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8683B1 - 체인블록용 삼각대 - Google Patents

체인블록용 삼각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8683B1
KR102358683B1 KR1020210111951A KR20210111951A KR102358683B1 KR 102358683 B1 KR102358683 B1 KR 102358683B1 KR 1020210111951 A KR1020210111951 A KR 1020210111951A KR 20210111951 A KR20210111951 A KR 20210111951A KR 102358683 B1 KR102358683 B1 KR 102358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pipe
chain block
protruding
tripo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1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재
Original Assignee
오승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승재 filed Critical 오승재
Priority to KR1020210111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86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8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8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12Chain or like hand-operated tackles with or without power transmission gearing between operating member and lifting rope, chain or cable
    • B66D3/16Chain or like hand-operated tackles with or without power transmission gearing between operating member and lifting rope, chain or cable operated by an endless chain passing over a pulley or a spr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4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spreading of the legs
    • F16M11/245Members limiting spreading of legs, e.g. "umbrella l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2Hoists or accessories for hoists
    • B66D2700/023Hoi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지지다리부가 결합관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한 조작으로 회전시 결합관부에 삽입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 방지되도록 구속됨으로써,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체인블록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체인블록용 삼각대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체인블록용 삼각대는 하측의 중심에 체인블록을 연결 가능하게 지지하는 연결링이 구비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하측에 둘레 방향을 따라 3개가 120도 간격으로 구비되는 결합관부 및 지면에 지지되도록 상기 결합관부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를 지면에서 이격시키고, 상기 결합관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시 상기 결합관부로부터 이탈 방지되는 지지다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체인블록용 삼각대{TRIPOD FOR CHAIN BLOCK}
아래 실시예들은 체인블록용 삼각대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체인블록은 기중기 등과 같은 대형 리프팅 장치의 사용이 곤란한 작업 여건에서 작업자가 직접 들기에는 무거운 중소형의 중량물을 들어올릴 때 사용하는 장비로서, 체인블록 본체를 작업장 천장의 고리에 걸어서 사용하거나 작업장에 별도의 지지대를 설치하고 그 지지대에 체인블록의 본체를 걸어 놓고 사용한다.
이러한 체인블록은 본체 상측으로 구비된 설치 후크를 작업장 천장의 고리나 지지대의 고리에 걸고, 본체의 종동 체인풀리에 체인이 설치된 리프팅후크를 중량물에 걸은 후, 원동 체인풀리에 걸린 체인을 당겨서 원동 체인풀리를 회전시키면 원동 체인풀리에 축으로 연결된 종동 체인풀리가 회전하면서 리프팅후크가 설치된 체인을 감아 올리거나 내리게 되므로, 적은 힘으로 무거운 물건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체인블록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의 경우, 구조물을 이루어 상당한 부피를 요구하고 있어 휴대가 매우 불편하고 설치시에도 상당한 시간과 작업성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음에 따라 신속한 작업이 요구되는 도로 위에서의 작업 시간이 상당히 지연될 뿐만 아니라, 안전성 또한 위협받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38589호(2010.01.18, 명칭: 삼각대를 이용한 간이 크레인)
실시예들은 지지다리부가 결합관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한 조작으로 회전시 결합관부에 삽입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 방지되도록 구속됨으로써,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체인블록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체인블록용 삼각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인블록용 삼각대는 하측의 중심에 체인블록을 연결 가능하게 지지하는 연결링이 구비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하측에 둘레 방향을 따라 3개가 120도 간격으로 구비되는 결합관부 및 지면에 지지되도록 상기 결합관부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를 지면에서 이격시키고, 상기 결합관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시 상기 결합관부로부터 이탈 방지되는 지지다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관부의 둘레면에는 복수개의 관통홀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다리부는 상기 결합관부에 삽입되고, 둘레면에 상기 관통홀부에 연통 가능한 출몰홀부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일측이 수용되고, 타측이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축부와, 상기 출몰홀부에 출몰 가능하게 이동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는 이동볼부 및 상기 지지축부의 회전시 상기 이동볼부가 상기 출몰홀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관통홀부에 걸림 지지되도록 안내하는 걸림지지안내부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지지안내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1체결부와, 상기 제1체결부와 체결되도록 상기 지지축부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제2체결부 및 상기 지지축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제1체결부의 체결 유무에 따라 상기 출몰홀부에서 상기 이동볼부의 돌출 이동 또는 삽입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안내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체인블록용 삼각대는 지지다리부가 결합관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한 조작으로 회전시 결합관부에 삽입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 방지되도록 구속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결합관부와 지지다리부를 결합시키기 위한 별도의 공구를 준비할 필요가 없어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체인블록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인블록용 삼각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인블록용 삼각대에서 위치이동연결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인블록용 삼각대에서 지지다리부의 변형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인블록용 삼각대에서 도 3에 도시된 지지다리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인블록용 삼각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인블록용 삼각대에서 위치이동연결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인블록용 삼각대에서 지지다리부의 변형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인블록용 삼각대에서 도 3에 도시된 지지다리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인블록용 삼각대는 고정플레이트(100), 결합관부(200) 및 지지다리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고정플레이트(100)는 하측의 중심에 체인블록을 연결 가능하게 지지하는 연결링(110)이 구비되는 것으로서, 결합관부(200)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결합관부(200)는 고정플레이트(100)의 하측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3개가 120도 간격으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다리부(300)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결합관부(200)는 위치이동연결부(400)에 의해 고정플레이트(100)의 중심 방향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도록 고정플레이트(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이동연결부(400)는 고정플레이트(100)에서 결합관부(200)가 배치되는 부위에 길이 방향이 고정플레이트(100)의 중심을 향하도록 관통 형성되는 장방형의 조절홀부(410)와, 조절홀부(410)와 연통하도록 결합관부(100)의 상측에 함몰 형성되는 체결홈부(420) 및 체결홈부(420)에 체결되도록 조절홀부(410)에 안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체결볼트(43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각각의 결합관부(200)는 지지다리부(300)가 불규칙한 지면에 접하게 될 경우, 안정적으로 지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고정플레이트(100)의 중심 방향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게 조절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결합관부(200)의 둘레면에는 복수개의 관통홀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관통홀부(210)의 개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개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지지다리부(300)는 지면에 지지되도록 결합관부(200)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플레이트(100)를 지면에서 이격시키고, 결합관부(200)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시 결합관부(200)로부터 이탈 방지된다.
이러한 지지다리부(300)는 결합관부(200)에 삽입되고, 둘레면에 관통홀부(210)에 연통 가능한 출몰홀부(311)가 형성되는 하우징(310)과, 하우징(310)에 일측이 수용되고, 타측이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축부(320)와, 출몰홀부(311)에 출몰 가능하게 이동되도록 하우징(310)에 수용되는 이동볼부(330) 및 지지축부(320)의 회전시 이동볼부(330)가 출몰홀부(311)로부터 돌출되어 관통홀부(210)에 걸림 지지되도록 안내하는 걸림지지안내부(340)를 포함한다.
이러한 걸림지지안내부(340)는 하우징(31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1체결부(341)와, 제1체결부(341)와 체결되도록 지지축부(320)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제2체결부(342) 및 지지축부(320)에 구비되고, 제1체결부(341)와 제2체결부(342)의 체결 유무에 따라 출몰홀부(311)에서 이동볼부(330)의 돌출 이동 또는 삽입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안내부재(343)를 포함한다.
즉, 지지축부(320)가 외력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지지축부(320)는 제1체결부(341)와 제2체결부(342)의 체결에 의해 하우징(31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지지축부(320)가 외력에 의해 타방향으로 회전되면, 지지축부(320)는 제1체결부(341)와 제2체결부(342)의 체결에 의해 하우징(310)에 삽입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이동안내부재(343)는 지지축부(320)가 하우징(31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이동볼부(330)를 접촉 가압하여 출몰홀부(311)에서 돌출시키고, 지지축부(320)가 하우징(310)에 삽입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이동볼부(330)에 대한 접촉 가압을 해제하여 이동볼부(330)를 출몰홀부(311)에서 자유롭게 한다.
이때, 지지축부(320)의 둘레면에는 이동볼부(330)가 출몰홀부(311)에서 최대로 돌출 이동된 상태에서 하우징(310)으로의 삽입을 제한하는 걸림턱부(321)가 형성된다.
또한, 이동안내부재(343)의 둘레면에는 지지축부(320)의 이동시 이동볼부(330)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는 경사부(343a)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부(343a)는 지지축부가(320)가 하우징(31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낮아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경사부(343a)는 이동볼부(330)와 접촉시 지지축부(320)가 이동될 수도록 출몰홀부(121)에서 이동볼부(300)의 출몰 길이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써, 경사부(343a)는 하우징(310)이 결합관부(2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지지축부(320)의 이동을 통해 이동볼부(330)를 출몰홀부(311)에서 돌출시키면 결합관부(200)의 둘레면에 형성된 관통홀부(210)에 이동볼부(330)를 걸림 가능하게 수용시키기 때문에 하우징(320)이 결합관부(200)에 삽입된 상태로 위치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출몰홀부(311)는 하우징(310)이 결합관부(200)에 삽입시 연통배치안내부(500)에 의해 관통홀부(210)와 연통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연통배치안내부(500)는 결합관부(200)의 내측면에 한 쌍이 마주보게 형성되는 슬라이드홈부(510) 및 슬라이드홈부(510)에 각각 끼워지도록 하우징(310)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드부재(52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출몰홀부(311)와 관통홀부(210)는 슬라이드부재(520)가 슬라이드홈부(510)에 끼워지기만 하면 결합관부(200)에 대해 하우징(310)의 조립 위치를 안내할 수 있기 때문에 상호 연통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고정플레이트 200: 결합관부
300: 지지다리부 310: 하우징
311: 출몰홀부 330: 이동볼부
340: 걸림지지안내부 341: 제1체결부
342: 제2체결부 343: 이동안내부재
400: 위치이동연결부 410: 조절홀부
420: 체결홈부 430: 체결볼트
500: 연통배치안내부 510: 슬라이드홈부
520: 슬라이드부재

Claims (3)

  1. 하측의 중심에 체인블록을 연결 가능하게 지지하는 연결링이 구비되는 고정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하측에 둘레 방향을 따라 3개가 120도 간격으로 구비되는 결합관부; 및
    지면에 지지되도록 상기 결합관부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를 지면에서 이격시키고, 상기 결합관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시 상기 결합관부로부터 이탈 방지되는 지지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관부의 둘레면에는 복수개의 관통홀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다리부는 상기 결합관부에 삽입되고, 둘레면에 상기 관통홀부에 연통 가능한 출몰홀부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일측이 수용되고, 타측이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축부와, 상기 출몰홀부에 출몰 가능하게 이동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는 이동볼부 및 상기 지지축부의 회전시 상기 이동볼부가 상기 출몰홀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관통홀부에 걸림 지지되도록 안내하는 걸림지지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블록용 삼각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지지안내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1체결부와, 상기 제1체결부와 체결되도록 상기 지지축부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제2체결부 및 상기 지지축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제1체결부의 체결 유무에 따라 상기 출몰홀부에서 상기 이동볼부의 돌출 이동 또는 삽입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블록용 삼각대.
KR1020210111951A 2021-08-24 2021-08-24 체인블록용 삼각대 KR102358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951A KR102358683B1 (ko) 2021-08-24 2021-08-24 체인블록용 삼각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951A KR102358683B1 (ko) 2021-08-24 2021-08-24 체인블록용 삼각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8683B1 true KR102358683B1 (ko) 2022-02-08

Family

ID=80252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1951A KR102358683B1 (ko) 2021-08-24 2021-08-24 체인블록용 삼각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86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16508A (zh) * 2023-05-09 2023-06-06 成都原创人造板科学技术有限公司 一种市政管道设备的吊装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8905A (en) * 1981-12-03 1984-03-27 Vital Kogyo Kabushiki Kaisha Device for mounting and dismounting chain blocks
KR100938589B1 (ko) 2008-04-17 2010-01-26 (주)대호테크 삼각대를 이용한 간이 크레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8905A (en) * 1981-12-03 1984-03-27 Vital Kogyo Kabushiki Kaisha Device for mounting and dismounting chain blocks
KR100938589B1 (ko) 2008-04-17 2010-01-26 (주)대호테크 삼각대를 이용한 간이 크레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16508A (zh) * 2023-05-09 2023-06-06 成都原创人造板科学技术有限公司 一种市政管道设备的吊装结构
CN116216508B (zh) * 2023-05-09 2023-07-04 成都原创人造板科学技术有限公司 一种市政管道设备的吊装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37711B1 (en) A telescopic waterproof tube structure
KR102358683B1 (ko) 체인블록용 삼각대
US11370104B2 (en) Connection structure of operation rod
US8074712B2 (en) Stop collar friction clamping device
US9903440B2 (en) Shackle with captured pin assembly
US8376336B2 (en) Strip off pin clamp
WO2023237007A1 (zh) 连接装置
US9980401B1 (en) Lock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ame
US20050109170A1 (en) Sectional adjustable socket tool handle
KR101813010B1 (ko) 스프링쿨러의 레듀서 고정 장치
US20160107320A1 (en) Fixture
US10199771B2 (en) High-current plug with clip lock
EP3078789A1 (en) Retaining mechanism for telescoping pole
EP3037212B1 (en) Wrench combining sleeve
CN102619820B (zh) 固定装置和具有其的工程机械
CN204075564U (zh) 一种自动焊枪的固定装置
US6233803B1 (en) Angled C-squeezer attachment
TWM468381U (zh) 可伸縮定位之扳手
US9770798B2 (en) Mechanism for positioning a workpiece
CN208719090U (zh) 一种内置压力伸缩自锁结构套管
CN204434138U (zh) 臂架结构和工程机械
US9802307B2 (en) Locking intermediate link for a tool arm assembly
CN109292650B (zh) 副臂
US9616535B2 (en) Positioning device and positoning method using the same
CN110815109B (zh) 多节万向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