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1336B1 - 교육용 보드게임 - Google Patents

교육용 보드게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1336B1
KR102351336B1 KR1020200010245A KR20200010245A KR102351336B1 KR 102351336 B1 KR102351336 B1 KR 102351336B1 KR 1020200010245 A KR1020200010245 A KR 1020200010245A KR 20200010245 A KR20200010245 A KR 20200010245A KR 102351336 B1 KR102351336 B1 KR 102351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eans
board game
information
game
educational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0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6783A (ko
Inventor
엄해인
박해미
이다은
오재령
임경진
김영아
박승연
권선영
Original Assignee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10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1336B1/ko
Publication of KR20210096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6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1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1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4Geographical or like games ; Educational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00Card games
    • A63F1/04Card games combined with other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173Characteristics of game boards, alone or in relation to supporting structures or playing piece
    • A63F3/00261Details of game boards, e.g. rotatable, slidable or replaceable parts, modular game boards, vertical game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분류된 대상을 나타내는 복수개의 표시수단과, 표시수단이 위치되는 복수개의 결합 영역이 구획 형성되는 플레이트와, 복수개의 표시수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수납 또는 부착되는 검색 대상물과, 검색 대상물을 찾는데 사용되는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정보 획득 수단과, 서로 다른 문자 또는 그림이 표시된 복수개의 역할분류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게임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도서관에 익숙해지고 흥미를 가질 수 있게 하는 교육용 보드게임과, 이를 이용하여 게임을 진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교육용 보드게임, 교육용 보드게임을 이용한 보드게임 방법{Educational board game, Board game method using the educational board game}
본 발명은 교육용 보드게임과, 교육용 보드게임을 이용한 보드게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도서관에 익숙해질 수 있게 보조 가능한 교육용 보드게임과, 이러한 보드게임을 이용하여 게임을 즐기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도서관에 익숙해질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서관의 이용자 교육은 형식적인 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이론적인 수업 방식이나 도서관 견학 같은 경우 이용자 교육을 받는 이용자들의 흥미를 끌어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나이가 어린 이용자들은 집중력이 약해 교육 시 이에 집중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가 두드러진다.
또한 이론적인 수업 방식과 도서관 견학 같은 교육은 도서관 특유의 경직된 분위기가 더해져 교육의 효율성 또한 낮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도서관 이용자가 교육에 흥미를 느낄 수 있고, 즐겁게 배우면서 도서관이라는 장소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일으킬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새로운 이용자 교육 방식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국내공개특허 제10-2019-0129285호(명칭: 언어 학습용 카드, 공개일: 2019.11.20.) 특허문헌 2) 국내등록특허 제10-0781737호(명칭: 외국어 교습용 게임카드, 공고일: 2007.12.0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놀이를 통하여 도서관 이용자들이 도서관에 익숙해질 수 있는 기회를 제공 가능한 교육용 보드게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보드게임을 활용하여 즐겁게 게임을 즐길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교육용 보드게임은, 소분류된 대상을 나타내는 복수개의 표시수단(100); 상기 표시수단(100)이 위치되는 복수개의 결합 영역(210)이 구획 형성되는 플레이트(200); 복수개의 상기 표시수단(10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수납 또는 부착되는 검색 대상물(300); 상기 검색 대상물(300)을 찾는데 사용되는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정보 획득 수단(400); 및 서로 다른 문자 또는 그림이 표시된 복수개의 역할분류 수단(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표시수단(100)은 일면에 소분류 대상을 나타내는 그림 또는 글자가 기재 또는 부착되는 정보 표시면(1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표시수단(100)은 내부에 상기 검색 대상물(300)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어느 하나의 면이 개폐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표시수단(100)은 상기 플레이트(200)와 마주보는 저면에 상기 검색 대상물(300)이 부착되는 제1 부착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검색 대상물(300)은 상기 제1 부착부(111)와 마주보는 일면과, 상기 플레이트(200)와 마주보는 타면에 접촉 대상과 결합되는 제2 부착부(30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복수개의 상기 결합 영역(210)은 선 또는 가이드 바에 의해 서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보 획득 수단(400)은 서로 다른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복수개의 카드(400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교육용 보드게임을 이용한 보드게임 방법은, 상기 역할분류 수단(500)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역할을 사서, 괴도, 배신자, 이용자로 분류하는 역할 분류단계(S100); 상기 역할 분류단계(S100)에서 역할이 분류된 사용자 중 사서와 괴도가 모든 사용자에게 자신의 역할을 알리고, 배신자가 괴도에게만 자신의 역할을 알리는 역할 소개단계(S200); 괴도가 상기 검색 대상물(300)을 상기 표시수단(100)에 수납 또는 부착하여 숨기는 대상물 숨김단계(S300); 및 괴도를 제외한 사용자가 상기 정보 획득 수단(400)을 통하여 획득한 정보를 상기 괴도에게 물어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추정정보 획득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인 교육용 보드게임은 게임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도서관을 구성하는 세부 구역 정보를 획득 가능하므로, 게임 참가자가 도서관에 친숙함을 느끼게 됨과 동시에 정보를 이용하여 도서관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게임을 통하여 정보를 전달하므로 집중력이 약한 어린 이용자들 또한 자발적으로 집중하게 되어 보다 효율적으로 정보를 전달 가능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게임을 통하여 밝은 분위기에서 이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므로 이용자가 자연스럽게 도서관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표시수단이 개폐 가능한 구조를 가지므로 검색 대상물을 보다 쉽게 지정된 표시수단에 숨길 수 있어, 검색 대상물의 위치가 쉽게 이용자에게 알려져 게임의 재미가 반감되는 것을 방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표시수단과 검색 대상물 상에 부착부가 형성되어 플레이트 상에 표시수단과 검색 대상물을 부착 가능하므로, 교육용 보드게임을 벽면에 부착한 상태로 게임을 진행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교육용 보드게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교육용 보드게임의 플레이트 상에 표시수단이 위치된 것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교육용 보드게임의 표시수단 상에 검색 대상물이 수납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인 교육용 보드게임의 표시수단 상에 검색 대상물이 부착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인 교육용 보드게임을 이용하여 게임을 진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육용 보드게임(1000)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교육용 보드게임(1000)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교육용 보드게임의 플레이트(200) 상에 표시수단(100)이 위치된 것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교육용 보드게임(1000)은 소분류된 대상을 나타내는 복수개의 표시수단(100)과, 상기 표시수단(100)이 위치되는 복수개의 결합 영역(210)이 구획 형성되는 플레이트(200)와, 복수개의 상기 표시수단(10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수납 또는 부착되는 검색 대상물(300)과, 상기 검색 대상물(300)을 찾는데 사용되는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정보 획득 수단(400)과, 서로 다른 문자 또는 그림이 표시된 복수개의 역할분류 수단(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인 교육용 보드게임(1000)은 참여자들에게 각각의 역할을 부여하고, 각각의 역할을 맡은 사람이 상기 정보 획득 수단(400)을 통해 획득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표시수단(100) 상에 수납 또는 부착되어 있는 검색 대상물(300)의 위치를 찾는 게임으로, 표시수단(100)이 교육하고자 하는 대상을 나타내는 모양 및 명칭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참여자가 게임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표시수단(100)의 명칭을 말하고 보게 되면서 표시수단(100)이 나타내고자 하는 대상에 익숙해질 수 있는 게임이다.
이때, 표시수단(100)이 나타내고자 하는 대상은 소분류 가능한 다양한 대상이 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 나타내고자 하는 대상이 도서관인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수단(100) 상에 도서관을 구성하는 다양한 장소가 문자로 표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장소는 종합자료실, 문화강좌실, 장애인 자료실, 휴게실, 식당, 전시실, 열람실, 화장실, 세계자료실, 종합영상자료실, 영어자료실, 사무실, 평생 학습실, 정보화 자료실, 어린이 자료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한번 설명하면, 특정 대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대상이 어떠한 구성을 가지고, 각각의 구성이 어떠한 특징을 가지는지를 파악해야 하지만, 이러한 지식의 전달은 단순 암기 형태로서 지식을 전달받는 입장에서는 흥미를 느끼기 어려우므로, 본 발명에서는 게임 상에 특정 대상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를 표시수단(100)으로 표현하여 게임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참여자가 표시수단(100)에 기재된 대상에 익숙해질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인 교육용 보드게임(1000)을 통한 교육 대상은 도서관 이외에도 다양한 시설, 동물, 음식 등 소분류된 대상을 가질 수 있는 다양한 상위 개념이 가능하며, 이하에서는 도서관을 일 실시예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수단(100)은 일면에 소분류 대상을 나타내는 그림 또는 글자가 기재 또는 부착되는 정보 표시면(1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표시수단(100)은 교육하고자 하는 대상의 하위 개념이 표시되는 곳으로, 시각을 이용하여 이름을 파악 가능하여야 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표시수단(100) 상에 정보 표시면(110)을 형성하고, 정보 표시면(110) 상에 글자를 쓰거나 부착하여 게임에 참가한 사용자가 표시수단(100)을 정확히 인식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때, 표시수단(100)의 상기 정보 표시면(110)은 프린팅된 글자가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될 수 있는 구조일 수 있으나, 이 외에도 매직을 이용하여 관리자가 쉽게 글자를 바꿀 수 있는 화이트보드일 수 있으며, 화면상에 그림 또는 글자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도 있다.
상기 플레이트(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상기 결합 영역(210)이 선(211) 또는 가이드 바에 의해 서로 구획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검색 대상물(300)이 숨겨진 상기 표시수단(100)의 위치를 찾는 게임으로, 상기 역할분류 수단(500)을 통하여 사용자를 사서, 괴도, 배신자 및 이용자로 분류하고, 게임에 참가한 사용자가 괴도에게 상기 정보 획득 수단(400)에 적혀있는 질문을 하면, 괴도가 이에 대한 대답을 하는 과정을 통하여 상기 검색 대상물(300)이 숨겨진 상기 표시수단(100)의 위치를 찾는 게임이다.
이때 사서와 괴도는 모든 사용자에게 자신의 역할을 알리고, 배신자는 괴도에게만 자신의 역할을 알릴 수 있다. 괴도는 질문을 받기 위해 자신의 정체를 드러내고, 사서는 자신의 능력을 사용하기 위해 정체를 드러낸다.
괴도는 원하는 표시수단(100)에 검색 대상물(300)을 숨기고, 괴도를 제외한 사용자는 시계방향으로 돌아가면서 괴도에게 정보 획득 수단(400)에 표시된 내용을 질문하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3턴이 돌아간 후에 검색 대상물(300)이 숨겨진 표시수단(100)을 선택하고, 검색 대상물이 숨겨진 표시수단을 찾으면 승리하게 된다.
팀 플레이를 하는 경우, 사서와 이용자가 한 팀이 되고, 괴도와 배신자가 다른 팀이 될 수 있다.
이때 사서는 3턴이 돌아가는 도중에 하나의 표시수단을 선택하여 검색 대상물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괴도는 원하는 표시수단에 검색 대상물을 숨길 수 있으며 질문에 대하여 예스/노 로만 답해야 한다.
배신자는 괴도에게 거짓된 답변을 들을 수 있으며, 이용자는 특별한 능력이 없다.
상기 정보 획득 수단(400)에 적혀있는 질문은 일 실시예로 “휴게실, 화장실 주변에 검색 대상물이 있는가?”일 수 있다.
이때, 주변이 나타내는 위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의 상하 좌우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러한 위치를 정확하게 표시하기 위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211)을 통하여 각각의 결합 영역(210)을 명확하게 구획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교육용 보드게임의 표시수단 상에 검색 대상물이 수납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교육용 보드게임의 표시수단 상에 검색 대상물이 부착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상기 검색 대상물(300)은 복수개의 상기 표시수단(10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표시수단(100) 상에 숨겨져야 하며, 숨긴 후 검색 대상물(300)이 숨겨진 표시수단(100)이 쉽게 발견될 경우 게임 참여자들의 흥미가 반감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수단(100) 내부에 검색 대상물(300)이 수납되는 수납공간(101)을 형성하고, 표시수단(100)의 일면에 수납공간(101)과 외부를 개폐하는 개폐부(120)를 형성하여 수납공간(101) 상에 검색 대상물(300)을 숨길 수 있게 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수단(100)은 플레이트(200)와 마주보는 저면에 검색 대상물(300)이 부착되는 제1 부착부(111)를 형성하고, 검색 대상물(300)은 상기 제1 부착부(111)와 마주보는 일면과, 플레이트(200)와 마주보는 타면에 접촉 대상과 결합되는 제2 부착부(301)를 형성하여, 검색 대상물(300)이 표시수단(100)에 부착된 상태로 표시수단(100)을 결합영역(210) 상에 위치시키면, 검색 대상물(300)이 표시수단(100)의 저면에 위치되며 검색 대상물(300)이 표시수단(100)에 의해 가려지는 것이다.
상세히 설명하면, 게임에 참가한 사용자가 보다 쉽고 완벽하게 검색 대상물(300)을 표시수단(100)에 숨길 수 있게 하여, 숨겨진 검색 대상물(300)의 위치가 상기 정보 획득 수단(400)에 기재되어 있는 질문을 통하지 않고 발견되는 것을 방지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정보 획득 수단(4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복수개의 카드(400A)로 구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도 5에는 본 발명인 교육용 보드게임(1000)를 이용하여 진행되는 보드게임 이용 방법의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교육용 보드게임을 이용한 보드게임은 상기 역할분류 수단(500)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역할을 사서, 괴도, 배신자, 이용자로 분류하는 역할 분류단계(S100)와, 상기 역할 분류단계(S100)에서 역할이 분류된 사용자 중 사서와 괴도는 모든 사용자에게 자신의 역할을 알리고, 배신자는 괴도에게만 자신의 역할을 알리는 역할 소계단계(S200)와, 괴도가 상기 검색 대상물(300)을 상기 표시수단(100)에 수납 또는 부착하여 숨기는 대상물 숨김단계(S300)와, 괴도를 제외한 사용자가 상기 정보 획득 수단(400)을 통하여 획득한 정보를 괴도에게 물어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추정정보 획득단계(S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역할 분류단계(S100)에서 사서, 괴도, 배신자, 이용자를 나타내는 그림이 그려져 있거나 단어가 적혀 있는 역할분류 수단(500)을 게임 참여자에게 나누어 역할을 분류하고, 상기 역할 소개단계(S200)에서 사서와 괴도가 모든 참여자에게 자신의 역할을 알리되, 배신자의 경우 괴도에게만 자신의 역할을 알려 배신자가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괴도가 잘못된 대답을 하여 향후 검색 대상물을 찾을 때 어려움이 있게 하고, 상기 대상물 숨김단계(S300)에서 괴도가 검색 대상물을 복수개의 표시수단 중 어느 하나의 표시수단에 숨기며, 이후 상기 위치추정정보 획득단계(S400)에서 괴도를 제외한 모든 사용자가 순차적으로 상기 정보 획득 수단(400)을 구성하는 카드(400A)에 기재된 질문을 괴도에게 물어본 후, 괴도가 대답하는 내용을 기반으로 검색 대상물(300)이 숨겨진 표시수단(100)의 위치를 찾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0 : 표시수단 110 : 정보 표시면
111 : 제1 부착부
200 : 플레이트 210 : 결합 영역
300 : 검색 대상물 301 : 제2 부착부
400 : 정보 획득 수단 400A : 카드
500 : 역할분류 수단
S100 : 역할 분류단계 S200 : 역할 소개단계
S300 : 대상물 숨김단계 S400 : 위치추정정보 획득단계

Claims (7)

  1. 도서관을 구성하는 장소를 나타내는 복수개의 표시수단(100);
    상기 표시수단(100)이 위치되는 복수개의 결합 영역(210)이 구획 형성되는 플레이트(200);
    복수개의 상기 표시수단(10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수납되는 검색 대상물(300);
    상기 검색 대상물(300)을 찾는데 사용되는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정보 획득 수단(400); 및
    서로 다른 문자 또는 그림이 표시된 복수개의 역할분류 수단(500);을 포함하는 교육용 보드게임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100)은
    일면에 도서관을 구성하는 장소를 나타내는 그림 또는 글자가 기재 또는 부착되는 정보 표시면(110)과,
    내부에 상기 검색 대상물(300)이 수납되는 수납공간(101)과,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납공간(101)과 외부를 개폐하는 개폐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200) 상에 복수개의 표시수단(100)을 위치시키고, 상기 역할분류 수단(500)을 이용하여 참여자들에게 각각의 역할을 부여하고, 상기 검색 대상물(300)은 복수개의 상기 표시수단(10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표시수단(100)에 수납되며, 각각의 역할을 맡은 참여자가 상기 정보 획득 수단(400)을 통해 획득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검색 대상물(300)이 수납되어 있는 표시수단(100)의 위치를 찾는 과정에서, 상기 표시수단(100)의 명칭을 말하고 보게 되면서 도서관에 익숙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보드게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결합 영역(210)은 선 또는 가이드 바에 의해 서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보드게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획득 수단(400)은 서로 다른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복수개의 카드(400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용 보드게임.
  7. 삭제
KR1020200010245A 2020-01-29 2020-01-29 교육용 보드게임 KR102351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245A KR102351336B1 (ko) 2020-01-29 2020-01-29 교육용 보드게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245A KR102351336B1 (ko) 2020-01-29 2020-01-29 교육용 보드게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6783A KR20210096783A (ko) 2021-08-06
KR102351336B1 true KR102351336B1 (ko) 2022-01-13

Family

ID=77315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0245A KR102351336B1 (ko) 2020-01-29 2020-01-29 교육용 보드게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133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41665A1 (en) * 1995-06-09 1996-12-27 Ad-Mad Limited Apparatus for playing a game
US20030107178A1 (en) 2001-12-11 2003-06-12 Weston Denise Chapman Interactive treasure hunt game
JP2004001428A (ja) 2002-03-22 2004-01-08 D Net:Kk 学習カード及び学習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48555B9 (en) 2004-07-22 2013-05-08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a metal oxide thin film
KR20190129285A (ko) 2018-05-10 2019-11-20 김성열 언어 학습용 카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41665A1 (en) * 1995-06-09 1996-12-27 Ad-Mad Limited Apparatus for playing a game
US20030107178A1 (en) 2001-12-11 2003-06-12 Weston Denise Chapman Interactive treasure hunt game
JP2004001428A (ja) 2002-03-22 2004-01-08 D Net:Kk 学習カード及び学習シート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대칭 게임 보물섬, [online], 2019년04월28일, [2021년02월15일 검색], 인터넷: <https://www.youtube.com/watch?v=6JEdypbbygg>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6783A (ko) 2021-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aylor The drama classroom: Action, reflection, transformation
Carter The way literacy lives: Rhetorical dexterity and basic writing instruction
Sluis et al. Read-It: five-to-seven-year-old children learn to read in a tabletop environment
Pringle ‘No rugby—no fear’: collective stories, masculinities and transformative possibilities in schools
Anggraeni et al. Optimization of the board game as a platform for the concept of peace education: A survey method study
Copeland et al. Three different paths for tabletop gaming in school libraries
Denmark Enhancing the development of adolescent girls.
Lotherington et al. Teaching young learners in a superdiverse world: Multimodal approaches and perspectives
Bressler et al. Inside, outside, and off-site: Social constructivism in mobile games
Martinez Mathematics reborn: Empowerment with youth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EntreMundos in reconstructing our relationship with mathematics
KR102351336B1 (ko) 교육용 보드게임
Woodhead et al. Making sense of social development
US8737908B1 (en) Interactive book and spatial accountability method
KR102002492B1 (ko)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아동인권 교육용 보드게임
Li Gamification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Fundamentals for a gamified design of institutional programs for Chinese as a foreign language
Gale et al. Questions of (re) production and legitimation: A second screening of three films on teacher-student relations
de la Hera Conde-Pumpido et al. Collaborative digital games as mediation tool to foster intercultural integration in primary Dutch schools
Lee Success Without College: Why Your Child May Not Have to Go to College Right Now--and May Not Have to Go At All
Smith et al. Humor in the classroom using faculty skits
Paez Performance pedagogy: Utilizing alternative methods in the classroom
Stallworth A Story to Tell: Chronicling Retired, Black Male Teachers’ Lived Experiences with Whiteness in the Workplace
Bricker A sociocultural historical examination of youth argumentation across the settings of their lives: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Lubońska Media education role in achieving physical education goals in Poland
MEGHDIR The Impact of Game-Based Learning on Promoting EFL Students’ Speaking Skill. The Case of Second Year Students of English at Boulhadj Bouchaib University Centre
Kent Teaching Konglish: Selected resources for students and teach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