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3039B1 - 페이징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 Google Patents

페이징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3039B1
KR102353039B1 KR1020207000710A KR20207000710A KR102353039B1 KR 102353039 B1 KR102353039 B1 KR 102353039B1 KR 1020207000710 A KR1020207000710 A KR 1020207000710A KR 20207000710 A KR20207000710 A KR 20207000710A KR 102353039 B1 KR102353039 B1 KR 102353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interval
radio frame
paging
terminal device
sf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0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5255A (ko
Inventor
젠화 류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35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5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05Transmission of information for alerting of incoming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페이징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는 바, 해당 방법에는, 단말 장치가 제1무선 프레임을 결정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에 의하여,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는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는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이 포함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포함된다. 그러므로, 단말 장치가 이가 결정한 무선 프레임 및 해당 무선 프레임의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에 의하여,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는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하고, 또한 해당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여, 페이징 메시지와 공공 신호 예를 들면 동기화 신호의 송신 주기가 같을 때, 단말 장치가 여전히 효과적으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시간을 결정하도록 한다.

Description

페이징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본 출원의 실시예는 무선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페이징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5G 시스템은 고주파수 대역(6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 작동할 때, 경로 손실이 주파수 변화의 제곱과 정비례하기 때문에, 비교적 짧은 거리 내에서도 비교적 큰 손실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신호의 수신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신호는 빔 포임의 방식으로 송신된다. 빔 포밍의 방식을 사용할 때, 공공 신호 예를 들면 다운링크 동기화 신호에 대하여, 네트워크 장치는 일정한 주기에 따라 셀 범위 내에서 빔 스캔을 진행하고, 또한 각 주기 내에서 빔 포밍의 형식으로 스캔을 진행한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할 때, 해당 페이징 메시지는 해당 다운링크 동기화 신호와 같은 주기를 사용하여 송신될 수 있으며, 그렇다면, 번마다 다운링크 동기화 신호를 송신하는 시간 내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다수의 페이징 무선 프레임(Paging Frame, PF)이 존재할 수 있다. 그러므로, 페이징 메시지와 동기화 신호의 송신 주기가 같을 때, 단말 장치가 어떻게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시간을 결정할 것인지는 시급히 해결해야 하는 과제로 되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페이징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여, 페이징 메시지와 동기화 신호의 송신 주기가 같을 때, 단말 장치가 효과적으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시간을 결정할 수 있게 한다.
제1 방면으로, 페이징 방법을 제공하는 바, 단말 장치가 제1무선 프레임을 결정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에 의하여,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는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는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이 포함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포함된다.
그러므로, 단말 장치가 이가 결정한 무선 프레임 및 해당 무선 프레임의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에 의하여,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는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하고, 또한 해당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여, 페이징 메시지와 공공 신호 예를 들면 동기화 신호의 송신 주기가 같을 때, 단말 장치가 여전히 효과적으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시간을 결정하도록 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은 동기화 신호를 탐지하는 동기화 시간 간격과 같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제1 무선 프레임을 결정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SFN1 mod T=(T/N)×(UE-ID mod N)에 의하여,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시스템 프레임 번호를 SFN1로 결정하는 바, 그 중에서, T는 상기 DRX 주기의 시간 길이이고, UE-ID는 상기 단말 장치의 장치 아이디이며, N은 상기 단말 장치의 불연속 수신 (DRX) 주기 중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는 무선 프레임의 수량인 것이 포함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에 의하여,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는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를 지시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에 의하여,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는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상기 동기화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를 결정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상기 동기화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를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로 결정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에 의하여,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는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무선 프레임 및 SFN2= M×SFN1에 의하여, 제2 무선 프레임을 결정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SFN은 SFN1이고,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의 SFN은 SFN2이며, M은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에 포함된 무선 프레임의 수량이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에 의하여,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에 의하여,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의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를 지시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의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제2 방면으로, 페이징 방법을 제공하는 바, 네트워크 장치가 제1 무선 프레임 및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하며;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를 결정하며;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를 지시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하고, 또한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도록 하는 것이 포함된다.
그러므로,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로 특정된 무선 프레임의 위치를 지시하는 것을 통하여, 단말 장치가 해당 무선 프레임 및 해당 무선 프레임의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에 의하여,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는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하고, 또한 해당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여, 페이징 메시지와 공공 신호 예를 들면 동기화 신호의 송신 주기가 같을 때, 단말 장치가 여전히 효과적으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시간을 결정하도록 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은 동기화 신호를 탐지하는 동기화 시간 간격과 같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을 결정하는 것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SFN1 mod T=(T/N)×(UE-ID mod N)에 의하여,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시스템 프레임 번호를 SFN1로 결정하는 바, 그 중에서, T는 상기 DRX 주기의 시간 길이이고, UE-ID는 상기 단말 장치의 장치 아이디이며, N은 상기 단말 장치의 불연속 수신 (DRX) 주기 중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는 무선 프레임의 수량인 것이 포함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상기 동기화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를 결정하며;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상기 동기화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를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로 결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로 제3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의 제3 무선 프레임을 지시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3 무선 프레임 상에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도록 하는 것이 포함된다.
제3 방면으로, 페이징 방법을 제공하는 바, 네트워크 장치가 제2 무선 프레임 및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하며;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의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를 결정하며;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로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의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를 지시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제1 무선 프레임과 상기 제2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을 결정하고, 또한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에 의하여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하며, 또한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도록 하는 것이 포함되며;
그 중에서, 상기 제2 무선 프레임과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은 SFN2= M×SFN1을 만족시키고,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SFN은 SFN1이고,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의 SFN은 SFN2이며, M은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에 포함된 무선 프레임의 수량인 것이 포함된다.
그러므로,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로 특정된 무선 프레임의 위치를 지시하는 것을 통하여, 단말 장치가 해당 무선 프레임 및 해당 무선 프레임의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에 의하여,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는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하고, 또한 해당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여, 페이징 메시지와 공공 신호 예를 들면 동기화 신호의 송신 주기가 같을 때, 단말 장치가 여전히 효과적으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시간을 결정하도록 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은 동기화 신호를 탐지하는 동기화 시간 간격과 같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이 SFN1 mod T=(T/N)×(UE-ID mod N)를 만족시키고,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SFN을 SFN1로 결정하는 바, 그 중에서, T는 상기 DRX 주기의 시간 길이이고, UE-ID는 상기 단말 장치의 장치 아이디이며, N은 상기 단말 장치의 불연속 수신 (DRX) 주기 중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는 무선 프레임의 수량이다.
제4 방면으로,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바, 해당 단말 장치는 상기 제1 방면 또는 제1 방면의 어느 한 선택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단말 장치의 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해당 단말 장치에는 상기 제1 방면 또는 제1 방면의 어느 한 선택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단말 장치의 조작을 실행하기 위한 모듈 유닛이 포함된다.
제5 방면으로,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는 바, 해당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제2 방면 또는 제2 방면의 어느 한 선택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네트워크 장치의 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해당 네트워크 장치에는 상기 제2 방면 또는 제2 방면의 어느 한 선택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네트워크 장치의 조작을 실행하기 위한 모듈 유닛이 포함된다.
제6 방면으로,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는 바, 해당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제3 방면 또는 제3 방면의 어느 한 선택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네트워크 장치의 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해당 네트워크 장치에는 상기 제3 방면 또는 제3 방면의 어느 한 선택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네트워크 장치의 조작을 실행하기 위한 모듈 유닛이 포함된다.
제7 방면으로,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바, 해당 단말 장치에는 프로세서, 송수신기와 기억장치가 포함된다. 그 중에서, 해당 프로세서, 송수신기와 기억장치 사이는 내부 연결 통로를 통하여 상호 통신한다. 해당 기억장치는 명령을 저장하고,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기억장치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한다. 해당 프로세서가 해당 기억장치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할 때, 해당 단말 장치가 제1 방면 또는 제1 방면의 어느 한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거나, 또는 해당 단말 장치가 제4 방면에서 제공하는 단말 장치를 구현하도록 한다.
제8 방면으로,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는 바, 해당 네트워크 장치에는 프로세서, 송수신기와 기억장치가 포함된다. 그 중에서, 해당 프로세서, 송수신기와 기억장치 사이는 내부 연결 통로를 통하여 상호 통신한다. 해당 기억장치는 명령을 저장하고,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기억장치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한다. 해당 프로세서가 해당 기억장치에 저장한 명령을 실행할 때,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제2 방면 또는 제2 방면의 어느 한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거나, 또는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제5 방면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장치를 구현하도록 한다.
제9 방면으로,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는 바, 해당 네트워크 장치에는 프로세서, 송수신기와 기억장치가 포함된다. 그 중에서, 해당 프로세서, 송수신기와 기억장치 사이는 내부 연결 통로를 통하여 상호 통신한다. 해당 기억장치는 명령을 저장하고,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기억장치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한다. 해당 프로세서가 해당 기억장치에 저장한 명령을 실행할 때,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제3 방면 또는 제3 방면의 어느 한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거나, 또는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제6 방면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장치를 구현하도록 한다.
제10 방면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바,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프로그램은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방면, 및 그의 여러 가지 구현방식 중의 어느 한 페이징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제11 방면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바,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프로그램은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2 방면, 및 그의 여러 가지 구현방식 중의 어느 한 페이징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제12 방면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바,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프로그램은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3 방면, 및 그의 여러 가지 구현방식 중의 어느 한 페이징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제13 방면으로 시스템 칩을 제공하는 바, 해당 시스템 칩에는 입력 인터페이스, 출력 인터페이스, 프로세서와 기억장치가 포함되고,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기억장치 중의 명령을 실행하며, 해당 명령이 실행될 때, 해당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방면 또는 제1 방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제14 방면으로 시스템 칩을 제공하는 바, 해당 시스템 칩에는 입력 인터페이스, 출력 인터페이스, 프로세서와 기억장치가 포함되고,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기억장치 중의 명령을 실행하며, 해당 명령이 실행될 때, 해당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방면 또는 제2 방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제15 방면으로 시스템 칩을 제공하는 바, 해당 시스템 칩에는 입력 인터페이스, 출력 인터페이스, 프로세서와 기억장치가 포함되고,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기억장치 중의 명령을 실행하며, 해당 명령이 실행될 때, 해당 프로세서는 상기 제3 방면 또는 제3 방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제16 방면으로, 명령이 포함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는 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해당 컴퓨터가 상기 제1 방면 또는 제1 방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제17 방면으로, 명령이 포함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는 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해당 컴퓨터가 상기 제2 방면 또는 제2 방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제18 방면으로, 명령이 포함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는 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해당 컴퓨터가 상기 제3 방면 또는 제3 방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일 응용 상황의 예시적 구조도.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페이징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
도 3은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의 페이징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
도 4는 본 출원의 또 다른 일 실시예의 페이징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의 예시적 블록도.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의 예시적 블록도.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의 예시적 블록도.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의 예시적 구조도.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의 예시적 구조도.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의 예시적 구조도.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시스템 칩의 예시적 구조도.
아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기술방안에 대하여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은 여러 가지 통신 시스템, 예를 들면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코드 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시간 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시스템,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및 미래의 5G 통신 시스템 등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출원은 단말 장치를 참조하여 각 실시예를 설명한다. 단말 장치는 또한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 접속 단말,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이동 무선 스테이션, 이동 스테이션,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 이동 장치, 사용자 단말, 단말, 무선통신 장치,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라 부를 수 있다. 접속 단말은 셀룰로오스 전화, 무선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핸드핼드 장치, 컴퓨팅 장치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기타 처리 장치, 차량용 장치, 웨어러블 장치, 미래 5G 네트워크 중의 단말 장치 또는 미래 향상된 공공 지상 모바일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네트워크 중의 단말 장치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은 네트워크 장치를 참조하여 각 실시예를 설명한다.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와 통신을 진행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GSM 시스템 또는 CDMA 중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일 수도 있고, 또는 WCDMA 시스템 중의 기지국(NodeB, NB)일 수도 있으며, 또는 LTE 시스템 중의 향상된 기지국(Evolutional NodeB, eNB 또는 eNodeB)일 수도 있거나, 또는 해당 네트워크 장치는 중계국, 접속점, 차량용 장치, 웨어러블 장치 및 미래 5G 네트워크 중의 네트워크 측 장치 또는 미래 향상된 PLMN 중의 네트워크 측 장치 등일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응용 상황 도면이다. 도 1 중의 통신 시스템에는 네트워크 장치(10)와 단말 장치(20)가 포함될 수 있다. 네트워크 장치(10)는 단말 장치(20)를 위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또한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것이고, 단말 장치(20)는 네트워크 장치(10)가 송신하는 동기화 신호, 방송 신호 등을 검색하는 것을 통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화살표는 단말 장치(20)와 네트워크 장치(10) 사이의 셀룰러 링크를 통하여 진행되는 업링크/다운링크 전송을 표시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는 공공 지상 모바일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또는 장치 대 장치(Device to Device, D2D) 네트워크 또는 기계 대 기계/인간(Machine to Machine/Man, M2M) 네트워크 또는 기타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도 1은 단지 예시적인 개략도이고, 네트워크에는 또한 기타 단말 장치가 포함될 수 있으나, 도 1에 도시하지 않았다.
단말 장치의 다운링크 데이터가 도착할 때,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로 페이징을 진행하는 것을 통하여, 단말 장치로부터 네트워크 장치로의 신호 연결을 구성하여, 해당 다운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진행할 수 있다.
하나의 PDSCH 채널 중에는 다수의 단말 장치의 페이징 메시지가 포함될 수 있고, 이러한 단말 장치의 페이징 메시지는 하나의 페이징 기록 리스트(paging Record List)를 구성하며, 단말 장치는 페이징 기록 리스트 중의 각 페이징 기록(Paging Record)을 읽고, 각 페이징 기록 중에는 페이징되는 단말 장치의 장치 아이디(UE-IDentity, UE-ID)가 포함된다. 만일 어느 한 단말 장치가 자신의 UE-ID와 어느 한 페이징 기록 리스트 중의 어느 한 UE-ID가 일치한 것을 발견하면, 자신이 네트워크 장치에 의하여 페이징되었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5G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장치가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할 때, 해당 페이징 메시지는 해당 다운링크 동기화 신호와 같은 주기를 사용하여 송신될 수 있다. 단말 장치가 동기화 신호 블록(Synchronizing Signal Block, SS Block)을 탐지하는 동기화 시간 간격은 또한 단말 장치가 페이징 메시지를 탐지하는 페이징 시간 간격이다. 이때, 하나의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는 페이징 신호를 송신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다수의 페이징 무선 프레임(Paging Frame, PF)이 포함될 수 있고, 단말 장치는 LTE 중의 방식을 바탕으로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는 PF를 결정하였지만, 자신의 페이징 메시지가 해당 PF 상에서 송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없는 바, 네트워크 장치가 페이징 시간 간격 중의 임의의 한 PF 상에서 해당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기 때문에, 단말 장치는 전체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 모두 페이징 메시지의 모니터링을 진행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단말 장치는 페이징 시간 간격의 구체적인 시간 도메인 위치를 알아야만, 더욱 훌륭하게 페이징 메시지의 모니터링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 페이징 시간 간격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는 두 개의 페이징 무선 프레임이 포함되고, 단말 장치가 LET 중의 방식을 바탕으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PF의 시스템 프레임 번호 SFN=4를 결정하였다고 가정하고, 네트워크 장치가 한 페이징 시간 간격에 포함된 두 개의 페이징 무선 프레임 중의 어느 한 페이징 무선 프레임 상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기 때문에, 단말 장치는 응당 해당 페이징 시간 간격 내에서 모두 페이징 메시지의 모니터링을 진행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단말 장치의 페이징 주기 즉 DRX 주기 중에 N개 페이징 무선 프레임이 포함되고, 또한 각 페이징 무선 프레임이 모두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고 가정하고, 단말 장치가 만일 어느 한 페이징 무선 프레임의 시스템 프레임 번호를 SFN=4라고 결정하였다면, 응당 SFN=3과 SFN=4의 페이징 무선 프레임 중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여야 하는지, 아니면 SFN=4와 SFN=5의 페이징 무선 프레임 중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여야 하는지를 결정할 수 없는 바, 즉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한 페이징 메시지가 위치하는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할 수 없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의 불연속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DRX) 주기(DRX Cycle)은 또한 해당 단말 장치의 페이징 주기라 칭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리고,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는 무선 프레임(또는 시스템 프레임이라 칭함)은, 또한 페이징 시스템 프레임 또는 페이징 무선 프레임 즉 PF이라 칭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가 이가 결정한 무선 프레임 및 해당 무선 프레임의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에 의하여,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는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하고, 또한 해당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여, 페이징 메시지와 공공 신호 예를 들면 동기화 신호의 송신 주기가 같을 때, 단말 장치가 여전히 효과적으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시간을 결정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페이징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방법은 단말 장치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고, 해당 단말 장치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단말 장치(20)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페이징 방법에는 하기 단계가 포함된다.
210에서, 단말 장치가 제1 무선 프레임을 결정한다.
220에서, 단말 장치가 제1 무선 프레임에 의하여,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는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하는 바, 그 중에서, 해당 페이징 시간 간격에는 제1 무선 프레임이 포함된다.
다시 말하면, 단말 장치의 각 DRX 주기 중에는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시간 간격이 포함될 수 있고, 각 페이징 시간 간격에는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는 다수의 페이징 무선 프레임이 포함될 수 있으며, 해당 다수의 페이징 무선 프레임 중에는 해당 제1 무선 프레임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페이징 시간 간격은 동기화 신호를 탐지하는 동기화 시간 간격과 같다. 또는 단말 장치가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는 시간대와 동기화 신호를 탐지하는 시간대가 같다.
230에서, 단말 장치가 해당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한다.
선택적으로, 210에서, 단말 장치가 제1 무선 프레임을 결정하는 것에는, 단말 장치가 SFN1 mod T=(T/N)×(UE-ID mod N)에 의하여, 제1 무선 프레임의 시스템 프레임 번호(System Frame Number, SFN)를 SFN1로 결정하는 바, 그 중에서, T는 단말 장치의 DRX 주기의 시간 길이이고, UE-ID는 단말 장치의 장치 아이디이며, N은 단말 장치의 DRX 주기 중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는 무선 프레임의 수량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단말 장치는 SFN1 mod T=(T/N)×(UE-ID mod N)에 의하여 페이징 메시지의 PF를 수신할 수 있는 하나의 위치 즉 해당 PF의 SFN을 결정할 수 있는 바, 해당 PF는 바로 해당 제1 무선 프레임이다. 그 중에서, SFN1은 해당 PF의 시스템 프레임 번호이고, UE-ID는 해당 단말 장치의 장치 아이디이며, T는 단말 장치가 마지막으로 사용한 DRX 주기의 시간 길이이고, N은 각 DRX 주기 중에서 해당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무선 프레임의 수량(즉 PF의 수량)이다.
SFN1 mod T=(T/N)×(UE-ID mod N)에서, T/N은 각 DRX 주기 T를 N개로 분할하는 것과 같고, 매개에는 T/N개 무선 프레임이 포함되며, 그 중에서, PF는 이 T/N개 무선 프레임 중의 첫번째 무선 프레임이다. 그러므로, N은 각 DRX 주기 중에서 해당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PF의 수량일 수 있다. N은 N=min(T, nB)을 통하여 결정할 수 있고, 그 중에서 nB는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을 통하여 구성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4T, 2T, T, T/2, T/4, T/8 등과 같을 수 있다.
UE-ID mod N은 단말 장치가 이 N개 중의 제UE-ID mod N번째(0≤UE-ID mod N<N)를 선택하였다는 것을 표시하고, 이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말 장치가 이 N개 중의 어느 것을 선택하는가 하는 것은 단말 장치의 장치 아이디 UE-ID에 의하여 결정되고, 해당 단말 장치의 장치 아이디 UE-ID는 단말 장치의 국제 이동 사용자 식별 번호(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fication Number, IMSI)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UE-ID=IMSI mod 1204이다. 단말 장치가 이 N개 중의 제UE-ID mod N번째를 선택하면, 해당 제UE-ID mod N번째에 포함된 PF를 사용하는 바, 이때, 해당 PF의 시스템 프레임 번호 SFN1은 SFN1 mod T=(T/N)×(UE-ID mod N)에 의하여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220에서, 단말 장치가 제1 무선 프레임에 의하여,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는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하는 것에는, 단말 장치가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해당 제1 지시 정보는 제1 무선 프레임의 해당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를 지시하며; 해당 단말 장치가 제1 무선 프레임의 해당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에 의하여, 해당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예를 들면, 해당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두 개의 무선 프레임이 포함(또는 두 개의 PF가 포함)된다고 가정하고,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제1 무선 프레임이 페이징 시간 간격 중의 첫번째 PF라고 지시하면, 단말 장치는 해당 페이징 시간 간격에 제1 무선 프레임 및 제1 무선 프레임 뒤의 하나의 PF가 포함된다고 결정하며;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제1 무선 프레임이 페이징 시간 간격 중의 두번째 PF라고 지시하면, 단말 장치는 해당 페이징 시간 간격에 제1 무선 프레임 및 제1 무선 프레임 앞의 하나의 PF가 포함된다고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220에서, 단말 장치가 제1 무선 프레임에 의하여,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는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하는 것에는, 단말 장치가 제1 무선 프레임의 해당 동기화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를 결정하며; 단말 장치가 제1 무선 프레임의 해당 동기화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를 제1 무선 프레임의 해당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로 결정하며; 단말 장치가 제1 무선 프레임의 해당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에 의하여, 해당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해당 페이징 시간 간격과 동기화 신호를 탐지하는 동기화 시간 간격이 같기 때문에, 제1 무선 프레임의 해당 동기화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를 제1 무선 프레임의 해당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로 간주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제1 무선 프레임의 동기화 신호 예를 들면 동기화 신호 블록(SS Block)이 위치하는 동기화 시간 간격 중의 위치를 결정하기만 하면, 제1 무선 프레임의 해당 동기화 시간 간격 중의 위치를 알 수 있기 때문에, 제1 무선 프레임의 해당 페이징 시간 간격 중의 위치에 의하여 해당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220에서, 단말 장치가 제1 무선 프레임에 의하여,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는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하는 것에는, 단말 장치가 제1 무선 프레임 및 SFN2= M×SFN1에 의하여, 제2 무선 프레임을 결정하는 바, 그 중에서, 제1 무선 프레임의 SFN은 SFN1이고, 제2 무선 프레임의 SFN은 SFN2이며, M은 해당 페이징 시간 간격에 포함된 무선 프레임의 수량이며; 단말 장치가 제2 무선 프레임에 의하여, 해당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네트워크 장치가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할 때 바탕으로 하는 시간 단위는 페이징 시간 간격이기 때문에, 이는 단말 장치가 제1 무선 프레임을 결정할 때 바탕으로 하는 시간 단위와 다르다. 만일 네트워크 장치가 결정한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 제2 무선 프레임(시스템 프레임 번호가 SFN2)이 포함된다면, 단말 장치는 SFN2= M×SFN1 및 자신이 결정한 제1 무선 프레임(시스템 프레임 번호가 SFN1)에 의하여 해당 제2 무선 프레임을 결정하고, 또한 제2 무선 프레임에 의하여 해당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할 수 있다.
그 중에서, 선택적으로,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에 의하여, 해당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하는 것에는, 단말 장치가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제2 무선 프레임의 해당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를 지시하며; 단말 장치가 제2 무선 프레임의 해당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에 의하여, 해당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예를 들면, SFN1=4, M=2(해당 페이징 시간 간격에 두 개의 무선 프레임 포함), 단말 장치는 SFN2=8이라 결정할 수 있다. 만일 제2 지시 정보가 해당 제2 무선 프레임이 해당 페이징 시간 간격 중의 첫번째 PF라고 지시하면, 단말 장치는 해당 페이징 시간 간격에 해당 제2 무선 프레임 및 해당 제2 무선 프레임 다음의 한 PF가 포함된다고 결정할 수 있으며; 만일 제2 지시 정보가 해당 제2 무선 프레임이 해당 페이징 시간 간격 중의 두번째 PF라고 지시하면, 단말 장치는 해당 페이징 시간 간격에 해당 제2 무선 프레임 및 해당 제2 무선 프레임 전의 한 PF가 포함된다고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230에서, 단말 장치가 해당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는 것에는, 단말 장치가 제3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해당 페이징 시간 간격 중의 제3 무선 프레임을 지시하며; 단말 장치가 상기 제3 무선 프레임 상에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해당 페이징 시간 간격에는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는 다수의 무선 프레임이 포함되고, 네트워크 장치는 페이징 시간 간격 중의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는 임의의 무선 프레임 상에서, 해당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그러므로, 네트워크 장치는 제3 지시 정보를 송신하여, 단말 장치로 해당 페이징 시간 간격 중의 어느 무선 프레임을 사용하여 해당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할지 지시하여, 단말 장치가 해당 무선 프레임 상에서 해당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하여, 모니터링 효율을 향상시킨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페이징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방법은 네트워크 장치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고, 해당 네트워크 장치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 장치(10)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페이징 방법에는,
310에서, 네트워크 장치가 제1 무선 프레임 및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하며;
320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를 결정하며;
330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를 지시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하고, 또한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도록 하는 것이 포함된다.
그러므로,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로 특정된 무선 프레임의 위치를 지시하는 것을 통하여, 단말 장치가 해당 무선 프레임 및 해당 무선 프레임의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에 의하여,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는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하고, 또한 해당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여, 페이징 메시지와 공공 신호 예를 들면 동기화 신호의 송신 주기가 같을 때, 단말 장치가 여전히 효과적으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시간을 결정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은 동기화 신호를 탐지하는 동기화 시간 간격과 같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을 결정하는 것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SFN1 mod T=(T/N)×(UE-ID mod N)에 의하여,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시스템 프레임 번호SFN를 SFN1로 결정하는 바, 그 중에서, T는 상기 DRX 주기의 시간 길이이고, UE-ID는 상기 단말 장치의 장치 아이디이며, N은 상기 단말 장치의 불연속 수신 (DRX) 주기 중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는 무선 프레임의 수량인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상기 동기화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를 결정하며;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상기 동기화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를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로 결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로 제3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의 제3 무선 프레임을 지시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3 무선 프레임 상에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도록 하는 것이 포함된다.
네트워크 장치가 제1 무선 프레임과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하는 과정은 구체적으로 상기 도 2의 단말 장치에 대한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페이징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방법은 네트워크 장치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고, 해당 네트워크 장치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 장치(10)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페이징 방법에는,
410에서, 네트워크 장치가 제2 무선 프레임 및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하며;
420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의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를 결정하며;
430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로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의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를 지시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제1 무선 프레임과 상기 제2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을 결정하고, 또한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에 의하여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하며, 또한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도록 하는 것이 포함되며;
그 중에서, 상기 제2 무선 프레임과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은 SFN2= M×SFN1을 만족시키고,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시스템 프레임 번호 SFN은 SFN1이고,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의 SFN은 SFN2이며, M은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에 포함된 무선 프레임의 수량이다.
그러므로,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로 특정된 무선 프레임의 위치를 지시하는 것을 통하여, 단말 장치가 해당 무선 프레임 및 해당 무선 프레임의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에 의하여,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는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하고, 또한 해당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여, 페이징 메시지와 공공 신호 예를 들면 동기화 신호의 송신 주기가 같을 때, 단말 장치가 여전히 효과적으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시간을 결정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은 동기화 신호를 탐지하는 동기화 시간 간격과 같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이 SFN1 mod T=(T/N)×(UE-ID mod N)를 만족시키고,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SFN을 SFN1로 결정하는 바, 그 중에서, T는 상기 DRX 주기의 시간 길이이고, UE-ID는 상기 단말 장치의 장치 아이디이며, N은 상기 단말 장치의 불연속 수신 (DRX) 주기 중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는 무선 프레임의 수량이다.
네트워크 장치가 제2 무선 프레임과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하는 과정은 구체적으로 상기 도 2의 단말 장치에 대한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출원의 여러 가지 실시예에서, 상기 각 과정의 번호의 크기는 실행 순서의 선후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고, 각 과정의 실행 순서는 그 기능과 내적인 논리에 의하여 결정되어야 하며, 본 출원의 실시예의 실시 과정에 대하여 아무런 제한도 하지 말아야 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5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단말 장치(500)에는 결정 유닛(510)과 송수신 유닛(520)이 포함된다. 그 중에서,
결정 유닛(510)은 제1 무선 프레임을 결정하며;
상기 결정 유닛(510)은 또한,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에 의하여,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는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에는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이 포함되며;
송수신 유닛(520)은,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한다.
그러므로, 단말 장치가 이가 결정한 무선 프레임 및 해당 무선 프레임의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에 의하여,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는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하고, 또한 해당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여, 페이징 메시지와 공공 신호 예를 들면 동기화 신호의 송신 주기가 같을 때, 단말 장치가 여전히 효과적으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시간을 결정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은 동기화 신호를 탐지하는 동기화 시간 간격과 같다.
선택적으로, 상기 결정 유닛(510)은 구체적으로, SFN1 mod T=(T/N)×(UE-ID mod N)에 의하여,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시스템 프레임 번호 SFN을 SFN1로 결정하는 바, 그 중에서, T는 상기 DRX 주기의 시간 길이이고, UE-ID는 상기 단말 장치의 장치 아이디이며, N은 상기 단말 장치의 불연속 수신 (DRX) 주기 중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는 무선 프레임의 수량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 유닛(520)은 또한,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를 지시하며; 상기 결정 유닛(51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결정 유닛(51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상기 동기화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를 결정하며;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상기 동기화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를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로 결정하며;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결정 유닛(51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무선 프레임 및 SFN2= M×SFN1에 의하여, 제2 무선 프레임을 결정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SFN은 SFN1이고,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의 SFN은 SFN2이며, M은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에 포함된 무선 프레임의 수량이며;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에 의하여,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 유닛(520)은 또한,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의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를 지시하며; 상기 결정 유닛(51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의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 유닛(520)은 구체적으로, 제3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의 제3 무선 프레임을 지시하며; 상기 제3 무선 프레임 상에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한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6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네트워크 장치(600)에는 결정 유닛(610)과 송수신 유닛(620)이 포함된다. 그 중에서,
결정 유닛(620)은 제1 무선 프레임 및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하며;
상기 결정 유닛(620)은 또한,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를 결정하며;
송수신 유닛(620)은, 단말 장치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를 지시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하고, 또한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로 특정된 무선 프레임의 위치를 지시하는 것을 통하여, 단말 장치가 해당 무선 프레임 및 해당 무선 프레임의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에 의하여,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는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하고, 또한 해당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여, 페이징 메시지와 공공 신호 예를 들면 동기화 신호의 송신 주기가 같을 때, 단말 장치가 여전히 효과적으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시간을 결정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은 동기화 신호를 탐지하는 동기화 시간 간격과 같다.
선택적으로, 상기 결정 유닛(620)은 구체적으로, SFN1 mod T=(T/N)×(UE-ID mod N)에 의하여,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시스템 프레임 번호 SFN을 SFN1로 결정하는 바, 그 중에서, T는 상기 DRX 주기의 시간 길이이고, UE-ID는 상기 단말 장치의 장치 아이디이며, N은 상기 단말 장치의 불연속 수신 (DRX) 주기 중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는 무선 프레임의 수량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결정 유닛(62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상기 동기화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를 결정하며;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상기 동기화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를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로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 유닛(620)은 또한, 단말 장치로 제3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의 제3 무선 프레임을 지시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3 무선 프레임 상에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도록 한다.
도 7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7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네트워크 장치(700)에는 결정 유닛(710)과 송수신 유닛(720)이 포함된다. 그 중에서,
결정 유닛(710)은 제2 무선 프레임 및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하며;
상기 결정 유닛(710)은 또한,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의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를 결정하며;
송수신 유닛(720)은 단말 장치로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의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를 지시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제1 무선 프레임과 상기 제2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을 결정하고, 또한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에 의하여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하며, 또한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도록 하며;
그 중에서, 상기 제2 무선 프레임과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은 SFN2= M×SFN1을 만족시키고,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시스템 프레임 번호 SFN은 SFN1이고,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의 SFN은 SFN2이며, M은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에 포함된 무선 프레임의 수량이다.
그러므로,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로 특정된 무선 프레임의 위치를 지시하는 것을 통하여, 단말 장치가 해당 무선 프레임 및 해당 무선 프레임의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에 의하여,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는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하고, 또한 해당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여, 페이징 메시지와 공공 신호 예를 들면 동기화 신호의 송신 주기가 같을 때, 단말 장치가 여전히 효과적으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시간을 결정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은 동기화 신호를 탐지하는 동기화 시간 간격과 같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이 SFN1 mod T=(T/N)×(UE-ID mod N)를 만족시키고,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SFN을 SFN1로 결정하는 바, 그 중에서, T는 상기 DRX 주기의 시간 길이이고, UE-ID는 상기 단말 장치의 장치 아이디이며, N은 상기 단말 장치의 불연속 수신 (DRX) 주기 중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는 무선 프레임의 수량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800)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단말 장치에는 프로세서(810), 송수신기(820)와 기억장치(830)가 포함되고, 그 중에서, 해당 프로세서(810), 송수신기(820)와 기억장치(830) 사이는 내부 연결 통로를 통하여 상호 통신한다. 해당 기억장치(830)는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해당 프로세서(810)는 해당 기억장치(830)가 저장한 명령을 실행하여 해당 송수신기(820)를 제어하여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신호를 송신한다. 그 중에서, 해당 프로세서(810)는,
제1 무선 프레임을 결정하며;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에 의하여,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는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에는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이 포함되며;
해당 송수신기(820)는,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한다.
그러므로, 단말 장치가 이가 결정한 무선 프레임 및 해당 무선 프레임의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에 의하여,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는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하고, 또한 해당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여, 페이징 메시지와 공공 신호 예를 들면 동기화 신호의 송신 주기가 같을 때, 단말 장치가 여전히 효과적으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시간을 결정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은 동기화 신호를 탐지하는 동기화 시간 간격과 같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810)는 구체적으로, SFN1 mod T=(T/N)×(UE-ID mod N)에 의하여,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시스템 프레임 번호 SFN을 SFN1로 결정하는 바, 그 중에서, T는 상기 DRX 주기의 시간 길이이고, UE-ID는 상기 단말 장치의 장치 아이디이며, N은 상기 단말 장치의 불연속 수신 (DRX) 주기 중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는 무선 프레임의 수량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기(820)는 또한,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를 지시하며;
상기 프로세서(810)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810)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상기 동기화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를 결정하며;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상기 동기화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를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로 결정하며;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810)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무선 프레임 및 SFN2= M×SFN1에 의하여, 제2 무선 프레임을 결정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SFN은 SFN1이고,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의 SFN은 SFN2이며, M은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에 포함된 무선 프레임의 수량이며;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에 의하여,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기(820)는 또한,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의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를 지시하며;
상기 프로세서(810)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의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기(820)는 구체적으로, 제3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의 제3 무선 프레임을 지시하며; 상기 제3 무선 프레임 상에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프로세서(8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도 있고, 해당 프로세서(810)는 또한 기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기타 프로그램가능 논리 소자,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개별 하드웨어 모듈 등일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고, 해당 프로세서는 또한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해당 기억장치(830)에는 ROM과 RAM이 포함될 수 있고, 또한 프로세서(810)로 명령과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기억장치(830)의 일부분에는 또한 비휘발성 RAM이 포함될 수 있다.
구현 과정에, 상기 방법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810) 중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을 통하여 완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공개된 방법의 단계와 결합시켜 직접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구현되어 실행되거나, 또는 프로세서(810) 중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 조합으로 실행하여 완성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무작위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 휘발성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당업계의 성숙된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해당 저장 매체는 기억장치(830)에 위치하고, 프로세서(810)가 기억장치(830) 중의 정보를 읽으며, 그 하드웨어와 결합시켜 상기 방법의 단계를 완성한다.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800)는 상기 방법(200) 중의 방법(200)을 실행하기 위한 단말 장치 및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400)에 대응될 수 있고, 또한 해당 단말 장치(800) 중의 각 유닛 또는 모듈은 각각 상기 방법(200) 중의 단말 장치가 실행하는 각 동작 또는 처리 과정을 실행하며, 여기에서는 간략화를 위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9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900)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네트워크 장치에는 프로세서(910), 송수신기(920)와 기억장치(930)가 포함되고, 그 중에서, 해당 프로세서(910), 송수신기(920)와 기억장치(930) 사이는 내부 연결 통로를 통하여 상호 통신한다. 해당 기억장치(930)는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해당 프로세서(910)는 해당 기억장치(930)가 저장한 명령을 실행하여 해당 송수신기(920)를 제어하여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신호를 송신한다. 그 중에서, 해당 프로세서(910)는,
제1 무선 프레임 및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하며;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를 결정하며;
송수신기(920)는, 단말 장치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를 지시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하고, 또한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로 특정된 무선 프레임의 위치를 지시하는 것을 통하여, 단말 장치가 해당 무선 프레임 및 해당 무선 프레임의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에 의하여,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는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하고, 또한 해당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여, 페이징 메시지와 공공 신호 예를 들면 동기화 신호의 송신 주기가 같을 때, 단말 장치가 여전히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시간을 효과적으로 결정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은 동기화 신호를 탐지하는 동기화 시간 간격과 같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910)는 구체적으로, SFN1 mod T=(T/N)×(UE-ID mod N)에 의하여,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시스템 프레임 번호 SFN을 SFN1로 결정하는 바, 그 중에서, T는 상기 DRX 주기의 시간 길이이고, UE-ID는 상기 단말 장치의 장치 아이디이며, N은 상기 단말 장치의 불연속 수신 (DRX) 주기 중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는 무선 프레임의 수량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910)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상기 동기화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를 결정하며;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상기 동기화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를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로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수신기(920)는 또한, 단말 장치로 제3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의 제3 무선 프레임을 지시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3 무선 프레임 상에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프로세서(9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 있고, 해당 프로세서(910)는 또한 기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기타 프로그램가능 논리 소자,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개별 하드웨어 모듈 등일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고, 해당 프로세서는 또한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해당 기억장치(930)에는 ROM과 RAM이 포함될 수 있고, 또한 프로세서(910)로 명령과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기억장치(930)의 일부분에는 또한 비휘발성 RAM이 포함될 수 있다. 구현 과정에, 상기 방법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910) 중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을 통하여 완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공개된 페이징 방법의 단계와 결합시켜 직접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구현되어 실행되거나, 또는 프로세서(910) 중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 조합으로 실행하여 완성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무작위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 휘발성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당업계의 성숙된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해당 저장 매체는 기억장치(930)에 위치하고, 프로세서(910)가 기억장치(930) 중의 정보를 읽으며, 그 하드웨어와 결합시켜 상기 방법의 단계를 완성한다.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900)는 상기 방법(300) 중의 방법(300)을 실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장치 및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600)에 대응될 수 있고, 또한 해당 네트워크 장치(900) 중의 각 유닛 또는 모듈은 각각 상기 방법(300) 중의 네트워크 장치가 실행하는 각 동작 또는 처리 과정을 실행하며, 여기에서는 간략화를 위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1000)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네트워크 장치에는 프로세서(1010), 송수신기(1020)와 기억장치(1030)가 포함되고, 그 중에서, 해당 프로세서(1010), 송수신기(1020)와 기억장치(1030) 사이는 내부 연결 통로를 통하여 상호 통신한다. 해당 기억장치(1030)는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해당 프로세서(1010)는 해당 기억장치(1030)가 저장한 명령을 실행하여 해당 송수신기(1020)를 제어하여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신호를 송신한다. 그 중에서, 해당 프로세서(1010)는,
제2 무선 프레임 및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하며;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의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를 결정하며;
해당 송수신기(1020)는 단말 장치로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의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를 지시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제1 무선 프레임과 상기 제2 지시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을 결정하고, 또한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에 의하여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하며, 또한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도록 하며;
그 중에서, 상기 제2 무선 프레임과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은 SFN2= M×SFN1을 만족시키고,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SFN은 SFN1이고,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의 SFN은 SFN2이며, M은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에 포함된 무선 프레임의 수량인 것이 포함된다.
그러므로,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로 특정된 무선 프레임의 위치를 지시하는 것을 통하여, 단말 장치가 해당 무선 프레임 및 해당 무선 프레임의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에 의하여,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는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하고, 또한 해당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여, 페이징 메시지와 공공 신호 예를 들면 동기화 신호의 송신 주기가 같을 때, 단말 장치가 여전히 효과적으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시간을 결정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은 동기화 신호를 탐지하는 동기화 시간 간격과 같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이 SFN1 mod T=(T/N)×(UE-ID mod N)를 만족시키고,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SFN을 SFN1로 결정하는 바, 그 중에서, T는 상기 DRX 주기의 시간 길이이고, UE-ID는 상기 단말 장치의 장치 아이디이며, N은 상기 단말 장치의 불연속 수신 (DRX) 주기 중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는 무선 프레임의 수량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프로세서(10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 있고, 해당 프로세서(1010)는 또한 기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기타 프로그램가능 논리 소자,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개별 하드웨어 모듈 등일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고, 해당 프로세서는 또한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해당 기억장치(1030)에는 ROM과 RAM이 포함될 수 있고, 또한 프로세서(1010)로 명령과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기억장치(1030)의 일부분에는 또한 비휘발성 RAM이 포함될 수 있다. 구현 과정에, 상기 방법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1010) 중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을 통하여 완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공개된 페이징 방법의 단계와 결합시켜 직접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구현되어 실행되거나, 또는 프로세서(1010) 중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 조합으로 실행하여 완성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무작위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 휘발성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당업계의 성숙된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해당 저장 매체는 기억장치(1030)에 위치하고, 프로세서(1010)가 기억장치(1030) 중의 정보를 읽으며, 그 하드웨어와 결합시켜 상기 방법의 단계를 완성한다.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1000)는 상기 방법(400) 중의 방법(300)을 실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장치 및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700)에 대응될 수 있고, 또한 해당 네트워크 장치(1000) 중의 각 유닛 또는 모듈은 각각 상기 방법(400) 중의 네트워크 장치가 실행하는 각 동작 또는 처리 과정을 실행하며, 여기에서는 간략화를 위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시스템 칩의 일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 11의 시스템 칩(1100)에는 입력 인터페이스(1101), 출력 인터페이스(1102),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3), 기억장치(1104)가 포함되고,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1101), 출력 인터페이스(1102), 상기 프로세서(1103) 및 기억장치(1104) 사이는 내부 연결 통로를 통하여 상호 연결된다. 상기 프로세서(1103)는 상기 기억장치(1104) 중의 코드를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코드가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1103)는 방법 실시예 중의 단말 장치가 실행하는 방법(200)을 구현할 수 있다.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코드가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1103)는 방법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 장치가 실행하는 방법(300)을 구현할 수 있다.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코드가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1103)는 방법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 장치가 실행하는 방법(400)을 구현할 수 있다.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본 명세서 공개된 실시예의 각 예시의 유닛 및 연산 단계를 결합시켜,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방식으로 구현될 것인지 아니면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구현될 것인지는 기술방안의 특정된 응용과 설계 제한 조건에 의하여 결정된다. 전문 기술자들은 각 특정된 응용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이 본 출원의 범위를 초과한 것으로 이해해서는 않된다.
설명의 편리와 간략화를 위하여, 상기 시스템, 장치와 유닛의 구체적인 작동 과정은 상기 방법 실시예 중의 대응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음을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이해할 것이며,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몇 개 실시예에서, 상기 공개된 시스템, 장치와 방법은 또한 기타 방식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예를 들면 상기 유닛의 구분은 단지 논리적인 구분이고, 실제 구현 시 다른 구분 방식이 있을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복수의 유닛 또는 모듈은 다른 시스템에 결합 또는 집적될 수 있거나, 일부 특징은 삭제되거나 또는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서로 사이의 커플링 또는 직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의 간접적인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을 통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는 바, 전기적, 기계적 또는 기타 형식일 수 있다.
해당 분리된 부품으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은 것을 수 있고, 유닛으로 표시된 부품은 물리적인 유닛이거나 아닐 수 있으며, 한 곳에 위치하거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 상에 분포될 수 있다. 실제 수요에 의하여 그 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 방안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출원의 각 실시예 중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모니터링 유닛 중에 집적될 수도 있고, 또는 각 유닛의 독립적인 물리적 존재일 수 있으며, 또는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집적되어 있을 수 있다.
해당 기능은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구현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 또는 사용될 때,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본 출원의 기술방안의 본질적이나 또는 종래 기술에 대하여 공헌이 있는 부분 또는 해당 기술방안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는 바, 일부 명령이 포함되어 컴퓨터 설비(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설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로 하여금 본 출원의 각 실시예의 상기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구현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에는 USB 메모리, 이동 하드, 읽기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무작위 접속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여러 가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매체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을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출원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2)

  1. 페이징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에는,
    단말 장치가 제1 무선 프레임을 결정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에 의하여,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는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하는 바,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는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이 포함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포함되고,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에 의하여,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는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를 지시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하는 것이 포함되며,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은 동기화 신호를 탐지하는 동기화 시간 간격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제1 무선 프레임을 결정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SFN1 mod T=(T/N)×(UE-ID mod N)에 의하여,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시스템 프레임 번호 SFN을 SFN1로 결정하는 바, T는 DRX 주기의 시간 길이이고, UE-ID는 상기 단말 장치의 장치 아이디이며, N은 상기 단말 장치의 불연속 수신 (DRX) 주기 중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는 무선 프레임의 수량인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제3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의 제3 무선 프레임을 지시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3 무선 프레임 상에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방법.
  4. 페이징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에는,
    네트워크 장치가 제1 무선 프레임, 및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하며;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를 결정하며;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를 지시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하고, 또한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도록 하는 것이 포함되며,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은 동기화 신호를 탐지하는 동기화 시간 간격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을 결정하는 것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SFN1 mod T=(T/N)×(UE-ID mod N)에 의하여,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시스템 프레임 번호 SFN을 SFN1로 결정하는 바, T는 DRX 주기의 시간 길이이고, UE-ID는 상기 단말 장치의 장치 아이디이며, N은 상기 단말 장치의 불연속 수신 (DRX) 주기 중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는 무선 프레임의 수량인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동기화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를 결정하며;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상기 동기화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를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로 결정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로 제3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3 지시 정보는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의 제3 무선 프레임을 지시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3 무선 프레임 상에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도록 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방법.
  8. 페이징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에는,
    네트워크 장치가 제2 무선 프레임, 및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하며;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의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를 결정하며;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로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의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를 지시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제1 무선 프레임에 의하여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을 결정하고, 또한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의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을 결정하며, 또한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 중에서 상기 페이징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도록 하는 것이 포함되며;
    상기 제2 무선 프레임과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은 SFN2= M×SFN1을 만족시키고,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시스템 프레임 번호 SFN은 SFN1이고,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의 SFN은 SFN2이며, M은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에 포함된 무선 프레임의 수량인 것이 포함되며,
    상기 페이징 시간 간격은 동기화 신호를 탐지하는 동기화 시간 간격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이 SFN1 mod T=(T/N)×(UE-ID mod N)를 만족시키고,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SFN을 SFN1로 결정하는 바, T는 DRX 주기의 시간 길이이고, UE-ID는 상기 단말 장치의 장치 아이디이며, N은 상기 단말 장치의 불연속 수신 (DRX) 주기 중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는 무선 프레임의 수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방법.
  10. 단말 장치로서,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단말 장치.
  11. 네트워크 장치로서,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장치.
  12. 페이징 네트워크 장치로서,
    제8항 또는 제9항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페이징 네트워크 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KR1020207000710A 2017-08-11 2017-08-11 페이징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KR1023530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7/097264 WO2019028910A1 (zh) 2017-08-11 2017-08-11 寻呼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5255A KR20200035255A (ko) 2020-04-02
KR102353039B1 true KR102353039B1 (ko) 2022-01-18

Family

ID=65272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0710A KR102353039B1 (ko) 2017-08-11 2017-08-11 페이징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20200205124A1 (ko)
EP (1) EP3637866B1 (ko)
JP (1) JP2020533829A (ko)
KR (1) KR102353039B1 (ko)
CN (1) CN110945916B (ko)
AU (1) AU2017426659A1 (ko)
BR (1) BR112020000317A2 (ko)
CA (1) CA3066015A1 (ko)
IL (1) IL271161A (ko)
PH (1) PH12019502728A1 (ko)
RU (1) RU2750786C1 (ko)
SG (1) SG11201911661PA (ko)
TW (1) TW201911917A (ko)
WO (1) WO2019028910A1 (ko)
ZA (1) ZA20190812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34835B (zh) * 2018-01-12 2024-04-12 华为技术有限公司 信号检测的方法和装置
CN110351761A (zh) * 2018-04-03 2019-10-18 华为技术有限公司 监听寻呼消息和发送指示信息的方法、装置及系统
US11206634B2 (en) * 2018-06-21 2021-12-21 Qualcomm Incorporated Paging configuration in beamformed wireless communications
MX2021000890A (es) * 2018-08-10 2021-03-31 Fg innovation co ltd Metodo y aparato para la transicion a estado de control de recursos de radio (rrc).
CN115552979A (zh) * 2020-07-24 2022-12-3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通信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WO2023102920A1 (zh) * 2021-12-10 2023-06-1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确定寻呼预告指示pei对应的首寻呼帧的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0271A1 (ja) * 2015-03-03 2016-09-09 京セラ株式会社 基地局、無線端末、及びネットワーク装置
KR101720334B1 (ko) * 2010-01-12 2017-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동작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838063T2 (de) * 1997-05-30 2008-03-13 Qualcomm Inc., San Diego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indirekten Funkruf eines schnurlosen Endgerätes mit weniger codierten Funkrufandeutung.
KR101498022B1 (ko) * 2008-01-03 2015-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페이징 메시지 전송 방법 및 페이징메시지 수신 방법
US9763172B2 (en) * 2014-08-06 2017-09-12 Qualcomm Incorporated Idle-mode enhancements for extended idle discontinuous reception (EI-DRX)
WO2016119206A1 (en) * 2015-01-30 2016-08-04 Qualcomm Incorporated Paging repeat pattern detection and skipping
EP3322238B1 (en) * 2015-08-11 2020-01-29 Kyocera Corporation Base station, mobility management device, wireless terminal, and network device
CN106550435A (zh) * 2015-09-17 2017-03-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降低寻呼消息传输时间间隔的方法和装置
US10165545B2 (en) * 2015-09-25 2018-12-25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PF/PO calculations and use thereof for EDRX
WO2017084712A1 (en) * 2015-11-19 2017-05-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ctive period of a discontinuous reception cycle
CN106961729B (zh) * 2016-01-11 2022-01-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监听、发送寻呼、寻呼终端的方法和基站、终端
US10736076B2 (en) * 2016-02-04 2020-08-0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paging in unlicensed communication channel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334B1 (ko) * 2010-01-12 2017-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동작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6140271A1 (ja) * 2015-03-03 2016-09-09 京セラ株式会社 基地局、無線端末、及びネットワー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7426659A1 (en) 2020-01-02
TW201911917A (zh) 2019-03-16
IL271161A (en) 2020-01-30
JP2020533829A (ja) 2020-11-19
SG11201911661PA (en) 2020-02-27
CN110945916A (zh) 2020-03-31
CN110945916B (zh) 2023-02-17
KR20200035255A (ko) 2020-04-02
WO2019028910A1 (zh) 2019-02-14
ZA201908125B (en) 2021-05-26
EP3637866A1 (en) 2020-04-15
CA3066015A1 (en) 2019-02-14
BR112020000317A2 (pt) 2020-07-14
EP3637866A4 (en) 2020-09-02
RU2750786C1 (ru) 2021-07-02
US20200205124A1 (en) 2020-06-25
PH12019502728A1 (en) 2020-06-08
EP3637866B1 (en) 202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3039B1 (ko) 페이징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CN110366868B (zh) 随机接入的方法、终端设备、网络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US11937324B2 (en) Data transmitting/receiving apparatuses and methods and communication system
TWI752978B (zh) 發送和接收尋呼消息的方法、接入網設備和終端設備
EP3503668B1 (en) Link establishing method and terminal device
WO2019148398A1 (zh) 寻呼方法和设备
RU2748316C1 (ru) Способ поискового вызова, а также устройство доступа к сети, терминал и основное сетевое устройство
CN111491318B (zh) 寻呼方法、终端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CN111163498A (zh) 无线通信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US20190373643A1 (en) Method for random access, an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KR102393633B1 (ko) 데이터 전송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US11006458B2 (en) Random access method and device
KR102384402B1 (ko) 무선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CN109565694B (zh) 寻呼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11642028B (zh) 链路重新配置的方法和终端设备
US20210120621A1 (en) Transitioning to cell dch rrc state to report application-level measurement
EP3614755A1 (en) Paging method, network device, and terminal device
EP3358895B1 (en) Paging method and system
CN113329396B (zh) 一种数据发送方法、网络设备
CA3066827C (en) Paging failure processing method, access network device, and core network device
CN111543081A (zh) 切换方法和接入网设备
AU2017433346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CN109661835B (zh) 一种配置pdcp实体的方法、接收装置和发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