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6031B1 - Nursing robot apparatus - Google Patents

Nursing robot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6031B1
KR102356031B1 KR1020200091773A KR20200091773A KR102356031B1 KR 102356031 B1 KR102356031 B1 KR 102356031B1 KR 1020200091773 A KR1020200091773 A KR 1020200091773A KR 20200091773 A KR20200091773 A KR 20200091773A KR 102356031 B1 KR102356031 B1 KR 102356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guide plate
light guide
shielding
steril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17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병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신지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신지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신지엘
Priority to KR1020200091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603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6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0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B25J11/009Nursing, e.g. carrying sick persons, pushing wheelchairs, distributing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 B25J13/081Touching devices, e.g. pressure-sensi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058Means for cleaning manipulators, e.g. dust remo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07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mounted on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9Constructional details, e.g. manipulator supports, b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6Mobile applications, e.g. portable devices, trailers, devices mounted o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A nursing robot device having a self-sterilizing function is provided. The nursing robot device comprises: a body; a driving module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body to support the body and formed with a plurality of driving wheels in rolling contact with the floor; a display terminal that includes a display modul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dy above the driving module and having a touch screen panel that can be operated by a touch method on the front, a first light guide plate of a transparent material overlapping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and adhering to the touch screen panel, and a first sterilization module including a first UV light source for injecting UV light from the side of the first light guide plate to the first light guide plate; and a medical box that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above the driving module, and includes a shielding module having a receiving space formed therein and consisting of an openable enclosure.

Description

간호용 로봇장치{Nursing robot apparatus}Nursing robot apparatus

본 발명은 간호용 로봇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체 살균기능을 갖는 간호용 로봇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ursing robo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nursing robot device having a self-sterilizing function.

자동화된 로봇 시스템은 산업분야 전반에 걸쳐 적용되고 있으며 의료분야도 예외는 아니다. 종전에는 정밀하고 긴밀한 상호작용이 필요한 의료분야에 보다 한정적으로 로봇 기술이 적용되었지만, 관련기술이 발달하면서 여러 다양한 방면으로 적용범위가 확장되고 있다.Automated robotic systems are being applied across industries, and the medical field is no exception. In the past, robot technology was applied more limitedly to the medical field requiring precise and close interaction, but as the related technology develops, the scope of application is expanding in various fields.

예를 들어, 환자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거나, 환자에게 접근하여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거나, 환자의 간단한 생체데이터를 얻는 등의 여러 가지 작업을 로봇이 보조할 수 있다. 즉, 고도화된 의료시술 외에 의료진들이 반복적, 일상적으로 수행하여야 하는 다양한 업무를 로봇이 대신할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10-2017-0011395 등에 이와 관련된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For example, robots can assist in various tasks, such as continuously monitoring a patient, approaching a patient and delivering necessary information, or obtaining simple biometric data from a patient. In other words, in addition to advanced medical procedures, robots can replace various tasks that medical staff must perform repeatedly and on a daily basis. Korean Patent 10-2017-0011395 and the like are disclosed related technologies.

이러한 로봇을 사용함으로써 의료진의 업무부담이 경감되고 환자와도 보다 긴밀한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지만, 그에 따른 문제점도 함께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염병 등이 유행하는 경우 로봇이 불특정 다수와 반복적으로 접촉하면서 병원 내 감염병의 매개체가 될 우려도 존재한다. 또한, 굳이 감염병 등을 고려하지 않더라도 의료기관 내에 배치되는 로봇의 위생을 확보하는 문제는 새로운 의료기술의 발전과 관련된 매우 중요한 문제 중 하나라 할 수 있다.By using such a robot, the burden of the medical staff can be reduced and close communication with the patient can be achieved, but problems may also occur. For example, when an infectious disease is prevalent, there is a risk that the robot will repeatedly contact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and become a carrier of an infectious disease in a hospital. In addition, even if infectious diseases are not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problem of securing the hygiene of robots deployed in medical institutions is one of the very important problem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new medical technology.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11395호, (2017. 02. 02)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11395, (2017. 02. 02)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체 살균기능을 갖는 간호용 로봇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problem, and to provide a nursing robot device having a self-sterilizing function.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과 같은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를 통해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rough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에 의한 간호용 로봇은, 몸체; 상기 몸체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를 지지하며 바닥과 구름접촉하는 복수의 주행바퀴가 형성된 주행모듈; 상기 주행모듈 상방의 상기 몸체 일 측에 배치되며, 터치 방식으로 조작 가능한 터치스크린 패널이 전면에 형성된 디스플레이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전면에 중첩되며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에 밀착되는 투명한 재질의 제1도광판과, 상기 제1도광판의 측면에서 상기 제1도광판으로 자외선광을 입사시키는 제1자외선광원이 포함된 제1살균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터미널; 및 상기 주행모듈 상방의 상기 몸체 타 측에 배치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개폐 가능한 함체로 이루어진 차폐모듈이 포함된 메디컬박스를 포함한다.A nursing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a driving modul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body to support the body and having a plurality of driving wheels in rolling contact with the floor; A display modul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dy above the driving module and having a touch screen panel operable by a touch method on its front surface, and a first light guide plat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overlapping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and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panel and a display terminal including a first sterilization module including a first ultraviolet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ultraviolet light from a side surface of the first light guide plate to the first light guide plate; and a medical box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above the traveling module, and including a shielding module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therein and an openable and openable enclosure.

상기 제1살균모듈은, 상기 제1도광판을 둘러싸 고정시키는 프레임과,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입출되며 상기 제1도광판의 외측에 중첩되어 상기 제1도광판의 전면으로 방출되는 자외선광을 차폐시키는 가동식차폐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terilization module includes a frame that surrounds and fixes the first light guide plate, and at least a part of it is moved in and out of the frame and overlaps the outside of the first light guide plate to shield ultraviolet light emitted to the front of the first light guide plate. It may further include a shielding unit.

상기 가동식차폐유닛은, 상기 프레임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도광판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권취축, 상기 권취축에 연결되어 권취 또는 권출되며 상기 제1도광판에 중첩되는 차폐커튼,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서 상기 권취축과 수직하게 상기 제1도광판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 사이로 연장되고 일 측이 상기 차폐커튼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차폐커튼을 견인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벨트, 및 상기 구동벨트의 회전을 제어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vable shielding unit may include a winding shaft rotatably disposed inside the frame and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first light guide plate, a shielding curtain connected to the winding shaft to be wound or unwound, and overlapping the first light guide plate, the frame; at least one driving belt extending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ght guide plate perpendicular to the winding shaft inside of It may include a motor to control the.

상기 권취축에 연결되며 상기 권취축의 회전에 대응하여 반대방향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토션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torsion spring connected to the take-up shaft to generate a restoring force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take-up shaft.

상기 모터 및 상기 제1자외선광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시점을 조절하여 상기 제1자외선광원 동작 전에 상기 차폐커튼을 권출시키는 제어를 하는 자동제어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otor and the first ultraviolet light source may further include an automatic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unwinding of the shielding curtain before the operation by adjusting the operation tim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ultraviolet light source.

상기 자동제어모듈은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로부터 전송되는 터치신호의 발생간격, 외부광을 감지하는 광센서의 측정값, 및 기설정된 작동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차폐커튼 및 상기 제1자외선광원을 자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The automatic control module monitors at least any one of a generation interval of a touch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ouch screen panel, a measurement value of an optical sensor for detecting external light, and a preset operation time to monitor the shielding curtain and the first UV light source can be activated automatically.

상기 메디컬박스는, 상기 차폐모듈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으로 자외선광을 조사하는 제2살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dical box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terilization module disposed inside the shielding module to irradiate ultraviolet light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상기 메디컬박스는, 상기 차폐모듈의 수용공간의 일 측에 사람의 손가락과 접촉하여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생체신호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dical box may further include a bio-signal measuring unit measuring a bio-signal by contacting a human finger on one side of the receiving space of the shielding module.

상기 제2살균모듈은, 상기 차폐모듈의 수용공간 상부를 덮는 커버의 내면에 밀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바라보게 배치되는 제2도광판, 및 상기 제2도광판의 측면에서 상기 제2도광판으로 자외선광을 입사시키는 제2자외선광원을 포함하여, 상기 제2도광판의 전면으로 자외선광을 확산시켜 방출할 수 있다.The second sterilization module includes a second light guide plate disposed to face the accommodation spac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shielding module, and ultraviolet light from the side of the second light guide plate to the second light guide plate Including a second UV light source to be incident, the UV light may be diffused and emitt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light guide plate.

본 발명에 의하면, 주행 가능한 간호용 로봇으로 각종 의료 업무를 편리하게 지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로봇의 업무지원 시 불특정 다수와 집중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는 로봇의 디스플레이나 터치스크린 등의 부위는 자체적으로 살균되므로 로봇과 불특정 다수의 위생까지 함께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 등에 한정되지 않고 환자나 의료진 등이 자주 접촉하는 로봇의 센서나 의료함 등과 같은 부위도 역시 자체적으로 살균되도록 하여 위생을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로봇은 살균부위를 자동적으로 차폐한 상태로 짧은 시간 동안 높은 강도로 살균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살균작용으로부터 사람을 보호하는 동시에, 빠른 시간에 높은 위생상태를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신속하게 업무로 복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various medical tasks be conveniently supported with a drivable nursing robot, but also parts such as the display or touch screen of the robot that are in intensive contact with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when the robot is supported are sterilized by itself.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sanitation of a robot and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together. In addition, it is not limited to the touch screen, and it is possible to ensure hygiene by sterilizing parts such as sensors or medical boxes of robots that patients or medical staff frequently come into contact with. In addition, the robot can perform sterilization at high intensity for a short period of time while automatically shielding the sterilization area, thereby protecting people from sterilization, ensuring high hygiene in a short time, and returning to work quickly. can d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간호용 로봇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간호용 로봇의 디스플레이 터미널에 포함된 제1살균모듈의 내부구조 및 A-A' 단면을 디스플레이모듈과 함께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1살균모듈의 B-B' 단면을 디스플레이모듈과 함께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제1살균모듈의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6은 도 1의 간호용 로봇의 메디컬박스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메디컬박스를 분해하여 내부구조를 보인 분해도이다.
도 8은 도 1의 간호용 로봇의 사용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nursing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and AA′ section of the first sterilization module included in the display terminal of the nursing robot of FIG. 1 together with the display module.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BB′ section of the first sterilization module of FIG. 2 together with the display module.
4 and 5 are operational diagram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sterilization module shown in FIGS. 2 and 3 .
6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medical box of the nursing robot of FIG. 1 .
7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medical box of FIG.
8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use of the nursing robot of FIG. 1 .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간호용 로봇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nursing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간호용 로봇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nursing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간호용 로봇(1)은 주행모듈(20)이 형성되어 자율적으로 움직이며 다양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간호용 로봇(1)은 의료진이나 환자가 필요로 하는 곳으로 이동하여 적절한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의료진의 업무를 분담하거나 보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호용 로봇(1)은 일 측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터미널(100)을 통해 의료진이 필요로 하는 각종 정보나 환자에게 제공할 정보 등을 적시에 출력하여 보여줄 수 있으며 의료적 진단이나 시술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의료진이 기록하고자 하는 내용을 입력 받고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의료진과 독립적으로 환자들을 방문하면서 원거리에서 의료진과 환자를 소통시켜주거나 환자들에게 필요한 조치를 가이드 해 줄 수도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터미널(100)과 함께 배치된 메디컬박스(200)를 이용하여 의료용 샘플을 운반하거나, 필요한 의료기구를 의료진이나 환자에게 공급해 줄 수도 있으며, 환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의료진에게 전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간호용 로봇(1)은 기본적으로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터미널(100)과 메디컬박스(200)를 포함하지만, 그 외에도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다른 형태의 의료장비 등을 추가로 배치하여 원하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the nursing robo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raveling module 20 formed therein to move autonomously and move to various positions. The nursing robot 1 may move to a place needed by medical staff or patients to provide appropriate assistance, and may divide or assist the medical staff. For example, the nursing robot 1 can display and output various information required by medical staff or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patients in a timely manner through the display terminal 100 disposed on one side, and medical diagnosis or treatment During this process, the medical staff may input and store the information they want to record. In addition, while visiting patients independently of the medical staff,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the medical staff and patients from a distance or guide the necessary measures to the patients. In addition, by using the medical box 200 disposed together with the display terminal 100, a medical sample may be transported, a necessary medical device may be supplied to a medical staff or a patient, and the patient's bio-signals may be measured and delivered to the medical staff. . The nursing robot 1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includes such a display terminal 100 and a medical box 200. can be used

특히, 간호용 로봇(1)은 디스플레이 터미널(100)에 제1살균모듈(100b)이 형성되어 있어 의료진, 환자 또는 의료기관의 방문객 등 불특정 다수와 잦은 접촉이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 터미널(100)을 자체 살균하고 감염병 등에 대응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높은 위생수준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터미널(100)과 함께 배치되는 메디컬박스(200)에도 제2살균모듈(200b)과 같은 또 다른 살균시설을 중복 배치하여 역시 자체적으로 살균을 진행하고 높은 위생수준을 확보할 수 있다. 간호용 로봇(1)의 제1살균모듈(100b)을 포함하는 살균시설들은 단파장, 고주파수의 자외선광을 사용하여 단시간에 강력한 살균작용을 나타낼 수 있으며 특히, 이러한 고에너지 자외선광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효과적으로 차폐할 수 있어 단시간에 보다 안전한 살균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nursing robot 1 has a first sterilization module 100b formed in the display terminal 100 to self-sterilize the display terminal 100, which is in frequent contact with an unspecified number of medical staff, patients, or visitors to medical institutions. It can respond to infectious diseases, etc., and through this, high hygiene standards can be secured. In addition, another sterilization facility such as the second sterilization module 200b is overlapped in the medical box 200 disposed together with the display terminal 100 to sterilize itself and secure a high level of hygiene. Sterilization facilities including the first sterilization module 100b of the nursing robot 1 can exhibit a strong sterilization action in a short time using ultraviolet light of short wavelength and high frequency, and in particular, such high energy ultraviolet ligh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It can be effectively shielded from the inside out, enabling safer sterilization in a short time.

이러한 본 발명의 간호용 로봇(1)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간호용 로봇(1)은, 몸체(10), 몸체(10)의 하단에 연결되어 몸체(10)를 지지하며 바닥과 구름접촉하는 복수의 주행바퀴(21)가 형성된 주행모듈(20), 주행모듈(20) 상방의 몸체(10) 일 측에 배치되며, 터치 방식으로 조작 가능한 터치스크린 패널(도 2 내지 도 5의 101참조)이 전면에 형성된 디스플레이모듈(100a), 및 디스플레이모듈(100a)의 전면에 중첩되며 터치스크린 패널(101)에 밀착되는 투명한 재질의 제1도광판(105)과, 제1도광판(105)의 측면에서 제1도광판(105)으로 자외선광을 입사시키는 제1자외선광원(도 2의 106참조)이 포함된 제1살균모듈(100b)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터미널(100), 및 주행모듈(20) 상방의 몸체(10) 타 측에 배치되며, 내부에 수용공간(204)이 형성되고 개폐 가능한 함체로 이루어진 차폐모듈(200a)이 포함된 메디컬박스(200)를 포함한다. The nursing robot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pecifically configured as follows. The nursing robot 1 includes a body 10, a traveling module 20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body 10 to support the body 10, and a plurality of traveling wheels 21 formed in rolling contact with the floor, the traveling module 20, and traveling A display module 100a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dy 10 above the module 20 and having a touch screen panel (refer to 101 in FIGS. 2 to 5) that can be operated by a touch method is formed on the front side, and the display module 100a A first light guide plate 105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overlapping the front surface of the touch screen panel 101 and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panel 101, and a first ultraviolet light source for injecting ultraviolet light from the side of the first light guide plate 105 to the first light guide plate 105 (See 106 in FIG. 2)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10 above the display terminal 100, and the driving module 20, including the first sterilization module 100b including the receiving space 204 therein. ) is formed and includes a medical box 200 including a shielding module 200a made of an openable and openable enclosu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메디컬박스(200)는, 차폐모듈(200a)의 수용공간(204)의 일 측에 사람의 손가락과 접촉하여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생체신호측정부(205)와, 차폐모듈(200a)의 내부에 배치되어 수용공간(204)으로 자외선광을 조사하는 제2살균모듈(200b)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1살균모듈(100b)은, 제1도광판(105)을 둘러싸 고정시키는 프레임(103)과, 적어도 일부가 프레임(103)으로부터 입출되며 제1도광판(105)의 외측에 중첩되어 제1도광판(105)의 전면으로 방출되는 자외선광을 차폐시키는 가동식차폐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동식차폐유닛은, 차폐커튼(10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조로서 별도의 부호는 생략하고 차폐커튼(107)을 포함하는 세부구조를 직접 지칭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먼저 주행모듈(20)과 몸체(10)의 배치구조 등을 상세히 설명하고, 이후, 이를 바탕으로 제1살균모듈(100b)이 형성된 디스플레이 터미널(100)과, 제2살균모듈(200b)이 형성된 메디컬박스(20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dical box 200 includes a bio-signal measuring unit 205 that measures a bio-signal by contacting a person's finger on one side of the receiving space 204 of the shielding module 200a;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terilization module 200b disposed inside the shielding module 200a and irradiating ultraviolet light to the receiving space 204 , and the first sterilization module 100b includes a first light guide plate 105 . A frame 103 surrounding and fixing the frame 103, at least a part of which is inserted into and out of the frame 103, overlaps the outside of the first light guide plate 105, and a movable shielding unit that shields the ultraviolet light emitted to the front of the first light guide plate 105 may further include. In this embodiment, the movable shielding unit, as a structure including the shielding curtain 107 , will be described by directly referring to the detailed structure including the shielding curtain 107 , while omitting a separate sign. Hereinafter,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driving module 20 and the body 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 and then, based on this, the display terminal 100 in which the first sterilization module 100b is formed, and the second The medical box 200 in which the sterilization module 200b is forme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주행모듈(20)은 몸체(10)의 하단에 연결되어 몸체(10)를 지지한다. 주행모듈(20)은 복수의 주행바퀴(21)가 형성되어 있어 주행바퀴(21)로 주행하면서 몸체(10)를 다양한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다. 주행모듈(20)과 몸체(10)는 서로 움직이지 않게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 둘 사이에 관절 등을 형성하여 회전동작 등 상대적인 움직임이 가능하게 결합할 수도 있다. 몸체(10)는 주행모듈(20) 상방으로 일정 높이까지 연장될 수 있고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터미널(100)이나 메디컬박스(200) 등을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10)는 특별한 제약 없이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 터미널(100) 등 다른 구성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환자나 의료진 등의 접근이 용이한 다양한 형상의 몸체(10)를 형성하여 주행모듈(20) 상방에 배치할 수 있다.The traveling module 20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body 10 to support the body 10 . The driving module 2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riving wheels 21 so that the body 10 can be moved to various places while driving with the driving wheels 21 . The traveling module 20 and the body 10 may be fixed so as not to move with each other, but if necessary, a joint or the like may be formed between the two to enable relative movement such as rotation. The body 10 may extend up to a predetermined height above the driving module 20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capable of supporting the display terminal 100 or the medical box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body 10 can be deformed into various shapes without any special restrictions. The body 10 of various shapes that stably supports other components such as the display terminal 100 and is easy to access by patients or medical staff may be formed and disposed above the driving module 20 .

주행모듈(20)은 예를 들어, 하우징 내부에 주행바퀴(21) 등을 탑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주행바퀴(21)는 서보모터 등에 의해 회전동작이 자유롭게 제어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주행바퀴(21)의 배열상태를 유기적으로 바꿈으로써 다양한 방향으로 주행모듈(20)을 진행시킬 수 있다. 주행모듈(20)과 몸체(10)에는 다양한 센서들을 포함하는 센서부(22)가 형성되어 이동 시 장애물을 감지하고, 자세를 파악하며, 동적 위치를 감지하여 자율주행에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22)는 레이저 펄스의 반사시간 등으로부터 장애물과 지형지물을 측정하고 맵핑하는 360도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센서, 적외선을 이용한 삼각 측량방식 등으로 거리정보를 제공하는 PSD(position sensitive detector)센서, 주행모듈(20)과 몸체(10) 등의 정렬상태와 자세변동을 감지하는 3축 자이로(gyro)센서, 위치좌표를 제공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센서와 같은 여러 가지 센서들을 탑재하고 있을 수 있다. 간호용 로봇(1)은 예를 들어, 몸체(10)나 주행모듈(20) 등에 배치된 통합제어컴퓨터 등으로 이들 센서로부터 얻어진 데이터와 입력된 좌표를 통합 연산하고 동적으로 경로를 바꾸며 주행모듈(20)을 동작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자율적으로 주행하여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고 다시 이동경로를 바꾸어 주행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도면 상의 센서부(22)는 이러한 센서들의 배치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일 뿐이므로 그로써 한정될 필요는 없다.The driving module 20 may be formed, for example, in a form in which the driving wheels 21 and the like are mounted inside the housing. The driving wheel 21 can freely control the rotational operation by a servo motor or the like, and by organically changing the arrangement of different driving wheels 21, the driving module 20 can be advanced in various directions. A sensor unit 22 including various sensors is formed in the driving module 20 and the body 10 to detect obstacles during movement, determine posture, and detect a dynamic location to reflect it in autonomous driving. For example, the sensor unit 22 provides distance information using a 360-degree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sensor that measures and maps obstacles and features from the reflection time of a laser pulse, or a triangulation method using infrared rays. Such as a position sensitive detector (PSD) sensor, a three-axis gyro sensor that detects changes in the alignment and posture of the driving module 20 and the body 10, and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ensor that provides position coordinates It may be equipped with several sensors. The nursing robot 1 is, for example, an integrated control computer disposed on the body 10 or the driving module 20, etc., and integrates the data obtained from these sensors and the input coordinates, and dynamically changes the route, and the driving module ( 20) can be operated. Through this, the process of autonomously driving, moving to a desired location, and changing the movement path again can be repeated. Since the sensor unit 22 in the drawing is merely an example of the arrangement of these sensors, there is no need to be limited thereto.

디스플레이 터미널(100)은 이러한 주행모듈(20)에 의해 지지되는 몸체(10)의 일 측에 배치되며 메디컬박스(200)는 몸체(10)의 타 측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 터미널(100)은 몸체(10)의 상단부 측에 연결넥(102) 등으로 결합하여 시인성을 높일 수 있고, 메디컬박스(200)는 사람의 손 등이 접근하기 용이한 높이로 디스플레이 터미널(100)보다는 낮게 배치할 수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몸체(10)의 형상을 다양하게 바꾸어 주고 또 다른 적합한 위치에 디스플레이 터미널(100)과 메디컬박스(200)를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것처럼 간호용 로봇(1)에 또 다른 의료장비(예를 들어, 매니퓰레이터나, 각종 시술기구와 같은 다양한 장비일 수 있다)가 추가로 배치되는 경우, 해당 장비의 구조, 결합되는 위치 등을 감안하여 적절한 형태로 몸체(10)를 변경하고 디스플레이 터미널(100)과 메디컬박스(200) 등의 위치도 바꾸어 줄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제1살균모듈(100b)이 형성된 디스플레이 터미널(100)과, 제2살균모듈(200b)이 형성된 메디컬박스(200)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The display terminal 10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dy 10 supported by the driving module 20 , and the medical box 200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10 . Preferably, the display terminal 10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side of the body 10 with a connection neck 102, etc. to increase visibility, and the medical box 200 is at a height that is easy to access by a human hand or the like. It may be disposed lower than the display terminal 100 . However, there is no need to be limited as such, and the shape of the body 10 may be variously changed as necessary, and the display terminal 100 and the medical box 200 may be disposed at another suitable position. For example, when another medical equipment (for example, it may be a manipulator or various equipment such as various surgical instruments) is additionally disposed in the nursing robot 1 as described above, the structure and combination of the equipment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body 10 to an appropriate shape in consideration of the location and the like, and also change the positions of the display terminal 100 and the medical box 200 . Hereinafter, the display terminal 100 in which the first sterilization module 100b is formed and the medical box 200 in which the second sterilization module 200b is forme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7 .

도 2는 도 1의 간호용 로봇의 디스플레이 터미널에 포함된 제1살균모듈의 내부구조 및 A-A' 단면을 디스플레이모듈과 함께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제1살균모듈의 B-B' 단면을 디스플레이모듈과 함께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and AA′ cross-section of the first sterilization module included in the display terminal of the nursing robot of FIG. 1 together with the display module, and FIG.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isplay module together.

디스플레이 터미널(100)은 도 2의 (b)와 같이 디스플레이모듈(100a)과 제1살균모듈(100b)이 밀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100a)은 전면에 터치스크린 패널(101)이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터치스크린 패널(101)을 포함하는 일종의 컴퓨터 장치일 수 있다. 전술한 연결넥(도 1의 102참조)은 디스플레이모듈(100a)의 배면 등에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살균모듈(100b)은 도 2의 (b)와 같이 디스플레이모듈(100a)의 전면에 중첩되며 터치스크린 패널(101)에 밀착되는 투명한 재질의 제1도광판(105)과, 도 2의 (a)와 같이 제1도광판(105)의 측면에서 제1도광판(105)으로 자외선광을 입사시키는 제1자외선광원(106)을 포함한다. 또한, 도 2의 (a)와 같이 제1도광판(105)을 둘러싸 고정시키는 프레임(103)과, 적어도 일부가 프레임(103)으로부터 입출되며 제1도광판(105)의 외측에 중첩되어 제1도광판(105)의 전면으로 방출되는 자외선광을 차폐시키는 가동식차폐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terminal 100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display module 100a and the first sterilization module 100b are closely attached as shown in FIG. 2B . The display module 100a may be a kind of computer device including the touch screen panel 101, in which the touch screen panel 101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The aforementioned connection neck (refer to 102 of FIG. 1 ) may be supported by being connect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00a. Specifically, the first sterilization module 100b includes a first light guide plate 105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at overlaps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100a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panel 101 as shown in FIG. As shown in (a) of 2, a first ultraviolet light source 106 for injecting ultraviolet light to the first light guide plate 105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light guide plate 105 is included. In addition, as shown in (a) of FIG. 2 , the frame 103 surrounding and fixing the first light guide plate 105 and at least a part of the frame 103 enter and exit from the frame 103 and overlap the outside of the first light guide plate 105 to overlap the first light guide plate. It may include a movable shielding unit for shielding the ultraviolet light emitted to the front of (105).

즉, 제1살균모듈(100b)의 제1도광판(105)은 디스플레이모듈(100a)의 터치스크린 패널(101)과 밀착되어 터치스크린 패널(101)의 전면을 보호한다. 터치스크린 패널(101)의 전면은 통상 사용자의 터치가 이루어지는 면이나 제1도광판(105)이 터치스크린 패널(101)의 전면에 중첩되므로 사용자는 제1도광판(105)에 접촉하여 터치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제1도광판(105)은 투명한 수지 등을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터치스크린 패널(101)로 표시되는 모든 영상을 외부로 투영할 수 있다. 터치신호가 명확히 전달될 수 있도록 제1도광판(105)의 두께나 재질 등은 적절히 조정될 수 있다. 제1도광판(105)을 둘러싸는 프레임(103)은 중앙이 비어 개구(104)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사용자는 개구(104)를 통해 프레임(103) 안쪽으로 접근하여 제1도광판(105)에 접촉하고 제1도광판(105)과 밀착된 터치스크린 패널(101)에 터치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도 2의 (b)를 예로 들면, 왼쪽으로부터 프레임(103)의 개구(104)를 통과해 제1도광판(105)에 접촉하여 제1투광판과 밀착된 터치스크린 패널(101)을 조작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light guide plate 105 of the first sterilization module 100b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panel 101 of the display module 100a to protect the front surface of the touch screen panel 101 . The front surface of the touch screen panel 101 is a surface that is normally touched by the user, but since the first light guide plate 105 is overlapped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touch screen panel 101 , the user contacts the first light guide plate 105 to transmit a touch signal. can The first light guide plate 105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resin or the like, and thus all image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panel 101 may be projected to the outside. The thickness or material of the first light guide plate 105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so that the touch signal can be clearly transmitted. The frame 103 surrounding the first light guide plate 105 has a hollow opening 104 in the center. A user approaches the inside of the frame 103 through the opening 104 to contact the first light guide plate 105 . and a touch signal can be input to the touch screen panel 101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light guide plate 105 (for example, in FIG. 2 (b), through the opening 104 of the frame 103 from the left 1 by contacting the light guide plate 105 to operate the touch screen panel 101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light guide plate].

제1도광판(105)은 터치스크린 패널(101)과 밀착되어 이를 보호하는 동시에 도 2의 (a)와 같이 측면에 배치된 제1자외선광원(106)으로부터 입사된 자외선광은 내부로 투과시킨다. 제1자외선광원(106)은 예를 들어 자외선광을 방사할 수 있는 LED소자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로써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자외선광을 생성할 수 있는 다양한 광원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3의 확대도와 같이 제1도광판(105)의 측면으로 입사된 자외선광(A)은 제1도광판(105) 전후면의 경계면에서 반사되면서 내부를 진행하며 경계면에서 적어도 일부는 투과되어 외부로 방출된다. 특히, 제1도광판(105)의 후면은 터치스크린 패널(101)과 밀착되어 있는바 해당 면으로의 투과는 제한되며 대부분의 자외선광(A)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도광판(105)의 전면(도 3에서는 상면)으로 방출된다. 자외선광(A)이 방출되는 제1도광판(105)의 전면은 전술한 바와 같은 터치가 이루어지는 면이므로, 이러한 전면에 묻어있는 병원균이나 각종 세균 또는 이들을 포함하고 있는 각종 이물질 들을 자외선광(A)으로 살균하고 병원균과 세균 등을 매우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The first light guide plate 105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panel 101 to protect it, and at the same time transmits the UV light incident from the first UV light source 106 disposed on the side surface as shown in FIG. 2A to the inside. The first ultraviolet light source 106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n LED element capable of emitting ultraviolet light,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mposed of various light sources capable of generating ultraviolet light. That is,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of FIG. 3 , the ultraviolet light A incident on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light guide plate 105 is reflected at the boundary surface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irst light guide plate 105 and travels inside, and at least a part is transmitted through the boundary surface to the outside. is emitted with In particular, since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light guide plate 105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panel 101, transmission to the corresponding surface is limited, and most of the ultraviolet light A is emitted from the first light guide plate 105 as shown in FIG. ) is emitted to the front (upper surface in FIG. 3). Since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light guide plate 105 from which the ultraviolet light A is emitted is the surface that is touched as described above, pathogens, various bacteria, or various foreign substances including them, which are buried on the front surface, are treated with the ultraviolet light A. It can sterilize and remove pathogens and bacteria very effectively.

이때, 자외선광의 파장은 예를 들어, 100~320nm의 범위 내, 바람직하게는, 100~280nm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65nm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해당 파장의 자외선광은 인체에 노출되면 유해한 고주파 영역에 있는 것이나, 본 발명은 후술하는 가동식차폐유닛의 구조를 이용하여 이러한 자외선광의 외부 노출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보다 빠른 시간(예를 들어, 1분 이내)에 살균작용을 완료하여 로봇을 정상 가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필요한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인체에 무해한 장파장 영역의 자외선광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그러한 경우에는 보다 장시간 살균작업을 진행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wavelength of the ultraviolet light may be, for example, within the range of 100 to 320 nm, preferably, within the range of 100 to 280 nm, more preferably, 265 nm. Ultraviolet light of the corresponding wavelength is in a harmful high-frequency region when exposed to the human body, but the present invention effectively blocks external exposure of such ultraviolet light using the structure of a movable shielding unit to be described later, and provides a faster time (for example, 1 minute). within), the robot can be operated normally by completing the sterilization action. However, if necessary, it is possible to use ultraviolet light of a relatively harmless long wavelength region, and in such a case, it is possible to proceed with sterilization for a longer period of time.

가동식차폐유닛은 다음과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식차폐유닛은, 프레임(103)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제1도광판(105)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권취축(도 2 (b)의 108참조), 권취축(108)에 연결되어 권취(wind) 또는 권출(unwind)되며 제1도광판(105)에 중첩되는 차폐커튼(107), 프레임(103)의 내측에서 권취축(108)과 수직하게 제1도광판(105)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 사이로 연장되고 일 측이 차폐커튼(107) 끝단에 연결되어 차폐커튼(107)을 견인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벨트(109), 및 구동벨트(109)의 회전을 제어하는 모터(11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권취축(108)에는 권취축(108)에 연결되며 권취축(108)의 회전에 대응하여 반대방향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토션스프링(도 2 (b)의 108a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프레임(103) 내에 구현하여 차폐커튼(107)을 열거나 닫음으로써 터치가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터치를 차단하고 자외선광의 노출을 막은 상태로 매우 신속하게 살균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가동식차폐유닛의 구조와 작용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The movable shielding unit may be configured in the following form. 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movable shielding unit is rotatably disposed inside the frame 103 and has a winding shaft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first light guide plate 105 (see 108 in FIG. 2 (b)). , connected to the winding shaft 108 to be wound or unwinded, and formed perpendicular to the winding shaft 108 from the inside of the shielding curtain 107 overlapping the first light guide plate 105 and the frame 103 . At least one driving belt 109 extending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light guide plate 105 and one end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hielding curtain 107 to pull the shielding curtain 107, and the driving belt 109 It may include a motor 115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In addition, a torsion spring (refer to 108a in FIG. 2 (b)) that is connected to the take-up shaft 108 and generates a restoring force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take-up shaft 108 may be formed on the take-up shaft 108. By implementing such a structure in the frame 103, it is possible to enable touch by opening or closing the shielding curtain 107, or it is possible to perform sterilization very quickly while blocking the touch and preventing exposure to ultraviolet light. 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movable shielding un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차폐커튼(107)은 도 2의 (a)와 같이 권취축(108) 둘레에 감긴 형태로 배치된다. 전술한 것처럼 권취축(108) 내부에는 토션스프링(108a)이 형성되어 있어 차폐커튼(107)은 토션스프링(108a)의 탄성으로 감긴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토션스프링(108a)은 구동벨트(109)가 동작하여 차폐커튼(107)이 권출되면 압축되며 탄성에너지를 저장하고 권취축(108)의 회전에 대응하는 반대방향 복원력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차폐커튼(107)을 권출하는 구동력이 제거되면 차폐커튼(107)은 자연스럽게 권취되는 방향으로 감겨 권취될 수 있다. 도 2의 (a)에서 차폐커튼(107)은 권취축(108) 둘레에 감겨있는 것인바, 실질적으로 권취축(108)의 연장방향을 차폐커튼(107)의 연장방향과 동일하게 이해하여도 무방하다. The shielding curtain 107 is disposed around the winding shaft 108 as shown in FIG. 2 (a). As described above, a torsion spring 108a is formed inside the winding shaft 108, so that the shielding curtain 107 can maintain a state wound with the elasticity of the torsion spring 108a. The torsion spring 108a is compressed when the driving belt 109 operates and the shielding curtain 107 is unwound, stores elastic energy, and generates a restoring force in the opposit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of the winding shaft 108 . Therefore, when the driving force for unwinding the shielding curtain 107 is removed, the shielding curtain 107 can be wound naturally in a winding direction. In Fig. 2 (a), the shielding curtain 107 is wound around the winding shaft 108, s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winding shaft 108 may be understood as the same as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hielding curtain 107. free

구동벨트(109)는 프레임(103) 내측에서 양 단부가 각각 벨트풀리(110)에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 구동벨트(109) 양 단부의 벨트풀리(110)는 제1도광판(105)의 일측 단부에 위치한 것과, 제1도광판(105)의 타측 단부에 위치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도광판(105)의 일측 단부(도 2 (a)의 상단부)에는 권취축(108)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구동벨트(109) 양단부의 벨트풀리(110) 중 제1도광판(105)의 일측 단부에 위치한 벨트풀리(110)는 권취축(108)과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벨트풀리(110)는 권취축(108)과 인접하게 위치하더라도 권취축(108)과는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반면, 제1도광판(105)의 타측 단부(도 2 (a)의 하단부)에 위치한 벨트풀리(110)는 구동축(112)에 연결되어 동기화되어 회전할 수 있고, 따라서 구동축(112)에 치합된 모터(115)가 구동되면 구동벨트(109)는 구동축(112)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즉 모터(115)가 회전하면 구동축(112)이 회전되고, 구동축(112)과 연결된 구동벨트(109)가 동기화되어 회전하며 차폐커튼(107)에 견인력을 전달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Both ends of the drive belt 109 are connected to the belt pulley 110 inside the frame 103 to rotate. The belt pulleys 110 at both ends of the driving belt 109 may include one located at one end of the first light guide plate 105 and one locat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ght guide plate 105 . Since the winding shaft 108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first light guide plate 105 (the upper end of FIG. 2A ), one end of the first light guide plate 105 among the belt pulleys 110 at both ends of the drive belt 109 . The belt pulley 110 located at may be located adjacent to the winding shaft 108 . However, the belt pulley 110 may be formed to rotate independently of the winding shaft 108 even though it is located adjacent to the winding shaft 108 . On the other hand, the belt pulley 110 located on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ght guide plate 105 (the lower end of FIG. When the motor 115 is driven, the driving belt 109 may receive rotational force from the driving shaft 112 . That is, when the motor 115 rotates, the drive shaft 112 rotates, the drive belt 109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112 rotates in synchronization, and it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that transmits traction to the shielding curtain 107 .

도 2의 (a) 및 (b)에 도시된 것처럼, 제1도광판(105)을 둘러싸는 프레임(103)의 가로부분 및 세로부분 내측공간을 이용하여 권취축(108)과, 권취축(108)에 감기는 차폐커튼(107)과, 차폐커튼(107)을 견인하는 구동벨트(109)와,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112)과 모터(115) 등을 원활하게 배치할 수 있다. 권취축(108)과 구동축(112)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으며, 구동벨트(109)는 이들과는 수직하게 연장되어 구동축(112)에 연결될 수 있다. 구동벨트(109)는 도 2의 (a)와 같이 한 쌍이 대칭되게 배치되어 차폐커튼(107)을 안정적으로 견인할 수 있다. 차폐커튼(107)의 끝단과 구동벨트(109)의 일 측은 예를 들어, 커튼-벨트 연결부(111)를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차폐커튼(107)의 끝단을 구동벨트(109)의 주행방향으로 견인시킬 수 있다. 커튼-벨트 연결부(111)는 예를 들어, 양 단부에 결속구조가 형성된 바나 핀과 같은 형상의 부재로 형성하여 이들의 양 끝단을 각각 차폐커튼(107)과 구동벨트(109)에 결속하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도 3참조), 또는 차폐커튼(107)의 끝단에 외주부가 차폐커튼(107)과 연결된 연결바(미도시)를 형성하여 연결바의 양 끝을 각각 서로 다른 구동벨트(109)와 결속하는 등의 방식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커튼-벨트 연결부(111)는 구동벨트(109)의 일 측과 차폐커튼(107)의 끝단을 연결하여 차폐커튼(107)에 견인력을 전달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다양한 구조로 변형이 가능하다.As shown in FIGS. 2A and 2B , the winding shaft 108 and the winding shaft 108 using the inner space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portions of the frame 103 surrounding the first light guide plate 105 are used. ), the shielding curtain 107 wound around, the driving belt 109 for pulling the shielding curtain 107, the driving shaft 112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the motor 115, and the like can be smoothly arranged. The winding shaft 108 and the driving shaft 112 may b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driving belt 109 may extend perpendicularly thereto and be connected to the driving shaft 112 . A pair of driving belts 109 are symmetrically arranged as shown in FIG. 2A to stably pull the shielding curtain 107 . The end of the shielding curtain 107 and one side of the driving belt 109 may be connected using, for example, the curtain-belt connection 111, and through this, the end of the shielding curtain 107 is connected to the driving belt 109. direction can be towed. The curtain-belt connection part 111 is formed of, for example, a member having a shape such as a bar or a pin having a binding structure formed at both ends, and binds both ends thereof to the shielding curtain 107 and the driving belt 109, respectively. (see FIG. 3), or by forming a connecting bar (not shown) with an outer periphery connected to the shielding curtain 107 at the end of the shielding curtain 107 to connect both ends of the connecting bar to different driving belts ( 109) and may be formed in a manner such as binding. The curtain-belt connection part 111 connects one side of the driving belt 109 and the end of the shielding curtain 107 to transmit a traction force to the shielding curtain 107 It is possible to transform into a variety of structures within the limit. .

구동벨트(109) 역시 제1도광판(105)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 사이에서 견인작용을 할 수 있는 다른 형태로도 변경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체인이나, 와이어와 같은 구조를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따라서 구동벨트(109)의 구성이 명칭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전술한 것처럼 구동벨트(109)와 벨트풀리(110)를 통해 연결된 구동축(112)은 다시 모터(115)에 치합될 수 있으며, 구동축(112)과 모터(115)에는 서로 치합되는 구동기어(113, 114)가 형성되어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모터(115)가 구동축(112)을 통해 구동벨트(109)의 회전을 원활하게 제어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The drive belt 109 can also be changed to another shape capable of traction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ght guide plate 105 , and for example, a structure such as a chain or a wire may be applied. . Therefore, the configuration of the drive belt 109 need not be limited by name. As described above, the drive shaft 112 connected through the drive belt 109 and the belt pulley 110 may be meshed with the motor 115 again, and the drive gear 113 meshed with the drive shaft 112 and the motor 115 with each other. , 114) is formed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With this structure, the motor 115 may be formed to smoothly control the rotation of the drive belt 109 through the drive shaft 112 .

한편, 간호용 로봇은 모터(115) 및 제1자외선광원(10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시점을 조절하여 제1자외선광원(106) 동작 전에 차폐커튼(107)을 권출시키는 제어를 하는 자동제어모듈(116)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자동제어모듈(116)을 이용하여 살균작용이 시작되기 이전에 먼저 차폐커튼(107)으로 제1도광판(105)과 터치스크린 패널(101)을 포함하는 주변영역을 차폐시키는 동작이 진행되도록 강제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은 예를 들어, 자동으로 살균작업이 진행되는 때에도 수행될 수 있으며 또는 수동으로(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터미널 등에 조작신호를 입력하여 제1살균모듈 등을 직접 조작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살균작업을 시도할 때에도 수행될 수 있다. 자동제어모듈(116)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살균모듈(100b) 내에 소형화된 칩 형태의 연산장치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그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모터(115) 및 제1자외선광원(106)을 제어할 수 있는 연산기능을 갖춘 다른 제어부 등을 활용하여 형성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예를 들면, 간호용 로봇에 배치되어 있는 또 다른 제어컴퓨터 등을 활용하여 자동제어모듈(116)을 구성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제어모듈(116)이 한정될 필요는 없다. On the other hand, the nursing robot controls the operation time of at least one of the motor 115 and the first ultraviolet light source 106 to unwind the shielding curtain 107 before the first ultraviolet light source 106 operation. module 116 . That is, the operation of shielding the peripheral area including the first light guide plate 105 and the touch screen panel 101 with the shielding curtain 107 before the sterilization action is started using the automatic control module 116 proceeds. can be forced This action, for example, may be performed automatically even when the sterilization operation is in progress, or manually (eg, it may be possible to directly operate the first sterilization module by inputting an operation signal to a display terminal, etc.). It can also be performed when attempting to sterilize. The automatic control module 116 may be formed as an arithmetic device in the form of a miniaturized chip in the first sterilization module 100b as shown, but it is not necessary to be limited as such, and the motor 115 and the first UV light source It is also possible to form 106 by utilizing other control units having an arithmetic function capable of controlling it.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automatic control module 116 by utilizing another control computer or the like disposed in the nursing robot. Therefore, there is no need to limit the automatic control module 116 as shown.

자동제어모듈(116)은 모터(115) 및 제1자외선광원(106)으로 동작신호를 보내 동작시킬 수 있으며, 특히 외부 신호를 모니터링하고 있다가 자동으로 이들을 동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제어모듈(116)은 터치스크린 패널(101)로부터 전송되는 터치신호의 발생간격, 외부광을 감지하는 광센서(미도시)의 측정값, 및 기 설정된 작동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모니터링하여 차폐커튼(107) 및 제1자외선광원(106)을 자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즉, 터치스크린 패널(101)의 터치신호 발생간격이 일정 간격 이상으로 길어져 마지막 터치신호의 발생 후 상당한 시간이 흐른 시점에는 사용자가 없는 것으로 간주하고 빠르게 살균작용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또는 광센서(예를 들어, 전술한 몸체 등의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로부터 외부광원이 감지되지 않거나 외부 광량이 일정 수준 이하로 감소하는 경우에도 일과시간 등이 끝난 시점으로 판단하고 빠르게 살균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미리 살균시점을 입력하고(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터미널을 통해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러한 경우 자동제어모듈에 특정 작동시간이 설정될 수 있다) 해당시간에 반복적으로 살균작용을 수행하게 제어할 수도 있다. 그 밖에도 여러 가지 다양한 제어방식을 활용하여 적시에 살균작용이 진행되도록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The automatic control module 116 may operate by sending an operation signal to the motor 115 and the first ultraviolet light source 106 , and in particular, monitor an external signal and then automatically operate them. For example, the automatic control module 116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generation interval of a touch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ouch screen panel 101, a measurement value of an optical sensor (not shown) that detects external light, and a preset operating time. By monitoring the shielding curtain 107 and the first ultraviolet light source 106 can be automatically operated. That is, when the touch signal generation interval of the touch screen panel 101 is longer than a certain interval and a considerable time has passed since the generation of the last touch signal, it is considered that there is no user and can be controlled to quickly perform a sterilization action, or Even if the external light source is not detected from the sensor (for example, it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etc. described above) or the amount of external light decreases below a certain level, it is judged as the end of the working time, etc. and sterilization is performed quickly can do. Alternatively, the sterilization time may be input in advance (a user may input it through a display terminal, and in such a case, a specific operating time may be set in the automatic control module) and control to repeatedly perform sterilization at the corresponding tim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sterilization action in a timely manner by using various various control methods.

도 4 및 도 5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제1살균모듈의 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다.4 and 5 are operational diagram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sterilization module shown in FIGS. 2 and 3 .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제1살균모듈(100b)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살균작업이 시작되기 전에 먼저 도 4와 같이 차폐커튼(107)이 닫히게 된다. 즉, 모터(115)가 동작하여 구동축(112)을 통해 구동벨트(109)를 동작시키고 구동벨트(109)에 연결된 차폐커튼(107)의 말단이 구동벨트(109)의 주행방향(도 4의 하방)으로 견인되어 권출된다. 이러한 동작은 전술한 것처럼 수동으로 살균작업이 시도되거나, 자동으로 살균작업이 진행되는 어느 경우에도 강제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4에는 차폐커튼(107)이 권출되는 중간 시점이 도시되었으나 차폐커튼(107)은 동작이 끝나는 시점에 프레임(103)의 하단까지 권출되며 제1도광판(105)의 외측에 완전히 중첩되어 제1도광판(105) 전체를 가리게 된다. 따라서 도 5의 확대도에 도시된 것처럼 자외선광(A)은 제1살균모듈(100b)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갈무리되어 제1도광판(105)의 터치면(도 5의 상면)을 차폐커튼(107) 안쪽에서 살균하게 된다. 차폐커튼(107) 안쪽에서는, 자외선광(A)이 확산되면서 제1도광판(105)과 인접한 프레임(103) 내부 등 다른 부위까지 강력한 살균효과가 나타날 수 있고 자외선광(A)의 발생시간을 늘려 살균작용을 더욱 강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전술한 것처럼 제1자외선광원(106)의 동작 전에, 차폐커튼(107)을 권출시키는 제어를 하여 안전하게 살균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The operation of the first sterilization module 100b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as follows. Before the sterilization operation starts, the shielding curtain 107 is closed as shown in FIG. 4 first. That is, the motor 115 operates to operate the drive belt 109 through the drive shaft 112 , and the end of the shielding curtain 107 connected to the drive belt 109 moves in the traveling direction (in FIG. 4 ) of the drive belt 109 . downward) and unwound. Such an operation may be compulsorily performed in any case in which the sterilization operation is attempted manually as described above, or the sterilization operation is performed automatically. 4 shows an intermediate point in time at which the shielding curtain 107 is unwound, but the shielding curtain 107 is unwound to the lower end of the frame 103 at the end of the operation and completely overlaps the outside of the first light guide plate 105 to the first The entire light guide plate 105 is covered. Therefore,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of FIG. 5 , the ultraviolet light A is captured without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sterilization module 100b, so that the touch surface (the upper surface of FIG. 5 ) of the first light guide plate 105 is covered with a shielding curtain ( 107) is sterilized from the inside. Inside the shielding curtain 107, as the ultraviolet light A is diffused, a strong sterilization effect can appear to other parts such as the inside of the frame 103 adjacent to the first light guide plate 105, and the generation time of the ultraviolet light A is increased. It is also possible to further enhance the sterilization effect. That is, before the operation of the first ultraviolet light source 106, as described above, by controlling the unwinding of the shielding curtain 107, it is possible to safely proceed with the sterilization operation.

살균작업은 전술한 고주파 자외선광(A)을 이용하여 빠르게 완료할 수 있으며, 살균이 완료되면 제1자외선광원(106)의 동작이 정지되어 자외선광(A)은 제거될 수 있다. 차폐커튼(107)은 이와 같이 자외선광(A)이 완전히 제거된 이후에 안전하게 권취되어 제1도광판(105)의 전면을 개방할 수 있다. 차폐커튼(107)이 권취될 때 모터(115)와 구동축(112)은 각각 권출 시와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전술한 것처럼 권출 시에 토션스프링(108a)에 저장되는 탄성에너지로 인해 복원력이 발생되어 차폐커튼(107)은 보다 손쉽게 감겨 올라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살균작업이 완료되면 다시 도 2에 도시된 상태로 전환되어 사용자는 개방된 제1도광판(105)의 전면에 접촉하여 제1도광판(105)에 밀착된 터치스크린 패널(101)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The sterilization operation can be quickly completed using the above-described high-frequency ultraviolet light (A), and when the sterilization is completed, the operation of the first ultraviolet light source 106 is stopped and the ultraviolet light (A) can be removed. The shielding curtain 107 may be safely wound after the ultraviolet light A is completely removed in this way to ope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light guide plate 105 . When the shielding curtain 107 is wound, the motor 115 and the drive shaft 112 may be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time of unwinding, respectively, and as described above, the restoring force is increased due to the elastic energy stored in the torsion spring 108a during unwinding. generated so that the shielding curtain 107 can be wound up more easily. When the sterilization operation is completed in this way, it is switched back to the state shown in FIG. 2 , so that the user can easily touch the touch screen panel 101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light guide plate 105 by contacting the front of the opened first light guide plate 105 . can be manipulated.

도 6은 도 1의 간호용 로봇의 메디컬박스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메디컬박스를 분해하여 내부구조를 보인 분해도이다. 6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medical box of the nursing robot of FIG. 1 , and FIG. 7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medical box of FIG. 6 .

한편,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제2살균모듈(200b)이 형성된 메디컬박스(200)의 구조와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메디컬박스(200)는 개폐 가능한 함체로 이루어진 차폐모듈(200a)과 차폐모듈(200a) 내부에 배치된 제2살균모듈(200b)을 포함한다. 차폐모듈(200a)은 도 6 및 도 7과 같이 내부에 수용공간(204)이 형성되어 수용공간(204) 내부에 다양한 의료물품을 적재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차폐모듈(200a)의 형상, 크기 등을 변경하여 수용공간(204)의 크기를 조정해 줄 수 있다. 차폐모듈(200a)은 수용공간(204)이 형성된 수용부(202)와 수용공간(204) 상부를 덮는 커버(201)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들은 힌지(203)로 결합되어 개폐될 수 있다. 특히, 차폐모듈(200a)의 수용공간(204) 일 측에는 사람의 손가락과 접촉하여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생체신호측정부(205)가 형성되어 의료진은 환자 등과 직접 만나지 않고도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거나 전달받을 수 있다. 생체신호측정부(205)는 예를 들어, 체온, 맥박, 혈압 등의 다양한 생체정보를 측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혈중 산소포화도 등을 검출하는 센서 등을 이용하여 생체정보를 측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로써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손가락과 접촉하여 또 다른 방식으로 생체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다른 센서나 측정기구들을 다양하게 활용하여 생체신호측정부(205)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 등은 메디컬박스(200)의 커버(201)를 열고 도 7의 (a)와 같이 손(B)을 접촉시키는 것만으로 간편하게 간호용 로봇에 생체정보를 입력시킬 수 있다. 또는 전술한 것처럼 수용공간(204)을 활용하여 의료샘플이나 각종 의료기기를 저장해두고 간호용 로봇이 적소에 운반하도록 하는 등의 방식으로 다양하게 메디컬박스(200)를 활용할 수 있다.Meanwhile,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medical box 200 in which the second sterilization module 200b is form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 The medical box 200 includes a shielding module 200a made of an openable and openable enclosure and a second sterilizing module 200b disposed inside the shielding module 200a. The shielding module 200a has an accommodating space 204 formed therein, as shown in FIGS. 6 and 7 , so that various medical articles can be load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204 . The size of the accommodating space 204 may be adjusted by changing the shape and size of the shielding module 200a as necessary. The shielding module 200a may include a receiving portion 202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204 formed thereon and a cover 201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204 , which may be opened and closed by being coupled by a hinge 203 . In particular, on one side of the receiving space 204 of the shielding module 200a, a bio-signal measurement unit 205 for measuring a bio-signal in contact with a person's finger is formed, so that the medical staff can collect or receive necessary information without directly meeting the patient or the like. can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205 may be formed to measure various bio-information such as body temperature, pulse, blood pressure, etc. can be configured to measure. However, there is no need to be limited thereto, and the biosignal measuring unit 205 may be configured by variously utilizing other sensors or measuring devices capable of measuring biometric information in another method by contact with a finger. Accordingly, the patient or the like can easily input biometric information to the nursing robot simply by opening the cover 201 of the medical box 200 and touching the hand B as shown in FIG. 7A . Alternatively, as described above, the medical box 200 may be utilized in various ways, such as using the accommodation space 204 to store medical samples or various medical devices and to have the nursing robot transport them to the right place.

이와 같이 활용도가 높은 메디컬박스(200) 역시 다양한 물품 및 사람들과 접촉하므로 각종 세균이나 감염원 또는 그 밖의 병원균 등에 손쉽게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메디컬박스(200)의 차폐모듈(200a) 내에 제2살균모듈(200b)을 배치하여 이들을 매우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제2살균모듈(200b)은 차폐모듈(200a)의 내부에 배치되어 수용공간(204)으로 자외선광을 조사하도록 형성되며, 예를 들어 차폐모듈(200a)의 수용공간(204) 상부를 덮는 커버(201)의 내면에 밀착되어 수용공간(204)을 바라보게 배치되는 제2도광판(206), 및 제2도광판(206)의 측면에서 제2도광판(206)으로 자외선광을 입사시키는 제2자외선광원(207)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b)에 이러한 제2살균모듈(200b)의 배치구조가 예시되어 있으며 커버(201)에는 힌지(203)에 결합되는 힌지축(203a)등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커버(201)의 형상이나 구조가 바뀌는 경우에는 제2살균모듈(200b)의 배치구조도 따라서 바뀔 수 있으므로 제2살균모듈(200b)의 배치구조는 한정적으로 이해될 필요는 없다. 제2도광판(206)은 제1도광판(105)과 유사하게 투명한 수지 등을 재질로 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자외선광원(207) 역시 제1자외선광원(106)과 유사하게 자외선광을 방사할 수 있는 LED소자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As such, the highly utilized medical box 200 also comes in contact with various articles and people, so it can be easily exposed to various bacteria, infectious agents, or other pathogens. Therefore, by disposing the second sterilization module 200b in the shielding module 200a of the medical box 200, it is possible to very effectively remove them. The second sterilization module 200b is disposed inside the shielding module 200a and formed to irradiate ultraviolet light into the receiving space 204, for example, a cover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space 204 of the shielding module 200a. The second light guide plate 206 is closely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201 and is disposed to face the accommodation space 204 , and a second UV light for injecting ultraviolet light from the side of the second light guide plate 206 to the second light guide plate 206 . A light source 207 may be included.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second sterilization module 200b is illustrated in FIG. 7B , and a hinge shaft 203a coupled to the hinge 203 may be formed on the cover 201 . When the shape or structure of the cover 201 is changed,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second sterilization module 200b may also be changed accordingly, so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second sterilization module 200b does not need to be limitedly understood. The second light guide plate 206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a transparent resin similar to the first light guide plate 105 , and the second UV light source 207 also emits UV light similarly to the first UV light source 106 . It may be formed of a possible LED device or the like.

이러한 제2살균모듈(200b)을 이용함으로써 도 7의 (b)와 같이 제2도광판(206)의 전면으로 자외선광(A)을 확산시켜 방출할 수 있다. 특히 제2살균모듈(200b)은 차폐모듈(200a)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부와 완전히 차단된 상태에서 제2도광판(206)의 전면으로 자외선광(A)을 방출하여 차폐모듈(200a) 내 수용공간(204) 전체에 대한 살균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제2살균모듈(200b)은 커버(201)의 움직임과 연동되어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커버(201)가 조금이라도 열린 상태에서는 제2살균모듈(200b)의 동작이 즉시 중지되도록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201)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나 접촉스위치 등을 활용하여 커버(201)의 개폐상태를 민감하게 파악할 수 있고 커버(201)가 조금이라도 개방된 상태에서는 제2자외선광원(207)에 대한 전력공급이 즉시 중단되도록 전력차단회로 등을 구성하여 제2살균모듈(200b)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다용도의 메디컬박스(200)를 원활하게 활용하면서도, 내부공간은 신속하게 살균하여 높은 위생수준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할 수 있다.By using the second sterilization module 200b, the ultraviolet light A can be diffused and emitt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light guide plate 206 as shown in FIG. 7B. In particular, since the second sterilization module 200b is formed inside the shielding module 200a, it emits ultraviolet light A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light guide plate 206 in a state in which it is completely blocked from the outside, so that the shielding module 200a is located inside the shielding module 200a. It is possible to perform a sterilization operation for the entire accommodation space (204). The second sterilization module 200b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cover 201. In particular, when the cover 201 is even a little open, the operation is performed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second sterilization module 200b is immediately stopped. can be controlled For example, by using a sensor or a contact switch that detects whether the cover 201 is opened or closed, the open/closed state of the cover 201 can be detected sensitively, and when the cover 201 is slightly opened, the second UV light source The operation of the second sterilization module 200b may be controlled by configuring a power cut-off circuit or the like so that the power supply to the 207 is immediately stopped. In this way, while smoothly using the multi-purpose medical box 200, the internal space can be sterilized quickly to continuously maintain a high sanitary level.

도 8은 도 1의 간호용 로봇의 사용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8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use of the nursing robot of FIG. 1 .

이에 따른 간호용 로봇(1)의 사용상태를 다음과 같이 예시하여 설명한다. 간호용 로봇(1)은 살균작업을 수행하기 이전 다양한 위치를 오가면서 불특정 다수와 지속적으로 접촉했을 수 있다. 의료진 등은 이러한 간호용 로봇(1)의 디스플레이 터미널(100)을 통해 제1도광판(105)에 접촉함으로써 디스플레이모듈(100a)의 터치스크린(도 2 및 도 3의 101참조)을 조작하고 원하는 지령을 내릴 수 있다. 이에 따라 간호용 로봇(1)은 살균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또는 전술한 것처럼 자동제어모듈(도 2의 116참조)의 제어에 의해 자동으로 살균작업을 진행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나, 살균작업이 진행되기 이전에 강제적으로 차폐커튼(107)이 권출되며 살균지점인 제1도광판(105)과 그 주변부는 차폐커튼(107)과 프레임(103)에 의해 완전히 가려지게 된다. 따라서 차폐커튼(107) 안쪽에서 강력한 고주파 자외선광이 방출되더라도 사람은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고, 손(B)등으로 살균지점을 터치하는 것도 막을 수 있다. 메디컬박스(200) 역시, 도시된 것처럼 커버(201)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만 살균작업을 수행하게 되며 전술한 것처럼 커버(201)가 약간이라도 개방되면 제2살균모듈(도 7의 200b참조)의 동작은 중지되므로, 사용자의 손(B)이 닿지 않는 차폐모듈(200a)의 안쪽에서 매우 신속하고 안전하게 살균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반복적으로 매우 안전하게 간호용 로봇(1)이 자체적으로 살균을 진행하므로 의료기관과 같이 불특정 다수가 출입하는 공간에서도 간호용 로봇(1)의 위생수준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보다 편리하게 간호용 로봇(1)을 사용할 수 있다.The use state of the nursing robot 1 according to this will be exemplified and described as follows. The nursing robot 1 may be in continuous contact with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while going back and forth to various locations before performing the sterilization operation. The medical staff and the like manipulate the touch screen (refer to 101 in FIGS. 2 and 3) of the display module 100a by contacting the first light guide plate 105 through the display terminal 100 of the nursing robot 1, and receive a desired command. can lower Accordingly, the nursing robot 1 may perform the sterilization operation, or may automatically perform the sterilization oper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automatic control module (see 116 in FIG. 2 ) as described above. In any case, the shielding curtain 107 is forcibly unwound before the sterilization operation is carried out, and the first light guide plate 105 and its periphery, which is the sterilization point, are completely covered by the shielding curtain 107 and the frame 103. . Therefore, even if strong high-frequency ultraviolet light is emitted from the inside of the shielding curtain 107, a person can be safely protected, and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ouching the sterilization point with a hand (B) or the like. The medical box 200 also performs the sterilization operation only when the cover 201 is completely closed as shown, and when the cover 201 is slightly opened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of the second sterilization module (see 200b in FIG. 7 ) is stopped, so that the sterilization operation can be performed very quickly and safely from the inside of the shielding module 200a that does not reach the user's hand (B). As the nursing robot 1 repeatedly and very safely sterilizes itself, it is possible to greatly improve the hygiene level of the nursing robot 1 even in a space where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enter and exit such as a medical institution, and to provide more convenient nursing care. A robot 1 can be used.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realiz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 간호용 로봇
10: 몸체 20: 주행모듈
21: 주행바퀴 22: 센서부
100: 디스플레이 터미널 100a: 디스플레이모듈
100b: 제1살균모듈 101: 터치스크린 패널
102: 연결넥 103: 프레임
104: 개구 105: 제1도광판
106: 제1자외선광원 107: 차폐커튼
108: 권취축 108a: 토션스프링
109: 구동벨트 110: 벨트풀리
111: 커튼-벨트 연결부 1 12: 구동축
113, 114: 구동기어 115: 모터
116: 자동제어모듈 200: 메디컬박스
200a: 차폐모듈 200b: 제2살균모듈
201: 커버 202: 수용부
203: 힌지 203a: 힌지축
204: 수용공간 205: 생체신호측정부
206: 제2도광판 207: 제2자외선광원
A: 자외선광 B: 손
1: Nursing Robot
10: body 20: driving module
21: driving wheel 22: sensor unit
100: display terminal 100a: display module
100b: first sterilization module 101: touch screen panel
102: connection neck 103: frame
104: opening 105: first light guide plate
106: first ultraviolet light source 107: shielding curtain
108: winding shaft 108a: torsion spring
109: drive belt 110: belt pulley
111: curtain-belt connection 1 12: drive shaft
113, 114: drive gear 115: motor
116: automatic control module 200: medical box
200a: shielding module 200b: second sterilization module
201: cover 202: receiving part
203: hinge 203a: hinge shaft
204: accommodation space 205: bio-signal measurement unit
206: second light guide plate 207: second ultraviolet light source
A: UV light B: hand

Claims (9)

몸체;
상기 몸체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를 지지하며 바닥과 구름접촉하는 복수의 주행바퀴가 형성된 주행모듈;
상기 주행모듈 상방의 상기 몸체 일 측에 배치되며, 터치 방식으로 조작 가능한 터치스크린 패널이 전면에 형성된 디스플레이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의 전면에 중첩되며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에 밀착되는 투명한 재질의 제1도광판과, 상기 제1도광판의 측면에서 상기 제1도광판으로 자외선광을 입사시키는 제1자외선광원이 포함된 제1살균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터미널; 및
상기 주행모듈 상방의 상기 몸체 타 측에 배치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개폐 가능한 함체로 이루어진 차폐모듈이 포함된 메디컬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살균모듈은, 상기 제1도광판을 둘러싸 고정시키는 프레임과,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입출되며 상기 제1도광판의 외측에 중첩되어 상기 제1도광판의 전면으로 방출되는 자외선광을 차폐시키는 가동식차폐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동식차폐유닛은, 상기 프레임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도광판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권취축, 상기 권취축에 연결되어 권취 또는 권출되며 상기 제1도광판에 중첩되는 차폐커튼,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서 상기 권취축과 수직하게 상기 제1도광판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 사이로 연장되고 일 측이 상기 차폐커튼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차폐커튼을 견인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벨트, 및 상기 구동벨트의 회전을 제어하는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 및 상기 제1자외선광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시점을 조절하여 상기 제1자외선광원 동작 전에 상기 차폐커튼을 권출시키는 제어를 하는 자동제어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자동제어모듈은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로부터 전송되는 터치신호의 발생간격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차폐커튼 및 상기 제1자외선광원을 자동으로 작동시키는 간호용 로봇장치.
body;
a driving modul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body to support the body and having a plurality of driving wheels in rolling contact with the floor;
A display modul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dy above the driving module and having a touch screen panel operable by a touch method on its front surface, and a first light guide plat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overlapping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and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panel and a display terminal including a first sterilization module including a first ultraviolet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ultraviolet light from a side surface of the first light guide plate to the first light guide plate; and
It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above the traveling module, and includes a medical box including a shielding module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therein and an openable and openable enclosure,
The first sterilization module includes a frame that surrounds and fixes the first light guide plate, and at least a part of it is moved in and out of the frame and overlaps the outside of the first light guide plate to shield ultraviolet light emitted to the front of the first light guide plate. It further includes a shielding unit,
The movable shielding unit may include a winding shaft rotatably disposed inside the frame and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first light guide plate, a shielding curtain connected to the winding shaft to be wound or unwound, and overlapping the first light guide plate, the frame; at least one driving belt extending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ght guide plate perpendicular to the winding shaft inside of It includes a motor to control the
Further comprising an automatic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unwinding of the shielding curtain before the operation of the first UV light source by adjusting the operating time of at least one of the motor and the first UV light source,
The automatic control module is a nursing robot device for automatically operating the shielding curtain and the first UV light source by monitoring the interval between the generation of the touch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ouch screen panel.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축에 연결되며 상기 권취축의 회전에 대응하여 반대방향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토션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간호용 로봇장치.
According to claim 1,
Nursing robot device connected to the take-up shaft further comprising a torsion spring for generating a restoring force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take-up shaf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디컬박스는, 상기 차폐모듈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으로 자외선광을 조사하는 제2살균모듈을 더 포함하는 간호용 로봇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medical box, the nursing robot device further comprising a second sterilization module disposed inside the shielding module to irradiate ultraviolet light to the receiving sp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디컬박스는, 상기 차폐모듈의 수용공간의 일 측에 사람의 손가락과 접촉하여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생체신호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간호용 로봇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medical box, Nursing robot device further comprising a bio-signal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bio-signal in contact with a human finger on one side of the receiving space of the shielding modul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살균모듈은, 상기 차폐모듈의 수용공간 상부를 덮는 커버의 내면에 밀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바라보게 배치되는 제2도광판, 및 상기 제2도광판의 측면에서 상기 제2도광판으로 자외선광을 입사시키는 제2자외선광원을 포함하여, 상기 제2도광판의 전면으로 자외선광을 확산시켜 방출하는 간호용 로봇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econd sterilization module includes a second light guide plate disposed to face the accommodation spac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shielding module, and ultraviolet light from the side of the second light guide plate to the second light guide plate A nursing robot device that diffuses and emits ultraviolet light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light guide plate, including a second ultraviolet light source to be incident.
KR1020200091773A 2020-07-23 2020-07-23 Nursing robot apparatus KR1023560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773A KR102356031B1 (en) 2020-07-23 2020-07-23 Nursing robo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1773A KR102356031B1 (en) 2020-07-23 2020-07-23 Nursing robot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6031B1 true KR102356031B1 (en) 2022-02-07

Family

ID=80253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1773A KR102356031B1 (en) 2020-07-23 2020-07-23 Nursing robot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603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908711A (en) * 2024-03-19 2024-04-19 安徽博天亚智能科技集团有限公司 Interactive display and touch system
CN117908711B (en) * 2024-03-19 2024-06-07 安徽博天亚智能科技集团有限公司 Interactive display and touch system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5446A (en) * 2008-08-27 2010-03-09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Nurse aiding robot and measurement method of vital signal by using the same
JP2010067218A (en) * 2008-09-12 2010-03-25 Toshiba Corp Information processor
KR20140038865A (en) * 2012-09-20 2014-03-31 조석원 Mobile phone case
KR20170011395A (en) 2015-07-22 2017-02-02 (주) 퓨처로봇 Nursing robot at bedside
KR101813077B1 (en) * 2016-10-31 2017-12-29 주식회사 지티티 Apparatus for sterilizing surface using uv radiation
KR20190099986A (en) * 2018-02-19 2019-08-28 엔텍메디칼(주) Clean dispensing counter for parenteral injection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5446A (en) * 2008-08-27 2010-03-09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Nurse aiding robot and measurement method of vital signal by using the same
JP2010067218A (en) * 2008-09-12 2010-03-25 Toshiba Corp Information processor
KR20140038865A (en) * 2012-09-20 2014-03-31 조석원 Mobile phone case
KR20170011395A (en) 2015-07-22 2017-02-02 (주) 퓨처로봇 Nursing robot at bedside
KR101813077B1 (en) * 2016-10-31 2017-12-29 주식회사 지티티 Apparatus for sterilizing surface using uv radiation
KR20190099986A (en) * 2018-02-19 2019-08-28 엔텍메디칼(주) Clean dispensing counter for parenteral injec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908711A (en) * 2024-03-19 2024-04-19 安徽博天亚智能科技集团有限公司 Interactive display and touch system
CN117908711B (en) * 2024-03-19 2024-06-07 安徽博天亚智能科技集团有限公司 Interactive display and touch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71739B2 (en) decontamination equipment
US11020506B2 (en) Decontamination apparatus and method
EP3218017B1 (en) Use of a decontamination apparatus
US11564601B1 (en) Multidepth tissue oximeter
JP6173335B2 (en) Decontamination apparatus and method
US9114184B2 (en) Device for the hygienisation of medical instruments
JP5723766B2 (en) Catheter system
JP200452567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pidly sterilizing small articles
KR20130041128A (en) Disposable skin care device
US20220193281A1 (en) System for disinfection of surfaces and/or room air
KR20190055415A (en) Bed side procedure assistant robot device that assist physician at ward
CN116648178A (en) Cart for endoscope and apparatus for endoscope
KR20090050723A (en)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capable of sterilizing utrasonic probes
KR102356031B1 (en) Nursing robot apparatus
KR20150046696A (en) Mobile x-ray imag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20220128957A (en) System for monitoring patient
WO2018175514A2 (en) Computer object decontamination apparatus and method
EP2535085A1 (en) Phototherapy device
KR102411699B1 (en) Touch screen sterilizing apparatus
KR20100074076A (en) Cleaning system for an image plate readout device
KR20100074075A (en) Cleaning system for an image plate readout device
KR101410485B1 (en) Smart sterilizer for medical table
CN115607702A (en) On-board decontamination system and method for a trunk, and corresponding vehicle and program product
CN207614079U (en) Ultraviolet ray disinfecting system, ultraviolet ray sterilizer and gloves capable of preventing ultraviolet ray
CN116456887A (en) Sterilization device for endoscope and sterilization system for endosco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