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7579B1 - IoT 방식의 유해 화합물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IoT 방식의 유해 화합물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7579B1
KR102357579B1 KR1020200029190A KR20200029190A KR102357579B1 KR 102357579 B1 KR102357579 B1 KR 102357579B1 KR 1020200029190 A KR1020200029190 A KR 1020200029190A KR 20200029190 A KR20200029190 A KR 20200029190A KR 102357579 B1 KR102357579 B1 KR 102357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module
information
sensor
r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9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3887A (ko
Inventor
길민식
Original Assignee
(주)투비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투비시스템 filed Critical (주)투비시스템
Priority to KR1020200029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7579B1/ko
Publication of KR20210113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3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7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7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20/0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 G16Y20/1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relating to the environment, e.g. temperature; relating to loc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oxi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oT 방식의 유해 화합물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IoT 방식의 유해 화합물 모니터링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검출 센서(11_1 내지 11_N)을 포함하는 검출 모듈(11); 검출 모듈(11)에서 전송된 검출 정보를 수신하여 위치 정보와 시각 정보에 따라 분류하는 분류 중계 모듈(12); 중계 모듈(12)로부터 전송된 분류 정보를 분석하여 검출 정보의 위험성을 판단하는 위험 분석 모듈(13); 및 분류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고, 위험 분석 모듈(13)의 위험 수준에 대한 적응도 데이터를 생성하는 인공지능 모듈(15)을 포함하고, 위험 분석 모듈(13)은 분류 정보의 위험성을 빅 데이터 모듈(14)로부터 탐색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한다.

Description

IoT 방식의 유해 화합물 모니터링 시스템{An IoT Based System for Monitering a Harmful Chemical}
본 발명은 IoT 방식의 유해 화합물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누설 형태 또는 부유 형태의 유해 화합물을 탐지하여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IoT 방식의 유해 화합물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화학물질은 가정용 세제에서 자동차, 전자제품에 이르기까지 모든 일상생활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화학물질이 인류 문명을 발전시키고 사람들의 생활수준을 향상시키는데 크게 기여하였으나, 화학물질 자체가 가지고 있는 유독성 및 다양성으로 인하여 인간과 환경에 유해 위험성을 유발시킬 수 있는 잠재성이 높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화학물질의 사용 범위가 확대되면서 예를 들어 화합물의 누출 사고는 큰 피해를 유발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인명 피해를 치명적으로 유발시킬 수 있는 화합물의 누설, 화학 가스의 누설 또는 화합물로 인한 폭발과 화재 발생과 같은 사고를 미리 탐지하여 이와 같은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특허공개번호 10-2016-0080164는 유해 화합물 누출 감지 및 대응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특허공개번호 10-2017-0022751은 휘발성 유기 화합물 센서에 대하여 개시한다. 선행기술은 유해 화합물 또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탐지하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지만 화합물의 특성 및 누설 형태에 따라 위험 수준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조치가 취해질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특허문헌 1: 특허공개번호 10-2016-0080164(이투엠쓰리(주), 2016.07.07. 공개) 유해화학물질 누출 감지 및 대응 시스템 및 방법 특허문헌 2: 특허공개번호 10-2017-0022751(엘지이노텍 주식회사, 2017.03.02. 공개) 유해 물질 감지 센서, 센서 패키지 및 이의 유해 물질 감지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형태의 유해 화합물을 탐지하여 각각의 누설 또는 부유 특성에 따라 위험도를 분석하여 그에 따른 대응 조치가 취해질 수 있도록 하는 IoT 방식의 유해 화합물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IoT 방식의 유해 화합물 모니터링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검출 센서를 포함하는 검출 모듈; 검출 모듈에서 전송된 검출 정보를 수신하여 위치 정보와 시각 정보에 따라 분류하는 분류 중계 모듈; 중계 모듈로부터 전송된 분류 정보를 분석하여 검출 정보의 위험성을 판단하는 위험 분석 모듈; 및 분류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고, 위험 분석 모듈의 위험 수준에 대한 적응도 데이터를 생성하는 인공지능 모듈(15)을 포함하고, 위험 분석 모듈은 분류 정보의 위험성을 빅 데이터 모듈로부터 탐색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검촐 모듈은 검출 정보의 처리를 위한 프로세서; 검출 정보의 저장을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전력 공급 수단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 가능한 모듈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검출 모듈은 각각의 검출 센서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고유 아이디를 생성하는 ID 생성 유닛(SI); 및 각각의 검출 센서의 검출 주기를 설정하는 검출 주기 유닛(DT)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검출 센서는 부착 가능한 다수 필름 층으로 이루어지고, 전력 공급에 의하여 작동을 개시시키는 전력 공급 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IoT 방식의 유해 화합물 모니터링 시스템은 예를 들어 그래핀 소재로 이루어진 검출 센서에 의하여 화합물의 누설 또는 부유가 실시간으로 검출되어 위험 분석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은 시계열별로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예를 들어 딥 러닝 방법과 같은 인공지는 알고리즘에 의하여 검출 정보를 분석하여 정확한 검출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에 의하여 사고 종류에 따른 사고 원인을 분석하고, 작업 상황에 따라 사고 발생의 원인을 데이터 형태로 만드는 것에 의하여 미리 위험 징후의 예측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은 위험 상황을 실시간으로 작업자 또는 영향 권역 내의 사람에게 전파하여 위험 화합물을 취급하는 작업자 또는 영향 권역 내의 사람이 안전이 보호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IoT 방식의 유해 화합물 모니터링 시스템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에 적용되는 센서 모듈의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이 작동되는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에 적용되는 검출 센서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한 위험 예방 방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IoT 방식의 유해 화합물 모니터링 시스템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유해 화합물 모니터링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검출 센서(11_1 내지 11_N)을 포함하는 검출 모듈(11); 검출 모듈(11)에서 전송된 검출 정보를 수신하여 위치 정보와 시각 정보에 따라 분류하는 분류 중계 모듈(12); 중계 모듈(12)로부터 전송된 분류 정보를 분석하여 검출 정보의 위험성을 판단하는 위험 분석 모듈(13); 및 분류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고, 위험 분석 모듈(13)의 위험 수준에 대한 적응도 데이터를 생성하는 인공지능 모듈(15)을 포함하고, 위험 분석 모듈(13)은 분류 정보의 위험성을 빅 데이터 모듈(14)로부터 탐색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한다.
검출 센서(11_1 내지 11_N)에 의하여 액체 형태의 화합물, 기체 형태의 화합물 또는 미립자 형태의 오염 물질이 탐지될 수 있다. 화합물은 예를 들어 저장 탱크 또는 이송 도관으로 누수가 될 수 있고, 대기 중에 부유할 수 있다. 유해 화합물은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고, 누설 또는 부유와 같이 의도되지 않는 모든 형태의 유해 화합물이 검출 대상이 될 수 있고, 화합물의 종류 또는 비정상적인 존재 형태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검출 센서(11_1 내지 11_N)는 필름 또는 패드 형태가 되거나, 칩 또는 기판 형태가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검출 센서(11_1 내지 11_N)은 예를 들어 접착테이프 또는 접착제와 같은 접착 수단에 의하여 저장 탱크, 이송 도관 또는 케이블에 접착되거나, 자석 또는 클램프와 같은 체결 수단에 의하여 검출 모니터링 대상에 체결될 수 있다. 검출 모듈(11)은 하나 또는 다수 개의 검출 센서(11_1 내지 11_N)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화합물 또는 미립자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출 센서(11_1 내지 11_N)에 의하여 불소화합물, 황산화합물, 황 화합물, 질소 화합물, 휘발성 유기 화합물,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미세 먼지 또는 이와 유사한 유해 화합물 또는 미립자가 탐지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검출 센서(11_1 내지 11_N)가 모듈 또는 패키지 형태의 검출 모듈(11)을 형성할 수 있다. 검출 모듈(11)은 적어도 하나의 검출 센서(11_1 내지 11_N); 검출된 정보를 처리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처리된 검출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검출 센서(11_1 내지 11_N)에 의하여 처리된 검출 정보는 유선 통신을 통하여 또는 근거리 통신 수단을 통하여 분류 중계 모듈(12)로 전송될 수 있다. 중계 모듈(12)은 적어도 하나의 검출 모듈(11)으로부터 검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12_1, 12_1)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 개의 검출 모듈(11)이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각각의 검출 모듈(11)에 설치된 다수 개의 검출 센서(11_1 내지 11_N)가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각각의 검출 센서(11_1 내지 11_N)의 위치 정보가 검출 모듈(11)에 의하여 확인될 수 있다. 그리고 위치 정보와 검출 정보가 시각 정보와 함께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12_1, 12_2)로 전송될 수 있다. 검출 센서(11_1 내지 11_N)에 의하여 주기적으로 유해 화합물이 탐지될 수 있고, 검출 센서(11_1 내지 11_N)는 위험 상태로 증가하는 유해 화합물을 탐지할 수 있다. 검출 센서(11_1 내지 11_N)는 중계기(12_1, 12_2)를 탐색할 수 있고, 탐색된 중계기(12_1, 12_2)로 수신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중계기(12_1, 12_2)는 요청 신호에 대하여 전송 개시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검출 모듈(11)로부터 검출 정보가 중계기(12_1, 12_2)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중계 모듈(12)에 의하여 전송된 검출 정보가 분류될 수 있고, 검출 정보는 검출 센서(11_1 내지 11_N)의 위치, 검출 화합물 또는 검출 시각에 기초하여 분류될 수 있다. 분류된 정보가 위험 분석 모듈(13)로 전송될 수 있고, 위험 분석 모듈(13)은 미리 결정된 기준 데이터에 기초하여 위험 수준을 결정할 수 있다. 위험 수준은 빅 데이터 모듈(14)로부터 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검출 정보의 위험 수준을 판단할 수 있다. 빅 데이터 모듈(14)에 환경 상황에 따른 검출된 화합물의 위험 수준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고, 위험 분석 모듈(13)은 빅 데이터 모듈(14)에 저장된 정보에 따라 위험 기준 데이터를 결정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위험 분석 모듈(13)은 인공 지능 모듈(15)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고, 인공 지능 모듈(15)은 위험 분석 모듈(13)에서 판단된 위험 수준으로부터 적응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적응도 데이터는 유해 화합물의 다양한 환경 조건에 따른 유해 수준 또는 적응 수준 값을 포함하고, 적응도 데이터가 인공지능 모듈(15)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다양한 형태의 적응도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고, 적응도 데이터가 위험 분석 모듈(13)로 전송될 수 있고, 그에 기초하여 위험성이 판단되거나, 보완될 수 있다. 위험도가 결정된 이후 검출 정보가 다시 위험 분석 모듈(13)로 전송될 수 있고, 결정된 위험도와 검출 상황이 차이가 분석되어 인공지능 모듈(15)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위험 분석 모듈(13)에 의하여 판단된 위험도에 따라 작업자 또는 관리자에게 전송될 수 있고 그에 따른 적절한 조치가 취해질 수 있다. 위험도는 다양한 방법으로 결정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에 적용되는 센서 모듈의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검출 모듈(11)은 검출 정보의 처리를 위한 프로세서(22); 검출 정보의 저장을 위한 메모리(23)를 포함하고, 전력 공급 수단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 가능한 모듈 구조를 가진다. 검출 모듈(11)은 독립적인 모듈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검출 모듈(11)에 배치된 검출 센서로부터 탐지된 정보를 처리하는 정보 처리 프로세서(22); 처리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23); 메모리(23)에 저장된 정보를 관리하는 정보 관리 유닛(24); 및 메모리(23)에 저장된 정보를 중계 모듈로 전송하는 통신 수단(25)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3)에 저장된 정보는 정보 관리 유닛(24)을 통하여 통신 수단(25)을 통하여 중계 모듈(12)로 전송될 수 있다. 정보 관리 유닛(24)은 메모리(23)에 저장된 검출 정보를 주기적으로 중계 모듈(12)로 전송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정보 관리 유닛(24)은 검출 정보의 전송 시기를 결정하고, 메모리(23)에서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정보를 삭제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정보 관리 유닛(24)은 메모리(23)의 관리 및 검출 정보의 전송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가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검출 모듈(11)은 전력 공급을 위한 다양한 수단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검출 모듈(11)의 작동을 위한 전력 공급 수단이 결합될 수 있다. 전력 공급 수단은 충전 유닛(212) 및 충전 유닛(212)으로 검출 모듈(11)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전력 제어 유닛(211)을 포함할 수 있다. 검출 모듈(11)에 공급 요청 유닛(26)이 설치될 수 있고, 전력 요청 유닛(26)에 의하여 전력 공급 요청이 전력 공급 수단이 전송되면 전력 제어 유닛(211)으로부터 전력 요청 유닛(26)으로 전력이 공급되어 검출 모듈(11)이 작동될 수 있다. 전력은 무선 또는 유선으로 공급될 수 있고, 전력 요청 유닛(26)은 전력 검출 모듈(11)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기능을 가지면서 이와 동시에 검출 모듈(11)의 작동을 개시시키는 개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전력 요청 유닛(26)은 배터리와 같은 에너지 저장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전력 공급 수단과 다양한 방법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력 공급 수단은 예를 들어 태양 전지 셀, 외부 전원 연결 수단, 충전 가능한 이차 전지, 에너지 수확 수단(energy harvesting means) 또는 이와 유사한 전력 생상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이 작동되는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검출 모듈(11)은 각각의 검출 센서(11_1 내지 11_N)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고유 아이디를 생성하는 ID 생성 유닛(SI); 및 각각의 검출 센서(11_1 내지 11_N)의 검출 주기를 설정하는 검출 주기 유닛(DT)을 포함한다. 검출 모듈(11)에 의하여 다양한 유해 화합물이 탐지될 수 있고, 환경 정보가 탐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출 모듈(11)은 온도/습도 센서(T/M); 화합물 검출 센서(G), 미립자 검출 센서(P); 유동 센서(F); 및 이동 확인 센서(M)를 포함할 수 있다. 검출 모듈(11)은 누설 또는 부유하는 다양한 형태의 유해 화합물 또는 유해 화합물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조건을 탐지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검출 모듈(11)에서 검출된 검출 정보는 처리 가능한 데이터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검출 모듈(11)에 센서 위치 확인 유닛(SL); 각각의 검출 센서의 ID를 생성하는 ID 생성 유닛(SI); 및 검출 주기 또는 검출 정보의 전송 주기를 결정하는 주기 설정 유닛(PS)을 포함하는 센서 정보 모듈(31)이 설치될 수 있다. 센서 정보 모듈(31)은 중계 모듈에 설치된 센서 관리 유닛(33)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고, 통신 관리 유닛(33)에 의하여 검출 모듈(11)에 설치된 각각의 검출 센서가 관리될 수 있다. 중계 모듈(12)에 IoT 중앙 처리 유닛(34)이 설치될 수 있고, IoT 중앙 처리 유닛(34)에 의하여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다양한 검출 모듈(11)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검출 모듈(11)은 주변에 설치된 다양한 연동 기기(32)와 연동되어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출 모듈(11)은 주변에 설치된 대기 오염 측정 수단, 환경 측정 수단, 소음 측정 수단 또는 이와 유사한 계측 수단과 연동되어 작동될 수 있다. 검출 모듈(11)에 연동 탐색기(321)가 배치되어 주변에 배치된 이와 같은 연동기기(32)를 탐색할 수 있고, 탐색된 연동기기(32)로부터 계측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센서 관리 유닛(33)은 빅 데이터 정보 모듈(35)로 검출 센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검출 화합물, 검출 환경 또는 검출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빅 데이터 정보 모듈(35)은 빅 데이터 수집 유닛(351) 및 빅 데이터 분석 유닛(35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빅 데이터 정보 모듈(35)은 센서 관리 유닛(33)으로부터 전송된 검출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위험 분석 모듈로 저장된 분석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 관리 모듈(36)이 설치되어 중계 모듈(12)의 통신 상태가 관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설정 유닛(361)에 의하여 중계 모듈(12)의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이와 유사한 유무선 통신 연결 방법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센서 네트워크 관리 유닛(362)에 의하여 검출 모듈(11)에 설치된 각각의 검출 센서로부터 전송된 검출 정보의 연결 방법이 설정될 수 있다. 각각의 검출 센서에 의한 검출 정보의 처리 방법이 결정되면 검출 정보가 위험 분석 모듈로 전송되어 분석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에 적용되는 검출 센서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검출 센서(11_1 내지 11_N)은 부착 가능한 다수 필름 층으로 이루어지고, 전력 공급에 의하여 작동을 개시시키는 전력 공급 층(436a, 436b)를 포함한다. 검출 센서(11_K)는 필름 또는 패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전력 공급에 의하여 또는 작동 개시 신호에 의하여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모듈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검출 센서(11_K)는 예를 들어 사각 판 형상이 될 수 있고, 저장 탱크 또는 이송 도관에 부착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는 환경 검출을 위하여 설비 또는 장치의 표면에 부착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이에 적합한 부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출 센서(11_K)는 다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회로 층(431); 회로 층(431)의 위쪽에 배치된 검출 유닛(434a, 434b); 회로 층(431)의 위쪽에 배치된 마이크로 칩(435)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 층(431)의 위쪽에 다공성 유도 층(432)이 형성되고, 회로 층(432)의 아래쪽에 부착 층(433)이 형성될 수 있다. 회로 층(431)에 전력 수신 회로(436a, 436b); 전력 수신 회로(436a, 436b); 전력 수신 회로(436a, 436b)의 전력 공급에 의하여 작동되는 검출 유닛(434a, 434b); 및 마이크로 칩(435)이 배치될 수 있다. 전력 수신 층(436a, 436b)는 전력 공급 회로부터 전력 공급을 받을 수 있고, 전력 공급 회로는 에너지 하비스팅 유닛(41); 및 에너지 하비스팅 유닛(41)의 전력을 전력 수신 회로(436a, 436b)로 전송하는 제어 회로(4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에너지 하비스팅 유닛(41)은 예를 들어 진동 에너지 생성 수단, 태양 전지 셀 또는 에너지 저장 수단이 될 수 있고, 제어 회로(42)는 예를 들어 전자기장 또는 RF(Radio Frequency) 전파를 전력 수신 회로(436a, 436b)로 전송할 수 있는 전자기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검출 유닛(434a, 434b)은 예를 유해 화합물과 반응하여 저항이 변하는 저항 회로 또는 이와 유사한 검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수신 회로(436a, 436b)는 전자기파의 수신에 의하여 활성화가 될 수 있는 다양한 회로가 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공 유도 층(432)을 통하여 유해 화합물이 검출 유닛(434a, 434b)로 유입되어 검출되면 마이크로 칩(435)에 의하여 처리되어 탐지 정보 처리 유닛(44)으로 전송될 수 있다. 탐지 정보 처리 유닛(44)에 의하여 전송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된 검출 정보는 중계 모듈을 경유하여 위험 분석 모듈로 전송될 수 있다. 검출 센서(11_K)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한 위험 예방 방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유해 화합물의 모니터링에 의한 위험 예방 방법은 센서 위치 정보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단계(P51); 검출 모듈이 설치된 환경 정보를 탐지되고, 이와 함께 유해 화합물의 누설로 인한 파급 데이터가 생성되는 단계(P52); 검출 모듈에 배치된 검출 센서로부터 검출 정보가 위험 분석 모듈에서 수신되어 분석되는 단계(P53); 위험 분석 모듈에 의하여 검출된 화합물의 위험 수준이 평가되는 단계(P54); 평가된 위험 수준에 의하여 피해가 발생될 수 있는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P55); 판단 결과에 따라 파급 데이터가 호출되고 피해가 미치는 영역을 나타내는 위험도 맵이 생성되는 단계(P56); 및 위험도 맵에 따라 위험도 정보가 전송되는 단계(P57)를 포함한다. 센서 위치 정보 네트워크에 의하여 유해 화합물이 발생될 수 있는 영역에서 검출 모듈이 설치되어야 하는 위치 또는 검출 센서의 종류가 결정될 수 있다(P51). 위치 정보 네트워크에 기초하여 검출 모듈이 배치되면(P51), 각각의 영역에서 유해 화합물이 검출되는 수준에 따른 영향이 평가되는 파급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P52). 검출 센서 또는 모듈은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필름 또는 패드 구조가 되거나, 칩 또는 이와 유사한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가 될 수 있다. 검출 정보가 위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방법으로 처리될 수 있고, 위험 분석 모듈에 의하여 분석되어 위험 수준이 평가될 수 있다(P54). 피해 발생이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NO), 검출 모듈에 의한 탐지가 계속될 수 있다(P53). 이에 비하여 피해 발생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YES), 다양한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하여 파급 데이터에 기초하여 위험 수준이 전송될 수 있다(P57). 위험도 전송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검출 모듈 12: 분류 중계 모듈
13: 위험 분석 모듈 14: 빅데이터 모듈
15: 인공지능 모듈 22: 프로세서
23: 메모리 24: 정보 관리 유닛

Claims (4)

  1. 온도/습도 센서(T/M); 화합물 검출 센서(G); 미립자 검출 센서(P); 유동 센서(F); 및 이동 확인 센서(M)를 포함하는 다수 개의 검출 센서(11_1 내지 11_N)를 포함하는 검출 모듈(11);
    검출 모듈(11)에서 전송된 검출 정보를 수신하여 위치 정보와 시각 정보에 따라 분류하는 분류 중계 모듈(12);
    중계 모듈(12)로부터 전송된 분류 정보를 분석하여 검출 정보의 위험성을 판단하는 위험 분석 모듈(13); 및
    분류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고, 위험 분석 모듈(13)의 위험 수준에 대한 적응도 데이터를 생성하는 인공지능 모듈(15)을 포함하고,
    위험 분석 모듈(13)은 분류 정보의 위험성을 빅 데이터 모듈(14)로부터 탐색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하고,
    검출 모듈(11)은 검출 정보의 처리를 위한 프로세서(22); 검출 정보의 저장을 위한 메모리(23)를 더 포함하고, 전력 공급 수단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 가능한 모듈 구조를 가지며,
    검출 모듈(11)은 센서 위치 확인 유닛(SL); 각각의 검출 센서의 ID를 생성하는 ID 생성 유닛(SI); 및 각각의 검출 센서(11_1 내지 11_N)의 검출 주기 또는 검출 정보의 전송 주기를 결정하는 주기 설정 유닛(PS)을 포함하는 센서 정보 모듈(31)을 더 포함하고,
    검출 모듈(11)은 주변에 설치된 대기 오염 측정 수단, 환경 측정 수단 및 소음 측정 수단을 포함하는 연동기기(32)를 탐색하고 탐색된 연동기기(32)로부터 계측 정보를 수신하는 연동 탐색기(32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방식의 유해 화합물 모니터링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00029190A 2020-03-09 2020-03-09 IoT 방식의 유해 화합물 모니터링 시스템 KR102357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190A KR102357579B1 (ko) 2020-03-09 2020-03-09 IoT 방식의 유해 화합물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190A KR102357579B1 (ko) 2020-03-09 2020-03-09 IoT 방식의 유해 화합물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3887A KR20210113887A (ko) 2021-09-17
KR102357579B1 true KR102357579B1 (ko) 2022-02-03

Family

ID=77924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190A KR102357579B1 (ko) 2020-03-09 2020-03-09 IoT 방식의 유해 화합물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757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5188B1 (ko) * 2018-04-30 2019-07-29 타이아(주) 실시간 위치 추적 및 gis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그리고 산업현장 안전관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0371B1 (ko) * 2010-06-15 2012-01-03 주식회사 씨브이네트 절전형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206042B1 (ko) * 2011-01-31 2012-11-28 (주)이노셈코리아 모션감지용 양방향센서
KR101692926B1 (ko) 2014-12-29 2017-01-04 이투엠쓰리(주) 유해화학물질 누출 감지 및 대응 시스템 및 방법
KR102345029B1 (ko) 2015-08-21 2021-12-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유해 물질 감지 센서, 센서 패키지 및 이의 유해 물질 감지 방법
KR101724260B1 (ko) * 2015-08-21 2017-04-07 대한민국 재난안전 통합 상황관리를 위한 위치기반 실시간 시나리오 설정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5188B1 (ko) * 2018-04-30 2019-07-29 타이아(주) 실시간 위치 추적 및 gis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그리고 산업현장 안전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3887A (ko) 2021-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67954B1 (en) Detector system and method to detect or determine a specific gas within a gas mixture
KR101037433B1 (ko) 지중 시설물 관리를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
US9398352B2 (e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monitoring transmission systems
US20080168826A1 (en) Method and system for gas leak detection and localization
US7250855B2 (en) False alarm mitigation using a sensor network
US11933692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in-service tank inspections
CN110692092B (zh) 物质泄漏检测及通知系统
JP2008517276A (ja) 大気中の化学物質の改良された検出のための遠隔センサー及び現場センサーシステム及びその関連方法
WO2014058337A1 (en) An unmanned autonomous vehicle for inspection of fluid transportation means
US11340133B2 (en) System and method of detecting gas-leakage along an underground pipeline system
KR101890283B1 (ko) 실내외 측위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측위시스템
CN110936390A (zh) 一种带机械臂的信息机房巡检机器人
US9791515B2 (en) Battery protected against electric arcs
KR102357579B1 (ko) IoT 방식의 유해 화합물 모니터링 시스템
CN104266990B (zh) 一种分体式化学品的探测分析装置
CN110346429A (zh) 巡检设备和巡检方法
CN110017951A (zh) 检测流体流的方法、对应的装置和计算机程序产品
Kumar et al. Smart Helmet and Tracking System for Coal Miners Using IoT
KR102447519B1 (ko) 안전진단 및 감시순찰을 위한 군집로봇 관제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N110455562A (zh) 石化企业巡检过程便携式设备检测仪及其应用
KR101955490B1 (ko) 굴뚝 배출가스 포집용 흡입라인 모니터링 시스템
KR101955493B1 (ko) 굴뚝 배출가스 포집용 흡입라인 유지 관리 시스템
CN105460454A (zh) 移动检测报警系统
Okoli et al. Autonomous Robot for Gas Pipeline Inspection and Leak Detection
CN211015115U (zh) 一种装备存储舱健康管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