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9688B1 - Wear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Wear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9688B1
KR102349688B1 KR1020140168930A KR20140168930A KR102349688B1 KR 102349688 B1 KR102349688 B1 KR 102349688B1 KR 1020140168930 A KR1020140168930 A KR 1020140168930A KR 20140168930 A KR20140168930 A KR 20140168930A KR 102349688 B1 KR102349688 B1 KR 102349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able device
cradle
mounting position
main body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89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65362A (en
Inventor
민정동
이희영
Original Assignee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8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9688B1/en
Publication of KR20160065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53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6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크래들(cradle)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크래들에 장착되는 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는, 상기 크래들에 대한 상기 본체부의 장착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장착위치에 근거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화면을 구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for, and includes a cradle that can be worn on a user's body and a body part that performs a function of the wearable device and is mounted on the cradle, wherein the body part is mounted on the crad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nsing unit for detecting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main body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figuring the screen of the wearable device based on the mounting position sensed through the sensing unit.

Description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WEAR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Wearable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WEAR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대칭적으로 디자인된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wearable device designed asymmetrically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단어 그대로 착용이 가능한 전자기기를 의미한다.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람의 신체에 부착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다양한 형태의 장치들을 지칭하며, 휴대성, 사용편의성, 환경적응성 측면에서 기존 디바이스와는 차별화되는 기능을 제공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이동 중에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액세서리 및 의복 등의 형태로 소형화 및 경량화하여 신체에 착용할 수 있도록 제작되며, 일반적으로 착용 형태 및 활용 분야에 따라 구분된다.A wearable device literally means an electronic device that can be worn. That is, wearable devices refer to various types of devices that are attached to a person's body so that they can be used conveniently, and provide functions that are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devices in terms of portability, ease of use, and environmental adaptability. Wearable devices are miniaturized and lightweight in the form of accessories and clothes so that they can be freely used while moving, and are manufactured to be worn on the body.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착용 형태에 따라 시계와 같은 액세서리형(Accessory), 직물에 일체화된 의류 일체형(Clothing), 스킨 패치(Skin patch)와 같은 신체 부착형(Body-attached), 신체에 전자장치를 이식하는 생체 이식형(Bio-implemented) 등으로 구분되며, 활용 분야에 따라 피트니스 및 웰빙(Fitness & Wellness), 헬스케어 및 의료(Healthcare & Medical), 제조업 및 군사(Industrial & Military), 인포테인먼트(Infortainment) 등으로 구분된다.Wearable devices are accessory types such as watches, clothing integrated into textiles, body-attached such as skin patches, and electronic devices implanted in the body depending on the wearable type. It is classified into bio-implemented, etc., and depending on the field of application, fitness & wellness, healthcare & medical, manufacturing & military, infotainment, etc. is divided into

한편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4-0020219 (2014.02.18.)에 개시되어 있다.
Meanwhile, 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4-0020219 (2014.02.18.).

본 발명은 비대칭적인 디자인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구현 시 사용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동등한 심미감 제공해줄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arable device capable of providing an equivalent aesthetic feeling even when a wearable position of a user changes when a wearable device of an asymmetric design is implemented,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크래들(cradle);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크래들에 장착되는 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는, 상기 크래들에 대한 상기 본체부의 장착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장착위치에 근거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화면을 구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radle that can be worn on a user's body; and a body part that performs a function of a wearable device and is mounted on the cradle, wherein the body part includes: a sensing part for detecting a mounting position of the body part with respect to the cradle;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figure a screen of the wearable device based on the mounting position sensed through the sensing unit.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성된 화면을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creen of the wearable device, wherein the control unit displays the configured screen through the display unit.

본 발명에서 상기 크래들에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자석들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센서부는 자석에 대한 접촉여부를 감지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마그네틱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본체부의 장착위치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pair of magnets are provided in the cradle, and the sensor unit includes at least two or more magnetic sensors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magnet is in contact with the cradle to detect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body unit.

본 발명에서 상기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자석들 중 각각의 쌍을 이루는 자석 두 개는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대칭되게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wo magnets forming each pair of the at least one pair of magnets are symmetrically positioned in a diagonal direction to each other.

본 발명에서 상기 크레들은 상기 본체부를 좌우 비대칭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를 좌우로 슬라이딩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rad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body is configured to be slidable left and right so as to position the main body asymmetrically.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은 제어부가 상기 크래들에 대한 상기 본체부의 장착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감지된 장착위치에 근거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화면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구성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ontrol method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detecting, by a controller, a mounting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cradle; configuring, by the controller, a screen of the wearable device based on the sensed mounting position; and displaying, by the control unit, the configured screen.

본 발명에서 상기 크래들에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자석들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크래들에 대한 상기 본체부의 장착위치를 감지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마그네틱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자석들과 상기 마그네틱센서의 접촉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크래들에 대한 상기 본체부의 장착위치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radle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pair of magnets, and in the step of detecting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cradle, the control unit includes the magnets and the magnetics detected through at least two or more magnetic sensor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cradle is sensed based on whether the sensor is in contact.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은 크래들에 대한 본체부의 장착위치를 감지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화면을 구성함으로써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장착위치가 좌우로 변경되더라도 동등한 심미감을 제공해 주는 효과가 있다.
The wearable device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ct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cradle and configure the screen of the wearable device, thereby providing an equivalent aesthetic feeling even when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wearable device is changed left and righ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본체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크래들에 대한 본체부의 장착위치를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좌우 위치에 따라 구성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ain body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detecting a mounting position of a body part with respect to a cradle in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screen configured according to left and right positions in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wearable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본체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크래들에 대한 본체부의 장착위치를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좌우 위치에 따라 구성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ain body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It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detecting a mounting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cradle in th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configured according to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in th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screen, th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i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크래들(cradle)(200)과 크래들(200)에 장착되는 본체부(100)를 포함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는 제어부(101), 감지부(102) 및 표시부(103)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 th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radle 200 that can be worn on a user's body and a main body 100 mounted on the cradle 200 . Also, as shown in FIG. 2 , the main body 100 includes a control unit 101 , a sensing unit 102 , and a display unit 103 .

본체부(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체부(200)는 사진촬영, 스마트키 기능 등의 각종 기능을 수행하고, 시간표시, 날씨알림 등의 각종 정보를 표시해 주는 등 일반적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main body 100 may perform a function of a wearable device. That is, the main body 200 may perform various functions such as taking a picture and a smart key function, and performing general functions of a wearable device, such as displaying various information such as time display and weather notification.

크래들(200)에는 본체부(100)가 장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크래들(200)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래들(200)은 본체부(100)가 좌우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구성된 슬라이딩 구조(예 : 슬라이딩 가능한 홈의 형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를 통해 사용자는 본체부(100)를 좌우 비대칭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크래들(200)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할 수 있는 시계나 밴드형태일 수 있다.The body part 100 may be mounted on the cradle 200 , and the cradle 200 may be configured to be worn on the user's body. For example, the cradle 200 may have a sliding structure (eg, in the form of a slidable groove) configured so that the main body 100 can be slid left and right. It can be positioned left and right asymmetrically. In addition, the cradle 200 may be in the form of a watch or a band that can be worn on the user's wrist.

이외에도 본체부(100)와 크래들(200)은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어, 사용자는 크래들(200)로부터 본체부(100)를 완전히 분리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body part 100 and the cradle 200 may be configured in a detachable form, so that the user may completely separate the body part 100 from the cradle 200 .

한편 크래들(200)에는 본체부(10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버튼형태의 스토퍼(stopper)(미도시) 등이 구비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이러한 스토퍼를 누른 상태에서만 크래들(200)로부터 본체부(100)를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radle 200 may be provided with a button-type stopper (not shown) capable of fix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main body is removed from the cradle 200 only when the user presses the stopper. It may be configured to be able to separate the part 100 .

일반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좌우 대칭적으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비대칭적으로 디자인 될 수도 있으므로, 왼손을 기준으로 디자인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오른손에 착용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왼손 기준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오른손에 그대로 착용할 경우, 본체부(100)가 손목쪽으로 튀어나오게 되므로 사용자는 손목을 움직이는데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In general, wearable devices are often configured symmetrically. However, since the wearable device may be designed asymmetrically, when the wearable device designed based on the left hand is worn on the right hand, the user may feel uncomfortable. That is, when the left-handed wearable device shown in FIG. 4 is worn on the right hand as it is, the body part 100 protrudes toward the wrist, so that the user may feel uncomfortable in moving the wrist.

즉 본 실시예처럼 본체부(100)를 슬라이딩의 형태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크래들(200)을 구성한다면, 사용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위치에 맞게 본체부(10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비대칭적으로 디자인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에 따른 불편함을 경감시켜 줄 수 있다.That is, if the cradle 200 is configured to move the main body 100 in a sliding form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ser can adjust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100 to fit the wearable position of the wearable device. Therefore, the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reduce discomfort caused by wearing the asymmetrically designed wearable device.

감지부(102)는 크래들(200)에 대한 본체부(100)의 장착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102)는 마그네틱센서를 포함하여 크래들(200)에 구비된 자석과의 접촉을 감지함으로써, 크래들(200)에 대한 본체부(100)의 장착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감지부(102)가 크래들(200)에 대한 본체부(100)의 장착위치를 감지하는 방법을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sensing unit 102 may detect a mounting position of the body unit 100 with respect to the cradle 200 . For example, the sensing unit 102 may detect a mounting position of the body unit 100 with respect to the cradle 200 by detecting contact with a magnet provided in the cradle 200 including a magnetic sensor. A method in which the sensing unit 102 detects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body unit 100 with respect to the cradle 2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크래들(200)에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자석들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쌍을 이루는 자석 두 개는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대칭되게 위치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쌍을 이루는 자석 두 개는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하여 간섭에 의한 마그네틱센서의 오류 발생 가능성을 경감시키면서 크래들(200)에 대한 본체부(100)의 장착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s can be seen in FIG. 3 , at least one pair of magnets may be provided in the cradle 200 . In addition, the two magnets forming the pair may be positioned symmetrically in a diagonal direction to each other. That is, the two magnets forming a pair are positioned in a diagonal direction to each other, so that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main body 100 with respect to the cradle 200 can be grasped while reducing the possibility of an error occurring in the magnetic sensor due to interference.

예를 들어 크래들(200)의 양 끝쪽 대각선 위치에 자석이 하나씩 구비될 수 있으며, 마그네틱센서는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장착되어 자석에 대한 접촉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즉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감지부(102)는, 좌측에 위치한 마그네틱센서에서만 자석의 접촉이 감지되면 본체부(100)가 크래들(200)의 좌측에 위치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고, 우측에 위치한 마그네틱센서에서만 자석의 접촉이 감지되면 본체부(100)가 크래들(200)의 우측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마그네틱센서 모두에서 자석의 접촉이 감지되지 않으면 감지부(102)는 본체부(100)가 중앙에 있거나, 크래들(200)에서 분리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one magnet may be provided at diagonal positions at both ends of the cradle 200 , and magnetic sensors may be respectively mounted at corresponding positions to detect whether the magnet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at is, as can be seen in FIG. 3 , the sensing unit 102 can determine that the main body 100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cradle 200 when the contact of the magnet is detected only by the magnetic sensor located on the left side, and located on the right side When the contact of the magnet is detected only by the magnetic sensor,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main body 100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cradle 200 . In addition, when the contact of the magnet is not detected by both magnetic sensors, the sensing unit 102 may determine that the main body 100 is in the center or separated from the cradle 200 .

이외에도 크래들(200)에는 4개(2쌍)의 자석이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때 한 쌍의 자석은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좌측과 우측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나머지 한 쌍의 자석은 중앙에 위치한 것과 크래들(200)에서 분리된 것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four (two pairs) of magnets may be provided in the cradle 200 , in this case, a pair of magnets may be used to distinguish the left from the right as described above, and the remaining pair of magnets are located in the center It can be used to distinguish the separated from the cradle (200).

한편 자석에 대한 접촉여부를 감지하는 마그네틱센서로는 홀효과(hall effect)를 이용한 홀센서 등이 채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a magnetic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a magnet is in contact, a Hall sensor using a hall effect may be employed.

표시부(103)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구성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화면을 표시한다. 즉 표시부(103)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03 displays a screen of the wearable device configur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0 . That is, the display unit 103 may display the screen of the wearable device including a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제어부(101)는 감지부(102)를 통해 감지된 본체부(100)의 장착위치에 근거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화면을 구성하고, 구성된 화면을 표시부(103)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제어부(101)가 본체부(100)의 장착위치에 따라 화면을 구성하는 것을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control unit 101 may configure the screen of the wearable device based on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main body 100 sensed by the sensing unit 102 , and display the configured screen through the display unit 103 . Referring to FIG. 4 , the control unit 101 configures the screen according to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body unit 100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제어부(101)는 본체부(100)가 크래들(200)의 왼쪽에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와 본체부(100)가 크래들(200)의 오른쪽에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서로 반대되는 방향성을 갖는 UI의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As can be seen in FIG. 4 , the controller 101 is opposite to each oth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ain body part 100 is on the left side of the cradle 200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ain body part 100 is on the right side of the cradle 200 . It is possible to compose and display a screen of a UI having a direction of becoming.

즉 비대칭적으로 디자인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서로 다른 손에 착용하는 경우, 착용에 따른 불편함을 감소시키기 위해 본체부(100)의 위치를 좌우로 이동시켜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 화면의 UI 구성이 변하지 않는다면 원래 목적했던 디자인적 요소가 충족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조작의 편의성, 동등한 수준의 심미감 등을 충족시켜 주기 위해 서로 다른 화면을 표시해주어야 하며, 제어부(101)는 본체부(100)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해줌으로써 이를 충족시켜 준다. 즉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제어부(101)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왼손에 착용하든 오른손에 착용하든 자동차 문의 개폐 동작 제어 기능이 손목쪽에 표시되도록 화면을 구성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동등한 조작성과 심미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That is, when the asymmetrically designed wearable device is worn on different hands,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100 needs to be moved left and right in order to reduce discomfort caused by wearing it. However, in this case, if the UI composition of the screen does not change, the original design element may not be satisfied. Therefore,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display different screens to satisfy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and the same level of aesthetics. do it That is, as can be seen in FIG. 4 , the control unit 101 configures the screen so that the function of controlling the opening/closing operation of the car door is displayed on the wrist, whether the user wears the wearable device on the left hand or the right hand, so that the user can feel equal operability and aesthetics. make it feel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is, a method for controlling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1)는 먼저 크래들(200)에 대한 본체부(100)의 장착위치를 감지한다(S300). 예를 들어 제어부(101)는 홀효과(hall effect)를 이용한 마그네틱센서를 사용하여 크래들(200)에 구비된 자석과의 접촉을 감지함으로써, 크래들(200)에 대한 본체부(100)의 장착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 the control unit 101 first detects a mounting position of the body unit 100 with respect to the cradle 200 ( S300 ).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01 detects contact with a magnet provided in the cradle 200 by using a magnetic sensor using a hall effect, so that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body unit 100 with respect to the cradle 200 . can detect

이어서 제어부(101)는 상기 단계(S300)에서 감지된 장착위치에 근거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화면을 구성한다(S310). 예를 들어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제어부(101)는 본체부(100)가 크래들(200)의 왼쪽에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와 본체부(100)가 크래들(200)의 오른쪽에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서로 반대되는 방향성을 갖는 UI의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1)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왼손에 착용하든 오른손에 착용하든 자동차 문의 개폐 동작 제어 기능이 손목쪽에 표시되도록 화면을 구성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동등한 조작성과 심미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Then, the control unit 101 configures the screen of the wearable device based on the mounting position sensed in the step S300 (S31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 the control unit 101 determines that the main body 100 is on the left side of the cradle 200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ain body 100 is on the right side of the cradle 200 . It is possible to compose and display a screen of a UI having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That is, the control unit 101 configures the screen so that the function for controlling the opening/closing operation of the car door is displayed on the wrist, whether the user wears the wearable device on the left hand or the right hand, so that the user can feel the same operability and aesthetics.

상기 단계(S310) 이후, 제어부(101)는 상기 단계(S310)에서 구성된 화면을 표시한다(S320). 예를 들어 제어부(101)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단계(S310)에서 구성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After the step (S310), the control unit 101 displays the screen configured in the step (S310) (S320). For example, the controller 101 may display the screen configured in step S310 using a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은 크래들에 대한 본체부의 장착위치를 감지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화면을 구성함으로써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장착위치가 좌우로 변경되더라도 동등한 심미감을 제공해 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earable device and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cradle and configure the screen of the wearable device, so that even if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wearable device is changed left and right, it can provide an equal aesthetic feeling. .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is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0: 본체부
101: 제어부
102: 감지부
103: 표시부
200: 크래들
100: body part
101: control unit
102: detection unit
103: display unit
200: cradle

Claims (7)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크래들(cradle);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크래들에 장착되는 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는,
상기 크래들에 대한 상기 본체부의 장착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장착위치에 근거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화면을 구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크래들에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자석들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감지부는 자석에 대한 접촉여부를 감지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마그네틱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본체부의 장착위치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a cradle that can be worn on the user's body; and
It performs the function of a wearable device and includes a body part mounted on the cradle,
The body part,
a sensing unit for detecting a mounting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cradle;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figure the screen of the wearable device based on the mounting position sensed through the sensing unit,
The cradle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pair of magnets,
The sensing unit includes at least two or more magnetic sensors for detecting whether a magnet is in contact with the wearab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cts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main bod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성된 화면을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body unit further compris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screen of the wearable device,
The control unit is a wearab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playing the configured screen through the display unit.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자석들 중 각각의 쌍을 이루는 자석 두 개는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대칭되게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wearab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wo magnets forming each pair of the at least one pair of magnets are symmetrically positioned in a diagonal direction to each oth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은 상기 본체부를 좌우 비대칭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를 좌우로 슬라이딩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cradle is a wearab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part is configured to be slidable from side to side so as to position the body part left and right asymmetrically.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크래들(cradle)과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크래들에 장착되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어부가 상기 크래들에 대한 상기 본체부의 장착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감지된 장착위치에 근거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화면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구성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크래들에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자석들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크래들에 대한 상기 본체부의 장착위치를 감지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마그네틱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자석들과 상기 마그네틱센서의 접촉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크래들에 대한 상기 본체부의 장착위치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A method of controlling a wearable device comprising: a cradle that can be worn on a user's body; and a body part that performs a function of a wearable device and is mounted on the cradle,
detecting, by a control unit, a mounting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cradle;
configuring, by the controller, a screen of the wearable device based on the sensed mounting position; and
Including the step of the control unit displaying the configured screen,
The cradle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pair of magnets,
In the step of detecting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cradle, the control unit includes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cradle based on whether the magnets and the magnetic sensor sensed through at least two or more magnetic sensors are in contact. A control method of a wearab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detecting
삭제delete
KR1020140168930A 2014-11-28 2014-11-28 Wear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3496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930A KR102349688B1 (en) 2014-11-28 2014-11-28 Wear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930A KR102349688B1 (en) 2014-11-28 2014-11-28 Wear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362A KR20160065362A (en) 2016-06-09
KR102349688B1 true KR102349688B1 (en) 2022-01-11

Family

ID=56138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8930A KR102349688B1 (en) 2014-11-28 2014-11-28 Wear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968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363B1 (en) * 2007-05-17 2008-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Bi-directional sli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JP2013061176A (en) * 2011-09-12 2013-04-04 Seiko Epson Corp Wrist wearing type electronic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3512A (en) * 2010-01-13 2011-07-20 서정은 A portable band assembly
WO2014130805A1 (en) * 2013-02-22 2014-08-28 Nike, Inc. Activity monitoring, tracking and synchroniz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363B1 (en) * 2007-05-17 2008-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Bi-directional sli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JP2013061176A (en) * 2011-09-12 2013-04-04 Seiko Epson Corp Wrist wearing type electronic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362A (en) 2016-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2102B2 (en) Case for port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urning a screen of the portable device on and off by using same
US9939788B2 (en) Smart watch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D739874S1 (en)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DE212015000214U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9041675B2 (en) Smart watch for generating tactile feedback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D725149S1 (en)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US20160261834A1 (en) Wearable projection equipment
KR102362014B1 (en) Smart watch and method for contolling the same
JP2008081896A (en) Glove for capacitive touch panel operation
CN104793866A (en) Control unit and control method for backlight of intelligent wrist type wearable equipment
WO2014021602A3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EP3091421B1 (en) Smart watch
JP2014174144A (en) List terminal device and program
CN107995956A (en)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KR20170062864A (en) Smart watch
KR101497829B1 (en) Watch type device utilizing motion input
JP2017518597A (en) Control metho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recording medium
KR102349688B1 (en) Wear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TWI616777B (en) Smart wearable device and the unlock method thereof
JP2011170585A (en) Point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20170269716A1 (en) Touchscreen
KR20190044916A (en) Wearable assistance device for rotating external device worn on human body
KR20160019333A (en) A cover device for an electronic device
JP2009299246A (en) Glove for cell phone
KR20150101599A (en) Smart wa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