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2867B1 - 접이식 야외용 물품의 프레임 - Google Patents

접이식 야외용 물품의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2867B1
KR102352867B1 KR1020200025566A KR20200025566A KR102352867B1 KR 102352867 B1 KR102352867 B1 KR 102352867B1 KR 1020200025566 A KR1020200025566 A KR 1020200025566A KR 20200025566 A KR20200025566 A KR 20200025566A KR 102352867 B1 KR102352867 B1 KR 102352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b member
coupled
coupling holes
coupling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5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0088A (ko
Inventor
김천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엔지레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엔지레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엔지레져
Priority to KR1020200025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2867B1/ko
Publication of KR20210110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0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2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2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10Camp, travelling, or sports stools
    • A47C9/105Camp, travelling, or sports stools having several foldable or detachable legs converging in one poi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28Folding chairs with flexible coverings for the seat or back elements
    • A47C4/30Attachment of upholstery or fabric to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5/00Chairs of special materials
    • A47C5/04Metal chairs, e.g. tubular
    • A47C5/10Tubular chairs of 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type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과 평행하게 수평으로 배치되는 연결관체와, 상기 연결관체의 좌, 우 양측에 각각 결합되고,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의 결합홀을 방사상으로 배치한 허브부재와, 상기 허브부재의 결합홀들 중 상향으로 배치된 결합홀들에 각각 일측단이 분리가능하게 결합하고, 대향진 타측단은 상측을 향하는 복수 개의 지지관체, 및 상기 허브부재의 결합홀들 중 하향으로 배치된 결합홀들에 각각 일측단이 분리가능하게 결합하고, 대향진 타측단은 하측을 향하는 복수 개의 다리관체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관체는 해당 각도로 굽어 만곡형을 이루도록 인발 형성되며, 상기 허브부재의 결합홀에 결합되는 각도에 따라 높이 변위가 가변되도록 하여, 상기 허브부재의 결합홀에 결합하는 다리관체의 결합 각도로 사용 환경에 알맞게 더 다양하게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함은 물론, 각도 조절을 위한 결합홀을 허브부재의 부피가 작아지고, 각도 조절을 위해 관체를 완전히 빼서 다른 홀에 끼워넣는 등의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는 접이식 야외용 물품의 프레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접이식 야외용 물품의 프레임{Frames for folding outdoor items}
본 발명은 접이식 야외용 물품의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탄성줄에 의해 서로 연결된 다수의 관체를 허브부재에 결합하여, 접이식 침대, 의자, 테이블 등을 이루는 접이식 야외용 물품의 프레임에서 상기 허브부재의 결합홀에 결합되면서 지면을 향하는 다리관체의 결합 각도를 가변시킴으로 접이식 물품의 높낮이 및 기울기를 변위할 수 있도록 한 접이식 야외용 물품의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접이식 의자, 접이식 테이블 등을 포함하는 접이식 야외용 물품(가구)의 경우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접이식 야외용 물품의 일 예로, 한국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176740호의 "휴대용 의자"와 미국특허공보 특허번호 제5,709,428호의 "접이식 가구"가 개시된 바 있다.
종래의 접이식 야외용 물품은, 양측의 지지부재를 수평프레임으로 서로 고정하고 이들 양측의 지지부재엔 상, 하, 전, 후 방향으로 각각 프레임을 구성하되, 이들 프레임 중 하부 위치엔 다리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하부프레임을 설치하고 상부 위치엔 시트를 고정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상부프레임을 서로 결합 설치하며, 이들 여러 프레임 중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프레임엔 앉기 위한 시트를 결합하여 접이식으로 활용할 수 있게 구성이 이루어진 형태를 가진다.
이들 선행기술은 공통적으로 양측의 지지부재와 서로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상, 하부프레임의 경우 원통형 파이프 형태로 구성되고 단순히 탄성줄과 함께 지지부재와 서로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관계로, 사용자가 시트에 앉아서 하중이나 외력이 이들 프레임에 가해지는 경우 또는 이들 프레임과 지지부재를 서로 결합하는 과정에서 제대로 바른 위치에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엔 특히 하부 프레임과 바닥면과 서로 맞닿게 되는 위치가 불안정하게 유지되어 앉은 사용자의 자세 역시 불안정하게 되어 사용상 불편함은 물론, 심지어 의자가 넘어지거나 하여 안전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리고 종래기술은 물품을 사용한 후에 이를 접어 보관 또는 운반이 편리하게 구성한다고 하지만, 실제로 사용하는 경우 접이식 물품에 대하여 높낮이를 조절할 수 없는 관계로 일단 조립된 상태에서는 단지 기존의 고정형 물품과 마찬가지로 그대로 사용하여야만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들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시트 형태의 좌판시트나 침대시트의 경우에도 폭을 좁거나 넓게 가변적으로 활용할 수는 없고, 일단 조립된 상태에서는 단지 기존의 고정형 물품과 마찬가지로 그대로 사용하여야만 하는 단점과 함께 팽팽하게 당기거나 이를 조절하기 위한 방안이 전혀 없기 때문에 불편함을 감수하여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 제10-1917731호(2018.11.06)에서는 "접이식 물품의 탄성줄 프레임 변위장치"을 제시한 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의자, 침대, 텐트 등을 포함하는 접이식 물품에서 연결조립부재와 탄성줄로 탄성줄 프레임을 서로 연결 결합하여 접이식 물품의 다리나 지지프레임을 구성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탄성줄의 일측이 고정 설치되거나 경유할 수 있게 결합되고 상기 탄성줄의 다른 일측과 결합된 탄성줄 프레임을 설치각도를 달리하여 선택적으로 변위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탄성줄 프레임의 단면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복수개의 결합홈을 구성한 연결조립부재와, 일측은 상기 연결조립부재와 결합 설치되거나 경유할 수 있게 설치되고 다른 일측은 탄성줄 프레임과 결합 설치되어 탄성줄 프레임이 탄성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구성되는 탄성줄과, 그리고 상기 탄성줄의 일측과 결합 설치되고 상기 연결조립부재에 탄성적으로 끼우거나 분리할 수 있게 구성되는 탄성줄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결합홈 상호 간엔 상기 탄성줄이 통과되도록 상기 결합홈의 지름보다 작은 슬릿 형상의 개방구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탄성줄이 복수 결합홈 중 어느 결합홈에 위치하더라도 이들 개방구를 통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이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개의 결합홈은 상기 결합홈들 상호간 간격이 내측으로 갈수록 좁아짐에 따라 서로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각도 조절을 위해 연결조립부재에 반듯이 둘 이상의 결합홈을 형성해야 하므로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탄성줄 프레임을 일일이 끼워넣거나, 빼는 과정을 반복 실시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높낮이를 조절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관체가 결합하는 허브부재의 결합홀에 만곡형의 다리관체를 결합하여, 만곡형의 다리관체 결합 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사용 환경에 알맞게 더 다양하게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함은 물론, 각도 조절을 위한 결합홀을 허브부재의 부피가 작아지고, 각도 조절을 위해 관체를 완전히 빼서 다른 홀에 끼워넣는 등의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는 접이식 야외용 물품의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야외용 물품의 프레임은 지면과 평행하게 수평으로 배치되는 연결관체와, 상기 연결관체의 좌, 우 양측에 각각 결합되고,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의 결합홀을 방사상으로 배치한 허브부재와, 상기 허브부재의 결합홀들 중 상향으로 배치된 결합홀들에 각각 일측단이 분리가능하게 결합하고, 대향진 타측단은 상측을 향하는 복수 개의 지지관체, 및 상기 허브부재의 결합홀들 중 하향으로 배치된 결합홀들에 각각 일측단이 분리가능하게 결합하고, 대향진 타측단은 하측을 향하는 복수 개의 다리관체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관체는 해당 각도로 굽어 만곡형을 이루도록 인발 형성되며, 상기 허브부재의 결합홀에 결합되는 각도에 따라 높이 변위가 가변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허브부재의 결합홀을 적어도 사각 이상의 다각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허브부재의 결합홀에 결합하는 상기 다리관체의 일측 단면을 적어도 사각 이상의 다각형으로 형성하여, 결합된 각도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다리관체의 타측단에는 지면과 면접하면서 유동을 방지하는 바닥지지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바닥지지부재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다리관체를 축으로 축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야외용 물품의 프레임은, 허브부재의 결합홀에 만곡형의 다리관체를 결합함에 따라 상기 만곡형의 다리관체의 결합 각도에 의해 접이식 물품의 높낮이 및 기울기를 선택적으로 변위할 수 있어, 사용 환경에 알맞게 더 다양한 각도로 접이식 물품의 높낮이 및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게 함은 물론, 각도 조절을 위한 결합홀을 허브부재에 형성할 필요가 없어 허브부재의 부피가 작아져 휴대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접이식 물품의 각도 조절을 위해 일일이 관체를 결합홀에서 빼서 다른 홀에 끼워넣을 필요가 없어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야외용 물품의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야외용 물품의 프레임 중 접이식 의자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의자의 실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의자의 만곡형 다리관체를 90°회전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의자의 만곡형 다리관체를 다시 90°회전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야외용 물품의 프레임 중 접이식 침대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침대의 만곡형 다리관체를 90°회전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침대의 만곡형 다리관체를 90°회전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야외용 물품의 프레임은, 탄성줄에 의해 서로 연결된 다수의 관체(10, 30, 40)를 허브부재(20)에 결합하여, 접이식 침대, 의자, 테이블 등의 사용을 위한 뼈대로서의 프레임을 이룬다.
이때, 본 발명은 상술의 허브부재(20)의 결합홀(21)에 결합되면서 지면을 향하는 다리관체(40)의 결합 각도를 가변시킴으로 접이식 물품의 높낮이 및 기울기를 변위할 수 있도록 함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야외용 물품의 프레임을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야외용 물품의 프레임은, 크게 연결관체(10)와, 허브부재(20)와, 복수 개의 지지관체(30), 및 복수 개의 다리관체(4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먼저, 연결관체(10)는 지면과 평행하게 수평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강성이 우수한 중공형 금속 파이프나 합성수지 파이프를 활용하여 제작이 이루어지고, 일측단 및 대향진 타측단에는 탄성줄(1)을 끼워 결합하기 편리하도록 결합통공이 형성된 마감부재(11)를 결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연결관체(10)의 좌, 우 양측에는 각각 허브부재(20)를 결합한다.
상술의 허브부재(20)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성형하거나 금속재를 이용하여 다이캐스팅이나 주형에 의한 주조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제작이 가능하고, 상술의 지지관체(30) 및 다리관체(40)를 끼워 결합하기 위한 설정의 위치와 각도를 가지는 복수 개의 결합홀(21)을 형성한다.
한편, 결합홀(21)의 내부에는 탄성줄(1)이 끼워져 결합하거나 경유할 수 있도록 결합홀(21) 보다 내경이 작은 관통홀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합홀(21)은 후술의 다리관체(40)의 회전을 통한 결합 각도 가변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그 수평 단면이 사각, 오각, 육각형, 팔각 중 어느 하나의 다각형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복수 개의 결합홀(21)은 상호 간에 탄성줄(1)이 통과하도록 결합홀(21)의 관통홀을 서로 연통할 수 있고, 허브부재(20)의 외주면(둘레)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일 실시예로 도시에서는 허브부재(2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측에 2개, 하측에 2개 총 4개의 결합홀(21)을 형성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결합홀(21)은 상기 허브부재(2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을 이룸에 따라 물품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한편, 상기 허브부재(20)의 결합홀(21)들 중 상향으로 배치된 결합홀(21)들에는 지지관체(30)를 결합하는데, 지지관체(30)는 복수 개로 각각의 일측단이 분리가능하게 허브부재(20)의 결합홀(21)들 중 상향으로 배치된 결합홀(21)에 결합하고, 대향진 타측단은 상측을 향한다.
상기 지지관체(30) 역시, 강성이 우수한 중공형 금속 파이프나 합성수지 파이프를 활용하여 제작이 이루어지고, 일측단 및 대향진 타측단에는 탄성줄(1)을 끼워 결합하기 편리하도록 결합통공이 형성된 마감부재(31)를 결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허브부재(20)의 결합홀(21)들 중 하향으로 배치된 결합홀(21)들에는 물품의 지지를 위해 바닥면(지면)에 접하는 다리관체(40)를 결합한다.
이때, 다리관체(40)는 복수 개로 각각의 일측단이 분리가능하게 허브부재(20)의 결합홀(21)들 중 하향으로 배치된 결합홀(21)에 결합하고, 대향진 타측단은 지면을 향한다.
한편, 상술의 다리관체(40)는 역시, 강성이 우수한 중공형 금속 파이프나 합성수지 파이프를 활용하여 제작이 이루어지는데, 필요에 따라 해당 각도로 굽어 만곡형을 이루도록 인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만곡형을 이루며 성형된 다리관체(40)는, 허브부재(20)의 결합홀(21)에 결합되는 각도에 따라 만곡된 부분의 위치가 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접이식 야외용 물품의 높이 변위가 가변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상술의 다리관체(40)를 허부부재(20)의 결합홀(21)에 대하여 만곡된 부분이 어느 위치에 놓이도록 결합하느냐에 따라 접이식 야외용 물품의 높이 변위가 가변된다.
이러한 만곡형의 다리관체(40)에 의한 높이 변위가 가변됨은 후술에서 실시예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다리관체(40)는 지지하는 물품의 용도에 따라 복수개가 사용되는데, 필요에 따라 다리관체(40) 중 일부는 일직선의 선형의 바 형태를 가지며, 만곡 형태의 다리관체와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다리관체(40)의 일측단에는 탄성줄(1)을 끼워 결합하기 편리하도록 결합통공이 형성된 마감부재(41)를 결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향진 타측단에는 지면과 면접하는 바닥지지부재(42)를 결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한 다리관체(40)는 그 형태에 따라 허브부재(20)의 결합홀(21)에 결합한 상태로 제어에 따라 결합홀(21)의 중심을 기준으로 축 회전하여, 만곡형의 다리관체(40)가 어느 한 방향으로 고정됨에 따라 접이식 야외용 물품의 높이 변위가 가변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일 실시예로, 상기 다리관체(40)는 회전이 단속되도록, 단면이 다각형인 상기 허브부재(20)의 결합홀(21)에 대응하여, 상기 다리관체(40)의 일측 수평 단면이 다각형으로 인발 형성한다.
또한, 접이식 물품의 특성상 요구되는 연결관체(10)와, 복수 개의 지지관체(30), 및 복수 개의 다리관체(40)의 수효나 설치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이 이루어지게 되며, 필요한 경우 별도의 연결관체도 고정 설치하기 위한 부위를 미리 마련할 수 있다.
더불어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다른 실시에로, 상기 바닥지지부재(42)는 필요에 따라 어느 한 방향으로 굴곡진 만곡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닥지지부재(42)를 선형의 다리관체(40) 또는 만곡형의 다리관체의 하부에 결합해 상기 다리관체(40)에 결합한 상태로 상기 다리관체(40)의 축을 기준으로 축 회전하여, 만곡형의 바닥지지부재(42)가 어느 한 방향으로 고정됨에 따라 접이식 야외용 물품의 높이 변위가 가변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탄성줄(1)은 탄성이 우수한 고무줄이나 스프링 등 다양한 형태의 줄을 활용할 수 있으며, 허브부재(10)의 결합홀(21)에 연결관체(10), 지지관체(30), 다리관체(40)를 탄성적으로 끼워 결합할 수 있게 구성이 이루어진다.
탄성줄(1)은 연결관체(10), 복수 개의 지지관체(30), 복수 개의 다리관체(40) 각각을 허브부재(10)의 결합홀(21)로부터 분리하고 연결관체(10), 복수 개의 지지관체(30), 복수 개의 다리관체(40)를 접고자 하는 경우 탄성줄(1) 자체가 가요성이 있어 자유롭게 접을 수 있도록 하는 역할과 함께, 연결관체(10), 복수 개의 지지관체(30), 복수 개의 다리관체(40) 각각이 허브부재(20)로부터 완전하게 독립적으로 분리되는 것은 아니고 상호간 연결된 상태는 유지하면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한 구성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야외용 물품으로 접이식 의자 및 접이식 침대를 예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이식 물품으로 접이식 의자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야외용 물품의 프레임은 상부에 의자시트(50)를 지지하도록 구성한다.
먼저,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연결관체(10)의 좌, 우측에 각각 구비된 허브부재(20)에 형성한 복수 개의 결합홀(21) 중 상측에서 전방을 향하는 결합홀(21)에 설정의 길이를 갖는 선형의 지지관체(30)를 결합하고, 지지관체(30)들의 끝부분에 의자시트(50)의 시트부를 결합한다.
이 상태에서도 사용자는 의자시트(50)의 시트부를 이용해 의자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허브부재(20)에 형성한 복수 개의 결합홀(21) 중 상측 후방에서 상향으로 향하는 결합홀(21)에 지지관체(30)를 결합하고, 지지관체(30)들의 끝부분에 의자시트(50)의 등받이부를 결합한다.
이와 같이, 허브부재(20)에 결합한 지지관체(30)들이 설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의자시트(50)는 팽팽하게 펼쳐지면서 탄력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보다 편안한 의자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접이식 의자의 다리로 다리관체(40)를 이용한다.
이때, 도시에서와 같이, 허브부재(20)에 형성한 복수 개의 결합홀(21) 중 하측 전방에 위치하는 결합홀(21)에 선형의 다리관체(40)를 결합한다.
그리고, 허브부재(20)에 형성한 복수 개의 결합홀(21) 중 가장 후방위치에 위치한 결합홀(21)에 만곡형의 다리관체(40)를 결합한다.
이와 같은 선형의 다리관체(40)와 만곡형의 다리관체(40)는 선택에 따라 그 결합위치가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의 구조에 따라, 사용자는 의자시트(50)에 앉아 등을 뒤로 충분하게 기대는 자세를 유지하더라도 안정적으로 균형을 자리 잡으면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의 상태에서 사용자는 만곡형의 다리관체(40)를 회전시켜 만곡된 부분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등받이 기울기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만곡형의 다리관체(40)를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결합함에 따라 -도 3 내지 도 5를 참조- 접이식 의자의 등받이 기울기는 선택적으로 가변되므로, 사용자 취향에 따라 등받이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도시에서는 의자시트(50)의 등받이부를 지지하는 위치의 다리관체(40)를 만곡형의 다리관체(40)로 적용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시트를 지지하는 위치의 다리관체(40) 또한 만곡형의 다리관체(40)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이식 물품으로 접이식 침대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야외용 물품의 프레임은 상부에 침대시트(60)를 지지하도록 구성한다.
이를 위해, 허브부재(20)에 형성한 복수 결합홀(21) 중 상측을 향하는 좌, 우측 결합홀(21)에는 지지관체(30)를 결합하고, 좌, 우 양측 지지관체(30)의 끝단에 구비된 지지후크에 침대시트(60)의 좌우를 각각 결합하면, 폭이 넓어진 침대시트(60)는 팽팽하게 펼쳐지면서 탄력을 좀 더 가질 수 있는 상태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허브부재(20)에 형성한 복수 개의 결합홀(21) 중 하측 좌, 우에 위치하는 결합홀(21)에 만곡형의 다리관체(40)를 결합하게 되면 다리관체(40)에 의해 사용자가 침대시트(60)에 누워도 안정적으로 균형을 잡으면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가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의 상태에서 사용자는 만곡형의 다리관체(40)를 회전시켜 만곡된 부분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 도 6 내지 도 8을 참조-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접이식 침대의 높이가 선택적으로 가변되므로, 사용자 취향에 따라 접이식 침대의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재차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야외용 물품의 프레임에 적용한 다리관체(40)는, 일 실시예로, 허브부재(20)의 결합홀(21)이 설정의 다각형임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끼워지는 일측 수평 단면을 다각형으로 형성하였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만곡형의 다리관체(40)를 결합홀(21)에서 일부 이탈시킨 다음 축 회전시키고 재차 결합홀(21)에 결합시킴으로 다리관체(40)의 결합 각도를 가변시켰다.
이때, 다리관체(40)의 결합된 단부는 접하는 다각형의 면 구조에 의해 힘이 지지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만곡형의 다리관체(40)를 허브부재(20)의 결합홀(21)을 중심으로 축 회전시켜 만곡된 부분의 위치를 변경하여 위치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구조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도시하진 않았지만 허브부재(20)와 다리관체(40)는 핀과 같은 별도의 결합부재를 이용해 고정시킬 수도 있다.
한편, 지면에 접하는 다리관체(40)의 바닥지지부재(42)는 다리관체(40)가 회전되어 재위치됨에 따라 지면과 접지되는 부분이 달라진다.
다시 말해, 만곡형의 다리관체(40)임에 따라 바닥지지부재(42)가 지면과 접하는 면 부분의 면적이 설정에 따라 달라지게 되며 이는 바닥지지부재(42)의 파손이나 지지력 약화를 가져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술의 바닥지지부재(42)를 다리관체(40)의 결합하는 단부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시켜 만곡형의 다리관체(40)를 회전시킴에 따라 바닥지지부재(42) 또한 회전시켜 지면에 접하는 면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탄성줄
10: 연결관체
11, 31, 41: 마감부재
20: 허브부재
21: 결합홀
30: 지지관체
40: 다리관체
42: 바닥지지부재
50: 의자시트
60: 침대시트

Claims (4)

  1. 지면과 평행하게 수평으로 배치되는 연결관체; 상기 연결관체의 좌, 우 양측에 각각 결합되고,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의 결합홀을 방사상으로 배치한 허브부재; 상기 허브부재의 결합홀들 중 상향으로 배치된 결합홀들에 각각 일측단이 분리가능하게 결합하고, 대향진 타측단은 상측을 향하는 복수 개의 지지관체; 및 상기 허브부재의 결합홀들 중 하향으로 배치된 결합홀들에 각각 일측단이 분리가능하게 결합하고, 대향진 타측단은 하측을 향하는 복수 개의 다리관체;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관체는 설정의 각도로 굽어 만곡형을 이루도록 인발 형성되며, 상기 허브부재의 결합홀에 결합되는 각도에 따라 높이 변위가 가변되도록 하되;
    상기 허브부재의 결합홀을 적어도 사각 이상의 다각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허브부재의 결합홀에 결합하는 상기 다리관체의 일측 단면을 적어도 사각 이상의 다각형으로 형성하여, 결합된 각도가 유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야외용 물품의 프레임.
  2. 삭제
  3. 지면과 평행하게 수평으로 배치되는 연결관체; 상기 연결관체의 좌, 우 양측에 각각 결합되고,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의 결합홀을 방사상으로 배치한 허브부재; 상기 허브부재의 결합홀들 중 상향으로 배치된 결합홀들에 각각 일측단이 분리가능하게 결합하고, 대향진 타측단은 상측을 향하는 복수 개의 지지관체; 및 상기 허브부재의 결합홀들 중 하향으로 배치된 결합홀들에 각각 일측단이 분리가능하게 결합하고, 대향진 타측단은 하측을 향하는 복수 개의 다리관체;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관체는 설정의 각도로 굽어 만곡형을 이루도록 인발 형성되며, 상기 허브부재의 결합홀에 결합되는 각도에 따라 높이 변위가 가변되도록 하되;
    상기 다리관체의 타측단에는 지면과 면접하면서 유동을 방지하는 바닥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지지부재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다리관체를 축으로 축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야외용 물품의 프레임.
  4. 삭제
KR1020200025566A 2020-02-28 2020-02-28 접이식 야외용 물품의 프레임 KR102352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566A KR102352867B1 (ko) 2020-02-28 2020-02-28 접이식 야외용 물품의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566A KR102352867B1 (ko) 2020-02-28 2020-02-28 접이식 야외용 물품의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0088A KR20210110088A (ko) 2021-09-07
KR102352867B1 true KR102352867B1 (ko) 2022-01-18

Family

ID=77797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5566A KR102352867B1 (ko) 2020-02-28 2020-02-28 접이식 야외용 물품의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28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18214B2 (en) * 2021-12-27 2023-08-08 Lear Corporation Modular seat with cable tension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430Y1 (ko) * 2015-04-07 2017-05-15 정홍기 이중프레임 캠핑용 의자
KR20180093552A (ko) * 2017-02-14 2018-08-22 주식회사 카라신 접이식 의자의 프레임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0088A (ko) 202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48740B1 (en) Collapsible chair
JP7114476B2 (ja) 折り畳みテーブル及び座席装置
US10758047B2 (en) Swinging chair with auto-reclining feature
US20180098641A1 (en) Convertible rocker
US10076981B2 (en) Climate comfort system for vehicle seat
KR102352867B1 (ko) 접이식 야외용 물품의 프레임
US9682640B2 (en) Air bladder reclining system for a vehicle seatback
US9776537B2 (en) Air suspended seat having auxiliary air supplies for comfort, dimensional adjustment, and personalized comfort DNA
KR101418235B1 (ko) 접이식 낚시용 의자
KR101917731B1 (ko) 접이식 물품의 탄성줄 프레임 변위장치
US20200288869A1 (en) Stackable Chair
US9206823B2 (en) Modular cylindrical seat system
KR102295001B1 (ko) 접이식 물품의 프레임 각도 변위장치
JP5705979B2 (ja) シート座面姿勢調整
EP3718438B1 (en) Sofa support structure and sofa thereof
CN210433155U (zh) 一种自动沙发铁架的伸展传动组件
JP6886699B2 (ja) 組み立て式座椅子
US7950744B2 (en) Collapsible integral foot rest
KR20120003573U (ko) 다기능 낚시의자
EP2292121B1 (en) Folding chair
KR200416750Y1 (ko) 테이블설치용절첩의자구조
CZ2011532A3 (cs) Sedací zarízení s výkyvnou sedací cástí
US20210112985A1 (en) Swinging chair with auto-reclining feature
KR20170034688A (ko) 2인용 접이식 의자
JPH011805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