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2952B1 - 유효 성분 시트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전극패드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유효 성분 시트 - Google Patents

유효 성분 시트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전극패드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유효 성분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2952B1
KR102352952B1 KR1020210040088A KR20210040088A KR102352952B1 KR 102352952 B1 KR102352952 B1 KR 102352952B1 KR 1020210040088 A KR1020210040088 A KR 1020210040088A KR 20210040088 A KR20210040088 A KR 20210040088A KR 102352952 B1 KR102352952 B1 KR 102352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e ingredient
frame
sidewall
electrode pad
selective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0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라미
Original Assignee
(주) 일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일론 filed Critical (주) 일론
Priority to KR1020210040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2952B1/ko
Priority to KR1020220002622A priority patent/KR20220135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2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2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28Specially adapted for iontophoresis, e.g. AC, DC or including drug reservoi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28Specially adapted for iontophoresis, e.g. AC, DC or including drug reservoirs
    • A61N1/0432Anode and cathode
    • A61N1/0436Material of the electro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28Specially adapted for iontophoresis, e.g. AC, DC or including drug reservoirs
    • A61N1/0432Anode and cathode
    • A61N1/044Shape of the electro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28Specially adapted for iontophoresis, e.g. AC, DC or including drug reservoirs
    • A61N1/0444Membr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5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ontophoresis, i.e. transfer of media in ionic state by an electromotoric force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2037/0007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having means for enhancing the permeation of substances through the epidermis, e.g. using suction or depression, electric or magnetic fields, sound waves or chemical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카본 레이어를 통해 유효 성분 시트에 함유된 유효 성분을 피부에 효율적으로 침투시키는 유효 성분 시트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전극패드 프레임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극패드 프레임은, 피부와 맞닿는 유효 성분 시트가 고정되며 피부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프레임 측벽부, 상기 프레임 측벽부에 고정되며, 외부 전선이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전류를 전달하는 접속부 및 상기 프레임 측벽부의 내주면과 상면 중 적어도 일 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유효 성분 시트에 전류를 전달하는 카본 레이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효 성분 시트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전극패드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유효 성분 시트 {An electrode pad frame for selectively fixing an active ingredient sheet, a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an active ingredient sheet used therein}
본 발명은 유효 성분 시트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전극패드 프레임과 이를 포함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유효 성분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최근 식생활 문화의 변화와 운동 부족으로 인한 각종 성인병의 발생으로 더욱 건강에 관한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다양한 기능과 종류의 건강 관련 기기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통상적인 전기 치료는 신체에 직접 전류를 통하게 함으로써 환부를 치료하는 방법으로 전기 요법이라고도 하는 것으로,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전기치료는 주파수의 파형, 전류의 세기, 적용부위 등에 따라 그 기능이나 용도가 다양하다. 이러한 전기 치료 장치는 전기 전달 용법을 통해 생체 내부 온도를 높이고, 이와 동시에 생체 조직의 활력과 연관된 생물학적 현상을 유지시킬 수 있는 혈관확장이 일어날 수 있게 한다. 이를 통해 피의 순환을 증가시키며 영양과 산소의 공급을 개선시키고 세포 내 호흡과 독성 분해산물의 배출을 자극한다.
상기와 같은 의료용 목적 이외에도 전기를 이용하여, 피부 관리에 사용되는 피부에 유용한 유효 성분을, 피부에 효율적으로 침투시키는 방법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상기 유효 성분을 피부에 효율적으로 침투시키기 위해서는 유효 성분 시트가 전기가 잘 흐르도록 전극패드 프레임이 구성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상기 전극패드 프레임의 구조를 고안하여 상기 유효 성분의 피부 침투율을 높이는 것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것이 현실이다.
또한, 기존의 탈부착식 전극패드의 경우, 단순히 전기적 자극만 피부에 전달할 뿐 유효성분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지 않으며, 여러 사람의 피부에 반복적으로 탈부착되기 때문에 위생성이 담보될 수 없는 심각한 문제를 가지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7-037639호(2007.02.15.)
본 발명은 위생성이 향상된 유효 성분 시트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전극패드 프레임을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각종 유효 성분을 피부에 침투시켜 피부 미용 및 건강을 증진시키는 유효 성분 시트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전극패드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유효 성분 시트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전극패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유효 성분 시트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전극패드 프레임을 이용하는 유효 성분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부와 맞닿는 유효 성분 시트가 고정되며 피부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프레임 측벽부; 상기 프레임 측벽부에 고정되며, 외부 전선이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전류를 전달하는 접속부; 및 상기 프레임 측벽부의 내주면과 상면 중 적어도 일 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유효 성분 시트에 전류를 전달하는 카본 레이어;를 포함하는 유효 성분 시트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전극패드 프레임을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유효 성분 시트를 상기 프레임 측벽부와 상기 카본 레이어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측벽부의 내주면 하단을 연결하며, 상기 유효성분 시트가 안착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본 레이어는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위치되며,상기 고정부는 상기 카본 레이어와 마주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유효 성분 시트가 피부에 밀착되도록 중심부가 상측을 향해 만곡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측벽부와 연결되고, 상기 유효 성분 시트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도록 여닫이 방식으로 가동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측벽부는, 상기 유효 성분 시트가 삽입되는 슬라이딩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측벽부의 양측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측벽부를 사용자의 신체에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극패드 프레임은, 제1 서브 전극패드 프레임; 및 상기 제1 서브 전극패드 프레임과 결합되는 제2 서브 전극패드 프레임 ;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 전극패드 프레임의 프레임 측벽부는, 제1 서브 측벽부; 및 상기 제1 서브 측벽부와 대향되는 제2 서브 측벽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 측벽부는, 상기 제1 서브 측벽부의 일 단에서 돌출된 제1 측벽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서브 측벽부는, 상기 제2 서브 측벽부의 타단에서 내측으로 함입된 제1 측벽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서브 전극패드 프레임은, 상기 제1 측벽돌출부와 대응되며 상기 제1측벽돌출부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제2 측벽삽입부; 및 상기 제1 측벽삽입부와 대응되며 상기 제1측벽삽입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제2 측벽돌출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효 성분 시트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전극패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유효 성분 시트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전극패드 프레임에 이용되는 유효 성분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부 미용 및 건강을 증진시키는 유효 성분 시트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전극패드 프레임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패드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패드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패드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패드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패드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패드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패드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각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다음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명세서에서 유효 성분 시트는, 마스크 팩과 같이 섬유나 종이로 구비되며 비타민과 같은 영양물질 또는 보습제 등 피부에 좋은 유효성분이 함침된 일회용 시트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면을 포함하는 베이스(Base) 및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돌출된 프레임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및 상기 프레임 측벽부는 유효 성분 시트가 삽입되는 수용 공간을 정의하고, 상기 프레임 측벽부의 내주면 중 적어도 일 면에 카본 레이어(Carbon layer)가 배치되는, 유효 성분 시트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전극패드 프레임에 해당한다.
이하, 유효 성분 시트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전극패드 프레임을 전극패드 프레임이라 정의하고,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패드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극패드 프레임(100)은 필요에 따라 베이스(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는 제1 면(10a)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면(10a)은 상기 전극패드 프레임(100)의 바닥면 또는 상기 베이스(10)의 상면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극패드 프레임(100)은 상기 베이스(10)의 상기 제1 면(10a)으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돌출된 프레임 측벽부(SW)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는 상기 프레임 측벽부(SW)의 내주면 하단과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유효 성분 시트가 안착되는 곳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방향(D1)은 상기 제1 면(10a)으로부터 상기 프레임 측벽부(SW)가 돌출된 방향으로 정의되고, 제2 방향(D2)은 상기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정의되고, 제3 방향(D3)은 상기 제1 방향(D1) 및 상기 제2 방향(D2)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방향(D1)은 상기 제2 방향(D2) 및 상기 제3 방향(D3)과 수직 관계에 해당할 수 있고, 상기 제2 방향(D2)은 상기 제3 방향(D3)과 서로 수직 관계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 및 상기 프레임 측벽부(SW)는 유효 성분 시트(5)가 삽입되는 수용 공간(12)을 정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 공간(12)은 상기 베이스(10)와 상기 프레임 측벽부(SW)로 둘러싸여 상기 유효 성분 시트(5)가 수용되는 공간에 해당할 수 있다.
달리 설명하면, 상기 프레임 측벽부(SW)는 피부와 맞닿는 유효 성분 시트가 고정되며 피부에 선택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10)는 상기 유효 성분 시트의 하면을 지지하는 선택적인 구성으로, 상기 유효 성분 시트만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면 상기 프레임 측벽부(SW)만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10)의 중앙부는 상측을 향해 만곡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유효 성분 시트가 피부에 보다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 측벽부(SW) 중 피부와 맞닿는 상면에는 피부에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는 피부 점착부(SC)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피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본 레이어(CL)는 상기 프레임 측벽부(SW)의 상면과 내주면 중 적어도 일 부분에 구비되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본 레이어(CL)는 상기 프레임 측벽부(SW)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지만, 후술할 접속부(30)와 대응되는 프레임 측벽부(SW)의 내주면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카본 레이어(CL)는 상기 베이스(1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유효 성분 시트(5)에 전류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본 레이어(CL)는 전기전도성이 높은 카본블랙(Carbon black), 그라파이트, 팽창 그라파이트(Expanded Graphite),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CNT)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카본 레이어의 물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탄소(Carbon)를 기반으로 한 전기전도성이 뛰어난 물질이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측벽부(SW)는 상기 유효 성분 시트(5)를 고정하는 고정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20)는 상기 프레임 측벽부(SW)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상기 제2 방향(D2)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0)가 상기 프레임 측벽부(SW)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D2)으로 돌출됨에 따라 상기 유효 성분 시트(5)는 상기 고정부(20) 및 상기 카본 레이어(CL)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0)는 상기 유효 성분 시트(5)를 상기 프레임 측벽부(SW)와 상기 카본 레이어(CL)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20)는 상기 카본 레이어(CL)와 마주보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의 C-C' 단면도를 추가적으로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측벽부(SW)는 제1 서브 측벽부(SW1) 및 상기 제1 서브 측벽부(SW1)와 대향되는 제2 서브 측벽부(SW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측벽부(SW1) 및 상기 제2 서브 측벽부(SW2)는 상기 제3 방향(D3)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측벽부(CSW)는 상기 제1 서브 측벽부(SW1) 및 상기 제2 서브 측벽부(SW2)를 연결하는 측벽에 해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측벽부(CSW)는 상기 제2 방향(D2)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20)는 상기 제1 서브 측벽부(SW1)로부터 상기 제2 방향(D2)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20)는 상기 제2 서브 측벽부(SW2)로부터 상기 제2 방향(D2)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부(20)는 상기 프레임 측벽부(SW)의 내주면(SWI)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D2) 또는 상기 제2 방향(D2)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유효 성분 시트(5)는 상기 고정부(20), 상기 제1 서브 측벽부(SW1) 및 상기 카본 레이어(CL)로 둘러싸인 부분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측벽부(SW1)와 마찬가지로, 상기 유효 성분 시트(5)는 상기 고정부(20), 상기 제2 서브 측벽부(SW2) 및 상기 카본 레이어(CL)로 둘러싸인 부분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20)는 피부에 상기 전극패드 프레임(100)이 부착되는 피부 점착부(S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부 점착부(SC)는 최소한의 면적을 차지하는 것으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극패드 프레임(100)은 상기 카본 레이어(CL)를 외부 전선(32)과 연결시키는 접속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측벽부(SW)는 상기 접속부(30)와 대응되는 홀(H)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홀(H)을 통해 상기 외부 전선(32)이 상기 카본 레이어(CL)와 맞닿아 전류에 의해 상기 수용 공간(12)에 삽입된 유효 성분 시트(5)에 함유된 유효 성분이 피부에 침투될 수 있다. 달리 설명하면, 상기 접속부(30)는 상기 프레임 측벽부(SW)에 고정되며, 외부 전선이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전류를 전달할 수 있다.
도 1의 D-D'를 참고하면, 상기 베이스(10)의 제1 면(10a)은 볼록한 형태에 해당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패드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과 중복된 설명은 간략히 설명하거나 생략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패드 프레임(100)은, 상기 프레임 측벽부(SW)와 연결되고, 상기 유효 성분 시트(5)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도록 여닫이 방식으로 가동되는 덮개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덮개부(40)는 상기 연결측벽부(CSW)와 연결되어 개폐조절부(42)에 의해 여닫이 방식으로 가동될 수 있다. 상기 개폐조절부(42)는 상기 덮개부(40)를 상기 제1 서브 측벽부(SW1) 및 상기 제2 서브 측벽부(SW2)와 직접 연결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일 부재가 다른 부재와 '직접 연결된다'의 의미는 일 부재와 다른 부재 사이에 어떠한 부재가 개재되지 않는 것으로 정의된다.
상기 개폐조절부(42)는 상기 덮개부(40)를 가동시켜 상기 수용 공간(12)을 폐쇄하거나 개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패드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2와 중복된 설명은 간략히 설명하거나 생략한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패드 프레임(100)은 상기 유효 성분 시트(5)가 상기 수용 공간(12)으로 삽입되는 슬라이딩 슬릿(SH)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레임 측벽부(SW)는 상기 슬라이딩 슬릿(SH)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측벽부(CSW)는 상기 슬라이딩 슬릿(SH)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슬라이딩 슬릿(SH)을 통해 상기 유효 성분 시트(5)는 상기 수용 공간(12)으로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방향(D3)으로, 상기 유효 성분 시트(5)는 상기 수용 공간(12)으로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요에 따라 일 필름 상에 상기 유효 성분 시트(5)를 배치시킨 뒤, 상기 슬라이딩 슬릿(SH)을 통해 상기 유효 성분 시트(5)를 상기 수용 공간(12)으로 삽입시킬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슬릿(SH)의 폭과 높이는 상기 유효 성분 시트(5)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면 충분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패드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3과 중복된 설명은 간략히 설명하거나 생략한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패드 프레임(100)은 베이스 돌출부(10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돌출부(10P)는 상기 베이스(10)의 제1 면(10a)으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돌출부(10P)와 대응되게 상기 유효 성분 시트(5)는 시트 홀(5H)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베이스 돌출부의 개수나 시트 홀의 개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도 4에 도시된 것과 달리, 2개 이상에 해당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패드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패드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4와 중복된 설명은 간략히 설명하거나 생략한다.
도 5 및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패드 프레임(100)은 상기 프레임 측벽부의 양측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측벽부를 사용자의 신체에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연결부(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55)는 신체의 여러 몸 부위(상체, 하체)에 상기 전극패드 프레임(100)이 고정되게 할 수 있다. 달리 설명하면, 상기 연결부(55)의 일부는 상기 베이스(10)의 일 단과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연결부(55)의 다른 일부는 상기 베이스의 타 단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55)는 상기 베이스(10)의 외측면과 연결된 벨크로(Velcro) 구조, 버클 구조, 후크 구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벨크로(50)는 갈고리부(50a) 및 상기 갈고리부(50a)와 대응되는 걸림고리부(5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갈고리부(50a)는 상기 걸림고리부(50b)와 접착되어 상기 전극패드 프레임(100)은 인체의 여러 몸 부위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벨크로(50)의 길이는 신체의 몸 부위에 따라서 다양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버클(60)은 버클고리부(60a) 및 상기 버클고리부(60a)와 대응되는 고리삽입부(60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클걸고리(62)는 상기 버클고리부(60a)로부터 상기 제2 방향(D2)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버클걸고리(62)는 3개의 고리로 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클걸고리(62)는 상기 고리삽입부(60b) 내부에 있는 구멍에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멍은 상기 버클걸고리(62)의 형상과 일치하여 상기 고리삽입부(60b)와 상기 버클고리부(60a)는 결합될 수 있다.
도 5 및 6에 도시된 것과 달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패드 프레임(100)은 상기 버클(60) 및 상기 벨크로(50)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연결부(5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패드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6과 중복된 설명은 간략히 설명하거나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제1, 제2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성요소를 특정한 것으로 제1 부재는 제2 부재가 될 수 있고, 제2 부재는 제1 부재가 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패드 프레임(100)은 제1 서브 전극패드 프레임(100a) 및 상기 제1 서브 전극패드 프레임(100a)과 결합되는 제2 서브 전극패드 프레임(100b)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극패드 프레임(100)은 상기 제1 서브 전극패드 프레임(100a) 및 상기 제2 서브 전극패드 프레임(100b)이 서로 결합되어 일체로 구성된 것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전극패드 프레임(100a)은 상기 제1 서브 전극패드 프레임(100a)의 내주면 중 적어도 일 면에 배치된 제1 서브 카본 레이어(CL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카본 레이어(CL1)는 상기 카본 레이어(CL)와 구성이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전극패드 프레임(100a)은 상기 베이스(10)로부터 상기 제1방향(D1)으로 돌출된 프레임 측벽부(SW)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전극패드 프레임(100a)의 프레임 측벽부(SW)는, 제1 서브 측벽부(SW1), 상기 제1 서브 측벽부(SW1)와 대향되는 제2 서브 측벽부(SW2) 및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측벽부(SW1, SW2)를 연결하는 연결측벽부(CSW)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벽돌출부(SW1P)는 상기 제1 서브 측벽부(SW1)의 일 단에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서브 측벽부(SW1)는 상기 제1 서브 측벽부(SW1)의 일 단으로부터 상기 제3 방향(D3)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1 측벽돌출부(SW1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서브 측벽부(SW2)는, 상기 제2 서브 측벽부(SW2)의 타단에서 내측으로 함입된 제2 측벽삽입부(SW2H)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서브 측벽부(SW2)의 타단은, 상기 제1 서브 측벽부(SW1)의 일 단과 대향될 수 있고, 상기 제2 방향(D2)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서브 측벽부(SW2)는 상기 제2 서브 측벽부(SW2)의 일 단으로부터 상기 제3 방향(D3)으로 구멍이 파여진 제2 측벽삽입부(SW2H)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벽돌출부(SW1P)와 상기 제2 측벽삽입부(SW2H)는 서로 대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측벽삽입부(SW2H)는 상기 제2 측벽돌출부(SW2P)와 대응되며 상기 제2 측벽돌출부(SW2P)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제2 서브 전극패드 프레임(100b)은, 상기 제2 서브 전극패드 프레임(100b)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D1)으로 돌출된 제1 연장 측벽부(LSW1), 제2 연장 측벽부(LSW2) 및 연장 연결측벽부(LCSW)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장 측벽부(LSW1)는 상기 제1 서브 측벽부(SW1)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장 측벽부(LSW1)는, 상기 제1 서브 측벽부(SW1)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3 방향(D3)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장 측벽부(LSW2)는 상기 제2 서브 측벽부(SW2)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연장 측벽부(LSW2)는, 상기 제2 서브 측벽부(SW2)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3 방향(D3)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연장 측벽부(LSW1)는 상기 제2 연장 측벽부(LSW2)와 대향될 수 있다. 상기 연장 연결측벽부(LCSW)는 상기 제1 연장 측벽부(LSW1) 및 상기 제2 연장 측벽부(LSW2)를 연결하는 측벽부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2 서브 전극패드 프레임(100b)은, 상기 제1 측벽돌출부(SW1P)와 대응되며 상기 제1 측벽돌출부(SW1P)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제1 측벽삽입부(SW1H) 및 상기 제2 측벽삽입부(SW2H)와 대응되며 상기 제2 측벽삽입부(SW2H)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제2 측벽돌출부(SW2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서브 전극패드 프레임(100b)은 상기 제2 서브 전극패드 프레임(100b)의 내주면 중 적어도 일 면에 배치된 제2 서브 카본 레이어(CL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서브 카본 레이어(CL2)는 상기 제1 서브 카본 레이어(CL1)와 구성이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서브 카본 레이어(CL1)가 카본블랙으로 이루어진 카본 레이어일 때, 상기 제2 서브 카본 레이어(CL2)는 탄소나노튜브로 이루어진 카본 레이어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2 서브 전극패드 프레임(100b)은 상기 제1 연장 측벽부(LSW1)의 일 단으로부터 상기 제3 방향(D3)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구멍이 파여진 제1 측벽삽입부(SW1H)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벽삽입부(SW1H)는 상기 제1 측벽돌출부(SW1P)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서브 전극패드 프레임(100b)은 상기 제2 연장 측벽부(LSW2)의 일 단으로부터 상기 제3 방향(D3)으로 돌출된 제2 측벽돌출부(SW2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측벽돌출부(SW2P)는 구멍이 파여진 상기 제2 측벽삽입부(SW2H)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유효 성분 시트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전극 패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장치에 해당한다.
상기 유효 성분 시트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전극 패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장치는 상기 접속부와 연결된 외부 전선과, 상기 외부 전선에 전류를 공급하는 파동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동발생기는,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장치 또는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유효 성분 시트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전극패드 프레임에 이용되는, 유효 성분 시트에 해당한다.
이상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5: 유효 성분 시트 10: 베이스
10a: 베이스의 제1 면 12: 수용 공간
CL: 카본 레이어 SC: 피부 점착부
SW: 프레임 측벽부 SW1: 제1 서브 측벽부
SW2: 제2 서브 측벽부 SWI: 내주면
CSW: 연결측벽부 H: 홀
20: 고정부 D1: 제1 방향
D2: 제2 방향 D3: 제3 방향
30: 접속부 32: 외부 전선
100: 전극패드 프레임 40: 덮개부
CSW: 연결측벽부 42: 개폐조절부
SH: 슬라이딩 슬릿 5H: 시트 홀
10P: 베이스 돌출부 50: 벨크로
50a: 갈고리부 50b: 걸림고리부
55: 연결부 60: 버클
60a: 버클고리부 60b: 고리삽입부
62: 버클걸고리 CL1: 제1 서브 카본 레이어
CL2: 제2 서브 카본 레이어 SW1P: 제1 측벽돌출부
SW1H: 제1 측벽삽입부 SW2P: 제2 측벽돌출부
SW2H: 제2 측벽삽입부 LSW1: 제1 연장 측벽부
LSW2: 제2 연장 측벽부 LCSW: 연장 연결측벽부
100a: 제1 서브 전극패드 프레임 100b: 제2 서브 전극패드 프레임

Claims (10)

  1. 피부와 맞닿는 유효 성분 시트가 고정되며 피부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프레임 측벽부;
    상기 프레임 측벽부에 고정되며, 외부 전선이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전류를 전달하는 접속부;
    상기 프레임 측벽부의 내주면과 상면 중 적어도 일 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유효 성분 시트에 전류를 전달하는 카본 레이어; 및
    상기 유효 성분 시트를 상기 프레임 측벽부와 상기 카본 레이어에 고정하는 고정부; 를 포함하는
    유효 성분 시트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전극패드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프레임 측벽부의 내주면에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 성분 시트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전극패드 프레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측벽부의 내주면 하단을 연결하며, 상기 유효 성분 시트가 안착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본 레이어는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카본 레이어와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유효 성분 시트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전극패드 프레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유효 성분 시트가 피부에 밀착되도록 중심부가 상측을 향해 만곡되도록 구비된
    유효 성분 시트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전극패드 프레임.
  5. 피부와 맞닿는 유효 성분 시트가 고정되며 피부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프레임 측벽부;
    상기 프레임 측벽부에 고정되며, 외부 전선이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전류를 전달하는 접속부;
    상기 프레임 측벽부의 내주면과 상면 중 적어도 일 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유효 성분 시트에 전류를 전달하는 카본 레이어; 및
    상기 프레임 측벽부와 연결되고, 상기 유효 성분 시트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도록 여닫이 방식으로 가동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유효 성분 시트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전극패드 프레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측벽부는,
    상기 유효 성분 시트가 삽입되는 슬라이딩 슬릿을 포함하는,
    유효 성분 시트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전극패드 프레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측벽부의 양측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측벽부를 사용자의 신체에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유효 성분 시트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전극패드 프레임.
  8. 피부와 맞닿는 유효 성분 시트가 고정되며 피부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프레임 측벽부;
    상기 프레임 측벽부에 고정되며, 외부 전선이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전류를 전달하는 접속부;
    상기 프레임 측벽부의 내주면과 상면 중 적어도 일 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유효 성분 시트에 전류를 전달하는 카본 레이어;
    를 포함하는 전극패드 프레임에 있어서,
    제1 서브 전극패드 프레임; 및
    상기 제1 서브 전극패드 프레임과 결합하는 제2 서브 전극패드 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 전극패드 프레임의 프레임 측벽부는,
    제1 서브 측벽부; 및
    상기 제1 서브 측벽부와 대향되는 제2 서브 측벽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 측벽부는,
    상기 제1 서브 측벽부의 일 단에서 돌출된 제1 측벽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서브 측벽부는,
    상기 제2 서브 측벽부의 타단에서 내측으로 함입된 제1 측벽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서브 전극패드 프레임은,
    상기 제1 측벽돌출부와 대응되며 상기 제1 측벽돌출부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제2 측벽삽입부; 및
    상기 제1 측벽삽입부와 대응되며 상기 제1 측벽삽입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제2 측벽돌출부;
    를 포함하는
    유효 성분 시트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전극패드 프레임.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효 성분 시트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전극패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 장치.
  10. 제1항 내지 제8항 어느 한 항에 따른 유효 성분 시트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전극패드 프레임에 이용되는 유효 성분 시트.
KR1020210040088A 2021-03-29 2021-03-29 유효 성분 시트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전극패드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유효 성분 시트 KR102352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088A KR102352952B1 (ko) 2021-03-29 2021-03-29 유효 성분 시트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전극패드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유효 성분 시트
KR1020220002622A KR20220135151A (ko) 2021-03-29 2022-01-07 유효 성분 시트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전극패드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유효 성분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088A KR102352952B1 (ko) 2021-03-29 2021-03-29 유효 성분 시트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전극패드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유효 성분 시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2622A Division KR20220135151A (ko) 2021-03-29 2022-01-07 유효 성분 시트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전극패드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유효 성분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2952B1 true KR102352952B1 (ko) 2022-01-19

Family

ID=8005272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088A KR102352952B1 (ko) 2021-03-29 2021-03-29 유효 성분 시트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전극패드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유효 성분 시트
KR1020220002622A KR20220135151A (ko) 2021-03-29 2022-01-07 유효 성분 시트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전극패드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유효 성분 시트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2622A KR20220135151A (ko) 2021-03-29 2022-01-07 유효 성분 시트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전극패드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유효 성분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5295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7639A (ja) * 2005-08-01 2007-02-15 Transcutaneous Technologies Inc 電極及び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装置
KR20140022783A (ko) * 2010-12-22 2014-02-25 데이고꾸세이약꾸가부시끼가이샤 이온 도입 치료법에 사용되는 전극 패드
KR20170025861A (ko) * 2015-08-31 2017-03-08 주식회사 지에이치엘 그래핀 하이브리드 물질을 이용한 기능성 성형 구조물이 적용되는 치료장치
JP2018511410A (ja) * 2015-03-31 2018-04-26 オーキッド メディカル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 弾性の抗菌フィルムおよびそれから作られるソケッ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7639A (ja) * 2005-08-01 2007-02-15 Transcutaneous Technologies Inc 電極及びイオントフォレーシス装置
KR20140022783A (ko) * 2010-12-22 2014-02-25 데이고꾸세이약꾸가부시끼가이샤 이온 도입 치료법에 사용되는 전극 패드
JP2018511410A (ja) * 2015-03-31 2018-04-26 オーキッド メディカル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 弾性の抗菌フィルムおよびそれから作られるソケット
KR20170025861A (ko) * 2015-08-31 2017-03-08 주식회사 지에이치엘 그래핀 하이브리드 물질을 이용한 기능성 성형 구조물이 적용되는 치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151A (ko) 2022-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3642A (en) Compact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or
US20180154143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Stimulating Nerves
AU2002305786B2 (en) Electro-acupuncture device with D-shaped stimulation
JP5676445B2 (ja) 機能的または治療的な神経刺激を提供する携帯型アセンブリ、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4723536A (en) External magnetic field impulse pacemaker non-invasive method and apparatus for modulating brain through an external magnetic field to pace the heart and reduce pain
KR101705067B1 (ko) 피부관리장치
US20160235978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stimulating nerves
US20120101342A1 (en) Pediatric tissue illuminator
WO2003039652A3 (en) Full-body charger for battery-powered patient implantable device
CN109069853A (zh) 包括发光元件的皮肤附着物及其保管装置
Khanna Implantable medical electronics
EP3057652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stimulating nerves
AU2020200273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stimulating nerves
KR102352952B1 (ko) 유효 성분 시트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전극패드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유효 성분 시트
US534444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imulating growth and healing of living tissues
CN108853725B (zh) 能对头、颈及肩部施行电疗按摩的装置
CN104706517A (zh) 一种一体化面瘫治疗箱
KR20190123190A (ko) 초음파, 저주파 및 온열 치료 기능이 결합된 일체형 패드를 가지는 휴대가 용이한 하지근력 강화 및 관절염 통증치료기
KR102140505B1 (ko) 전기적 근육 자극용 패드
Rao et al. Principles of medical electronics and biomedical instrumentation
KR20120137721A (ko) 색광 치료용 패치 충전기
CN204723375U (zh) 一种一体化面瘫治疗箱
CN209005049U (zh) 适用于中频治疗仪电极片的辅助套件
KR20190105451A (ko) 음파 치료 기능이 부가된 고주파 치료기용 전극 유닛
KR102663667B1 (ko) 고주파 온열 치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