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8887B1 -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혜택을 결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혜택을 결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8887B1
KR102358887B1 KR1020150021226A KR20150021226A KR102358887B1 KR 102358887 B1 KR102358887 B1 KR 102358887B1 KR 1020150021226 A KR1020150021226 A KR 1020150021226A KR 20150021226 A KR20150021226 A KR 20150021226A KR 102358887 B1 KR102358887 B1 KR 102358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termining
benefit
terminals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1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9190A (ko
Inventor
김미나
심규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티미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티미디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티미디어
Priority to KR1020150021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8887B1/ko
Publication of KR20160099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9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8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8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6Incentive systems for frequent usage, e.g. frequent flyer miles programs or point systems
    • G06Q30/0227Frequent usage incentive value reconciliation between divers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혜택을 결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일실시예에 따른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에 따른 혜택 결정 방법은 N 스크린 서비스를 이용하는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에 대해, 제1 단말기와 연관된 제품 정보와 제2 단말기와 연관된 제품 정보가 서로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대응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한 혜택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혜택을 결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OF DECIDING BENEFIT PROVIDED TO USER BASED ON USING N SCREEN SERVICE}
본 발명은 N 스크린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특정하게는 N 스크린 서비스의 이용 시 연관되는 제품 또는 어플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혜택을 결정하는 기술적 사상에 관한 것이다.
TV, PC, 태블릿, 휴대전화 등 다양한 디바이스를 통해 공통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N 스크린 서비스라고 한다.
N 스크린 서비스의 초기 형태는 하나의 콘텐츠를 여러 유형의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것이었으나, 그래에는 케이블 TV 또는 IPTV 사업자들이 TV 외에 태블릿이나 스마트폰 등 다른 유형의 디바이스로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으로 점차 진화되는 추세이다.
TV 시청률이 정체 내지 감소하고 모바일 디바이스의 이용이 증가하면서 방송사업자들은 N 스크린 서비스에 관심을 갖고 있다. 하나의 방송사업자, 즉 하나의 콘텐츠 프로바이더가 N 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조를 OSMU(One Source Multi Use)라고 한다.
OSMU 형태의 N 스크린 서비스는 기기별로 독립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시작되었으나, 점차 하나의 계정으로 여러 디바이스에서 콘텐츠를 이용하거나, PC에서 구입한 콘텐츠를 휴대전화에서 이용하는 등 디바이스 간 연동이 가능해졌다.
디바이스에 따라 별도로 가공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N 스크린 서비스는 ASMD(Adaptive Source Multi Device)라고 하며, 최근에는 TV 시청 때 태블릿이나 스마트폰을 세컨드 스크린으로 이용하는 경우가 증가하면서 여기에 TV 프로그램의 부가 정보나 추가 기능을 제공하는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다.
N 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로, 한국등록특허 제6265990호 "방송 시스템에서 n스크린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한국공개특허 제2014-0050535호 "깊이 기반 그룹 비주얼 객체를 이용한 n 스크린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등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6265990호는 N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기술로서, 방송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N스크린 장치의 타입을 나타내는 screen_type를 포함한 애플리케이션 정보 테이블(AIT)을 수신하고, , screen_type에 근거하여 방송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되, 메인 N스크린 장치와 screen_type에 근거하여 서브 N스크린 장치와의 사이의 접속 관계를 고려해 방송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14-0050535호는 둘 이상의 상이한 종류의 스크린들을 이용하여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로서, 영상에서 깊이 값이 서로 다른 독립 비주얼 객체들을 분리 추출하고, 분리 추출된 독립 비주얼 객체들을 깊이값에 따라 그룹핑하여 그룹별로 장면으로 저작하며, 그룹별로 저작된 하나 이상의 장면들을 사용자 인터랙션 이벤트에 따라 둘 이상의 스크린들로 선택 재생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일측에 따르면, N 스크린 서비스의 이용 시 연관되는 제품 또는 어플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우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측에 따르면, 연관되는 제품 또는 어플을 이용하는 경우, 콘텐츠를 낮은 가격에 제공하거나 경품을 제공하는 등의 혜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측에 따르면, 타사의 어플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단말기와 연관된 제품 정보에 따라 콘텐츠를 싸게 제공하거나 경품을 제공하는 등의 혜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에 따른 혜택 결정 방법은 N 스크린 서비스를 이용하는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에 대해, 제1 단말기와 연관된 제품 정보와 제2 단말기와 연관된 제품 정보가 서로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대응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한 혜택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의 제1 단말기 식별정보와 제2 단말기의 단말기 제2 단말기 식별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제1 단말기 식별정보 및 제2 단말기 식별정보의 대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에 따른 혜택 결정 방법은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콘텐츠에 대한 혜택을 결정하는 단계는, 복수의 혜택 정보들 중에서, 상기 확인된 단말기 종류에 상응하는 미리 지정된 혜택 정보를 선택하여, 상기 콘텐츠에 대한 혜택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콘텐츠에 대한 혜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에 대한 배포 가격 및 이용 가격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미리 지정된 할인율을 적용하여 새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콘텐츠에 대한 혜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에 대한 사용 기간에 미리 지정된 기간을 적용하여 새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콘텐츠에 대한 혜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를 이용 가능한 단말기의 개수에 미리 지정된 개수를 적용하여 새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에 따른 혜택 결정 방법은 제1 단말기에 연관된 제품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와 함께 N 스크린 서비스를 이용하는 제2 단말기에 제공하는 콘텐츠의 배급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기에 연관된 제품 정보와 상기 배급 정보의 대응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대응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한 혜택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에 따른 혜택 결정 방법은 제2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에 대한 혜택을 결정하는 단계는, 복수의 혜택 정보들 중에서, 상기 확인된 단말기 종류에 상응하는 미리 지정된 혜택 정보를 선택하여, 상기 콘텐츠에 대한 혜택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콘텐츠에 대한 혜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에 대한 배포 가격 및 이용 가격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미리 지정된 할인율을 적용하여 새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콘텐츠에 대한 혜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에 대한 사용 기간에 미리 지정된 기간을 적용하여 새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콘텐츠에 대한 혜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를 이용 가능한 단말기의 개수에 미리 지정된 개수를 적용하여 새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에 따른 혜택 결정 방법은 N 스크린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기들 중에서 미리 지정된 기준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의 개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의 개수가 미리 지정된 기준에 상응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미리 지정된 기준에 상응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한 혜택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미리 지정된 기준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의 개수를 확인하는 단계는, 동일한 제품 정보를 사용하는 단말기에 대한 개수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의 개수가 미리 지정된 기준에 상응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의 개수가 미리 지정된 기준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콘텐츠에 대한 혜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 및 복수의 혜택 정보들 중에서, 상기 확인된 단말기 종류에 상응하는 미리 지정된 혜택 정보를 선택하여, 상기 콘텐츠에 대한 혜택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콘텐츠에 대한 혜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에 대한 배포 가격 및 이용 가격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미리 지정된 할인율을 적용하여 새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콘텐츠에 대한 혜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에 대한 사용 기간에 미리 지정된 기간을 적용하여 새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콘텐츠에 대한 혜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를 이용 가능한 단말기의 개수에 미리 지정된 개수를 적용하여 새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에 따른 혜택 결정 시스템은 N 스크린 서비스를 이용하는 복수의 단말기들이 미리 지정된 기준에 부합하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 결과 부합하는 경우, 복수의 단말기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한 혜택을 결정하는 결정부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판단부는,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 중에서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에 대해, 제1 단말기와 연관된 제품 정보와 제2 단말기와 연관된 제품 정보가 서로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판단부는, 제1 단말기에 연관된 제품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제1 단말기와 함께 N 스크린 서비스를 이용하는 제2 단말기에 제공하는 콘텐츠의 배급 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제1 단말기에 연관된 제품 정보와 상기 배급 정보의 대응여부를 판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판단부는,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 중에서 미리 지정된 기준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의 개수를 확인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N 스크린 서비스의 이용 시 연관되는 제품 또는 어플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우대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관되는 제품 또는 어플을 이용하는 경우, 콘텐츠를 낮은 가격에 제공하거나 경품을 제공하는 등의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타사의 어플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단말기와 연관된 제품 정보에 따라 콘텐츠를 싸게 제공하거나 경품을 제공하는 등의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에 따른 혜택 결정을 위한 전체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에 따른 혜택 결정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단말기들의 종류를 확인하여 혜택 결정에 반영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에 따른 혜택 결정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에 따른 혜택 결정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에 따른 혜택 결정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이하에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연관되는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것으로 선택되었으나, 기술의 발달 및/또는 변화, 관례, 기술자의 선호 등에 따라 다른 용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설명 부분에서 상세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에 따른 혜택 결정을 위한 전체 시스템(100)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100)은 콘텐츠 프로바이더의 클라우드 저장공간(110)과, 클라우드 저장공간(110)로부터 콘텐츠를 제공 받는 원 소스 측의 클라우드 저장공간(120)을 포함한다.
클라우드 저장공간(120)은 원소스- 멀티유저를 구현하기 위해, 각각의 기기에 적합하도록 콘텐츠의 포맷을 가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TV(140)를 통해 오디션 프로그램(콘텐츠)를 시청하는 중에 스마트폰(130)을 통해 오디션 프로그램의 시청자 투표, 드라마의 등장인물이나 스토리 정보 제공, 음악 쇼나 스포츠 중계의 멀티앵글 선택 등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TV(140)를 통해 시청 중인 프로그램에서 노출된 상품의 구매나 SNS 서비스를 스마트폰(130)으로 처리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서로 다른 기기를 통해서 N 스크린 서비스를 이용하여 서로 대응되는 콘텐츠를 이용한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이 적용된 전체 시스템(100)은 미리 지정된 기준에 부합되는 경우에 콘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혜택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시스템(100)은 콘텐츠를 이용하는 두 개의 서로 다른 단말기가 서로 연관된 제품 정보를 사용하는 경우에, 미리 지정된 혜택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제품 정보는 제조사 정보, 임베디드된 소프트웨어 정보 등으로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전체 시스템(100)은 콘텐츠를 이용하는 단말기와 연관된 제품 정보와 콘텐츠의 배급 정보가 대응되는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제공할 혜택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이 적용된 전체 시스템(100)에서는 미리 지정된 기준에 부합하는 경우, N 스크린 서비스를 통해 콘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에 따른 혜택 결정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에 따른 혜택 결정 방법은 단말기들의 단말기 식별정보를 수집하고(단계 201), 수집된 단말기 식별정보에 기반하여 단말기들이 서로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 202).
일례로, 단계 202에서는 수집된 단말기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단말기들이 서로 연관된 제품 정보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단말기들이 서로 같은 제조사에서 생산된 단말기들인지 여부를 판단하거나, 각 단말기들에 임베디드된 소프트웨어가 서로 대응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단계 202에서는 확인된 단말기 식별정보가 서로 동일하지 않더라도, 서로 대응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실시예에 따른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에 따른 혜택 결정 방법은 사전에 제휴를 맺은 제조사들에 해당하는 경우에도 단말기들이 서로 대응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202의 판단 결과, 수집된 단말기들이 서로 대응되는 경우라면, 단말기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혜택을 결정할 수 있다(단계 203).
만약, 단계 202의 판단 결과, 수집된 단말기들이 서로 대응되지 않는다면, 다시 단계 201로 분기하여 다른 단말기들의 단말기 식별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실시예에 따른 혜택 결정 방법은 콘텐츠에 대한 배포 가격 및 이용 가격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미리 지정된 할인율을 적용하여 새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일실시예에 따른 혜택 결정 방법은 콘텐츠의 최초 구매시 할인율을 적용하여 결제 금액에서 일정 금액만큼을 차감시킬 수 있도록 혜택을 결정함으로써, 콘텐츠에 대한 배포 가격에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가 콘텐츠를 일정 기간 또는 일정 횟수를 사용함에 따라 이용 가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일실시예에 따른 혜택 결정 방법은 수집된 단말기들이 서로 대응되는 경우라면, 이용 가격의 일부 또는 전체를 차감하거나, 이용 기간 또는 횟수를 늘려주는 등의 혜택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일실시예에 따른 혜택 결정 방법은 콘텐츠에 대한 사용 기간에 미리 지정된 기간을 적용하여 새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수집된 단말기들이 서로 대응되는 경우라면, 콘텐츠를 이용 가능한 단말기의 개수에 미리 지정된 개수를 적용하여 새로 결정함으로써, 혜택을 결정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N 스크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단말기를 추가할 수 있는 혜택이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단말기들의 종류를 확인하여 혜택 결정에 반영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혜택 결정 방법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기들의 종류를 확인함으로써, 혜택 결정에 반영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단말기에 적합한 혜택을 제공함으로써, 혜택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일실시예에 따른 혜택 결정 방법은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종류를 확인하고(단계 301),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복수의 혜택 정보들 중에서, 확인된 단말기 종류에 상응하는 미리 지정된 혜택 정보를 선택함으로써, 콘텐츠에 대한 혜택을 결정할 수 있다(단계 302).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동영상 재생이 불가능한 구형 휴대폰을 사용하는데, 특정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티비 1개월 시청권을 혜택으로 결정하는 경우 사용자 입장에서는 혜택으로 볼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의 단말기 환경을 고려하여, 실질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혜택을 결정할 수 있다.
도 4는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에 따른 혜택 결정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에 따른 혜택 결정 방법은 제1 단말기와 연관된 제품 정보가 제2 단말기에 콘텐츠를 배급하는 배급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인 경우에 콘텐츠에 대한 혜택을 제공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실시예에 따른 혜택 결정 방법은 제1 단말기와 연관된 제품 정보를 확인하고(단계 401), 제1 단말기와 함께 N 스크린 서비스를 이용하는 제2 단말기에 제공하는 콘텐츠의 배급 정보를 확인한다(단계 402).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혜택 결정 방법은 제1 단말기와 연관된 제품 정보와 제2 단말기에 제공하는 콘텐츠의 배급 정보가 서로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 403).
만약, 단계 403의 판단 결과, 제1 단말기와 연관된 제품 정보와 제2 단말기에 제공하는 콘텐츠의 배급 정보가 서로 대응된다면, 단말기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혜택을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콘텐츠를 실제 다운로드 하려는 제2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혜택이 제공될 수도 있고, 제1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혜택이 제공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제1 단말기의 사용자와 제2 단말기의 사용자 모두에게 혜택이 제공될 수도 있다.
제2 단말기에 혜택을 제공하는 경우라면, 일실시예에 따른 혜택 결정 방법은 제2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종류를 더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혜택 정보들 중에서, 확인된 단말기 종류에 상응하는 미리 지정된 혜택 정보를 선택하여, 콘텐츠에 대한 혜택을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혜택 결정 방법은 콘텐츠에 대한 혜택을 결정하기 위해, 콘텐츠에 대한 배포 가격 및 이용 가격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미리 지정된 할인율을 적용하여 새로 결정할 수 있고, 콘텐츠에 대한 사용 기간에 미리 지정된 기간을 적용하여 새로 결정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콘텐츠에 대한 혜택을 결정하기 위해 콘텐츠를 이용 가능한 단말기의 개수에 미리 지정된 개수를 적용하여 새로 결정할 수 있다.
도 5는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에 따른 혜택 결정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에 따른 혜택 결정 방법은 N 스크린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기들 중에서 같은 특정 기준을 만족하는 단말기들 개수가 선정된 기준 이상인 경우, 콘텐츠 관련 혜택을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일실시예에 따른 혜택 결정 방법은 사용자가 N 스크린 서비스를 이용하려는 단말기들 중에서 S제품을 3개 사용하는 사용자와 S사 제품을 1개 사용하는 사용자에 대해, S사가 제공하는 혜택의 정도를 다르게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실시예에 따른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에 따른 혜택 결정 방법은 N 스크린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기들 중에서 미리 지정된 기준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의 개수를 확인한다(단계 501). 즉, 일실시예에 따른 혜택 결정 방법은 N 스크린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기들 중에서 서로 연관된 제품 정보를 사용하는 단말기들에 대한 개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혜택 결정 방법은 확인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의 개수가 미리 지정된 기준에 상응하는지를 판단한다(단계 502). 만약, 단계 501에서 연관된 제품 정보를 사용하는 단말기들에 대한 개수를 확인하였다면, 일실시예에 따른 혜택 결정 방법은 단말기의 개수가 미리 지정된 기준에 상응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단말기의 개수가 미리 지정된 기준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502의 판단 결과 미리 지정된 기준에 상응하는 경우, 일실시예에 따른 혜택 결정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한 혜택을 결정할 수 있다(단계 503).
일실시예에 따른 혜택 결정 방법은 혜택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가 N 스크린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기들의 종류를 확인함으로써, 혜택 결정에 반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실시예에 따른 혜택 결정 방법은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종류를 확인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복수의 혜택 정보들 중에서, 확인된 단말기 종류에 상응하는 미리 지정된 혜택 정보를 선택함으로써, 콘텐츠에 대한 혜택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일실시예에 따른 혜택 결정 방법은 콘텐츠에 대한 혜택을 결정하기 위해, 콘텐츠에 대한 배포 가격 및 이용 가격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미리 지정된 할인율을 적용하여 새로 결정하거나, 콘텐츠에 대한 사용 기간에 미리 지정된 기간을 적용하여 새로 결정하거나, 콘텐츠를 이용 가능한 단말기의 개수에 미리 지정된 개수를 적용하여 새로 결정할 수 있다.
만약, 단계 502의 판단 결과 미리 지정된 기준에 상응하지 않는 경우, 일실시예에 따른 혜택 결정 방법은 단계 501로 분기하여 N 스크린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기의 개수를 확인하는 과정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에 따른 혜택 결정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혜택 결정 시스템(600)은 수집부(610), 판단부(620), 및 결정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수집부(610)는 단말기들의 종류, 제조사, 등을 수집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판단부(620)는 수집부(610)에서 수집한 데이터들에 기반하여, N 스크린 서비스를 이용하는 복수의 단말기들이 미리 지정된 기준에 부합하는지를 판단한다.
일례로, 판단부(620)는 복수의 단말기들 중에서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에 대해, 제1 단말기와 연관된 제품 정보와 제2 단말기와 연관된 제품 정보가 서로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판단부(620)는 제1 단말기에 연관된 제품 정보를 확인하고, 제1 단말기와 함께 N 스크린 서비스를 이용하는 제2 단말기에 연관된 제품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기에 연관된 제품 정보와 제2 단말기에 연관된 제품 정보의 대응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판단부(620)는 복수의 단말기들 중에서 미리 지정된 기준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의 개수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 스크린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기들 중에서 같은 특정 기준을 만족하는 단말기들 개수가 선정된 기준 이상인 경우, 콘텐츠 관련 혜택을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결정부(630)는 판단 결과 부합하는 경우, 복수의 단말기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한 혜택을 결정
일실시예에 따른 결정부(630)는 혜택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자가 N 스크린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기들의 종류를 확인함으로써, 혜택 결정에 반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실시예에 따른 결정부(630)는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종류를 확인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복수의 혜택 정보들 중에서, 확인된 단말기 종류에 상응하는 미리 지정된 혜택 정보를 선택함으로써, 콘텐츠에 대한 혜택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일실시예에 따른 결정부(630)는 콘텐츠에 대한 혜택을 결정하기 위해, 콘텐츠에 대한 배포 가격 및 이용 가격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미리 지정된 할인율을 적용하여 새로 결정하거나, 콘텐츠에 대한 사용 기간에 미리 지정된 기간을 적용하여 새로 결정하거나, 콘텐츠를 이용 가능한 단말기의 개수에 미리 지정된 개수를 적용하여 새로 결정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에 따른 혜택 결정 방법 시스템을 이용하면, N 스크린 서비스의 이용 시 동일한 제조사의 제품 또는 어플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우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동일 제조사 제품 또는 어플을 이용하는 경우, 콘텐츠를 낮은 가격에 제공하거나 경품을 제공하는 등의 혜택을 제공할 수 있고, 타사 어플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단말기와 연관된 제품 정보에 따라 콘텐츠를 싸게 제공하거나 경품을 제공하는 등의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3)

  1. 판단부 및 결정부를 포함하는 혜택 결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에 따른 혜택을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에서, N 스크린 서비스를 이용하는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에 대해, 제1 단말기와 연관된 제품 정보와 제2 단말기와 연관된 제품 정보가 서로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부에서, 상기 판단 결과 대응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한 혜택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기와 연관된 제품 정보와 제2 단말기와 연관된 제품 정보가 서로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품 정보들의 확인 결과,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가 서로 같은 제조사에서 생산된 단말기들인지 여부,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에 임베디드된 소프트웨어가 서로 대응되는지 여부, 및 상기 제1 단말기의 제조사와 상기 제2 단말기의 제조사가 사전에 제휴를 맺었는지 여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여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에 따른 혜택 결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기의 제1 단말기 식별정보와 제2 단말기의 단말기 제2 단말기 식별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제1 단말기 식별정보 및 제2 단말기 식별정보의 대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에 따른 혜택 결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에 따른 혜택 결정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에 대한 혜택을 결정하는 단계는,
    복수의 혜택 정보들 중에서, 상기 확인된 단말기 종류에 상응하는 미리 지정된 혜택 정보를 선택하여, 상기 콘텐츠에 대한 혜택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에 따른 혜택 결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에 대한 혜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에 대한 배포 가격 및 이용 가격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미리 지정된 할인율을 적용하여 새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에 따른 혜택 결정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에 대한 혜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에 대한 사용 기간에 미리 지정된 기간을 적용하여 새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에 따른 혜택 결정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에 대한 혜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를 이용 가능한 단말기의 개수에 미리 지정된 개수를 적용하여 새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에 따른 혜택 결정 방법.
  8. 판단부 및 결정부를 포함하는 혜택 결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에 따른 혜택을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에서, 제1 단말기에 연관된 제품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판단부에서, 상기 제1 단말기와 함께 N 스크린 서비스를 이용하는 제2 단말기에 제공하는 콘텐츠의 배급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판단부에서, 상기 제1 단말기에 연관된 제품 정보와 상기 배급 정보의 대응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부에서, 상기 제1 단말기와 연관된 제품 정보와 상기 제2 단말기와 연관된 제품 정보가 서로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부에서, 상기 판단 결과 대응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한 혜택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기와 연관된 제품 정보와 제2 단말기와 연관된 제품 정보가 서로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품 정보들의 확인 결과,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가 서로 같은 제조사에서 생산된 단말기들인지 여부,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에 임베디드된 소프트웨어가 서로 대응되는지 여부, 및 상기 제1 단말기의 제조사와 상기 제2 단말기의 제조사가 사전에 제휴를 맺었는지 여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여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에 따른 혜택 결정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제2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에 대한 혜택을 결정하는 단계는,
    복수의 혜택 정보들 중에서, 상기 확인된 단말기 종류에 상응하는 미리 지정된 혜택 정보를 선택하여, 상기 콘텐츠에 대한 혜택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에 따른 혜택 결정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에 대한 혜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에 대한 배포 가격 및 이용 가격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미리 지정된 할인율을 적용하여 새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에 따른 혜택 결정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에 대한 혜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에 대한 사용 기간에 미리 지정된 기간을 적용하여 새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에 따른 혜택 결정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에 대한 혜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를 이용 가능한 단말기의 개수에 미리 지정된 개수를 적용하여 새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에 따른 혜택 결정 방법.
  13. 판단부 및 결정부를 포함하는 혜택 결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에 따른 혜택을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에서, N 스크린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기들 중에서 미리 지정된 기준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의 개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판단부에서,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의 개수가 미리 지정된 기준에 상응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부에서, N 스크린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기들에 대해, 단말기들과 연관된 제품 정보가 서로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부에서, 상기 판단 결과 미리 지정된 기준에 상응하고 상기 단말기들과 연관된 제품 정보가 서로 대응되는 경우에,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한 혜택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들과 연관된 제품 정보가 서로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품 정보들의 확인 결과, 상기 단말기들이 서로 같은 제조사에서 생산된 단말기들인지 여부, 상기 단말기들에 임베디드된 소프트웨어가 서로 대응되는지 여부, 및 상기 단말기들의 제조사가 사전에 제휴를 맺었는지 여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여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에 따른 혜택 결정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지정된 기준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의 개수를 확인하는 단계는,
    동일한 제품 정보를 사용하는 단말기에 대한 개수를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에 따른 혜택 결정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의 개수가 미리 지정된 기준에 상응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의 개수가 미리 지정된 기준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에 따른 혜택 결정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에 대한 혜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
    복수의 혜택 정보들 중에서, 상기 확인된 단말기 종류에 상응하는 미리 지정된 혜택 정보를 선택하여, 상기 콘텐츠에 대한 혜택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에 따른 혜택 결정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에 대한 혜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에 대한 배포 가격 및 이용 가격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미리 지정된 할인율을 적용하여 새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에 따른 혜택 결정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에 대한 혜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에 대한 사용 기간에 미리 지정된 기간을 적용하여 새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에 따른 혜택 결정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에 대한 혜택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를 이용 가능한 단말기의 개수에 미리 지정된 개수를 적용하여 새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에 따른 혜택 결정 방법.
  20. N 스크린 서비스를 이용하는 복수의 단말기들이 미리 지정된 기준에 부합하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 결과 부합하는 경우, 복수의 단말기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한 혜택을 결정하는 결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과 연관된 제품 정보가 서로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과 연관된 제품 정보의 확인 결과,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이 서로 같은 제조사에서 생산된 단말기들인지 여부,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에 임베디드된 소프트웨어가 서로 대응되는지 여부, 및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의 제조사가 사전에 제휴를 맺었는지 여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여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에 따른 혜택 결정 시스템.
  21. 삭제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제1 단말기에 연관된 제품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제1 단말기와 함께 N 스크린 서비스를 이용하는 제2 단말기에 제공하는 콘텐츠의 배급 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제1 단말기에 연관된 제품 정보와 상기 배급 정보의 대응여부를 판단하는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에 따른 혜택 결정 시스템.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 중에서 미리 지정된 기준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의 개수를 확인하는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에 따른 혜택 결정 시스템.
KR1020150021226A 2015-02-11 2015-02-11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혜택을 결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358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226A KR102358887B1 (ko) 2015-02-11 2015-02-11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혜택을 결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226A KR102358887B1 (ko) 2015-02-11 2015-02-11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혜택을 결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9190A KR20160099190A (ko) 2016-08-22
KR102358887B1 true KR102358887B1 (ko) 2022-02-09

Family

ID=56854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1226A KR102358887B1 (ko) 2015-02-11 2015-02-11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혜택을 결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888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3438A (ja) * 2000-08-30 2002-03-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vネットワーク制御機器
KR101006622B1 (ko) * 2003-12-16 2011-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커플 서비스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6334A (ko) * 2000-12-04 2001-03-05 이강우 도로 정보 제공, 운전 교습 및 안전 운전 요령 제공시스템
KR101375147B1 (ko) * 2012-01-13 2014-03-17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엔스크린 기반 능동적 모바일 광고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3438A (ja) * 2000-08-30 2002-03-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vネットワーク制御機器
KR101006622B1 (ko) * 2003-12-16 2011-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커플 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9190A (ko) 2016-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6899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hentication of digital content
CN106534053B (zh) 媒体文件的权限控制方法、服务器及设备
US200801046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ranking media
KR20090018919A (ko) 미디어 콘텐츠를 분배하는 시스템 및/또는 방법
CN104363483A (zh) 一种基于视频画面的广告推送方法及装置
US20120173754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facing content playback devices with network sites to supplement content playback
WO2014143906A2 (en)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presenting advertisements
US20160119661A1 (en) On-Demand Metadata Insertion into Single-Stream Content
DE102012218436A1 (de) Verteilen von lizenziertem Inhalt auf mehrere Einheiten
KR101953090B1 (ko) 블록체인기술을 이용한 컨텐츠 유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14028266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ent History
US2024005664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verlaying media assets stored on a digital video recorder on a menu or guide
US20150100998A1 (en) Tv clip record and share
US10771848B1 (en) Actionable contents of interest
JP2017506389A (ja) コンテンツ配信情報及び検証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358887B1 (ko) N 스크린 서비스 이용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혜택을 결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EP3029952A1 (en) Display apparatus, method of displaying channel list performed by the same, server, and control method performed by the server
KR101856852B1 (ko) 채널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의 유튜브 채널 실행 방법 및 장치
US2021038553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laying media assets stored on a digital video recorder based on a determined beginning of a recorded program
US2021037759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laying media assets stored on a digital video recorder in performing customer service or messaging
KR102188227B1 (ko) 복합 컨텐츠의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097175B1 (ko)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방법, 그 서비스 방법을 실행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및 방송 수신 장치
US1181209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metadata to play media assets stored on a digital video recorder
US1196286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laying media assets stored on a digital video recorder while a customer service representative is online
US1160659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laying media assets stored on a digital video recor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