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6817B1 - System for controlling toilet air circulation - Google Patents

System for controlling toilet air circul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6817B1
KR102356817B1 KR1020150027822A KR20150027822A KR102356817B1 KR 102356817 B1 KR102356817 B1 KR 102356817B1 KR 1020150027822 A KR1020150027822 A KR 1020150027822A KR 20150027822 A KR20150027822 A KR 20150027822A KR 102356817 B1 KR102356817 B1 KR 102356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toilet
odor
humidity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78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05561A (en
Inventor
김근환
안중근
박종현
김영표
정다운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7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6817B1/en
Publication of KR20160105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55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6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8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0Odou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공조 제어 시스템은, 화장실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공조기, 공조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공조기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공조기 제어부, 상기 화장실 내부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온도값을 출력하는 온도 센서, 상기 화장실 내부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여 습도값을 출력하는 습도 센서, 상기 화장실 내부의 냄새를 감지하여 냄새값을 출력하는 냄새 감지 센서 및 상기 온도값과 상기 습도값 및 상기 냄새값을 기초로 상기 화장실 내부 공조 지수를 산출하고, 상기 화장실 내부 공조 지수에 따른 공조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The toilet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ir conditioner that discharges air inside the toilet to the outside, an air conditioner controller that adjusts the rotation speed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air conditioner control signal, and senses the temperature of the air inside the toilet. a temperature sensor for outputting a temperature value, a humidity sensor for detecting the humidity of the air inside the toilet and outputting a humidity value, a odor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n odor inside the toilet and outputting an odor value, and the temperature value and the humidity value; and a controller for calculating the indoor air conditioning index of the bathroom based on the smell value and outputting an air conditioner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indoor air conditioning index.

Description

화장실 공조 제어 시스템{SYSTEM FOR CONTROLLING TOILET AIR CIRCULATION}Toilet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SYSTEM FOR CONTROLLING TOILET AIR CIRCULATION}

본 발명은 화장실 공조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일반적으로, 화장실 내부 환경은 화장실의 용도 특성상 습도 및 온도가 높고, 용변 후 냄새가 남아 있을 수 있어, 화장실 사용 전, 후 화장실의 냄새를 배출하고, 적절한 온도 및 습도가 되도록 조절하는 공조 시스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In general, the internal environment of the toilet has high humidity and temperature due to the nature of the use of the toilet, and odors may remain after using the toilet, so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n air conditioning system that discharges the smell of the toilet before and after using the toilet and controls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o that the appropriate temperature and humidity are obtained. is being demanded

종래에는, 화장실의 온도, 습도 내지는 냄새 유무에 상관없이 스위치가 온 되는 경우에만 환풍기를 동작시켜, 화장실 내의 온도, 습도 및 냄새에 따른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Conventional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create a comfortable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smell in the toilet by operating the fan only when the switch is turned on regardless of the temperature, humidity, or smell of the toilet.

하기의 특허문헌 1은 타이머를 이용한 화장실 환풍장치에 관한 것이나, 상술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1 relates to a toilet ventilation device using a timer, but does not provide a solution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81338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81338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온도, 습도 및 냄새에 따라 공조기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화장실 공조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throom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capable of adjusting the speed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emperature, humidity and smell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공조 제어 시스템은, 화장실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공조기, 공조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공조기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공조기 제어부, 상기 화장실 내부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온도값을 출력하는 온도 센서, 상기 화장실 내부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여 습도값을 출력하는 습도 센서, 상기 화장실 내부의 냄새를 감지하여 냄새값을 출력하는 냄새 감지 센서 및 상기 온도값과 상기 습도값 및 상기 냄새값을 기초로 상기 화장실 내부 공조 지수를 산출하고, 상기 화장실 내부 공조 지수에 따른 공조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The toilet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ir conditioner that discharges air inside the toilet to the outside, an air conditioner controller that adjusts the rotation speed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air conditioner control signal, and senses the temperature of the air inside the toilet. a temperature sensor for outputting a temperature value, a humidity sensor for detecting the humidity of the air inside the toilet and outputting a humidity value, a odor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n odor inside the toilet and outputting an odor value, and the temperature value and the humidity value; and a controller for calculating the indoor air conditioning index of the toilet based on the smell value and outputting an air conditioner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indoor air conditioning index.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값, 습도값 및 냄새값이 각각 기 설정된 지수별 온도 구간, 습도 구간 및 냄새 구간 중 어느 구간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온도값, 습도값 및 냄새값 각각에 대한 지수를 산출할 수 있으며, 상기 산출된 지수값 중 가장 큰 값을 상기 화장실 내부 공조 지수로 산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temperature value, the humidity value, and the smell value correspond to any of a preset index-specific temperature section, a humidity section, and a smell section, respectively, to determine the temperature value, humidity value and An index for each odor value may be calculated, and the largest value among the calculated index values may be calculated as the air conditioning index in the bathroom.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변기에의 착좌를 감지하는 착좌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좌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냄새값에 대응하는 지수값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may further include a seating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user's seating in the toilet, wherein the control unit, when the seating is sensed, to give weight to the index value corresponding to the smell value hav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냄새값이 기 설정된 냄새값을 초과하는 경우, 냄새 경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may output an odor warning signal when the odor value exceeds a preset odor valu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실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냄새 경보신호를 입력받아 표시하는 냄새 경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may further include an odor warning unit disposed outside the toilet, receiving the odor warning signal and displaying the received odor warning signal.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온도, 습도 및 냄새에 따라 공조기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어 화장실 내부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speed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emperature, humidity, and smell, so that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comfortable environment inside the bathroo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공조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공조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공조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 toilet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 toilet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 toilet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Howeve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in order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가 사용될 것이며,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Elements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and function in the drawings referenc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shapes and siz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earer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공조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 toilet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공조 제어 시스템은 공조기(10), 공조기 제어부(20), 온도 센서(30), 습도 센서(40), 냄새 감지 센서(50) 및 제어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the toilet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ir conditioner 10 , an air conditioner controller 20 , a temperature sensor 30 , a humidity sensor 40 , an odor sensor 50 and a controller (60) may be included.

공조기(10)는 화장실의 어느 일 면에 설치되어 화장실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여기서, 공조기(10)의 회전 속도는 공조기 제어부(60)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조기(10)는, 비록 도시되진 않았으나, 회전운동에 의해 화장실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토출하는 팬과 상기 팬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공조기 제어부(60)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등의 다양한 제어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10 may be installed on any one surface of the toilet to discharge the air inside the toilet to the outside. Here, the rotation speed of the air conditioner 10 may be adjusted by the air conditioner control unit 60 . In one embodiment, the air conditioner 10, although not shown, may include a fan that sucks air in the toilet by rotational movement and discharges it to the outside, and a motor that provides a rotational driving force to the fan. In this case, the air conditioner control unit 60 may adjust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by using various control methods such as PWM (Pulse Width Modulation).

공조기 제어부(20)는 제어부(60)로부터 입력되는 공조기 제어 신호에 따라 공조기(1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control unit 20 may adjust the rotation speed of the air conditioner 10 according to an air conditioner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control unit 60 .

온도 센서(30)는 화장실 내부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온도에 상응하는 온도값을 제어부(60)로 출력할 수 있다.
The temperature sensor 30 may detect the temperature of the air inside the toilet and output a temperature value corresponding to the sensed temperature to the controller 60 .

습도 센서(40)는 상기 화장실 내부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습도에 상응하는 습도값을 제어부(60)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온도 센서(30)와 습도 센서(40)는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습도 센서일 수 있다.
The humidity sensor 40 may detect the humidity of the air inside the toilet and output a humidity value corresponding to the sensed humidity to the controller 60 . In an embodiment, the temperature sensor 30 and the humidity sensor 40 may b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s capable of sensing temperature and humidity.

냄새 감지 센서(50)는 상기 화장실 내부 공기의 냄새를 감지하여 상기 냄새에 상응하는 냄새값을 제어부(60)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냄새 감지 센서(50)는 상기 화장실의 내부 공기 중 포함되어 있는 암모니아 가스를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냄새값은 상기 내부 공기 중 암모니아 가스 함유율(ppm)일 수 있다.
The smell sensor 50 may detect the smell of the air inside the toilet and output a smell value corresponding to the smell to the controller 60 . In one embodiment, the odor detection sensor 50 may detect ammonia gas contained in the internal air of the toilet, and the odor value may be an ammonia gas content (ppm) in the internal air.

제어부(60)는 온도 센서(30), 습도 센서(40), 냄새 감지 센서(50)로부터 입력되는 온도값, 습도값 및 냄새값을 기초로 화장실 내부 공조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는 상기 산출한 화장실 내부 공조 지수에 따른 공조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공조기 제어부(20)로 출력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60 may calculate the indoor air conditioning index of the bathroom based on the temperature value, humidity value, and smell value input from the temperature sensor 30 , the humidity sensor 40 , and the smell sensor 50 . Also, the control unit 60 may generate an air conditioner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calculated indoor air conditioning index and output the generated air conditioner control signal to the air conditioner control unit 20 .

여기서, 화장실 내부 공조 지수는 화장실 내부 공기의 온도값, 습도값 및 냄새값의 크기에 따라 공조가 필요한 정도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60)는 상기 화장실 내부 공조 지수가 클수록 공조기(10)가 더 빨리 회전하는 공조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공조기 제어부(20)로 출력할 수 있다.
Here, the indoor air conditioning index of the toilet indicates the degree of air conditioning requir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temperature value, humidity value, and smell value of the air inside the toilet. In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60 may generate an air conditioner control signal in which the air conditioner 10 rotates faster as the indoor air conditioning index increases, and output the generated air conditioner control signal to the air conditioner control unit 20 .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60)는 상기 온도값, 습도값 및 냄새값 각각에 대한 지수를 산출하고, 상기 지수값들 중 가장 큰 값을 화장실 내부 공조 지수로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온도값, 습도값 및 냄새값 각각에 대한 지수는 상기 값들이 미리 설정된 구간범위에 해당되는지 여부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60 may calculate an index for each of the temperature value, humidity value, and smell value, and calculate the largest value among the index values as an air conditioning index in the bathroom. Here, the indices for each of the temperature value, the humidity value, and the smell value may be calculated according to whether the values correspond to a preset section range.

표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60)의 화장실 공조 지수 산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표이다.
Table 1 is a table for explaining a method of calculating the toilet air conditioning index of the controller 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지수Indices 습도(%)humidity(%) 온도(℃)Temperature (℃) 냄새(ppm)Odor (ppm) 공조 제어 신호air conditioning control signal 1One 0 ~ 40 0 to 40 10 ~ 1910 to 19 00 정지stop 22 40 ~ 5040 to 50 19 ~ 2119 to 21 0 ~ 10 to 1 2400 RPM, 11m/s2400 RPM, 11 m/s 33 50 ~ 6050 to 60 21 ~ 2321 to 23 1 ~ 21 to 2 2800 RPM, 12m/s2800 RPM, 12 m/s 44 60 ~ 7060 to 70 23 ~ 2623 to 26 2 ~ 32-3 3200 RPM, 13m/s3200 RPM, 13 m/s 55 70 ~ 8070 to 80 26 ~ 2926 to 29 3 ~ 43 to 4 3600 RPM, 14m/s3600 RPM, 14 m/s 66 80 ~ 9080 to 90 29 ~ 32 29 to 32 4 ~ 54 to 5 4000 RPM, 15m/s4000 RPM, 15 m/s 77 90 ~ 10090 to 100 32 이상32 or more 5 이상5 or more 4000 RPM, 15m/s4000 RPM, 15 m/s

예를 들면, 온도 센서(30)로부터 입력되는 온도값이 25℃ 인 경우, 제어부(60)는 상기 온도값에 대한 구간 범위를 참조하여 4를 지수값으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습도 센서(40)로부터 입력되는 습도값이 54 %인 경우, 제어부(60)는 습도값에 대한 구간 범위를 참조하여 3을 지수값으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냄새 감지 센서(50)로부터 입력되는 냄새값이 4.7 ppm 인 경우, 6을 지수값으로 산출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temperature value input from the temperature sensor 30 is 25°C, the controller 60 may calculate 4 as an exponential value with reference to the range of the temperature value. Also, when the humidity value input from the humidity sensor 40 is 54%, the controller 60 may calculate 3 as an exponential value with reference to the range of the humidity value. Also, when the odor value input from the odor detection sensor 50 is 4.7 ppm, 6 may be calculated as an index value.

이 경우, 제어부(60)는 상기 산출한 온도에 대한 지수값 4, 습도에 대한 지수값 3, 냄새에 대한 지수값 6 중 가장큰 지수값인 6을 화장실 공조 지수로 산출할 수 있으며, 지수값 6에 대응되는 회전수 또는 회전 속도인 4000 RPM, 15m/s을 지령회전수 또는 지령 회전속도로 하는 공조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공조기 제어부(20)로 출력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ntroller 60 may calculate the largest index value 6 among the calculated index value 4 for temperature, index value 3 for humidity, and index value 6 for smell as the toilet air conditioning index, and the index value An air conditioner control signal using 4000 RPM, 15 m/s, which is the rotation speed or rotation speed corresponding to 6 as the command rotation speed or the command rotation speed, may be generated and output to the air conditioner control unit 20 .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60)는 온도값, 습도값 및 냄새값 각각에 대해 산출한 지수값의 평균값을 화장실 공조 지수로 산출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ler 60 may calculate an average value of the index values calculated for each of the temperature value, the humidity value, and the smell value as the toilet air conditioning index.

제어부(60)는 일정한 시간마다 상기 화장실 공조 지수를 산출할 수 있으며, 상기 산출한 화장실 공조 지수에 대응하는 공조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공조기 제어부(20)로 출력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60 may calculate the toilet air conditioning index at regular intervals, and may generate an air conditioner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alculated toilet air conditioning index and output it to the air conditioner controller 20 .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6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싱 유닛은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메모리(1120)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6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ing unit and a memory. Here, the processing unit may include, for exampl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graphic processing unit (GPU), a microprocessor,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 etc., It may have a plurality of cores. The memory 1120 may be a volatile memory (eg, RAM, etc.), a non-volatile memory (eg, ROM, flash memory, etc.), or a combination thereof.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공조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 toilet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공조 제어 시스템은 착좌 감지 센서(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toilet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ating sensor 70 .

착좌 감지 센서(70)는 변기 시트에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변기에의 착좌를 감지하여 착좌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제어부(60)로 출력할 수 있다.
The seating detection sensor 70 may be installed on the toilet seat, detect a user's seating in the toilet, generate a seating detection signal, and output it to the controller 60 .

제어부(60)는 착좌 감지 센서(70)로부터 착좌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산출한 냄새에 대한 지수값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When a seating detec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seating detection sensor 70 , the control unit 60 may assign a weight to the calculated index value for the smell.

예를 들면, 상기 냄새에 대한 지수값이 4인 경우, 착좌 감지 센서(70)로부터 착좌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지수값에 가중치(+2)를 부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냄세에 대한 지수값은 6이 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index value for the smell is 4, when a seating detec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seating detection sensor 70, a weight (+2) may be given to the index value. In this case, the smell The exponent value for can be 6.

그 외의 구성는 전술한 기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Since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basic embodiment, the rest of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공조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 toilet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 공조 제어 시스템은 냄새 경보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the toilet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odor alarm unit 80 .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60)는 냄새 감지 센서(50)로부터 입력되는 냄새값이 기 설정된 냄새값을 초과하는 경우, 냄새 경보신호를 생성하여 냄새 경보부(80)로 출력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when the odor value input from the odor detection sensor 50 exceeds a preset odor value, the controller 60 may generate an odor alarm signal and output it to the odor alarm unit 80 .

냄새 경보부(80)는 제어부(60)로부터 냄새 경보신호를 수신하면, 화장실 내부 공기에 일정량 이상의 암모니아 기체 등의 가스가 포함되어 있음을 시각적 또는 청각적인 수단을 이용하여 냄새경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When the odor alarm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60, the odor alarm unit 80 may output an odor alarm signal using visual or auditory means to indicate that a certain amount of gas such as ammonia gas is contained in the air inside the toilet. .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is limi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recognize that it can be changed and modified.

10: 공조기
20: 공조기 제어부
30: 온도 센서
40: 습도 센서
50: 냄새 감지 센서
60: 제어부
70: 착좌 감지 센서
80: 냄새 경보부
10: air conditioner
20: air conditioner control unit
30: temperature sensor
40: humidity sensor
50: odor detection sensor
60: control unit
70: seated detection sensor
80: odor alarm unit

Claims (5)

화장실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공조기;
공조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공조기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공조기 제어부;
상기 화장실 내부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온도값을 출력하는 온도 센서;
상기 화장실 내부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여 습도값을 출력하는 습도 센서;
상기 화장실 내부의 냄새를 감지하여 냄새값을 출력하는 냄새 감지 센서; 및
상기 온도값과 상기 습도값 및 상기 냄새값을 기초로 상기 화장실 내부 공조 지수를 산출하고, 상기 화장실 내부 공조 지수에 따른 공조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값, 습도값 및 냄새값이 각각 기 설정된 지수별 온도 구간, 습도 구간 및 냄새 구간 중 어느 구간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온도값, 습도값 및 냄새값 각각에 대한 지수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지수값 중 가장 큰 값을 상기 화장실 내부 공조 지수로 산출하는 화장실 공조 제어 시스템.
an air conditioner that discharges the air inside the toilet to the outside;
an air conditioner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air conditioner control signal;
a temperature sens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 inside the toilet and outputting a temperature value;
a humidity sensor for detecting the humidity of the air inside the toilet and outputting a humidity value;
a odor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n odor inside the toilet and outputting a odor value; and
A control unit for calculating the air conditioning index inside the bathroom based on the temperature value, the humidity value, and the smell value, and outputting an air conditioner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air conditioning index inside the bathroom;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temperature value, humidity value, and odor value correspond to any of the preset temperature section, humidity section, and smell section for each preset index, and indexes for each of the temperature value, humidity value, and smell value , and a bathroom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for calculating the largest value among the calculated index values as the bathroom internal air conditioning index.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변기에의 착좌를 감지하는 착좌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착좌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냄새값에 대응하는 지수값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화장실 공조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ating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user's seating on the toilet,
The control unit, when the seating is sensed, a toilet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for giving weight to the index value corresponding to the smell valu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냄새값이 기 설정된 냄새값을 초과하는 경우, 냄새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화장실 공조 제어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A toilet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for outputting an odor alarm signal when the odor value exceeds a preset odor valu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실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냄새 경보신호를 입력받아 표시하는 냄새 경보부를 더 포함하는 화장실 공조 제어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toilet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which is disposed outside the toilet, further comprising an odor alarm unit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the odor alarm signal.

KR1020150027822A 2015-02-27 2015-02-27 System for controlling toilet air circulation KR1023568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822A KR102356817B1 (en) 2015-02-27 2015-02-27 System for controlling toilet air circul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822A KR102356817B1 (en) 2015-02-27 2015-02-27 System for controlling toilet air circul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5561A KR20160105561A (en) 2016-09-07
KR102356817B1 true KR102356817B1 (en) 2022-02-03

Family

ID=56949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7822A KR102356817B1 (en) 2015-02-27 2015-02-27 System for controlling toilet air circul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681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3955B1 (en) * 2022-01-05 2022-10-26 이지영 Toilet air circula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346B1 (en) * 2007-12-07 2009-12-08 (주)유알엔디 Indoor air quality detection device by space
KR20120081338A (en) 2011-01-11 2012-07-19 최훈규 Timer ventilation fa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5561A (en) 2016-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91688A3 (en) Thermostat with exhaust fan control for air quality and humidity control
MX2016008206A (en) Electrical device with filter mesh blockage detection function.
WO2014045163A3 (en) A unified controller for integrated lighting, shading and thermostat control
WO2013153480A3 (en) A unifed controller for integrated lighting, shading and thermostat control
WO2015089295A3 (en) Comfortable, energy-efficient control of 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CN109237717B (en) Air conditioner electric heating thermal protection method and device and air conditioner
JP7136535B2 (en) Fan device with learning mode
KR102356817B1 (en) System for controlling toilet air circulation
US9249988B2 (en) Direct vent/power vent water heater and method of testing for safety thereof
KR101285289B1 (en) Rangehood auto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using thereof
KR20160048241A (en) Smart air car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6506053A5 (en)
JP2012047354A (en) Control device of air treatment equipment
NZ731322A (en) Duct type air conditioning system
JP2014232949A5 (en)
JP6520226B2 (en) Air conditioner
CN112406455A (en) Air conditioning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vehicle
PH12019000267A1 (en) Fan control apparatus and fan control method
JP2016173193A (en) Range hood
RU2015120779A (en) VEHICLE, VEHICLE COOLING SYSTEM AND METHOD
JP2008265504A (en) Vehicular air conditioner
KR100666719B1 (en) Control device of Air cleaner interworking with air conditioner
JP2012141109A (en) Ventilation device
CN103615784B (en) The checkout gear detecting annular regional temperature that air-conditioning uses
KR100758105B1 (en) Blower control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