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2982B1 - 수신 단말의 통신 방법 및 수신 단말 - Google Patents

수신 단말의 통신 방법 및 수신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2982B1
KR102352982B1 KR1020200061855A KR20200061855A KR102352982B1 KR 102352982 B1 KR102352982 B1 KR 102352982B1 KR 1020200061855 A KR1020200061855 A KR 1020200061855A KR 20200061855 A KR20200061855 A KR 20200061855A KR 102352982 B1 KR102352982 B1 KR 102352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receiving terminal
time point
service
transition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1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4459A (ko
Inventor
황경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200061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2982B1/ko
Publication of KR20210144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4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2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2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37Determination of triggering parameters for hand-off
    • H04W36/008375Determination of triggering parameters for hand-off based on historical data
    • H04W36/24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26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agreed or negotiated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 단말의 통신 방법은 송신 단말이 전송한 호 설정 메시지를 수신하고, 호 설정 메시지 내에 포함된 송신 단말의 송신자 번호를 기초로, 제2 네트워크에서 음성 통화를 위한 제1 네트워크로의 천이 시점을 결정하며, 천이 시점에 따라 제2 네트워크에서 제1 네트워크로 천이하여 음성 서비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신 단말의 통신 방법 및 수신 단말{COMMUNICATION METHOD OF RECEIVING TERMINAL AND RECEIVING TERMINAL}
실시예들은 수신 단말의 통신 방법 및 수신 단말에 관한 것이다.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5G SA(Stand Alone) 단말은 수신자의 수신 여부와 상관없이 LTE 네트워크로 천이하여 VoLTE(Voice over Long Term Evolution) 서비스를 위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수신자가 전화를 받지 않을 경우에도 5G SA 단말은 LTE 네트워크로 천이하므로 핸드오버(Handover) 실패로 인한 서비스 단절이 발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수신자가 5G 네트워크를 통해서만 이용 가능한 5G 서비스를 이용 중에 전화가 걸려 오면, 바로 LTE 네트워크로 천이됨으로써 수신자가 전화를 받지 않더라도 5G 서비스가 단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네트워크(예를 들어, 5G 네트워크)의 서비스의 이용 중 전화가 걸려오더라도 미리 설정된 번호에 대하여만 일정 천이 시점에 제1 네트워크(예를 들어, LTE 네트워크)로 천이하고, 설정하지 않은 번호나 스팸 번호 등에 대하여는 제1 네트워크로 천이하지 않거나 늦게 천이함으로써 불필요한 천이 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송신 단말이 전송한 호 설정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 및 송신 단말로부터의 전화 수신 시점에 수신자가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를 이용 중인지 여부를 기초로 제1 네트워크로의 천이 시점을 자동으로 변경함으로써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의 단절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송신 단말이 전송한 호 설정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 및 송신 단말로부터의 전화 수신 시점에 수신자가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를 이용 중인지 여부를 기초로 수신 단말의 제1 네트워크로의 천이 시점을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너무 이른 천이에 따라 발생하는 제1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Handover) 실패로 인해 데이터 품질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 단말의 통신 방법은 송신 단말이 전송한 호 설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호 설정 메시지 내에 포함된 상기 송신 단말의 송신자 번호를 기초로, 제2 네트워크에서 음성 통화를 위한 제1 네트워크로의 천이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천이 시점에 따라 상기 제2 네트워크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로 천이하여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천이 시점은 상기 호 설정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의 제1 시점, 상기 호 설정 메시지 수신 이후의 응답 대기 메시지를 전송한 이후의 제2 시점, 및 상기 호 설정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이후의 제3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이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 단말의 주소록 또는 통화 기록에 존재하는 전화 번호와 상기 송신자 번호와의 매칭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매칭 여부에 따라 상기 천이 시점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칭 여부에 따라 상기 천이 시점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전화 번호와 상기 송신자 번호가 매칭되는 경우, 상기 천이 시점을 제2 시점에서 제1 시점으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전화 번화와 상기 송신자 번호가 매칭되지 않는 경우, 상기 천이 시점을 상기 제2 시점에서 제3 시점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 단말의 통신 방법은 상기 호 설정 메시지의 수신 시에 상기 수신 단말이 미리 설정한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를 이용 중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천이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 단말이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를 이용 중인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천이 시점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는 가상 현실 서비스(Virtual Reality Service), 증강 현실 서비스(Augmented Reality Service), 혼합 현실 서비스(Mixed Reality Service), 및 5G 게임 서비스(Game Ser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를 이용 중인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천이 시점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 단말이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를 이용 중이라는 결정에 따라 상기 천이 시점을 제2 시점에서 제3 시점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를 이용 중인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천이 시점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 단말이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를 이용 중이 아니라는 결정에 따라 상기 천이 시점을 제2 시점에서 제1 시점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이 시점을 제2 시점에서 상기 제1 시점으로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 단말이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를 이용 중이 아니라는 결정에 더하여, 상기 송신 단말의 송신자 번호가 상기 수신 단말의 주소록 또는 통화 기록에 존재하는 전화 번호와 매칭되는지 여부를 고려하여, 상기 천이 시점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화 번호와 매칭되는지 여부를 더 고려하여, 상기 천이 시점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 단말의 송신자 번호가 상기 수신 단말의 주소록 또는 통화 기록에 존재하는 전화 번호와 매칭되는 경우, 상기 천이 시점을 상기 제2 시점에서 상기 제1 시점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 단말의 통신 방법은 상기 송신 단말의 송신자 번호가 상기 수신 단말의 주소록 또는 통화 기록에 존재하는 전화 번호와 매칭되지 않는 경우, 상기 천이 시점을 상기 제2 시점에서 상기 제3 시점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 단말은 상기 제2 네트워크의 5G SA(Stand Alone)를 지원하는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네트워크는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는 5G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 단말은 송신 단말이 전송한 호 설정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호 설정 메시지 내에 포함된 상기 송신 단말의 송신자 번호를 기초로, 제2 네트워크에서 음성 통화를 위한 제1 네트워크로의 천이 시점을 결정하고, 상기 천이 시점에 따라 상기 제2 네트워크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로 천이하여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천이 시점은 상기 호 설정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의 제1 시점, 상기 호 설정 메시지 수신 이후의 응답 대기 메시지를 전송한 이후의 제2 시점, 및 상기 호 설정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이후의 제3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 단말의 주소록 또는 통화 기록에 존재하는 전화 번호와 상기 송신자 번호와의 매칭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매칭 여부에 따라 상기 천이 시점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화 번호와 상기 송신자 번호가 매칭되는 경우, 상기 천이 시점을 제2 시점에서 제1 시점으로 변경하고, 상기 전화 번화와 상기 송신자 번호가 매칭되지 않는 경우, 상기 천이 시점을 상기 제2 시점에서 제3 시점으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호 설정 메시지의 수신 시에 상기 수신 단말이 미리 설정한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를 이용 중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수신 단말이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를 이용 중인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천이 시점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는 가상 현실 서비스, 증강 현실 서비스, 혼합 현실 서비스, 및 5G 게임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 단말이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를 이용 중이라는 결정에 따라 상기 천이 시점을 제2 시점에서 제3 시점으로 변경하고, 상기 수신 단말이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를 이용 중이 아니라는 결정에 따라 상기 천이 시점을 제2 시점에서 제1 시점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의 이용 중 전화가 걸려오더라도 미리 설정된 번호에 대하여만 일정 천이 시점에 제1 네트워크로 천이하고, 설정하지 않은 번호나 스팸 번호 등에 대하여는 제1 네트워크로 천이하지 않거나 늦게 천이함으로써 불필요한 천이 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송신 단말이 전송한 호 설정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 및 송신 단말로부터의 전화 수신 시점에 수신자가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를 이용 중인지 여부를 기초로 제1 네트워크로의 천이 시점을 자동으로 변경함으로써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의 단절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송신 단말이 전송한 호 설정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 및 송신 단말로부터의 전화 수신 시점에 수신자가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를 이용 중인지 여부를 기초로 수신 단말의 제1 네트워크로의 천이 시점을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너무 이른 천이에 따라 발생하는 제1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Handover) 실패로 인해 데이터 품질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단말의 음성 발신 시에 제2 네트워크에서 제1 네트워크로의 천이가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단말 및 수신 단말 간의 음성 통화가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단말의 통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신 단말의 통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단말의 블록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단말의 음성 발신 시에 제2 네트워크에서 제1 네트워크로의 천이가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101), 5G 기지국(102), 4G 기지국(103), 5G Core(104), 4G Core(105), 및 IMS(IP Multimedia Subsystem)(106)가 도시된다.
단말(101)은 5G SA(Stand Alone)을 지원하는 단말('5G SA 단말')로서, 송신 단말일 수 있다. 단말(101)은 제2 네트워크(예를 들어, 5G 네트워크)의 5G 기지국(102) 및 5G Core(104)를 통해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예를 들어, 5G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5G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4G 네트워크와 듀얼 캐리어(Dual carrier)로 구성하는 NSA(None Stand Alone)망인 EN-DC(E-UTRAN New Radio - Dual Connectivity) 망 및 4G 네트워크와 독립적인 SA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EN-DC 망에서는 5G 기지국(102)과 4G 기지국(LTE 기지국)(103)이 동시에 5G 단말(예를 들어, 단말(101))에게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G 네트워크를 SA망으로 구성할 경우, 데이터(DATA)는 5G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단말(101)에게 전달되지만, 통화와 같은 음성 서비스는 현재 5G 네트워크에서 지원하지 않는다. 따라서, 단말(101)은 예를 들어, 음성 통화와 같이 LTE 환경에서 제공하는 VoLTE(Voice over Long Term Evolution)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5G 네트워크에서 LTE 네트워크로의 천이가 필요하다.
4G Core(105)는 예를 들어, EPC(Evolved Packet Core)일 수 있다. 4G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일 수 있다. 이하, LTE 네트워크와 4G 네트워크는 동일한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IMS(106)는 IP(Internet Protocol) 망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고안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음성, 영상, 대용량 데이터 통신 등의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해서 사용하는 시스템에 해당할 수 있다. IMS(106)는 이동 통신 시스템뿐만 아니라 IP망을 기반으로 하는 각종 유무선 통합망을 지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IMS(106)는 차세대 IP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제어 인프라에 해당하며, 예를 들어, 아래의 도 2에 도시된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및 TAS(Telephony Application Server), 이외에도 MRF(Media Resource Function) 등과 같은 여러 기능 노드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송신 단말이 음성 발신에 따른 통화를 위해 5G 네트워크에서 LTE 네트워크로 천이하는 경우의 동작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말(101)은 IMS(106)로 Invite 메시지를 전송하여 음성 통화의 발신을 시도할 수 있다(110). Invite 메시지를 수신한 IMS(106)는 단말(101)에게 18X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115). 이때, 18X 메시지는 예를 들어, 필링 또는 링백톤(ring back tone)과 같은 호 응답을 대기 중임을 나타내는 메시지일 수 있다.
18X 메시지 전송 후, IMS(106)는 200 OK 메시지를 단말(101)에게 전송할 수 있다(120). 여기서, 200 OK는 IMS(106)가 단말(101)의 요청을 제대로 처리했음, 다시 말해 단말(101)의 통신 요청이 성공했음을 나타내는 성공 응답 상태 코드일 수 있다.
이후, IMS(106)는 4G 전용 베어러(Dedicated bearer) 생성과 동일하게 5G Core(104)에게 음성 전용 QoS Flow의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125). QoS Flow의 생성 요청을 수신한 5G Core(104)는 5G 네트워크의 5G 기지국(102)에게 음성 전용 QoS Flow의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130).
음성 전용 QoS Flow의 생성 요청을 수신한 5G 기지국(102)은 단말(101)에게 EPS Fallback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135). 5G 기지국(102)은 EPS Fallback을 위해 5G Core(104)에게 음성 전용 QoS Flow 생성 거부를 통보할 수 있다(140).
5G 기지국(102)으로부터 EPS Fallback 요청을 수신한 단말(101)은 4G 기지국을 탐색할 수 있다(145). 여기서, EPS Fallback 요청은 5G 단말이 5G 네트워크에 상주하는 것을 허용하지만 4G 네트워크에서 음성 업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4G 기지국은 EPS Fallback 프로세스를 통해 단말(101)을 4G 네트워크에 컷오버하고, VoLTE 서비스를 통해 단말(101)에게 음성 업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초기 호출 시도가 성공적으로 완료된 후, 단말(101)은 5G RRC 릴리스에 의해 5G 네트워크와의 무선 연결을 해제하고, VoLTE 서비스의 호출을 위해 새로운 무선 연결이 시작되는 4G 셀을 재선택 함으로써 음성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계(145)에서 4G 기지국이 탐색되면, 단말은 탐색된 4G 기지국을 통해 4G Core(105)로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150). 단계(150)의 접속 시도에 따라 4G Core(105)는 단말(101)에게 음성 전용 베어러(Dedicated bearer)의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155).
단말(101)은 단계(155)의 요청에 따라 음성 전용 베어러를 생성함으로써 IMS(106)로부터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160).
전술한 도 1의 과정에서 단말(101)이 LTE 네트워크로 천이하는 시점은 예를 들어, 단계(110)의 INVITE 메시지의 송신 후의 시점('Option 1'), 단계(115)의 18X 메시지의 수신한 후의 시점('Option 2'), 및 단계(120)의 200 OK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의 시점('Option 3')의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통신 사업자는 음성 품질을 고려하여 세 가지 옵션들 중 어느 한 옵션에 해당하는 시점을 선택하여 송신 단말에 대한 LTE 네트워크로의 천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단말 및 수신 단말 간의 음성 통화가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UE(User Equipment)(201), CSCF-TAS-CSCF(203), 및 UE(205)가 도시된다.
UE(201)은 예를 들어, 음성 통화를 요청하는 요청자의 송신 단말 혹은 발신 단말에 해당하고, UE(205)은 음성 통화 대상에 해당하는 응답자의 수신 단말 혹은 착신 단말에 해당할 수 있다.
CSCF-TAS-CSCF(203)는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및 TAS(Telephony Application Server)를 통합한 구성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서, CSCF는 P-CSCF(Proxy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I-CSCF(Interrogating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및 S-CSCF(Serving 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P-CSCF는 VoLTE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UE(201)가 세션 시그널링을 수행하기 위한 IMS 망의 최초의 접속점에 해당할 수 있다. P-CSCF는 예를 들어, UE와 IMS 코어망 사이에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메시지를 전송함에 의해 SIP 프록시(Proxy)로서 동작하고, 자신과 VoLTE UE 사이의 보안 연결(security associations)을 유지하며, LTE 무선 베어러의 생성 및/또는 해제를 위하여 P-CRF(Policy and Charging Rule Function)와 연동할 수 있다.
I-CSCF는 그 망의 특정 사용자에게 착신하기 위한 이동 통신 사업자 망 내의 접속점, 다시 말해, HSS(Home Subscriber Server)에 쿼리를 수행하는 역할을 하는 노드에 해당할 수 있다. I-CSCF는 IMS 등록(registration) 시에, 적절한 S-CSCF를 결정하기 위해 HSS에 문의할 수 있다. I-CSCF는 모바일 착신 호를 위해, 사용자의 UE가 어느 S-CSCF에 등록될 지를 결정하기 위해 HSS에 문의할 수 있다.
S-CSCF는 예를 들어, 세션 셋업, 세션 해제, 세션 제어 및 라우팅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S-CSCF는 세션에 대한 과금을 위해 기록들을 생성하고, HSS에서 수신한 IFC(Initial Filter Criteria)에 따라 AS(Application Server)를 호출할 수 있다. S-CSCF는 HSS와 I-CSCF가 할당한 VoLTE UE를 위한 SIP 레지스트라(registrar)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S-CSCF는 HSS로부터 가입자 프로파일을 수신하고, 호가 시작되면 호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TAS는 IMS에서 사용자들 사이의 멀티미디어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에 해당할 수 있다. TAS는 음성 호와 영상 호와 같은 전화 서비스 이외에도, 예를 들어, 발신자 표시 서비스, 발/착신 금지, 착신 전환, 레터링, 컬러링 등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TAS는 UE와 직접 연동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CSCF를 통한 SIP 인터페이스 또한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UE(201)가 UE(205)와의 음성 통화를 시도하는 경우에 음성 연결을 위한 동작을 UE(201)와 UE(205)가 주고받는 메시지를 기준으로 살펴본다.
UE(205)와의 음성 통화를 희망하는 UE(201)는 CSCF-TAS-CSCF(203)에게 INVITE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210). 여기서, INVITE 메시지는 호(call) 설정을 위해 초기 호출 시도를 전달하는 호 설정 메시지에 해당할 수 있다.
단계(210)에서 전송된 INVITE 메시지를 수신한 CSCF-TAS-CSCF(203)는 UE(201)에게 100 Trying 메시지를 전송(215)하는 한편, UE(205)에게 INVITE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220). 이때, 100 Trying 메시지는 UE(201)에게 CSCF-TAS-CSCF(203)가 처리 중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메시지로서, 전달 후에 별도의 응답을 요구하지 않는다.
단계(220)에서 전달된 INVITE 메시지에 의해 UE(205)에서는 페이징(Paging)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페이징'은 해당 단말기(예를 들어, UE(205))로 호가 착신되었을 때, 해당 단말기가 위치하는 영역 내의 모든 셀들을 통해 해당 단말기의 이동 가입자에게 착신호가 요구되고 있다는 것을 알리는 기능에 해당할 수 있다.
단계(220)에서 전달된 INVITE 메시지를 수신한 UE(205)는 CSCF-TAS-CSCF(203)에게 180 Ringing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225). 180 Ringing 메시지는 페이징에 대한 응답(Paging response)에 해당할 수 있다.
단계(225)에서 전송된 180 Ringing 메시지를 수신한 CSCF-TAS-CSCF(203)은 UE(201)에게 다시 180 Ringing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230). 여기서, 180 Ringing 메시지는 Early Media Session.을 위한 SDP 협상을 완료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200 OK 메시지의 전송 전에 전달될 수 있다.
단계(230)에서 전달된 180 Ringing 메시지를 수신한 UE(201)에서는 전화가 왔음을 알리는 호출음(Ring)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UE(205)는 단계(225)에서의 180 Ringing 메시지 전송 이후에 통화 시도를 위해 200 OK 메시지를 CSCF-TAS-CSCF(203)에게 전달할 수 있다(235). 이때, 200 OK 메시지는 단계(220)에서 수신한 INVITE 메시지에 대한 처리 결과로서 생성되는 응답 메시지에 해당할 수 있다.
단계(235)에서 전달된 200 OK 메시지를 수신한 CSCF-TAS-CSCF(203)은 200 OK 메시지를 UE(201)에게 다시 전달할 수 있다(240).
200 OK 메시지를 수신한 UE(201)는 200 OK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ACK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245). ACK 메시지는 CSCF-TAS-CSCF(203)를 거쳐 UE(205)에게 전달될 수 있다(250).
UE(201)가 전송한 ACK 메시지가 UE(205)에게 전달됨에 따라 UE(201)와 UE(205) 사이에는 Peer to Peer 간의 RTP 세션(Session)이 연결될 수 있다(255). RTP 세션이 연결됨에 따라 UE(201)와 UE(205) 간의 음성 연결, 다시 말해 음성 통화가 수행될 수 있다.
이후, 통화를 종료하고자 하는 UE(201)는 BYE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통화 종료를 시도할 수 있다(260). BYE 메시지는 CSCF-TAS-CSCF(203)를 거쳐 UE(205)에게 전달될 수 있다(265).
UE(205)는 단계(265)에서 전달된 BYE 메시지에 응답하는 200 OK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270). 단계(270)에서 전송된 200 OK 메시지는 CSCF-TAS-CSCF(203)를 거쳐 UE(201)에게 전달(275)되고, 이에 따라 음성 통화가 종료될 수 있다.
전술한 과정에서 송신 단말인 UE(201)가 음성 통화를 위한 LTE 네트워크로 천이하는 시점은 예를 들어, 단계(210)의 INVITE 메시지의 송신 후의 제1 시점('Option 1'), 단계(230)의 180 Ringing 메시지 수신 이후의 제2 시점('Option 2 '), 및 단계(240)의 200 OK 메시지 수신 이후의 제3 시점('Option 3') 중 어느 한 시점일 수 있다.
또한, 수신 단말인 UE(205)가 음성 통화를 위한 LTE 네트워크로 천이하는 시점은 예를 들어, 단계(220)의 INVITE 메시지의 수신 후의 제1 시점('Option 1'), 단계(225)의 180 Ringing 메시지 전송 이후의 제2 시점('Option 2 '), 및 단계(235)의 200 OK 메시지 전송 이후의 제3 시점('Option 3') 중 어느 한 시점일 수 있다.
수신 단말인 UE(205)는 제3 시점(Option 3)에 LTE 네트워크로 천이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전화를 아직 받지 않는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UE(205)가 미리 LTE 네트워크로 천이하게 된다. UE(205)는 음성 통화의 종료 혹은 발신자(송신 단말 UE(201))가 통화를 종료할 때까지 LTE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 수신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시점 또는 제2 시점에 LTE 네트워크로 천이되는 경우, 5G 서비스를 이용 중이던 UE(205)의 사용자가 전화를 받지 않더라도 이미 5G 네트워크에서 LTE 네트워크로 천이되어 5G 서비스의 단절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UE(205)가 LTE 네트워크로의 너무 이른 천이에 따라 발생하는 LTE 핸드오버(Handover)의 실패로 인해 데이터 품질 또한 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송신자 번호가 미리 등록된 번호인 경우 수신자가 통화를 시도할 확률이 높으므로 수신 단말은 페이징 이후에 미리 LTE 네트워크('제1 네트워크')로 천이할 수 있다. 송신자 번호는 송신 단말의 전화 번호로서, '발신 번호'라고도 부를 수 있다. 이하, 송신자 번호와 발신 번호는 동일한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수신 단말은 송신자 번호가 주소록에 저장되지 않았거나 수신 이력이 없는 번호일 경우, 호 응답 메시지(예를 들어, 200 OK 메시지) 전송 이후에 LTE 네트워크로 천이함으로써 5G 네트워크('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 단절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단말은 일정 조건의 만족 여부에 따라 5G 네트워크에서 LTE 네트워크로의 천이 시점을 자동으로 변경함으로써 5G 서비스의 단절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단말이 제2 네트워크에서 제1 네트워크로의 천이 시점을 자동으로 변경하는 방법은 아래의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단말의 통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단말은 송신 단말이 전송한 호 설정 메시지를 수신한다(310). 수신 단말은 예를 들어, 제2 네트워크의 5G SA(Stand Alone)를 지원하는 단말일 수 있다. 제2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5G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호 설정 메시지는 예를 들어, 도 2의 단계(220)에 도시된 INVETE 메시지일 수 있다.
수신 단말은 단계(310)에서 수신한 호 설정 메시지 내에 포함된 송신 단말의 송신자 번호를 기초로, 제2 네트워크에서 음성 통화를 위한 제1 네트워크로의 천이 시점을 결정한다(320). 제1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310)에서 수신한 호 설정 메시지 내의 필드(field)에 "From: <sip:0123456789@anritsu-cscf.com>;tag=1111111111"와 같은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고 하자. 이 경우, 수신 단말은 "0123456789"와 같은 송신 단말의 송신자 번호를 체크하여 제1 네트워크로의 천이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천이 시점은 예를 들어, 호 설정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의 제1 시점, 호 설정 메시지 수신 이후의 응답 대기 메시지를 전송한 이후의 제2 시점, 및 호 설정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이후의 제3 시점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이때, 제1 시점은 'Option 1'으로, 제2 시점은 'Option 2'로, 제3 시점은 'Option 3'으로 간략화하여 칭할 수 있다. 응답 대기 메시지는 예를 들어, 도 2의 단계(225)에 도시된 180 Ringing 메시지에 해당하고, 응답 메시지는 도 2의 단계(235)에 도시된 200 OK 메시지에 해당할 수 있다.
단계(320)에서, 수신 단말은 예를 들어, 수신 단말의 주소록 또는 통화 기록에 존재하는 전화 번호와 송신자 번호와의 매칭 여부를 결정하고, 매칭 여부에 따라 천이 시점을 변경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수신 단말은 수신 단말의 주소록 또는 통화 기록에 존재하는 전화 번호 이외에도 예를 들어, 소방서(119), 경찰서(112), 및 질병 관리 본부(1339) 등과 같이 잘 알려진 정부 기관 또는 콜 센터의 전화 번호 또한 수신 단말의 주소록에 저장된 번호로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신 단말의 주소록 또는 통화 기록에 존재하는 전화 번호와 송신자 번호가 매칭되는 경우, 수신 단말은 천이 시점을 제2 시점에서 제1 시점으로 변경하거나, 또는 제2 시점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시점은 수신 단말의 기본(default) 천이 시점에 해당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수신 단말의 주소록 또는 통화 기록에 존재하는 전화 번호와 송신자 번호가 매칭되지 않는 경우, 수신 단말은 천이 시점을 제2 시점에서 제3 시점으로 변경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호 설정 메시지에 포함된 송신자 번호가 미리 공개된 스팸 전화 번호 리스트 또는 스팸 전화 번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번호인 경우, 수신 단말은 호 설정 메시지의 수신을 무시하고, 제1 네트워크로의 천이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수신 단말은 단계(320)에서 결정된 천이 시점에 따라 제2 네트워크에서 제1 네트워크로 천이하여 음성 서비스를 제공한다(330).
실시예에 따라서, 수신 단말은 호 설정 메시지에 포함된 송신자 번호 이외에도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를 이용 중인지 여부를 더 고려하여 제1 네트워크로의 천이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를 이용 중인지 여부를 더 고려하는 실시예는 아래의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신 단말의 통신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단말은 송신 단말이 전송한 호 설정 메시지(예를 들어, "Invite" message)를 수신할 수 있다(410).
수신 단말은 단계(410)에서의 호 설정 메시지의 수신 시에 수신 단말이 미리 설정한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를 사용 중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420). 수신 단말은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를 사용 중인지 여부를 기초로, 천이 시점을 변경할 수 있다. 수신 단말의 제1 네트워크로의 천이 시점은 전술한 제2 시점('Option 2')이 기본(default)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한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는 예를 들어, 가상 현실 서비스(Virtual Reality Service), 증강 현실 서비스(Augmented Reality Service), 혼합 현실 서비스(Mixed Reality Service), 및 5G 게임 서비스(Game Ser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수신 단말의 사용자는 예를 들어, 수신 단말의 설정 화면을 통해 제1 네트워크로의 천이 시점의 변경 시에 고려되어야 하는 제2 네트워크의 특정 서비스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단계(420)에서 수신 단말이 미리 설정한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를 이용 중이라는 결정에 따라, 수신 단말은 예를 들어, 제2 시점에서 제3 시점('Option 3')으로 제1 네트워크로의 천이 시점('LTE 천이 시점')을 변경할 수 있다(430).
이와 달리, 단계(420)에서 수신 단말이 미리 설정한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를 이용 중이 아니라는 결정에 따라, 수신 단말은 예를 들어, 제2 시점에서 제1 시점('Option 1')으로 제1 네트워크로의 천이 시점을 변경하거나, 또는 제2 시점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신 단말은 단계(420)에서 수신 단말이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를 이용 중이 아니라는 결정에 더하여, 송신 단말의 발신 번호가 수신 단말의 주소록 또는 통화 기록에 존재하는 전화 번호와 매칭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440). 수신 단말은 단계(440)의 결정에 따라 천이 시점을 변경할 수 있다.
단계(440)에서 송신 단말의 송신자 번호가 수신 단말의 주소록 또는 통화 기록에 존재하는 전화 번호와 매칭되는 경우, 수신 단말은 제1 네트워크로의 천이 시점을 제2 시점에서 제1 시점('Option 1')으로 변경할 수 있다(450). 실시예에 따라서, 단계(440)에서 송신 단말의 송신자 번호가 수신 단말의 주소록 또는 통화 기록에 존재하는 전화 번호와 매칭되는 경우, 수신 단말은 제1 네트워크로의 천이 시점을 제2 시점으로 그대로 유지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단계(440)에서 송신 단말의 송신자 번호가 수신 단말의 주소록에 저장되어 있거나, 또는 통화 기록에 존재하는 전화 번호와 매칭되지 않는 경우, 수신 단말은 제1 네트워크로의 천이 시점을 제2 시점에서 제3 시점('Option 3')으로 변경할 수 있다(460).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단말(500)은 통신 인터페이스(510), 프로세서(530), 및 메모리(550)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510), 프로세서(530), 및 메모리(550)는 통신 버스(505)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510)는 송신 단말이 전송한 호 설정 메시지를 수신한다.
프로세서(530)는 호 설정 메시지 내에 포함된 송신 단말의 송신자 번호를 기초로, 제2 네트워크에서 음성 통화를 위한 제1 네트워크로의 천이 시점을 결정한다. 천이 시점은 예를 들어, 호 설정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의 제1 시점, 호 설정 메시지 수신 이후의 응답 대기 메시지를 전송한 이후의 제2 시점, 및 호 설정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이후의 제3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530)는 예를 들어, 수신 단말의 주소록에 저장되어 있거나, 또는 통화 기록에 존재하는 전화 번호와 송신자 번호와의 매칭 여부를 결정하고, 매칭 여부에 따라 천이 시점을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530)는 예를 들어, 전화 번호와 송신자 번호가 매칭되는 경우, 천이 시점을 제2 시점에서 제1 시점으로 변경하고, 전화 번화와 송신자 번호가 매칭되지 않는 경우, 천이 시점을 제2 시점에서 제3 시점으로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530)는 호 설정 메시지의 수신 시에 수신 단말이 미리 설정한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를 이용 중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530)는 수신 단말이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를 이용 중인지 여부를 기초로, 천이 시점을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는 예를 들어, 가상 현실 서비스, 증강 현실 서비스, 혼합 현실 서비스, 및 5G 게임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530)는 수신 단말이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를 이용 중이라는 결정에 따라 천이 시점을 제2 시점에서 제3 시점으로 변경하고, 수신 단말이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를 이용 중이 아니라는 결정에 따라 천이 시점을 제2 시점에서 제1 시점으로 변경하거나, 또는 천이 시점을 제2 시점으로 유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530)는 결정된 천이 시점에 따라 제2 네트워크에서 제1 네트워크로 천이하여 음성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프로세서(530)는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방법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방법에 대응되는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530)는 목적하는 동작들(desired operations)을 실행시키기 위한 물리적인 구조를 갖는 회로를 가지는 하드웨어로 구현된 데이터 처리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목적하는 동작들은 프로그램에 포함된 코드(code) 또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로 구현된 데이터 처리 장치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코어 프로세서(multi-core processor),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530)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수신 단말(500)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530)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 코드는 메모리(550)에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550)는 상술한 프로세서(530)에서의 처리 과정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메모리(550)는 각종 데이터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55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550)는 하드 디스크 등과 같은 대용량 저장 매체를 구비하여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500: 수신 단말
505: 통신 버스
510: 통신 인터페이스
530: 프로세서
550: 메모리

Claims (21)

  1. 송신 단말이 전송한 호 설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호 설정 메시지 내에 포함된 상기 송신 단말의 송신자 번호를 기초로, 제2 네트워크에서 음성 통화를 위한 제1 네트워크로의 천이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천이 시점에 따라 상기 제2 네트워크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로 천이하여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천이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는
    수신 단말의 주소록 또는 통화 기록에 존재하는 전화 번호와 상기 송신자 번호와의 매칭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매칭 여부에 따라 상기 천이 시점을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신 단말의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이 시점은
    상기 호 설정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의 제1 시점, 상기 호 설정 메시지 수신 이후의 응답 대기 메시지를 전송한 이후의 제2 시점, 및 상기 호 설정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이후의 제3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수신 단말의 통신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 여부에 따라 상기 천이 시점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전화 번호와 상기 송신자 번호가 매칭되는 경우, 상기 천이 시점을 제2 시점에서 제1 시점으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전화 번호와 상기 송신자 번호가 매칭되지 않는 경우, 상기 천이 시점을 상기 제2 시점에서 제3 시점으로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신 단말의 통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 설정 메시지의 수신 시에 상기 수신 단말이 미리 설정한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를 이용 중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천이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 단말이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를 이용 중인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천이 시점을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신 단말의 통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는
    가상 현실 서비스(Virtual Reality Service), 증강 현실 서비스(Augmented Reality Service), 혼합 현실 서비스(Mixed Reality Service), 및 5G 게임 서비스(Game Ser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수신 단말의 통신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를 이용 중인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천이 시점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 단말이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를 이용 중이라는 결정에 따라 상기 천이 시점을 제2 시점에서 제3 시점으로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신 단말의 통신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를 이용 중인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천이 시점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 단말이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를 이용 중이 아니라는 결정에 따라 상기 천이 시점을 제2 시점에서 제1 시점으로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신 단말의 통신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천이 시점을 제2 시점에서 상기 제1 시점으로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 단말이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를 이용 중이 아니라는 결정에 더하여, 상기 송신 단말의 송신자 번호가 상기 수신 단말의 주소록 또는 통화 기록에 존재하는 전화 번호와 매칭되는지 여부를 고려하여, 상기 천이 시점을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신 단말의 통신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번호와 매칭되는지 여부를 더 고려하여, 상기 천이 시점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송신 단말의 송신자 번호가 상기 수신 단말의 주소록 또는 통화 기록에 존재하는 전화 번호와 매칭되는 경우, 상기 천이 시점을 상기 제2 시점에서 상기 제1 시점으로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수신 단말의 통신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단말의 송신자 번호가 상기 수신 단말의 주소록 또는 통화 기록에 존재하는 전화 번호와 매칭되지 않는 경우, 상기 천이 시점을 상기 제2 시점에서 제3 시점으로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수신 단말의 통신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말은
    상기 제2 네트워크의 5G SA(Stand Alone)를 지원하는 단말을 포함하는,
    수신 단말의 통신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는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는 5G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수신 단말의 통신 방법.
  14.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2항, 제4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5. 송신 단말이 전송한 호 설정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호 설정 메시지 내에 포함된 상기 송신 단말의 송신자 번호를 기초로, 제2 네트워크에서 음성 통화를 위한 제1 네트워크로의 천이 시점을 결정하고, 상기 천이 시점에 따라 상기 제2 네트워크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로 천이하여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수신 단말의 주소록 또는 통화 기록에 존재하는 전화 번호와 상기 송신자 번호와의 매칭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매칭 여부에 따라 상기 천이 시점을 변경하는,
    수신 단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천이 시점은
    상기 호 설정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의 제1 시점, 상기 호 설정 메시지 수신 이후의 응답 대기 메시지를 전송한 이후의 제2 시점, 및 상기 호 설정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이후의 제3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수신 단말.
  17. 삭제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화 번호와 상기 송신자 번호가 매칭되는 경우, 상기 천이 시점을 제2 시점에서 제1 시점으로 변경하고,
    상기 전화 번호와 상기 송신자 번호가 매칭되지 않는 경우, 상기 천이 시점을 상기 제2 시점에서 제3 시점으로 변경하는,
    수신 단말.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호 설정 메시지의 수신 시에 상기 수신 단말이 미리 설정한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를 이용 중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수신 단말이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를 이용 중인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천이 시점을 변경하는,
    수신 단말.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는
    가상 현실 서비스, 증강 현실 서비스, 혼합 현실 서비스, 및 5G 게임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수신 단말.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 단말이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를 이용 중이라는 결정에 따라 상기 천이 시점을 제2 시점에서 제3 시점으로 변경하고,
    상기 수신 단말이 상기 제2 네트워크의 서비스를 이용 중이 아니라는 결정에 따라 상기 천이 시점을 제2 시점에서 제1 시점으로 변경하는,
    수신 단말.
KR1020200061855A 2020-05-22 2020-05-22 수신 단말의 통신 방법 및 수신 단말 KR102352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855A KR102352982B1 (ko) 2020-05-22 2020-05-22 수신 단말의 통신 방법 및 수신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855A KR102352982B1 (ko) 2020-05-22 2020-05-22 수신 단말의 통신 방법 및 수신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4459A KR20210144459A (ko) 2021-11-30
KR102352982B1 true KR102352982B1 (ko) 2022-01-18

Family

ID=78722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1855A KR102352982B1 (ko) 2020-05-22 2020-05-22 수신 단말의 통신 방법 및 수신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29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5943A1 (ko) * 2022-10-04 2024-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메타버스의 사용자와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89288B (zh) * 2008-01-16 2011-04-20 华为技术有限公司 演进分组网络中电路域业务的处理方法、系统及相关设备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일본 2011-512065 (2011.04.1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4459A (ko) 202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1239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diting, recalling, and deleting messages
US10492243B2 (en) Fallback indicators in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signaling
US11206291B2 (en) Session control logic with internet protocol (IP)-based routing
US8744054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call redialing
KR101050072B1 (ko) 듀얼 모드 무선 디바이스로의 호출 전달
US9042884B1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authorization of local breakout for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ervices
US2008000815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rallel Registration And Call Establishment
US20040249887A1 (en) Conversational bearer negotiation
EP3278548B1 (en) Routing multiple numbers for one telecommunications device
US8599821B2 (en) Method, terminal and network device for changing status of a packet switched domain
JP2011511520A (ja) パーソナルネットワークアクセス制御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00284267A1 (en) Call set-up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11122471B2 (en) On-demand circuit-switched (CS) network registration
US8335485B2 (en) Call routing
WO2008138252A1 (fr) Procédé pour obtenir et transmettre une information de position d&#39;un utilisateur et son dispositif de réseau
EP279728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etwork communication
KR102352982B1 (ko) 수신 단말의 통신 방법 및 수신 단말
EP2458781B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service control of i1 interface
EP199851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STATUS OF PACKET SWITCHED DOMAIN
US2010012871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etwork based services to private branch exchange endpoints
CN111328062A (zh) 一种VoLTE紧急电话的接通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