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1966B1 - an nomorail vehile with horizontal suppor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an nomorail vehile with horizontal suppor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1966B1
KR102351966B1 KR1020200168272A KR20200168272A KR102351966B1 KR 102351966 B1 KR102351966 B1 KR 102351966B1 KR 1020200168272 A KR1020200168272 A KR 1020200168272A KR 20200168272 A KR20200168272 A KR 20200168272A KR 102351966 B1 KR102351966 B1 KR 102351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member
unit
leveling device
boarding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82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여운범
황종규
Original Assignee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8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196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1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19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02Arrangements permitting limited transverse relative movements between vehicle underframe or bolster and bogie; Connections between underframes and bogies
    • B61F5/22Guiding of the vehicle underframes with respect to the bog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04Monorail system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norail vehicle with a level maintaining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monorail vehicle with a level maintaining device, which allows a riding unit in which a passenger rides to maintain level even if the gradient of a monorail installed on a slope is changed and stably maintain a level state even if the weight of the riding unit changes. To achieve the objective, the monorail vehicle with a level maintaining device comprises: a riding unit in which a passenger rides; a driving unit moving along a monorail; a support supporting a lower portion of the riding unit; a first support bracket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driving unit to allow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to be hinge-coupled thereto; and a level maintaining device provided between the riding unit and the driving unit to control the level state of the riding unit.

Description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 {an nomorail vehile with horizontal supporting apparatus}A monorail vehicle with a horizontal suppor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경사지에 설치된 모노레일의 경사도가 변경되더라도 승객이 탑승하는 탑승부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탑승부의 하중이 변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norail vehicle equipped with a level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even if the inclination of a monorail installed on a slope is changed, the boarding part on which passengers board can be maintained horizontally as well as being stably horizontal even when the load of the boarding part changes. It relates to a monorail vehicle provided with a leveling device capable of maintaining a state.

모노레일을 이용한 운행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도 1에 도시하듯이 모노레일을 교각구조위에 설치하고, 이 모노레일위에 차량이 구비되는데, 모노레일을 운행하는 구동구조는 모노레일의 양 측면에서 운행차량을 잡아주는 안내차륜(6)이 설치되어진다. The operating system using the monorail basically installs a monorail on a pier structure as shown in FIG. 1, and a vehicle is provided on the monorail. The driving structure for operating the monorail is a guide wheel ( 6) is installed.

그리고, 집전장치(7)와 안정차륜(8)이 동시에 설치되어 동력공급과 함께 안정화를 유도하며, 구동차륜(1)이 모노레일 상면에 설치되어 지고, 이 구동차륜은 구동장치(4)에 의하여 동력을 공급받아 구동한다.Then, the current collector 7 and the stabilizing wheel 8 are installed at the same time to induce stabilization together with power supply, and the driving wheel 1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norail, and the driving wheel is driven by the driving device 4 Power is supplied and driven.

이러한 일반적인 모노레일은 경사가 급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안전하게 주행하게 되지만, 언덕 지대나 산악 지대에 설치되는 모노레일은 경사가 급하게 형성되어 모노레일 차량 역시 경사진 상태로 운행하게 된다.These general monorails are formed so that the incline is not sharp and can be safely driven, but monorails installed in hills or mountainous areas have a steep incline, so that the monorail vehicle is also operated in an inclined state.

그래서, 경사지게 설치된 모노레일을 주행하는 모노레일과 연결되는 주행부는 경사지도록 설치되지만, 모노레일 차량은 승객이 탑승하는 탑승부는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안정적인 주행을 가능하게 한다.Thus, although the driving part connected to the monorail running on the inclined monorail is installed to be inclined, in the monorail vehicle, the boarding part on which the passenger boards is maintained in a horizontal state, thereby enabling stable driving.

그런데, 종래의 경사부를 주행하는 모노레일 차량은 경사진 상태의 각도가 고정되어 있어 경사면의 각도가 변경될 경우에는 탑승부가 수평을 유지할 수 없어 승객의 안전과 승차감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monorail vehicle traveling on an inclined portion, the angle of the inclined state is fixed, and when the angle of the inclined surface is changed, the boarding part cannot maintain the level, thereby impairing passenger safety and riding comfort.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본 공개특허 제2010-018187호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모노레일카(10)는 주행하는 주행위치를 검출하여 그 검출한 주행위치에 근거한 레일의 경사각도 데이터가 기억되어 그 경사각도 데이터와 주행위치에 근거한 각도로 상부차량(12)을 실린더(26)를 이용해 경동시키므로, 경사각도가 변화하는 레일에 의해 주행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부차량(12)은 항상 거의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 탑승자의 안전과 차량의 승차감을 해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o,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technique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0-0118187 as shown in FIG. 2 has been proposed, and the technical feature is that the monorail car 10 detects the driving position in which it travels and the detected The inclination angle data of the rail based on the traveling position is stored and the upper vehicle 12 is tilted using the cylinder 26 at an angle based on the inclination angle data and the traveling position. Even in this case, the upper vehicle 12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always maintain a substantially horizontal state,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safety of the occupants and the riding comfort of the vehicle.

한편, 일본 공개특허 제2010-018187호에 기재된 기술은 경사각도가 변화하는 레일을 주행하더라도 승객이 탑승하는 상부차량(12)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탑승자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고 승차감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상부차량(12)의 각도를 실린더(26)를 통하여 조절하면서 실린더(26)가 직접 상부차량(12)의 하중을 지지하게 되며, 탑승하는 승객의 수에 따라 가해지는 하중이 달라지게 되므로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로드의 돌출정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echnology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0-018187 maintains the upper vehicle 12 on which passengers ride even when traveling on rails with varying inclination angles, so that passengers can move safely and ride comfort can be improved. Although there are advantages, the cylinder 26 directly supports the load of the upper vehicle 12 while adjusting the angle of the upper vehicle 12 through the cylinder 26, and the load applied vari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passengers. Therefore, the pneumatic or hydraulic cylinder has a problem in that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rod varies depending on the load applied from the outside, so that it cannot be stably maintained in a horizontal state.

일본 공개특허 제2010-018187호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0-018187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노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주행부의 상부에 승객이 탑승하는 탑승부가 힌지 결합으로 구비되되, 상기 힌지 결합부의 일측에 탑승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캠과 지지캠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지는 수평유지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모노레일의 경사도에 따라 정확하게 탑승부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탑승부의 하중이 변하더라도 탑승부의 각도가 변화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oarding part on which a passenger rides on an upper part of a driving part traveling along a monorail by a hinge coupling, the lower part of the boarding part on one side of the hinge coupling part By providing a leveling device comprising a supporting cam for supporting and a driving motor for rotating the supporting cam, not only can the boarding part be accurately leveled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monorail, but also the angle of the boarding part does not change even if the load of the boarding part changes and is stable To provide a monorail vehicle equipped with a leveling device to be supported by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캠부재의 측부에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탑승부의 하부를 형성하는 하부 베이스에는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이부재에 하단에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돌부를 형성함으로써, 탑승부가 캠부재와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탑승부와 주행부의 각도를 유지할 수 있는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And,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guide groove on the side of the cam member, and to form a guide protrusion that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at the lower end of the guy member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lower base forming the lower part of the boarding par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norail vehicle equipped with a leveling device capable of stably maintaining the angle between the boarding part and the driving part by preventing the boarding part from being spaced apart from the cam member.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se problems;

탑승부와 주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에 있어서, 상기 탑승부와 주행부 사이에는 상기 탑승부의 수평상태를 제어하는 수평유지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onorail vehicle provided with a leveling device including a boarding part and a driving part, a leveling device for controlling the horizontal state of the boarding part is provided between the boarding part and the driving part.

여기서, 상기 수평 유지 장치는 상기 주행부의 상부에 일측 설치되는 제2지지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탑승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캠부재와, 상기 주행부의 상부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캠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leveling device includes a cam member that is rotatably provided on a second support bracke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traveling unit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riding unit, and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traveling unit to rotate the cam memb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driving part.

이때,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2지지브라켓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캠부재가 설치되는 캠축과, 상기 캠부재의 일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회전레버와, 상기 주행부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레버를 회전시키는 구동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driving unit is provided rotatably on the second support bracket and includes a cam shaft on which the cam member is installed, a rotation lever formed to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cam member, and the rotation lever installed on an upper side of the traveling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driving cylinder for rotating the.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2지지브라켓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캠부재가 설치되는 캠축과, 상기 캠축의 일측에 돌출형성되는 구동레버와, 상기 주행부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레버를 회전시키는 구동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riving unit is provided to be rotatable on the second support bracket and includes a camshaft on which the cam member is installed, a driving lever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camshaft, and an upper side of the driving unit to rotate the driving lev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driving cylinder.

한편, 상기 캠부재의 일측면 가장자리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탑승부의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돌부가 형성되는 가이드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a guide groove is formed on the edge of one side of the cam member, and a guide member having a guide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arding part.

여기서, 상기 탑승부의 하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삽입되어 전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a guide rail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arding part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upper portion of the guide member is inserted into the guide rail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이때, 상기 탑승부의 하부에는 상기 캠부재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a support plate for supporting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cam member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arding part.

한편, 상기 수평 유지 장치는 상기 탑승부의 하부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주행부의 상부에 지지되는 캠부재와, 상기 상기 탑승부의 하부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캠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leveling device comprises a cam member rotatably provided on one lower side of the boarding part and supported on the upper part of the traveling part, and a driving part installed on the other lower side of the boarding part to rotate the cam member. do.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모노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주행부의 상부에 승객이 탑승하는 탑승부가 힌지 결합으로 구비되되, 상기 힌지 결합부의 일측에 탑승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캠과 지지캠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지는 수평유지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모노레일의 경사도에 따라 정확하게 탑승부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탑승부의 하중이 변하더라도 탑승부의 각도가 변화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above configuration, the boarding part on which the passenger boards is provided by a hinge coupling on the upper part of the driving part traveling along the monorail, and the support cam and the support cam for supporting the lower part of the boarding part on one side of the hinge coupling part are rotated By providing the leveling device including the driving motor,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maintain the level of the boarding part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monorail, and there is an effect of stably supporting the boarding part without changing the angle of the boarding part even if the load of the boarding part changes.

그리고, 본 발명은 캠부재의 측부에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탑승부의 하부를 형성하는 하부 베이스에는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이부재에 하단에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돌부를 형성함으로써, 탑승부가 캠부재와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탑승부와 주행부의 각도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nd,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guide groove on the side of the cam member, and forms a guide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at the lower end of the guy member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lower base forming the lower part of the boarding part, so that the boarding part is the cam. By preventing the member from being spaced apart, there is an effect of stably maintaining the angle of the boarding part and the driving part.

도 1은 종래의 모노레일 차량의 구동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수평 유지 장치가 설치된 모노레일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의 수평 유지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이 경사진 모노레일을 주행하는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의 캠부재 부분의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7 실시 예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의 캠부재 부분의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iving unit of a conventional monorail vehicle.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monorail in which a conventional leveling device is installed.
3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monorail vehicle equipped with a leve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leveling device for a monorail vehicle equipped with a leve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tate diagram in which a monorail vehicle equipped with a leve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avels on an inclined monorail.
6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level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ceptual view of a cam member portion of a level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am member of the level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repeated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의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의 수평 유지 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이 경사진 모노레일을 주행하는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의 캠부재 부분의 개념도이고, 도 8은 도 7 실시 예에 따른 수평 유지 장치의 캠부재 부분의 단면도이다.3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monorail vehicle equipped with a leve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leveling device of a monorail vehicle equipped with a leve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horizontal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tate diagram in which a monorail vehicle equipped with a holding device travels on an inclined monorail, FIG. 6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level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level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am member, an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am member of the level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7 .

본 발명은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에 관한 것으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승객이 탑승하는 탑승부(100)와 상기 탑승부(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모노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주행부(200)와 상기 탑승부(100)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대(140)와 상기 주행부(200)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130)의 하단이 힌지 결합되는 제1지지브라켓(210)으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norail vehicle equipped with a leveling device, and as shown in FIGS. 3 to 5 , the configuration is a boarding unit 100 on which a passenger rides, and a lower portion of the boarding unit 100 to support the monorail. The first support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raveling unit 200 and the supporting unit 140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traveling unit 200 and the riding unit 100 that moves along the traveling unit 200 is hinge-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ing unit 130 . It is made of a bracket (210).

여기서, 상기 탑승부(100)는 승객이 탑승하도록 형성되는 차체(110)와 차체(110)의 하부에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하부 베이스(120)와 상기 차체(110)와 하부 베이스(120) 사이에 구비되는 에어 스프링(130)으로 이루어진다.Here, the boarding unit 100 includes a vehicle body 110 formed for a passenger to ride, a lower base 120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body 1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vehicle body 110 and the lower base 120 . It consists of an air spring 130 provided therebetween.

이때, 상기 탑승부(100)와 주행부(200) 사이에는 수평 유지 장치(300)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대(140)와 제1지지브라켓(210)을 통하여 힌지결합으로 연결되어 회동가능한 탑승부(100)의 각도를 조절하여 경사구간을 주행시 경사도에 따라 탑승부(100)의 각도를 조절하여 항상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At this time, a leveling device 300 is provided between the boarding unit 100 and the driving unit 200 , and the rotatable boarding unit is connected by a hinge connection through the support 140 and the first support bracket 210 . By adjusting the angle of 100, the angle of the boarding part 10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when driving the inclination section so that it can always be maintained horizontally.

그리고, 상기 수평 유지 장치(300)는 상기 주행부(200)의 상부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캠부재(320)와 상기 주행부(200)의 상부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캠부재(32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360)로 이루어진다.And, the leveling device 300 is installed on the upper other side of the cam member 320 and the other upper side of the driving unit 200 is rotat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traveling unit 200 to hold the cam member 320. It consists of a driving unit 360 that rotates.

여기서, 상기 주행부(200)의 상부에는 제1지지브라켓(210)이 설치되고, 상기 제1지지브라켓(210)의 측부에 제2지지브라켓(310)이 설치되는데, 상기 제2지지브라켓(310)에 상기 캠부재(320)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Here, a first support bracket 210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raveling part 200 , and a second support bracket 310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first support bracket 210 , the second support bracket ( The cam member 32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310 .

이때, 상기 캠부재(320)는 상기 탑승부(100)의 길이방향 일측 하부를 지지하게 되는데, 상기 구동부(36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캠부재(320)가 회전하게 되면 캠부재(320)의 방향에 따라 상기 탑승부(100)의 각도가 변화된다.At this time, the cam member 320 supports the lower portion of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iding unit 100 , and when the cam member 320 is rotated by the control of the driving unit 360 , the The angle of the boarding part 100 is chang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그래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수평 유지 장치에는 주행하는 모노레일의 경사도를 측정하기 위한 경사감지부(미도시)를 통하여 수신한 경사도에 따라 수평 유지 장치(300)를 구성하는 제어부(미도시)가 상기 구동부(360)를 제어하여 캠부재(320)를 회전시킴으로써, 탑승부(100)의 각도를 조절하여 수평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So,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leveling device includes a control unit (not shown) constituting the leveling device 300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received through the inclination sensing unit (not shown) for measuring the inclination of the traveling monorail. By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360 to rotate the cam member 320, the angle of the riding unit 100 is adjusted to maintain a horizontal state.

한편, 상기 수평 유지 장치(300)를 구성하는 상기 구동부(360)는 상기 제2지지브라켓(310)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캠축(322)과 상기 주행부(20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실린더(330)와 상기 캠축(322)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구동레버(324)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driving unit 360 constituting the leveling device 300 includes a camshaft 322 rotatably provided on the second support bracket 310 and a driving unit installed at an upper side of the driving unit 200 . It consists of a cylinder 330 and a driving lever 324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camshaft 322 .

여기서, 상기 캠부재(320)는 상기 캠축(322)에 설치되어 같이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구동실린더(330)의 로드는 상기 구동레버(324)의 단부에 힌지 결합 방식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된다.Here, the cam member 320 is installed on the camshaft 322 to rotate together, and the rod of the driving cylinder 330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driving lever 324 so as to be rotatable in a hinged manner.

그래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실린더(330)를 작동시켜 구동레버(324)를 밀어주거나 당겨주어 상기 캠축(322)을 회전시키게 되고, 그에 따라 캠부재(320)가 회전하여 상부에 지지되는 탑승부(100)의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Therefore, the driving cylinder 330 is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to push or pull the driving lever 324 to rotate the camshaft 322, and accordingly the cam member 320 rotates and is supported on the upper part The angle of the boarding part 100 is adjusted.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 유지 장치(300)를 구성하는 구동부(360)는 상기 제2지지브라켓(310)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캠축(322)과 상기 캠부재(320)의 일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회전레버(325)와 상기 주행부(20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레버(325)를 회전시키는 구동실린더(330)로 이루어진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 the driving unit 360 constituting the leveling device 300 includes a camshaft 322 rotatably provided to the second support bracket 310 and It consists of a rotation lever 325 formed to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cam member 320 and a driving cylinder 330 installed on an upper side of the traveling part 200 to rotate the rotation lever 325 .

그래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구동실린더(330)를 작동시켜 회전레버(325)를 밀거나 당겨주어 상기 캠부재(320)를 회전시킴으로써, 캠부재(320)의 상부에 지지되는 탑승부(100)의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So, as described above, by operating the driving cylinder 33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to push or pull the rotary lever 325 to rotate the cam member 320, the cam member 320 is supported on the upper part. The angle of the boarding part 100 is adjusted.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탑승부(100)의 하부를 지지하는 캠부재(320)의 일측면 가장자리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328)이 형성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 a guide groove 328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e edge of one side of the cam member 320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riding unit 100 . .

여기서, 상기 탑승부(100)의 하부를 형성하는 하부 베이스(120)에는 가이드부재(340)가 구비되는데, 상기 가이드부재(340)의 하단 측부에는 상기 가이드홈(328)에 삽입되도록 가이드돌부(342)가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다.Here, a guide member 340 is provided on the lower base 120 form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oarding part 100, and a guide protrusion ( 342) is formed to protrude laterally.

그래서, 상기 탑승부(100)의 하부에 구비된 가이드부재(340)의 가이드돌부(342)가 상기 캠부재(320)의 가이드홈(328)에 삽입됨으로써, 캠부재(320)의 상면과 탑승부(100)의 하부를 구성하는 하부 베이스(120)의 하면이 접한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탑승부(100)의 수평상태를 안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So, by inserting the guide protrusion 342 of the guide member 340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boarding part 100 into the guide groove 328 of the cam member 320, the upper surface of the cam member 320 and boarding.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base 120 constituting the lower part of the part 100 maintains a contact state, so that the horizontal state of the boarding part 100 can be stably adjusted.

이때, 상기 탑승부(100)를 구성하는 하부 베이스(120)의 하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122)이 설치되는데, 상기 가이드부재(340)의 상단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22)에 삽입되는 가이드 날개(344)가 형성되어 가이드부재(340)가 상기 가이드레일(122)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게 된다.At this time, guide rails 122 are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base 120 constituting the boarding part 100 , and are inserted into the guide rails 122 at both upper ends of the guide member 340 . A guide wing 344 is formed so that the guide member 340 moves back and forth along the guide rail 122 .

따라서, 상기 캠부재(320)가 작동부(360)의 제어에 의해 회전할 때, 상기 가이드홈(328)에 삽입된 가이드돌부(342)가 가이드홈(328)을 따라 이동할 수 있어 탑승부(100)와 하부 베이스(120)가 접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cam member 320 rotates under the control of the operation unit 360, the guide protrusion 342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328 can move along the guide groove 328, so that the boarding part ( 100) and the lower base 120 can be stably maintained in contact.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탑승부(100)의 하부를 형성하는 하부 베이스(120)의 하면에는 상기 캠부재(320)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35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지지플레이트(350)는 상기 캠부재(320)의 가이드홈(328)이 형성된 타측면과 접하도록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8 , a support plate 350 for supporting the other side of the cam member 320 is further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base 120 form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oarding unit 100 . , the support plate 350 is installed to be in contact with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cam member 320 on which the guide groove 328 is formed.

그래서, 상기 지지플레이트(350)에 의해 캠부재(320)의 타측면을 지지하게 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부재(340)의 하단에 형성되는 가이드돌부(342)가 가이드홈(328)에 삽입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So, by supporting the other side of the cam member 320 by the support plate 350, the guide protrusion 342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guide member 340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328. be able to keep it stable.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탑승부(100)와 주행부(200) 사이에 구비되는 수평 유지 장치(300)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탑승부(100)의 하부 일측에 별도의 브라켓을 사용하여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캠부재(320)와 상기 상기 탑승부(100)의 하부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캠부재(32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360)로 이루어진다.And,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veling device 300 provided between the boarding unit 100 and the driving unit 200 is not shown in the drawings, but separately on one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boarding unit 100 . It consists of a cam member 320 which is provided to be rotatable using a bracket of , and a driving unit 360 installed on the other lower side of the boarding unit 100 to rotate the cam member 320 .

여기서, 상기 캠부재(320)의 하부은 상기 주행부(200)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구동부(360)의 제어에 의해 회전하여 탑승부(1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Here, the lower portion of the cam member 320 is provided to be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veling unit 200 , so that the angle of the riding unit 100 can be adjusted by rotating under the control of the driving unit 360 .

이때, 상기 캠부재(320)가 접하는 부분에는 윤활 장치(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윤활 장치에 의해 캠부재(320)와 접하는 부분에서의 마찰력을 줄여주어 캠부재(320)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a lubricating device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at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cam member 320 . The lubrication device reduces frictional force at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cam member 320 to prevent the cam member 320 from being in contact with the cam member 320 . It can rotate stably.

물론, 상기 윤활 장치는 전술할 각 실시예에 대응되도록 탑승부(100)의 하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주행부(200)의 상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Of course, the lubricating device may be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boarding unit 100 or at the upper portion of the traveling unit 200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그런데, 윤활제가 점성이 있지만 중력에 의해 하부로 떨어질 수 있어 캠부재(320)를 탑승부(100)의 하부에 설치하는 것이 더 좋을 수도 있다.However, although the lubricant is viscous, it may fall downward by gravity, so it may be better to install the cam member 320 under the boarding part 100 .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o those substantially equivalent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경사지에 설치된 모노레일의 경사도가 변경되더라도 승객이 탑승하는 탑승부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탑승부의 하중이 변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전체 부피를 줄여줄 수 있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norail vehicle equipped with a level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even if the inclination of a monorail installed on a slope is changed, the boarding part on which passengers board can be maintained horizontally as well as being stably horizontal even when the load of the boarding part changes. It relates to a monorail vehicle equipped with a leveling device that can maintain the state and can reduce the overall volume and can be easily installed.

100 : 탑승부 110 : 차체
120 : 하부 베이스 130 :에어 스프링
140 : 지지대 200 : 주행부
210 : 제1지지브라켓
300 : 수평 유지 장치 310 : 제2지지브라켓
320 : 캠부재 330 : 구동모터
340 : 가이드부재 350 : 지지플레이트
100: boarding part 110: body
120: lower base 130: air spring
140: support 200: driving part
210: first support bracket
300: leveling device 310: second support bracket
320: cam member 330: drive motor
340: guide member 350: support plate

Claims (8)

탑승부와 주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에 있어서,
상기 탑승부와 주행부 사이에는 상기 탑승부의 수평상태를 제어하는 수평유지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수평 유지 장치는 상기 주행부의 상부에 일측 설치되는 제2지지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탑승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캠부재와, 상기 주행부의 상부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캠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2지지브라켓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캠부재가 설치되는 캠축과, 상기 캠부재의 일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회전레버와, 상기 주행부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레버를 회전시키는 구동실린더로 이루어지고,
상기 캠부재의 일측면 가장자리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탑승부의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돌부가 형성되는 가이드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
In a monorail vehicle equipped with a leveling device comprising a boarding part and a driving part,
A leveling device for controlling the horizontal state of the boarding part is provided between the boarding part and the driving part,
The leveling device includes a cam member rotatably provided on a second support bracke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traveling unit to support a lower portion of the riding unit, and a driving unit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traveling unit to rotate the cam member. is made,
The driving unit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second support bracket and includes a cam shaft on which the cam member is installed, a rotation lever formed to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cam member, and an upper side of the traveling unit to rotate the rotation lever. It consists of a driving cylinder that
A guide groove is formed on one side edge of the cam member,
A monorail vehicle equipped with a leve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guide member having a guide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arding par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부의 하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삽입되어 전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
According to claim 1,
A guide rail is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boarding 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monorail vehicle provided with a leve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member is inserted into the guide rail to move back and for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부의 하부에는 상기 캠부재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
According to claim 1,
A monorail vehicle provided with a leve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support plate for supporting the other side of the cam member is installed under the boarding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유지 장치는 상기 탑승부의 하부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주행부의 상부에 지지되는 캠부재와,
상기 상기 탑승부의 하부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캠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
According to claim 1,
The leveling device includes a cam member rotatably provided on a lower side of the boarding part and supported on the upper part of the traveling part;
A monorail vehicle provided with a level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boarding unit and comprises a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cam member.
KR1020200168272A 2020-12-04 2020-12-04 an nomorail vehile with horizontal supporting apparatus KR1023519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272A KR102351966B1 (en) 2020-12-04 2020-12-04 an nomorail vehile with horizontal suppor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272A KR102351966B1 (en) 2020-12-04 2020-12-04 an nomorail vehile with horizontal support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1966B1 true KR102351966B1 (en) 2022-01-18

Family

ID=80051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8272A KR102351966B1 (en) 2020-12-04 2020-12-04 an nomorail vehile with horizontal suppor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1966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2299A (en) * 1993-12-21 1995-07-11 Kaho Seisakusho:Kk Seat position controller of vehicle
JP2010018187A (en) 2008-07-11 2010-01-28 Kaho Seisakusho:Kk Level maintaining system of slope elevator
KR20200007336A (en) * 2018-07-12 2020-01-22 박범준 A seat for a passenger car having a means of getting off
KR102133307B1 (en) * 2020-02-20 2020-07-22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an nomorail vehile with horizontal support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2299A (en) * 1993-12-21 1995-07-11 Kaho Seisakusho:Kk Seat position controller of vehicle
JP2010018187A (en) 2008-07-11 2010-01-28 Kaho Seisakusho:Kk Level maintaining system of slope elevator
KR20200007336A (en) * 2018-07-12 2020-01-22 박범준 A seat for a passenger car having a means of getting off
KR102133307B1 (en) * 2020-02-20 2020-07-22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an nomorail vehile with horizontal support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1965B1 (en) an nomorail vehile with horizontal supporting apparatus
KR102228872B1 (en) Track vehicle which of tilting angle cab be cahnge
KR102133307B1 (en) an nomorail vehile with horizontal supporting apparatus
US5738017A (en) Rail vehicle reverse movement prevention assembly
US20190359020A1 (en) Railway traction vehicle with variable traction
KR102351966B1 (en) an nomorail vehile with horizontal supporting apparatus
KR101608861B1 (en) Separation preventing apparatus of railway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FR2604963A1 (en) TRANSPORTATION SYSTEM WITH LINEAR ELECTRIC MOTOR, ESPECIALLY FOR UNDERGROUND MINING OPERATIONS
JP4537989B2 (en) Engine tilting device for single rail conveyor
JP6678591B2 (en) Vehicle having a rotatably held wheel axle for a vehicle and method of driving the rotatably held wheel axle of the vehicle
CN113423629A (en) Passenger transport vehicle
JP2004082964A (en) Method for inclining vehicle body of railway rolling stock
JP2008024126A (en) Derailment prevention device
CN104203709B (en) The pendulous device of horizontal and vertical active force and the rolling stock with this pendulous device can be born
KR20040081612A (en) Rounded Section Car-Body for speed up on curved rail
JPH08205310A (en) Attitude controller for pantagraph appliance
KR100540164B1 (en) Tilting pantograph mechanism
JP3115503B2 (en) Truck with body tilting device for railway vehicles
JP5398578B2 (en) Mobile steps on cableway platform
KR102438660B1 (en) tilting monorail vehicle
KR101593980B1 (en) Separation preventing apparatus of railway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2009023499A (en) Vehicle
CN114074504B (en) Bogie, rail vehicle and rail traffic system
KR102438663B1 (en) monorail vehicle
CN108394423A (en) A kind of balancing s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