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4916A - Wearable assistance device for rotating external device worn on human body - Google Patents

Wearable assistance device for rotating external device worn on human bod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4916A
KR20190044916A KR1020170137513A KR20170137513A KR20190044916A KR 20190044916 A KR20190044916 A KR 20190044916A KR 1020170137513 A KR1020170137513 A KR 1020170137513A KR 20170137513 A KR20170137513 A KR 20170137513A KR 20190044916 A KR20190044916 A KR 20190044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st
support portion
user
rail groove
upp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75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재홍
Original Assignee
박재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홍 filed Critical 박재홍
Priority to KR1020170137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4916A/en
Publication of KR20190044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491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5Input arrangements based on nervous system activity detection, e.g. brain waves [EEG] detection, electromyograms [EMG] detection, electrodermal response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1
    • G06F2203/011Emotion or mood input determined on the basis of sensed human body parameters such as pulse, heart rate or beat, temperature of skin, facial expressions, iris, voice pitch, brain activity patterns

Abstra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earable assistance device for rotating an external device worn on a human body comprises: a wrist wearing unit mounted around the wrist of a user; a rail groov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wrist wearing unit, formed at one of a cross-section and a top surface of the wrist wearing unit, and recessed inward; and a trailer unit formed to be movable along the rail groove and fixing and supporting an external wearable device.

Description

신체에 착용된 외부 디바이스를 회전시키기 위한 웨어러블 보조 장치{WEARABLE ASSISTANCE DEVICE FOR ROTATING EXTERNAL DEVICE WORN ON HUMAN BODY}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auxiliary device for rotating an external device worn on a body,

본 발명은 신체에 착용된 외부 디바이스를 회전시키기 위한 웨어러블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auxiliary device for rotating an external device worn on the body.

일반적으로 손목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장치는 시계, 스마트 밴드, 카메라 부착용 밴드, 기타 폰 부착용 부착밴드 등이 있다. Wearable devices usually worn on the wrist include watches, smart bands, camera attachment bands, and other attachment bands for phone attachment.

이와 같은 손목 착용 웨어러블 장치는 착용시 손목 상단이나 손목 하단 쪽에만 장치를 고정시켜야 한다. 즉 종래의 손목 착용용 웨어러블 보조 장치는 사용자의 불편함과 상관없이 손목 디바이스의 화면을 보기 위해 팔을 비틀어서 손목 상단이나 하단을 눈에 보이게 해야 볼 수 있게 되고, 볼 때 마다 팔을 비틀어서 보아야 하는 문제가 있다.Such a wearable wearable device should be fixed only on the upper wrist or the lower wrist when worn. In other words, the conventional wearable assistant device for wrist wearer must wiggle his / her arm to see the screen of the wrist device regardless of the inconvenience of the user so that the upper or lower part of the wrist can be seen to be visible. There is a problem.

이처럼 장치를 보기위해 팔을 움직이는 행위는 정신적·신체적 스트레스와 함께 목, 어깨 관련 질환이나 디스크 등 여러 문제를 동반하게 되고 장시간 이용이 불가능하게 된다.Moving the arm to see the device is accompanied by mental and physical stress, neck and shoulder related diseases and disc problems, and it becomes impossible to use for a long time.

한편,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공개특허 제 10-2015-0088454호(발명의 명칭: 케이스를 탈부착할 수 있는 손목 밴드)에서는, 스마트폰이나 단말기를 케이스와 밴드로 신체의 특정부위에 고정하여 손쉽운 보관과 고정상태로 조작을 손쉽게하고 케이스 일부의 탈부착을 통하여 스마트폰이나 단말기의 후면기능을 이용 가능한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88454 (entitled "Wristband for removable case") discloses that a smartphone or a terminal is fixed to a specific part of the body by a case and a band, And a back surface function of a smart phone or a terminal is available through a detachment and attachment of a part of the case.

이에 따라, 보다 더 편한 상태로 장시간 사용하기 위해서는 착용 상태에서 디바이스를 보기 쉬운 각도로 회전 고정 가능한 착용형 장치가 요구되게 되었다.Accordingly, in order to use the device in a more comfortable state for a long time, a wearable device capable of rotating and fixing the device at an angle that allows easy viewing of the device is required.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손목용 디바이스를 사용을 하는 경우 각각의 용도에 적합한 손목 위치로 이동시켜 손에 착용하고 자유로운 자세에서 사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손목으로부터 외부 디바이스를 이격시켜 전자파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earable auxiliary device which can be moved to a wrist position suitable for each use, The purpose. It is also intended to minimize the influence of electromagnetic waves by separating the external device from the wrist.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에 착용된 외부 디바이스를 회전시키기 위한 웨어러블 보조 장치는 사용자의 손목 주변에 장착되는 손목착용부; 손목착용부의 양 측면에 형성되되, 손목착용부의 횡단면 및 상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며 내측으로 파인 레일홈; 및 레일홈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되, 외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고정 및 지지하는 트레일러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earable auxiliary device for rotating an external device worn on a body,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comprising: a wrist part mounted around a wrist of a user; A rail groov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wrist wearer and formed on any one of a transverse section and an upper surface of the wrist wearing section and having an inwardly fined shape; And a trailer portion formed to be movable along the rail groove and fixing and supporting the outer wearable device.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웨어러블 보조 장치를 사용자의 손에 착용한 상태로 다양한 환경과 다양한 자세에서 장시간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 스트레스를 줄이는 것은 물론 증강현실, 가상현실 기반 착용형 보조 장치, 드론 보조 장치, 및 가정 내 유무선 게임 보조 장치로도 활용이 가능하여 산업 및 생활 전반의 환경변화에 영향을 가져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can be used in various environments and various postures for a long period of time while being worn in the hands of a user, so that the use stress can be reduced, Devices, drones, and wired and wireless game aids in the home, which can have an impact on changes in the environment of the industry and life as a who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보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보조 장치의 손목착용부와 트레일러부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보조 장치의 레일홈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보조 장치의 레일홈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A와 도 4의 B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으로 레일홈과 트레일러부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보조 장치의 손목착용부의 가압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보조 장치의 손목착용부의 가압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보조 장치에 외부 디바이스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earable auxiliar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wrist part and a trailer part of a wearable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ructure of a rail groove of a wearable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rail groove of a wearable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FIG. 3A and FIG. 4B, and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rail groove and a trailer portion. FIG.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pushing structure of a wearer of a wearable auxiliar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essing structure of a wrist-wearing portion of a wearable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n external device coupled to a wearable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In the entir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s not necessarily the case that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In the entir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member is located on another member, this includes not only a case where a member is in contact with another member but also a case where another member exists between the two members.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 including " an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The terms " about ", " substantially ", etc. used to the extent that they are used throughout the present disclosure are used in their numerical value or in close proximity to their numerical values when the manufacturing and material tolerances inherent in the stated meanings are presented, Accurate or absolute numbers are used to prevent unauthorized exploitation by unauthorized intruders of the referenced disclosure. The word " step (or step) " or " step " used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 step fo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보조 장치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earable auxiliar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웨어러블 보조 장치는 외부 디바이스를 탈착할 수 있는 손목 착용 장치일 수 있다. 상술한 외부 디바이스란 가전기기, 게임기, 드론, 가상현실 장치, 및 증강현실 장치와 통신모듈을 통해 연결되는 스마트 장치(예를 들어 스마트워치, 스마트폰, 테블릿 PC, 입력 장치, 제어 장치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는다.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wrist wearing device capable of detaching and attaching an external device. The external device may be a smart device (e.g., a smart watch, a smart phone, a tablet PC, an input device, a control device, etc.) connected to a home appliance, a game machine, a dron, a virtual reality device, But not limited to.

본 발명의 웨어러블 보조 장치는 사용자의 손목 주변에 장착되는 손목착용부(100), 손목착용부(100)의 양 측면에 형성되되, 손목착용부(100)의 횡단면 및 상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며 내측으로 파인 레일홈(130) 및 레일홈(130)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되, 외부 디바이스를 고정 및 지지하는 트레일러부(140)를 포함한다.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rist part 100 mounted on the periphery of a user's wrist, a wrist part 10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wrist part 100 and formed on one of the transverse and upper surfaces of the wrist part 100 And a trailer unit 140 formed to be movable along the inner rail rail groove 130 and the rail groove 130 and fixing and supporting the external device.

따라서 본 발명은 레일홈(130)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트레일러부(140)를 통해 트레일러부(140)에 부착된 외부 디바이스를 손목 상단에서 손목 측면이나 손목하단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자전거, 오토바이, 싸이클, 자동차 등 이용시 핸들구조에 따라 트레일러부(140)에 부착된 외부 디바이스를 사용자의 편의 대로 손목 상단에서 손목 측면 또는 손목 하단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move the external device attached to the trailer part 140 from the upper part of the wrist to the side of the wrist or the lower part of the wrist through the trailer part 140 formed to be movable along the rail groove 130. Accordingly, when using a bicycle, a motorcycle, a cycle, an automobile or the like, an external device attached to the trailer part 140 can be mov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wrist to the side of the wrist or the lower part of the wrist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구체적으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웨어러블 보조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Specifically, the wearable auxiliar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FIG.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보조 장치의 손목착용부(100)와 트레일러부(140)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보조 장치의 레일홈(13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보조 장치의 레일홈(13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A와 도 4의 B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으로 레일홈(130)과 트레일러부(140)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횡단면도이다.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wrist part 100 and a trailer part 140 of a wearable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wearable assistant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structure of a rail groove 130 of a wearable auxiliary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 and 4 (B) are enlarged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rail groove 130 and the trailer portion 140. FIG.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웨어러블 보조 장치는 손목착용부(100), 레일홈(130), 트레일러부(140) 및 이격부재(120)를 포함한다.2, the wearable assistanc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rist part 100, a rail groove 130, a trailer part 140, and a spacing member 120. As shown in FIG.

손목착용부(100)는 사용자의 손목 주변에 장착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손목의 일 부분을 감싸는 밴드 형태로 형성되며 사용자의 손목 하단 및 상단과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이격부재(12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손목착용부(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The wrist wearer 100 includes a spacing member 120 which is mounted around the user's wrist and is formed in a band shape surrounding a part of the user's wrist and is respectively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and upper ends of the user's wrist . A detailed description of such a wrist part 100 will be given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6 to 8. Fig.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레일홈(130)은 손목착용부(100)의 양측면에 형성되되, 손목착용부(100)의 횡단면에 대하여 내측으로 파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레일홈(130)은 손목착용부(100)의 상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S. 3 and 4, the rail groove 13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wrist support 100 and may be formed inwardly of the transverse plane of the wrist support 100. And the rail groove 13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rist part 100. [

또한 레일홈(130)은 손목착용부(100)의 길이방향에 따라 일정 간격을 갖도록 형성된 복수의 걸림홈(131a, 131b)을 포함한다.The rail groove 130 includes a plurality of engagement grooves 131a and 131b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rist support 100.

트레일러부(140)는 외부 디바이스를 고정 및 지지하는 받침부(143), 받침부(143)의 하부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되, 레일홈(130)에 끼움 결합되도록 절곡하여 형성된 한 쌍의 슬라이딩부(142) 및 슬라이딩부(142)의 단부에 형성되되, 걸림홈(131a, 131b)과 맞물리도록 형성된 볼록부(141)를 포함한다.The trailer part 140 includes a receiving part 143 for fixing and supporting an external device and a pair of sliding parts 143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143 and bent to be fitted into the rail groove 130. [ And convex portions 141 formed at the ends of the sliding portion 142 and the sliding portion 142 and adapted to engage with the engaging grooves 131a and 131b.

예시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슬라이딩부(142)는 일단이 레일홈(130)에 끼움 결합되도록 삽입되는 하부 슬라이딩부와 하부 슬라이딩부의 타단과 받침부(143)의 하면을 수직하게 연장하는 상부 슬라이딩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부 슬라이딩부는 손목착용부(100)의 상면과 받침부(143)의 하면을 이격시키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5, the sliding portion 142 includes a lower sliding portion to which one end is inserted to be fitted into the rail groove 130, a lower sliding portion to which the lower sliding portion is inserted, . ≪ / RTI > At this time, the upper sliding part may be formed to have a length that separates the upper surface of the wrist part 100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143.

일 예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레일홈(130)에는 일정 간격을 가지며 형성된 복수의 걸림홈(13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5의 (a)에 도시된 것처럼, 걸림홈(131a)은 손목착용부(100)의 횡단면에 대하여 레일홈(130)의 단부에서 내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레일홈(130)에 결합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142)의 단부에는 걸림홈(131a)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볼록부(141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레일홈(130)을 따라 이동가능한 트레일러부(140)는 각 걸림홈(131a)에 볼록부(141a)가 맞물리는 경우 손목착용부(100)의 일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rail groove 130 may have a plurality of engagement grooves 131a formed at regular intervals. 5 (a), the latching groove 131a may be recessed toward an inner side from the end of the rail groove 130 with respect to the transverse section of the wrist fitting portion 100. As shown in FIG. A convex portion 141a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pair of sliding portions 142 coupled to the rail groove 130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groove 131a. The trailer part 140 which can be moved along the rail groove 130 can be fixed to a position of the wrist part 100 when the convex part 141a is engaged with each of the engaging grooves 131a.

일 예로,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레일홈(130)에는 일정 간격을 가지며 형성된 복수의 걸림홈(131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5의 (b)에 도시된 것처럼, 걸림홈(131b)은 손목착용부(100)의 횡단면에 대하여 레일홈(130)의 단부에서 상측 및 하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레일홈(130)에 결합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부(142)의 단부에는 걸림홈(131b)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볼록부(141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레일홈(130)에 삽입되는 하부 슬라이딩부(142)는 단부에 형성된 상측 및 하측 볼록부(141b)가 상측 및 하측 걸림홈(131b)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가운데가 절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a plurality of latching grooves 131b may be formed in the rail groove 130 at predetermined intervals.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5 (b), the latching groove 131b may be recessed upward and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rail groove 130 with respect to the transverse section of the wrist wearing portion 100. The pair of sliding portions 142 coupled to the rail groove 130 may have convex portions 141b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grooves 131b. At this time, the lower sliding portion 142 inserted into the rail groove 130 may b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upper and lower convex portions 141b formed at the ends thereof are easily inserted into the upper and lower engagement grooves 131b. have.

따라서, 사용자는 손목착용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트레일러부(140)를 이동시키다가 각 걸림홈(131a, 131b)과 트레일러부(140)의 볼록부(141a, 141b)가 맞물리는 경우 손목착용부(100) 상의 원하는 위치에 트레일러부(140)를 고정시킬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user moves the trailer part 14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rist part 100 and the engaging grooves 131a and 131b and the convex parts 141a and 141b of the trailer part 14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trailer part 140 can be fixed at a desired position on the wrist part 100.

또한 손목착용부(100)는 상부면에 위치하고,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디스플레이부(110)는 배터리정보, 연결상태정보, 설정정보 등 웨어러블 보조 장치에 결합된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받은 화상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The wrist part 100 also includes a display part 110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and displaying information. Illustratively, the display unit 110 may display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device coupled to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such as battery information, connection status information, and setting information.

이격부재(120)는 손목착용부(100)의 내주면에 손목의 상단 및 하단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이격부재(120)는 사용자의 손목 하단 및 상단 피부와 접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격부재(120)는 사용자의 손목과 손목착용부(100)의 접촉을 최소화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손목착용부(100)에 구비된 전자기기로부터 발생되는 발열 및 전자파가 사용자의 신체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한다.The spacing member 120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rist part 10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wrist. At this point, the spacing member 120 may contact the lower and upper wrists of the wearer. Such a spacing member 120 may be formed to minimize contact between the wearer's wrist and the wearer's wrist. Accordingly, the heat generated from the electronic devices provided in the wrist part 100 and the electromagnetic waves are prevented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user's body.

이때 이격부재(120)는 우레탄, 가죽 및 ABS수지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재질의 두께에 따라 손목착용부(100)에 나사 및 밴드 결합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예를들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가죽으로 이루어진 이격부재(120)가 선택될 경우, 가죽으로 이루어진 이격부재(120)의 두께를 고려하여 밴드 결합 방식으로 손목착용부(100)의 각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pacing member 120 may be made of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urethane, leather, and ABS resin, and may be attached to the wrist part 100 in various manners such as screw and band bonding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the material. . For example, when the separating member 120 made of leather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the thickness of the separating member 120 made of leather is attached to each position of the wrist fitting 100 in a band- .

따라서 본 발명은 손목착용부(100)에 구비되거나 부착되는 이격부재(120)를 통해 종래의 기존 스마트 밴드나 스마트 워치가 사용자 손목을 감싸며 밀착하여 기기의 발열과 전자파 등이 신체에 전달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problem that the existing conventional smart band or smart watch wraps around the user's wrist and is closely contacted with the user through the spacing member 120 provided on or attached to the wrist part 100, .

이격부재(120)는 사용자의 체온, 맥박, 분당 호흡수 또는 심박수를 감지하는 생체신호센서를 포함한다. 생체신호센서는 사용자의 신체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생체신호센서는 손목의 상단 또는 하단에 위치하는 이격부재(120)에 구비되어 맥박 또는 사용자의 체온 등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상술한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할 수 있다.The spacing member 120 includes a bio-signal sensor that senses a user's body temperature, pulse, respiratory rate per minute, or heart rate. The bio-signal sensor may refer to information related to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user. For example, the bio-sensor may be provided on a separating member 120 positioned at the upper or lower end of the wrist to measure a pulse or a body temperature of a user, and may display such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110 have.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웨어러블 보조 장치의 손목착용부(100)의 가압 구조와 외부 디바이스의 결합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pressing structure of the wrist wearing portion 100 of the wearable auxiliary device and a coupling example of the external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to FIG.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보조 장치의 손목착용부(100)의 가압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보조 장치의 손목착용부의 가압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essing structure of the wrist support unit 100 of the wearable auxilia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일 예로 도 6을 참조하면 손목착용부(100)는 사용자의 손목 상단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상단지지부(101), 상단지지부(101)의 일단과 연결되되 사용자의 손목 하단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손목 하단을 지지하는 하단지지부(102) 및 상단지지부(101) 및 하단지지부(102)의 내측면 가운데에 배치되는 이격부재(120)를 포함한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6, the wrist wearer 100 includes an upper support portion 101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 of the user's wrist, a lower support portion 101 connected to one end of the upper support portion 101, And a spacing member 120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portion 101 and the lower support portion 102. The lower support portion 102 supports the wrist lower portion.

손목착용부(100)는 하단지지부(102)가 상단지지부(101)의 일단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연결부재(103) 및 연결부재(103)와 연결되되 상단지지부(101)의 이격부재(120)의 하부면에 구비된 가압버튼(150)과 상단지지부(101)의 상부면에 구비된 풀림버튼(160)으로 구성된 버튼부(150, 160)를 포함한다.The wrist part 10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103 and the connecting member 103 which are connect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one end of the upper supporting part 101, And a release button 160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portion 101. The button portion 150 includes a button portion 150 and a release button 160. The release button 16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portion 101. [

예시적으로 가압버튼(150)을 누를 시 하단지지부(102)는 손목을 가압하도록 오므라지고, 풀림버튼(160)을 누를 시 하단지지부(102)는 손목과 멀어지도록 벌어질 수 있다.The lower supporting portion 102 may be opened to press the wrist when the pressing button 150 is pressed and the lower supporting portion 102 may be opened to be apart from the wrist when the releasing button 160 is pressed.

다른 예로 도 7을 참조하면 손목착용부(100)는 사용자의 손목 상단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상단지지부(101) 및 상단지지부(101)의 일단 및 타단에 연결되되 사용자의 손목 하단과 대응하는 위치에 단부가 각각 배치되어 손목 하단을 지지하는 제1 하단지지부(102a) 및 제 2 하단지지부(102b) 및 상단지지부(101)의 내측면 가운데 배치되고, 제 1 및 제 2 하단지지부(102a, 102b)의 단부에 배치되는 이격부재(120)를 포함한다.7, the wrist part 100 includes an upper support part 101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 of the wrist of a user and a lower support part 101 connected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upper support part 101, The first and second lower support portions 102a and 102b and the first and second lower support portions 102a and 102b are disposed on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lower support portions 102a and 102b, 102b.

손목착용부(100)는 제 1 및 제 2 하단지지부(102a, 102b)가 상단지지부(101)의 일단 및 타단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 1 연결부재(103a) 및 제 2 연결부재(103b) 및 제 1 및 제 2 연결부재(103a, 103b)와 각각 연결되되 상단지지부(101)의 이격부재(120)의 하부면에 구비된 가압버튼(150)과 상단지지부(101)의 상부면에 구비된 제 1 풀림버튼(160a) 및 제 2 풀림버튼(160b)으로 구성된 버튼부(150, 160a, 160b)를 포함한다.The wrist support 100 includes a first connection member 103a and a second connection member 103b which are connected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lower end support portions 102a and 102b are rotatable with respect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upper end support portion 101, The pressing button 150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pacing member 120 of the upper supporting part 10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pporting part 101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members 103a and 103b, And a button unit 150, 160a, 160b including a first release button 160a and a second release button 160b.

가압버튼(150)을 누를 시 제 1 및 제 2하단지지부(102a, 102b)는 손목을 가압하도록 동시에 오므라지고, 제 1 풀림버튼(160a)을 누를 시 제 1 하단지지부(102a)는 손목과 멀어지도록 벌어지고, 제 2 풀림버튼(160b)을 누를 시 제 2 하단지지부(102b)는 손목과 멀어지도록 벌어질 수 있다.The first lower support portion 102a and the second lower support portions 102a and 102b are disengaged simultaneously when the press button 150 is pressed so as to press the wrist. When the first release button 160a is pressed, And when the second release button 160b is depressed, the second lower support portion 102b can be opened to move away from the wrist.

이때 버튼부(150, 160, 160a, 160b)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가압에 의해 입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가압 형태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터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utton units 150, 160, 160a, and 160b may generate an input signal by pressing the finger of the user, and may not be limited to the pressing type, but may be configured as a touch typ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보조 장치에 외부 디바이스(145)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외부 디바이스(145)는 예시적인 것이며, 스마트폰 케이스 또는 스마트폰 자체가 결합될 수도 있다.FIG. 8 is a view showing an external device 145 coupled to a wearable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external device 145 is an example, and the smartphone case or the smartphone itself may be combined.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웨어러블 보조 장치는 도 8에 도시된 외부 디바이스(145)와 같이 장변의 길이가 손목착용부(100)의 폭으로 지지하기 어려운 경우 사용자의 팔꿈치와 손목 사이의 팔 중간 부분을 지지하도록 외부 디바이스(145)에 탈착가능하도록 형성된 보조지지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Illustratively, the wearable assistan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when the length of the long side is difficult to be supported by the width of the wrist support 100, such as the external device 145 shown in FIG. 8, And may include an auxiliary support 200 detachably attached to the external device 145 to support the external support 145.

이와 같은 보조지지부(200)는 사용자의 팔을 고정 지지하는 역할을 하여 다양한 길이의 외부 디바이스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진동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The auxiliary support unit 200 serves to fix and support a user's arm, stably supports external devices of various lengths, and has an effect of preventing vibration.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 손목착용부
110 : 디스플레이부
101: 상단지지부
102: 하단지지부
103: 연결부재
120: 이격부재
130: 레일홈
131a, 131b: 걸림홈
140: 트레일러부
141, 141a, 141b: 볼록부
142: 슬라이딩부
143: 받침부
145: 외부 디바이스
150, 160, 160a, 160b : 버튼부
200: 보조지지부
100: wrist part
110:
101: upper support
102: lower support
103:
120:
130: Rail home
131a, 131b:
140: Trailer section
141, 141a, 141b:
142: sliding portion
143:
145: External device
150, 160, 160a, 160b:
200: auxiliary support

Claims (10)

웨어러블 보조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목 주변에 장착되는 손목착용부;
상기 손목착용부의 양 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손목착용부의 횡단면 및 상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며 내측으로 파인 레일홈; 및
상기 레일홈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되, 외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고정 및 지지하는 트레일러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보조 장치.
In a wearable auxiliary device,
A wrist part mounted around the wrist of the user;
A rail groov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wrist wearer, the rail groove being formed on one of a transverse section and an upper surface of the wrist wearer, And
And a trailer portion formed to be movable along the rail groove and fixing and supporting the outer wearabl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목착용부는 사용자의 손목 하단 및 상단과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이격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이격부재는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손목과 상기 트레일러부에 고정되는 외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접촉을 최소화하도록 형성된 것인, 웨어러블 보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rist wearer includes a spacing member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and upper ends of the user's wrist, respectively,
Wherein the spacing member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configured to minimize contact of the wearer's wrist with an external wearable device secured to the trailer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홈은 상기 손목착용부의 길이방향에 따라 일정 간격을 갖도록 형성된 복수의 걸림홈을 포함하는 것인, 웨어러블 보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ail groove includes a plurality of engagement groove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rist support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러부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를 고정 및 지지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하부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레일홈에 끼움 결합되도록 절곡하여 형성된 한 쌍의 슬라이딩부; 및
상기 슬라이딩부의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걸림홈과 맞물리도록 형성된 볼록부를 포함하는 것인, 웨어러블 보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trailer section
A pedestal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external device;
A pair of sliding portions extending downward from a low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the sliding portions being bent to fit into the rail groove; And
And a convex portion formed at an end of the sliding portion and configured to be engaged with the engaging groov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목착용부는
사용자의 손목 상단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상단지지부;
상기 상단지지부의 일단과 연결되되 사용자의 손목 하단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손목 하단을 지지하는 하단지지부; 및
상기 상단지지부 및 하단지지부의 내측면 가운데에 배치되는 상기 이격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웨어러블 보조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wrist-
An upper support portion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 of the user's wrist;
A lower end supporting par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upper support part and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user's wrist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wrist; And
And the spacing member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portion and the lower support por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손목착용부는
상기 하단지지부가 상기 상단지지부의 일단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되되 상기 상단지지부의 이격부재의 하부면에 구비된 가압버튼과 상기 상단지지부의 상부면에 구비된 풀림버튼으로 구성된 버튼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압버튼을 누를 시 상기 하단지지부는 상기 손목을 가압하도록 오므라지는 것이고, 상기 풀림버튼을 누를 시 상기 하단지지부는 상기 손목과 멀어지도록 벌어지는 것인, 웨어러블 보조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wrist-
The lower support portion being rotatab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upper support portion; And
And a button portion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ember and including a push button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eparating member of the upper support portion and a release button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portion,
Wherein the lower support portion is pushed to press the wrist when the pressing button is depressed and the lower support portion is extended to be apart from the wrist when the release button is press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목착용부는
사용자의 손목 상단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상단지지부; 및
상기 상단지지부의 일단 및 타단에 연결되되 사용자의 손목 하단과 대응하는 위치에 단부가 각각 배치되어 손목 하단을 지지하는 제1 및 제 2 하단지지부; 및
상기 상단지지부의 내측면 가운데 배치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하단지지부의 단부에 배치되는 상기 이격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웨어러블 보조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wrist-
An upper support portion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 of the user's wrist; And
First and second lower end supporting portions connected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upper support portion and respectively having end portions dispos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user's wrist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wrist; And
And the spacing member disposed at the inner side of the upper support portion and disposed at an end of the first and second lower end support portion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손목착용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하단지지부가 상기 상단지지부의 일단 및 타단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제 1 및 제 2 연결부재; 및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부재와 각각 연결되되 상기 상단지지부의 이격부재의 하부면에 구비된 가압버튼과 상기 상단지지부의 상부면에 구비된 제 1 및 제 2 풀림버튼으로 구성된 버튼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압버튼을 누를 시 상기 제 1 및 제 2하단지지부는 상기 손목을 가압하도록 동시에 오므라지는 것이고, 상기 제 1 풀림버튼을 누를 시 상기 제 1 하단지지부는 상기 손목과 멀어지도록 벌어지고, 상기 제 2 풀림버튼을 누를 시 상기 제 2 하단지지부는 상기 손목과 멀어지도록 벌어지는 것인, 웨어러블 보조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wrist-
First and second connecting members, the first and second lower supporting portions being rotatably connected with respect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upper supporting portion; And
And a button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members, the button portion including a push button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pacing member of the upper support portion, and a first and a second release button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pport portion,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lower support portions are simultaneously shrunk so as to press the wrist when the pressing button is depressed, the first lower support portion is opened to be apart from the wrist when the first release button is pressed, And wherein when the release button is depressed, the second lower support extends to be away from the wris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재는 사용자의 체온, 맥박, 분당 호흡수 또는 심박수를 감지하는 생체신호센서를 포함하는 것인, 웨어러블 보조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pacing member includes a biological signal sensor for sensing body temperature, pulse, respiration rate per minute or heart rate of a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목착용부는 상부면에 위치하고,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인, 웨어러블 보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rist fitting portion is located on an upper surface and includes a display portion for displaying information.
KR1020170137513A 2017-10-23 2017-10-23 Wearable assistance device for rotating external device worn on human body KR2019004491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7513A KR20190044916A (en) 2017-10-23 2017-10-23 Wearable assistance device for rotating external device worn on human bod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7513A KR20190044916A (en) 2017-10-23 2017-10-23 Wearable assistance device for rotating external device worn on human bod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916A true KR20190044916A (en) 2019-05-02

Family

ID=66581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7513A KR20190044916A (en) 2017-10-23 2017-10-23 Wearable assistance device for rotating external device worn on human bod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4916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5514B1 (en) * 2021-04-08 2021-08-05 주식회사 에스티에스비즈 wearable smart thermometer
KR20230027858A (en) * 2021-08-20 2023-02-28 윤병식 Clamping band for vinyl glob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5514B1 (en) * 2021-04-08 2021-08-05 주식회사 에스티에스비즈 wearable smart thermometer
KR20230027858A (en) * 2021-08-20 2023-02-28 윤병식 Clamping band for vinyl glob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8143B1 (en) Attachment system for watchband
JP7245928B2 (en) watch band with braided strands
TWI636350B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0575741B2 (en) Wearable biometric information measurement device
US20210037932A1 (en) Ring-type wearable device
TWI619448B (en) Wearable device and wristband thereof
CN108024603A (en) Wrist-watch tape
US20190110744A1 (en) Interchangeable wearable device
KR102170512B1 (en) Strap uniting device for wearable device
US11287779B2 (en) Modular system for watch
US20150277489A1 (en) Wearable device
KR20230048458A (en) Wearable article with removable module
US11209783B2 (en) Watch with optical sensor for user input
US20150173633A1 (en) Biometric information measuring apparatus
WO2017094962A1 (en) Smart watch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WO2016063082A1 (en) A wearable sensing assembly
KR20190044916A (en) Wearable assistance device for rotating external device worn on human body
US20170031326A1 (en) Electronic device
KR20170062864A (en) Smart watch
CN112545122B (en) Watchband with braided strands
US11576611B2 (en) Wearable device and sensor device
CN203369888U (en) Wrist strap and detection apparatus therewith
CN114617343B (en) Watch head, watchband, detachable mechanism and wearable equipment
CN211633263U (en) Electrocardio detects wearing equipment
KR102421849B1 (en) Method for contolling smart wa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