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5146B1 - 녹조제거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녹조제거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5146B1
KR102355146B1 KR1020210038325A KR20210038325A KR102355146B1 KR 102355146 B1 KR102355146 B1 KR 102355146B1 KR 1020210038325 A KR1020210038325 A KR 1020210038325A KR 20210038325 A KR20210038325 A KR 20210038325A KR 102355146 B1 KR102355146 B1 KR 102355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lgae
remover
green algae
sulf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8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행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석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석환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석환경
Priority to KR1020210038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51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5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5146B1/ko
Priority to PCT/KR2022/003872 priority patent/WO202220329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oxygen or sulfur compounds
    • A01N31/02A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02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thio analogue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02Sulfur; Selenium; Tellur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06Aluminium; Calcium; Magnes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16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4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microorganisms us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산아연 5 내지 30 중량%, 황산칼륨 0.1 내지 2 중량%, 황산마그네슘 0.1 내지 2 중량% 및 잔량 물로 구성되되, pH가 5.0 내지 6.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제거제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라,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녹조제거제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고, 소량을 살포하여도 넓은 지역에서의 녹조 제거 효과가 우수하다.

Description

녹조제거제 및 그 제조방법{GREEN TIDE REMOV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녹조제거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량으로도 녹조제거효과가 우수하고 녹조 발생을 예방할 수 있으며 2차 미생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녹조제거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녹조(綠潮, green tide)는 강이나 호수에 남조류의 과다 성장으로 물의 색이 짙은 녹색으로 변하는 현상을 말한다. 적조는 하천과 바다가 접하는 지역의 산소 농도가 옅어져 어패류가 질식해 폐사하는 반면, 녹조는 하천의 표면을 덮어 산소 유입을 차단하여 결과적으로 수중생물이 사멸되고 물이 썩어 악취가 나는 현상을 일컫는다.
녹조는 오염물질의 유입(영양물질, 부영양화), 수온, 일사량, 물 순환 정체(체류시간 증가) 등 다양한 원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다. 특히, 질소와 인을 포함한 영양물질들이 강이나 호수로 흘러들어 부영양화가 발생하고 이와 함께 강한 햇빛, 높아진 수온, 물 순환의 정체 등 남조류가 성장하기 좋은 환경이 조성되는 경우 녹조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녹조현상을 유발하는 주요 남조류인 마이크로시스티스(microcystis)는 부영양화에 의해 증폭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군체를 형성하여 수표면에 부유하면서 성장하여 수중의 산소를 차단한다. 마이크로시스티스는 불쾌한 냄새를 유발하고, 간 질환 독소물질인 마이크로시스틴(microcystin)을 수중으로 용출하여 수생 생물에 축적되어 생태계 및 환경적으로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녹조가 발생하는 경우 하천의 색깔이 탁해지고 수면에 찌꺼기가 생기면서 수면을 뒤덮은 조류가 햇빛을 차단하여 깊은 물 속의 수생식물들이 광합성을 충분히 하지 못하게 되고, 물속의 산소 소비량이 상대적으로 많아짐에 따라 산소부족에 의한 동·식물의 폐사율이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종래 녹조를 제거하는 한 방법으로 황토 및 백토를 살포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어왔으나, 황토의 콜로이드 입자가 녹조흡착 후 침전이 되면서 부패가 진행되거나 다시 부유하여 2차 오염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 다른 녹조 제거 방법으로는 녹조 방제선을 이용하여 녹조를 제거하는 방법이 있으나, 방제선을 꾸준히 관리해줘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인적으로도 경제적으로도 활용성이 높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7407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 소량을 살포하여도 녹조 제거 효과가 뛰어나면서 비용이 저렴함과 동시에 2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녹조제거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독성물질을 생성하는 마이크로시스티스의 효과적인 제거를 통해 하천의 수질을 개선하는 것을 기술적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녹조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녹조 제거 후 2차 오염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해결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고자, 황산아연 5 내지 30 중량%, 황산칼륨 0.1 내지 2 중량%, 황산마그네슘 0.1 내지 2 중량% 및 잔량 물로 구성되되, pH가 5.0 내지 6.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제거제를 제공한다.
또한, 과산화수소(30% 용액 기준) 1 내지 10 중량%, EDTA 0.1 내지 3 중량%, 영양제 0.1 내지 1.0 중량%, 마그네슘실리케이트 0.1 내지 1.0 중량%를 더 포함하되, 상기 영양제는 글루콘산나트륨, 알긴산나트륨 및 키토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영양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제거제를 제공한다.
또한, 이산화티타늄 0.1 내지 2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제거제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녹조제거제는 남조류의 사멸작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제거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로, (a) 반응용기에 황산아연 5 내지 30 중량%, 황산칼륨 0.1 내지 2 중량%, 황산마그네슘 0.1 내지 2 중량% 및 잔량 물로 구성되는 혼합물을 넣고 30분 내지 2시간동안 교반하는 단계; (b) 과산화수소(30% 용액 기준) 1 내지 10 중량%, EDTA 0.1 내지 3 중량%, 마그네슘실리케이트 0.1 내지 1 중량%, 영양제 0.1 내지 1 중량%, 이산화티타늄 0.1 내지 2 중량%를 더 첨가하고 교반하는 단계; 및 (c) pH를 5.0 내지 6.5로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영양제는 글루콘산나트륨, 알긴산나트륨 및 키토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제거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녹조제거제는,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소량을 살포하여도 넓은 지역에서의 녹조 제거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독성물질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수중생물의 피해를 최소화하였으며 녹조제거후 수중생물의 생태계 복원을 도와주는 영양성분이 포함되고 2차 오염 또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조제거제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녹조제거제에 들어가는 살균제 첨가 중합비를 달리하여 시간의 경과(투입 직후, 1일 후, 2일 후, 3일 후)에 따른 녹조제거 정도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녹조제거제의 이산화티타늄 첨가 중합비를 달리하여 시간의 경과(투입 직후, 6시간 후, 1일 후, 3일 후)에 따라 녹조제거 정도를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녹조제거제는 황산아연(ZnSO4), 황산칼륨(K2SO4), 황산마그네슘(MgSO4) 등을 포함한다.
황산아연은 녹조의 원인물질인 미생물 및 남조류에 대한 살균·사멸 효과가 우수하여 적절한 농도로 희석하여 사용하는 경우 그 효과가 탁월한 녹조제거제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마이크로시스티스 속, 아나베나(anabaena) 속 등의 남조류 또는 남세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5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5 중량% 미만일 경우 살균효과가 미미하고, 3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과도한 살균에 의해 호세균, 수중 동·식물까지 악영향을 주어 수중생태계에 피해를 줄 우려가 있다.
황산칼륨은 황산아연과 동일한 남조류 제거 및 살균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황산아연의 살균역할을 보조하는 보조살균제로 첨가한다. 0.1 내지 2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0.1 중량% 미만일 경우 살균보조제로서의 역할이 미미하고, 2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녹조제거제의 분산성이 떨어질 수 있다.
황산마그네슘은 황산칼륨과 마찬가지로 황산아연을 보조하여 보조살균제로 사용된다. 특히, 수용액에서 Mg 이온과 OH 이온으로 치환되어 녹조의 원인인 남조류, 남세균 또는 미생물의 먹이가 되는 인산기와 반응하여 불활성 상태로 만든다. 0.1 내지 2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0.1 중량% 미만일 경우 인산기와 반응하는 양이 미미해 보조살균제로서 불충분하고, 2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녹조제거제의 분산성이 떨어질 수 있다
후술하는 실시예 1과 같이 황산아연, 황산칼륨 또는 황산마그네슘 자체만으로도 살균효과가 있으나 세 화합물을 적절한 비율로 배합한 혼합물로 녹조제거제를 제조할 경우,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보다 그 효과가 더 탁월하다.
과산화수소(H2O2)는 수중에서 활성산소를 생성해 유기물을 분해하는 역할을 하고 보조살균제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과산화수소(30% 용액 기준)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 중량% 미만일 경우 유기물 분해정도가 미미하고, 10 중량% 초과일 경우 녹조제거제의 분산성이 떨어질 수 있다.
EDTA는 산화방지 역할을 하는 금속성분의 킬레이트 작용기로서 금속안정화 작용을 한다. EDTA 0.1 내지 3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0.1 중량% 미만일 경우 산화방지 및 금속안정제 효과가 미미하고, 3 중량% 초과하더라도 산화방지 및 금속안정제 효과가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다.
영양제는 녹조를 제거한 후 주변 수중생태계에 영양분을 공급함으로써 수중생태계를 복원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영양제는 글루콘산나트륨, 알긴산나트륨 및 키토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영양제를 0.1 내지 1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1 중량% 미만일 경우 영양분이 충분히 공급되지 못할 수 있고, 1 중량% 초과일 경우 영양분이 과도하여 오히려 수중환경이 혼탁해질 수 있다. 글루콘산나트륨, 알긴산나트륨 또는 키토산 외에도 영양제로 사용될 수 있는 모든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마그네슘실리케이트는 녹조제거제의 분산성을 높여 살포지역에 고르게 분산시키는 분산제 역할을 한다. 특히, 후술하는 이산화티타늄을 강 또는 호수의 저부에서 고르게 분산시켜 2차 오염 방지를 보조한다. 0.1 내지 1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0.1 중량% 미만일 경우 분산제 역할이 미미하며, 1 중량% 초과일 경우 오히려 녹조와 녹조제거제가 충분히 반응하지 못할 수 있다.
이산화티타늄(TiO2)은 대표적인 광촉매로 자외선(UV)영역의 빛에 반응한다. 이산화티타늄에 자외선을 쬐면 광촉매 표면에 결합되어 있는 물 분자로부터 수산기(OH radical)가 생성된다. 이 수산기는 매우 강한 산화능력을 가지고 있어 유기물 및 오염물질 분해힌다. 또한, 태양광에 의하여 물과 반응하여 하이드록시(-OH)로 변화되어 친수성을 띄게 되면서 물표면에 넓게 분포하게 되어, 넓은 범위에서의 살균작용을 용이하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
한편, 녹조제거제의 살균작용이 완료되어 녹조와 녹조제거제가 함께 침전되었을 경우, 광촉매작용을 통해 2차 오염물질 발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물보다 비중이 높아(루타일형 비중 3.8, 아나타제형 비중 4.2) 이산화티타늄이 포함될 경우 사멸된 녹조를 효과적으로 가라앉게 해준다. 이때, 강이나 호수의 저부에서 희미한 햇빛만으로도 광합성을 가능하게 해주어 수중에서도 광합성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준다. 0.1 내지 2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0.1 중량% 미만일 경우 광합성량이 미미하여 2차 오염물질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없고, 2 중량%를 초과할 경우 녹조제거제의 분산성이 저하된다.
pH 조절제는 산화칼슘(CaO) 또는 탄산나트륨(Na2CO3)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pH를 조절할 수 있는 모든 pH 조절제를 사용할 수 있다. 적절한 수중 pH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녹조제거제의 pH를 5.0 내지 6.5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5.0 pH 미만일 경우 과도한 산성환경에 의해 수중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고, 6.5 pH를 초과하는 경우 비산성화 됨에 따라 화합물의 교반이 수월하지 못해 분산성이 떨어져 광범위에서의 살균특성이 발현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황산아연, 황산칼륨, 황산마그네슘이 포함된 녹조제거제를 1 내지 10ppm의 농도로 제조하여 녹조가 생성된 지역에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1ppm 농도 미만일 경우 살균효과가 미미하여 과량의 녹조제거제를 투입해야하므로 경제성이 떨어지고, 10ppm을 초과하는 경우 살균제의 과다 살포로 인해 수중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때, 녹조가 발생한 지역의 녹조농도에 비례하여 1ppm에서 10ppm 까지 정량적으로 살포할 수 있다. 상기 녹조제거제 농도의 상한선을 10ppm로 제한한 것은, 녹조제거제에 포함된 구성물질의 과도한 농도에 의한 잠재적 위험성으로부터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임계값이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녹조제거제의 제거효과가 감소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녹조제거제는 특히 효과적으로 남조류, 남세균 등을 제거할 수 있으며, 녹조발생 전에 투입하게 될 경우 녹조의 본격적인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로 녹조제거제의 제조방법이 있다.
먼저, 반응용기에 황산아연 5 내지 30 중량%, 황산칼륨 0.1 내지 2 중량%, 황산마그네슘 0.1 내지 2 중량% 및 잔량 물로 구성되는 혼합물을 넣고 30분 내지 2시간동안 교반하는 단계를 실시한다.
그 후, 과산화수소(30% 용액 기준) 1 내지 10 중량%, EDTA 0.1 내지 3 중량%, 마그네슘실리케이트 0.1 내지 1 중량%, 영양제 0.1 내지 1 중량%, 이산화티타늄 0.1 내지 2 중량%를 더 첨가하고 교반하는 단계를 실시한다. 상기 영양제는 글루콘산나트륨, 알긴산나트륨 및 키토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pH조절제를 첨가하여 pH를 5.0 내지 6.5로 조절하는 단계를 실시하여 녹조제거제를 제조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인 녹조제거제의 녹조제거효과에 대해 실시예를 바탕으로 상세히 서술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반응용기에 황산아연 10 중량%, 황산칼륨 0.5 중량%, 황산마그네슘 0.5 중량%를 물에 첨가하여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과산화수소 2 중량%, EDTA 0.2 중량%, 이산화티타늄 0.5 중량%, 마그네슘실리케이트 0.1 중량%, 글루콘산나트륨 0.1 중량%를 더 첨가하여 교반하였으며, pH를 5.5로 조절한 녹조제거제를 3ppm으로 제조하여 녹조에 투입하였다.
<비교예 1>
녹조제거제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으로서, 녹조 외에 어떠한 화합물도 첨가하지 않았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다른 첨가물은 동일하고, 살균제 역할을 하는 황산아연, 황산마그네슘, 황산칼륨 중 황산아연만을 10 중량% 첨가한 녹조제거제를 3ppm으로 제조하여 투입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과 다른 첨가물은 동일하고, 살균제 역할을 하는 황산아연, 황산마그네슘, 황산칼륨 중 황산마그네슘만을 0.5 중량% 첨가한 녹조제거제를 3ppm으로 제조하여 투입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1과 다른 첨가물은 동일하고, 살균제 역할을 하는 황산아연, 황산마그네슘, 황산칼륨 중 황산칼륨만을 0.5 중량% 첨가한 녹조제거제를 3ppm으로 제조하여 투입하였다.
<시험예 1>
본 시험예 1에서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에 따른 조류 개체수 및 Chl-a 농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1과 같이 나타내었다.
실험환경은 batch experiment의 조건에서 LCC-500MP 장치를 사용해 25℃ 수온을 유지하였으며, 녹조의 발생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남조류가 포함된 시료 250mL(개체수 4,000,000~5,000,000 cells/ml)를 사용했다. 현미경계수법을 이용하여 측정된 조류 개체수를 비교(수질공정오염시험법)하였고, 조류농도지표인 클로로필-a(Chl-a)의 농도를 비교하여 녹조제거 효과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클로로필-a는 모든 조류에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엽록소의 한 종류로서, 녹조의 발생 정도를 비교적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지표 중 하나이다. 측정된 수치가 높을수록 녹조가 많이 생성되었고, 낮을수록 녹조생성물이 적게 생성되었음을 의미한다.
종류 조류 개체수(cells/ml) Chl-a(mg/m3)
투입전 3일후 투입전 3일후
실시예 1 녹조제거제
(3ppm)
4,512,000 232,500 497.68 24.12
비교예 1 - 4,971,000 512.68
비교예 2 ZnSO4
(3ppm)
4,125,000 453.45
비교예 3 MgSO4
(3ppm)
4,250,000 480.45
비교예 4 K2SO4
(3ppm)
4,651,000 480.12
녹조의 제거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4,512,000cells/ml 및 497.68mg/m3의 수치를 가지는 녹조를 사용하였다.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 1은, 녹조제거제를 첨가한 후 3일 후의 조류 개체수가 232,500cells/ml 로 약 95%의 개체수가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고, Chl-a 또한 24.12mg/m3 으로 약 95%의 농도가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 1에서, 3일 후의 조류개체수는 4,971,000cells/ml 로 약 10% 증가하였고, Chl-a 또한 512.68mg/m3 으로 약 3% 증가하였다..
비교예 2에서, 3일 후의 조류개체수는 4,125,000cells/ml 로 약 8.6% 감소하였고, Chl-a 또한 약 8.9% 감소하였다.
비교예 3에서, 3일 후의 조류개체수는 4,250,000cells/ml 로 약 5.8% 감소하였고, Chl-a 또한 약 3.5% 감소하였다.
비교예 4에서, 3일 후의 조류개체수는 4,651,000cells/ml 로 약 3% 증가하였고, Chl-a는 약 3.5% 감소하였다.
시험예 1로부터, 살균제 역할을 하는 황산아연, 황산마그네슘 및 황산칼륨을 각각 첨가하는 경우 대체적으로 조류 개체수 및 Chl-a의 농도가 감소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3ppm의 녹조제거제의 조류 개체수 및 Chl-a 농도 감소율에는 미미한 정도임을 알 수 있다.
도 2는 본 시험예 1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의 1일 후, 2일 후, 3일 후의 시간의 경과에 따른 녹조의 제거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사진이다. 실시예 1에서 눈에 띄게 녹조의 색이 옅어짐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황산아연 10 중량%, 황산칼륨 0.5 중량%, 황산마그네슘 0.5 중량%, 과산화수소 2 중량%, EDTA 0.2 중량%, 이산화티타늄 0.1 중량%, 마그네슘실리케이트 0.1 중량%, 글루콘산나트륨 0.1 중량% 및 잔량 물로 구성되는 녹조제거제를 3ppm으로 제조하여 투입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2와 다른 첨가물은 동일하고, 이산화티타늄 0.5 중량%가 첨가된 녹조제거제를 3ppm으로 제조하여 투입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2와 다른 첨가물은 동일하고, 이산화티타늄 1 중량%가 첨가된 녹조제거제를 3ppm으로 제조하여 투입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2와 다른 첨가물은 동일하나, 이산화티타늄을 첨가하지 않은 녹조제거제를 3ppm으로 제조하여 투입하였다.
<비교예 5>
녹조제거제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으로서, 녹조 외에 어떠한 화합물도 첨가하지 않았다.
< 시험예 2 >
본 시험예 2에서는 황산아연 10 중량%, 황산칼륨 0.5 중량%, 황산마그네슘 0.5 중량%, 과산화수소 2 중량%, EDTA 0.2 중량%, 마그네슘실리케이트 0.1 중량%, 글루콘산나트륨 0.1 중량% 및 잔량 물로 구성되는 녹조제거제에 이산화티타늄의 첨가 중량을 달리하여 제조된 녹조제거제를 3ppm으로 제조한 것을 하기 표 2로 정리하였다.
sample 첨가 화합물
실시예 2 이산화티타늄 0.1 중량%가 포함된 녹조제거제
실시예 3 이산화티타늄 0.5 중량%가 포함된 녹조제거제
실시예 4 이산화티타늄 1 중량%가 포함된 녹조제거제
실시예 5 이산화티타늄이 포함되지 않은 녹조제거제
비교예 5 -
도 3은 본 시험예 2의 6시간 후, 1일 후, 3일 후와 같이 시간의 경과에 따른 녹조 제거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사진이다. 실시예 2 내지 4에서 볼 수 있듯이 이산화티타늄 1 중량% 까지는 응집되지 않고 균일하게 분산되어 녹조가 효과적으로 제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산화티타늄이 포함되지 않은 실시예 5 또한 비교예 5와 비교하였을 때 녹조가 제거되었음을 확연히 구분할 수 있다.
이산화티타늄은 광촉매 화합물로 작용할 수는 있으나, 2차 오염물질 생성을 방지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하므로, 실제 강이나 호수 등에서 효과를 더욱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녹조제거제에 있어서,
    황산아연 5 내지 30 중량%, 황산칼륨 0.1 내지 2 중량%, 황산마그네슘 0.1 내지 2 중량%, 과산화수소(30% 용액 기준) 1 내지 10 중량%, EDTA 0.1 내지 3 중량%, 영양제 0.1 내지 1 중량%, 마그네슘실리케이트 0.1 내지 1 중량%, 이산화티타늄 0.1 내지 1 중량% 및 잔량 물로 구성되되,
    상기 영양제는 글루콘산나트륨, 알긴산나트륨 및 키토산으로 구성된 군으로 부터 선택된 하나이상 포함되며,
    상기 녹조제거제는 pH가 5.0 내지 6.5 이고 농도가 1~3ppm을 가짐으로써 남조류 사멸작용과 광촉매 작용을 통해 2차 오염 물질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제거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녹조제거제 제조방법에 있어서,
    (a) 반응용기에 황산아연 5 내지 30 중량%, 황산칼륨 0.1 내지 2 중량%, 황산마그네슘 0.1 내지 2 중량% 및 잔량 물로 구성되는 혼합물을 넣고 30분 내지 2시간동안 교반하는 단계;
    (b) 과산화수소(30% 용액 기준) 1 내지 10 중량%, EDTA 0.1 내지 3 중량%, 마그네슘실리케이트 0.1 내지 1 중량%, 영양제 0.1 내지 1 중량%, 이산화티타늄 0.1 내지 1 중량%를 더 첨가하고 교반하는 단계; 및
    (c) pH를 5.0 내지 6.5로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영양제는 글루콘산나트륨, 알긴산나트륨 및 키토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며,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녹조제거제는 농도가 1~3ppm을 가짐으로써 남조류 사멸작용과 광촉매 작용을 통해 2차 오염 물질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조제거제 제조방법.
KR1020210038325A 2021-03-24 2021-03-24 녹조제거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355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325A KR102355146B1 (ko) 2021-03-24 2021-03-24 녹조제거제 및 그 제조방법
PCT/KR2022/003872 WO2022203298A1 (ko) 2021-03-24 2022-03-21 녹조제거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325A KR102355146B1 (ko) 2021-03-24 2021-03-24 녹조제거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5146B1 true KR102355146B1 (ko) 2022-02-08

Family

ID=80252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8325A KR102355146B1 (ko) 2021-03-24 2021-03-24 녹조제거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55146B1 (ko)
WO (1) WO202220329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03298A1 (ko) * 2021-03-24 2022-09-29 주식회사 우석환경 녹조제거제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071B1 (ko) 2012-12-11 2013-06-12 정동성 적조제거제 및 그 제조방법
US20150099632A1 (en) * 2013-10-03 2015-04-09 Dong-Suek JUNG Blue-green algae remov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4542705A (zh) * 2013-10-22 2015-04-29 郑东成 蓝绿藻去除剂及其制造方法
KR20160107974A (ko) * 2015-03-06 2016-09-19 정동성 시아노 박테리아의 제거제 및 제거방법
KR20180119726A (ko) * 2017-04-25 2018-11-05 이명희 녹조·적조 제거를 위한 수질정화제
CN110526355A (zh) * 2018-05-26 2019-12-03 王忠厚 一种新型无污染净水剂配方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5146B1 (ko) * 2021-03-24 2022-02-08 주식회사 우석환경 녹조제거제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071B1 (ko) 2012-12-11 2013-06-12 정동성 적조제거제 및 그 제조방법
US20150099632A1 (en) * 2013-10-03 2015-04-09 Dong-Suek JUNG Blue-green algae remov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4542705A (zh) * 2013-10-22 2015-04-29 郑东成 蓝绿藻去除剂及其制造方法
KR20160107974A (ko) * 2015-03-06 2016-09-19 정동성 시아노 박테리아의 제거제 및 제거방법
KR20180119726A (ko) * 2017-04-25 2018-11-05 이명희 녹조·적조 제거를 위한 수질정화제
CN110526355A (zh) * 2018-05-26 2019-12-03 王忠厚 一种新型无污染净水剂配方及其制备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03298A1 (ko) * 2021-03-24 2022-09-29 주식회사 우석환경 녹조제거제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03298A1 (ko) 2022-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89367B1 (en) Treatment of circulating water systems
KR101274071B1 (ko) 적조제거제 및 그 제조방법
US20110084021A1 (en) Method of ecological restoration of water bodies containing excess nutrient
CA1145964A (en) 2-chloro-4,6-diamino-s-triazines as algicides
KR102355146B1 (ko) 녹조제거제 및 그 제조방법
CN105417709A (zh) 一种水体自净生态链构建方法
US8440212B2 (en) Compositions for treating water systems
KR20230111504A (ko) 키토산을 포함하는 녹조제거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622951A (zh) 一种快速修复河道的绿色药剂
CN1183891A (zh) 用二氧化氯预防和控制水产养殖中传染性疾病的消毒工艺
CN107619076B (zh) 水产养殖类专用净水剂的配方
US20080262098A1 (en) Composition for Destroying Thread Algae
CN111704285A (zh) 一种降低养殖用水余氯的方法
CN113428966A (zh) 一种降低生态危害的蓝藻水华预防性治理方法和应用
KR101726701B1 (ko) 조류제거용 폴리염화알루미늄의 제조방법
CN112723560A (zh) 一种北方越冬池塘水质的处理方法
DE19944799A1 (de) Verfahren zur Verbesserung der Wasserqualität von Hälterungswässern
KR102647133B1 (ko) 과산화수소를 포함하는 녹조 제거제
KR20160107974A (ko) 시아노 박테리아의 제거제 및 제거방법
JPH01125311A (ja) 防藻殺菌剤
KR100254037B1 (ko) 칼륨을 주제로 한 알칼리성 수질 및 토양 개량제 수용액 조성물과 그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30123086A (ko) 과탄산염을 포함하는 조류 제거용 조성물
KR101890803B1 (ko) 해양 적조 퇴치용 혼합조성물
KR100413628B1 (ko) 녹조현상 제거 및 예방용 과산화금속 조성물
KR101450151B1 (ko) 조류 제거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