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9228B1 - 맞춤형 대화 연결 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맞춤형 대화 연결 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9228B1
KR102359228B1 KR1020200091038A KR20200091038A KR102359228B1 KR 102359228 B1 KR102359228 B1 KR 102359228B1 KR 1020200091038 A KR1020200091038 A KR 1020200091038A KR 20200091038 A KR20200091038 A KR 20200091038A KR 102359228 B1 KR102359228 B1 KR 102359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versation
matching
dialogue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1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2021A (ko
Inventor
구승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더풀플랫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더풀플랫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더풀플랫폼
Priority to KR1020200091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9228B1/ko
Publication of KR20220012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2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9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30Semantic analysis
    • G06F40/35Discourse or dialogue repres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화중개서버가 사용자단말기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사용자가 서로 대화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맞춤형 대화 연결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화중개서버가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대화정보을 수신하는 대화수신단계; 상기 대화중개서버가 상기 대화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대화정보로부터 매칭조건정보를 추출하는 대화분석단계; 상기 대화중개서버가 상기 매칭조건정보에 기초하여 대화상대로 연결할 매칭 사용자단말기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한 매칭 사용자단말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매칭단말기정보를 생성하는 대화상대매칭단계; 상기 대화중개서버가 상기 매칭단말기정보를 기초로 상기 매칭 사용자단말기의 매칭대화정보의 송수신을 위한 대화채널을 생성하는 대화채널생성단계; 및 상기 대화중개서버가 상기 대화채널을 통하여 상기 매칭 사용자단말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매칭대화정보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매칭대화정보를 상기 매칭 사용자단말기 중 다른 나머지에게 전송하는 대화정보송수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대화 연결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추출조건, 입력조건 및 평가조건 등 다양한 조건에 기초하여 대화상대를 선정함으로써, 개인성향 및 생활환경이 유사한 사용자들을 대화상대로 연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대화내용으로부터 추출한 조건을 통하여 대화상대를 선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의식 및 무의식 성향이 반영된 대화상대를 맞춤으로 연결시켜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맞춤형 대화 연결 서비스 제공방법{METHOD FOR CUSTOMIZED CONVERSATION CONNECTION SERVICE}
본 발명은 대화 연결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건에 따라 개인성향 및 생활환경이 유사한 사용자들을 대화상대로 연결시킬 수 있는 맞춤형 대화 연결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사회 구조의 노령화로 인해 고령 인구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독거노인의 비중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들 독거노인에 대한 국가 차원의 지속적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국가 또는 지방단체가 고령층에 제공하는 복지서비스만으로는 고령층의 케어가 충분하게 이루어질 수 없는 실정이며, 이에 따라 노인 등의 고령층을 효율적이고 섬세하게 케어할 수 있는 보조 수단으로서 인공지능 로봇, 스피커 등이 개발되고 있다.
독거노인의 경우 주거, 식사 등의 기초적인 생활환경이 문제되는 경우도 많으나, 주거, 식사 등의 기초적인 생활환경이 갖추어져 있다고 하더라도, 감정을 교류할 수 있는 수단이 결핍되어 있다면 윤택하고 안락한 생활을 영위할 수 없다.
따라서, 독거노인들의 대화 내지 감정교류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내지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며, 더 나아가 독거노인들 개개인의 성향과 생활환경을 고려한 맞춤형 대화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내지 시스템이 절실히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47427호 (2009.05.12 공개)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추출조건, 입력조건 및 평가조건 등 다양한 조건에 기초하여 대화상대를 선정함으로써, 개인성향 및 생활환경이 유사한 사용자들을 대화상대로 연결시킬 수 있는 맞춤형 대화 연결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대화내용으로부터 추출한 조건을 통하여 대화상대를 선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의식 및 무의식 성향이 반영된 대화상대를 맞춤으로 연결시켜줄 수 있는 맞춤형 대화 연결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대화중개서버가 사용자단말기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사용자가 서로 대화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맞춤형 대화 연결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화중개서버가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대화정보을 수신하는 대화수신단계; 상기 대화중개서버가 상기 대화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대화정보로부터 매칭조건정보를 추출하는 대화분석단계; 상기 대화중개서버가 상기 매칭조건정보에 기초하여 대화상대로 연결할 매칭 사용자단말기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한 매칭 사용자단말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매칭단말기정보를 생성하는 대화상대매칭단계; 상기 대화중개서버가 상기 매칭단말기정보를 기초로 상기 매칭 사용자단말기의 매칭대화정보의 송수신을 위한 대화채널을 생성하는 대화채널생성단계; 및 상기 대화중개서버가 상기 대화채널을 통하여 상기 매칭 사용자단말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매칭대화정보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매칭대화정보를 상기 매칭 사용자단말기 중 다른 나머지에게 전송하는 대화정보송수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대화 연결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대화분석단계는, 상기 매칭조건정보로서 상기 사용자의 나이정보, 성별정보, 거주지역정보, 취미정보, 직업정보 및 병환이력정보 중 1 이상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대화 연결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대화분석단계는, 상기 대화중개서버가 상기 대화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자연어 정보, 상기 사용자들의 억양 정보, 상기 사용자들의 목소리 톤 정보, 상기 사용자들의 목소리 크기 정보, 상기 사용자들의 음성 빠르기 정보 중 1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대화정보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대화 연결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대화정보송수신단계 이후, 상기 대화중개서버가 상기 매칭대화정보를 분석하여 대화평가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대화평가정보를 상기 매칭조건정보를 반영하여 갱신매칭조건정보를 생성하는 조건정보갱신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대화 연결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추출조건, 입력조건 및 평가조건 등 다양한 조건에 기초하여 대화상대를 선정함으로써, 개인성향 및 생활환경이 유사한 사용자들을 대화상대로 연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대화내용으로부터 추출한 조건을 통하여 대화상대를 선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의식 및 무의식 성향이 반영된 대화상대를 맞춤으로 연결시켜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대화 연결 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대화 연결 서비스 제공방법을 수행하는 맞춤형 대화 연결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대화 연결 서비스 제공방법에 의해 대화중개서버가 매칭 사용자단말기의 매칭대화정보를 송수신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대화 연결 서비스 제공방법에 조건정보갱신단계가 더 포함된 것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대화 연결 서비스 제공방법에 조건정보갱신단계가 더 포함된 것에 관한 맞춤형 대화 연결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대화 연결 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화요청수신단계가 더 포함된 것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대화 연결 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화연결제안단계가 더 포함된 것에 관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대화 연결 서비스 제공방법은, 대화중개서버(100)가 사용자단말기(200)를 상호 연결하여, 사용자단말기(200)의 사용자가 서로 대화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맞춤형 대화 연결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대화중개서버(100)가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대화정보(i1)을 수신하는 대화수신단계(S10); 대화중개서버(100)가 대화정보(i1)를 분석하여, 대화정보(i1)로부터 매칭조건정보(i2)를 추출하는 대화분석단계(S20); 대화중개서버(100)가 매칭조건정보(i2)에 기초하여 대화상대로 연결할 매칭 사용자단말기(200')를 선정하고, 선정한 매칭 사용자단말기(200')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매칭단말기정보(i3)를 생성하는 대화상대매칭단계(S30); 대화중개서버(100)가 매칭단말기정보(i3)를 기초로 매칭 사용자단말기(200')의 매칭대화정보(i4)의 송수신을 위한 대화채널을 생성하는 대화채널생성단계(S40); 및 대화중개서버(100)가 대화채널을 통하여 매칭 사용자단말기(200') 중 어느 하나(200-1')로부터 매칭대화정보(i4-1)을 수신하고, 수신한 매칭대화정보(i4-1)를 매칭 사용자단말기(200') 중 다른 나머지(200-2')에게 전송하는 대화정보송수신단계(S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및 각 단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대화 연결 서비스 제공방법은, 대화중개서버(100)가 사용자단말기(200)를 상호 연결하여, 사용자단말기(200)의 사용자가 서로 대화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맞춤형 대화 연결 서비스 제공방법으로서, 도 2 및 도 4에 각각 도시된 맞춤형 대화 연결 서비스 제공시스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대화 연결 서비스 제공방법은, 기본 구성으로서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단말기(100)와,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대화정보(i1)를 수신하고, 수신한 대화정보(i1)를 분석하여 매칭조건정보(i2)를 추출한 후, 추출한 매칭조건정보(i2)를 기초로 대화상대로 연결할 매칭 사용자단말기(200')를 선정하여, 선정한 매칭 사용자단말기(200') 간의 대화를 중개하는 대화중개서버(1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화중개서버(100)는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대화정보(i1)를 수신하는 대화정보수신모듈(110), 수신한 대화정보(i1)를 분석하여 매칭조건정보(i2)를 추출하는 대화정보분석모듈(130), 추출한 매칭조건정보(i2)에 기초하여 대화상대로 연결할 매칭 사용자단말기(200')를 선정하고, 선정한 매칭 사용자단말기(200')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매칭단말기정보(i3)를 생성하는 조건매칭부(151) 및 생성한 매칭단말기정보(i3)를 매칭 사용자단말기(200')에 전송하는 매칭정보전송부(153)를 포함하는 대화상대매칭모듈(150), 생성한 매칭단말기정보(i3)에 따라 대화채널을 생성하고, 매칭 사용자단말기(200')의 매칭대화정보(i4)를 송수신하는 대화정보전송모듈(170), 매칭대화정보(i4)를 저장하는 매칭대화정보저장부(191) 및 매칭대화정보(i4)를 분석하여 대화평가정보(i5)를 추출하는 매칭대화정보분석부(193)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대화 연결 서비스 제공방법을 맞춤형 대화 연결 서비스 제공시스템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대화수신단계(S10)는 대화중개서버(100)가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대화정보(i1)을 수신하는 단계이다.
사용자단말기(200)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소정의 단말장치로서, 일예로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일 수 있는데,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200)는 사용자와의 대화기능이 구비되어 있는 로봇형 단말기일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자단말기(200)를 소지하는 사용자는 특히 연령대가 높은 노인층일 수 있는데, 사용자단말기(200)가 대화기능이 구비되는 로봇형 단말기인 경우에는, 사용자단말기(200)와 사용자단말기(200)를 소지하는 노인층 사이에 원활한 대화 및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인층과의 대화에 최적화된 대화기능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단말기(200)에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는 음성인식수단(마이크 등)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에게 소정의 음성(대화)을 전달하기 위한 음성출력수단(스피커 등)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대화중개서버(100)는 대화정보수신모듈(110)을 통하여,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하여 입력한 대화정보(i1)를 수신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기(200)는 대화기능이 구비된 로봇형 단말기 등일 수 있고, 이에 따라 대화중개서버(100)에는 대화수행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대화정보(i1)에 대응하는 소정의 응답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응답정보를 사용자단말기(200)로 전송하여 사용자와 대화를 수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대화중개서버(100)는 각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들이 하나의 서버장치에 구비될 수도 있지만,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서버장치에 분산되어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대화정보수신모듈(110)은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대화정보(i1)를 대화정보분석모듈(130)에 전달한다.
이어서, 대화분석단계(S20)는 대화중개서버(100)가 대화정보(i1)를 분석하여, 대화정보(i1)로부터 매칭조건정보(i2)를 추출하는 단계이다.
대화중개서버(100)의 대화분석모듈(130)은 대화정보수신모듈(110)로부터 대화정보(i1)를 수신하고, 수신한 대화정보(i1)를 분석하여 매칭조건정보(i2)를 추출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대화 연결 서비스 제공방법의 대화분석단계(S20)는 매칭조건정보(i2)로서 사용자의 나이정보, 성별정보, 거주지역정보, 취미정보, 직업정보 및 병환이력정보 중 1 이상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화중개서버(100)는 다수의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대화정보(i1)를 수신하고, 수신한 대화정보(i1)로부터 각 사용자들의 나이정보, 성별정보, 거주지역정보, 취미정보, 직업정보 및 병환이력정보 중 1 이상을 추출하여 매칭조건정보(i2)를 생성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나이정보, 성별정보, 거주지역정보, 취미정보, 직업정보 및 병환이력정보 중 1 이상은 대화분석모듈(130)에 추출될 수 있지만, 이와는 다르게 입력조건정보로서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하여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매칭조건정보(i2)는 대화분석모듈(130)이 대화정보(i1)에서 추출하는 추출조건정보와,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하여 입력하는 입력조건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입력조건정보로서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하여 사용자의 나이정보, 성별정보, 거주지역정보, 취미정보, 직업정보 및 병환이력정보 중 1 이상을 입력한 경우, 대화중개서버(100)는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입력조건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입력조건정보를 수신한 경우 대화분석모듈(130)은 사용자 입력한 입력조건정보에서 제외된 사용자들의 나이정보, 성별정보, 거주지역정보, 취미정보, 직업정보 및 병환이력정보 중 1 이상을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하여 입력조건정보로서 나이정보, 성별정보 및 거주지역정보를 입력한 경우, 대화중개서버(100)는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사용자의 나이정보, 성별정보 및 거주지역정보를 포함하는 입력조건정보를 수신하고, 대화정보분석모듈(130)은 대화정보(i1)로부터 입력조건정보에 포함된 나이정보, 성별정보 및 거주지역정보를 제외한 사용자의 취미정보, 직업정보 및 병환이력정보 중 1 이상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대화분석모듈(130)이 추출하는 매칭조건정보(i2)에는 사용자의 나이정보, 성별정보, 거주지역정보, 취미정보, 직업정보 및 병환이력정보 외에도 사용자의 고향정보, 취침시간정보, 식사시간정보, 복약시간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대화 연결 서비스 제공방법의 대화분석단계(S20)는 대화중개서버(100)의 대화정보분석모듈(130)이 대화정보(i1)에 포함되어 있는 자연어 정보, 사용자들의 억양 정보, 사용자들의 목소리 톤 정보, 사용자들의 목소리 크기 정보, 사용자들의 음성 빠르기 정보 중 1 이상에 기초하여 대화정보(i1)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예로 대화정보분석모듈(130)은 인공지능을 이용한 자연어 처리를 통하여 대화정보(i1)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로서 전술한 매칭조건정보(i2)를 추출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대화정보(i1)에는 사용자의 나이정보, 성별정보, 거주지역정보, 취미정보, 직업정보 및 병환이력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대화정보분석모듈(130)은 자연어 처리를 통하여 대화정보(i1)에 포함되어 있는 사용자의 정보를 추출해 낼 수 있다.
또한, 대화정보분석모듈(130)은 대화정보(i1)에 포함되어 있는 사용자들의 억양 정보, 사용자들의 목소리 톤 정보, 사용자들의 목소리 크기 정보, 사용자들의 음성 빠르기 정보를 통하여 대화정보(i1)를 분석할 수 있다.
대화정보분석모듈(130)는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하여 누적된 대화정보(i1)를 학습데이터로 하여 사용자의 억양, 목소리 톤, 목소리 크기, 말 빠르기 등을 학습할 수 있으며, 학습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대화정보(i1)를 분석할 수 있다.
한편, 대화정보분석모듈(130)은 추출한 매칭조건정보(i2)를 대화상대매칭모듈(150)의 조건매칭부(151)에 전달한다.
이어서, 대화상대매칭단계(S30)는 대화중개서버(100)가 매칭조건정보(i2)에 기초하여 대화상대로 연결할 매칭 사용자단말기(200')를 선정하고, 선정한 매칭 사용자단말기(200')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매칭단말기정보(i3)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대화중개서버(100)의 조건매칭부(151)는 대화정보분석모듈(130)로부터 매칭조건정보(i2)를 수신하고, 매칭조건정보(i2)에 기초하여 대화상대로 연결할 매칭 사용자단말기(200')를 선정한다.
조건매칭부(151)는 각각의 대화정보(i1)로부터 추출한 매칭조건정보(i2)를 서로 비교하여, 매칭정보조건이(i2) 서로 일치하는 사용자의 사용자단말기(200)를 매칭 사용자단말기(200')로 선정할 수 있다.
일예로, 조건매칭부(151)는 각각의 매칭조건정보(i2)가 기설정된 일치도를 만족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단말기(200)를 매칭 사용자단말기(200')로 선정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일치도는 매칭조건정보(i2)가 포함하는 정보 중 상호 일치하는 정보의 최소개수로 설정될 수 있으며, 조건매칭부(151)는 상호 일치하는 정보의 개수가 최소개수 이상인 경우 해당 사용자단말기(200)를 매칭 사용자단말기(200')로 선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조건매칭부(151)는 전술한 추출조건정보 및 입력조건정보에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설정한 우선순위에 따라 매칭 사용자단말기(200)를 선정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조건매칭부(151)는 입력조건정보를 우선순위로 하여 후보군의 매칭 사용자단말기(200')를 초기 선정하고, 선정한 후보군의 매칭 사용자단말기(200') 중 추출조건정보에 따라 대화상대로 연결할 매칭 사용자단말기(200')를 최종 선정할 수 있다.
다만, 조건매칭부(151)가 매칭 사용자단말기(200')를 선정하는 조건에 관한 우선순위는 반드시 입력조건정보 및 추출조건정보 순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설정에 따라 상호 우선순위가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조건매칭부(151)는 2개의 매칭 사용자단말기(200')를 선정하여 1:1 대화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3개 이상의 매칭 사용자단말기(200')를 선정하여 다자간 대화환경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대화 연결 서비스 제공방법은 전술한 대화분석단계(S20) 이후,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대화연결요청정보을 수신하는 대화요청수신단계(S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화분석단계(S20)에서 매칭조건정보(i2)를 추출한 후, 조건매칭부(151)가 자동으로 매칭 사용자단말기(200')를 선정하여 대화를 연결할 수도 있지만, 대화중개서버(100)가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대화연결요청정보를 수신한 후 매칭 사용자단말기(200')를 선정하여 대화를 연결할 수도 있다.
이때, 대화연결요청정보는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하여 입력하는 음성정보일 수 있고, 예컨대 “친구 찾아줘”와 같은 소정의 음성문구일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200)에 구비된 음성인식수단을 통하여 대화연결요청정보를 입력하면, 대화중개서버(100)는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대화연결요청정보를 수신하고, 전술한 대화상대매칭단계(S30)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대화 연결 서비스 제공방법은 전술한 대화분석단계(S20) 이후, 대화중개서버(100)가 사용자단말기(200)에 대화연결제안정보를 전송하는 대화연결제안단계(S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대화중개서버(100)는 대화분석단계(S20)에서 매칭조건정보(i2)를 추출한 후, 사용자단말기(200)에 대화연결제안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전송된 대화연결제안정보는 사용자단말기(200)에 구비된 음성출력수단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고, 일예로 “친구를 찾아드릴까요?”와 같은 음성문구로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하여 대화연결제안정보를 전달받은 사용자는 대화연결을 원하는 경우 음성문구 형태의 수락정보를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하여 입력할 수 있으며, 대화중계서버(100)는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수락정보를 수신하고 전술한 대화상대매칭단계(S30)를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조건매칭부(151)는 매칭 사용자단말기(200')를 선정한 후에, 선정한 매칭 사용자단말기(200')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매칭단말기정보(i3)를 생성한다.
매칭단말기정보(i3)에는 매칭 사용자단말기(200')에 대한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예컨대 대화 연결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부여한 식별아이디 또는 사용단말기(200)에 부여된 일련번호 등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매칭단말기정보(i3)에는 매칭 사용자단말기(200')를 소지하는 사용자에게 대화가 연결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대화연결알림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매칭정보전송부(153)는 조건매칭부(151)로부터 매칭단말기정보(i3)를 수신하고, 수신한 매칭단말기정보(i3)를 선정된 매칭 사용자단말기(200')에 전송하고, 또한 대화중개서버(100)의 대화정보전송모듈(170)에 전달한다.
매칭 사용자단말기(200')는 일예로 MQTT메시지 방식으로 매칭단말기정보(i3)를 수신할 수 있으며, 매칭 사용자단말기(200')는 매칭단말기정보(i3)에 포함된 대화연결알림정보에 따라 내부에 설치된 소정의 대화진행모듈(미도시)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어서, 대화채널생성단계(S40)는 대화중개서버(100)가 매칭단말기정보(i3)를 기초로 매칭 사용자단말기(200')의 매칭대화정보(i4)의 송수신을 위한 대화채널을 생성하는 단계이다.
대화중개서버(100)의 대화정보전송모듈(170)은 매칭정보전송부(153)로부터 매칭 사용자단말기(200')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매칭단말기정보(i3)를 수신하고, 매칭단말기정보(i3)에 기초하여 매칭 사용자단말기(200')의 매칭대화정보(i4)의 송수신을 위한 소정의 대화채널을 생성할 수 있다.
이어서, 대화정보송수신단계(S50)는 대화중개서버(100)가 대화채널을 통하여 매칭 사용자단말기(200') 중 어느 하나(200-1')로부터 매칭대화정보(i4-1)을 수신하고, 수신한 매칭대화정보(i4-1)를 매칭 사용자단말기(200') 중 다른 나머지(200-2')에게 전송하는 단계이다.
대화정보전송모듈(170)이 매칭단말기정보(i3)에 따라 대화채널을 생성한 후에, 대화정보전송모듈(170)은 대화채널을 통하여 매칭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한 사용자들의 대화를 중개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대화정보전송모듈(170)은 매칭 사용자단말기(200') 중 어느 하나(200-1')로부터 매칭대화정보(i4)를 수신하고, 수신한 매칭대화정보(i4-1)를 다른 나머지 매칭 사용자단말기(200-2')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나머지(200-2')로부터 매칭대화정보(i4-2)를 수신하고, 수신한 매칭대화정보(i4-2)를 어느 하나(200-1')에 전송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매칭대화정보(i4)는 대화연결이 완료된 상태에서, 매칭 사용자단말기(200')에서 활성화된 소정의 대화진행모듈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어, 대화정보전송모듈(170)에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대화중계서버(100)에는 대화정보저장모듈(191)이 더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매칭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매칭대화정보(i4)는 대화정보저장모듈(190)에 포함된 매칭대화정보저장부(191)에 저장될 수 있다.
매칭대화정보저장부(191)에 저장된 매칭대화정보(i4)는 전술한 대화정보분석모듈(130)의 인공지능 학습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고, 또한 사용자들의 성향을 분석하는 빅데이터로서도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대화 연결 서비스 제공방법은 대화정보송수신단계(S50) 이후, 대화중개서버(100)가 매칭대화정보(i4)를 분석하여 대화평가정보(i5)를 추출하고, 추출한 대화평가정보(i5)를 매칭조건정보(i2)에 반영하여 갱신매칭조건정보(i2')를 생성하는 조건정보갱신단계(S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화정보저장모듈(190)은 수신한 매칭대화정보(i4)를 분석하는 매칭대화정보분석부(193)를 포함할 수 있으며, 매칭대화정보분석부(193)는 수신한 매칭대화정보(i4)를 분석하여 대화평가정보(i5)를 추출한다.
이때, 매칭대화정보(i4)의 분석은 매칭대화정보(i4)에 포함되어 있는 자연어 정보, 사용자들의 억양 정보, 사용자들의 목소리 톤 정보, 사용자들의 목소리 크기 정보, 사용자들의 음성 빠르기 정보 중 1 이상에 기초하여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매칭대화정보분석부(193)는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하여 누적된 매칭대화정보(i4)를 학습데이터로 하여 사용자의 억양, 목소리 톤, 목소리 크기, 말 빠르기 등을 학습할 수 있으며, 학습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매칭대화정보(i4)를 분석할 수 있다.
대화평가정보(i5)는 매칭대화정보(i4) 분석결과에 따른 평가점수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평가점수정보는 대화 후 사용자가 직접 매칭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하여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매칭대화정보분석부(193)가 사용자가 입력한 평가점수정보와 매칭대화정보(i4)의 분석결과를 비교 학습시킴으로써, 향후 대화평가정보(i5)를 스스로 추출하도록 학습시킬 수 있다.
한편, 매칭대화정보분석부(193)는 추출한 대화평가정보(i5)를 대화정보분석모듈(130)에 전달하며, 대화정보분석모듈(130)은 수신한 대화평가정보(i5)를 매칭조건정보(i2)에 반영하여 갱신매칭조건정보(i2')를 생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매칭조건정보(i2)는 대화분석모듈(130)이 대화정보(i1)에서 추출하는 추출조건정보와,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하여 입력하는 입력조건정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여기서 갱신매칭조건정보(i2')에는 추출조건정보, 입력조건정보 및 대화평가정보(i5)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조건매칭부(151)는 대화평가정보(i5)를 우선순위로 하여 후보군의 매칭 사용자단말기(200)')를 1차 선정하고, 1차 선정한 매칭 사용자단말기(200') 중 입력조건정보에 따라 2차 선정하며, 2차 선정한 매칭 사용자단말기(200') 중 추출조건정보에 따라 최종 선정할 수 있다.
다만, 조건매칭부(151)가 매칭 사용자단말기(200')를 선정하는 조건에 관한 우선순위는 반드시 대화평가정보(i5), 입력조건정보 및 추출조건정보 순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설정에 따라 상호 우선순위가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추출조건, 입력조건 및 평가조건 등 다양한 조건에 기초하여 대화상대를 선정함으로써, 개인성향 및 생활환경이 유사한 사용자들을 대화상대로 연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대화내용으로부터 추출한 조건을 통하여 대화상대를 선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의식 및 무의식 성향이 반영된 대화상대를 맞춤으로 연결시켜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대화중개서버 110 : 대화수신모듈
130 : 대화분석모듈 150 : 대화상대매칭모듈
151 : 조건매칭부 153 : 매칭정보전송부
170 : 대화정보전송모듈 190 : 대화정보저장모듈
191 : 매칭대화정보저장부 193 : 매칭대화정보분석부
200 : 사용자단말기 200' : 매칭 사용자단말기
i1 : 대화정보 i2 : 매칭조건정보
i3 : 매칭단말기정보 i4 : 매칭대화정보
i5 : 대화평가정보

Claims (4)

  1. 대화중개서버가 사용자단말기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사용자가 서로 대화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맞춤형 대화 연결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화중개서버가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대화정보을 수신하는 대화수신단계;
    상기 대화중개서버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통하여 입력하는 입력조건정보 및 상기 대화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대화정보로부터 추출한 추출조건정보를 포함하는 매칭조건정보를 추출하는 대화분석단계;
    상기 대화중개서버가 상기 매칭조건정보에 기초하여 대화상대로 연결할 매칭 사용자단말기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한 매칭 사용자단말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매칭단말기정보를 생성하는 대화상대매칭단계;
    상기 대화중개서버가 상기 매칭단말기정보를 기초로 상기 매칭 사용자단말기의 매칭대화정보의 송수신을 위한 대화채널을 생성하는 대화채널생성단계;
    상기 대화중개서버가 상기 대화채널을 통하여 상기 매칭 사용자단말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매칭대화정보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매칭대화정보를 상기 매칭 사용자단말기 중 다른 나머지에게 전송하는 대화정보송수신단계; 및
    상기 대화중개서버가 상기 매칭대화정보를 분석하여 대화평가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대화평가정보를 상기 매칭조건정보를 반영하여 갱신매칭조건정보를 생성하는 조건정보갱신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대화분석단계에서 상기 대화중개서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조건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입력조건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입력조건정보에 포함된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정보를 상기 추출조건정보로서 상기 대화정보로부터 추출하며,
    상기 대화상대매칭단계에서 상기 대화중개서버는, 상기 입력조건정보 및 상기 추출조건정보에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설정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매칭 사용자단말기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대화 연결 서비스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분석단계는,
    상기 매칭조건정보로서 상기 사용자의 나이정보, 성별정보, 거주지역정보, 취미정보, 직업정보 및 병환이력정보 중 1 이상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대화 연결 서비스 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분석단계는,
    상기 대화중개서버가 상기 대화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자연어 정보, 상기 사용자들의 억양 정보, 상기 사용자들의 목소리 톤 정보, 상기 사용자들의 목소리 크기 정보, 상기 사용자들의 음성 빠르기 정보 중 1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대화정보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대화 연결 서비스 제공방법.
  4. 삭제
KR1020200091038A 2020-07-22 2020-07-22 맞춤형 대화 연결 서비스 제공방법 KR102359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038A KR102359228B1 (ko) 2020-07-22 2020-07-22 맞춤형 대화 연결 서비스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038A KR102359228B1 (ko) 2020-07-22 2020-07-22 맞춤형 대화 연결 서비스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2021A KR20220012021A (ko) 2022-02-03
KR102359228B1 true KR102359228B1 (ko) 2022-02-07

Family

ID=80252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1038A KR102359228B1 (ko) 2020-07-22 2020-07-22 맞춤형 대화 연결 서비스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9228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7427A (ko) 2009-04-17 2009-05-12 (주)태터 앤 컴퍼니 근거리에 위치한 익명의 상대방으로 통신망을 통한 접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132472B1 (ko) * 2009-05-18 2012-03-30 주식회사 케이티 만남 주선 서비스에서의 통화 연결 방법 및 장치
WO2013077482A1 (ko) * 2011-11-24 2013-05-30 Kwon Dongwan 이상형 매칭 시스템 및 그 매칭방법
BR112015003030B1 (pt) * 2012-08-24 2022-03-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étodo para recomendar um amigo, em um primeiro terminal, primeiro terminal para recomendar um amigo
KR20140031419A (ko) * 2012-08-27 2014-03-13 최영환 커플 매칭 성공을 위한 공개 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29754B1 (ko) * 2015-08-13 2018-03-29 주식회사 모비 커플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그 단말기 및 커플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2021A (ko) 2022-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47852B2 (ja) 複数のコンピューティングデバイスを使用したインターホン式の通信
KR102625761B1 (ko) 사용자 프로그래머블 자동화 어시스턴트
US10303758B2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for real-time automated conversational agent
US10079013B2 (en) Sharing intents to provide virtual assistance in a multi-person dialog
US10096316B2 (en) Sharing intents to provide virtual assistance in a multi-person dialog
US9053096B2 (en) Language translation based on speaker-related information
KR102489914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8811638B2 (en) Audible assistance
US1123279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ng voice commands
US20160240213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JP6238083B2 (ja) 情報処理装置、サーバ、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7207425B2 (ja) 対話装置、対話システムおよび対話プログラム
KR20190117840A (ko) 대화 이해 ai 시스템에 의한 고객 상담의 제공 중에 사람 상담 직원으로 하여금 해당 고객을 위한 이후 상담을 진행하도록 전환하는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US20170286755A1 (en) Facebot
CN111258529B (zh)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KR102371274B1 (ko) 음성과 메시지에 대한 텍스트 분석을 통해 획득되는 대화 키워드를 이용한 결혼 정보 매칭 방법 및 장치
CN115982331A (zh) 会话场景中的信息交互方法、装置及设备
KR20190074508A (ko) 챗봇을 위한 대화 모델의 데이터 크라우드소싱 방법
US1086284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ng voice commands
KR102359228B1 (ko) 맞춤형 대화 연결 서비스 제공방법
KR20210088824A (ko) 인공지능 대화 서비스를 이용한 채팅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2605178B1 (ko) 가족 관계에 기초하여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14157763A (zh) 交互过程中的信息处理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2969000A (zh) 网络会议的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JP6697172B1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