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5927B1 - 방송 영상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미디어 제공 서버, 미디어 제공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방송 영상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미디어 제공 서버, 미디어 제공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5927B1
KR102355927B1 KR1020200093192A KR20200093192A KR102355927B1 KR 102355927 B1 KR102355927 B1 KR 102355927B1 KR 1020200093192 A KR1020200093192 A KR 1020200093192A KR 20200093192 A KR20200093192 A KR 20200093192A KR 102355927 B1 KR102355927 B1 KR 102355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providing server
user
top box
media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3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명대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스토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스토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스토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3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59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5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5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3Querying
    • G06F16/732Query for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3Querying
    • G06F16/735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3Querying
    • G06F16/7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06F16/739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in form of a video summary, e.g. the video summary being a video sequence, a composite still image or having synthesized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04N21/472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using interactive regions of the image, e.g. hot spo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8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for searching program descrip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개시는 미디어 제공 서버가 데이터 서버로부터 방송 스케쥴에 대응하여 제1 방송 영상의 영상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제공 서버가 셋탑 박스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입력과 대응하여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제공 서버가 상기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1 방송 영상과 오버랩시켜 출력하는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제공 서버가 상기 셋탑 박스로 상기 출력 데이터를 전송하여 외부의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미디어 제공 서버가 상기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를 통해 획득된 검색 입력에 대응하여 검색 결과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셋탑 박스로 상기 검색 결과 리스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디어 제공 서버의 동작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방송 영상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미디어 제공 서버, 미디어 제공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Media providing server that provides a customized search interface while outputting broadcast image data, method of Media providing server and computer program}
본 개시는 방송 영상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미디어 제공 서버, 미디어 제공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 TV 기술 및 디지털 기술 발전으로 TV를 통한 다양한 정보가 시청자에게 전달되고 있다. 예를 들면 TV를 통하여 쇼핑 정보를 제공하는 TV 홈쇼핑은 기술 변화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한편, 최근 디지털 기반의 디지털 텔레비전 기술이 상용화되면서 각 가정에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졌으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서비스를 그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IPTV 서비스에서는, 댁내 등 지정된 공간에 설치되는 셋탑 박스(Set-top Box)를 통해서 다양한 서비스를 IPTV 서비스 가입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데, 그 중 커머스 채널을 통해서 제공되는 쇼핑방송서비스(또는, 커머스 방송)도 제공될 수 있다.
쇼핑방송서비스를 제작하는 커머스 사업자의 경우, 일정한 금액을 지불하고 이에 상응하여 부여/약속되는 채널에 커머스 채널(즉, 쇼핑방송서비스)을 편성할 수 있다.
이에, IPTV 서비스 가입자가 셋탑박스에서 약속된 채널을 선택하면, 셋탑 박스가 그 채널에 정규 편성된 커머스 채널을 수신하여 TV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IPTV 서비스 가입자는 커머스 채널을 시청 및 쇼핑방송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는데, 사용자에 요구에 따른 다양한 쇼핑 정보의 전달 및 쇼핑 정보 확인과 주문 등의 편의성 향상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방송 영상을 송출하면서,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른 검색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미디어 제공 서버의 동작 방법은 미디어 제공 서버가 상기 데이터 서버로부터 방송 스케쥴에 대응하여 제1 방송 영상의 영상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제공 서버가 셋탑 박스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입력과 대응하여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제공 서버가 상기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1 방송 영상과 오버랩시켜 출력하는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제공 서버가 상기 셋탑 박스로 상기 출력 데이터를 전송하여 외부의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미디어 제공 서버가 상기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를 통해 획득된 검색 입력에 대응하여 검색 결과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셋탑 박스로 상기 검색 결과 리스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색 결과 리스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셋탑 박스를 통해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검색 입력의 음절과 대응한 검색 결과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검색 결과 리스트에 포함된 각 검색 항목 별 실시간 정보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검색 결과 리스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서버로 실시간 검색 순위에 따른 하나 이상의 검색 항목을 요청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검색 항목을 수신하고, 각 검색 항목에 대한 검색 페이지로 이동하는 링크를 더 포함하는 검색 결과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방송 영상 데이터를 청각적으로 출력하면서 상기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셋탑 박스로부터 인터페이스 추가 신호에 대응하여 검색어 입력의 시각적인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출력 제어 신호를 상기 셋탑 박스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미디어 제공 시스템은 셋탑 박스로 통신하는 통신 모듈과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컨텐츠 송출 서버로부터 방송 스케쥴에 대응하여 제1 방송 영상의 영상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셋탑 박스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입력과 대응하여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1 방송 영상과 오버랩시켜 출력하는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셋탑 박스로 상기 출력 데이터를 전송하여 외부의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하도록 처리하고, 상기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를 통해 획득된 검색 입력에 대응하여 검색 결과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셋탑 박스로 상기 검색 결과 리스트를 전송하는, 미디어 제공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한 방송 중에 사용자 맞춤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미디어 제공 시스템 및 미디어 제공 서버의 동작 방법은 방송 영상을 송출하면서,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른 검색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미디어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미디어 제공 시스템의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미디어 제공 서버(100)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미디어 제공 서버(100) 및 데이터 서버(40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미디어 제공 서버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들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생성된 출력 데이터의 예시 도면이다.
도 9는 셋탑 박스(500)의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셋탑 박스는 통상 가정에서 위성방송이나 케이블 방송을 시청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장치로서, 위성방송이나 케이블 방송은 디지털 신호로 가정의 TV에 전송되는데 셋탑 박스는 수신되는 디지털 신호를 TV 등의 단말기에서 볼 수 있도록 신호를 복원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하고, 가입자의 요구를 제어신호로 변환해 해당 모듈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셋탑 박스는 미디어 제공 서버로부터 방송 영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선택된 방송 영상을 컨텐츠 송출 서버에 요청하고 방송 영상의 영상 식별 정보를 기초로 방송 영상을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미디어 제공 서버를 통해 방송 영상을 송출하는 미디어 제공 시스템(10)의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미디어 제공 시스템은 미디어 제공 서버(100)를 통해 방송용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여 셋탑 박스(500)에 전송할 수 있다.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데이터 서버(4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기초로 방송용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출력되어야 하는 방송 영상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서버(400)로부터 획득하고, 획득한 방송 영상에 대한 영상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용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셋탑 박스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셋탑 박스(500)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통해 셋탑 박스(500)를 제어할 수 있다.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셋탑 박스(500)의 정보를 읽어들이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셋탑 박스(500)의 플랫폼 코드, STP ID, 접속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셋탑 박스(500)의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셋탑 박스(500)로 전달되어 출력 장치에 출력되어야 하는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방송 영상에 대한 영상 식별 정보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데이터 서버(40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외부의 데이터 서버(400)로부터 상품 정보, 고객 정보, 주문 정보, 편성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셋탑 박스(500)를 통해 획득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레이아웃을 재 생성할 수 있다.
셋탑 박스(500)는 미디어 제공 서버(100)와 통신하여 출력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출력 데이터를 해석, 판독, 인코딩하여 TV 등의 출력 장치(50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데이터 서버(400)는 아파치 톰캣, 오라클 등의 서버 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팅 장치로서, 서버 기능을 처리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데이터 서버(400)는 다양한 서버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데이터 서버(400)는 상품 코드, 방송 ID 등을 포함하는 상품 정보, PD 코드, SH 코드, Time 코드 등을 포함하는 제작 정보, 심의 완료/진행 상태 값 등을 포함하는 심의 정보, 플랫폼 전송 결과 입수 CID 등을 저장하고 미디어 제공 서버(100)의 요청에 응답하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서버(400)는 아파치 톰캣, 오라클 등의 서버 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팅 장치로서, 서버 기능을 처리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서버(400)는 상품 코드, 방송 ID 등을 포함하는 상품 정보, PD 코드, SH 코드, Time 코드 등을 포함하는 제작 정보, 심의 완료/진행 상태 값 등을 포함하는 심의 정보, 플랫폼 전송 결과 입수 CID 등을 저장하고 미디어 제공 서버(100)의 요청에 응답하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영상 식별 정보는 컨텐츠 송출 서버(20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로 접근하는데 이용된다. 컨텐츠 송출 서버(200)는 별도의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인코딩된 방송 영상을 제공받고 인코딩된 방송 영상을 영상 식별 정보로 관리할 수 있다.
셋탑 박스(500)는 출력 데이터에 포함된 영상 식별 정보를 판독하여 컨텐츠 송출 서버(20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영상 데이터를 연결된 TV(520)를 통해 출력한다.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영상 식별 정보에 이용하여 방송 영상, VOD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셋탑 박스(500)는 출력 장치(520) 또는 TV 방송용 리모콘(510)과 통신하는 통신부(도 9의 501), TV 방송용 리모콘(510)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획득부(도 9의 502), 방송 영상을 출력하는 출력 제어부(도 9의 50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미디어 제공 서버(100)의 블록도이다.
프로세서(110)는 미디어 제공 서버(1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는 미디어 제공 서버(100)의 저장 매체(15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미디어 제공 서버(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0)는 CPU, 램(RAM), 롬(ROM), 시스템 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롬은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가 저장되는 구성이고, CPU는 롬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미디어 제공 서버(100)의 저장된 운영체제를 램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CPU는 저장된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램에 복사하고,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미디어 제공 서버(100)가 하나의 CPU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 시에는 복수의 CPU(또는 DSP, SoC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10)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TCON(Time controller)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컨트롤러(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출력부(140)는 미디어 제공 서버(100)가 저장 매체(150)에 의해 생성된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부(140)는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출력부(140)는 저장된 그래픽 데이터, 시각 데이터, 청각 데이터, 진동 데이터를 저장 매체(150)의 제어에 의해 출력할 수 있다.
입력부(130)는 미디어 제공 서버(100)에 다양한 지시(instruction), 명령어(command), 데이터(data), 정보(information) 등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컨텐츠 송출 서버(200), 데이터 서버(400), 셋탑 박스(500) 등의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다. 통신부(120)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의 근거리 통신부, 이동통신 망, 또는 유선 이더넷 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프로세서(11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 저장 매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미디어 제공 서버(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미디어 제공 서버(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미디어 제공 서버(100)의 기본적인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미디어 제공 서버(100) 상에 존재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은, 저장 매체(150)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10)에 의하여 미디어 제공 서버(1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저장 매체(150)는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방송 영상 처리부(151), 검색 인터페이스 제어부(152), 사용자 입력 관리부(153), 및 방송 출력 관리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영상 처리부(151)는 데이터 서버(400)와 통신하여, 방송 송출용 방송 영상 데이터의 영상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방송 영상 데이터는 방송 스케쥴에 따라서 송출되도록 설정된 영상으로, 실시간 라이브 영상 또는 녹화 영상 중 하나 일 수 있다. 실시간 라이브 영상의 데이터는 실시간임을 알려주는 시간 정보, 실시간 판매 정보, 실시간 주문 전화 정보 등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녹화 영상의 데이터는 녹화된 영상임을 알려주는 정보를 더 포함하되, 이전에 실시간으로 방송되었던 주문 정보, 판매 정보,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방송 영상 처리부(151)는 방송 스케쥴에 대응하는 방송 영상의 식별 정보를 데이터 서버(40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셋탑 박스(500)는 수신된 방송 영상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송출 서버(200)로부터 방송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방송 영상 처리부(151)는 컨텐츠 송출 서버(200) 또는 별도의 컨텐츠 제공 서버(미도시)로부터 인코딩된 방송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방송 영상 처리부(151)는 셋탑 박스(500)에서 획득된 사용자 입력과 대응되는 방송 영상 데이터의 영상 식별 정보를 데이터 서버(400)로 요청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검색 인터페이스 제어부(152)는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는 입력된 사용자 입력과 대응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방송 영상 데이터의 출력과 동시에 출력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에는 검색어 입력 영역이 포함되고, 추가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코드를 반영한 키워드들, 실시간 검색 이력에 따른 인기 키워드들 등을 제공하는 영역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검색 인터페이스 제어부(152)는 방송 영상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를 출력하면서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영상 데이터의 청각 데이터가 출력되면서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가 출력될 수 있다. 방송 영상 데이터의 시각 및 청각 데이터가 출력되면서 방송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는 영역 위에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가 출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방송 영상 데이터가 송출되는 시점에는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제1 방송 영상 데이터, 방송되는 제1 상품과 대응되는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는 방송되는 제1 상품인 '김치'와 관련시켜 식품과 관련되며 사용자에 의해 자주 검색되는 상품들과 관련된 키워드 리스트, 검색 결과 리스트를 제공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는 TV 방송용 리모콘(510) 또는 셋탑 박스(500)를 통해 획득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변경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검색 인터페이스 제어부(152)는 획득된 사용자 입력 또는 송출되는 방송 영상 데이터를 미디어 제공 서버(100)로 전송하여, 획득된 사용자 입력과 대응되는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를 다시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간으로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검색 결과 리스트를 갱신하거나 실시간으로 검색되는 키워드들에 따라서 인기 키워드 리스트를 갱신할 수 있다. 이때, 인기 키워드 리스트는 순위에 따른 순서로 배열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키워드의 순위는 홈쇼핑 방송, 웹 페이지를 통한 검색 등의 다양한 매체들을 통해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할 수 있다. 인기 키워드 리스트에 포함된 각 인기 키워드는 바로 접속이 가능한 링크, 코드, 태그와 결합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송출되는 방송 영상 데이터에 따라서, 검색 결과 리스트, 인기 키워드 리스트를 갱신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는 미디어 제공 서버(100)로 입력되는 검색 이력,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제공되는 정보를 변경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하나 이상의 셋탑 박스들을 통해 입력된 검색 이력(검색 키워드, 사용자에 의해 선택 키워드 등)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 내의 컨텐츠들을 변경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각 코드 즉, 'ㅅ' 또는 'f' 등에 대한 검색 결과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는 자음 초성들의 조합 만으로 검색 결과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는 'ㅅ'를 포함하고 사용자들에 의해 자주 검색되는 '스토브리그', '생수', '손소독제', '소독 에탄올', '삼성전자' 등의 검색 결과 리스트(도 7, 도 8의 A21 참조)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입력을 입력 인터페이스(도 8의 A22 참조)를 제공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A22)에 대한 선택 입력을 통해 검색어가 입력되고 검색어는 검색어 영역(도 8의 A2)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검색 결과 리스트는 검색된 항목, 컨텐츠들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검색 결과 리스트는 검색어와 대응되는 데이터들과 대응되는 코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고, 코드와 관련된 데이터는 데이터 서버(40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데이터 서버(400)는 미디어 제공 서버(100)로부터 검색 결과 생성 요청에 대응하여 검색 결과 리스트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검색 결과 리스트는 해당 항목들과 관련된 영상들을 별도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검색 결과 리스트에 포함된 항목들(컨텐츠들)은 방송 여부를 기초로 배열 순서가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색 결과 리스트는 해당 방송 채널을 통해 방송되는 컨텐츠, 항목을 더 높은 순위로 출력하고, 다른 매체를 통해 방송되는 컨텐츠, 항목을 더 낮은 순위로 출력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해당 방송 채널을 통해 방송되는 제1 항목 및 제2 항목의 출력 순서는 현재를 기준으로 방송 편성 시점과의 인접성, 현재까지의 판매량, 일일 판매량 등을 비교하여 결정할 수 있다. 검색 결과 리스트에 포함된 항목들의 배열 순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관리부(153)는 셋탑 박스(500)와 통신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관리부(153)는 채널 선택 입력,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방송 영상 처리부(151) 또는 검색 인터페이스 제어부(152)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관리부(153)는 출력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들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다르게 관리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제공되는 기능 영역인 A11, A12, A13, A14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은 A11, A12, A13, A14 영역과 연계된 식별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검색어 영역인 A2를 선택한 이후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은 검색 기능과 연계되어 처리될 수 있다. 각 영역들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처리는 미디어 제공 서버(100)를 통해 처리되며, 처리 결과에 대한 제어 신호는 미디어 제공 서버(10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방송 출력 관리부(154)는 방송 영상 데이터의 영상 식별 정보 및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를 결합하여 셋탑 박스(500)에서 출력할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출력 데이터는 셋탑 박스(500)를 통해 TV 등의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TV 방송용 리모콘을 통해 채널 변경 입력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셋탑 박스(500)의 제어에 의해 출력 데이터의 출력이 중지될 수 있다.
방송 출력 관리부(154)는 방송 영상 처리부(151)로부터 수신한 방송 영상 데이터가 업데이트되는 경우, 업데이트(update)된 방송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방송 출력 관리부(154)는 검색 인터페이스 제어부(152)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가 업데이트되는 경우, 업데이트된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방송 출력 관리부(154)는 출력 데이터의 전체 영역 또는 일부 영역을 업데이트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방송 채널에 따른 방송용 출력 데이터뿐만 아니라 사용자 입력에 의해 반응하는 방송용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데이터 서버(400)를 통해 제공 받아 출력할 수 있다.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송출되는 방송 영상 데이터, 방송되는 상품, 실시간 검색 이력, 입력된 사용자 입력 등을 반영한 검색 결과 리스트 및/또는 검색 결과 페이지들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검색 결과 리스트는 사용자 입력과 대응되는 키워드들의 리스트를 말하며, 각 키워드의 검색 정보, 각 키워드와 연계된 페이지로의 연결 정보 등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검색 결과 페이지는 검색 결과 리스트의 키워드들 중에서, 미디어 제공 서버(100)에서 선택한 대표 키워드의 페이지의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미디어 제공 서버(100) 및 데이터 서버(40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출력 데이터에 포함된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와 대응되는 출력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따른 검색 결과 리스트 및/또는 검색 결과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검색 결과 리스트는 입력된 사용자 입력 및/또는 실시간으로 검색되는 키워드들, 실시간으로 판매되는 상품 관련 키워드들, 송출되는 방송 영상 데이터 등을 고려하여 생성되되, 데이터 서버(400)의 심의 정보(연령 제한 등)를 추가적으로 더 고려할 수 있다.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각 가정에 비치된 셋탑 박스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 검색 키워드를 누적적으로 관리하고, 검색 결과 리스트에 반영할 수 있다.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실시간으로 검색되는 키워드들, 다른 매체(포털 사이트, 스마트 스토어, SNS 등)을 통해 검색되는 키워드들의 검색 횟수, 최근 조회수, 새글 입력 수 등을 기초로 인기 키워드들을 생성할 수 있다.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상기의 과정으로 생성된 인기 키워드들을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인기 키워드들은 해시 태그, 또는 해당 정보로 바로 이동하는 링크 등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미디어 제공 서버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들이다.
S110에서 셋탑 박스(500)는 입력 장치로부터 검색 기능에 대한 검색 입력을 획득한다. 셋탑 박스(500)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통해, 검색 입력은 미디어 제공 서버(100)로 전달될 수 있다(S115).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검색 입력에 따른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S120).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각 가정에 비치된 셋탑 박스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 검색 키워드를 누적적으로 관리하고, 검색 결과 리스트에 반영할 수 있다.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실시간으로 검색되는 키워드들, 다른 매체(포털 사이트, 스마트 스토어, SNS 등)을 통해 검색되는 키워드들의 검색 횟수, 최근 조회수, 새글 입력 수 등을 기초로 인기 키워드들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는 인기 키워드를 포함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방송 영상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와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120). 셋탑 박스(500)를 통해 상기 출력 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다(S125). 셋탑 박스(500)와 연결된 출력 장치는 출력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S130).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가 출력되는 동안에,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셋탑 박스(50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S215).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따른 검색 결과 리스트 및/또는 검색 결과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S220). 검색 결과 리스트는 입력된 사용자 입력 및/또는 실시간으로 검색되는 키워드들, 실시간으로 판매되는 상품 관련 키워드들, 송출되는 방송 영상 데이터 등을 고려하여 생성되되, 데이터 서버(400)의 심의 정보(연령 제한 등)를 추가적으로 더 고려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검색 결과 리스트 및/또는 페이지는 미디어 제공 서버(100)로 제공될 수 있다. 미디어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를 통해 검색 결과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검색 결과 리스트가 포함된 출력 데이터는 셋탑 박스(500)로 전송되어 출력될 수 있다(S235).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생성된 출력 데이터의 예시 도면들이다.
출력 데이터(S1)는 기능 제공 영역들(A11, A12, A13, A14), 검색어 입력 영역(A2), 인기 키워드 영역(A31, A32, A33), 키워드에 대한 페이지 영역(A41, A42, A43)를 포함할 수 있다.
기능 제공 영역들(A11, A12, A13, A14)은 네비게이션 바로 명칭될 수 있다. 기능 제공 영역들(A11, A12, A13, A14) 각각에 대응되는 동작 등은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A11이 선택된 경우에는 채널의 시간 편성표에 매칭된 방송 영상 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다. A12가 선택된 경우에는 A12와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다. A13이 선택된 경우에는 A13과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 또는 웹 페이지가 출력될 수 있다. A14가 선택된 경우에는 사용자의 쇼핑 이력에 따른 리스트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영상 데이터는 컨텐츠 송출 서버(200)로부터 수신되고, 그 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웹 페이지, 리스트 정보 등)는 미디어 제공 서버(100)에서 생성할 수 있다. 웹 페이지, 리스트 정보 등은 데이터 서버(4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A41, A42, A43에는 영상 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으며, 영상 데이터는 컨텐츠 송출 서버(200)로부터 수신되어 출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키워드에 대한 페이지 영역(A41, A42, A43)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는 미디어 제공 서버(100)로부터 획득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송출 서버(200)로 요청하여 획득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기능 제공 영역들 중에서, 검색 기능의 탭을 선택하면,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도록 구현되며,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는 검색어 입력 영역(A2), 인기 키워드 영역(A31, A32, A33), 키워드에 대한 페이지 영역(A41, A42, A43)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인기 키워드 영역(A31, A32, A33), 키워드에 대한 페이지 영역(A41, A42, A43)은 컨텐츠 송출 서버(200) 또는 미디어 제공 서버(100)로부터의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는 S2와 같이 검색어 입력 영역(A2) 및 입력에 따른 검색 결과 리스트 제공 영역(A21)를 포함할 수 있다. 검색 결과 리스트 제공 영역(A21)는 검색어 입력 영역(A2)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변동되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는 S3과 같이 입력 인터페이스(A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A22)에 대한 선택 입력으로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다.
도 9는 셋탑 박스(500)의 블록도이다.
셋탑 박스(500)는 미디어 제공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501), TV 방송용 리모콘으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획득부(502), 출력 제어부(503)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제어부(503)는 TV 등의 외부 출력 장치로 방송용 출력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출력 제어부(503)는 미디어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출력 데이터를 외부의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출력 제어부(503)는 미디어 제공 서버(100)와 통신하여 방송 송출용 방송 영상 데이터의 영상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출력 제어부(503)는 셋탑 박스에서 채널 선택 입력에 따라 방송 스케쥴을 결정하고, 방송 스케쥴에 대응하는 방송 영상 데이터의 영상 식별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출력 제어부(503)는 선택된 채널에 따라 방송 영상 데이터의 영상 식별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출력 제어부(503)는 방송 스케쥴에 대응하는 방송 영상의 식별 정보를 미디어 제공 서버(100)로부터 획득하고, 방송 영상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송출 서버(200)로부터 방송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출력 제어부(503)는 컨텐츠 송출 서버(200)로부터 인코딩된 방송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출력 제어부(503)는 방송 영상 처리부(151)로부터 수신한 방송 영상 데이터가 업데이트되는 경우, 업데이트(update)된 방송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출력 제어부(503)는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가 업데이트되는 경우, 업데이트된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출력 제어부(503)는 출력 데이터의 전체 영역 또는 일부 영역을 업데이트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미디어 제공 서버 110: 프로세서
120: 통신부 130: 입력부
140: 출력부 150: 저장 매체
151: 방송 영상 처리부 152: 검색 인터페이스 제어부
153: 사용자 입력 관리부 154: 방송 출력 관리부
200: 컨텐츠 송출 서버
400: 데이터 서버 500: 셋탑 박스
501: 통신부 502: 획득부
503: 출력 제어부 510: TV 방송용 리모콘

Claims (11)

  1. 미디어 제공 서버가 데이터 서버로부터 방송 스케쥴에 대응하여 제1 방송 영상의 영상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방송 영상의 영상 식별 정보를 셋탑 박스로 전송하여 상기 셋탑 박스에서 상기 제1 방송 영상을 컨텐츠 송출 서버에 요청하여 상기 제1 방송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제공 서버가 셋탑 박스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입력과 대응하여 하나 이상의 셋탑 박스들을 통해 입력된 검색 이력을 기준으로 제공되는 정보가 변경되는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제공 서버가 상기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1 방송 영상과 오버랩시켜 출력하는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제공 서버가 상기 셋탑 박스로 상기 출력 데이터를 전송하여 외부의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미디어 제공 서버가 상기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를 통해 획득된 검색 입력에 대응하여 검색 결과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셋탑 박스로 상기 검색 결과 리스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디어 제공 서버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결과 리스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셋탑 박스를 통해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검색 입력의 음절과 대응한 검색 결과 리스트를 제공하는, 미디어 제공 서버의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결과 리스트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서버로 실시간 검색 순위에 따른 하나 이상의 검색 항목을 요청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검색 항목을 수신하고, 각 검색 항목에 대한 검색 페이지로 이동하는 링크를 더 포함하는 검색 결과 리스트를 생성하는, 미디어 제공 서버의 동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방송 영상 데이터를 청각적으로 출력하면서 상기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미디어 제공 서버의 동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셋탑 박스로부터 인터페이스 추가 신호에 대응하여 검색어 입력의 시각적인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출력 제어 신호를 상기 셋탑 박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미디어 제공 서버의 동작 방법.
  6.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7. 셋탑 박스로 통신하는 통신 모듈과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데이터 서버로부터 방송 스케쥴에 대응하여 제1 방송 영상의 영상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방송 영상의 영상 식별 정보를 상기 셋탑 박스로 전송하여 상기 셋탑 박스에서 상기 제1 방송 영상을 컨텐츠 송출 서버에 요청하여 상기 제1 방송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며, 상기 셋탑 박스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입력과 대응하여 하나 이상의 셋탑 박스들을 통해 입력된 검색 이력을 기준으로 제공되는 정보가 변경되는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1 방송 영상과 오버랩시켜 출력하는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셋탑 박스로 상기 출력 데이터를 전송하여 외부의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하도록 처리하고, 상기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를 통해 획득된 검색 입력에 대응하여 검색 결과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셋탑 박스로 상기 검색 결과 리스트를 전송하는, 방송 영상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미디어 제공 서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셋탑 박스를 통해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의 음절과 대응한 검색 결과 리스트를 제공하는, 방송 영상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미디어 제공 서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데이터 서버로 실시간 검색 순위에 따른 하나 이상의 검색 항목을 요청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검색 항목을 수신하고, 각 검색 항목에 대한 검색 페이지로 이동하는 링크를 더 포함하는 검색 결과 리스트를 생성하는, 방송 영상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미디어 제공 서버.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방송 영상 데이터를 청각적으로 출력하면서 상기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송 영상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미디어 제공 서버.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셋탑 박스로부터 인터페이스 추가 신호에 대응하여 검색어 입력의 시각적인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출력 제어 신호를 상기 셋탑 박스로 전송하는, 방송 영상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미디어 제공 서버.
KR1020200093192A 2020-07-27 2020-07-27 방송 영상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미디어 제공 서버, 미디어 제공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355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192A KR102355927B1 (ko) 2020-07-27 2020-07-27 방송 영상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미디어 제공 서버, 미디어 제공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192A KR102355927B1 (ko) 2020-07-27 2020-07-27 방송 영상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미디어 제공 서버, 미디어 제공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5927B1 true KR102355927B1 (ko) 2022-02-07

Family

ID=80252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192A KR102355927B1 (ko) 2020-07-27 2020-07-27 방송 영상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미디어 제공 서버, 미디어 제공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592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2829A (ko) * 2008-04-25 2009-10-29 엔에이치엔(주) 한글의 초성, 중성 및 종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지역 정보를 검색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92152A (ko) * 2013-01-15 2014-07-23 네이버 주식회사 Tv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방송 영상 검색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2829A (ko) * 2008-04-25 2009-10-29 엔에이치엔(주) 한글의 초성, 중성 및 종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지역 정보를 검색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92152A (ko) * 2013-01-15 2014-07-23 네이버 주식회사 Tv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방송 영상 검색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61240A1 (en) Web page oper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KR20150099891A (ko) 데이터 변환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12075085B (zh)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US11734323B2 (en) Electronic list user interface
US20140324623A1 (en) Display apparatus for providing recommendation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US20210303253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ame controlling external device
JP2016520900A (ja) オンライン共有のためのクラウドサービスの統合
US11733832B2 (en) Optimizing object displays on user interfaces
WO2018184360A1 (zh) 一种信息获取、信息提供方法及相关装置
US10747755B2 (en) Method for providing immediate result for user input, and apparatus therefor
KR102355927B1 (ko) 방송 영상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 맞춤 검색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미디어 제공 서버, 미디어 제공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1503344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peech recognition using smart remote control
KR20160143432A (ko) 검색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TWI528289B (zh)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memory media
KR102612580B1 (ko) 미디어 제공 서버, 트리거 영역을 통해 다른 컨텐츠로 전환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70088017A (ko)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시스템 및 방법
KR102181896B1 (ko) 전자 장치에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326579B1 (ko) 방송 송출용 진행 데이터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tv 방송 시스템
KR102399543B1 (ko) 방송 인터페이스와 함께 팝업 화면을 제공하는 미디어 제공 서버,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379725B1 (ko) 사용자 입력으로 방송 영상의 재생을 제어하는 미디어 제공 시스템, 미디어 제공 서버의 동작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20014145A (ko) 매장 별 프로모션 정보를 제공하는 미디어 제공 서버, 영상 출력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9904739B2 (en) Service provider system and service provider method
CN112052377A (zh) 资源推荐方法、装置、服务器和存储介质
KR20220013788A (ko) 방송 채널 또는 웹 페이지를 통해 판매되는 판매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랭킹 정보를 제공하는 미디어 제공 서버, 방송 영상 출력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240119489A1 (en) Product score unique to u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