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9449B1 - A freight elevator equipped with a working unit - Google Patents
A freight elevator equipped with a working un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59449B1 KR102359449B1 KR1020200053103A KR20200053103A KR102359449B1 KR 102359449 B1 KR102359449 B1 KR 102359449B1 KR 1020200053103 A KR1020200053103 A KR 1020200053103A KR 20200053103 A KR20200053103 A KR 20200053103A KR 102359449 B1 KR102359449 B1 KR 1023594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ork
- work unit
- cage
- guide frame
- screw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87—Devices facilitating maintenance, repair or inspection tas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43—Devices enhancing safety during maintenance
- B66B5/005—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Landscapes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지의 하부에 작업 유닛을 구비한 화물용 승강기에 관한 것으로, 로프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케이지를 구비하는 작업 유닛을 구비한 화물용 승강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의 하부에 설치되는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내측에 구속되어 회전하는 스크루와, 상기 스크루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끼워지고 상기 스크루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작업자를 안내하거나 보호하는 작업유닛을 포함하는 작업 유닛을 구비한 화물용 승강기에 의해 달성된다. 이에 따라, 승강기의 케이지 하부에 이동 및 접이식 작업대를 마련함으로써 작업영역이 넓어지고, 케이지 하부에서 작업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go elevator having a work unit under the cage, and in the cargo elevator having a work unit having a cage that rises or descends by a rope, a guide frame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cage. And, a screw constrained inside the guide frame to rotate, a driving motor for rotating the screw, and the guide frame fitted to the guide frame and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frame by rotation of the screw to guide or protect the operator This is achieved by an elevator for cargo having a work unit comprising a work unit. Accordingly, by providing a movable and foldable work table in the lower part of the cage of the elevator, the work area is widened,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safety accidents when working in the lower part of the cage.
Description
본 발명은 케이지의 하부에 작업 유닛을 구비한 화물용 승강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for cargo having a work unit in the lower part of the cage.
최근 건물이 고층화됨에 따라 많은 승객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엘리베이터(승강기)가 개발 및 설치되고 있다. 주지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는 건물의 내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소정 공간인 승강로(피트)를 따라 상하로 직선운동하며 승객이나 화물 등을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는 운반수단이다.Recently, as buildings become taller, various types of elevators (elevators) that can move many passengers quickly and efficiently are being developed and installed. As is well known, an elevator is a transport means that can safely transport passengers or cargo by moving vertically along a hoistway (pit), which is a predetermined space formed vertically inside a buildin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화물용 엘리베이터는 건물 내의 승강로 양측 벽면에 수직으로 견고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GR)과,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하는 케이지(E)와, 일단이 케이지에 연결된 와이어로프(미도시)와, 와이어로프의 타단에 연결되고 케이지의 이동경로와 중복되지 않게 승강로의 일 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케이지의 이동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균형추(미도시)와, 승강로의 최상부에 설치되어 와이어로프와 마찰 접촉하여 정/역회전에 의해 케이지 및 균형추를 승강시키는 구동모터(미도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케이지의 상단에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난간대(H)가 설치된다.As shown in Figure 1, a conventional general freight elevator includes a guide rail (GR) that is vertically and firmly installed on both walls of a hoistway in a building, a cage (E) that goes up and down along the guide rail, and one end is in the cage. A connected wire rope (not shown) and a counterweight (not shown) that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wire rope and mov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age along the guide rail installed vertically on one side of the hoistway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moving path of the cage (not shown). city) and a driving motor (not shown) installed at the top of the hoistway and in friction contact with the wire rope to elevate the cage and counterweight by forward/reverse rotation. And a handrail (H) is installed at the top of the cage to prevent the operator from falling.
일반적인 화물용 엘리베이터는 승강로에서 작업할 때 케이지의 상부에 작업자가 타고 수동으로 케이지를 이동하면서 작업을 한다. 이때, 케이지의 상부에는 난간대가 설치돼 있어서 작업시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케이지가 이동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는 케이지의 상부에서 작업이 가능하지만 케이지가 이동할 수 없는 최 저층의 승강로 하부에서는 케이지 상부에서 작업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In a general freight elevator, when working in a hoistway, a worker rides on the upper part of the cage and moves the cage manually. At this time, a handrail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cage to prevent the worker from falling while working. That is, it is possible to work at the top of the cage within the range where the cage can move, bu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impossible to work at the top of the cage at the lower part of the hoistway of the lowest floor where the cage cannot move.
승강로의 하부에서 작업할 때 승강로가 깊을수록 긴 사다리가 필요하고, 승강로의 하부를 점검하려면 매번 승강로의 바닥으로 내려가야만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승강로에 바닥으로 내려가는 사다리가 없을 경우 사다리를 매번 동원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승강로에 여유공간이 있으면 벽면에 고정식 사다리를 설치한다. 승강로에 설치할 고정식 사다리는 승강로 벽면의 한쪽에만 설치되기 때문에 반대쪽 벽면에 작업할 일이 발생하면 사다리를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히, 고정식 사다리를 설치할 수 없는 곳은 접이식 사다리를 이용할 수밖에 없는데 벽면에 앵커 볼트 설치 등의 큰 부하가 필요한 작업시에는 접이식 사다리에 올라 작업할 때 작업자가 추락하는 문제가 있다. 게다가, 작업자가 안전복을 착용하고 있어도 안전복에 있는 후크를 걸 곳이 마땅치 않아서 접이식 사다리에 후크를 고정하게 되며, 작업자가 추락하면 사다리도 함께 넘어져 오히려 더 큰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When working in the lower part of the hoistway, the deeper the hoistway, the longer a ladder is required. However, if there is no ladder going down to the floor in the hoistway, it is inconvenient to mobilize the ladder every time. Since the fixed ladder to be installed in the hoistway is installed on only one side of the hoistway wall, if work occurs on the opposite wall, the ladder cannot be used. In particular, in places where a fixed ladder cannot be installed, there is no choice but to use a folding ladder,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orker falls when working on the folding ladder when a large load such as installation of anchor bolts is required on the wall. In addition, even if the worker is wearing a safety suit, there is no proper place to hang the hook in the safety suit, so the hook is fixed to the folding ladder, and when the operator falls, the ladder also falls together, causing a larger safety accident.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승강기의 케이지 하부에 이동 및 접이식 작업대를 마련함으로써 작업영역이 넓어지고, 케이지 하부에서 작업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작업 유닛을 구비한 화물용 승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by providing a movable and foldable work table under the cage of the elevator, the work area is widened, and a work unit that can prevent safety accidents when working under the cage is provid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vator for cargo.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로프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케이지를 구비하는 작업 유닛을 구비한 화물용 승강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의 하부에 설치되는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내측에 구속되어 회전하는 스크루와, 상기 스크루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끼워지고 상기 스크루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작업자를 안내하거나 보호하는 작업유닛을 포함하는 작업 유닛을 구비한 화물용 승강기에 의해 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 a cargo elevator having a work unit having a cage that rises or descends by a rope, a guide frame installed under the cage, and restraint on the inside of the guide frame A work unit comprising a screw to rotate and a driving motor for rotating the screw and a work unit fitted to the guide frame and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frame by rotation of the screw to guide or protect the operator It is achieved by one freight elevator.
또, 상기 작업유닛은,In addition, the work unit,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끼워지고 상기 스크루의 회전에 의해서 이동하는 이동블록 및 상기 이동블록으로부터 회전하고 상기 작업자를 안내하거나 보호하는 작업대를 포함할 수 있다.It is fitted to the guide frame and rotates from the moving block and the moving block moving by the rotation of the screw and may include a workbench for guiding or protecting the operator.
또한, 상기 케이지의 하부에 상기 작업대를 구속하는 구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cage may include a restraining portion for restraining the worktable.
또, 상기 작업유닛은,In addition, the work unit,
상기 작업대에 상기 작업자를 보호하는 보호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a protective frame to protect the worker on the workbench.
또, 상기 작업유닛은,In addition, the work unit,
적어도 하나의 고리를 포함하되, 상기 고리에 공구 또는 작업자용 후크를 걸어서 상기 작업자 또는 상기 공구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However, including at least one r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a fall of the operator or the tool by hanging the hook for the tool or the worker on the hook.
또, 상기 보호프레임은,In addition, the protection frame,
상기 작업대로부터 회전하되, 상기 보호프레임이 상기 작업대의 내측으로 인입되거나 상기 작업대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It rotates from the workbench, and the protection frame may be drawn into the workbench or protrude from the workbench.
또한, 상기 작업대 및 상기 보호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include a rotation motor for rotating at least one of the work table and the protection frame.
또한, 작업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include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ork unit.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지의 하부에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작업유닛을 마련함으로써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고,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work unit in the lower part of the cage that the worker can work safely, the worker can work safely,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orker from falling.
또한, 평상시에는 작업유닛을 접음으로써 케이지와 피트 바닥에 설치된 완충장치가 서로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folding the work unit in normal times, it is possible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the cage and the shock absorber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pit.
또한, 작업대의 끝단을 구속부에 수납함으로써 작업대가 펼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accommodating the end of the work table in the restraint por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ork table from being unfolded.
또한, 보호프레임을 등받이로 사용할 수 있어서 피트의 벽면에 앵커 볼트 설치 등의 큰 부하의 작업이 용이하다.In addition, since the protection frame can be used as a backrest, it is easy to work with a large load such as installing anchor bolts on the wall of the pit.
또한, 고리에 공구 또는 작업자 안전복의 후크를 걸 수 있어서 공구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작업자가 추락하더라도 작업유닛에 매달릴 수 있어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hook of the tool or worker's safety clothing can be hung on the hook, the tool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and even if the worker falls, it can be hung on the work unit, thereby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또한, 작업대가 이동함으로써 작업영역이 넓어지고, 이에 따라 작업자가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다.In addition, by moving the work table, the work area is widened, and thus the operator can work easily.
도 1은 종래의 작업 유닛을 구비한 화물용 승강기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 유닛을 구비한 화물용 승강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 유닛을 구비한 화물용 승강기에서 작업유닛의 후방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 유닛을 구비한 화물용 승강기에서 제어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 유닛을 구비한 화물용 승강기에서 작업유닛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ortion of a freight elevator having a conventional work unit.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argo elevator having a work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rear of the work unit in the elevator for cargo having a work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trol part in the elevator for cargo having a work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8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work unit in the elevator for cargo having a work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already known technical parts will be omitted or compressed for brevity of description.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 유닛을 구비한 화물용 승강기는, 케이지(E), 가이드프레임(10), 스크루(12), 구동모터(13), 구동롤러(14), 텐션롤러(15), 구동벨트(16), 작업유닛(20), 구속부(50) 및 고리(25)를 포함한다. 여기에, 검출부(30) 및 컨트롤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2 to 8, the cargo elevator having a work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ge (E), a guide frame (10), a screw (12), a driving motor (13), It includes a
케이지(E)는, 화물을 실어 나르는 것으로, 일반적인 화물용 카를 이용하고, 상부에는 추락을 방지하는 난간대(H)가 설치된다.The cage (E) is to carry cargo, and a general cargo car is used, and a handrail (H) to prevent a fall is installed in the upper part.
가이드프레임(10)은, 스크루(12) 및 작업유닛(20)을 지지하는 것으로, 단면이 대략 "ㄷ" 모양으로 형성되고, 한 쌍이 마련되며, 케이지(E)의 양쪽 저면에 각각 설치되되 개구된 면이 바깥쪽을 향해 설치된다.The
또한, 가이드프레임(10)은 내측의 바닥면과 상면에 후술할 이동블록(21)을 안내하는 가이드라인(101)이 각각 돌출 형성되고, 양단에 스크루(12)를 구속하는 구속패널(11)이 각각 설치된다.In addition, the
스크루(12)는, 이동블록(21)을 이동시키는 것으로, 가이드프레임(10)에 각각 배치되되 양단이 구속패널(11)에 각각 끼워져 구속되고, 일단은 후술할 구동벨트(16)를 안내하는 구동롤러(14)와 결합하며, 구동모터(13)에 의해 회전한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The
구동모터(13)는, 스크루(12)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케이지(E)의 저면에 설치되고, 구동모터(13)의 축은 후술할 구동벨트(16)를 안내하는 구동롤러(14)와 결합한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The
구동롤러(14)는, 구동벨트(16)를 안내하는 것으로, 모양은 구동벨트(16)에 대응하고, 총 3개가 마련되되 구동모터(13)의 축과 스크루(12)의 일단에 각각 끼워진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The
텐션롤러(15)는, 구동벨트(16)의 장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두 개가 마련되되 스크루(12)에 끼워진 구동롤러(14)와 구동모터(13)의 축에 끼워진 구동롤러(14)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케이지(E)의 저면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텐션롤러(15)에 의해서 구동벨트(16)가 느슨해 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구동벨트(16)는, 스크루(12)와 모터를 연결하는 것으로, 구동벨트(16)의 내측은 스크루(12) 및 구동모터(13)의 축에 끼워진 구동롤러(14)와 밀착하고, 외측은 텐션롤러(15)와 밀착한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13)가 작동하면, 구동모터(13)의 축에 끼워진 구동롤러(14)가 회전하고, 구동롤러(14)가 회전하면 구동벨트(16)가 회전하며, 구동벨트(16)가 회전함으로써 스크루(12)가 회전한다. 이때, 스크루(12)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스크루(12)에 끼워진 이동블록(21)이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작업유닛(20)은, 작업자가 안전하고 편하게 작업할 수 있는 유닛으로, 이동블록(21), 작업대(22), 보호프레임(23), 회전 모터(24) 및 고리(25)를 포함한다.The
이동블록(21)은, 작업유닛(20)을 스크루(1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부는 가이드프레임(10)의 가이드라인(101)과 스크루(12)에 대응하되, 상부가 스크루(12)에 끼워지면서 가이드프레임(10)의 내측에 각각 삽입되고, 하단은 후술할 작업대(22)와 결합한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13)가 작동하면 한 쌍의 스크루(12)가 동시에 회전하고, 스크루(12)가 회전하면 가이드프레임(10)으로부터 이동블록(21)이 전진 또는 후진한다.The moving
작업대(22)는, 작업자의 발판역할을 하거나 좌석역할을 하는 것으로, 대략 "ㄷ" 모양으로 형성되고, 양단은 이동블록(21)의 하부와 각각 결합하되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 된다. 이에 따라, 작업대(22)는 이동블록(21)으로부터 전방으로 회전하거나 후방으로 회전하되, 수직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약 90°로 회전하거나 후방으로 약 90°로 회전할 수 있다. 이는, 승강기의 피트 양측에 케이지(E)를 안내하는 레일이 배치되고, 전방으로는 건물의 층마다 설치되는 도어가 마련된다. 즉, 레일을 제외한 나머지 부품들은 피트의 전방 또는 후방에 집약돼 있어서 대부분 승강기를 유지하는 작업 또한 전방 또는 후방에서 작업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작업대(22)가 발판이 될 수 있도록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시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작업대(22)를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이동블록(21)을 이동시키면 작업자는 작업대(22)를 발판삼아 이동하거나 걸터앉을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케이지(E)에 매달려서 작업할 필요가 없고, 작업대(22)에 서서 작업하거나 걸터앉아서 작업함으로써 안전하고 편안하게 작업할 수 있다.The work table 22, which acts as a footrest or a seat for the operator, is formed in an approximately "C" shape, and both ends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oving
보호프레임(23)은, 작업자의 등받이 역할 및 추락을 방지하는 것으로, 대략 "ㄷ" 모양으로 형성되고, 양단이 작업대(22)의 내측에 배치되되 작업대(22)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작업대(22)와 결합한다. 이에 따라, 평상시에는 보호프레임(23)이 작업대(22)의 내측으로 회전하여 삽입되고, 작업할 때 작업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작업자의 등을 지지한다. 즉, 피트의 벽면에 앵커 볼트작업시 드릴로 콘크리트 벽면을 뚫어야 하는데 등받이가 없으면 드릴로 콘크리트 벽면을 뚫을 때 작업자의 몸이 뒤로 밀려서 작업하기 매우 곤란하고, 불안정한 자세로 작업을 해야 하므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등받이 역할을 하는 보호프레임(23)으로 인해 작업자가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안정적인 자세를 취함으로써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으며, 나아가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작업이 끝나면 보호프레임(23)을 작업대(22)의 내측으로 접어서 보관함으로써 피트 바닥에 설치된 완충장치와의 간섭을 제거할 수도 있다.The
회전 모터(24)는, 작업대(22) 및 보호프레임(23)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제1회전모터(241) 및 제2회전모터(242)를 포함한다.The
제1회전모터(241)는, 작업대(22)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작업대(22)의 양단 내측에 각각 설치된다. 이에 따라, 제1회전모터(241)가 작동하면 이동블록(21)으로부터 작업대(22)가 회전한다.The first
제2회전모터(242)는, 보호프레임(23)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작업대(22)의 양쪽 외측에 각각 설치된다. 이에 따라, 제2회전모터(242)가 작동하면 보호프레임(23)이 회전한다.The
고리(25)는, 작업자의 안전복에 마련된 후크를 걸거나 공구에 마련된 후크를 거는 것으로, 작업대(22) 또는 보호프레임(23)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복수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안전복을 입은 상태에서 안전복에 마련된 후크를 고리(25)에 걸면, 작업자가 작업유닛(20)으로부터 추락하더라도 안전복에 마련된 후크가 고리(25)에 걸려있어서 작업자가 피트의 바닥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구를 고리(25)에 걸어서 사용할 수 있어서 공구가 피트의 바닥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구속부(50)는, 작업대(22)를 거치시켜 구속하는 것으로, 가이드프레임(10)의 전단 저면에 각각 설치되되 하부로 돌출되고 끝단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작업대(22)를 회전시켜 작업대(22)가 가이드프레임(10)에 근접하면, 이동블록(21)을 후방으로 이동시킨 후 작업대(22)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작업대(22)의 일부가 구속부(50)에 삽입된다. 작업대(22)의 일부가 구속부(50)에 삽입된 후 이동블록(21)을 정지시키면 작업대(22)가 구속부(50)에 걸려서 작업대(22)가 하부로 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령, 케이지(E) 이동시 또는 케이지(E)에 화물 적재시 케이지(E)에 진동이 발생하거나 충격이 가해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작업대(22)가 조금씩 회전하여 하부로 처져서 피트 바닥에 설치된 완충장치와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작업대(22)를 구속부(50)에 안착시킨 후 케이지(E)에 진동이 발생하거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작업대(22)가 구속부(50)에 걸려서 작업대(22)가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검출부(30)는, 이동블록(21), 작업대(22) 및 보호프레임(23)의 위치를 검출하여 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 이동블록(21), 작업대(22) 및 보호프레임(23)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복수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블록(21)의 위치, 작업대(22) 및 보호프레임(23)의 회전각도를 검출하여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토대로 구동모터(13) 및 회전 모터(24)를 제어함으로써 이동블록(21)이 가이드프레임(10)으로부터 벗어나거나 작업대(22)가 가이드프레임(10)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작업대(22)가 접힌 상태에서 보호프레임(23)이 작업대(22)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상술한 구동모터(13) 및 회전 모터(24)는 검출부(3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되는 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즉, 구동모터(13) 및 회전 모터(24)에 제어부(C)가 각각 마련되어 검출부(30)로부터 생성된 정보를 토대로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구동모터(13) 및 회전 모터(24)가 작동될 수 있다. 또한, 구동모터(13) 및 회전 모터(24)는 이동블록(21), 작업대(22) 및 보호프레임(23)이 외력에 의해서 임의로 이동하거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기어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컨트롤러(40)는, 구동모터(13) 및 회전 모터(24)를 제어하는 것으로, 케이지(E)의 한 부분에 수납된다. 또한, 컨트롤러(4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구동모터(13) 및 회전 모터(24)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컨트롤러(40)를 통해서 작업유닛(20)을 제어하고, 작업유닛(20)을 구속부(50)에 파킹 시킬 수 있다.The
여기서, 컨트롤러(40)는 초기구동 버튼(41), 파킹 버튼(42) 및 구동모터(13)와 회전 모터(24)를 제어하는 복수의 제어 버튼(43)을 포함하고, 컨트롤러(40) 및 신호 상태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4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초기구동 버튼(41)을 누르면 작업대(22)가 구속부(50)로부터 이탈하여 하향 회전하여 수직으로 세워진다. 또한, 파킹 버튼(42)을 누르면 펼쳐져 있던 보호프레임(23)이 작업대(22)의 내측으로 인입되고, 작업대(22)가 전방으로 회전하며 이동블록(21)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작업대(22)의 일부가 구속부(50)로 인입된다. 한편, 디스플레이(44)에는 컨트롤러(40)와 구동모터(13) 및 회전 모터(24) 간의 신호상태가 출력되고, 작업유닛(20)이 펼쳐진 또는 접힌 상태가 출력되거나 파킹 상태가 출력된다.Here, the
또한, 컨트롤러(40)는 작업자의 스마트폰 등의 휴대단말기와 연동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케이지(E) 하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작업상태를 케이지(E) 상부에 있는 작업자가 알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강카 하부에 있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상부에 있는 작업자가 케이지(E)를 이동시켜서 In addition, th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 유닛을 구비한 화물용 승강기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operating state of the elevator for cargo having a work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작업자가 컨트롤러(40)를 통해서 초기구동 버튼(41)을 누르면, 구동모터(13)가 작동하면서 이동블록(21)이 후방으로 이동하여 작업대(22)가 구속부(50)로부터 이탈한다.When the operator presses the
작업대(22)가 구속부(50)로부터 벗어나면 제1회전모터(241)가 작동하여 작업대(22)를 하부로 회전시켜 초기구동 상태가 된다.When the
작업대(22)가 회전하여 수직으로 세워지면 컨트롤러(40)의 제어 버튼(43)을 통해서 제2회전모터(242)를 작동시켜 보호프레임(23)을 회전시킨다.When the work table 22 is rotated and erected vertically, the
이후, 컨트롤러(40)의 제어 버튼(43)을 이용하여 구동모터(13)를 작동시켜 이동블록(21)을 전방으로 이동시킨다.Thereafter, the driving
이동블록(21)이 전방으로 이동한 후 작업자는 작업대(22) 위에 올라탄 후 작업자의 보호복에 마련된 후크를 고리(25)에 걸고 작업 방향에 맞춰 보호프레임(23)을 회전시킨다.After the moving
즉, 전방 작업시에는 보호프레임(23)을 후방으로 회전시키고, 후방 작업시에는 보호프레임(23)을 전방으로 회전시킨다.That is, the
작업 방향에 맞게 보호프레임(23)을 회전한 후에는 컨트롤러(40)를 통해 구동모터(13)를 작동시켜서 작업자를 작업할 지점에 근접시킨다.After rotating the
작업자가 작업할 지점에 근접하면 구동모터(13)를 정지시키고, 작업자는 작업대(22)에 걸터앉아 작업을 진행한다.When the operator approaches the work point, the
여기서, 보호프레임(23)에 마련된 고리(25)에 별도의 안전띠를 연결하여 작업자가 전방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고리(25)에 공구 등을 걸어서 사용함으로써 공구가 피트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Here,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operator from falling forward by connecting a separate safety belt to the
작업이 끝나고 작업자가 작업유닛(20)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난 후에는 컨트롤러(40)의 파킹 버튼(42)을 눌러서 작업유닛(20)을 파킹 시킨다. 즉, 컨트롤러(40)의 파킹 버튼(42)을 누르면 이동블록(21)이 후방으로 이동하고 보호프레임(23)이 작업대(22) 내측으로 회전하며 작업대(22)가 상향 회전한 후 이동블록(21)이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동블록(21)이 전방으로 이동하면 작업대(22)의 일부가 구속부(50)로 인입되고, 작업대(22)의 일부가 구속부(50)로 완전히 인입되면 검출부(30)에서 이를 검출함과 동시에 구동모터(13)의 작동이 멈추면서 이동블록(21)이 정지한다.After the work is finished and the operator completely departs from the
따라서, 본 발명은 피트 하부에서 작업자가 안전하면서도 손쉽게 작업할 수 있고, 나아가 작업자가 추락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공구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작업유닛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작업유닛을 접어서 케이지의 저면에 밀착시킴으로써 전체적인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고, 나아가 피트의 바닥에 설치된 완충장치와의 간섭을 제거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or can work safely and easily in the lower part of the pit, and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according to the fall of the operator,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ool from falling. In addition, when the work unit is not in use, the overall volume can be minimized by folding the work unit and adhering to the bottom of the cage, and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interference with the shock absorber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pit.
상술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그 실시 예가 상이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even if the embodiments are differ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the description may be omitted if necessary.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것 외에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만으로도 상기 실시 예와 동일 범주 내의 다른 형태의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영역의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by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ecaus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have only been described with preferre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Therefore, in addition to those described above,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forms within the same scope as the above embodiment only by explain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possible to carry out the invention in an area equivalent to
E; 케이지 H; 난간대
10; 가이드프레임 101; 가이드라인
11; 구속패널 12; 스크루
13; 구동모터 14; 구동롤러
15; 텐션롤러 16; 구동벨트
20; 작업유닛 21; 이동블록
22; 작업대 23; 보호프레임
24; 회전 모터 241; 제1회전모터
242; 제2회전모터 25; 고리
30; 검출부 40; 컨트롤러
41; 초기구동 버튼 42; 파킹 버튼
43; 제어 버튼 44; 디스플레이
50; 구속부 C; 제어부E; cage H; handrail
10;
11;
13; drive
15;
20;
22;
24;
242; a second
30;
41;
43;
50; restraint C; control
Claims (8)
상기 케이지의 하부에 설치되는 가이드프레임;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내측에 구속되어 회전하는 스크루;
상기 스크루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끼워지고 상기 스크루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작업자를 안내하거나 보호하는 작업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작업유닛은,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끼워지고 상기 스크루의 회전에 의해서 이동하는 이동블록; 및
상기 이동블록으로부터 회전하고 상기 작업자를 안내하거나 보호하는 작업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유닛을 구비한 화물용 승강기.
In the cargo elevator having a work unit having a cage that rises or descends by means of a rope,
a guide frame installed under the cage;
a screw constrained to rotate inside the guide frame;
a driving motor for rotating the screw; and
A work unit fitted to the guide frame and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frame by rotation of the screw to guide or protect the operator; including,
The work unit is
a moving block fitted to the guide frame and moved by rotation of the screw; and
A workbench rotating from the moving block and guiding or protecting the oper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argo elevator with work unit.
상기 케이지의 하부에 상기 작업대를 구속하는 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유닛을 구비한 화물용 승강기.
According to claim 1,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Cargo elevator with work unit.
상기 작업유닛은,
상기 작업대에 상기 작업자를 보호하는 보호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유닛을 구비한 화물용 승강기.
According to claim 1,
The work unit is
A protective frame for protecting the worker on the workbench;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Cargo elevator with work unit.
상기 작업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고리;를 포함하되,
상기 고리에 공구 또는 작업자용 후크를 걸어서 상기 작업자 또는 상기 공구의 추락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유닛을 구비한 화물용 승강기.
According to claim 1,
The work unit is
at least one ring; including,
Hanging a tool or a hook for a worker on the ring, characterized in that to prevent the worker or the tool from falling
Cargo elevator with work unit.
상기 보호프레임은,
상기 작업대로부터 회전하되, 상기 보호프레임이 상기 작업대의 내측으로 인입되거나 상기 작업대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유닛을 구비한 화물용 승강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protection frame,
rotated from the work bench,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ection frame is drawn into the work bench or protrudes from the work bench
Cargo elevator with work unit.
상기 작업대 및 상기 보호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유닛을 구비한 화물용 승강기.
7. The method of claim 6,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tation motor for rotating at least one of the work table and the protection frame.
Cargo elevator with work unit.
상기 작업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유닛을 구비한 화물용 승강기.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to 7,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ork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Cargo elevator with work uni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3103A KR102359449B1 (en) | 2020-05-04 | 2020-05-04 | A freight elevator equipped with a working un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3103A KR102359449B1 (en) | 2020-05-04 | 2020-05-04 | A freight elevator equipped with a working uni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35017A KR20210135017A (en) | 2021-11-12 |
KR102359449B1 true KR102359449B1 (en) | 2022-02-08 |
Family
ID=78487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53103A KR102359449B1 (en) | 2020-05-04 | 2020-05-04 | A freight elevator equipped with a working uni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59449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155096A (en) * | 2007-12-27 | 2009-07-16 | Toshiba Elevator Co Ltd | Workbench device below elevator car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25780A (en) | 2018-08-31 | 2020-03-10 | 이금기 | Safety railing for elevators |
-
2020
- 2020-05-04 KR KR1020200053103A patent/KR10235944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155096A (en) * | 2007-12-27 | 2009-07-16 | Toshiba Elevator Co Ltd | Workbench device below elevator ca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35017A (en) | 2021-11-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742591B2 (en) | Elevator terminal safety device | |
JP5450061B2 (en) | Elevator with shallow pits and / or low overhead | |
RU2196096C2 (en) | Method of and device for mounting of lift | |
EP3909897A1 (en) | Elevator car, elevator and method | |
JP2000143125A (en) | Elevator | |
JP5621017B1 (en) | Elevator rope runout suppression system | |
JP2011126628A (en) | Elevator inspection stand | |
JP5778722B2 (en) | Elevator with shallow pits and / or low overhead | |
CN112777455A (en) | Elevator cage | |
US6390235B1 (en) | Emergency escape device for buildings | |
KR102359449B1 (en) | A freight elevator equipped with a working unit | |
JP4140036B2 (en) | Trolley-type work scaffolding | |
JPH0597357A (en) | Elevator cage device | |
JP2008024409A (en) | Pit ladder device for elevator | |
JP4454765B2 (en) | elevator | |
CN114803756B (en) | Operation safety device for elevator | |
JP2009155096A (en) | Workbench device below elevator car | |
JP7224532B2 (en) | elevator pit ladder equipment | |
JP6297241B1 (en) | Elevator equipment | |
JP4436739B2 (en) | Elevator pit entry / exit device | |
EP3659958B1 (en) | Column-integrated step for elevator systems | |
JP4233432B2 (en) | Elevator pit work platform equipment | |
KR100454007B1 (en) | Lift apparatus for wheel chair | |
JP5968162B2 (en) | Elevator toe guard | |
JP6570754B2 (en) | Elevator car handrail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