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7061B1 - Banknot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 Google Patents

Banknot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7061B1
KR102357061B1 KR1020170083900A KR20170083900A KR102357061B1 KR 102357061 B1 KR102357061 B1 KR 102357061B1 KR 1020170083900 A KR1020170083900 A KR 1020170083900A KR 20170083900 A KR20170083900 A KR 20170083900A KR 102357061 B1 KR102357061 B1 KR 102357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accumulation
unit
speed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39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03261A (en
Inventor
장철웅
장상환
Original Assignee
기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3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7061B1/en
Publication of KR20190003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32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7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70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12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eans of the nip between two, or between two sets of, moving tapes or bands or rollers
    • B65H29/125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eans of the nip between two, or between two sets of, moving tapes or bands or rollers between two sets of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38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ovable piling or advancing arms, frames, plates, or like members with which the articles are maintained in face contact
    • B65H29/40Members rota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article movement, e.g. star-wheels formed by S-shaped memb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50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1/00Means for control to be used by operator; User interfaces
    • B65H2551/10Command inpu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1/00Means for control to be used by operator; User interfaces
    • B65H2551/20Display means; Information outpu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51Encoders, e.g. lin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5/00Actuating means
    • B65H2555/20Actuating means angular
    • B65H2555/24Servo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5/00Actuating means
    • B65H2555/20Actuating means angular
    • B65H2555/25D.C. motors, e.g. shunt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입부, 이송부, 하나 이상의 집적부를 포함하는 지폐처리장치에 있어서, 투입부를 통해 한 장씩 유입되는 지폐를 이송로를 따라 일정한 속도로 이송하도록 이송수단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이송모터; 이송로에서 배출된 지폐를 집적 공간에 안정적으로 집적하도록 집적 수단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집적모터; 모터간 구동속도를 일정하게 연동하기 위한 구동속도 연동테이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집적모터를 저속으로 기동하고 이송모터의 속도를 측정하여 구동속도 연동테이블 데이터에 맞게 집적모터의 구동속도를 연동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가 집적모터를 선 구동하고 이송모터를 후 구동시켜 잔류 지폐가 있는 경우 잔류 지폐의 배출과 동시에 새로운 지폐의 투입 및 이송을 시작하는 지폐처리장치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ill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n input unit, a transfer unit, and one or more accumulation units, comprising: a conveying motor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the conveying means to convey the banknotes introduced one by one through the input unit at a constant speed along a conveying path; an accumulation motor that provides a rotational force to the accumulation means to stably accumulate the bills discharged from the transfer path in the accumulation space; a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driving speed interlocking table data for constantly interlocking driving speeds between motors; A control unit that starts the integrated motor at a low speed and measures the speed of the conveying motor to interlock the driving speed of the integrated motor according to the driving speed interlocking table data; When there are residual bills, it is a bill processing device that starts inputting and transferring new bills at the same time as the residual bills are discharged.

Description

지폐처리장치 및 방법{BANKNOT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Banknot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BANKNOT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지폐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폐의 이송 및 집적을 안정되고 신뢰성 있게 수행하는 지폐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nknot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nknot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tably and reliably transferring and collecting banknotes.

일반적으로 지폐처리장치는 투입부, 이송부, 판별부, 집적부로 구성된다. 지폐를 투입부에 복수매를 적재하면, 적재된 지폐가 낱장 분리구조를 구비한 투입부의 동작으로 한 번에 한 장씩 장치의 내부로 유입된다. 내부로 유입된 지폐는 롤러나 벨트로 구성된 이송부의 이송로를 따라 지폐간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판별부로 이송된다. 각종 센서를 구비한 판별부는 이송중인 지폐를 감별한다. 감별결과에 맞게 집적부는 이송이 완료된 지폐를 배출하여 집적한다.In general, a bill processing apparatus is composed of an input unit, a transfer unit, a discriminating unit, and an accumulation unit. When a plurality of bills are loaded into the input unit, the stacked bills are introduced into the device one at a time by the operation of the input unit having a sheet separation structure. The bills introduced into the inside are transferred to the discrimination unit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bills along the conveying path of the conveying unit composed of rollers or belts. A discriminating unit having various sensors discriminates banknotes being transported. According to the discrimination result, the accumulation unit discharges the transferred bills and accumulates them.

이와 같은 지폐처리장치와 관련한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18071에는 지폐를 이송하기 위한 구성과 동작에 대한 내용이 기재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145905에는 감별 후 지폐를 집적하는 구성과 동작이 기재되어 있다.As a prior art related to such a bill processing apparatu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18071 describes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for transferring bills, and Korean Patent Laid-Open Patent No. 10-2016-0145905 discloses a configuration for accumulating bills after discrimination. and actions are described.

한편, 지폐의 투입, 이송, 집적을 위해 각 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가 각각 구비돼야 했다. 물론, 모터에 벨트 등을 연결하여 하나의 구동원으로 각부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지만 이송이 완료된 후 이송로로부터 빠른 속도로 배출된 지폐를 안정적으로 집적하기 위해서는 집적부는 상대적으로 느린 속도로 감속할 수 있는 기구물이 필요했다. On the other hand, motors that provide power to each part had to be provided for input, transport, and accumulation of bills. Of course, it is possible to provide driving force to each part as a single driving source by connecting a belt to the motor, but in order to stably accumulate the bills discharged from the transport path at a high speed after the transport is completed, the accumulation part may be decelerated to a relatively slow speed. I needed the tools I had.

다른 한편으로는, 지폐의 배출시 속도에 따른 지폐의 궤적에 맞는 정확한 집적을 위해 별도로 집적수단의 동작 및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동작제어용 신호 검출 센서와 위치 조절기구물이 집적부에 구비할 필요가 있었다.
On the other hand, for accurate accumulation according to the trajectory of the bills according to the speed at the time of discharging the bills, it was necessary to provide a signal detection sensor for operation control and a position adjusting mechanism for separat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and position of the collecting means.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투입, 이송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이송모터와 집적부에 구동력을 독립적으로 제공하는 집적모터를 이용하여 부수적인 기구물 없이도 집적시 지폐가 튕겨지는 플라잉아웃(fly-out) 현상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집적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using a transfer motor that provides a driving force for input and transfer and an accumulation motor that independently provides a driving force to the accumulation unit. It aims to provide stable integration by preventing a fly-out phenomen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반적인 전기모터의 구동 특성인 가속구간, 정속구간, 감속구간에서 모두 일정하게 연동되어 상기 두 모터간 상기 구간의 속도차로 인한 지폐의 튕김 현상인 플라잉아웃 현상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집적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flying-out phenomenon, which is a bounce phenomenon of bills due to the speed difference between the two motors, in the acceleration section, constant speed section, and deceleration section, which are the driving characteristics of a general electric motor, so that stable integration is achieved is intended to provid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폐처리장치의 사용자 목적에 맞게 지폐 처리속도(NPM: Note Per Minute)를 변경함에 있어 자동으로 대응하여 지폐의 투입, 이송, 집적을 안정적으로 동작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utomatically respond to changing the note per minute (NPM) according to the user's purpose of the banknote processing apparatus to stably operate the input, transfer, and accumulation of banknotes. .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처리 대상인 매체의 상태(신권, 구권, 접힘, 찢김 등의 훼손권, 국가별, 권종별 크기, 두께 등이 상이한 지폐 등)나 지폐처리장치의 상태(이송 수단의 오류로 인한 이매 투입, 이송시 비틀어짐, 이송 지폐간 간격 변화 등)에 자동으로 대응하여 지폐가 튕겨지는 플라잉아웃 현상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집적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tate of the medium to be processed (new notes, old notes, damaged notes such as folded, torn notes, banknotes of different sizes, thicknesses, etc. by country and type) or the state of the banknote processing apparatus (transfer means)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vide stable accumulation by preventing the flying-out phenomenon in which banknotes are bounced by automatically responding to changes in the spacing between banknotes during transfer, twisting during transport, etc.).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투입부, 이송부, 하나 이상의 집적부를 포함하는 지폐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를 통해 한 장씩 유입되는 지폐를 이송로를 따라 일정한 속도로 이송하도록 이송수단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이송모터; 상기 이송로에서 배출된 상기 지폐를 집적 공간에 안정적으로 집적하도록 집적 수단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집적모터; 상기 모터간 구동속도를 일정하게 연동하기 위한 구동속도 연동테이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집적모터를 저속으로 기동하고 상기 이송모터의 속도를 측정하여 상기 구동속도 연동테이블 데이터에 맞게 상기 집적모터의 구동속도를 연동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집적모터를 선 구동하고 상기 이송모터를 후 구동시켜 잔류 지폐가 있는 경우 잔류 지폐의 배출과 동시에 새로운 지폐의 투입 및 이송을 시작하는 지폐처리장치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ill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n input unit, a transfer unit, and one or more accumulation units, wherein the banknotes introduced one by one through the input unit are transferred along the transfer path at a constant speed. a transfer motor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the means; an accumulation motor provid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accumulation means to stably accumulate the bills discharged from the transfer path in the accumulation space; a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driving speed interlocking table data for constantly interlocking the driving speeds between the motors; a control unit for starting the integrated motor at a low speed and measuring the speed of the transfer motor to interlock the driving speed of the integrated motor according to the driving speed interlocking table data; It is a bill processing device that starts the input and transfer of new bills at the same time as the residual bills are discharged when there are residual bills by driving the transfer motor afterwards.

또한, 본 발명의 지폐처리방법은, 투입부, 이송부, 하나 이상의 집적부를 포함하는 지폐처리장치 내부에 잔류하는 지폐의 방출을 위해 집적모터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집적모터와 연동하기 위해 이송모터의 구송속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구동속도와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구동속도 연동테이블의 데이터를 비교하고 상기 구동속도 연동테이블에 대응되는 속도로 상기 집적모터를 연동하여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집적 모터를 구동하는 단계는 상기 집적모터를 선 구동하고 상기 이송모터를 후 구동하여 잔류 지폐가 있는 경우 잔류 지폐의 배출과 동시에 새로운 지폐의 투입 및 이송을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bill process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driving an accumulation motor to discharge bills remaining in the bill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n input unit, a transfer unit, and one or more accumulation units; measuring a conveyance speed of a conveying motor in order to interwork with the integrated motor; Comparing the driving speed and data in the driving speed interlocking table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and driving the integrated motor in association with the speed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speed interlocking table; including, and driving the integrated motor includes: and starting the input and transfer of new bills at the same time as discharging the residual bills by driving the accumulation motor in advance and driving the transfer motor afterward, if there are residual bills.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집적모터의 독립 제어방식은 롤러, 벨트 등 물리적으로 연동시키는 종래 방식과 달리 배출 속도를 감속하는 감속 기구물이 필요 없어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In the independent control method of the integrated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conventional method of physically interlocking rollers, belts, etc., there is no need for a reduction mechanism for decelerating the discharge speed, thereby reducing the cos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적모터의 독립 제어 방식은 집적부를 제어하고 위치를 제어하는 종래 방식과 달리 제어시점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위치를 조절하는 기구물이 필요 없어 원가가 더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independent control method of the integrated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conventional method of controlling the integrated unit and controlling the position, there is no need for a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a control time and a mechanism for adjusting the position, which further reduces the cost. It work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적모터의 독립 제어방식은 처리 속도(NPM) 및 매체 상태(신권, 구권 등)에 맞게 자동으로 대응되어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dependent control method of the integrated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perated stably by automatically responding to the processing speed (NPM) and media conditions (new, old, etc.).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적모터의 독립 제어방식은 모터의 고유 특성상 내재된 구동 초기의 불안정한 구간에서도 모터간 속도차로 인해 지폐가 튕겨지는 플라잉아웃 현상이나 적재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dependent control method of the integrated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a flying-out phenomenon in which banknotes are bounced due to a speed difference between the motors even in an unstable section in the initial driving period inherent in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the motor or a loading defec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적모터의 독립 제어방식은 종래 방식과 달리 물리적으로 접촉된 상기 기구물이 필요 없는 비접촉 방식으로 동작 메커니즘이 복잡하지 않아 구성품의 교체율이 적고 동작의 오류도 적어 유지보수의 효율성이 있다.
In addition, the independent control method of the integrated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non-contact method that does not require the physically contacted mechanism unlike the conventional method, and the operation mechanism is not complicated, so the replacement rate of components is small and the operation error is small. There is efficiency in maintena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시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모터간 구동속도 연동테이블의 일 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시시예에서 모터의 일반적인 구동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이송모터 및 집적모터간 종래 및 본 발명의 연동 구동속도 그래프를 비교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의 모터간 구동제어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집적부를 구비한 멀티포켓 지폐처리장치이다.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bankno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bankno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 of a bill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empor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ample of a driving speed interlocking table between motors of a bankno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graph showing general driving characteristics of a motor in a tempor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comparing the graph of the interlocking driving speed of the conventional and the present invention between the transfer motor and the accumulation motor of the bankno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driving control between motors of the bankno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multi-pocket bill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accumulating unit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용어 지폐는 은행권의 예로 주로 설명하고 있지만, 적어도 당업자라면, 수표, 유가증권, 어음, 증서, 지엽류, 종이, 상품권, 쿠폰, 지류 모양의 티켓, 상표부착물, 신분증 등을 의미로도 사용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For exampl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banknote is mainly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banknote, but at least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it means a check, a security, a bill, a deed, paper sheet, paper, a gift certificate, a coupon, a paper-shaped ticket, a trademark attachment, an identification card, etc. Note that it can also be used as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처리장치(100)는 투입부(110), 이송부(120), 판별부(130), 제어부(140), 집적부(150)를 포함한다. 또한 각종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조작부(10)와 비정상 상태나 설정된 상태의 지폐를 집적하는 리젝부(20)가 더 포함 될 수 있다.1 and 2 , the banknote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110 , a transfer unit 120 , a determination unit 130 , a control unit 140 , and an accumulation unit. (150). In addition, a manipulation unit 10 capable of inputting and outputting various information and a reject unit 20 for accumulating banknotes in an abnormal or set state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투입부(110)는 한 매 이상의 지폐를 적재하는 호퍼유닛(111), 상기 호퍼유닛(111)에 놓인 지폐를 한 번에 하나씩 낱장으로 내부로 투입하기 위한 투입롤러, 리버스 롤러, 핀치롤러 등으로 구성된 투입 메커니즘을 구비한다. The input unit 110 includes a hopper unit 111 for loading one or more bills, an input roller for inserting bills placed on the hopper unit 111 into the inside one at a time, a reverse roller, a pinch roller, etc. It has an input mechanism composed of

상기 이송부(120)는 상기 투입부(110)에서 낱장으로 유입된 지폐를 판별부(130) 및 집적부(150)로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장치 내부에 상하 약 2mm의 간격으로 지폐가 이송되는 이송면을 가진 이송로(121)와 롤러, 벨트 등으로 지폐의 이송을 위해 구동하는 이송수단(113) 그리고 이송상태를 센싱하는 광 센서 등의 이송상태 센싱수단(미도시), 절체기(diverter) 등의 이송방향을 전환하는 이송방향 전환수단(123)을 포함한다. 또한, 이송 중 문제가 발생하여 상기 지폐가 이송로(121)에 걸리면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한 이송로(121)를 오픈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The transfer unit 120 is a transfer surface on which bills are transferred at intervals of about 2 mm up and down inside the device in order to transfer the bills introduced into the sheet from the input unit 110 to the discrimination unit 130 and the accumulation unit 150 . A conveying path 121 with It includes a transfer direction switching means 123 for changing the transfer direction of the. In addition, when a problem occurs during transport and the banknote is caught in the transport path 121 , it has a structure that can open the transport path 121 for easy removal.

상기 판별부(130)는 이송로(120)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지폐의 정보를, 상기 판별부(130)에 구비된 각종 센서로 다양한 지폐 정보를 취득 및 분석하여 정상지폐, 위조지폐, 변조지폐, 권종, 금액, 시리얼번호(일련번호), 정사(새 지폐, 헌 지폐, 유통 가능한 지폐, 유통 불가한 지폐 등), 지폐방향(앞/뒤/전/후) 등을 판단한다. 상기 구비된 각종 센서로는 이미지를 취득하기 위한 접촉식 이미지 센서, 비접촉식 이미지 센서 등 다양한 파장대의 반사 및 투과광 이미지 취득을 위한 다양한 광원(가시광, 적외선, 자외선 등)과 수광부를 구비한 이미지 취득 센서가 있고, 이물 부착 및 이매 감지를 위한 접촉식 기계적 변위를 감지하는 두께 감지 센서 및 비접촉식 음파의 세기를 이용한 두께 감지 센서, 정전용량을 이용한 두께 감지 센서 그리고 자성체를 감지하기 위한 자성센서 등이 있다. The determination unit 130 acquires and analyzes information on the bills transferred through the transfer path 120 with various sensors provided in the determination unit 130 to obtain and analyze various bill information, such as normal bills, counterfeit bills, and falsified bills. , type, amount, serial number (serial number), affiliation (new banknote, old banknote, circulating banknote, non-circulating banknote, etc.), banknote direction (front/back/front/back), etc. are judged. As the various sensors provided above, various light sources (visible light, infrared rays, ultraviolet rays, etc.) for acquiring images of reflected and transmitted light in various wavelength bands, such as a contact image sensor and a non-contact image sensor for acquiring an image, and an image acquisition sensor equipped with a light receiving unit There are a thickness sensor for detecting a contact mechanical displacement for attachment of foreign substances and a double sheet detection, a thickness sensor using the intensity of a non-contact sound wave, a thickness sensor using capacitance, and a magnetic sensor for detecting a magnetic material.

상기 제어부(140)은 상기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내부로 유입된 지폐를 상기 판별부(140)의 판별 결과에 따라 상기 이송부(120)의 이송방향 전환수단(123)을 제어하여 상기 집적부(150) 또는 상기 리젝부(20)로 이송한다. 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evice, and controls the transfer direction switching means 123 of the transfer unit 120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determination unit 140 to collect the banknotes introduced therein. It is transferred to the unit 150 or the reject unit 20 .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각종 정보를 입출력하기 위한 조작부(10)와 상기 장치의 로그정보나 지폐처리정보 등 생성, 처리된 각종 정보들을 내외부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170)를 제어한다. 구체적인 동작을 예로 들면, 처리 대상인 다수의 지폐를 상기 호퍼유닛(111)에 적재하면 적재된 상태를 수광, 발광 센서 등의 상태 검출 센서를 통해 적재 여부를 판단하고, 내부에 잔존할 수도 있는 지폐를 정상 배출하여 집적하기 위한 잔류 지폐처리 동작으로 상기 이송모터(125)와 상기 집적모터(155)를 역으로 구동하여 잔류 지폐를 처리하면서 동시에 상기 호퍼유닛(111)에 적재된 지폐의 투입을 시작하게 된다. 상기 투입부(110)의 투입메커니즘을 통해 한 장씩 내부로 유입된 지폐를 상기 판별부(140)를 거쳐 상기 집적부(150)로 이송하는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판별부(140)에서 판별한 결과에 따라 상기 이송방향 전환수단(123)을 제어하여 상기 집적부(150)에 지폐를 집적한다. 또한 다양하게 처리된 각종 정보(예, 장치 로그 정보, 지폐 처리 정보, 내외부 통신의 입출력 정보 등)의 흐름도 제어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operation unit 10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nd the communication unit 17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arious types of generated and processed information such as log information or banknote processing information of the device inside and outside. As an example of a specific operation, when a plurality of bills to be processed are loaded into the hopper unit 111, the stacked state is determined through a state detection sensor such as a light receiving and light emitting sensor, and bills that may remain inside As a residual bill processing operation for normal discharge and accumulation, the transfer motor 125 and the accumulation motor 155 are driven in reverse to process the residual bills and at the same time start the input of the bills loaded in the hopper unit 111 do. Controls the operation of transferring the banknotes introduced into the inside one by one through the input mechanism of the input unit 110 through the determining unit 140 to the accumulation unit 150 . And according to the result determined by the determination unit 140 , the banknotes are accumulated in the accumulation unit 150 by controlling the transfer direction switching means 123 . In addition, the flow of various processed information (eg, device log information, bill processing information, input/output information of internal/external communication, etc.) is also controlled.

상기 집적부(150)는 상기 판별부(130)와 상기 제어부(140) 그리고 상기 이송부(120)을 거쳐 이송된 지폐를 집적한다. 상기 집적부(150)는 다양한 집적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리젝부(20)과 같이 집적 가이드(152)만으로 구성되거나 스풀(15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리젝부(20)의 집적은 방출된 상기 지폐가 상기 집적 가이드(152)의 가이드 부재의 아래면을 타고 미끄러지면서 집적(빠른 속도로 날아가되 지폐의 전방은 가이드에 의해 가이드 부재의 아래면을 타고 슬라이딩 되고 후방은 날아가는 힘과 지폐의 중량과 중력의 힘에 의해 자연스럽게 낙하)되는 방식이며, 상기 가이드 부재는 집적된 지폐의 높이에 비례하여 일정 각도를 가지고 집적상태를 작은 힘으로 가압하면서 상승한다. 이때 가압하면서 상승하는 힘을 제공하는 수단으로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일 수 있다. 이어서 집적되는 동작을 세부 설명하면 상기 이송로(121)에서 상기 이송방향 전환유닛(123)에 의해 상기 리젝부(20)로 이송되는 제 1 지폐가 빠른 속도로 상기 리젝부(20)으로 방출되면서 상기 제 1지폐의 전방이 상기 가이드 부재를 타고 미끄러지면서 상기 가이드 부재의 앞 끝단에 서서히 멈추면서 상기 제 1 지폐의 후방은 중력에 의해 거의 수직으로 낙하하여 집적된다. 곧이어 방출된 제 2지폐가 같은 방식으로 집적된 제 1 지폐의 위에 동일하게 집적된다. 상기 스풀(151)에 의한 집적은 복수의 블레이드(날개) 구조를 가진 상기 스풀(151)을 이용하는 것으로, 회전하는 블레이드 사이에 지폐를 포케팅(인입)하는 방식이다. 상기 포케팅 방식은 상기 집적모터(155)를 구동하여 집적모터와 연결된 상기 스풀(151)을 회전시킴으로서 상기 이송로(121)를 따라 이송이 완료되어 배출되는 지폐를 상기 스풀(151)의 블레이드와 다음 블레이드 사이 공간(이하, 진입공간이라 칭함)에 포케팅(인입)하는 것으로 상기 집적모터(155)의 회전속도에 의해 포케팅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포케팅된 지폐는 블레이드가 반 바퀴(약 180도) 회전하여 상기 집적부(150)의 바닥면에 다다르면 바닥면에 놓이고 진입공간은 빈 상태가 되어 지속적으로 회전(약 360도)하여 다시 지폐를 포케팅할 수 있는 빈 상태가 된다. 연속동작을 세부적으로 설명하면, 제 1 지폐가 상기 이송로(121)를 따라 이송되고 상기 이송방향 전환유닛(123)에 의해 상기 집적부(150)로 방출되면 상기 스풀(152)의 제 1 진입공간에 인입되고 곧이어 제 2지폐가 이송되는 동안 상기 집적모터(155)의 구동에 의해 결합된 상기 스풀(151)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 2지폐가 방출되어 인입되는 시점에 상기 스풀(151)은 제 2 진입공간이 마련되어 상기 제 2지폐는 상기 제2 진입공간에 인입한다. 제 1, 제 2 진입공간에 인입된 지폐는 상기 스풀(151)이 360도 회전함으로 각각 180도 되는 지점에 순차적으로 상기 집적부(150)의 바닥면에 다다르며 이때 인입된 지폐가 빠져나와 순차적으로 집적된다. The accumulation unit 150 accumulates bills transferred through the determining unit 130 , the control unit 140 , and the transfer unit 120 . The accumulating unit 150 includes various accumulating means. Like the reject unit 20 , it may consist of only the integration guide 152 or may include a spool 151 . The accumulation of the reject unit 20 is that the discharged bills slide along the lower surface of the guide member of the accumulation guide 152 and are accumulated (flying at a high speed, but the front of the bills is guid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guide member) It rides and slides and the rear naturally falls by the force of flying and the weight and gravity of the banknote), and the guide member rises while pressing the stacked state with a small force at a certain angle in proportion to the height of the stacked banknote. . In this case, the means for providing the force to rise while pressing may be an elastic member such as a spring. Subsequently, when the accumulation operation is described in detail, the first banknote transferred from the transfer path 121 to the reject unit 20 by the transfer direction switching unit 123 is discharged to the reject unit 20 at a high speed. As the front of the first bill slides on the guide member and gradually stops at the front end of the guide member, the rear of the first bill falls almost vertically by gravity and is accumulated. Then, the ejected second banknote is equally stacked on top of the stacked first banknote in the same manner. The accumulation by the spool 151 uses the spool 151 having a structure of a plurality of blades (wings), and is a method of pocketing (inserting) banknotes between rotating blades. In the pocketing method, by driving the accumulation motor 155 to rotate the spool 151 connected to the accumulation motor, the banknotes that are transferred and discharged along the transfer path 121 are transferred to the blade of the spool 151 and the By pocketing (introducing) in the space between the next blad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entry space), the pocketing can be controlled by the rotational speed of the integration motor 155 . In addition, pocketed banknotes are placed on the bottom surface when the blade rotates half a turn (about 180 degrees) and reaches the bottom surface of the accumulation unit 150, and the entry space becomes empty and rotates continuously (about 360 degrees) to return It becomes an empty state where banknotes can be pocketed. When the continuous operation is described in detail, when the first banknote is transported along the transport path 121 and discharged to the accumulation unit 150 by the transport direction switching unit 123, the first entry of the spool 152 The spool 151 coupled by the driving of the integration motor 155 rotates while being drawn into the space and then the second banknote is transferred. When the second bill is discharged and retracted, the spool 151 is provided with a second entry space, and the second bill enters the second entry space. The banknotes drawn into the first and second entry spaces sequentially reach the bottom surface of the accumulation unit 150 at 180 degrees as the spool 151 rotates 360 degrees, and at this time, the introduced bills come out and sequentially is accumulated with

도 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지폐처리장치의 지폐의 투입, 이송, 집적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지폐처리장치는 지폐의 투입과 이송 및 집적을 위해 상기 투입부(110)의 투입메커니즘과 상기 이송부의 이송수단에 동일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상기 이송모터(125), 상기 판별부(140)를 거쳐 판별이 완료된 지폐를 집적하기 위해 상기 집적부(150)의 상기 집적수단(151, 152)에 독립적인 구동력을 제공하는 상기 집적모터(155)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모터 간의 투입과 이송 및 집적에 대한 일련의 연동구동을 위한 구동속도 연동테이블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저장부(160)와 이를 통해 상기 모터에 각각 구동력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140)로 구성된다. 1 to 3, when the input, transfer, and accumulation of banknotes of the bankno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bankno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the input, transport, and accumulation of banknotes. The transfer motor 125 providing the same driving force to the input mechanism of the input unit 110 and the transfer means of the transfer unit for this purpose, the accumulation unit 150 to accumulate banknotes whose determination has been completed through the determination unit 140 . ) and the integration motor 155 for providing an independent driving force to the integration means 151 and 152 . And it consists of a data storage unit 160 that stores driving speed interlocking table data for a series of interlocking driving for input, transfer, and integration between the motors, and the control unit 140 that controls each driving force to the motor through this. do.

상기 투입부(110)의 투입 메커니즘에는 상기 이송모터(125)의 회전력을 검출할 수 있는 검출수단(미도시)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검출수단은 예컨대 엔코더 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엔코더의 출력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이송모터(125)의 회전력 즉, 회전 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모터(125)나 상기 집적모터(155)의 회전 속도의 제어방식은 펄스폭 변조(PWM: Pulse Width Modulation) 방식이나 전압 또는 전류를 가변하는 전력 공급 방식일 수 있다. The input mechanism of the input unit 110 includes a detection means (not shown) capable of detec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transfer motor 125 . The detection means may be, for example, an encoder.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rotational force, that i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transfer motor 125 based on the output signal of the encoder. In addition, the control method of the rotation speed of the transfer motor 125 or the integrated motor 155 may be a pulse width modulation (PWM) method or a power supply method of varying voltage or current.

상기 데이터 저장부(160)는 상기 이송모터(125)와 상기 집적모터(155)의 연동구동을 위한 구동속도 연동테이블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상기 구동속도 연동테이블 데이터는 상기 이송부(120)의 상기 지폐에 대한 이송속도와 이송이 완료되어 집적을 위해 배출되는 속도를 연동제어하여 안정적인 집적을 위한 상기 모터간의 구동속도 데이터이다. 상기 이송모터(125)와 상기 집적모터(155)의 구동속도가 적절히 연동되지 않으면 안정적인 집적이 되지 않고 속도차로 인해 지폐가 튕겨나가는 현상인 플라잉아웃이 발생하거나 적재가 가지런히 이루어지지 않거나 상기 스풀(151)의 진입공간에 다수매가 겹쳐서 집적되어 상기 지폐의 훼손이 발생되거나 상기 집적부(150)의 집적수단에 큰 부하를 주어 상기 집적수단의 가이드 또는 블레이드 파손 등이 발생된다. The data storage unit 160 stores driving speed interlocking table data for interlocking driving of the transfer motor 125 and the integration motor 155 . The drive speed interlocking table data is drive speed data between the motors for stable accumulation by interlocking control of the transfer speed of the transfer unit 120 for the bills and the speed at which transfer is completed and discharged for accumulation. If the driving speed of the transfer motor 125 and the accumulation motor 155 is not properly interlocked, stable accumulation does not occur, and a phenomenon in which banknotes are bounced due to a speed difference occurs, or the stacking is not arranged or the spool ( 151), damage to the banknote occurs due to overlapping and accumulation in the entry space, or a large load is applied to the accumulation means of the accumulation unit 150 to cause damage to the guide or blade of the accumulation means.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지폐처리장치의 상기 모터간 구동속도의 연동을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지폐처리장치는 상기 호퍼유닛(111)에 지폐를 적재하면 적재상태를 판단하여 내부에 지폐가 잔존할 수 있어 상기 집적모터(155)를 선 구동하고 상기 이송모터(125)를 후 구동하여 잔류 지폐가 있는 경우 잔류 지폐의 집적(즉, 배출)과 동시에 새로운 지폐의 투입 및 이송을 시작한다. 잔류 지폐든지 새로 투입되어 이송된 지폐든지 이송이 완료된 지폐는 상기 이송로(121)를 벗어나 상기 집적모터(155)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 중인 상기 스풀(151)의 진입공간에 포케팅 되어 상기 집적부(150)에 가지런히 집적된다. 이때, 상기 모터의 구동특성과 잔류 지폐의 집적을 고려해서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제어해야만 안정적인 집적이 가능하다. When the interlocking of the driving speed between the motors of the bankno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the bankno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oads the banknotes in the hopper unit 111. By judging the loading state, banknotes can remain inside, so the accumulation motor 155 is driven in advance and the transfer motor 125 is driven later. Start inserting and transferring banknotes. Whether the remaining banknotes or the banknotes that are newly inserted and transferred, the banknotes that have been transferred leave the transfer path 121 and are pocketed in the entry space of the spool 151 rotating by the driving force of the accumulation motor 155, so that the accumulation unit (150) neatly accumulated. In this case, stable accumulation is possible only by controlling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in consideration of the driving characteristics of the motor and the accumulation of the remaining banknotes.

도 5와 같이, 상기 모터는 정속구간(T2)에 진입하기 위해 가속구간(T1)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리고 잔류 지폐를 정상적으로 집적하기 위해 상기 모터를 상기 집적모터(155) 그리고 상기 이송모터(125) 순인 역순으로 구동한다. 따라서 가속 구간에 따른 상기 모터의 특성과 구동순서를 고려하여 구동제어가 되어야 안정적인 집적이 가능해 진다. 만약 종래와 같이 이를 고려하지 않고 상기 집적모터(155)를 가속하여 상기 스풀(151)에 회전력을 제공하면 도 6의 a와 같이 상기 집적모터(155)는 빠르게 정속구간(예, 135rpm)에 진입하게 되고 이후 상기 이송모터(125)가 가속구간(0rpm~1,000rpm)을 지나 정속구간(예, 1,000rpm)에 진입하는 시간동안에 투입되어 이송되는 지폐는 상기 이송모터(125)와 동일한 속도로 이송되어 상기 판별부(130)를 거쳐 이송 완료시점에 이미 정속(예, 135rpm)으로 회전하고 있는 상기 스풀(151)의 블레이드가 정속(예, 600rpm)보다 낮은 속도로 이송 및 방출되는 지폐를 튕겨 날려버리는 현상인 플라잉아웃이 발생하거나 적재 불량이 생기게 된다. 이는 상기 지폐가 진입시 빠르게 인입되지 않아 상기 집적모터(155)의 상기 스풀(151)에 결합되어 회전하고 있는 블레이드의 진입공간이 확보되지 않고 블레이드 끝단에 의해 튕겨져 날아가는 플라잉아웃 현상이 발생되는 불안정한 영역이 상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플라잉아웃 현상은 장비의 기동 초기에 지폐가 상기 스풀(151)의 진입공간에 인입 되지 않는 상황에 랜덤하게 발생한다. 상기 두 모터의 정속구간에서는 속도차로 인한 플라잉아웃은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장치의 불안정한 동작 상태나 처리 대상인 지폐의 상태 등으로 유발되는 현상에 의해 발생한다.As shown in FIG. 5 , the motor needs an acceleration section T1 to enter the constant speed section T2. And in order to normally accumulate the remaining banknotes, the motor is driven in the reverse order of the accumulation motor 155 and the transfer motor 125 . Therefore, stable integration is possible only when driving control is per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driving sequence and characteristics of the motor according to the acceleration section. If the integrated motor 155 is accelerated to provide rotational force to the spool 151 without considering this as in the prior art, the integrated motor 155 rapidly enters a constant speed section (eg, 135 rpm) as shown in FIG. 6A . After that, the banknotes inserted and transferred during the time when the transfer motor 125 passes the acceleration section (0 rpm to 1,000 rpm) and enters the constant speed section (eg, 1,000 rpm) are transferred at the same speed as the transfer motor 125 . The blade of the spool 151, which is already rotating at a constant speed (eg, 135 rpm) at the time of completion of the transfer through the determination unit 130, bounces off the bills transferred and discharged at a lower speed than the constant speed (eg, 600 rpm) Flying out, which is a throwaway phenomenon, may occur or load failure may occur. This is an unstable area in which the banknote is not quickly retracted when entering, so that the entry space of the rotating blade coupled to the spool 151 of the accumulation motor 155 is not secured, and a flying-out phenomenon occurs in which the bill is bounced off by the tip of the blade. will always exist. This flying-out phenomenon occurs randomly in a situation in which bills do not enter the entry space of the spool 151 at the initial stage of operation of the equipment. In the constant speed section of the two motors, flying-out due to the speed difference does not occur. It is caused by a phenomenon caused by the unstable operating state of the device or the state of the bill to be processed.

본 발명은 이러한 상기 모터간 속도차로 인한 플라잉아웃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도 6의 b와 같이, 상기 데이터 저장부(160)에 저장된 구동속도 연동테이블(도 4)을 참조하여 선 구동하는 상기 집적모터(155)는 정속 구간에서 저속(예, 27rpm)으로 구동시키고 상기 이송모터(125)는 정속을 위해 가속(예, 400rpm)한다. 이때 상기 이송모터(125)의 가속도를 상기 엔코더로 측정하여 측정된 속도에 맞는 구동력을 상기 데이터 저장부(160)에 저장된 구동속도 연동테이블 범위에 맞게 상기 집적모터(155)의 구동력을 연동 제어함으로써 상기 스풀(151)의 회전력을 제어하여 이송이 완료된 후 방출되는 지폐가 충분히 인입되도록 진입공간을 확보 할 수 있게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event the flying-out phenomenon due to the speed difference between the motors, as shown in FIG. Reference numeral 155 drives at a low speed (eg, 27 rpm) in the constant speed section, and the transfer motor 125 accelerates (eg, 400 rpm) for a constant speed. At this time, the driving force corresponding to the measured speed by measuring the acceleration of the transfer motor 125 with the encoder is controlled by interlocking the driving force of the integrated motor 155 according to the range of the driving speed interlocking table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160. By controll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pool 151, it is possible to secure an entry space so that the bills discharged after the transfer is completed are sufficiently drawn in.

상기 구동속도 연동테이블을 이용한 구동속도 연동제어 방식은 상기 구동속도 연동테이블에 설정된 데이터에 의해 제어되거나 상기 모터간 속도비율로도 제어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속도 데이터나 비율로 제어하면 상기 집적수단인 스풀(151)의 형상(예를 들어, 블레이드의 형상, 두께, 개수 등)에 맞게 최적의 동작설정이 가능하다. 상기 동작설정은 용이하게 상기 조작부(10)나 상기 통신부(170)를 통해 변경할 수 있다. The driving speed interlocking control method using the driving speed interlocking table may be controlled by data set in the driving speed interlocking table or may be controlled by the speed ratio between the motors. In addition, if the speed data or ratio is controlled, it is possible to set the optimal operation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spool 151 as the integration means (eg, the shape, thickness, number of blades, etc.). The operation setting can be easily changed through the manipulation unit 10 or the communication unit 170 .

또한, 상기 이송모터(125)의 회전속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여 상기 이송수단의 오류나 상기 지폐의 상태로 인한 이송상태의 변동에 맞게 상기 집적모터(155)가 연동 제어됨으로써 상기 모터간 속도차로 인해 지폐가 튕겨 나가는 플라잉아웃 현상이 방지되어 안정적인 집적이 가능하다. In addition, by monitor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conveying motor 125 in real time, the accumulation motor 155 is interlocked and controlled to match a change in the conveying state due to an error of the conveying means or the state of the banknote, so that the banknote due to the speed difference between the motors Stable integration is possible by preventing the flying-out phenomenon of being bounced off.

상기와 같은 이송 오류로는 투입시 2장이상 겹침 투입(doubled), 상기 이송수단에 의한 이송시 좌우 틀어짐(skew), 이송 지폐간 간격 변동(지간 변동) 등이 있고, 상기 지폐의 상태로는 유통에 따른 훼손 상태(구겨짐, 찢김, 구멍남, 이물질 부착, 다습한 환경에 의한 두께 증가나 사용량에 따른 두께의 감소 등), 각 국가별 발행한 지폐의 상이한 규격(크기, 두께, 강성 등) 등이 있다. The transfer errors as described above include two or more overlapping inserts (doubled) when inserting, skewed left and right when transferred by the transfer means, and fluctuations in the spacing between transferred bills (interval change), and the state of the bills is Damage due to circulation (wrinkled, torn, holed, foreign matter adhered, increased thickness due to high humidity or decreased thickness due to usage, etc.), different specifications of banknotes issued by each country (size, thickness, rigidity, etc.) etc.

또한, 상기 구동속도 연동테이블의 데이터는 상기 조작부(10)를 통해 이용자가 직접 설정 및 변경할 수도 있고 상기 통신부(170)를 통해 원격으로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ata of the driving speed interlocking table may be directly set and changed by the user through the manipulation unit 10 or may be updated remotely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70 .

상기 데이터의 설정 또는 변경시 고속처리를 위한 블레이드와 지폐를 1:1로 포케팅할 수 있고 안정적인 처리를 우선하여 n : 1(예, 3:1)로 설정도 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동작모드를 설정해 두고 선택에 의한 변경처리도 할 수 있다. When setting or changing the data, blades and banknotes for high-speed processing can be pocketed 1:1, and n: 1 (eg, 3:1) can be set to prioritize stable processing. 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4, it is possible to set the operation mode and change processing by selection.

이런 여러 형태의 제어는 일반적으로 투입부, 이송부, 집적부에 모터를 각각 두어 제어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도 있지만 이런 경우 비용이 비례적으로 증대된다.In general, it may be effective to control each of these various types of control by placing a motor in the input unit, the transfer unit, and the integration unit, but in this case, the cost increases proportionally.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최소한의 모터를 사용하여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내부(모터의 고유 특성, 장치의 동작상태), 외부(지폐의 상태)에 의해 발생하는 지폐가 튕겨 나가는 플라잉아웃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매우 안정적인 처리를 할 수 있다.In view of this,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flying-out phenomenon in which bills are bounced off by the inside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motor, the operating state of the device) and the outside (the state of the banknote) while reducing the cost by using a minimum motor This enables very stable processing.

또,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에 비해 상기 집적부에 별도의 상기 집적수단의 회전력을 감속하기 위한 감속 기구물 또는 상기 집적수단의 위치 등 조절 기구물이 불필요하게 되어 원가 절감의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reducing the cost because a reduction mechanism for decelera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accumulating means separately in the accumulating unit or an adjustment mechanism such as the position of the accumulating means is unnecessary compared to the prior art.

또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비접촉식 상기 집적모터(155)의 독립 연동제어 방식은 비용의 절감 측면뿐만 아니라 유지보수 측면에서도 상기 기구물의 물리적인 동작으로 인한 기구간 결합 동작의 오류나 훼손이 적어 관리에 효율성을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the independent interlocking control method of the non-contact type integrated motor 155 of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error or damage of the coupling operation between the devices due to the physical operation of the device in terms of cost reduction as well as maintenance. provides efficiency.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지폐처리장치의 상기 모터간 구동력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Next, a method of controlling the driving force between the motors of the bankno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

하나 이상의 지폐를 상기 호퍼유닛(111)에 적재(S1)하면, 상기 호퍼유닛(111)에 구비된 적재 여부 검출 수단(미도시)을 통해 적재 여부를 판단하고 적재가 확인되면 우선 내부에 잔존할 수 있는 지폐를 방출하기 위해 상기 집적모터(115)를 저속으로 구동(S2)한다. 이때, 도 5와 같은 모터의 특성과 상기 이송모터(125)의 연동을 고려하여 저속으로 기동(예를 들어, 135rpm)하면서 상기 이송모터(125)와의 연동제어 데이터의 수신을 대기한다. When one or more bills are loaded into the hopper unit 111 (S1),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loaded through a loading detection means (not shown) provided in the hopper unit 111, and when loading is confirmed, first The accumulation motor 115 is driven at a low speed (S2) in order to discharge the possible banknotes. At this time, while starting at a low speed (eg, 135 rpm) in consideration of the motor characteristics as shown in FIG.

상기 지폐처리장치에 설정된 처리성능(예, 1,000npm)에 부합하기 위해 상기 이송모터(125)를 가속구간을 지나 정속구간(예, 0rpm ~ 1,000rpm)에 진입하도록 제어(S3)한다. 이때, 상기 이송모터(125)의 구동속도를 엔코더 같은 측정수단을 이용하여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 신호를 이용해 측정(S4)한다. In order to meet the processing performance (eg, 1,000 npm) set in the banknote processing apparatus, the transfer motor 125 is controlled to enter a constant speed region (eg, 0 rpm to 1,000 rpm) through the acceleration section (S3). At this time, the driving speed of the transfer motor 125 is detected using a measuring means such as an encoder and measured using the detection signal (S4).

상기 측정된 속도를 상기 데이터 저장부(160)에 저장된 상기 구동속도 연동테이블과 비교(S5)하고 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집적모터(155)를 연동구동(S6)한다(예를 들어, 상기 이송모터(125)가 1,000rmp 일 때 상기 집적모터(155)는 135rpm으로 스풀(151)의 블레이드 2개당 하나에 지폐가 포케팅). 상기 구동 제어 방식으로는 PWM(Pulse Width Modulation)방식을 이용하거나 전압이나 전류를 이용한 전력 공급 제어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다. The measured speed is compared with the drive speed interlocking table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160 (S5), and the integrated motor 155 is driven (S6) to correspond thereto (for example, the transfer motor ( When 125) is 1,000 rmp, the integration motor 155 operates at 135 rpm, so that one bill is pocketed per two blades of the spool 151). As the driving control method, a PWM (Pulse Width Modulation) method may be used or a power supply control method using voltage or current may be used.

상기 지폐는 상기 이송부(120)의 상기 이송로(121)와 상기 이송수단(113)을 통해 상기 판별부(130)에서 상기 판별부(130) 내부에 구비된 각종 센서(미도시)로 판별되고, 상기 판별된 정보로 상기 제어부(140)가 상기 이송부(120)의 상기 이송방향 전환수단(123)을 제어하여 상기 집적부(150)의 상기 집적수단(151, 152)에 의해 상기 스풀(151)에 의해 집적되거나 상기 집적 가이드(152)에 의해 집적(S7)된다. 이때, 상기 두 모터간 속도가 가속구간, 정속구간, 감속구간에서 모두 일정하게 연동되어 속도차로 인한 지폐가 튕김 현상인 플라잉아웃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안정적으로 집적되는 효과가 있다. The banknote is determined by various sensors (not shown) provided in the determining unit 130 in the determining unit 130 through the conveying path 121 of the conveying unit 120 and the conveying means 113 , , with the determined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transfer direction switching means 123 of the transfer unit 120 to use the spool 151 by the accumulation means 151 and 152 of the accumulation unit 150 . ) or integrated by the integration guide 152 (S7). At this time, since the speed between the two motors is constantly interlocked in the acceleration section, the constant speed section, and the deceleration section, the flying-out phenomenon, which is a phenomenon in which bills are bounced due to the speed difference, does not occur, thereby stably accumulating.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집적부가 다수개 구비된 멀티포켓 지폐처리장치의 예이다. 8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of the multi-pocket bill process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e accumulation unit.

도 8을 참고 하면, 상기 멀티포켓 지폐처리장치(200)는 독립 구동 제어 방식의 상기 집적부(150)가 다수 개 나열되어 결합된 형태이다. 한 개의 집적부를 가진 지폐처리장치와 같이 투입, 이송 및 판별 후 배출된 지폐를 다양한 조건에 맞게 상기 집적부(220) 별로 집적할 수 있다. 상기 다양한 조건으로는 지폐에 대한 판별결과인 원화, 달러, 유로화 등의 국가권별, 5만원권, 1만원권 등의 권종별, 신권, 구권, 유통불가 훼손권 등의 정사상태별, 진권, 위권, 변조권 등의 판별권별을 들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 the multi-pocket banknote processing apparatus 200 has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the accumulating units 150 of an independent driving control method are arranged and combined. Like a banknote processing device having a single accumulation unit, bills discharged after input, transfer and discrimination may be accumulated for each accumulation unit 220 according to various conditions. The above various conditions include the determination result of banknotes by national notes such as won, dollar, euro, etc., by type of bills such as 50,000 won and 10,000 won, by political status such as new, old, and non-circulating damaged rights, genuine notes, counterfeiting, falsification Discrimination rights such as volumes can be mentioned.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집적부(220)를 구비한 상기 멀티포켓 지폐처리장치(200)의 상기 집적부(220)의 상기 집적수단은 상술한 바와 같은 비접촉식 집적 가이드 형태이거나 접촉식 스풀 형태 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accumulating means of the accumulating unit 220 of the multi-pocket banknote processing apparatus 200 having a plurality of accumulating units 220 is in the form of a non-contact accumulating guide as described above or in the form of a contact spool. can be

또한, 각 집적부(220)는 개별적으로 제어가 가능하여 불필요한 집적부의 동작을 줄여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고 오동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저장부(160)의 상기 구동속도 연동테이블을 이용하여 연동하여 제어를 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each of the integrated units 220 can be individually controlled, unnecessary operation of the integrated unit can be reduced to reduce power consumption, and malfunctions can be prevented in advance. In addition, the data storage unit 160 can be controlled by interworking using the driving speed interlocking table.

또한, 본 발명은 장치 상태, 지폐의 상태, 이송 상태 등의 가변적 요인을 동작 중 실시간으로 측정이 가능한 상기 이송모터(125)의 속도에 맞게 상기 집적모터(155)의 속도가 대응되게 구동함으로써 플라잉아웃 현상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집적이 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ed of the integration motor 155 is driven to correspond to the speed of the transfer motor 125, which can measure variable factors such as the state of the device, the state of the banknote, the transfer state, etc. in real time during operation. By preventing the out phenomenon, stable integration is achieved.

또한, 도 4와 같이, 지폐의 계수에 중점을 둔 고속처리(예, 블레이드 대 지폐의 포케팅 비율이 1 : 1)나 고액권, 위조권 판별등 정사에 중점을 둔 안정처리(예, 블레이드 대 지폐의 포케팅 비율이 3 : 1) 등 목적에 맞게 상기 조작부(210) 또는 상기 통신부(170)를 통해 직접 또는 원격 운용이 가능하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4, high-speed processing focusing on the counting of banknotes (e.g., the pocketing ratio of blade to banknote is 1:1) or stable processing (eg, blade vs. Direct or remote operation is possible through the manipulation unit 210 or the communication unit 170 according to the purpose such as the pocketing ratio of the banknote is 3 : 1).

또한, 상기 복수의 집적부(220)에 대해 각각 고속처리, 안정처리, 지폐의 판별정보 등으로 집적 조건을 다양하게 설정하여 해당기준에 맞게 상기 이송모터(125)와 상기 집적모터(155)의 구동속도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various accumulation conditions are set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accumulating units 220 such as high-speed processing, stable processing, and bil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transfer motor 125 and the accumulating motor 155 meet the corresponding standard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riving speed can be freely set.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은 특허청구범위 및 그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present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 addi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the spirit a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the claims and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therein.

10, 210: 조작부 20: 리젝부
100, 200: 지폐처리장치 110: 투입부
111: 호퍼 유닛 113: 이송 유닛
120: 이송부 121: 이송로
123: 이송방향 전환 유닛 125: 이송모터
130: 판별부 140: 제어부
150, 220: 집적부 151: 스풀
152: 집적 가이드 155: 집적모터
160: 데이터 저장부 170: 통신부
10, 210: operation unit 20: reject unit
100, 200: bill processing device 110: input unit
111: hopper unit 113: transfer unit
120: transfer unit 121: transfer path
123: transfer direction switching unit 125: transfer motor
130: determination unit 140: control unit
150, 220: integrator 151: spool
152: integration guide 155: integration motor
160: data storage unit 170: communication unit

Claims (19)

투입부, 이송부, 하나 이상의 집적부를 포함하는 지폐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를 통해 한 장씩 유입되는 지폐를 상기 이송부의 이송로를 따라 일정한 속도로 이송하도록 상기 이송부의 이송수단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이송모터;
상기 이송로에서 배출된 상기 지폐를 상기 집적부의 집적 공간에 안정적으로 집적하도록 복수의 블레이드를 갖는 스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집적모터;
상기 이송모터 및 상기 집적모터 간 구동속도를 일정하게 연동하기 위한 구동속도 연동테이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집적모터를 저속으로 기동하고 상기 이송모터의 속도를 측정하여 상기 구동속도 연동테이블 데이터에 맞게 상기 집적모터의 구동속도를 연동 구동하고 이에 의해 상기 집적모터와 연결된 상기 스풀을 회전시켜 상기 이송로에서 배출되는 지폐를 상기 스풀의 블레이드와 다음 블레이드 사이 공간에 포케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집적모터를 선 구동하고 상기 이송모터를 후 구동시켜 잔류 지폐가 있는 경우 잔류 지폐의 배출과 동시에 새로운 지폐의 투입 및 이송을 시작하고 상기 잔류 지폐 또는 새로 투입되어 이송된 지폐가 상기 이송로를 벗어나 상기 집적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스풀의 블레이드와 다음 블레이드 사이 공간에 포케팅되어 상기 집적부의 집적 공간에 집적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In the banknot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n input unit, a transfer unit, and one or more accumulation units,
a conveying motor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the conveying means of the conveying unit to convey the banknotes introduced one by one through the input unit at a constant speed along the conveying path of the conveying unit;
an accumulation motor providing a rotational force to a spool having a plurality of blades to stably accumulate the bills discharged from the transfer path in the accumulation space of the accumulation unit;
a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driving speed interlocking table data for constantly interlocking driving speeds between the transfer motor and the integrated motor;
The integration motor is started at a low speed, the speed of the transport motor is measured, the driving speed of the integrated motor is interlocked according to the driving speed linkage table data, and thereby the spool connected to the integration motor is rotated to rotate in the transport path. Including;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d bills to pocket in the space between the blade of the spool and the next blade.
The control unit pre-drives the accumulation motor and then drives the transfer motor to start input and transfer of new bills at the same time as residual bills are discharged if there are residual bills, and the residual bills or newly inserted and transferred bills are transferred The banknote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cketed in the space between the blade of the spool and the next blade that is rotated by the driving of the accumulation motor out of the furnace to be accumulated in the accumulation space of the accumulation unit.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모터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구동속도 연동테이블을 참조하여 선 구동되며 정속 구간에서는 저속으로 구동되고 상기 이송모터는 정속을 위해 가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ntegration motor is pre-driven with reference to the driving speed linkage table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and is driven at a low speed in a constant speed section, and the transfer motor is accelerated for a constant spe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지폐처리방법에 있어서,
투입부, 이송부, 하나 이상의 집적부를 포함하는 지폐처리장치 내부에 잔류하는 지폐의 방출 및 안정적 집적을 위해, 상기 이송부의 이송로에서 배출되는 지폐를 상기 집적부의 집적 공간에 안정적으로 집적하도록 복수의 블레이드를 갖는 스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집적모터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집적모터와 연동하기 위해, 상기 투입부를 통해 한 장씩 유입되는 지폐를 상기 이송부의 이송로를 따라 일정한 속도로 이송하도록 상기 이송부의 이송수단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이송모터의 구동속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구동속도와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구동속도 연동테이블의 데이터를 비교하고 상기 구동속도 연동테이블에 대응되는 속도로 상기 집적모터를 연동하여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집적모터를 구동하는 단계는 상기 집적모터를 저속으로 선 구동하고 상기 이송모터를 후 구동하여 잔류 지폐가 있는 경우 잔류 지폐의 배출과 동시에 새로운 지폐의 투입 및 이송을 시작하고 상기 잔류 지폐 또는 새로 투입되어 이송된 지폐가 상기 이송로를 벗어나 상기 집적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스풀의 블레이드와 다음 블레이드 사이 공간에 포케팅되어 상기 집적부의 집적 공간에 집적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방법.
In the banknote processing method,
A plurality of blades to stably accumulate banknotes discharged from the conveying path of the conveying unit in the accumulation space of the collecting unit for stable accumulation and discharge of banknotes remaining inside the banknot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n input unit, a conveying unit, and one or more accumulation units driving an integrated motor that provides a rotational force to a spool having a;
Measuring a driving speed of a transfer motor that provides a driving force to the transfer means of the transfer unit so as to transfer the banknotes introduced one by one through the input unit at a constant speed along the transfer path of the transfer unit in order to interwork with the accumulation motor;
Comparing the measured driving speed with data in a driving speed interlocking table stored in a data storage unit, and driving the integrated motor in conjunction with a speed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speed interlocking table,
In the step of driving the accumulation motor, the accumulation motor is driven linearly at a low speed and the transfer motor is driven later to discharge the residual bills when there are residual bills, and at the same time to start the input and transfer of new bills, and to insert the residual bills or new inserts. Banknotes characterized in that the banknotes are pocketed in the space between the blade of the spool and the next blade rotated by the driving of the accumulation motor out of the transfer path and accumulated in the accumulation space of the accumulation unit. processing metho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속도 연동테이블의 데이터는 상기 집적모터와 상기 이송모터의 설정 속도이거나 속도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data of the drive speed interlocking table is a set speed or a speed ratio of the integration motor and the transfer motor.
삭제delete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모터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구동속도 연동테이블을 참조하여 선 구동되며 정속 구간에서는 저속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integration motor is pre-driven with reference to the driving speed linkage table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and is driven at a low speed in a constant speed se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8 was abandoned when paying the registration fee.◈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속도 연동 테이블의 데이터는 고속처리 모드, 안정처리 모드, 사용자설정 모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data of the drive speed linkage table is a bill process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a high-speed processing mode, a stable processing mode, and a user setting mode.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속도 연동 테이블의 데이터는 스풀의 블레이드 대 지폐의 포케팅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처리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data of the drive speed interlocking table is a banknote process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pocketing ratio of the blade to the banknote of the spool.
KR1020170083900A 2017-06-30 2017-06-30 Banknot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KR1023570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900A KR102357061B1 (en) 2017-06-30 2017-06-30 Banknot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900A KR102357061B1 (en) 2017-06-30 2017-06-30 Banknot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261A KR20190003261A (en) 2019-01-09
KR102357061B1 true KR102357061B1 (en) 2022-01-28

Family

ID=65017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3900A KR102357061B1 (en) 2017-06-30 2017-06-30 Banknot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706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002B1 (en) * 2019-09-09 2020-01-23 윤영복 Hybrid counterfeit discrimination apparatus for improving counterfeit discrimination efficienc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6434A (en) 2000-08-08 2002-02-22 Hitachi Ltd Automatic transaction device
JP2017045118A (en) 2015-08-24 2017-03-02 沖電気工業株式会社 Automatic transac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244B1 (en) * 2008-07-09 2010-08-18 엘지엔시스(주) Apparatus for media management and method for owning of media transfer speed thereof
KR20160145905A (en) * 2015-06-10 2016-12-2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Apparatus for stacking paper money equipped in paper money counting modu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6434A (en) 2000-08-08 2002-02-22 Hitachi Ltd Automatic transaction device
JP2017045118A (en) 2015-08-24 2017-03-02 沖電気工業株式会社 Automatic transac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3261A (en) 2019-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21008A (en) Fail safe document dispensing system
US20030136630A1 (en) Sheet processing apparatus
US9183691B2 (en) Banknote pay-in/pay-out device and banknote processing machine
CN101234710A (en) Medium separating mechanism
JP5199619B2 (en) Method for early detection of abnormal paper sheets in paper sheet classifier and paper sheet classifier
KR101967953B1 (en) Paper sheet processing device and partition card
KR102357061B1 (en) Banknot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8013303A (en) Medium treatment device
KR101487447B1 (en) Bill counter
KR20160145905A (en) Apparatus for stacking paper money equipped in paper money counting module
JP2019152905A (en) Medium processing device
KR101457296B1 (en) Coin handl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JP2011154654A (en) Paper sheet processing apparatus
JP5222518B2 (en) Coin handling machine
KR101203762B1 (en) Bill handling apparatus and bill handling method
JP5286794B2 (en) Banknote handling equipment
KR100514631B1 (en) A Cash Process System With A Counter & Shunt Winding Function
JP4608814B2 (en) Media processing device
JP2006301844A (en) Small bundles banknote processor
US6873674B2 (en) Paper currency counter with emergency stop features
KR2022003497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ill singling and interval between input bills
KR20150124715A (en) Winding and Sort Apparatus of Bill Payment Device with escrow function
JP4695405B2 (en) Paper sheet processing equipment
JPH06278907A (en) Paper sheet feeder
KR101079329B1 (en) a sorted paper gather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