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9611B1 - Moisture removal apparatus for bathroom - Google Patents

Moisture removal apparatus for bathroo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9611B1
KR102359611B1 KR1020210118143A KR20210118143A KR102359611B1 KR 102359611 B1 KR102359611 B1 KR 102359611B1 KR 1020210118143 A KR1020210118143 A KR 1020210118143A KR 20210118143 A KR20210118143 A KR 20210118143A KR 102359611 B1 KR102359611 B1 KR 102359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hroom
moisture
bathroom mirror
driving arm
mi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81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규은
Original Assignee
(주)우성에스케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성에스케이에스 filed Critical (주)우성에스케이에스
Priority to KR1020210118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961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9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6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 B08B1/001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006Wip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6Hand implements
    • A47L1/15Cloths, sponges, pads, or the like, e.g. containing clean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 B08B1/008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using translating operativ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 B08B1/04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using rotary operative members

Abstract

Disclosed is a dehumidifying apparatus for a bathroom, which is capable of effectively removing water droplets on a surface of a bathroom mirror and improving air circulation in the bathroom. The dehumidifying apparatus for a bathroom comprises: a first member installed adjacent to one edge of a bathroom mirror and having a rail groove formed on one side facing a side of the bathroom mirror; a second member installed adjacent to the other edge of the bathroom mirror and having a guide slot formed on one side facing a side of the bathroom mirror; a driving arm placed across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nd moving up and down along the guide slot while rotating by receiving power from a first electric motor built in the second member; a roller sliding along the rail groove of the first member while supporting a free end of the driving arm; and a wiper coupled to a circumference of the driving arm and elastically brought into contact with a surface of the bathroom mirror by elasticity to remove water droplet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athroom mirror while rotating, ascending, and descending together with the driving arm.

Description

욕실 습기제거장치{MOISTURE REMOVAL APPARATUS FOR BATHROOM}Bathroom dehumidifier {MOISTURE REMOVAL APPARATUS FOR BATHROOM}

본 발명은 욕실 거울에 찬 습기를 쉽고 빠르게 제거할 수 있는 욕실 습기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욕실 사용 중에 발생하는 수분으로 인해 욕실 거울의 표면에 맺힌 물방울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아울러 욕실 안의 공기순환을 원활히 하여 외부와의 온도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욕실 거울의 김서림 현상을 방지하는 욕실 습기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hroom dehumidifier that can quickly and easily remove moisture from a bathroom mirror, and more particularly, effectively removes water droplets on the surface of the bathroom mirror due to moisture generated during bathroom use, and also It relates to a bathroom dehumidifier that facilitates air circulation and prevents the bathroom mirror from fogging up due to a temperature difference with the outside.

일반적으로 욕실 내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나 온도 및 습도 변화로 인해 습기가 차서 욕실 거울의 표면에 물방울이 맺힐 경우 이를 수건 등으로 닦아서 제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In general, if water droplets form on the surface of the bathroom mirror due to water vapor generated in the bathroom or changes in temperature and humidity, it is inconvenient to remove it by wiping it with a towel.

아울러 욕실 내에 비치되어 있는 수건이나 칫솔 등의 욕실 용품은 습기로 인해 눅눅해지고, 곰팡이나 세균이 쉽게 번식하여 악취를 유발할 수 있다.In addition, bathroom items such as towels and toothbrushes provided in the bathroom become damp due to moisture, and mold or bacteria can easily multiply and cause bad odors.

이를 해결하기 위해 특허문헌 1에는 환풍기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를 온수로 가열하여 욕실 거울의 표면에 분사하는 방식의 유리 거울의 습기제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moisture removal device for a glass mirror in which external air flowing in through a fan is heated with hot water and sprayed on the surface of the bathroom mirror.

그런데 이는 구조가 복잡하고 욕실이라는 비교적 좁은 공간 내에서 많은 설치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에 공간 효율성이 상당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is has a problem in that the space efficiency is considerably lowered because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it occupies a lot of installation space in a relatively narrow space called a bathroom.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The background or prior art described herein is information possessed by the inventor or acquired i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only intended to help in understanding the technical mea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prior to the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ology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It does not mean that the technology is widely known in the field.

KRKR 10-2014-0016022 10-2014-0016022 A(2014.02.07)A (2014.02.07) KRKR 10-2035420 10-2035420 B1(2019.10.16)B1 (2019.10.16) KRKR 10-2166761 10-2166761 B1(2020.10.12)B1 (2020.10.12)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함과 동시에 기존의 욕실 거울 습기제거장치 기술이 지닌 기술적 한계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려는 발상에서, 욕실 사용 중에 발생하는 수분으로 인해 욕실 거울의 표면에 맺힌 물방울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아울러 욕실 안의 공기순환을 강제적으로 원활히 하여 외부와의 온도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욕실 거울의 김서림 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습기를 제거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욕실 거울 습기제거장치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 comprehensively considers the above-mentioned matters and at the same time as an idea to solve the technical limitations and problems of the existing bathroom mirror dehumidifying device technology, water droplet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athroom mirror due to moisture generated during bathroom use A new structure of bathroom mirror dehumidification that can effectively remove and also forcibly smooth the air circulation in the bathroom to prevent fogging of the bathroom mirror caused by the temperature difference from the outside, as well as promote the effect of removing moisture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as a result of continuous research with an effort to develop a device.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욕실 거울의 표면에 맺힌 물방울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욕실 거울 습기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Therefore, it is an object and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throom mirror dehumidifying device that can quickly and easily remove the water droplets on the surface of the bathroom mirro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욕실 거울의 김서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욕실 거울 습기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and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hroom mirror dehumidifier to prevent fogging of the bathroom mirror.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Here, the technical problems and object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and objective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and objects not mentioned above are based on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ose who have it will be able to understand clearly.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착상을 구체화하면서 특정의 기술적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구체적인 수단은, 욕실 거울의 한쪽 가장자리와 인접해서 설치되고, 상기 욕실 거울의 측면과 마주하는 한쪽 측면에 레일홈이 형성된 제1부재, 상기 욕실 거울의 다른 쪽 가장자리와 인접해서 설치되고, 상기 욕실 거울의 측면과 마주하는 한쪽 측면에 가이드슬롯이 형성된 제2부재,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 사이를 가로질러 놓이고, 상기 제2부재에 내장된 제1전동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상기 가이드슬롯을 따라 상하로 승강하는 구동암, 상기 구동암의 자유단을 지지하면서 상기 제1부재의 레일홈을 따라 활주하는 롤러 및 상기 구동암의 둘레에 결합되고, 상기 욕실 거울의 표면에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구동암과 함께 회전 및 승강하면서 상기 욕실 거울의 표면에 맺힌 물방울을 제거하는 와이퍼를 포함하여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거울 습기제거장치를 제시한다.Specific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ffectively achieving a specific technical purpose while embodying a new idea for solving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adjacent to one edge of the bathroom mirror A first member having a rail groove formed on one side facing the side of the bathroom mirror, installed adjacent to the other edge of the bathroom mirror, and having a guide slot formed on one side facing the side of the bathroom mirror Two members, a driving arm placed across between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receiving power from a first electric motor built into the second member and rotating up and down along the guide slot, the drive It is couple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driving arm and a roller sliding along the rail groove of the first member while supporting the free end of the arm, and is elastically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bathroom mirror to rotate and elevate together with the driving arm. While presenting a bathroom mirror moisture remov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employs including a wiper to remove the water droplets on the surface of the bathroom mirror.

이로써 본 발명은 욕실 사용 중에 발생하는 수분으로 인해 욕실 거울의 표면에 맺힌 물방울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remove water droplets on the surface of the bathroom mirror due to moisture generated during bathroom us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은, 상기 제2부재에 내장된 랙 기어, 상기 제1전동기의 구동축에 고정되고 상기 랙 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 상기 제2부재 내에 상기 랙 기어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원활한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제1전동기가 탑재되고 상기 제1전동기의 정/역회전에 의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미끄러지듯이 이동하는 가이드블록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욕실 거울의 표면에 맺힌 물방울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ack gear built into the second member, a pinion gear fixed to a drive shaft of the first electric motor and meshing with the rack gear, and the rack gear in the second member. The bathroom is configured by further comprising a guide rail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nd guiding smooth movement and a guide block on which the first electric motor is mounted and sliding along the guide rail by the forward/reverse rotation of the first electric motor Water droplets on the surface of the mirror can be removed quickly and easily.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와이퍼는, 상기 구동암이 끼워지는 중공형 튜브와, 상기 튜브의 바깥쪽 둘레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고 끝부분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 모양의 블레이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튜브는 둘레에 잔구멍이 다수 뚫리고, 상기 제2부재에 내장된 에어컴프레셔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튜브의 잔구멍을 통해 분사함으로써 공기순환을 강제적으로 원활히 하여 외부와의 온도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김서림 현상을 방지하고, 아울러 욕실 안의 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per includes a hollow tube into which the driving arm is fitted, and a plurality of hollow tub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tube and gradually narrowing toward the end. It is made of a blade-shaped blade, and the tube has a number of small holes in its circumference, and receives compressed air from the air compressor built into the second member and sprays it through the small holes of the tube to forcibly smooth air circulation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It can prevent fogging caused by temperature differences and effectively remove moisture in the bathroom.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은, 상기 제1부재의 흡입구멍을 통해 공기 중의 수분을 상기 제1부재의 내부로 빨아들이고, 상기 제1부재의 배기구멍을 통해 공기를 밖으로 내보내는 흡입팬, 상기 제1부재에 내장되어 상기 흡입팬에 의해 흡입되는 수분을 흡수하였다가 제2전동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탈수하는 수분필터 및 상기 제1부재의 하부에 서랍식으로 장착되어 상기 수분필터에서 탈수되거나 흘러내리는 수분을 받아 모으는 트레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욕실 사용 중에 발생하는 수분을 더욱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거하여 욕실 거울의 표면에 물방울이 맺히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ction that sucks moisture in the air into the inside of the first member through the suction hole of the first member, and exhausts the air through the exhaust hole of the first member A fan, a moisture filter built into the first member that absorbs moisture sucked by the suction fan, receives power from a second electric motor and spins and spins, and a moisture filter mounted in a drawer below the first member By further comprising a tray to collect water that is dehydrated or dripping from the bathroom, it is possible to more quickly and easily remove the moisture generated during bathroom use, thereby minimizing the formation of water droplets on the surface of the bathroom mirror.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특유한 해결 수단이 기초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실시 예(embodiment)에 따르면, 욕실 사용 중에 발생하는 수분(수증기)으로 인해 욕실 거울의 표면에 물방울이 맺히거나 비누 거품 등의 이물질이 묻을 경우 자동으로 깨끗하게 제거 및 청소(세척)함으로써 쾌적하고 청결한 사용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and embodimen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based on a unique solution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water droplets form on the surface of the bathroom mirror due to moisture (water vapor) generated during bathroom use or soap When foreign substances such as foam are attached to it, it can be automatically removed and cleaned (washed) to maintain a pleasant and clean use environment.

아울러 욕실 내 공기순환을 원활히 하여 외부와의 온도 차이로 인해 욕실 거울에 발생하는 김서림 현상을 방지하고, 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by facilitating air circulation in the bathroom, it is possible to prevent fogging that occurs on the bathroom mirror due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from the outside, and to effectively remove moisture.

따라서 사용자가 수건 등으로 욕실 거울을 수시로 닦아주어야 하는 수고로움과 불편함을 해소하는 등 사용상의 편의성은 물론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hygiene as well as ease of use, such as relieving the trouble and inconvenience of users having to frequently wipe the bathroom mirror with a towel or the like.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Here,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욕실 거울 습기제거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욕실 거울 습기제거장치를 나타낸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욕실 거울 습기제거장치를 구성하는 구동암과 블레이트를 확대하여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욕실 거울 습기제거장치를 나타낸 부분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욕실 거울 습기제거장치의 작동 이해를 돕기 위한 부분 횡단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throom mirror moisture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athroom mirror moisture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driving arm and a blade constituting a bathroom mirror moisture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athroom mirror moisture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o help understand the operation of the bathroom mirror moisture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Prior to this,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ndicate that they should be interpreted as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anings commonly or commonly recognized in the art.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 that parts are exaggerated or simplified for explan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technology an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understanding, and it is revealed that each component does not exactly match the actual size and shape.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and/or is meant to include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describ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described items, and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is a description that is specifically opposite This does not mean that other components are excluded, but other components can be further included.

즉,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설시(說示)하는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That is,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nd 'have' mean that the features, number,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exist. Howe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addition or exist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외에도 "부" 및 "유닛"의 용어에 대한 의미는 시스템에서 목적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어느 일정한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 또는 역할을 하는 모듈 형태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 등을 통한 수단이나 독립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 또는 어셈블리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aning of the terms "unit" and "unit" means a module type that performs at least one function or a unit or role for processing a certain operation of the system, which is a combination of hardware or software or hardware and software It may be implemented as a device or assembly capable of performing an independent operation or a means through such a method.

그리고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전후, 좌우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로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거나 지칭하고,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폭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명명하거나 지칭할 수 있다.And terms such as upper, lower, upper, lower, upper, lower, upper, lower,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are used for convenience to distinguish relative positions of each component. For example, the upper side in the drawing may be named or referred to as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as the lower side,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named or referred to as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may be named or referred to as the left/right direction.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 제2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 있고, 또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도 있다.Also,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at is, terms such as 1st, 2nd, etc. may b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욕실 거울 습기제거장치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요소는 제1부재(10), 제2부재(20), 구동암(30), 롤러(40) 및 와이퍼(50)를 포함하고 있다.1 to 4, the main components constituting the bathroom mirror moisture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 first member 10, a second member 20, a driving arm 30, and a roller. (40) and a wiper (50).

제1부재(10)는 중공형 원통이나 사각통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고, 욕실 거울(M)의 한쪽 가장자리와 인접해서 설치되어 있다.The 1st member 10 consists of a hollow cylinder or square cylinder shape, and is provided adjacent to one edge of the bathroom mirror M.

그리고 제1부재(10)의 양쪽 측면 중 욕실 거울(M)의 측면과 마주하는 한쪽 측면에는 레일홈(11)이 형성되어 있다.And a rail groove 11 is formed on one side facing the side of the bathroom mirror M among both sides of the first member 10 .

또한, 제1부재(10)의 하부에는 다수의 흡입구멍(12)이 뚫려 있고, 상면에는 다수의 배기구멍(13)이 뚫려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12 are dri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member 10 , and a plurality of exhaust holes 13 are drill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ember 10 .

그리고 제1부재(10)의 상부에는 흡입구멍(12)을 통해 공기 중의 수분을 내부로 빨아들이고, 배기구멍(13)을 통해 공기를 밖으로 내보내는 흡입팬(14)이 내장되어 있다.And a suction fan 14 is built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member 10 to suck the moisture in the air through the suction hole 12 to the inside, and to blow the air out through the exhaust hole 13 .

아울러 제1부재(10)의 가운데 부분에는 흡입팬(14)에 의해 흡입되는 수분을 흡수하였다가 제2전동기(15)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탈수하는 수분필터(16)가 내장되어 있다.In addition, a moisture filter 16 that absorbs moisture sucked by the suction fan 14 and rotates while receiving power from the second electric motor 15 is built in the middle of the first member 10 .

또한, 제1부재(10)의 하부에는 수분필터(16)에서 탈수되거나 흘러내리는 수분을 받아 모으는 트레이(17)가 서랍식으로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a tray 17 is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first member 10 in a drawer type to collect moisture that is dehydrated or dripped from the moisture filter 16 .

제2부재(20)는 중공형 원통이나 사각통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고, 욕실 거울(M)의 다른 쪽 가장자리와 인접해서 설치되어 있다.The second member 20 is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or square cylindrical shape, and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other edge of the bathroom mirror M.

그리고 제2부재(20)의 양쪽 측면 중 욕실 거울(M)의 측면과 마주하는 한쪽 측면에는 가이드슬롯(21)이 형성되어 있다.And a guide slot 21 is formed on one side facing the side of the bathroom mirror M among both sides of the second member 20 .

한편, 제2부재(20)의 내부에는 제1전동기(22)와 랙 기어(23) 및 가이드레일(25)이 설치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side the second member 20, the first electric motor 22, the rack gear 23 and the guide rail 25 are installed.

그리고 제1전동기(22)의 구동축에는 랙 기어(23)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24)가 고정되어 있다.And the pinion gear 24 meshing with the rack gear 23 is fixed to the drive shaft of the first electric motor 22 .

즉, 랙 기어(23)와 가이드레일(25)은 제1전동기(22)의 원활한 상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고, 이 가이드레일(25)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블록(26)이 장착되어 있다.That is, the rack gear 23 and the guide rail 25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from each other to guide the smooth vertical movement of the first electric motor 22, and the guide block ( 26) is installed.

또한, 제1전동기(22)는 제어 신호에 따라 피니언 기어(24)를 회전시켜 구동암(30)을 승강시키기 위해 가이드레일(25)을 따라 미끄러지듯이 승강하는 가이드블록(26)에 탑재되어 있다.In addition, the first electric motor 22 is mounted on the guide block 26 that slides along the guide rail 25 to raise and lower the drive arm 30 by rotating the pinion gear 24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

즉, 구동암(30)과 와이퍼(50)는 제1전동기(22)의 정/역회전과 랙 기어(23)와 피니언 기어(24)의 맞물림에 의하여 가이드레일(25)을 따라 승강하게 된다.That is, the driving arm 30 and the wiper 50 are raised and lowered along the guide rail 25 by the forward/reverse rotation of the first electric motor 22 and the meshing of the rack gear 23 and the pinion gear 24 . .

여기서 가이드레일(25)과 가이드블록(26)은 제1전동기(22)와 구동암(30) 및 와이퍼(50)의 이송에 따른 관성력 및 편하중 등의 힘을 분산시켜 한층 원활한 이송이 가능하면서 고도의 정밀한 동작을 유지하도록 좌우 한 쌍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guide rail 25 and the guide block 26 distribute the forces such as the inertial force and the eccentric load according to the transfer of the first electric motor 22, the driving arm 30, and the wiper 50, so that smoother transfer is possible. It is desirable to install a pair of left and right to maintain highly precise operation.

구동암(30)은 제1전동기(2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제2부재(20)의 가이드슬롯(21)을 따라 상하로 승강할 수 있도록 제1부재(10)와 제2부재(20) 사이를 가로질러 놓여 있다.The driving arm 30 receives power from the first electric motor 22 and rotates while moving up and down along the guide slot 21 of the second member 20 so that the first member 10 and the second member ( 20) is placed across.

롤러(40)는 구동암(30)의 자유단을 지지하면서 제1부재(10)의 레일홈(11)을 따라 활주할 수 있도록 구동암(30)의 자유단에 결합되어 있다.The roller 40 is coupled to the free end of the driving arm 30 so as to slide along the rail groove 11 of the first member 10 while supporting the free end of the driving arm 30 .

와이퍼(50)는 구동암(30)과 함께 회전 및 승강하면서 욕실 거울(M)의 표면에 맺힌 물방울과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구동암(30)의 둘레에 결합되어 있다.The wiper 50 is couple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driving arm 30 to remove water droplets and foreign substances on the surface of the bathroom mirror M while rotating and ascending and descending together with the driving arm 30 .

그리고 와이퍼(50)는 욕실 거울(M)의 표면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도록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And the wiper 50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o as to elastically contact the surface of the bathroom mirror (M).

또한, 와이퍼(50)는 구동암(30)이 끼워지는 중공형 튜브(51)가 형성되어 있고, 이 튜브(51)의 바깥쪽 둘레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블레이드(5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블레이드(52)들 사이 사이에는 튜브(51)의 중공 부분과 통하는 잔구멍(53)이 다수 뚫려 있다.In addition, the wiper 50 is formed with a hollow tube 51 into which the drive arm 30 is fitted, and a plurality of blades 52 are integrally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tube 51 . A plurality of small holes 53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portion of the tube 51 are drilled between the blades 52 .

아울러 블레이드(52)는 그 자유단 끝부분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 모양의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blade 52 is formed in a shape that gradually becomes narrower toward the free end of the blade 52 .

그리고 튜브(51)는 제2부재(20)에 내장되어 있는 에어컴프레셔(27)와 연결되어 있다.And the tube 51 is connected to the air compressor (27) built in the second member (20).

따라서 와이퍼(50)는 에어컴프레셔(27)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잔구멍(53)을 통해 분사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wiper 50 may receive compressed air from the air compressor 27 and spray it through the small hole 53 .

여기서 제1 및 제2전동기(22)(15)로는 모터 드라이브와 같이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켜 회전동력을 얻으며, 제어부로부터 신호 전류에 의해 시동(구동) 및 운전이 용이하고, 부하에 적합한 기종을 선택하기 쉽고, 소음 및 진동이 작고, 배기공해가 없는 통상의 전동기(전동 모터)를 사용하여 기계를 구동시키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Here, the first and second motors 22 and 15 convert electrical energy into mechanical energy like a motor drive to obtain rotational power, and start (drive) and operation are easy by a signal current from the control unit, and suitable for the load. It is easy to select a model, and a method of driving the machine using a normal electric motor (electric motor) with low noise and vibration and no exhaust pollution can be adopted.

예를 들면, 고정자 권선에 흐르는 교류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회전 자기장과 로터부에 발생하는 유도전류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생기는 회전력으로 작동하는 인덕션 모터를 사용하는 모터 드라이브를 채용할 수 있다.For example, a motor drive using an induction motor operating with a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an interaction between a rotating magnetic field generated by an alternating current flowing in the stator winding and an induced current generated in the rotor unit may be employed.

이외에도 제1 및 제2전동기(22)(15)로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른 전압 입력을 회전각으로 바꾸어 정지 및 반전 동작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서보 모터나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는 스테핑 모터, 혹은 모터의 회전수를 감속하여 구동에 필요한 힘으로 출력하도록 조절하는 감속기를 포함하는 기어드 모터를 채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motors 22 and 15 change the voltage input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into a rotation angle to quickly stop and reverse a servo motor, a stepping motor rotating by a certain angle, or the rotation of the motor. It is possible to employ a geared motor including a speed reducer that reduces the number and adjusts it to output the force required for driving.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욕실 거울 습기제거장치의 주요 작용 및 작동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main action and operating principle of the bathroom mirror dehumidify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전원 및 동작 제어 등을 위한 스위치 개폐 신호에 따라 제1전동기(22)가 구동하면, 이와 연결된 구동암(30) 및 욕실 거울(M)의 표면에 와이퍼(50)의 블레이드(52)가 탄력적으로 밀착된 채로 회전함과 동시에 가이드슬롯(21)과 가이드레일(25)의 안내에 따라 승강하게 된다.First, when the first electric motor 22 is driven according to a switch open/close signal for power and operation control, etc., the blade 52 of the wiper 50 on the surface of the driving arm 30 and the bathroom mirror M connected thereto is It rotates in close contact with elasticity and at the same time ascends and descends according to the guidance of the guide slot 21 and the guide rail 25 .

이때, 구동암(30)의 자유단에 장착되어 있는 롤러(40)가 제1부재(10)의 레일홈(11)을 따라 활주하면서 승강이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while the roller 40 mounted on the free end of the driving arm 30 slides along the rail groove 11 of the first member 10 , lifting and lowering can be performed smoothly and stably.

즉, 블레이드(52)가 욕실 거울(M)의 표면에 탄력적으로 접촉하여 구동암(30)에 의해 회전 및 승강하면서 욕실 거울(M)에 맺힌 물방울이나 그 표면에 묻은 비누 거품 드의 이물질을 자연스럽게 제거하게 된다.That is, the blade 52 elastically contacts the surface of the bathroom mirror (M) and rotates and ascends by the driving arm (30) to naturally remove water droplets formed on the bathroom mirror (M) or foreign substances of soap bubbles attached to the surface. will be removed

이 과정에서 와이퍼(50)는 에어컴프레셔(27)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잔구멍(53)을 통해 분사함으로써 욕실 거울(M)에 맺힌 물방울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In this process, the wiper 50 receives compressed air from the air compressor 27 and sprays it through the small hole 53 to more effectively remove the water droplets on the bathroom mirror M.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및 동작 제어 등을 위한 스위치 개폐 신호에 따라 흡입팬(14)이 작동하면, 욕실 내 공기 중의 수분은 제1부재(10)의 흡입구멍(12)을 통해 내부로 흡입되어 수분필터(16)에 흡수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5 , when the suction fan 14 operates according to a switch open/close signal for power and operation control, moisture in the air in the bathroom passes through the suction hole 12 of the first member 10 . It is sucked into the inside and absorbed by the moisture filter (16).

이 상태에서 제2전동기(15)를 구동하면, 수분필터(16)가 회전하면서 그 속에 들어 있던 수분을 탈수하게 된다.When the second electric motor 15 is driven in this state, the water filter 16 rotates to dehydrate the water contained therein.

즉, 수분필터(16)에 원심력이 작용하여 수분필터(16)에 흡수되어 있던 수분을 중심에서 밀어내게 되고, 이렇듯 원심력에 의해 밀려난 수분은 제1부재(10)의 내부에 부딪히면서 다른 수분 분자들과 결합하여 응결이 되고, 응결된 수분이 응축수가 되어 제1부재(10)의 하부에 서랍식으로 설치되어 있는 트레이(17)에 고이게 된다.That is, the centrifugal force acts on the moisture filter 16 to push out the moisture absorbed in the moisture filter 16 from the center. It is combined with the condensed water, and the condensed water becomes condensed water and is collected in the tray 17 installed in a drawer type at the lower part of the first member 10 .

이렇게 되면 탈수한 수분은 트레이(17)를 통해 간편하게 밖으로 배출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ehydrated moisture can be easily discharged outside through the tray 17 .

따라서 욕실 사용 중에 발생하는 수분(수증기)으로 인해 욕실 거울의 표면에 맺힌 물방울이나 비누 거품 등의 이물질이 묻을 경우 자동으로 깨끗하게 제거 및 청소(세척)할 수 있다.Therefore, if foreign substances such as water droplets or soap bubbles ar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bathroom mirror due to moisture (water vapor) generated while using the bathroom, it can be automatically removed and cleaned (washed).

그뿐만 아니라 욕실 내 공기순환을 원활히 하여 외부와의 온도 차이로 인해 욕실 거울에 발생하는 김서림 현상을 방지하고, 이와 동시에 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it facilitates air circulation in the bathroom to prevent fogging on the bathroom mirror due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with the outside, and at the same time effectively removes moisture.

다른 예로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부재(10)의 측면에 개폐도어를 형성할 수 있고, 개폐도어를 통해 상기 수분필터(16)를 교체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분필터(16)는 내측에 발열선이 복수갈래로 제공되어 전원 인가시 가열을 통해 필터의 수분을 제거하도록 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lthough not shown, an opening/closing door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member 10, and the moisture filter 16 may be replaced through the opening/closing door. In addition, the moisture filter 16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eating wires on the inside to remove moisture from the filter through heating when power is applied.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embodiment)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applied in various ways not illustrated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each It is clear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it can be widely applied by changing the component substitution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contents related to the modification and application of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제1부재 11: 레일홈
12: 흡입구멍 13: 배기구멍
14: 흡입팬 15: 제2전동기
16: 수분필터 17: 트레이
20: 제2부재 21: 가이드슬롯
22: 제1전동기 23: 랙 기어
24: 피니언 기어 25: 가이드레일
26: 가이드블록 27: 에어컴프레셔
30: 구동암 40: 롤러
50: 와이퍼 51: 튜브
52: 블레이드 53: 잔구멍
10: first member 11: rail groove
12: intake hole 13: exhaust hole
14: suction fan 15: second motor
16: moisture filter 17: tray
20: second member 21: guide slot
22: first electric motor 23: rack gear
24: pinion gear 25: guide rail
26: guide block 27: air compressor
30: drive arm 40: roller
50: wiper 51: tube
52: blade 53: small hole

Claims (5)

욕실 거울(M)의 한쪽 가장자리와 인접해서 설치되고, 상기 욕실 거울(M)의 측면과 마주하는 한쪽 측면에 레일홈(11)이 형성된 제1부재(10);
상기 욕실 거울(M)의 다른 쪽 가장자리와 인접해서 설치되고, 상기 욕실 거울(M)의 측면과 마주하는 한쪽 측면에 가이드슬롯(21)이 형성된 제2부재(20);
상기 제1부재(10)와 상기 제2부재(20) 사이를 가로질러 놓이고, 상기 제2부재(20)에 내장된 제1전동기(2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상기 제2부재(20)의 가이드슬롯(21)을 따라 승강하는 구동암(30);
상기 구동암(30)의 자유단을 지지하면서 상기 제1부재(10)의 레일홈(11)을 따라 활주하는 롤러(40);
상기 구동암(30)의 둘레에 결합되고, 상기 욕실 거울(M)의 표면에 탄성에 의해 탄력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구동암(30)과 함께 회전 및 승강하면서 상기 욕실 거울(M)의 표면에 맺힌 물방울을 제거하는 와이퍼(50):
상기 제1부재(10)의 흡입구멍(12)을 통해 공기 중의 수분을 상기 제1부재(10)의 내부로 빨아들이고, 상기 제1부재(10)의 배기구멍(13)을 통해 공기를 밖으로 내보내는 흡입팬(14);
상기 제1부재(10)에 내장되어 상기 흡입팬(14)에 의해 흡입되는 수분을 흡수하였다가 제2전동기(15)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탈수하는 수분필터(16); 및
상기 제1부재(10)의 하부에 서랍식으로 구비되어 상기 수분필터(16)에서 탈수되거나 흘러내리는 수분을 받아 모으는 트레이(1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습기제거장치.
A first member 10 installed adjacent to one edge of the bathroom mirror (M) and having a rail groove 11 formed on one side facing the side of the bathroom mirror (M);
a second member 20 installed adjacent to the other edge of the bathroom mirror (M) and having a guide slot 21 formed on one side facing the side of the bathroom mirror (M);
The second member ( 20) a driving arm 30 that ascends and descends along the guide slot 21;
a roller 40 sliding along the rail groove 11 of the first member 10 while supporting the free end of the driving arm 30;
It is coupled to the periphery of the driving arm 30, and is elastically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bathroom mirror M, and is rotated and ascended together with the driving arm 30 while forming on the surface of the bathroom mirror M. Wiper (50) to remove water droplets:
Moisture in the air is sucked into the inside of the first member 10 through the suction hole 12 of the first member 10 , and the air is drawn out through the exhaust hole 13 of the first member 10 . Suction fan (14) for discharging;
a moisture filter (16) built in the first member (10) to absorb moisture sucked by the suction fan (14) and dehydrated while receiving power from the second electric motor (15); and
a tray (17) provided in a drawer type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member (10) to receive and collect moisture dehydrated or flowing from the moisture filter (16);
Bathroom dehumidifie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20)에 내장된 랙 기어(23);
상기 제1전동기(22)의 구동축에 고정되고, 상기 랙 기어(23)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24);
상기 제2부재(20) 내에 상기 랙 기어(23)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원활한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25); 및
상기 제1전동기(22)가 탑재되고, 상기 제1전동기(22)의 정/역회전에 의해 상기 가이드레일(25)을 따라 미끄러지듯이 이동하는 가이드블록(26);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습기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rack gear 23 built into the second member 20;
a pinion gear (24) fixed to the drive shaft of the first electric motor (22) and meshing with the rack gear (23);
a guide rail 25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ack gear 23 in the second member 20 and guiding smooth movement; and
a guide block 26 on which the first motor 22 is mounted and sliding along the guide rail 25 by forward/reverse rotation of the first motor 22;
Bathroom dehumidifi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50)는,
상기 구동암(30)이 끼워지는 중공형 튜브(51)와, 상기 튜브(51)의 바깥쪽 둘레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고, 끝부분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 모양의 블레이드(52)로 이루어지며,
상기 튜브(51)는 둘레에 잔구멍(53)이 다수 뚫리고,
상기 제2부재(20)에 내장된 에어컴프레셔(27)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잔구멍(53)을 통해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습기제거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wiper 50,
A hollow tube 51 into which the drive arm 30 is fitted, and a plurality of blades 52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tube 51 and gradually narrowing toward the end. is made up of
The tube 51 has a number of small holes 53 perforated around it,
Bathroom moisture remov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receiving compressed air from the air compressor (27) built into the second member (20) and spraying it through the small hole (53).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필터(16)는,
상기 제1부재(10)의 측면을 통해 교체 가능하며, 내측에 발열선이 제공되어 전원 인가시 가열을 통해 필터의 수분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습기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oisture filter 16,
A bathroom moisture remov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eplaceable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member (10), and a heating wire is provided inside to remove moisture from the filter through heating when power is applied.
KR1020210118143A 2021-09-06 2021-09-06 Moisture removal apparatus for bathroom KR1023596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143A KR102359611B1 (en) 2021-09-06 2021-09-06 Moisture removal apparatus for bathroo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143A KR102359611B1 (en) 2021-09-06 2021-09-06 Moisture removal apparatus for bathroo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9611B1 true KR102359611B1 (en) 2022-02-08

Family

ID=80251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8143A KR102359611B1 (en) 2021-09-06 2021-09-06 Moisture removal apparatus for bathroo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9611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6598A (en) * 1999-11-13 2001-06-15 류정열 Warm air supplying device of a wiper for an automobile
KR20140016022A (en) 2012-07-30 2014-02-07 김만태 Moisture removal device of the mirror glass
KR101696580B1 (en) * 2016-07-11 2017-01-13 신광례 Bathroom mirror cleaning device
KR102035420B1 (en) 2018-04-27 2019-10-22 강지경 Smart bathroom furniture system
KR102166761B1 (en) 2020-02-12 2020-10-16 이상영 Apparatus for moisture removal of window
CN212821319U (en) * 2020-05-31 2021-03-30 刘婷婷 Solar photovoltaic board cleaning devi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6598A (en) * 1999-11-13 2001-06-15 류정열 Warm air supplying device of a wiper for an automobile
KR20140016022A (en) 2012-07-30 2014-02-07 김만태 Moisture removal device of the mirror glass
KR101696580B1 (en) * 2016-07-11 2017-01-13 신광례 Bathroom mirror cleaning device
KR102035420B1 (en) 2018-04-27 2019-10-22 강지경 Smart bathroom furniture system
KR102166761B1 (en) 2020-02-12 2020-10-16 이상영 Apparatus for moisture removal of window
CN212821319U (en) * 2020-05-31 2021-03-30 刘婷婷 Solar photovoltaic board clean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54814B1 (en) Dishwasher comprising at least one fan impeller in the dishwashing compartment
KR100882993B1 (en) Air conditioner
JP524975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an electric hair cutter and kit having such apparatus
KR102359611B1 (en) Moisture removal apparatus for bathroom
CN112656282B (en) Window glass scrubbing equipment
CN108626180B (en) Method for improving exhaust efficiency of exhaust fan
CN113116226A (en) Cleaning device with comb-tooth pipe
CN216825316U (en) Air separator
CN110876591B (en) Full-automatic glass curtain wall cleaning equipment
CN212258762U (en) Special frequency converter for H1 series engraving machine
CN109647746B (en) Automatic paid cleaning machine for stepped summer sleeping mat
CN113249918A (en) Natural luster finishing machine for flexible fabric
CN207576983U (en) A kind of hardware copper product industrial water cleaning device
CN218309708U (en) Multi-angle circulating air return mechanism of air shower
JP2010127515A (en) Filter cleaning device and air conditioning device
CN214019669U (en) Ozone tail gas steam-water separation equipment
CN220005223U (en) Purification plant air shower purifying equipment
JP2008082671A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CN109442623A (en) A kind of smart home structure with exhaust-gas treatment function
CN220570158U (en) Dustproof mechanism of power distribution cabinet
CN220143698U (en) Industrial centrifuge for vegetable processing
CN217938128U (en) Detachable tray, base and surface cleaning system
CN220229211U (en) Catalytic combustion exhaust treatment device
CN216346786U (en) Air cooling device with high-efficient self-cleaning function
CN219210914U (en) Air shower capable of effectively removing du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