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7596B1 - Qr 코드를 이용한 무인 통합 주문 방법 - Google Patents

Qr 코드를 이용한 무인 통합 주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7596B1
KR102357596B1 KR1020190104807A KR20190104807A KR102357596B1 KR 102357596 B1 KR102357596 B1 KR 102357596B1 KR 1020190104807 A KR1020190104807 A KR 1020190104807A KR 20190104807 A KR20190104807 A KR 20190104807A KR 102357596 B1 KR102357596 B1 KR 102357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information
ordering
orde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4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4113A (ko
Inventor
정동현
Original Assignee
(주)가브린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가브린트 filed Critical (주)가브린트
Publication of KR20200024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4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7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7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6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read by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3Realising banking transactions through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QR 코드를 이용한 무인 통합 주문 방법은 사용자의 단말기가 주문용 QR코드를 통해 서버의 네트워크 상의 주소를 인식하고, 상기 주문용 QR코드에 포함된 예비 정보가 상기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예비 정보에 따라 주문을 입력할 수 있는 주문 인터페이스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구현되는 상기 주문 인터페이스를 바탕으로 사용자 주문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입력된 사용자 주문 정보가 상기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판매자 단말기로 상기 사용자 주문 정보에 따른 판매자 주문 정보가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QR 코드를 이용한 무인 통합 주문 방법 {METHOD FOR INTEGRATED ORDER USING QR CODE}
본 발명은 QR 코드를 이용한 무인 통합 주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매장 내 무인 주문, 원격 배달 주문 및 이동 중 예약 주문이 가능하며, 결제와 주문을 분리 및 결합하여 진행할 수 있는 QR 코드를 이용한 무인 통합 주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인 주문기는 고객이 대면하는 매장에서 물품을 구매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장치이다. 1세대 무인 주문기는 주문을 받아 카운터나 주방으로 주문을 전달하는 용도였고, 2세대 무인 주문기는 주문을 받아, 고객이 결제까지 완료한 이후에 주방으로 주문을 전달하도록 사용되었다.
또한 원격 주문 배달 시스템은 고객이 인터넷 웹사이트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물품을 주문하고 배달지를 입력하여 물품을 배송 받기까지의 과정을 처리하는 시스템이다. 1세대 원격 주문 배달 시스템은 고객이 웹사이트에서 물품을 주문하고 결제를 완료하면, 판매자가 물건을 배송자를 통해서 물품을 배달하는 방식이었으며, 2세대 원격 주문 배달 시스템은 고객이 웹사이트에서 물품을 주문하고 결제를 완료하면, 물품 배송자에게 자동으로 주문 정보가 전달되어, 판매자는 물건 배송 이전단계까지 준비하여 제공하는 방식으로 사용되었다.
현재는 무인 주문기를 주문하기 어려운 노약자 등이 사용하는 과정에서 어쩔 수 없는 주문의 지연현상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서 해당 기기를 불편하게 생각하는 고객들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늘어나고 있다. 이것은 하나의 무인 주문기에서 모두 주문을 받기 때문에, 다음 사람이 앞 사람의 주문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일에서 발생한다.
그리고 기존의 원격 주문 배달 시스템에서, 배달하는 주소는 주소 내용 그대로 공개되므로, 배달 과정에서 개인 정보가 유출되거나 이로 인하여 1인 가구가 범죄에 노출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무인 주문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줄을 서야 하는 불편함 없이, 특별한 별도의 설비 및 장치 없이, 자신이 보유한 스마트 기기로 자신이 기다리는 테이블에 구분된 QR코드를 주문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만약 판매자와 원거리에 있을 경우, 원격으로 주문을 하면서도 배송지가 노출이 안되도록 암호화된 QR 코드로 1회용 주소지를 전달함으로써 개인 정보의 유출을 막으면서 배송을 받을 수 있도록 원격 주문 시스템도 함께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판매자의 수요에 따라서, 주문과 함께 선결제까지 완료하도록 강제하거나, 또는 주문만 하고 결제는 따로 후불 결제로 할 수 있도록 선택하는 시스템을 제공하여, 일체화된 키오스크의 불편함이나, 각 주문 배송의 특징에 따른 시스템 구성을 직접 변경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QR 코드를 이용한 무인 통합 주문 방법은 사용자의 단말기가 주문용 QR코드를 통해 서버의 네트워크 상의 주소를 인식하고, 상기 주문용 QR코드에 포함된 예비 정보가 상기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예비 정보에 따라 주문을 입력할 수 있는 주문 인터페이스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구현되는 상기 주문 인터페이스를 바탕으로 사용자 주문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입력된 사용자 주문 정보가 상기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판매자 단말기로 상기 사용자 주문 정보에 따른 판매자 주문 정보가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주문 정보에 따라 전자 결제가 진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주문용 QR코드는 현장 구매 고객을 위한 현장 주문용 QR코드와 원거리 구매 고객을 위한 원거리 주문용 QR코드로 구분되고, 이것은 상기 예비 정보에 의해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현장 주문용 QR코드의 상기 예비 정보는 현장 식별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원거리 주문용 QR코드는 방문 주문용 QR코드와 배달 주문용 QR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주문용 QR코드가 상기 배달 주문용 QR코드인 경우, 상기 서버에서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상기 판매자 주문 정보는 배달용 QR코드 생성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달용 QR코드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1회성 네트워크 주소가 포함되어 인코딩 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 주문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주문용 OR 코드에는 추적할 수 있는 개별적인 일련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주문용 OR 코드에 포함되는 네트워크 주소는 전환 가능한 가상의 네트워크 주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주문용 QR 코드는 현장 및 원거리 주문용에 관계없이 동일한 QR 코드가 사용되고, 상기 서버에서는 주문자의 단말기에서 자동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상황정보를 요청하여 수집하고, 상기 주문자의 상황정보에 따라 다른 방식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판매자가 별도의 무인 주문기를 구입하고 비치하여 운영할 필요가 없으므로, 별도의 장치에 들어가는 고정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익숙하지 않은 무인 주문기를 통해서, 줄을 서서 대기하며 주문할 필요 없이, 매장의 테이블에 착석하여, 자신의 스마트기기를 통해서 물건을 주문하므로, 남녀노소, 노약자, 장애인들까지 직관적으로 주문하고 물품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필요한 상황 정보를 습득하여 사용자에 맞는 인터페이스를 전송하여 보다 쉽게 주문을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판매자의 측면에서는 하나의 시스템에서 현장 및 배달 주문을 처리할 수 있으므로, 기존 매장 내 판매 시스템과 원거리 주문에 따른 배송 시스템이 별도로 존재하는 불편함을 해소하여, 판매자는 통합된 시스템을 관리함으로써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를 이용한 무인 통합 주문 방법을 나타내는 계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를 이용한 무인 통합 주문 방법 중 주문 과정을 나타내는 계약적인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를 이용한 무인 통합 주문 방법 중 배달 주문 과정을 나타내는 계약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를 이용한 무인 통합 주문 방법 중 통합 코드 사용 과정을 나타내는 계약적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를 이용한 무인 통합 주문 방법을 나타내는 계략적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QR 코드를 이용한 무인 통합 주문 방법의 전체적인 시스템은 서버(100), 사용자 단말기(11, 12, 13), 판매자 단말기(21), 주문용 QR 코드(51a, 51b, 52, 53) 및 결재서버(200)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11, 12, 13)를 이용하여 서버(100)를 통해 주문하고, 서버(100)는 사용자의 주문 형태에 따라 이에 맞는 주문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주문을 입력 받는다.
서버(100)는 입력된 사용자 주문 정보를 바탕으로 판매자에게 필요한 정보들을 취합하여 판매자 주문 정보를 입력 받고, 주문에 필요한 작업을 진행한다.
또한 이 과정에서 서버(100)는 사용자가 주문과 동시에 결재를 진행할 수 있도록, 외부 결재서버(200)와 연동하여 결재를 진행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배달자 주문 정보는 별도의 배달용 QR 코드를 활용하여 개인정보를 접속할 수 있는 일회성 네트워크 주소를 전달한다.
따라서 현장에 배치되거나, 인터넷 또는 기타 인쇄물로 배포되는 QR 코드를 이용하여 별도의 주문용 키오스크나 앱 등을 설치하지 않고도 결재를 진행할 수 있다.
현장주문 방법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를 이용한 무인 통합 주문 방법 중 주문 과정을 나타내는 계략적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를 이용한 무인 통합 주문 방법은 주문용 QR 코드(51a, 51b)에 포함된 네트워크 상의 주소에 접속하여 주문용 QR 코드(51a, 51b, 52, 53)에 포함된 예비정보를 전송한다(S10).
현장 주문용 QR 코드(51a, 51b)는 원거리 주문용 QR 코드(52, 53)와 구분되어 형성될 수 있다. 판매자는 현장 주문용 QR 코드(51a, 51b)를 시스템 상에서 직접 생성할 수 있으며, 현장 내 테이블의 개수를 지정하면 각 테이블 번호 등의 현장식별정보를 포함하는 현장 주문용 QR 코드가 자동으로 생성되며, 이를 출력할 수 있는 이미지 저장매체나 출력매체에 전달된다. 언급한 현장식별정보는 테이블 번호뿐 아니라, 테이블 위치, 테이블 크기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판매자는 현장의 테이블에 현장 주문용 QR 코드(51a, 51b)를 배치하고, 사용자는 본인이 소유한 스마트 기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QR 코드를 인식하여 서버(100)로 접속하여 필요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서버(100)는 주문용 QR 코드(51a, 51b)에 포함된 예비정보에 따라 주문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의 단말기(11)에 전송한다.
주문 인터페이스는 수집되는 예비정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바뀌어 전송될 수 있다. 주문 인터페이스는 현장용 및 원거리 주문용으로 변경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매장 내에 위치하는 테이블에 따라 다른 주문이 가능한 경우 이에 따라 주문할 수 있는 상품을 다르게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장에 배치되는 테이블이 각각 1인용, 2인용, 4인용인 경우 1인용에 적합한 메뉴, 2인용에 적합한 메뉴, 4인용에 적합한 메뉴 또는 세트 상품, 할인 상품 등을 다양한 방법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주문 인터페이스에는 이러한 예비정보를 활용하여 각각 다른 인터페이스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렇게 전송된 주문 인터페이스에 따라 주문에 필요한 정보들을 입력 받고 이러한 사용자 주문 정보는 서버(100)로 전송된다(S30). 이때에 주문과 동시에 결재가 필요한 경우에는 서버(100)는 결재서버(200)와 연계하여 결재를 진행한다(S40).
주문 또는 주문과 결재가 완료된 경우에는 판매자의 단말기(21)에 판매자 주문 정보를 전달한다. 서버(100)는 판매자의 단말기(21)에 판매자 주문 정보를 전달하는데, 판매자는 이러한 주문을 즉각적으로 출력하게 할 수 있다. 판매자의 단말기(21)에 전달되는 판매자 주문 정보는 주문된 상품이나 음식, 해당 테이블 번호 등이 전달될 수 있으며, 이와는 부가적으로 손님의 단골 여부, 단골에게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상품이나 음식 정보 등을 더 옵션으로 할당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결재는 선불 또는 후불로 진행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정보는 판매자 주문 정보에 포함되므로, 필요한 경우 판매자는 사용자에게 상품이나 음식을 전달한 이후에 별도의 방법으로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예약주문 방법
도 1 및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예약 주문 방법은 사용자가 몇 시에 방문할 것을 예약하고 필요한 상품이나 음식을 미리 주문하는 방법이며, 실질적으로 주문 인터페이스를 전달하는 단계(S20)에서 다른 내용의 인터페이스를 전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현장 주문 방법과 동일하다.
단, 원거리 주문용 QR 코드는 방문 주문용 QR 코드(53)와 배달 주문용 QR 코드(52)로 나뉘는데, 방문 주문용 QR 코드(53)에서는 직접 매장을 방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므로, 이에 따라 서버(100)에서는 다른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의 단말기(13)에 전달한다.
전달된 주문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추가적으로 필요한 인원 정보, 도착 시간 정보 등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설정된 조건으로 필요한 결재를 미리 진행할 수 있다.
배달주문 방법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를 이용한 무인 통합 주문 방법 중 배달 주문 과정을 나타내는 계약적인 도면이다.
원거리 주문용 QR 코드는 방문 주문용 QR코드(53)와 배달 주문용 QR코드(52)로 나뉘며, 배달 주문용 QR코드(52)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단말기(12)를 통해 주문 받는다. 배달 주문용 QR 코드(52)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이미지로 전송될 수 있으며, 별도의 출력물로 전달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12)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배달 주문용 QR 코드(52)를 이용하여 서버로 예비정보를 전송(S10)하는 단계, 주문 인터페이스를 전송하는 단계(S20), 사용자 주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30), 결재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40) 및 판매자 주문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S50)에서 주문 인터페이스를 전송하는 단계(S20)를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프로세스로 진행된다. 추가적으로 배달 과정에서 진행되는 프로세스(S60, S71, S72) 가 부과된다.
주문 인터페이스를 전송하는 단계(S20)에서 배달 주문용 인터페이스를 전송하며, 이때에 필요한 주소 정보 등 개인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또는 미리 저장된 개인 정보를 활용하여 주문을 진행할 수 있다.
서버(100)에서 판매자 단말기(21)로 전송되는 판매자 주문 정보는 배달용 QR코드 생성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는 판매자에게 배달용 일회성 QR 코드에 관한 정보를 전달한다(S60).
판매자 단말기(21)에서 출력되는 판매자 주문 정보를 사용하여 배달자에게 전달되는 배달 주소지 정보 시트가 출력되나, 이 경우에는 배달용 QR 코드(55)가 출력되어 전달된다. 이러한 배달용 QR코드(55)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1회성 네트워크 주소가 포함되어 인코딩 된다. 배달지의 주소 정보가 직접적으로 기재되지 않고, QR 코드(55)를 통해 서버(100)로 조회 요청을 하여야 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
배달자는 자신의 단말기(31)를 활용하여, 배달용 QR 코드(55)의 주소로 배달지의 주소를 요청한다(S71). 서버는 주소 정보를 배달자의 단말기(31)로 전달한다(S72). 배달용 QR 코드의 주소 조회 요청은 지정된 기간이 경과하거나, 배달이 완료되었음이 확인되는 경우 일회성 주소를 제거하거나, 일반 조회 권한을 소멸시킨다.
또한, 판매자 주문 정보에서도 주소 등 개인정보가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개인정보는 판매자를 기준으로도 보호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시스템은 주소 등의 민감한 정보를 서비스 제공자 측인 판매자, 배달자 모두 개인정보를 수집하지 않은 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통합 QR코드의 사용 및 QR 코드 자체 식별번호 부여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를 이용한 무인 통합 주문 방법 중 통합 코드 사용 과정을 나타내는 계약적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합 QR 코드는 QR 코드 내에 네트워크 주소와 개별 아이디와 같은 식별정보만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매장용, 배달 주문용, 예약용 QR 코드를 별도로 생성하지 않고, 개별적인 식별번호만 예비 정보로 을 포함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를 적용하면 QR 코드의 생성과 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 특히 매장에서 테이블의 배치가 유동적이거나, 원거리 주문 시에 상황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현장에서는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통합 QR 코드를 활용하여, 테이블 번호를 별도로 매칭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이렇게 시스템 상에서 통합 QR 코드를 관리하면, 예를 들어 여러 개의 테이블을 통합하여 세팅 하는 등의 작업이 있는 경우에 1, 2, 3 번의 테이블을 하나의 테이블로 지정하는 작업을 시스템 상에서 등록하는 것만으로 주문과 서빙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장점은 상황정보를 요청하여 주문을 처리하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배달 주문을 받는 경우에는 현재 구글의 Google Maps Geolocation API등을 활용하면, 브라우저 상에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서버는 사용자의 단말기에 상황 정보를 요청하고(S14), 사용자의 단말기에는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하는 상황 정보를 전송(S16)한다.
이 경우 배달 주소지를 전혀 입력하지 않거나, 간단한 호수만을 입력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주소를 입력 받을 수 있으며, 만일 배달이 불가능한 지역인 경우 주문을 받지 않거나, 배달이 가능한 다른 매장으로 이를 연계할 수 있다.
또한 이동하고 있는 사용자가 예약 주문을 하는 경우, 실시간 위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도착 시간을 예측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품이나 음식의 주문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으로 1시간 내에 이동 가능한 거리에 있는 사용자가 교통 체증 등으로 늦어지는 경우 사용자가 이를 고지하지 않더라도 상품이나 음식의 주문 시점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황정보를 활용하여 이에 따른 주문 인터페이스를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문 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의 이동이 감지되었으므로, 실시간 도착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이나 음식의 준비 시점을 연계하겠습니까?” 등의 활용 정보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별도로 제공할 수 있다.
끝으로 식별번호는 이를 활용하여, 구매자의 패턴 분석에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11, 12, 13 : 사용자 단말기
51a, 51b, 52, 53 : 주문용 QR 코드
21 : 판매자 단말기
31 : 배달자 단말기
100 : 서버
200 : 결재서버

Claims (11)

  1. 사용자의 단말기가 주문용 QR코드를 통해 서버의 네트워크 상의 주소를 인식 하고, 상기 주문용 QR코드에 포함된 예비 정보가 상기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예비 정보에 따라 주문을 입력할 수 있는 주문 인터페이스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구현되는 상기 주문 인터페이스를 바탕으로 사용자 주문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입력된 사용자 주문 정보가 상기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판매자 단말기로 상기 사용자 주문 정보에 따른 판매자 주문 정보가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주문 정보에 따라 전자 결제가 진행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주문용 QR코드는 현장 구매 고객을 위한 현장 주문용 QR코드와 원거리 구매 고객을 위한 원거리 주문용 QR코드로 구분되며, 이것은 상기 예비 정보에 의해 판단되고,
    상기 현장 주문용 QR코드의 상기 예비 정보는 현장 식별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원거리 주문용 QR코드는 방문 주문용 QR코드와 배달 주문용 QR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원거리 주문용 QR코드가 상기 배달 주문용 QR코드인 경우,
    상기 서버에서 상기 판매자 단말기로 전송되는 상기 판매자 주문 정보는 배달용 QR코드 생성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달용 QR코드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1회성 네트워크 주소가 포함되어 인코딩 되며,
    상기 판매자 주문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주문용 QR 코드는 추적할 수 있는 개별적인 일련번호를 포함하며,
    상기 주문용 QR 코드에 포함되는 네트워크 주소는 전환 가능한 가상의 네트 워크 주소를 포함하고,
    상기 주문용 QR 코드로 현장 및 원거리 주문용에 관계없이 동일한 QR 코드가 사용되고,
    상기 서버에서는 주문자의 단말기에서 자동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상황정보를 요청하여 수집하고, 상기 주문자의 상황정보에 따라 다른 방식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전송하며,
    상기 예비 정보는, 현장 주문 또는 원거리 주문 여부와 현장에 배치되는 테이블의 수용 인원 수, 상기 수용 인원 수에 적합한 메뉴, 세트 상품 및 할인 상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 코드를 이용한 무인 통합 주문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90104807A 2018-08-27 2019-08-27 Qr 코드를 이용한 무인 통합 주문 방법 KR1023575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00437 2018-08-27
KR1020180100437 2018-08-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4113A KR20200024113A (ko) 2020-03-06
KR102357596B1 true KR102357596B1 (ko) 2022-03-16

Family

ID=69802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4807A KR102357596B1 (ko) 2018-08-27 2019-08-27 Qr 코드를 이용한 무인 통합 주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75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2810B1 (ko) * 2021-01-11 2021-08-25 김종광 무인점포 운영 장치
KR102351844B1 (ko) * 2021-01-11 2022-01-14 최재섭 주문 물품 자동 픽업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8499A (ko) * 2011-06-15 2012-12-26 (주)굿스플로 Qr코드를 활용한 택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14554A (ko) * 2013-07-29 2015-02-09 이민오 정보코드를 이용한 개선형 주문 및 결제 시스템
KR101570218B1 (ko) * 2013-08-23 2015-11-17 (주) 맑은생각 스마트폰을 이용한 주문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문방법
KR20160000994A (ko) * 2014-06-25 2016-01-06 종 진 임 쇼핑몰 주문 처리 시의 개인정보 보호 방법 및 장치
KR20160148876A (ko) * 2015-06-17 2016-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예약된 시점에 결제를 승인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4113A (ko) 202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46331A1 (en) Universal virtual shopping cart
US20140052607A1 (en) Secure payment system using a mobile phone, and payment method using same
CN105164708A (zh) 交易令牌发行机构
US10192247B2 (en) Method for buying and selling goods and shopping support system supporting the same
JPWO2017217521A1 (ja) 自動販売装置
KR102357596B1 (ko) Qr 코드를 이용한 무인 통합 주문 방법
KR20180032807A (ko) 여행 물품 대여 시스템
JP2024052913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150104768A (ko) 음식 배달 대행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082615B1 (ko) 계절 용품 종합 판매 시스템 및 그 방법
US9760941B2 (en) Managing the purchase of multiple items with multiple modes of fulfillment
KR20150046805A (ko) 쿠폰 사용 상태 정보와 연계하여 포인트를 발급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187338B1 (ko) 맞춤형 의료관광 서비스 정보제공 시스템
KR102122794B1 (ko) 배달 주문 처리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결제 단말 장치
JP2023086986A (ja) 個人情報利用注文システム
KR102090570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주문 상품 확인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46205A (ko) 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7027572A (ja) 電子商取引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616587B2 (ja) 施設利用者管理装置および施設利用者管理システム
US20210192477A1 (en) App-less restaurant processing system using mobile devices and offering check splitting
CA2828448A1 (en) Secure payment system using a mobile phone, and payment method using same
KR101505033B1 (ko) Url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관리서버 및 그 관리방법
KR101505032B1 (ko) Url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관리서버 및 그 관리방법
KR20110083193A (ko) 에스에스 코드를 직접 입력하는 방식의 휴대폰 모바일 쇼핑 및 결제 서비스
KR101865905B1 (ko) 여행자를 통한 해외상품 구매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