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6976B1 - 에어 누설 검사 장비 - Google Patents

에어 누설 검사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6976B1
KR102356976B1 KR1020210089710A KR20210089710A KR102356976B1 KR 102356976 B1 KR102356976 B1 KR 102356976B1 KR 1020210089710 A KR1020210089710 A KR 1020210089710A KR 20210089710 A KR20210089710 A KR 20210089710A KR 102356976 B1 KR102356976 B1 KR 102356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vacuum pump
measuring tube
air leak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9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홍
Original Assignee
이재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홍 filed Critical 이재홍
Priority to KR1020210089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69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6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3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01M3/3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by testing the possibility of maintaining the vacuum in containers, e.g. in can-testing machi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3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01M3/3209Details, e.g. container closure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3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01M3/323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by monitoring the interior space of the containers
    • G01M3/327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by monitoring the interior space of the containers for verifying the internal pressure of closed contain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2015/0096Investigating consistence of powders, dustability, dustine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에어 누설 검사 장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진공 펌프 모듈, 일단이 진공 펌프 모듈에 연결 설치되는 오리피스 구조체, 일단이 오리피스 구조체에 연결 설치되고, 타단이 대기질 측정기의 샘플러와 연결되는 측정관 구조체, 및 측정관 구조체에 연결 설치되는 진공도 측정기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진공 펌프 모듈과 2방향 밸브의 사이에 오리피스 구조체를 설치함으로써 진공도 측정기가 미세한 압력 변화까지도 측정할 수 있게 되어 미세먼지 샘플러 등의 대기질 측정기에서의 에어 누설을 매우 높은 정밀도로 검사할 수 있게 되어 누설로 인한 측정값의 부정확성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필요시 캡 모듈을 분리한 후 진공압 측정 대상 펌프를 연결 설치함으로써 펌프의 진공압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에어 누설 검사 장비{Air Leak Inspection Equipment}
본 발명은 에어 누설 검사 장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공 펌프 모듈과 2방향 밸브의 사이에 오리피스 구조체를 설치함으로써 진공도 측정기가 미세한 압력 변화까지도 측정할 수 있게 되어 미세먼지 샘플러 등의 대기질 측정기에서의 에어 누설을 매우 높은 정밀도로 검사할 수 있게 되어 누설로 인한 측정값의 부정확성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시 캡 모듈을 분리한 후 진공압 측정 대상 펌프를 연결 설치함으로써 펌프의 진공압 측정이 가능한 에어 누설 검사 장비에 관한 것이다.
국가 기준 측정 시스템(National Reference Methods System, NRMs)이란 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PM-2.5)의 연속 자동 측정기 및 시료 채취 장치의 성능 평가를 목적으로 국가 기관에서 운영하는 국가 기준 중량법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으로 대기 중의 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PM-2.5) 측정기의 소급성 확인 및 교정을 위한 기준 시스템으로서 국립 환경 과학원에서 운영하고 있다.
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PM-2.5) 연속 자동 측정기 및 중량법 채취 장치(미세먼지 샘플러)의 각 측정소 현장 운영에 있어서 국립 환경 과학원은 연속형(Sequential) 미세먼지 채취 장치로 주기적인 등가성 시험을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
연속형(Sequential) 미세먼지 채취 장치 및 단독형 미세먼지 채취 장치의 운영에 있어서 국립 환경 과학원이 발행하는 대기오염 측정망 설치 및 운영 지침에 의하면 시료 채취 장치의 미세먼지(PM-10) 입경 분립 장치를 제거한 후 누설 확인 장치(leak check valve)를 장착하고, 유로를 닫은 상태에서 누설 시험(leak test)을 정기적으로 실시해서 미세먼지 채취 장치 및 연속 자동측정기의 누설에 의한 측정값의 오차를 제거하여야 한다.
한편, 이와 같은 누설 시험을 위해 주로 사용되고 있는 차압계는 시료 채취 장치로부터의 미세한 정도의 누설을 감지하지 못하여 누설 시험의 정확도가 높지 못하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진공 펌프 모듈과 2방향 밸브의 사이에 오리피스 구조체를 설치함으로써 진공도 측정기가 미세한 압력 변화까지도 측정할 수 있게 되어 미세먼지 샘플러 등의 대기질 측정기에서의 에어 누설을 매우 높은 정밀도로 검사할 수 있게 되어 누설로 인한 측정값의 부정확성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시 캡 모듈을 분리한 후 진공압 측정 대상 펌프를 연결 설치함으로써 펌프의 진공압 측정이 가능한 에어 누설 검사 장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누설 검사 장비는, 진공 펌프 모듈; 일단이 상기 진공 펌프 모듈에 연결 설치되는 오리피스 구조체; 일단이 상기 오리피스 구조체에 연결 설치되고, 타단이 대기질 측정기의 샘플러와 연결되는 측정관 구조체; 및 상기 측정관 구조체에 연결 설치되는 진공도 측정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리피스 구조체는 2방향 밸브를 통해 상기 측정관 구조체에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정관 구조체의 타단에 진공압 측정 대상 펌프가 연결 설치되는 경우에 상기 오리피스 구조체가 상기 에어 누설 검사 장비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오리피스 구조체는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정관 구조체의 타단에는 상기 대기질 측정기의 샘플러에 결합되는 캡 모듈이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캡 모듈의 내부에는 오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캡 모듈에는 개폐 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리피스 구조체, 상기 2방향 밸브, 상기 측정관 구조체, 및 상기 진공도 측정기가 내부에 설치되는 하우징 구조체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 구조체의 전면(前面)에는 상기 진공도 측정기가 삽입 설치됨으로써 상기 진공도 측정기의 디스플레이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제1 설치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 구조체는, 상기 진공 펌프 모듈이 고정 설치되는 하부 하우징, 및 상기 진공도 측정기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하부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2방향 밸브의 노브는 상기 상부 하우징의 전면(前面)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의 측면에는 상기 진공 펌프 모듈의 단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진공 펌프 모듈이 삽입 설치되는 제2 설치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공 펌프 모듈의 돌출 단부에는 전원 입력 버튼 및 상기 진공 펌프 모듈의 내부 배터리에 충전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 포트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 구조체에는 상기 캡 모듈이 파지되는 파지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진공 펌프 모듈과 2방향 밸브의 사이에 오리피스 구조체를 설치함으로써 진공도 측정기가 미세한 압력 변화까지도 측정할 수 있게 되어 미세먼지 샘플러 등의 대기질 측정기에서의 에어 누설을 매우 높은 정밀도로 검사할 수 있게 되어 누설로 인한 측정값의 부정확성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필요시 캡 모듈을 분리한 후 진공압 측정 대상 펌프를 연결 설치함으로써 펌프의 진공압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누설 검사 장비의 구조를 설명하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누설 검사 장비에서의 각 부품의 설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누설 검사 장비에서의 상부 하우징의 하부 하우징에의 회동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누설 검사 장비에서의 진공 펌프 모듈의 돌출 단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누설 검사 장비의 구조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누설 검사 장비는 진공 펌프 모듈(100), 오리피스 구조체(200), 2방향 밸브(300), 측정관 구조체(400), 진공도 측정기(500), 및 캡 모듈(600)을 포함한다.
미세 먼지 샘플러 등의 대기질 측정기에서의 에어 누설을 점검하기 위해 캡 모듈(600)은 미세 먼지 샘플러에 결합 설치되며, 미세 먼지 샘플러와의 결합 부위에서의 에어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서, 미세 먼지 샘플러와의 결합을 형성하는 면인 원통형 캡 모듈(600)의 내측면에는 일정 간격에 따라 복수의 오링(610)이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캡 모듈(600)에는 개폐 밸브(650)가 설치됨으로써 사용자는 개폐 밸브(650)를 조작함에 따라 캡 모듈(600)에 연결 설치되어 있는 외부관(630)과 캡 모듈(600)과의 연통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사용자는 미세 먼지 샘플러와의 결합을 위해 규격화된 캡 모듈(600)을 아황산가스, 질소산화물, 일산화탄소, 오존 등의 대기 오염 물질 측정기와의 결합을 위해 규격화된 캡 모듈(600)로 교체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캡 모듈(600)은 외부관(630), 측정관 구조체(400), 2방향 밸브(300), 및 오피리스 구조체의 순차적 연결 설치 구조를 통해 진공 펌프 모듈(100)과 연결 설치되며, 그 결과 진공 펌프 모듈(100)의 구동에 따라 발생되는 흡입압은 오리피스 구조체(200), 2방향 밸브(300), 측정관 구조체(400), 및 외부관(630)을 통해 캡 모듈(600)에 인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에서와 같이 외부관(630)의 일단은 개폐 밸브(650)를 통해 캡 모듈(600)에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외부관(630)의 타단은 고정구(670)에 연결 설치되어 있다.
한편, 고정구(670)는 오리피스 구조체(200), 2방향 밸브(300), 측정관 구조체(400), 및 진공도 측정기(500)가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 구조체(700)의 외측면에 관통 설치되어 있다.
측정관 구조체(400)에는 제1 측정관(410)과 제2 측정관(420)이 구비되어 있으며, 측정관 구조체(400)의 일단은 제1 측정관(410)을 통해 2방향 밸브(300)에 연결 설치되고, 측정관 구조체(400)의 타단은 제2 측정관(420)을 통해 고정구(670)에 연결 설치된다.
한편, 오리피스 구조체(200)의 일단은 진공 펌프 모듈(100)에 연결 설치되고, 오리피스 구조체(200)의 타단은 2방향 밸브(300)를 통해 제1 측정관(410)에 연결 설치된다.
제1 측정관(410), 제2 측정관(420), 및 연결관(550)의 각 단부는 도 1에서와 같이 상호 연통 구조를 형성하며, 진공도 측정기(500)는 연결관(550)을 통해 측정관 구조체(400)에 연결 설치됨으로써 측정관 구조체(400)에서의 진공도를 측정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진공도 측정기(500)는 디지털식 진공 게이지(Digital Vaccum Gauge) 또는 아날로그 진공 게이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누설 검사 장비를 이용하여 누설 검사를 실행함에 있어서, 사용자는 2방향 밸브(300)의 노브(350)를 조작함으로써 2방향 밸브(300)가 개방되도록 한 다음, 캡 모듈(600)의 개폐 밸브(650)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진공 펌프 모듈(100)에 동작 전원을 인가한다.
이에 진공 펌프 모듈(100)의 구동에 의해 제1 측정관(410), 제2 측정관(420), 및 제2 측정관(420)에 고정구(670)를 통해 연결된 외부관(630)에 진공 펌프 모듈(100)의 흡입압이 순차적으로 인가됨에 따라, 이들 내부에 진공 상태가 형성되게 된다.
이처럼 진공 펌프 모듈(100)의 흡입압이 인가됨에 따라 진공도 측정 게이지의 측정압은 점차적으로 낮아지게 되며 측정압이 소정의 기준압(예를 들면, -2.2Kpa)에 도달되게 되면 사용자는 2방향 밸브(300)의 노브(350)를 조작함으로써 2방향 밸브(300)를 차단시킨다.
사용자는 2방향 밸브(300)를 차단시킴으로써 진공 펌프 모듈(100)의 흡입압을 차단시킨 상태에서 진공도 측정기(500)에서 측정되는 측정압이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1분) 동안 소정의 기준 범위(예를 들면, -2.2Kpa 내지 -2.1Kpa) 이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소정의 기준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 캡 모듈(600)에 연결 설치되어 있는 미세 먼지 샘플러에서의 에어 누설이 실질적으로 없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진공 펌프 모듈(100)과 2방향 밸브(300)의 사이에 오리피스 구조체(200)를 설치함으로써 진공도 측정기(500)는 미세한 압력의 변화까지도 감지할 수 있게 되는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누설 검사 장비의 정확도를 크게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누설 검사 장비에서의 각 부품의 설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누설 검사 장비는, 내부에 진공 펌프 모듈(100)과 측정관 구조체(400)가 고정 설치되는 하부 하우징(720), 및 내부에 오리피스 구조체(200), 2방향 밸브(300), 및 진공도 측정기(500)가 고정 설치되는 상부 하우징(710)을 포함하는 하우징 구조체(700)를 구비한다.
상부 하우징(710)은 하부 하우징(720)에 힌지 구조체인 회동구(730)를 통해 힌지 방식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에 사용자는 필요시 도 2에서와 같이 상부 하우징(710)을 회동시켜 하우징 구조체(700)의 내부를 개방함으로써 상부 하우징(710)과 하부 하우징(720)의 내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부품들의 교체 및 정비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2에서와 같이, 상부 하우징(710)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설치홀(717)에는 진공도 측정기(500)가 삽입 설치되되, 진공도 측정기(500)의 본체부는 상부 하우징(71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됨으로써 상부 하우징(71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반면, 진공도 측정기(500)의 디스플레이(510)는 도 3에서와 같이 제1 설치홀(717)을 통해 상부 하우징(710)의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사용자는 상부 하우징(710)과 하부 하우징(720)이 상호 포개어지며 결합 설치된 상태에서 하우징 구조체(700)의 외부면을 통해 표시되는 진공도 측정기(500)의 측정값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부 하우징(710)의 상부 측면에는 'ㄷ'자형 손잡이(711)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사용자는 손잡이(711)를 파지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누설 검사 장비를 손쉽게 휴대하여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2에서와 같이 진공 펌프 모듈(100)을 에워싸는 스트랩을 나사 등의 고정 수단을 통해 하부 하우징(720)의 바닥면에 고정시킴으로써 진공 펌프 모듈(100)이 하부 하우징(720)의 바닥면에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하부 하우징(720)의 상부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설치홀(727)에 원통형 진공 펌프 모듈(100)의 상단부인 돌출 단부(150)가 삽입되어 하부 하우징(720)의 외부로 부분 노출되는 구조를 통해 진공 펌프 모듈(100)이 제2 설치홀(727)에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진공 펌프 모듈(100)의 하부 하우징(720)에의 견고한 설치 상태를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결과,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누설 검사 장비를 휴대하여 이동하는 경우에도 진공 펌프 모듈(100)의 흔들림 및 그에 따른 충격에 의해 진공 펌프 모듈(100)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도 2에서와 같이 제1 측정관(410)과 연결관(550)을 각각 에워싸는 스트랩 또한 나사 등의 고정 수단을 통해 하부 하우징(720)의 바닥면에 고정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누설 검사 장비를 휴대하여 이동하는 경우에도 제1 측정관(410)과 연결관(550)의 설치 상태가 변경됨에 따라 진공도 측정기(500)의 측정값이 부정확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에서와 같이 제2 측정관(420)은 하부 하우징(720)의 상부 측면을 관통하며 고정 설치되어 있는 고정구(670)에 결합 설치됨으로써 흔들림 없는 견고한 설치 상태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하부 하우징(720)의 우측면에는 원통형 캡 모듈(600)이 끼움 방식으로 파지될 수 있도록 하는 집게 구조의 파지구(721)가 설치됨으로써, 사용자는 필요시 캡 모듈(600)을 파지구(721)에 파지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누설 검사 장비의 이동 및 보관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2에서와 같이 상부 하우징(710)의 우측면 하단에는 결합홀이 구비되어 있는 결합 패널(715)이 형성되고, 하부 하우징(720)의 우측면 상단에도 결합홀이 구비되어 있는 결합 패널(725)이 형성되어 있는 결과, 도 3에서와 같이 상부 하우징(710)의 회동에 따라 상부 하우징(710)이 하부 하우징(720)의 상부에 포개어지며 결합되는 경우에 이들에 각각 구비된 결합 패널(715,725) 및 각 결합 패널(715,725)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홀이 상호 포개어짐에 따라 사용자는 포개어진 결합홀에 자물쇠를 채움으로써 제3자가 무단으로 하우징 구조체(700)의 내부를 도 2에서와 같이 개방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도 3에서와 같이 상부 하우징(710)의 우측면에는 회동식 체결구(713)가 적어도 하나 구비되고, 도 2에서와 같이 하부 하우징(720)의 우측면에는 회동식 체결구(713)의 회동에 따라 회동식 체결구(713)에 걸림 방식으로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구(723)가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는 회동식 체결구(713)를 이용하여 상부 하우징(710)과 하우 하우징을 도 3에서와 같이 상호 결합하거나 도 2에서와 같이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도 3에서와 같이 2방향 밸브(300)의 개폐를 조절하는 노브(350)가 상부 하우징(710)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상부 하우징(710)과 하부 하우징(720)이 결합된 상태에서 2방향 밸브(300)의 개폐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도 4에서와 같이 진공 펌프 모듈(100)의 하우 하우징의 외부로의 돌출 단부(150)의 정면에 진공 펌프 모듈(100)의 구동 및 정지를 조작하는 전원 입력 버튼(153)을 구비하고, 돌출 단부(150)의 측면에는 진공 펌프 모듈(100)에 자체 구비된 내부 배터리에 충전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 포트(155)를 구비함으로써, 상부 하우징(710)과 하부 하우징(720)이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진공 펌프 모듈(100)의 조작 및 충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사용자는 캡 모듈(600)을 외부관(630)의 단부로부터 분리하고, 외부관(630)의 단부에 진공압 측정 대상 펌프를 연결 설치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는 2방향 밸브(300)의 노브(350)를 조작함으로써 2방향 밸브(300)가 차단되도록 한 다음, 진공압 측정 대상 펌프를 구동시킴에 따라 진공도 측정기(500)가 해당 펌프의 진공압을 측정토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누설 검사 장비는 필요에 따라 펌프의 진공압 측정 장비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펌프의 진공압 측정 장비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에어 누설 검사의 경우와는 달리 진공도 측정기(500)가 미세한 압력의 변화까지 감지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가 오리피스 구조체(200)를 필요에 따라 분리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상술한 오리피스 구조체(200)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진공 펌프 모듈, 150: 돌출 단부,
153: 전원 입력 버튼, 155: 충전 포트,
200: 오리피스 구조체, 300: 2방향 밸브,
350: 노브, 400: 측정관 구조체,
410: 제1 측정관, 420: 제2 측정관,
500: 진공도 측정기, 510: 디스플레이,
550: 연결관, 600: 캡 모듈,
610: 오링, 630: 외부관,
650: 개폐 밸브, 670: 고정구,
700: 하우징 구조체, 710: 상부 하우징,
711: 손잡이, 713: 체결구,
715: 결합 패널, 717: 제1 설치홀,
720: 하부 하우징, 721: 파지구,
723: 걸림구, 725: 결합 패널,
727: 제2 설치홀, 730: 회동구.

Claims (3)

  1. 진공 펌프 모듈(100);
    일단이 상기 진공 펌프 모듈(100)에 연결 설치되는 오리피스 구조체(200);
    일단이 상기 오리피스 구조체(200)에 연결 설치되고, 타단이 대기질 측정기의 샘플러와 연결되는 측정관 구조체(400); 및
    상기 측정관 구조체(400)에 연결 설치되는 진공도 측정기(500)
    를 포함하며,
    상기 측정관 구조체(400)의 타단에는 상기 대기질 측정기의 샘플러에 결합되는 캡 모듈(600)이 설치되고,
    상기 캡 모듈(600)에는 상기 측정관 구조체(400)와의 연통 상태를 조절하는 개폐 밸브(650)가 설치되며,
    상기 진공 펌프 모듈(100)과 상기 측정관 구조체(400)가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 하우징(720), 및 상기 진공도 측정기(500)와 상기 오리피스 구조체(200)가 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하부 하우징(720)에 포개어지도록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710)을 포함하는 하우징 구조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710)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설치홀(717)을 통해 상기 진공도 측정기(500)의 디스플레이(510)가 상기 상부 하우징(7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진공도 측정기(500)가 상기 제1 설치홀(717)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720)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설치홀(727)을 통해 상기 진공 펌프 모듈(100)의 전원 입력 버튼(153)과 충전 포트(155)가 상기 하부 하우징(72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진공 펌프 모듈(100)이 상기 제2 설치홀(727)에 삽입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 구조체에는 상기 캡 모듈(600)이 파지되는 파지구(721)가 구비되는 것인 에어 누설 검사 장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 구조체(200)는 2방향 밸브(300)를 통해 상기 측정관 구조체(400)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2방향 밸브(300)의 개폐를 조절하는 노브(350)가 상기 상부 하우징(710)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인 에어 누설 검사 장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관 구조체(400)의 타단에 진공압 측정 대상 펌프가 연결 설치되는 경우에 상기 오리피스 구조체(200)가 상기 에어 누설 검사 장비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오리피스 구조체(200)는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인 에어 누설 검사 장비.
KR1020210089710A 2021-07-08 2021-07-08 에어 누설 검사 장비 KR102356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710A KR102356976B1 (ko) 2021-07-08 2021-07-08 에어 누설 검사 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710A KR102356976B1 (ko) 2021-07-08 2021-07-08 에어 누설 검사 장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6976B1 true KR102356976B1 (ko) 2022-02-08

Family

ID=80252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9710A KR102356976B1 (ko) 2021-07-08 2021-07-08 에어 누설 검사 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697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5391U (ko) * 2012-03-06 2013-09-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배관의 밸브 장착상태 점검장치
JP2020535432A (ja) * 2017-09-29 2020-12-03 インフィコン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Inficon GmbH 漏洩個所から漏出する試験ガスを妨害ガスから区別する装置および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5391U (ko) * 2012-03-06 2013-09-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배관의 밸브 장착상태 점검장치
JP2020535432A (ja) * 2017-09-29 2020-12-03 インフィコン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Inficon GmbH 漏洩個所から漏出する試験ガスを妨害ガスから区別する装置および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1039B1 (ko) 천연 가스용 휴대형 수분 분석기
US20240142426A1 (en) Gas detection device
US20160223436A1 (en) Remote sampling bypass for a gas analyser
CN106053351A (zh) 一种原位烟气在线测量装置
CN206223757U (zh) 气体检测报警器的检定装置
CN108760188A (zh) 一种自动检测装置及系统
KR102356976B1 (ko) 에어 누설 검사 장비
US20130305814A1 (en)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air permeability of a building
CN210863071U (zh) 一种阀门密封性检测装置
CN100489498C (zh) 多参数空气质量快速测定仪
CN110146233A (zh) 气体泄漏检测装置
US20100104473A1 (en) Air sampling system and method for calibration
CN102829933B (zh) 光电仪器气密性检测仪
CN202814667U (zh) 光电仪器气密性检测仪
AU2020269633A1 (en) Portable gas analyzer
CN209858151U (zh) 气体泄漏检测装置
CN115791673A (zh) 校准轮、具有自动校准功能的气体分析仪及使用方法
CN215811476U (zh) 一种流量式气密测试装置
TWM638000U (zh) 氣體檢測系統
CN211452545U (zh) VOCs和氟化物采样器校准装置
CN208606964U (zh) 一种自动检测装置及系统
CN208704984U (zh) 一种六氟化硫检漏仪标定系统
EP0161931B1 (en) Gas analyzer
CN112858171A (zh) 一种不透光烟度计气路自动切换装置及自动切换方法
CN208171956U (zh) 用于气体检测仪检定的检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