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8213B1 - Manual Lifter - Google Patents
Manual Lif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58213B1 KR102358213B1 KR1020210113849A KR20210113849A KR102358213B1 KR 102358213 B1 KR102358213 B1 KR 102358213B1 KR 1020210113849 A KR1020210113849 A KR 1020210113849A KR 20210113849 A KR20210113849 A KR 20210113849A KR 102358213 B1 KR102358213 B1 KR 1023582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oove
- vertical rail
- cargo
- lifter
- board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8—Masts; Guides;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물을 수동으로 들어올려 이동시키는 리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바퀴에 의해 지지되는 수직레일대; 상기 수직레일대의 전방에 형성되며 화물을 지지하는 포크가 형성된 승강부; 상기 수직레일대의 후방에 작업자가 체중을 가압할 수 있는 탑승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에 가해지는 화물의 무게를 작업자의 체중으로 상쇄시킴으로써 리프터의 균형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수동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er for manually lifting and moving cargo,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rtical rail supported by a main wheel; a lifting unit formed in front of the vertical rail stand and having a fork supporting the cargo; It relates to a manual lifter that can stably maintain the balance of the lifter by offsetting the weight of the cargo applied to the lifting unit with the weight of the operator, including; will be.
일반적으로 리프트장치는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한 한 쌍의 포크(Fork)를 이용하여 중량의 화물을 적재시킨 상태에서 임의의 높이로 리프트시켜 운송할 수 있도록 한 장치를 의미한다. In general, a lifting device refers to a device that can be transported by lifting it to an arbitrary height in a state in which a heavy cargo is loaded using a pair of forks formed to protrude forward.
종래의 리프트장치는 화물이 적재되어 있는 팔레트를 들어올리기 위한 포크가 구비된다. The conventional lift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fork for lifting the pallet on which the cargo is loaded.
상기 포크는 승강수단에 의하여 상승하거나 또는 하강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승강수단은 모터 등 외부에서 에너지를 공급하여 힘을 발생시키는 전동식이 될 수 있고 또는 작업자가 직접 와이어가 권취된 롤러를 회전시켜 와이어의 장력으로 들어올리는 수동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ork is provided to be raised or lowered by the elevating means, and the elevating means may be an electric type that generates power by supplying energy from the outside, such as a motor, or a worker directly rotates a roller on which the wire is wound. The lifting by tension can be done manually.
승강수단이 별도의 동력공급없이 이루어지는 수동식의 경우에는 전동식에 비하여 단가가 저렴한 장점이 있어, 소규모의 자재 창고나 생산 현장 등에서 비교적 작은 중량체의 화물을 작업자가 이동시킬 때 사용된다. 수동식의 리프트장치가 취급하는 화물의 중량은 통상적으로 70~150Kg 내외의 저 중량체의 화물을 대상으로 한다. In the case of the manual lifting means in which a separate power supply is not supplied, the unit price is lower than that of the electric type, so it is used when a worker moves a relatively small weight cargo in a small material warehouse or a production site. The weight of the cargo handled by the manual lift device is usually for the low-weight cargo of about 70~150Kg.
상기 포크는 수직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된 본체프레임을 따라 이동한다. 상기 본체프레임은 지면과 맞닿은 바퀴 등이 구비되어 리프트장치 및 화물의 무게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며 화물무게로 인해 쓰러지거나 불균형한 자세가 초래되지 않도록 화물무게를 상쇄시키도록 구비된다. The fork moves along a body frame having a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body frame is provided with wheels in contact with the ground to support the lift device and the weight of the cargo from the ground, and to offset the weight of the cargo so as not to collapse or cause an unbalanced posture due to the weight of the cargo.
그리고 상기 본체프레임을 이동시키고 조향시키기 위한 손잡이가 구비되어, 작업자는 손잡이를 파지하여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And a handle for moving and steering the body frame is provided, and the operator grips the handle and moves it to a desired position.
리프트장치의 작동을 살펴보면, 포크를 상부에 화물을 적재하는 팔레트에 전방향에 대하여 관통되도록 형성한 통공에 삽입하고 상기 포크를 상승시킴으로 화물이 지면으로부터 일정 이격되도록 한 후, 일정 각으로 기울여서 포크에 의해 지지되는 팔레트를 리프터 내측으로 기울여 저면 뿐 아니라 측면까지 지지하여 안정적으로 균형이 잡힐 수 있도록 한다. 이후 바퀴를 이용하여 일정 거리까지 운반함으로써 화물의 운송을 보다 편리하고 적은 힘으로도 가능하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lift device, a fork is inserted into a through hole formed to penetrate in all directions on a pallet for loading cargo, and the cargo is spaced from the ground by elevating the fork, and then tilted at a certain angle to the fork. By tilting the pallet supported by the lifter to the inside of the lifter, it supports not only the bottom but also the sides so that it can be stably balanced. Then, by using wheels to transport it to a certain distance, it is possible to transport cargo more conveniently and with less force.
한편 이러한 포크로 이용해 화물을 들어올리는 리프트장치의 경우, 리프트 장치가 취급할 수 있는 허용중량을 넘어서는 화물을 취급하고자 할 때에 화물이 지지되는 전방부에 지나친 하중이 가해지게 되어 정지관성모멘텀을 넘어서는 토크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리프트장치가 전방으로 전도될 수 있으며 화물에 큰 손상이 가해질 우려가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lift device that lifts cargo using such a fork, when a cargo exceeding the allowable weight that the lift device can handle is handled, an excessive load is applied to the front part where the cargo is supported, and the torque exceeds the static momentum of inertia. This can cause the lift device to fall forward and cause serious damage to the cargo.
이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공개특허 10-2020-0004994에서 개시된 바 본체프레임 중 바퀴가 구비되는 하부프레임을 화물이 적재되는 전방으로 길게 빼내어 화물의 하중이 본체프레임의 중앙부에 가해지도록 하였으며 이로 인해 화물의 하중에 의한 토크가 발생하지 않게 되어 전도의 위험성을 크게 낮추었다.As a configuration to prevent this, the lower frame provided with wheels among the bar body frames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20-0004994 is pulled out long in the front where the cargo is loaded, so that the load of the cargo is applied to the central part of the body frame. Torque does not occur due to the load, which greatly reduces the risk of overturning.
그러나 이러한 형상으로 본체프레임을 구성하는 경우 주로 전방에서 화물을 취급하는 데에 있어서 하부프레임이 걸림이 되어 좁은 공간에 리프트장치의 진입이 불가능하거나 또는 협소한 공간에 놓여져 있는 화물의 팔레트에 포크를 삽입시킬 시에 깊숙히 삽입이 이루어지지 않아 화물 팔레트가 불안정한 위치에서 취급되는 경우가 있고 화물의 탈락시에 큰 손상이 가해질 수 있다. However, when the body frame is configured in this shape, the lower frame is usually jammed in handling cargo from the front, making it impossible to enter the lift device in a narrow space or inserting a fork into a pallet of cargo placed in a narrow space When loading, the cargo pallet may be handled in an unstable position because it is not deeply inserted, and serious damage may be caused when the cargo is dropped off.
등록특허 10-1060497에 개시된 수동 리프트는 전방으로 치우친 화물의 무게중심을 극복하고자 후방측에 따로 중량물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을 두어 화물을 지지하는 리프트 장치의 무게중심을 후방으로 두고자 하였다. The manual lift disclosed in Patent Registration No. 10-1060497 was intended to se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lift device supporting the cargo to the rear by providing a space for loading a separate weight on the rear side in order to overcome the forward center of gravity of the cargo.
그러나 리프트장치의 후방의 구조가 복잡해짐은 물론 부피가 커져 보관 및 취급이 곤란하여 효용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However, the structure of the rear of the lift device is complicated, and the volume is large, which makes storage and handling difficult, and thus the efficiency is lowered.
따라서 화물의 무게로 인해 전방으로 치우친 무게중심을 중앙부로 위치하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균형을 잡을 수 있게 하며 상대적으로 적은 소규모의 화물을 취급하기에 용이하도록 작은 사이즈로 제작이 가능한 수동 리프터의 개발이 대두된다.Therefore, the development of a manual lifter that can be produced in a small size to facilitate the handling of relatively small and relatively small cargo is emerging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which is biased forward due to the weight of the cargo, is located in the center to achieve a stable balance. .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리프터의 전방으로 길게 구비된 포크가 화물을 지지한 상태에서 리프터를 제어하는 작업자가 자신의 체중을 탑승부에 가하여 리프터의 무게중심을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리프터의 균형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전도의 위험성을 현저히 낮춘 수동 리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or controlling the lifter applies his or her weight to the boarding part while the fork provided long in the front of the lifter supports the cargo. It is to provide a manual lifter that can maintain the lifter's balance stably and significantly reduce the risk of overturn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리프터의 전방에 포크 이외의 구성을 제거하여 외부의 구조물에 걸림없이 포크가 화물 팔레트에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하고 탑승부의 폭을 탑승자의 발이 올려질 정도로 얇게 형성함과 동시에 수직방향으로 접철되도록 하여 부피를 대폭 감소시킴으로써 협소한 공간에서도 원활하게 운행할 수 있는 수동 리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move components other than the fork from the front of the lifter so that the fork can be smoothly inserted into the cargo pallet without being caught by an external structure, and to make the width of the boarding part thin enough for the feet of the occupant to be raised, and at the same time,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to provide a manual lifter that can be operated smoothly even in a narrow space 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volume by folding it with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탑승부를 수직레일대 후면에 고정되는 고정발판과 상기 고정발판의 하부에서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는 신축발판으로 구성하고 상기 신축발판이 고정발판의 신축홈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되어 원하는 신축길이만큼 조절함으로써 화물의 무게에 따라 후방에서 발생하는 토크를 조절할 수 있고 리프터가 사용되는 공간의 크기에 따라 리프터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수동 리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gure the boarding unit with a fixed footrest fixed to the rear of the vertical rail stand and a telescopic footboard coupled to slide under the fixed footrest, and the telescoping footboard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telescoping groove of the fixed footrest. It is to provide a manual lifter that can adjust the torque generated from the rear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cargo by adjusting the desired extension length and change the length of the lifter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pace in which the lifter is us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정발판의 신축홈에 체결되는 신축발판의 누름부를 발로 조작할 수 있게 하여 신축발판의 이동 및 고정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는 수동 리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nual lifter capable of quickly and simply operating the movement and fixing of the telescopic scaffold by enabling the foot to operate the pressing part of the telescoping foot that is fastened to the telescoping groove of the fixed footres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직레일대의 후면에 발판고정부를 형성하여 탑승부가 거치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교적 작은 중량의 화물을 운송할 때나 보관 및 휴대할 때에 부피를 줄여 취급이 용이한 수동 리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nual lifter that is easy to handle by reducing the volume when transporting, storing and carrying relatively small weight cargo by forming a footrest fixing part on the rear side of the vertical rail so that the boarding part can be mounted and fixed. will do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물을 운반하기 위한 수동 리프트 장치에 있어서, 하부의 주바퀴(150)에 의해 지지되고,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수직레일대(100); 상기 수직레일대(100)를 따라 승강하며, 화물이 적재되는 포크(210)가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승강부(200); 상기 수직레일대(100)의 후방에서 수평으로 형성되며, 작업자의 체중으로 가압되고, 상기 주바퀴(150)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며 주바퀴(150)보다 직경이 작은 보조바퀴(426)가 후단에 구비되는 탑승부(400);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object, in a manual lift device for transporting cargo, is supported by the lower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탑승부(400)는 상기 수직레일대(100)에 접철하여 결합된다.In addition, the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탑승부(400)는 중앙부에 신축홈(41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발판(410); 및 상기 고정발판(4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신축홈(411)을 관통하는 누름부(421)가 상기 고정발판(410)의 상부로 돌출되고, 상기 신축홈(411)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신축발판(420);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신축홈(411)은 고정홈(412) 및 상기 고정홈(412)의 직경(a)보다 작은 폭(b)의 이동홈(413)이 번갈아가면서 형성되며; 상기 누름부(421)는 하부에 상기 고정홈(412)의 직경(a)과 동일한 직경(d3)의 고정부(424), 상기 고정부(424)의 상부에 상기 이동홈(413)의 폭(b)과 동일한 직경(d2)의 이동부(423)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423)의 상부에 상기 고정홈(412)의 직경(a)보다 큰 직경(d1)의 걸림부(422)가 형성된다.In addition, in the expansion and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누름부(421)의 고정부(424)는 상기 신축홈(411)의 고정홈(412)을 관통하되 이동홈(413)을 관통하지 못한다.In addition, the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수직레일대(100)의 후면에는 상기 걸림부(422)보다 큰 직경의 통과구(161) 및 상기 통과구(161) 상부에 걸림부(422)보다 작은 직경의 고정구(162)가 형성된 발판고정부(160)가 승강되도록 구비된다.In addition, on the rear surface of the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탑승부(400)는 상기 주바퀴(150)와 보조바퀴(426) 사이에 작업자가 올라가 가압하도록 평평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리프터는 리프터의 전방으로 길게 구비된 포크가 화물을 지지한 상태에서 리프터를 제어하는 작업자가 자신의 체중을 탑승부에 가하여 리프터의 무게중심을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리프터의 균형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전도의 위험성을 현저히 낮춘 장점이 있다.In the manual lif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or controlling the lifter applies his or her weight to the boarding part in a state where the fork provided long in front of the lifter supports the load,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lifter is located in the center, thereby balancing the lifter. It can be maintained stably and has the advantage of significantly lowering the risk of conduction.
또한 본 발명은 리프터의 전방에 포크 이외의 구성을 제거하여 외부의 구조물에 걸림없이 포크가 화물 팔레트에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하고 탑승부의 폭을 탑승자의 발이 올려질 정도로 얇게 형성함과 동시에 수직방향으로 접철되도록 하여 부피를 대폭 감소시킴으로써 협소한 공간에서도 원활하게 운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moves components other than the fork from the front of the lifter so that the fork is smoothly inserted into the cargo pallet without being caught by an external structure, and forms the width of the boarding part thin enough to raise the rider's feet and folds it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operate smoothly even in a narrow space by greatly reducing the volume by making it possible.
또한 본 발명은 탑승부를 수직레일대 후면에 고정되는 고정발판과 상기 고정발판의 하부에서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는 신축발판으로 구성하고 상기 신축발판이 고정발판의 신축홈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되어 원하는 신축길이만큼 조절함으로써 화물의 무게에 따라 후방에서 발생하는 토크를 조절할 수 있고 리프터가 사용되는 공간의 크기에 따라 리프터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fixed footboard fixed to the rear of the vertical rail stand and a telescoping foot that is coupled to slide under the fixed footrest, and the telescoping foot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telescoping groove of the fixed footrest so that the desired expansion and contraction By adjusting the length, the torque generated from the rear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cargo, and the length of the lifter can be vari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pace where the lifter is used.
또한 본 발명은 고정발판의 신축홈에 체결되는 신축발판의 누름부를 발로 조작할 수 있게 하여 신축발판의 이동 및 고정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conveniently operate the movement and fixation of the telescopic footrest by enabling the foot to operate the pressing part of the telescopic footrest fastened to the telescopic groove of the fixed footrest.
또한 본 발명은 수직레일대의 후면에 발판고정부를 형성하여 탑승부가 거치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교적 작은 중량의 화물을 운송할 때나 보관 및 휴대할 때에 부피를 줄여 취급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easy handling by reducing the volume when transporting, storing and carrying relatively small weight cargo by forming a footrest fixing part on the rear surface of the vertical rail so that the boarding part can be mounted and fixed.
도 1은 본 발명의 수동 리프터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수동 리프터의 탑승부의 접철동작을 도시한 것으로서, (a)는 탑승부가 펼쳐진 상태의 측면도, (b)는 탑승부가 접철되어 발판고정부에 고정된 상태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수동 리프터에서 탑승부의 길이조절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서, (a)는 최대 길이를 가지도록 신장한 상태의 평면도, (b)는 최소 길이를 가지도록 수축한 상태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수동 리프터에서 탑승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수동 리프터에서 누름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한 상태의 단면도, (b)는 작업자가 가하는 외력에 의해 하강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수동 리프터에서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의 측면도.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manual lifter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boarding part of the manual lif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side view of the boarding part unfolded, (b) is a side view of the boarding part folded and fixed to the footrest fixing part.
3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adjusting the length of the boarding part in the manual lif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lan view of the elongated state to have a maximum length, (b) is a plan view of a contracted state to have a minimum length.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oarding part in the manual lifter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pressing part in the manual lif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cross-sectional view in a state rais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b) is a cross-sectional view in a state lowered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by an operator.
Figure 6 is a sid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operator is boarded in the manual lifte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m.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리프터는 취급 대상의 화물을 다른 장소로 운반하는 리프트 장치로서, 1 to 6, the manual lif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fting device for transporting a cargo to be handled to another place,
하부의 주바퀴(150)에 의해 지지되고,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수직레일대(100);a
상기 수직레일대(100)를 따라 승강하며, 화물이 적재되는 포크(210)가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승강부(200); a
상기 수직레일대(100)의 후방에서 수평으로 형성되며, 작업자의 체중으로 가압되고, 상기 주바퀴(150)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며 주바퀴(150)보다 직경이 작은 보조바퀴(426)가 후단에 구비되는 탑승부(400);를 포함한다.It is formed horizontally at the rear of the
본 발명의 수동 리프터는 외부의 동력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전동식이 아닌 포크(210)가 형성되어 있는 승강부(200)가 와이어에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를 직접 권취하여 승강부(200)를 들어올리도록 기계적으로 결합된 수동식으로, 비교적 적은 중량의 화물을 들어올리거나 운반하는 등 취급하기 위해 구비되는 리프트 장치이다.In the manual lif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수직레일대(100)는 그 길이가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지면과 접촉되어 상기 수직레일대(100)를 지지하는 주바퀴(150)가 구비되어 화물을 적재후에 운반하려는 장소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The
화물은 수직레일대(100)의 전방부에 배치되는 포크(210)에 적재된다. 상기 포크(210)는 수평방향으로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어 화물이 적재된 팔레트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포크(210)는 승강부(200)와 결합되어 수직레일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되므로 상기 화물을 포크(210)에 적재시킨 후 원하는 높이까지 승강하여 운반한다. The cargo is loaded on the
상기 화물이 포크(210)에 적재된 경우 리프터는 무게중심이 전방으로 치우쳐져 형성되므로 균형이 불안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직레일대(100)의 후방의 하부에 탑승부(400)를 구비하여 본 발명의 리프터를 운전하는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하고 체중을 상기 탑승부(400)에 가압한다. When the cargo is loaded on the
상기 탑승부(400)는 수직레일대(100)의 후면에 결합된다. 따라서 작업자의 체중이 수직레일대(100)를 기준으로 뒤쪽에 실리기 때문에 화물의 무게와 작업자의 체중이 상쇄되어 리프터의 무게중심이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다. The
따라서 리프터의 무게중심은 수직레일대(100)쪽으로 향하여 잡히게 되므로 주바퀴(150)에 의해 화물의 무게와 작업자의 체중을 더한 리프터의 하중이 지면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화물의 운반시에 운행성능도 향상된다. Therefore, sinc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lifter is held toward th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리프터에서 수직레일대(100)는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수직레일대(100)는 후술할 승강부(200)가 상하로 움직이는 스트로크 범위가 되므로 수직레일대(100)의 높이를 충분히 길게하여 승강부(200)를 높게 위치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리프터는 비교적 작은 중량의 화물을 취급하고 작업자의 체중으로 무게중심을 잡으므로 탑승부(400)를 지나치게 높이 올릴 수 있도록 수직레일대(100)의 높이를 높게 하면 균형이 불안해져 화물의 낙하 또는 리프터의 전도가 우려되므로 안전한 범위 내에서 높이를 형성하는 것이 좋다.As shown in Figure 1, in the manual lif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수직레일대(100)의 폭은 작업자의 어깨너비보다 작게 형성되어 협소한 공간에서의 운전시에도 외부 구조물에 걸림이 되지 않는다. 안정적인 구조를 위해 수직레일대(100)의 폭은 후술할 주바퀴(150)의 차륜거리보다 작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width of the
상기 수직레일대(100)는 본 발명의 수동 리프터 중에 중앙부에 위치한 구성으로서, 리프터에 가해지는 하중의 중심점이 된다. 상기 수직레일대(100)를 중심으로 전방에는 화물의 무게가 가압되고 후방으로는 작업자의 체중이 가압되므로 리프터에 가해지는 하중의 중심은 수직레일대(100)쪽의 중앙부로 근접한다. 따라서 수직레일대(100)를 기준으로 무게가 가해져 본 발명의 수동 리프터의 균형이 잘 잡혀져 있어 화물의 운반시에 리프터를 운전시에 주행 안정성이 향상된다.The
상기 수직레일대(100)의 자체 하중도 어느 정도 무거운 것이 바람직하다. 수직레일대(100) 전방의 포크(210)에 화물을 적재시에 무게중심이 리프터의 전방으로 가압되지만 수직레일대(100)의 후방의 탑승부(400)에 작업자의 체중을 가압하는 경우는 가변적이고 변동이 심하므로 적재 초기에는 전방으로 무게중심이 쏠린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elf-load of the
따라서 수직레일대(100)가 충분한 무게로 형성되어 작업자가 탑승부(400)에 체중을 가압하기 전에 포크(210)에 화물을 적재시에 전도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수직레일대(100)의 무게가 전방으로 쏠린 무게중심을 상쇄한다.Therefore, the
이후 작업자가 체중을 탑승부(400)에 가압하여 수직레일대(100)의 후방에 하중이 추가되므로 안정적인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다만 작업자의 체중은 화물의 운반시에 탑승부(400)에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고 변동되므로 리프터의 이동시에도 무게중심이 중앙부에 머무르도록 유지하기 위해 수직레일대(100)의 자체 하중이 어느 크기 이상으로 형성되어 균형을 유지한다. Thereafter, the operator presses the body weight to the
상기 수직레일대(100)에는 길이방향으로 레일홈(130)이 형성된다. 상기 레일홈(130)은 수직레일대(100)의 양측면 및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할 승강부(200)는 상기 레일홈(130)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으며 승강부(200)가 레일홈(130)에서 빠지지 않도록 결합된다. A
상기 수직레일대(100)의 상부 후면에는 파지부(110)가 구비된다. 상기 파지부(110)는 상기 수직레일대(100)의 폭 방향으로 돌출되되 작업자의 어깨너비 정도로 벌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A
파지부(110)는 수직레일대(100)와 결합되어 있으므로 작업자가 상기 파지부(110)를 잡아 리프터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화물의 운반시에 상기 파지부(110)를 잡고 수직레일대(100)를 조향하여 가고자 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Since the
상기 파지부(110)의 하부에는 승강손잡이(120)가 상기 수직레일대(100)의 후면에 구비된다. 상기 승강손잡이(120)는 수직레일대(100)의 내부에 있는 와이어롤러(미도시)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롤러(미도시)를 권취하거나 풀때 상기 승강손잡이(120)를 잡고 회전시킨다. 상기 와이어(미도시)의 일측은 와이어롤러(미도시)에 결합되며 수직레일대(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도르래(미도시)를 걸리고 타단이 후술할 승강부(200)와 결합된다. A lifting
상기 승강손잡이(120)를 회전시키면 와이어(미도시)는 와이어롤러(미도시)에 점점 권취되며 승강부(200)를 도르래(미도시)쪽으로 상승된다. 또한 반대방향으로 승강손잡이(120)를 회전시키면 승강부(200)는 하강한다. 이러한 승강작용으로 승강부(200)는 적재된 화물을 들어올리거나 또는 내려놓는 등 취급이 용이하다.When the
상기 수직레일대(100)의 하부에는 지면과 접촉되는 주바퀴(150)가 구비된다. 상기 주바퀴(150)는 상기 수직레일대(100)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며, 상기 주바퀴(150) 간의 차륜거리는 수직레일대(100)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상기 수직레일대(100)의 무게중심이 이동하여도 주바퀴(150) 사이에 위치하므로 주바퀴(150)는 본 발명의 수동 리프터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A
그러나 상기 수직레일대(100)의 폭이 지나치게 크지 않을 정도로 형성되므로 상기 주바퀴(150)의 차륜거리 또한 그리 넓지 않게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동 리프터는 비교적 얇은 폭으로 이루어지며 협소한 공간에서도 화물을 적재하거나 또는 운반시에도 걸림없이 원활하게 운행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width of the
상기 주바퀴(150)와 더불어 후술할 보조바퀴(426)는 상기 주바퀴(150)의 후방에 위치한다. 보조바퀴(426)는 탑승부(400)의 후단에 위치하는데, 상기 탑승부(400)에 탑승하는 작업자의 체중은 주바퀴(150)와 보조바퀴(426)의 사이인 축간거리에 위치하므로 탑승자의 체중이 리프터의 내측에 가압되고 주바퀴(150)와 보조바퀴(426)가 작업자의 체중을 분산하여 지지하므로 안정적으로 균형을 잡을 수 있다. An
상기 수직레일대(100)의 후면에는 후술할 탑승부(400)의 접철시에 수직레일대(100)에 고정시킬 수 있는 발판고정부(160)가 형성된다. 상기 발판고정부(160)는 상하로 약간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레일대(100)의 후면에 결합된다. 상기 발판고정부(160)는 수직레일대(100)의 후면에서 후방을 향하여 약간 돌출되어 있다.A
상기 발판고정부(160)는 후술할 누름부(421)의 걸림부(422)의 직경(d1)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통과구(161)와, 걸림부(422)의 직경(d1)보다 작은 고정구(162)가 형성되며, 상기 통과구(161)와 고정구(162)는 연통되어 형성된다. The
탑승부(400)의 접철시에 탑승부(400)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누름부(421)는 수직레일대(100)의 후면을 향하여 위치한다. 상기 발판고정부(160)를 상방으로 살짝 들어올려 누름부(421)의 걸림부(422)가 통과구(161)를 관통하도록 하고 발판고정부(160)를 놓아 하방으로 내려가면 상기 걸림부(422)는 고정구(162)에 위치하여 걸리게 되므로 상기 탑승부(400)가 수직으로 접철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When the
상기 발판고정부(160)는 저면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과구(161)는 개방된 저면과 연통되어 걸림부(422)를 수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과구(161)가 형성되지 않고 고정구(162)만 형성된 채로 개방된 저면을 통해 걸림부(422)를 수용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발판고정부(160)는 탑승부(400)의 접철시에 걸림부(422)를 잡아 접철상태를 유지, 고정하는 형상이면 충분하다. The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레일대(100)의 레일홈(130)에 결합되어 상기 수직레일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이동하는 승강부(200)는 전방을 향하여 포크(210)가 형성된다. 1 and 2, the elevating
상기 포크(210)는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한 쌍의 포크(Fork)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포크(210)는 화물이 상부에 적재된 팔레트에 형성되는 관통구에 삽입되며, 상기 포크(210)가 승강부(200)에 의해 상승되면 팔레트를 들어올리면서 상기 포크(210)의 상면에 화물이 지지된다. The
상기 포크(210)는 화물을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전방으로 돌출된 한 쌍의 포크(Fork)형상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화물의 외측을 잡아 고정하는 집게 형상, 상면에 화물을 올려놓을 수 있는 판 형상 등과 같이 화물을 수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도 확장될 수 있다. The
상기 포크(210)는 화물이 수용된 이후에 승강부(200)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200)는 수직레일대(100)의 내부에서 와이어(미도시)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미도시)가 상방으로 인장력을 가하면 수직레일대(100)를 따라 상승하고, 인장력을 해제하면 상기 승강부(200)가 하강하여 포크(210)도 하강한다. The
상기 와이어(미도시)는 수직레일대(100)의 상부에 있는 도르래(미도시)에 일정 부분 담긴후 승강손잡이(120)와 연결된 와이어롤러(미도시)에 권취된다. 따라서 승강손잡이(120)를 감는 동작으로 상기 승강부(200)는 승강 이동할 수 있다. The wire (not shown) is partially immersed in a pulley (not shown) on the upper part of the
따라서 포크(210)에 화물이 적재되면 승강손잡이(120)를 회전시켜 화물을 상승시켜 지면과 이격되도록 하고, 본 발명의 리프터를 운반하고자 하는 목적지까지 운반한 후 하차하고자 하는 곳에서 승강손잡이(12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화물을 하강시켜 하차한다. Therefore, when the cargo is loaded on the
상기 승강부(200)는 수직레일대(100)에 수직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레일홈(130)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한다. 상기 레일홈(130)은 수직레일대(100)의 양측면과 전면부에 오목한 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승강부(200)는 오목한 레일홈(130)에 삽입되어 빠지지 않도록 결합된다. The
상기 승강부(200)가 수직레일대(100)의 양측에 형성된 레일홈(130)에 삽입되므로 측면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화물이 포크(210)에 실려 전방으로 치우친 무게중심을 전면에 형성된 레일홈(130)에 삽입된 승강부(200)가 견딜 수 있다. Since the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직레일대(100)의 하부에는 지면과 접촉되는 지면지지대(300)가 형성된다. 상기 지면지지대(300)는 상기 수직레일대(100)의 하부에 결합되며 전방을 향하여 포크(Fork)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 and 2 , a
상기 지면지지대(300)는 수직레일대(100)의 양측에 하나씩 한 쌍으로 구비되며 저면이 지면과 접촉되고 전단이 수직레일대(100)의 전방에 위치한다. 상기 지면지지대(300)는 전단으로 갈수록 한 쌍의 지면지지대(300) 사이의 거리가 벌어지도록 형성된다.The
상기 지면지지대(300)는 화물이 포크(210)에 적재되었을 때 전방으로 무게중심이 치우쳐 전도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수직레일대(100)의 하부에 있는 주바퀴(150)가 지면과 접촉되고 추가적으로 지면지지대(300)가 전방으로 더 돌출되어 지면과 접촉되므로 본 발명의 수동 리프터가 전도되기 위한 회전 중심점은 주바퀴(150)에서 지면지지대(300)의 전단으로 이동하여 포크(210)에 실린 화물에서 발생되는 회전 토크를 감소시킬 수 있어 전도의 위험을 확연히 낮출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지면지지대(300)는 전방으로 갈수록 사이가 벌어져 더 넓은 폭으로 형성되므로 본 발명의 수동 리프터가 운행하면서 좌,우로 무게중심이 이동되면 상기 지면지지대(300)가 지지하여 운행 안정성이 향상된다. In addition, since the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레일대(100)의 후면에 회동되도록 결합되는 탑승부(400)는 화물을 취급하고 운반하고자 하는 작업자가 본 발명의 수동 리프터를 운전시에 탑승하는 공간이다. As shown in FIGS. 1 to 6 , the
상기 탑승부(400)는 상기 주바퀴(150)와 보조바퀴(426) 사이에 작업자가 올라가 가압하도록 평평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따라서 작업자의 체중이 탑승부(400)에 가해지면서 후방에 하중이 추가되어, 본 발명의 수동 리프터의 무게중심이 수직레일대(100)가 위치한 중앙부로 모이게 된다. Accordingly, as the weight of the operator is applied to the
포크(210)에 화물이 적재되어 있으면 전방으로 치우친 무게중심에 리프터가 전도될 위험이 있지만 탑승부(400)에 작업자가 체중을 후방에 가압함으로써 리프터의 가해지는 전체적인 하중이 균형이 맞춰져 무게중심이 중앙부로 근접하여 본 발명의 수동 리프터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If the
도 2와 같이, 상기 탑승부(400)는 상기 수직레일대(100)에 접철될 수 있도록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포크(210)에 비교적 작은 중량의 화물을 적재할 시에는 작업자의 체중을 추가할 필요없이 리프터의 본 하중과 상기 지면지지대(300)만으로도 전도를 예방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 the
협소한 공간에서도 자유로운 운행을 위해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상기 탑승부(400)를 접철시키므로 작업자는 리프터의 후방에 위치한 탑승부(400)에 걸리적거리지 않아 쾌적한 화물 운반이 가능하다. Since the
상기 탑승부(400)를 접철시킨 상태를 고정시키는 발판고정부(160)가 수직레일대(100)의 후면에 구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리프터를 이용하여 화물을 운반시에도 상기 탑승부(400)는 접철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갑자기 떨어져 작업자의 신체에 해를 가하는 등 안전상의 위험이 없다. A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기 탑승부(400)는 길이 조절할 수 있도록 2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레일대(100)에 결합되는 고정발판(410)과, 상기 고정발판(4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움직이는 신축발판(4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발판(410)에 형성된 신축홈(411)에 신축발판(420)의 누름부(421)가 삽입되어 상기 신축홈(411)을 따라 움직인다.3 and 4, the
상기 고정발판(410)의 양측면에는 보강대(414)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대(414)는 전방으로 갈수록 수직방향으로 높게 형성된다. 상기 탑승부(400)에 작업자의 체중이 실리면 상기 탑승부(400)의 전단에 휨 응력(Flexural stress)가 최대로 작용하고 이로 인해 균열이나 파단이 발생할 수 있기에 전방으로 갈수록 높게 형성된 보강대(414)를 고정발판(410)의 전단에 형성토록하여 휨 응력을 낮추어 안정적인 구조를 이룬다. Reinforcing
상기 고정발판(410)의 중앙부에는 후술할 신축발판(420)의 누름부(421)가 관통하는 신축홈(411)이 형성된다. 상기 신축홈(411)은 전,후방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진 고정홈(412)과 이동홈(413)이 번갈아가면서 형성된다. A
상기 고정홈(412)의 직경(a)은 후술할 누름부(421)의 걸림부(422)의 직경(d1)보다 작은 직경이되, 누름부(421)의 고정부(424)의 직경(d3)보다 크거나 또는 동일하게 형성된다. 고정부(424)가 고정홈(412)에 위치시에는 후술할 신축발판(420)이 신축되지 않고 고정되어 전체 탑승부(400)의 길이가 유지된다. The diameter (a) of the fixing groove (412)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d1) of the
상기 고정홈(412)에 이어서 형성되는 이동홈(413)은 그 폭(b)이 후술할 누름부(421)의 고정부(424)의 직경(d3)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되 후술할 이동부(423)의 직경(d2)보다 크거나 동일하게 형성된다. 후술할 누름부(421)를 눌러 상기 고정홈(412)에 위치하던 고정부(424)가 하방으로 이동하고 이동부(423)가 상기 고정홈(412)에 위치한 후, 이동홈(413)을 통하여 고정발판(410)의 신축홈(411)을 왕래할 수 있다. 즉, 이동부(423)는 고정발판(410)의 신축홈(411)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이동홈(413)의 폭은 후술할 누름부(421)의 고정부(424)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The moving
상기 신축홈(411)은 상기 고정홈(412)에서 신축발판(420)의 이동을 제한하고, 이동홈(413)을 통하여 다른 고정홈(412)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축발판(4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The
상기 고정발판(4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신축발판(420)은 상기 탑승부(40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고정발판(410)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또는 약간 더 긴 길이로 형성할 수 있다. The
상기 신축발판(420)의 후단에는 보조바퀴(426)가 구비된다. 상기 보조바퀴(426)는 상기 주바퀴(150)와 동일하게 지면과 접촉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탑승부(400)에 작업자가 올라타면 체중을 상기 주바퀴(150)와 나누어 분산하여 지면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주바퀴(150)와 보조바퀴(426)의 사이에 위치에서 탑승부(400)에 승차한다.
상기 신축발판(420)은 상기 고정발판(410)의 신축홈(411)에 삽입되는 누름부(421)가 형성된다. 상기 누름부(421)는 작업자가 발로 눌러서 상기 신축발판(420)이 고정발판(410)과의 결합상태를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누름부(421)를 밟고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신축발판(420)이 후방으로 이동되어 탑승부(400)의 길이가 신장되며,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신축발판(420)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탑승부(400)의 길이가 수축된다.The
상기 누름부(421)는 높이에 따라 서로 다른 직경이 형성되는 원통 형상으로, 최하단에는 고정부(424)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424)의 상부에는 상기 고정부(424)의 직경(d3)보다 직경(d2)이 작은 이동부(423)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423)의 상부에는 상기 고정부(424)의 직경(d2)보다 더 큰 직경(d1)을 가지는 걸림부(422)가 형성된다. The
상기 누름부(421)의 하단에 위치한 고정부(424)는 상기 고정발판(410)의 신축홈(411)에서 고정홈(412)에 결합되도록한 부분으로서, 상기 고정홈(412)보다 약간 작거나 동일하도록 직경을 형성한다. The fixing
상기 고정부(424)가 고정홈(412)에 위치시에는 고정홈(412)에 타이트하게 끼여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신축발판(420)이 고정발판(410)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424)는 신축홈(411)의 이동홈(413)의 폭(b)보다 더 큰 직경(d3)으로 되어 있기에 상기 이동홈(413)을 통과할 수 없다.When the fixing
이 상태에서 누름부(421)를 누르게 되면 상기 고정부(424)는 신축홈(411)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고 이동부(423)가 신축홈(411)에 위치한다. 상기 이동부(423)는 신축홈(411)의 고정홈(412)의 직경(a)보다 작은 직경(d2)을 지니고 이동홈(413)의 폭(b)과는 작거나 또는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이동홈(413)을 통과할 수 있다. When the
따라서 상기 이동부(423)가 신축홈(4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누름부(421)가 구비된 신축발판(420)은 슬라이딩하며 이동하고 탑승부(4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Accordingly, as the moving
상기 이동부(423)의 상부에 형성되는 걸림부(422)는 누름부(421)의 최상단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작업자가 발로 밟는 부분이 된다.The locking
상기 걸림부(422)의 직경(d1)은 신축홈(411)의 고정홈(412)의 직경(a)보다 더 크게 형성되기에 신축홈(411)을 관통할 수 없고 걸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422)는 고정발판(410)에 걸리게 됨으로 신축발판(420)이 고정발판(410)에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결합상태를 유지한다. Since the diameter d1 of the locking
또한 상기 걸림부(422)는 수직레일대(100)의 후면에 배치된 발판 고정부(424)에 걸린다. 상기 탑승부(400)가 접철되었을 시에 상기 걸림부(422)는 상기 발판고정부(160)와 동일한 높이로 위치한다. 이때 상기 발판고정부(160)를 상방으로 살짝 들어올려 발판고정부(160)의 통과구(161)가 걸림부(422)와 동일한 높이로 위치시키고 상기 통과구(161)는 걸림부(422)의 직경(d1)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걸림부(422)가 통과구(161)를 관통하여 발판고정부(160)의 내측으로 삽입되면 누름부(421)의 이동부(423)가 통과구(161)에 위치하게 된다.In addition, the locking
들어올린 발판고정부(160)를 아래로 하강시키면 걸림부(422)의 하부에 위치한 이동부(423)가 고정구(162)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고정구(162)는 걸림부(422)의 직경(d1)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므로 걸림부(422)는 고정구(162)를 통과할 수 없어 탑승부(400)가 발판고정부(160)에 고정되는 것이다. When the lifted
또한, 상기 누름부(421)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힘을 제거했을 시에 초기 높이로 복원하기 위해 스프링(425)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425)은 신축발판(420)의 저면과 누름부(421)의 저면 사이에 구비되며 작업자가 발로 누름부(421)를 밟고 있는 상태를 제거하면 원래의 높이로 회복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In addition, a
상기 누름부(421)의 작동상태를 종합적으로 설명하면, 초기에는 고정부(424)가 신축홈(411)의 고정홈(412)에 끼워져 상기 신축발판(420)이 이동하지 않고 고정발판(410)에 고정된다. If the operating state of the
이후 탑승부(400)의 길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작업자가 누름부(421)를 발로 누르게 되는데, 이때 작업자의 발이 밟게 되는 부분은 걸림부(422)의 상면이 된다. Afterwards, if the length of the
상기 누름부(421)가 가압으로 인해 하강하되, 걸림부(422)가 상기 신축홈(411)을 관통하지 못하게 고정발판(410)의 상면과 접촉되면서 걸린다. 따라서, 누름부(421)가 구비된 신축발판(420)은 고정발판(410)에 이탈되지 않고 결합상태를 유지한다. The
상기 누름부(421)를 발로 가압하면 고정부(424)는 고정홈(412)에서 이탈되고 하부에 위치하며, 걸림부(422)의 하부에 위치한 이동부(423)가 신축홈(411)에 위치한다. 상기 이동부(423)의 직경(d2)은 신축홈(411)의 고정홈(412)의 직경(a)보다 작으며, 또한 이동홈(413)의 폭(b)보다 작거나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기에 상기 이동부(423)가 이동홈(413)을 통과하여 신축홈(411)의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다. 이때, 누름부(421)의 상면을 밟고있는 작업자의 발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탑승부(40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허리를 숙이거나 손을 쓸 필요 없이 간단하게 발로 조작이 가능하므로 편의성이 향상된다.When the
상기 이동부(423)가 신축홈(4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 신축발판(420)도 또한 함께 이동되므로 탑승부(4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423)가 복수의 고정홈(412) 중에 어느 하나의 고정홈(412)에 위치시킨 후 발로 누르고 있던 힘을 제거하면 상기 누름부(421)는 스프링(425)의 탄성으로 인해 고정홈(412)의 하부에 있던 누름부(421)의 고정부(424)가 다시 상승하여 고정홈(412)에 위치하게 되고 이동부(423)는 고정홈(412)의 상부로 올라간다. When the moving
상기 누름부(421)의 고정부(424)는 상기 신축홈(411)의 고정홈(412)을 관통하되 이동홈(413)을 관통하지 못한다. 따라서 고정부(424)가 고정홈(412)에 끼이게 되므로 더이상의 신축발판(420)의 이동이 불가능하고 탑승부(400)의 길이가 고정되는 것이다. The fixing
상기 탑승부(400)의 길이를 발로 누름부(421)를 눌러 간단히 조절하므로 길이 조절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Since the length of the
또한, 상기 포크(210)에 적재된 무게에 따라 상기 탑승부(400)의 길이를 적절히 조절하여 작업자의 체중으로 발생하는 토크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다양한 중량의 화물도 본 발명의 수동 리프터로 취급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torque generated by the weight of the operator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예를 들어, 비교적 작은 중량의 화물을 적재시에는 전도의 위험이 감소하므로 탑승부(400)를 접철하여 수직으로 위치시킨 후 발판고정부(160)로 고정하고 리프터를 운행할 수 있으며, 또는 탑승부(400)의 길이를 최소화 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한 발만 올려놓은 상태에서 다른 발로 지면을 밀면서 리프터를 운행할 수 있다. For example, since the risk of overturning is reduced when loading cargo of a relatively small weight, the
화물의 무게가 무거운 경우, 전방으로 무게중심이 치우친 상태이므로 탑승부(400)의 길이를 최대로 신장시킨 후, 작업자가 탑승부(400)의 후단에 체중을 가압하여 화물로 인해 발생하는 토크와 반대방향의 토크를 최대한으로 발생시켜 전도의 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다. When the weight of the cargo is heavy, since the center of gravity is biased forward, the length of the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리프터는 비교적 작은 중량을 가지는 소형 화물을 운반하는 리프터로서, 수직레일대(100)의 후방에 작업자의 체중을 가압할 수 있는 탑승부(400)가 구비되어 적재용량을 늘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manual lif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fter that transports small cargo having a relatively small weight, and is provided with a
상기 탑승부(400)는 길이조절이 되도록 구비되어 작업자가 발로 간편하게 탑승부(400)를 신축할 수 있으며, 또한 접철되도록 구비되어 비교적 작은 중량의 화물을 처리할 시에는 리프터의 부피가 감소되므로 운행의 편의성이 뛰어나다.The
100:수직레일대 110:파지부 120:승강손잡이 130:레일홈
150:주바퀴 160:발판고정부 161:통과구 162:고정구
200:승강부 210:포크 300:지면지지대
400:탑승부 410:고정발판 411:신축홈 412:고정홈 413:이동홈 414:보강대
420:신축발판 421:누름부 422:걸림부 423:이동부 424:고정부 425:스프링
426:보조바퀴
100: vertical rail stand 110: grip portion 120: lifting handle 130: rail groove
150: main wheel 160: footrest fixed part 161: pass through 162: fixed
200: lifting unit 210: fork 300: ground support
400: boarding part 410: fixed footrest 411: expansion groove 412: fixed groove 413: movable groove 414: reinforcing bar
420: extension foot 421: pressing part 422: locking part 423: moving part 424: fixed part 425: spring
426: auxiliary wheel
Claims (7)
하부의 주바퀴(150)에 의해 지지되고,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수직레일대(100);
상기 수직레일대(100)를 따라 승강하며, 화물이 적재되는 포크(210)가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승강부(200);
상기 수직레일대(100)의 후방에서 수평으로 형성되며, 작업자의 체중으로 가압되고, 상기 주바퀴(150)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며 주바퀴(150)보다 직경이 작은 보조바퀴(426)가 후단에 구비되는 탑승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탑승부(400)는
중앙부에 신축홈(41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발판(410); 및
상기 고정발판(4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신축홈(411)을 관통하는 누름부(421)가 상기 고정발판(410)의 상부로 돌출되고, 상기 신축홈(411)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신축발판(420);을 포함하는
수동 리프터.
A manual lift device for transporting cargo, comprising:
a vertical rail stand 100 supported by the lower main wheel 150 and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 lifting unit 200 that ascends and descends along the vertical rail unit 100, and the fork 210 on which cargo is loaded protrudes toward the front;
It is formed horizontally at the rear of the vertical rail stand 100 , is pressed by the weight of the operator,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ain wheel 150 , and an auxiliary wheel 426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main wheel 150 is the rear end. Includes; boarding unit 400 provided in
The boarding unit 400 is
Fixed footrest 410 in which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groove 411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entral portion; and
It is disposed under the fixed footrest 410, and a pressing portion 421 passing through the telescoping groove 411 protrudes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xed footrest 410, and front and rear along the telescoping groove 411. Including a telescopic scaffold 420 that moves to
manual lifter.
상기 탑승부(400)는 상기 수직레일대(100)에 접철하여 결합되는
수동 리프터.
According to claim 1,
The boarding part 400 is coupled to the vertical rail stand 100 by folding.
manual lifter.
상기 신축홈(411)은
고정홈(412) 및 상기 고정홈(412)의 직경(a)보다 작은 폭(b)의 이동홈(413)이 번갈아가면서 형성되며;
상기 누름부(421)는
하부에 상기 고정홈(412)의 직경(a)과 동일한 직경(d3)의 고정부(424), 상기 고정부(424)의 상부에 상기 이동홈(413)의 폭(b)과 동일한 직경(d2)의 이동부(423)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423)의 상부에 상기 고정홈(412)의 직경(a)보다 큰 직경(d1)의 걸림부(422)가 형성되는
수동 리프터.
According to claim 1,
The expansion groove 411 is
The fixing groove 412 and the moving groove 413 having a width (b) smaller than the diameter (a) of the fixing groove 412 are alternately formed;
The pressing part 421 is
A fixed portion 424 having the same diameter (d3) as the diameter (a) of the fixing groove 412 at the lower portion, and the same diameter as the width (b) of the moving groove 413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424 ( The moving part 423 of d2) is formed, and the engaging part 422 with a diameter d1 larger than the diameter a of the fixing groove 412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moving part 423.
manual lifter.
상기 누름부(421)의 고정부(424)는 상기 신축홈(411)의 고정홈(412)을 관통하되 이동홈(413)을 관통하지 못하는
수동 리프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xing part 424 of the pressing part 421 passes through the fixing groove 412 of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groove 411 but does not penetrate the moving groove 413 .
manual lifter.
상기 수직레일대(100)의 후면에는
상기 걸림부(422)보다 큰 직경의 통과구(161) 및 상기 통과구(161) 상부에 걸림부(422)보다 작은 직경의 고정구(162)가 형성된 발판고정부(160)가 승강되도록 구비되는
수동 리프터.
5. The method of claim 4,
On the rear side of the vertical rail stand (100)
A footrest fixing part 160 having a passage hole 161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locking part 422 and a fixture 162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locking part 422 on the upper part of the passage hole 161 is provided so as to be raised and lowered.
manual lifter.
상기 탑승부(400)는 상기 주바퀴(150)와 보조바퀴(426) 사이에 작업자가 올라가 가압하도록 평평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수동 리프터.
According to claim 1,
The boarding part 400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so that a worker climbs and presses it between the main wheel 150 and the auxiliary wheel 426 .
manual lift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13849A KR102358213B1 (en) | 2021-08-27 | 2021-08-27 | Manual Lif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13849A KR102358213B1 (en) | 2021-08-27 | 2021-08-27 | Manual Lift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58213B1 true KR102358213B1 (en) | 2022-02-08 |
Family
ID=80251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13849A KR102358213B1 (en) | 2021-08-27 | 2021-08-27 | Manual Lif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58213B1 (en)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88130A (en) * | 1998-05-07 | 1999-12-27 | 후미오 후지키 | Sliding type of scaffold board |
KR101060497B1 (en) | 2010-09-08 | 2011-08-30 | 이두현 | A lift |
KR101961791B1 (en) * | 2017-11-20 | 2019-03-25 | 씨스존 주식회사 | Electric Carts |
KR20200002553A (en) * | 2018-06-29 | 2020-01-08 | 박상욱 | Cargo loading unit and hand lif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KR20200004994A (en) | 2018-07-05 | 2020-01-15 | 김정민 | Manual lifter of carrying box |
KR20200015220A (en) * | 2018-08-03 | 2020-02-12 |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 Safety footplate auxiliary device for preventing a falling substance |
KR20210036610A (en) * | 2019-09-26 | 2021-04-05 | 박규용 | Hand lift truck |
-
2021
- 2021-08-27 KR KR1020210113849A patent/KR10235821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88130A (en) * | 1998-05-07 | 1999-12-27 | 후미오 후지키 | Sliding type of scaffold board |
KR101060497B1 (en) | 2010-09-08 | 2011-08-30 | 이두현 | A lift |
KR101961791B1 (en) * | 2017-11-20 | 2019-03-25 | 씨스존 주식회사 | Electric Carts |
KR20200002553A (en) * | 2018-06-29 | 2020-01-08 | 박상욱 | Cargo loading unit and hand lif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KR20200004994A (en) | 2018-07-05 | 2020-01-15 | 김정민 | Manual lifter of carrying box |
KR20200015220A (en) * | 2018-08-03 | 2020-02-12 |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 Safety footplate auxiliary device for preventing a falling substance |
KR20210036610A (en) * | 2019-09-26 | 2021-04-05 | 박규용 | Hand lift truck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30505B1 (en) | Hand trolley | |
US8464994B2 (en) | Folding tool stand | |
US4690248A (en) | Portable hoist | |
US9969411B2 (en) | Hand truck | |
KR101932442B1 (en) | A brick-carrying device | |
JPH01216782A (en) | Folding type stand | |
US5709397A (en) | Heavy equipment moving dolly | |
EP2818381B1 (en) | Trolley for the transportation of a load on staircases | |
US20060245889A1 (en) | Device and method for manipulating rolled materials | |
KR101617602B1 (en) | A hand-operated and rolling device for lifting and moving pallets with lifting effect by wheel camber change | |
US20100230918A1 (en) | Hand Truck Loading Accessories | |
KR102358213B1 (en) | Manual Lifter | |
EP0280828B1 (en) | Load elevator | |
EP1816051A2 (en) | Trolley, particularly for moving pieces of furniture | |
JPH0738092U (en) | Elevator for cargo handling and transportation | |
WO2012000870A1 (en) | Tilting device for tilting a panel carrier | |
KR101852545B1 (en) | Ladder | |
KR20080004638U (en) | A movable type lift apparatus | |
KR102236143B1 (en) | Transfer cart for pallet truck type | |
DK178115B1 (en) | Sack Truck | |
JPH0849436A (en) | Rising stage | |
KR20170031440A (en) | A movable multi-stage ladder | |
KR20090000250U (en) | Vertical loading hand cart that center of gravity axis is improved | |
JP6066248B1 (en) | Transport vehicle with roll reversing mechanism | |
US20060182582A1 (en) | Hand truck/forklift a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