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8354B1 - 심전도 기기의 리드오프 감지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심전도 기기의 리드오프 감지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8354B1
KR102358354B1 KR1020200083301A KR20200083301A KR102358354B1 KR 102358354 B1 KR102358354 B1 KR 102358354B1 KR 1020200083301 A KR1020200083301 A KR 1020200083301A KR 20200083301 A KR20200083301 A KR 20200083301A KR 102358354 B1 KR102358354 B1 KR 102358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form
lead
power
electrode attachment
electrocardi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3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5749A (ko
Inventor
전영협
문병기
김종우
김홍렬
김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웰리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웰리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웰리시스
Priority to KR1020200083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8354B1/ko
Publication of KR20220005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5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8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8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6Protection against electrode fail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346Analysis of electrocardiograms
    • A61B5/349Detecting specific parameters of the electrocardiograph cyc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44Monitoring or controlling distance between sensor an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21Determining signal validity, reliability or qual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sychiatry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심전도 기기의 리드오프 감지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체에 부착된 심전도 기기의 리드오프 발생 시 데이터 손실을 막기 위한 전원 제어 기술이 포함된 장치 및 방법 발명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극 부착부로부터 생성되는 상기 신체의 심전도 파형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심전도 파형이 정상 파형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심전도 파형이 상기 정상 파형인 경우 상기 전극 부착부가 상기 신체에 정상적으로 부착된 리드온 상태인 것으로 판정하여 상기 전원의 온오프(on/off)에 대한 잠금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심전도 파형이 비정상 파형인 경우 상기 전극 부착부가 상기 신체에 비정상적으로 부착된 리드오프 상태인 것으로 판정하여 상기 전원의 온오프(on/off)에 대한 잠금을 해제하여 상기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전도 기기의 리드오프 감지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으로 리드오프를 감지하여 취침 시 또는 일상 생활에서 사용자가 의도치 않은 상황 발생 시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심전도 기기의 리드오프 감지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A LEAD OFF DETECTION APPARATUS FOR ELECTROCARDIOGRAM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심전도 기기의 리드오프 감지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체에 부착된 심전도 기기의 리드오프 발생 시 데이터 손실을 막기 위한 전원 제어 기술이 포함된 장치 및 방법 발명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IoT 기술을 활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많이 등장하고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특징상 휴대가 간편해야 하며, 가볍고 오랜 시간 동작하여 한다. 이에 따라 저전력과 전원 관리 기술이 많이 요구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같은 소형의 장비는 사람의 신체에 직접적인 접촉을 하거나, 신체에 직접적인 접촉이 아닌 옷이나 다른 장구에 부착되는 형태로 사용된다.
한편, 웨어러블 심전도 기기는 환자 또는 사용자가 병원 밖에서 자신의 심전도를 측정하고 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간단한 사용에 대한 교육을 받게 되고 이를 토대로 외부에서 웨어러블 형태로 제작된 기기를 이용한다. 하지만 기기 사용에 대한 사용자의 숙련도가 차이가 있어 그 기기를 이용한 데이터의 신뢰도를 높이기가 쉽지 않다. 심전도 데이터는 장시간 즉, 24시간 이상 측정 시에만 발생하는 각종 신체 이상 신호가 추출이 되지만 여러 가지 외부 요인에 의해서 믿을 수 있는 데이터를 얻기가 쉽지 않아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 종래의 한국등록특허 제10-1513288호(장기간 부착을 위한 장치 특징부들 및 설계 요소들)는 전자 구성요소를 지니는 하우징, 전자 구성요소, 날개부, 전극, 부착체 층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사람 착용하고 있는 사람을 관찰, 기록, 보고 또는 치료를 수행한다.
다만, 취침이나 일상 생활에서 예기치 않은 상황 또는 환자의 조작 실수 등으로 인해 심전도 기기가 신체에서 떨어지거나 실수로 전원이 눌러지는 경우 관련 데이터를 수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13288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원 패턴 분석이나 심전도 기기가 신체에서 떨어지는 경우 파형 분석을 통해 전원의 온오프(on/off)에 대한 잠금(lock)을 설정 또는 해제하는 심전도 기기의 리드오프 감지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극 부착부의 신체 부착 여부를 판단하여 전원의 온오프(on/off)에 대한 잠금(lock)을 설정 또는 해제하는 심전도 기기의 리드오프 감지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극 부착부로부터 생성되는 상기 신체의 심전도 파형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심전도 파형의 피크 값(peak level)이 소정의 주기 내에서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심전도 파형이 정상 파형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심전도 파형이 상기 정상 파형인 경우 상기 전극 부착부가 상기 신체에 정상적으로 부착된 리드온 상태인 것으로 판정하여 상기 전원의 온오프(on/off)에 대한 잠금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심전도 파형이 비정상 파형인 경우 상기 전극 부착부가 상기 신체에 비정상적으로 부착된 리드오프 상태인 것으로 판정하여 상기 전원의 온오프(on/off)에 대한 잠금을 해제하여 상기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전도 기기의 리드오프 감지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심전도 파형이 정상 파형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피크 값이 소정의 오차 범위 내에서 주기적으로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심전도 파형이 정상 파형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피크 값이 소정의 임계 값(threshold level) 미만으로 일정 시간 지속(duration)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원의 온오프(on/off)에 대한 제어 신호를 기 설정된 전원 패턴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신호와 상기 기 설정된 전원 패턴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전원의 온오프(on/off)에 대한 잠금(lock)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극 부착부의 신체 부착 여부를 판단하여 전원의 온오프(on/off)에 대한 잠금(lock)을 설정 또는 해제하는 심전도 기기의 리드오프 감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극 부착부로부터 생성되는 상기 신체의 심전도 파형을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심전도 파형의 피크 값(peak level)이 소정의 주기 내에서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심전도 파형이 정상 파형인지 판단하는 분석부; 및 상기 심전도 파형이 상기 정상 파형인 경우 상기 전극 부착부가 상기 신체에 정상적으로 부착된 리드온 상태인 것으로 판정하여 상기 전원의 온오프(on/off)에 대한 잠금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심전도 기기의 리드오프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전원의 온오프(on/off)에 대한 제어 신호를 입력 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신호와 기 설정된 전원 패턴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전원의 온오프(on/off)에 대한 잠금(lock)을 해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분석부는, 상기 피크 값이 소정의 오차 범위 내에서 주기적으로 발생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심전도 파형이 정상 파형인지 판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분석부는, 상기 피크 값이 소정의 임계 값(threshold level) 미만으로 일정 시간 지속(duration)되는지 판단하여 상기 심전도 파형이 비정상 파형인지 판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심전도 파형이 정상 파형인 경우 상기 전극 부착부가 상기 신체에 정상적으로 부착된 리드온 상태인 것으로 판정하여 상기 전원의 온오프(on/off)에 대한 잠금을 설정하고, 상기 심전도 파형이 비상 파형인 경우 상기 전극 부착부가 상기 신체에 비정상적으로 부착된 리드오프 상태인 것으로 판정하여 상기 전원의 온오프(on/off)에 대한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심전도 기기의 리드오프 감지 제어 방법을 프로그램으로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으로 리드오프를 감지하여 취침 시 또는 일상 생활에서 사용자가 의도치 않은 상황 발생 시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여러 가지 외부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하여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심전도 기기의 리드오프 감지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상 파형의 심전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정상 파형의 심전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비정상 파형을 모니터링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리드 오프를 프로그램으로 구현한 화면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신호를 기 설정된 전원 패턴과 비교하여 전원의 온오프(on/off)에 대한 잠금(lock)을 해제하는 과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 패턴을 나타낸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은 감지 장치(미도시)에 대한 설명을 하고, 이를 기초로 감지 장치에서 구현되는 감지 방법에 대해 도 1 내지 도 7을 통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심전도 기기의 리드오프 감지 장치는 입력부, 분석부 및 제어부로 구성(미도시)되어 있으며,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현되는 하드웨어로 볼 수 있다.
입력부는, 상기 전극 부착부로부터 생성되는 상기 신체의 심전도 파형을 입력 받는다.
분석부는, 상기 심전도 파형의 피크 값(peak level)이 소정의 주기 내에서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심전도 파형이 정상 파형인지 판단한다.
분석부는, 피크 값이 소정의 오차 범위 내에서 주기적으로 발생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심전도 파형이 정상 파형인지 판단하거나, 피크 값이 소정의 임계 값(threshold level) 미만으로 일정 시간 지속(duration)되는지 판단하여 상기 심전도 파형이 비정상 파형인지 판단할 수 있다.
분석부는 전원의 온오프(on/off)에 대한 잠금 설정 또는 해제를 할 수 있다.
분석부는, 상기 심전도 파형이 정상 파형인 경우 상기 전극 부착부가 상기 신체에 정상적으로 부착된 리드온 상태인 것으로 판정하여 상기 전원의 온오프(on/off)에 대한 잠금을 설정할 수 있다.
분석부는, 상기 심전도 파형이 비상 파형인 경우 상기 전극 부착부가 상기 신체에 비정상적으로 부착된 리드오프 상태인 것으로 판정하여 상기 전원의 온오프(on/off)에 대한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심전도 파형이 상기 정상 파형인 경우 상기 전극 부착부가 상기 신체에 정상적으로 부착된 리드온 상태인 것으로 판정하여 상기 전원의 온오프(on/off)에 대한 잠금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에서 전원의 온오프(on/off)에 대한 제어 신호를 입력 받게 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제어신호와 기 설정된 전원 패턴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전원의 온오프(on/off)에 대한 잠금(lock)을 해제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신호는 전원의 온오프(on/off)를 조절하는 전원버튼을 누르는 형태로서, 3초 이내 3번의 버튼 누름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의 의도를 확인하기 위해 설정될 수 있는 모든 전원버튼의 누름 신호가 될 수 있다.
상술한 감지 장치로 구현되는 감지 방법에 대해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통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심전도 기기의 리드오프 감지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신체의 심전도 파형을 입력 받는 단계(S10); 심전도 파형이 정상 파형인지 판단하는 단계(S20) 및 전원의 온오프(on/off)에 대한 잠금을 설정하는 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
신체의 심전도 파형을 입력 받는 단계(S10)는, 상기 전극 부착부로부터 생성되는 파형을 입력부에서 수신한다.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하는 면에 전극 부착부가 부착되고, 신체 상황을 심전도 파형의 형태로 입력부에서 입력 받을 수 있다. 심전도 파형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PC 또는 모바일 등 웨어러블 기기에서 데이터의 현황을 점검할 수 있다.
심전도 파형이 정상 파형인지 판단하는 단계(S20)는, 심전도 파형의 피크 값(peak level)이 소정의 주기 내에서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지 심전도 파형의 피크 값을 검출하여 해당 피크 값의 변동을 파악하는 과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피크 값이 일정한지 또는 소정의 임계값 미만인지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전원의 온오프(on/off)에 대한 잠금을 설정하는 단계(S30)는, 상기 심전도 파형이 상기 정상 파형인 경우 상기 전극 부착부가 상기 신체에 정상적으로 부착된 리드온 상태인 것으로 판정하여 상기 전원의 온오프(on/off)에 대한 잠금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각 단계를 통해 심전도 파형이 비정상 파형인 경우 전극 부착부가 상기 신체에 비정상적으로 부착된 리드오프 상태인 것으로 판정하여 상기 전원의 온오프(on/off)에 대한 잠금을 해제하여 상기 전원을 제어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상 파형의 심전도를 나타낸다.
리드오프 감지(Lead off Detection) 기능을 활용하여 전원 온오프(on/off)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심전도 기기가 몸에 잘 부착되어 있는지 감지가 필수적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심전도 기기가 잘 부착되어 있을 경우 즉, 리드온(Lead On) 일 경우 심전도 파형은 일정한 형태의 모양을 보이면서 그래프(graph)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피크 값이 소정의 오차 범위 내에서 주기적으로 발생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심전도 파형이 정상 파형인지 판단할 수 있다.
정상적인 그래프 형태의 파형이 입력되는 경우, 심전도 데이터를 계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그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도록 저장할 수 있다. 다만 예기치 못한 상황에 의해 기기의 전원이 off되는 현상을 막아야 한고, 사용자는 기기의 사용법 숙지가 미흡할 수 있어 잘 못된 조작을 통하여 전원이 off 되어 유용한 데이터를 얻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취침 등의 상황에서는 몸의 뒤척임 등에 의해 기기의 전원이 예기치 못한 상황 하에 조작이 될 수 있다. 이럴 경우에도 심전도 데이터의 손실(loss)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런 경우에도 정상적인 심전도 파형을 얻기 위하여 리드오프(Lead off) 상황에서는 전원 버튼에 대한 제어(control)가 가능하고 리드온(Lead On)인 상태에서는 전원에 대한 제어를 소프트웨어적인 컨트롤을 통하여 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동작 사항을 살펴보면 상술한 도면 1과 같이 전극 부착부를 통해 입력부서 신호가 입력이 되고, 이 입력된 신호를 software 동작을 통한 분석부에서 분석을 진행한다. 입력된 신호의 분석을 통하여 리드오프(lead off) 와 리드온(lead on) 상태를 구분을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전원의 온오프(on/off) 제어를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정상 파형의 심전도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심전도 기기가 잘 부착되어 있지 않을 경우 즉, 리드 오프(Lead Off) 일 경우, 심전도 파형의 피크 값은 임계값 미만에서 지속적으로 검출(A)되거나 불규칙한 형태(B)가 될 수 있다.
심전도 파형이 정상 파형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피크 값이 소정의 임계 값(threshold level) 미만으로 일정 시간 지속(duration)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정한 형태의 그래프 모양을 보이지 않고 불규칙한 파형이 형성이 되거나 원하는 형태의 심전도 파형을 보이지 않는 경우, 즉 불규칙한 심전도 파형 형태로 출력이 되는 경우 이를 소프트웨어의 처리를 통해 사용자가 제대로 측정을 못하고 있음을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원 오프(Power off) 기능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활성화를 시켜서 사용자가 임의로 전원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Peak 를 알 수 없는 신호가 입력이 되는 경우, 일정한 임계값(threshold level)을 설정하여 이 임계값을을 초과하는 파형 신호를 이용하여 심박수(Heart Rate) 를 계산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임계값(threshold level) 보다 작은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심박수(Heart Rate)를 계산할 수 없다. 심박수(Heart Rate)를 계산할 수 없는 특정 기간을 설정하고, 이 기간은 기기의 사용 조건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1분이라는 시간을 가정할 수 있고, 1분 이상 일정한 임계값(threshold level) 이상의 신호가 입력이 되지 않아 심박수(Heart Rate) 가 계산되지 않았을 때 Lead off detection 기능이 활성화시켜 전원 버튼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비정상 파형을 모니터링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모바일에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고, 만약 전극 부착부가 리드오프 된 경우 파형의 형태를 통해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불규칙한 파형이나 임계값(threshold level) 미만으로 값이 지속되는지 소정의 주기로 판단하여 전극 부착부의 리드오프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리드 오프를 프로그램으로 구현한 화면의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신호를 기 설정된 전원 패턴과 비교하여 전원의 온오프(on/off)에 대한 잠금(lock)을 해제하는 과정(S40)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원의 온오프(on/off)에 대한 제어 신호를 기 설정된 전원 패턴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신호와 상기 기 설정된 전원 패턴이 일치하는 경우 전원의 온오프(on/off)에 대한 잠금(lock)을 해제할 수 있다.
일정한 전원패턴(power pattern)을 가지지 않는 노이즈(noise)가 입력될 경우, 정상적인 범위의 심박수(Heart Rate)가 계산되지 않으며 이런 정상적인 심박수(Heart Rate) 측정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나오지 않게 되면 리드오프(lead off)라고 판단하여 전원 버튼을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 패턴을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전원버튼의 특정 패턴은 다음과 같다. 3초 이내 전원버튼이 3번 눌러지는 경우에 사용자가 기기의 전원을 오프(off) 하려는 의도가 있다고 판단하여 전원 제어가 가능하다.
전원패턴을 형성하는 또 다른 실시 예로, 얼마 동안의 지속(Duration)을 가져갈지 또는 그 지속시간(duration time)동안 어떤 형태로 누르는지에 대해 설정 할 수 있으며, 실제 사용 조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7의 감지 방법을 프로그램으로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10)

  1. 전극 부착부의 신체 부착 여부를 판단하여 전원의 온오프(on/off)에 대한 잠금(lock)을 설정 또는 해제하는 심전도 기기의 리드오프 감지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극 부착부로부터 생성되는 상기 신체의 심전도 파형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심전도 파형의 피크 값(peak level)이 소정의 오차 범위 내에서 주기적으로 발생하는지 또는 소정의 주기 내에서 임계 값(threshold level) 미만으로 일정 시간 지속(duration)되는지 판단하여 상기 심전도 파형이 정상 파형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심전도 파형이 상기 정상 파형인 경우 상기 전극 부착부가 상기 신체에 정상적으로 부착된 리드온 상태인 것으로 판정하여 상기 전원의 온오프(on/off)에 대한 잠금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심전도 파형이 비정상 파형인 경우 상기 전극 부착부가 상기 신체에 비정상적으로 부착된 리드오프 상태인 것으로 판정하여 정상적인 심전도 파형을 얻기 위하여 상기 리드오프 상태에서 상기 전원의 온오프(on/off)에 대한 잠금을 해제 또는 사용자가 임의로 상기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전도 기기의 리드오프 감지 제어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의 온오프(on/off)에 대한 제어 신호를 기 설정된 전원 패턴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신호와 상기 기 설정된 전원 패턴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전원의 온오프(on/off)에 대한 잠금(lock)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심전도 기기의 리드오프 감지 제어 방법.
  5. 전극 부착부의 신체 부착 여부를 판단하여 전원의 온오프(on/off)에 대한 잠금(lock)을 설정 또는 해제하는 심전도 기기의 리드오프 감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극 부착부로부터 생성되는 상기 신체의 심전도 파형을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심전도 파형의 피크 값(peak level)이 소정의 오차 범위 내에서 주기적으로 발생하는지 또는 소정의 주기 내에서 임계 값(threshold level) 미만으로 일정 시간 지속(duration)되는지 판단하여 상기 심전도 파형이 정상 파형인지 판단하는 분석부; 및
    상기 심전도 파형이 상기 정상 파형인 경우 상기 전극 부착부가 상기 신체에 정상적으로 부착된 리드온 상태인 것으로 판정하여 상기 전원의 온오프(on/off)에 대한 잠금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심전도 파형이 비정상 파형인 경우 상기 전극 부착부가 상기 신체에 비정상적으로 부착된 리드오프 상태인 것으로 판정하여 정상적인 심전도 파형을 얻기 위하여 상기 리드오프 상태에서 상기 전원의 온오프(on/off)에 대한 잠금을 해제 또는 사용자가 임의로 상기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전도 기기의 리드오프 감지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전원의 온오프(on/off)에 대한 제어 신호를 입력 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신호와 기 설정된 전원 패턴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전원의 온오프(on/off)에 대한 잠금(lock)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전도 기기의 리드오프 감지 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심전도 파형이 정상 파형인 경우 상기 전극 부착부가 상기 신체에 정상적으로 부착된 리드온 상태인 것으로 판정하여 상기 전원의 온오프(on/off)에 대한 잠금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전도 기기의 리드오프 감지 장치.
  10. 제 1 항에 따른 방법을 프로그램으로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200083301A 2020-07-07 2020-07-07 심전도 기기의 리드오프 감지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358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301A KR102358354B1 (ko) 2020-07-07 2020-07-07 심전도 기기의 리드오프 감지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301A KR102358354B1 (ko) 2020-07-07 2020-07-07 심전도 기기의 리드오프 감지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749A KR20220005749A (ko) 2022-01-14
KR102358354B1 true KR102358354B1 (ko) 2022-02-09

Family

ID=79342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3301A KR102358354B1 (ko) 2020-07-07 2020-07-07 심전도 기기의 리드오프 감지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8354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9271A (ko) * 2001-12-14 2003-06-25 세인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심전계 및 그의 제어방법
CA2797980C (en) 2010-05-12 2015-08-18 Irhythm Technologies, Inc. Device features and design elements for long-term adhesion
KR101367208B1 (ko) * 2012-03-27 2014-02-26 주식회사 씨유메디칼시스템 심전도 회로에서의 전극 부착 확인 장치 및 방법
KR20150095439A (ko) * 2014-02-13 2015-08-21 주식회사 솔미테크 생체 정보 측정 시스템 및 그 측정 방법
KR102309293B1 (ko) * 2015-01-15 2021-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심전도 신호를 기초로 인증을 수행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07390A (ko) * 2015-03-03 2016-09-19 주식회사 쇼미미디어앤트레이딩 심전도 신호 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749A (ko) 2022-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9034E1 (en) Physiological trend monitor
US7190261B2 (en) Arrhythmia alarm processor
US11931184B2 (en) System and method for non-intrusive health monitoring in the home
US6754516B2 (en) Nuisance alarm reductions in a physiological monitor
US8676336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detection of context when addressing a medical condition of a patient
DE102008025709B4 (de) Medizinische Vorrichtung, welche ausgestaltet ist, eine Benutzeransprechbarkeit zu überprüfen
US8114033B2 (en) Sleep determination apparatus
CN108882860B (zh) 追踪到生命体征测量传感器的接触质量
US20110009722A1 (en) Historical Trend Icons For Physiological Parameters
JP2017533737A (ja) 加速度計を有するパルスオキシメータ
ATE536801T1 (de) Adaptives physiologisches überwachungssystem und anwendungsverfahren dafür
AU2007284451A1 (en) Wetness sensor
KR102358354B1 (ko) 심전도 기기의 리드오프 감지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11255051A (ja) R波検出装置及びr波計測システム
US6944500B1 (en) Method and circuit for monitoring an oscillator in a medical implant
US20240180493A1 (en) System and method for non-intrusive health monitoring in the home
KR102157550B1 (ko) 수면 방해요인 탐지 시스템
US20230037947A1 (en) Detection of mismatched sensors
CN210872674U (zh) 一种具有血氧监测功能的婴儿培养箱
AU2002320616A1 (en) Nuisance alarm reductions in a physiological moni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