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1157B1 - 약액세정장치 - Google Patents

약액세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1157B1
KR102351157B1 KR1020210110187A KR20210110187A KR102351157B1 KR 102351157 B1 KR102351157 B1 KR 102351157B1 KR 1020210110187 A KR1020210110187 A KR 1020210110187A KR 20210110187 A KR20210110187 A KR 20210110187A KR 102351157 B1 KR102351157 B1 KR 102351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chemical
metering
quantitative
outdoo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0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락
박희철
Original Assignee
김창락
박희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락, 박희철 filed Critical 김창락
Priority to KR1020210110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11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1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1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12Washers with plural different washing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14Packed scrub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9Injecting reacta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as Separation By Absorption (AREA)

Abstract

약액세정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약액세정장치는: 수조의 약액의 조건 유지를 위해 해당 약액에 약품을 주기적 또는 간헐적으로 정량 공급하는 정량공급유닛으로써, 수조에 필요시 투입하기 위한 약품을 저장 후 공급하는 메인탱크, 메인탱크로부터 약품을 공급받은 후 저장된 정량의 약품을 수조로 공급 가능하도록 일측에 정량개구부를 통공한 정량탱크, 및 정량탱크를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여 정량탱크를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정량탱크에 정량만큼 저장된 약품을 수조로 배출 유도하는 회전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약액세정장치{CHEMICAL CLEANING PLANT WITH LIQUID CONSTANT SUPPLY UNIT}
본 발명은 약액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탱크와 별도로 정량탱크를 고정케이싱의 내부에서 정기적 또는 간헐적으로 회전되면서, 약품이 정량 공급된 정량탱크를 회전시켜 수조 측으로 자연 배출시킴으로써, 수조 내의 약액의 조건을 유지하기 위한 약품의 공급에 적용되는 모터와 밸브의 설치 개수를 줄임에 따라, 유지 보수비용을 줄이고자 하는 약액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속적인 경제 발전과 산업화로 인하여 대기 오염 줄질의 배출량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대기 오염 물질의 종류도 점차 다양화되고 있다. 특히, 분뇨 처리장, 오폐수 처리장 및 각종 공장에서 발생하는 악취가스에는 황화수소(H2S), 머캅탄(R-SH), 암모니아(NH3) 및 아민류(RNH2) 등이 있으며, 이들 악취가스들은 통상적으로 흡입시 두통이나 불쾌감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다각적인 방면에서 상기의 악취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다양한 악취 가스 처리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악취가스 처리기술로는 크게 활성탄 흡착법과 약액 세정법, 오존 산화법, 연소 탈취 등의 물리ㅇ화학적 처리 방법과 토양 미생물 처리법, 활성 슬러지법, 바이오 필터 등의 생물학적 처리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악취가스를 제거하고자 하는 처리 환경에 따라 선택되어 각각 단독 또는 2개 이상을 병행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이 중에서 본 발명과 관련이 있는 약액 세정법은 일반적으로 탈취부에 세정액을 분사시킴과 동시에 하부로부터 악취 가스를 공급하여 세정액과 악취 가스를 접촉시켜 처리하는 방법이며, 이러한 약액 세정법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탈취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약액 세정법을 사용하는 종래의 일반적인 탈취 장치는 세정액을 분무하여 악취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악취가스와 접촉시켜 탈취하는 탈취부와, 탈취부로 세정액을 공급함과 동시에 탈취부로부터 배수되는 세정액을 취합하는 저수조와, 탈취부에서 탈취가 이루어진 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걸러주어 가스만을 통과시키는 여과기 및, 여과기를 통과한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구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탈취 장치는 탈취부에 세정액을 분무시키면서 하부로부터 악취가스를 공급하여 세정액과 악취가스를 접촉시킴으로써, 세정액에 의해 악취가스를 분해시켜 탈취시키게 된다.
관련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66737호(등록일: 2010.06.22., 발명의 명칭: 약액 세정식 탈취탑)에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의 약액세정탑에서는 수조 내의 조건 측정 및 신수보충 조건 측정에 따라 복수 개의 전자밸브의 작동으로 약품을 수조 내에 투입하는데, 복수 개의 전자밸브를 배치함으로써 유지 보수비용 및 설치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고, 하나의 약품탱크에서 수조로의 약품을 공급함에 따라 안정적이고 정량의 약품 공급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메인탱크와 별도로 정량탱크를 고정케이싱의 내부에서 정기적 또는 간헐적으로 회전되면서, 약품이 정량 공급된 정량탱크를 회전시켜 수조 측으로 자연 배출시킴으로써, 수조 내의 약액의 조건을 유지하기 위한 약품의 공급에 적용되는 모터와 밸브의 설치 개수를 줄임에 따라, 유지 보수비용을 줄이고자 하는 약액세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액세정장치는: 악취인자를 함유한 배기가스를 유입 안내하기 위해 둘레면에 배기가스유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배기가스에 약액을 분사함으로써 상기 악취인자를 포집하여 낙하 유도하는 약액분사부재를 내부에 구비하며, 상기 약액과 상기 배기가스의 포집되어 낙하한 부유물을 상기 약액과 함께 배출하기 위해 하부에 배수구를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약액과 상기 부유물을 공급받고, 저장된 약액을 상기 약액분사부재로 재순환 안내하는 수조; 및 상기 수조의 약액의 조건 유지를 위해, 해당 약액에 약품을 주기적 또는 간헐적으로 정량 공급하는 정량공급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정량공급유닛은, 상기 수조에 필요시 투입하기 위한 약품을 저장 후 공급하는 메인탱크; 상기 메인탱크로부터 약품을 공급받은 후, 저장된 정량의 약품을 상기 수조로 공급 가능하도록 일측에 정량개구부를 통공한 정량탱크; 및 상기 정량탱크를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여, 상기 정량탱크를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정량탱크에 정량만큼 저장된 상기 약품을 상기 수조로 배출 유도하는 회전작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작동부는, 상기 정량탱크를 내부에 구비하고, 상부 둘레면에 상부유입구를 통공하며, 하부 둘레면에 하부배출구를 통공한 고정케이싱; 및 상기 고정케이싱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 어느 일측을 통해 상기 정량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정량탱크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정량탱크가 상기 약품을 공급받기 위해 상기 정량개구부와 상기 상부유입구를 일치시키고, 상기 정량탱크가 상기 약품을 배출하기 위해 상기 정량개구부와 상기 하부배출구를 일치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작동부는, 상기 상부유입구로 유입되는 상기 약품의 전량이 대응되는 상기 정량개구부로 공급 안내하고, 상기 정량개구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약품의 전량이 대응되는 상기 하부배출구로 배출 안내되도록, 상기 고정케이싱과 상기 정량탱크의 둘레면 사이에 구비되는 링 형상의 패킹씰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작동부는, 상기 고정케이싱에 통공되는 제 1외기홀부; 상기 정량개구부가 상기 하부배출구와 일치될 경우, 상기 제 1외기홀부와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정량탱크에 통공되는 제 2외기홀부; 및 상기 정량탱크에 저장된 상기 약품이 상기 수조로 배출되도록, 상기 제 1외기홀부를 통해 상기 정량탱크에 외기를 공급하는 외기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작동부는, 상기 고정케이싱과 상기 정량탱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외기홀부 및 상기 제 2외기홀부와 일치되는 제 3외기홀부를 통공한 패킹패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약액세정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메인탱크와 별도로 정량탱크를 고정케이싱의 내부에서 정기적 또는 간헐적으로 회전되면서, 약품이 정량 공급된 정량탱크를 회전시켜 수조 측으로 자연 배출시킴으로써, 수조 내의 약액의 조건을 유지하기 위한 약품의 공급에 적용되는 모터와 밸브의 설치 개수를 줄임에 따라, 유지 보수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공급유닛을 구비한 약액세정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공급유닛의 확대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공급유닛의 개략적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공급유닛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공급유닛의 회전작동부의 작동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약액세정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공급유닛을 구비한 약액세정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공급유닛의 확대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공급유닛의 개략적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공급유닛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공급유닛의 회전작동부의 작동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액세정장치(100)는 배기가스(악취기체)에 함유된 악취인자를 약액으로 세정하는 설비로서, 본체(200), 수조(300) 및 정량공급유닛(400)을 포함한다.
본체(200)는 악취인자를 함유한 배기가스를 내부로 유입하기 위해 둘레면에 하나 이상의 배기가스유입구(210)를 형성하고, 악취인자를 제거한 배기가스를 배기하기 위해 상부에 에어벤트홀(220)을 형성하며, 내부로 유입된 배기가스에 약액을 분사함으로써 악취인자를 포집한 부유물(10)을 낙하 유도하는 약액분사부재(230)를 구비한다.
이때, 본체(200)는 종방향으로 내부에 약액분사부재(230)를 하나 이상 구비하고, 대응되는 약액분사부재(230)의 하측에 악취흡착제(240)를 구비할 수 있다.
약액분사부재(230)는 노즐로서, 공급라인(232)과 연결된다. 공급라인(232)은 수조(300)에 담긴 약품과 약액의 혼합액에 잠긴 상태가 된다. 그리고, 공급라인(232)은 공급펌프(234)를 구비한다.
그래서, 수조(300)의 약품과 약액의 혼합액은 공급펌프(234)에 의해 공급라인(232)을 따라 순환 후 약액분사부재(230)에 의해 본체(200) 내부에 분사된다. 이때, 수조(300)의 약품과 약액의 혼합액은 수면에 부유물(10)이 부유하고 있기 때문에, 공급라인(232)은 약품과 약액의 혼합액의 내부에 잠기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본체(200) 내부에서 비산되는 악취 유발 알갱이와 먼지 등 부유물(10)은 낙하되어 본체(200) 내부의 약품의 수면에 부유하게 된다.
이 부유하는 부유물(10)은 본체(200)의 하측 둘레면에 형성된 배수구(260)를 통해 약품과 함께 수조(300)로 배출된다.
이 후, 부유물(10)이 수조(300)의 약품 수면에 부유하게 된다. 해당 부유물(10)은 수조(300)의 둘레면 상부에 형성된 배출구(310)를 통해 약품과 함께 배출된다. 그래서, 배기가스는 악취 유발 인자 및 먼지 등 부유물(10)이 제거된다.
악취흡착제(240)는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고, 약액을 본체(200)의 하측으로 통과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아울러, 본체(200)는 에어벤트홀(220)에 인접된 내측에 습기포집제(250)를 구비한다. 그래서, 정화된 배기가스는 습기포집제(250)를 통과하면서 습기를 제거한 후 대기 중으로 배출된다. 이를 통해, 본체(200)에서 배출된 배기가스는 건조한 상태가 됨에 따라 대기 중의 악취인자를 응집하는 응집력이 저하된다.
물론, 본체(20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수조(300)는 본체(200)의 하측에 구비되어 본체(200)의 하측으로 유출되는 약액을 저장하고, 저장된 약액을 약액분사부재(23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수조(30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수조(300)는 본체(200)와 유격되게 배치될 수도 있고, 본체(200)의 하측에 일체 또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정량공급유닛(400)은 수조(300)의 약액의 농도 등의 조건 유지를 위해, 해당 약액에 약품을 설정 시간간격마다 정량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정량공급유닛(400)은 메인탱크(410), 정량탱크(420) 및 회전작동부(500)를 포함한다.
메인탱크(410)는 가능한 한 많은 양의 약품을 공급받아 저장하고, 정량탱크(420)로 약품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메인탱크(410)는 크기 및 형상에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메인탱크(410)는, 내부로 약품을 공급시, 내부 기체의 배기를 위해 메인벤트라인(412)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약품은 메인탱크(410)에 구비되는 공급포트(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내부로 공급되거나, 또는 메인벤트라인(412)을 통해 메인탱크(41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정량탱크(420)는 메인탱크(410)로부터 약품을 공급받은 후, 저장된 정량의 약품을 설정 위치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정량탱크(420)는 내부 공간이 일정하기 때문에 약품을 최대치로 공급받은 후 수조(300)로 공급함에 따라 약품을 정량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정량탱크(420)는 내부의 수위계에 의해 정량의 약품을 공급받을 수도 있고, 내부 체적에 상관없이 정량공급부(500)의 작동(가동) 시간에 의해 약품을 정량으로 공급받을 수 있다.
아울러, 정량탱크(420)는 메인탱크(410)로부터 약품을 공급받은 후, 저장된 정량의 약품을 수조(300)로 공급 가능하도록 일측에 정량개구부(422)를 통공한다. 그래서, 메인탱크(410)의 약품은 정량개구부(422)를 통해 정량탱크(420) 내부로 공급되고, 정량탱크(420)가 회전된 후 또는 회전되며, 정량탱크(420)의 약품은 해당 정량개구부(422)를 통해 수조(300)로 배출된다.
특히, 메인탱크(410)와 정량탱크(420)는 공급라인(411)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공급라인(411)은 개폐밸브(413)를 구비한다. 정량탱크(420)가 초기 위치에 해당되는 정량개구부(422)가 메인탱크(410) 측으로 개방된 경우, 개폐밸브(413)가 자동 또는 수동으로 개방됨에 따라, 메인탱크(410)의 약품은 정량탱크(420)로 이송된다. 개폐밸브(413)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닫히게 된다.
한편, 회전작동부(500)는 정량탱크(420)를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여, 정량탱크(420)를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정량탱크(420)에 정량만큼 저장된 약품을 수조(300)로 배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히, 회전작동부(500)는 고정케이싱(510), 구동모터(520), 패킹씰(530), 제 1외기홀부(540), 제 2외기홀부(550), 외기공급부(560) 및 패킹시트(570)를 포함한다.
고정케이싱(510)은 정량탱크(420)를 내부에 구비한다. 이때, 고정케이싱(510)의 중심축과 정량탱크(420)의 중심축이 일치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고정케이싱(510)은 정량탱크(420)를 내부에 삽입하기 위해, 축 방향을 따라 일측을 개방되게 형성한다. 정량탱크(420)가 개방된 일측을 통해 고정케이싱(520)에 삽입되며 조립 완료된 후, 고정케이싱(510)은 개방된 일측을 사이드캡(516)으로 덮는다. 이때, 사이드캡(516)과 고정케이싱(510)은 용접 등에 의해 밀봉 처리된다.
아울러, 고정케이싱(510)은 상부 둘레면에 상부유입구(512)를 통공하며, 하부 둘레면에 하부배출구(514)를 통공한다.
정량탱크(420)가 초기 위치인 경우, 정량탱크(420)의 정량개구부(422)는 고정케이싱(510)의 상부유입구(512)와 일치된다. 그래서, 메인탱크(410)의 약품은 정량개구부(422)와 상부유입구(512)를 통해 정량탱크(420)로 공급된다.
그리고, 정량탱크(420)가 연속적으로 서서히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거나, 약품이 충진된 후 원주 방향으로 설정 각도만큼 회전되고 나서, 정량탱크(420)의 정량개구부(422)는 고정케이싱(510)의 하부배출구(514)와 일치된다. 그래서, 정량탱크(420)의 약품은 정량개구부(422)와 하부배출구(514)를 통해 수조(300)로 배출된다.
이때, 고정케이싱(510)은 하부배출구(514)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출라인(511)을 연장한다. 배출라인(511)은 하단이 수조(300)의 직상방에 인접되게 위치하거나 또는 수조(300)의 내부에 잠긴다.
또한, 구동모터(520)는 고정케이싱(510)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 어느 일측을 통해 정량탱크(420)에 연결되어, 정량탱크(420)를 단독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정량탱크(420)가 약품을 공급받기 위해 정량개구부(422)와 상부유입구(512)를 일치시키고, 정량탱크(420)가 약품을 배출하기 위해 정량개구부(422)와 하부배출구(514)를 일치시키도록 작동된다.
특히, 명확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모터축이 고정케이싱(510)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과 타측에 각각 삽입된 후 정량탱크(420)의 대응되는 측면 중앙에 고정 연결된다. 그리고, 구동모터(520)가 어느 하나의 모터축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된다. 이때, 구동모터(520)가 연결되지 않는 모터축은 외부의 고정체(도시하지 않음)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공급라인(411)을 따라 이송되는 약품은 고정케이싱(510)의 상부유입구(512)를 통과 후 정량탱크(420)의 정량개구부(422)로 공급되는데, 이 중 약품의 일부는 고정케이싱(510)과 정량탱크(420)의 사이 공간으로 유입된 후 하부배출구(514)로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조(300)로 공급되는 약품이 정량 설정이 어렵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패킹씰(530)이 구비된다.
패킹씰(530)은, 상부유입구(512)로 유입되는 약품의 전량(全量)이 대응되는 정량개구부(422)로 공급 안내하고, 정량개구부(422)에서 배출되는 약품의 전량이 대응되는 하부배출구(514)로 배출 안내되도록, 고정케이싱(510)과 정량탱크(420)의 둘레면 사이에 구비된다.
이때, 패킹씰(530)은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패킹씰(530)은 정량탱크(420)의 축 방향을 따라 정량개구부(422)의 일측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외측 둘레면에 원주 방향으로 연속되게 접하고, 정량개구부(422)의 타측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외측 둘레면에 원주 방향으로 연속되게 접한다.
아울러, 정량개구부(422)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패킹씰(530)은 고정케이싱(510)의 축 방향을 따라 상부유입구(512)와 하부배출구(514)의 일측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내측 둘레면에 원주 방향으로 연속되게 접하고, 상부유입구(512)와 하부배출구(514)의 타측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내측 둘레면에 원주 방향으로 연속되게 접한다.
이로써, 상부유입구(512)로 유입되는 약품은 고정케이싱(510)과 정량탱크(420) 사이의 틈새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특히, 정량탱크(420)가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패킹씰(530)은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정량탱크(420)의 외측 둘레면과 고정케이싱(510)의 내측 둘레면은 패킹씰(530) 각각을 안착하기 위해 안착홈(532)을 함몰 형성한다.
패킹씰(530) 각각이 대응되는 안착홈(532)의 내측면과 밀착되면서 접촉 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밀봉력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정량개구부(422)가 하부배출구(514)와 일치될 경우, 정량탱크(420)에 저장된 약품이 배출라인(511)으로 배출 안내된다. 이때, 정량탱크(420)는 내부 상부의 압력이 배출라인(511)의 하부 외측보다 낮기 때문에, 정량탱크(420) 내부의 약품이 원활하게 수조(300)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 1외기홀부(540), 제 2외기홀부(550), 외기공급부(560) 및 패킹시트(570)가 구비된다.
제 1외기홀부(540)는 고정케이싱(510)에 통공된다. 이때, 제 1외기홀부(540)는 고정케이싱(510)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 상부에 통공된다. 물론, 제 1외기홀부(540)의 형상, 크기 및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편의상, 제 1외기홀부(540)는 고정케이싱(510)에 1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제 2외기홀부(550)는, 정량개구부(422)가 하부배출구(514)와 일치될 경우, 제 1외기홀부(540)와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정량탱크(420)에 통공된다. 이때, 제 2외기홀부(550)는 제 1외기홀부(540)와 일대일 대응되고, 1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아울러, 외기공급부(560)는 고정케이싱(510)의 외부에서 제 1외기홀부(540)와 연결된다.
그래서, 정량개구부(422)의 전체 또는 일부가 하부배출구(514)와 일치된 시점에서, 정량탱크(420)에 저장된 약품이 수조(300)로 원활히 배출되도록, 외기공급부(560)는 제 1외기홀부(540)와 제 2외기홀부(550)를 통해 정량탱크(420)의 내부에 외기를 공급하도록 제어된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520)와 외기공급부(560)는 유기적으로 제어된다.
그리고, 패킹패드(570)는 제 1외기홀부(540)와 제 2외기홀부(550)에 대응되는 정량탱크(420)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과 고정케이싱(510)의 일측의 사이 공간에 구비된다.
또한, 패킹패드(570)는 제 1외기홀부(540) 및 제 2외기홀부(550)와 동시에 일치되는 제 3외기홀부(572)를 통공한다.
특히, 제 2외기홀부(550)가 제 1외기홀부(540)가 일치되지 않게 되거나, 제 1외기홀부(540)와 일치되더라도, 정량탱크(420)에 저장된 약품이 제 2외기홀부(550)를 통해 정량탱크(420)와 고정케이싱(510)의 사이 공간으로 누출될 수 있다.
패킹패드(570)가 해당되는 정량탱크(420)와 고정케이싱(510)의 사이 공간을 밀봉 처리함으로써, 정량탱크(420)에 저장된 약품이 제 2외기홀부를 통해 누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아울러, 패킹패드(570)는 항상 제 1외기홀부(540)와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제 3외기홀부(572)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패킹패드(570)는 고정케이싱(510)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제 2외기홀부(550)가 제 3외기홀부(572)와 일직선상에 배치될 경우, 외기공급부(560)의 작동에 의해 외기가 정량탱크(420)의 내부로 원활하게 공급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약액세정장치 200: 본체
210: 배기가스유입구 220: 에어벤트홀
230: 약액분사부재 300: 수조
400: 정량공급유닛 410: 메인탱크
420: 정량탱크 422: 정량개구부
500: 회전작동부 510: 고정케이싱
512: 상부유입구 514: 하부배출구
516: 사이드캡 520: 구동모터
530: 패킹씰 532: 안착홈
540: 제 1외기홀부 550: 제 2외기홀부
560: 외기공급부 570: 패킹패드
572: 제 3외기홀부

Claims (5)

  1. 악취인자를 함유한 배기가스를 유입 안내하기 위해 둘레면에 배기가스유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배기가스에 약액을 분사함으로써 상기 악취인자를 포집하여 낙하 유도하는 약액분사부재를 내부에 구비하며, 상기 약액과 상기 배기가스의 포집되어 낙하한 부유물을 상기 약액과 함께 배출하기 위해 하부에 배수구를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약액과 상기 부유물을 공급받고, 저장된 약액을 상기 약액분사부재로 재순환 안내하는 수조; 및 상기 수조의 약액의 조건 유지를 위해, 해당 약액에 약품을 주기적 또는 간헐적으로 정량 공급하는 정량공급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정량공급유닛은, 상기 수조에 필요시 투입하기 위한 약품을 저장 후 공급하는 메인탱크;
    상기 메인탱크로부터 약품을 공급받은 후, 저장된 정량의 약품을 상기 수조로 공급 가능하도록 일측에 정량개구부를 통공한 정량탱크; 및
    상기 정량탱크를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여, 상기 정량탱크를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정량탱크에 정량만큼 저장된 상기 약품을 상기 수조로 배출 유도하는 회전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작동부는, 상기 정량탱크를 내부에 구비하고, 상부 둘레면에 상부유입구를 통공하며, 하부 둘레면에 하부배출구를 통공한 고정케이싱; 및
    상기 고정케이싱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 어느 일측을 통해 상기 정량탱크에 연결되어, 상기 정량탱크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정량탱크가 상기 약품을 공급받기 위해 상기 정량개구부와 상기 상부유입구를 일치시키고, 상기 정량탱크가 상기 약품을 배출하기 위해 상기 정량개구부와 상기 하부배출구를 일치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작동부는, 상기 고정케이싱에 통공되는 제 1외기홀부;
    상기 정량개구부가 상기 하부배출구와 일치될 경우, 상기 제 1외기홀부와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정량탱크에 통공되는 제 2외기홀부; 및
    상기 정량탱크에 저장된 상기 약품이 상기 수조로 배출되도록, 상기 제 1외기홀부를 통해 상기 정량탱크에 외기를 공급하는 외기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세정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작동부는, 상기 상부유입구로 유입되는 상기 약품의 전량이 대응되는 상기 정량개구부로 공급 안내하고, 상기 정량개구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약품의 전량이 대응되는 상기 하부배출구로 배출 안내되도록, 상기 고정케이싱과 상기 정량탱크의 둘레면 사이에 구비되는 링 형상의 패킹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세정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작동부는, 상기 고정케이싱과 상기 정량탱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외기홀부 및 상기 제 2외기홀부와 일치되는 제 3외기홀부를 통공한 패킹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액세정장치.
KR1020210110187A 2021-08-20 2021-08-20 약액세정장치 KR102351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187A KR102351157B1 (ko) 2021-08-20 2021-08-20 약액세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187A KR102351157B1 (ko) 2021-08-20 2021-08-20 약액세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1157B1 true KR102351157B1 (ko) 2022-01-13

Family

ID=79342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0187A KR102351157B1 (ko) 2021-08-20 2021-08-20 약액세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115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36233A (ja) * 2010-12-24 2012-07-19 Yoshino Kogyosho Co Ltd 定量吐出具
KR200464108Y1 (ko) * 2012-05-11 2012-12-11 황광연 두부제조기용 정량투입장치
KR20140090350A (ko) * 2013-01-07 2014-07-17 이창현 사료 및 식수의 정량 공급장치
KR101720245B1 (ko) * 2015-01-21 2017-03-27 김수문 혼합비 설정 가능한 버섯 재배용 약품액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065681A (ko) * 2019-11-27 2021-06-04 주식회사 지앤씨 정량공급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약액세정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36233A (ja) * 2010-12-24 2012-07-19 Yoshino Kogyosho Co Ltd 定量吐出具
KR200464108Y1 (ko) * 2012-05-11 2012-12-11 황광연 두부제조기용 정량투입장치
KR20140090350A (ko) * 2013-01-07 2014-07-17 이창현 사료 및 식수의 정량 공급장치
KR101720245B1 (ko) * 2015-01-21 2017-03-27 김수문 혼합비 설정 가능한 버섯 재배용 약품액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065681A (ko) * 2019-11-27 2021-06-04 주식회사 지앤씨 정량공급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약액세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2921B1 (ko) 회전 격판식 선회류 세정 및 탈취장치
KR200468971Y1 (ko) 복합형 가축분뇨 악취가스 제거장치
KR101591849B1 (ko) 세정식 탈취장치
KR19990008460A (ko) 유출물 처리 시스템
KR100967343B1 (ko) 하수관거 탈취장치
KR101738349B1 (ko) 악취 제거장치
KR20210065681A (ko) 정량공급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약액세정장치
KR101997185B1 (ko) 촉매산화수 발생장치를 이용한 약액 세정 탈취장치
KR102017000B1 (ko) 약액세정탑용 약액 투입 시스템
KR101804116B1 (ko) 바이오가스 탈황장치
KR102351157B1 (ko) 약액세정장치
CN114699910A (zh) 一种利于填料更换除臭的生物滤池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216106B1 (ko)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
KR100540217B1 (ko) 와류 믹스식 탈취장치 및 상기 탈취장치를 이용한 탈취방법
KR102150864B1 (ko) 나노버블을 이용한 탈취시스템
KR20220060789A (ko) 축산시설용 공기 정화 장치
KR102086738B1 (ko) 오존과 광촉매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악취저감장치
CN110102157A (zh) 臭氧联合生物滤池处理有机废气的装置
KR20190122986A (ko) 하수슬러지 처리설비
KR20150127964A (ko) 하이브리드 악취탈취장치
KR100693186B1 (ko) 생물학적 처리수(미생물 제재)를 이용한 습식형 악취제거장치
KR100535833B1 (ko) 탈취용 공기 청정기
KR101864339B1 (ko) 구획된 수조를 갖는 약액세정탑
JPH10118444A (ja) オゾン脱臭装置
KR20220010105A (ko) 활성탄 탈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