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4512B1 - 미세먼지 측정 데이터를 3d 그래픽으로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미세먼지 측정 데이터를 3d 그래픽으로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4512B1
KR102354512B1 KR1020200070564A KR20200070564A KR102354512B1 KR 102354512 B1 KR102354512 B1 KR 102354512B1 KR 1020200070564 A KR1020200070564 A KR 1020200070564A KR 20200070564 A KR20200070564 A KR 20200070564A KR 102354512 B1 KR102354512 B1 KR 102354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dust
dust concentration
displaying
spher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0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1406A (ko
Inventor
김찬종
윤주현
가석현
이민구
최윤수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00141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1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4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4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9/00Recording measured values
    • G01D9/02Producing one or more recordings of the values of a single variable
    • G01D9/04Producing one or more recordings of the values of a single variable with provision for multiple or alternative recording
    • G01D9/06Multiple recording, e.g. duplicating
    • G01D9/08Multiple recording, e.g. duplicating giving both graphical and numerical recor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9/00Recording measured values
    • G01D9/02Producing one or more recordings of the values of a single variable
    • G01D9/26Producing one or more recordings of the values of a single variable either the recording element, e.g. stylus, or the recording medium, e.g. paper roll, being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both time and the variab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미세먼지 측정 데이터를 3D 그래픽으로 표시하는 방법은,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한 기간을 복수의 구간들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분할된 각각의 구간에 대해서 미세먼지 농도의 대표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대표값들 각각에 비례하는 높이의 돌출부들이 형성된 구체를 3D 그래픽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미세먼지 측정 데이터를 3D 그래픽으로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METHOD FOR DISPLAYING FINE DUST MEASUREMENT DATA IN 3D GRAPHICS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미세먼지 측정 데이터를 효과적인 방법으로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점점 공기 중 미세먼지 농도가 심해짐에 따라 미세먼지 측정 데이터를 수시로 확인하고자 하는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미세먼지 측정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은 마이크로 미터 기반의 수치로 표시하는 방법, 좋고 나쁨을 표현한 단어로 나타내는 방법, 그리고 색상 또는 캐릭터의 표정 등과 같이 도식화하여 나타내는 방법 등이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미세먼지 농도 표시 방법이 현재 이용되고 있음에도 보다 더 직관적이고 효과적인 미세먼지 농도 표시 방법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존재한다.
관련하여 선행기술 문헌인 한국등록특허 제10-1915704호에는 실시간으로 측정된 미세먼지 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현한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사용자에게 보다 직관적인 판단이 가능하도록 하고, 일정 기간 내의 미세먼지 농도의 변화 추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미세먼지 측정 데이터의 표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세먼지 측정 데이터를 3D 그래픽으로 표시하는 방법은,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한 기간을 복수의 구간들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분할된 각각의 구간에 대해서 미세먼지 농도의 대표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대표값들 각각에 비례하는 높이의 돌출부들이 형성된 구체를 3D 그래픽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미세먼지 농도 표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미세먼지 측정 데이터를 3D 그래픽으로 표시하는 방법은,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한 기간을 복수의 구간들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분할된 각각의 구간에 대해서 미세먼지 농도의 대표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대표값들 각각에 비례하는 높이의 돌출부들이 형성된 구체를 3D 그래픽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미세먼지 농도 표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미세먼지 측정 데이터를 3D 그래픽으로 표시하는 방법은,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한 기간을 복수의 구간들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분할된 각각의 구간에 대해서 미세먼지 농도의 대표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대표값들 각각에 비례하는 높이의 돌출부들이 형성된 구체를 3D 그래픽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미세먼지 농도 표시 장치는,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입력에 대한 처리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입출력부, 미세먼지 농도 표시를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미세먼지 측정 데이터를 3D 그래픽으로 상기 입출력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한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한 기간을 복수의 구간들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각각의 구간에 대해서 미세먼지 농도의 대표값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대표값들 각각에 비례하는 높이의 돌출부들이 형성된 구체를 3D 그래픽으로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미세먼지 측정 데이터를 복수의 시간 구간별로 나누고, 구체의 표면을 분할한 복수의 영역들에 각각 대응되는 시간 구간의 미세먼지 농도에 비례하는 높이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형태를 3D 그래픽으로 표현함으로써, 미세먼지 입자가 가지고 있는 형태와 질감이 나타나면서, 동시에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기후데이터임을 인식하고 오염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표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표시 방법에 따라,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를 3D 그래픽으로 표시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를 표시 방법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의 UI 화면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표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서는 하나의 장치가 외부로부터 미세먼지 농도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에 대응되는 3D 그래픽을 생성하고, 생성된 3D 그래픽을 화면에 표시하는 프로세스를 모두 수행한다고 가정한다.
예를 들어, 미세먼지 농도 표시 장치(100)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단말(e.g. 스마트폰)일 수 있으며, 미세먼지 농도 표시 장치(100)가 서버로부터 미세먼지 농도 측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를 가공하여 3D 그래픽을 생성하고 이를 화면에 표시하는 역할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다르게 서버가 데이터의 가공 및 3D 그래픽 생성을 담당하고, 사용자의 단말은 단지 이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역할만 수행하도록 시스템이 구성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표시 장치는 통신부(110), 입출력부(120), 제어부(130) 및 저장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서버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통신부(110)는 다양한 종류의 유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칩셋으로 구성될 수 있다. 미세먼지 농도 표시 장치(100)는 통신부(110)를 통해 서버로부터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를 경우, 미세먼지 농도 표시 장치(100)는 통신부(110)를 통해 서버로부터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생성된 3D 그래픽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입출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한 입력에 대한 처리 결과를 영상 및 음성 등을 통해 출력하기 위한 구성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출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미세먼지 농도 표시와 관련한 요청을 수신하면, 요청에 따라 생성된 3D 그래픽을 표시할 수 있다. 입출력부(120)는 하드버튼과 디스플레이 화면 조합 또는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CPU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미세먼지 농도 표시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3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미세먼지 농도 표시를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으로써,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한 미세먼지 측정 데이터에 따라 3D 그래픽을 생성하고, 생성된 3D 그래픽을 입출력부(12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가 미세먼지 측정 데이터에 따라 3D 그래픽을 생성하고 표시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저장부(140)에는 다양한 종류의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40)에는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한 미세먼지 측정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으며, 또한 미세먼지 농도 표시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제어부(13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부(130)가 미세먼지 측정 데이터에 따라 3D 그래픽을 생성하고 표시하는 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표시 방법에 따라,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를 3D 그래픽으로 표시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3D 그래픽으로 표현되는 구체(200)에는 복수의 돌출부들(210, 220, 230)이 형성된다. 다시 말해, 제어부(130)는 구체(200)의 표면을 복수의 영역들로 분할하고, 분할된 복수의 영역들 각각에 돌출부가 하나씩 형성되도록 3D 그래픽을 생성한다.
구체(200)에 형성되는 돌출부들(210, 220, 230) 각각은 특정 시간 구간에 대응되는 미세먼지 농도를 나타낸다. 자세하게는 제어부(130)는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한 기간을 복수의 구간들로 분할하고, 분할된 각각의 구간에 대해서 미세먼지 농도의 대표값을 결정하고, 결정된 대표값들 각각에 비례하는 높이의 돌출부들(210, 220, 230)이 형성된 구체(200)를 3D 그래픽으로 생성한다. 즉, 제어부(130)는 구체(200)의 표면을, 분할된 복수의 구간들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영역들로 분할하고, 분할된 복수의 영역들 각각에 돌출부들이 하나씩 형성되도록 구체(200)를 3D 그래픽으로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30)가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한 기간을 복수의 구간들로 분할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면, 전체 측정 기간을 미리 정해진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분할할 수 있고, 이때 시간 간격은 사용자가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분할된 구간들에 대응되도록 구체(200)의 표면을 복수의 영역들로 분할하고, 분할된 영역들 각각에 돌출부가 형성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하루를 1시간 간격으로 24개의 구간들로 분할하고, 분할된 24개의 구간들에 대응되도록 구체(200)의 표면을 24개의 영역들로 분할할 수도 있고, 또는 한 달을 일일 간격으로 30개의 구간들로 분할하고, 분할된 30개의 구간들에 대응되도록 구체(200)의 표면을 30개의 영역들로 분할할 수도 있다.
이어서, 제어부(130)는 분할된 각각의 영역에, 해당 영역에 대응되는 구간에 대한 미세먼지 농도의 대표값에 비례하는 높이의 돌출부가 형성되도록 구체(200)를 생성한다. 이때, 제어부(130)는 분할된 구간들에 대한 미세먼지 농도의 대표값을 결정함에 있어서 다양한 방식을 이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특정 구간 내 미세먼지 농도의 평균값을 대표값으로 결정할 수도 있고, 또는 특정 구간 내 미세먼지 농도의 최소값이나 최대값을 대표값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200)를 3D 그래픽으로 생성함에 있어서, 돌출부들(210, 220, 230) 각각에 구멍을 형성할 수도 있는데, 이때 형성되는 구멍의 크기는 돌출부의 높이에 비례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돌출부의 높이는 미세먼지 농도의 크기를 나타내는데, 돌출부의 높이에 비례하는 크기의 구멍을 돌출부에 형성함으로써, 사용자는 좀 더 쉽게 육안으로 미세먼지 농도의 분포나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구체(200)의 표면에 복수의 돌출부들이 형성되었으며, 돌출부들은 서로 높이가 다르고 돌출부들에 형성된 구멍의 크기도 서로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1 돌출부(210), 제2 돌출부(220) 및 제3 돌출부(230)를 서로 비교하면, 제1 돌출부(210)의 높이가 가장 낮고, 제3 돌출부(230)의 높이가 가장 높다. 제1 돌출부(210)와 제2 돌출부(220)를 비교하면, 제2 돌출부(220)의 높이가 더 높고 그에 따라 제2 돌출부(220)에 형성된 구멍의 크기가 제1 돌출부(210)에 형성된 구멍의 크기보다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체(200)에서와 같이 제1 돌출부(210)와 제2 돌출부(220)가 돌출된 방향이 화면으로부터 나오는 방향인 경우에는 3D 그래픽임에도 불구하고 직관적인 높이 비교가 어려울 수 있는데, 이때 돌출부들(210, 220)에 형성된 구멍의 크기를 비교하는 것이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입출력부(110)를 통해 표시된 구체(200)를 회전시키거나, 구체(200)에 형성된 돌출부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돌출부에 대응되는 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정보를 상세하게 확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된 입출력부(110)를 통해 구체(200)의 일부를 터치한 상태로 슬라이드할 경우 슬라이드된 방향으로 구체(200)가 회전함으로써 구체(200)의 반대편 영역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구체(200)에 형성된 돌출부들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하면, 터치된 돌출부에 대응되는 구간이 언제인지(예를 들어, 몇 월 몇 일인지)에 대한 정보와 함께, 해당 구간에 대한 미세먼지 농도의 대표값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미세먼지 농도를 표시할 기간을 변경하도록 요청할 수 있으며, 이러한 요청이 있을 경우 제어부(130)는 변경된 기간을 복수의 구간들로 분할하고, 분할된 복수의 구간들에 대한 미세먼지 농도의 대표값을 결정하고, 결정된 복수의 구간들에 대한 미세먼지 농도의 대표값에 따라 구체를 변경하여 3D 그래픽으로 표시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시를 아래에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를 표시 방법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의 UI 화면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화면(310)의 제1 영역(311)에는 미세먼지 농도가 측정된 위치와 미세먼지 농도의 수치가 표시되고 제2 영역(312)에는 미세먼지 농도를 표현하는 돌출부들이 형성된 구체가 표시된다. 제1 영역(311)에 표시되는 미세먼지 농도의 수치는 아래의 제3 영역(313)의 슬라이드를 통해 지정된 시간 구간에 대한 미세먼지 농도의 대표값일 수 있다. 제4 영역(314)에는 제2 영역(312)에 표시된 구체의 외형을 묘사하는 내용의 텍스트가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를 통해 근래의 미세먼지 농도의 크기나 변화 정도가 어떤지를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3 영역(313)의 슬라이드를 통해 미세먼지 농도를 표시할 기간을 변경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제2 화면(320)의 제3 영역(323)를 보면 사용자가 슬라이드 내 커서를 우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후의 시간에 대한 미세먼지 농도를 표시하도록 요청했음을 알 수 있다. 그에 따라 제2 화면(320)의 제1 영역(321) 및 제2 영역(322)에 표시된 미세먼지 농도의 수치 및 구체의 형상이 각각 변경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화면(310)의 제2 영역(312)에 표시되는 구체는 제3 영역(313)을 통해 지정되는 시간을 중심으로 한 전후 일정 시간 구간에 대한 미세먼지 농도를 나타내었다면, 제2 화면(320)의 제2 영역(322)에 표시되는 구체는 제3 영역(323)을 통해 지정되는 시간을 중심으로 한 전후 일정 시간 구간에 대한 미세먼지 농도를 나타낼 수 있다.
제2 화면(320)의 제4 영역(324)에도 역시 제2 영역(322)에 표시된 구체의 형상을 묘사하는 텍스트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근래의 미세먼지 농도의 크기나 변화 정도가 어떤지를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는 특정 장소 및 시간에 대한 미세먼지 농도를 바로 확인하기 위한 숏컷(shortcut)을 미리 생성해 놓고, 필요한 경우 숏컷을 선택함으로써 간편하게 원하는 장소 및 시간에 대한 미세먼지 농도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화면(410)상에는 미세먼지 농도가 측정된 위치, 미세먼지 농도의 수치,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3D 그래픽으로 표현된 구체가 표시될 수 있으며, 제1 영역(411)에는 숏컷을 생성하기 위한 버튼이 표시되고, 제2 영역(412)에는 생성된 숏컷에 대응되는 객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제2 영역(412)에 표시된 객체들을 보면 각각의 객체에 특정 시간 및 위치가 대응됨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영역(412)에 표시된 객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제어부(130)는 선택된 객체에 대응되는 시간 및 위치에 대한 미세먼지 농도를 수치 및 3D 그래픽으로 입출력부(110)에 표시한다.
사용자가 숏컷을 생성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면, 사용자가 제1 화면(410)의 제1 영역(411)에 표시된 버튼을 선택하면, 제2 화면(420)과 같이 숏컷 이름, 숏컷에 대응되는 위치 및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UI가 제공된다. 사용자가 제2 화면(420)의 UI를 통해 숏컷을 생성 및 저장하면, 생성된 숏컷은 제1 화면의 제2 영역(412)에 표시된 숏컷들과 같이 화면에 표시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미세먼지 농도 표시 장치(100)를 이용한 미세먼지 농도 표시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들이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표시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미세먼지 농도 표시 장치(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미세먼지 농도 표시 장치(1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내용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표시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미세먼지 농도 표시 장치(100)의 제어부(130)는 501 단계에서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한 데이터를 수신하면, 502 단계에서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한 기간을 복수의 구간들로 분할한다. 이어서 503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분할된 각각의 구간에 대해서 미세먼지 농도의 대표값을 결정하는데, 이때 대표값을 결정함에 있어서 평균값 산출 또는 최대값/최소값 선택 등과 같이 다양한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504 단계에서 제어부(130)는 결정된 대표값들 각각에 비례하는 높이의 돌출부들이 형성된 구체를 3D 그래픽으로 표시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르면, 미세먼지 측정 데이터를 복수의 시간 구간별로 나누고, 구체의 표면을 분할한 복수의 영역들에 각각 대응되는 시간 구간의 미세먼지 농도에 비례하는 높이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형태를 3D 그래픽으로 표현함으로써, 미세먼지 입자가 가지고 있는 형태와 질감이 나타나면서, 동시에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기후데이터임을 인식하고 오염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 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특허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 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표시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명령어 및 데이터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소정의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기록 매체일 수 있는데, 컴퓨터 기록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기록 매체는 HDD 및 SSD 등과 같은 마그네틱 저장 매체, CD, DVD 및 블루레이 디스크 등과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 가능한 서버에 포함되는 메모리일 수 있다.
또한 도 5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표시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레벨 프로그래밍 언어(High-level Programming Language),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Object-oriented Programming Language), 어셈블리 언어 또는 기계 언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자기/광학 매체 또는 SSD(Solid-State Drive) 등)에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를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표시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저장 장치와, 메모리 및 고속 확장포트에 접속하고 있는 고속 인터페이스와, 저속 버스와 저장 장치에 접속하고 있는 저속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 각각은 다양한 버스를 이용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공통 머더보드에 탑재되거나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데, 이런 명령어로는, 예컨대 고속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디스플레이처럼 외부 입력, 출력 장치상에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기 위한 그래픽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메모리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를 들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가 적절히 다수의 메모리 및 메모리 형태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독립적인 다수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들이 이루는 칩셋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례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또는 그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자기 혹은 광 디스크와 같이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장치는 컴퓨팅 장치에게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저장 장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이거나 이런 매체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AN(Storage Area Network) 내의 장치들이나 다른 구성도 포함할 수 있고, 플로피 디스크 장치, 하드 디스크 장치, 광 디스크 장치, 혹은 테이프 장치, 플래시 메모리, 그와 유사한 다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혹은 장치 어레이일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미세먼지 농도 표시 장치 110: 통신부
120: 입출력부 130: 제어부
140: 저장부

Claims (12)

  1. 미세먼지 측정 데이터를 3D 그래픽으로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한 기간을 복수의 구간들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분할된 각각의 구간에 대해서 미세먼지 농도의 대표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대표값들 각각에 비례하는 높이의 돌출부들이 형성된 구체를 3D 그래픽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들이 형성된 구체를 3D 그래픽으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구체의 표면을 상기 분할된 복수의 구간들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영역들로 분할하는 단계; 및
    상기 분할된 복수의 영역들 각각에 상기 돌출부들이 하나씩 형성되도록 상기 구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돌출부들 각각에는, 상기 각 돌출부의 높이에 비례하는 크기의 구멍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미세먼지 농도를 표시할 기간을 변경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기간을 분할한 복수의 구간들에 대한 미세먼지 농도의 대표값에 따라 상기 구체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들이 형성된 구체를 3D 그래픽으로 표시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미세먼지 농도 표시의 대상이 되는 장소 및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입력된 장소 및 시간에 대응되는 객체를 생성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객체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객체에 대응되는 장소 및 시간에 대한 미세먼지 농도를 상기 돌출부들이 형성된 구체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7. 미세먼지 농도 표시 장치에 의해 수행되며, 제1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8. 미세먼지 농도 표시 장치에 있어서,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입력에 대한 처리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입출력부;
    미세먼지 농도 표시를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미세먼지 측정 데이터를 3D 그래픽으로 상기 입출력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한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한 기간을 복수의 구간들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각각의 구간에 대해서 미세먼지 농도의 대표값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대표값들 각각에 비례하는 높이의 돌출부들이 형성된 구체를 3D 그래픽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체의 표면을 상기 분할된 복수의 구간들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영역들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복수의 영역들 각각에 상기 돌출부들이 하나씩 형성되도록 상기 구체를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돌출부들 각각에, 상기 각 돌출부의 높이에 비례하는 크기의 구멍이 형성되도록 상기 구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출력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미세먼지 농도를 표시할 기간을 변경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변경된 기간을 분할한 복수의 구간들에 대한 미세먼지 농도의 대표값에 따라 상기 구체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출력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미세먼지 농도 표시의 대상이 되는 장소 및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입력된 장소 및 시간에 대응되는 객체를 생성하여 상기 입출력부에 표시하고,
    상기 입출력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객체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객체에 대응되는 장소 및 시간에 대한 미세먼지 농도를 상기 돌출부들이 형성된 구체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200070564A 2019-06-10 2020-06-10 미세먼지 측정 데이터를 3d 그래픽으로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1023545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935 2019-06-10
KR20190067935 2019-06-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1406A KR20200141406A (ko) 2020-12-18
KR102354512B1 true KR102354512B1 (ko) 2022-01-21

Family

ID=74041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0564A KR102354512B1 (ko) 2019-06-10 2020-06-10 미세먼지 측정 데이터를 3d 그래픽으로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45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0318B1 (ko) * 2021-10-08 2022-05-23 주식회사 애니텍 빅데이터 기반 철도차량용 공기청정기 제어모듈 및 모니터링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6660B1 (ko) 2014-11-03 2015-10-01 주식회사 위메이트 먼지 농도 측정을 위한 모바일 단말
KR101828682B1 (ko) 2016-06-27 2018-02-12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3차원 대기환경 자료 생성 시스템 및 가시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2772A (ko) * 2009-03-12 2010-09-27 주식회사 퍼시스 실내환경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65072B1 (ko) * 2016-10-17 2018-06-07 주식회사에스에이티 미세먼지농도 측정, 보정 및 예측을 통한 미세먼지정보 구축장치 및 그 방법
KR101936081B1 (ko) * 2016-11-23 2019-01-10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대기오염 정보와 기상정보를 활용한 스마트 대기정보 측정 장치 와 그 방법
KR101921125B1 (ko) * 2016-12-08 2018-11-2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미세먼지 센서를 이용한 기상 정보 관리 장치,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200056094A (ko) * 2018-11-14 2020-05-2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하늘 이미지를 이용한 미세먼지 수치 추정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6660B1 (ko) 2014-11-03 2015-10-01 주식회사 위메이트 먼지 농도 측정을 위한 모바일 단말
KR101828682B1 (ko) 2016-06-27 2018-02-12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3차원 대기환경 자료 생성 시스템 및 가시화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기간별 미세먼지 농도 (사르륵 블로그, 2015.11.1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1406A (ko) 2020-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39359B (zh) 使用增強式視窗狀態來配置顯示區域
US10162498B2 (en) Providing selection areas for selectable objects in graphical interface
US10359844B2 (en) Resizing interfaces based on eye gaze
US10318629B2 (en) Adaptive content rendering for optimizing page layout
US9146664B2 (en) Providing content rotation during scroll action
US7663627B2 (en) Graphic drawing program, method, and apparatus
US10319129B2 (en) Snapping line generation
US20170076508A1 (en) Association of objects in a three-dimensional model with time-related metadata
US20210096641A1 (en) Input control display based on eye gaze
US9753625B2 (en) Image selection control
US10877565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play of multimedia content
KR102354512B1 (ko) 미세먼지 측정 데이터를 3d 그래픽으로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US20140331145A1 (en) Enhancing a remote desktop with meta-information
CN108369486B (zh) 通用涂墨支持
WO2018121546A1 (zh) 一种行车记录装置屏幕内容的展示方法和装置
US20230123119A1 (en) Terminal, control method therefor, and recording medium in which program for implementing method is recorded
US20160117089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desktop shortcuts
US20200341608A1 (en) Method of panning image
US20160307470A1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geometry suggestion tool
US1123223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erception-based selection of features in a geometric model of a part
US9950270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oy using the same
US9081487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ipulating an image
JP2016126557A (ja) シミュレーションプログラム、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およびベクトル表示方法
CN106371622B (zh) 输入法及输入设备
JP2018151872A (ja) 描画プログラム、描画方法および描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