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7315B1 -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 및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의 설계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 및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의 설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7315B1
KR102357315B1 KR1020200071431A KR20200071431A KR102357315B1 KR 102357315 B1 KR102357315 B1 KR 102357315B1 KR 1020200071431 A KR1020200071431 A KR 1020200071431A KR 20200071431 A KR20200071431 A KR 20200071431A KR 102357315 B1 KR102357315 B1 KR 102357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grid
input
charging mode
power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1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5026A (ko
Inventor
박정언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71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7315B1/ko
Publication of KR20210155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5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7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7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8/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y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 B60L8/003Converting light into electric energy, e.g. by using photo-voltaic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6/00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power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2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converters located in the vehicle
    • B60L53/24Using the vehicle's propulsion converter for cha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5/00Arrangements for supplying energy stored within a vehicle to a power network, i.e. vehicle-to-grid [V2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4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b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e.g. junction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6/00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power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 B60K2016/003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power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solar power dri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10DC to DC co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60/00Operating Modes
    • B60L2260/40Control m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90Energy harvesting concepts as power supply for auxiliaries' energy consumption, e.g. photovoltaic sun-ro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Abstract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 및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의 설계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는, 전원 전지와 태양 전지와 공통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 전지로부터 입력되는 그리드(Grid), 또는 상기 태양 전지로부터 입력되는 태양전원(PV)을, 배터리 전원으로 변환하는 파워 스테이지(Power-stage); 상기 그리드가 입력되면, 상기 파워 스테이지를 그리드 충전모드(Grid Charge Mode)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OBC(On Board Charger) 제어기; 및 상기 태양전원이 입력되면, 상기 파워 스테이지를 태양전지 충전모드(PV Charge Mode)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PV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 및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의 설계 방법{OBC DEVICE FOR ELECTRIC VEHICLES, AND DESIGN METHOD OF OBC DEVICE FOR ELECTRIC VEHICLES}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충전기측 입력에 대한 PFC(Power Factor Correction) 제어와, 태양광패널측 입력에 대한 MPPT(Maximum power point tracking) 제어가 모두 가능한, 전기자동차용 OBC(On Board Charger) 장치 및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의 설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PFC 제어를 위해 구비된 파워 스테이지(power-stage)를 MPPT 제어시에 공유 함으로써, 장치의 부피, 무게와 제작 단가를 현저히 낮출 수 있게 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전기 자동차는 전기를 동력원으로 삼아 운행하는 자동차를 일컫는다.
전기 자동차는 석유 연료와 엔진을 사용하지 않고, 전기 배터리와 전기 모터를 사용하여, 배터리에 축적된 전기로 모터를 회전시켜서 자동차를 구동시킨다. 배터리로의 전기 축적에는, 연료전지, 태양전지와 같은 열이나 화학반응을 통해 발생되는 전기를 활용할 수 있다.
도 1는 일반적인 전기자동차의 주요 내부 유닛에 관한 구성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는, Motor(110), OBC(On Board Charger, 120), LDC Converter(130), 및 Battery(140)를 포함하여 내부 유닛을 구성할 수 있다.
Motor(110)는 전기에너지를 회전동력에너지로 변환하여 주행 동력을 공급하는 수단일 수 있다.
OBC(120)는 그리드(Grid)로부터 입력된 3상 또는 단상의 교류 전력 중, 무효전력을 최소화 시키고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Battery(140) 및 기타 부하에 공급하는 수단일 수 있다.
LDC Converter(130)는 OBC(120)에서 공급된 직류 전력을 12V 내외로 감압 및 절연하여, 내부 전기 유닛들의 제어 또는 전원 전력을 공급하는 수단일 수 있다.
Battery(140)는 그리드 전력을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저장된 그리드 전력을 부하에 공급하는 수단일 수 있다.
도 2는 일반적인 OBC의 내부 구조에 대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OBC는 AC-DC converter(210)와, Isolated DC-DC converter(22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AC-DC converter(210)는 Power Factor Correction(PFC) 이라 지칭될 수 있다.
AC-DC converter(210)는 그리드에서 공급된 전력의 전압과 전류 위상을 동기화 시키고, 전력 품질을 가공하여 무효전력 성분을 최소화 시키는 수단일 수 있다. 또한, AC-DC converter(210)는 그리드에서 공급된 전력을 약 400V의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링크 커패시터에 공급(Non-Isolation Type)할 수 있다.
Isolated DC-DC converter(220)는 링크 커패시터에 공급된 약 400V의 전력을, 절연을 통해 배터리에 충전하거나, 또는 LDC Converter(130)에 공급할 수 있다.
도 3은 일반적인 OBC의 AC-DC Converter(PFC)에 사용되는 기존 전력회로 및 제어회로의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a에는 기존의 전력회로를 예시한다.
도 3a에서와 같이, 기존의 전력회로는 효율과 전력퓨즈(PF) 특성이 우수하고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Bridge Diode와 Boost Converter(승압형) 회로를 사용하여 구성한다.
도 3b에는 기존의 제어회로를 예시한다.
도 3b에서와 같이, 기존의 제어회로는 PI 제어기를 사용하여 입력전압(120Hz) 파형을 ref로 잡고, boost converter의 main FET gate 신호를 약 수십 내지 수백 kHz로 on/off 하여 전류 파형의 위상을 입력전압 파형의 위상에 동기화 시킬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제어회로는, 효율, 전력퓨즈(PF) 특성, 전력 품질, 및 왜곡 정도에 따라 전류의 연속성을 기준으로 CCM / DCM / CRM 등의 모드를 선택하여 제어할 수 있다.
CCM 모드로 동작하는 PFC의 출력 전류 / 입력 전압(Grid) / 출력 전압의 파형은, 입력전압(Grid)에 전류 위상이 동기화되고, 출력전압은 400V 일정하게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PFC 회로 자체에 대한 기술 개발과 연구를 많이 진행하였지만, PFC 회로와 PV(태양전지) 회로를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회로구조 및 제어방법을 적용한 사례는 없었다.
따라서, 태양광 패널을 채용한 충전과 유선 충전을 모두 가능하게, PFC 제어와 MPPT 제어를 함께 제공하기 위한, 새로운 기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PFC 제어와 MPPT 제어에 따른 파워 스테이지를 공유하여, 제어기가 그리드 충전 모드와 태양광 발전충전 모드에 따라 동작을 다르게 함으로써, 제품의 부피, 무게, 비용 감소 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 및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의 설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릴레이 구조를 채용하여, 브릿지 다이오드를 거치지 않고 파워 스테이지로 직접 태양광 패널 전력을 인가하고, 상기 파워 스테이지로부터의 출력을 배터리로 바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는, 전원 전지와 태양 전지와 공통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 전지로부터 입력되는 그리드(Grid), 또는 상기 태양 전지로부터 입력되는 태양전원(PV)을, 배터리 전원으로 변환하는 파워 스테이지(Power-stage); 상기 그리드가 입력되면, 상기 파워 스테이지를 그리드 충전모드(Grid Charge Mode)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OBC(On Board Charger) 제어기; 및 상기 태양전원이 입력되면, 상기 파워 스테이지를 태양전지 충전모드(PV Charge Mode)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PV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의 설계 방법은, 전원 전지와 태양 전지와 공통으로 연결되는 파워 스테이지에서, 상기 전원 전지로부터 입력되는 그리드, 또는 상기 태양 전지로부터 입력되는 태양전원을, 배터리 전원으로 변환하는 단계; OBC 제어기에서, 상기 그리드가 입력되면, 상기 파워 스테이지를 그리드 충전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PV 제어기에서, 상기 태양전원이 입력되면, 상기 파워 스테이지를 태양전지 충전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PFC 제어와 MPPT 제어에 따른 파워 스테이지를 공유하여, 제어기가 그리드 충전 모드와 태양광 발전충전 모드에 따라 동작을 다르게 함으로써, 제품의 부피, 무게, 비용 감소 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 및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의 설계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서는, 릴레이 구조를 채용하여, 브릿지 다이오드를 거치지 않고 파워 스테이지로 직접 태양광 패널 전력을 인가하고, 상기 파워 스테이지로부터의 출력을 배터리로 바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는 일반적인 전기자동차의 주요 내부 유닛에 관한 구성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인 OBC의 내부 구조에 대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반적인 OBC의 AC-DC Converter(PFC)에 사용되는 기존 전력회로 및 제어회로의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의 구성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공유되는 파워 스테이지를 PV 제어기의 파워 스테이지로 사용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의 설계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400)는, 파워 스테이지(410), OBC 제어기(420), 및 PV 제어기(43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400)는 브릿지 다이오드(412), DC-DC 컨버터(414), 제1 릴레이(440), 및 제2 릴레이(450)를 선택적으로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우선, 파워 스테이지(410)는 전원 전지와 태양 전지와 공통으로 연결된다. 즉, 파워 스테이지(410)는 전기 충전소에서의 충전 건 체결에 따라 접속되는 전원 전지와 연결하고, 동시에 태양 모듈에 장착되어 태양광 발전을 하는 태양 전지와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파워 스테이지(410)는 상기 전원 전지로부터 입력되는 그리드(Grid), 또는 상기 태양 전지로부터 입력되는 태양전원(PV)을, 배터리 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다.
즉, 파워 스테이지(410)는 입력되는 전원의 종류에 따라 설정되는 모드에 상응하여, 입력되는 전원을 변환 처리 함으로써, 후단의 배터리로 공급되는 배터리 전원을 생성,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파워 스테이지(410)는 후단에 연결되는 장치(배터리, 캐패시터, 기타 소자 등)에 따라, 해당 장치에 최적하게 설계된 형태로 전원을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OBC 제어기(420)는 상기 그리드가 입력되면, 파워 스테이지(410)를 그리드 충전모드(Grid Charge Mode)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즉, OBC 제어기(420)는 전기 충전소에서의 충전 건 체결에 따라 접속되는 전원 전지로부터 그리드가 입력하는 것에 연동되어, 파워 스테이지(410)의 동작 모드를 그리드 충전모드로 전환, 제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반면, PV 제어기(430)는 상기 태양전원이 입력되면, 파워 스테이지(410)를 태양전지 충전모드(PV Charge Mode)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즉, PV 제어기(430)는 태양 모듈에 장착되어 태양광 발전을 하는 태양 전지로부터 태양전원이 입력하는 것에 연동되어, 파워 스테이지(410)의 동작 모드를 태양전지 충전모드로 전환, 제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정리하면, OBC 제어기(420)와 PV 제어기(430)는 연결되는 전원 전지와 태양 전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의 종류를 고려하여, 공유되는 파워 스테이지(410)에 대한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태양광 발전이 가능한 낮 시간 동안에는 PV 제어기(430)가 제어를 담당하여, 파워 스테이지(410)의 동작 모드를 태양전지 충전모드로 유지하고 있다가, 전기자동차가 전기 충전소에 진입하여 전기 충전을 하는 경우라면, OBC 제어기(420)가 제어를 대신하여 담당하여, 파워 스테이지(410)의 동작 모드를 그리드 충전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400)는 PFC 제어를 위한 파워 스테이지(410)의 구조를 유지하면서, MPPT 제어를 병행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파워 스테이지(410)는, 브릿지 다이오드(412)와, DC-DC 컨버터(414)를 전단 및 후단에 연결시켜 구성할 수 있다.
브릿지 다이오드(412)는 파워 스테이지(410)의 전단에 위치하여, 상기 그리드의 입력으로 생성되는 돌입전류(Inrush Current)를 방지한다. 즉, 브릿지 다이오드(412)는 상기 돌입전류로 인해 상기 그리드가 불예측의 극성 전압으로 입력되는 경우라도, 동일한 극성의 전압으로 전환시켜, 파워 스테이지(410)로 입력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돌입 전류는 전기기기(예컨대 그리드를 공급하는 충전소)의 전원을 켤 때, 일시적으로 흐르는 최대 순간 입력 전류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DC-DC 컨버터(414)는 파워 스테이지(410)의 후단에 위치하여, 상기 그리드 충전모드의 파워 스테이지에서 발생되는 상기 배터리 전원을 정해진 크기의 직류로 변환하여 배터리에 공급한다. 즉, DC-DC 컨버터(414)는 그리드를 기초로 하여 파워 스테이지(410)에서 생성되는 배터리 전원을, 배터리에 공급 가능하게 규격화된 크기의 직류로 변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해진 크기의 직류는 전기차가 최적하게 구동하기 위한, 예컨대, 60Ah(12V)로 정해질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파워 스테이지(410)는, PFC 제어(그리드에 의한 배터리 충전)를 위한 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PFC 제어를 위한 구조의 파워 스테이지(410)를 공유하기 위해,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400)는, 태양전원을 상기 파워 스테이지(410)로 직접 입력시키는 제1 릴레이(440)와, 파워 스테이지(410)의 출력을 배터리로 직접 공급하는 제2 릴레이(450)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1 릴레이(440)는 상기 태양전원이 브릿지 다이오드(412)를 패스하여 상기 태양전지 충전모드의 파워 스테이지(410)로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 릴레이(440)는, 태양 모듈이 활성화되어 태양 전지에서 태양전원을 생성시키면, 상기 태양전원을 태양전지 충전모드로 전환 제어된 파워 스테이지(410)에 직접 입력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정리하면, 제1 릴레이(440)는 파워 스테이지(410)가 그리드 충전모드이면, 입력되는 그리드가 브릿지 다이오드를 경유하여 상기 그리드 충전모드의 파워 스테이지(410)로 입력되게 하고, 반면 파워 스테이지(410)가 태양전지 충전모드이면, 입력되는 태양전원이 브릿지 다이오드를 우회하여 상기 태양전지 충전모드의 파워 스테이지(410)로 직접 입력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 릴레이(450)는 상기 태양전지 충전모드의 파워 스테이지(410)에서 발생되는 상기 배터리 전원이, 상기 DC-DC 컨버터(414)를 패스하여 상기 배터리에 공급되도록 한다. 즉, 제2 릴레이(450)는 태양전지 충전모드의 파워 스테이지(410)에서 생성되는 배터리 전원이, 별도의 조정 과정 없이 직접 배터리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리드 충전모드의 파워 스테이지(410)는, 교류의 그리드를, 직류의 배터리 전원으로 전환하여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400)는 파워 스테이지(410)를 평소에는 태양전원에 의한 충전모드를 유지하다가, 그리드가 입력됨에 따라, 이 그리드에 의한 충전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PV 제어기(430)는, 태양을 감지하여, 파워 스테이지(410)를 상기 태양전지 충전모드로 유지되게 제어할 수 있다. 즉, PV 제어기(430)는 태양광 발전이 가능함을 확인하여, 파워 스테이지(410)를 태양전지 충전모드로 동작,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기차의 충전구에 충전 건이 삽입됨에 따라, OBC 제어기(420)는, 상기 충전 건을 통해 상기 전원 전지로부터의 상기 그리드의 입력이 지속되는 동안, 상기 파워 스테이지(410)를 상기 태양전지 충전모드에서 상기 그리드 충전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OBC 제어기(420)는, 충전 건을 통해 그리드가 입력되면, 파워 스테이지(410)의 모드를 그리드 충전모드로 일시적으로 전환하여, 그리드에 의한 배터리 충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충전 건이 충전구에서 해지되면, PV 제어기(430)는, 파워 스테이지(410)의 모드를, 태양전지 충전모드로 다시 전환시켜, 태양전원에 의한 배터리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PFC 제어와 MPPT 제어에 따른 파워 스테이지를 공유하여, 제어기가 그리드 충전 모드와 태양광 발전충전 모드에 따라 동작을 다르게 함으로써, 제품의 부피, 무게, 비용 감소 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 및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의 설계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서는, 릴레이 구조를 채용하여, 브릿지 다이오드를 거치지 않고 파워 스테이지로 직접 태양광 패널 전력을 인가하고, 상기 파워 스테이지로부터의 출력을 배터리로 바로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라, 전기자동차 본체에 적용된 태양광발전에 대해 설명한다.
전기자동차는 충전속도, 현실적인 배터리 용량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1회 충전 시 주행거리가 기존 휘발유 및 가솔린 엔진자동차에 비해 짧다. 주행거리를 늘리기 위해, 근래에는 배터리, 전력변환회로, 구조물의 무게감소를 위한 소재개발 등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태양광 패널을 이용한 전력 생성에 대한 연구와 제품개발은, 꾸준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예컨대, 모 자동차 기업에서 출시한 자동차 모델에는, 태양광 패널(PV)를 전기 자동차/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적용하도록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 하지만 해당 태양광 패널을 통해 생성되는 전력양은, 주행거리를 늘리기에 적은 양이기 때문에, 태양광 패널(PV)은 내부의 50W 미만의 내부 현가 장치 및 오디오 장치 등의 전원을 공급하는 용도로 만 설계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태양광 셀 변환 효율 증가, 자동차의 외부 전면에 대한 태양광 셀의 적용, 및 다양한 소재를 적용한 태양광 셀의 연구개발이 진행되어, 출력되는 전력양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되었다.
즉, 태양광에 의한 발전은 전기차의 주행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을 만큼의 전력 출력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고, 앞으로의 발전 전력양은 점차 더 증가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태양광 패널에서 출력되는 전력양이 증가할수록 해당 전력을 제어하는 제어회로와 제어방법은 더욱 중요할 수 있다. 실제로 지상에서 전력발전을 위해 사용되는 태양광발전 플랜트, 우주공간에서의 임무 수행을 위해 설계된 인공위성 태양광 발전 시스템, 가정, 회사, 및 기관에 설치된 태양광발전 시설에서는, 각각 다양한 일사량과 온도 환경에 따라 최대 전력양을 추종하여, 전력을 출력할 수 있는 전력회로와 제어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즉, 태양광 패널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전기자동차에 적용될 태양광 패널에서 출력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유닛은 필수적이다. 전기자동차에는 태양광발전을 위해 적용되는, 태양광 패널, 제어기(전력 제어 유닛), 배터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MPPT(Maximum Power Point Tracking)는, 전기자동차에 태양광발전을 적용하기 위해 필요한 전력 제어 유닛 제품들 중 하나일 수 있다.
MPPT의 제품 내부 회로는 Boost converter를 사용한다. 태양광 MPPT 회로 성능 구현을 위한 converter 회로 구조는 boost converter 외에도 buck, sepic, flyback 등등 다양할 수 있다.
OBC의 PFC 회로와 태양광전력 제어기는 제어회로나 제어방법은 다르지만, 파워 스테이지(power-stage) 회로는 boost converter와 동일 할 수 있으며, PFC 회로에 사용되는 converter topology가 다양한 것을 고려할 때 해당 PFC 회로 성능 구현을 위한 converter 회로 구조는 boost converter 외에도 buck, sepic, flyback 등등 다양할 수 있다. 또한, OBC의 PFC 회로는 전기자동차를 충전 중일 경우에 만 사용한다.
이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파워 스테이지를 공유하여, 전기자동차의 충전시 PFC의 파워 스테이지로 사용하고, 그 외에 태양 빛을 받는 시, 태양광 전력 제어기의 파워 스테이지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해서는, 파워 스테이지를 기존 구조에서의 2개에서 1개로 줄일 수 있어, 전기자동차 전장품을 감소시킬 수 있고, 제작 원가와, 무게, 부피를 절감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PFC와 태양광발전 제어기의 Power stage를 공유하고 제어기가 그리드 충전과 태양광 발전충전 모드에 따라 동작을 다르게 함으로써, 전기자동차의 전장품에 대해, 부피, 무게, 비용 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도 5에서는 파워 스테이지를 공유하고 각 모드별로 동작을 다르게 하는 제어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의 구성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400)는, 파워 스테이지(Converter)를 공유하고, 입력의 종류가 그리드(Grid) 인지 또는 태양전원(PV) 인지를 확인하여, 입력의 종류에 따라 입력소스와 제어기를 선택하여 유연하게 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400)를 구성하는 OBC 제어기와 PV 제어기와, 기존의 OBC 제어기와 PV 제어기와의 차이점은, 제어기와 입력소스 선택을 통해 파워 스테이지를 공유하여 불필요해진 하나의 파워 스테이지를 제거하고, 이를 통해 비용감소 및 제품의 부피와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기존의 OBC 제어기에서 사용하고 있는 boost converter는, 전기자동차 배터리 충전을 위해 그리드에 연결할 시 생성되는 inrush 전류를 방지하기 위해 inrush 방지용 bridge diode가 설계되어 있다.
하지만, PV 제어기에서, 공유되는 파워 스테이지를 사용하기 위해, 상기 bridge diode와 연결할 경우에는, 배터리 또는 출력 측 전압이 bridge diode를 통해 태양광 패널의 구동 전압을 clamping 하는 효과가 발생하여, MPPT 동작을 수행하기 어렵게 만들 수 있다. 즉, OBC 제어기의 파워 스테이지를 PV 제어기의 파워 스테이지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bridge diode를 링크 캡 측으로의 연결을 끊을 필요가 있다.
또한, OBC의 기본 구조는 PFC단과 DC-DC converter 단으로 2단 구조이고, 반면, PV 제어기의 구조는 MPPT 제어를 하는 1단의 파워 스테이지의 구조를 갖고 있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공유하는 파워 스테이지를 PV 제어기가 사용할 경우에는, DC-DC converter 단을 거치게 되어 불필요한 손실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효율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PV 제어기의 파워 스테이지는 배터리와 직접 연결되어, 출력 전압이 clamping 되기 때문에 굳이 DC-DC converter를 추가할 필요가 없다.
또한, OBC 제어기의 입력이 교류의 그리드 전원에 연결되기 때문에, PFC단 앞에는 Bridge diode가 설계되어 있다. 이는 전파정류기를 통해 교류 전원을 1차적으로 정류하기 위함이다.
하지만, PV 제어기의 입력은 직류 전압, 전류를 출력하는 태양광 패널에 연결되기 때문에 Bridge diode는 불필요한 손실을 발생시킨다.
즉, OBC 제어기의 파워 스테이지를 PV 제어기의 파워 스테이지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bridge diode의 연결을 끊을 필요가 있다.
도 6은, 공유되는 파워 스테이지를 PV 제어기의 파워 스테이지로 사용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에서는 bridge diode를 표현한 기존의 OBC 제어기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6b는 공유되는 OBC 제어기의 파워 스테이지를, PV 제어기의 파워 스테이지로 사용하는 모드에서, 릴레이 변환을 통해 배터리와 직접 연결 함으로써, bridge diode와의 연결을 끊는 것을 도시한다.
즉, 도 6b에서는, 태양광 패널에서 인가된 PV 입력을 bridge diode를 거치지 않고 바로 첫 번째 파워 스테이지로 인가 하기 위해 입력 노드를 추가한 구조를 나타낸다.
도 6c는, 도 6b와 같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지만 릴레이 변환을 통해 태양광 패널에서 인가된 PV 입력이 첫 번째 파워 스테이지를 거쳐 출력 됨으로써, 두 번째 파워 스테이지의 입력으로 인가되지 않고 배터리로 연결되도록 하는 구조를 나타낸다.
도 6c와 같은 구조는, 파워 스테이지로 전력이 인가되면 해당 파워 스테이지의 제어기가 동작하여, 파워 스테이지의 DC-DC converter가 동작을 시작하도록 설계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도 6c와 같은 구조의 경우, 두 번째 파워 스테이지가 PV charge 모드에서 동작하지 않도록, 입력 측 릴레이를 off 시키거나 OBC 제어기를 off 시킬 필요할 수 있다.
기존의 Grid(+), (-)의 두 노드는 전기차 충전기의 충전 건 삽입 시 전기차의 주유구(또는 충전구)를 통해 연결되도록 설계 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도 6b와 도 6c와 같은 릴레이는, 전기차 내부에서 태양광 패널과 연결되어 있고, GND는 공통으로 사용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1개의 릴레이 추가만으로 PV 제어기의 power-stage를 없앨 수 있다.
도 6b, 도 6c와 같은 릴레이 이 외에도, 본 발명에서는, 스위치를 통해, 태양광 패널에서의 전력 인가 시에 입력 측에서 Bridge diode를 거치지 않고 통과시키고, 첫 번째 파워 스테이지의 출력이 두 번째 파워 스테이지를 거치지 않고 통과시켜 배터리 출력과 바로 연결되게 하는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앞으로 태양광 패널의 효율과 출력이 증가하고 전기차 외부에 추가되는 패널의 수가 증가하여 생성되는 전력이 증가할수록 필요성이 커질 수 있다.
이는 전력 양이 커질수록, PV 제어기의 부피, 무게, 가격도 증가할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서는, 충전소에서 그리드 전력을 통해 충전 시에만 태양광 발전 전력 생성을 중단하면 되기 때문에 trade-off 효용성을 높일 수 있다.
PV 제어기와 OBC 제어기의 전력 capacity 는 차이가 있기 때문에, 파워 스테이지 설계 시 수동소자 및 능동소자 값의 마진은 OBC 제어기의 전력양을 기준으로 설계해야 한다.
PV 제어기와 OBC 제어기의 효율 및 동작을 최적화하기 위한 수동소자 값은 연구를 통해 분석 및 시험이 가능하다.
이하, 도 7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400)의 설계를 위한 작업 흐름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의 설계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우선,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400)의 파워 스테이지에서, 전원 전지로부터 입력되는 그리드(Grid), 또는 태양 전지로부터 입력되는 태양전원(PV)을, 배터리 전원으로 변환한다(710). 단계(710)는 파워 스테이지가 입력되는 전원의 종류에 따라 설정되는 모드에 상응하여, 입력되는 전원을 변환 처리 함으로써, 후단의 배터리로 공급되는 배터리 전원을 생성, 출력하는 과정일 수 있다. 여기서, 파워 스테이지는 전원 전지와 태양 전지와 공통으로 연결한다. 즉, 파워 스테이지는 전기 충전소에서의 충전 건 체결에 따라 접속되는 전원 전지와 연결하고, 동시에 태양 모듈에 장착되어 태양광 발전을 하는 태양 전지와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400)의 OBC 제어기에서, 상기 그리드가 입력되면, 파워 스테이지를 그리드 충전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720). 단계(720)는 OBC 제어기가 전기 충전소에서의 충전 건 체결에 따라 접속되는 전원 전지로부터 그리드가 입력하는 것에 연동되어, 파워 스테이지의 동작 모드를 그리드 충전모드로 전환, 제어하는 과정일 수 있다.
또한,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400)의 PV 제어기에서, 상기 태양전원이 입력되면, 파워 스테이지(410)를 태양전지 충전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730). 단계(730)는 PV 제어기가 태양 모듈에 장착되어 태양광 발전을 하는 태양 전지로부터 태양전원이 입력하는 것에 연동되어, 파워 스테이지의 동작 모드를 태양전지 충전모드로 전환, 제어하는 과정일 수 있다.
정리하면,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400)의 OBC 제어기와 PV 제어기는 연결되는 전원 전지와 태양 전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의 종류를 고려하여, 공유되는 파워 스테이지에 대한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태양광 발전이 가능한 낮 시간 동안에는 PV 제어기가 제어를 담당하여, 파워 스테이지의 동작 모드를 태양전지 충전모드로 유지하고 있다가, 전기자동차가 전기 충전소에 진입하여 전기 충전을 하는 경우라면, OBC 제어기가 제어를 대신하여 담당하여, 파워 스테이지의 동작 모드를 그리드 충전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400)는 PFC 제어를 위한 파워 스테이지의 구조를 유지하면서, MPPT 제어를 병행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파워 스테이지는, 브릿지 다이오드와, DC-DC 컨버터를 전단 및 후단에 연결시켜 구성할 수 있다.
브릿지 다이오드는 파워 스테이지의 전단에 위치하여, 상기 그리드의 입력으로 생성되는 돌입전류를 방지한다. 즉, 브릿지 다이오드는 상기 돌입전류로 인해 상기 그리드가 불예측의 극성 전압으로 입력되는 경우라도, 동일한 극성의 전압으로 전환시켜, 파워 스테이지로 입력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돌입 전류는 전기기기(예컨대 그리드를 공급하는 충전소)의 전원을 켤 때, 일시적으로 흐르는 최대 순간 입력 전류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DC-DC 컨버터는 파워 스테이지의 후단에 위치하여, 상기 그리드 충전모드의 파워 스테이지에서 발생되는 상기 배터리 전원을 정해진 크기의 직류로 변환하여 배터리에 공급한다. 즉, DC-DC 컨버터는 그리드를 기초로 하여 파워 스테이지에서 생성되는 배터리 전원을, 배터리에 공급 가능하게 규격화된 크기의 직류로 변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해진 크기의 직류는 전기차가 최적하게 구동하기 위한, 예컨대, 60Ah(12V)로 정해질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파워 스테이지는, PFC 제어(그리드에 의한 배터리 충전)를 위한 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PFC 제어를 위한 구조의 파워 스테이지를 공유하기 위해,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400)는, 태양전원을 상기 파워 스테이지로 직접 입력시키는 제1 릴레이와, 파워 스테이지의 출력을 배터리로 직접 공급하는 제2 릴레이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1 릴레이는 상기 태양전원이 브릿지 다이오드를 패스하여 상기 태양전지 충전모드의 파워 스테이지로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 릴레이는, 태양 모듈이 활성화되어 태양 전지에서 태양전원을 생성시키면, 상기 태양전원을 태양전지 충전모드로 전환 제어된 파워 스테이지에 직접 입력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정리하면, 제1 릴레이는 파워 스테이지가 그리드 충전모드이면, 입력되는 그리드가 브릿지 다이오드를 경유하여 상기 그리드 충전모드의 파워 스테이지로 입력되게 하고, 반면 파워 스테이지가 태양전지 충전모드이면, 입력되는 태양전원이 브릿지 다이오드를 우회하여 상기 태양전지 충전모드의 파워 스테이지로 직접 입력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 릴레이는 상기 태양전지 충전모드의 파워 스테이지에서 발생되는 상기 배터리 전원이, 상기 DC-DC 컨버터를 패스하여 상기 배터리에 공급되도록 한다. 즉, 제2 릴레이는 태양전지 충전모드의 파워 스테이지에서 생성되는 배터리 전원이, 별도의 조정 과정 없이 직접 배터리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리드 충전모드의 파워 스테이지는, 교류의 그리드를, 직류의 배터리 전원으로 전환하여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400)는 파워 스테이지를 평소에는 태양전원에 의한 충전모드를 유지하다가, 그리드가 입력됨에 따라, 이 그리드에 의한 충전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PV 제어기는, 태양을 감지하여, 파워 스테이지를 상기 태양전지 충전모드로 유지되게 제어할 수 있다. 즉, PV 제어기는 태양광 발전이 가능함을 확인하여, 파워 스테이지를 태양전지 충전모드로 동작,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기차의 충전구에 충전 건이 삽입됨에 따라, OBC 제어기는, 상기 충전 건을 통해 상기 전원 전지로부터의 상기 그리드의 입력이 지속되는 동안, 상기 파워 스테이지를 상기 태양전지 충전모드에서 상기 그리드 충전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OBC 제어기는, 충전 건을 통해 그리드가 입력되면, 파워 스테이지의 모드를 그리드 충전모드로 일시적으로 전환하여, 그리드에 의한 배터리 충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충전 건이 충전구에서 해지되면, PV 제어기는, 파워 스테이지의 모드를, 태양전지 충전모드로 다시 전환시켜, 태양전원에 의한 배터리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PFC 제어와 MPPT 제어에 따른 파워 스테이지를 공유하여, 제어기가 그리드 충전 모드와 태양광 발전충전 모드에 따라 동작을 다르게 함으로써, 제품의 부피, 무게, 비용 감소 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 및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의 설계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서는, 릴레이 구조를 채용하여, 브릿지 다이오드를 거치지 않고 파워 스테이지로 직접 태양광 패널 전력을 인가하고, 상기 파워 스테이지로부터의 출력을 배터리로 바로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의 설계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의 설계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의 설계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의 설계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400 :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
410 : 파워 스테이지 412 : 브릿지 다이오드
414 : DC-DC 컨버터 420 : OBC 제어기
430 : PV 제어기 440 : 제1 릴레이
450 : 제2 릴레이

Claims (11)

  1. 전원 전지와 태양 전지와 공통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 전지로부터 입력되는 그리드(Grid), 또는 상기 태양 전지로부터 입력되는 태양전원(PV)을, 배터리 전원으로 변환하고, 전단에 위치하여, 상기 그리드의 입력으로 생성되는 돌입전류(Inrush Current)를 방지하기 위한 브릿지 다이오드와, 후단에 위치하여, 그리드 충전모드에서 발생되는 배터리 전원을 정해진 크기의 직류로 변환하여 배터리에 공급하는 DC-DC 컨버터를 포함하는 파워 스테이지(Power-stage);
    상기 그리드가 입력되면, 상기 파워 스테이지를 그리드 충전모드(Grid Charge Mode)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OBC(On Board Charger) 제어기;
    상기 태양전원이 입력되면, 상기 파워 스테이지를 태양전지 충전모드(PV Charge Mode)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PV 제어기;
    상기 태양전원이 상기 브릿지 다이오드를 패스하여 상기 태양전지 충전모드의 파워 스테이지로 입력되도록 하는 제1 릴레이; 및
    상기 태양전지 충전모드의 파워 스테이지에서 발생되는 상기 배터리 전원이, 상기 DC-DC 컨버터를 패스하여 상기 배터리에 공급되도록 하는 제2 릴레이
    를 포함하고,
    상기 OBC 제어기와 상기 PV 제어기는,
    입력되는 전원의 종류를 고려하여, 공유되는 상기 파워 스테이지에 대한 모드를, 상기 태양전지 충전모드 또는 상기 그리드 충전모드로 결정하는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 충전모드의 파워 스테이지는,
    교류의 그리드를, 직류의 배터리 전원으로 전환하여 발생시키는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V 제어기는,
    태양을 감지하여, 상기 파워 스테이지를 상기 태양전지 충전모드로 유지되게 제어하되,
    전기차의 충전구에 충전 건이 삽입됨에 따라,
    상기 OBC 제어기는,
    상기 충전 건을 통해 상기 전원 전지로부터의 상기 그리드의 입력이 지속되는 동안, 상기 파워 스테이지를 상기 태양전지 충전모드에서 상기 그리드 충전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
  6. 전원 전지와 태양 전지와 공통으로 연결되는 파워 스테이지에서, 상기 전원 전지로부터 입력되는 그리드, 또는 상기 태양 전지로부터 입력되는 태양전원을, 배터리 전원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파워 스테이지의 전단에 위치하는 브릿지 다이오드에서, 상기 그리드의 입력으로 생성되는 돌입전류를 방지하는 단계;
    상기 파워 스테이지의 후단에 위치하는 DC-DC 컨버터에서, 그리드 충전모드의 파워 스테이지에서 발생되는 상기 배터리 전원을 정해진 크기의 직류로 변환하여 배터리에 공급하는 단계;
    OBC 제어기에서, 상기 그리드가 입력되면, 상기 파워 스테이지를 그리드 충전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PV 제어기에서, 상기 태양전원이 입력되면, 상기 파워 스테이지를 태양전지 충전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제1 릴레이에서, 상기 태양전원이 상기 브릿지 다이오드를 패스하여 상기 태양전지 충전모드의 파워 스테이지로 입력되도록 하는 단계; 및
    제2 릴레이에서, 상기 태양전지 충전모드의 파워 스테이지에서 발생되는 상기 배터리 전원이, 상기 DC-DC 컨버터를 패스하여 상기 배터리에 공급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OBC 제어기와 상기 PV 제어기는,
    입력되는 전원의 종류를 고려하여, 공유되는 상기 파워 스테이지에 대한 모드를, 상기 태양전지 충전모드 또는 상기 그리드 충전모드로 결정하는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의 설계 방법.
  7. 삭제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 충전모드의 파워 스테이지는,
    교류의 그리드를, 직류의 배터리 전원으로 전환하여 발생시키는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의 설계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의 설계 방법은,
    상기 PV 제어기에서, 태양을 감지하여, 상기 파워 스테이지를 상기 태양전지 충전모드로 유지되게 제어하는 단계; 및
    전기차의 충전구에 충전 건이 삽입됨에 따라,
    상기 OBC 제어기에서, 상기 충전 건을 통해 상기 전원 전지로부터의 상기 그리드의 입력이 지속되는 동안, 상기 파워 스테이지를 상기 태양전지 충전모드에서 상기 그리드 충전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의 설계 방법.
  11. 제6항, 제9항,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200071431A 2020-06-12 2020-06-12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 및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의 설계 방법 KR102357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431A KR102357315B1 (ko) 2020-06-12 2020-06-12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 및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의 설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431A KR102357315B1 (ko) 2020-06-12 2020-06-12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 및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의 설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026A KR20210155026A (ko) 2021-12-22
KR102357315B1 true KR102357315B1 (ko) 2022-02-03

Family

ID=79164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1431A KR102357315B1 (ko) 2020-06-12 2020-06-12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 및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의 설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731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2044B1 (ko) * 2014-06-02 2015-10-22 최규택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블랙박스용 지능형 전력망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65920B2 (ja) * 2012-12-21 2017-01-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載太陽電池を利用する充電制御装置
KR20160142138A (ko) * 2015-06-02 2016-12-12 조정복 차량용 통합 전원 관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2044B1 (ko) * 2014-06-02 2015-10-22 최규택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블랙박스용 지능형 전력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026A (ko) 2021-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yer et al. Extreme fast charging station architecture for electric vehicles with partial power processing
KR101971157B1 (ko) 전기자동차 대용량 탑재형 충전기
Diab-Marzouk et al. SiC-based bidirectional Ćuk converter with differential power processing and MPPT for a solar powered aircraft
WO2021092658A1 (en) A multimodal converter for interfacing with multiple energy sources
US20180037121A1 (en) Energy generation and storage system with electric vehicle charging capability
Choe et al. A Bi-directional battery charger for electric vehicles using photovoltaic PCS systems
Tan et al. A multi-control vehicle-to-grid charger with bi-directional active and reactive power capabilities for power grid support
WO2010035338A1 (ja) 電力変換装置
Verma et al. Modelling and control of modular multilevel converter and dual active bridge based fast electric vehicle charger
JP5661075B2 (ja) 充放電装置
Gupta et al. A Rooftop Solar PV Assisted On-Board Enhanced Power Quality Charging System for E-Rickshaw
Verma et al. Vehicle to grid and grid to vehicle bidirectional power flow at unity power factor with DC ripple compensation
KR102357315B1 (ko)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 및 전기자동차용 obc 장치의 설계 방법
Oulad-Abbou et al. Combined control of MPPT, output voltage regulation and capacitors voltage balance for three-level DC/DC boost converter in PV-EV charging stations
Monteiro et al. A Proposed Bidirectional Three-Level dc-dc Power Converter for Applications in Smart Grids: An Experimental Validation
Tan et al. Latest electric vehicle charging technology for smart grid application
Kim et al. Three-port full bridge converter application as a combined charger for PHEVs
Singh et al. A new single-stage high-efficiency photovoltaic (PV)/grid-interconnected dc charging system for transportation electrification
Pathipati et al. Standalone DC level-1 EV Charging using pv/Grid infrastructure, MPPT algorithm and CHAdeMO protocol
Sharma et al. Pv-battery supported level-1 dc fast charger for electric vehicles
Kim et al. Bidirectional converter uniyfiying ac-to-dc power factor corrected converter and buck-boost dc-to-dc converter for a V2H application
Sadeghpour et al. Novel Integrated Electrical Architecture for Solar-Charged Electric Vehicles
Vinusha et al. Improved power quality of single phase on-board charger with wide voltage conversion range
Shah et al. Solar powered electric drive-train with integrated multifunctional dual power on-board charger incorporating n-phase srm
Rivera et al. Distributed dc bus EV charging station using a single dc-link h-bridge multilevel conver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