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9666B1 - 이동 단말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웨이크업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웨이크업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9666B1
KR102349666B1 KR1020190173635A KR20190173635A KR102349666B1 KR 102349666 B1 KR102349666 B1 KR 102349666B1 KR 1020190173635 A KR1020190173635 A KR 1020190173635A KR 20190173635 A KR20190173635 A KR 20190173635A KR 102349666 B1 KR102349666 B1 KR 102349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axis
voice recognition
recognition function
accel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3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5220A (ko
Inventor
캉 왕
민퀴앙 창
Original Assignee
베이징 바이두 넷컴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바이두 넷컴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베이징 바이두 넷컴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00085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5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with voice recognition means

Abstract

본 출원은 이동 단말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웨이크업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바, 여기서 방법은, 입력 인터페이스의 트리거링 명령을 수신하고 입력 인터페이스를 작동시키는 단계;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 각도를 획득하는 단계 - x축은 이동 단말의 스크린의 너비 방향임-; 및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가 제1 트리거링 역치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음성 인식 기능을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당해 방법은 다음과 같은 것이 구현된다.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에 따라 음성 인식 기능을 자동으로 작동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수동으로 음성 기능 버튼을 클릭할 필요 없이 음성 입력이 가능하여 사용자 조작을 줄이고 사용자의 두 손을 해방시키고 음성 입력 효율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이동 단말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웨이크업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WAKING UP A VOICE RECOGNITION FUNCTION IN A MOBILE TERMINAL}
본 출원은 이동 단말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단말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웨이크업(wake up)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 기술이 발전됨에 따라, 이동 단말의 기능은 점점 더 완성되어가고 있는바, 예를 들면, 음성 입력 기능에 의하여, 타이핑이 불편한 사용자는 음성 입력으로 문자 입력을 대체할 수 있는 등이 있다.
현재 시중의 스마트 폰은, 음성 입력 기능에 있어서, 사용자가 매 번 수동으로 음성 기능 버튼을 클릭하여야만이 음성 입력을 트리거링할 수 있고, 휴대전화 등을 한 손으로 잡고 있는 경우, 음성 기능 버튼을 클릭할 수 없는 상황이 나타날 수 있다. 이로부터 알 수 있는바, 음성 입력 기능을 트리거링하는 종래의 방법은 사용자 조작을 증가시킬 뿐만아이라 음성 입력 효율이 낮다.
본 출원은 이동 단말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웨이크업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바, 음성 입력 기능을 트리거링하는 종래의 방법에 있어서 조작이 번거롭고 음성 입력 효율이 낮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출윈의 일 측면의 실시예는 이동 단말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웨이크업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바,
입력 인터페이스의 트리거링 명령을 수신하고 입력 인터페이스를 작동시키는 단계;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 각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x축은 상기 이동 단말의 스크린의 너비 방향임-; 및
상기 이동 단말의 상기 x축에서의 상기 제1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가 제1 트리거링 역치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음성 인식 기능을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다른 측면의 실시예는 이동 단말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웨이크업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바,
입력 인터페이스의 트리거링 명령을 수신하고 입력 인터페이스를 작동시키기 위한 수신 모듈;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 각도를 획득하는 제1 획득 모듈 -상기 x축은 상기 이동 단말의 스크린의 너비 방향임-; 및
상기 이동 단말의 상기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가 제1 트리거링 역치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음성 인식 기능을 작동시키는 작동 모듈;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다른 측면의 실시예는 이동 단말을 제공하는바,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판독함으로써 상기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에 대응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술한 일 측면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웨이크업하는 방법을 구현한다.
본 출원의 다른 측면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바, 당해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경우, 상술한 일 측면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웨이크업하는 방법을 구현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이동 단말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웨이크업하는 방법은, 입력 인터페이스를 작동시킨 후,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 각도를 획득하고,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가 제1 트리거링 역치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에 음성 인식 기능을 작동시키는바, 이로써 다음과 같은 것이 구현된다.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에 따라 음성 인식 기능을 자동으로 작동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수동으로 음성 기능 버튼을 클릭할 필요 없이 음성 입력이 가능하여 사용자 조작을 줄이고 사용자의 두 손을 해방시키고 음성 입력 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이동 단말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웨이크업하는 장치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작동시킨 후,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 각도를 획득하고,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가 제1 트리거링 역치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에 음성 인식 기능을 작동시키는바, 이로써 다음과 같은 것이 구현된다.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에 따라 음성 인식 기능을 자동으로 작동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수동으로 음성 기능 버튼을 클릭할 필요 없이 음성 입력이 가능하여 사용자 조작을 줄이고 사용자의 두 손을 해방시키고 음성 입력 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출원의 부가적인 측면과 이점은 아래 설명에서 일부 제공될 것이고, 일부는 아래 설명에서 더욱 분명해지거나 본 출원에 관한 실천에서 알게 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상술한 및/또는 부가적인 측면과 이점은 아래 첨부 도면이 결부된 실시예의 설명에서 더욱 분명해지고 이해하기 수월해질 것이다.
도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하여 제공되는 이동 단말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웨이크업하는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하여 제공되는 공간 직교 좌표계의 개략도이다.
도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하여 제공되는 또 하나의 이동 단말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웨이크업하는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하여 제공되는 다른 하나의 이동 단말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웨이크업하는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하여 제공되는 또 하나의 이동 단말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웨이크업하는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하여 제공되는 이동 단말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웨이크업하는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하여 제공되는 이동 단말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아래 본 출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는바, 상기 실시예의 예시는 첨부 도면에 도시되고, 여기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는 시종일관 동일하거나 유사한 소자 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소자를 표시한다. 아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출원을 해석하기 위한 것일 뿐, 이를 본 출원에 대한 한정으로 이해하여서는 안된다.
아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이동 단말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웨이크업하는 방법 및 장치를 설명하고자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음성 입력 기능을 트리거링하는 종래의 방법에 있어서, 조작이 번거롭고 음성 입력 효율이 낮은 문제점에 대비하여 이동 단말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웨이크업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이동 단말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웨이크업하는 방법은, 입력 인터페이스를 작동시킨 후,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 각도를 획득하고,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가 제1 트리거링 역치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에 음성 인식 기능을 작동시키는바, 이로써 다음과 같은 것이 구현된다.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에 따라 음성 인식 기능을 자동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수동으로 음성 기능 버튼을 클릭할 필요 없이 음성 입력이 가능하여 사용자 조작을 줄이고 사용자의 두 손을 해방시키고 음성 입력 효율을 향상시킨다.
도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하여 제공되는 이동 단말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웨이크업하는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이동 단말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웨이크업하는 방법은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이동 단말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웨이크업하는 장치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상술한 장치는 음성 입력 기능을 구비하는 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터 등 이동 단말에 구성되어 다음과 같은 것을 구현할 수 있다.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에 따라 음성 인식 기능을 자동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음성을 직접적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당해 이동 단말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웨이크업하는 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101, 입력 인터페이스의 트리거링 명령을 수신하고 입력 인터페이스를 작동시킨다.
사용자가 이동 단말의 입력창을 클릭하는 경우, 이동 단말은 입력 인터페이스의 트리거링 명령을 수신하고 당해 트리거링 명령에 따라 입력 인터페이스를 작동시킨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인스턴트 메세징 소프트웨어의 채팅 인터페이스의 입력창을 클릭하는 경우, 이동 단말은 입력기 인터페이스를 팝업한다.
단계102,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 각도를 획득하는바, 여기서, x축은 이동 단말의 스크린의 너비 방향이다.
실제 응용에서는, 이동 단말의 마이크가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의 하부에 위치하는바, 사용자가 음성을 입력하는 경우, 휴대전화의 하부를 치켜들어 입가에 접근시키는바, 븍 사용자가 음성을 입력하는 경우, 이동 단말을, 이동 단말의 너비 방향을 에워싸고 일정 각도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입력 인터페이스가 작동되는 경우, 이동 단말이 정상 상태에 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따라서 입력 인터페이스가 작동되는 경우의, 이동 단말의 당시의 위치 상태에 따라 공간 직교 좌표계를 구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입력 인터페이스가 작동되는 경우의, 이동 단말의 스크린의 너비 방향을 x축으로, 이동 단말의 스크린의 길이 방향을 y축으로, 이동 단말의 스크린의 평면에 수직하는 방향을 z축으로 하여 공간 직교 좌표계를 구축한다. 도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하여 제공되는 공간 직교 좌표계의 개략도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 단말이 입력 인터페이스를 작동시킨 후,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 각도를 획득한다. 구체적인 구현에서는, 이동 단말이 입력 인터페이스를 작동시킨 후, 이동 단말 내의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 각도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다.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 각도는,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에 따른 금번의 회전 각도임을 이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회전 방향은 이동 단말의 스크린 방향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이동 단말이 입력 인터페이스를 작동시킨 후,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스크린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의 회전 각도를 획득한다.
단계103,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가 제1 트리거링 역치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음성 인식 기능을 작동시킨다.
여기서, 제1 트리거링 역치는 이동 단말이 음성 인식 기능을 자동으로 작동시키는 임계치이고 제1 트리거링 역치는 실제 필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가 제1 트리거링 역치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이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을 일정 각도 치켜들고 있음을 말해주는바, 이로써 사용자가 음성 입력을 원하고 있음을 예측할 수 있고, 따라서 음성 인식 기능을 자동으로 작동시킨다.
예를 들어, 제1 트리거링 역치가 45°라면, 이동 단말이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작동되고 이동 단말의 위치가 x축에서 스크린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만약 회전된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스크린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가 45°보다 크다면 음성 인식 기능을 작동시킨다.
입력 인터페이스가 작동되는 경우, 이동 단말은 정상적인 자세에 있고,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 단말에 있어서 입력 인터페이스가 작동되는 경우의, x축에서 제1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를 획득하고 회전 각도가 제1의 미리 설정된 역치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하여 음성 인식 기능을 작동시킬지 여부를 판단하는바, 이로써 이동 단말이 입력 인터페이스를 작동시킨 후, x축에서 제1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에 따라 음성 인식 기능을 자동으로 작동시키는 것을 구현한다.
나아가, 사용자가 이동 단말의 음성 인식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통상적으로 입을 이동 단말의 마이크에 접근시키므로, 음성 인식 기능을 작동시키는 정확도를 나아가 더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동 단말이 입력 인터페이스를 작동시킨 후, 이동 단말 내의 거리 센서를 통해 사용자와 이동 단말 사이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가 제1 트리거링 역치보다 크거나 같고 이동 단말과 사용자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역치보다 작은 경우, 음성 인식 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도1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음성 인식 기능을 작동시키는 정확성을 나아가 더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 단말의 y축 방향과 z축 방향으로의 가속도 및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 후,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가 요구를 동시에 충족시키는 경우, 음성 인식 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아래 도3에 결부하여 설명하고자 하는바, 도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하여 제공되는 또 하나의 이동 단말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웨이크업하는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당해 이동 단말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웨이크업하는 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단계201, 이동 단말의 가속도를 획득한다.
여기서, 이동 단말의 가속도는 이동 단말의 y축 방향으로의 제1 가속도 및 z축 방향으로의 제2 가속도를 포함하고, y축은 이동 단말의 입력 인터페이스가 작동되는 경우 이동 단말의 스크린의 길이 방향이고 z축은 이동 단말의 스크린에 수직되는 방향이며, y축의 순방향은 이동 단말의 하부에서 상부까지의 방향일 수 있고 z축의 순방향은 이동 단말에서 사용자에 근접하는 방향일 수 있으며, 이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 단말의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 각도를 모니터링하면서, 이와 동시에, 이동 단말 내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의 y축 방향 및 z축 방향으로의 가속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구분의 편의를 위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 단말의 y축 방향으로의 가속도를 제1 가속도로 지칭하고 z축 방향으로의 가속도를 제2 가속도로 지칭한다.
이동 단말이 입력 인터페이스를 작동시킨 후, 이동 단말 회전 시의 제1 가속도와 제2 가속도를 획득한다.
단계202, 제1 가속도와 제2 가속도에 따라,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에 따라 회전하는 시작 시각 및 종료 시각을 결정한다.
실제 응용에서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에 음성을 입력하는 경우, 이동 단말의 하부를 위로 일정 각도 치켜들어 사용자한테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이동 단말의 상부는 아래로 이동시킨다. 이로부터 알 수 있는바, 이동 단말이 회전을 시작하는 경우, 이동 단말의 y축 방향으로의 가속도는 0보다 작고 z축 방향으로의 가속도는 0보다 큰바, 회전을 종료하는 경우는 이와 상반되는 것으로, 이동 단말의 y축 방향으로의 가속도가 0보다 크고, z축 방향으로의 가속도가 0보다 작다. 따라서, 이동 단말에 있어서 y축 및 z축 방향으로의 가속도 크기에 따라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에 따라 회전하는 시작 시각과 종료 시각을 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의 y축 방향으로의 제1 가속도가 0보다 작고, z축 방향으로의 제2 가속도가 0보다 크고, 제1 가속도와 제2 가속도의 합이 제1의 미리 설정된 역치보다 큰 경우, 이를 이동 단말의 회전이 시작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고, 당시 시각을 이동 단말의 회전의 시작 시각으로 결정한다.
부연하자면, 이동 단말이 회전을 시작하고 일정 시간 이내에 제1 가속도와 제2 가속도는 모두 상술한 조건을 충족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입력 인터페이스가 작동된 후, 처음으로 모니터링되는, 제1 가속도와 제2 가속도가 상술한 조건을 충족하게 되는 시각을 회전의 시작 시각으로 한다.
이동 단말은 회전되는 과정에서, 이동 단말의 y축 방향 및 z축 방향으로의 가속도를 부단히 획득하고 판단을 진행하는바, 제1 가속도가 0보다 크고 제2 가속도가 0보다 작고 제1 가속도와 제2 가속도의 합이 제2의 미리 설정된 역치보다 크다는 것이 처음으로 모니터링되는 경우, 이는 이동 단말이 회전을 종료하였음을 말해주고, 따라서 당시 시각을 이동 단말의 회전의 종료 시각으로 결정한다.
부연하자면, 제1의 미리 설정된 역치 및 제2의 미리 설정된 역치는, 매번 사용자가 음성을 입력하기 전에 이동 단말의 회전을 시작할 때 및 이동 단말의 회전을 종료하고 음성을 입력할 때의, 이동 단말의 가속도를 통계함으로써 결정할 수 있다.
단계203, 시작 시각과 종료 시각 사이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역치 범위를 충족하고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가 제1 트리거링 역치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음성 인식 기능을 작동시킨다.
실제 응용에서는, 사용자가 음성을 입력하는 경우, 이동 단말을 회전시키는데 사용되는 시간이 통상적으로 일정 범위 내에 있게 되는 것으로, 당해 범위 내에 있지 않은 경우, 이는 이동 단말을 회전시키는데 사용되는 시간이 지나치게 길거나 또는 지나치게 짧다는 것을 말해주는바, 따라서 이때 이동 단말의 회전은 음성 입력과 무관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 단말의 회전의 시작 시각과 종료 시각 사이의 차이값을 산출하는바, 이동 단말의 회전의 시작 시각과 종료 시각 사이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역치 범위 내에 있고, 예를 들어 제3의 미리 설정된 역치보다 크고 제4 미리 설정된 역치보다 작으며,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가 제1 트리거링 역치보다 크거나 같다면, 다시 말해서, 입력 인터페이스를 작동시킨 후, 이동 단말의 회전 시간이 미리 설정된 역치 범위 내에 있고 회전 시간 내에 x축에서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 후,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가 제1 트리거링 역치보다 크거나 같다면, 음성 인식 기능을 작동시킨다.
여기서, 제3의 미리 설정된 역치와 제4의 미리 설정된 역치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을 회전시켜 음성을 입력하는데 사용되는 시간을 통계하여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도3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입력 인터페이스가 작동된 후, 이동 단말과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획득하고 이동 단말과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음성 인식 기능을 작동할 지 여부를 결정하는 조건 중 하나로 사용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 시간이 미리 설정된 역치 범위 내에 있고 이동 단말과 사용자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역치보다 작고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가 제1 트리거링 역치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에 음성 인식 기능을 작동시키는바, 이로써 음성 인식 기능을 작동시키는 정확성을 나아가 더 향상시킨다.
더 나아가, 흔들림으로 인한 음성 인식 기능의 오작동을 회피하기 위하여, 회전이 시작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 내의, 즉 이동 단말이 회전을 시작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 내의, 제1 가속도 절댓값과 제2 가속도 절댓값의 합이 제5의 미리 설정된 역치보다 큰지 여부를 더 판단할 수 있는바, 제5의 미리 설정된 역치보다 크고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는 시작 시각과 종료 시각 사이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역치 범위 내이고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가 제1 트리거링 역치보다 크거나 같고 이동 단말과 사용자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역치보다 작은 경우에 인식 기능을 작동시킨다. 따라서, 이동 단말이 왕복으로 흔들려서 오작동이 초래되는 것을 회피하고 음성 인식 기능을 작동시키는 정확성을 향상시킨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입력 인터페이스를 작동시킨 후,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 각도 및 회전 시 y축 방향으로의 가속도와 z축 방향으로의 가속도를 획득하고, 제1 가속도와 제2 가속도에 따라, 이동 단말의 회전의 시작 시각과 종료 시각을 결정하고, 회전에 사용되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역치 범위를 충족하고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가 제1 트리거링 역치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에 음성 인식 기능을 작동시키는바, 이로써 음성 인식 기능을 작동시키는 정확성을 대폭 향상시킨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 각도를 획득하는 경우, 우선 제1 각속도를 획득한 후, 제1 각속도에 따라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 각도를 획득할 수 있다. 아래 도4를 통하여 해석과 설명을 하고자 하는바, 도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하여 제공되는 다른 하나의 이동 단말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웨이크업하는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3에 도시한바와 같이, 상술한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 각도를 획득하는 단계는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301, 이동 단말의 x축에서 제1 회전 방향으로의 제1 각속도를 획득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 내의 자이로스코프를 통해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각속도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 시간을 기록한다.
단계302, 제1 각속도에 따라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 각도를 획득한다.
한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제1 각속도와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 시간을 곱한 결과를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 각도로 할 수 있다.
실제 응용에서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을 회전시키는 경우, 이동 단말을 회전시키는 속도는 일정 속도가 아닐 수 있는바, 다시 말해서, 이동 단말의 제1 각속도는 일정 속도가 아닐 수 있는 것으로, 따라서,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 각도의 산출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적분 방식으로 산출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는, 자이로스코프을 통해 이동 단말의 x축에서 제1 회전 방향으로의 제1 각속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 시간에 대한 제1 각속도의 적분을 실시간으로 산출하는바, 적분 결과가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 각도이다.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 각도를 산출한 후, 당해 회전 각도가 제1의 미리 설정된 역치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가 제1 트리거링 역치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음성 인식 기능을 작동시킨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입력 인터페이스를 작동시킨 후, 이동 단말의 각속도를 획득하고, 각속도에 따라,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 각도를 획득한다.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가 제1 트리거링 역치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음성 인식 기능을 자동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사용자 조작을 줄이고 음성 입력 효율을 향상시킨다.
실제 응용에서는, 사용자가 음성 입력을 종료한 후, 이동 단말을 옮기고, 이동 단말이 정상 사용 자세에 처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음성 인식 기능을 작동시킨 후, 사용자가 제1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 단말을 회전시키는 경우, 회전된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에 따라 음성 인식 기능을 턴오프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아래 도5에 결부하여 설명하고자 하는바, 도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하여 제공되는 또 하나의 이동 단말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웨이크업하는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성 인식 기능을 작동시키는 단계 이후, 당해 이동 단말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웨이크업하는 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단계401,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2 회전 방향으로의 제2 각속도를 획득하는바, 여기서, 제2 회전 방향은 제1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이다.
음성 인식 기능을 작동시킨 후,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하여 계속하여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2 회전 방향으로의 제2 각속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다. 여기서, 제2 회전 방향은 제1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이다. 예를 들어, 제1 회전 방향은 이동 단말의 스크린 방향이고 제2 회전 방향은 이동 단말의 스크린의 반대 방향이다.
단계402, 제2 각속도에 따라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2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를 획득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술한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를 산출하는 방법을 이용하면, 제2 각속도에 따라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2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를 산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이동 단말을 x축을 에워싸고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이때의 이동 단말의 위치에 따라 공간 직교 좌표계를 구축하는바,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의 스크린의 너비 방향을 x축으로, 이동 단말의 스크린의 길이 방향을 y축으로, 이동 단말의 스크린의 평면에 수직하는 방향을 z축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동 단말을 x축을 에워싸고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2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를 획득한다.
단계403,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2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가 제2 트리거링 역치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음성 인식 기능을 턴오프한다.
여기서, 제2 트리거링 역치는 제1 트리거링 역치보다 작다.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2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가 제2 트리거링 역치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사용자가 음성 인식 기능의 사용을 완료하였음을 예측할 수 있고 따라서 이동 단말은 음성 인식 기능을 자동으로 턴오프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2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가 제2 트리거링 역치에 도달하는 경우, 음성 인식 기능을 턴오프한다.
예를 들면, 가령 제1 트리거링 역치가 45°이고 제2 트리거링 역치가 15°라면, 이동 단말이 입력 인터페이스가 작동되는 경우, 회전이 종료될 때 이동 단말이 x축을 에워싸고 이동 단말의 스크린 방향으로 회전하는 각도가 47°인 것이 모니터링된다면,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가 47°인바 45°보다 크다고 결정할 수 있고 따라서 음성 인식 기능을 작동시킨다.
음성 인식 기능을 작동시킨 후, 이동 단말이 x축을 에워싸고 이동 단말의 스크린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는 것이 모니터링되는 경우, 이는 사용자가 음성 인식 기능의 사용을 완료하였음을 말해주고, 만약 이동 단말이 x축을 에워싸고 이동 단말의 스크린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각도가 16°인바 이는 제2 트리거링 역치15°보다 크다면 음성 인식 기능을 턴오프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이동 단말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웨이크업하는 방법은, 입력 인터페이스를 작동시킨 후,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 각도를 획득하고,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가 제1 트리거링 역치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음성 인식 기능을 작동시키고, 음성 인식 기능을 작동시킨 후,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의 제2 각속도를 획득함으로써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2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를 획득하고,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가 제2 트리거링 역치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음성 인식 기능을 턴오프하는바, 이로써 다음과 같은 것을 구현한다.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서로 다른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음성 인식 기능을 자동으로 작동시키거나 턴오프하는바, 사용자 조작을 줄일 뿐만아니라 음성 입력 효율을 향상시킨다.
나아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음성 인식 기능을 턴오프하는 경우, 일정한 착오 허용 처리를 하게 되는 것으로, 즉 제2 트리거링 역치는 제1 트리거링 역치보다 작은바, 사용자가 음성을 입력하는 과정에서 각도의 경미한 변화로 인하여 음성 인식 기능이 턴오프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2 트리거링 역치를 제1 트리거링 역치보다 작게 설치함으로써 음성 인식 기능이 작동된 후 일정한 착오 허용 공간이 있도록 허용하므로 음성 인식 기능이 지나치게 빠르게 턴오프되는 것이 방지된다.
서로 다른 사용자는 이동 단말을 사용하는 습관이 서로 다르므로, 사용자가 이동 단말을 정상적으로 사용하면서 음성을 입력하는 경우,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가 서로 다르다. 나아가, 음성 인식 기능을 작동시키는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 단말의 사용자가 매번 음성 인식 기능을 작동할 때마다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를 더 수집 가능하므로, 이동 단말의 사용자가 음성 인식 기능을 작동시키는 경우의,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각도의 샘플 집합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회전 각도의 샘플 집합에는 이동 단말의 사용자가 음성 인식 기능을 작동시키는 경우의,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가 포함된다.
그리고, 제1 회전 각도의 샘플 집합에 따라 제1 트리거링 역치를 수정함으로써 수정된 제1 트리거링 역치가 사용자가 음성 인식 기능을 작동시키는 경우의,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에 더욱 근접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회전 각도의 샘플 집합 중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의 평균치를 산출하고 제1 트리거링 역치와 평균치 사이의 차이값을 산출하고, 차이값에 따라 제1 트리거링 역치를 수정함으로써 제1 트리거링 역치가 당해 평균치와 같게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음성 인식 기능을 작동시키는 경우의,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에 따라 제1 트리거링 역치를 수정함으로써 제1 트리거링 역치가 사용자 습관에 더욱 근접하도록 하여 제1 트리거링 역치의 정확성을 향상시킨다.
마찬가지로, 음성 인식 기능을 턴오프하는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의 사용자가 매번 음성 인식 기능을 턴오프할 때마다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2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를 수집함으로써 이동 단말의 사용자가 음성 인식 기능을 턴오프하는 경우의,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2 회전 각도의 샘플 집합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회전 각도의 샘플 집합에는 이동 단말의 사용자가 음성 인식 기능을 턴오프하는 경우의,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2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가 포함된다.
그리고, 제2 회전 각도의 샘플 집합에 따라 제2 트리거링 역치를 수정함으로써 수정된 제2 트리거링 역치가 사용자가 음성 인식 기능을 턴오프하는 경우의,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2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에 더욱 근접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기의 음성 입력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매번 녹음 버튼을 놓을 때마다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2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를 획득함으로써 제2 회전 각도의 샘플 집합을 획득하고 제2 회전 각도의 샘플 집합 중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2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의 평균치를 산출하고, 제2 트리거링 역치와 평균치 사이의 차이값을 산출하고 차이값에 따라 제2 트리거링 역치를 수정하여 제2 트리거링 역치가 당해 평균치와 같게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가 음성 인식 기능을 턴오프하는 경우의,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2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에 따라 제2 트리거링 역치를 수정함으로써 수정된 제2 트리거링 역치가 사용자 습관에 더욱 근접하도록 하여 지나치게 빠르게 또는 지나치게 늦게 음성 인식 기능을 턴오프하는 것을 회피하고 제2 트리거링 역치의 정확성을 향상시킨다.
상술한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동 단말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웨이크업하는 장치를 더 제공한다. 도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하여 제공되는 이동 단말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웨이크업하는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당해 이동 단말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웨이크업하는 장치는,
입력 인터페이스의 트리거링 명령을 수신하고 입력 인터페이스를 작동시키는 수신 모듈(510);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 각도를 획득하는 제1 획득 모듈(520) - x축은 이동 단말의 스크린의 너비 방향임 -; 및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가 제1 트리거링 역치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음성 인식 기능을 작동시키는 작동 모듈(530); 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당해 장치는,
이동 단말의 가속도를 획득하는 제2 획득 모듈 - 가속도는 상기 이동 단말의 y축 방향으로의 제1 가속도와 z축 방향으로의 제2 가속도를 포함하고 y축은 상기 이동 단말의 스크린의 길이 방향이고 z축은 상기 이동 단말의 스크린에 수직인 방향임 -; 및
상기 제1 가속도와 상기 제2 가속도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이 x축에서 상기 제1 회전 방향에 따라 회전하는 시작 시각 및 종료 시각을 결정하는 결정 모듈; 을 더 포함하고,
상술한 작동 모듈(530)은 또한 상기 시작 시각과 상기 종료 시각 사이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역치 범위를 충족하고 이동 단말이 x축에서 상기 제1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가 제1 트리거링 역치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음성 인식 기능을 작동시킨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술한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가속도가 0보다 작고 상기 제2 가속도가 0보다 크고 상기 제1 가속도와 상기 제2 가속도의 합이 제1의 미리 설정된 역치보다 클 때의 시각을 상기 시작 시각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1 가속도가 0보다 크고 상기 제2 가속도가 0보다 작고 상기 제1 가속도와 상기 제2 가속도의 합이 제2의 미리 설정된 역치보다 클 때의 시각을 상기 종료 시각으로 결정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술한 제1 획득 모듈(520)은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으로의 제1 각속도를 획득하고,
제1 각속도에 따라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 각도를 획득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당해 장치는,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2 회전 방향으로의 제2 각속도를 획득하는 제3 획득 모듈 - 여기서, 제2 회전 방향은 제1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임 -;
제2 각속도에 따라 이동 단말의 상기 x축에서의 회전 각도를 획득하는 제4 획득 모듈; 및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2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가 제2 트리거링 역치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음성 인식 기능을 턴오프하는 턴오프 모듈 - 제2 트리거링 역치는 제1 트리거링 역치보다 작음 -;을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당해 장치는,
이동 단말의 사용자가 음성 인식 기능을 작동시키는 경우의,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각도의 샘플 집합을 획득하는 제5 획득 모듈; 및
제1 회전 각도의 샘플 집합에 따라 제1 트리거링 역치를 수정하는 제1 수정 모듈; 을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당해 장치는,
이동 단말의 사용자가 음성 인식 기능을 턴오프하는 경우의,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2 회전 각도의 샘플 집합을 획득하는 제6 획득 모듈; 및
제2 회전 각도의 샘플 집합에 따라 제2 트리거링 역치를 수정하는 제2 수정 모듈; 을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당해 장치는,
상기 이동 단말과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획득하는 제7 획득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술한 작동 모듈(530)은 또한, 이동 단말과 사용자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역치보다 작고 이동 단말의 상기 x축에서 제1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가 제1 트리거링 역치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음성 인식 기능을 작동시킨다.
전술한 이동 단말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웨이크업하는 방법의 실시예에 대한 해석과 설명은 당해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웨이크업하는 장치에도 적용되는바,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함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이동 단말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웨이크업하는 장치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작동시킨 후,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 각도를 획득하고,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가 제1 트리거링 역치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에 음성 인식 기능을 작동시키는바, 이로써 다음과 같은 것이 구현된다.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에 따라 음성 인식 기능을 자동으로 작동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수동으로 음성 기능 버튼을 클릭할 필요 없이 음성 입력이 가능하여 사용자 조작을 줄이고 사용자의 두 손을 해방시키고 음성 입력 효율을 향상시킨다.
상술한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동 단말을 더 제공한다. 도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하여 제공되는 이동 단말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당해 이동 단말은 프로세서(610)와 메모리(620)를 포함하고;
여기서, 프로세서(610)는 메모리(620)에 저장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판독함으로써,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에 대응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웨이크업하는 방법을 구현한다.
상술한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는바, 당해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경우,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웨이크업하는 방법을 구현한다.
본 명세서의 설명에서, 용어 '제1', '제2'는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일 뿐, 이를 상대적 중요성을 가리키거나 암시하는 것으로, 또는 가리키는 기술적 특징의 수량을 암묵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안된다. 따라서 '제1', '제2'로 한정되는 특징은 명시적으로 또는 암묵적으로 당해의 특징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흐름도에서 또는 여기서 기타 방식으로 설명되는 임의의 과정 또는 방법에 대한 설명은, 하나 또는 더 많은 사용자 정의 논리 기능 또는 과정의 단계를 구현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코드 모듈, 조각 또는 부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고, 본 출원의 바람직한 구현 방식의 범위에는 기타의 구현이 포함되는 것으로, 여기서는 도시한 또는 토론되는 순서에 따르지 않을 수도 있는바, 관련된 기능에 따라, 기본적으로 동시간적인 방식으로 또는 상반되는 순서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포함되며, 본 출원의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이를 이해하여야 한다.
흐름도에 표시되거나 또는 여기서 기타 방식으로 설명되는 논리 및/또는 단계는, 예를 들면, 논리 기능을 구현하는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시퀀싱 테이블(sequencing table)로 간주될 수 있고, 임의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구체적으로 구현되어 명령어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기기(예를 들면, 컴퓨터 기반 시스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기타의 명령어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기기로부터 명령어를 취하여 실행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사용되거나 또는 이러한 명령어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기기에 결부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프로그램을 포함, 저장, 통신, 전파 또는 전송하여 명령어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기기에 의하여 또는 이러한 명령어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기기에 결합되어 사용 가능한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더 구체적인 예시(불완전 리스트)는 이하, 하나 또는 복수의 배선을 구비하는 전기 연결부(전자 장치), 휴대형 컴퓨터 인클로저(enclosure)(자기 장치),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 광섬유 장치, 및 휴대형 컴팩트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CDROM)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심지어는 상기 프로그램을 프린트할 수 있는 종이 또는 기타의 적합한 매체일 수 있는바, 왜냐하면, 예를 들면, 종이 또는 기타의 매체를 광학적으로 스캔한 후, 편집, 해석 또는 필요 시 기타의 적합한 방식으로 처리하여 전자 방식으로 상기 프로그램을 획득하고 이를 컴퓨터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출원의 각 부분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상술한 구현 방식에서 복수의 단계 또는 방법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적합한 명령어 실행 시스템에 의하여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구현하는 것이 다른 구현 방식에서와 같다면, 데이터 신호에 대하여 논리 기능을 구현하는 로직 게이트 회로를 구비하는 이산 논리 회로, 적합한 조합 논리 게이트 회로를 구비하는 주문형 집적회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PGA),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등 본 분야의 공지의 기술 중의 임의의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상술한 실시예의 방법에 포함되는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구현하는 것은 프로그램을 통하여 관련되는 하드웨어에 명령하여 완성할수 있고,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고, 당해 프로그램은 실행되는 경우, 방법 실시예의 단계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게 됨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각 실시예에서 각 기능적 유닛는 하나의 처리 모듈에 집적될 수도 있고 각 유닛이 단독적으로 물리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고 둘 또는 둘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모듈에 집적될 수도 있다. 상술한 집적된 모듈은 하드웨어 형식을 적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 기능 모듈의 형식을 적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집적된 모듈은 소프트웨어 기능 모듈의 형식으로 구현되어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되거나 사용되는 경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도 있다.
상술한 저장 매체는 판독 전용 메모리,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일 수 있다. 비록 위에서 이미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출원에 대한 한정으로 이해하여서는 안되며, 당업자라면 본 출원의 범위 내에서 상술한 실시예에 대한 변경, 수정, 치환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Claims (18)

  1. 이동 단말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웨이크업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력 인터페이스의 트리거링 명령을 수신하고, 입력 인터페이스를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과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의 가속도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가속도는 상기 이동 단말의 y축 방향으로의 제1 가속도와 z축 방향으로의 제2 가속도를 포함하고, 상기 y축은 상기 이동 단말의 스크린의 길이 방향이고, 상기 z축은 상기 이동 단말의 스크린에 수직인 방향임 -;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 각도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x축은 상기 이동 단말의 스크린의 너비 방향임 - ;
    상기 제1 가속도와 상기 제2 가속도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이 x축에서 상기 제1 회전 방향에 따라 회전하는 시작 시각 및 종료 시각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과 사용자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역치보다 작고, 상기 시작 시각과 상기 종료 시각 사이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역치 범위를 충족하고, 상기 이동 단말의 상기 x축에서의 상기 제1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가 제1 트리거링 역치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음성 인식 기능을 작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웨이크업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속도와 상기 제2 가속도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이 x축에서 상기 제1 회전 방향에 따라 회전하는 시작 시각 및 종료 시각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가속도가 0보다 작고, 상기 제2 가속도가 0보다 크고, 상기 제1 가속도와 상기 제2 가속도의 합이 제1의 미리 설정된 역치보다 클 때의 시각을 상기 시작 시각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속도가 0보다 크고, 상기 제2 가속도가 0보다 작고, 상기 제1 가속도와 상기 제2 가속도의 합이 제2의 미리 설정된 역치보다 클 때의 시각을 상기 종료 시각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웨이크업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 각도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의 상기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으로의 제1 각속도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각속도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의 상기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 각도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웨이크업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인식 기능을 작동시키는 단계 이후,
    상기 이동 단말의 상기 x축에서의 제2 회전 방향으로의 제2 각속도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2 회전 방향은 상기 제1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임 - ;
    상기 제2 각속도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의 상기 x축에서의 상기 제2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의 상기 x축에서의 상기 제2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가 제2 트리거링 역치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상기 음성 인식 기능을 턴오프하는 단계 - 상기 제2 트리거링 역치는 상기 제1 트리거링 역치보다 작음 - ; 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웨이크업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음성 인식 기능을 작동시키는 경우의 상기 이동 단말의 상기 x축에서의 제1 회전 각도의 샘플 집합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회전 각도의 샘플 집합에 따라 상기 제1 트리거링 역치를 수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웨이크업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음성 인식 기능을 턴오프하는 경우의 상기 이동 단말의 상기 x축에서의 제2 회전 각도의 샘플 집합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회전 각도의 샘플 집합에 따라 상기 제2 트리거링 역치를 수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웨이크업하는 방법.
  7. 이동 단말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웨이크업하는 장치에 있어서,
    입력 인터페이스의 트리거링 명령을 수신하고 입력 인터페이스를 작동시키는 수신 모듈;
    상기 이동 단말과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획득하는 제7 획득 모듈;
    상기 이동 단말의 가속도를 획득하는 제2 획득 모듈 - 상기 가속도는 상기 이동 단말의 y축 방향으로의 제1 가속도와 z축 방향으로의 제2 가속도를 포함하고, 상기 y축은 상기 이동 단말의 스크린의 길이 방향이고, 상기 z축은 상기 이동 단말의 스크린에 수직인 방향임 -;
    이동 단말의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 각도를 획득하는 제1 획득 모듈 - 상기 x축은 상기 이동 단말의 스크린의 너비 방향임 -;
    상기 제1 가속도와 상기 제2 가속도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이 x축에서 상기 제1 회전 방향에 따라 회전하는 시작 시각 및 종료 시각을 결정하는 결정 모듈; 및
    상기 이동 단말과 사용자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역치보다 작고, 상기 시작 시각과 상기 종료 시각 사이의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역치 범위를 충족하고, 상기 이동 단말의 상기 x축에서의 상기 제1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가 제1 트리거링 역치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음성 인식 기능을 작동시키는 작동 모듈; 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웨이크업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가속도가 0보다 작고, 상기 제2 가속도가 0보다 크고, 상기 제1 가속도와 상기 제2 가속도의 합이 제1의 미리 설정된 역치보다 클 때의 시각을 상기 시작 시각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1 가속도가 0보다 크고, 상기 제2 가속도가 0보다 작고, 상기 제1 가속도와 상기 제2 가속도의 합이 제2의 미리 설정된 역치보다 클 때의 시각을 상기 종료 시각으로 결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웨이크업하는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획득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 단말의 상기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으로의 제1 각속도를 획득하고,
    상기 제1 각속도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의 상기 x축에서의 제1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 각도를 획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웨이크업하는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의 상기 x축에서의 제2 회전 방향으로의 제2 각속도를 획득하는 제3 획득 모듈 - 상기 제2 회전 방향은 상기 제1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임 -;
    상기 제2 각속도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의 상기 x축에서의 상기 제2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를 획득하는 제4 획득 모듈; 및
    상기 이동 단말의 상기 x축에서의 상기 제2 회전 방향에 따른 회전 각도가 제2 트리거링 역치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상기 음성 인식 기능을 턴오프하는 턴오프 모듈 - 상기 제2 트리거링 역치는 상기 제1 트리거링 역치보다 작음-; 을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웨이크업하는 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음성 인식 기능을 작동시키는 경우의 상기 이동 단말의 상기 x축에서의 제1 회전 각도의 샘플 집합을 획득하는 제5 획득 모듈; 및
    상기 제1 회전 각도의 샘플 집합에 따라 상기 제1 트리거링 역치를 수정하는 제1 수정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웨이크업하는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음성 인식 기능을 턴오프하는 경우의 상기 이동 단말의 상기 x축에서의 제2 회전 각도의 샘플 집합을 획득하는 제6 획득 모듈; 및
    상기 제2 회전 각도의 샘플 집합에 따라 상기 제2 트리거링 역치를 수정하는 제2 수정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웨이크업하는 장치.
  13. 이동 단말에 있어서,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판독함으로써 상기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에 대응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이동 단말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웨이크업하는 방법을 구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14.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당해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경우,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이동 단말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웨이크업하는 방법을 구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90173635A 2019-01-03 2019-12-24 이동 단말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웨이크업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3496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005247.5 2019-01-03
CN201910005247.5A CN109618059A (zh) 2019-01-03 2019-01-03 移动终端中语音识别功能的唤醒方法和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5220A KR20200085220A (ko) 2020-07-14
KR102349666B1 true KR102349666B1 (ko) 2022-01-10

Family

ID=66017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3635A KR102349666B1 (ko) 2019-01-03 2019-12-24 이동 단말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웨이크업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265414B2 (ko)
EP (1) EP3677987A1 (ko)
JP (1) JP6951408B2 (ko)
KR (1) KR102349666B1 (ko)
CN (1) CN10961805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70023A (zh) * 2019-10-17 2020-04-0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语音设备的控制装置、语音交互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1131950B (zh) * 2019-12-26 2021-06-29 广东思派康电子科技有限公司 三轴加速度感应器控制麦克风开关的方法、电子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429902B (zh) * 2020-03-17 2023-08-18 阿波罗智联(北京)科技有限公司 用于唤醒设备的方法和装置
CN111538470B (zh) * 2020-04-14 2023-09-2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信息输入方法、装置及终端设备
CN112216283B (zh) * 2020-09-24 2024-02-23 建信金融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语音识别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230006999A (ko) * 2021-07-05 2023-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948569B2 (en) 2021-07-05 2024-04-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14237025A (zh) * 2021-12-17 2022-03-25 上海小度技术有限公司 语音交互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KR20230138656A (ko) * 2022-03-24 2023-10-05 주식회사 브이터치 음성 인식 트리거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62065A1 (en) * 2015-02-26 2017-09-14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Gesture Detection in an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69241A1 (ja) * 2006-12-06 2008-06-12 Alps Electric Co., Ltd. モーションセンシングプログラム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コンパス
US8112281B2 (en) * 2007-12-19 2012-02-07 Enbiomedic Accelerometer-based control of wearable audio recorders
US9009053B2 (en) * 2008-11-10 2015-04-14 Google Inc. Multisensory speech detection
JP5646146B2 (ja) * 2009-03-18 2014-12-24 株式会社東芝 音声入力装置、音声認識システム及び音声認識方法
CN102265252B (zh) * 2011-06-24 2013-04-24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调整红外接近传感器的感知阈值的方法和装置
US20130053007A1 (en) * 2011-08-24 2013-02-28 Microsoft Corporation Gesture-based input mode selection for mobile devices
CN103701981B (zh) * 2012-09-27 2016-05-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语音识别功能的方法及装置
ITTO20121070A1 (it) * 2012-12-13 2014-06-14 Istituto Superiore Mario Boella Sul Le Tecnologie Sistema di comunicazione senza fili a corto raggio comprendente un sensore a corto raggio di comunicazione e un terminale mobile avente funzionalita' migliorate, e relativo metodo
KR102160767B1 (ko) * 2013-06-20 2020-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스처를 감지하여 기능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KR20150040445A (ko) * 2013-10-07 2015-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는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6318642B2 (ja) * 2014-01-24 2018-05-09 富士通株式会社 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03928025B (zh) * 2014-04-08 2017-06-2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语音识别的方法及移动终端
WO2016017978A1 (en) * 2014-07-31 2016-0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functions
CN104298904A (zh) * 2014-09-30 2015-01-21 北京金山安全软件有限公司 移动终端的语音识别功能控制方法、装置和移动终端
CN104657105B (zh) * 2015-01-30 2016-10-2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开启终端的语音输入功能的方法和装置
KR101728941B1 (ko) * 2015-02-03 2017-04-20 주식회사 시그널비젼 음성 인식 기반 애플리케이션 구동 장치 및 제어 방법
CN105092891B (zh) * 2015-09-01 2019-10-01 深圳Tcl数字技术有限公司 终端甩屏识别方法及装置
CN106251605B (zh) * 2016-09-22 2018-04-1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语音识别功能的启动方法、装置和系统及遥控器
CN106534490A (zh) * 2016-10-17 2017-03-22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穿戴式设备
JP6876936B2 (ja) * 2016-11-11 2021-05-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翻訳装置の制御方法、翻訳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06941561A (zh) * 2017-02-16 2017-07-11 上海与德通讯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的跌落检测方法、跌落防护方法以及移动终端
US20190379822A1 (en) * 2017-02-23 2019-12-12 5l Corporation Pty. Limited Camera apparatus
US10928918B2 (en) * 2018-05-07 2021-02-23 Apple Inc. Raise to spea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62065A1 (en) * 2015-02-26 2017-09-14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Gesture Detection in an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5220A (ko) 2020-07-14
JP6951408B2 (ja) 2021-10-20
US11265414B2 (en) 2022-03-01
EP3677987A1 (en) 2020-07-08
CN109618059A (zh) 2019-04-12
JP2020109654A (ja) 2020-07-16
US20200220967A1 (en) 2020-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9666B1 (ko) 이동 단말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웨이크업하는 방법 및 장치
JP7061465B2 (ja) 指紋認識を用いる操作方法、装置、およびモバイル端末
JP2019109909A (ja) ユーザの接触に基づいて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を表示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6000797B2 (ja) タッチパネル式入力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0025737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rate control of haptic effects with sensor fusion
US201702858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touchscreen misoperation
EP2730999A1 (en) Touch operation processing method and terminal device
WO2017133498A1 (zh) 智能设备以及智能设备控制方法
JP2007317159A (ja) 電子装置の入力装置およびその入力方法
US2013032278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223119B1 (en)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object attribute information
JP2016529608A (ja) スクリーンキャプチャ方法、装置、および端末デバイス
US2015016916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Overlapping Input to Digital Map Functions
CN106462348A (zh) 设备的可调参数的调整方法和设备
CN103513788A (zh) 基于陀螺仪传感器的手势识别方法、系统及移动终端
CN111142655A (zh) 交互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2653948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 function in electronic device
CN106598422B (zh) 混合操控方法及操控系统和电子设备
CN104252330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WO2023216613A1 (zh) 一种控制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N107155002B (zh) 光标移动方法及系统
US1068565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WO2023077292A1 (zh) 触控板控制终端屏幕的方法、装置、控制设备及存储介质
CN106383658B (zh) 一种虚拟按键的操作方法及系统
TWI681316B (zh) 電子設備及手勢導航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