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1269B1 - Retaining Wall System usable as building underground wall - Google Patents
Retaining Wall System usable as building underground wal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51269B1 KR102351269B1 KR1020210025377A KR20210025377A KR102351269B1 KR 102351269 B1 KR102351269 B1 KR 102351269B1 KR 1020210025377 A KR1020210025377 A KR 1020210025377A KR 20210025377 A KR20210025377 A KR 20210025377A KR 102351269 B1 KR102351269 B1 KR 1023512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le
- support
- retaining wall
- wale
- fasten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02D29/0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at least part of the cross-section being constructed in an open excavation or from the ground surface, e.g. assembled in a trench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하구조물을 구축함에 있어서 흙막이가시설을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 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지하구조물 공사시 많이 사용하는 흙막이공법을 시공하여 가시설로서 활용하고 종국에는 지하구조물의 외벽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흙막이벽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aining wall system that can be used as a retaining wall in the construction of an underground structure. Specifically, the retaining method, which is often used in construction of an underground structure, is constructed and utilized as a temporary facility, and ultimately, the outer wall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It relates to a retaining wall system that can be used as a
신축건물을 계획함에 있어서 지하구조물은 거의 필수적으로 만들어져야 한다. 지하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계획심도까지 터파기하기 위해서는 흙막이가시설을 시공하여야 한다. 흙막이가시설은 대지경계로부터 사업부지 내측으로 시공되어야 하고, 터파기를 완료한 후에는 흙막이가시설 내측에 지하구조물 본 벽체를 시공하여야 하므로 사업부지 지하공간이 흙막이가시설에 사용된 부지만큼 감소하게 된다. 이 공간은 부지의 최외측라인에 해당하기 때문에 그 감소면적은 상당히 큰 편이다.In planning a new building, an underground structure is almost essential. In order to construct an underground structure,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retaining system in order to dig up to the planned depth. The retaining facility must be constructed from the site boundary to the inside of the project site, and after the excavation is completed, the main wall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must be installed inside the retaining facility. . Since this space corresponds to the outermost line of the site, the reduced area is quite large.
이러한 사항으로 인해 종래부터 실무자들은 흙막이가시설을 그대로 지하구조물의 본 벽체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보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으나 터파기 방법에 대한 것과 본 벽체에 배근하여야 할 철근부재 설치의 부적정과 같은 문제점에 봉착하게 되어 이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해 온 것이 현실이다.Due to these issues, the practitioners have made a lot of effort to find a way to use the retaining system as the main wall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as it is. The reality is that we have been facing the same problem and have not been able to solve this problem.
또한, 종래에는 측면말뚝의 천공공간에서의 채움불량, 흙막이판을 설치하기 위해 측면말뚝과 측면말뚝 사이의 공간을 터파기 하는 과정에서 배면토의 이완, 여굴 발생, 여굴공간의 채움불량 등으로 배면지반이 침하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In addition, in the prior art, back ground due to poor filling in the drilling space of the side piles, relaxation of the back soil in the process of excavating the space between the side piles and the side piles to install a retaining plate, occurrence of an overburden, poor filling of the overburden space, etc. Problems such as this subsidence are occurring.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버팀대의 압력에 의해 버팀대가 띠장을 밀게되며, 이에 따라 흙막이판재는 여굴공간으로 이동되어 배면 지반이 침하되게 된다.In addition, as time goes by, the brace pushes the wale by the pressure of the brace, and accordingly, the retaining board is moved to the overburden space and the ground on the back is subsided.
이러한 사실은 지하 굴착과정에서 주변지반의 침하를 방지하기 위해 최근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이 시행되고 있는 점에 역행하는 사실이어서 조속히 지하굴착과정에서의 문제점을 해소하여야 하는 대책이 요구되는 사회적 현실이 있다는 점에 있어서 특히 본 특허기술의 개발이 중요하다. 그리고 흙막이가시설을 본 구조물 벽체로 사용할 수 없을 경우에는 지하공간 활용성이 낮아지는 단점도 있는데 본 특허기술에서는 이러한 부분도 보완되게 되어 장점이 큰 기술이다.This fact is contrary to the fact that the Special Act on Underground Safety Management has been recently implemented to prevent subsidence of the surrounding ground during the underground excavation process. In particular, the development of this patented technology is important. In addition, if the retaining facility cannot be used as the wall of the structure, there is a disadvantage of lowering the usability of the underground space.
본 발명의 목적은 목재가 아닌 방식처리되는 얇은 두께의 강재, 합성수지, 방부목, 콘크리트 판등을 흙막이판으로 사용함으로써 부패로 인한 지반침하의 문제 해소뿐만 아니라 흙막이판에 형성된 주입구를 통해 배면의 이완지반, 여굴부를 밀실채움할 수 있도록 하여 추후 배면지반침하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to solve the problem of ground subsidence due to decay by using thin-walled steel, synthetic resin, preservative wood, concrete board, etc. that are not treated with wood as a retaining plate, but also to solve the problem of ground subsidence due to decay,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subsidence of the back ground in the future by allowing the overburden to be filled in a closed room.
또한, 배면지반에 소공 그라우팅을 주입하는 것 외에 터파기 과정에서 흙막이판과 측면말뚝 경계부에서 누수가 발생할 경우에 대비하여 1차적으로 흙막이판과 측면말뚝의 경계부를 용접하여 누수를 방지하도록 하고 그 누수량이 큰 경우에는 측면말뚝 배면측 플랜지 양단에 별도로 부착해둔 주입관을 통해 필요시 소정의 심도에 방수 실링재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누수, 유출수 방지를 위해 2단계에 걸친 방지대책을 수립하여 둠으로써 터파기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수에 의한 배면지반 지하수위 저하, 배면지반 침하를 해소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addition to injecting small hole grouting into the back ground, in case leakage occurs at the boundary between the retaining plate and the side piles during the excavation process, the boundary between the retaining plate and the side piles is first welded to prevent water leakage, and the amount of leakage In this large case, the waterproof sealing material can be injected at a predetermined depth if necessary through injection pipes separately attached to both ends of the flanges on the back side of the side piles. In other words, by establishing two-step prevention measures to prevent leakage and runoff, it is possible to solve the lowering of the groundwater level in the back ground and subsidence of the back ground due to water leakage that may occur during the excavation process.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점에서의 경제성 측면을 확보하기 위해 토압의 크기에 따라 적정한 측면말뚝 부재의 규격을 적용하도록 하였다. 이는 요구되는 지하구조물의 벽체 두께를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흙막이판은 심도 즉 토압의 크기에 따라 그 두께를 달리하고 실제 저항부재인 판지지기구부재의 규격을 달리하여 종래의 목재 흙막이판에서와 같이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ecure the economical aspect in this respect, an appropriate standard of the side pile member is appli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earth pressure. This can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required wall thickness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retaining plate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depth, that is, the size of the earth pressure, and the standard of the plate support mechanism member, which is the actual resistance member, is changed to ensure economic feasibility as in the conventional wooden retaining plate.
본 발명은 흙막이판 설치로 확보되는 공간이 지하구조물 설치공간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지하구조물 기초매트와 흙막이판의 설치로 인해 확보되는 벽체공간을 강결하는 구조로 시공할 수 있어 흙막이판 내부공간과 측면말뚝이 일체가 되어 구조물의 지지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흙막이판에 근접하여 시공하는 말뚝기초는 시공하지 않도록 계획할 수 있어 말뚝기초의 시공량도 감소할 수 있어 경제성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pace secured by the installation of the retaining plate is used as the installation space for the underground structure, it can be constructed in a structure that strengthens the wall space secured by the installation of the basement mat and the retaining plate, so that the internal space of the retaining plate and the side piles are Since it can be integrated into the support body of th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lan not to construct a pile foundation that is installed close to the retaining plate, which can reduce the amount of pile foundation construction, which is very advantageous in terms of economic feasibility.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말뚝 시공 시 차수심도까지 설치되기 위한 것으로, 일자의 판상형태로 형성되고 플랜지들과 수직하도록 형성되되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개가 형성되는 일자형웨브(112a)를 포함하는 흙막이벽체부(110)를 포함하는 측면말뚝(100)과, 서로 이웃하는 측면말뚝(100) 사이에 위치하되, 일단은 일측에 위치하는 측면말뚝(100)의 판가이드(120)에 끼움체결되고 타단은 일측에 위치하는 측면말뚝(100)의 판가이드(120)에 끼움체결되는 판지지구(200)와, 상기 측면말뚝(100)의 일측과 수직한 위치에 형성되는 버팀대(300)와, 서로 이웃하는 버팀대(400) 사이에 위치하는 띠장(400)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말뚝(100)은 일자의 판상형태로 형성되고 플랜지들과 수직하도록 형성되되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개가 형성되는 일자형웨브(112a)를 포함하는 흙막이벽체부(110)과, 상기 흙막이벽체부(110)의 일측에 위치하는 플랜지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흙막이벽체부(110)의 일측에 위치하는 플랜지와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측이 뚫린 모양으로 형성되되 판지지구(200)의 일단과 대응되어 형성되는 판가이드(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측면말뚝(100)은 상기 흙막이벽체부(110)의 하단에 연결되어 형성되되 두개의 플랜지 사이에 소정간격을 가지고 이격된 두개의 웨브가 형성되는 기초지지부(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판지지구(200)는 소정의 판상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이 오목하도록 아치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210)와, 상기 몸체부(210)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되 소정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말뚝연결부(220)와, 상기 몸체부(210)의 타측 끝단에 형성되되 소정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말뚝연결부(2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말뚝연결부(220)은 상기 제1말뚝연결부(220)의 일측에 소정 간격을 가지고 소정 개수가 형성되는 제1배출홀(221)을 포함하고,상기 제2말뚝연결부(230)는 상기 제1말뚝연결부(220)의 타측에 소정 간격을 가지고 소정 개수가 형성되는 제2배출홀(2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측면말뚝(100)과 띠장(400)을 연결하도록 일측은 측면말뚝(100)에 체결되고 타측은 띠장(400)의 일측플랜지를 관통하여 타측플랜지의 내부면에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말뚝및띠장지지연결부(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띠장(400)과 버팀대(300)를 보강하도록 일측면은 띠장(400)에 체결되고 타측은 버팀대(300)의 두개의 플랜지들의 사이 공간에 수용되어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버팀대및띠장보강부(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installed up to the order of depth during pile construction, and is formed in a straight plate shape and perpendicular to the flanges. ), but located between the
본 발명은 목재가 아닌 방식처리되는 얇은 두께의 강재, 합성수지, 방부목, 콘크리트판 등을 흙막이판으로 사용함으로써 부패로 인한 지반침하의 문제 해소뿐만 아니라 흙막이판재에 형성된 주입구를 통해 배면의 이완지반, 여굴부를 밀실채움할 수 있도록 하여 추후 배면지반침하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solves the problem of ground subsidence due to decay, but also solves the problem of ground subsidence due to decay by using thin-walled steel, synthetic resin, preservative wood, concrete plate, etc., which are not treated with wood, as a retaining plat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subsidence in the future by allowing the wealth to be filled in a closed room.
또한, 배면지반에 소공 그라우팅을 주입하는 것 외에 터파기 과정에서 흙막이판재와 측면말뚝 경계부에서 누수가 발생할 경우에 대비하여 1차적으로 흙막이판재와 측면말뚝의 경계부를 용접하여 누수를 방지하도록 하고 그 누수량이 큰 경우에는 측면말뚝 배면측 플랜지 양단에 별도로 부착해둔 주입관을 통해 필요시 소정의 심도에 방수 실링재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누수, 유출수 방지를 위해 2단계에 걸친 방지대책을 수립하여 둠으로써 터파기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수에 의한 배면지반 지하수위 저하, 배면지반 침하를 해소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addition to injecting small hole grouting into the back ground, in case leakage occurs at the boundary between the retaining plate and the side pile during the excavation process, the boundary between the retaining plate and the side pile is first welded to prevent leakage and the amount of leakage In this large case, the waterproof sealing material can be injected at a predetermined depth if necessary through injection pipes separately attached to both ends of the flanges on the back side of the side piles. In other words, by establishing two-step prevention measures to prevent leakage and runoff, it is possible to solve the lowering of the groundwater level in the back ground and subsidence of the back ground due to water leakage that may occur during the excavation process.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점에서의 경제성 측면을 확보하기 위해 토압의 크기에 따라 적정한 측면말뚝 부재의 규격을 적용하도록 하였다. 이는 요구되는 지하구조물의 벽체 두께를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흙막이판재는 심도에 따라 그 두께를 달리하고 실제 저항부재인 판지지기구부재의 규격을 달리하여 종래의 목재 흙막이판에서와 같이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ecure the economical aspect in this respect, an appropriate standard of the side pile member is appli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earth pressure. This can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required wall thickness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retaining plate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depth and the standard of the plate support mechanism, which is an actual resistance member, is different to ensure economic feasibility as in the conventional wooden retaining plate.
본 발명은 흙막이판 설치로 확보되는 공간이 지하구조물 설치공간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지하구조물 기초매트와 흙막이판의 설치로 인해 확보되는 벽체공간을 강결하는 구조로 시공할 수 있어 흙막이판 내부공간과 측면말뚝이 일체가 되어 구조물의 지지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흙막이판에 근접하여 시공하는 말뚝기초는 시공하지 않도록 계획할 수 있어 말뚝기초의 시공량도 감소할 수 있어 경제성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pace secured by the installation of the retaining plate is used as the installation space for the underground structure, it can be constructed in a structure that strengthens the wall space secured by the installation of the basement mat and the retaining plate, so that the internal space of the retaining plate and the side piles are Since it can be integrated into the support body of th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lan not to construct a pile foundation that is installed close to the retaining plate, which can reduce the amount of pile foundation construction, which is very advantageous in terms of economic feasi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상부(U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3은 측면말뚝(100)과 판지지구(200)의 상부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측면말뚝(100)을 도 3의 K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으로 측면말뚝(100)의 흙막이벽체부(110)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일부만을 도시하여 확대한 도면으로,
도 5(a)는 측면말뚝(100)의 판가이드(120)와 이에 체결된 판지지구(200)의 제1말뚝연결부(220)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b)는 말뚝및띠장지지연결부(500)의 상세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판가이드(120)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7(a)는 측면말뚝의 기초지지부(130)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7(b)는 도 7(a)를 정면(m방향)으로 바라봤을때의 단면도이다.
도 8은 판지지구(200)에 관한 도면이다.
도 9는 판지지구(2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버팀대및띠장보강부(700)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10 (a)는 버팀대(300)와 띠장(400) 사이에 버팀대및띠장보강부(700)가 위치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b)는 버팀대및띠장보강부(700)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11은 도 1을 측면(J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흙막이벽체시스템을 시공하는 모습 중 천공홀(10)을 형성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판지지구(2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흙막이벽체시스템을 입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viewed from the top (U direc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4 is a view for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Figure 5 is an enlarged view showing only a part of Figure 2,
Figure 5 (a) is a view showing the
Figure 5 (b) is a view showing a detailed view of the stake and wale support connection (500).
6 is a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Figure 7 (a)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the
8 is a view of the
9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ardboard support (200).
10 is a view showing a brace and a
10 (a)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race and the
Figure 10 (b)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the bracing and the band reinforcement portion (700).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viewed from the side (J direction).
1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13 and 14 are diagrams three-dimensionally showing a retaining wall system includ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to best describe his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지하구조물을 구축함에 있어서 흙막이가시설을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 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과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지하구조물 공사시 많이 사용하는 흙막이공법을 시공하여 가시설로서 활용하고 종국에는 지하구조물의 외벽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흙막이벽체시스템과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aining wall system capable of using a retaining facility as an underground wall of a structure in constructing an underground structur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It relates to a retaining wall system that can be used as an outer wall of an underground structur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도 1은 본 발명의 흙막이벽체시스템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흙막이벽체시스템은 측면말뚝(100), 판지지구(200), 버팀대(300), 띠장(400), 말뚝및띠장지지연결부(500), 받침부(600), 버팀대및띠장보강부(7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retaining wal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taining wal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도 2는 본 발명의 흙막이벽체시스템을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으로 도 1의 U방향에서 바라봤을때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retaining wal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viewed from the U-direction of Figure 1 as viewed from the top.
각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측면말뚝(100)과 판지지구(200)의 상부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도 4는 측면말뚝(100)을 도 3의 K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으로 측면말뚝(100)의 흙막이벽체부(110)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view for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도 1,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측면말뚝(100)은 말뚝 시공 시 차수심도까지 설치되기 위한 것으로, 일자의 판상형태로 형성되고 플랜지들과 수직하도록 형성되되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개가 형성되는 일자형웨브(112a)를 포함하는 흙막이벽체부(110)와 흙막이벽체부(110)의 하단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기초지지부(130)를 포함하는 것이다.Referring to FIGS. 1, 3 and 4, the
측면말뚝(100)은 흙막이벽체부(110), 판가이드(120), 기초지지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흙막이벽체부(110)는 일자의 판상형태로 형성되고 플랜지들과 수직하도록 형성되되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개가 형성되는 일자형웨브(112a)를 포함하는 것이다.Retaining
도 4(a)는 측면말뚝(100)을 도 3의 K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으로, 흙막이벽체부(110)는 전면플랜지(111), 배면플랜지(113), 상기 전면플랜지(111)와 배면플랜지(113) 사이에 소정 간격을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판상 형태의 일자형웨브(112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Figure 4 (a) is a view of the
상기 측면말뚝(100)은 도 4(b),도4 (c)와 같이 웨브의 형태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도 4(b)는 웨브가 ㄷ자로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소정 크기의 판상으로 형성되되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ㄷ자형웨브(112b)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두개의 플랜지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Figure 4 (b) shows the shape of the web is formed in a C-shape formed in a plate shape of a predetermined size, the U-shaped web (112b) formed in a U-shape is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two flanges.
도 3의 경우 ㄷ자형웨브(112b)가 형성된 측면말뚝(100)을 도시한 도면이다.In the case of FIG. 3, it is a view showing the
도 4(c)는 웨브가 ㅁ자로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소정 크기의 판상으로 형성되되 ㅁ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ㅁ자형웨브(112c)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두개의 플랜지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Figure 4 (c) shows the shape of the web is formed in a ㅁ-shape, which is formed in a plate shape of a predetermined size, and the ㅁ-shaped
도 5는 도 2의 일부만을 도시하여 확대한 도면으로,Figure 5 is an enlarged view showing only a part of Figure 2,
도 5(a)는 측면말뚝(100)의 판가이드(120)와 이에 체결된 판지지구(200)의 제1말뚝연결부(220)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5 (a) is a view showing the
도 3 및 도 5(a)를 참고하면 판가이드(120)는 상기 흙막이벽체부(110)의 전면플랜지(111)의 양측에 형성되고 전면플랜지(111)와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측이 뚫린 모양으로 형성되되 판지지구(200)의 일단과 대응되어 형성되는 것이다.Referring to FIGS. 3 and 5 (a), the
도 6은 판가이드(120)의 또 다른 실시예인 유격형판가이드(120b)에 관한 도면으로, 도 6을 참고하면 유격형판가이드(120a)는 상기 흙막이벽체부(110)의 전면플랜지(111)의 양측에 형성되되 전면플랜지(111)와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일측이 뚫린 모양으로 형성되되 판지지구(200)의 일단의 크기보다 큰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다.6 is a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도 7(a)는 측면말뚝(100)의 기초지지부(130)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7 (a) is a three-dimensional view of the
도 7(b)는 도 5(a)를 정면(m방향)으로 바라본 단면도이다.FIG. 7(b) is a cross-sectional view viewed from the front (m direction) of FIG. 5(a).
도 7을 참고하면 기초지지부(130)는 상기 흙막이벽체부(110)의 하단에 연결되어 형성되되 두개의 플랜지 사이에 소정간격을 가지고 이격된 두개의 웨브가 형성되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7 , the
상기 기초지지부(130)는 이중웨브형기초지지부(131), 스터드(132), 제1기초콘크리트연결받침부(133), 제2기초콘크리트연결받침부(134), 하부지지판(135), 보강대(1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이중웨브형기초지지부(131)는 두개의 플랜지 사이에 소정 간격을 가지고 이격된 두개의 웨브가 형성되는 것이다.The double web-
기초지지부배출홀(131a)은 플랜지들의 일측과 웨브들의 일측에 소정 간격을 가지고 소정 개수가 형성되는 것이다.The base support discharge hole (131a) is to be formed in a predetermined number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on one side of the flanges and one side of the web.
스터드(132)는 플랜지들의 외부면 일측과 웨브들 외부면 일측에 소정 간격을 가지고 다수개가 형성되는 것이다.The
제1기초콘크리트연결받침부(133)는 이중웨브형기초지지부(131)의 상단에 위치하되 두개의 플랜지와 일측에 위치하는 웨브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는 것이다.The first foundation concrete
상기 제1기초콘크리트연결받침부(133)는 기초 콘크리트 바닥과 연결되는 말뚝이 체결되는 부분으로 기초 콘크리트 바닥과 연결되기 위한 말뚝이 체결되는 부분이며 소정 크기의 판상 모양으로 형성된다(도면 미도시됨).The first basic concrete
제2기초콘크리트연결받침부(134)는 이중웨브형기초지지부(131)의 상단에 위치하되 두개의 플랜지와 타측에 위치하는 웨브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는 것이다.The second base concrete
상기 제2기초콘크리트연결받침부(134)는 기초 콘크리트 바닥과 연결되는 말뚝이 체결되는 부분으로 기초 콘크리트 바닥과 연결되기 위한 말뚝이 체결되는 부분이며 소정 크기의 판상 모양으로 형성된다(도면 미도시됨).The second foundation concrete
띠장(400)은 서로 이웃하는 기초지지부(130)에서 일단이 일측에 위치하는 기초지지부(130)의 제1기초콘크리트연결받침부(133)의 상부면에 안착되고 타단이 타측에 위치하는 기초지지부(130)의 제2기초콘크리트연결받침부(134)의 상부면에 안착된다.The
하부지지판(135)은 상기 이중웨브형기초지지부(131)의 하단에 위치하되 소정 크기의 원형 형상의 판으로 형성되는 것이다.The
보강대(136)는 상기 이중웨브형기초지지부(131)를 지지하도록 일측면은 하부지지판(135)의 상부면에 안착되고 타측면은 이중웨브형기초지지부(131)의 일측이 타측면과 만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One side of the reinforcing
상기 보강대(136)는 총 4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양측의 플랜지들과 양측의 웨브들을 각각 지지하도록 형성된다.The reinforcing
도 8은 판지지구(200)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도 8을 참고하면 판지지구(200)는 서로 이웃하는 측면말뚝(100) 사이에 위치하되, 일단은 일측에 위치하는 측면말뚝(100)의 판가이드(120)에 끼움체결되고 타단은 일측에 위치하는 측면말뚝(100)의 판가이드(120)에 끼움체결되는 것이다.8 is a three-dimensional view of the
상기 판지지구(200)는 몸체부(210), 제1말뚝연결부(220), 제2말뚝연결부(230), 마개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몸체부(210)는 소정의 판상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이 오목하도록 아치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The
제1말뚝연결부(220)는 상기 몸체부(210)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되 소정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1말뚝연결부(220)는 제1배출홀(221)을 포함하되, 상기 제1배출홀(221)은 상기 제1말뚝연결부(220)의 일측에 소정 간격을 가지고 소정 개수가 형성되는 것이다.The first
제2말뚝연결부(230)는 상기 몸체부(210)의 타측 끝단에 형성되되 소정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2말뚝연결부(230)는 제2배출홀(231)을 포함하되, 제2배출홀(231)은 상기 제1말뚝연결부(220)의 타측에 소정 간격을 가지고 소정 개수가 형성되는 것이다.The second
제1말뚝연결부(220)와 제2말뚝연결부(230)에 그라우트 주입 시 상기 제1말뚝연결부(220)의 제1배출홀(221)과 제2말뚝연결부(230)의 제2배출홀(231)로 그라우트가 배출되도록 함으로서 차수 밀실도를 높이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When grout is injected into the first
마개부(240)는 제1말뚝연결부(220)의 상단과 제2말뚝연결부(230)의 상단에 각각 끼워져서 체결되는 것으로 그라우트를 주입하기 전에 제1말뚝연결부(220)의 상단에 뚫린 홀과 제2말뚝연결부(240)의 상단에 뚫린 홀으로 외부 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상기 마개부(240)는 시공시에만 사용되는 것으로 시공이 끝난 뒤엔 제거되고 그라우트를 주입하기 위한 호스가 제1말둑연결부(220)의 상단과 제2말뚝연결부(240)의 상단에 각각 연결된다.The
도 9는 판지지구(2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시공방법에 따라 다양한 판지지구(20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서로 이웃하는 측면말뚝(100)들 사이의 간격에 따라 다양한 개수의 아치형상을 가진 판지지구(200)가 체결될 수 있다.9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도 9(a)는 실시예1에 관한 도면으로 1개의 아치형상으로 형성된 몸체부(210)를 포함하는 판지지구(200)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9 (a) is a view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도 9(b)는 실시예 2에 관한 도면으로 2개의 아치형상으로 제2몸체부(210a)를 포함하는 제2판지지구(200a)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9 (b) is a view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showing the state of the second plate support (200a) including the second body portion (210a) in the shape of two arcs.
상기 제2판지지구(200a)는 제2몸체부(210a), 제3말뚝연결부(220a), 제4말뚝연결부(230a)를 포함한다.The
상기 제2몸체부(210a)는 2개의 아치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The
제3말뚝연결부(220a)는 제2몸체부(210a)의 일측 끝단에 위치하는 것으로 소정의 관형태로 형성된다.The third
제4말뚝연결부(230a)는 제2몸체부(210a)의 타측 끝단에 위치하는 것으로 소정의 관 형태로 형성된다.The fourth
도 9(b)를 참고하면 실시예 2는 제2판지지구(220a)를 지지하기 위해 2축타입흙막이판받침(91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에 관한 도면은 도 13을 통해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b), in the second embodiment, a two-axis type retaining
상기 제2축타입흙막이판받침(910)은 제2판지지구(220a)의 오목한 부분에 위치하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개가 형성되는 것이다.The second shaft type retaining
제2축타입흙막이판받침(910)은 제1체결부(911), 제1지지대(912), 제2지지대(9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econd shaft type retaining
제1체결부(911)는 상기 제2판지지구(200a)의 제2몸체부(210a)의 2개의 아치형상 사이에 체결되는 것이다.The
제1지지대(912)는 일측이 제1체결부(911)와 연결되고 타측이 일측에 위치한 측면말뚝(100)의 배면플랜지(113)의 내측 일측에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The
제2지지대(913)는 일측이 제1체결부(911)와 연결되고 타측이 타측에 위치한 측면말뚝(100)의 배면플랜지(113)의 내측 일측에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The
도 9(c)는 실시예 3에 관한 도면으로 3개의 아치형상으로 제3몸체부(210b)를 포함하는 제3판지지구(200b)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9(c) is a view related to the third embodiment, and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상기 제3판지지구(200b)는 제3몸체부(210b), 제5말뚝연결부(220b), 제6말뚝연결부(230b)를 포함한다.The
상기 제3몸체부(210b)는 3개의 아치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The
제5말뚝연결부(220b)는 제3몸체부(210b)의 일측 끝단에 위치하는 것으로 소정의 관형태로 형성된다.The fifth
제6말뚝연결부(230b)는 제3몸체부(210b)의 타측 끝단에 위치하는 것으로 소정의 관 형태로 형성된다.The sixth
도 9(c)를 참고하면 실시예 3은 제3판지지구(200b)를 지지하기 위해 3축타입흙막이판받침(92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3에 관한 모습은 도 14를 통해 구체적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c), in Example 3, a 3-axis type retaining
상기 제3축타입흙막이판받침(920)은 제3지지구(220b)의 오목한 부분에 위치하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개가 형성되는 것이다.The third axis type retaining
제3축타입흙막이판받침(920)은 제2체결부(921), 제3체결부(922), 제3지지대(923), 제4지지대(924), 제5지지대(9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third axis type retaining
제2체결부(921)는 상기 제3판지지구(200b)의 제3몸체부(210b)의 3개의 아치형상이 서로 연결되어 2개의 연결부분이 형성될 때, 일측 연결부분에 체결되는 것이다.The
제3체결부(922)는 상기 제3판지지구(200b)의 제3몸체부(210b)의 3개의 아치형상이 서로 연결되어 2개의 연결부분이 형성될 때, 타측 연결부분에 체결되는 것이다.The
제3지지대(923)는 일측이 제2체결부(921)와 연결되고 타측이 일측에 위치한 측면말뚝(100)의 배면플랜지(113)의 내측 일측에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The
제4지지대(924)는 일측이 제2체결부(921)와 연결되고 타측이 제3체결부(922)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The
제5지지대(925)는 일측이 제3체결부(922)와 연결되고 타측이 타측에 위치한 측면말뚝(100)의 배면플랜지(113)의 내측 일측에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The
판지지구(200)는 상기 도 9에 도시된 형태 외에도 다양한 개수의 아치가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버팀대(300)는 상기 측면말뚝(100)의 일측과 수직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다.Bracing 300 is to be formed in a position perpendicular to one side of the side pile (100).
띠장(400)은 서로 이웃하는 버팀대(300)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다.The
상기 띠장(400)과 버팀대(300)는 종래 기술의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도 5(b)는 말뚝및띠장지지연결부(500)의 상세도를 나타낸 도면으로, 상기 말뚝및띠장지지연결부(500)는 상기 측면말뚝(100)과 띠장(400)을 연결하도록 일측은 측면말뚝(100)에 체결되고 타측은 띠장(400)의 일측플랜지를 관통하여 타측플랜지의 내부면에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Figure 5 (b) is a view showing a detailed view of the stake and wale
상기 말뚝및띠장지지연결부(500)는 제1연결볼트(510), 제2연결볼트(520), 연결볼트이음부(530), 틈새삽입부(5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take and band
제1연결볼트(510)는 일측은 측면말뚝(100)의 배면플랜지에 안착되고 타측은 띠장(400)의 일측플랜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One side of the
제2연결볼트(520)는 일측은 띠장(400)의 타측플랜지의 내부면에 안착되고 타측은 제1연결볼트(510)와 일직선 방향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The
연결볼트이음부(530)는 일측은 상기 제1연결볼트(510)의 일단이 수용되어 체결되도록 나사산 형상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제2연결볼트(520)의 일단이 수용되어 체결되도록 나사산 형상의 관통홀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볼트이음부(530)로 제1연결볼트(510)와 제2연결볼트(520)가 나사조임으로 체결됨에 따라 측면말뚝(100)과 띠장(400)을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connection bolt joint 530 is threaded so that one end of the
틈새삽입부(540)는 상기 측면말뚝(100)과 버팀대(300) 사이에 위치하는 제1연결볼트(510)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이다.The
받침부(600)는 일측면은 측면말뚝(100)의 플랜지에 체결되고 상부면에 띠장(400)이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띠장(400)과, 띠장(400)과 연결된 버팀대(300)의 일부가 안착되는 것이다.The
도 10은 버팀대및띠장보강부(700)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10 (a)는 버팀대(300)와 띠장(400) 사이에 버팀대및띠장보강부(700)가 위치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b)는 버팀대및띠장보강부(700)를 도시한 입체도이다.10 is a view showing the brace and the
도 10을 참고하면 버팀대및띠장보강부(700)는 상기 띠장(400)과 버팀대(300)를 보강하도록 일측면은 띠장(400)의 일측 플랜지에 체결되고 타측은 버팀대(300)의 두개의 플랜지들의 사이 공간에 수용되어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Referring to Figure 10, the brace and the
상기 버팀대및띠장보강부(700)는 삽입고정부(710), 상부받침부(720), 하부받침부(730), 연결지지부(7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brace and
삽입고정부(710)는 버팀대(300)의 플랜지들 사이 공간에 수용되어 체결되도록 형성되되 ㄷ 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버팀대(300)에 형성된 두개의 플랜지 사이에 끼워지는 것이다. 상기 삽입고정부(710)는 제1체결홀(711)을 포함하되, 제1체결홀(711)은 버팀대(300)와 만나는 부분의 면에 소정 간격을 가지고 소정 개수가 형성되는 것이다.The
상부받침부(720)는 상기 삽입고정부(710)의 상부 일측과 연결되되 소정의 판상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The
하부받침부(730)는 상기 삽입고정부(710)의 하부 일측과 연결되되 상기 상부받침부(720)와 평행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다.The
연결지지부(740)는 일단은 상기 상부받침부(720)와 연결되고 타단은 하부받침부(730)와 연결되되 띠장(400)의 일측면과 만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The connecting
상기 연결지지부(740)는 제2체결홀(741)을 포함하되, 제2체결홀(741)은 띠장(400)과 만나는 부분의 면에 소정 간격을 가지고 소정 갯수 형성되는 것이다.The
상기 버팀대및띠장보강부(700)가 형성됨에 따라 띠장(400)과 버팀대(300)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효과가 있다.As the bracing and the bracing reinforcing
또한 본 발명은 각 구성들을 체결하기 위한 다수개의 체결볼트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astening bolts for fastening the respective components.
도 2를 참고하면 제1체결볼트(810), 제2체결볼트(820), 제3체결볼트(830), 제4체결볼트(840) 등이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2 , a
제1체결볼트(810)는 측면말뚝(100)과 버팀대(300)를 연결하기 위해 측면말뚝(100)과 버팀대(300)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것이다.The
제2체결볼트(820)는 버팀대(300)와 띠장(400)을 연결하기 위해 버팀대(300)와 띠장(400)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것이다.The
제3체결볼트(830)는 띠장(400)과 버팀대및띠장보강부(700)를 연결하기 위해 띠장(400)과 버팀대및띠장보강부(700)의 제2체결홀(741)에 관통되어 체결되는 것이다.The
제4체결볼트(840)는 버팀대(300)와 버팀대및띠장보강부(700)를 연결하기 위해 버팀대(300)와 버팀대및띠장보강부(700)의 제1체결홀(711)에 관통되어 체결되는 것이다.The
도 11은 도 1을 측면(J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viewed from the side (J direction).
도 12는 본 발명의 흙막이벽체시스템을 시공하는 모습 중 천공홀(10)을 형성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1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도 11과 도 12를 통하여서도 본 발명의 흙막이벽체시스템의 시공완료된 모습과 시공중인 모습을 확인 할 수 있다.11 and 12,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retaining wal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mpleted and that it is under construction.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s described above is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that can be substituted for them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xamples.
100 측면말뚝
110 흙막이벽체부
111 전면플랜지
112a 일자형웨브
112b ㄷ자형웨브
112c ㅁ자형웨브
113 배면플랜지
120 판가이드
120a 유격형판가이드
130 기초지지부
131 이중웨브형기초지지부
131a 기초지지부배출홀
132 스터드
133 제1기초콘크리트연결받침부
134 제2기초콘크리트연결받침부
135 하부지지판
136 보강대
200 판지지구
210 몸체부
220 제1말뚝연결부
221 제1배출홀
230 제2말뚝연결부
231 제2배출홀
300 버팀대
400 띠장
500 말뚝및띠장지지연결부
510 제1연결볼트
520 제2연결볼트
530 연결볼트이음부
540 틈새삽입부
600 받침부
700 버팀대및띠장보강부
710 삽입고정부
720 상부받침부
730 하부받침부
740 연결지지부
810 제1체결볼트
820 제2체결볼트
830 제3체결볼트
840 제4체결볼트
900 흙막이판받침
910 2축타입흙막이판받침
911 제1체결부
912 제1지지대
913 제2지지대
920 3축타입흙막이판받침
921 제2체결부
922 제3체결부
923 제3지지대
924 제4지지대
925 제5지지대100 side piles
110 retaining wall part
111 Front Flange
112a straight web
112b U-shaped web
112c U-shaped web
113 Back Flange
120 plate guide
120a play plate guide
130 foundation support
131 Double web type foundation support
131a Base support discharge hole
132 stud
133 1st foundation concrete connection support part
134 Second foundation concrete connection support part
135 lower support plate
136 ribs
200 cardboard strips
210 body
220 1st pile connection part
221 first discharge hole
230 2nd pile connection part
231 2nd exhaust hole
300 braces
400 belt
500 Pile and Belt Support Connection
510 first connection bolt
520 second connection bolt
530 connecting bolt joint
540 gap insert
600 pedestal
700 bracing and band reinforcement part
710 Insertion Fixture
720 upper support
730 lower support
740 connection support
810 first fastening bolt
820 2nd fastening bolt
830 3rd fastening bolt
840 4th fastening bolt
900 retaining plate support
910 2-axis type retaining plate support
911 first fastening part
912 1st support
913 2nd support
920 3-axis type retaining plate support
921 second fastening part
922 3rd fastening part
923 3rd support
924 4th support
925 Fifth Support
Claims (5)
서로 이웃하는 측면말뚝(100) 사이에 위치하되, 일단은 일측에 위치하는 측면말뚝(100)의 판가이드(120)에 끼움체결되고 타단은 일측에 위치하는 측면말뚝(100)의 판가이드(120)에 끼움체결되는 판지지구(200)와,
상기 측면말뚝(100)의 일측과 수직한 위치에 형성되는 버팀대(300)와,
서로 이웃하는 버팀대(300) 사이에 위치하는 띠장(400)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말뚝(100)은
일자의 판상형태로 형성되고 플랜지들과 수직하도록 형성되되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개가 형성되는 일자형웨브(112a)를 포함하는 흙막이벽체부(110)과,
상기 흙막이벽체부(110)의 일측에 위치하는 플랜지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흙막이벽체부(110)의 일측에 위치하는 플랜지와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측이 뚫린 모양으로 형성되되 판지지구(200)의 일단과 대응되어 형성되는 판가이드(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It is intended to be installed up to the order of depth during pile construction, and is formed in a straight plate shape and is form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flanges and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o form a retaining wall part 110 including a plurality of straight webs (112a). and side piles (100),
It is located between the adjacent side piles 100, but one end is fitted to the plate guide 120 of the side pile 100 located on one side and the other end is the plate guide 120 of the side pile 100 located on one side. ) and a cardboard support 200 that is fastened to the
A brace 300 formed in a position perpendicular to one side of the side pile 100 and,
Including a wale (400) positioned between the braces (300) adjacent to each other,
The side pile 100 is
A retaining wall portion 110 including a plurality of straight webs 112a formed in a straight plate shape and form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flanges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t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lange located on one side of the retaining wall unit 110, is formed lo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flange located on one side of the retaining wall unit 110, and is formed in a shape with a hole in one side; A retaining wall system usable as an underground wal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late guide 120 formed to correspond to one end of the.
상기 측면말뚝(100)은
상기 흙막이벽체부(110)의 하단에 연결되어 형성되되 두개의 플랜지 사이에 소정간격을 가지고 이격된 두개의 웨브가 형성되는 기초지지부(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The side pile 100 is
It is formed by being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retaining wall part 110 and can be used as an underground wal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ase support part 130 in which two webs spaced apart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two flanges are formed. retaining wall system.
상기 판지지구(200)는
소정의 판상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이 오목하도록 아치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210)와,
상기 몸체부(210)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되 소정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말뚝연결부(220)와,
상기 몸체부(210)의 타측 끝단에 형성되되 소정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말뚝연결부(2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말뚝연결부(220)은
상기 제1말뚝연결부(220)의 일측에 소정 간격을 가지고 소정 개수가 형성되는 제1배출홀(221)을 포함하고,
상기 제2말뚝연결부(230)는 상기 제1말뚝연결부(220)의 타측에 소정 간격을 가지고 소정 개수가 형성되는 제2배출홀(2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3.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cardboard support 200 is
The body portion 210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plate shape and is formed in an arcuate shape so that one side is concave;
A first pile connecting portion 220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portion 210 and formed in a predetermined tubular shape,
It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portion 210 and includes a second pile connecting portion 230 formed in a predetermined tube shape,
The first pile connection part 220 is
and a first discharge hole 221 formed in a predetermined number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on one side of the first pile connection part 220,
The second pile connection part 230 is a retaining wall that can be used as an underground wal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econd discharge hole 231 having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predetermined number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pile connection part 220 wall system.
상기 측면말뚝(100)과 띠장(400)을 연결하도록 일측은 측면말뚝(100)에 체결되고 타측은 띠장(400)의 일측플랜지를 관통하여 타측플랜지의 내부면에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말뚝및띠장지지연결부(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4. The method of claim 3,
One side is fastened to the side pile 100 to connect the side pile 100 and the wale 400, and the other side passes through one flange of the wale 400 and is formed to be faste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ther flange. Retaining wall system usable as an underground wal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nection part (500).
상기 띠장(400)과 버팀대(300)를 보강하도록 일측면은 띠장(400)에 체결되고 타측은 버팀대(300)의 두개의 플랜지들의 사이 공간에 수용되어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버팀대및띠장보강부(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One side is fastened to the wale 400 and the other side is accommod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two flanges of the brace 300 so as to reinforce the wale 400 and the brace 300, and the brace and wale reinforcement part 700 are formed to be fastened. ) retaining wall system that can be used as an underground wall of th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25377A KR102351269B1 (en) | 2021-02-25 | 2021-02-25 | Retaining Wall System usable as building underground wal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25377A KR102351269B1 (en) | 2021-02-25 | 2021-02-25 | Retaining Wall System usable as building underground wal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51269B1 true KR102351269B1 (en) | 2022-01-14 |
Family
ID=79343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25377A KR102351269B1 (en) | 2021-02-25 | 2021-02-25 | Retaining Wall System usable as building underground wal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51269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95095B1 (en) * | 2022-04-01 | 2023-02-06 | 주식회사 지디컨설턴트 | Connecting Beam, Pile using such Connecting Beam, Wall Structure using such Pile, and Constructing Method of such Wall Structure |
KR102494824B1 (en) * | 2022-07-06 | 2023-02-06 | 임평수 | CIP retaining wall and water barrier construction method using PHC-pile |
US20230099182A1 (en) * | 2021-09-30 | 2023-03-30 | Shandong University | Structural engineering dominated geotechnical structured permanent supporting system and design method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9056Y1 (en) * | 2005-09-14 | 2006-02-20 | 김무성 | Reinforcement structure of engineering works laggings petal |
KR100585495B1 (en) * | 2005-07-29 | 2006-06-07 | 주식회사지엠테크 | Sheeting board |
KR20130043851A (en) * | 2011-10-21 | 2013-05-02 |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 Retaining wall made from reinforced plastic |
KR101420782B1 (en) | 2013-12-30 | 2014-07-17 | 광일토건환경 주식회사 | The processing method covering construction of the rod surface |
KR101774887B1 (en) | 2016-10-06 | 2017-09-05 | 유한회사 강남이앤씨 | Cutoff wall structure of continuous wall type with variable steel plate, and construction method of cutoff wall of temporary facility using the same |
-
2021
- 2021-02-25 KR KR1020210025377A patent/KR10235126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85495B1 (en) * | 2005-07-29 | 2006-06-07 | 주식회사지엠테크 | Sheeting board |
KR200409056Y1 (en) * | 2005-09-14 | 2006-02-20 | 김무성 | Reinforcement structure of engineering works laggings petal |
KR20130043851A (en) * | 2011-10-21 | 2013-05-02 |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 Retaining wall made from reinforced plastic |
KR101420782B1 (en) | 2013-12-30 | 2014-07-17 | 광일토건환경 주식회사 | The processing method covering construction of the rod surface |
KR101774887B1 (en) | 2016-10-06 | 2017-09-05 | 유한회사 강남이앤씨 | Cutoff wall structure of continuous wall type with variable steel plate, and construction method of cutoff wall of temporary facility using the same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30099182A1 (en) * | 2021-09-30 | 2023-03-30 | Shandong University | Structural engineering dominated geotechnical structured permanent supporting system and design method |
KR102495095B1 (en) * | 2022-04-01 | 2023-02-06 | 주식회사 지디컨설턴트 | Connecting Beam, Pile using such Connecting Beam, Wall Structure using such Pile, and Constructing Method of such Wall Structure |
KR102494824B1 (en) * | 2022-07-06 | 2023-02-06 | 임평수 | CIP retaining wall and water barrier construction method using PHC-pi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51269B1 (en) | Retaining Wall System usable as building underground wall | |
US5158399A (en) | Method for erecting a below grade wall | |
JPS6114322A (en) | Method for decorating and supporting natural or artificial inclined surface | |
KR100998253B1 (en) | Temporary Structure For Land-Side Protection Wall | |
KR102426672B1 (en) | Retaining Wall System usable as building underground wall | |
KR101021915B1 (en) | A method for constructing cut-off temporary structure for sheathing work | |
KR101386275B1 (en) | Reformed sheet plate and the method of installation of the same | |
KR100982819B1 (en) | A prefabricated drain-road | |
KR101078080B1 (en) | Earth retaining wal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precast pile and ground reinforcement | |
CN108035360A (en) | A kind of method for pattern foundation pit supporting structure | |
KR102251982B1 (en) | Retaining Wall System usable as building underground wal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2400792B1 (en) | Soil Wall System that can be used as a subterranean wall of structures equipped with ring supports | |
KR102511387B1 (en) | Connecting structure of reinforced wall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KR102351272B1 (en) | Retaining Wall System usable as building underground wall | |
KR102426682B1 (en) | Retaining Wall System usable as building underground wall | |
KR102460370B1 (en) | Retaining Wall System usable as building underground wall | |
EP0724066B1 (en) | Method for underground excavation | |
KR102316011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sheathing temporary facility | |
KR102400795B1 (en) | Retaining Wall System usable as building underground wall | |
KR102440977B1 (en) | Retaining Wall System usable as building underground wal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2400780B1 (en) | Retaining Wall System usable as a building underground wal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2446626B1 (en) | Retaining Wall System usable as building underground wall | |
KR102151496B1 (en) | Underground continuous wall structure of concrete steel composit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 of | |
KR102468396B1 (en) | Retaining Wall System usable as building underground wal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2626431B1 (en) | Thumb pile using guide bracket and bottom part of drilling diameter ground anchor and construction method for retaining temporary facility us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