 메인보드(4)의 측면 형상을 설명하였고, 이는 회로 기판과 라디에이터 사이의 위치 관계를 간단 명료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전기제어 메인보드(4)는 측면에서 볼 때 반드시 L자 형상임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실제로도 이는 불가능한 것이며, 그 이유는 라디에이터(42)의 두께가 회로 기판(41)과 동일하지 않고, 회로 기판(41) 상에는 다양한 구성품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L자형 구조의 양쪽은 어느 정도의 경사를 가질 수도 있으며 그 이유는 특정 상황에서 라디에이터 및 회로 기판은 경사지게 설치되고, 이때 형성된 L자형은 표준 L자형이 아니기 때문이다. 또한, 회로 기판(41)이 라디에이터(42)의 가장자리에 밀착되지 않게 설치되는 경우, 예를 들면 좌측 가장자리에서 약간 떨어져 설치되는 경우에도, 전체 전기제어 메인보드(4)는 표준 L자형으로 보이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설치 방식은, 모두 대략 L자형으로 볼 수 있으며, 모두 본 출원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송풍기(5)로부터 송출되는 접선 방향 기류는, 대부분 라디에이터(42)로 흐르는 것을 제외하고, 접선 방향 기류의 일부는 라디에이터(42)의 송풍기(5)에 가까운 단부와 코일 브라켓(2) 외벽 사이의 간격을 통해, 아래에서 위로 전기제어 메인보드(4)의 기타 부분으로 송풍된다. 비록 해당 부분의 소자의 발열이 그다지 강하지는 않지만, 새로운 기류 통로를 형성하였으므로, 방열이 보다 균일해지고, 방열 효율을 높이고, 모든 가능한 에어덕트를 효과적으로 이용함으로써, 하우징 내부의 기류가 충분히 흐르도록 하고, 전기제어 메인보드(4) 주변에 양의 풍압을 형성하여, 회로 기판 뒷면의 공간을 채움으로써, 기타 방열 소자에 의해 생성되는 열풍이 상기 회로 기판 영역으로 다시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Here, the side shape of the electric control main board 4 has been described in an L-shape, which is to simply and clearly explai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circuit board and the radiator, and the electric control main board 4 must be L when viewed from the side.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hape of a ruler, and in fact, this is impossible, because the thickness of the radiator 42 is not the same as that of the circuit board 41 , and various components are installed on the circuit board 41 . Both sides of the L-shaped structure may have a certain degree of inclination, because in certain circumstances, the radiator and the circuit board are installed inclined, and the L-shape formed at this time is not a standard L-shape. In addition, if the circuit board 41 is installed not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radiator 42, for example, even if it is installed slightly away from the left edge, the entire electrical control main board 4 will not look like a standard L-shape. can However, all of these installation methods can be viewed as approximately L-shaped, and all of them can realize the obj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Except that most of the tangential airflow sent from the blower 5 flows to the radiator 42, a part of the tangential airflow is between the end close to the blower 5 of the radiator 42 and the outer wall of the coil bracket 2 Through the gap, it blows from bottom to top to other parts of the electrical control main board (4). Although the heat generation of the element in that part is not very strong, since a new air flow path is formed, the heat dissipation becomes more uniform, the heat dissipation efficiency is increased, and all possible air ducts are effectively used, so that the air flow inside the housing can flow sufficiently, By forming a positive wind pressure around the electrical control main board 4 to fill the space on the back side of the circuit board, hot air generated by other heat dissipating elements is prevented from flowing back into the circuit board area.

일 실시예에서, 전기제어 메인보드(4)는 라디에이터(42) 상부의 기타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고, 더 나아가 회로 기판(41)의 구성품이 위치한 표면은 송풍기(5)를 마주하지 않을 수도 있다. 물론, 이른바 수직 설치는 절대적이지 않으며, 대략 수직인 것으로 이해해야 하고, 예를 들면 경사도가 5° 이내이기만 하면 허용 범위 내에 속한다. 코일 브라켓 주변의 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으면, 회로 기판(41)은 수직 방향에 대해 30° 미만의 각도로 라디에이터(42)의 상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코일 브라켓(2)의 측면 하부에 공간이 충분한 경우, 회로 기판(41)을 라디에이터(42)의 상부에 경사지게 설치하되, 일단은 코일 브라켓(2)의 측면 하부에 연장 삽입하고, 타단은 가능한 라디에이터의 범위 내에 설치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회로 기판이 차지하는 높이를 더욱 줄일 수 있어, 구조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고. 동시에, 방열 기류는 여전히 회로 기판 상의 구성품 표면을 스쳐 지나갈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electrical control main board 4 may be installed at another location above the radiator 42 , and furthermore, the surface on which the components of the circuit board 41 are located may not face the blower 5 . . Of course, the so-called vertical installation is not absolute and should be understood to be approximately vertical, for example, as long as the inclination is within 5°, it falls within the acceptable range. If the space around the coil bracket can be sufficiently utilized, the circuit board 41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adiator 42 at an angle of less than 30°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For example, if there is sufficient space on the lower side of the coil bracket 2, the circuit board 41 is inclined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radiator 42, and one end is extended and inserted into the lower side of the coil bracket 2, and the other end can be considered to be installed within the range of possible radiators. In this way, the height occupied by the circuit board can be further reduced, and the structure can be made compact. At the same time, the heat dissipation airflow can still brush the component surfaces on the circuit board.

가열 모듈에서, 코일 브라켓(2)을 메인 조립부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코일 플레이트(1), 전기제어 메인보드(4), 송풍기(5), 온도 측정 어셈블리(6), 에어덕트 벽 등 부재는, 코일 브라켓(2)을 기준으로 조립을 진행할 수 있고, 또한 이러한 부재는 코일 브라켓(2) 주변, 측면 하방 및 바로 아래의 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어, 기존의 흩어진 각 부재가 코일 브라켓(2) 주변에 집중되어, 크기가 매우 작은 하나의 표준 모듈로 통합되고, 각 부재는 모두 코일 브라켓(2) 상에서 자체에 대응하는 장착 구조를 찾을 수 있고, 생산 시 각 부재를 코일 브라켓(2)에 직접 삽입 연결하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본 출원의 가열 모듈은 장착이 매우 간단하고, 각 부재 사이의 위치 정확도가 매우 높고, 관련 부재의 유지 보수 및 교체가 매우 용이하다. 또한, 구조가 콤팩트하여 모듈의 범용화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전체 비용이 저렴하고, 하나의 범용 부재 또는 모듈로서 다양한 종류 또는 모델의 전기 밥솥, 전기 압력솥 및 전기솥 등 원호형 내솥을 가진 유도 코일로 가열되는 가전 제품에 사용될 수 있고, 설계자는 일부 부가 기능 및 제품의 외관, 하우징, 패널 디자인을 완성하기만 하면 새로운 제품을 개발할 수 있고, 전체 기계 개발 주기가 현저히 단축되고 비용이 현저히 절감된다. In the heating module, the coil bracket 2 can be used as the main assembly. That is, the coil plate 1, the electrical control main board 4, the blower 5, the temperature measuring assembly 6, the air duct wall, etc. can be assembled based on the coil bracket 2, and also These members can fully utilize the space around the coil bracket (2), below the side, and just below it, so that each existing scattered member is concentrated around the coil bracket (2) and integrated into one standard module with a very small size. , each member can find a mounting structure corresponding to itself on the coil bracket (2), and only need to directly insert and connect each member to the coil bracket (2) during production. Therefore, the heating modu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very simple to install, the positioning accuracy between each member is very high, and the maintenance and replacement of the related member is very easy. In addition, since the structure is compact, the degree of generalization of the module can be improved, the overall cost is low, and an induction coil having an arc-shaped inner pot such as various types or models of electric rice cookers, electric pressure cookers and electric cookers as one general-purpose member or module It can be used in home appliances that are heated with a furnace, and designers can develop new products by simply completing the design of some additional functions and product appearance, housing, and panel, and the entire machine development cycle is significantly shortened and costs are significantly reduced.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코일 플레이트(1)는 하향 오목한 용기 형상이다. 예를 들면,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서, 코일 플레이트(1)는 대략 보울 형상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코일 브라켓(2)은 코일 플레이트(1)의 외부를 감싸고, 코일 브라켓(2)의 형상은 코일 플레이트(1)와 매칭되기만 하면 된다. 이러한 경우, 코일 플레이트(1)와 코일 브라켓(2) 사이에, 코일(3)이 수용된 거의 폐쇄된 공간을 형성하고, 이러한 설계는 기존의 코일 플레이트(1) 및 코일 브라켓(2)을 이용하여 코일을 둘러싸는 복수의 에어덕트를 형성하여, 송풍기(5)가 위로 송출한 축 방향 기류가 모듈을 빠르게 통과하여 유출되도록 하는데 유리하고, 또한 코일 플레이트(1)의 열량이 방열이 원활하지 않은 영역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물론, 코일 브라켓(2)은 비폐쇄 형식의 구조일 수도 있고, 이때, 코일 브라켓(2)은 코일 플레이트(1)의 모든 영역을 커버하지 않고, 코일 플레이트(1)를 지지하기에 충분한 지지 브라켓 및 마그네틱 스트립 브라켓 등만을 보류하며, 이 경우, 비록 중량 및 생산 비용을 절감하고, 본 출원의 주요 목적도 실현할 수 있고, 모듈 부피에 대한 제어가 더 우수하지만, 방열 효과는 필연적으로 저하되고 기류에 대한 제어도 심각하게 저하된다. 10 to 11 , the coil plate 1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s a container shape concave downward.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1 , in this embodiment, the coil plate 1 has a substantially bowl shape.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coil bracket 2 surrounds the outside of the coil plate 1 , and the shape of the coil bracket 2 only needs to match the coil plate 1 . In this case, between the coil plate 1 and the coil bracket 2, an almost closed space in which the coil 3 is accommodated is formed, and this design uses the existing coil plate 1 and the coil bracket 2 to By forming a plurality of air ducts surrounding the coil, it is advantageous for the axial airflow emitted by the blower 5 to pass through the module quickly and flow out, and also to the area where the amount of heat of the coil plate 1 is not smoothly dissipated. to prevent the spread of Of course, the coil bracket 2 may have a structure of a non-closed type, and in this case, the coil bracket 2 does not cover all areas of the coil plate 1 , and a support bracket sufficient to support the coil plate 1 . and magnetic strip bracket, etc., in this case, although the weight and production cost can be reduced, the main purpo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can also be realized, and the control over the module volume is better, the heat dissipation effect is inevitably lowered and the airflow control is also severely degraded.

도 17을 참조하면, 코일 브라켓(2)의 외측 저부의 중심에 가까운 위치에 송풍기 장착 구조(25)를 설치하고, 송풍기 장착 구조(25)는 주로 2개의 송풍기 고정 이어이다. 17, the blower mounting structure 25 is install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center of the outer bottom of the coil bracket 2, and the blower mounting structure 25 is mainly two blower fixing ears.

송풍기(5)에서 송출된 바람을 전기제어 메인보드(4)로 안내하여 열량을 배출시키기 위해, 본 출원은 코일 브라켓(2)의 측부 및 저부에 에어덕트 벽 구조를 설치하였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 송풍기 에어덕트 벽 구조는 송풍기 상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In order to guide the wind blown out from the blower 5 to the electric control main board 4 to discharge heat, the present application installs an air duct wall structure on the side and the bottom of the coil bracket 2 . Of course, in another embodiment, the blower air duct wall structure may be installed above the blower.

에어덕트 벽 구조는 송풍기 에어덕트 벽(22) 및 브라켓 에어덕트 벽(23)을 포함한다. 송풍기 에어덕트 벽(22)은 송풍기(5)에 의해 생성된 측 방향 기류를 라디에이터(42) 및 회로 기판(41)의 방향으로 안내하고, 브라켓 에어덕트 벽(23)은 라디에이터(42)의 상부와 코일 브라켓(2)의 외부 표면 사이의 공극을 통과한 기류가 회로 기판(41) 상의 구성품으로 송풍되도록 안내하여, 브라켓 에어덕트 벽(23)의 상부(회로 기판의 상방)로부터 모듈 밖으로 배출시킨다. 이론적으로, 에어덕트 벽 구조는 송풍기 에어덕트 벽(22)을 단독으로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설계도 마찬가지로 본 출원의 발명의 목적을 기본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그러나, 회로 기판(41)과 코일 브라켓(2)의 하우징 사이에 설치된 에어덕트 벽이 없으므로, 라디에이터(42) 상부와 코일 브라켓(2)의 외부 표면 사이의 공극을 통과하는 기류는, 회로 기판의 방향으로 대략 송풍될 수 있을 뿐이며, 회로 기판으로 송풍된 기류도 에어덕트 안내가 양호하지 않아 회로 기판의 사방으로 흩어지며서, 때로는 하우징의 온도를 상승시켜, 방열 효과가 영향을 받게 된다. The air duct wall structure includes a blower air duct wall 22 and a bracket air duct wall 23 . The blower air duct wall 22 guides the lateral airflow generated by the blower 5 in the direction of the radiator 42 and the circuit board 41 , and the bracket air duct wall 23 is the upper part of the radiator 42 . and the airflow passing through the air gap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coil bracket 2 is guided to be blown to the components on the circuit board 41, and discharged out of the module from the upper part of the bracket air duct wall 23 (upper side of the circuit board) . Theoretically, the air duct wall structure can include the blower air duct wall 22 alone, and this design can also basically realize the object of the inven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However, since there is no air duct wall installed between the circuit board 41 and the housing of the coil bracket 2, the airflow passing through the air gap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radiator 42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il bracket 2 is direction, and the airflow blown to the circuit board is also scattered in all directions of the circuit board due to poor air duct guidance.

일 실시예에서, 에어덕트 벽 구조는 송풍기 일측을 호형으로 둘러싸는 제1 부분; 에어덕트 벽의 제1 부분의 양단을 따라 제어 어셈블리를 향해 연장되는 제2 부분;을 더 포함한다. In one embodiment, the air duct wall structure comprises: a first portion that arcs around one side of the blower; and a second portion extending along opposite ends of the first portion of the air duct wall toward the control assembly.

일 실시예에서, 에어덕트 벽 구조는 에어덕트 벽의 제2 부분의 말단에서 시작하여, 에어덕트 벽의 제2 부분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외부를 향하여 연장된 후, 브라켓의 외측부를 따라 브라켓 상부에 가까운 위치까지 상향 연장되는 제3 부분; 브라켓의 상부에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고, 에어덕트 벽의 제3 부분의 연장된 말단과 연결되는 제4 부분;을 더 포함한다. In one embodiment, the air duct wall structure starts at the distal end of the second portion of the air duct wall, extends outwar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econd portion of the air duct wall, and then along the outer side of the bracket close to the top of the bracket. a third portion extending upwardly to the position; It further includes; a fourth portion locat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racket and connected to the extended end of the third portion of the air duct wall.

일 실시예에서, 에어덕트 벽 구조는 에어덕트 벽의 제2 부분에 대응하는 제5 부분을 더 포함하고, 에어덕트 벽의 제5 부분의 각가의 일측 부분은 대응하는 제2 부분의 선단에 가까운 위치에서 시작하여, 제5 부분의 타측에 점차 가까워지면서 제어 어셈블리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In one embodiment, the air duct wall structure further comprises a fifth portion corresponding to a second portion of the air duct wall, wherein each one side portion of the fifth portion of the air duct wall is proximate to the tip of the corresponding second portion. Starting at the position, it extends along a direction toward the control assembly as it gradually approaches the other side of the fifth portion.

에어덕트 벽의 제1 부분은 제1 에어덕트 벽, 제2 부분은 제2 에어덕트 벽, 제3 부분은 제3 에어덕트 벽, 제4 부분은 제4 에어덕트 벽, 제5 부분은 제5 에어덕트 벽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할 것이며, 송풍기 에어덕트 벽(22)은, 제1 에어덕트 벽(201), 2개의 제2 에어덕트 벽(202), 2개의 제5 에어덕트 벽(205)을 포함한다.A first portion of the airduct wall is a first airduct wall, a second portion is a second airduct wall, a third portion is a third airduct wall, a fourth portion is a fourth airduct wall, and a fifth portion is a fifth portion. An air duct wall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and the blower air duct wall 22 comprises a first air duct wall 201 , two second air duct walls 202 , and two fifth air duct walls 205 . include

제1 에어덕트 벽(201)은, 양단이 송풍기 장착 구조(25)의 전기제어 메인보드(4)에서 멀리 떨어진 양단에 각각 연결되고, 송풍기(5)의 일측을 둘러싼다. 바람직하게는, 제1 에어덕트 벽(201)은 호형이다. The first air duct wall 201 has both ends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ends remote from the electrical control main board 4 of the blower mounting structure 25 , and surrounds one side of the blower 5 . Preferably, the first airduct wall 201 is arc-shaped.

2개의 제2 에어덕트 벽(202)의 선단은 송풍기 장착 구조(25)의 전기제어 메인보드(4)에 가까운 양단에 각각 연결되고, 각 제2 에어덕트 벽(202)은 반대측의 제2 에어덕트 벽(202)에서 점차 멀어지면서 전기제어 메인보드(4)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제2 에어덕트 벽(202)은 제1 에어덕트 벽(201)과 부채꼴 형상으로 접하면서 전기제어 메인보드(4)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The front ends of the two second air duct walls 202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ends close to the electrical control main board 4 of the blower mounting structure 25, and each second air duct wall 202 is connect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air It gradually extends away from the duct wall 202 and extends along a direction toward the electrical control main board 4 . Preferably, the two second air duct walls 202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electrical control main board 4 while contacting the first air duct walls 201 in a sectoral shape.

2개의 제5 에어덕트 벽(205)은, 2개의 제2 에어덕트 벽(202)과 일대일 대응되고, 각 제5 에어덕트 벽(205)은 대응하는 제2 에어덕트 벽(202)의 선단에 가까운 위치에서 시작하여, 반대측의 제5 에어덕트 벽(205)에 점차 가까워지면서 전기제어 메인보드(4)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The two fifth air duct walls 205 are in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the two second air duct walls 202 , and each fifth air duct wall 205 is at the tip of the corresponding second air duct wall 202 . It starts at a close position and extends along the direction toward the electrical control main board 4 as it gradually approaches the fifth air duct wall 205 on the opposite side.

물론, 송풍기 에어덕트 벽(22)은 축 방향 기류의 일부를 접선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6 에어덕트 벽(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Of course, the blower air duct wall 22 may further include a sixth air duct wall (not shown) for tangentially guiding a portion of the axial airflow.

브라켓 에어덕트 벽(23)은 2개의 제3 에어덕트 벽(203), 제4 에어덕트 벽(204)을 포함한다.The bracket airduct wall 23 comprises two third airduct walls 203 and a fourth airduct wall 204 .

2개의 제3 에어덕트 벽(203)은, 2개의 제2 에어덕트 벽(202)의 말단에서 시작하여, 제2 에어덕트 벽(20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외부를 향하여 연장된 후 코일 브라켓(2)의 외측부를 따라 코일 브라켓(2)의 상부에 가까운 위치까지 상향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제3 에어덕트 벽(203)은 송풍기 장착 구조(25)의 2개의 송풍기 고정 이어의 대칭면에 대략 평행하게 설치된다. The two third air duct walls 203, starting at the ends of the two second air duct walls 202, extend outwar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econd air duct wall 202, and then the coil bracket 2 ) extends upward to a position clos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il bracket (2) along the outer portion. Preferably, the two third air duct walls 203 are installed approximately parallel to the plane of symmetry of the two blower fixing ears of the blower mounting structure 25 .

제4 에어덕트 벽(204)은, 코일 브라켓(2)의 상부에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고, 2개의 제3 에어덕트 벽(203)의 연장된 말단과 연결되고, 여기서, 전기제어 메인보드(4)는 2개의 제3 에어덕트 벽(203), 제4 에어덕트 벽(204)으로 구성된 에어덕트 챔버에 고정된다. The fourth air duct wall 204 is locat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il bracket 2 and connected with the extended ends of the two third air duct walls 203 , where the electrical control main board 4 is fixed to an air duct chamber composed of two third air duct walls 203 and a fourth air duct wall 204 .

물론, 코일 브라켓(2)이 비폐쇄형일 경우, 브라켓 에어덕트 벽(23)은 코일 브라켓(2)의 외부 표면 일부를 차폐하기 위한 제7 에어덕트 벽(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7 에어덕트 벽은 코일 브라켓(2) 및 회로 기판(41)으로 송풍되는 기류를 효과적으로 분리시켜, 상호 간섭을 피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분리 효과는 폐쇄형 코일 만큼 좋지 않다. Of course, when the coil bracket 2 is of the non-closed type, the bracket air duct wall 23 may further include a seventh air duct wall (not shown) for shielding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oil bracket 2, The seventh air duct wall effectively separates the airflow blown to the coil bracket 2 and the circuit board 41, thereby avoiding mutual interference. However, this separation effect is not as good as a closed coil.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에어덕트 벽 구조는 하나의 일체형 구조, 또는 일체형에 가까운 구조로 설계될 수도 있다. 실제로, 에어덕트 벽 구조는 기류를 안내하는 모든 알려진 구조를 사용할 수 있고, 기류를 전기제어 메인보드로 안내하는 기능을 완성할 수 있는 한, 모두 에어덕트 벽 구조가 될 수 있다. Also, in another embodiment, the air duct wall structure may be designed as one integral structure, or a structure close to one integral structure. In practice, the air duct wall structure can use any known structure for guiding the airflow, and any air duct wall structure can be used as long as it can complete the function of guiding the airflow to the electrical control main board.

도 14를 결합하면, 본 실시예에서, 기류가 지나가는 에어덕트 경로는 주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가 있다: 14, in this embodiment, there are mainly three air duct paths through which the air flow passes:

에어덕트 1: 공기 흐름은 송풍기(5)의 저부에서 유입되어, 측면에서 송출된다. 측면에서 송출되는 기류는, 제5 에어덕트 벽(205)을 거쳐 집중되어 풍압을 형성하고, 기류의 일부는 라디에이터(42)로 송풍되고, 라디에이터(42)의 랙 표면을 통과하면서 열량을 모듈에서 방출시키며, 도 14에서 F1로 도시된 바와 같다. Air duct 1: Air flow is introduced from the bottom of the blower (5) and discharged from the side. The airflow sent out from the side is concentrated through the fifth air duct wall 205 to form wind pressure, and a part of the airflow is blown to the radiator 42, passing through the rack surface of the radiator 42, and transferring heat from the module Emitted, as shown by F1 in FIG. 14 .

에어덕트 2: 공기 흐름은 송풍기(5)의 저부에서 유입되어, 측면에서 송출된다. 송풍기(5) 측면에서 송출되는 기류는, 제2 에어덕트 벽(202), 제5 에어덕트 벽(205)을 거쳐 집중되어 풍압을 형성하고, 기류의 일부는 라디에이터(42)의 상부와 코일 브라켓(2)의 외부 표면 사이의 공극을 통해 회로 기판(41)으로 송풍되고, 아래에서 위로 회로 기판(41) 상의 구성품 및 제4 에어덕트 벽(204) 상의 펜스 홈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모듈 밖으로 배출되며, 도 14에서 F2로 도시된 바와 같다. Air duct 2: The air flow is introduced at the bottom of the blower 5 and is discharged from the side. The airflow emitted from the side of the blower 5 is concentrated through the second air duct wall 202 and the fifth air duct wall 205 to form wind pressure, and a part of the airflow is part of the upper portion of the radiator 42 and the coil bracket. It blows to the circuit board 41 through the air gap between the outer surfaces of (2), and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components on the circuit board 41 and the fence groove on the fourth air duct wall 204 from the bottom up and out of the module and as shown by F2 in FIG. 14 .

에어덕트 3: 공기 흐름은 송풍기(5)의 저부에서 유입되고, 상부에서 송출된다. 송풍기(5)의 상부에서 송출되는 기류는, 코일 브라켓(2)의 저부의 간극(21), 코일 브라켓(2)의 내부 표면과 코일 플레이트(1)의 외부 표면 사이의 간격을 차례로 통과하여 모듈 밖으로 배출되며, 도 14에서 F3으로 도시된 바와 같다. Air duct 3: Air flow is introduced from the bottom of the blower 5 and is blown out from the top. The airflow sent from the upper part of the blower 5 passes through the gap 21 at the bottom of the coil bracket 2 and the gap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coil bracket 2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il plate 1 in sequence to pass through the module.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s shown by F3 in FIG. 14 .

본 출원의 가열 모듈은 코일 브라켓을 메인 조립부품으로 사용하고, 코일 플레이트, 전기제어 메인보드, 송풍기, 온도 측정 어셈블리, 기류 에어덕트를 크기가 매우 작은 표준 모듈로 통합시켜, 설치가 간단하고, 범용화 정도가 높고, 전체 비용이 저렴하고, 전체 기계 개발 주기가 현저히 단축되고, 방열 효과가 좋고, IH밥솥, 압력솥 등 솥 제품에 응용될 수 있다. The heating modu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uses a coil bracket as a main assembly and integrates a coil plate, an electric control main board, a blower, a temperature measurement assembly, and an airflow air duct into a standard module with a very small size, making installation simple and generalization The precision is high, the overall cost is low, the entire machine development cycle is significantly shortened, the heat dissipation effect is good, and it can be applied to pot products such as IH rice cookers and pressure cookers.

일 실시예에서, 도 10을 참조하면, IH가열 모듈은, 코일 플레이트(1), 코일 브라켓(2), 전기제어 메인보드(4), 송풍기(5) 및 온도 측정 어셈블리(6)를 포함한다. 코일 브라켓(2)은 메인 조립부품이고, 코일 플레이트(1)는 코일 브라켓(2) 내부에 끼움 연결되고, 온도 측정 어셈블리(6)는 코일 플레이트(1)의 저부에 설치되고, 코일 브라켓(2)의 외측부에는 전기제어 메인보드(4)가 설치되고, 코일 브라켓(2)의 외측 저부에는 송풍기(5)가 설치된다. In one embodiment, referring to FIG. 10 , the IH heating module includes a coil plate 1 , a coil bracket 2 , an electrical control main board 4 , a blower 5 and a temperature measurement assembly 6 . . The coil bracket (2) is a main assembly part, the coil plate (1) is fitted inside the coil bracket (2), and the temperature measuring assembly (6)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coil plate (1), and the coil bracket (2) ), the electric control main board 4 is installed on the outer side, and the blower 5 is installed on the outer bottom of the coil bracket (2).

이하에서는 실시예 1의 각 구조의 관련 세부 사항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relevant details of each structure of Embodiment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코일 플레이트(1)는 하향 오목한 용기 형상이다. 예를 들면, 도 10을 참조하면, 코일 플레이트(1)는 대략 보울 형상이다. 코일 브라켓(2)은 코일 플레이트(1)의 외부를 감싸고, 코일 브라켓(2)의 형상은 코일 플레이트(1)와 매칭되기만 하면 된다. 코일 브라켓(2)의 내부에는 코일 플레이트(1)에 대응하는 고속 장착 기둥(25)이 분산 설치되어 있고, 코일 플레이트(1)의 상부에는 복수의 코일 플레이트 마운팅 이어(13)가 설치되어 있고, 코일 플레이트 마운팅 이어(13)는 코일 플레이트(1)와 코일 브라켓(2)이 끼움 연결된 후 나사 또는 역 걸림 구조를 통해 코일 브라켓(2)의 고속 장착 기둥(25)에 고정되어, 고속 장착 목적을 실현한다. 코일 브라켓(2)의 외부에는 전체 기계와 결합되는 복수의 브라켓 마운팅 이어(22)가 분산 설치되어 있고, 브라켓 마운팅 이어(22)는 슬리브 형상이고, 상하 하우징 구조를 각각 안내 및 끼움 연결하여 빠르고 간단한 장착을 실현한다. 10 to 11 , the coil plate 1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s a container shape concave downward.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10 , the coil plate 1 has a substantially bowl shape. The coil bracket 2 surrounds the outside of the coil plate 1 , and the shape of the coil bracket 2 only needs to match the coil plate 1 . A high-speed mounting post 25 corresponding to the coil plate 1 is dispersedly installed inside the coil bracket 2, and a plurality of coil plate mounting ears 13 are installed on the top of the coil plate 1, The coil plate mounting ear 13 is fixed to the high-speed mounting post 25 of the coil bracket 2 through a screw or reverse locking structure after the coil plate 1 and the coil bracket 2 are fitted and connected to achieve the purpose of high-speed mounting. come true On the outside of the coil bracket 2, a plurality of bracket mounting ears 22 that are coupled to the entire machine are distributed and installed, and the bracket mounting ears 22 are sleeve-shaped, and are fast and simple by guiding and fitting the upper and lower housing structures, respectively. Implementation of installation

도 14를 결합하여, 도 9를 참조하면, 코일 플레이트(1)의 저부의 중심에 가까운 위치에는 장착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코일 플레이트(1)의 내부 표면은 장착 구멍 주변에 보스(14)가 형성되어 있고, 보스(14)에는 코일 플레이트(1)의 내부 표면의 물 흐름을 장착 구멍으로 안내하는 배수로가 개설되어 있고, 코일 플레이트(1)의 외부 표면은 장착 구멍 주변에 환형 끼움용 둘레 골격(15)가 형성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9 in conjunction with FIG. 14 , a mounting hole is provid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coil plate 1 ,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il plate 1 has a boss 14 around the mounting hole. formed, and the boss 14 is provided with a drainage channel for guiding the water flow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oil plate 1 to the mounting hol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il plate 1 is a circumferential frame for annular fitting around the mounting hole. (15) is formed.

온도 측정 어셈블리(6)는 온도 측정 장치(61) 및 스프링(62)을 포함하고, 온도 측정 장치(61)가 끼움용 둘레 골격(15)에 역 걸림 설치되면, 스프링(62)은 온도 측정 장치(61)를 지지하고, 온도 측정 장치(61)의 상부는 보스(14) 상부로 노출되고, 가열 용기를 넣으면, 온도 측정 장치(61)를 누르게 된다. The temperature measuring assembly 6 includes a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61 and a spring 62, and when the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61 is installed reversely to the circumferential frame 15 for fitting, the spring 62 is a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61 is supported, the upper part of the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61 is exposed to the upper part of the boss 14, and when a heating container is put, the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61 is pressed.

방수 및 배수를 실현하기 위해, 코일 브라켓(2) 저부의 중심에 가까운 위치에는 누수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코일 브라켓(2)의 외측 저부는 누수 구멍의 바깥 주변에 누수관(23)이 설치되어 있고, 코일 플레이트(1)를 코일 브라켓(2)에 끼움 삽입할 때, 끼움용 둘레 골격(15)는 누수 구멍에 관통 설치된 후 누수관(23) 내부에 끼움 연결되고, 코일 플레이트(1) 내부의 물 흐름은 보스(14)의 배수로를 거쳐 끼움용 둘레 골격(15)로 유입된 후, 누수관(23)으로부터 배출되며, 도 14에서 S1으로 도시된 바와 같다. In order to realize waterproofing and drainage, a leak hole is provid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coil bracket 2, and a leak pipe 23 is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leak hole in the outer bottom of the coil bracket 2 When the coil plate (1) is inserted into the coil bracket (2), the circumferential frame for fitting (15) is installed through the leak hole and then fitted into the leak pipe (23) and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coil plate (1) of the water flow is introduced into the circumferential frame 15 for fitting through the drain of the boss 14, and then discharged from the leak pipe 23, as shown as S1 in FIG.

더 바람직하게는, 물 흐름이 송풍기(5)로 유입되어 전기제어 메인보드(4)로 날려가, 전자 구성품이 단락되어 고장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13을 참조하면, 누수관(23)은 끼움용 둘레 골격(15)의 외부에 끼움 연결되는 커버부(231) 및 배수부(232)의 2개 부분으로 분할되고, 커버부(231)의 송풍기(5)에서 멀리 떨어진 일측에는 반원형 관통 구멍이 개설되어 있고, 물론 기타 형상의 관통 구멍일 수도 있고, 관통 구멍의 가장자리는 커버부(23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하향 연장되어 배수부(232)를 형성한다. More preferably, in order to prevent the water stream from flowing into the blower 5 and blown to the electrical control main board 4 from short-circuiting and malfunctioning of electronic components, referring to FIG. 13 , the water leak pipe 23 is It is divided into two parts, a cover part 231 and a drain part 232 that are fitted to the outside of the circumferential frame 15 for fitting, and a semi-circular through hole on one side far from the blower 5 of the cover part 231 . is outlined, and of course, it may be a through hole of other shape, and the edge of the through hole extends downwar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over portion 231 to form the drain portion 232 .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코일 플레이트(1)의 외부 표면에는 복수 그룹의 배열 리브(11)가 설치되어 있고, 각 그룹의 배열 리브(11)는 코일 플레이트(1)의 외측부, 외측 저부, 외측부와 외측 저부를 연결하는 코너부에 분포되는 복수의 스페이서(111)를 포함하고, 인접한 2개의 스페이서(111) 사이에 코일(3)을 수용하기 위한 코일 홈(112)이 형성되고, 스페이서(111)는 주로 코일 홈(112)을 제공하고 코일(3) 사이의 권선 간 단락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코일(3)은 코일 홈(112)의 순서대로 코일 플레이트(1)의 외부 표면에 와인딩 되어, 냄비와 같은 가열 용기의 저부 및 측면을 동시에 가열하는 효과를 얻어, 가열 용기의 가열 효과가 보다 균일해지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발열이 보다 균일하도록, 복수 그룹의 배열 리브(11)는 끼움용 둘레 골격(15)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코일 플레이트(1)의 외부 표면에 균일하게 분포된다. 11 to 12 , a plurality of groups of arranging ribs 11 are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il plate 1 , and each group of arranging ribs 11 includes the outer side of the coil plate 1 and the outer bottom of the coil plate 1 . , including a plurality of spacers 111 distributed in a corner portion connecting the outer portion and the outer bottom portion, and a coil groove 112 for accommodating the coil 3 is formed between the two adjacent spacers 111, the spacer Reference numeral 111 is mainly for providing the coil groove 112 and blocking the short circuit between the windings between the coils 3 . The coil 3 is woun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il plate 1 in the order of the coil grooves 112 to obtain an effect of simultaneously heating the bottom and side surfaces of a heating vessel such as a pot, so that the heating effect of the heating vessel is more uniform let it be done Preferably, the plurality of groups of arrangement ribs 11 are distributed uniforml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il plate 1 in a radial shape with the circumferential frame 15 for fitting as the center so that the heat generation is more uniform.

코일(3)의 방열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각 그룹의 배열 리브(11)의 하방에 스트립 리브(12)를 설치하고, 스트립 리브(12)는 코일 플레이트(1)의 외측 저부로부터 코일 플레이트(1)의 외측부까지 상향 연장되고, 스트립 리브(12)는 코일(3)을 받쳐주어, 코일(3)과 코일 플레이트(1)의 외부 표면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도록 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코일 브라켓(2)의 저부에는 펜스 간극(21)이 형성되어 있고, 송풍기(5)의 상부에서 송출되는 기류는, 펜스 간극(21), 코일 브라켓(2)의 내부 표면과 코일 플레이트(1)의 외부 표면 사이의 간격을 차례로 통과하여 모듈 밖으로 배출된다. In order to improve the heat dissipation effect of the coil 3 , preferably, a strip rib 12 is provided below the arrangement rib 11 of each group, and the strip rib 12 is the outer bottom of the coil plate 1 . Extending upwardly from the to the outer side of the coil plate (1), the strip ribs (12) support the coil (3), such that a gap is formed between the coil (3)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il plate (1). Referring to FIG. 13 , a fence gap 21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coil bracket 2 , and the air flow sent from the upper part of the blower 5 is the fence gap 21 , the inner surface of the coil bracket 2 . It passes through the gap between th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il plate 1 in turn and is discharged out of the module.

설명드릴 것은, 배열 리브(11), 스트립 리브(12)의 연장 방향은 외측부, 코너부, 외측 저부가 아래에서 위로 커버되는 한 제한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에서, 모든 배열 리브(11), 스트립 리브(12)의 연장 방향은 모두 코일 플레이트(1)의 종단면과 평행한다. It should be explained that the extending directions of the arrangement ribs 11 and the strip ribs 12 are not limited as long as the outer portion, the corner portion and the outer bottom are covered from bottom to top, and in this embodiment, all the arrangement ribs 11 and strip ribs All of the extending directions of (12) are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coil plate (1).

여기서, 코일 브라켓(2)의 내부에는 배열 리브(11)의 위치에 대응하는 마그네틱 스트립을 장착하기 위한 오목홈이 설치되어 있고, 마그네틱 스트립은 일반적으로 스트립 형상이므로, 마그네틱 스트립의 장착이 용이하도록, 본 실시예의 오목홈은 수평부 및 경사부로 구분되고, 수직 자성 입자(24), 저부 마그네틱 스트립(25)은 오목홈의 수평부에 배치되고, 수직 자성 입자(24)는 누수 구멍에 가깝고, 외부 마그네틱 스트립(26)은 오목홈의 경사부에 배치된다. Here, a concave groove for mounting a magnetic strip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arrangement rib 11 is installed inside the coil bracket 2, and since the magnetic strip is generally in the shape of a strip, so that the magnetic strip can be easily mounted, The concave groove of this embodiment is divided into a horizontal portion and an inclined portion, the vertical magnetic particles 24 and the bottom magnetic strip 25 are disposed in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concave groove, and the vertical magnetic particles 24 are close to the leak hole, and the external The magnetic strip 26 is disposed on the inclined portion of the concave groove.

일 실시예에서, 가열 어셈블리 상에는 배열 리브 및 권선 홈이 설치되지 않을 수 있고, 코일은 가열 어셈블리의 외부 표면에 밀접와인딩 방식으로 와인딩되고, 브라켓의 내부 표면과 가열 어셈블리의 외부 표면 사이에 에어덕트가 형성되고, 브라켓의 저부에는 펜스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송풍기의 상부에서 송출되는 기류는, 펜스 간극, 에어덕트를 차례로 통과하여 가열 모듈 밖으로 배출된다. 밀접와인딩 방식은, 가열 모듈 부재를 줄이고, 가열 모듈 제조의 복잡성을 줄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arrangement ribs and winding grooves may not be installed on the heating assembly, the coil is wound in a close-winding manner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ing assembly, and an air duct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bracket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ing assembly. formed, and a fence gap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racket, and the airflow sent from the upper part of the blower passes through the fence gap and the air duct in order and is discharged out of the heating module. The close winding method can reduce the heating module member and reduce the complexity of manufacturing the heating module.

도 11을 참조하면, 전기제어 메인보드(4)는 L자형이고, 회로 기판(41) 및 라디에이터(42)를 포함하고, 본 실시예에서, 모듈이 조립되면, 회로 기판(41)은 수직으로 설치되고, 라디에이터(42)는 수평으로 설치되고, 라디에이터(42)는 랙 형상으로 설계되고, 랙 방향은 공기 흐름 방향과 일치한다. 물론, 라디에이터(42)는 수직으로 설치되고, 회로 기판(41)는 수평으로 설치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 the electrical control main board 4 is L-shaped, and includes a circuit board 41 and a radiator 42, and in this embodiment, when the module is assembled, the circuit board 41 is vertically installed, the radiator 42 is installed horizontally, the radiator 42 is designed in a rack shape, and the rack direction coincides with the air flow direction. Of course,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radiator 42 may be installed vertically, and the circuit board 41 may be installed horizontally.

본 실시예에서, 전자기 가열 제어 모듈 및 EMC 모듈은 회로 기판(41)에 함께 통합된다. 또한 전자기 가열 제어 모듈 및 EMC 모듈은 분리되어 설치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전자기 가열 제어 모듈은 회로 기판(41)에 설치되고, EMC 모듈은 코일 브라켓(2)의 외측부의 기타 위치에 설치되면 되고, 도 14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100은 분리되어 설치된 EMC 모듈 회로 기판을 나타낸다. In this embodiment, the electromagnetic heating control module and the EMC module are integrated together in the circuit board 41 . It will also be understood that the electromagnetic heating control module and the EMC module can be installed separately, the electromagnetic heating control module is installed on the circuit board 41 , and the EMC module is installed at other locations outside the coil bracket 2 . , and as shown by a dotted line in FIG. 14 , 100 denotes a separately installed EMC module circuit board.

도 13을 참조하면, 코일 브라켓(2) 외측 저부의 중심에 가까운 위치에 송풍기 장착 구조(25)를 설치하고, 송풍기 장착 구조(25)는 주로 2개의 송풍기 고정 이어이고, 송풍기(5)에서 송출되는 바람이 전기제어 메인보드(4)로 안내되어 열량을 배출하도록, 본 출원은 코일 브라켓(2)의 저부에 에어덕트 벽 구조를 설치하였다. Referring to FIG. 13 , the blower mounting structure 25 is install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center of the outer bottom of the coil bracket 2 , and the blower mounting structure 25 is mainly two blower fixed ears, and is sent from the blower 5 . In this application, an air duct wall structure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coil bracket 2 so that the wind is guided to the electric control main board 4 to discharge heat.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에어덕트 벽 구조는 제1 에어덕트 벽(201), 2개의 제2 에어덕트 벽(202), 2개의 제3 에어덕트 벽(203), 제4 에어덕트 벽(204), 2개의 제5 에어덕트 벽(205)을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air duct wall structure of this embodiment has a first air duct wall 201 , two second air duct walls 202 , two third air duct walls 203 , and a fourth air duct wall 204 . , including two fifth air duct walls 205 .

제1 에어덕트 벽(201)은, 양단이 송풍기 장착 구조(25)에서 멀리 떨어진 전기제어 메인보드(4)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고, 송풍기(5)의 일측을 둘러싼다. 바람직하게는, 제1 에어덕트 벽(201)은 호형이다. The first air duct wall 201 is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electric control main board 4 remote from the blower mounting structure 25 at both ends, and surrounds one side of the blower 5 . Preferably, the first airduct wall 201 is arc-shaped.

2개의 제2 에어덕트 벽(202)의 선단은 송풍기 장착 구조(25)의 전기제어 메인보드(4)에 가까운 양단에 각각 연결되고, 각 제2 에어덕트 벽(202)은 반대측의 제2 에어덕트 벽(202)에서 점차 멀어지면서 전기제어 메인보드(4)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제2 에어덕트 벽(202)은 제1 에어덕트 벽(201)과 부채꼴 형상으로 접하면서 전기제어 메인보드(4)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The front ends of the two second air duct walls 202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ends close to the electrical control main board 4 of the blower mounting structure 25, and each second air duct wall 202 is connect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air It gradually extends away from the duct wall 202 and extends along a direction toward the electrical control main board 4 . Preferably, the two second air duct walls 202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electrical control main board 4 while contacting the first air duct walls 201 in a sectoral shape.

2개의 제3 에어덕트 벽(203)은, 2개의 제2 에어덕트 벽(202)의 말단에서 시작하여, 제2 에어덕트 벽(20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외부를 향하여 연장된 후 코일 브라켓(2)의 외측부를 따라 코일 브라켓(2)의 상부에 가까운 위치까지 상향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제3 에어덕트 벽(203)은 송풍기 장착 구조(25)의 2개의 송풍기 고정 이어의 대칭면에 대략 평행하게 설치된다. The two third air duct walls 203, starting at the ends of the two second air duct walls 202, extend outwar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econd air duct wall 202, and then the coil bracket 2 ) extends upward to a position clos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il bracket (2) along the outer portion. Preferably, the two third air duct walls 203 are installed approximately parallel to the plane of symmetry of the two blower fixing ears of the blower mounting structure 25 .

제4 에어덕트 벽(204)은, 코일 브라켓(2)의 상부에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고, 2개의 제3 에어덕트 벽(203)의 연장된 말단과 연결되고, 여기서, 전기제어 메인보드(4)는 2개의 제3 에어덕트 벽(203), 제4 에어덕트 벽(204)으로 구성된 에어덕트 챔버에 고정된다. The fourth air duct wall 204 is locat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il bracket 2 and connected with the extended ends of the two third air duct walls 203 , where the electrical control main board 4 is fixed to an air duct chamber composed of two third air duct walls 203 and a fourth air duct wall 204 .

2개의 제5 에어덕트 벽(205)은, 2개의 제2 에어덕트 벽(202)과 일대일 대응되고, 각 제5 에어덕트 벽(205)은 대응하는 제2 에어덕트 벽(202)의 선단에 가까운 위치에서 시작하여, 반대측의 제5 에어덕트 벽(205)에 점차 가까워지면서 전기제어 메인보드(4)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The two fifth air duct walls 205 are in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the two second air duct walls 202 , and each fifth air duct wall 205 is at the tip of the corresponding second air duct wall 202 . It starts at a close position and extends along the direction toward the electrical control main board 4 as it gradually approaches the fifth air duct wall 205 on the opposite side.

일 실시예에서, 도 9, 도 15 및 도 17을 참조하면, 방열 구조는 메인 보드 브라켓(7), 송풍기 커버(8)를 더 포함하고, 전기제어 메인보드(4)는 메인 보드 브라켓(7) 상에 고정되고, 송풍기 커버(8)는 송풍기(5)를 커버하고, 에어덕트 벽 구조는 제1 에어덕트 벽(201), 2개의 제5 에어덕트 벽(205), 에어덕트 둘레 골격(206)을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referring to FIGS. 9, 15 and 17 , 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further includes a main board bracket 7 and a blower cover 8 , and the electrical control main board 4 is provided with a main board bracket 7 . ), the blower cover 8 covers the blower 5, and the air duct wall structure consists of a first air duct wall 201, two fifth air duct walls 205, an air duct circumferential frame ( 206).

제1 에어덕트 벽(201)은, 양단이 송풍기 장착 구조(25)의, 전기제어 메인보드(4)에서 멀리 떨어진 양단에 각각 연결되고, 호형으로 송풍기(5)의 일측을 둘러싼다.The first air duct wall 201 has both end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blower mounting structure 25 , away from the electrical control main board 4 , respectively, and surrounds one side of the blower 5 in an arc shape.

2개의 제5 에어덕트 벽(205)의 선단은 송풍기 장착 구조(25)의 전기제어 메인보드(4)에 가까운 양단에 각각 연결되고, 각 제5 에어덕트 벽(205)은 전기제어 메인보드(4)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The ends of the two fifth air duct walls 205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ends close to the electric control main board 4 of the blower mounting structure 25, and each fifth air duct wall 205 is connected to the electric control main board ( It extends along the direction toward 4).

에어덕트 둘레 골격(206)은, 폐쇄된 완전히 둘러싸인 구조이고, 에어덕트 둘레 골격(206)의 코일 브라켓(2)의 외측부를 따라 상향 연장된 2개의 구간에는 모두 슬라이딩 레일(2061)이 설치되어 있고, 메인 보드 브라켓(7)은 슬라이딩 레일(2061)로부터 에어덕트 둘레 골격(206)에 끼워지면 송풍기 커버(8)와 걸림 결합되고, 에어덕트 둘레 골격(206)은 메인 보드 브라켓(7), 송풍기 커버(8)와 함께 둘러싸여 에어덕트 챔버를 형성한다. The air duct circumferential frame 206 is a closed and completely enclosed structure, and sliding rails 2061 are installed in both sections extending upward along the outer side of the coil bracket 2 of the air duct circumferential frame 206, and , when the main board bracket 7 is fitted into the air duct circumferential frame 206 from the sliding rail 2061, it is engaged with the blower cover 8, and the air duct circumferential frame 206 is the main board bracket 7, the blower It is surrounded together with the cover (8) to form an air duct chamber.

본 실시예에서, 에어덕트 둘레 골격(206)으로 상술한 제2 에어덕트 벽(202), 제3 에어덕트 벽(203), 제4 에어덕트 벽(204)의 기능을 대체하여, 가열 모듈을 더 통합시킬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function of the second air duct wall 202, the third air duct wall 203, and the fourth air duct wall 204 described above is replaced by the air duct circumferential skeleton 206, and the heating module is formed. can be further integrated.

일 실시예에서, 본 출원의 각 실시예에 따른 가열 모듈을 포함하는 조리 장치를 제공한다. In one embodiment, there is provided a cooking apparatus including a heating module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본 출원의 가열 모듈은 코일 브라켓을 메인 조립부품으로 사용하고, 코일 플레이트, 전기제어 메인보드, 송풍기, 온도 측정 어셈블리, 기류 에어덕트를 크기가 매우 작은 표준 모듈로 통합시켜, 설치가 간단하고, 범용화 정도가 높고, 전체 비용이 저렴하고, 전체 기계 개발 주기가 현저히 단축되고, 방열, 방수 효과가 좋고, IH밥솥, 압력솥 등 솥 제품에 응용될 수 있다. The heating modu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uses a coil bracket as a main assembly and integrates a coil plate, an electric control main board, a blower, a temperature measurement assembly, and an airflow air duct into a standard module with a very small size, making installation simple and generalization The precision is high, the overall cost is low, the entire machine development cycle is significantly shortened, the heat dissipation and waterproof effect are good, and it can be applied to pot products such as IH rice cookers and pressure cookers.

이상 도면을 결합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출원은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구체적인 실시예는 예시일 뿐, 제한적이지 않고, 당업자는 본 출원에서 시사한 바에 따라 본 출원의 취지 및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형태를 만들 수 있고, 이들은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 Alth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junction with the above drawings,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embodiment, and the specific embodiment is merely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 form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lication, all of which fall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이해해야 할 것은, 당업자라면 상술한 설명에 근거하여 추가로 수정 또는 변경할 수 있고,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은 모두 본 출원의 청구범위에 속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further modify or change based on the above description, and all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application.

Claims (30)

방열 구조에 있어서,
수평 브라켓부 및 상기 수평 브라켓부와 연결된 수직 브라켓부를 포함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 상에 설치된 라디에이터;
상기 수평 브라켓부 상에 설치된 송풍기; 및
상기 수직 브라켓부에 설치된 제어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어셈블리의 수직 투영은 상기 송풍기의 수직 투영과 교차하지 않으며,
상기 라디에이터는 상기 수평 브라켓부 상에 설치되며 상기 수직 브라켓부 일단의 외측에 가깝거나, 또는 상기 라디에이터는 상기 수직 브라켓부 상에 설치되며 상기 수평 브라켓부의 외측에 가깝고,
상기 송풍기는 상기 수평 브라켓부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 어셈블리는 상기 수직 브라켓부의 외측에 설치되는,
방열 구조.
In 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a bracket including a horizontal bracket part and a vertical bracket part connected to the horizontal bracket part;
a radiator installed on the bracket;
a blower installed on the horizontal bracket; and
and a control assembly installed in the vertical bracket,
the vertical projection of the control assembly does not intersect the vertical projection of the blower;
The radiator is installed on the horizontal bracket part and is close to the outside of one end of the vertical bracket part, or the radiator is installed on the vertical bracket part and is close to the outside of the horizontal bracket part,
The blower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horizontal bracket,
The control assembly is installed outside the vertical bracket part,
heat dissipation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L자형 브라켓이고, 상기 제어 어셈블리 및 라디에이터로 구성된 구조는 브라켓과 결합되어 T자형을 구성하는,
방열 구조.
According to claim 1,
The bracket is an L-shaped bracket, and the structure composed of the control assembly and the radiator is combined with the bracket to form a T-shape,
heat dissipation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에서 생성된 기류의 흐름 방향은,
기류가 상기 라디에이터의 랙 표면을 통해 상기 라디에이터를 통과하여, 상기 브라켓 상의 상기 수평 브라켓부와 상기 수평 브라켓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의 틈새로부터 송출되는 경우;
라디에이터의 상부 공극을 통해 상기 제어 어셈블리로 송풍되어 상기 제어 어셈블리를 통과하여, 상기 브라켓 상의 상기 수평 브라켓부와 상기 수평 브라켓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의 틈새로부터 송출되는 경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열 구조.
According to claim 1,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flow generated by the blower is,
When an airflow passes through the radiator through the rack surface of the radiator, and is sent out from a gap between the horizontal bracket part on the bracket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horizontal bracket part;
When the air is blown to the control assembly through the upper gap of the radiator, passes through the control assembly, and is blown out from a gap between the horizontal bracket part on the bracket and the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horizontal bracket part
of, including one or more,
heat dissipation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구조는 상기 수평 브라켓부 상에 설치되고 상기 송풍기를 둘러싸거나 절반 둘러싸는 에어덕트 벽 구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에어덕트 벽 구조는 상기 송풍기에서 생성된 기류를 안내하여 상기 라디에이터 또는 상기 제어 어셈블리의 방향으로 측면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방열 구조.
According to claim 1,
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further includes an air duct wall structure installed on the horizontal bracket portion and surrounding or half enclosing the blower,
wherein the air duct wall structure directs the airflow generated by the blower to be guided laterally in the direction of the radiator or the control assembly;
heat dissipation structur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덕트 벽 구조는,
상기 라디에이터의 상부와 상기 브라켓의 외부 표면 사이의 공극을 통과하는 기류가 상기 제어 어셈블리 상의 구성품으로 송풍되어 상기 에어덕트 벽 구조의 중앙부 또는 상부로부터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모듈 부분을 포함하는,
방열 구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air duct wall structure is
a module portion for guiding airflow passing through the air gap between the top of the radiator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racket to blow to components on the control assembly and exhaust from the central or top portion of the air duct wall structure;
heat dissipation structur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덕트 벽 구조는,
상기 송풍기 일측을 호형으로 둘러싸는 제1 부분;
상기 에어덕트 벽의 제1 부분의 양단을 따라 상기 제어 어셈블리의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제2 부분
을 포함하는, 방열 구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air duct wall structure is
a first portion surrounding one side of the blower in an arc shape;
a second portion extending along opposite ends of the first portion of the air duct wall toward the direction of the control assembly
Including, heat dissipation structur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덕트 벽 구조는,
상기 에어덕트 벽의 제2 부분의 말단에서 시작하여, 상기 에어덕트 벽의 제2 부분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외부를 향하여 연장된 후, 상기 브라켓의 외측부를 따라 상기 브라켓 상부에 가까운 위치까지 상향 연장되는 제3 부분;
상기 브라켓의 상부에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에어덕트 벽의 제3 부분의 연장된 말단과 연결된 제4 부분
을 더 포함하는, 방열 구조.
7. The method of claim 6,
The air duct wall structure is
a second part starting at the end of the second part of the air duct wall, extending outwar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econd part of the air duct wall, and then extending upward along the outer side of the bracket to a position close to the upper part of the bracket 3 parts;
a fourth portion positioned proximat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racket and connected to the extended end of the third portion of the air duct wall
Further comprising, a heat dissipation structur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덕트 벽 구조는,
상기 에어덕트 벽의 제2 부분에 대응하는 제5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에어덕트 벽의 제5 부분의 각각의 일측 부분은 대응하는 제2 부분의 선단에 가까운 위치에서 시작하여, 상기 제5 부분의 타측에 점차 가까워지면서 상기 제어 어셈블리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방열 구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air duct wall structure is
and a fifth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ortion of the air duct wall, wherein each one side portion of the fifth portion of the air duct wall starts at a position close to the tip of the corresponding second portion, the fifth portion extending along a direction toward the control assembly as it gradually approaches the other side of the portion,
heat dissipation structur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 측면으로부터 송출되는 기류는 상기 에어덕트 벽의 제2 부분 및 상기 에어덕트 벽의 제5 부분을 통해 집중되어 풍압을 형성하고, 일부는 상기 라디에이터로 송풍되고, 상기 라디에이터의 랙 표면을 통과하면서 상기 방열 구조에서 열량을 방출시키며, 일부 기류는 상기 라디에이터의 상부와 상기 브라켓 외부 표면 사이의 공극을 통해 상기 제어 어셈블리로 송풍되고, 아래에서 위로 상기 제어 어셈블리 상의 구성품 및 상기 에어덕트 벽의 상기 제4 부분 상의 펜스 홈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방열 구조 밖으로 배출되는,
방열 구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airflow discharged from the side of the blower is concentrated through the second part of the wall of the air duct and the fifth part of the wall of the air duct to form wind pressure, and part of it is blown to the radiator, while passing through the surface of the rack of the radiator dissipating heat from 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and some airflow is blown into the control assembly through the air gap between the top of the radiator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racket, from bottom to top the components on the control assembly and the fourth of the air duct wall discharged out of the heat dissipation structure by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fence groove on the part,
heat dissipation structur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브라켓부는 메인 보드 브라켓 및 송풍기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어셈블리는 상기 메인 보드 브라켓 상에 고정되고,
상기 에어덕트 벽 구조는 에어덕트 둘레 골격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에어덕트 둘레 골격은 폐쇄된 완전히 둘러싸인 구조이고, 상기 에어덕트 둘레 골격의 상기 브라켓의 외측부를 따라 상향 연장된 2개의 구간에는 모두 슬라이딩 레일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메인 보드 브라켓은 상기 슬라이딩 레일로부터 상기 에어덕트 둘레 골격에 끼워지면 송풍기 커버와 걸림 결합되고, 상기 에어덕트 둘레 골격은 상기 메인 보드 브라켓, 송풍기 커버와 함께 둘러싸여 에어덕트 챔버를 형성하는,
방열 구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horizontal bracket portion includes a main board bracket and a blower cover, the control assembly is fixed on the main board bracket,
The air duct wall structure further includes an air duct circumferential frame, wherein the air duct circumferential frame is a closed and completely enclosed structure, and both sections of the air duct circumferential frame have sliding rails in two sections extending upward along the outer side of the bracket. is installed,
When the main board bracket is fitted into the frame around the air duct from the sliding rail, it is engaged with the blower cover, and the frame around the air duct is surrounded with the main board bracket and the blower cover to form an air duct chamber,
heat dissipation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어셈블리는 전자기 가열 IH 제어 모듈 및 외부 메모리 컨트롤러 EMC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IH 제어 모듈 및 상기 EMC 모듈은 제어 어셈블리 상의 회로 기판에 함께 통합되거나, 또는
상기 IH 제어 모듈 및 EMC 모듈은 분리 설치 모드이고, 상기 IH 제어 모듈은 상기 회로 기판에 설치되고, 상기 EMC 모듈은 상기 브라켓의 외측부의 기타 위치에 설치되는,
방열 구조.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assembly includes an electromagnetic heating IH control module and an external memory controller EMC module,
the IH control module and the EMC module are integrated together on a circuit board on a control assembly, or
The IH control module and the EMC module are in a separate installation mode, the IH control module is installed on the circuit board, and the EMC module is installed at other positions outside the bracket,
heat dissipation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브라켓부와 상기 수직 브라켓부는 힌지 연결 또는 걸림 연결을 통해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수평 브라켓부와 상기 수직 브라켓부는 일체 성형으로 연결되는,
방열 구조.
According to claim 1,
The horizontal bracket part and the vertical bracket part are connected through a hinge connection or a hook connection, or
The horizontal bracket part and the vertical bracket part are integrally connected,
heat dissipation structure.
가열 모듈에 있어서,
상기 가열 모듈은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열 구조를 포함하고,
가열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풍기의 투영은 상기 가열 어셈블리의 투영 내에 위치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가열 어셈블리의 외부를 커버하는,
가열 모듈.
In the heating module,
The heating module comprises a heat dissip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further comprising a heating assembly, wherein the projection of the blower is located within the projection of the heating assembly, the bracket covering an exterior of the heating assembly;
heating modul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수평 브라켓부의 측면 및 상기 수평 브라켓부의 측면 상에 설치된 브라켓 둘레 골격을 더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둘레 골격의 외부 가장자리는 기본적으로 상기 가열 어셈블리의 외부 가장자리와 형상이 서로 매칭되어, 상기 브라켓과 상기 가열 어셈블리는 함께 둘러싸여 에어덕트 챔버를 형성하도록 하는,
가열 모듈.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bracket further comprises a bracket circumferential frame install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horizontal bracket part and the side surface of the horizontal bracket part,
The outer edge of the frame around the bracket basically matches the shape of the outer edge of the heating assembly so that the bracket and the heating assembly are surrounded together to form an air duct chamber,
heating modul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어셈블리는 상기 브라켓 내부에 끼움 연결되고, 상기 송풍기는 상기 브라켓의 저부 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라디에이터는 상기 송풍기의 측면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라디에이터의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가열 모듈.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heating assembly is fitted inside the bracket, the blower is installed below the bottom of the bracket, the radiator is installed horizontally on the side of the blower, and the circuit board is vertically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radiator ,
heating modul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에이터의 투영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가열 어셈블리의 투영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어 어셈블리의 투영과 상기 가열 어셈블리의 투영은 교차하지 않는,
가열 모듈.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projection of the radiator is at least partially located within the projection of the heating assembly, and the projection of the control assembly and the projection of the heating assembly do not intersect;
heating modul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저부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송풍기의 상부에서 송출되는 기류는 상기 간극을 통해 상기 브라켓과 상기 가열 어셈블리 사이의 간격으로 유입되어 상기 가열 모듈 밖으로 배출되는,
가열 모듈.
14. The method of claim 13,
A gap is formed in the bottom of the bracket, and the airflow discharg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blower flows into the gap between the bracket and the heating assembly through the gap and is discharged out of the heating module,
heating modul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어셈블리는 하향 오목한 용기 형상이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가열 어셈블리 외부를 감싸고, 상기 가열 어셈블리의 외부 표면에는 복수 그룹의 배열 리브가 설치되어 있고, 각 그룹의 배열 리브는 상기 가열 어셈블리의 외측부, 외측 저부, 외측부와 외측 저부를 연결하는 코너부에 분포된 복수의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인접한 2개의 스페이서 사이에는 코일을 수용하기 위한 코일 홈이 형성되고, 상기 코일은 코일 홈의 순서대로 상기 가열 어셈블리의 외부 표면에 와인딩되는,
가열 모듈.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heating assembly has a downwardly concave vessel shape, the bracket surrounds the outside of the heating assembly, and a plurality of groups of alignment ribs are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heating assembly, and each group of alignment ribs is an outer portion of the heating assembly, an outer bottom portion , including a plurality of spacers distributed in a corner portion connecting the outer portion and the outer bottom portion, and a coil groove for accommodating a coil is formed between two adjacent spacers, and the coil is disposed outside the heating assembly in the order of the coil grooves. wound on the surface,
heating module.
제18항에 있어서,
각 그룹의 상기 배열 리브 하방에는 스트립 리브가 설치되고, 상기 스트립 리브는 가열 어셈블리의 외측 저부에서 가열 어셈블리 외측부까지 상향 연장되고, 상기 스트립 리브는 상기 코일을 받쳐주어, 상기 코일과 상기 가열 어셈블리의 외부 표면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브라켓의 내부 표면과 상기 가열 어셈블리의 외부 표면 사이에 에어덕트가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의 저부에는 펜스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송풍기의 상부에서 송출되는 기류는 상기 펜스 간극, 상기 에어덕트를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가열 모듈 밖으로 배출되는,
가열 모듈.
19. The method of claim 18,
A strip rib is installed below the arrangement rib of each group, the strip rib extends upwardly from the outer bottom of the heating assembly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ing assembly, the strip rib supports the coil, the coil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ing assembly a gap is formed therebetween, an air duct is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bracket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ing assembly, and a fence gap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racket, and the air flow discharg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blower is the fence Gap, which is discharged out of the heating module through the air duct in turn,
heating modul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내부에는 배열 리브의 위치에 대응하는 마그네틱 스트립을 장착하기 위한 오목홈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열 어셈블리의 상부에는 복수의 가열 어셈블리 마운팅 이어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열 어셈블리 마운팅 이어는 상기 가열 어셈블리와 브라켓이 끼움 연결된 후 나사 또는 역 걸림 구조를 통해 브라켓에 고정되고,
상기 브라켓 내부에는 상기 가열 어셈블리에 대응하는 고속 장착 기둥이 분포 설치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의 외부에는 전체 기계와 결합되는 복수의 브라켓 마운팅 이어가 분포 설치되어 있는,
가열 모듈.
14. The method of claim 13,
A concave groove for mounting a magnetic strip corresponding to a position of the arrangement rib is provided inside the bracket, and a plurality of heating assembly mounting ears are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heating assembly, and the heating assembly mounting ear is the heating assembly. and the bracket are screwed and connected, and then fixed to the bracket through screws or reverse locking structures,
High-speed mounting posts corresponding to the heating assembly are distributed inside the bracket, and a plurality of bracket mounting ears coupled to the entire machine are distributed outside the bracket.
heating modul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모듈은,
상기 가열 어셈블리의 저부에 설치되는 온도 측정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는, 가열 모듈.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heating module,
The heating module further comprising a temperature measuring assembly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heating assembly.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어셈블리의 저부의 중심에 가까운 위치에는 장착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열 어셈블리의 내부 표면의 상기 장착 구멍 주변에 보스가 형성되고, 상기 보스에 상기 가열 어셈블리의 내부 표면의 물 흐름을 상기 장착 구멍으로 안내하는 배수로가 개설되어 있고, 상기 가열 어셈블리의 외부 표면의 상기 장착 구멍 주변에 환형 끼움용 둘레 골격이 형성되고, 상기 온도 측정 어셈블리가 상기 끼움용 둘레 골격에 역 걸림 설치되고, 상기 온도 측정 어셈블리의 상부는 보스 상부로 노출되고,
상기 브라켓의 수평 브라켓부의 중심에서 가까운 위치에 누수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의 외측 저부의 상기 누수 구멍 바깥 주변에 누수관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끼움용 둘레 골격이 상기 누수 구멍에 관통 설치되면 상기 누수관 내부에 끼움 연결되고, 상기 가열 어셈블리의 내부의 물 흐름은 보스의 배수로를 거쳐 끼움용 둘레 골격으로 흐른 후, 누수관으로부터 배출되는,
가열 모듈.
22. The method of claim 21,
A mounting hole is provided at a position proximate to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heating assembly, and a boss is formed around the mounting hol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eating assembly, the boss is configured to mount the water flow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eating assembly to the boss. a drainage passage leading to a hole is established, an annular fitting circumferential frame is formed around the mounting hole in an outer surface of the heating assembly, and the temperature measuring assembly is reversely latched to the fitting circumferential frame; The upper part of the assembly is exposed as the upper part of the boss,
When a leak hole is installed near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bracket part of the bracket, a leak pipe is installed around the leak hole outside the bottom of the bracket, and the circumferential frame for fitting is installed through the leak hole Fitted and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leak pipe, the water flow inside the heating assembly flows to the circumferential frame for fitting through the drainage passage of the boss, and then discharged from the leak pipe,
heating module.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관은 상기 끼움용 둘레 골격 외부와 끼움 연결되는 커버부 및 배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의 상기 송풍기에서 멀리 떨어진 일측에는 관통 구멍이 개설되어 있고, 상기 관통 구멍의 가장자리는 상기 커버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하향 연장되어 상기 배수부를 형성하는,
가열 모듈.
23. The method of claim 22,
The leak pipe includes a cover part and a drain part that are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circumferential frame for fitting, and a through hole is opened on one side far away from the blower of the cover part, and the edge of the through hole is away from the cover part extending downward along the direction to form the drain,
heating modul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어셈블리의 외부 표면에는 밀접와인딩 방식으로 와인딩된 코일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의 내부 표면과 상기 가열 어셈블리의 외부 표면 사이에 에어덕트가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의 저부에 펜스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송풍기의 상부에서 송출되는 기류는 상기 펜스 간극, 상기 에어덕트를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가열 모듈 밖으로 배출되는,
가열 모듈.
14. The method of claim 13,
A coil wound in a close winding manner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ing assembly,
an air duct is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bracket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ing assembly, and a fence gap is formed in the bottom of the bracket;
The air flow sent from the upper part of the blower passes through the fence gap and the air duct in turn and is discharged out of the heating module,
heating modul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어셈블리는 코일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가열 모듈.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heating assembly comprises a coil plate.
제13항에 따른 가열 모듈을 포함하는 조리 장치.A cooking device comprising the heating module according to claim 13 .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7030942A 2018-04-11 2019-03-15 Heat dissipation structure, heating module and cooking device KR10236060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321525 2018-04-11
CN201810321525.3 2018-04-11
CN201810965966.7 2018-08-23
CN201810965966.7A CN110366284A (en) 2018-04-11 2018-08-23 A kind of heating module
CN201811055996.0A CN109287018B (en) 2018-09-11 2018-09-11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module and heat radiation structure
CN201811055996.0 2018-09-11
PCT/CN2019/078314 WO2019196593A1 (en) 2018-04-11 2019-03-15 Heat dissipation structure, heating module and cook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5865A KR20200135865A (en) 2020-12-03
KR102360603B1 true KR102360603B1 (en) 2022-02-08

Family

ID=73779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0942A KR102360603B1 (en) 2018-04-11 2019-03-15 Heat dissipation structure, heating module and cooking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7109151B2 (en)
KR (1) KR10236060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43995B (en) * 2021-11-19 2024-01-19 北京历正飞控科技有限公司 Parallel networking terminal of anti-unmanned aerial vehicle defense system
CN115299772B (en) * 2022-09-15 2023-09-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Heat abstractor and cooking utensi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6239109U (en) * 2016-08-31 2017-06-13 宁波博菱电器有限公司 A kind of radiator structure of Electromagnetic Heating pot for cooking r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916B1 (en) 2010-12-21 2013-07-05 (주)디포인덕션 Induction range with a function of improved impact strength and heat resistan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6239109U (en) * 2016-08-31 2017-06-13 宁波博菱电器有限公司 A kind of radiator structure of Electromagnetic Heating pot for cooking r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5865A (en) 2020-12-03
JP7109151B2 (en) 2022-07-29
JP2021518641A (en) 2021-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0603B1 (en) Heat dissipation structure, heating module and cooking device
WO2019196593A1 (en) Heat dissipation structure, heating module and cooking apparatus
JP5359041B2 (en) Electric rice cooker
CN106060991B (en) Induction cooker air duct structure and induction cooker
CN209201369U (en) A kind of heating module
JP6419267B2 (en) Induction heating cooker
CN106642237A (en) Electromagnetic range
CN213746890U (en) Cooking utensil
JP2011033308A (en) Electric panel heater
CN208871688U (en) A kind of radiator structure
JP2011008931A (en) Induction heating cooker
CN112167955B (en) Heat dissipation assembly of cooking utensil and cooking utensil with same
CN206330170U (en) A kind of electromagnetic stove
CN110366284A (en) A kind of heating module
CN219331386U (en) Heating element and cooking utensil with same
CN213402789U (en) Power supply board box and cooking utensil thereof
CN217064391U (en) Cooking utensil electrical system cooling structure
CN109246876B (en) Heating module
CN210951424U (en) Electromagnetic oven
JP5456508B2 (en) Cooker
CN212438219U (en) Cooking machine
CN203775443U (en) Electromagnetic machine core and induction cooker
CN210951427U (en) Electromagnetic oven
CN219103063U (en) Cooking utensil
CN216790254U (en) Three-proofing structure of circuit board for electric heating sto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