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2491B1 - 안테나 및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안테나 및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2491B1
KR102352491B1 KR1020170102872A KR20170102872A KR102352491B1 KR 102352491 B1 KR102352491 B1 KR 102352491B1 KR 1020170102872 A KR1020170102872 A KR 1020170102872A KR 20170102872 A KR20170102872 A KR 20170102872A KR 102352491 B1 KR102352491 B1 KR 102352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ge
electronic device
circuit board
antenna element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2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8207A (ko
Inventor
서민철
윤힘찬
남호중
변준호
이윤재
이종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2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2491B1/ko
Priority to CN201810921077.0A priority patent/CN109390694B/zh
Priority to EP18189015.3A priority patent/EP3444895B1/en
Priority to PCT/KR2018/009309 priority patent/WO2019035626A1/en
Priority to US16/103,440 priority patent/US10623029B2/en
Publication of KR20190018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8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2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2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0Structural association of antennas with earthing switches, lead-in devices or lightning prot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64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separate antennas for the more than one ba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4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using equipment having another main function to serve additionally as an antenna, e.g. means for giving an antenna an aesthetic aspe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8Earthing means; Earth screens; Counterpoi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006Particular feeding systems
    • H01Q21/0025Modular arr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30Combinations of separate antenna units operating in different wavebands and connected to a common feeder sys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0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 H01Q5/342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for different propagation modes
    • H01Q5/35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for different propagation modes using a single feed point
    • H01Q5/364Creating multiple current paths
    • H01Q5/371Branching current path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78Combination of fed elements with parasitic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21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with a shorting wall or a shorting pin at one end of the el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04B1/3838Arrangements for reducing RF exposure to the user, e.g.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transceiver while in 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8Combinations of substantially independent non-interacting antenna units or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42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with particular tu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면,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를 둘러싸는 측면을 포함하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측면은 제1 방향을 향하고 제1 길이를 갖는 제1 엣지(a first edge), 상기 제1 엣지와 평행하고 상기 제1 길이를 갖는 제2 엣지(a second edge), 상기 제1 엣지의 일단과 상기 제2 엣지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3 엣지(a third edge), 및 상기 제1 엣지의 타단과 상기 제2 엣지의 타단을 연결하고 상기 제3 엣지와 평행한 제4 엣지(a forth edge)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제1 접지 영역을 포함하는 지지 부재,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제2 접지 영역을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상기 제1 접지 영역과 상기 제2 접지 영역을 복수의 지점에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스위치들, 상기 제1 엣지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제1 접지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안테나 엘리먼트(a first antenna element), 상기 제2 엣지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상기 제2 접지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안테나 엘리먼트(a second antenna element),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무선 통신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회로는 상기 제1 안테나 엘리먼트를 통해 형성되는 제1 전기적 경로에 기초하여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제2 안테나 엘리먼트를 통해 형성되는 제2 전기적 경로에 기초하여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동안 상기 복수의 스위치들의 ON/OFF 상태를 제1 배열로 설정하고,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동안 상기 복수의 스위치들의 ON/OFF 상태를 제2 배열로 설정하고, 상기 제1 배열 및 상기 제2 배열 각각에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는 ON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안테나 및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FOR INCLUDING THE SAME}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스위칭을 통해 안테나의 접지점을 변경시키는 기술과 관련된다.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로, 스마트폰(smartphone), 웨어러블(wearable) 기기 등 안테나를 구비한 전자 장치가 광범위하게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는 안테나를 통해 다른 전자 장치(예: 기지국, PC)와 통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안테나의 수를 증가 시켜 채널 용량을 증가시키는 MIMO(multi input multi output) 시스템을 통해 다른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MIMO 시스템을 통해 여러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안테나의 수를 증가시켜 다른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경우, 안테나 구조에 따라 기생 전류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단 안테나와 하단 안테나는 복수의 지점들을 통해 접지 영역을 공유할 수 있다. 복수의 지점들은 고정된 지점들일 수 있다. 상단 안테나와 하단 안테나는 여러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데, 상기 복수의 지점들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는 상기 복수의 지점들을 통해 기생 전류가 흐를 수 있다. 기생 전류는 상단 안테나 및 하단 안테나의 신호 송/수신율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자 장치는 다른 전자 장치와 통신이 불가능하거나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복수개의 안테나의 접지점을 동적으로 변경하여 기생 전류의 영향을 줄일 수 있는 방법 및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면,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를 둘러싸는 측면을 포함하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측면은 제1 방향을 향하고 제1 길이를 갖는 제1 엣지(a first edge), 상기 제1 엣지와 평행하고 상기 제1 길이를 갖는 제2 엣지(a second edge), 상기 제1 엣지의 일단과 상기 제2 엣지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3 엣지(a third edge), 및 상기 제1 엣지의 타단과 상기 제2 엣지의 타단을 연결하고 상기 제3 엣지와 평행한 제4 엣지(a forth edge)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제1 접지 영역을 포함하는 지지 부재,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제2 접지 영역을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상기 제1 접지 영역과 상기 제2 접지 영역을 복수의 지점에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스위치들, 상기 제1 엣지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제1 접지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안테나 엘리먼트(a first antenna element), 상기 제2 엣지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상기 제2 접지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안테나 엘리먼트(a second antenna element),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무선 통신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회로는 상기 제1 안테나 엘리먼트를 통해 형성되는 제1 전기적 경로에 기초하여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제2 안테나 엘리먼트를 통해 형성되는 제2 전기적 경로에 기초하여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동안 상기 복수의 스위치들의 ON/OFF 상태를 제1 배열로 설정하고,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동안 상기 복수의 스위치들의 ON/OFF 상태를 제2 배열로 설정하고, 상기 제1 배열 및 상기 제2 배열 각각에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는 ON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면,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를 둘러싸는 측면을 포함하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측면은 제1 방향을 향하고 제1 길이를 갖는 제1 엣지(a first edge), 상기 제1 엣지와 평행하고 상기 제1 길이를 갖는 제2 엣지(a second edge), 상기 제1 엣지의 일단과 상기 제2 엣지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3 엣지(a third edge), 및 상기 제1 엣지의 타단과 상기 제2 엣지의 타단을 연결하고 상기 제3 엣지와 평행한 제4 엣지(a forth edge)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제1 접지 영역을 포함하는 지지 부재,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제2 접지 영역을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상기 제1 접지 영역과 상기 제2 접지 영역을 복수의 지점에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스위치들, 상기 제1 엣지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제1 접지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안테나 엘리먼트(a first antenna element), 상기 제2 엣지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상기 제2 접지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안테나 엘리먼트(a second antenna element),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무선 통신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회로는 상기 제1 안테나 엘리먼트를 통해 형성되는 제1 전기적 경로 및 상기 제2 안테나 엘리먼트를 통해 형성되는 제2 전기적 경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동안 상기 복수의 스위치들의 ON/OFF 상태를 제1 배열로 설정하고,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스위치들의 ON/OFF 상태를 제2 배열로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스위치들의 ON/OFF 상태가 제2 배열로 설정되면, 상기 제1 전기적 경로 및 상기 제2 전기적 경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제1 배열 및 상기 제2 배열 각각에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는 ON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면,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 부재(side member)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1 면을 통해 노출되고 상기 공간 내부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제1 면에 평행하고 상기 공간 내부에 위치하는 제1 접지 평면(a first ground plane), 상기 제1 면에 평행하고 상기 공간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제1 접지 평면과 적어도 일부 중첩하는 제2 접지 평면(a second ground plane), 상기 제1 접지 평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측면 부재의 일부를 포함하는 제1 안테나 엘리먼트(a first antenna element), 상기 제2 접지 평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측면 부재의 다른 일부를 포함하는 제2 안테나 엘리먼트(a second antenna element), 상기 제1 안테나 엘리먼트 및 상기 제2 안테나 엘리먼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회로(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 및 상기 제1 접지 평면과 상기 제2 접지 평면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엘리먼트(switching el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안테나의 접지점을 변경하여 기생 전류를 감소시킴으로써 안테나들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지 부재와 인쇄 회로 기판이 연결되는 지점을 표시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 2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단 안테나 및 상단 안테나가 인쇄 회로 기판과 연결되는 구조를 나타낸다.
도 2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접지 영역과 제2 접지 영역을 연결하는 지점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d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과 지지 부재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a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의 결합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후면 커버, 인쇄 회로 기판, 및 후면 커버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c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4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지 부재와 인쇄 회로 기판이 결합하는 면을 각각 도시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 4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과 후면 커버가 결합하는 면을 각각 도시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평형 평판 웨이브 가이드를 나타낸다.
도 6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자기장의 세기를 표시한 평형 평판 웨이브 가이드를 나타낸다.
도 6b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기장의 세기를 표시한 평형 평판 웨이브 가이드를 나타낸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그래프들을 나타낸다.
도 8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간략화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 8b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간략화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 8c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간략화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 9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단 안테나 근처의 기생 전류 및 방사 효율을 도시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 9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단 안테나 근처의 기생 전류 및 방사 효율을 도시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1001)의 블럭도이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무선 통신 모듈, 전력 관리 모듈, 및 안테나 모듈에 대한 블럭도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하우징(110), 인쇄 회로 기판(120), 복수의 스위치들(131, 132, 133), 디스플레이(140), 차폐층(150), 및 배터리(16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전자 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10)은 제1 면,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 및 제1 면과 제2 면 사이를 둘러싸는 측면 부재(1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면은 전자 장치(100)의 z 방향 외관을 형성할 수 있고, 제2 면은 전자 장치(100)의 -z 방향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측면 부재(116)는 전자 장치(100)의 x 방향, -x 방향, y 방향, 및 -y 방향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면은 커버 글래스(112)로 참조될 수 있다. 커버 글래스(112)는 디스플레이(140)에 의해 생성된 빛을 투과시킬 수 있다. 또한, 커버 글래스(112) 상에서 사용자는 신체의 일부(예: 손가락)를 접촉하여 터치(전자 펜을 이용한 접촉을 포함함)를 수행할 수 있다. 커버 글래스(112)는, 예컨대, 강화 유리, 강화 플라스틱, 구부러질 수 있는(flexible) 고분자 소재 등으로 형성되어, 디스플레이(140) 및 전자 장치(100)에 포함된 각 구성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면은 후면 커버(114)로 참조될 수 있다. 후면 커버(114)는 전자 장치(100)에 결합되어 전자 장치(100) 내부에 배치되는 각종 부품들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후면 커버(114)는 전자 장치(100)의 측면 부재(116)와 일체로 구현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착탈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후면 커버(114)는, 강화유리, 플라스틱, 및/또는 금속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측면 부재(116)는 제1 사이드(116-1)(또는 제1 엣지), 제2 사이드(116-2)(또는 제2 엣지), 제3 사이드(116-3)(또는 제3 엣지), 및 제4 사이드(116-4)(또는 제4 엣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이드(116-1)는 제1 방향(예: x 방향 또는 -x 방향)을 향하고 제1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2 사이드(116-2)는 제1 사이드(116-1)와 평행하고 제1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3 사이드(116-3)는 제1 사이드(116-1)의 일단과 제2 사이드(116-2)의 일단을 연결할 수 있다. 제4 사이드(116-4)는 제3 사이드(116-3)와 평행하고 제1 사이드(116-1)의 타단과 제2 사이드(116-2)의 타단을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사이드(116-1) 내지 제4 사이드(116-4)가 둘러싸는 공간 내부에는 지지 부재(116b)(예: 브래킷(bracket))가 배치될 수 있다. 지지 부재(116b)는 측면 부재(116)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거나 측면 부재(116)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부재(116b)는 제3 사이드(116-3)에서 연장되어 제4 사이드(116-4)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116b)의 적어도 일부는 금속성 재질일 수 있다. 지지 부재(116b)의 적어도 일부가 금속성 재질로 구성되므로, 전자 장치(100)에 포함되는 각종 전자 부품(예: 안테나)은 지지 부재(116b)에 접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부재(116b)는 마그네슘 합금으로 구성될 수 있고, 안테나에 급전된 전류는 지지 부재(116b)로 흐를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지지 부재(116b) 중 금속성 재질로 구성된 부분은 제1 접지 영역(예: 도 2c의 제1 접지 영역(250))으로 참조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120)은 지지 부재(116b)와 후면 커버(1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쇄 회로 기판(120)에는 전자 장치(100)의 각종 전자 부품(예: 무선 통신 회로(121), 메모리 등)이 실장(mount) 혹은 배치(arrange)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120)은 단순히 메인보드, PBA(printed board assembly)등으로 참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쇄 회로 기판(120)은 복수의 층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층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금속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에 포함되는 각종 전자 부품(예: 안테나)은 상기 금속성 재질로 구성된 층(이하 제2 접지 영역)에 접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안테나에 급전된 전류는 제2 접지 영역(예: 도 2c의 제2 접지 영역(260))으로 흐를 수 있다.
복수의 스위치들(131, 132, 133)은 인쇄 회로 기판(1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스위치들(131, 132, 133)은 제1 접지 영역과 제2 접지 영역을 복수의 지점에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들(131, 132, 133)이 온 되면 제1 접지 영역과 제2 접지 영역이 복수의 지점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반대로 스위치들(131, 132, 133)이 오프 되면 제1 접지 영역과 제2 접지 영역 사이의 연결이 차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스위치들(131, 132, 133) 각각의 동작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위치(131) 및 제2 스위치(132)는 온 되고 제3 스위치(133)는 오프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접지 영역과 제2 접지 영역은 제1 스위치(131) 및 제2 스위치(132)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스위치가 온 되는 것은 스위치가 단락 됨으로써 제1 접지 영역과 제2 접지 영역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반대로 스위치가 오프 되는 것은 스위치가 개방 됨으로써 제1 접지 영역과 제2 접지 영역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무선 통신 회로(121)는 제1 안테나 엘리먼트 및 제2 안테나 엘리먼트와 지정된 배선(예: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안테나 엘리먼트는 제1 사이드(116-1)의 일부로서 제1 접지 영역과 전기적 연결될 수 있다. 제2 안테나 엘리먼트는 제2 사이드(116-2)의 일부로서 제2 접지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회로(121)는 제1 안테나 엘리먼트 및 제2 안테나 엘리먼트에 급전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급전"은 무선 통신 회로(121)가 제1 안테나 엘리먼트 및 제2 안테나 엘리먼트에 전류를 인가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안테나 엘리먼트는 제1 접지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제1 안테나 엘리먼트에 급전된 전류는 제1 접지 영역으로 흐를 수 있다. 제2 안테나 엘리먼트는 제2 접지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제2 안테나 엘리먼트에 급전된 전류는 제2 접지 영역으로 흐를 수 있다. 한편, 제1 접지 영역과 제2 접지 영역이 스위치들(131, 132, 133)을 통해 연결되어 있을 경우 제1 접지 영역으로 흐르는 제1 안테나 엘리먼트의 급전 전류는 제2 접지 영역을 통해 흐를 수 있다. 반대로 제2 접지 영역으로 흐르는 제2 안테나 엘리먼트의 급전 전류는 제1 접지 영역을 통해 흐를 수 있다.
무선 통신 회로(121)가 제1 안테나 엘리먼트에 급전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1 안테나 엘리먼트를 통해 형성되는 제1 전기적 경로를 통해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회로(121)가 제2 안테나 엘리먼트에 급전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2 안테나 엘리먼트를 통해 형성되는 제2 전기적 경로를 통해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예시에서는 전자 장치(100)가 제1 전기적 경로 및 제2 전기적 경로를 통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전자 장치(100)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본 문서에서 제1 안테나 엘리먼트를 통해 형성되는 제1 전기적 경로는 "하단 안테나"로, 제2 안테나 엘리먼트를 통해 형성되는 제2 전기적 경로는 "상단 안테나"로 참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0)는 지지 부재(116b)와 커버 글래스(1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40)는 인쇄 회로 기판(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콘텐트(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위젯, 또는 심볼 등)를 출력하거나,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예: 터치, 제스처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0)의 배면에는 구리(Cu) 또는 그래파이트(graphite)로 이루어진 박막 시트(sheet) 혹은 플레이트(plate)가 배치될 수 있다.
차폐층(150)은 디스플레이(140)와 측면 부재(11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차폐층(150)은 디스플레이(140)와 인쇄 회로 기판(120)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를 차폐하여 디스플레이(140)와 인쇄 회로 기판(120) 사이의 전자파 간섭(electro-magnetic interference)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차폐층(150)은 구리(Cu) 또는 그래파이트(graphite)로 이루어진 박막 시트(sheet) 혹은 플레이트(plate)를 포함할 수 있다. 차폐층(150)이 구리 또는 그래파이트로 이루어질 경우, 전자 장치(100)에 포함되는 구성들은 차폐층(150)에 접지될 수 있다.
배터리(160)는 화학 에너지와 전기 에너지를 양 방향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160)는 화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고, 상기 전기 에너지를 디스플레이(140) 및 인쇄 회로 기판(120)에 탑재된 다양한 구성 혹은 모듈에 공급할 수 있다. 또는, 배터리(160)는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전기 에너지를 화학 에너지로 변환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쇄 회로 기판(120)에는 배터리(160)의 충방전을 관리하기 위한 전력 관리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의 구성들과 동일한 참조 부호를 갖는 구성들은, 도 1에서 설명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2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지 부재와 인쇄 회로 기판이 연결되는 지점을 표시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 2a에 도시된 A지점 내지 H지점은 도 1에서 설명한 제1 접지 영역에 포함될 수 있고, A´지점 내지 H´지점은 제2 접지 영역에 포함될 수 있다.
도 2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단 안테나 및 상단 안테나가 인쇄 회로 기판과 연결되는 구조를 나타낸다.
도 2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접지 영역과 제2 접지 영역을 연결하는 지점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c에 도시된 지점은 도 2a에 도시된 A´ 내지 H´지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2d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과 지지 부재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a를 참조하면 지지 부재(116b)와 인쇄 회로 기판(120)은 복수의 지점들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120) 상에는 복수의 스위치들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스위치들 각각은 지지 부재(116b)의 제1 접지 영역과 인쇄 회로 기판(120)의 제2 접지 영역을 연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위치는 제1 영역 상의 A지점과 제2 영역 상의 A´지점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B지점(및 B´지점) 내지 H지점(및 H´지점) 또한 제2 스위치 내지 제8 스위치를 통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서브 인쇄 회로 기판(230)(sub-PCB), 및 연성 인쇄 회로 기판(240)(flexible PCB)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 인쇄 회로 기판(230)은 복수의 층들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층들 중 어느 하나는 금속성 재질로 구성된 층(이하 제3 접지 영역)일 수 있다. 연성 인쇄 회로 기판(240)은 인쇄 회로 기판(120)과 서브 인쇄 회로 기판(23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성 인쇄 회로 기판(240)은 인쇄 회로 기판(120) 상의 제2 접지 영역(예: 도 2c의 260)과 서브 인쇄 회로 기판(230) 상의 제3 접지 영역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단 안테나(210)는 제3 접지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성 인쇄 회로 기판(240)이 제2 접지 영역(260))과 제3 접지 영역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므로, 하단 안테나(210)는 제3 접지 영역 및 제2 접지 영역(260)을 거쳐 지지 부재(116b)(또는 제1 접지 영역(예: 도 2c의 2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하단 안테나(210)에 급전된 전류는 제3 접지 영역 및 제2 접지 영역(260)을 통해 지지 부재(116b)로 흐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상단 안테나(220)는 제2 접지 영역(2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단 안테나(220)에 급전된 전류는 제2 접지 영역(260)을 통해 지지 부재(116b)로 흐를 수 있다.
도 2c 및 도 2d를 참조하면 인쇄 회로 기판(120) 상에는 연결 부재(272)(예: C-clip), 용량성 소자(274)(예: capacitor), 및 스위치(276)(예: SPDP스위치, SP4P 스위치)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c에 도시된 스위치(276)는 도 1에 도시된 스위치들(131, 132, 133)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연결 부재(272)는 제1 접지 영역(250)과 제2 접지 영역(260)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부재(272)는 C-clip, 도전성폼 스프링, 스크류, 또는 솔더 등 도전성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용량성 소자(274)는 사용자의 신체가 전자 장치(100)와 직접 접촉할 경우 감전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량성 소자(274)는 제1 접지 영역(250)과 제2 접지 영역(260) 사이를 차단함으로써 감전을 방지할 수 있다.
스위치(276)는 무선 통신 회로(1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무선 통신 회로(121)는 스위치(276)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회로(121)는 전자 장치(100)가 송/수신하고자 하는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기초하여 스위치(276)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a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의 결합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후면 커버, 인쇄 회로 기판, 및 지지 부재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c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3a를 참조하면 인쇄 회로 기판(310) 일 면에는 제1 그룹 스위치들(321, 322, 323)이 배치될 수 있고, 인쇄 회로 기판(310) 다른 일 면에는 제2 그룹 스위치들(331, 332, 333, 334)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그룹 스위치들(321, 322, 323)과 제2 그룹 스위치들(331, 332, 333, 334)은 동일한 종류의 스위치들일 수 있다. 도 3에서는 제1 그룹 스위치들(321, 322, 323)의 개수가 3개, 제2 그룹 스위치들(331, 332, 333, 334)의 개수가 4개로 도시되었으나, 제1 그룹 스위치들(321, 322, 323) 및 제2 그룹 스위치들(331, 332, 333, 334)의 개수는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그룹 스위치들의 개수는 6개이고, 제2 그룹 스위치들의 개수는 13개일 수 있다.
지지 부재(116b)와 인쇄 회로 기판(310)은 제1 그룹 스위치들(321, 322, 323)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그룹 스위치들(321, 322, 323)중 적어도 하나가 온 되면 지지 부재(116b)와 인쇄 회로 기판(310)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인쇄 회로 기판(310)과 후면 커버(114)는 제2 그룹 스위치들(331, 332, 333, 334)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그룹 스위치들(331, 332, 333, 334)중 적어도 하나가 온 되면 인쇄 회로 기판(310)과 후면 커버(114)는 제2 그룹 스위치들(331, 332, 333, 334)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인쇄 회로 기판(120)의 일 면에는 제1 연결 부재(351)(예: C-clip), 제1 용량성 소자(352)(예: capacitor), 및 제1 스위치(353)(예: SPDP 스위치, SP4P 스위치)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스위치(353)는 제1 그룹 스위치들(321, 322, 323)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지지 부재(116b)와 인쇄 회로 기판(120)은 제1 연결 부재(351), 제1 용량성 소자(352), 및 제1 스위치(353)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위치(353)가 온 되면 제1 스위치(353), 제1 용량성 소자(352), 및 제1 연결 부재(351)를 통해 인쇄 회로 기판(120)은 지지 부재(116b)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쇄 회로 기판(120)의 다른 일 면에는 제2 연결 부재(361)(예: C-clip), 제2 용량성 소자(362)(예: capacitor), 및 제2 스위치(363)(예: SPDP 스위치, SP4P 스위치)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스위치(363)는 제2 그룹 스위치들(331, 332, 333, 334)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후면 커버(114)와 인쇄 회로 기판(120)은 제2 연결 부재(361), 제2 용량성 소자(362), 및 제2 스위치(363)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스위치(363)가 온 되면 제2 스위치(363), 제2 용량성 소자(362), 및 제2 연결 부재(361)를 통해 인쇄 회로 기판(120)은 후면 커버(1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제1 연결 부재(351) 및 제1 용량성 소자(352)는 인쇄 회로 기판(120)의 비 접지 영역(260a)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스위치(353)는 인쇄 회로 기판(120)의 제2 접지 영역 상(260)에 배치될 수 있다. 비 접지 영역(260a)은 제2 접지 영역(260)과 달리 비 금속(예: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연결 부재(351), 제1 용량성 소자(352), 및 제1 스위치(353) 각각은 지정된 도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지 부재와 인쇄 회로 기판이 결합하는 면을 각각 도시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 4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과 후면 커버가 결합하는 면을 각각 도시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 4a에 도시된 도면은 인쇄 회로 기판(310)과 결합하는 지지 부재(116b)의 일 면, 및 지지 부재(116b)와 결합하는 인쇄 회로 기판(310)의 일 면을 나타낸다. 도 4b에 도시된 도면은 인쇄 회로 기판(310)과 결합하는 후면 커버(114)의 일 면, 및 후면 커버와 결합하는 인쇄 회로 기판(310)의 일 면을 나타낸다.
도 4a를 참조하면 지지 부재(116b)와 인쇄 회로 기판(310)은 제1 스위치 내지 제6 스위치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위치를 통해 지지 부재(116b) 상의 제1 지점과 인쇄 회로 기판(310) 상의 제1´ 지점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지점(및 제2´ 지점) 내지 제6 지점(및 제6´ 지점) 또한 제2 스위치 내지 제6 스위치를 통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인쇄 회로 기판(310)과 후면 커버(114)는 제7 스위치 내지 제19 스위치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7 스위치를 통해 인쇄 회로 기판(310) 상의 제7 지점과 후면 커버(114) 상의 제7´ 지점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8 지점(및 제8´ 지점) 내지 제19 지점(및 제19´ 지점) 또한 제8 스위치 내지 제19 스위치를 통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무선 통신 회로(예: 도 1의 무선 통신 회로(121))는 제1 스위치 내지 제19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회로(121)는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0))가 송/수신하고자 하는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기초하여 제1 스위치 내지 제19 스위치 중 적어도 일부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20 밴드의 고 대역에서 하단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고자 할 경우 제4 스위치는 오프 시키고 나머지 스위치들은 모두 온 시킬 수 있다. 각 주파수 대역 별 스위치들의 온/오프 매칭 테이블(matching table)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회로(121)는 상기 매칭 테이블에 기초하여 제1 스위치 내지 제19 스위치 중 적어도 일부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밴드(band) B28
채널(channel) 저 대역(low channel) 중 대역(mid channel) 고 대역(high channel)
상/하단 안테나의 전체수신감도(dBm) -90.1 -90.5 -88.5
상/하단 안테나의 전체송신파워(dBm) 15.5 17.2 15.5
밴드(band) B28
채널(channel) 저 대역(low channel) 중 대역(mid channel) 고 대역(high channel)
상/하단 안테나의 전체수신감도(dBm) -92.3
제10 스위치 오프
-92.1
제10 스위치 오프
-90.1
제10 스위치 오프
상/하단 안테나의 전체송신파워(dBm) 15.5
전체 온
17.2
전체 온
17.7
제17 스위치 오프
<표 1>은 제1 스위치 내지 제19 스위치가 모두 온 상태인 경우 상단 안테나 및 하단 안테나의 수신감도 및 송신파워를 나타낸다. <표 2>는 특정 스위치가 오프일 경우 상단 안테나 및 하단 안테나의 수신감도 및 송신파워를 나타낸다. 본 문서에서 수신감도는 상단 안테나 및 하단 안테나가 수신할 수 있는 신호의 최소 전력을 의미할 수 있다. 송신파워는 상단 안테나 및 하단 안테나가 송신할 수 있는 신호의 최대 전력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단 안테나 및 하단 안테나의 수신 감도가 -90.0 dBm이면 상단 안테나는 -90.0 dBm 이상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상단 안테나 및 하단 안테나의 송신파워가 16.7 dBm이면 하단 안테나는 16.7 dBm 이하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표 1> 및 <표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가 B28 밴드의 저 대역에서 상단 안테나 및 하단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고자 할 경우 제10 스위치를 오프 시키는 것이 제10 스위치를 온 시키는 것보다 감도가 좋을 수 있다(예: 2.2 dBm 증가). 따라서, 무선 통신 회로(121)는 전자 장치(100)가 B28 밴드의 저 대역에서 상단 안테나 및 하단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고자 할 경우 제10 스위치를 오프 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전자 장치(100)가 B28밴드의 고 대역에서 상단 안테나 및 하단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송신하고자 할 경우 제17 스위치를 오프 시키는 것이 제17 스위치를 온 시키는 것보다 감도가 좋을 수 있다(예: 2.2 dBm 증가). 따라서, 무선 통신 회로(121)는 전자 장치(100)가 B28 밴드의 고 대역에서 하단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송신하고자 할 경우 제17 스위치를 오프 시킬 수 있다.
<표 1> 및 <표 2>를 통해 설명한 실시 예들은 일 실시 예일 뿐이며, 무선 통신 회로(121)는 전자 장치(100)가 송수신하고자 하는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제1 스위치 내지 제17 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자 장치(100)가 송수신하고자 하는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제1 스위치 내지 제17 스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온 또는 오프 시킬 수 있다.
case SW 비고 (O : 스위치 오프) Code
Band Tx Rx
L M H L M H
0 제17 스위치 B28 o o 1111
B20 o o o o
제12 스위치 B5 o o o
B8 o
제10 스위치 B3 o o
B1
제11 스위치 B7 o o o o o
1 제17 스위치 B28 o 0111
B20 o o
제12 스위치 B5 o
B8 o o
제10 스위치 B3 o
B1 o o o
제11 스위치 B7 o
2 제17 스위치 B28 1011
B20 o
제12 스위치 B5
B8 o o
제10 스위치 B3
B1
제11 스위치 B7
3 제17 스위치 B28 o o o 1101
B20
제12 스위치 B5 o o o
B8 o o o
제10 스위치 B3
B1
제11 스위치 B7
4 제17 스위치 B28 1110
B20
제12 스위치 B5
B8
제10 스위치 B3 o o o
B1 o o o
제11 스위치 B7
<표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에 저장되는 매칭 테이블을 나타낸다. 무선 통신 회로(121)는 <표 3>에 기초하여 제1 스위치 내지 제19 스위치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드 1111에서 전자 장치(100)가 B28 밴드의 저 대역 신호를 송신하고자 할 경우 무선 통신 회로(121)는 제17 스위치를 오프 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코드 0111에서 전자 장치(100)가 B5 밴드의 중 대역 신호를 송신하고자 할 경우 무선 통신 회로(121)는 제12 스위치를 오프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회로(121)는 파지(把指) 조건(예 : 파지 위치)에 따라 제1 스위치 내지 제19 스위치 중 적어도 일부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파지할 경우 제18 스위치 및 제19 스위치를 오프 시키고 나머지 스위치들은 모두 온 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사용자가 전자 장치(100)를 파지하지 않을 경우 제3 스위치는 오프 시키고 나머지 스위치들은 모두 온 시킬 수 있다. 파지 조건 별 스위치들의 온/오프 매칭 테이블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회로(121)는 상기 매칭 테이블에 기초하여 제1 스위치 내지 제19 스위치 중 적어도 일부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회로(121)는 전자 장치(100)에 외부 장치가 결합하는지 여부에 따라 제1 스위치 내지 제19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에 USB 커넥터 또는 이어폰 등이 결합되면, 무선 통신 회로(121)는 제5 스위치, 제6 스위치, 제16 스위치, 및 제17 스위치를 오프 시키고 나머지 스위치들은 모두 온 시킬 수 있다. 외부 장치의 결합 여부에 따른 온/오프 매칭 테이블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회로(121)는 상기 매칭 테이블에 기초하여 제1 스위치 내지 제19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평형 평판 웨이브 가이드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평형 평판 웨이브 가이드(500)는 도 2c에 도시된 제1 접지 영역(250)과 제2 접지 영역(260)을 단순화한 구성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평형 평판 웨이브 가이드(500)의 일 면은 제2 접지 영역(260)에 해당하고, 다른 일 면은 제1 접지 영역(250)에 해당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평형 평판 웨이브 가이드(500)는 제1 접지 영역(250) 및 제2 접지 영역(26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지 영역(250)과 제2 접지 영역(260)은 복수의 지점들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접지 영역(250)과 제2 접지 영역(260)은 지점들(510-1, 510-2, 510-3)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평형 평판 웨이브 가이드(500)는 일 지점(510s)(예: 급전점)을 통해 급전될 수 있다. 급전점(510s)은 제2 접지 평면(260)(또는 제1 접지 평면(250))의 사이드들(511, 512, 513, 5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점들(510-1, 510-2, 510-3)은 접지점으로 동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급전점(510s)을 통해 급전된 전류는 평형 평판 웨이브 가이드(500)를 거쳐 접지점들(510-1, 510-2, 510-3)로 흐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점들(510-1, 510-2, 510-3)은 급전점(510s)이 위치하는 사이드(511)의 반대편에 배치된 사이드(512)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류는 제1 사이드(511)에서 제2 사이드(512)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접지점들(510-1, 510-2, 510-3)의 개수, 위치, 및 모양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다를 수 있다. 즉, 평형 평판 웨이브 가이드(500)가 적용되는 전자 장치에 따라 접지점들(510-1, 510-2, 510-3)의 개수, 위치, 모양은 각각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지점들(510-1, 510-2, 510-3)은 제2 사이드(512)가 아닌 제3 사이드(513) 또는 제4 사이드(514)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접지점들(510-1, 510-2, 510-3)의 개수는 3개 이상일 수도 있고, 3개 미만일 수도 있다.
본 문서에서 도 5에 도시된 평형 평판 웨이브 가이드(500)의 구성들과 동일한 참조 부호를 갖는 구성들은, 도 5에서 설명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6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자기장의 세기를 표시한 평형 평판 웨이브 가이드를 나타낸다. 도 6b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기장의 세기를 표시한 평형 평판 웨이브 가이드를 나타낸다.
도 6a는 스위칭을 통해 접지점들(510-1, 510-2, 510-3)을 단락시킨 경우 장기장의 세기를 표시한 평형 평판 웨이브 가이드(500)를 나타낸다. 도 6b는 스위칭을 통해 접지점들(510-1, 510-2, 510-3)을 개방시킨 경우 자기장의 세기를 표시한 평형 평판 웨이브 가이드(500)를 나타낸다.
도 6a를 참조하면 접지점들(510-1, 510-2, 510-3)이 단락되므로 급전점(510s)에 급전된 전류는 접지점들(510-1, 510-2, 510-3)로 흐를 수 있다. 이에 따라, 자기장의 세기는 제1 사이드(511)에서 제2 사이드(512)로 갈수록 약해지다가 다시 강해질 수 있다. 또한, 제1 사이드(511) 근처에서의 자기장의 세기와 제2 사이드(512) 근처에서의 자기장의 세기가 거의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이드(511) 근처에서의 자기장의 세기와 제2 사이드(512) 근처에서의 자기장의 세기는 약 51 dB 내외일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접지점들(510-1, 510-2, 510-3)이 개방되므로 도 6a에 비해 접지점들(510-1, 510-2, 510-3)로 흐르는 전류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평형 평판 웨이브 가이드(500)에 인가되는 자기장의 세기는 도 6a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이드(511) 또는 제2 사이드(512) 근처라 하더라도 자기장의 세기는 도 6a에 비해 약할 수 있다(약 45 dB).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도면은 무선 통신 회로(121)가 평형 평판 웨이브 가이드(500)에 약 872 MHz의 공진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인가하였을 경우 자기장의 세기를 나타낸다. 자기장의 세기는 무선 통신 회로(121)가 평형 평판 웨이브 가이드(500)에 인가하는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회로(121)가 872 MHz가 아닌 약 500 MHz의 공진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인가하였을 경우, 자기장의 세기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다를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그래프들을 나타낸다. 도 7에 도시된 그래프들(710, 720)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자기장의 세기를 각각 나타내는 그래프들이다. 그래프들(710, 720)은 각각 도 6a 및 도 6b의 A-A´, B-B´단면의 자기장의 세기를 나타낸다.
그래프(710)를 참조하면 자기장의 세기는 제1 사이드(511) 근처에서 감소하였다가 평형 평판 웨이브 가이드(500)의 중심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평형 평판 웨이브 가이드(500)의 중심에서 제2 사이드(512) 근처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였다가 제2 사이드(512) 근처에서 다시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래프(720)를 참조하면 접지점들(510-1, 510-2, 510-3)이 개방되는 경우에도 자기장의 세기가 변화하는 형태는 접지점들(510-1, 510-2, 510-3)이 단락되는 경우와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장의 세기가 제1 사이드(511) 근처에서 감소하였다가 평형 평판 웨이브 가이드(500)의 중심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할 수 있다. 또한, 평형 평판 웨이브 가이드(500)의 중심에서 제2 사이드(512) 근처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였다가 제2 사이드(512) 근처에서 다시 증가할 수 있다. 다만 접지점들(510-1, 510-2, 510-3)이 개방되는 경우는 접지점들(510-1, 510-2, 510-3)이 단락되는 경우에 비해 전체적으로 자기장의 세기가 약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접지점들(510-1, 510-2, 510-3)이 단락 또는 개방됨에 따라 제1 사이드(511)에서 제2 사이드(512)로 전달되는 에너지의 크기가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접지점들(510-1, 510-2, 510-3)이 단락 또는 개방됨에 따라 평행 평판 웨이브 가이드(500)에 유입되는 기생 전류의 양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접지점들(510-1, 510-2, 510-3)이 단락 또는 개방됨에 따라 평행 평판 웨이브 가이드(500)의 자기장 분포(또는 전자기장 분포)는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원리는 도 2b에서 설명한 상단 안테나(220) 및 하단 안테나(210)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스위치들(131. 132, 133)을 단락 또는 개방시킴으로써 기생 전류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스위치들(131. 132, 133)을 단락 또는 개방시킴으로써 상단 안테나(220)와 하단 안테나(210) 간의 격리도(isolation)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8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간략화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 8b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간략화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 8c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간략화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 8a 내지 도 8c에서 제1 안테나(810)는 도 2b에서 설명한 상단 안테나(220), 제2 안테나(820)는 도 2b에서 설명한 하단 안테나(210)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스위치(830) 및 제2 스위치(840) 각각은 도 1에 도시된 복수의 스위치들(131, 132, 133)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제1 스위치(830) 및 제2 스위치(840) 모두 단락될 수 있다. 제1 스위치(830)와 제2 스위치(840)가 모두 단락 되므로, 자기장의 세기는 제1 라인(851)에서 제2 라인(852)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자기장의 세기는 제4 라인(854)에서 제3 라인(853)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라인(851)은 제1 안테나(810)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라인으로서 제1 안테나(8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라인(852)은 지지 부재(116b)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라인으로서 지지 부재(116b)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라인(853)은 인쇄 회로 기판(120)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라인으로서 인쇄 회로 기판(1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4 라인(854)은 제2 안테나(820)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라인으로서 제2 안테나(8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제1 스위치(830)는 단락되고 제2 스위치(840)는 개방될 수 있다. 제1 스위치(830)가 단락 되므로, 자기장의 세기는 제1 라인(851)에서 제2 라인(852)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스위치(840)는 개방 되므로 자기장의 세기가 제4 라인(854)에서 제3 라인(853)으로 갈수록 급격히 감소할 수 있다. 즉, 도 8b의 경우 도 8a에 비하여 제1 안테나(810)와 제2 안테나(820) 사이의 격리도가 증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안테나(820)의 최적 방사 조건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c를 참조하면 제1 스위치(830)는 개방되고 제2 스위치(840)는 단락될 수 있다. 제1 스위치(830)가 개방 되므로 자기장의 세기는 제1 라인(851)에서 제2 라인(852)으로 갈수록 급격히 감소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스위치(840)는 단락 되므로 자기장의 세기가 제4 라인(854)에서 제3 라인(853)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할 수 있다. 즉, 도 8c의 경우 도 8a에 비하여 제1 안테나(810)와 제2 안테나(820) 사이의 격리도가 증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안테나(810)의 최적 방사 조건이 형성될 수 있다.
도 9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단 안테나 근처의 기생 전류 및 방사 효율을 도시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 9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단 안테나 근처의 기생 전류 및 방사 효율을 도시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 9a를 참조하면 제1 스위치(830) 및 제2 스위치(840)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제1 안테나(810)(또는 상단 안테나(220)) 근처의 기생 전류가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위치(830)가 오프 되면 제1 안테나(810) 근처의 기생 전류가 감소할 수 있다.
그래프(921)는 스위칭 전의 제1 안테나(810)의 방사 효율을 나타내고, 그래프(922)는 스위칭 후의 제1 안테나(810)의 방사 효율을 나타낸다. 여기서 스위칭 전은 제1 스위치(830) 및 제2 스위치가(840) 모두 온 상태인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스위칭 후는 제1 스위치(830) 또는 제2 스위치(840)가 오프 상태인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그래프(921)와 그래프(922)를 비교하면 제1 스위치(830) 및 제2 스위치(840)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제1 안테나(810)의 방사 효율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위치(830)가 오프 되면, 제1 안테나(810)의 약 708 MHz 내지 743 MHz 대역에서의 송신 효율, 및 제1 안테나(810)의 약 763 MHz 내지 798 MHz 대역에서의 수신 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제1 스위치(830) 및 제2 스위치(840)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제2 안테나(820)(또는 하단 안테나(210)) 근처의 기생 전류가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스위치(840)가 오프 되면 제2 안테나(820) 근처의 기생 전류가 감소할 수 있다.
그래프(941)는 스위칭 전의 제2 안테나(820)의 방사 효율을 나타내고, 그래프(942)는 스위칭 후의 제2 안테나(820)의 방사 효율을 나타낸다. 그래프(941)와 그래프(942)를 비교하면 제1 스위치(830) 및 제2 스위치(840)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제2 안테나(820)의 방사 효율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스위치(840)가 오프 되면, 제2 안테나(820)의 약 708 MHz 내지 743 MHz 대역에서의 송신 효율, 및 제2 안테나(820)의 약 763 MHz 내지 798 MHz 대역에서의 수신 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1 면,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를 둘러싸는 측면(116)을 포함하는 하우징(110)으로서, 상기 측면(116)은 제1 방향을 향하고 제1 길이를 갖는 제1 엣지(116-1)(a first edge), 상기 제1 엣지(116-1)와 평행하고 상기 제1 길이를 갖는 제2 엣지(116-2)(a second edge), 상기 제1 엣지(116-1)의 일단과 상기 제2 엣지(116-2)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3 엣지(116-3)(a third edge), 및 상기 제1 엣지(116-1)의 타단과 상기 제2 엣지(116-2)의 타단을 연결하고 상기 제3 엣지(116-3)와 평행한 제4 엣지(116-4)(a forth edge)를 포함하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위치하고 제1 접지 영역(250)을 포함하는 지지 부재(116b),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위치하고 제2 접지 영역(260)을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120)(printed circuit board), 상기 제1 접지 영역(250)과 상기 제2 접지 영역(260)을 복수의 지점에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스위치들(131, 132, 133), 상기 제1 엣지(116-1)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116b)의 상기 제1 접지 영역(2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안테나 엘리먼트(a first antenna element), 상기 제2 엣지(116-2)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120)의 상기 제2 접지 영역(2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안테나 엘리먼트(a second antenna element),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되는 무선 통신 회로(121)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회로(121)는 상기 제1 안테나 엘리먼트를 통해 형성되는 제1 전기적 경로에 기초하여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제2 안테나 엘리먼트를 통해 형성되는 제2 전기적 경로에 기초하여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동안 상기 복수의 스위치들(131, 132, 133)의 ON/OFF 상태를 제1 배열로 설정하고,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동안 상기 복수의 스위치들(131, 132, 133)의 ON/OFF 상태를 제2 배열로 설정하고, 상기 제1 배열 및 상기 제2 배열 각각에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는 ON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지지 부재(116b)는 상기 측면(116)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거나 상기 측면(116)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무선 통신 회로(121)는 사용자 입력(user input)이 수신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스위치들(131, 132, 133)의 ON/OFF 상태를 제3 배열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무선 통신 회로(121)는 외부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100)에 결합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스위치들(131, 132, 133)의 ON/OFF 상태를 제3 배열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무선 통신 회로(121)는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지 않는 동안 상기 복수의 스위치들(131, 132, 133)을 ON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인쇄 회로 기판(120)은 복수의 층들(layers)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지 영역(260)은 상기 복수의 층들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복수의 스위치들(131, 132, 133)은 제1 그룹 스위치들에 해당하고, 상기 전자 장치(100)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120)의 제2 접지 영역(260)과 상기 제2 면(114)을 복수의 지점에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그룹 스위치들(331, 332, 333, 3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무선 통신 회로(121)는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동안 상기 제2 그룹 스위치들의 ON/OFF 상태를 제3 배열로 설정하고,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동안 상기 제2 그룹 스위치들(331, 332, 333, 334)의 ON/OFF 상태를 제4 배열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3 배열 및 상기 제4 배열 각각에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는 ON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2 면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그룹 스위치들은 상기 도전성 물질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1 면,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를 둘러싸는 측면(116)을 포함하는 하우징(110)으로서, 상기 측면(116)은 제1 방향을 향하고 제1 길이를 갖는 제1 엣지(116-1)(a first edge), 상기 제1 엣지(116-1)와 평행하고 상기 제1 길이를 갖는 제2 엣지(116-2)(a second edge), 상기 제1 엣지(116-1)의 일단과 상기 제2 엣지(116-2)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3 엣지(116-3)(a third edge), 및 상기 제1 엣지(116-1)의 타단과 상기 제2 엣지(116-2)의 타단을 연결하고 상기 제3 엣지(116-3)와 평행한 제4 엣지(116-4)(a forth edge)를 포함하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위치하고 제1 접지 영역(250)을 포함하는 지지 부재(116b),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위치하고 제2 접지 영역(260)을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120)(printed circuit board), 상기 제1 접지 영역(250)과 상기 제2 접지 영역(260)을 복수의 지점에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스위치들(131, 132, 133), 상기 제1 엣지(116-1)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116b)의 상기 제1 접지 영역(2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안테나 엘리먼트(a first antenna element), 상기 제2 엣지(116-2)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120)의 상기 제2 접지 영역(2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안테나 엘리먼트(a second antenna element), 및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되는 무선 통신 회로(121)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회로(121)는 상기 제1 안테나 엘리먼트를 통해 형성되는 제1 전기적 경로 및 상기 제2 안테나 엘리먼트를 통해 형성되는 제2 전기적 경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동안 상기 복수의 스위치들(131, 132, 133)의 ON/OFF 상태를 제1 배열로 설정하고,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스위치들(131, 132, 133)의 ON/OFF 상태를 제2 배열로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스위치들(131, 132, 133)의 ON/OFF 상태가 제2 배열로 설정되면, 상기 제1 전기적 경로 및 상기 제2 전기적 경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제1 배열 및 상기 제2 배열 각각에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는 ON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무선 통신 회로(121)는 상기 제1 전기적 경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제2 전기적 경로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상기 제1 면 상에 배치되는 커버 글래스(112), 및 상기 제2 면 상에 배치되는 후면 커버(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상기 제2 접지 영역(260)과 상기 후면 커버(114)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추가 스위치들(331, 332, 333, 3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무선 통신 회로(121)는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동안 상기 추가 스위치들(331, 332, 333, 334)의 ON/OFF 상태를 제3 배열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무선 통신 회로(121)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추가 스위치들(331, 332, 333, 334)의 ON/OFF 상태를 제4 배열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후면 커버(114)는 금속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추가 스위치들(331, 332, 333, 334)과 대응되는 위치에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커버 글래스(112), 상기 커버 글래스(112)에 대향하는 후면 커버(114), 상기 커버 글래스(112)와 상기 후면 커버(114)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 부재(116b), 및 상기 지지 부재(116b)를 둘러싸는 측면(116) 부재를 포함하는 하우징(110), 상기 지지 부재(116b)와 상기 후면 커버(114) 사이에 배치되는 인쇄 회로 기판(120)(printed circuit board; PCB), 상기 지지 부재(116b)와 상기 인쇄 회로 기판(120)을 연결하는 복수의 스위치들(131, 132, 133), 상기 측면 부재의 제1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안테나 엘리먼트(a first antenna element), 상기 측면 부재(116)의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116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안테나 엘리먼트(a second antenna element), 상기 인쇄 회로 기판(120) 상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들(131, 132, 133) 각각의 온(On)/오프(Off) 동작과 지정된 조건을 매핑(mapping)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120) 상에 배치되는 무선 통신 회로(121)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회로(121)는, 상기 지정된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스위치들(131, 132, 133) 각각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제1 안테나 엘리먼트에 급전하고 상기 제1 안테나 엘리먼트를 통해 형성되는 제1 전기적 경로에 기초하여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제2 안테나 엘리먼트에 급전하고 상기 제2 안테나 엘리먼트를 통해 형성되는 제2 전기적 경로에 기초하여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무선 통신 회로(121)는 상기 전자 장치(100)를 파지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스위치들(131, 132, 133) 각각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무선 통신 회로(121)는 외부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100)에 연결되면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스위치들(131, 132, 133) 각각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1 면(112), 상기 제1 면(112)에 대향하는 제2 면(114), 상기 제1 면(112)과 상기 제2 면(114)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 부재(116)(side member)를 포함하는 하우징(110), 상기 제1 면(112)을 통해 노출되고 상기 공간 내부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140), 상기 제1 면(112)에 평행하고 상기 공간 내부에 위치하는 제1 접지 평면(260)(a first ground plane), 상기 제1 면(112)에 평행하고 상기 공간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면(112)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제1 접지 평면(260)과 적어도 일부 중첩하는 제2 접지 평면(250)(a second ground plane), 상기 제1 접지 평면(2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측면 부재(116)의 일부를 포함하는 제1 안테나 엘리먼트(a first antenna element), 상기 제2 접지 평면(2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측면 부재(116)의 다른 일부를 포함하는 제2 안테나 엘리먼트(a second antenna element), 상기 제1 안테나 엘리먼트 및 상기 제2 안테나 엘리먼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회로(121)(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 및 상기 제1 접지 평면(260)과 상기 제2 접지 평면(25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엘리먼트(switching element)(131, 132, 13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상기 공간 내부에 위치하는 인쇄 회로 기판(120)(printed circuit board)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지 평면(260)은 상기 인쇄 회로 기판(120)의 일부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엘리먼트(131, 132, 133)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120) 내부 또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12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120)과 상기 제2 면(114)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도전 플레이트(conductive plate)(116b)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지 평면(250)은 상기 도전 플레이트(116b)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측면 부재(116)는, 제1 길이를 갖고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영역(a first portion)(116-2), 상기 제1 길이보다 긴 제2 길이를 갖고,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영역(a second portion)(116-3), 상기 제1 길이를 갖고 상기 제1 영역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3 영역(a third portion)(116-1), 및 상기 제2 길이를 갖고 상기 제2 영역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4 영역(a fourth portion)(116-4)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안테나 엘리먼트는 상기 제1 영역(116-2)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안테나 엘리먼트는 상기 제3 영역(116-1)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0)에서 전자 장치(1001)(예: 도 1의 전자 장치(100))는 제 1 네트워크(1098)(예: 근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10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099)(예: 원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1004) 또는 서버(10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1)는 서버(10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1)는 프로세서(1020), 메모리(1030), 입력 장치(1050), 음향 출력 장치(1055), 표시 장치(1060), 오디오 모듈(1070), 센서 모듈(1076), 인터페이스(1077), 햅틱 모듈(1079), 카메라 모듈(1080), 전력 관리 모듈(1088), 배터리(1089), 통신 모듈(1090), 가입자 식별 모듈(1096), 및 안테나 모듈(10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060) 또는 카메라 모듈(1080))가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표시 장치(10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센서 모듈(10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의 경우와 같이, 일부의 구성요소들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0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040))를 구동하여 프로세서(10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076) 또는 통신 모듈(10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032)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0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020)는 메인 프로세서(10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메인 프로세서(10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된 보조 프로세서(10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프로세서(1023)는 메인 프로세서(1021)와 별개로 또는 임베디드되어 운영될 수 있다.
이런 경우, 보조 프로세서(10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0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0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0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수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021)와 함께, 전자 장치(10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060), 센서 모듈(1076), 또는 통신 모듈(10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0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080) 또는 통신 모듈(1090))의 일부 구성 요소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030)는, 전자 장치(10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020) 또는 센서모듈(10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0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030)는, 휘발성 메모리(10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0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040)은 메모리(1030)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로서, 예를 들면, 운영 체제(1042), 미들 웨어(1044) 또는 어플리케이션(10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050)는, 전자 장치(10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0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0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01)의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스피커와 전화 수신 전용으로 사용되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일체 또는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60)는 전자 장치(1001)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060)는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터치에 대한 압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070)은 소리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070)은, 입력 장치(10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055), 또는 전자 장치(100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076)은 전자 장치(1001)의 내부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10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077)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02))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지정된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077)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078)는 전자 장치(10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02))를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커넥터,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0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햅틱 모듈(10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080)은 하나 이상의 렌즈, 이미지 센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플래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088)은 전자 장치(10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모듈로서,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1089)는 전자 장치(10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090)은 전자 장치(10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02), 전자 장치(1004), 또는 서버(1008))간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090)은 프로세서(10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090)은 무선 통신 모듈(10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0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그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0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0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상술한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1090)은 하나의 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각각 별도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10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096)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01)를 구별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0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090)(예: 무선 통신 모듈(1092))은 통신 방식에 적합한 안테나를 통하여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들은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099)에 연결된 서버(10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2, 1004) 각각은 전자 장치(10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외부 전자 장치에게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외부 전자 장치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10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무선 통신 모듈, 전력 관리 모듈, 및 안테나 모듈에 대한 블럭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모듈(1092)은 MST 통신 모듈(1110) 또는 NFC 통신 모듈(1130)을 포함하고, 전력 관리 모듈(1088)은 무선 충전 모듈(11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안테나 모듈(1197)은 MST 통신 모듈(1110)과 연결된 MST 안테나(1197-1), NFC 통신 모듈(1130)과 연결된 NFC 안테나(1197-3), 및 무선 충전 모듈(1150)과 연결된 무선 충전 안테나(1197-5)을 포함하는 복수의 안테나들을 별도로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0과 중복되는 구성 요소는 생략 또는 간략히 기재된다.
MST 통신 모듈(1110)은 프로세서(1020)로부터 신호(예: 제어 정보 또는 결제 정보를 포함한 신호)를 수신하고, MST 안테나(1197-1)를 통해 상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자기 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생성된 자기 신호를 외부의 전자 장치(1002)(예: POS 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MST 통신 모듈(1110)은 MST 안테나(1197-1)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스위칭 모듈을 포함하고(미도시), 이 스위칭 모듈을 제어하여 MST 안테나(1197-1)에 공급되는 전압 또는 전류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이는 MST 안테나(1197-1)를 통해 송출되어, 예를 들면, 무선 근거리 통신(1098)을 통해 외부의 전자 장치(1002)에 전달되는 자기 신호(예: 자기장)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방향이 변경된 상태로 전달된 자기 신호는 마그네틱 카드가 전자 장치(1002)의 카드 리더기에 읽히면서(swiped) 발생하는 자기장과 유사한 형태 및 효과를 야기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2) 에서 상기 자기 신호의 형태로 수신된 결제 관련 정보 및 제어 신호는, 예를 들면, 네트 워크(1099)를 통해 결제 서버(예: 서버(1008))로 송신될 수 있다.
NFC 통신 모듈(1130)은 프로세서(1020)로부터 신호(예: 제어 정보 또는 결제 정보를 포함한 신호)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신호를 NFC 안테나(1197-3)를 통해 외부의 전자 장치(1002)로 송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NFC 통신 모듈(1130)은, NFC 안테나(1197-3)을 통하여 외부의 전자 장치(1002)로부터 송출된 신호(예: 제어 정보 또는 결제 정보를 포함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1150)은 무선 충전 안테나(1197-5)를 통해 외부의 전자 장치(1002)(예: 휴대폰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거나, 또는 외부의 전자 장치(1002)(예: 무선 충전 장치)로부터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무선 충전 모듈(1150)은, 예를 들면, 자기 공명 방식 또는 자기 유도 방식을 포함하는 다양한 무선 충전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MST 안테나(1197-1), NFC 안테나(1197-3), 또는 무선 충전 안테나(1197-5) 중 일부 안테나들은 방사부의 적어도 일부를 서로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ST 안테나(1197-1)의 방사부는 NFC 안테나(1197-3) 또는 무선 충전 안테나(1197-5)의 방사부로 사용될 수 있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MST 안테나(1197-1), NFC 안테나(1197-3), 또는 무선 충전 안테나(1197-5)가 방사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공유하는 경우, 안테나 모듈(1197)은 무선 통신 모듈(1092)(예: MST 통신 모듈(1110) 또는 NFC 통신 모듈(1130)) 또는 전력 관리 모듈(예: 무선 충전 모듈(1150))의 제어에 따라 안테나들(1197-1, 1197-3, 또는 1197-3)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예: open)하기 위한 스위칭 회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1)가 무선 충전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NFC 통신 모듈(1130) 또는 무선 충전 모듈(1150)은 상기 스위칭 회로를 제어함으로써 NFC 안테나(1197-3) 및 무선 충전 안테나(1197-5)에 의해 공유된 방사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일시적으로 NFC 안테나(1197-3)와 분리하고 무선 충전 안테나(1197-5)와만 연결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MST 통신 모듈(1110), NFC 통신 모듈(1130), 또는 무선 충전 모듈(1150)의 적어도 일부 기능은 외부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0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MST 통신 모듈(1110) 또는 NFC 통신 모듈(1130)의 지정된 기능(예: 결제 기능)들은 신뢰된 실행 환경(trusted execution environment, TEE)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신뢰된 실행 환경(TEE)은, 예를 들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보안이 필요한 기능(예: 금융 거래, 또는 개인 정보 관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1030)의 적어도 일부 지정된 영역이 할당되고, 이 지정된 영역에 대한 접근은, 예를 들면, 접근 주체 또는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구분하여 제한적으로 허용되는 실행 환경일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또는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예: 내장 메모리(1036) 또는 외장 메모리(1038))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040))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이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0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일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2)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면,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를 둘러싸는 측면을 포함하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측면은 제1 방향을 향하는 제1 엣지(a first edge), 상기 제1 엣지와 평행한 제2 엣지(a second edge), 상기 제1 엣지의 일단과 상기 제2 엣지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3 엣지(a third edge), 및 상기 제1 엣지의 타단과 상기 제2 엣지의 타단을 연결하고 상기 제3 엣지와 평행한 제4 엣지(a forth edge)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제1 접지 영역을 포함하는 지지 부재,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제2 접지 영역을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상기 제1 접지 영역과 상기 제2 접지 영역을 복수의 제1 지점들에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그룹 스위치들,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상기 제2 접지 영역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2 면의 도전성 물질을 복수의 제2 지점들에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그룹 스위치들,
    상기 제1 엣지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제1 접지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안테나 엘리먼트(a first antenna element),
    상기 제2 엣지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상기 제2 접지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안테나 엘리먼트(a second antenna element),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무선 통신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회로는:
    상기 제1 안테나 엘리먼트를 통해 형성되는 제1 전기적 경로에 기초하여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고, 및
    상기 제2 안테나 엘리먼트를 통해 형성되는 제2 전기적 경로에 기초하여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거나 상기 측면과 연결되는, 전자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회로는 사용자 입력(user input)이 수신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스위치들의 ON/OFF 상태를 제3 배열로 설정하는, 전자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회로는 외부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에 결합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스위치들의 ON/OFF 상태를 제3 배열로 설정하는, 전자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회로는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지 않는 동안 상기 복수의 스위치들을 ON 시키는, 전자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복수의 층들(layers)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지 영역은 상기 복수의 층들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전자 장치.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회로는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동안 상기 제2 그룹 스위치들의 ON/OFF 상태를 제3 배열로 설정하고,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동안 상기 제2 그룹 스위치들의 ON/OFF 상태를 제4 배열로 설정하는, 전자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3 배열 및 상기 제4 배열 각각에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는 ON 상태로 설정되는, 전자 장치.
  10. 삭제
  1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면,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를 둘러싸는 측면을 포함하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측면은 제1 방향을 향하는 제1 엣지(a first edge), 상기 제1 엣지와 평행한 제2 엣지(a second edge), 상기 제1 엣지의 일단과 상기 제2 엣지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3 엣지(a third edge), 및 상기 제1 엣지의 타단과 상기 제2 엣지의 타단을 연결하고 상기 제3 엣지와 평행한 제4 엣지(a forth edge)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제1 접지 영역을 포함하는 지지 부재,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제2 접지 영역을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상기 제1 접지 영역과 상기 제2 접지 영역을 복수의 제1 지점들에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그룹 스위치들,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상기 제2 접지 영역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2 면의 도전성 물질을 복수의 제2 지점들에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그룹 스위치들,
    상기 제1 엣지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제1 접지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안테나 엘리먼트(a first antenna element),
    상기 제2 엣지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상기 제2 접지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안테나 엘리먼트(a second antenna element),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무선 통신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회로는:
    상기 제1 안테나 엘리먼트를 통해 형성되는 제1 전기적 경로 및 상기 제2 안테나 엘리먼트를 통해 형성되는 제2 전기적 경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동안 상기 복수의 스위치들의 ON/OFF 상태를 제1 배열로 설정하고,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스위치들의 ON/OFF 상태를 제2 배열로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스위치들의 ON/OFF 상태가 제2 배열로 설정되면, 상기 제1 전기적 경로 및 상기 제2 전기적 경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제1 배열 및 상기 제2 배열 각각에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는 ON 상태로 설정되는, 전자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회로는 상기 제1 전기적 경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제2 전기적 경로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전자 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면 상에 배치되는 커버 글래스, 및
    상기 제2 면 상에 배치되는 후면 커버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4. 삭제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회로는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동안 상기 제2 그룹 스위치들의 ON/OFF 상태를 제3 배열로 설정하는, 전자 장치.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회로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상기 제2 그룹 스위치들의 ON/OFF 상태를 제4 배열로 설정하는, 전자 장치.
  17.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후면 커버는 금속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2 그룹 스위치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8.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면, 상기 제1 면에 대향하는 제2 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 부재(side member)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1 면을 통해 노출되고 상기 공간 내부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제1 면에 평행하고 상기 공간 내부에 위치하는 제1 접지 평면(a first ground plane),
    상기 제1 면에 평행하고 상기 공간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제1 접지 평면과 적어도 일부 중첩하는 제2 접지 평면(a second ground plane),
    상기 제1 접지 평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측면 부재의 일부를 포함하는 제1 안테나 엘리먼트(a first antenna element),
    상기 제2 접지 평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측면 부재의 다른 일부를 포함하는 제2 안테나 엘리먼트(a second antenna element),
    상기 제1 안테나 엘리먼트 및 상기 제2 안테나 엘리먼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회로(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
    상기 제1 접지 평면과 상기 제2 접지 평면을 복수의 제1 지점들에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그룹 스위칭 엘리먼트(switching element), 및
    상기 제1 접지 평면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2 면의 도전성 물질을 복수의 제2 지점들에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그룹 스위칭 엘리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회로는:
    상기 제1 안테나 엘리먼트를 통해 형성되는 제1 전기적 경로에 기초하여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고, 및
    상기 제2 안테나 엘리먼트를 통해 형성되는 제2 전기적 경로에 기초하여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공간 내부에 위치하는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지 평면은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일부에 해당하는, 전자 장치.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 스위칭 엘리먼트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 내부 또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위치하는, 전자 장치.
  21.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인쇄 회로 기판과 상기 제2 면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 도전 플레이트(conductive plate)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지 평면은 상기 도전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2.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측면 부재는,
    제1 길이를 갖고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영역(a first portion),
    상기 제1 길이보다 긴 제2 길이를 갖고,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영역(a second portion),
    상기 제1 길이를 갖고 상기 제1 영역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3 영역(a third portion), 및
    상기 제2 길이를 갖고 상기 제2 영역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4 영역(a fourth portion)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안테나 엘리먼트는 상기 제1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안테나 엘리먼트는 상기 제3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170102872A 2017-08-14 2017-08-14 안테나 및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352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872A KR102352491B1 (ko) 2017-08-14 2017-08-14 안테나 및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201810921077.0A CN109390694B (zh) 2017-08-14 2018-08-14 用于动态改变其多个天线的接地点的电子设备及方法
EP18189015.3A EP3444895B1 (en) 2017-08-14 2018-08-14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dynamically changing ground points of a plurality of antennas of the electronic device
PCT/KR2018/009309 WO2019035626A1 (en) 2017-08-14 2018-08-14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DYNAMIC MODIFICATION OF MASS POINTS OF A PLURALITY OF ANTENNAS OF THE ELECTRONIC DEVICE
US16/103,440 US10623029B2 (en) 2017-08-14 2018-08-14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dynamically changing ground points of a plurality of antennas of the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872A KR102352491B1 (ko) 2017-08-14 2017-08-14 안테나 및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207A KR20190018207A (ko) 2019-02-22
KR102352491B1 true KR102352491B1 (ko) 2022-01-18

Family

ID=65275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2872A KR102352491B1 (ko) 2017-08-14 2017-08-14 안테나 및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623029B2 (ko)
EP (1) EP3444895B1 (ko)
KR (1) KR102352491B1 (ko)
CN (1) CN109390694B (ko)
WO (1) WO20190356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4559B1 (ko) 2017-03-24 2022-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289811B2 (en) * 2017-08-24 2022-03-29 Mediatek Inc. Closed-loop antenna with multiple grounding points
CN209401843U (zh) * 2019-01-31 2019-09-17 中磊电子(苏州)有限公司 通信装置
KR102649428B1 (ko) * 2019-05-03 2024-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안테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27330B1 (ko) 2019-09-09 2024-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들 간 간섭을 줄이기 위한 구조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84817A1 (en) * 2013-09-20 2015-03-26 Sony Corporation Apparatus for tuning multi-band frame antenna
US20160197396A1 (en) * 2015-01-05 2016-07-07 Lg Electronics Inc. Antenna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39544A1 (fr) 2000-10-31 2002-05-16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ispositif d'antenne et machine portable
US7616158B2 (en) * 2006-05-26 2009-11-10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 Ltd. Multi mode antenna system
KR101517761B1 (ko) * 2008-07-30 2015-05-06 시게이트 테크놀로지 엘엘씨 데이터 저장 위치 관리 방법 및 이를 데이터 저장 시스템
US8441975B2 (en) * 2009-06-05 2013-05-14 Broadcom Corporation Medium accessing mechanisms within multiple user, multiple access, and/or MIMO wireless communications
EP2448224A1 (en) * 2009-06-23 2012-05-02 Panasonic Corporation Portable wireless terminal
FR2977566B1 (fr) * 2011-07-05 2014-05-02 Airbus Operations Sas Structure intermediaire de support pour poste de pilotage d'un aeronef
KR20130038515A (ko) * 2011-10-10 2013-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 및 휴대단말기의 안테나 방사성능 및 전자파흡수율 개선방법
WO2013094535A1 (ja) * 2011-12-20 2013-06-2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周波モジュール
US8836587B2 (en) * 2012-03-30 2014-09-16 Apple Inc. Antenna having flexible feed structure with components
US20130285873A1 (en) * 2012-04-20 2013-10-31 Ethertronics, Inc. Multi-band communication system with isolation and impedance matching provision
US9153874B2 (en) * 2013-03-18 2015-10-06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multiport antenna structures with resonating slot
US9823330B2 (en) * 2013-05-03 2017-11-21 Cisco Technology, Inc. Angle of arrival location sensing with antenna array
US9070735B2 (en) * 2013-07-02 2015-06-30 Cambridge Microelectronics Ltd. Lateral power semiconductor transistors
KR102081392B1 (ko) * 2013-11-04 2020-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797385B2 (en) 2013-12-12 2020-10-06 Huawei Device Co., Ltd. Antenna, antenna apparatus, terminal, and method for adjusting working frequency band of antenna
KR102177006B1 (ko) * 2014-07-24 2020-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대역 안테나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397407B1 (ko) * 2015-02-27 2022-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US9972891B2 (en) * 2015-08-05 2018-05-15 Apple Inc. Electronic device antenna with isolation mode
KR102431962B1 (ko) * 2015-08-12 2022-08-1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안테나 성능 개선 방법
KR102511051B1 (ko) 2015-12-10 2023-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33402B1 (ko) 2016-02-19 2022-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034297B2 (en) * 2016-04-20 2018-07-24 Rakuram Ghandi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exposure of human to radio frequency radiation
KR102534531B1 (ko) 2016-07-29 2023-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686628B2 (en) * 2016-11-14 2020-06-16 Intel IP Corporation Access point (AP), station (STA) and methods of channel sounding in accordance with contention based access
CN106921021B (zh) * 2017-03-31 2019-05-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天线结构及电子设备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84817A1 (en) * 2013-09-20 2015-03-26 Sony Corporation Apparatus for tuning multi-band frame antenna
US20160197396A1 (en) * 2015-01-05 2016-07-07 Lg Electronics Inc. Antenna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390694B (zh) 2021-11-26
US20190052292A1 (en) 2019-02-14
EP3444895B1 (en) 2020-03-18
KR20190018207A (ko) 2019-02-22
EP3444895A1 (en) 2019-02-20
US10623029B2 (en) 2020-04-14
CN109390694A (zh) 2019-02-26
WO2019035626A1 (en) 2019-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62068B2 (en)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US11246229B2 (en) Electronic component arrangement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KR102415591B1 (ko)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230261680A1 (en) Antenna and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425821B1 (ko) 커플링 급전을 이용한 이중 대역 안테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569561B2 (en) Antenna having single non-conductive portion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352491B1 (ko) 안테나 및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594157B2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KR102376211B1 (ko) 그립 센서 및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3729794B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onductive member electrically coupled to opening of bracket for adjusting resonance generated from the opening
KR102461704B1 (ko) 안테나에 인접한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046399A (ko)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341534B1 (ko) 안테나들 간의 간섭을 줄여 안테나 성능을 높인 전자 장치
CN112042173A (zh) 天线及包括该天线的电子装置
KR102613216B1 (ko) 안테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54823B1 (ko) 메탈 커버를 안테나 방사체로 이용하는 전자 장치
KR102419622B1 (ko)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대역 상의 노이즈를 차단하기 위한 구조체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210226326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ntenna
US20220224003A1 (en) Antenna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with same
US11563280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EP4009488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wireless charging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20174139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ntenna
KR20230055245A (ko) 무선충전 코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029984A (ko) 안테나들 간 간섭을 줄이기 위한 구조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