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2112B1 - 노인 관리 서비스 로봇 및 그 로봇을 이용한 노인 관리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노인 관리 서비스 로봇 및 그 로봇을 이용한 노인 관리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2112B1
KR102352112B1 KR1020200038258A KR20200038258A KR102352112B1 KR 102352112 B1 KR102352112 B1 KR 102352112B1 KR 1020200038258 A KR1020200038258 A KR 1020200038258A KR 20200038258 A KR20200038258 A KR 20200038258A KR 102352112 B1 KR102352112 B1 KR 102352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bot
elderly
call
inform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8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2345A (ko
Inventor
푼노톡 샬러폰
Original Assignee
푼노톡 샬러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푼노톡 샬러폰 filed Critical 푼노톡 샬러폰
Priority to KR1020200038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2112B1/ko
Publication of KR20210122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2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2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2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B25J11/009Nursing, e.g. carrying sick persons, pushing wheelchairs, distributing dru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03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an audio-responsive in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6Control stands, e.g. consoles, switc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6Safety devices
    • B25J19/061Safety devices with audible sign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02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system, structure, architecture
    • B25J9/161Hardware, e.g. neural networks, fuzzy logic, interfaces, proces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safety, monitoring, diagno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Fuzzy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인 관리 서비스 로봇 및 그 로봇을 이용한 노인 관리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노인의 건강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노인의 위험 정도를 파악하고, 투약 관리를 실시하여 건강을 관리해주며, 특히 독거 노인의 경우 가족이나 지인들과 연락을 손쉽게 취할 수 있게 하며, 일상생활에서의 재미를 부가하는데 있다.
일례로, 터치 스크린 패널, 카메라 모듈, 감지센서모듈, 통신모듈, 마이크/스피커 모듈 및 호출버튼을 포함하는 로봇 디바이스부; 및 상기 로봇 디바이스부와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화, 음성대화, 서비스 호출, 노인상태감지, 알림, 게임 및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로봇 프로세서부를 포함하는 노인 관리 서비스 로봇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노인 관리 서비스 로봇 및 그 로봇을 이용한 노인 관리 서비스 시스템{ROBOT FOR PROVIDING ELDERLY MANAGEMENT SERVICE AND SYSTEM FOR PORVIDING ELDERLY MANAGEMENT SERVICE USING THE ROBO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노인 관리 서비스 로봇 및 그 로봇을 이용한 노인 관리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의료 서비스를 이용하는 많은 환자들은 치명적인 질환에 쉽게 노출되기 쉽고 경우에 따라 지속적인 건강상태의 체크와 이에 따른 조치를 필요로 한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환자가 병원과 같은 의료기관에 자주 방문하거나 입원해 있어야 하는 등의 제약이 있다. 이들 환자들이 고품질의 의료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가정, 병원 및 응급실이 상호 연결된 24시간 연속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며, 24시간 연속적인 건강상태 모니터링을 통한 뇌혈관질환, 심장질환, 당뇨병, 폐쇄성 호흡기 질환 등을 앓고 있는 환자 질병 상태의 빠른 감지 및 정확한 예측은 질병 발생에 따른 여러 가지 합병증 방지 및 치료비용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자의 사회적인 독립 생활의 영위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여러 생체신호는 인간의 건강상태를 반영한다. 생체신호에는 ECG, EMG, EEG, 호흡, 혈압, 체온 등과 같은 신체 정보, 제스처, 걸음새 등의 행동 정보 및 표정 등의 감정 정보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생체신호를 24시간 연속적으로 감시하고 측정하며 측정된 생체신호로부터 신체의 이상 상태를 파악하여 의료기관과 연계하는 지속근접감시체계(continuous close observation amp monitor ing system)가 가능하게 되면, 첫째, 치명적 또는 극심한 위중 상태에 따른 뇌 및 타 장기손상 등 합병증에 의한 이환률 및 유병률 증가를 최소화하여 이에 따른 추가적 의료 및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둘째, 일단 치명적 상태에 이른 환자가 집중치료 상태로부터 회복기에 이르기까지의 병원 내 처치와 치료에 소요되는 기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인명의 손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등의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지속근접감시체계가 시급히 개발되어야 함은 귀중한 인명의 손실 방지뿐만 아니라, 최신기술 및 고급화 경향으로 폭증하고 있는 국민의료비용의 절감을 위해서도 매우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상기한 바, 지속근접감시체계는 병원 내 입원환자에서는 항상 이루어지고 있듯이 퇴원 후 자택 내에서도 이루어져야 하며 치명적 또는 극심한 위급 상태에 이르는 가장 흔한 질환인 급/만성 심혈관질환, 뇌혈관질환, 폐질환 및 당뇨 환자와, 치매 등 근접 감시가 필요한 환자들이 지속근접감시체계의 혜택을 가장 크게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치명적 상태를 반복 경험하였거나 그러한 위험을 잘 인식하는 환자, 또는 안정적 평형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어려운 환자들이 지속근접감시체계 적용의 주 대상으로 판단된다.
병원 또는 가정에서 환자를 24시간 관찰하기 위한 지속근접감시체계 시스템의 구축은 환자를 도와주는 간병인들과 가족들에 의해 구축되어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며, 정기적으로 의사 또는 간호사의 방문으로 환자의 상태를 파악한다.
그리고, 긴급상황이 되면, 간호사 또는 의사에게 연락을 하여 진단을 받을 수 있게 한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환자를 24시간 동안 관찰할 수 없고 간병들이나 가족들이 전문적인 의료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체계적인 감시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또한, 24시간 동안 관찰하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효과적인 지속근접 감시체계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장시간 지속근접감시체계를 운용하면, 많은 비용이 들어 환자와 환자 가족들에게 경제적으로 시간적으로 많은 부담을 준다.
아울러, 가족이 없거나 가족과 멀리 떨어져 혼자 사는 독거 노인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독거 노인에 대한 지속근접감시체계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가족이나 간병인과의 긴밀한 연락 체계, 그리고 외로움을 달랠 수 있는 다양한 오락적 요소의 제공도 함께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34164호(공개일자: 2004년04월28일)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27592호(공개일자: 2017년11월22일)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82777호(공개일자: 2018년07월19일) 등록특허공보 제10-1975384호(등록일자: 2019년04월29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노인의 건강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노인의 위험 정도를 파악하고, 투약 관리를 실시하여 건강을 관리해주며, 특히 독거 노인의 경우 가족이나 지인들과 연락을 손쉽게 취할 수 있게 하며, 일상생활에서의 재미를 부가하기 위한 노인 관리 서비스 로봇 및 그 로봇을 이용한 노인 관리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인 관리 서비스 로봇은, 인터넷과 연결되어 노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로봇에 관한 것으로, 터치 스크린 패널, 카메라 모듈, 감지센서모듈, 통신모듈, 마이크/스피커 모듈 및 호출버튼을 포함하는 로봇 디바이스부; 및 상기 로봇 디바이스부와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화, 음성대화, 서비스 호출, 노인상태감지, 알림, 게임 및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로봇 프로세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로봇 프로세서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을 통해 연락처에 등록된 사용자 이미지를 선택 가능하게 표시하고, 사용자 이미지 선택 시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해당 사용자 이미지와 매칭된 전화번호로 음성통화 및 영상통화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실행하는 통화 실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봇 프로세서부는, 상기 마이크/스피커 모듈을 통해 인공지능 기술 기반의 음성 대화를 실행하는 음성 대화 실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봇 프로세서부는, 상기 호출버튼을 통해 호출입력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기 등록된 보호자의 휴대통신단말로 호출신호를 송출하는 호출 실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봇 프로세서부는, 상기 감지센서모듈에 의해 특정된 감지영역 내에 노인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기반으로 노인의 존재여부, 취침상태 및 기상상태를 각각 검출하는 상태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봇 프로세서부는, 휴대통신단말 및 외부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하여 투약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투약 스케줄 정보를 기반으로 예정된 시간에 투약 알림 정보를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상기 마이크/스피커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하여 투약 알림 기능을 실행하는 투약 정보 알림 실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봇 프로세서부는, 생체정보 측정기기 및 휴대통신단말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하여 생체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생체신호 수신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봇 프로세서부는, 외부 서버로부터 게임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여 실행하기 위한 게임 및 콘텐츠 실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봇 프로세서부는, 개별 약 포장지의 개봉 시 확인 가능한 위치에 인쇄된 제1 식별코드를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스캔하고, 스캔된 상기 제1 식별코드에 저장된 제1 식별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상기 제1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약의 기본정보, 투약 이력 정보, 일일 누적 투약횟수 정보 및 일일 잔여 투약횟수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을 통해 표시하는 제1 투약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봇 디바이스부는, 다수의 약품을 보관하고, 보관된 약품을 상기 로봇 프로세서부로부터 수신되는 투약 알림 신호에 따라 외부로 반출하는 약품 보관/반출 장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봇 프로세서부는, 약 포장지에 인쇄된 제2 식별코드를 스캔하고, 스캔된 상기 제2 식별코드에 저장된 제2 식별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상기 제2 식별정보를 외부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제2 식별정보와 대응되는 투약스케줄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투약스케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약품 보관/반출 장치부에 보관된 약품을 투약 스케줄에 따른 정량의 약품이 반출되도록 상기 약품 보관/반출 장치부를 제어하며,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상기 마이크/스피커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투약 알림 기능을 실행하는 제2 투약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은, 화면 상에 표시되는 드로잉 패턴 입력 버튼을 제공하고, 상기 드로잉 패턴 입력 버튼의 선택 시 기 등록된 특정 드로잉 및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및 설정 받기 위한 드로잉 패턴 입력 창을 표시하고, 상기 로봇 프로세서부는, 상기 드로잉 패턴 입력 창을 통해 통화, 음성대화, 서비스 호출, 게임 및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과 각각 대응되는 입력 드로잉 값 및 패턴 값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 받고, 상기 입력 창을 통해 미리 설정된 드로잉 값 및 패턴 값 중 적어도 하나가 입력되면, 통화, 음성대화, 서비스 호출, 노인상태감지, 알림, 게임 및 컨텐츠 중 미리 설정된 기능을 즉시 실행시키는 기능 즉시 실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인 관리 서비스 시스템은, 터치 스크린 패널, 카메라 모듈, 감지센서모듈, 통신모듈, 마이크/스피커 모듈 및 호출버튼을 포함하는 로봇 디바이스부; 및 상기 로봇 디바이스부와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화, 음성대화, 서비스 호출, 노인상태감지, 알림, 게임 및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로봇 프로세서부를 포함하는 노인 관리 서비스 로봇; 및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노인 관리 서비스 로봇을 통해 기록되는 노인상태감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노인상태감지 데이터를 가공하여 상기 노인 관리 서비스 로봇 별 관리 대상자의 건강상태에 대한 통계 및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하고, 모니터링 하기 위한 노인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노인의 건강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노인의 위험 정도를 파악하고, 투약 관리를 실시하여 건강을 관리해주며, 특히 독거 노인의 경우 가족이나 지인들과 연락을 손쉽게 취할 수 있게 하며, 일상생활에서의 재미를 부가하기 위한 노인 관리 서비스 로봇 및 그 로봇을 이용한 노인 관리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인 관리 서비스 로봇의 외부 구성 및 그와 연동되는 예시 구성을 함께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디바이스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프로세서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실행부의 동작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대화 실행부의 동작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출 실행부의 동작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 검출부의 동작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약 정보 알림 실행부의 동작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수신 관리부의 동작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및 콘텐츠 실행부의 동작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인 관리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인 관리 서버를 통한 모니터링 데시보드와 각종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프로그램의 대시보드 관리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인 관리 서비스 로봇의 외부 구성 및 그와 연동되는 예시 구성을 함께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디바이스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프로세서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 실행부의 동작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대화 실행부의 동작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출 실행부의 동작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 검출부의 동작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약 정보 알림 실행부의 동작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수신 관리부의 동작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및 콘텐츠 실행부의 동작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인 관리 서비스 로봇(10)은 인터넷과 연결되어 노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로봇으로, 하드웨어를 구성하는 로봇 디바이스부(100)와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로봇 프로세서부(200)를 포함한다. 이러한 노인 관리 서비스 로봇(10)은 사용자 즉 관리대상자에 해당하는 노인이 소지하고 있는 휴대통신단말(2)과 생체신호 측정기기(3)와도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특히 생체신호 측정기기(3)와는 동기화되어 작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생체신호 측정기기(3)는 ECG, EMG, EEG, 호흡, 혈압, 체온 등을 측정할 수 있는 기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생체 및 신체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기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유선 또는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호환되는 상용화된 기기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 로봇 디바이스부(100)는 로봇(10)의 하드웨어적인 구성을 이루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중하 파트로 구분되는 인형 캐릭터 형태의 외관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로봇 디바이스부(100)는 터치 스크린 패널(101), 카메라 모듈(102), 감지센서모듈(103), 통신모듈(104), 마이크/스피커 모듈(105), 호출버튼(106) 및 약품 보관/반출 장치부(107)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로봇 본 실시예의 디바이스부(100)는 이외에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커버 베이스(108), 전원 버튼(109), 중앙 컴퓨터 모듈(110), 배터리 모듈(111), USB 허브(112), 메인 커버 바디(113), 커버 백 헤드(114), 모터 기어 세트(115), 컨트롤 보드(116), 메인 커버 베이스(108), 전원 버튼(109), 중앙 컴퓨터 모듈(110), 배터리 모듈(111), USB 허브(112), 메인 커버 바디(113), 커버 백 헤드(114), 모터 기어 세트(115) 및 컨트롤 보드(11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101)은 로봇(10)의 머리 부분에 설치되어 터치 디스플레이를 통해 각종 정보를 표시하며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02)은 촬영 및 스캔이 가능한 구성으로 전방을 향한 1채널로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전후좌우에 각각 설치되는 다채널(4채널)로도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모듈(103)은 전방, 측방, 후방 등 특정한 감지영역을 형성하고, 해당 감지영역에서의 관리 대상자(노인)의 존재여부나 움직임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감지센서모듈(103)는 PIR 센서,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등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단일 혹은 복합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104)은 크게 외부의 노인 관리 서버(20)와의 인터넷 통신을 위한 파트와 블루투스(비콘), 와이파이 등과 같은 근거리무선통신을 위한 파트로 구분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전자와 후자 모두를 포함하는 형태로 설명된다.
상기 마이크/스피커 모듈(105)은 관리 대상자(노인)의 음성 등을 입력 받기 위한 마이크와 로봇(10)으로부터 처리된 음성, 음향, 벨 등의 소리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마이크와 스피커는 하나의 모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로봇(10)의 설계 구조에 따라 분리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호출버튼(106)은 로봇(10)의 상중하 중 하부 전방에 설치되며, 외관에는 'Call'이라는 단어가 표시되어 있으며, 해당 버튼을 누르게 되면 관리 대상자(노인)가 긴급 상황에서 서비스 호출이 즉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긴급상황 또는 일반상황에서 도움이나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간병인, 의료인 등을 직접적으로 호출할 수 있다.
상기 약품 보관/반출 장치부(107)는 다수의 약품을 보관하고, 보관된 약품을 로봇 프로세서부로부터 수신되는 투약 알림 신호에 따라 외부로 반출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약품 보관/반출 장치부(107)는 1회 투약할 정도의 약품을 각각 나누어 수납할 수 있는 다수의 수납함이 구비되고, 각 수납함은 투약 알림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순차적으로 수납된 약품을 특정 위치로 반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수납함은 0부터 n까지 어드레스를 가지고 있고, 투약 알림 신호가 최초 수신되면 어드레스 0인 수납함에 있는 약품부터 반출되도록 동작하는 방식으로 투약 알림 신호의 수신 회차에 맞는 어드레스의 수납함에 있는 약품이 반출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수납함은 투약 알림 신호가 수신되면 바닥면이 오픈되는 방식 또는 오픈된 특정 위치로 밀어 넣는 방식을 통해 내부에 수용된 약품을 반출하고, 반출된 약품이 관리 대상자(노인)이 쉽게 집을 수 있는 위치로 가이드하고 임시 보관할 수 있도록 약품 보관/반출 장치부(107)는 가이드 부재 및 수거함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커버 베이스(108)는 로봇(10)의 하부 파트를 외형을 구성하는 커버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전원 버튼(109)은 메인 커버 베이스(108) 내부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중앙 컴퓨터 모듈(110)은 로봇 프로세서부(200)의 전반적인 프로세스 처리를 위한 하드웨어적인 구성일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모듈(111)은 은 로봇(10)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이차전지모듈과 그 밖의 충/방전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SB 허브(112)는 USB 단자를 통해 외부 USB 케이블과 연결되어 로봇(10)의 시스템 업데이트, 데이터 입/출력, 전원 공급 등을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상기 메인 커버 바디(113)는 로봇(10)의 몸통 부분과 메인 커버 베이스(108)의 상부를 감싸는 커버일 수 있다.
상기 커버 백 헤드(114)는 로봇(10)의 상부 즉, 머리 뒷 부분을 커버하는 부분으로 이 부분에 상술한 약품 보관/반출 장치부(107)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모터 기어 세트(115)는 로봇(10)의 머리 부분이 좌우, 상하 방향으로 회전 및 틸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기계적 구성요소로 공지된 다양한 형태와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보드(116)는 모터 기어 세트(115) 등의 기계적 구성요소의 제어를 담당하는 구성요소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로봇 프로세서부(200)는 로봇 디바이스부(100)와 외부의 노인 관리 서버(2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화, 음성대화, 서비스 호출, 노인상태감지, 알림, 게임 및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로봇 프로세서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 실행부(201), 음성 대화 실행부(202), 호출 실행부(203), 상태 검출부(204), 투약정보 알림 실행부(205), 생체신호 수신 관리부(206), 게임 및 콘텐츠 실행부(207), 제1 투약 관리부(208), 제2 투약 관리부(209) 및 기능 즉시 실행부(21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화 실행부(201)는, 도 4 및 도 5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 패널(10)을 통해 로봇(10)의 연락처에 등록된 사용자 이미지(프로필 또는 일반 사진, 캐리커처 이미지 등)를 선택 가능한 영역 상에 표시하고, 특정 사용자 이미지 선택 시 통신모듈(104)을 통해 해당 사용자 이미지와 매칭된 전화번호로 음성통화 및 영상통화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통화 실행부(201)을 위해 구성된 통신모듈(104)은 인터넷 통신 모듈 및 일반 통신사의 전화 회선을 이용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텍스트 형태의 연락처 이상으로 사진 이미지 등을 이용한 직관적인 연락처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여 보다 손쉬운 통화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상기 음성 대화 실행부(202)는, 도 6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마이크/스피커 모듈(105)을 통해 인공지능 기술 기반의 음성 대화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대화 실행부(202)는 사전에 관리 대상자(노인)의 음성 특성 데이터를 등록하고, 해당 음성에 반응하여 응답하되,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해 음성의 내용을 인지하고, 그에 대한 응답 또한 인공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생성하여 음성과 상황에 따라 터치 스크린 패널(101)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인공지능 기술에 의한 응답은 인터넷 통신과 연동하여 필요한 자료나 정보를 수집한 후 필터링 및 가공하여 관리 대상자(노인)에게 적절히 응답을 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호출 실행부(203)는, 도 7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호출버튼(106)을 통해 호출입력신호가 발생되면 통신모듈(104)을 통해 기 등록된 보호자(가족, 간병인 등)의 휴대통신단말(2)로 호출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이때, 보호자(가족, 간병인 등)의 휴대통신단말(2)에는 전용 호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로봇(10)으로부터 호출신호를 수신하면, 별도의 호출메시지가 휴대통신단말(2) 상에서 플로팅될 수 있고, 알림음 또한 출력될 수 있으며, 확인 시 해당 로봇(10)에 통화 연결을 시도하는 메뉴가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상태 검출부(204)는, 도 8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감지센서모듈(103)을 이용하여 감지센서모듈(103)에 의해 특정된 감지영역(대략 로봇(10)의 전방을 향하며 소정의 감지범위를 이루는 영역) 내에 관리 대상자(노인)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기반으로 관리 대상자(노인)의 존재여부, 취침상태 및 기상상태를 각각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봇(10)이 거실에 비치된 경우, 상태 검출부(204)는 감지센서모듈(103)을 통해 해당 거실의 전 영역에 대한 감시를 실시하여 관리 대상자(노인)이 내실 상태인지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로봇(10)이 침실에 비치된 경우, 상태 검출부(204)는 감지센서모듈(103)을 통해 침대 혹은 방바닥에서 인식되는 관리 대상자(노인)가 존재하는지 여부부터 확인한 후, 시간대 정보 즉 취침 시간대인지 기상 시간대인지에 따라 관리 대상자(노인)의 움직임을 파악하여 취침 중인지, 기상한 상태인지 등을 판별할 수 있다.
상기 투약정보 알림 실행부(205)는, 휴대통신단말(2) 및 노인 관리 서버(20)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하여 투약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고, 도 10에 예시한 바와 같이 수신된 투약 스케줄 정보를 기반으로 예정된 시간에 투약 알림 정보를 터치 스크린 패널(101) 및/또는 마이크/스피커 모듈(105)을 통해 출력하여 투약 알림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관리 대상자(노인)이 의료기관 또는 약국 등에서 처방된 약을 받을 경우, 관리 대상자(노인)의 휴대통신단말(2)에 투약 스케줄 정보를 전송하거나, 노인 관리 서버(20)에서 해당 로봇(10)으로 직접 투약 스케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관리 대상자(노인)의 휴대통신단말(2)에 전송된 투약 스케줄 정보는 해당 휴대통신단말(2)이 직접 투약 알림 기능을 실행할 수 있지만, 해당 휴대통신단말(2)에 근접하는 경우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로봇(10)으로 투약 스케줄 정보를 무선 전송하여 해당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봇(10) 및/또는 휴대통신단말(2)이 투약 스케줄 정보를 바탕으로 어떠한 약을 어떠한 시간에 먹어야 하는지 적절한 시간에 알려주어 규칙적으로 투약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투약 알림 기능은 관리 대상자(노인) 등이 로봇(10)의 터치 스크린 패널(101)을 터치하거나 휴대통신단말(2)의 알림 확인 버튼을 누르게 되면 종료되어 다음 스케줄에 따른 투약 알림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생체신호 수신 관리부(206)는, 생체정보 측정기기(3) 및 휴대통신단말(2)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하여 측정된 생체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생체정보 측정기기(3)는 ECG, EMG, EEG, 호흡, 혈압, 체온 등을 측정할 수 있는 공지된 기술의 장비일 수 있으며, 휴대통신단말(2)은 헬스 케어 어플리케이션 등에서 얻을 수 있는 관리 대상자(노인)의 활동량, 맥박, 홍채 정보 등을 측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생체신호 수신 관리부(206)는 도 11에 예시한 바와 같이 로봇(10)의 통신모듈(104)을 통해 생체정보 측정기기(3) 및 휴대통신단말(2)의 헬스 케어 어플리케이션과 무선 접속 시 동기화되어 측정되었거나 측정 중인 데이터를 바로 바로 가져올 수 있다.
상기 게임 및 콘텐츠 실행부(207)는, 노인 관리 서버(20)로부터 게임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여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게임 및 콘텐츠 실행부(207)는 도 12에 예시한 바와 같이 관리 대상자(노인)의 일상에서의 지루함을 해소하고,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되는 간단한 게임이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실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게임이나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노인 관리 서버(20)에서 지속적으로 제공하며 실시간 업데이트 될 수 있다.
상기 제1 투약 관리부(208)는, 개별 약 포장지의 개봉 시 확인 가능한 위치에 인쇄된 제1 식별코드를 카메라 모듈(102) 또는 별도의 스캐너를 통해 스캔하고, 스캔된 제1 식별코드에 저장된 식별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약의 기본정보, 투약 이력 정보, 일일 누적 투약횟수 정보 및 일일 잔여 투약횟수 정보를 산출하여 터치 스크린 패널(101) 및/또는 마이크/스피커 모듈(105)을 통해 표시거나 출력하여 알려줄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관리 대상자(노인)가 받은 약의 개별 포장지를 개봉하면 포장지 내부에 인쇄된 제1 식별코드가 표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제1 식별코드를 제1 식별코드를 카메라 모듈(102) 또는 별도의 스캐너를 통해 스캔하면, 제1 투약 관리부(208)는 제1 식별코드의 제1 식별정보를 인식하여 노인 관리 서버(20)로 제1 식별정보를 전송하고 그에 대한 다양한 정보들을 수신하여 제공하는데, 예를 들어 현재 먹는 약이 어떠한 약인지와 주의 사항 등에 대한 정보를 기본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해당 약을 몇 회 먹었는지, 현재 몇 회째 먹는 것인지, 그전에 언제 먹었는지, 마지막으로 언제 먹었는지, 오늘은 몇 회째 먹었고 얼마나 더 먹어야 하며 언제 먹어야 하는지 등의 투약 이력 정보, 누적 투약횟수 정보, 일일 잔여 투약횟수 정보 등을 정리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투약 관리부(209)는, 약 포장지에 인쇄된 제2 식별코드를 스캔하고, 스캔된 제2 식별코드에 저장된 제2 식별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상기 제2 식별정보를 노인 관리 서버(20)에 전송하여 해당 제2 식별정보와 대응되는 투약스케줄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투약스케줄정보를 기반으로 약품 보관/반출 장치부(107)에 보관된 약품을 투약 스케줄에 따른 정량의 약품이 반출되도록 약품 보관/반출 장치부(107)를 제어하며, 터치 스크린 패널(101) 및 마이크/스피커 모듈(105)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투약 알림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2 식별코드는 해당 약의 투약스케줄정보를 받을 수 있는 제2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스캔 시 제2 식별정보를 노인 관리 서버(20)에 요청하여 그와 매칭되는 투약스케줄정보를 받아 제2 투약 관리부(209)가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일회 투약 단위로 포장된 약들은 약품 보관/반출 장치부(107)에 각각 수납되어 있어야 하며, 제2 투약 관리부(209)는 저장된 투약스케줄정보를 기반으로 약품 보관/반출 장치부(107)에 수납된 약들을 각 스케줄에 맞게 반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터치 스크린 패널(101) 및/또는 마이크/스피커 모듈(105)을 이용하여 투약 알림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기능 즉시 실행부(210)는, 터치 스크린 패널(101)의 드로잉 패턴 입력 창을 통해 통화, 음성대화, 서비스 호출, 게임 및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과 각각 대응되는 입력 드로잉 값 및 패턴 값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 받고, 해당 입력 창을 통해 미리 설정된 드로잉 값 및 패턴 값 중 적어도 하나가 입력되면, 통화, 음성대화, 서비스 호출, 노인상태감지, 알림, 게임 및 컨텐츠 중 미리 설정된 기능을 즉시 실행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에 앞서, 터치 스크린 패널(101)은, 해당 화면 상에 표시되는 드로잉 패턴 입력 버튼을 제공하고, 드로잉 패턴 입력 버튼의 선택 시 기 등록된 특정 드로잉 및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및 설정 받기 위한 드로잉 패턴 입력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터치 스크린 패널(101)이 활성화된 상태에서는 드로잉 패턴 입력 버튼이 플로팅되어 있는데, 해당 입력 버튼을 선택하면 드로잉 패턴 입력 창이 터치 스크린 패널(101)의 전체 또는 제한된 크기의 영역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드로잉 패턴 입력 창은 드로잉 및/또는 패턴으로 이루어진 입력 값을 입력한 후 그와 매칭할 통화, 음성대화, 서비스 호출, 게임 및 컨텐츠 기능을 각각 설정할 수 있다.
이후, 관리 대상자(노인)가 터치 스크린 패널(101)에 플로팅되어 있는 드로잉 패턴 입력 버튼을 선택하면 다시 드로잉 패턴 입력 창이 표시되고, 기능 즉시 실행부(210)는 해당 입력 창에 미리 설정된 드로잉 및/또는 패턴(예를 들어, 'ㄱ', 'O', 'X' 등)을 입력 받으면 그와 매칭된 기능을 즉시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매칭된 기능이 통화인 경우, 통화 대상자 별로 드로잉 및/또는 패턴이 설정되어 특정 드로잉 및/또는 패턴을 입력하면 즉시 미리 설정된 대상자에게 통화 연결이 시도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인 관리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인 관리 서버를 통한 모니터링 데시보드와 각종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인 관리 서비스 시스템(1)은 노인 관리 서비스 로봇(10)과 노인 관리 서버(20)를 포함하며, 이하 노인 관리 서비스 로봇(10)에 대한 상세 구성에 대해서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노인 관리 서비스 로봇(10)은 인터넷과 연결되어 노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로봇으로, 하드웨어를 구성하는 로봇 디바이스부(100)와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로봇 프로세서부(200)를 포함한다. 이러한 노인 관리 서비스 로봇(10)은 사용자 즉 관리대상자에 해당하는 노인이 소지하고 있는 휴대통신단말(2)과 생체신호 측정기기(3)와도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특히 생체신호 측정기기(3)와는 동기화되어 작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생체신호 측정기기(3)는 ECG, EMG, EEG, 호흡, 혈압, 체온 등을 측정할 수 있는 기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생체 및 신체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기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유선 또는 무선 접속 방식을 통해 호환되는 상용화된 기기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 로봇 디바이스부(100)는 로봇(10)의 하드웨어적인 구성을 이루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중하 파트로 구분되는 인형 캐릭터 형태의 외관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로봇 디바이스부(100)는 터치 스크린 패널(101), 카메라 모듈(102), 감지센서모듈(103), 통신모듈(104), 마이크/스피커 모듈(105), 호출버튼(106) 및 약품 보관/반출 장치부(107)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로봇 본 실시예의 디바이스부(100)는 이외에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커버 베이스(108), 전원 버튼(109), 중앙 컴퓨터 모듈(110), 배터리 모듈(111), USB 허브(112), 메인 커버 바디(113), 커버 백 헤드(114), 모터 기어 세트(115), 컨트롤 보드(116), 메인 커버 베이스(108), 전원 버튼(109), 중앙 컴퓨터 모듈(110), 배터리 모듈(111), USB 허브(112), 메인 커버 바디(113), 커버 백 헤드(114), 모터 기어 세트(115) 및 컨트롤 보드(11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101)은 로봇(10)의 머리 부분에 설치되어 터치 디스플레이를 통해 각종 정보를 표시하며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02)은 촬영 및 스캔이 가능한 구성으로 전방을 향한 1채널로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전후 좌우에 각각 설치되는 다채널(4채널)로도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모듈(103)은 전방, 측방, 후방 등 특정한 감지영역을 형성하고, 해당 감지영역에서의 관리 대상자(노인)의 존재여부나 움직임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감지센서모듈(103)는 PIR 센서,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등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단일 혹은 복합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104)은 크게 외부의 노인 관리 서버(20)와의 인터넷 통신을 위한 파트와 블루투스(비콘), 와이파이 등과 같은 근거리무선통신을 위한 파트로 구분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전자와 후자 모두를 포함하는 형태로 설명된다.
상기 마이크/스피커 모듈(105)은 관리 대상자(노인)의 음성 등을 입력 받기 위한 마이크와 로봇(10)으로부터 처리된 음성, 음향, 벨 등의 소리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마이크와 스피커는 하나의 모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로봇(10)의 설계 구조에 따라 분리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호출버튼(106)은 로봇(10)의 상중하 중 하부 전방에 설치되며, 외관에는 'Call'이라는 단어가 표시되어 있으며, 해당 버튼을 누르게 되면 관리 대상자(노인)가 긴급 상황에서 서비스 호출이 즉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긴급상황 또는 일반상황에서 도움이나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간병인, 의료인 등을 직접적으로 호출할 수 있다.
상기 약품 보관/반출 장치부(107)는 다수의 약품을 보관하고, 보관된 약품을 로봇 프로세서부로부터 수신되는 투약 알림 신호에 따라 외부로 반출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약품 보관/반출 장치부(107)는 1회 투약할 정도의 약품을 각각 나누어 수납할 수 있는 다수의 수납함이 구비되고, 각 수납함은 투약 알림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순차적으로 수납된 약품을 특정 위치로 반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수납함은 0부터 n까지 어드레스를 가지고 있고, 투약 알림 신호가 최초 수신되면 어드레스 0인 수납함에 있는 약품부터 반출되도록 동작하는 방식으로 투약 알림 신호의 수신 회차에 맞는 어드레스의 수납함에 있는 약품이 반출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수납함은 투약 알림 신호가 수신되면 바닥면이 오픈되는 방식 또는 오픈된 특정 위치로 밀어 넣는 방식을 통해 내부에 수용된 약품을 반출하고, 반출된 약품이 관리 대상자(노인)이 쉽게 집을 수 있는 위치로 가이드하고 임시 보관할 수 있도록 약품 보관/반출 장치부(107)는 가이드 부재 및 수거함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커버 베이스(108)는 로봇(10)의 하부 파트를 외형을 구성하는 커버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전원 버튼(109)은 메인 커버 베이스(108) 내부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중앙 컴퓨터 모듈(110)은 로봇 프로세서부(200)의 전반적인 프로세스 처리를 위한 하드웨어적인 구성일 수 있다.
상기 배터리 모듈(111)은 은 로봇(10)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이차전지모듈과 그 밖의 충/방전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SB 허브(112)는 USB 단자를 통해 외부 USB 케이블과 연결되어 로봇(10)의 시스템 업데이트, 데이터 입/출력, 전원 공급 등을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상기 메인 커버 바디(113)는 로봇(10)의 몸통 부분과 메인 커버 베이스(108)의 상부를 감싸는 커버일 수 있다.
상기 커버 백 헤드(114)는 로봇(10)의 상부 즉, 머리 뒷 부분을 커버하는 부분으로 이 부분에 상술한 약품 보관/반출 장치부(107)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모터 기어 세트(115)는 로봇(10)의 머리 부분이 좌우, 상하 방향으로 회전 및 틸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기계적 구성요소로 공지된 다양한 형태와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보드(116)는 모터 기어 세트(115) 등의 기계적 구성요소의 제어를 담당하는 구성요소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로봇 프로세서부(200)는 로봇 디바이스부(100)와 외부의 노인 관리 서버(2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화, 음성대화, 서비스 호출, 노인상태감지, 알림, 게임 및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로봇 프로세서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 실행부(201), 음성 대화 실행부(202), 호출 실행부(203), 상태 검출부(204), 투약정보 알림 실행부(205), 생체신호 수신 관리부(206), 게임 및 콘텐츠 실행부(207), 제1 투약 관리부(208), 제2 투약 관리부(209) 및 기능 즉시 실행부(21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화 실행부(201)는, 도 4 및 도 5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 패널(10)을 통해 로봇(10)의 연락처에 등록된 사용자 이미지(프로필 또는 일반 사진, 캐리커처 이미지 등)를 선택 가능한 영역 상에 표시하고, 특정 사용자 이미지 선택 시 통신모듈(104)을 통해 해당 사용자 이미지와 매칭된 전화번호로 음성통화 및 영상통화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통화 실행부(201)을 위해 구성된 통신모듈(104)은 인터넷 통신 모듈 및 일반 통신사의 전화 회선을 이용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텍스트 형태의 연락처 이상으로 사진 이미지 등을 이용한 직관적인 연락처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여 보다 손쉬운 통화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상기 음성 대화 실행부(202)는, 도 6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마이크/스피커 모듈(105)을 통해 인공지능 기술 기반의 음성 대화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대화 실행부(202)는 사전에 관리 대상자(노인)의 음성 특성 데이터를 등록하고, 해당 음성에 반응하여 응답하되,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해 음성의 내용을 인지하고, 그에 대한 응답 또한 인공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생성하여 음성과 상황에 따라 터치 스크린 패널(101)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인공지능 기술에 의한 응답은 인터넷 통신과 연동하여 필요한 자료나 정보를 수집한 후 필터링 및 가공하여 관리 대상자(노인)에게 적절히 응답을 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호출 실행부(203)는, 도 7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호출버튼(106)을 통해 호출입력신호가 발생되면 통신모듈(104)을 통해 기 등록된 보호자(가족, 간병인 등)의 휴대통신단말(2)로 호출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이때, 보호자(가족, 간병인 등)의 휴대통신단말(2)에는 전용 호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로봇(10)으로부터 호출신호를 수신하면, 별도의 호출메시지가 휴대통신단말(2) 상에서 플로팅될 수 있고, 알림음 또한 출력될 수 있으며, 확인 시 해당 로봇(10)에 통화 연결을 시도하는 메뉴가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상태 검출부(204)는, 도 8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감지센서모듈(103)을 이용하여 감지센서모듈(103)에 의해 특정된 감지영역(대략 로봇(10)의 전방을 향하며 소정의 감지범위를 이루는 영역) 내에 관리 대상자(노인)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기반으로 관리 대상자(노인)의 존재여부, 취침상태 및 기상상태를 각각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봇(10)이 거실에 비치된 경우, 상태 검출부(204)는 감지센서모듈(103)을 통해 해당 거실의 전 영역에 대한 감시를 실시하여 관리 대상자(노인)이 내실 상태인지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로봇(10)이 침실에 비치된 경우, 상태 검출부(204)는 감지센서모듈(103)을 통해 침대 혹은 방바닥에서 인식되는 관리 대상자(노인)가 존재하는지 여부부터 확인한 후, 시간대 정보 즉 취침 시간대인지 기상 시간대인지에 따라 관리 대상자(노인)의 움직임을 파악하여 취침 중인지, 기상한 상태인지 등을 판별할 수 있다.
상기 투약정보 알림 실행부(205)는, 휴대통신단말(2) 및 노인 관리 서버(20)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하여 투약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고, 도 10에 예시한 바와 같이 수신된 투약 스케줄 정보를 기반으로 예정된 시간에 투약 알림 정보를 터치 스크린 패널(101) 및/또는 마이크/스피커 모듈(105)을 통해 출력하여 투약 알림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관리 대상자(노인)이 의료기관 또는 약국 등에서 처방된 약을 받을 경우, 관리 대상자(노인)의 휴대통신단말(2)에 투약 스케줄 정보를 전송하거나, 노인 관리 서버(20)에서 해당 로봇(10)으로 직접 투약 스케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관리 대상자(노인)의 휴대통신단말(2)에 전송된 투약 스케줄 정보는 해당 휴대통신단말(2)이 직접 투약 알림 기능을 실행할 수 있지만, 해당 휴대통신단말(2)에 근접하는 경우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로봇(10)으로 투약 스케줄 정보를 무선 전송하여 해당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봇(10) 및/또는 휴대통신단말(2)이 투약 스케줄 정보를 바탕으로 어떠한 약을 어떠한 시간에 먹어야 하는지 적절한 시간에 알려주어 규칙적으로 투약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투약 알림 기능은 관리 대상자(노인) 등이 로봇(10)의 터치 스크린 패널(101)을 터치하거나 휴대통신단말(2)의 알림 확인 버튼을 누르게 되면 종료되어 다음 스케줄에 따른 투약 알림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생체신호 수신 관리부(206)는, 생체정보 측정기기(3) 및 휴대통신단말(2)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하여 측정된 생체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생체정보 측정기기(3)는 ECG, EMG, EEG, 호흡, 혈압, 체온 등을 측정할 수 있는 공지된 기술의 장비일 수 있으며, 휴대통신단말(2)은 헬스 케어 어플리케이션 등에서 얻을 수 있는 관리 대상자(노인)의 활동량, 맥박, 홍채 정보 등을 측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생체신호 수신 관리부(206)는 도 11에 예시한 바와 같이 로봇(10)의 통신모듈(104)을 통해 생체정보 측정기기(3) 및 휴대통신단말(2)의 헬스 케어 어플리케이션과 무선 접속 시 동기화되어 측정되었거나 측정 중인 데이터를 바로 바로 가져올 수 있다.
상기 게임 및 콘텐츠 실행부(207)는, 노인 관리 서버(20)로부터 게임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여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게임 및 콘텐츠 실행부(207)는 도 12에 예시한 바와 같이 관리 대상자(노인)의 일상에서의 지루함을 해소하고,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되는 간단한 게임이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실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게임이나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노인 관리 서버(20)에서 지속적으로 제공하며 실시간 업데이트 될 수 있다.
상기 제1 투약 관리부(208)는, 개별 약 포장지의 개봉 시 확인 가능한 위치에 인쇄된 제1 식별코드를 카메라 모듈(102) 또는 별도의 스캐너를 통해 스캔하고, 스캔된 제1 식별코드에 저장된 식별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약의 기본정보, 투약 이력 정보, 일일 누적 투약횟수 정보 및 일일 잔여 투약횟수 정보를 산출하여 터치 스크린 패널(101) 및/또는 마이크/스피커 모듈(105)을 통해 표시거나 출력하여 알려줄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관리 대상자(노인)가 받은 약의 개별 포장지를 개봉하면 포장지 내부에 인쇄된 제1 식별코드가 표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제1 식별코드를 제1 식별코드를 카메라 모듈(102) 또는 별도의 스캐너를 통해 스캔하면, 제1 투약 관리부(208)는 제1 식별코드의 제1 식별정보를 인식하여 노인 관리 서버(20)로 제1 식별정보를 전송하고 그에 대한 다양한 정보들을 수신하여 제공하는데, 예를 들어 현재 먹는 약이 어떠한 약 인지와 주의 사항 등에 대한 정보를 기본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해당 약을 몇 회 먹었는지, 현재 몇 회째 먹는 것인지, 그전에 언제 먹었는지, 마지막으로 언제 먹었는지, 오늘은 몇 회째 먹었고 얼마나 더 먹어야 하며 언제 먹어야 하는지 등의 투약 이력 정보, 누적 투약횟수 정보, 일일 잔여 투약횟수 정보 등을 정리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투약 관리부(209)는, 약 포장지에 인쇄된 제2 식별코드를 스캔하고, 스캔된 제2 식별코드에 저장된 제2 식별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상기 제2 식별정보를 노인 관리 서버(20)에 전송하여 해당 제2 식별정보와 대응되는 투약스케줄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투약스케줄정보를 기반으로 약품 보관/반출 장치부(107)에 보관된 약품을 투약 스케줄에 따른 정량의 약품이 반출되도록 약품 보관/반출 장치부(107)를 제어하며, 터치 스크린 패널(101) 및 마이크/스피커 모듈(105)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투약 알림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2 식별코드는 해당 약의 투약스케줄정보를 받을 수 있는 제2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스캔 시 제2 식별정보를 노인 관리 서버(20)에 요청하여 그와 매칭되는 투약스케줄정보를 받아 제2 투약 관리부(209)가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일회 투약 단위로 포장된 약들은 약품 보관/반출 장치부(107)에 각각 수납되어 있어야 하며, 제2 투약 관리부(209)는 저장된 투약스케줄정보를 기반으로 약품 보관/반출 장치부(107)에 수납된 약들을 각 스케줄에 맞게 반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터치 스크린 패널(101) 및/또는 마이크/스피커 모듈(105)을 이용하여 투약 알림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기능 즉시 실행부(210)는, 터치 스크린 패널(101)의 드로잉 패턴 입력 창을 통해 통화, 음성대화, 서비스 호출, 게임 및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과 각각 대응되는 입력 드로잉 값 및 패턴 값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 받고, 해당 입력 창을 통해 미리 설정된 드로잉 값 및 패턴 값 중 적어도 하나가 입력되면, 통화, 음성대화, 서비스 호출, 노인상태감지, 알림, 게임 및 컨텐츠 중 미리 설정된 기능을 즉시 실행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에 앞서, 터치 스크린 패널(101)은, 해당 화면 상에 표시되는 드로잉 패턴 입력 버튼을 제공하고, 드로잉 패턴 입력 버튼의 선택 시 기 등록된 특정 드로잉 및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및 설정 받기 위한 드로잉 패턴 입력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터치 스크린 패널(101)이 활성화된 상태에서는 드로잉 패턴 입력 버튼이 플로팅되어 있는데, 해당 입력 버튼을 선택하면 드로잉 패턴 입력 창이 터치 스크린 패널(101)의 전체 또는 제한된 크기의 영역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드로잉 패턴 입력 창은 드로잉 및/또는 패턴으로 이루어진 입력 값을 입력한 후 그와 매칭할 통화, 음성대화, 서비스 호출, 게임 및 컨텐츠 기능을 각각 설정할 수 있다.
이후, 관리 대상자(노인)가 터치 스크린 패널(101)에 플로팅되어 있는 드로잉 패턴 입력 버튼을 선택하면 다시 드로잉 패턴 입력 창이 표시되고, 기능 즉시 실행부(210)는 해당 입력 창에 미리 설정된 드로잉 및/또는 패턴(예를 들어, '┓', 'O', 'X' 등)을 입력 받으면 그와 매칭된 기능을 즉시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매칭된 기능이 통화인 경우, 통화 대상자 별로 드로잉 및/또는 패턴이 설정되어 특정 드로잉 및/또는 패턴을 입력하면 즉시 미리 설정된 대상자에게 통화 연결이 시도될 수 있다.
상기 노인 관리 서버(20)는, 로봇(10)의 통신모듈(104)을 통해 연결되어 해당 로봇(10)을 통해 기록되는 노인상태감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노인상태감지 데이터를 가공하여 노인 관리 서비스 로봇(10) 별 관리 대상자(노인)의 건강상태에 대한 통계 및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하고, 모니터링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노인 관리 서버(2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봇(10)의 실시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모니터링하는 데시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노인 관리 서버(2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 대상자(노인)의 프로파일을 확인할 수 있도록 모니터링하는 데시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노인 관리 서버(2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 대상자(노인)의 프로파일 및 생체신호 상태보고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모니터링하는 데시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노인 관리 서버(20)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 대상자(노인)의 프로파일 및 생체신호 통계 이력 보고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모니터링하는 데시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노인 관리 서버(20)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이용하는 로봇 정보, 로봇의 서버 접속 정보, 관리 대상자(노인) 정보 등의 관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인 관리 서버(20)는,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웹 서버로,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 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노인 관리 서버(20)는 네트워크를 통해 로봇(10) 및/또는 휴대통신단말(2)에 연결되며,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9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프로그램의 대시보드 관리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19에 도시된 대시보드 관리화면은 해당 프로그램 상에서 중요한 정보나 데이터들을 수집하여 한 곳에서 보여주고 있으며, 노인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를 위한 정보에 접속하면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는 개별적 또는 집단적 모든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대시보드 화면은 사용자가 하위 브랜치로 관리하기 용이하도록 서브 그룹들으로 나누어져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로봇은, Inhome(병원 또는 요양원에 있는 사용자), Athome(자택 거주 중인 사용자), All(시스템에 있는 로봇의 총 개수), Start(온라인에 연결된 로봇들의 개수), Stop/Not Connect Internet(오프라인 상태의 로봇의 개수, 작업 준비가 되어 있지 않거나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로봇의 개수)에 따른 위치 제어로 구분되어 있다.
또한, 노인의 상태에 대하여 Nomal(사용자의 일반적인 상태), Alert(사용자가 도움을 요청하거나, 서비스를 요청한 상태), Urgency(사용자 응급상태)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측면에서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는, Login User(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온라인)과 Logout User(모바일 어플ž이션 오프라인)로 구분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대시보드 관리화면은, 하나의 화면 상에서 센터로부터 직원에게 주문을 감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입원 중인 노인과 자택에 있는 노인의 그룹으로 나누어진 로봇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대시보드 관리화면은 노인들의 상태에 따른 색상을 갖는 탭을 통해 모니터링을 좀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녹색 탭은 노인이 일반적인 상태를 나타내고, 오랜지색 탭은 노인이 서비스를 요청한 상태를 나타내며, 붉은색 탭은 긴급 도움 요청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급 상황이 발생되면 노인들은 도움을 필요로 하게 되는데, 직원들은 이를 즉시 인지하고 해당 노인에게 즉시 도움을 주러 출동할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화면을 통해서는, 최근의 생체 측정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과거 치료의 건강 진전을 분석하기 위해 생체 신호 측정 기록도 함께 확인할 수 있다.
도 23에 도시된 화면은, 보다 광범위한 섹터에서의 노인 관리를 위한 부분으로, 하위 분기 그룹에 대한 철저한 관리를 위하여 위험도가 높은 그룹을 면밀히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도 24에 도시된 화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는 로봇 제어를 위한 도구가 있으며, 로봇에 대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즉각적인 조치를 취하기 위하여 직원과 협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노인 관리 서비스 로봇 및 그 로봇을 이용한 노인 관리 서비스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노인 관리 서비스 로봇
100: 로봇 디바이스부
101: 터치 스크린 패널
101a: 드로잉 패턴 입력 버튼
101b: 드로잉 패턴 입력 창
102: 카메라 모듈
103: 감시센서모듈
104: 통신모듈
105: 마이크/스피커 모듈
106: 호출버튼
107: 약품 보관/반출 장치부
108: 메인 커버 베이스
109: 전원 버튼
110: 중앙 컴퓨터 모듈
111: 배터리 모듈
112: USB 허브
113: 메인 커버 바디
114: 커버 백 헤드
115: 모터 기어 세트
116: 컨트롤 보드
200: 로봇 프로세서부
201: 통화 실행부
202: 음성 대화 실행부
203: 호출 실행부
204: 상태 검출부
205: 투약 정보 알림 실행부
206: 생체신호 수신 관리부
207: 게임 및 콘텐츠 실행부
208: 제1 투약 관리부
209: 제2 투약 관리부
210: 기능 즉시 실행부
1: 노인 관리 서비스 시스템
10: 노인 관리 서비스 로봇
20: 노인 관리 서버
2: 휴대통신단말
3: 생체정보 측정기기

Claims (9)

  1. 인터넷과 연결되어 노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로봇에 관한 것으로,
    터치 스크린 패널, 카메라 모듈, 감지센서모듈, 통신모듈, 마이크/스피커 모듈 및 호출버튼을 포함하는 로봇 디바이스부; 및
    상기 로봇 디바이스부와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화, 음성대화, 서비스 호출, 노인상태감지, 알림, 게임 및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로봇 프로세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봇 프로세서부는,
    개별 약 포장지의 개봉 시 확인 가능한 위치에 인쇄된 제1 식별코드를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스캔하고, 스캔된 상기 제1 식별코드에 저장된 제1 식별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상기 제1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약의 기본정보, 투약 이력 정보, 일일 누적 투약횟수 정보 및 일일 잔여 투약횟수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을 통해 표시하고,
    상기 로봇 디바이스부는,
    다수의 약품을 보관하고, 보관된 약품을 상기 로봇 프로세서부로부터 수신되는 투약 알림 신호에 따라 외부로 반출하고,
    상기 로봇 프로세서부는,
    약 포장지에 인쇄된 제2 식별코드를 스캔하고, 스캔된 상기 제2 식별코드에 저장된 제2 식별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상기 제2 식별정보를 외부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제2 식별정보와 대응되는 투약스케줄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투약스케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로봇 디바이스부에 보관된 약품을 투약 스케줄에 따른 정량의 약품이 반출되도록 상기 로봇 디바이스부를 제어하며,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상기 마이크/스피커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투약 알림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은,
    화면 상에 표시되는 드로잉 패턴 입력 버튼을 제공하고, 상기 드로잉 패턴 입력 버튼의 선택 시 기 등록된 특정 드로잉 및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및 설정 받기 위한 드로잉 패턴 입력 창을 표시하고,
    상기 로봇 프로세서부는,
    상기 드로잉 패턴 입력 창을 통해 통화, 음성대화, 서비스 호출, 게임 및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과 각각 대응되는 입력 드로잉 값 및 패턴 값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 받고, 상기 입력 창을 통해 미리 설정된 드로잉 값 및 패턴 값 중 적어도 하나가 입력되면, 통화, 음성대화, 서비스 호출, 노인상태감지, 알림, 게임 및 컨텐츠 중 미리 설정된 기능을 즉시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 관리 서비스 로봇.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 프로세서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을 통해 연락처에 등록된 사용자 이미지를 선택 가능하게 표시하고, 사용자 이미지 선택 시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해당 사용자 이미지와 매칭된 전화번호로 음성통화 및 영상통화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실행하는 통화 실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 관리 서비스 로봇.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 프로세서부는,
    상기 마이크/스피커 모듈을 통해 인공지능 기술 기반의 음성 대화를 실행하는 음성 대화 실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 관리 서비스 로봇.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 프로세서부는,
    상기 호출버튼을 통해 호출입력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기 등록된 보호자의 휴대통신단말로 호출신호를 송출하는 호출 실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 관리 서비스 로봇.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 프로세서부는,
    상기 감지센서모듈에 의해 특정된 감지영역 내에 노인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기반으로 노인의 존재여부, 취침상태 및 기상상태를 각각 검출하는 상태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 관리 서비스 로봇.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 프로세서부는,
    휴대통신단말 및 외부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하여 투약 스케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투약 스케줄 정보를 기반으로 예정된 시간에 투약 알림 정보를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상기 마이크/스피커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하여 투약 알림 기능을 실행하는 투약 정보 알림 실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 관리 서비스 로봇.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 프로세서부는,
    생체정보 측정기기 및 휴대통신단말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하여 생체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생체신호 수신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 관리 서비스 로봇.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 프로세서부는,
    외부 서버로부터 게임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여 실행하기 위한 게임 및 콘텐츠 실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 관리 서비스 로봇.
  9. 터치 스크린 패널, 카메라 모듈, 감지센서모듈, 통신모듈, 마이크/스피커 모듈 및 호출버튼을 포함하는 로봇 디바이스부; 및 상기 로봇 디바이스부와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화, 음성대화, 서비스 호출, 노인상태감지, 알림, 게임 및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로봇 프로세서부를 포함하는 노인 관리 서비스 로봇; 및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노인 관리 서비스 로봇을 통해 기록되는 노인상태감지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노인상태감지 데이터를 가공하여 상기 노인 관리 서비스 로봇 별 관리 대상자의 건강상태에 대한 통계 및 히스토리 정보를 생성하고, 모니터링 하기 위한 노인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로봇 프로세서부는,
    개별 약 포장지의 개봉 시 확인 가능한 위치에 인쇄된 제1 식별코드를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스캔하고, 스캔된 상기 제1 식별코드에 저장된 제1 식별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상기 제1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약의 기본정보, 투약 이력 정보, 일일 누적 투약횟수 정보 및 일일 잔여 투약횟수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을 통해 표시하고,
    상기 로봇 디바이스부는,
    다수의 약품을 보관하고, 보관된 약품을 상기 로봇 프로세서부로부터 수신되는 투약 알림 신호에 따라 외부로 반출하고,
    상기 로봇 프로세서부는,
    약 포장지에 인쇄된 제2 식별코드를 스캔하고, 스캔된 상기 제2 식별코드에 저장된 제2 식별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상기 제2 식별정보를 외부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제2 식별정보와 대응되는 투약스케줄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투약스케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로봇 디바이스부에 보관된 약품을 투약 스케줄에 따른 정량의 약품이 반출되도록 상기 로봇 디바이스부를 제어하며,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상기 마이크/스피커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투약 알림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은,
    화면 상에 표시되는 드로잉 패턴 입력 버튼을 제공하고, 상기 드로잉 패턴 입력 버튼의 선택 시 기 등록된 특정 드로잉 및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및 설정 받기 위한 드로잉 패턴 입력 창을 표시하고,
    상기 로봇 프로세서부는,
    상기 드로잉 패턴 입력 창을 통해 통화, 음성대화, 서비스 호출, 게임 및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과 각각 대응되는 입력 드로잉 값 및 패턴 값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 받고, 상기 입력 창을 통해 미리 설정된 드로잉 값 및 패턴 값 중 적어도 하나가 입력되면, 통화, 음성대화, 서비스 호출, 노인상태감지, 알림, 게임 및 컨텐츠 중 미리 설정된 기능을 즉시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을 이용한 노인 관리 서비스 시스템.
KR1020200038258A 2020-03-30 2020-03-30 노인 관리 서비스 로봇 및 그 로봇을 이용한 노인 관리 서비스 시스템 KR102352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258A KR102352112B1 (ko) 2020-03-30 2020-03-30 노인 관리 서비스 로봇 및 그 로봇을 이용한 노인 관리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258A KR102352112B1 (ko) 2020-03-30 2020-03-30 노인 관리 서비스 로봇 및 그 로봇을 이용한 노인 관리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2345A KR20210122345A (ko) 2021-10-12
KR102352112B1 true KR102352112B1 (ko) 2022-01-17

Family

ID=78078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8258A KR102352112B1 (ko) 2020-03-30 2020-03-30 노인 관리 서비스 로봇 및 그 로봇을 이용한 노인 관리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21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2668A (ko) 2022-06-15 2023-12-26 주식회사 두리케어챗봇 광학 생체 센서가 내장된 챗봇 인형을 이용한 노인 헬스 케어 시스템
KR20230172670A (ko) 2022-06-15 2023-12-26 주식회사 두리케어챗봇 레이더 생체 센서가 내장된 챗봇 인형을 이용한 노인 헬스 케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51852A (zh) * 2021-10-27 2022-01-21 北京小乔机器人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具有档案管理和用药管理功能的机器人
CN114750184A (zh) * 2022-05-13 2022-07-15 电子科技大学成都学院 一种全地形跟随式助老服务机器人
CN115107057A (zh) * 2022-08-12 2022-09-27 广东海洋大学 一种基于ros和深度视觉的智能养老服务机器人
KR102598814B1 (ko) * 2022-12-13 2023-11-08 주식회사 누리온 인공지능 기반의 생활센서 연계 돌봄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17226866A (zh) * 2023-09-19 2023-12-15 重庆宗灿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智能养老陪护机器人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4164A (ko) 2002-10-21 2004-04-28 (주)메드 밴 간병용로봇장치 및 간병로봇 모니터링시스템
KR101298482B1 (ko) * 2010-04-19 2013-08-21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황 인지 기반의 영상전화 서비스 로봇
KR20130032891A (ko) * 2013-03-11 2013-04-02 (주)알앤디글로벌 웰니스 겸용 휴먼 케어 로봇
KR20170127592A (ko) 2016-05-11 2017-11-22 문건 헬스케어 간병 로봇
KR20180082777A (ko) 2017-01-11 2018-07-19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노년층을 위한 교감 로봇시스템
KR101975384B1 (ko) 2017-06-09 2019-05-07 (주)클래시스 독거인 관리용 로봇, 이를 이용한 독거인 관리 장치 및 독거인 관리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2668A (ko) 2022-06-15 2023-12-26 주식회사 두리케어챗봇 광학 생체 센서가 내장된 챗봇 인형을 이용한 노인 헬스 케어 시스템
KR20230172670A (ko) 2022-06-15 2023-12-26 주식회사 두리케어챗봇 레이더 생체 센서가 내장된 챗봇 인형을 이용한 노인 헬스 케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2345A (ko) 202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2112B1 (ko) 노인 관리 서비스 로봇 및 그 로봇을 이용한 노인 관리 서비스 시스템
US10507167B1 (en) Smart pill box and medical compliance monitoring
US10535248B2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argeted interactive health status notification and confirmation
JP7355826B2 (ja) プラットフォーム非依存のリアルタイム医療データ表示システム
US20040172290A1 (en) Health monitoring device
US8791815B2 (en) System and method providing data exchange with a medical device for remote patient care
JP2021525569A (ja) 消費者電気デバイスを使用する埋込可能な治療デバイスから取得したデータを収集及び表示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11559251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harmacological therapeutics including a health monitoring device
US20140235963A1 (en) Remote Health Care System
US20050187789A1 (en) Advanced patient and medication therap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U2017201295A1 (en) Automatic association of medical elements
US20060089856A1 (en) Integrated pharmaceutical dispensing and patient management monitoring
WO2000047108A1 (en) Ambulatory monitor
US20110224501A1 (en) In-home health monitoring apparatus and system
JP7234572B2 (ja) ケアシステム、その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20225949A1 (en) Wearable device network system
JPWO2020075675A1 (ja) ケアシステムの管理方法および管理装置、ならびにプログラム
CN211432875U (zh) 一种肝移植患者远程监测护理系统
TWI604407B (zh) Internet of Things-based Ambulatory Care System for the Elderly
CN111110209A (zh) 一种肝移植患者远程监测护理系统及其方法
EP4369319A1 (en) A household emergency call device
EP2364638A1 (en) A care monitoring system
JP2023009425A (ja) 情報提供装置、作業者端末及び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JP2024057928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2022031220A (ja) 遠隔医療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