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5095B1 - Rf 오버레이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Rf 오버레이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5095B1
KR102355095B1 KR1020200138572A KR20200138572A KR102355095B1 KR 102355095 B1 KR102355095 B1 KR 102355095B1 KR 1020200138572 A KR1020200138572 A KR 1020200138572A KR 20200138572 A KR20200138572 A KR 20200138572A KR 102355095 B1 KR102355095 B1 KR 102355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rlay
overlay module
broadcast signal
internet data
data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8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완
김형수
김재국
양영석
채희용
김신재
채승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주식회사 유비쿼스
주식회사 엘지헬로비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주식회사 유비쿼스, 주식회사 엘지헬로비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200138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50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5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5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03Arrangements for fault recovery
    • H04B10/038Arrangements for fault recovery using bypa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07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 H04B10/075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n in-service signal
    • H04B10/079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n in-service signal using measurements of the data signal
    • H04B10/0793Network aspects, e.g. central monitoring of transmiss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27Operation, administration, maintenance or provisioning [OAMP] of WDM networks, e.g. media access, routing or wavelength allocation
    • H04J14/0241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 H04J14/0242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in WDM-PON
    • H04J14/0245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in WDM-PON for downstream transmission, e.g. optical line terminal [OLT] to ONU
    • H04J14/0246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in WDM-PON for downstream transmission, e.g. optical line terminal [OLT] to ONU using one wavelength per ONU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87Protection in WDM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F 오버레이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선로를 통해 RF 방송 신호와 인터넷 데이터 신호를 함께 전송하는 RF 오버레이 처리 장치는, 각각 광송신기로부터 RF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시키고, 그 증폭된 방송 신호와 PON 상위 국사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인터넷 데이터 신호를 다중화하여 하나의 광선로를 통해 출력하는 복수 개의 RF 오버레이 모듈과; 상기 복수 개의 RF 오버레이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액티브 상태로 설정하고, 액티브 상태로 설정된 RF 오버레이 모듈에 입력되는 상기 RF 방송 신호와 상기 인터넷 데이터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애가 감지된 경우, 상기 복수 개의 RF 오버레이 모듈 중 다른 것을 액티브 상태로 전환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RF 오버레이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RF OVERLAY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RF 오버레이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신호 장애시 절체 처리를 수행하는 RF 오버레이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광통신 관련하여 RF 오버레이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RF 오버레이 기술은 광 네트워크에서 케이블방송(RF) 방식을 유지하며 광대역 인터넷 서비스를 결합시키는 네트워크 전송기술이다.
하나의 케이블 네트워크에서 파장을 분할해 초고화질(UHD) 방송과 기가인터넷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어, 케이블TV의 장점인 광대역 방송 서비스와 인터넷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존 IPTV 방식과 달리 방송과 인터넷 신호가 서로 영향을 받지 않아 트래픽 증가에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특히 선로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최근 통신/방송 사업자들에 의해 많이 이용되고 있는 기술이다.
그런데, 이러한 RF 오버레이 기술의 경우에도 다른 통신망과 마찬가지로 지속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 이중화 구성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종래에는 RF 방송 신호에 대해서만 이중화가 구성되는 등 전체적인 이중화 구성이 이루어지지 못한 상태이다.
더욱이 종래에는 서버단위로 이중화가 이루어져서 비용이나 절체 시간 등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0678256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RF 오버레이 기술을 이용하는 시스템에서 장애 발생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절체 및 우회시킬 수 있도록 하는 RF 오버레이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광선로를 통해 RF 방송 신호와 인터넷 데이터 신호를 함께 전송하는 RF 오버레이 처리 장치는, 각각 광송신기로부터 RF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시키고, 그 증폭된 방송 신호와 PON 상위 국사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인터넷 데이터 신호를 다중화 하여 하나의 광선로를 통해 출력하는 복수 개의 RF 오버레이 모듈과; 상기 복수 개의 RF 오버레이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액티브 상태로 설정하고, 액티브 상태로 설정된 RF 오버레이 모듈에 입력되는 상기 RF 방송 신호와 상기 인터넷 데이터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애가 감지된 경우, 상기 복수 개의 RF 오버레이 모듈 중 다른 것을 액티브 상태로 전환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티브로 설정된 RF 오버레이 모듈에 기능 장애가 감지된 경우 상기 복수 개의 RF 오버레이 모듈 중 다른 것을 액티브 상태로 전환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RF 오버레이 모듈 각각은, 광송신기로부터 RF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입력 포트와; PON 상위 국사 장치로부터 인터넷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입력 포트와; 상기 제1 포트를 통해 수신된 RF 방송 신호를 증폭시키는 광 증폭부와; 상기 광 증폭부에 의해 증폭된 방송 신호와 상기 제2 포트를 통해 수신된 인터넷 데이터 신호를 다중화하는 다중화부와; 상기 다중화부에 연결되어 다중화된 광신호를 출력하는 출력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RF 오버레이 모듈은 제1 RF 오버레이 모듈과 제2 RF 오버레이 모듈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을 액티브 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제2 RF 오버레이 모듈을 스탠바이 상태로 설정한 상태에서,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에 입력되는 상기 RF 방송 신호와 상기 인터넷 데이터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애가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을 스탠바이 상태로 전환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2 RF 오버레이 모듈을 액티브 상태로 전환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의 제1 광 증폭부를 액티브 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제2 RF 오버레이 모듈의 제2 광 증폭부를 스탠바이 상태로 설정하며,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에 상기 RF 방송 신호와 상기 인터넷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에 입력되는 상기 RF 방송 신호에 장애가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의 제1 광 증폭부를 스탠바이 상태로 전환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2 RF 오버레이 모듈의 제2 광 증폭부를 액티브 상태로 전환한 후, 상기 RF 방송 신호는 상기 제2 RF 오버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인터넷 데이터 신호는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의 제1 광 증폭부를 액티브 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제2 RF 오버레이 모듈의 제2 광 증폭부를 스탠바이 상태로 설정하며,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에 상기 RF 방송 신호와 상기 인터넷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에 입력되는 상기 인터넷 데이터 신호에 장애가 감지된 경우, 상기 RF 방송 신호는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인터넷 데이터 신호는 상기 제2 RF 오버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을 액티브 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제2 RF 오버레이 모듈을 스탠바이 상태로 설정하며,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에 상기 RF 방송 신호와 상기 인터넷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에 입력되는 상기 RF 방송 신호에 장애가 감지된 경우, 상기 PON 상위 국사 장치에 인터넷 데이터 신호를 상기 제2 RF 오버레이 모듈로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함과 아울러,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을 스탠바이 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제2 RF 오버레이 모듈을 액티브 상태로 설정하여, 상기 제2 RF 오버레이 모듈을 통해 상기 RF 방송 신호와 상기 인터넷 데이터 신호가 모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광선로를 통해 RF 방송 신호와 인터넷 데이터 신호를 함께 전송하는 RF 오버레이 처리 장치가 수행하는 제어방법은, 각각 광송신기로부터 RF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시키고, 그 증폭된 방송 신호와 PON 상위 국사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인터넷 데이터 신호를 다중화하여 하나의 광선로를 통해 출력하는 복수 개의 RF 오버레이 모듈이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 개의 RF 오버레이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액티브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액티브 상태로 설정된 RF 오버레이 모듈에 입력되는 상기 RF 방송 신호와 상기 인터넷 데이터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애가 감지된 경우, 상기 복수 개의 RF 오버레이 모듈 중 다른 것을 액티브 상태로 전환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액티브로 설정된 RF 오버레이 모듈에 기능 장애가 감지된 경우 상기 복수 개의 RF 오버레이 모듈 중 다른 것을 액티브 상태로 전환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RF 오버레이 모듈 각각은, 광송신기로부터 RF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입력 포트와; PON 상위 국사 장치로부터 인터넷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입력 포트와; 상기 제1 포트를 통해 수신된 RF 방송 신호를 증폭시키는 광 증폭부와; 상기 광 증폭부에 의해 증폭된 방송 신호와 상기 제2 포트를 통해 수신된 인터넷 데이터 신호를 다중화하는 다중화부와; 상기 다중화부에 연결되어 다중화된 광신호를 출력하는 출력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RF 오버레이 모듈은 제1 RF 오버레이 모듈과 제2 RF 오버레이 모듈로 이루어져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을 액티브 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제2 RF 오버레이 모듈을 스탠바이 상태로 설정하며,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에 입력되는 상기 RF 방송 신호와 상기 인터넷 데이터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애가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을 스탠바이 상태로 전환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2 RF 오버레이 모듈을 액티브 상태로 전환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의 제1 광 증폭부를 액티브 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제2 RF 오버레이 모듈의 제2 광 증폭부를 스탠바이 상태로 설정하며,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에 상기 RF 방송 신호와 상기 인터넷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에 입력되는 상기 RF 방송 신호에 장애가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의 제1 광 증폭부를 스탠바이 상태로 전환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2 RF 오버레이 모듈의 제2 광 증폭부를 액티브 상태로 전환한 후, 상기 RF 방송 신호는 상기 제2 RF 오버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인터넷 데이터 신호는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의 제1 광 증폭부를 액티브 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제2 RF 오버레이 모듈의 제2 광 증폭부를 스탠바이 상태로 설정하며,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에 상기 RF 방송 신호와 상기 인터넷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에 입력되는 상기 인터넷 데이터 신호에 장애가 감지된 경우, 상기 RF 방송 신호는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인터넷 데이터 신호는 상기 제2 RF 오버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을 액티브 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제2 RF 오버레이 모듈을 스탠바이 상태로 설정하며,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에 상기 RF 방송 신호와 상기 인터넷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에 입력되는 상기 RF 방송 신호에 장애가 감지된 경우, 상기 PON 상위 국사 장치에 인터넷 데이터 신호를 상기 제2 RF 오버레이 모듈로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함과 아울러,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을 스탠바이 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제2 RF 오버레이 모듈을 액티브 상태로 설정하여, 상기 제2 RF 오버레이 모듈을 통해 상기 RF 방송 신호와 상기 인터넷 데이터 신호가 모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RF 오버레이 기술을 이용한 시스템에서 RF 방송 신호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는 물론이고, 인터넷 데이터 신호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도 신속히 절체 및 우회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각각 입력단과 출력단을 구비한 RF 오버레이 모듈을 이용하여 이중화함으로써, 광신호 송출 서비스 업체부터 가입자 단까지 전 영역에 걸쳐 이중화 구성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RF 방송 신호와 인터넷 데이터 신호 중 어느 한 신호에서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상위국과의 통신을 통해 RF 방송 신호와 인터넷 데이터 신호가 모두 하나의 RF 오버레이 모듈에서 처리되도록 함으로써, 장애 관리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장비 교체시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 오버레이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RF 오버레이 처리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RF 오버레이 처리 장치가 상황별 이중화 절체를 수행한 처리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개별 기능, 또는 개별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편의상 청구 범위의 일부 청구항에는 '(a)'와 같은 알파벳을 포함시켰으나, 이러한 알파벳이 각 단계의 순서를 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에서 언급하는 각 신호는 한 번의 연결 등에 의해 전송되는 하나의 신호를 의미할 수도 있지만, 후술하는 특정 기능 수행을 목적으로 전송되는 일련의 신호 그룹을 의미할 수도 있다. 즉, 각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전송되거나 상대 장치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전송되는 복수 개의 신호들이 편의상 하나의 신호명으로 표현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RF 오버레이 처리 장치(100)를 포함하는 전체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서 광 송신기(210)는 RF 방송 신호를 전송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케이블 방송에서 제공하는 방송 콘텐츠를 광신호 형태로 변환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광 송신기(210)는 RF 방송 전송 장치(200) 내에 구비된 것일 수 있다.
또한 OLT(Optical Line Terminal)(310)은 광선로 종단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위 국사 내에 설치되어 백본망과 가입자망을 서로 연결하는 광가입자망 구성 장치에 해당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광신호 형태로 변환된 인터넷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OLT(310)는 PON(Passive Optical Network) 상위 국사 장치에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RF 오버레이 처리 장치(100)는 광선로를 이용하여 RF 방송 신호와 인터넷 데이터 신호를 함께 전송하는 일명 'RF 오버레이 기술'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RF 오버레이 기술 그 자체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RF 오버레이 처리 장치(100)는 내부에 복수 개의 모듈을 이중화 처리를 위해 구비하고서, 광 송신기(210)로부터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OLT(310)로부터 수신되는 인터넷 데이터 신호 중 장애가 감지되거나 또는 내부에 구비된 복수 개의 모듈 중 어느 하나에 장애가 감지된 경우에도 다른 모듈로 전환이 되어 RF 방송 신호 및 인터넷 데이터 신호가 하단(통신망 기준으로 하단)으로 제대로 전달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복수 개의 모듈은 각기 하드웨어적으로 구별되도록 구성되고, 특히 카드식으로 탈착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RF 오버레이 처리 장치(100)의 구체적인 기능 블록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 오버레이 처리 장치(100)는 복수 개의 RF 오버레이 모듈(110,120)과 제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각의 RF 오버레이 모듈(110,120)은 광 송신기(210)로부터 RF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시키고, 그 증폭된 방송 신호와 PON 상위 국사 장치(300)로부터 수신되는 인터넷 데이터 신호를 다중화하여 하나의 광선로를 통해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RF 오버레이 모듈(110,120)은, 제1 입력 포트(113,123), 제2 입력 포트(114,124), 광 증폭부(111,121), 다중화부(112,122), 출력 포트(115,1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입력 포트(113,123)는 광 송신기(210)로부터 RF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2 입력 포트(114,124)는 PON 상위 국사 장치(300)(즉, 상술한 OLT(310))로부터 인터넷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처럼 입력포트는 RF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포트와 인터넷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포트가 구별되어 있다.
광 증폭부(111,121)는 제1 포트를 통해 수신된 RF 방송 신호를 증폭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광신호의 증폭 그 자체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중화부(112,122)는 광 증폭부(111,121)에 의해 증폭된 방송 신호와 제2 포트를 통해 수신된 인터넷 데이터 신호를 다중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광신호를 다중화한다는 것은 복수 개의 신호를 하나의 매체를 통해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예를 들어 WDM(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의 경우에는 여러 파장대역의 광신호를 동시에 전송하는 광 다중화 방식을 의미한다. 일 예로 광섬유 저손실 파장대역(1550nm)을 여러 좁은 채널 파장대역으로 분할한 후, 각 입력 채널 마다 다른 각각의 파장대역을 할당한 후, 그 입력 채널 신호들을 각기 할당된 채널 파장대역으로 하여, 하나의 광섬유에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첨언하면 다중화부(112,122)에 입력되는 신호는 RF 방송 신호와 인터넷 데이터 신호인데, 이 중 RF 방송 신호는 광 증폭부(111,121)를 통해 증폭된 것이고, 인터넷 데이터 신호는 제2 포트를 통해 입력된 신호 그 자체이다.
이러한 광신호 다중화 기술 그 자체도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출력 포트(115,125)는 다중화부(112,122)에 연결되어 다중화된 광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처럼 RF 오버레이 모듈(110,120)의 구체적 구성의 일 예를 설명하였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RF 오버레이 처리 장치(100)에 이러한 RF 오버레이 모듈(110,120)이 이중화를 위해 두 개(즉, 제1 RF 오버레이 모듈(110)과 제2 RF 오버레이 모듈(12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제어부(130)는 복수 개의 RF 오버레이 모듈(110,120) 중 어느 하나를 액티브 상태로 설정하고, 액티브 상태로 설정된 RF 오버레이 모듈(110,120)에 입력되는 RF 방송 신호와 인터넷 데이터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애가 감지된 경우, 복수 개의 RF 오버레이 모듈(110,120) 중 다른 것을 액티브 상태로 전환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현재 제1 RF 오버레이 모듈(110)에 RF 방송 신호와 인터넷 데이터 신호가 입력된 후 해당 신호들이 다중화된 후 제1 RF 오버레이 모듈(110)의 출력 포트(115,125)를 통해 전송되고 있는 상태에서, RF 방송 신호 또는 인터넷 데이터 신호에 장애가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제1 RF 오버레이 모듈(110)을 스탠바이 상태로 전환함고 아울러 제2 RF 오버레이 모듈(120)을 액티브 상태로 전환 처리할 수 있다.
제2 RF 오버레이 모듈(120)이 액티브 상태가 되면, RF 방송 신호와 인터넷 데이터 신호를 다중화한 신호가 제2 RF 오버레이 모듈(120)의 출력 포트(115,125)를 통해 출력(전송)되게 된다.
소정의 광신호에 대해 장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는 광신호의 세기를 지속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방식으로도 판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입력되는 광신호의 세기가 기 설정된 값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또는 기 설정된 시간동안 입력되는 광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30)는 광신호에 장애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액티브 상태와 스탠바이 상태 간의 전환은 상술한 바와 같이 광신호의 세기 저하에 따라 이루어질 수도 있고, 또는 RF 오버레이 모듈(110,120) 자체의 기능 장애에 따라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액티브로 설정된 제1 RF 오버레이 모듈(110)에 기능 장애가 감지된 경우 제2 RF 오버레이 모듈(120)을 액티브 상태로 전환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RF 오버레이 모듈(110,120) 자체의 기능 장애 판단을 위해 제어부(130)는 지속적/주기적으로 각 RF 오버레이 모듈(110,120)과 통신하여, 각 제1 RF 오버레이 모듈(110)의 응답 여부 또는 각 RF 오버레이 모듈(110,120)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 내용을 이용하여 장애 판단을 할 수도 있다.
이처럼 제어부(130)의 주요 기능은 복수 개의 RF 오버레이 모듈(110,120) 중에서 광신호의 처리를 어떤 모듈이 수행할지를 결정하는 것인데, 상술한 바와 같이 RF 방송 신호와 인터넷 데이터 신호 모두를 항상 동일한 RF 오버레이 모듈(110,120)에서 처리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지만, 상황에 따라서 서로 다른 RF 오버레이 모듈(110,120)에서 처리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앞선 예에서 제어부(130)는, 제1 RF 오버레이 모듈(110)을 액티브 상태, 제2 RF 오버레이 모듈(120)을 스탠바이 상태로 설정한 상태에서, 제1 RF 오버레이 모듈(110)에 입력되는 RF 방송 신호와 인터넷 데이터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애가 감지된 경우, 제2 RF 오버레이 모듈(120)을 액티브 상태로 전환 처리하여 RF 방송 신호와 인터넷 데이터 신호가 모두 제2 RF 오버레이 모듈(120)을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고 설명하였으나, RF 방송 신호와 인터넷 데이터 신호 중 어느 하나는 제1 RF 오버레이 모듈(110)을 경유하여 출력되고, 다른 하나는 제2 RF 오버레이 모듈(120)을 경유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RF 오버레이 모듈(110,120)
이를 위해 제어부(130)는 RF 오버레이 모듈(110,120) 그 자체를 액티브 상태 또는 스탠바이 상태로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RF 오버레이 모듈(110,120)에 포함된 광 증폭부(111,121)를 액티브 상태 또는 스탠바이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제1 RF 오버레이 모듈(110)의 제1 광 증폭부(111)를 액티브 상태로 설정하고, 제2 RF 오버레이 모듈(120)의 제2 광 증폭부(121)를 스탠바이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이는 다중화부(112,122)가 수동소자로 구성된 경우 더 큰 의미가 있다.
이러한 설정 상태를 전제로, 제1 RF 오버레이 모듈(110)에 RF 방송 신호와 상기 인터넷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RF 오버레이 모듈(110)에 입력되는 RF 방송 신호에 장애가 감지된 경우, 제어부(130)는 제1 RF 오버레이 모듈(110)의 제1 광 증폭부(111)를 스탠바이 상태로 전환시킴과 아울러 제2 RF 오버레이 모듈(120)의 제2 광 증폭부(121)를 액티브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즉, 제2 RF 오버레이 모듈(120) 전체를 액티브 상태로 전환하는 것이 아니라 제2 RF 오버레이 모듈(120)에 포함된 제2 광 증폭부(121)를 액티브 상태로 전환하는 것이다.
이때 제어부(130)는 RF 방송 신호에 대해서는 제2 RF 오버레이 모듈(120)을 통해 출력되도록 하고, 인터넷 데이터 신호에 대해서는 여전히 제1 RF 오버레이 모듈(110)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인터넷 데이터 신호를 제1 RF 오버레이 모듈(110)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는 것은, 제1 RF 오버레이 모듈(110)이 수동소자인 경우에는 다중화 장치를 통해 통과 및 출력되도록 그대로 둔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예로써, 제1 RF 오버레이 모듈(110)의 제1 광 증폭부(111)를 액티브 상태로, 제2 RF 오버레이 모듈(120)의 제2 광 증폭부(121)를 스탠바이 상태로 설정한 이후, 제1 RF 오버레이 모듈(110)에 RF 방송 신호와 인터넷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RF 오버레이 모듈(110)에 입력되는 인터넷 데이터 신호에 장애가 감지된 경우, 제어부(130)는 RF 방송 신호에 대해서는 여전히 제1 RF 오버레이 모듈(110)을 통해 출력되도록 하고, 인터넷 데이터 신호에 대해서는 제2 RF 오버레이 모듈(120)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이중화 처리를 수행함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RF 오버레이 모듈(110,120)에서 RF 방송 신호와 인터넷 데이터 신호가 모두 처리되도록 하는 소정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30)는 RF 방송 전송 장치(200) 또는 PON 상위 국사 장치(300)에 소정의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RF 오버레이 모듈(110)을 액티브 상태, 제2 RF 오버레이 모듈(120)을 스탠바이 상태로 설정한 이후, 제1 RF 오버레이 모듈(110)에 RF 방송 신호와 인터넷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RF 오버레이 모듈(110)에 입력되는 RF 방송 신호에 장애가 감지된 경우, 제어부(130)는 PON 상위 국사 장치(300)에 인터넷 데이터 신호를 제2 RF 오버레이 모듈(120)로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함과 아울러, 제1 RF 오버레이 모듈(110)을 스탠바이 상태로 설정하고 제2 RF 오버레이 모듈(120)을 액티브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요청에 따라 PON 상위 국사 장치(300)가 인터넷 데이터 신호를 제1 RF 오버레이 모듈(110) 대신에 제2 RF 오버레이 모듈(120)로 전송할 수 있고, 따라서 제어부(130)는 제2 RF 오버레이 모듈(120)을 통해 RF 방송 신호와 인터넷 데이터 신호를 모두 출력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광 분배기(400)는 RF 오버레이 처리 장치(100)에서 출력된 다중화된 광신호를 채널별로 나누어서 사용자단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광 분배기(400)는 다중화된 광신호 중 RF 방송 신호는 광 수신기(500)에 전달하고, 다중화된 광신호 중 인터넷 데이터 신호는 ONT(Optical Network Terminal)(600)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광 수신기(500)는 예를 들어 댁내에서 수신된 광신호를 RF 신호로 전환하여 텔레비전 등에 전달하는 장치이고, ONT(600)는 예를 들어 PC와 연결할 수 있는 일명 광 모뎀에 해당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광 분배기(400)가 2:N 광 분배기(400)로 구성되는 경우, 2개의 입력 포트를 통해 최대 2 개의 광선로를 통해 광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고, 한 개의 광선로를 통해 광신호가 입력되는 아니면 두 개의 광선로를 통해 광신호가 입력되든, 파장 대역만 중첩되지 않는다면 이들을 파장대역별(채널별)로 구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단에 전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각 상황에 대해 구체적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 각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RF 방송 전송 장치(200)에는 광 송신기(210)가 이중화 되어서. 제1 광 송신기(212)와 제2 광 송신기(212)가 구비되어 있고, PON 상위 국사 장치(300)에도 OLT(310)가 이중화되어서 제1 OLT(311) 및 제2 OLT(312)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또한 제1 광 송신기(212)와 제2 광 송신기(212)는 항시 이중화 상태를 유지하고 있고(이 경우 제1 광 송신기(212) 및 제2 광 송신기(212)를 통해 항상 같은 신호가 송출됨), 반면에 제1 OLT(311)과 제2 OLT(312)는 그 중 어느 하나만 인터넷 데이터 신호를 송출하고 필요시 PON 상위 국사 장치(300)에 의해 다른 쪽으로 절체 된다고 가정한다.
도 3(a)는 이러한 상태가 잘 나타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입력포트나 출력 포트(115,125)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광 송신기(212)는 제1 RF 오버레이 모듈(110)의 제1 광 증폭부(111)에 입력될 RF 방송 신호를 송출하고, 제2 광 송신기(212)는 제2 RF 오버레이 모듈(120)의 제1 광 증폭부(111)에 입력될 RF 방송 신호를 송출하고 있다.
또한 제1 OLT(311)은 제1 RF 오버레이 모듈(110)의 제1 다중화부(112)에 입력될 인터넷 데이터 신호를 송출하고 있고, 제2 OLT(312)는 스탠바이 상태로 어떠한 신호도 송출하지 못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제1 광 송신기(212)가 제1 RF 오버레이 모듈(110)이 전송하는 RF 방송 신호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제어부(130)는 제1 RF 오버레이 모듈(110)의 제1 광 증폭부(111)를 스탠바이 상태로 전환시킴과 아울러 제2 RF 오버레이 모듈(120)의 제2 광 증폭부(121)를 액티브 상태로 전환시킨다.
따라서 제2 광 송신기(212)가 송출한 RF 방송 신호는 제2 RF 오버레이 모듈(120)의 제2 광 증폭부(121)를 통해 증폭된 후 제2 RF 오버레이 모듈(120)의 제2 다중화부(122)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반면에 제1 OLT(311)이 전송하던 인터넷 데이터 신호는 장애가 발생한 것이 아니므로, 제어부(130)는 제1 RF 오버레이 모듈(110)의 제1 다중화부(112)를 경유하여 출력되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이 도 3(b)에 도시되었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RF 오버레이 모듈(110)을 통해서는 인터넷 데이터 신호에 대응되는 파장 신호가 출력되고, 제2 RF 오버레이 모듈(120)을 통해서는 RF 방송 신호에 대응되는 파장 신호가 출력됨을 알 수 있다.
도 4는 제1 OLT(311)이 전송하는 인터넷 데이터 신호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의 처리 상태를 나타낸다.
도 4(a)는 도 3(a)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제1 OLT(311)에 의해 인터넷 데이터 신호 전송 상태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PON 상위 국사 장치(300)는 절체 과정을 수행하여 제2 OLT(312)를 액티브 상태로 전환하고, 제2 OLT(312)를 통해 인터넷 데이터 신호가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이처럼 제1 OLT(311)에 의한 신호가 중단되므로, 제어부(130)는 제1 RF 오버레이 모듈(110)에 입력되는 인터넷 데이터 신호의 장애를 판단하게 된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장애가 발생한 신호가 RF 방송 신호가 아니라 인터넷 데이터 신호이므로 광 증폭기에 대한 상태 변경을 처리하지 않는다.
즉, 제어부(130)는 제1 RF 오버레이 모듈(110)의 제1 광 증폭부(111)가 액티브 상태를 계속 유지하도록 하여 RF 방송 신호는 여전히 제1 RF 오버레이 모듈(110)을 경유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다.
반면에 제어부(130)는 인터넷 데이터 신호는 제2 RF 오버레이 모듈(120)의 제2 다중화부(122)를 경유하여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중화부(112,122)가 수동 소자인 경우라면, 제어부(130)는 별도의 신호 제어를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상태가 도 4(b)에 잘 나타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RF 방송 신호와 인터넷 데이터 신호가 서로 다른 RF 오버레이 모듈(110,120)을 통해 출력되는 경우를 일 예로 하였으나, 제어부(130)는 추가적인 작업을 수행하여 RF 방송 신호와 인터넷 데이터 신호를 하나의 RF 오버레이 모듈(110,120)을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과정이 도 5에 도시되었다.
도 5(a)는 도 3(a)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제1 광 송신기(212)는 제1 RF 오버레이 모듈(110)의 제1 광 증폭부(111)에 입력될 RF 방송 신호를 송출하고, 제2 광 송신기(212)는 제2 RF 오버레이 모듈(120)의 제1 광 증폭부(111)에 입력될 RF 방송 신호를 송출하고 있다.
또한 제1 OLT(311)은 제1 RF 오버레이 모듈(110)의 제1 다중화부(112)에 입력될 인터넷 데이터 신호를 송출하고 있고, 제2 OLT(312)는 스탠바이 상태로 어떠한 신호도 송출하지 못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제1 광 송신기(212)가 제1 RF 오버레이 모듈(110)이 전송하는 RF 방송 신호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제어부(130)는 제1 RF 오버레이 모듈(110)의 제1 광 증폭부(111)를 스탠바이 상태로 전환시킴과 아울러 제2 RF 오버레이 모듈(120)의 제2 광 증폭부(121)를 액티브 상태로 전환시킨다.
따라서 제2 광 송신기(212)가 송출한 RF 방송 신호는 제2 RF 오버레이 모듈(120)의 제2 광 증폭부(121)를 통해 증폭된 후 제2 RF 오버레이 모듈(120)의 제2 다중화부(122)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여기까지는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다만, 도 3에서는 제1 OLT(311)이 전송하던 인터넷 데이터 신호는 장애가 발생한 것이 아니므로, 제1 RF 오버레이 모듈(110)의 제1 다중화부(112)를 경유하여 출력되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고 하였으나, 이 경우 RF 방송 신호와 인터넷 데이터 신호가 경유하는 RF 오버레이 모듈(110,120)이 달라지게 된다.
다양한 경우가 있겠지만 특히 신호 관리 또는 장애 관리 측면에서는 서로 다른 종류의 광신호라 하더라도 동일한 RF 오버레이 모듈(110,120)을 통해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PON 상위 국사 장치(300)에 인터넷 데이터 신호를 제2 RF 오버레이 모듈(120)로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한다.
이러한 요청을 수신한 PON 상위 국사 장치(300)는 제1 OLT(311)을 제2 OLT(312)로 절체하여 인터넷 데이터 신호가 제2 OLT(312)를 통해서만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제2 OLT(312)에서 송출된 인터넷 데이터 신호는 제2 RF 오버레이 모듈(120)의 제2 다중화부(122)에 입력되게 되고, 제2 RF 오버레이 모듈(120)의 제2 다중화부(122)는 앞서 제2 RF 오버레이 모듈(120)의 제2 광 증폭부(121)를 경유하여 증폭된 RF 방송 신호와 인터넷 데이터 신호를 다중화하여 출력하게 된다.
결국 RF 방송 신호와 인터넷 데이터 신호가 모두 제2 RF 오버레이 모듈(120)을 통해 출력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는 제어부(130)가 PON 상위 국사 장치(300)에 OLT(310) 절체 처리를 요청하는 과정을 일 예로 하였으나, 만일 RF 방송 신호의 전송도 광 송신기(210) 중 어느 하나에서만 이루어지다가 필요시 다른 광 송신기(210)로 절체되도록 구성된 경우라면, 제어부(130)는 상황에 따라 RF 방송 전송 장치(200)에 광 송신기(210)의 절체를 요청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하는 과정은 소정의 기록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기록 매체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전자적 기록 매체, 하드 디스크와 같은 자기적 기록 매체, CD(Compact Disk)와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이때,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과 같은 하드웨어 상에서 실행되어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RF 오버레이 처리 장치(100)의 기능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이러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00 : RF 오버레이 처리 장치 200 : RF 방송 전송 장치
300 : PON 상위 국사 장치 400 : 광 분배기
500 : 광 수신기 600 : ONT
110 : 제1 RF 오버레이 모듈 120 : 제2 RF 오버레이 모듈
130 : 제어부 111 : 제1 광 증폭부
112 : 제1 다중화부 121 : 제2 광 증폭부
122 : 제2 다중화부 210 : 광 송신기
211 : 제1 광 송신기 212 : 제2 광 송신기
310 : OLT 311 : 제1 OLT
312 : 제2 OLT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광선로를 통해 RF 방송 신호와 인터넷 데이터 신호를 함께 전송하는 RF 오버레이 처리 장치에 있어서,
    각각 광송신기로부터 RF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시키고, 그 증폭된 방송 신호와 PON 상위 국사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인터넷 데이터 신호를 다중화하여 하나의 광선로를 통해 출력하는 복수 개의 RF 오버레이 모듈과;
    상기 복수 개의 RF 오버레이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액티브 상태로 설정하고, 액티브 상태로 설정된 RF 오버레이 모듈에 입력되는 상기 RF 방송 신호와 상기 인터넷 데이터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애가 감지된 경우, 상기 복수 개의 RF 오버레이 모듈 중 다른 것을 액티브 상태로 전환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RF 오버레이 모듈은 제1 RF 오버레이 모듈과 제2 RF 오버레이 모듈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과 제2 RF 오버레이 모듈 각각은, 광송신기로부터 RF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입력 포트와; PON 상위 국사 장치로부터 인터넷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입력 포트와; 상기 제1 입력 포트를 통해 수신된 RF 방송 신호를 증폭시키는 광 증폭부와; 상기 광 증폭부에 의해 증폭된 방송 신호와 상기 제2 입력 포트를 통해 수신된 인터넷 데이터 신호를 다중화하는 다중화부와; 상기 다중화부에 연결되어 다중화된 광신호를 출력하는 출력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의 제1 광 증폭부를 액티브 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제2 RF 오버레이 모듈의 제2 광 증폭부를 스탠바이 상태로 설정하며,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에 상기 RF 방송 신호와 상기 인터넷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에 입력되는 상기 RF 방송 신호에 장애가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의 제1 광 증폭부를 스탠바이 상태로 전환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2 RF 오버레이 모듈의 제2 광 증폭부를 액티브 상태로 전환한 후, 상기 RF 방송 신호는 상기 제2 RF 오버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인터넷 데이터 신호는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오버레이 처리 장치.
  6. 광선로를 통해 RF 방송 신호와 인터넷 데이터 신호를 함께 전송하는 RF 오버레이 처리 장치에 있어서,
    각각 광송신기로부터 RF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시키고, 그 증폭된 방송 신호와 PON 상위 국사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인터넷 데이터 신호를 다중화하여 하나의 광선로를 통해 출력하는 복수 개의 RF 오버레이 모듈과;
    상기 복수 개의 RF 오버레이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액티브 상태로 설정하고, 액티브 상태로 설정된 RF 오버레이 모듈에 입력되는 상기 RF 방송 신호와 상기 인터넷 데이터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애가 감지된 경우, 상기 복수 개의 RF 오버레이 모듈 중 다른 것을 액티브 상태로 전환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RF 오버레이 모듈은 제1 RF 오버레이 모듈과 제2 RF 오버레이 모듈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과 제2 RF 오버레이 모듈 각각은, 광송신기로부터 RF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입력 포트와; PON 상위 국사 장치로부터 인터넷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입력 포트와; 상기 제1 입력 포트를 통해 수신된 RF 방송 신호를 증폭시키는 광 증폭부와; 상기 광 증폭부에 의해 증폭된 방송 신호와 상기 제2 입력 포트를 통해 수신된 인터넷 데이터 신호를 다중화하는 다중화부와; 상기 다중화부에 연결되어 다중화된 광신호를 출력하는 출력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의 제1 광 증폭부를 액티브 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제2 RF 오버레이 모듈의 제2 광 증폭부를 스탠바이 상태로 설정하며,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에 상기 RF 방송 신호와 상기 인터넷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에 입력되는 상기 인터넷 데이터 신호에 장애가 감지된 경우, 상기 RF 방송 신호는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인터넷 데이터 신호는 상기 제2 RF 오버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오버레이 처리 장치.
  7. 광선로를 통해 RF 방송 신호와 인터넷 데이터 신호를 함께 전송하는 RF 오버레이 처리 장치에 있어서,
    각각 광송신기로부터 RF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시키고, 그 증폭된 방송 신호와 PON 상위 국사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인터넷 데이터 신호를 다중화하여 하나의 광선로를 통해 출력하는 복수 개의 RF 오버레이 모듈과;
    상기 복수 개의 RF 오버레이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액티브 상태로 설정하고, 액티브 상태로 설정된 RF 오버레이 모듈에 입력되는 상기 RF 방송 신호와 상기 인터넷 데이터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애가 감지된 경우, 상기 복수 개의 RF 오버레이 모듈 중 다른 것을 액티브 상태로 전환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RF 오버레이 모듈은 제1 RF 오버레이 모듈과 제2 RF 오버레이 모듈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과 제2 RF 오버레이 모듈 각각은, 광송신기로부터 RF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입력 포트와; PON 상위 국사 장치로부터 인터넷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입력 포트와; 상기 제1 입력 포트를 통해 수신된 RF 방송 신호를 증폭시키는 광 증폭부와; 상기 광 증폭부에 의해 증폭된 방송 신호와 상기 제2 입력 포트를 통해 수신된 인터넷 데이터 신호를 다중화하는 다중화부와; 상기 다중화부에 연결되어 다중화된 광신호를 출력하는 출력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을 액티브 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제2 RF 오버레이 모듈을 스탠바이 상태로 설정하며,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에 상기 RF 방송 신호와 상기 인터넷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에 입력되는 상기 RF 방송 신호에 장애가 감지된 경우, 상기 PON 상위 국사 장치에 인터넷 데이터 신호를 상기 제2 RF 오버레이 모듈로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함과 아울러,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을 스탠바이 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제2 RF 오버레이 모듈을 액티브 상태로 설정하여, 상기 제2 RF 오버레이 모듈을 통해 상기 RF 방송 신호와 상기 인터넷 데이터 신호가 모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오버레이 처리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광선로를 통해 RF 방송 신호와 인터넷 데이터 신호를 함께 전송하는 RF 오버레이 처리 장치가 수행하는 제어방법에 있어서,
    (a) 각각 광송신기로부터 RF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시키고, 그 증폭된 방송 신호와 PON 상위 국사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인터넷 데이터 신호를 다중화하여 하나의 광선로를 통해 출력하는 복수 개의 RF 오버레이 모듈이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 개의 RF 오버레이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액티브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와;
    (b) 상기 액티브 상태로 설정된 RF 오버레이 모듈에 입력되는 상기 RF 방송 신호와 상기 인터넷 데이터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애가 감지된 경우, 상기 복수 개의 RF 오버레이 모듈 중 다른 것을 액티브 상태로 전환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RF 오버레이 모듈은 제1 RF 오버레이 모듈과 제2 RF 오버레이 모듈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과 제2 RF 오버레이 모듈 각각은, 광송신기로부터 RF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입력 포트와; PON 상위 국사 장치로부터 인터넷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입력 포트와; 상기 제1 입력 포트를 통해 수신된 RF 방송 신호를 증폭시키는 광 증폭부와; 상기 광 증폭부에 의해 증폭된 방송 신호와 상기 제2 입력 포트를 통해 수신된 인터넷 데이터 신호를 다중화하는 다중화부와; 상기 다중화부에 연결되어 다중화된 광신호를 출력하는 출력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a) 단계에서는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의 제1 광 증폭부를 액티브 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제2 RF 오버레이 모듈의 제2 광 증폭부를 스탠바이 상태로 설정하며,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에 상기 RF 방송 신호와 상기 인터넷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에 입력되는 상기 RF 방송 신호에 장애가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의 제1 광 증폭부를 스탠바이 상태로 전환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2 RF 오버레이 모듈의 제2 광 증폭부를 액티브 상태로 전환한 후, 상기 RF 방송 신호는 상기 제2 RF 오버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인터넷 데이터 신호는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오버레이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13. 광선로를 통해 RF 방송 신호와 인터넷 데이터 신호를 함께 전송하는 RF 오버레이 처리 장치가 수행하는 제어방법에 있어서,
    (a) 각각 광송신기로부터 RF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시키고, 그 증폭된 방송 신호와 PON 상위 국사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인터넷 데이터 신호를 다중화하여 하나의 광선로를 통해 출력하는 복수 개의 RF 오버레이 모듈이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 개의 RF 오버레이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액티브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와;
    (b) 상기 액티브 상태로 설정된 RF 오버레이 모듈에 입력되는 상기 RF 방송 신호와 상기 인터넷 데이터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애가 감지된 경우, 상기 복수 개의 RF 오버레이 모듈 중 다른 것을 액티브 상태로 전환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RF 오버레이 모듈은 제1 RF 오버레이 모듈과 제2 RF 오버레이 모듈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과 제2 RF 오버레이 모듈 각각은, 광송신기로부터 RF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입력 포트와; PON 상위 국사 장치로부터 인터넷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입력 포트와; 상기 제1 입력 포트를 통해 수신된 RF 방송 신호를 증폭시키는 광 증폭부와; 상기 광 증폭부에 의해 증폭된 방송 신호와 상기 제2 입력 포트를 통해 수신된 인터넷 데이터 신호를 다중화하는 다중화부와; 상기 다중화부에 연결되어 다중화된 광신호를 출력하는 출력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a) 단계에서는,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의 제1 광 증폭부를 액티브 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제2 RF 오버레이 모듈의 제2 광 증폭부를 스탠바이 상태로 설정하며,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에 상기 RF 방송 신호와 상기 인터넷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에 입력되는 상기 인터넷 데이터 신호에 장애가 감지된 경우, 상기 RF 방송 신호는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인터넷 데이터 신호는 상기 제2 RF 오버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오버레이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14. 광선로를 통해 RF 방송 신호와 인터넷 데이터 신호를 함께 전송하는 RF 오버레이 처리 장치가 수행하는 제어방법에 있어서,
    (a) 각각 광송신기로부터 RF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시키고, 그 증폭된 방송 신호와 PON 상위 국사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인터넷 데이터 신호를 다중화하여 하나의 광선로를 통해 출력하는 복수 개의 RF 오버레이 모듈이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 개의 RF 오버레이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액티브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와;
    (b) 상기 액티브 상태로 설정된 RF 오버레이 모듈에 입력되는 상기 RF 방송 신호와 상기 인터넷 데이터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애가 감지된 경우, 상기 복수 개의 RF 오버레이 모듈 중 다른 것을 액티브 상태로 전환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RF 오버레이 모듈은 제1 RF 오버레이 모듈과 제2 RF 오버레이 모듈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과 제2 RF 오버레이 모듈 각각은, 광송신기로부터 RF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입력 포트와; PON 상위 국사 장치로부터 인터넷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입력 포트와; 상기 제1 입력 포트를 통해 수신된 RF 방송 신호를 증폭시키는 광 증폭부와; 상기 광 증폭부에 의해 증폭된 방송 신호와 상기 제2 입력 포트를 통해 수신된 인터넷 데이터 신호를 다중화하는 다중화부와; 상기 다중화부에 연결되어 다중화된 광신호를 출력하는 출력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a) 단계에서는,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을 액티브 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제2 RF 오버레이 모듈을 스탠바이 상태로 설정하며,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에 상기 RF 방송 신호와 상기 인터넷 데이터 신호가 수신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에 입력되는 상기 RF 방송 신호에 장애가 감지된 경우, 상기 PON 상위 국사 장치에 인터넷 데이터 신호를 상기 제2 RF 오버레이 모듈로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함과 아울러, 상기 제1 RF 오버레이 모듈을 스탠바이 상태로 설정하고 상기 제2 RF 오버레이 모듈을 액티브 상태로 설정하여, 상기 제2 RF 오버레이 모듈을 통해 상기 RF 방송 신호와 상기 인터넷 데이터 신호가 모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오버레이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6.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
KR1020200138572A 2020-10-23 2020-10-23 Rf 오버레이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355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572A KR102355095B1 (ko) 2020-10-23 2020-10-23 Rf 오버레이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572A KR102355095B1 (ko) 2020-10-23 2020-10-23 Rf 오버레이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5095B1 true KR102355095B1 (ko) 2022-02-07

Family

ID=80253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8572A KR102355095B1 (ko) 2020-10-23 2020-10-23 Rf 오버레이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509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256B1 (ko) 2005-01-12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파장 분할다중 방식 수동형 광 가입자 망
KR101357958B1 (ko) * 2013-10-04 2014-02-1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포트 이중화 olt, 이를 포함하는 pon 이중화 절체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256B1 (ko) 2005-01-12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파장 분할다중 방식 수동형 광 가입자 망
KR101357958B1 (ko) * 2013-10-04 2014-02-1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포트 이중화 olt, 이를 포함하는 pon 이중화 절체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65321B1 (en) Communic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assive optical network
EP1876736B1 (en) Passive optical network system based on wavelength protection and protecting backup method thereof
JP3060994B2 (ja) N−wdmシステムにおける出力ポート切替装置
EP2051442B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 transmission
US8615169B2 (en) PON system and redundancy method
KR100955129B1 (ko) 비간섭성 광대역 광원을 이용한 파장분할다중방식 수동형 광 네트워크 구현 방법
US9020349B2 (en) Arrangement at a remote node, a remote node, a central office and respective methods therein for supervision of a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d passive optical network
US10009137B2 (en)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station-side device, subscriber device, and optical communication method
US6728207B1 (en) Self-healing ring network and a method for fault detection and rectifying
JP4376263B2 (ja) 光波長多重システム
US20060110162A1 (en) Optical ring network for extended broadcasting
US906558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network
US5502587A (en) Network comprising a space division photonic switch and a terminal which forms an output signal from an input signal
US20170279555A1 (en) Reconfigurable add/drop multiplexing in optical networks
KR102355095B1 (ko) Rf 오버레이 처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7486892B2 (en) Multiport optical amplifier with narrowcast power equalization
US7359637B2 (en) Self-healing passive optical network
EP3437220A1 (en) Network node and method
KR20030080784A (ko) 광 통신망에서 광회선분배장치 및 그 처리 방법
JP6546571B2 (ja) 収容局装置
US7305184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ement of directly connected optical components
JPH07143529A (ja) 1:n通信の伝送方式
JP2014078797A (ja) 冗長システム、光通信装置及び親局装置
JP2017147743A (ja) 冗長システム、親局装置及び子局装置
US8478124B1 (en) Optical IMA archite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