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3294B1 - 마개 조립 척 및 이를 이용한 마개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마개 조립 척 및 이를 이용한 마개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3294B1
KR102353294B1 KR1020210005603A KR20210005603A KR102353294B1 KR 102353294 B1 KR102353294 B1 KR 102353294B1 KR 1020210005603 A KR1020210005603 A KR 1020210005603A KR 20210005603 A KR20210005603 A KR 20210005603A KR 102353294 B1 KR102353294 B1 KR 102353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chuck
skirt
assembling
stopp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5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재
박병선
최명준
Original Assignee
제이씨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씨텍(주) filed Critical 제이씨텍(주)
Priority to KR1020210005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3294B1/ko
Priority to KR1020210157986A priority patent/KR1024944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01Machines characterised by incorporation of means for making the closures before appl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개 본체와 수용부를 조립 척을 이용하여 조립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마개 본체는 하부가 개방되어 있고, 내부면에서 연장된 차단막과 결합벽을 포함하고, 수용부는 안착부재, 안착부재와 연결된 평탄 부분, 평탄 부분의 외측에 연결된 복수 개의 기둥 부분 및 복수 개의 관통부를 구비한 연장부재, 연장부재의 상단부에 위치한 테두리부재 및 테두리부재에 연결된 후크부를 포함하고, 조립 척은 본체 및 본체의 하부면에서 연장된 픽업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개방된 하부가 위쪽으로 위치하는 마개 본체 위로 픽업부로 수용부를 픽업하고 있는 조립 척이 이동하는 단계, 조립 척이 마개 본체 쪽으로 하강하여 수용부의 테두리부재가 제1 각도로 접혀 있는 마개 본체의 스커트의 단부에 접하게 위치하는 단계, 조립 척과 조립 척의 삽입구에 삽입되어 있는 결합 바가 하강하여, 수용부의 후크부가 스커트를 제2 각도로 1차 접는 단계, 조립 척과 조립 척의 삽입구에 삽입된 결합 바가 하강하여, 조립 척의 본체가 스커트를 제3 각도로 2차 접는 단계, 결합 바가 수용부의 평탄 부분에 마개 본체의 차단막이 접할 때까지 수용부를 아래쪽으로 밀고, 결합벽에 기둥 부분을 밀착시켜 마개 본체에 상기 수용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 조립 척과 결합 바가 상승하여 수용부가 상기 마개 본체에 결합되고 스커트는 제4 각도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마개 조립 척 및 이를 이용한 마개 조립 방법{CONTAINER CAP ASSEMBLING CHUCK AND METHOD OF ASSEMBLING CONTAINER CAP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마개 조립 척 및 이를 이용한 마개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종 음료수나 조미료 등을 수용하기 위한 병과 같은 용기는 현대인에게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용기 중에는 용기 본체의 내부 공간과 구분되는 별도의 분리 공간을 구비하는 분리수용 가능한 기능성 마개를 구비하는 용기가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마개에 구비된 분리 공간에는 용기 본체에 담겨 있는 내용물(예, 주 내용물)과 다른 형태의 내용물(예, 부 내용물)이 수용되어 있다.
따라서, 용기 본체에 담겨 있는 주 내용물을 섭취하기 위해, 사용자가 용기 본체와 결합된 마개가 열어 주 내용물을 섭취할 때, 마개에 담겨있는 부 내용물도 함께 섭취하게 된다.
이와 같이, 마개에 부 내용물이 별도로 담겨있는 경우, 마개는 마개 본체뿐만 아니라 부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한다.
이런 경우, 마개를 용기 본체에 결합하기 전에, 마개 본체에 수용부를 결합하는 공정이 추가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추가 공정을 위한 마개 본체의 제조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11-0102112호(공개일자: 2011년 09월 16일, 발명의 명칭: 용기마개의 밀봉부재)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마개의 조립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마개의 조립 시간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마개 본체와 수용부를 조립 척을 이용하여 조립하는 방법에서, 상기 마개 본체는 하부가 개방되어 있고, 내부면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서로 이격되어 있는 차단막과 결합벽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안착부재, 상기 안착부재와 연결되어 있는 평탄 부분, 상기 평탄 부분의 외측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 개의 기둥 부분 및 복수 개의 관통부를 구비하는 연장부재, 상기 연장부재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테두리부재 및 상기 테두리부재의 외측에 연결되어 있는 후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 척은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하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픽업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개방된 상기 하부가 위쪽으로 위치하고 있는 상기 마개 본체 위로 상기 픽업부로 상기 수용부를 픽업하고 있는 상기 조립 척이 이동하는 단계, 상기 조립 척이 상기 마개 본체 쪽으로 하강하여 상기 수용부의 테두리부재가 제1 각도로 접혀 있는 상기 마개 본체의 스커트의 단부에 접하게 위치하는 단계, 상기 조립 척과 상기 조립 척의 삽입구에 삽입되어 있는 결합 바가 하강하여, 상기 수용부의 상기 후크부가 상기 스커트를 제2 각도로 1차 접는 단계, 상기 조립 척과 상기 조립 척의 삽입구에 삽입되어 있는 결합 바가 하강하여, 상기 조립 척의 본체가 상기 스커트를 제3 각도로 2차 접는 단계, 상기 결합 바가 상기 수용부의 평탄 부분에 상기 마개 본체의 차단막이 접할 때까지 상기 수용부를 아래쪽으로 밀고, 상기 결합벽에 상기 기둥 부분을 밀착시켜 상기 마개 본체에 상기 수용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조립 척과 상기 결합 바가 상승하여, 상기 수용부가 상기 마개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스커트는 제4 각도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마개 본체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상기 마개 본체 속에 내용물을 주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각도는 90도 내지 180도일 수 있다.
상기 제4 각도는 0도 초과 90도 미만일 수 있다.
상기 기둥 부분은 상기 평탄 부분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직선 구간, 상기 제1 직선 구간과 연결되어 있고 곡면 또는 평탄면의 측면을 갖는 제2 구간 및 상기 제2 구간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직선 구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픽업부는 상기 제1 직선 구간과 상기 제2 구간에 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마개 조립 척은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하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가운데 안착 공간을 구비하여 마개의 수용부를 픽업하여 상기 안착 공간에 위치시키는 픽업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외경은 상기 픽업부의 외경보다 커, 상기 본체의 외측면은 상기 픽업부의 외측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본체의 외측면과 상기 픽업부의 외측면 사이에는 경사면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는 두께 방향으로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결합 바가 삽입되는 삽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픽업부의 내경은 위치에 따라 상이하다.
상기 픽업부의 외경은 상기 마개 본체의 내경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픽업부의 외경은 상기 마개의 내부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복수 개의 스커트의 끝단에 의해 형성되는 지름인 스커트 외경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스커트를 접는 별도의 공정이 생략되므로, 마개 본체와 수용부를 결합하는 마개 조립 공정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와 마개에 각각 담겨있는 서로 다른 종류의 내용물이 섞이지 않고 품질의 변질없이 보관되므로, 내용물의 유통 기한이 증가한다.
도 1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마개의 사시도로서, 일부가 절단된 절단 시의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마개의 분해 사시도로서, 서로 다른 방향에서 얻어지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 척의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g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마개 본체와 수용부를 조립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마개 조립 척 및 이를 이용한 마개 조립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마개(100)를 설명한다.
본 예의 마개(100)는 용기 본체(미도시)의 결합부와 나사 결합을 통해 결합되어, 마개(100)의 회전 방향에 따라 마개(100)가 닫히거나 열릴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마개(100)는 마개 본체(110), 마개 본체(110)와 결합되는 수용부(120), 수용부(120)와 결합되는 밀폐부(130), 및 마개 본체(110)와 결합되는 임시고정부(14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마개 본체(110)는 용기 본체의 결합부와 결합하는 부분으로서, 적어도 일부가 용기 본체의 주입구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마개 본체(110)는 내부에 서로 결합된 수용부(120)와 밀폐부(130)가 위치할 수 있다.
마개 본체(110)는 정해진 두께로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상부(111), 측부(112), 차단막(113) 및 결합벽(114)을 구비할 수 있다.
상부(111)는 마개 본체(110)의 상면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가운데 부분에 원형으로 함몰된 상부홈(111a)을 갖는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판 형태일 수 있다. 상부홈(111a)은 수용벽(113)과 대면하고 있는 부분일 수 있다.
측부(112)는 상부(111)의 외측 가장지리부와 끊김없이 연결되어 있고, 상부(111)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아래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용기 본체의 결합부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부(112)는 상부(111)의 단부가 외측 가장자리부로부터 상부(111)와 교차하도록(예, 수직하도록) 아래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111)의 외측 가장자리부는 내측 가장자리부의 반대편에서 내측 가장자리부와 마주보고 있는 부분일 수 있다.
이러한 측부(112)의 내부면에는 용기 본체의 결합부의 나사홈과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위치할 수 있다.
차단막(113)은 상부(111)의 내측, 구체적으로는 상부홈(111a)의 내부 가장자리부와 끊김없이 연결되어 아래쪽 방향으로 상부(110)의 내부면과 교차하게 연장될 수 있는 원형의 벽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부(111)의 해당 부분에 각각 연결되어 아래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측부(112)와 차단막(113)에 의해, 측부(112)와 차단막(113) 사이에는 빈 공간이 위치하고, 이 빈 공간 속에 수용부(120)의 일부가 위치할 수 있다.
결합벽(114)은,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차단막(113)에서부터 외측으로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고, 차단막(113)과 나란하게(예, 평행하게) 상부(111)의 내부면에서부터 아래쪽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아래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벽(114)의 연장 길이는 차단막(113)의 연장 길이보다 훨씬 짧을 수 있다.
이러한 결합벽(114)은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수용부(120)의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와 밀착된다. 따라서, 결합벽(114)은 수용부(120)가 마개 본체(110)와 결합될 때 수용부(120)의 상부와 밀착되게 위치하므로, 수용부(120)의 결합 상태는 안전하게 유지되어 결합 구조에 대한 안정성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마개 본체(110)의 차단막(113)과 결합벽(114)은 수용부(120)와 결합되어 수용부(120)의 밀폐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또한, 차단막(113)은 용기 본체에 위치한 주 내용물이 마개(100) 속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수용부(120)는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마개 본체(110) 및 밀폐부(130)와 결합될 수 있다.
마개 본체(110)와 결합될 때, 수용부(120)는 차단막(113)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여 마개 본체(110)와의 밀착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미 기술한 것처럼, 마개 본체(110)의 결합벽(114)에 의해 밀착 결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마개 본체(110)와의 결합을 위해, 수용부(120)의 평면 형상은 마개 본체(110)의 평면 형상과 동일할 수 있고, 한 예로,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본 예에서, 수용부(120)의 하부는 막혀있고 상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측부의 일부도 개방될 수 있다.
한 예로서, 본 예의 수용부(120)는 안착부재(121), 안착부재(121)와 결합되어 위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장부재(122), 연장부재(122)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연장부재(122)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테두리부재(123) 및 후크부(124)를 포함한다.
안착부재(121)는 용기 본체에 담겨 있는 내용물(예, 주 내용물)과 다른 내용물(예, 부 내용물)이 위치하는 부분일 수 있다.
이러한 안착부재(121)는 연장부재(122)와 끊김없이 연결되어 위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안착부재(121)는 연장부재(122)와 연결되어 있어 연장부재(122)에서 정해진 길이만큼 돌출되어 있는 측면과 이 측면과 연결되어 있는 상면을 가질 수 있다.
이때, 한 예로서, 안착부재(121)의 상면 가운데 부분에는 움푹 들어간 함몰부가 존재할 수 있다. 하지만, 대안적인 예에서, 함몰부는 생략될 수 있고, 이런 경우, 수용부(120)의 상부는 움푹 들어간 부분 없이 평탄면인 안착부재(121)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안착부재(121)의 상면에 함몰부가 위치하는 경우, 캡슐 형태의 영양제와 같은 고체 내용물(미도시)일 수 있는 부 내용물은 안정적으로 안착부재(121)의 상면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안착부재(121)는 연장부재(122) 및 밀폐부(130)로 에워싸여져 가운데 부분에 내용물 보관 공간인 중공을 구비할 수 있다.
이미 기술한 것처럼, 수용부(120)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으므로, 밀폐부(130)와 결합되기 전에 안착부재(121)의 상부가 개방되어 있어, 부 내용물은 개방된 상부를 통해 안착부재(121)에 위치하여 보관될 수 있다.
이러한 안착부재(121)는 물리적인 힘에 의해 마개 본체(110) 및 밀폐부(130)와 결합 상태가 해제되어 마개 본체(110) 및 밀폐부(130)와 분리될 수 있고, 마개 본체(110)와의 결합한 상태에서도 물리적인 힘에 의해 좌회전이나 우회전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연장부재(122)는 안착부재(121)의 측면과 연결되어 있고, 안착부재(121)의 측면 단부와 순차적으로 이격되게 연결되어 있는 평탄 부분(1221) 및 평탄 부분(1221)과 끊김없이 연결되어 있는 복수 개의 기둥 부분(1222)을 구비할 수 있다.
평탄 부분(1221)은 지면과 나란한(예, 평행한) 방향인 평면 방향을 따라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평탄면일 수 있다.
이러한 평탄 부분(1221)에 의해, 안착부재(121)는 평탄 부분(1221)에서부터 위쪽 방향으로 정해진 높이만큼 돌출되게 위치한 구조이므로, 평탄 부분(1221)은 안착부재(121)보다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평탄 부분(1221)은 차단막(113)이 위치하는 지지대로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평탄 부분(1221) 위에는 마개 본체(110)의 차단막(113)이 접하게 연장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평탄 부분(1221)은 접해 있는 차단막(113)에 의해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받게 된다.
복수 개의 기둥 부분(1222)은 평탄 부분(1221)과 연결되어 평탄 부분(1221)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기둥 부분(1222)은 모두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평탄 부분(1221)의 연장방향과는 다른 방향(예,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복수 개의 기둥 부분(1222)은 평탄 부분(1221)의 외측 둘레를 따라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인접한 두 기둥 부분(1222) 사이에는 빈 공간인 관통부(S122)가 위치할 수 있다.
각 관통부(S12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연장부재(122)의 측부를 관통하게 형성될 수 있고, 평탄 부분(1221)과 테두리부재(12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각 기둥 부분(1222)의 일단은 평탄 부분(1221b)에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은 테두리부재(123)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각 기둥 부분(1222)은 하부에서 상부 쪽으로 연장될 때 지면과 교차하게(예, 직각으로) 연장되다가 지면에 대해 90도보다 작은 각도로 위쪽 방향으로 연장된 후 다시 지면과 교차하게(예, 직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각 기둥 부분(1222)은 직선으로 연장되거나 곡선으로 연장되거나 또는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직선 구간(즉, 지면과 직각으로 교차하게 연장되는 구간)과 곡선 구간을 모두 구비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각 기둥 부분(1222)이 직선 구간(P12a)과 곡선 구간(P12b)을 모두 구비하는 경우, 안착부재(121)와 인접한 기둥 부분(1222)의 하단부와 마개 본체(110)와 인접한 상단부는 각각 측면이 평탄면인 직선 구간, 예를 들어, 제1 직선 구간(예, 제1 구간)(P21a) 및 제2 직선 구간(예, 제2 구간)(P21c)일 수 있고, 이들 두 직선 구간(P21a, P21c) 사이에 위치하는 기둥 부분(1222)의 중간부는 곡선 구간(예, 제2 구간)(P21b)일 수 있다.
각 기둥 부분(1222)의 중간부인 곡선 구간(P21b)는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외측 즉, 마개 본체(110)의 측면(112) 쪽으로 벌어져 있으므로, 제1 직선 구간(P21a)-> 곡선 구간(P21b)-> 제2 직선 구간(P21c)으로 갈수록 좀 더 외측에 위치하여 기둥 부분(122)의 외부면, 즉 마개 본체(110)의 측면(112)과 인접한 면과 측면(112) 사이의 거리는 감소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차단막(113)과 기둥 부분(1222)의 내부면 사이의 이격 거리(D1)는 아래쪽보다 위쪽이 클 수 있어, 제1 직선 구간(P21a)에서의 이격 거리(D1)보다 제2 직선 구간(P21c)에서의 이격 거리(D1)가 클 수 있다.
본 예와 따라, 곡선 구간(P21b)의 측면은 곡면이 아닌 평탄면일 수 있고, 이런 경우, 제2 구간은 사선 구간일 수 있다.
이러한 이격 거리(D1)의 변화로 인해, 수용부(120)의 테두리부재(123)는 마개 본체(110)의 결합벽(114)과 측부(112) 사이에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고, 평탄 부분(1221)에 삽입되어 있는 차단막(113)은 기둥 부분(1222)의 하부와 밀착되게 위치하여, 차단막(113)의 삽입 상태는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본 예에서, 수용부(120)는 탄성을 갖는 재료(예, 실리콘(silicon)이나 천연 고무 등)를 함유할 수 있고, 이런 경우, 수용부(120)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평탄 부분(1221)의 연장 폭이 그 위에 위치하는 차단막(113)의 두께보다 작을 경우, 차단막(113)이 평탄 부분(1221)과 인접한 기둥 부분(1222) 사이의 빈 공간 속으로 삽입될 때, 차단막(113)은 밀접해 있는 수용부(120)의 부분을 압축해 밀어서 해당 위치에 삽입될 수 있다.
마개 본체(110)의 차단막(113)이 정해진 위치까지 하강하여 수용부(120)와의 결합이 완료되면, 수용부(120)의 해당 부분은 탄성에 의한 위치가 복원되어 차단막(113) 쪽으로 압력을 가해 밀폐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마개 본체(110)의 차단막(113)이 수용부(120)의 평탄 부분(1221)에 삽입되어 위치함에 따라 복수 개의 관통부(S122)를 구비하고 있는 연장부재(122)의 내측을 빙 둘러 막아, 복수 개의 관통부(S122)는 차단막(113)에 의해 막히게 된다.
용기 본체(200)에 담겨있는 내용물(예, 주 내용물)인 유체 내용물(예를 들어, 유산균 발효음료 등)은 개방된 관통부(S122)를 통해 용기 본체의 유체 내용물이 수용부(120) 위에 위치할 수 있다.
하지만, 위에 기재한 것처럼, 기둥 부분(1222)은 안착부재(121)와 연결된 평탄 부분(1221)의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기둥 부분(1222)과 안착부재(121) 사이에는 평탄 부분(1221)으로 하부가 막혀 있다.
또한, 차단막(113)에 의해 복수 개의 관통부(S122)는 막히게 되므로, 주 내용물은 관통부(S122)를 통과할 수 없거나 통과하기가 매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관통부(S122)를 막고 있는 차단막(113)의 밀폐력의 향상으로 인해, 관통부(S122)를 통해 용기 본체의 유체 내용물인 주 내용물이 수용부(120)의 내부 공간 속으로 유입되기가 더욱 곤란 해진다.
도 1을 참고하면, 수용부(120)의 테두리부재(123)는 연장부재(122)의 복수 개의 기둥 부분(1222)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지면과 나란하게(예,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본 예에서, 테두리부재(123)는 인접한 두 기둥 부분(1222) 사이에도 끊김없이 위치하므로, 테두리부재(123)의 평면 형상은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테두리부재(123)는 수용부(120)가 용기 본체의 주입구 속으로 삽입되는 경우, 이미 기술한 것처럼, 주입구와 인접한 용기 본체의 상단부와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밀착 동작에 의해, 수용부(120)는 용기 본체와 마개 본체(110)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결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후크부(124)는 테두리부재(123)의 외측에 연결되어 테두리부재(123)로부터 아래쪽 방향으로 연장된다. 후크부(124)는 용기 본체(200)의 결합부(202)의 상부 외측면에 밀착하여 결합된다.
즉,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후크부(124)의 단부는 외측 방향의 반대인 내측 방향[즉, 수용부(120) 쪽]으로 돌출되어 있어 용기 본체(200)의 결합부 외측면의 함몰된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후크부(124)를 통해 수용부(120)는 용기 본체(20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밀폐부(1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있고, 수용부(120) 위에 수용부(120)와 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밀폐부(130)는 하부에 위치하는 수용부(120), 즉 안착부재(121) 및 평탄 부분(1221)과 유사한 평면 윤곽을 가질 수 있다.
밀폐부(130)는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한 평탄 부분(131)과 이 평탄 부분(131)에 둘러싸여 있고 위쪽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 부분(132)을 구비할 수 있다.
평탄 부분(131)은 하부에 위치하는 수용부(120)의 연장부재(122)의 평탄 부분(1221)과 접하게 위치하는 부분으로서 역시 지면에 나란하게(예,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평탄면이다. 따라서, 평탄 부분(131)은 연장부재(122)의 평탄 부분(1221)과 동일하게 원형의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돌출 부분(132)은 평탄 부분(131)과 끊김없이 연결되어 있고, 하부에 위치하는 수용부(120)의 안착부재(121)와 접하게 위치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돌출 부분(132)은 원형의 평면 형상을 판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밀폐부(130)의 상면을 이룰 수 있다.
본 예에서, 돌출 부분(132)은 인접한 기둥 부분(1222)와 완전히 접해 있지 않아,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돌출 부분(131)와 인접한 기둥 부분(1222) 사이에는 빈 틈인 빈 공간(122c)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이 빈 공간(122c) 속으로 캡(110)의 차단막(113)의 일부가 삽입되어 위치하게 된다.
서로 인접한 돌출 부분(131)와 기둥 부분(1222) 사이의 공간(122c)의 폭은 그 속으로 삽입되는 차단막(113)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두께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본 예의 밀폐부(130)는 탄성을 갖는 재료(예, 실리콘(silicon)이나 천연 고무 등)를 함유하여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마개 본체(110)와 수용부(120)가 결합되는 경우, 마개 본체(110)의 차단막(113)은 평탄 부분(131)과 인접한 기둥 부분(1222) 사이의 빈 공간 속으로 삽입될 때 이 공간에 위치하고 있는 밀폐부(130)의 돌출 부분(132)를 내측으로 압축해 밀면서 수용부(120)의 하단 쪽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돌출 부재(132)의 측면에 위치한 단차 구조로 인해, 차단막(113)의 하강 동작은 좀 더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차단막(113), 밀폐부(130)의 평탄 부분(132) 및 마개 본체(110)의 상부에 의해 에워싸여져 있고 부 내용물이 위치하는 원형의 빈 공간(S130)이 형성될 수 있다.
차단막(113)의 하강에 의해, 마개 본체(110)의 차단막(113)이 정해진 위치까지 하강하여 수용부(120)와의 결합이 완료되면, 밀폐부(130)의 돌출 부분(132)은 탄성에 의한 위치가 복원되어 기둥 부분(1222) 쪽으로 압력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기둥 부분(1222)과 밀폐부(130)의 돌출 부분(132) 사이에 위치하는 마개 본체(110)의 차단막(113)은 자신과 인접해 있는 기둥 부분(1222) 및 돌출 부분(132)과의 밀착력이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통부(122b)를 막고 있는 수용벽(113)쪽으로 밀폐부(130)의 돌출 부분(132)에 의한 압력이 인가되어, 관통부(S122)에 대한 수용벽(113)의 밀폐력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마개 본체(110)가 용기 본체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관통부(S122)를 통해 용기 본체의 주 내용물이 수용부(120)의 내부 공간 속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수용부(120)의 공간 속에 위치하고 있는 고체 내용물과 용기 본체 속에 담겨있는 유체 내용물은 서로 혼합되지 않고 안전하게 보관되어, 각 내용물의 보관 기간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해당 제품의 유통 기간 또한 증가한다.
이에 더해 또한, 수용부(120)의 연장부재(122)의 평탄 부분(1221)에도 밀폐부(130)의 평탄 부분(131)이 밀착되어 있으므로, 연장부재(122)의 하단부 쪽으로 용기 본체에 담겨있는 유체 내용물의 유입 역시 차단된다.
임시고정부(140)는 용기 본체(200)를 둘러싸고 있고, 마개 본체(110) 및 용기 본체의 적어도 일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임시고정부(140)는 외력에 의해 마개 본체(110)가 회전함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용기 본체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러한 임시고정부(140)는 마개 본체(110)와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141) 및 연결부(141)에 연결되어 있고 용기 본체의 외주면에 위치하는 언더컷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런 상태에서, 마개(100)의 개폐하기 위해 마개 본체(110)가 회전되면, 연결부(141)는 연결 상태가 끊어지면서 언더컷부(142)로부터 분리되어 이탈될 수 있다.
연결부(141)는 도 1b에 도시한 것처럼 마개 본체(110)와 언더컷부(142) 사이에 위치하여, 마개 본체(110)와 언더컷부(142)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141)는 정해진 간격으로 마개 본체(110)의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서 이격되게 위치하므로, 연결부(141)의 개수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141)를 상부 또는 하부에서 바라보면, 방사상으로 배치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141)는 마개 본체(110)의 회전 동작에 의해 그 연결 상태가 파손되어, 본 예의 마개(100)를 용기 본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여 마개 본체(110)를 회전시키면, 연결부(141)가 상방으로 분리되고 언더컷부(142)는 제자리인 용기 본체의 외주면에 남아있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연결부(141)는 연결되어 있는 마개 본체(110) 및 언더컷부(142)와 분리되어, 마개 본체(110) 역시 용기 본체에 위치하는 언더컷부(142)와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마개(100)를 열 수 있게 된다.
언더컷부(142)는 플라스틱과 같은 가요성 물질로 이루어져 있고, 연결부(141)와 연결되어 있는 띠 부분(1421)과 띠 부분(1421)의 내부면에 위치하는 'V'자 형상을 갖고 있는 스커트(1422)를 구비할 수 있다.
띠 부분(1421)는 용기 본체의 해당 부분에 위치하는 원형의 띠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단은 복수 개의 연결부(141)와 정해진 간격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스커트(1422)는 원형인 띠 부분(1421)의 내부면을 따라 정해진 간격으로 위치하고 모두 동일한 형상을 갖는 복수 개일 수 있지만, 한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 스커트(1422)는 내부가 비어 있는 'V'자 형상을 갖고 있어,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하부에서 상부 쪽으로 방사형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스커트(1422)는 용기 본체(200)의 외주면에 위치한 걸림턱(미도시)과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걸림턱은 언더컷부(142)의 회전 동작 역시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삽입 결합에 의해 마개 본체(110)의 회전에 이루어질 때도, 언더컷부(142)는 용기 본체의 해당 외주면에 회전되지 않고 위치하므로, 용이하게 연결부(141)가 파손되어 마개(100)의 개방이 이루어진다.
다음,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 척(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예의 조립 척(200)은 마개를 조립하는 마개 조립 척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마개 본체(110)에 밀폐부(130)가 조립되어 있는 수용부(120)를 조립하기 위한 조립 척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밀페부(130)는 생략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립 척(200)은,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본체(210) 및 본체(210)의 하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픽업부(pickup portion)(220)를 구비할 수 있다.
본체(210)는 원형과 같은 정해진 형상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정해진 두께를 갖는 원판 구조일 수 있다. 이때, 본체(210)의 최대 외경은 수용부(120)가 조립되는 마개 본체(110)의 내경의 크기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이러한 본체(210)는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복수 단의 구조를 가질 수 있고, 한 예로서, 하단부(211)와 하단부(211) 위에 위치하는 상단부(212)를 구비할 수 있다.
하단부(211)와 하단부(211)는 모두 정해진 두께를 갖고 있는 원형의 평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하단부(211)의 지름은 상단부(212)의 지름보다 클 수 있어, 본체(210)의 최대 외경은 하단부(211)의 지름일 수 있다.
따라서, 상단부(212)는 하단부(211)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단부(211)는 스커트(1422)의 접힘 동작을 주로 수행할 수 있어, 하단부(211)의 두께, 외측면의 길이에 따라 스커트(1422)의 접힘 시간과 정도가 정해질 수 있고, 상단부(212)의 조립 척(200)의 이송 등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본체(210)의 가운데 부분에는 하단부(211)와 상단부(212)를 두께 방향으로 완전히 가로질러 본체(210)를 두께 방향으로 완전히 관통하는 삽입구(H210)를 구비할 수 있다.
삽입구(H210)는 마개 본체(110)와 수용부(120)를 결합할 때 사용되는 결합 바가 삽입되어 결합 바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작을 안내하는 가이드 구멍일 수 있다.
따라서, 삽입구(H210)에 삽입된 결합 바에 의해 수용부(120)는 마개 본체(110) 쪽으로 밀려 들어가 마개 본체(110)와 결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하단부(211)의 외측면, 즉 외부로 노출된 측면은 설치면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직선면(2111)과 사선으로 경사져 있는 사선면인 경사면(2112)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경사면(2112)은 하부에 위치한 픽업부(220)의 외측면과 접해 있으므로, 경사면(2112)은 본체(210)의 외측면(2111)과 픽업부(220)의 외측면 사이에 위치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사면(2112)의 존재로 인해, 스커트(1422)의 접힘 동작은 좀 더 원활하고 파손 없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안적인 예에서 상단부(211)는 생략될 수 있다.
픽업부(220)는 마개 본체(110)에 수용부(120)를 결합하기 위해, 수용부(120)를 집어 올리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픽업부(220)는 본체(210)의 하부면에서 하방으로 정해진 길이만큼 연장되어 있고 내부에 수용부(120)가 위치하는 원형의 안착 공간(S220)을 구비하고 있는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픽업부(220)의 내경은 집어 올려지는 수용부(120)의 외경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이때, 안착 공간(S220)는 본체(210)에 위치한 삽입구(H210)와 연결되어 통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삽입구(H210)에 삽입되어 있는 결합 바가 안착 공간(S220) 쪽으로 하강하여 안착 공간(S220)에 위치하는 수용부(120)를 마개 본체(110) 쪽으로 밀어 넣게 된다.
픽업부(220)는 안착 공간(S220)을 원형으로 에워싸고 있는 원형의 판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안착 공간(S220)의 상부는 본체(210)의 하부면에 의해 막혀 있고 측부는 픽업부(220)에 의해 막혀 있으며, 하부는 개방되어 수용부(120)를 내부에 위치시켜 집어 올릴 수 있다.
픽업부(220)의 외부면 즉, 외측면은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설치면과 교차하는(예, 수직한) 상태로 일직선으로 연장되어 있어, 픽업부(220)의 외경은 위치에 무관하게 일정할 수 있다.
이때, 픽업부(220)의 외경은 본체(210),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하단부(211)의 내경보다 작을 수 있다. 이로 인해, 본체(210)의 외경은 픽업부(220)의 외경보다 커, 본체(210)의 외측면은 픽업부(220)의 외측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픽업부(220)의 외경이 본체(210)의 외경보다 작으므로, 이미 기술한 것처럼, 스커트(1422)의 접힘 동작은 주로 본체(210), 구체적으로는 하단부(211)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하지만, 픽업부(220)의 내측면, 즉 외측면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수용부(120)의 외측면과 접하는 면의 형상은 이에 접하는 수용부(120)의 부분, 즉 기둥 부분(1222)의 외측면의 형상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여 이미 기술한 것처럼, 기둥 부분(1222)은 평탄 부분(1221)의 외측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직선 구간(P12a), 제1 직선 구간(P12a)에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2 구간(P12b) 및 제2 구간(P12b)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직선 구간(P12c)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예의 경우, 수용부(120)는 픽업부(220)의 안착 공간(S220) 속에 180도 뒤집힌 상태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런 경우, 픽업부(220)의 내측면의 상부는 제1 직선 구간(P12a)과 접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제1 직선 구간(P12a)과 연결되어 있는 제2 구간(P12b)과 접할 수 있다.
이때, 픽업부(220)의 연장 길이(L220)는 기둥 부분(1222)의 직선 길이(L1222), 즉, 제1 직선 구간(P12a)에서부터 제2 직선 구간(P12c)까지의 직선 거리(L1222)보다 짧을 수 있다.
따라서, 픽업부(220)의 연장 길이(L220)는 제1 직선 구간(P12a)에서부터 제2 구간(P12b)까지의 직선 거리(L1222a)에 의해 정해질 수 있고, 직선 거리(L1222a)와 동일하거나 짧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픽업부(220)의 내측면은 제1 직선 구간(P12a)과 이에 연결되어 있는 곡선이나 사선 구간일 수 제2 구간(P12b)과 접할 수 있어, 픽업부(220)의 내경은 위치에 따라 상이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직선 구간(P12a)과 접하는 픽업부(220)의 제1 내측면의 지름, 즉 제1 내경(D21)은 제2 구간(P12b)과 접하는 픽업부(220)의 제2 내측면의 지름, 즉 제2 내경(D22)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직선 구간(P12a)과 접해 있는 픽업부(220)의 제1 내측면은 위치에 무관하게 동일한 크기의 내경(즉, 제1 내경)(D21)을 갖고 있지만, 곡면이나 경사면을 갖는 제2 구간(P12b)과 접해 있는 픽업부(220)의 제2 내측면은 하방 쪽으로 갈수록 내경(즉, 제2 내경)(D22)의 크기는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에서, 본체(210)의 하단부(211)의 외측면의 지름인 외경은 마개 본체(110)의 최대 외경보다 작고, 서로 반대편에서 마주보고 있고 조립 척(200)의 동작에 의해 접힘 동작이 행해지지 않는 초기 상태의 스커트(1422)에 의해 형성되는 스커트 지름(D142)보다 훨씬 클 수 있다.
이때, 스커트 지름(D142)은 원형 띠 형상의 띠 부분(1421)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복수 개의 스커트(142)의 끝단에 의해 형성되는 가상의 원에 대한 가상의 지름일 수 있다.
또한, 본체(210), 즉 하단부(211)의 외경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픽업부(220)의 외경은 마개 본체(110)의 최소 내경보다 작아 픽업부(220)는 용이하게 마개 본체(110) 속으로 삽입될 수 있다.
다음, 도 5a 내지 5g를 참고하여, 이러한 구조를 갖는 조립 척(200)을 이용하여 마개 본체(110)와 수용부(120)를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5a를 참고하면, 마개 본체(110)를 180도로 뒤집어 작업대(미도시)에 위치시켜 마개 본체(110)의 개방된 하부가 위쪽으로 노출되도록 한 후, 노출된 하부를 통해 부 내용물(300)을 마개 본체(110)의 내부에 삽입할 수 있다. 이때, 부 내용물(300)은 차단막(113)으로 에워싸여진 마개 본체(110)의 공간 속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립 척(200)에 의한 접힘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마개 본체(110)의 스커트(1422)의 초기의 접힘 각도(θ)는 초기 각도(예, 제1 각도)인 90도 내지 180도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 도 5b에 도시한 것처럼, 조립 척(200)은 수용부(120)를 집어 올려 안착 공간(S220) 속에 수용부(120)를 위치시킨 후, 부 내용물(300)이 위치하고 있는 마개 본체(110) 위로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수용부(120)에는 별도의 과정을 통해 밀폐부(130)가 결합될 수 있다. 하지만, 대안적인 예에 따른 마개(100)는 밀폐부(130)가 생략될 수 있고, 이런 경우, 밀폐부 없이 수용부(120)에 밀폐부를 조립하는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조립 척(200)은 진공 등을 이용하여 수용부(120)를 안착 공간(S220) 내에 위치시킬 수 있다.
조립 척(200)의 삽입구(H210)에는 결합 바(400)가 삽입된 상태일 수 있고, 조립 척(200)의 본체(210)는 모터 등을 구비한 액츄에이터(actuator) 등의 작동기(미도시)에 연결되어 있어, 이 작동기의 동작에 의해 조립 척(200)은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다음, 도 5c에 도시한 것처럼, 작동기의 동작에 의해, 조립 척(200)은 마개 본체(110) 쪽으로 하강할 수 있다.
이때, 조립 척(200)은 안착 공간(S220)에 위치하고 있는 수용부(120)의 끝단인 테두리부재(123)의 외부면(즉, 도 1에서는 상부면)이 임시고정부(140)의 언더컷부(142), 좀 더 구체적으로는 스커트(1422)와 접할 때까지 또는 인터컷부(142)와 위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스커트(1422) 최상단 사이의 거리가 설정 거리 내로 하강하여 스커트(1422)와 인접할 때까지 하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립 척(200)이 마개 본체(110) 쪽으로 원하는 위치까지 하강하면, 도 5d에 도시한 것처럼, 결합 바(400)는 삽입구(H210)를 따라 하강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도 5e에 도시한 것처럼, 조립 척(200)과 결합 바(400)의 하강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져, 조립 척(200)은 본체(210)의 하부면과 접해 있는 수용부(120)의 평탄 부분(1221)을 아래 쪽으로 밀어서 수용부(120)를 서서히 하강시켜 마개 본체(110) 속으로 수용부(120)를 밀어 넣을 수 있고, 결합 바(400)는 계속 안착 부재(121) 쪽으로 하강할 수 있다.
도 5e에 도시한 것처럼, 수용부(120)의 최대 외경이 스커트 지름(D142)보다 크므로, 수용부(120)의 외측면은 스커트(1422)과 접하면서 하강할 수 있다. 이때, 수용부(120)의 후크부(124)가 스커트(142)를 통과할 때까지 수용부(120)에 의해 스커트(1422)의 1차 접힘 동작은 계속될 수 있다.
조립 척(200)의 하강 속도와 결합 바(400)의 하강 속도는 조립 척(200)와 결합 바(400)의 최대 하강 거리에 따라 각각 정해져 있다.
따라서, 도 5e에 도시한 것처럼, 수용부(120)의 후크부(124)의 외측면이 마개 본체(110)의 내부면에서 돌출되어 있는 스커트(1422)와 접하면서 수용부(120)의 하강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런 상태에서, 조립 척(200)와 결합 바(400)의 하강이 계속 이루어지면, 도 5f에 도시한 것처럼, 후크부(123)는 접해있는 해당 스커트(1422)를 밀고 하강하여 수용부(120)의 테두리부분(120)이 마개 본체(110)의 상부(111) 내부면에 접할 때까지 조립 척(200)의 하강 동작은 계속될 수 있다.
후크부(123)에 의해 1차으로 접혀지는 스커트(1422)의 접힘 각도(예, 제2 각도)는 초기의 접힘 각도보다 작을 수 있고, 수용부(120)의 하강 동작에 의해 후크부(123)가 스커트(1422)를 넘어서면 스커트(1422)의 접힘 상태를 해제될 수 있다.
이때, 픽업부(220)의 외경이 마개 본체(110)의 최소 내경보다 작기 때문에 픽업부(220)는 안전하게 마개 본체(110)의 내부까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도 5f에 도시한 것처럼, 본체(210)의 하단부(211)의 외측면의 외경은 마개 본체(110)의 최소 외경보다 작고, 서로 반대편에서 마주보고 있는 초기 상태의 스커트(1422) 사이의 간격인 스커트 지경(D142)보다 크므로, 본체(210)의 하단부(211)에 의해 스커트(1422)는 완전히 접힘 상태, 즉 제2 각도보다 훨씬 작은 제3 각도로 접힐 수 있다.
이때, 본체(210)의 경사면(2112)에 의해, 하단부(211)에 의해 스커트(1422)의 접힘 동작이 시작되는 초기에 제2 각도에서 제3 각도로 서서히 감소할 수 있다. 즉, 경사면(2112)에 의해, 본체(210)의 하단부(211)의 외측면에 스커트(142)가 처음 접할 때, 스커트(142)는 경사면(212)에 의해 하단부(11)와 픽업부(220) 사이에 형성된 홈 속으로 일부가 위치하여 스커트(142)의 접힘 상태를 서서히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급격한 각도로 스커트(1422)의 접힘 동작이 이루어질 때 발생할 수 있는 스커트(1422)의 파손이나 끊어짐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210)와 스커트(1422)가 접해 있는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 스커트(1422)는 완전히 접힘 상태를 유지하므로, 스커트(1422)는 초기보다 접힘 각도가 크게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접힘 동작에 의해 접힘 상태가 해제된 후에도 접힘 정도가 유지되어, 스커트(1422)의 접힘 각도(θ)는 초기 각도에 비해 크게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수용부(120)의 안착 부재(121)의 해당 면(도 1의 경우, 하부면)까지 결합바(400)가 이동하여 접해 있는 안착 부재(121)에 압력을 인가하므로, 마개 본체(110)의 차폐벽(114)은 인접한 수용부(120)의 기둥 부분(1222)의 내측면과 밀접하고, 차단막(113)은 수용부(120)의 평탄 부분(1221)의 노출된 면(즉, 상부면)까지 삽입되어, 마개 본체(110)와 수용부(12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마개 본체(110)의 결합벽(114)과 차단막(113)이 수용부(120)의 해당 위치에 안전하게 밀착되고 삽입되면 마개 본체(110)와 수용부(120)의 결합이 완료될 수 있다.
마개 본체(110)와 수용부(120)의 결합이 완료되면, 도 5g에 도시한 것처럼, 조립 척(200)과 결합 바(300)는 상승하여, 마개 본체(110)에서 이격되고, 마개 본체(110)에 수용부(120)가 결합된 마개(100)가 완성될 수 있다.
이미 기술한 것처럼, 스커트(1422)는 본체(210)에 의한 접힘 동작에 위해, 조립 척(200)이 마개 본체(110)에서 분리된 후에서, 접힘 상태를 유지하여 스커트(1422)의 접힘 각도는 초기의 접힘 각도인 제1 각도보다 훨씬 작고 제3 각도보다는 큰 V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마개(100)의 조립이 완료된 후 스커트(1422)의 최종 접힘 각도(예, 제4 각도)(θ)는, 예를 들어, 0도 초과 90도 미만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개(100)를 조립할 때, 스커트(1422)의 접힘 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스커트(1422)를 별도로 접어 V자 형태로 만들어줘야 하는 공정이 생략된다.
이로 인해, 마개(100)의 조립 시간이 줄어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해당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마개 본체 120: 수용부
130: 밀폐부 140: 임시고정부
141: 띠 부분 142: 스커트
113: 차단막 114: 결합벽
121: 안착부재 1221: 평탄 부분
1222: 기둥 부분 S122: 관통부
200: 조립 척 210: 본체
2111: 직선면 2112: 경사면
220: 픽업부 θ: 스커트의 접힘 각도
H210: 삽입구 S220: 안착 공간
P21a: 제1 직선 구간 P21b: 제2 구간
P21c: 제2 직선 구간

Claims (8)

  1. 마개 본체와 수용부를 조립 척을 이용하여 조립하는 방법에서,
    상기 마개 본체는 하부가 개방되어 있고, 내부면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서로 이격되어 있는 차단막과 결합벽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안착부재, 상기 안착부재와 연결되어 있는 평탄 부분, 상기 평탄 부분의 외측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 개의 기둥 부분 및 복수 개의 관통부를 구비하는 연장부재, 상기 연장부재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테두리부재 및 상기 테두리부재의 외측에 연결되어 있는 후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 척은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하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픽업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개방된 상기 하부가 위쪽으로 위치하고 있는 상기 마개 본체 위로 상기 픽업부로 상기 수용부를 픽업하고 있는 상기 조립 척이 이동하는 단계;
    상기 조립 척이 상기 마개 본체 쪽으로 하강하여 상기 수용부의 테두리부재가 제1 각도로 접혀 있는 상기 마개 본체의 스커트의 단부에 접하게 위치하는 단계;
    상기 조립 척과 상기 조립 척의 삽입구에 삽입되어 있는 결합 바가 하강하여, 상기 수용부의 상기 후크부가 상기 스커트를 제2 각도로 1차 접는 단계;
    상기 조립 척과 상기 조립 척의 삽입구에 삽입되어 있는 결합 바가 하강하여, 상기 조립 척의 본체가 상기 스커트를 제3 각도로 2차 접는 단계;
    상기 결합 바가 상기 수용부의 평탄 부분에 상기 마개 본체의 차단막이 접할 때까지 상기 수용부를 아래쪽으로 밀고, 상기 결합벽에 상기 기둥 부분을 밀착시켜 상기 마개 본체에 상기 수용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조립 척과 상기 결합 바가 상승하여, 상기 수용부가 상기 마개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스커트는 제4 각도를 유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마개 조립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 본체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상기 마개 본체 속에 내용물을 주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마개 조립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는 90도 내지 180도인 마개 조립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각도는 0도 초과 90도 미만인 마개 조립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부분은 상기 평탄 부분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직선 구간, 상기 제1 직선 구간과 연결되어 있고 곡면 또는 평탄면의 측면을 갖는 제2 구간 및 상기 제2 구간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직선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픽업부는 상기 제1 직선 구간과 상기 제2 구간에 접해 있는 마개 조립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10005603A 2021-01-14 2021-01-14 마개 조립 척 및 이를 이용한 마개 조립 방법 KR102353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603A KR102353294B1 (ko) 2021-01-14 2021-01-14 마개 조립 척 및 이를 이용한 마개 조립 방법
KR1020210157986A KR102494480B1 (ko) 2021-01-14 2021-11-16 마개 조립 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603A KR102353294B1 (ko) 2021-01-14 2021-01-14 마개 조립 척 및 이를 이용한 마개 조립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7986A Division KR102494480B1 (ko) 2021-01-14 2021-11-16 마개 조립 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3294B1 true KR102353294B1 (ko) 2022-01-19

Family

ID=8005261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5603A KR102353294B1 (ko) 2021-01-14 2021-01-14 마개 조립 척 및 이를 이용한 마개 조립 방법
KR1020210157986A KR102494480B1 (ko) 2021-01-14 2021-11-16 마개 조립 척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7986A KR102494480B1 (ko) 2021-01-14 2021-11-16 마개 조립 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5329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7809A (ko) * 2009-06-23 2010-12-31 일림나노텍주식회사 너트 자동 가공 시스템
KR20110102112A (ko) 2010-03-10 2011-09-16 삼화왕관주식회사 용기마개의 밀봉부재
KR101525196B1 (ko) * 2014-10-08 2015-06-10 유성모 버틀캡 및 버틀캡 제조방법
KR20170041332A (ko) * 2015-10-06 2017-04-17 드림바이오 주식회사 용기 캡 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9213A (en) * 1991-11-12 1996-08-27 Edward S. Robbins, III Reusable re-collapsible container and resealable cap
WO2000034133A2 (en) 1998-12-07 2000-06-15 Tjandra Limanjaya Closure cap
FR2872792B1 (fr) 2004-07-06 2006-08-11 Cebal Sas Soc Par Actions Simp Tubes souples legers en matiere plastique et leur procede de fabric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7809A (ko) * 2009-06-23 2010-12-31 일림나노텍주식회사 너트 자동 가공 시스템
KR20110102112A (ko) 2010-03-10 2011-09-16 삼화왕관주식회사 용기마개의 밀봉부재
KR101525196B1 (ko) * 2014-10-08 2015-06-10 유성모 버틀캡 및 버틀캡 제조방법
KR20170041332A (ko) * 2015-10-06 2017-04-17 드림바이오 주식회사 용기 캡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3022A (ko) 2022-07-21
KR102494480B1 (ko) 202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2766A (en) Container lid/closure with printed closure insert
US7909236B2 (en) End caps for tubes and shipping containers formed therefrom
EP3447000B1 (en) Cap and discharge container
US6883678B2 (en) Food container sealing structure
TWI454410B (zh) 封閉件及具有封閉件之容器
KR20080046272A (ko) 힌지식 마개
JP7053456B2 (ja) 貫入要素との相互作用によって汚染除去する隔壁
CA2873605A1 (en) Vial storage and transportation assembly
US5713484A (en) Two-piece plastic container and removable cover
PL196014B1 (pl) Pojemnik w kształcie kubka oraz pokrywa
WO2008026471A1 (en) Bottle container with handle
KR102353294B1 (ko) 마개 조립 척 및 이를 이용한 마개 조립 방법
CA2787346C (en) Thermoformed container assembly for food products
US20030146216A1 (en) Cap with one-way de-gas feature
US4569456A (en) Sealed container with replaceable plug insert
US20070007292A1 (en) Plug with beveled undercut sealing groove for beverage lids
KR101608825B1 (ko) 보관 용기
US11780655B2 (en) Structure for one-touch opening/closing of cap and container
US10974873B2 (en) Sealing cap of powder container
US20070012700A1 (en) Packaging comprising a container, a lid and a joint
EP0673855A2 (en) Cartridge for containing a pressurised fluid
KR20220033937A (ko) 용기 및 보조 내용물 수용 기구
EP0803442B1 (en)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 with closure insert
US20230097231A1 (en) Refill for a cosmetic product dispensing receptacle made of a single plastic material
KR102027137B1 (ko) 분말용기의 밀봉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