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4186B1 - 다이 교환 장치 - Google Patents

다이 교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4186B1
KR102354186B1 KR1020207001520A KR20207001520A KR102354186B1 KR 102354186 B1 KR102354186 B1 KR 102354186B1 KR 1020207001520 A KR1020207001520 A KR 1020207001520A KR 20207001520 A KR20207001520 A KR 20207001520A KR 102354186 B1 KR102354186 B1 KR 102354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
die support
support
waste
cond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1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8929A (ko
Inventor
키에론 하롭
필립 윌리암스
게어스 힐
Original Assignee
아틀라스 콥코 아이에이에스 유케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틀라스 콥코 아이에이에스 유케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아틀라스 콥코 아이에이에스 유케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38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8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4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4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5/00Riveting
    • B21J15/10Riveting machines
    • B21J15/36Rivet sets, i.e. tools for forming heads; Mandrels for expanding parts of hollow riv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5/00Riveting
    • B21J15/02Riveting procedures
    • B21J15/025Setting self-piercing riv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5/00Riveting
    • B21J15/10Riveting machines
    • B21J15/14Riveting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riveting specific articles, e.g. brake lin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5/00Riveting
    • B21J15/10Riveting machines
    • B21J15/30Particular elements, e.g. supports; Suspension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rive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908Joining by deforming
    • Y10T29/49938Radially expanding part in cavity, aperture, or hollow body
    • Y10T29/49943Rive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947Assembling or joining by applying separate fastener
    • Y10T29/49954Fastener deformed after application
    • Y10T29/49956Rive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43Means to drive self-piercing work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nting, Exchange, And Manufacturing Of Dies (AREA)

Abstract

다이 교체 장치는 복수의 다이를 지지하기 위한 제1 다이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다이 지지체는 서로 이격된 제1 다이 지지부 및 제2 다이 지지부를 갖는다. 상기 다이 지지체는 제1 다이 지지부 또는 제2 다이 지지부 중 어느 하나가 제1 이송 위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하다. 제1 다이 지지부 및 제2 다이 지지부 중 하나가 제1 이송 위치에 위치될 때 제1 다이 지지부 및 제2 다이 지지부 중 상기 하나로부터 다이를 파지하여 제1 다이 지지체로부터 상기 파지된 다이를 제거하도록 구성된 제1 그립부를 포함하는 이송 기구도 제공된다. 이송 기구는, 제1 다이 지지체와는 독립적으로, 제1 다이 지지부 및 제2 다이 지지부 중 상기 하나가 제1 이송 위치에 위치될 때 제1 그립부가 제1 다이 지지부 및 제2 다이 지지부 중 상기 하나로부터 상기 다이를 파지할 수 있는 제1 구성과, 제1 그립부가 상기 다이를 해제하여 제2 이송 위치에 위치된 리벳 세터의 제2 다이 지지체로 전달할 수 있는 제2 구성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Description

다이 교환 장치
본 발명은 다이 교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체결 장치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는 다이 교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체결 장치는 셀프 피어싱 리벳(self-piercing rivet)을 사용하는 리벳 세터(rivet setter)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련된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작업물의 둘 이상의 부분들(예를 들면, 둘 이상의 시트들)을 함께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많은 공지된 형태의 체결구(fastener)가 있다. 이러한 공지된 체결구들의 일 그룹은 다음과 같이 기능한다. 체결구 지지체는 작업물의 하방에 배치되고, 체결구와 체결구 삽입 장치는 체결구 지지체와 작업물 양자의 상방에 위치된다. 체결구 삽입 장치는 체결구에 힘을 가하여 체결구를 작업물을 통해 체결구 지지체로 압입한다. 일부의 경우, 체결구 지지체는 체결구 삽입 장치에 의해 체결구에 가해진 힘의 결과로서 체결구에 반작용력을 인가할 수 있다. 체결구에 작용하는 힘은 체결구를 변형시킴으로써 작업물의 둘 이상의 부분을 함께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체결구의 예는, 리벳, 기계적 스터드, 및 다른 형태의 체결 장치를 포함한다. 공지된 리벳의 특정한 형태는 셀프 피어싱 리벳이다. 적당한 접착제 또는 다른 것들과 함께 이러한 리벳을 사용하는 것은 널리 확산되었고 용접이 실용적이지 않은 산업에서 바람직하게 되었다. 이러한 산업은 알루미늄 부품을 사용하는 산업을 포함한다. 이러한 산업의 일 예는, 적어도 하나의 알루미늄 시트를 포함하는 금속 시트들의 적층체가 함께 체결될 필요가 있는 자동차 산업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지의 체결 장치는 체결구 지지체 및 체결구 삽입 장치를 포함한다. 체결구 삽입 장치는 리벳이 리벳 저장 위치로부터 그 내부로 전달되고 그로부터 리벳이 펀치에 의해 작업물 내로 삽입되는 노즈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구 조립체는 작업물의 하방에 위치되고 리벳이 작업물 안으로 삽입될 때 리벳을 업세팅(upsetting) 가공하도록 구성된 업세팅 다이를 포함한다. 업세팅 다이의 체적과 형상은 리벳이 펀치에 의해 작업물 내로 삽입될때 리벳이 바람직한 형상을 취하도록 하기 위해 바람직한 정도의 업세팅을 제공하도록 선택된다.
상이한 형태의 리벳(즉, 상이한 형상, 치수 및/또는 재료 등을 갖는 리벳)이 노즈 조립체로 공급될 수 있게 하는 공급 장치는 이미 알려져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작업물/작업물 부분을 형성하는 상이한 수의 시트들이 있는 경우, 재료 형태의 상이한 조합 및/또는 작업물/작업물 부분의 시트들의 상이한 두께, 및/또는 상이한 형태의 리벳을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와 같이) 상이한 체결 조건을 갖는 상이한 작업물들 또는 작업물 상의 상이한 위치들을 체결하는 것이 요구될 때, 업세팅 다이를 제거하고 그것을 상이한 리벳 및/또는 당해 작업물/작업물 부분의 특성에 보다 적합한 상이한 체적 및/또는 형상을 갖는 상이한 업세팅 다이로 교체하는 것이 종종 필수적이다.
체결 장치의 다이들을 제거하고 교체하기 위한 다이 체인저(die changer)는 이미 알려져 있다. 이러한 다이 체인저는 사용하기에 비교적 불충분할 수 있다. 다이 체인저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행되어 체결 장치의 작동 중에 유지 보수의 가동 휴지 기간 및/또는 잠복 기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어떤 것이 있다면 유익할 것이다.
또한, 공지된 체결 장치 및 다이 체인저는 종종-인원의 접근이 안전상의 이유로 제한되는 구역인-제한 구역에 위치된다. 이러한 경우, 제한 구역 내의 모든 기계류는 인원이 진입하기 전에 전력이 다운되어야 한다. 이는 다이 체인저에 접근하는 것을 곤란하게 하여, 다이 체인저로부터 불필요한 다이들을 제거하고 새로운 다이들을 보충하는 것을 문제로 만든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였든 그렇지 않든, 공지의 다이 체인저와 관련된 문제점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저감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다이를 지지하기 위한 제1 다이 지지체로서, 서로 이격된 제1 다이 지지부 및 제2 다이 지지부를 갖고, 제1 다이 지지부 또는 제2 다이 지지부 중 어느 하나가 제1 이송 위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한 상기 제1 다이 지지체와, 제1 다이 지지부 및 제2 다이 지지부 중 하나가 제1 이송 위치에 위치될 때 제1 다이 지지부 및 제2 다이 지지부 중 상기 하나로부터 다이를 파지하여 제1 다이 지지체로부터 상기 파지된 다이를 제거하도록 구성된 제1 그립부를 포함하는 이송 기구를 포함하고, 이송 기구는, 제1 다이 지지체와는 독립적으로, 제1 다이 지지부 및 제2 다이 지지부 중 상기 하나가 제1 이송 위치에 위치될 때 제1 그립부가 제1 다이 지지부 및 제2 다이 지지부 중 상기 하나로부터 상기 다이를 파지할 수 있는 제1 구성과, 제1 그립부가 상기 다이를 해제하여 제2 이송 위치에 위치된 리벳 세터의 제2 다이 지지체로 전달할 수 있는 제2 구성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다이 교체 장치가 제공된다.
제1 다이 지지체와 이송 기구를 독립적으로 이동시키는 능력은 제1 다이 지지체의 이동에 대해 더 많은 자유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제1 다이 지지체가 캐러셀이면, 캐러셀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이는 정확한 다이 지지부가 최대한 빨리 위치 설정되도록 하여 체결 장치의 작동 중에 휴면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별개의 이송 기구의 사용은, 이송 기구가 선택된 다이를 다이 지지부로부터 제거하자마자, 다음 다이가 상이한 다이 지지부에 있다면 제1 다이 지지체가 다음 다이를 미리 가져오기 위해 이동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는 체결 장치의 작동 중에 휴면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구성과 제2 구성 사이의 이송 기구의 이동은 축선 주위로의 회전일 수 있다. 제1 구성과 제2 구성 사이의 이송 기구의 회전량은 180도 또는 다른 적절한 회전량일 수 있다.
제1 다이 지지체는 제1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한 캐러셀일 수 있다. 제1 다이 지지부 및 제2 다이 지지부는 제1 축선 주위로 주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다이 지지체는 제1 다이 지지부 또는 제2 다이 지지부 중 어느 하나가 제1 이송 위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이송 기구는 제2 그립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송 기구의 제1 구성에 있어서, 제2 그립부는 제2 이송 위치에 위치된 리벳 세터의 제2 다이 지지체로부터 제2 다이를 파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송 기구의 제2 구성에 있어서, 제2 그립부는 상기 제2 다이를 해제하여 폐기 타겟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그립부의 사용은 별개인 두 개의 다이를 동시에-하나는 리벳 세터(예를 들면, 제2 다이 지지체)로부터, 하나는 제1 지지부(예를 들면, 제1 다이 지지체)로부터-제거할 수 있고; 이어서 상기 별개의 다이들을 동시에-하나는 폐기 타겟으로, 하나는 리벳 세터(예를 들면, 제2 다이 지지체)로-해제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동시 작동은 연관된 동작을 하나씩 하나씩 수행하는 것과 비교하여 작동 속도를 개선한다.
폐기 타겟은 제1 다이 지지체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폐기 타겟은 제1 다이 지지부, 제2 다이 지지부 또는 제3 다이 지지부 중 하나일 수 있다.
제1 다이 지지체의 폐기 타겟은 폐기물 수용기 또는 도관일 수 있다.
제1 다이 지지체는 폐기물 수용기 또는 도관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 기구는 폐기물 수용기 또는 도관이 제1 이송 위치에 있을 때 리벳 세터의 제2 다이 지지체로부터 제2 다이를 제거하여 폐기물 수용기 또는 도관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다이 지지체는 폐기물 도관을 포함할 수 있다. 폐기물 도관은 제1 다이 지지체에 연결되는 제1 단과, 제1 단으로부터 이격된 제2 단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이 교체 장치는, 폐기물 도관이 제1 이송 위치에 위치되도록 제1 다이 지지체가 위치될 때, 폐기물 도관의 제2 단이 제2 폐기물 수용기 또는 도관에 인접하게 위치됨으로써, 상기 제2 다이가 폐기물 도관으로 전달되면, 제2 다이가 제1 단으로부터 제2 단으로 폐기물 도관을 통과한 후, 제2 폐기물 수용기 또는 도관 내로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이 교체 장치의 일부는 인원의 진입이 제한되는 제한 구역 내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이 교체 장치는 제2 폐기물 도관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송 위치는 제한 구역에 위치되고 제2 폐기물 도관은 서로 이격된 제3 단과 제4 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단은 폐기물 도관의 제2 단이 제2 폐기물 도관에 인접하게 위치될 때 폐기물 도관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제4 단은 제한 구역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는 작업자가 리벳 세터로부터 폐기 다이를 제거하기 위해 제한 구역에 들어가야 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이 교체 장치의 일부는 인원의 진입이 제한되는 제한 구역 내에 위치되어, 제1 이송 위치가 제한 구역에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다이 지지체의 일부는 제한 구역의 외측에 위치되고, 제1 다이 지지체의 상기 일부는 폐기 타겟 또는 폐기물 수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는 작업자가 리벳 세터로부터 폐기 다이를 제거하기 위해 제한 구역에 들어가야 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1 폐기물 수용기 또는 제2 폐기물 수용기는 복수의 수용된 다이를 수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폐기물 수용기 또는 제2 폐기물 수용기는 다이들이 수용된 것과 동일한 순서대로 상기 복수의 수용된 다이를 서로 나란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는-다이들의 특성이 리벳 세터로부터 제거되었을 때의 연혁에 기초하여 분석될 수 있기 때문에-폐기 다이들의 사후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다이 교체 장치의 일부는 인원의 진입이 제한되는 제한 구역 내에 위치되어,제1 이송 위치가 제한 구역에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다이 지지체의 일부는 제한 구역의 외측에 위치되고, 제1 다이 지지체의 상기 일부는 제1 및/또는 제2 다이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작업자가 제1 및/또는 제2 다이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다이를 보충/교체하기 위해 제한 구역에 들어가야 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1 다이 지지부 및 제2 다이 지지부의 각각은 복수의 다이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다이 지지부는 제1 형태의 복수의 다이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제2 다이 지지부는 제2 형태의 복수의 다이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서로 이격된 제1 다이 지지부 및 제2 다이 지지부를 갖는 제1 다이 지지체와, 제1 그립부를 포함하는 이송 기구를 포함하고, 제1 다이 지지체에 복수의 다이를 지지하는 것과, 제1 다이 지지부 또는 제2 다이 지지부 중 어느 하나가 제1 이송 위치에 위치되도록 제1 다이 지지체를 이동시키는 것과, 제1 다이 지지부 및 제2 다이 지지부 중 하나가 제1 이송 위치에 있을 때, 제1 그립부가 제1 다이 지지부 및 제2 다이 지지부 중 상기 하나로부터 다이를 파지하여, 이송 기구가 제1 다이 지지체로부터 상기 파지된 다이를 제거하는 것과, 상기 파지가 일어나는 제1 구성과, 제1 그립부가 상기 다이를 해제하여 상기 다이를 제2 이송 위치에 위치된 리벳 세커의 제2 다이 지지체로 전달하는 제2 구성 사이에서, 제1 다이 지지체와는 독립적으로, 이송 기구를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다이 교체 장치를 사용하여 다이를 교체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제1 다이 지지체는 제1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한 캐러셀일 수 있다. 제1 다이 지지부 및 제2 다이 지지부는 제1 축선 주위로 서로 주연 방향으로 이격될 수 이다. 제1 다이 지지부 또는 제2 다이 지지부 중 어느 하나가 제1 이송 위치에 위치되도록 제1 다이 지지체를 이동시키는 것은, 제1 다이 지지부 또는 제2 다이 지지부 중 어느 하나가 제1 이송 위치에 있도록 제1 다이 지지체가 회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 기구는 제2 그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 기구의 제1 구성에 있어서, 제2 그립부는 제2 이송 위치에 위치된 리벳 세터의 제2 다이 지지체로부터 제2 다이를 파지할 수 있다. 이송 기구의 제2 구성에 있어서, 제2 그립부는 상기 제2 다이를 해제하여 폐기 타겟으로 전달할 수 있다.
폐기 타겟은 제1 다이 지지체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폐기 타겟은 제1 다이 지지부, 제2 다이 지지부 또는 제3 다이 지지부 중 하나일 수 있다.
제1 다이 지지체의 폐기 타겟은 폐기물 수용기 또는 도관일 수 있다.
제1 다이 지지체는 폐기물 수용기 또는 도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폐기물 수용기 또는 도관이 제1 이송 위치에 위치될 때, 이송 기구가 리벳 세터의 제2 다이 지지체로부터 제2 다이를 제거하여 폐기물 수용기 또는 도관으로 전달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다이 지지체는 폐기물 도관을 포함할 수 있다. 폐기물 도관은 제1 다이 지지체에 연결되는 제1 단과, 제1 단으로부터 이격된 제2 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방법은, 폐기물 도관이 제1 이송 위치에 위치되도록 제1 다이 지지체를 위치시키는 것과, 폐기물 도관의 제2 단을 제2 폐기물 수용기 또는 도관에 인접하게 위치시키는 것과, 제2 다이를 폐기물 도관으로 전달하여, 제2 다이가 제1 단으로부터 제2 단으로 폐기물 도관을 통과한 후, 제2 폐기물 수용기 또는 도관 내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이 교체 장치의 일부는 인원의 진입이 제한되는 제한 구역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다이 교체 장치는 제2 폐기물 도관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송 위치는 제한 구역에 위치되고 제2 폐기물 도관은 서로 이격된 제3 단과 제4 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폐기물 도관의 제2 단이 제2 폐기물 도관에 인접하게 위치될 때 제3 단을 폐기물 도관에 인접하게 위치시키는 것과, 제4 단을 제한 구역의 외측에 위치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이 교체 장치의 일부는 인원의 진입이 제한되는 제한 구역 내에 위치되어, 제1 이송 위치가 제한 구역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제1 다이 지지체의 일부를 제한 구역의 외측에 위치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다이 지지체의 상기 일부는 폐기 타겟 또는 폐기물 수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폐기물 수용기 또는 제2 폐기물 수용기는 복수의 다이를 수납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제1 폐기물 수용기 또는 제2 폐기물 수용기가 다이들이 수용된 것과 동일한 순서대로 상기 복수의 수용된 다이를 서로 나란하게 지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이 교체 장치의 일부는 인원의 진입이 제한되는 제한 구역 내에 위치되어, 제1 이송 위치가 제한 구역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제1 다이 지지체의 일부를 제한 구역의 외측에 위치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다이 지지체의 상기 일부는 제1 다이 지지부 및/또는 제2 다이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다이 지지부 및 제2 다이 지지부의 각각은 복수의 다이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다이 지지부는 제1 형태의 복수의 다이를 지지하고, 제2 다이 지지부는 제2 형태의 복수의 다이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술한 측면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다이 교체 장치와 함께 리벳 세터를 사용하여 작업물의 두 개 이상의 층을 함께 체결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제품은 차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측면들 중 하나와 관련하여 상술한 선택적인 특징들은 적절한 경우에 본 발명의 다른 측면들에 동등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시로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 장치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이송 기구가 제1 구성에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이 체인저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3은 이송 기구가 제2 구성에 있는 도 2에 나타난 다이 체인저의 다른 도면을 도시한다.
도 4 및 도 5는 도 2에 나타난 다이 체인저의 일부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6은 리벳 세터와 함께 도 2에 나타난 다이 체인저의 일부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이 체인저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이 체인저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단순함을 위해, 셀프 피어싱 리벳 세터의 다이용 다이 체인저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기재하지만, 본 발명은 체결구 지지체가 주기적으로 변경되어야 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모든 체결 장치에 동등하게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주기적으로 변경되는 부분은 본 발명에 따른 다이 체인저 또는 방법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체결 장치(10)의 일부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체결 장치(10)는 리벳 세터(12)와 다이 체인저(14)를 포함한다. 리벳 세터(12)는 체결구 삽입 장치(18)가 장착되는 제1 단과, 체결구 지지체(20)가 장착되는 제2 단을 갖는 C형 클램프(16)를 포함하고, 체결구 삽입 장치(18)과 체결구 지지체(20)는 서로 대향한다. 체결구 삽입 장치는 (도시되지 않은) 리벳 저장 위치로부터 리벳이 통과해 들어가는 노즈 조립체(22)를 포함한다. 노즈 조립체는 펀치(24)를 더 포함한다. 액츄에이터(26)는, 사용시에, 체결구 삽입 장치(18)와 체결구 지지체(20) 사이에 위치되는 임의의 작업물과 체결구 지지체(20)를 향해 펀치(24)를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체결구 지지체(20)는 다이(30)를 지지하는 다이 지지체(28)를 포함한다.
리벳 세터(12)는 리벳 세터를 위치 설정하기 위한 임의의 적절한 장치에 장착부(32)를 거쳐서 장착된다. 예를 들면, 일부 적용예에 있어서, 리벳 세터는 로봇 아암에 장착될 수 있다.
사용시에, 리벳 세터(12)는 리벳팅되는 작업물이 체결구 삽입 장치(18)와 체결구 지지체(20) 사이에 위치되도록 적절한 위치로 이동된다. 액츄에이터(26)는 노즈 조립체(22)의 일부를 작업물에 보다 가깝게 이동시킨다. 리벳은 노즈 조립체(22)에 공급되고 액츄에이터(26)는 리벳이 펀치(24)에 의해 작업물 내로 삽입되도록 펀치(24)를 가동시킨다. 리벳은 작업물 내로 압입되고 작업물과 접촉하는 다이(30)에 의해 반작용력이 리벳에 인가된다. 다이(30)에 인가되는 반작용력은 작업물 내로 압입된 리벳이 업세팅되도록 함으로써, 리벳을 변형시켜 작업물을 리벳팅(즉, 리벳에 의해 함께 고정)되도록 한다.
리벳을 작업물 내로 삽입하기 위해 앞서 개요를 설명한 장치 및 방법은 이미 잘 알려져 있고 본 발명의 주요 측면은 아니다. 이와 같이, 간략히 하기 위해, 리벳을 작업물 내로 삽입할 때의 리벳 세터의 작동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체결 장치(10)는 다이 체인저(14)도 포함한다. 다이 체인저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다이 교체 장치로도 지칭되는) 다이 체인저(14)는 도 2 및 도 3에 보다 상세히 나타나 있다.
다이 체인저(14)는 복수의 다이를 지지하기 위한 제1 다이 지지체(3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그리고 도 5에 가장 명확하게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다이 지지체(34)는 제1 축선(A) 주위로 회전 가능한 캐러셀(carousel)의 형태를 취한다. 특정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다이 지지체(34)는 액츄에이터(36)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액츄에이터(36)과 제1 다이 지지체(34)는 지지 아암(38)에 장착된다.
제1 다이 지지체(34)는 서로 이격되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은) 제1 및 제2 다이 지지부(40, 42)를 갖는다.
앞서 나타난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및 제2 다이 지지부(40, 42)는 각각 다이 카트리지의 형태를 취한다. 도 5에 가장 잘 나타난 바와 같이, 각각의 다이 카트리지(44)는 캐러셀 형태의 제1 다이 지지체(34)의 본체(48)에 고정되는 카트리지 지지체(46)를 포함한다. 카트리지(44)는 카트리지 지지체(46)에 고정되어 제1 다이 지지체(34)의 일부를 형성하는 본체(48)도 포함한다.
다이 카트리지(44)의 정확한 구조 및 작동 방법은 본 출원과 동일한 출원일에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대응 영국 특허출원에 설명되어 있다. 카트리지(44)의 구조 및 작동 방법은 본 발명의 주요 측면은 아니다. 결과적으로, 간략히 하기 위해, 카트리지의 구조 및 작동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한 것이 허용되는 사법권 내에 있어서는, 카트리지의 구조 및 작동 방법에 관한 상기 대응 영국 출원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서 포함된다.
상술한 설명에 불구하고, 언급할만한 가치가 있는 다이 카트리지들(44)의 일 측면은 이들이 복수(예를 들면, 5개 또는 6개)의 다이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및 제2 카트리지 형태의 제1 및 제2 다이 지지부(40, 42)는 동일한 형태의 다이들을 지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및 제2 다이 카트리지 형태의 제1 및 제2 다이 지지부는 상이한 형태의 다이를 지지할 수 있다-즉, 제1 다이 지지부는 제1 형태의 복수의 다이를 지지할 수 있고, 제2 다이 지지부는 제2 형태의 복수의 다이를 지지할 수 있다.
도면의 명확성을 향상시킬 목적에서, 제1 다이 지지부(40) 및 제2 다이 지지부(42)가 일부 도면에는 전혀 또는 그 전체가 도시되어 있지 않다는 것도 주목할만한 가치가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에는, 카트리지 형태의 제1 다이 지지부용 카트리지 지지체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제1 및 제2 다이 지지부(40, 42)용 카트리지 지지체를 도시한다. 도 4는 제1 다이 지지부(40)용 카트리지의 본체(48) 및 카트리지 지지부(46)를 도시하는 반면, 제2 다이 지지부의 카트리지 지지체만이 도시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도 5는 카트리지 지지체(460 및 카트리지 본체(48) 양자를 포함하는 카트리지(44) 형태의 제1 다이 지지부(40)만을 도시한다.
도면들은 단지 두 개의 다이 지지부만을 도시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한 개보다 더 많은 수의 다이 지지부들이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명확히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캐러셀 형태의 제1 다이 지지체(34)는 각각 추가적인 다이 지지부용의 위치로서 기능할 수 있는 여러 개의 부가적인 공간들(예를 들면 도면부호 52로 지시된 것들)을 포함한다.
또한, 도면들에 도시된 제1 다이 지지체의 디자인은 한정적인 의미로 받아들여져서는 안된다-예를 들면, 캐러셀 형태의 제1 지지부는 한 개보다 더 많은 임의의 적절한 수의 다이 지지부용의 위치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도면들 내에 도시된 다이 지지부들은 복수의 다이를 유지하는 카트리지들이지만, 임의의 적절한 다이 지지부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다이 지지부는 하나 이상의 다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다이가 각각의 다이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다이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의 다이는 동일한 필요가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다이 지지부(40, 42)는 서로 이격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및 제2 다이 지지부는 제1 축선(A) 주위로 서로 주연 방향으로 이격된다.
다이 지지체(34)는 제1 다이 지지부(40) 또는 제2 다이 지지부(42)중 어느 하나가 제1 이송 위치(54)에 위치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하다. 제1 이송 위치(54)의 성질은 본 명세서의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도시된 특정한 실시예에 있어서, 다이 지지체(34)는 제1 또는 제2 다이 지지부를 제1 이송 위치(54)에 위치시키기 위해 어느 한 쪽으로 회전될 수 있다.
다이 체인저(14)의 제1 다이 지지체(34)가 어느 한 쪽으로 회전할 수 있다는 사실은, 제1 이송 위치에 위치된 다이 지지부(또는 폐기물 리셉터클/도관-후술한다)를 변경하도록 제1 다이 지지체를 회전시키는 것이 필요할 때, 제1 이송 위치에 위치된 현재의 다이 지지부와 제1 이송 위치에 위치시키려고 하는 다이 지지부 사이에서 회전의 가장 빠른 방향(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이 이용될 수 있기 때문에, 단일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회전 가능한 그런 시스템에 대해 유리하다.
다이 체인저(14)는 이송 기구(56)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송 기구(56)는 병진(竝進) 이동 및 제2 축선(B) 주위로의 회전이 둘다 가능한 아암(58) 형태를 취한다. 이송 기구(56) 및 그 액츄에이터는 제1 다이 지지체(34)를 지지하는 아암(38)이 달려있는 베이스 플레이트(60)에 장착된다.
이송 기구(56)는 대체로 도면부호 62로 지시된 제1 그립부를 포함한다. 제1 그립부(및 하술하는 제2 그립부)의 작동 상세는 본 발명의 주요 측면은 아니다. 다이에 인접하여 또는 주위에 배치될 수 있고, 그 후 이송 기구에 고정하기 위해 다이에 힘을 인가하도록 작동될 수 있고, 그 후 다이를 이송 기구로부터 해제하도록 작동 해제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기구가 본 발명에 따른 그립부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한 예로서는, 다이와 접촉하도록 연장되는 그립 부재 또는 다이를 자기적으로 유지하도록 작동될 수 있는 전자석이 포함된다. 임의의 적절한 그립부가 사용될 수 있다는 사실에 비추어 볼 때, 그리고 본 발명의 일부로서 본 특징의 작동이 갖는 중요성의 보조적인 성질을 감안할 때, 본 특징의 추가적인 설명은 간략을 위해 생략한다.
제1 그립부는 제1 및 제2 다이 지지부(40, 42) 중 하나가 제1 이송 위치(54)에 위치될 때 제1 및 제2 다이 지지부 중 하나로부터 다이를 파지(把持)하여 파지된 다이를 제1 다이 지지체로부터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2를 참조하면, 이는 다음과 같이 달성된다. 이송 기구에 의해 다이가 추출되어야 하는 다이 지지부가 제1 이송 위치에 위치된다. 이는 제1 다이 지지체(34)를 이동시킴으로써 달성되는데, 본 경우에 있어서는, 회전에 의한 이동이다. 제1 이송 위치는 수직 방향으로 제1 그립부(62)의 (도 2에 도시된 장치의 배향에 대해) 하방의 위치이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이송 위치(54)에 위치되는 다이 지지부는 제2 다이 지지부(42)이다. 연관된 다이 지지부가 제1 이송 위치(54)에 위치되면, 이송 기구(56)(및 이에 따라 아암(58)과 제1 그립부(60))는 이송 기구(56)의 액츄에이터에 의해 C 방향으로 축선(B)을 따라 병진 이동한다. 이송 기구는 제2 다이 지지부(42)와 접촉할 때까지 C 방향으로 이동한다. 카트리지에 관한 대응 출원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2 다이 지지부와의 접촉은 제2 다이 지지부(42)를 구성하는 제2 카트리지로부터 다이를 해제시킨다. 카트리지의 작동에 관한 추가적인 상세는 본 발명의 중요한 측면이 아니므로, 간략히 하기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는 않는다. 다이가 제2 다이 지지부(42)로부터 해제되면, 이송 기구(56)의 제1 그립부(62)에 수용된다. 그 후, 제1 그립부(62)는 다이를 파지하도록 작동된다. 그 후, 이송 기구(56)의 액츄에이터는 제1 다이 지지체(34)로부터 멀리 D 방향으로 축선(B)을 따라 이동하도록 이송 기구(56)를 작동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파지된 다이는 제2 다이 지지부(42) 및 제1 다이 지지부(34)로부터 제거된다.
이송 기구(56)는, 상술한 방식으로(즉, 이송 기구(56)를 C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제1 그립부(62)를 작동시킴으로써) 제1 그립부(62)가 연관된 다이 지지부로부터 연관된 다이를 파지할 수 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구성과, 제1 그립부가 상기 다이를 해제하여 제2 이송 위치에 위치된 리벳 세터(12)의 제2 다이 지지체(28)에 전달할 수 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 구성 사이에서, 다이 지지체(34)와는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도 2와 도 3을 비교하면, 도 2에 도시된 제1 구성과 도 3에 도시된 제2 구성 사이에서의 이송 기구의 이동은 180도 만큼 축선(B) 주위로의 이송 기구(56)의 회전을 구성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회전은 이송 기구 액츄에이터에 의해 수행된다. 회전은 시계 방향(E) 또는 반시계 방향(F) 중 어느 한 쪽으로 가장 적절하게 일어날 수 있다. 제1 구성과 제2 구성 사이의 이송 기구(56)의 회전이 임의의 적절한 회전량일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 내에 있고, 예를 들면, 30도, 45도, 60도, 90도, 120도, 135도, 150도 및 180도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제1 구성으로부터 제2 구성으로, 그후 제2 구성으로부터 제1 구성으로의 이송 기구(56)의 회전량은 360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구성으로부터 제2 구성으로의 회전량은 제2 구성으로부터 제1 구성으로의 회전량과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또한, 제1 구성과 제2 구성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면 이송 기구가 임의의 적절한 형상 또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이송 위치는 도 6을 참조하면 가장 잘 이해된다. 도 6은 리벳 세터(12)의 일부 및 다이 체인저(14)의 일부를 도시한다. 리벳 세터(12)의 다이 지지체(28)는 다이(30)를 지지한다. 이해하겠지만, 다이 지지체(28)가 추가적인 다이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다이(30)가 제거되어야 한다. 다이(30)는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방식은 본 명세서의 이하에서 설명한다. 제1 그립부(62)가 다이를 해제하여 제2 이송 위치에 위치된 리벳 세터의 제2 다이 지지체(28)로 전달할 수 있는 이송 기구(56)의 제2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 6의 다이(30)는 이미 제거된 것을 가정한다. 리벳 세터(12)의 제2 다이 지지체(28)가 위치되는 제2 이송 위치는, 리벳 세터(12)의 숄더(66)가 면(68) 형태의 다이 체인저(14)의 딱딱한 스토퍼와 맞닿도록 리벳 세터(12)가 다이 체인저(14)에 대해 이동될 때의 다이 지지체(28)의 위치이다. 다이 지지체(28)가 제2 이송 위치(64)에 위치되도록 리벳 세터(12)가 다이 체인저(14)에 대해 위치된 상태에서, 다이 지지체(28)는 이송 기구(56)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 구성에 있을 때 수직 방향으로 제1 그립부(62)의 (도면에서 주어진 배향에서) 하방에 위치된다.
이송 기구(56)의 제1 그립부(62)에 의해 파지된 다이를 제2 다이 지지체(28)로 전달하기 위해, 이송 기구(56)의 액츄에이터는 이송 기구(56)가 C 방향으로 축선(B)을 따라 이동하도록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파지된 다이는 제2 다이 지지체(28)에 위치되고 제1 그립부(62)는 다이를 해제하여 제2 다이 지지체(28)에 남겨 두도록 작동 해제될 수 있다. 다이가 제2 다이 지지체(28)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2 다이 지지체 내의 다이 유지 기구가 제2 다이 지지체 내에 다이를 유지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그 후, 필요한 경우, 이송 기구(56)의 액츄에이터는 이송 기구(56)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이송 기구(56)를 D 방향으로 축선(B)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송 기구(56)는 제1 그립부(62)와 비교하여 이송 기구(56)의 아암(58)의 반대측 단부에 위치된 제2 그립부(70)를 포함한다.
이송 기구의 아암의 대향 단부에 위치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1 및 제2 그립부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한다. 이송 기구(56)의 제1 구성에 있어서, 도 2(및 도면에 보이는 이송 기구의 일부가 제2 그립부(70)라고 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그립부(70)는 리벳 세터가 제2 이송 위치에 위치될 때 리벳 세터(12)의 제2 다이 지지체(28)로부터 제2 다이(30)를 파지할 수 있다. 이는 다음과 같이 달성된다: 이송 기구(56)가 제1 구성에 있을 때 이송 기구(56)의 액츄에이터는 제2 그립부(70)가 제2 다이(30)에 인접하여 또는 주위에 위치되도록 이송 기구(56)가 C 방향으로 축선(B)을 따라 이동하도록 작동시킬 수 있다. 그 후, 제2 그립부는 제2 다이에 힘을 인가하여 제2 다이를 제2 그립부에 고정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그 후, 이송 기구(56)는 D 방향으로 축선(B)을 따라 이동하도록 이송 기구 액츄에이터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이는 제2 다이 지지체(28)로부터 제2 다이(30)를 제거한다.
제2 다이가 제거되기 전에, 리벳 세터가 리벳을 작업물 내로 삽입하도록 작동하는 동안, 제2 다이(30)는 제2 다이 지지체(28)에 고정된다. 이는 공지된 형태의 다이 유지 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다이 유지 기구는 알려져 있고 그 작동은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중요하지 않기 때문에, 간략화를 위해 그 작동은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즉, 제2 다이(30)가 통상적으로 제2 다이 지지체에 고정된다면, 제2 다이(30)가 제2 다이 지지체(28)로부터 제거되기 전에, 다이 유지 기구가 해제되어야 한다는 것은 명확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는 다음과 같이 달성된다. 도 6은 다이 제거 핀(72)을 도시한다. 다이 제거 핀(72)은 제2 이송 위치의 하방에 위치된다. 리벳 세터가 제2 이송 위치에 위치될 때, 다이 제거 핀(72)은 C형 프레임의 하측의 (도시되지 않은) 개구를 통해 수직 상방으로 이동한다. 다이 제거 핀(72)은 개구를 통해 제2 다이 지지체(28) 내로 통과하여 다이 유지 기구를 해제하여 다이를 약간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다이 유지 기구가 해제되고 다이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다이는 제2 그립부(70)에 의해 파지되어 제2 다이 지지체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송 기구의 이러한(이에 따라 다이가 제2 그립부(70)에 의해 파지되어 제2 다이 지지체로부터 제거되는) 작동 부분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그립부가 제1 또는 제2 다이 지지부로부터 다이를 파지할 때와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또는 제2 다이 지지부가 제1 이송 위치에 위치되고 이와 동시에 리벳 세터의 제2 다이 지지체가 제2 이송 위치에 위치되면, 이송 기구(56)의 제1 그립부(62)는 제1 또는 제2 다이 지지부로부터 제거되도록 다이를 파지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제2 그립부(70)는 제2 다이 지지체(28)로부터 제거되도록 다이(30)를 파지할 수 있다.
다이(30)가 제2 다이 지지체(28)로부터 제거되면, 이송 기구(56)는 제2 구성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송 기구(56)의 제2 구성에 있어서, 제2 그립부(70)는 제2 다이(30)를 작동 해제하여 폐기 타겟으로 전달할 수 있다. 폐기 타겟은 제1 이송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이송 기구의 이러한 작동 부분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그립부(62)가 다이를 해제하여 제2 이송 위치에 위치된 리벳 세터(12)의 제2 다이 지지체(28)에 전달할 때와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폐기 타겟이 제1 이송 위치에 위치되고 동시에 리벳 세터의 제2 다이 지지체가 제2 이송 위치에 위치된다면, 제1 그립부(62)는 다이를 해제하여 리벳 세터(12)의 제2 다이 지지체(28)에 전달할 수 있고 동시에 제2 그립부(7)가 다이(30)를 해제하여 폐기 타겟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적용예에 따라, 폐기 타겟은 사용된 다이가 전달될 필요가 있는 임의의 적절한 독립체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폐기 타겟은 제1 다이 지지체와 별개일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 폐기 타겟은 제1 다이 지지체(34)의 일부를 형성하고 폐기 타겟은 폐기물 도관(74)이다. 폐기물 도관(74)은 캐러셀의 부가적인 공간들(52) 중 하나에서 제1 다이 지지체(34)에 고정된다. 폐기물 도관(74)은 대체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고 다이가 통과할 수 있도록 치수 설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폐기물 도관은 제1 다치 지지체(34)에 연결된 제1 단(74a)과, 제1 단(74a)으로부터 이격된 제2 단(74b)을 갖는다. 제1 다이 지지체(34)는, 도 2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폐기물 도관(74)의 제1 단(74a)이 제1 이송 위치(54)에 위치될 경우, 폐기물 도관(74)의 제2 단(74b)이 제2 폐기물 도관(76)에 인접하게 위치됨으로써, 제2 다이가 폐기물 도관(74)으로 전달되면, 제2 다이는 제1 단(74a)으로부터 제2 단(74b)으로 (중력의 작용을 통해) 폐기물 도관(74)을 통과한 후, 제2 폐기물 도관(76) 내로 전달될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폐기물 도관은 제2 폐기물 수용기로 교체되거나 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폐기물 도관의 제1 단이 제1 이송 위치에 위치될 경우, 폐기물 도관의 제2 단은 제2 폐기물 수용기에 인접하게 위치됨으로써, 제2 다이가 폐기물 도관으로 전달되면, 제2 다이가 제1 단으로부터 제2 단으로 (중력의 작용을 통해) 폐기물 도관을 통과한 후, 제2 폐기물 수용기 내로 전달될 것이다.
제1 폐기물 도관은 제1 다이 지지체에 연결되어 함께 이동하는 반면, 제2 폐기물 도관 또는 제2 폐기물 수용기는 제1 다이 지지체와 별개로 되어 있어 제1 다이 지지체와 함께 이동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폐기물 도관(74)은 폐기물 수용기로 교체될 수 있다. 폐기물 도관과 폐기물 수용기 사이의 차이는 폐기물 도관은 폐기물(예를 들면, 폐기 다이들)을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운반하도록 설계되지만, 폐기물 수용기는 유지 보수 작업의 일환으로 폐기물이 비워지기 전에 폐기물을 저장 또는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폐기 타겟들은 리벳 세터로부터 제거된 다이를 폐기물로 취급하도록 요구되는 것들이었다. 이는 다이가 수많은 리벳 작업들을 수행하여 마모되는 경우일 수 있다. 다른 적용예에 있어서, 리벳 세터로부터 제거된 다이는 완전히 마모되지 않고, 따라서 폐기물이 아닐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나중에 재사용 가능하도록 다이를 다이 지지부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에서, 폐기 타겟은 제1 다이 지지부, 제2 다이 지지부 또는 제3 다이 지지부 중 하나일 수 있다.
체결 장치의 일부 적용예에 있어서, 체결 장치는 인원의 접근이 안전상의 이유로 제한되는 제한 구역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한 구역 내의 모든 기계류는 인원이 진입하기 전에 전력이 다운되어야 한다. 일 예시에 있어서, 리벳 세터는 로봇 아암의 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리벳 세터가 로봇 아암의 단부에 위치되기 때문에, 리벳 세터는 안전상의 리스크를 나타낸다-로봇 아암이 우연히 리벳 세터를 이동시켜 부상을 초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경우, 리벳 세터가 제한 구역에 위치된다. 리벳 세터가 다이 체인저에 접근해야 하기 때문에, 다이 체인저의 적어도 일부도 제한 구역에 위치되어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이송 위치(54)는 제한 구역(R)에 위치되고 제2 폐기물 도관(76)은 서로 이격된 제3 단(76a)과 제4 단(76b)을 포함하고, 제3 단(76a)은 폐기물 도관(74)의 제2 단(74b)이 제2 폐기물 도관(76)에 인접하게 위치될 때 폐기물 도관(74)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제4 단(76b)은 (비제한 구역(U)으로도 지칭되는) 제한 구역의 외측에 위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및 제2 폐기물 도관은 리벳 세터로부터 제거된 임의의 다이를 제한 구역의 외측에 있는 위치로 운반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작업자가 폐기 다이들을 제거하기 위해 제한 구역으로 진입할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 폐기 다이들을 제거하는 것이 체결 장치에 대해 가동 휴지 시간을 초래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이송 위치(54)는 제한 구역(R)에 위치되고; 제1 다이 지지체(34)의 일부는 제한 구역의 외측(비제한 구역(U))에 위치될 수 있고, 제1 다이 지지체의 상기 일부는 폐기 타겟 또는 폐기물 수용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다이 지지체를 이동시킴으로써, 폐기 타겟 또는 폐기물 수용기를 제한 구역의 바깥에 위치시킬 수 있다. 폐기 타겟 또는 폐기물 수용기가 제한 구역의 바깥에 있도록 이들을 이동시킬 수 있다는 것은 제한 구역에 접근할 필요 없이 따라서 제한 구역의 기계류를 정지시킬 필요 없이 리벳 세터로부터 제거된 다이들이 모두 체결 장치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이송 위치(54)는 제한 구역(R)에 위치된다. 제1 다이 지지체(34)의 일부는 제한 구역의 외측(비제한 구역(U))에 위치될 수 있고, 제1 다이 지지체의 상기 일부는 제1 및/또는 제2 다이 지지부(40, 42)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다이 지지체를 이동시킴으로써, 제1 및/또는 제2 다이 지지부를 제한 구역의 외측에 위치시킬 수 있다. 제1 및/또는 제2 다이 지지부가 제한 구역의 외측에 있도록 이들을 이동시킬 수 있다는 것은 제한 구역에 접근할 필요 없이 따라서 제한 구역의 기계류를 정지시킬 필요 없이 연관된 다이들이 소진된 다이 지지부가 모두 보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복수의 수용된 다이들을 수납하도록 구성된 제1 폐기물 수용기 또는 제2 폐기물 수용기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폐기물 수용기 또는 제2 폐기물 수용기는 다이들이 수용된 것과 동일한 순서대로 상기 복수의 수용된 다이를 서로 나란하게 지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자면, 도 7은 제1 및 제2 폐기물 도관(74, 76)의 단부에 위치된 제2 폐기물 수용기(78)를 도시한다. 사용시에, 상술한 바와 같이, 다이가 리벳 세터로부터 제거되어 제1 폐기물 도관(74) 형태의 폐기 타겟으로 전달되면, 다이는 제1 폐기물 도관(74)을 통과해 제2 폐기물 도관(76)을 통해 제2 폐기물 수용기(78) 내로 전달될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제2 폐기물 수용기(78)의 직경은 제2 폐기물 수용기에 수용되는 다이의 직경보다 단지 조금 더 크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폐기물 수용기(78)는 다이들이 수용된 것과 동일한 순서대로 상기 복수의 수용된 다이를 서로 인접하게 지지한다. 다시 말하면, 첫번째로 다이(30a)가 먼저 수납되고, 다이(30a) 옆의 다이(30b)가 두번째로 수납되었다; 그리고 다이(30b) 옆의 공간(30c)은 다이(30)가 해제되고 나면 다이(30)에 의해 채워질 것이다.
각각의 다이가 리벳 세터로부터 제거되었을 때의 연혁에 기초하여 다이들의 사후 분석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폐기물 수용기(78)가 수용된 다이들을 수용된 순서대로 지지하는 것이 유익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제2 폐기물 수용기(78)가 다이들이 수용된 것과 동일한 순서대로 상기 복수의 수용된 다이를 서로 나란하게 지지하는 방식은 제2 폐기물 수용기(78)의 직경이 제2 폐기물 수용기에 수납되는 다이들의 직경보다 단지 조금 더 큰 것으로 인한 것이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다이들이 수용된 것과 동일한 순서대로 상기 복수의 수용된 다이를 서로 나란하게 지지하는 임의의 적절한 구성이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대한 임의의 수의 변형예들이 청구범위에 규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한 변형예 중 하나는 제1 다이 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다이 지지체는 캐러셀이고, 제1 및 제2 다이 지지부는 주연 방향으로 이격되고, 제1 다이 지지체의 이동은 축선 주위로의 회전이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제1 다이 지지체는-예를들면, 선형 또는 직사각형과 같이-다른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예시에 있어서, 제1 및 제2 다이 지지부는 주연 방향으로 이격되지 않고 제1 다이 지지체의 이동은 병진 이동이 될 것이다.

Claims (29)

  1. 복수의 다이를 지지하기 위한 제1 다이 지지체로서, 서로 이격된 제1 다이 지지부 및 제2 다이 지지부를 갖고, 제1 다이 지지부 또는 제2 다이 지지부 중 어느 하나가 제1 이송 위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한 상기 제1 다이 지지체와,
    제1 다이 지지부 및 제2 다이 지지부 중 하나가 제1 이송 위치에 위치될 때 제1 다이 지지부 및 제2 다이 지지부 중 상기 하나로부터 다이를 파지하여 제1 다이 지지체로부터 상기 파지된 다이를 제거하도록 구성된 제1 그립부를 포함하는 이송 기구를 포함하고,
    이송 기구는, 제1 다이 지지체와는 독립적으로, 제1 다이 지지부 및 제2 다이 지지부 중 상기 하나가 제1 이송 위치에 위치될 때 제1 그립부가 제1 다이 지지부 및 제2 다이 지지부 중 상기 하나로부터 상기 다이를 파지할 수 있는 제1 구성과, 제1 그립부가 상기 다이를 해제하여 제2 이송 위치에 위치된 리벳 세터의 제2 다이 지지체로 전달할 수 있는 제2 구성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이송 기구는 제2 그립부를 포함하고,
    이송 기구의 제1 구성에 있어서, 제2 그립부는 제2 이송 위치에 위치된 리벳 세터의 제2 다이 지지체로부터 제2 다이를 파지하도록 구성되고, 이송 기구의 제2 구성에 있어서, 제2 그립부는 상기 제2 다이를 해제하여 폐기 타겟으로 전달할 수 있는 다이 교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제1 구성과 제2 구성 사이의 이송 기구의 이동은 축선 주위로의 회전인 다이 교체 장치.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제1 다이 지지체는 제1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한 캐러셀이고,
    제1 다이 지지부 및 제2 다이 지지부는 제1 축선 주위로 주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제1 다이 지지체는 제1 다이 지지부 또는 제2 다이 지지부 중 어느 하나가 제1 이송 위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한 다이 교체 장치.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폐기 타겟은 제1 다이 지지체의 일부를 형성하는 다이 교체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폐기 타겟은 제1 다이 지지부, 제2 다이 지지부 또는 제3 다이 지지부 중 하나인 다이 교체 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제1 다이 지지체의 폐기 타겟은 폐기물 수용기 또는 도관인 다이 교체 장치.
  8.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제1 다이 지지체는 폐기물 수용기 또는 도관을 포함하고,
    이송 기구는 폐기물 수용기 또는 도관이 제1 이송 위치에 있을 때 리벳 세터의 제2 다이 지지체로부터 제2 다이를 제거하여 폐기물 수용기 또는 도관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다이 교체 장치.
  9. 제7 항에 있어서,
    제1 다이 지지체는 폐기물 도관을 포함하고, 폐기물 도관은 제1 다이 지지체에 연결되는 제1 단과, 제1 단으로부터 이격된 제2 단을 갖고,
    다이 교체 장치는, 폐기물 도관이 제1 이송 위치에 위치되도록 제1 다이 지지체가 위치될 때, 폐기물 도관의 제2 단이 제2 폐기물 수용기 또는 도관에 인접하게 위치됨으로써, 상기 제2 다이가 폐기물 도관으로 전달되면, 제2 다이가 제1 단으로부터 제2 단으로 폐기물 도관을 통과한 후, 제2 폐기물 수용기 또는 도관 내로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다이 교체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다이 교체 장치의 일부는 인원의 진입이 제한되는 제한 구역 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다이 교체 장치는 제2 폐기물 도관을 포함하고,
    제1 이송 위치는 제한 구역에 위치되고,
    제2 폐기물 도관은 별개의 제3 단 및 제4 단을 포함하고, 제3 단은 폐기물 도관의 제2 단이 제2 폐기물 도관에 인접하게 위치될 때 폐기물 도관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제4 단은 제한 구역의 외측에 위치되는 다이 교체 장치.
  11. 제5 항에 있어서,
    다이 교체 장치의 일부는 인원의 진입이 제한되는 제한 구역 내에 위치되어, 제1 이송 위치가 제한 구역에 위치되도록 구성되고,
    제1 다이 지지체의 일부는 제한 구역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고, 제1 다이 지지체의 상기 일부는 폐기 타겟 또는 폐기물 수용기를 포함하는 다이 교체 장치.
  12. 제7 항에 있어서,
    제1 폐기물 수용기 또는 제2 폐기물 수용기는 복수의 수용된 다이를 수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1 폐기물 수용기 또는 제2 폐기물 수용기가 다이들이 수용된 것과 동일한 순서대로 상기 복수의 수용된 다이를 서로 나란하게 지지하는 다이 교체 장치.
  1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다이 교체 장치의 일부는 인원의 진입이 제한되는 제한 구역 내에 위치되어,제1 이송 위치가 제한 구역에 위치되도록 구성되고,
    제1 다이 지지체의 일부는 제한 구역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고, 제1 다이 지지체의 상기 일부는 제1 및/또는 제2 다이 지지부를 포함하는 다이 교체 장치.
  14.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제1 다이 지지부 및 제2 다이 지지부의 각각은 복수의 다이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제1 다이 지지부는 제1 형태의 복수의 다이를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제2 다이 지지부는 제2 형태의 복수의 다이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다이 교체 장치.
  15. 다이 교체 장치를 사용하여 다이를 교체하는 방법으로서,
    다이 교체 장치는, 서로 이격된 제1 다이 지지부 및 제2 다이 지지부를 갖는 제1 다이 지지체와, 제1 그립부를 포함하는 이송 기구를 포함하고,
    다이 교체 방법은,
    제1 다이 지지체에 복수의 다이를 지지하는 것과,
    제1 다이 지지부 또는 제2 다이 지지부 중 어느 하나가 제1 이송 위치에 위치되도록 제1 다이 지지체를 이동시키는 것과,
    제1 다이 지지부 및 제2 다이 지지부 중 하나가 제1 이송 위치에 있을 때, 제1 그립부가 제1 다이 지지부 및 제2 다이 지지부 중 상기 하나로부터 다이를 파지하여, 이송 기구가 제1 다이 지지체로부터 상기 파지된 다이를 제거하는 것과,
    상기 파지가 일어나는 제1 구성과, 제1 그립부가 상기 다이를 해제하여 상기 다이를 제2 이송 위치에 위치된 리벳 세커의 제2 다이 지지체로 전달하는 제2 구성 사이에서, 제1 다이 지지체와는 독립적으로, 이송 기구를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이송 기구는 제2 그립부를 포함하고,
    이송 기구의 제1 구성에 있어서, 제2 그립부는 제2 이송 위치에 위치된 리벳 세터의 제2 다이 지지체로부터 제2 다이를 파지하고, 이송 기구의 제2 구성에 있어서, 제2 그립부는 상기 제2 다이를 해제하여 폐기 타겟으로 전달하는 다이 교체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제1 다이 지지체는 제1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한 캐러셀이고,
    제1 다이 지지부 및 제2 다이 지지부는 제1 축선 주위로 서로 주연 방향으로 이격되고,
    제1 다이 지지부 또는 제2 다이 지지부 중 어느 하나가 제1 이송 위치에 위치되도록 제1 다이 지지체를 이동시키는 것은, 제1 다이 지지부 또는 제2 다이 지지부 중 어느 하나가 제1 이송 위치에 있도록 제1 다이 지지체가 회전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이 교체 방법.
  17. 삭제
  18. 제15 항에 있어서,
    폐기 타겟은 제1 다이 지지체의 일부를 형성하는 다이 교체 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폐기 타겟은 제1 다이 지지부, 제2 다이 지지부 또는 제3 다이 지지부 중 하나인 다이 교체 방법.
  20. 제18 항에 있어서,
    제1 다이 지지체의 폐기 타겟은 폐기물 수용기 또는 도관인 다이 교체 방법.
  21. 제15 항 또는 제16 항에 있어서,
    제1 다이 지지체는 폐기물 수용기 또는 도관을 포함하고,
    폐기물 수용기 또는 도관이 제1 이송 위치에 위치될 때, 이송 기구가 리벳 세터의 제2 다이 지지체로부터 제2 다이를 제거하여 폐기물 수용기 또는 도관으로 전달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다이 교체 방법.
  22. 제20 항에 있어서,
    제1 다이 지지체는 폐기물 도관을 포함하고, 폐기물 도관은 제1 다이 지지체에 연결되는 제1 단과, 제1 단으로부터 이격된 제2 단을 갖고,
    폐기물 도관이 제1 이송 위치에 위치되도록 제1 다이 지지체를 위치시키는 것과,
    폐기물 도관의 제2 단을 제2 폐기물 수용기 또는 도관에 인접하게 위치시키는 것과,
    제2 다이를 폐기물 도관으로 전달하여, 제2 다이가 제1 단으로부터 제2 단으로 폐기물 도관을 통과한 후, 제2 폐기물 수용기 또는 도관 내로 전달되는 것을 포함하는 다이 교체 방법.
  23. 제22 항에 있어서,
    다이 교체 장치의 일부는 인원의 진입이 제한되는 제한 구역 내에 위치되고,
    다이 교체 장치는 제2 폐기물 도관을 포함하고,
    제1 이송 위치는 제한 구역에 위치되고,
    제2 폐기물 도관은 서로 이격된 제3 단과 제4 단을 포함하고,
    폐기물 도관의 제2 단이 제2 폐기물 도관에 인접하게 위치될 때 제3 단을 폐기물 도관에 인접하게 위치시키는 것과,
    제4 단을 제한 구역의 외측에 위치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다이 교체 방법.
  24. 제18 항에 있어서,
    다이 교체 장치의 일부는 인원의 진입이 제한되는 제한 구역 내에 위치되어, 제1 이송 위치가 제한 구역에 위치되고,
    제1 다이 지지체의 일부를 제한 구역의 외측에 위치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제1 다이 지지체의 상기 일부는 폐기 타겟 또는 폐기물 수용기를 포함하는 다이 교체 방법.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KR1020207001520A 2017-06-16 2018-06-15 다이 교환 장치 KR1023541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709622.3A GB2563441B (en) 2017-06-16 2017-06-16 Die changing apparatus
GB1709622.3 2017-06-16
PCT/GB2018/051652 WO2018229502A1 (en) 2017-06-16 2018-06-15 Die chang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929A KR20200038929A (ko) 2020-04-14
KR102354186B1 true KR102354186B1 (ko) 2022-01-24

Family

ID=59462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1520A KR102354186B1 (ko) 2017-06-16 2018-06-15 다이 교환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524329B2 (ko)
EP (1) EP3638434B1 (ko)
JP (1) JP7047081B2 (ko)
KR (1) KR102354186B1 (ko)
CN (1) CN111032246A (ko)
GB (1) GB2563441B (ko)
WO (1) WO20182295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134085A1 (de) 2020-12-18 2022-06-23 Audi Aktiengesellschaft Matrizenwechsler für stationäre Stanznietsysteme
CN112775384B (zh) * 2021-02-04 2023-03-14 深圳市锐特尔精密模具有限公司 一种用于压铆机的多工位下模换模装置
CN114453550B (zh) * 2021-11-15 2023-11-14 安阳锻压数控设备有限公司 汽车车架自动铆接铆模更换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58282A (zh) * 2015-06-02 2015-08-26 安徽飞翔电器有限公司 具有自动旋转接送料功能的冲压机床
US20160332216A1 (en) * 2015-05-11 2016-11-17 Böllhoff Verbindungstechnik GmbH Die changer with removable die adapted thereto and die dome as well as method for removing and inserting the removable die
JP2016540648A (ja) * 2013-12-18 2016-12-28 ニューフレイ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互換性ダイ移送ステーション、接合工具システム及び接合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891986A (fr) * 1942-03-26 1944-03-24 Arado Flugzeugwerke Gmbh Machine à river comprenant plusieurs porte-outils inférieurs
US6910263B2 (en) 2001-12-25 2005-06-28 Newfrey Llc Self-piercing rivet setting apparatus and system
JP2004001045A (ja) * 2002-05-31 2004-01-08 Nippon Pop Rivets & Fasteners Ltd 自動穿孔リベット締結装置
US7032296B2 (en) * 2003-11-21 2006-04-25 Newfrey Llc Self-piercing fastening system
CN201331574Y (zh) * 2008-12-29 2009-10-21 北京中科三环高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检测磁通装置
US9162277B2 (en) 2013-02-18 2015-10-20 Ford Motor Company Indexing self-piercing die riveter
DE202013011928U1 (de) 2013-12-18 2014-10-30 Newfrey Llc Wechselmatrize und Fügewerkzeug
CN203875018U (zh) * 2014-06-18 2014-10-15 四川蓝彩电子科技有限公司 玻璃封装二极管次品剔除和合格品输送装置
CN106334667B (zh) 2016-09-27 2018-08-24 大连海洋大学 一种用于枝角类活体分级的装置及分级方法
CN106334677B (zh) * 2016-11-03 2019-03-15 成都瑞拓科技股份有限公司 胶囊质量快速检测系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40648A (ja) * 2013-12-18 2016-12-28 ニューフレイ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互換性ダイ移送ステーション、接合工具システム及び接合方法
US20160332216A1 (en) * 2015-05-11 2016-11-17 Böllhoff Verbindungstechnik GmbH Die changer with removable die adapted thereto and die dome as well as method for removing and inserting the removable die
CN104858282A (zh) * 2015-06-02 2015-08-26 安徽飞翔电器有限公司 具有自动旋转接送料功能的冲压机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047081B2 (ja) 2022-04-04
GB2563441A (en) 2018-12-19
EP3638434B1 (en) 2022-07-06
GB2563441B (en) 2022-03-23
CN111032246A (zh) 2020-04-17
US11524329B2 (en) 2022-12-13
JP2020523203A (ja) 2020-08-06
KR20200038929A (ko) 2020-04-14
GB201709622D0 (en) 2017-08-02
WO2018229502A1 (en) 2018-12-20
US20210053103A1 (en) 2021-02-25
EP3638434A1 (en) 202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4186B1 (ko) 다이 교환 장치
EP3625003B1 (en) Workpiece holding device
CN107872990B (zh) 具有可替换冲头末端的冲头组件
EP0813463B1 (en) Method and machine for inserting inserts
CN110997224B (zh) 用于提供螺丝的方法和装置
US20110232069A1 (en) Automatic rivet die
JP6734023B2 (ja) 物品保持具、搬送ロボット、および物品搬送方法
US6442829B1 (en) Production and/or assembly apparatus
JPS61265225A (ja) ナツトを加工物に取り付ける方法および装置
WO1995000267A1 (fr) Poinçonneuse et procede de montage des matrices
EP3638433B1 (en) A fastening apparatus comprising a die cartridge and a die changer and method of fastening at least two sheets of material
EP3072630B1 (en) Cell for inserting components into a workpiece
EP1358952B1 (en) Overload protection for a finger in a press
CA2697877A1 (en) Automatic rivet die
JPH07255B2 (ja) ワーク固定用治具
HUT59040A (hu) Berendezés tárgyak, alkatrészek, főleg lemez félgyártmányok egyenkénti szétválasztására és automatikus, folyamatos pontos adagolására, illetve továbbításá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