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0456B1 - Apparatus and method for guiding parking fe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guiding parking fe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0456B1
KR102350456B1 KR1020190066768A KR20190066768A KR102350456B1 KR 102350456 B1 KR102350456 B1 KR 102350456B1 KR 1020190066768 A KR1020190066768 A KR 1020190066768A KR 20190066768 A KR20190066768 A KR 20190066768A KR 102350456 B1 KR102350456 B1 KR 102350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parking lot
information
demand
f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67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40054A (en
Inventor
구자헌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6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0456B1/en
Publication of KR20200140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00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0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04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79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POI information, e.g. hotels, restaurants, shops, filling stations, parking facilities
    • G01C21/3685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POI information, e.g. hotels, restaurants, shops, filling stations, parking facilities the POI's being parking facil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G07B15/04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comprising devices to free a barrier, turnstile, or the lik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요금 안내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타겟 주차장의 요금 안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타겟 주차장에 설치된 게이트웨이로부터 주차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미리 생성된 수요 예측 모델에 상기 수집된 주차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타겟 주차장의 수요를 예측하는 단계; 상기 예측된 수요를 기초로 상기 타겟 주차장의 요금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요금을 포함하는 요금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parking fee guidan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receiving a fee guide request of a target parking lot from a user terminal; collecting parking information from a gateway installed in the target parking lot; predicting the demand of the target parking lot by inputting the collected parking information into a pre-generated demand prediction model; determining a fee for the target parking lot based on the predicted demand; and providing rate information including the determined rate to the user terminal.

Description

주차 요금 안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GUIDING PARKING FEE} Apparatus and method for guiding parking fees {APPARATUS AND METHOD FOR GUIDING PARKING FEE}

본 발명은 주차 요금을 안내하는 주차 요금 안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king fee guiding device and method for guiding a parking fee.

일반적으로 차량은 화석 연료, 전기 등을 동력원으로 하여 도로 또는 선로를 주행하는 운송 장치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차량은 정해진 목적지까지 주행 경로를 따라 주행함으로써, 탑승객이나 탑재된 물류를 목적지까지 빠르고 정확하게 운송할 수 있다.BACKGROUND ART In general, a vehicle refers to a transportation device that travels on a road or track by using fossil fuel, electricity, or the like as a power source. By driving such a vehicle along a driving route to a predetermined destina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accurately transport passengers or loaded logistics to the destination.

운송을 마친 차량은 이후의 운송을 수행하기 전까지 정지 상태로 대기할 수 있다. 이 때, 차량은 주차의 용도로서 정해지지 않은 도로 상에 임시로 정차하거나, 주차를 위해 마련된 주차장 내에 위치함으로써 안전하기 주차를 완료할 수 있다.The vehicle that has completed transportation may stand by in a stationary state until further transportation is performed. At this time, the vehicle can be safely parked by temporarily stopping on a road not determined for the purpose of parking, or by being located in a parking lot provided for parking.

이 때, 주차장은 위치, 규모, 시설 등에 따라 각각의 요금을 정하고 있으며, 운전자는 자신의 조건에 맞는 주차장을 선택하여 미리 정해진 요금을 지불하고 차량을 주차할 수 있다. At this time, each parking lot has its own fee according to location, size, facility, etc., and the driver can select a parking lot that meets his/her condition, pay a predetermined fee, and park the vehicle.

이처럼, 주차장의 요금은 일반적으로 고정되어 있어, 효율적인 수요 관리의 어려움이 있다. As such, since the parking fee is generally fixed, there is a difficulty in efficient demand management.

한국등록허공보, 제 10-1694001호 (2017.01.02. 등록)Korea Registered Public Notice, No. 10-1694001 (Registered on 2017.01.0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미리 생성된 수요 예측 모델에 따라 예측된 주차장의 수요를 이용하여 타겟 주차장의 요금을 결정하고, 결정된 요금에 대한 요금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주차 요금 안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rking fee guide device that determines a fee for a target parking lot by using the demand for a parking lot predicted according to a pre-generated demand prediction model, and provides fee information on the determined fee to a user terminal, and to provide a way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o be solved that are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요금 안내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타겟 주차장의 요금 안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타겟 주차장에 설치된 게이트웨이로부터 주차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미리 생성된 수요 예측 모델에 상기 수집된 주차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타겟 주차장의 수요를 예측하는 단계; 상기 예측된 수요를 기초로 상기 타겟 주차장의 요금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요금을 포함하는 요금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parking fee guidan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receiving a fee guide request of a target parking lot from a user terminal; collecting parking information from a gateway installed in the target parking lot; predicting the demand of the target parking lot by inputting the collected parking information into a pre-generated demand prediction model; determining a fee for the target parking lot based on the predicted demand; and providing rate information including the determined rate to the user terminal.

또한, 상기 타겟 주차장의 요금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예측된 수요에 대응되는 할인율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할인율을 기준 요금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termining of the rate of the target parking lot may include: determining a discount rate corresponding to the predicted demand; The method may include applying the determined discount rate to a reference rate.

또한, 상기 예측된 수요에 대응되는 할인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계정 정보로부터 회원 등급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회원 등급에 따라 상기 예측된 수요에 대응되는 상기 할인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discount rate corresponding to the predicted demand, the step of checking the membership level from the account information; and determining the discount rate corresponding to the predicted demand according to the confirmed membership level.

또한, 상기 타겟 주차장의 수요를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주차 요금 안내 요청으로부터 예상 주차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예상 주차 시간 동안의 상기 타겟 주차장의 수요를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predicting the demand of the target parking lot, checking the estimated parking time from the parking fee guide request; and estimating the demand of the target parking lot during the expected parking time.

또한, 상기 타겟 주차장의 수요를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주차장 내 주차 구획 각각의 수요를 예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dicting of the demand of the target parking lot may include predicting the demand of each parking section in the target parking lot.

또한, 상기 수요 예측 모델은, 시간에 따른 주차장 내 주차 구획의 점유율을 예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mand prediction model may predict the occupancy of the parking section in the parking lot according to time.

또한, 상기 수요 예측 모델은, 주차장의 주차 정보 및 사용자의 계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파라미터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mand prediction model may use at least one of parking information of a parking lot and account information of a user as a parameter.

또한, 상기 주차 정보는, 주차장 정보, 입차 정보, 주차 모니터링 정보, 및 출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rking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parking lot information, entry information, parking monitoring information, and exit information.

또한, 미리 정해진 사전 정보 수집 기간 동안 수집된 사전 주차 정보를 기초로 상기 타겟 주차장에 대한 상기 수요 예측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the demand prediction model for the target parking lot based on the prior parking information collected during a predetermined pre-information collection period.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결정된 요금에 따라 상기 타겟 주차장의 주차 예약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타겟 주차장을 예약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주차장에 대한 예약 확정 안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receiving a parking reservation request of the target parking lot according to the determined fee from the user terminal; changing the target parking lot to a reserved state; and providing a reservation confirmation guide for the target parking lot to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요금 안내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타겟 주차장의 요금 안내 요청을 수신되면, 상기 타겟 주차장에 설치된 게이트웨이로부터 주차 정보를 수집하는 통신부; 미리 생성된 수요 예측 모델에 상기 수집된 주차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타겟 주차장의 수요를 예측하는 예측부; 상기 예측된 수요를 기초로 상기 타겟 주차장의 요금을 결정하는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요금을 포함하는 요금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parking fee guid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that collects parking information from a gateway installed in the target parking lot when receiving a fee guide request for a target parking lot from a user terminal; a prediction unit for predicting the demand of the target parking lot by inputting the collected parking information into a pre-generated demand prediction model; a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a fee for the target parking lot based on the predicted demand;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to provide rate information including the determined rate to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주차장의 수요를 미리 예측해봄으로써, 예측된 수요에 적합한 요금을 결정할 수 있어, 주차 요금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edicting the demand for a parking lot in advanc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a fee suitable for the predicted demand, thereby efficiently managing the parking fee.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 내 주차장 수요가 반영된 주차 요금을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해줌으로써, 사용자의 주차 편의를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s parking convenience can be increased by providing a parking fee reflecting the demand for a parking lot in the user's desired area to the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주차 요금 안내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요금 안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요 예측 모델을 이용하여 할인율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T 에 제공된 이용 시간대 별 주차 요금 정보를 예시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parking fee guid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of a parking fee guidan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determining a discount rate using a demand prediction mod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diagrams illustrating parking fee information for each usage time period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well-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주차 요금 안내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parking fee guid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주행 요금 안내 장치는 사용자가 주차하고자 하는 타겟 지역 내에 존재하는 타겟 주차장의 요금 정보를 안내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The driving fee guidan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fer to a device that guides fee information of a target parking lot existing in a target area where the user wants to park.

운전자는 최종 목적지까지의 주행을 완료하더라도, 최종 목적지에 주차장과 같은 별도의 주차 공간이 마련되지 않은 경우에는 최종 목적지 주변의 주차장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 그 결과, 운전자는 탐색된 주차장에 차량을 주차한 후, 최종 목적지까지 도보로 이동하여야 하므로, 차량이 주행을 완료하는 위치는 최종 목적지 주변의 주차장이 될 수 있다.Even if the driver completes driving to the final destination, if a separate parking space such as a parking lot is not provided at the final destination, it is necessary to search for a parking lot around the final destination. As a result, since the driver must park the vehicle in the searched parking lot and then walk to the final destination, a location where the vehicle completes driving may be a parking lot around the final destination.

이 때, 목적지 주변에 복수의 주차장이 존재하는 경우, 운전자는 주차장으로부터 목적지까지의 도보 거리, 주차장 내 혼잡 정도 등 다양한 주차 환경을 고려하여 차량을 주차할 주차장을 선택할 수 있다. 특히, 운전자는 주차장 이용에 따른 주차 요금 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차량을 주차할 주차장을 선택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a plurality of parking lots exist around the destination, the driver may select a parking lot to park the vehicle in consideration of various parking environments, such as a walking distance from the parking lot to the destination, and a degree of congestion in the parking lot. In particular, the driver may select a parking lot in which to park the vehicle in consideration of parking fe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 of the parking lot.

통상적으로, 개별 주차장은 단일 주차 요금 체계를 유지하거나, 주차장 내 구역별, 시간대별로 차등 요금을 부과할 수 있다. 그러나, 차등 요금을 부과하는 경우라도, 미리 정해진 차등 요금 기준하에서 요금제가 운영될 뿐이므로, 실제 주차장의 수요가 반영된 주차 요금을 관리할 수 없다. Typically, individual parking lots may maintain a single parking fee system, or may charge differential fees for each zone and time zone within the parking lot. However, even in the case of charging a differential rate, since the rate system is only operated under a predetermined differential rate standard, it is impossible to manage the parking rate reflecting the actual demand of the parking lot.

또한, 운전자 역시 고정된 요금 체계하에서 주차장 선택의 폭이 좁아, 주차장 선택에 제약이 따를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er also has a narrow selection of parking lots under a fixed fee system, so there may be restrictions on the selection of a parking lot.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요금 안내 장치는 미리 생성된 수요 예측 모델에 따라 예측된 주차장의 수요를 이용하여 타겟 주차장의 요금을 결정하고, 결정된 요금에 대한 요금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arking fee guid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fee of the target parking lot by using the demand of the parking lot predicted according to the demand prediction model generated in advance, and uses the fee information for the determined fee to the user. It can be provided by terminal.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주차 요금 안내 장치(100)는 통신부(110), 예측부(120), 결정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apparatus 100 for guiding a parking fe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10 , a prediction unit 120 , a determination unit 130 , and a control unit 140 .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기 T 로부터 주차 관련 요청을 수신하고, 요청에 대응되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 T 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기 T 로부터 타겟 주차장의 주차 요금에 대한 주차 요금 정보를 요청하는 주차 요금 안내 요청을 수신하고, 요청에 대응되는 주차 요금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 T 에 제공하거나, 사용자 단말기 T로부터 타겟 주차장의 주차 예약 요청을 수신하여, 타겟 주차장에 대한 예약 확정 안내를 사용자 단말기 T 에 제공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receive a parking-related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T, and provi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to the user terminal T. The communication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receives a parking fee guide request requesting parking fee information for a parking fee of a target parking lot from the user terminal T, and provides parking fe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to the user terminal T, By receiving a parking reservation request for the target parking lot from the user terminal 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servation confirmation guide for the target parking lot to the user terminal T.

또한, 통신부(110)는 주차장 내 마련된 게이트웨이 G 로부터 해당 주차장에 대한 주차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주차 정보란 특정 주차장의 주차와 관련된 정보를 의미하고, 주차장 정보, 입차 정보, 주차 모니터링 정보, 및 출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collect parking information for the corresponding parking lot from the gateway G provided in the parking lot. Here, the parking information means information related to parking of a specific parking lot,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parking lot information, entry information, parking monitoring information, and exit information.

이 때,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정보는 주차장 명, 위치, 영업시간, 주차 구획의 수(층별, 가용 구획의 수), 상면 구성도(장애인 주차, 여성우선 주차, EV 차량 주차, 공유 차량 주차 등), 주차 옵션(차종, 할인 범위), 주차 요금(고정 요금, 동적 요금, 제휴 옵션, 프로모션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arking lo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the name of the parking lot, location, business hours, number of parking compartments (by floor, number of available divisions), top configuration diagram (disabled parking, women-priority parking, EV vehicle parking, shared vehicle parking) etc.), parking options (car type, discount range), parking fees (fixed rates, dynamic rates, affiliate options, promotions, etc.).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입차 정보는 입차 시간, 입차 위치(게이트 정보), 입차 사진/비디오, 회원 정보, 예약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ntry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entry time, entry location (gate information), entry photo/video, member information, reserv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또한, 일 실시에에 따른 주차 모니터링 정보는 주차 시간, 주차 위치(상면 정보, 층), 주차 사진/ 비디오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rking monitor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parking time, a parking location (top surface information, floor), a parking photo/video, and the like.

또한, 일 실시에에 따른 출차 정보는 출차 시간, 출차 위치(게이트 정보), 출차 사진/비디오, 회원 정보, 정산 정보 등을 포함하고, 정산 정보는 차량 번호, 주차 정보, 정산 금액, 정산 여부, 정산 내역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i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n exit time, an exit location (gate information), an exit photo/video, member information, settlement information, and the like, and the settlement information includes vehicle number, parking information, settlement amount, settlement status, It may include settlement details and the like.

이를 위해, 통신부(210)는 사용자 단말기 T 및 주차장 내 게이트웨이 G 와 통신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10)는 CDMA, GSM, W-CDMA, TD-SCDMA, WiBro, LTE, 5G 등과 같은 셀룰러 이동 통신 방법, 또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BLE (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채택하여 사용자 단말기 T 및 게이트웨이 G 와 통신할 수 있다. 다만, 통신부(210)가 사용자 단말기 T 및 게이트웨이 G 와 통신하는 방법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To this end, 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be provided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T and the gateway G in the parking lot. The communication unit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CDMA, GSM, W-CDMA, TD-SCDMA, WiBro, LTE, 5G, or the like, or Wi-Fi, Bluetooth, Zigbee. ), WFD (Wi-Fi Direct), UWB (Ultra wideban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BLE (Bluetooth Low Energy),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such as at least on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s adopted to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T and the gateway G. However, the method for the communication unit 210 to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T and the gateway G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예측부(120)는 미리 생성된 수요 예측 모델에 주차 정보를 입력하여 타겟 주차장의 수요를 예측할 수 있다. 여기서, 수요 예측 모델이란 시간에 따른 특정 주차장 내 주차 구획의 점유율을 예측하는 모델로서, 미리 정해진 사전 정보 수집 기간 동안 수집된 사전 주차 정보를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The prediction unit 120 may predict the demand of the target parking lot by inputting parking information into the pre-generated demand prediction model. Here, the demand prediction model is a model for predicting the occupancy of a parking section in a specific parking lot according to time, and may be generated based on prior parking information collected during a predetermined pre-information collection period.

이렇게 생성된 수요 예측 모델은 통신부(110)에 의해 수집된 주차장의 주차 정보 및 사용자의 계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파라미터로 입력받을 수 있고, 입력된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주차장 예측 수요를 출력할 수 있다. The generated demand prediction model may receive at least one of the user's account information and the parking information of the parking lot collec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10 as a parameter, and may output the predicted parking lot demand corresponding to the input parameter.

여기서, 사용자의 계정 정보는 ID, 상세 정보, 차량 번호, 차량 정보, 결제 설정 정보, 예약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세 정보는 이름, 생년월일,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회원 가입일 등을 포함하고, 차량 정보는 등록 차량 수, 차량 번호, 차량 브랜드, 차량명, 차량 연식 등을 포함하고, 결제 설정 정보는 기본 결제 유형(쿠폰, 카드, 포인트), 포인트, 할인 설정(장애인, 경차, 다가족 등), 보유 쿠폰(정기권, 일일권, 반일권, 횟수), 앱결제 설정(카드 번호, 카드사, 유효기간) 등을 포함하고, 예약 정보는 예약 여부, 예약 정보(일시, 대상 주차장), 예약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user's account information may include ID, detailed information, vehicle number, vehicle information, payment setting information, reserv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In addition, detailed information includes name, date of birth, phone number, e-mail, address, membership registration, etc., vehicle information includes the number of registered vehicles, vehicle number, vehicle brand, vehicle name, vehicle year, etc., and payment setting information Basic payment types (coupons, cards, points), points, discount settings (disabled people, compact cars, multi-family, etc.), coupons owned (commuter pass, daily pass, half-day pass, number of times), app payment settings (card number, credit card company, expiration date) and the like, and the reserv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whether a reservation is made, reservation information (date and time, target parking lot), a reservation location, and the like.

이 때, 수요 예측 모델은 타겟 주차장 전체에 대한 수요를 예측하거나, 각각의 층, 각각의 내부 구역, 각각의 주차 구획 별 수요를 예측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emand prediction model may predict the demand for the entire target parking lot, or may predict the demand for each floor, each inner area, and each parking section.

또한, 통신부(110)에 의해 수신된 주차 요금 안내 요청 내 예상 주차 시간이 포함된 경우, 예측부(120)는 예상 주차 시간을 수요 예측 모델에 입력하여, 예상 주차 시간 동안의 타겟 주차장의 수요를 예측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expected parking time is included in the parking fee guidance request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10, the prediction unit 120 inputs the expected parking time into the demand prediction model, and the demand of the target parking lot during the expected parking time predictable.

결정부(130)는 예측된 수요를 기초로 타겟 주차장의 요금을 결정할 수 있다. 타겟 주차장의 요금을 결정하기 위해, 결정부(130)는 예측된 수요에 대응되는 할인율을 결정하고, 결정된 할인율을 기준 요금에 적용할 수 있다. 이 때, 예측된 복수의 수요 구간 각각에 대응되는 할인율이 복수 개 존재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unit 130 may determine the rate of the target parking lot based on the predicted demand. In order to determine the rate of the target parking lot, the determination unit 130 may determine a discount rate corresponding to the predicted demand, and apply the determined discount rate to the reference rate. In this case, a plurality of discount rat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redicted demand sections may exist.

또한, 결정부(130)는 예측된 수요에 대응되는 할인율을 결정하기 위해, 계정 정보로부터 회원 등급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결정부(130)는 확인된 회원 등급에 따라 예측된 수요에 대응되는 할인율을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이용 요금을 높게 지불하는 높은 등급의 사용자에 대해서는 높은 할인율이 적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etermination unit 130 may check the membership level from the account information in order to determine a discount rate corresponding to the predicted demand. Through this, the determination unit 130 may determine a discount rate corresponding to the predicted demand according to the confirmed membership level. A high discount rate may be applied to a high-level user who pays a high usage fee.

제어부(140)는 주차 요금 안내 장치(100) 내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결정된 요금을 포함하는 요금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 T로 제공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40 may control each component in the parking fee guide apparatus 100 .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40 may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110 to provide rate information including the determined rate to the user terminal T.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 요금 안내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은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요금 안내 장치(100)의 각 구성 중 적어도 하나는 AP(Application Processor), CP(Communication Processor), GPU(Graphic Processing Unit), 및/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다양한 프로세서(Processor)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주차 요금 안내 장치(100)의 각 구성 중 적어도 두 개가 SOC(System On Chip) 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At least one configuration of the parking fee guide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ing device including a microprocessor. For example, at least one of each configuration of the parking fee guidance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n application processor (AP), a communication processor (CP), a graphic processing unit (GPU), and/or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may be implemented by at least one of various processors. In addition, it may be possible that at least two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parking fee guide apparatus 100 are implemented as a system on chip (SOC).

지금까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요금 안내 장치(100)의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 요금 안내 장치(100)에 의해 수행되는 주차 요금 안내 방법을 설명한다.So far, each configuration of the parking fee guide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Hereinafter, a method of guiding a parking fee performed by the parking fee gui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요금 안내 방법의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of a parking fee guidan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주차 요금 안내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기 T 로부터 타겟 주차장의 요금 안내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100).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주차 요금 정보를 획득하고자 하는 타겟 지역 내의 주차장에 대한 주차 요금 안내 요청을 사용자 단말기 T 에 입력하고, 사용자 단말기 T 는 입력된 주차 요금 안내 요청을 주차 요금 안내 장치(100) 의 통신부(110)로 전송할 수 있다.First, the parking fee guide device 100 may receive a request for a fee guide of the target parking lot from the user terminal T (S100). Specifically, the user inputs a parking fee guidance request for a parking lot in a target area to obtain parking fe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T, and the user terminal T sends the input parking fee guidance request to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parking fee guide device 100 It can be transmitted to (110).

주차 요금 안내 요청이 수신되면, 주차 요금 안내 장치(100)는 타겟 주차장에 설치된 게이트웨이 G 로부터 주차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110). 구체적으로, 주차 요금 안내 장치(100)의 제어부(140)는 주차 요금 안내 요청 내 포함된 타겟 지역을 확인하고, 타겟 지역 내 타겟 주차장에 마련된 게이트웨이 G 로 주차 정보 요청을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통신부(110)는 타겟 주차장 내 마련된 게이트웨이 G 로부터 타겟 주차장에 대한 주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When the parking fee guide request is received, the parking fee guide device 100 may collect parking information from the gateway G installed in the target parking lot (S110).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40 of the parking fee guide device 100 checks the target area included in the parking fee guide request, and transmits the parking information request to the gateway G provided in the target parking lot in the target area. can be controlled Thereafter,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receive parking information on the target parking lot from the gateway G provided in the target parking lot.

그 다음, 주차 요금 안내 장치(100)는 미리 생성된 수요 예측 모델에 주차 정보를 입력하여 타겟 주차장의 수요를 예측할 수 있다(S120). 상술한 바와 같이, 수요 예측 모델이란 시간에 따른 특정 주차장 내 주차 구획의 점유율을 예측하는 모델로서, 미리 정해진 사전 정보 수집 기간 동안 수집된 사전 주차 정보를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Next, the parking fee guide apparatus 100 may predict the demand of the target parking lot by inputting parking information into the pre-generated demand prediction model (S120). As described above, the demand prediction model is a model for predicting the occupancy of a parking section in a specific parking lot over time, and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prior parking information collected during a predetermined pre-information collection period.

주차 요금 안내 장치(100)의 예측부(120)는 통신부(110)에 의해 수집된 타겟 주차장의 주차 정보 및 사용자 단말기 T 를 통해 접속된 사용자의 계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파라미터를 수요 예측 모델이 입력하고, 수요 예측 모델로부터 출력되는 주차장 예측 수요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수요 예측 모델은 타겟 주차장 전체에 대한 수요를 예측하거나, 각각의 층, 각각의 내부 구역, 또는 각각의 주차 구획 별 수요를 예측할 수 있다.The prediction unit 120 of the parking fee guide device 100 inputs at least one parameter among the parking information of the target parking lot collect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10 and the account information of the user connected through the user terminal T, the demand prediction model inputs And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parking lot predicted demand output from the demand prediction model. In this case, the demand prediction model may predict the demand for the entire target parking lot, or may predict the demand for each floor, each inner area, or each parking section.

또한, 통신부(110)에 의해 수신된 주차 요금 안내 요청 내 예상 주차 시간이 포함된 경우, 예측부(120)는 예상 주차 시간을 수요 예측 모델에 입력하여, 예상 주차 시간 동안의 타겟 주차장의 수요를 예측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expected parking time is included in the parking fee guidance request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unit 110, the prediction unit 120 inputs the expected parking time into the demand prediction model, and the demand of the target parking lot during the expected parking time predictable.

타겟 주차장의 수요를 예측한 후, 주차 요금 안내 장치(100)는 예측된 수요를 기초로 타겟 주차장의 요금을 결정할 수 있다(S130). 구체적으로, 주차 요금 안내 장치(100)의 결정부(130)는 먼저 예측된 수요에 대응되는 할인율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결정부(130)는 계정 정보로부터 회원 등급을 확인한 후, 확인된 회원 등급에 대응되는 할인율을 결정할 수 있다. After predicting the demand of the target parking lot, the parking fee guide apparatus 100 may determine the price of the target parking lot based on the predicted demand (S130). Specifically, the determiner 130 of the parking fee guide apparatus 100 may determine a discount rate corresponding to the demand predicted first. In this case, the determination unit 130 may determine the discount rate corresponding to the confirmed member level after confirming the membership level from the account information.

할인율이 결정되면, 결정부(130)는 결정된 할인율을 기준 요금에 적용할 수 있다. 이 때, 예측된 복수의 수요 구간 각각에 대응되는 할인율이 복수 개 존재할 수 있다.When the discount rate is determined, the determiner 130 may apply the determined discount rate to the reference rate. In this case, a plurality of discount rat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redicted demand sections may exist.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요 예측 모델을 이용하여 할인율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determining a discount rate using a demand prediction mod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요 예측 모델은 x축을 시간축으로 하고, y축을 주차 구획 점유율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결정부(130)는 점유율을 0% 내지 V1의 제 1 점유율 구간, V1 내지 V2의 점유율 구간 및 V2 내지 100%까지의 제 3 점유율 구간으로 구획하고, 각각의 구간 별로 서로 다른 할인율을 적용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the demand prediction mod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set an x-axis as a time axis and a y-axis as a parking lot occupancy rate. At this time, the determining unit 130 divides the occupancy into a first occupancy section of 0% to V 1 , an occupancy section of V 1 to V 2 , and a third occupancy section of V 2 to 100%, and for each section Different discount rates can be applied.

예를 들어, 결정부(130)는 제 1 점유율 구간에서는 가장 높은 제 1 할인율을 적용하여 주차장 요금을 낮추고, 제 2 점유율 구간에서는 제 1 할인율보다 낮은 제 2 할인율을 적용할 수 있다. 반면, 결정부(130)는 제 3 점유율 구간에서는 별도의 할인 없이 기준 요금을 부과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determiner 130 may apply the highest first discount rate in the first occupancy section to lower the parking fee, and apply a second discount rate lower than the first discount rate in the second occupancy section. On the other hand, the determination unit 130 may impose a standard rate without a separate discount in the third occupancy interval.

마지막으로, 주차 요금 안내 장치(100)는 결정된 요금을 포함하는 요금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 T 로 제공할 수 있다(S140). 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 T 는 주차 요금 정보를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는 이를 기초로 타겟 지역 내 타겟 주차장 중 차량을 주차할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Finally, the parking fee guide apparatus 100 may provide fee information including the determined fee to the user terminal T (S140). Upon receiving this, the user terminal T provides the parking fee information visually and/or audibly to the user, and the user can select any one of the target parking lots in the target area to park the vehicle based on this.

또한, 주차 요금 안내 장치(100)는 타겟 주차장 중 사용자가 원하는 어느 하나에 대한 예약을 수행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주차 요금 안내 장치(100)의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기 T 로부터 결정된 요금에 따라 타겟 주차장의 주차 예약 요청을 입력받을 수 있다. 그 다음, 주차 요금 안내 장치(100)의 제어부(140)는 타겟 주차장을 예약 상태로 변경한 후, 타겟 주차장에 대한 예약 확정 안내를 사용자 단말기 T 에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rking fee guide apparatus 100 may perform a reservation for any one desired by the user among the target parking lots. 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unit 110 of the parking rate guide device 100 may receive a parking reservation request of the target parking lot according to the determined rate from the user terminal T. Then, after changing the target parking lot to the reserved state, the control unit 140 of the parking fee guidance apparatus 100 may provide a reservation confirmation guide for the target parking lot to the user terminal T.

지금까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요금 안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5를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기 T 에 의해 주차 요금 정보가 제공되는 방법을 예시한다.So far, a method for guiding a parking fe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Hereinafter, a method in which parking fee information is provided by the user terminal T is exemplifi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T 에 제공된 이용 시간대 별 주차 요금 정보를 예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4 및 5는 도 3의 수요 예측 모델을 따르며, 도 4는 오후 5시 내지 오후 6시를 예상 주차 시간으로 하는 경우이고, 도 5는 오전 10시 내지 오전 11시를 예상 주차 시간으로 하는 경우를 나타낸다.4 and 5 are diagrams illustrating parking fee information for each usage time period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FIGS. 4 and 5 follow the demand forecasting model of FIG. 3 , FIG. 4 is a case where 5 pm to 6 pm is the expected parking time, and FIG. 5 is the expected parking time from 10 am to 11 am shows the case where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 T 는 입력 오브젝트 I1을 통해 주차 요금 안내 요청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 때, 입력 오브젝트 I1을 통해 입력되는 주차 요금 안내 요청은 타겟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타겟 지역은 타겟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의 영역으로 결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user terminal T may receive a parking fee guidance request through the input object I 1 . In this case, the parking fee guidance request input through the input object I 1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target location, and the target area may be determined as an area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target location.

주차 요금 안내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기 T 로부터 주차 요금 안내 요청을 수신하여, 타겟 지역 내 타겟 주차장에 대한 주차 요글을 결정하고, 결정된 주차 요금을 포함하는 주차 요금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 T 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 T 는 제공 받은 타겟 주차장에 대한 주차 요금 정보를 도 4와 같이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parking fee guidance device 100 may receive a parking fee guidance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T, determine a parking request for a target parking lot in the target area, and provide parking fee information including the determined parking fee to the user terminal T. have. The user terminal T may display the provided parking fee information for the target parking lot as shown in FIG. 4 and provide it to the user.

도 4에서는 사용자 단말기 T 에 의해 세 개의 타겟 주차장 각각의 주차 요금 정보를 포함하는 타겟 주차장의 주차 요금 리스트 FM이 표시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사용자는 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Figure 4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user terminal parking fee list of the target parking space T by including each of the parking fee information three target parking F M to be displayed. The user can visually confirm this.

또한, 도 4에서는 사용자 단말기 T 에 의해 세 개의 타겟 주차장 중 A 주차장에 대한 예약 안내 오브젝트 FA가 함께 표시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사용자는 A 주차장에 주차 예약을 원하는 경우, 예약 안내 오브젝트 FA 내 구매 아이콘을 클릭함으로써 주차 요금 6,000원 에 따라 타겟 주차장인 A 주차장의 주차 예약 요청을 입력할 수 있다.In addition, FIG. 4 exemplifies a case in which a reservation guide object F A for a parking lot A among three target parking lots is displayed together by the user terminal T. When the user wants to reserve parking in the parking lot A, by clicking the purchase icon in the reservation guide object F A , the user may input a parking reservation request for the parking lot A, which is the target parking lot, according to the parking fee of 6,000 won.

이 때, 도 3을 참조하면, 오후 5시는 제 3 점유율 구간에 해당하여, 도 4의 사용자 단말기 T 는 A 주차장의 요금으로서 기본 요금인 6,000원을 주차 요금으로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At this time, referring to FIG. 3 , 5 pm corresponds to the third occupancy section, and the user terminal T of FIG. 4 may inform the user of the basic fee of 6,000 won as the parking fee for the parking lot A.

반면, 오전 10시는 제 1 점유율 구간에 해당하여, 기본 요금에 가장 높은 제 1 할인율을 적용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 단말기 T 는 A 주차장의 요금으로서 가장 높은 할인율이 적용된 3,000원을 주차 요금으로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10:00 am corresponds to the first occupancy section, and the highest first discount rate may be applied to the basic rate. As a result, the user terminal T may guide the user to the parking fee of 3,000 won to which the highest discount rate is applied as the fee for the parking lot A.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 요금 안내 장치 및 방법은, 주차장의 수요를 미리 예측해봄으로써, 예측된 수요에 적합한 요금을 결정할 수 있어, 주차 요금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The apparatus and method for guiding a parking fe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can determine a fee suitable for the predicted demand by predicting the demand of the parking lot in advance, thereby efficiently managing the parking fee.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 내 주차장 수요가 반영된 주차 요금을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해줌으로써, 사용자의 주차 편의를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s parking convenience can be increased by providing a parking fee reflecting the demand for a parking lot in the user's desired area to the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한편,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요금 안내 방법에 포함된 각각의 단계는, 이러한 단계를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서 구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each step included in the parking fee guidance metho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a computer program programmed to perform these steps.

또한,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요금 안내 방법에 포함된 각각의 단계는, 이러한 단계를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each step included in the parking fee guidance metho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programmed to perform these steps.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품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qua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주차 요금 안내 장치 및 방법은 댁내 또는 산업 현장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될 수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bove-described apparatus and method for guiding a parking fee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a home or an industrial site, so there is a possibility of industrial application.

100: 주차 요금 안내 장치
110: 통신부
120: 예측부
130: 결정부
140: 제어부
100: parking fee information device
110: communication department
120: prediction unit
130: decision unit
140: control unit

Claims (13)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타겟 주차장의 요금 안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타겟 주차장에 설치된 게이트웨이로부터 주차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미리 생성된 수요 예측 모델에 상기 수집된 주차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타겟 주차장의 수요를 예측하는 단계;
상기 예측된 수요를 기초로 상기 타겟 주차장의 요금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요금을 포함하는 요금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요 예측 모델은,
주차 구획 별 주차 가능 차량의 종류를 포함하는 주차 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차량 정보 및 할인 설정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계정 정보를 파라미터로 입력 받는
주차 요금 안내 방법.
Receiving a rate guide request of the target parking lot from the user terminal;
collecting parking information from a gateway installed in the target parking lot;
predicting the demand of the target parking lot by inputting the collected parking information into a pre-generated demand prediction model;
determining a fee for the target parking lot based on the predicted demand; and
providing rate information including the determined rate to the user terminal;
The demand forecasting model is
Receives park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type of vehicle that can be parked for each parking section, and account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vehicle information and discount setting of a user using the user terminal as a parameter.
How to guide parking fe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주차장의 요금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예측된 수요에 대응되는 할인율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할인율을 기준 요금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차 요금 안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of determining the rate of the target parking lot,
determining a discount rate corresponding to the predicted demand;
applying the determined discount rate to a reference rate;
How to guide parking fee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된 수요에 대응되는 할인율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계정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회원 등급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회원 등급에 따라 상기 예측된 수요에 대응되는 상기 할인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차 요금 안내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tep of determining a discount rate corresponding to the predicted demand comprises:
confirming the user's membership level from the account information; and
determining the discount rate corresponding to the predicted demand according to the confirmed membership level;
How to guide parking fe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주차장의 수요를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주차 요금 안내 요청으로부터 예상 주차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예상 주차 시간 동안의 상기 타겟 주차장의 수요를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차 요금 안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of predicting the demand of the target parking lot,
confirming an expected parking time from the parking fee guidance request; and
Predicting the demand of the target parking lot during the expected parking time
How to guide parking fe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주차장의 수요를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주차장 내 주차 구획 각각의 수요를 예측하는
주차 요금 안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of predicting the demand of the target parking lot,
To predict the demand of each parking section in the target parking lot
How to guide parking fe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요 예측 모델은,
시간에 따른 주차장 내 주차 구획의 점유율을 예측하는
주차 요금 안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demand forecasting model is
Predicting the occupancy of a parking lot in a parking lot over time
How to guide parking fe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구획 별 주차 가능 차량의 종류는,
장애인 차량, 경차, 여성 차량, 전기 자동차 및 공유 차량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주차 요금 안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types of vehicles that can be parked for each parking section are:
including at least one of a disabled vehicle, a light vehicle, a women's vehicle, an electric vehicle, and a shared vehicle
How to guide parking fe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정보는,
주차장 정보, 입차 정보, 주차 모니터링 정보, 및 출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주차 요금 안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parking information is
Parking lot information, entrance information, parking monitoring information, and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of exit information
How to guide parking fees.
제 1 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사전 정보 수집 기간 동안 수집된 사전 주차 정보를 기초로 상기 타겟 주차장에 대한 상기 수요 예측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차 요금 안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generating the demand prediction model for the target parking lot based on the prior parking information collected during a predetermined prior information collection period
How to guide parking fe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결정된 요금에 따라 상기 타겟 주차장의 주차 예약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타겟 주차장을 예약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주차장에 대한 예약 확정 안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차 요금 안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receiving a parking reservation request of the target parking lot according to the determined fee from the user terminal;
changing the target parking lot to a reserved state; an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oviding a reservation confirmation guide for the target parking lot to the user terminal
How to guide parking fees.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타겟 주차장의 요금 안내 요청을 수신되면, 상기 타겟 주차장에 설치된 게이트웨이로부터 주차 정보를 수집하는 통신부;
미리 생성된 수요 예측 모델에 상기 수집된 주차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타겟 주차장의 수요를 예측하는 예측부;
상기 예측된 수요를 기초로 상기 타겟 주차장의 요금을 결정하는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요금을 포함하는 요금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요 예측 모델은,
주차 구획 별 주차 가능 차량의 종류를 포함하는 주차 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차량 정보 및 할인 설정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계정 정보를 파라미터로 입력 받는
주차 요금 안내 장치.
a communication unit for collecting parking information from a gateway installed in the target parking lot when receiving a request for guidance of a rate of the target parking lot from the user terminal;
a prediction unit for predicting the demand of the target parking lot by inputting the collected parking information into a pre-generated demand prediction model;
a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a fee for the target parking lot based on the predicted dem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unit to provide rate information including the determined rate to the user terminal;
The demand forecasting model is
Receives park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type of vehicle that can be parked for each parking section, and account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vehicle information and discount setting of a user using the user terminal as a parameter.
Parking fee guidance device.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As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 program is
A computer program comprising instructions for causing a processor to perform a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computer program,
The computer program is
11.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omprising instructions for causing a processor to perform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KR1020190066768A 2019-06-05 2019-06-05 Apparatus and method for guiding parking fee KR1023504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768A KR102350456B1 (en) 2019-06-05 2019-06-05 Apparatus and method for guiding parking fe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768A KR102350456B1 (en) 2019-06-05 2019-06-05 Apparatus and method for guiding parking fe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054A KR20200140054A (en) 2020-12-15
KR102350456B1 true KR102350456B1 (en) 2022-01-14

Family

ID=73780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6768A KR102350456B1 (en) 2019-06-05 2019-06-05 Apparatus and method for guiding parking fe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045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33269B (en) * 2023-06-13 2023-08-18 四川交通职业技术学院 Method and device for charging parking lot of zone type unmanned vehicle based on big data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6521A (en) * 2000-03-10 2001-09-21 Toshiba Corp Managing method and device for charge of parking lot
JP2016045806A (en) * 2014-08-25 2016-04-04 日本信号株式会社 Parking lot reservation system
JP6406732B1 (en) * 2017-12-28 2018-10-17 株式会社マクシー Parking lot rental and managemen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001B1 (en) 2015-05-29 2017-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arking condition when vehicle crash prevention system
KR101860939B1 (en) * 2015-10-23 2018-05-24 와이즈모바일 주식회사 Parking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6521A (en) * 2000-03-10 2001-09-21 Toshiba Corp Managing method and device for charge of parking lot
JP2016045806A (en) * 2014-08-25 2016-04-04 日本信号株式会社 Parking lot reservation system
JP6406732B1 (en) * 2017-12-28 2018-10-17 株式会社マクシー Parking lot rental and manageme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054A (en) 202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01759B2 (en) Vehicle management server and computer program
US8912924B2 (en) Authorization of service using vehicle information and/or user information
JP5895079B1 (en) Carpooling support system, portable terminal, program, carpooling support method, and rental support system
KR101703381B1 (en) Auto-driving unmanned car shar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9460623B2 (en) Parking management
US9779365B2 (en) Computer-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terchangeable EV charging-capable parking spaces
KR101343102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of intelligent parking lot
US201800962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 time, geolocation based parking data analysis
CN104620277A (en)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providing transport service information, method and server for managing transport service, and method and vehicle for providing transport service
US20140350979A1 (en) Multi-modal journey planning and payment
JP6901932B2 (en) Facility management equipment, facility management methods and programs
JP7080561B2 (e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JP7000815B2 (en) Vehicle management system
Sauras-Perez et al. Parkingain: Toward a smart parking application with value-added services integration
KR10235045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uiding parking fee
JP6743544B2 (en) Discount information display device, server device, and fee discount system
KR20210150689A (en) Parking site guid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of
US20200160315A1 (en) Autonomous vehicle smart parking ticket
JP2021033868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1924346B1 (en)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managing real-time automobile reservation
JP5932617B2 (en) Toll collection system and toll collection method
JP2021093089A (en) Management apparatus and management method
WO2020230149A1 (en) A method and system for real time multimodal multi-route transportation and travel options
JP7272536B2 (en) Transportation fee calculation system and computer program
KR101602625B1 (en) System for payment processing of express bus tic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