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7861B1 -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호스 자동권취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호스 자동권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7861B1
KR102357861B1 KR1020210083703A KR20210083703A KR102357861B1 KR 102357861 B1 KR102357861 B1 KR 102357861B1 KR 1020210083703 A KR1020210083703 A KR 1020210083703A KR 20210083703 A KR20210083703 A KR 20210083703A KR 102357861 B1 KR102357861 B1 KR 102357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fire hose
base block
tube
apartment 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3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성
Original Assignee
동양종합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종합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종합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3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78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7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7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3/00Hose accessories
    • A62C33/02Apparatus for cleaning or drying hos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3/00Hose accessories
    • A62C33/04Supports or clamps for fire h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57Arrangements of the frame or housing
    • B65H75/446Arrangements of the frame or housing for releasably or permanently attaching the frame to a wall, on a floor or on a post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81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driving the reel or the material
    • B65H75/4486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3Hollow or hose-like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호스 자동권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쉽게 휴대 이동할 수 있고, 상용전원만 있으면 어디서든지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어 특히 사용 후 대기중인 소방호스를 감아 보관할 때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개선된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호스 자동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호스 자동권취장치{Fire hose automatic winding device using eL1ectric device of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소방 기술 분야 중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호스 자동권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쉽게 휴대 이동할 수 있고, 상용전원만 있으면 어디서든지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어 특히 사용 후 대기중인 소방호스를 감아 보관할 때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개선된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호스 자동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소방작업은 물을 실어나르는 탱크차와 이 물을 고압으로 이송시키는 펌프차가 동시 작업을 하며, 상기 차량의 연결과 물의 분사에는 많은 량의 소방호스가 연결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때, 사용되는 소방호스는 그 관의 지름이 약 10cm로 되고 길이는 약 10여 미터로 구성된 직물형태를 갖는다.
때문에, 소방호스는 소방작업중 물을 흠뻑 머금게 되므로 하중이 급격히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소방작업 후에는 풀어 놨던 수십미터 길이의 소방호스를 다시 되감아야 하는데, 물을 머금은 소방호스의 하중 때문에 작업이 용이치 않다.
더구나, 소방작업 후 소방관들은 육체적으로 지칠대로 지친 상태이기 때문에 소방호스를 다시 감는 작업은 거의 중노동에 가깝다.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를 개선하려는 움직임들이 있었고, 그 일환으로 소방호스 자동권취와 관련된 다수의 특허기술들이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그러한 기술들은 볼륨이 크거나 장비를 소방차에 장착해서 사용해야 한다는지 등 사용상 제한이 많았고, 구조도 복잡해서 효용성이 많이 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예컨대, 도 1의 예시와 같이 메인호스는 소방차의 후미에 설치된 드럼에 권취되어 소방차의 동력에 의해 구동될 수 있지만, 물을 끌어오기 위해 소방호스를 더 연결해야 하거나 혹은 소화길이가 짧을 경우 도 2와 같이 소방차의 측방에 수납된 보조호스를 꺼내어 연결사용하게 되는데, 이 보조호스를 사용하고 난 후에 다시 감아 원래 위치로 보관하는데에 따른 문제인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74982호(2018.06.29.)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호스 자동 권취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손쉽게 휴대 이동할 수 있고, 상용전원만 있으면 어디서든지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어 특히 사용 후 대기중인 소방호스를 감아 보관할 때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개선된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호스 자동권취장치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베이스블럭(100)과, 상기 베이스블럭(100) 상면에 끼워 조립되는 구동박스(200)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블럭(100)의 상면에는 상기 구동박스(200)가 삽입 고정되는 조립홈(120)이 요입 형성되며; 상기 구동박스(200)는 내부가 빈 사각박스형상을 가지며, 양측면에는 제1,2측판(210,220)이 나사체결되어 분해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구동박스(200)의 내부에는 제1,2축(234,236)을 갖는 양축 모터인 구동모터(230)가 고정되며, 상기 제1축(234)에는 상기 제1측판(210)을 관통하여 배치된 원판 형상의 회전판(240)이 고정되고, 상기 회전판(240)에는 원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한 쌍의 걸이봉(250)이 고정되며, 상기 제2측판(220)에는 상용전원을 상기 구동모터(230)로 인가하는 전선(L1)이 감기고 풀릴 수 있는 전선드럼체(3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호스 자동권취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블럭(100)의 하단면에는 마찰저항을 높여 논슬립성을 유지하도록 0.5cm 두께의 실리콘시트(110)가 더 접착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블록(100)의 일측면에는 착탈가능한 손잡이(130)를 구비하되 상기 손잡이(130)의 일부에는 오목홈(132)이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손쉽게 휴대 이동할 수 있고, 상용전원만 있으면 어디서든지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어 특히 사용 후 대기중인 소방호스를 감아 보관할 때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소방차에 설치되는 소방호스의 예시적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호스 자동권취장치의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예시적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호스 자동권취장치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의 예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호스 자동권취장치는 베이스블럭(100)과, 상기 베이스블럭(100) 상면에 끼워 조립되는 구동박스(2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블럭(100)는 폭이 넓은 경량의 플라스틱 소재로 만들어진 블럭으로서 접지면이 넓어 안정적인 지지력을 제공한다.
특히, 상기 베이스블럭(100)의 하단면에는 일정 두께, 바람직하게는 0.5cm 두께의 실리콘시트(110)가 접착 고정되어 일체를 이룸으로써 마찰저항을 높여 베이스블럭(100)이 쉽게 밀리지 않도록 구성됨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블럭(100)의 상면에는 일정깊이를 갖는 조립홈(120)이 요입 형성된다.
상기 조립홈(120)은 상기 구동박스(200)가 안착되어 조립됨으로써 상기 구동박스(200)가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베이스블록(100)의 일측면에는 손잡이(130)가 고정되는데, 상기 손잡이(130)는 나사체결식으로 착탈가능하게 조립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성을 제공하며, 손잡이(130)의 일부에는 오목홈(132)이 형성되어 있어 소방호스, 특히 소방보조호스를 감을 때 가이드하는 수단으로 활용될 수도 있어 매우 효율적이다.
이와 같이, 베이스블럭(100)과 구동박스(200)가 서로 분리되기 때문에 소방차 등에 싣고 다닐때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아 휴대 이동이 용이하며, 설치사용도 쉽고 빨라 효용성이 매우 높다.
한편, 상기 구동박스(200)는 내부가 빈 사각박스형상을 가지며, 양측면에는 제1,2측판(210,220)이 나사체결되어 분해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박스(200)의 내부에는 구동모터(230)가 모터베이스(232) 상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230)는 도 5의 예시와 같이 양축 모터로서, 일측에는 제1축(234)이 돌출되고 타측에는 제2축(236)이 돌출되어 제1,2축(234,236)이 동시에 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에서, 상기 제1축(234)에는 원판 형상의 회전판(240)이 고정되는데, 상기 회전판(240)은 상기 제1측판(210)을 관통하여 배치된다.
즉, 상기 제1측판(210)에는 상기 회전판(240)을 설치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크기의 구멍이 형성되고, 그 구멍에 상기 회전판(240)이 끼워진 상태에서 제1축(234) 상에 회전판(240)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1축(234)이 회전하게 되면 회전판(240)도 함께 회전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아울러, 상기 회전판(240)에는 원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한 쌍의 걸이봉(250)이 고정된다.
상기 걸이봉(250)은 나사체결방식으로 착탈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보관시 부피를 줄일 수 있다.
그리하여, 다 쓴 소방호스,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소방보조호스를 다시 감아 소방차의 측방에 수납하려고 할 때 상기 베이스블럭(100)을 적절한 장소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구동박스(200)를 올려 조립한다.
그런 다음, 공동주택의 경우 1층 혹은 지하층에 마련된 콘센트로부터 상용전원을 끌어와 구동모터(230)의 전원으로 사용한다.
이때, 전원스위치가 구동박스(200)에 당연히 마련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생략하였다.
또한, 소방호스를 감기 위해 걸이봉(250) 사이에 끼워 걸을 때 손잡이(130)의 오목홈(132)을 경유하여 걸리도록 하면 소방호스를 평평하게 가이드하여 잘 감을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이어, 구동모터(230)가 회전하게 되면 소방호스가 걸이봉(250) 사이에서 자동으로 감기기 때문에 소방관이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쉽고 빠르게 소방호스를 감아 수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구동모터(230)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감속기를 이용하여 서서히 회전구동되도록 설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한편, 도 4의 예시와 같이 상기 제2측판(220)에는 전선드럼체(300)가 설치된다.
상기 전선드럼체(300)는 상용전원을 끌어오기 위해 상용전원 위치까지 전선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전선(L1)이 감겨 있는 수단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전선드럼체(300)는 제2측판(220)의 내부에서 외부로 관통되고 내벽에 고정된 고정통(310)과, 상기 고정통(310)의 내부에 끼워지고 상기 제2축(236)을 향해 출몰되면서 제2축(236)의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 회전통(320)과, 상기 고정통(310)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베어링고정되고 플러그를 갖춘 전선(L1)이 감겨 있는 드럼(330)과, 상기 회전통(320)의 외주면에 스플라인 결합되고 둘레는 상기 드럼(330)의 일측면에 고정되어 일체를 이루는 고정환편(340)과, 상기 드럼(330)의 내경에 형성되고 상기 전선(L1)과 연결된 통전단자(332)와, 상기 고정통(310)의 둘레 일부에 설치되고 고정통(310)에 내장된 채 연장되어 구동모터(230)로 전원을 인가하는 통전선(L2)과 연결된 통전부싱(31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고정통(310)과 회전통(320)은 원통형상이며, 일단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다만, 회전통(320)의 길이 일부까지만 정사각형상의 도킹홈(322)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것은 제2축(236)과의 원활한 도킹을 위한 것으로, 회전통(320)이 클러치처럼 움직이기 때문이며, 이를 위해 제2축(236)도 정사각형상을 갖지만 선단이 사각뿔 형태로 뾰쪽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2축(236)의 선단은 도킹홈(322) 속으로 진입하기 쉽고, 도킹시 자연스럽게 각진 부분끼리 잘 맞물리도록 사각뿔이 안내하게 된다. 때문에, 자동차 등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클러치와는 기능면에서는 유사할지몰라도 구조적으로 완전히 다른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통(320)의 제2축(236)과의 선택적인 도킹을 위해 상기 회전통(320)의 선단에는 고정구(350)가 나사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통(320)에 끼워진 채 상기 고정환편(340)과 고정구(350) 사이에는 코일스프링(360)이 개재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구(350)를 눌러 밀면 코일스프링(360)이 압축되면서 회전통(320)이 밀리면서 제2축(236)을 향해 돌출되고, 그 과정에서 서로 도킹이 일어나므로 구동모터(230)가 회전되면 회전통(320)이 돌고, 회전통(320)에 스플라인 결합되어 있는 고정환편(340)도 같이 돌기 때문에 결국 드럼(330)이 회전하면서 전선(L1)을 드럼(330)에 쉽게 감을 수 있게 된다.
즉, 공동주택 등에서 상용전원을 쓰기 위해서는 전선(L1)을 길게 연장시켜야 할 때 드럼(330)에 감겨 있는 전선(L1)을 풀어 쓰고, 나중에 감을 때는 구동모터(230)의 동력을 이용하여 쉽고 빠르게 감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전선(L1)을 감는데는 오래 걸리지 않기 때문에 회전통(320)이 회전하는 동안만 고정구(350)를 누르고 있으면 된다.
물론, 전선(L1)을 풀 때는 동력이 필요없으므로 도킹작업을 요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고정환편(340)은 회전통(320)의 외주면에 스플라인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통(320)이 직선운동할 때는 아무런 간섭이 없이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지만, 회전통(320)이 회전할 때는 스플라인에 의해 간섭되므로 함께 회전할 수 밖에 없는 구조이다. 때문에, 이러한 구조적 특징을 이용함으로써 드럼(330)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드럼(330)은 고정통(310)의 외주면에 베어링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쉽게 분리 이탈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하겠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춤으로써 효과적인 소방호스 권취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100: 베이스블럭 200: 구동박스
300: 전선드럼체

Claims (2)

  1. 베이스블럭(100)과, 상기 베이스블럭(100) 상면에 끼워 조립되는 구동박스(200)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블럭(100)의 상면에는 상기 구동박스(200)가 삽입 고정되는 조립홈(120)이 요입 형성되며; 상기 구동박스(200)는 내부가 빈 사각박스형상을 가지며, 양측면에는 제1,2측판(210,220)이 나사체결되어 분해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구동박스(200)의 내부에는 제1,2축(234,236)을 갖는 양축 모터인 구동모터(230)가 고정되며, 상기 제1축(234)에는 상기 제1측판(210)을 관통하여 배치된 원판 형상의 회전판(240)이 고정되고, 상기 회전판(240)에는 원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한 쌍의 걸이봉(250)이 고정되며, 상기 제2측판(220)에는 상용전원을 상기 구동모터(230)로 인가하는 전선(L1)이 감기고 풀릴 수 있는 전선드럼체(300)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블럭(100)의 하단면에는 마찰저항을 높여 논슬립성을 유지하도록 0.5cm 두께의 실리콘시트(110)가 더 접착 고정되며; 상기 베이스블럭(100)의 일측면에는 착탈가능한 손잡이(130)를 구비하되 상기 손잡이(130)의 일부에는 오목홈(132)이 형성된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호스 자동권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선드럼체(300)는 제2측판(220)의 내부에서 외부로 관통되고 내벽에 고정된 고정통(310)과, 상기 고정통(310)의 내부에 끼워지고 상기 제2축(236)을 향해 출몰되면서 제2축(236)의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 회전통(320)과, 상기 고정통(310)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베어링고정되고 플러그를 갖춘 전선(L1)이 감겨 있는 드럼(330)과, 상기 회전통(320)의 외주면에 스플라인 결합되고 둘레는 상기 드럼(330)의 일측면에 고정되어 일체를 이루는 고정환편(340)과, 상기 드럼(330)의 내경에 형성되고 상기 전선(L1)과 연결된 통전단자(332)와, 상기 고정통(310)의 둘레 일부에 설치되고 고정통(310)에 내장된 채 연장되어 구동모터(230)로 전원을 인가하는 통전선(L2)과 연결된 통전부싱(3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호스 자동권취장치.
  2. 삭제
KR1020210083703A 2021-06-28 2021-06-28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호스 자동권취장치 KR102357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703A KR102357861B1 (ko) 2021-06-28 2021-06-28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호스 자동권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703A KR102357861B1 (ko) 2021-06-28 2021-06-28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호스 자동권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7861B1 true KR102357861B1 (ko) 2022-02-08

Family

ID=80252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3703A KR102357861B1 (ko) 2021-06-28 2021-06-28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호스 자동권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786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1298A (en) * 1978-04-11 1979-07-17 Daryl Davis Winding machine
KR0131865Y1 (ko) * 1995-12-16 1999-01-15 이종암 소방 호스 권취기
WO2003026995A2 (en) * 2001-09-26 2003-04-03 Brian Hartley Combination cable reel
KR102085660B1 (ko) * 2019-05-28 2020-03-06 황하준 소방호스 권취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1298A (en) * 1978-04-11 1979-07-17 Daryl Davis Winding machine
KR0131865Y1 (ko) * 1995-12-16 1999-01-15 이종암 소방 호스 권취기
WO2003026995A2 (en) * 2001-09-26 2003-04-03 Brian Hartley Combination cable reel
KR102085660B1 (ko) * 2019-05-28 2020-03-06 황하준 소방호스 권취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74982호(2018.06.29.) 건축물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호스 자동 권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0034B2 (en) Power air compressor
US3531059A (en) Loader,cleaner,and drier for fire hose
US6056226A (en) Caddy for electric extension cords
US5119843A (en) Vacuum hose storage and access apparatus
MX2008010776A (es) Carrete con alojamiento que tiene abertura triangular para entrada de material lineal.
US20160244293A1 (en) Motor operated spool
KR102357861B1 (ko)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호스 자동권취장치
JP2014223810A (ja) 管ライニング材反転方法
CA2310966C (en) Manually wound cord storage unit
KR101858444B1 (ko) 인상 및 고정 기능이 구비된 케이블 드럼 장치
US6802336B1 (en) Hose reel apparatus
JP3233780U (ja) 二重駆動一方向回転装置及びこれを含むリール
CN217097563U (zh) 一种管线快速安装套管的辅助装置
KR20080002223U (ko) 360°회전 가능한 호스릴
CN210150395U (zh) 一种毛巾自动打卷装置
FI123198B (fi) Voimansiirtolaite ja voimansiirtomenetelmä
KR102326347B1 (ko)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수의 배출 압력조절장치
US2868469A (en) Carpet reeling apparatus
CN213201974U (zh) 一种单向阻力的便携式作业终端线轴
US2339901A (en) Hose reel
CN210418724U (zh) 高压软管卷绕机
CN219608041U (zh) 一种测量放线装置
US2408043A (en) Fire hose reel
CN112919352A (zh) 一种用于浮空器系索收放的卷扬装置
CN212615212U (zh) 一种便捷式应急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