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7622B1 - 치과용 솔리드 어버트먼트 - Google Patents

치과용 솔리드 어버트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7622B1
KR102357622B1 KR1020210065446A KR20210065446A KR102357622B1 KR 102357622 B1 KR102357622 B1 KR 102357622B1 KR 1020210065446 A KR1020210065446 A KR 1020210065446A KR 20210065446 A KR20210065446 A KR 20210065446A KR 102357622 B1 KR102357622 B1 KR 102357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functional part
tool
dental
abu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5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현성
Original Assignee
장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현성 filed Critical 장현성
Priority to KR1020210065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76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7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7622B1/ko
Priority to PCT/KR2022/005123 priority patent/WO2022244982A1/ko
Priority to JP2023546221A priority patent/JP2024505648A/ja
Priority to CN202280007290.5A priority patent/CN116437869A/zh
Priority to US18/030,076 priority patent/US20230363865A1/en
Priority to EP22804837.7A priority patent/EP434241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74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xternal thre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diverging in the apical direction of the implant or abu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lygonal positional means, e.g. hexagonal or octago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sitio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75Implant heads specially designed for receiving an uppe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픽스쳐(fixture)에 고정하기 위한 스크류(screw)가 일체로 형성된 치과용 솔리드 어버트먼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어버트먼트에 일체로 형성된 스크류를 통해 픽스쳐에 결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공구(드라이버)가 결합되는 공구홀(드라이버 홀)이 포스트에 다양한 기능을 부가하기 위해 형성된 기능부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기능부의 하측으로 상기 포스트 또는 커프 내부에 형성되어 포스트에 다양한 기능을 부가하면서도 공용 드라이버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제작 비용을 낮출 수 있고, 임플란트 시술이 용이한 치과용 솔리드 어버트먼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과용 솔리드 어버트먼트{DENTAL SOLID TYPE ABUTMENT}
본 발명은 픽스쳐(fixture)에 고정하기 위한 스크류(screw)가 일체로 형성된 치과용 솔리드 어버트먼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어버트먼트에 일체로 형성된 스크류를 통해 픽스쳐에 결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공구(드라이버)가 결합되는 공구홀(드라이버 홀)이 포스트에 다양한 기능을 부가하기 위해 형성된 기능부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기능부의 하측으로 상기 포스트 또는 커프 내부에 형성되어 포스트에 다양한 기능을 부가하면서도 공용 드라이버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제작 비용을 낮출 수 있고, 임플란트 시술이 용이한 치과용 솔리드 어버트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용 임플란트(dental implant)는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치아가 상실된 부위에 인공치근을 심어 치조골에 유착시키고, 그 인공치근에 치아 보철물(prosthesis or crown)을 고정하여 형성된 인공치아 또는 이러한 치과시술을 의미한다.
이러한 임플란트는 상악 전치부의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쳐와, 상기 픽스쳐에 결합 고정되는 어버트먼트를 포함한다. 그리고, 어버트먼트는 픽스쳐에 결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잇몸에 의해 덮혀지는 커프(cuff)와, 상기 커프의 상부에 형성되고 치아 보철물이 결합되는 포스트를 포함한다.
어버트먼트는 통상 스크류(screw)를 이용한 나사결합방식으로 픽스쳐에 결합고정되거나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 고정된다. 스크류를 이용한 나사결합방식의 경우에는 스크류가 고정부와 분리된 투피스 어버트먼트(two piece abutment)와 스크류가 고정부와 일체로 형성된 솔리드 어버트먼트(solid type abutment)로 분류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솔리드 어버트먼트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솔리드 어버트먼트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솔리드 어버트먼트(1, 1')를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사용하여 픽스쳐에 결합하기 위해 포스트(13, 13') 상부에는 공구가 결합되는 각형 공구홀(드라이버 홀)(13a, 13a')을 형성하거나, 외면에 공구홈(13b')을 형성한다.
공구가 결합되는 공구홀(13a, 13a')은 드라이버 공구가 삽입 결합되도록 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예컨대, 공구홀(13a, 13a')은 헥사드라이버홀일 수 있고, 치아의 교합면 쪽에 해당하는 포스트(13, 13)의 상부에 형성된다. 공구홈(13b')은 커프(2)의 상단면, 즉 포스트(13')의 하단면에서 상단면까지 연장되도록 외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솔리드 어버트먼트(1, 1')는 고정부(11)에 일체로 형성된 스크류(14)를 픽스쳐에 정렬시킨 상태에서 공구를 공구홀(13a)에 삽입시켜 결합한 후 솔리드 어버트먼트(1)를 일방향(조임방향)으로 회전시켜 픽스쳐에 결합하거나, 특수 제작된 공구를 이용하여 포스트(13')에 형성된 공구홈(13b')을 감싼 후 회전시켜 결합 고정한다.
한편, 최근에는 접착제 사용으로 인한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 등록특허 제10-2099062호 등에서는 포스트에 수용되는 치아 보철물을 결합 고정할 때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억지끼움이나 별도의 스크류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어버트먼트의 포스트에 다양한 기능을 부가하기 위해 포스트를 가공하여 다양한 가공부(이하, 기능부라 함)를 형성한다. 이때, 기능부는 포스트의 외면에 형성된 다양한 형태의 홈 구조, 포스트의 상부 중앙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홈 구조, 포스트의 상단부가 절개되어 분할된 분할 구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솔리드 어버트먼트(1)에서는 공구 결합을 위해 포스트(13)에 공구홀(13a)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포스트(13)에 기능부를 형성하는데 제약이 따른다. 즉, 포스트(13)에 다양한 형태의 기능부를 형성하는 경우 포스트(13)에 형성된 공구홀(13a)을 침범하여 공구홀(13a)의 기능이 상실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와 같이, 포스트(13)에 형성된 공구홀(13a)의 기능 상실을 방지하기 위해 도 2와 같이, 포스트(13')의 외면에 각형 구조를 갖는 공구홈(13b')을 형성하고, 포스트(13')의 외면을 감쌀 수 있는 특수한 드라이버를 제작하여 포스트(13)'의 외면을 감싸면서 솔리드 어버트먼트(1')를 회전시켜 결합 고정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포스트(13')의 두께나 길이에 대응하여 각각 맞춤형으로 특수 드라이버를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고 추가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근원심 폭경이 좁은 소구치부나 하악 전치부에서 인접한 치아가 특수 드라이버와 간섭되어 특수 드라이버의 적용을 방해하기 때문에 제약이 따른다. 즉, 임플란트 시술 부위에 따라 특수 드라이버를 적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KR 10-1808599 B1(2017.12.07.), "치과용 임플란트" KR 10-1924802 B1(2018.11.28.), "비접착식 나사형 임플란트" KR 10-2132353 B1(2020.07.03.), "치아 임플란트" KR 20-0456293 Y1(2011.10.17.), "원바디형 솔리드 어버트먼트" KR 10-2099062 B1(2020.04.02.), "교합고경의 안정적인 치수 조절이 가능한 임플란트의 어뷰트먼트"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포스트에 다양한 기능을 부가할 수 있으면서, 종래기술에서 적용되고 있는 특수제작된 드라이버를 사용하지 않고, 기존에 널리 공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공용 드라이버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치과용 솔리드 어버트먼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솔리드 어버트먼트는 하부에 스크류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를 매개로 픽스쳐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잇몸에 의해 덮혀지는 커프(cuff); 및 상기 커프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부 중앙 내부에는 상부에 수용되는 치아 보철물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부 구조물이 나사결합되기 위해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 결합홈으로 이루어진 제1 기능부가 형성된 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능부와 연통하도록 상기 제1 기능부의 하측으로 상기 포스트의 내부, 상기 커프의 내부 또는 상기 포스트와 상기 커프 사이의 내부에는 상기 제1 기능부를 통해 삽입되는 공구가 결합되는 공구홀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기능부는 상기 포스트의 상부가 절개되어 다수 개로 분할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스트의 외면에는 홈 또는 상기 제1 기능부와 연통하는 홀 구조로 이루어진 제2 기능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기능부가 홀 구조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공구홀은 상기 제1 기능부와 상기 제2 기능부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구홀은 육각형, 십자형 또는 스타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기능부의 하단부에서 1mm~2mm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솔리드 어버트먼트에 의하면, 일체로 형성된 스크류를 통해 픽스쳐에 결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공구가 결합되는 공구홀이 다양한 기능을 부가하기 위해 다양한 구조 및 크기로 포스트에 형성된 기능부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기능부의 하측으로 상기 포스트, 커프 또는 상기 포스트와 커프 사이에 형성되어 포스트에 다양한 기능을 부가하면서도 공용 드라이버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제작 비용을 낮출 수 있고, 임플란트 시술이 용이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솔리드 어버트먼트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솔리드 어버트먼트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솔리드 어버트먼트를 일례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치과용 솔리드 어버트먼트의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포스트에 상부 구조물이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포스트 상부에 치아 보철물이 수용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솔리드 어버트먼트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치과용 솔리드 어버트먼트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포스트에 볼트가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포스트 상부에 치아 보철물이 수용된 상태의 단면도.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고,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솔리드 어버트먼트는 어버트먼트에 일체로 형성된 스크류를 통해 픽스쳐에 결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공구(드라이버)가 결합되는 공구홀(드라이버 홀)이 포스트에 다양한 기능을 부가하기 위해 형성된 기능부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기능부의 하측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기능부는 포스트의 외면에 일정 깊이로 형성된 다양한 형태의 홈 또는 홀 구조, 포스트의 상부 중앙 내측에 별도의 상부 구조물을 나사결합하기 위해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홈 또는 홀 구조 또는 포스트의 상부가 상단면으로부터 절개되어 분할된 분할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솔리드 어버트먼트를 일례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치과용 솔리드 어버트먼트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포스트에 상부 구조물이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포스트 상부에 치아 보철물이 수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솔리드 어버트먼트(2)는 하부에 스크류(24)가 일체로 형성되고 스크류(24)를 통해 픽스쳐(6)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부(21)와, 고정부(21)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잇몸에 의해 덮혀지는 커프(22)와, 커프(22)의 상부에 형성되고 치아 보철물(5)이 결합되는 포스트(23)를 포함한다.
포스트(23)는 다양한 기능을 부가하기 위해 상부 중앙에 도 5와 같은 상부 구조물(26)이 나사결합되는 나사 결합홈으로 이루어진 제1 기능부(23a)가 형성된다.
상부 구조물(26)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치아 보철물과의 결합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하부에 형성된 스크류(26a)를 통해 제1 기능부(23a)에 나사결합되고, 상부 중앙에는 공구가 결합되는 육각형 형태의 공구홀(26b)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포스트(23)의 외면에는 포스트(23)에 수용되는 치아 보철물과의 결합력을 위해 홈 또는 홀 구조로 이루어진 제2 기능부(23b)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기능부(23b)의 형상 및 크기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가령, 도 3과 같이, 커프(22)의 상면에서 상부로 연장된 홈 또는 중앙과 연통된 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도 4와 같이, 제1 기능부(23a)의 하측으로 포스트(23)의 중앙 내부 또는 커프(22)의 중앙 내부에는 제1 기능부(23a)와 연통하도록 공구홀(25)이 형성된다.
공구홀(25)은 스크류(24)를 매개로 솔리드 어버트먼트(2)를 픽스쳐에 결합 고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공구(드라이버)가 결합되는 드라이버 홀로서, 이때, 공구홀(25)은 육각형(헥사곤)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그 크기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공구홀(25)은 치과에서 흔히 사용하는 1.2헥사 또는 1.0헥사로 형성될 수 있고, 육각형 구조 이외에 십자형 또는 스타형 등과 같은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와 같이, 제1 기능부(23a)의 하측으로 포스트(23) 또는 커프(22)에 형성된 공구홀(25)은 제2 기능부(23b)의 하단부보다 하측에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일례로서, 제2 기능부(23b)의 하단부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기능부(23b)는 포스트(23)의 외면에 홈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포스트(23) 또는 커프(22)의 중앙 내부에 형성된 공구홀(25)과는 서로 간섭되지 않는다.
따라서, 공구홀(25)은 제2 기능부(23b)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제2 기능부(23b)가 형성된 위치와 무관하게 솔리드 어버트먼트(2)의 중앙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가령, 제2 기능부(23b)가 공구홀(25)과 연통하도록 홀 구조로 형성된 경우에는 공구홀(25)이 제2 기능부(23b)가 형성된 영역을 침범하여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구홀(25)을 형성할 때 제2 기능부(23b)와 간섭되어 영향을 미치는 경우, 공구홀(25)은 제1 기능부(23a) 뿐만 아니라 제2 기능부(23b)의 하측에 형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솔리드 어버트먼트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치과용 솔리드 어버트먼트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7에 도시된 포스트에 볼트가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포스트 상부에 치아 보철물이 수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치과용 솔리드 어버트먼트(3)는 스크류(34)가 일체로 형성되어 픽스쳐(6')의 내부에 삽입된 후 나사결합되는 고정부(31)와, 고정부(31)와 일체로 형성된 커프(32) 및 포스트(33)를 포함한다.
포스트(33)는 중공(33c)에 삽입되어 나사결합되는 볼트(36)에 의해 외측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상부가 다수 개로 절개되어 분할된 제1 기능부(33a)를 포함하고, 하부 외면에는 일정 깊이로 형성된 홈 구조로 이루어진 제2 기능부(33b)가 형성된다.
볼트(36)는 상부 구조물로서, 육각형 구조의 공구홀(36a)이 형성되어 있어 공구를 공구홀(36a)에 결합시킨 후 포스트(33)의 중공(33c)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결합하면 볼트(36)의 외경에 의해 분할된 제1 기능부(33a)는 외측으로 밀려나 확장된다.
도 10과 같이, 볼트(36)가 포스트(33)에 나사결합되어 제1 기능부(33a)가 외측으로 밀려나 포스트(33)의 외경이 확장된 상태에서 그 상부에 치아 보철물(5')을 수용하면 확장된 포스트(33)로 인해 치아 보철물(5')과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제1 기능부(33a)는 포스트(33)의 상부가 다수 개로 절개된 분할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중공(33c)과 연통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공구가 결합되는 공구홀(35)은 제1 기능부(33a)와 간섭되지 않도록 제1 기능부(33a)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솔리드 어버트먼트에서는 포스트에 기능을 부가하기 위해 포스트에 형성된 다양한 구조 및 크기를 갖는 기능부와 간섭되지 않도록 공구(드라이버)가 결합되는 공구홀을 상기 기능부의 하측에 형성한다. 즉, 상기 공구홀은 기능부의 하측으로 포스트, 커프 또는 포스트와 커프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이때, 기능부의 하단부에서 하측으로 1mm~2mm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능부의 구조 및 크기는 솔리드 어버트먼트의 두께 및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고, 상기 공구홀은 상기 기능부의 하부에 형성하되, 그 형상 및 크기 또한 솔리드 어버트먼트의 두께 및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1‘, 2, 3 : 솔리드 어버트먼트
5, 5‘ : 치아 보철물
6, 6‘ : 픽스쳐
11, 21, 31 : 고정부
12, 22, 32 : 커프
13, 13‘, 23, 33 : 포스트
13a, 13a' : 공구홀
13b' : 공구홈
14, 24, 34 : 스크류
23a, 33a : 제1 기능부
23b, 33b : 제2 기능부
25 : 공구홀
26a : 스크류
26b, 36a : 공구홀

Claims (5)

  1. 하부에 스크류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를 매개로 픽스쳐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잇몸에 의해 덮혀지는 커프(cuff); 및
    상기 커프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부 중앙 내부에는 상부에 수용되는 치아 보철물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부 구조물이 나사결합되기 위해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 결합홈으로 이루어진 제1 기능부가 형성된 포스트; 를 포함하고,
    상기 포스트의 내부, 상기 커프의 내부 또는 상기 포스트와 상기 커프 사이의 내부 중 어느 한 부위에는 상기 고정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가 결합되는 공구홀이 형성되되, 상기 공구홀은 상기 제1 기능부와 연통하고 상기 제1 기능부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제1 기능부의 하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솔리드 어버트먼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부는 상기 포스트의 상부가 절개되어 다수 개로 분할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솔리드 어버트먼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의 외면에는 홈 또는 상기 제1 기능부와 연통하는 홀 구조로 이루어진 제2 기능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솔리드 어버트먼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능부가 홀 구조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공구홀은 상기 제1 기능부와 상기 제2 기능부의 하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솔리드 어버트먼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홀은 육각형, 십자형 또는 스타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기능부의 하단부에서 1mm~2mm 이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솔리드 어버트먼트.
KR1020210065446A 2021-05-21 2021-05-21 치과용 솔리드 어버트먼트 KR102357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446A KR102357622B1 (ko) 2021-05-21 2021-05-21 치과용 솔리드 어버트먼트
PCT/KR2022/005123 WO2022244982A1 (ko) 2021-05-21 2022-04-08 치과용 솔리드 어버트먼트
JP2023546221A JP2024505648A (ja) 2021-05-21 2022-04-08 歯科用ソリッドアバットメント
CN202280007290.5A CN116437869A (zh) 2021-05-21 2022-04-08 牙科用种植体基台
US18/030,076 US20230363865A1 (en) 2021-05-21 2022-04-08 Dental solid abutment
EP22804837.7A EP4342417A1 (en) 2021-05-21 2022-04-08 Dental solid-type abut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446A KR102357622B1 (ko) 2021-05-21 2021-05-21 치과용 솔리드 어버트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7622B1 true KR102357622B1 (ko) 2022-02-08

Family

ID=80252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5446A KR102357622B1 (ko) 2021-05-21 2021-05-21 치과용 솔리드 어버트먼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363865A1 (ko)
EP (1) EP4342417A1 (ko)
JP (1) JP2024505648A (ko)
KR (1) KR102357622B1 (ko)
CN (1) CN116437869A (ko)
WO (1) WO202224498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44982A1 (ko) * 2021-05-21 2022-11-24 장현성 치과용 솔리드 어버트먼트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3552A (ja) * 2002-11-13 2004-10-14 Implant Innovations Inc デンタルインプラント及びデンタル方法
US20040234926A1 (en) * 2001-11-01 2004-11-25 Astra Tech Ab Components for improved impression making
KR20110096780A (ko) * 2010-02-23 2011-08-31 주식회사 티스트롱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200456293Y1 (ko) 2009-07-31 2011-10-21 주식회사 워랜텍 원바디형 솔리드 어버트먼트
KR20150114710A (ko) * 2014-04-02 2015-10-13 박숙규 맞춤형 전치부 임플란트
KR101808599B1 (ko) 2017-05-11 2017-12-13 조용문 치과용 임플란트
KR101924802B1 (ko) 2018-10-30 2018-12-04 (주)명문덴탈 비접착식 나사형 임플란트
KR101966407B1 (ko) * 2018-11-21 2019-04-05 주식회사 하이니스 어버트먼트 조립체
KR102099062B1 (ko) 2019-12-10 2020-04-08 장천석 교합고경의 안정적인 치수 조절이 가능한 임플란트의 어뷰트먼트
KR102132353B1 (ko) 2019-10-29 2020-07-09 정충현 치아 임플란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7622B1 (ko) * 2021-05-21 2022-02-08 장현성 치과용 솔리드 어버트먼트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34926A1 (en) * 2001-11-01 2004-11-25 Astra Tech Ab Components for improved impression making
JP2004283552A (ja) * 2002-11-13 2004-10-14 Implant Innovations Inc デンタルインプラント及びデンタル方法
KR200456293Y1 (ko) 2009-07-31 2011-10-21 주식회사 워랜텍 원바디형 솔리드 어버트먼트
KR20110096780A (ko) * 2010-02-23 2011-08-31 주식회사 티스트롱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20150114710A (ko) * 2014-04-02 2015-10-13 박숙규 맞춤형 전치부 임플란트
KR101808599B1 (ko) 2017-05-11 2017-12-13 조용문 치과용 임플란트
KR101924802B1 (ko) 2018-10-30 2018-12-04 (주)명문덴탈 비접착식 나사형 임플란트
KR101966407B1 (ko) * 2018-11-21 2019-04-05 주식회사 하이니스 어버트먼트 조립체
KR102132353B1 (ko) 2019-10-29 2020-07-09 정충현 치아 임플란트
KR102099062B1 (ko) 2019-12-10 2020-04-08 장천석 교합고경의 안정적인 치수 조절이 가능한 임플란트의 어뷰트먼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44982A1 (ko) * 2021-05-21 2022-11-24 장현성 치과용 솔리드 어버트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63865A1 (en) 2023-11-16
CN116437869A (zh) 2023-07-14
JP2024505648A (ja) 2024-02-07
WO2022244982A1 (ko) 2022-11-24
EP4342417A1 (en) 2024-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81140B1 (en) Device comprising a fixture holder, a fixture and a dental screwing arrangement
JP6259822B2 (ja) アバットメントシステム及び歯科方法
US5158458A (en) System for driving and tightening components in a prosthodontic restoration
US9095397B2 (en) Arrangement for insertion of implants
AU2008223902B2 (en) Dental implant, abutment structure and method for implanting a dental implant
US6135773A (en) Single tooth alignment system
US20070059666A1 (en) Dental implant system
US20020064758A1 (en) Universal tissue emergence profile shaping healing abutment, provisional and restoration abutments, impression coping and ceramic crown base system
US10905529B2 (en) Oval section dental implant
US20120122056A1 (en) Dental implant
EP1745758B1 (en) Dental implant for magnetic attachment
WO2013186764A1 (en) Triple lock abutment system
KR100985826B1 (ko)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스크류
EP3071141B1 (en) Dental implant
KR20070009060A (ko) 치과용 임플란트 장치
KR101965332B1 (ko) 투피스 힐링어버트먼트용 하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힐링어버트먼트
EP1985256A1 (en) Dental implant assembly and device for taking a dental impression
KR102357622B1 (ko) 치과용 솔리드 어버트먼트
KR100779227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20180137133A (ko) 어버트먼트 가공용 환봉
JP2005270334A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
ITVI980181A1 (it) Dispositivo di ancoraggio per apparecchi adatti ai trattamenti di correzione ortodontica.
KR101459909B1 (ko) 하이브리드 임플란트 픽스츄어
KR200428099Y1 (ko) 인공치아 시술용 픽스츄어드라이버
KR100678708B1 (ko) 틀니 착탈용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