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1214B1 - 학습 관리 방법 및 학습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학습 관리 방법 및 학습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1214B1
KR102351214B1 KR1020210048972A KR20210048972A KR102351214B1 KR 102351214 B1 KR102351214 B1 KR 102351214B1 KR 1020210048972 A KR1020210048972 A KR 1020210048972A KR 20210048972 A KR20210048972 A KR 20210048972A KR 102351214 B1 KR102351214 B1 KR 102351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learning device
server
blocking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8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정대
Original Assignee
강정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정대 filed Critical 강정대
Priority to KR1020210048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12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1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1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버가 학습 기기로부터 학습시작 요청을 수신하는 제 1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학습시작 요청의 상기 학습 기기에 대응하는 비학습 기기의 차단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비학습 기기의 차단에 성공한 경우 상기 학습 기기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며, 상기 비학습 기기의 차단에 성공하지 못한 경우 상기 학습 기기로 학습 콘텐츠의 제공 불가를 통보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학습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학습 관리 방법 및 학습 관리 시스템{STUDYING MANAGEMENT METHOD AND STUDYING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학습 관리 방법 및 학습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학습 기기를 통한 학습시에 비학습 기기를 차단하고 학습 중단시에 비학습 기기의 차단을 해제하여 학습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학습 관리 방법 및 학습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코로나 19의 확산으로 온라인 수업이 널리 적용되고 있다. 온라인 수업을 위해 학생은 온라인 클래스에 접속하기 위한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등의 학습 기기를 구비하고 학습 기기가 온라인 클래스에 접속하여 학생 대상 원격 수업이 이루어진다. 또는, 학원 등의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은 학습 기기를 통해 학원 등에서 제공하는 학원 강의에 접속하고 제공되는 학원 강의를 학습 기기를 통해 수강할 수 있다.
온라인 클래스, 온라인 강의 등은 비대면 수업을 가능케 해 코로나 19의 확산 방지에 유용한 장점이 있으나 많은 부작용이 발생한다. 학생들은 교사나 강사의 직접적인 접촉이 없고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되는 일방향 영상으로 수업을 받아 수업의 집중도(집중력)가 떨어지고 교사나 강사의 주의나 환기를 받을 수 없다.
원격 수업으로 인해, 자신의 학습 기기 외에 다른 비학습 기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을 수업중 몰래 사용하는 학생들이 다수가 있어 그 수업 효과는 현저히 떨어질 수 있는 실정이다.
또한, 학습 기기를 이용한 공부나 강의 중에 학생들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학습에 이용중이지 않는 비학습 기기의 도움으로 정답 어플 등을 사용하여 숙제를 하거나 문제를 풀 수 있어 실질적인 학업 진도와 그 성취를 확인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학생의 부모는 학생의 비학습 기기에 통제 어플을 설치할 수 있으나 통제 어플은 시간 단위의 통제만 가능하고 가변적일수 있는 실제 학습 시간과 연계되지 못하여 학생들은 정해진 사용 불가시간 동안만 지나가기를 바라면서 무료하게 시간을 보내기만 하여 학습 효과는 매우 떨어지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학습 기기와 연계한 비학습 기기를 제어하여 학습 기기를 이용한 효율적인 학습이 가능한 학습 관리 방법 및 학습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94788호(20160810)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50095호(20180419) 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64853호(20160608) 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04357호(20130925)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학습 기기를 이용한 학습 시에 학습자의 비학습 기기의 작동을 차단하여 효율적인 학습이 가능토록 하는 학습 관리 방법 및 학습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등록된 학습 기기와 비학습 기기를 연동하여 학습 기기에서 학습이나 학습 해제에 따라 비학습 기기의 사용을 제어할 수 있는 학습 관리 방법 및 학습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온라인 교육에 있어 학습자에게 학습 기기를 통한 학습을 집중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학습 관리 방법 및 학습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학습 관리 방법은, 서버가 학습 기기로부터 학습시작 요청을 수신하는 제 1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학습시작 요청의 상기 학습 기기에 대응하는 비학습 기기의 차단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비학습 기기의 차단에 성공한 경우 상기 학습 기기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며, 상기 비학습 기기의 차단에 성공하지 못한 경우 상기 학습 기기로 학습 콘텐츠의 제공 불가를 통보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학습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비학습 기기의 차단 어플로 차단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차단 어플로부터의 응답에 따라 차단 성공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한 학습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의 이전에, 상기 비학습 기기의 등록 여부 및 온라인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비학습 기기가 등록되어 있지 않거나 온라인이지 않으면 바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한다.
상기한 학습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학습 기기로부터 학습중단 요청을 수신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학습 기기에 대응하는 비학습 기기의 차단 해제에 성공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 5 단계의 판단결과 차단 해제에 성공한 경우 학습 콘텐츠의 제공을 중단하는 제 6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학습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에서, 상기 서버가 상기 비학습 기기로 차단 해제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비학습 기기로부터의 응답에 따라 차단 해제의 성공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한 학습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비학습 기기로부터 차단 해제 요청을 수신하는 제 7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비학습 기기에 대해 등록된 상기 학습 기기에서의 학습 중단 결과에 따라 상기 비학습 기기의 차단 어플로 차단 해제 응답을 전송하는 제 8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학습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8 단계는, 상기 서버의 제어 서버가 상기 차단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서버의 학습서버로 학습중단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학습서버가 상기 차단 요청의 상기 학습 기기로 학습 중단을 요청하고 상기 학습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응답에 따라 상기 제어서버로 학습중단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어서버가 수신되는 학습중단 결과에 따라 상기 비학습 기기의 상기 차단 어플로 차단 해제 응답을 전송하는 단계;를 통하여 수행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학습 기기에 연동되는 비학습 기기를 제어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학습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서버는, 학습 기기로부터 학습시작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학습시작 요청의 상기 학습 기기에 대응하는 비학습 기기의 차단 성공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비학습 기기의 차단에 성공한 경우 상기 학습 기기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며, 상기 비학습 기기의 차단에 성공하지 못한 경우 상기 학습 기기로 학습 콘텐츠의 제공 불가를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학습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비학습 기기의 차단 성공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서버가 상기 비학습 기기의 차단 어플로 차단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차단 어플로부터의 응답에 따라 차단 성공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한 학습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학습 기기로부터 학습중단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학습 기기에 대응하는 비학습 기기의 차단 해제에 성공하였는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차단 해제에 성공한 경우 학습 콘텐츠의 제공을 중단한다.
상기한 학습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비학습 기기로 차단 해제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비학습 기기로부터의 응답에 따라 상기 차단 해제의 성공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한 학습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비학습 기기로부터 차단 해제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비학습 기기에 대해 등록된 상기 학습 기기에서의 학습 중단 결과에 따라 상기 비학습 기기의 차단 어플로 차단 해제 응답을 전송한다.
상기한 학습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의 제어 서버가 상기 차단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서버의 학습서버로 학습중단 요청을 전송하며, 상기 학습서버가 상기 차단 요청의 상기 학습 기기로 학습 중단을 요청하고 상기 학습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응답에 따라 상기 제어서버로 학습중단 결과를 전송하며, 상기 제어서버가 수신되는 학습중단 결과에 따라 상기 비학습 기기의 상기 차단 어플로 차단 해제 응답을 전송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 관리 방법 및 학습 관리 시스템은 학습 기기를 이용한 학습 시에 학습자의 비학습 기기의 작동을 차단하여 효율적인 학습이 가능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 관리 방법 및 학습 관리 시스템은 등록된 학습 기기와 비학습 기기를 연동하여 학습 기기에서 학습이나 학습 해제에 따라 비학습 기기의 사용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 관리 방법 및 학습 관리 시스템은 온라인 교육에 있어 학습자에게 학습 기기를 통한 학습을 집중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학습자의 학습 관리를 위한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학습 관리 시스템에 포함되는 서버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학습 기기를 통해 학습 시작시에 비학습 기기를 차단하고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학습 기기를 통해 학습 중단시에 학습 콘텐츠의 제공 중단과 비학습 기기를 해제하기 위한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비학습 기기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학습 기기에서의 학습을 중단하는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학습자의 학습 관리를 위한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예에 따르면, 학습 관리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학습 기기(100), 하나 이상의 비학습 기기(200) 및 서버(300)를 포함하고 학습 기기(100), 비학습 기기(200) 및 서버(300)는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각종 콘텐츠, 제어 요청, 제어 응답을 송수신할 수 있다.
학습 기기(100)는 서버(300)를 통한 학습에 이용되는 기기이다. 학습 기기(100)는 하드디스크나 비휘발성 메모리 등에 학습 어플(브라우저를 포함한다)을 설치하고 학습 어플을 통해 서버(300)에 접속하여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각종 학습 콘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재생할 수 있다. 학습 기기(100)는 학습용 기기로 미리 서버(300)에 지정 등록될 수 있다. 학습 기기(100)는 다양한 유형의 디바이스, 장치, 단말 등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개인용 컴퓨터 또는 노트북 등일 수 있다.
비학습 기기(200)는 서버(300)를 통한 학습에 이용되지 않는 기기이다. 비학습 기기(200)는 하드디스크나 비휘발성 메모리 등에 차단 어플을 설치하고 서버(300)와 연동하여 서버(300)로부터의 제어 신호, 제어 명령, 요청에 따라 비학습 기기(200)의 동작(또는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비학습 기기(200)는 다양한 유형의 디바이스, 장치, 단말 등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개인용 컴퓨터 또는 노트북 등일 수 있다.
특정 학습자는 하나 또는 복수의 학습 기기(100)와 하나 또는 복수의 비학습 기기(200)를 소지하는 것으로 서버(300)에 설정되어 학습 기기(100)와 비학습 기기(200)에서의 학습 관련 이벤트에 따라 다른 유형의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서버(300)는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학습 기기(100)와 비학습 기기(200)에 연결되어 학습 기기(100)에 연동되는 비학습 기기(200)를 제어한다. 서버(300)는 학습 기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요청에 따라 대응하는 비학습 기기(200)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비학습 기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요청에 따라 대응하는 학습 기기(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서버(300)는 단일 서버로 구성되거나 복수의 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0)는 인터넷(광대역 네트워크)을 통해 연결되는 단일 서버로 구성되어 학습 기기(100)와 비학습 기기(200)의 동작을 제어하고 학습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서버(300)는 학습서버(310)와 제어서버(350)를 포함하고 학습서버(310)는 학습 기기(100)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고 제어서버(350)는 학습 기기(100)와 비학습 기기(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학습서버(310)와 제어서버(350)는 외부망이나 내부망에 연결되어 각종 제어 이벤트, 제어 데이터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학습서버(310)는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업체에서 운용하는 서버이고 제어서버(350)는 학습 기기(100)와 비학습 기기(200)의 연동 기능을 제공하는 업체에서 운영하는 서버이다.
서버(300)는 그 외 다양한 형태와 구성을 가질 수 있고, 클라우드 서버로 구성될 수도 있다.
서버(300)의 내부 구성과 학습 기기(100)와 비학습 기기(200)와의 연동을 통한 제어 흐름은 도 2 이하에서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광대역 네트워크는 학습 기기(100), 비학습 기기(200) 및 서버(300) 사이의 각종 콘텐츠, 프로그램, 요청, 응답 등을 통신 패킷을 통해 전송한다. 광대역 네트워크는 인터넷이거나 이동통신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이동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학습 관리 시스템에 포함되는 서버(300)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서버(300)는 통신 유닛(301), 저장 유닛(303), 연결 유닛(307) 및 제어 유닛(309)을 포함한다. 도 2의 블록도는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2의 서버(300)는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물리적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서버(300)는 다수의 물리적 서버로 분할 구성될 수 있고 할당된 기능에 따라 분리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0)는 서로 내부망이나 외부망을 통해 연결되는 학습서버(310)와 제어서버(3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버(300)의 구성은 단일한 서버로 국한되지 않고 구성 가능한 다양한 서버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2를 통해 각 기능 블록을 살펴보면, 통신 유닛(301)은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 유닛(301)은 무선랜, 유선랜, 광랜 등에 연결되기 위한 통신 칩셋을 포함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저장 유닛(303)은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 유닛(303)은 하드디스크 등의 대용량 저장매체를 포함하여 학습자의 학습 기기(100) 및 비학습 기기(200)를 특정(등록)할 수 있는 정보를 적어도 저장하는 사용자 DB(305)를 구비한다.
사용자 DB(305)는 복수의 사용자 엔트리로 구성되고 각각의 사용자 엔트리는 사용자 ID 및 인증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 서브-사용자 ID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서브-사용자 정보와 각 서브-사용자 ID에 맵핑되는 하나 이상의 기기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자 정보는 등록된 사용자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다.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ID와 인증정보를 포함하고 그 외 사용자의 주소, 전화번호 등의 정보를 더 포함한다.
사용자 ID는 본 학습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ID로서 숫자와 문자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사용자 ID는 학습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는 한 명 이상의 학습자의 보호자를 특정하기 위한 식별자일 수 있다. 사용자 ID는 한 명 이상의 학생의 학부모를 특정하기 위한 식별자일 수 있다. 인증정보는 학습 관리 시스템(의 서버(300))에서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한다. 인증정보는 숫자, 문자 등의 패스워드나 생체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서브-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관리되는 서브-사용자(예를 들어, 학생)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서브-사용자 정보는 서브-사용자 ID를 포함하고 그 외 서브-사용자의 학교명, 학년 등의 정보를 더 포함한다.
사용자 ID에 맵핑되는 각각의 서브-사용자 ID는 사용자의 관리하에서 학습하는 학습자를 특정하기 위한 식별자이다. 서브-사용자 ID는 숫자, 문자 등의 조합으로 구성되고 사용자 ID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학생(자녀)을 특정할 수 있다.
서브-사용자 ID에 맵핑되는 하나 이상의 기기 정보는 서브-사용자가 이용가능한 기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기기 정보는 기기 ID 정보와 기기 유형을 적어도 포함한다. 기기 ID 정보는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300)가 기기를 특정하거나 액세스 가능한 정보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기기의 휴대전화번호, IP 주소 및/또는 맥 주소 등을 포함하고 설치된 어플의 종류, 버전 및/또는 시리얼 번호 등을 더 포함한다. 기기 ID 정보를 이용하여 서버(300)(의 제어 유닛(309))는 기기로 액세스하고 설치된 어플과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기기 유형은 학습 기기(100)인지 또는 비학습 기기(200)인지를 특정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 유닛(303)은 그 외 제어 유닛(309)에서 이용 가능한 프로그램을 더 저장할 수 있다.
연결 유닛(307)은 서버(300) 내의 블록 사이의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연결 유닛(307)은 병렬 버스, 시리얼 버스, 이더넷, 와이파이 등을 하나 이상 포함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 유닛(309)은 서버(300)를 제어한다. 제어 유닛(309)은 저장 유닛(303)의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통해 서버(3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유닛(309)은 CPU, MPU, 중앙 처리 장치, 마이컴 등을 하나 이상 포함하여 프로그램의 명령어 코드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 유닛(309)은 통신 유닛(301)을 통해 사용자를 사용자 DB(305)에 등록한다. 제어 유닛(309)은 임의 사용자의 스마트폰, 태블릿 PC나 개인용 PC를 이용한 등록 요청에 따라 신규의 사용자 엔트리를 사용자 DB(305)에 생성한다.
제어 유닛(309)은 신규 사용자 엔트리에 사용자 ID 및 인증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의 기기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저장한다. 또한, 제어 유닛(309)은 사용자의 기기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하나 이상의 서브-사용자 정보를 설정한다. 이와 같이, 학부모 등의 사용자는 자신의 자녀에 관련된 정보를 설정하여 하나의 사용자 ID로 여러 자녀(학생)를 본 학습 관리 시스템 내에서 관리한다.
제어 유닛(309)은 각각의 서브-사용자에 대한 하나 이상의 기기의 기기 정보를 설정한다. 제어 유닛(309)은 기기 ID 정보의 설정 과정에서 설정될 기기로 인증번호를 전송하고 사용자의 기기(예를 들어, 스마트폰)로부터 설정된 기기의 인증번호의 입력을 수신하여 설정된 기기를 인증하고 사용자 엔트리에 휴대전화번호, IP 주소 및/또는 맥 주소 등을 포함하는 기기 ID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유닛(309)은 설정될 기기의 기기 유형을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학습 기기(100)나 비학습 기기(200)로 설정한다. 기기 ID 정보의 설정 과정에서, 학습 기기(100)로 설정되는 기기는 학습 어플이 설치되고 비학습 기기(200)로 설정되는 기기는 차단 어플이 설치된다.
여기서, 기기 ID 정보는 외부 기관의 서버로부터 자동으로 수신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309)은 학교의 학사관리서버나 학원의 학사관리서버 등으로부터 서브-사용자의 등록된 스마트폰 등의 기기 ID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버(300)(의 제어 유닛(309))는 하나의 사용자(학부모)에 하나 이상의 서브-사용자(학생)를 맵핑시키고 각 서브-사용자에 복수의 기기(적어도, 하나의 학습 기기(100)와 하나의 비학습 기기(200))를 맵핑시킨다. 그리고, 학습 기기(100)에는 온라인 학습에 이용되는 학습 어플이 설치되고 비학습 기기(200)에는 차단 어플이 설치되는 데, 차단 어플은 학습중 차단 어플을 제외한 주요 어플의 실행을 차단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예를 들어 차단되는 주요 어플은 브라우저, 메신저, 통화 및 문자 메시지 어플 등일 수 있다. 학습 어플과 차단 어플은 서버(300)(의 제어 유닛(309))와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되고 오픈 앱 스토어로부터 다운로드될 수 있다.
학습과 비학습 과정에서의 서버(300)와 연동한 학습 기기(100)와 비학습 기기(200)의 제어에 대해서는 도 3 이하에서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은 학습 기기(100)를 통해 학습 시작시에 비학습 기기(200)를 차단하고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학습 기기(100)에는 학습 어플이 미리 설치되고, 비학습 기기(200)에는 차단 어플이 미리 설치되고 서버(300)는 학습 어플과 차단 어플과의 각종 요청과 응답의 송수신으로 도 3의 제어 흐름을 수행한다. 도 3에서는 서버(300)에서의 동작 흐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먼저, 학습 어플을 수행하고 서버(300)에 서브-사용자로 로그인한 학습 기기(100)는 학습 기기(100)에서의 학습시작의 입력에 따라 학습시작 요청을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300)로 전송하고 서버(300)(의 제어 유닛(309))는 이를 수신(① 참조)한다.
학습 어플은 학습 어플의 실행 시작, 학습 어플 내에서의 특정 학습 콘텐츠의 선택, 특정 학습 콘텐츠의 재생 등을 학습시작 이벤트로 인식하고 학습시작 이벤트의 인식에 따라 서버(300)와 약속된 포맷의 학습시작 요청을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학습시작 요청의 수신에 따라, 서버(300)(의 제어 유닛(309))는 학습시작 요청의 학습 기기(100)에 대응하는 비학습 기기(200)의 등록 여부를 식별(② 참조)한다. 서버(300)(의 제어 유닛(309))는 학습시작 요청의 학습 기기(100)의 기기 ID 정보, 사용자 ID 나 서브-사용자 ID에 대응하는 사용자 DB(305)의 사용자 엔트리에서 비학습 기기 유형의 기기 정보를 검색하고 기기 정보의 검색 여부에 따라 비학습 기기(200)의 등록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검색을 통해 서버(300)(의 제어 유닛(309))는 학습 기기(100)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비학습 기기(200)를 식별할 수 있다.
서버(300)(의 제어 유닛(309))는 비학습 기기(200)의 등록 여부에 기초하여 학습 기기(100)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한다.
서버(300)는 다양한 형태의 서버 구조를 가질 수 있고 그 구성에 따라 내부 동작은 달라질 수 있다. 서버(300)는 학습서버(310)와 제어서버(3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학습서버(310)에 의해 각종 요청을 수신하고 각종 요청에 대응하는 제어 이벤트를 제어서버(350)로 전송하고 제어서버(350)에 의한 비학습 기기(200)의 제어 결과의 응답의 수신에 따라 학습서버(310)가 학습 기기(100)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거나 제공 거부하거나 중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서버(310)가 학습시작 요청을 수신하고 등록된 비학습 기기(200)를 제어하는 제어서버(350)로 제어 이벤트를 전송하고 제어서버(350)는 비학습 기기(200)를 차단하기 위한 제어결과에 따른 응답을 학습서버(310)로 전송하고 학습서버(310)는 응답에 따라 학습 콘텐츠를 학습 기기(100)로 전송한다.
또는, 제어서버(350)가 각종 요청을 수신하고 각종 요청에 따라 대응하는 기기를 제어하고 제어 결과에 따라 학습서버(310)를 통해 학습 기기(100)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거나 제공 거부하거나 중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서버(350)가 학습시작 요청을 수신하고 등록된 비학습 기기(200)의 차단 어플을 통해 비학습 기기를 제어하고 비학습 기기(200)에 대한 제어 결과에 따라 학습서버(310)를 통해 학습 기기(100)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한다.
비학습 기기(200)와 연동하여 학습 기기(100)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서버(300)(의 제어 유닛(309))는 식별된 비학습 기기(200)의 온라인 여부를 판단(③ 참조)한다. 만약 비학습 기기가 온라인 상태이지 않다면 학습 기기(100)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며, 온라인 상태이라면 다음의 단계로 이전한다.
가정하여, 학습을 시작할 때에는 비학습기기가 오프라인 상태이었다가 나중에 온라인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비학습기기의 차단 어플은 서버(300)로 이를 보고하고, 서버(300)(의 제어 유닛(309)는 학습을 시작할 때와 유사하게, 비학습기기가 온라인 상태일 때 수행되는 후속 과정을 수행토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비학습 기기(200)의 차단어플이 작동 가능한지 여부(예를 들어, 차단어플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④ 참조), 서버(300)(의 제어 유닛(309))는 미리 저장하고 있는 차단 어플로부터의 접속 정보나 설치 정보 또는 설치 버전 정보 등을 수신하여 차단 어플의 작동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서버(300)(의 제어 유닛(309))는 차단 어플이 작동 가능하지 않다고 판단하면, 학습 기기(100)로 차단 어플의 설치 등을 요청하고 학습 콘텐츠의 제공 불가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송(⑤ 참조)한다.
그리고 서버(300)(의 제어 유닛(309))는 차단 어플이 작동 가능하다고 판단하면, 서버(300)(의 제어 유닛(309))는 식별된 비학습 기기(200)의 기기 ID 정보를 이용하여 비학습 기기(200)의 차단 어플에 대하여 비학습 기기(200)의 주요 동작을 중단시키기 위한 요청, 구체적으로는 차단 어플을 제외한 주요 어플의 동작을 차단하는 차단 요청을 전송하는데(⑥ 참조), 예를 들면, 인터넷 브라우저, 메신저, 전화 및 문자 메시지와 같은 어플의 동작을 차단하는 것일 수 있다.
비학습 기기(200)의 차단 어플은 차단 요청의 수신에 따라 비학습 기기(200)를 제어하여 차단 어플을 제외한 주요 어플의 실행 가능 상태를 차단 상태(실행 불능 상태)로 변경 설정하고 그에 따른 응답을 서버(300)로 전송한다. 또는, 주요 어플의 차단 상태(실행 불능 상태)로 변경 설정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 응답으로서 이러한 상태를 보고한다.
서버(300)(의 제어 유닛(309))는 비학습 기기(200)로부터 응답에 따라 차단에 성공하였는지를 판단하고(⑧ 참조), 차단에 성공한 경우 스마트 기기(100)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며(⑨ 참조), 차단에 성공하지 못한 경우 콘텐츠의 제공 불가를 통보한다(⑩ 참조).
이와 같이, 도 3의 제어 흐름을 통해 학습자(서브-사용자)가 학습 기기(100)를 통해 학습을 시작할 때 학습 콘텐츠의 제공전에 다른 비학습 기기(200)의 동작을 미리 차단시켜 학습자는 학습 기기(100)를 통한 온라인 학습에 집중할 수 있고 비학습 기기(200)를 이용한 각종 부작용(예를 들어, 게임, 문제 어플 이용, 인터넷 서핑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학습 기기(100)를 통해 학습 중단시에 학습 콘텐츠의 제공 중단과 비학습 기기(200)를 차단 해제하기 위한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학습 기기(100)에는 학습 어플이 미리 설치되고, 비학습 기기(200)에는 차단 어플이 미리 설치되며, 서버(300)는 학습 어플과 차단 어플과의 각종 요청과 응답의 송수신으로 도 4의 제어 흐름을 수행한다.
도 3의 학습 기기(100)를 통한 학습 시작에 후속하여, 도 4의 제어 흐름이 수행되고, 학습 기기(100)는 학습 중지/종료의 입력에 따라 학습 중단 요청을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300)로 전송하고 서버(300)(의 제어 유닛(309))는 이를 수신(① 참조)한다.
학습 어플은 학습 어플의 종료, 로그아웃, 문제풀기 중지 등을 학습 중단 이벤트로 인식하고 학습 중단 이벤트의 인식에 따라 약속된 포맷의 학습 중단 요청을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학습 중단 요청의 수신에 따라, 서버(300)(의 제어 유닛(309))는 학습 기기(100)에 대응하는 비학습 기기(200)의 등록 여부에 기초하여 학습 기기(100)로 학습 콘텐츠의 제공을 중단한다.
학습 기기(100)로 학습 콘텐츠의 제공을 중단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서버(300)(의 제어 유닛(309))는 학습 중단 요청의 학습 기기(100)에 대응하는 비학습 기기(200)의 등록 여부를 식별(② 참조)한다. 서버(300)(의 제어 유닛(309))는 학습중단 요청의 학습 기기의 기기 ID 정보, 사용자 ID 나 서브-사용자 ID에 대응하는 사용자 DB(305)의 사용자 엔트리에서 비학습 기기 유형의 기기 정보를 검색하고 기기 정보의 검색 결과에 따라 등록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서버(300)(의 제어 유닛(309))는 학습 기기(100)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비학습 기기(200)를 식별할 수 있다. 또는, 도 3의 ② 과정을 통해 비학습 기기(200)의 등록 여부를 미리 식별할 수도 있다. 비학습용 기기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바로 학습 콘텐츠의 제공을 중단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다음 단계로 진입한다.
그리고, 서버(300)(의 제어 유닛(309))는 식별된 비학습 기기(200)의 온라인 여부를 판단(③ 참조)한다. 서버(300)(의 제어 유닛(309))는 식별된 비학습 기기(200)의 기기 ID 정보를 이용하여 비학습 기기(200)의 온라인 여부를 판단한다. 온라인 상태가 아닌 경우 서버(300)(의 제어 유닛(309))는 학습 기기(100)로 학습 콘텐츠의 제공을 바로 중단한다. 그리고, 온라인 상태인 경우 다음 단계로 이전한다.
그리고, 서버(300)(의 제어 유닛(309))는 비학습 기기(200)의 차단 어플이 작동 가능한지를 판단(④ 참조)한다. 서버(300)(의 제어 유닛(309))는 차단 어플이 설치되지 않은 등의 이유로 작동 가능한 상태가 아니어도 콘텐츠 제공을 바로 중단(⑤ 참조)한다.
그리고 차단 어플이 작동 가능 상태인 경우, 서버(300)(의 제어 유닛(309))는 식별된 비학습 기기(200)의 차단 어플을 통해 비학습 기기(200)의 차단(동작 중단)을 해제시키기 위한 차단해제 요청을 전송(⑥ 참조)한다.
비학습 기기(200)의 차단 어플은 차단해제 요청의 수신에 따라 비학습 기기(200)를 제어하여 내부 다른 어플들을 실행 가능 상태로 변경 설정하고 그에 따른 응답을 서버(300)로 전송한다. 만약 차단해제가 불가능한 경우에도 응답으로서 이를 보고한다.
서버(300)(의 제어 유닛(309))는 비학습 기기(200)로부터 차단해제 요청에 따른 응답을 수신(⑦ 참조)하고 수신된 응답에 다라 차단 해제에 성공하였는지를 판단(⑧ 참조)하며, 차단 해제에 성공한 경우 학습 기기(100)로 학습 콘텐츠의 제공을 중단(⑩ 참조)하며, 차단 해제에 성공하지 못한 경우 학습 기기(100)로 차단 해제에 성공하지 못하였다는 것을 취지로 하는 에러 메시지를 전송한다(⑨ 참조)
이와 같은 도 4의 제어 흐름을 통해 학습자에 의한 학습 기기(100)에서의 학습 중단시에 학습 기기(100)의 학습 중단에 동기화하여, 등록된 다른 비학습 기기(200)의 동작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5는 비학습 기기(200)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학습 기기(100)에서의 학습을 중단하는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학습 기기(100)에는 학습 어플이 미리 설치되고, 비학습 기기(200)에는 차단 어플이 미리 설치되고 서버(300)는 학습 어플과 차단 어플과의 각종 요청과 응답의 송수신으로 도 5의 제어 흐름을 수행한다. 도 5의 제어 흐름은 도 3의 제어 흐름에 후속하여 실행되고 비학습 기기(200)와 연동하여 학습 기기(100)에서의 학습을 중단하기 위한 제어 흐름을 나타낸다. 도 5에서는 제어 서버(350)와 학습 서버(310)의 동작과 양자 사이의 동작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먼저, 서버(300)(의 제어 유닛(309))는 비학습 기기(200)로부터 차단(동작중단) 해제 요청을 수신(① 참조)한다.
비학습 기기(200)는 차단 어플을 통한 사용자의 요청 등에 의해, 내부 다른 어플들의 사용 상태 변경의 제어 이벤트의 인식에 따라 차단(동작중단) 해제 요청을 서버(300)로 전송하고 서버(300)(의 제어 유닛(309))는 이를 수신한다.
서버(300)(의 제어 유닛(309))는 차단 해제를 요청한 비학습 기기(200)에 대해 등록된 학습 기기(100)에서의 학습을 중단시키고 학습중단 결과에 따라 비학습 기기(200)의 차단 어플로 차단 해제 응답을 전송(② 내지 ⑤ 참조)한다. 차단 해제 응답을 수신한 비학습 기기(200)의 차단 어플은 차단 해제 응답에 따라 내부 다른 어플들의 사용 상태를 사용 가능 상태로 변경한다.
예를 통해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학습서버(310)와 제어서버(3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서버(300)의 예에서, 비학습 기기(200)와 차단 어플을 통해 인터페이스하는 제어서버(350)는 차단 어플로부터 차단 해제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학습서버(310)로 학습중단 요청을 전송(② 참조)한다. 학습중단 요청에는 차단 어플로부터 수신되거나 인식되는 비학습 기기(200)의 기기 ID, 사용자 ID 및/또는 서브-사용자 ID를 포함한다.
학습서버(310)는 학습중단 요청의 수신에 따라 차단 해제 요청(학습중단 요청)의 학습 기기(100)로 학습 중단을 요청하거나 학습 콘텐츠의 제공을 중단(③ 참조)하고, 바로 또는 학습 기기(100)로부터의 응답에 따라 제어서버(350)로 학습중단 결과를 구성하여 전송(④ 참조)한다.
학습서버(310)는 학습중단 요청의 비학습 기기(200)의 기기 ID, 사용자 ID 및/또는 서브-사용자 ID에 대응하는 학습 기기(100)를 사용자 DB(305)의 사용자 엔트리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사용자 엔트리의 기기 정보에서 학습 기기(100)로 설정된 기기(기기 ID 정보)로 학습 중단을 요청하거나, 학습 콘텐츠의 제공을 중단하며, 제어서버(350)로 학습중단 요청에 대한 응답을 구성하여 전송한다. 응답은 학습중단 결과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학습 기기(100)의 학습 어플은 학습서버(310)로부터 수신되는 학습중단 요청에 따라 학습 기능을 중단하고 학습 기능의 중단을 나타내는 응답을 학습서버(310)로 전송할 수 있다. 학습 기능의 중단에 학습서버(310)는 학습 콘텐츠의 제공을 중단할 수 있다.
제어서버(350)는 수신되는 응답의 학습중단(학습중단 결과)에 따라 비학습 기기(200)의 차단 어플로 동작중단 해제 응답을 전송(⑤ 참조)한다. 그에 따라, 비학습 기기(200)의 차단 어플은 내부 다른 어플들의 사용 상태를 사용 가능 상태로 변경한다.
이와 같은 도 5의 제어 흐름을 통해 비학습 기기(200)의 제어 이벤트에 연계하여 학습 기기(100)를 제어하여 동적으로 학습을 중단시켜 효율적인 학습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학습 기기
200 : 비학습 기기
300 : 서버
301 : 통신 유닛 303 : 저장 유닛
305 : 사용자 DB 307 : 연결 유닛
309 : 제어 유닛
310 : 학습서버
350 : 제어서버

Claims (13)

  1. 서버가 학습 기기로부터 학습시작 요청을 수신하는 제 1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학습시작 요청의 상기 학습 기기에 대응하는 비학습 기기의 차단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비학습 기기의 차단에 성공한 경우 상기 학습 기기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며, 상기 비학습 기기의 차단에 성공하지 못한 경우 상기 학습 기기로 학습 콘텐츠의 제공 불가를 통보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가 상기 학습 기기로부터 학습중단 요청을 수신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학습 기기에 대응하는 비학습 기기의 차단 해제에 성공하였는지를 판단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 5 단계의 판단결과 차단 해제에 성공한 경우 학습 콘텐츠의 제공을 중단하는 제 6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학습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비학습 기기의 차단 어플로 차단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차단 어플로부터의 응답에 따라 차단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
    학습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의 이전에,
    상기 비학습 기기의 등록 여부 및 온라인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비학습 기기가 등록되어 있지 않거나 온라인이지 않으면 바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학습 관리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에서,
    상기 서버가 상기 비학습 기기로 차단 해제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비학습 기기로부터의 응답에 따라 차단 해제의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
    학습 관리 방법.
  6. 서버가 학습 기기로부터 학습시작 요청을 수신하는 제 1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학습시작 요청의 상기 학습 기기에 대응하는 비학습 기기의 차단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비학습 기기의 차단에 성공한 경우 상기 학습 기기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며, 상기 비학습 기기의 차단에 성공하지 못한 경우 상기 학습 기기로 학습 콘텐츠의 제공 불가를 통보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가 상기 비학습 기기로부터 차단 해제 요청을 수신하는 제 7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비학습 기기에 대해 등록된 상기 학습 기기에서의 학습 중단 결과에 따라 상기 비학습 기기의 차단 어플로 차단 해제 응답을 전송하는 제 8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학습 관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 8 단계는,
    상기 서버의 제어 서버가 상기 차단 해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서버의 학습서버로 학습중단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학습서버가 상기 비학습 기기에 대해 등록된 상기 학습 기기로 학습 중단을 요청하고 상기 학습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응답에 따라 상기 제어서버로 학습중단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어서버가 수신되는 학습중단 결과에 따라 상기 비학습 기기의 상기 차단 어플로 차단 해제 응답을 전송하는 단계;를 통하여 수행되는,
    학습 관리 방법.
  8. 학습 기기에 연동되는 비학습 기기를 제어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학습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서버는,
    학습 기기로부터 학습시작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학습시작 요청의 상기 학습 기기에 대응하는 비학습 기기의 차단 성공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비학습 기기의 차단에 성공한 경우 상기 학습 기기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며, 상기 비학습 기기의 차단에 성공하지 못한 경우 상기 학습 기기로 학습 콘텐츠의 제공 불가를 통보하며,
    상기 서버가 상기 학습 기기로부터 학습중단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학습 기기에 대응하는 비학습 기기의 차단 해제에 성공하였는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차단 해제에 성공한 경우 학습 콘텐츠의 제공을 중단하는,
    학습 관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학습 기기의 차단 성공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서버가 상기 비학습 기기의 차단 어플로 차단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차단 어플로부터의 응답에 따라 차단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
    학습 관리 시스템.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비학습 기기로 차단 해제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비학습 기기로부터의 응답에 따라 상기 차단 해제의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
    학습 관리 시스템.
  12. 학습 기기에 연동되는 비학습 기기를 제어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학습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서버는,
    학습 기기로부터 학습시작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학습시작 요청의 상기 학습 기기에 대응하는 비학습 기기의 차단 성공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비학습 기기의 차단에 성공한 경우 상기 학습 기기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며, 상기 비학습 기기의 차단에 성공하지 못한 경우 상기 학습 기기로 학습 콘텐츠의 제공 불가를 통보하며,
    상기 서버가 상기 비학습 기기로부터 차단 해제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비학습 기기에 대해 등록된 상기 학습 기기에서의 학습 중단 결과에 따라 상기 비학습 기기의 차단 어플로 차단 해제 응답을 전송하는,
    학습 관리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비학습 기기로부터 차단 해제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비학습 기기에 대해 등록된 상기 학습 기기에서의 학습 중단 결과에 따라 상기 비학습 기기의 차단 어플로 차단 해제 응답을 전송하는 것은,
    상기 서버의 제어 서버가 상기 차단 해제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서버의 학습서버로 학습중단 요청을 전송하며, 상기 학습서버가 상기 비학습 기기에 대해 등록된 상기 학습 기기로 학습 중단을 요청하고 상기 학습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응답에 따라 상기 제어서버로 학습중단 결과를 전송하며, 상기 제어서버가 수신되는 학습중단 결과에 따라 상기 비학습 기기의 상기 차단 어플로 차단 해제 응답을 전송하는 것에 의해 수행되는,
    학습 관리 시스템.
KR1020210048972A 2021-04-15 2021-04-15 학습 관리 방법 및 학습 관리 시스템 KR102351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972A KR102351214B1 (ko) 2021-04-15 2021-04-15 학습 관리 방법 및 학습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972A KR102351214B1 (ko) 2021-04-15 2021-04-15 학습 관리 방법 및 학습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1214B1 true KR102351214B1 (ko) 2022-01-13

Family

ID=79342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8972A KR102351214B1 (ko) 2021-04-15 2021-04-15 학습 관리 방법 및 학습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121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4357A (ko) 2012-03-13 2013-09-25 ㈜아레스찬 두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 디지털 콘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서버, 단말 장치 및 시스템
KR20160064853A (ko) 2014-11-28 2016-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들 간에 기능을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60094788A (ko) 2015-02-02 2016-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850095B1 (ko) 2016-11-03 2018-04-19 윤디스크주식회사 보안 솔루션을 제공하는 양방향 온라인 강의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4357A (ko) 2012-03-13 2013-09-25 ㈜아레스찬 두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 디지털 콘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서버, 단말 장치 및 시스템
KR20160064853A (ko) 2014-11-28 2016-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들 간에 기능을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60094788A (ko) 2015-02-02 2016-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850095B1 (ko) 2016-11-03 2018-04-19 윤디스크주식회사 보안 솔루션을 제공하는 양방향 온라인 강의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78659B (zh) 使客户端设备能够访问远程桌面的方法和系统
US20220107710A1 (en) Remotely restricting client devices
US8898321B2 (en) Remote device communication platform user interface
CN105991614B (zh) 一种开放授权、资源访问的方法及装置、服务器
EP3000078A2 (en) Proximity and context aware mobile workspaces in enterprise systems
CN102238228A (zh) 建立远程桌面
CN109347795A (zh) 登录验证方法、装置及设备、介质
BR112015029277B1 (pt) Método e dispositivo de computação
JP2014519674A (ja) トラステッドプラットフォーム基盤の開放型id認証方法、このための装置及びシステム
EP3122008A1 (en) Cloud desktop pushing method and system, pushing end and receiving end
WO2019057089A1 (zh) 网卡镜像抓包方法、终端以及可读存储介质
CN106027631A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装置
EP3796688A1 (en) Transfer of control of configuration sources
CN106254328A (zh) 一种访问控制方法及装置
KR102351214B1 (ko) 학습 관리 방법 및 학습 관리 시스템
CN110178353A (zh) 业务处理方法、云服务器和终端设备
CN108255547A (zh) 一种应用程序控制方法及装置
US20020107922A1 (en) Processing apparatus, management apparatus, computer system, and memory medium and program
CN105391673B (zh) 安全访问方法及装置
KR101850095B1 (ko) 보안 솔루션을 제공하는 양방향 온라인 강의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US20160088328A1 (en) Password protected stream receivers
Mishima et al. Brand New Designed Virtual Computer Classroom in BYOD Era
CN108933794A (zh) 一种加入企业策略的方法、装置、设备及服务器
CN110022310A (zh) 基于云计算开放网络操作系统的授权方法及装置
KR20190104888A (ko)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동적 데이터 패키지 액세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