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9431B1 - 이동식 선회 낙뢰보호 대차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식 선회 낙뢰보호 대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9431B1
KR102349431B1 KR1020210065623A KR20210065623A KR102349431B1 KR 102349431 B1 KR102349431 B1 KR 102349431B1 KR 1020210065623 A KR1020210065623 A KR 1020210065623A KR 20210065623 A KR20210065623 A KR 20210065623A KR 102349431 B1 KR102349431 B1 KR 102349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ning
driving
bogie
mobile electric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5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옥규열
채승수
Original Assignee
넥스젠글로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스젠글로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스젠글로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5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94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5/00Other railway vehicles, e.g. scaffold cars; Adaptations of vehicles for use on rail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7/00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e of control gear and control systems
    • B61C17/12Control gear;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locomotives from remote points in the train or when operating in multiple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3/00Electric locomotives or railcars
    • B61C3/02Electric locomotives or railcars with electric accum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9/00Other deta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 H02G13/80Discharge by conduction or dissipation, e.g. rods, arresters, spark ga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30/00Transportation of goods or passengers via railways, e.g. energy recovery or reducing air resistance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선회 낙뢰보호 대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레이더 또는 전자통신설비가 내부에 마련되는 레이돔의 주변에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전기대차와; 상기 이동전기대차의 상단 중앙에 소정의 높이로 수직 설치되는 마스트와; 상기 마스트의 상단에 연결 설치되는 낙뢰를 직접적으로 유도하는 피뢰침과; 상기 마스트를 따라 상기 피뢰침과 하기 접지바를 연결하여 피뢰침을 통해 접수된 낙뢰의 충격전류를 접지바까지 전달하는 인하도선과; 지면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전기대차의 하부에 접지 구비되는 접지바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지면에 설치되어 상기 접지바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전류를 전송하는 트로리바를 포함하여 최종 처리하는 접지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전기대차의 피뢰침을 레이더의 탐지 방향에 방해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하여 우천시 발생하는 낙뢰로부터 레이돔을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레이더 또는 전자통신설비가 내부에 마련되는 레이돔의 주변에 설치되어, 레이더의 탐지 방향에 방해되지 않는 위치로 이동되면서도 우천 시의 발생하는 낙뢰에 레이돔의 레이더 또는 전자통신설비를 낙뢰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이동식 선회 낙뢰보호 대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식 선회 낙뢰보호 대차 시스템{A bogie system that protects against lightning while turning a mobile vehicle}
본 발명은 이동식 선회 낙뢰보호 대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레이더 또는 전자통신설비가 내부에 마련되는 레이돔의 주변에 설치되어, 레이더의 탐지 방향에 방해되지 않는 위치로 이동되면서도 우천 시의 발생하는 낙뢰에 레이돔의 레이더 또는 전자통신설비를 낙뢰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이동식 선회 낙뢰보호 대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구의 온난화가 빠르게 진행됨에 따라 낙뢰의 횟수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으며, 낙뢰의 강도가 나날이 강해지고 있다.
이로 인해 인명 및 통신시설에 대한 피해가 급격히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모든 산업분야에 사용되고 있는 전자통신 장비를 낙뢰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건물 또는 통신 탑과 같은 고정 구조물에는 피뢰침을 설치하고, 이동전기대차와 같은 이동식 설비에는 접지바를 설치하여 낙뢰에 의한 통신장비의 피해를 예방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레이더(Radar)는 3㎒~300㎓의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물체의 위치와 거리를 감지하고 측정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레이더로는 군사용 레이더, 방송국 기상 레이더, 항공 레이더, 및 해안 감시 레이더 등이 있으며, 이와같이 레이더의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주변 환경의 물체를 탐지하는 시설물에는 레이더의 운용을 위한 전자통신설비들이 구비되고, 레이더의 안테나를 열, 습기 및 기계적 충격과 같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레이돔이 설치되고 있다.
이때, 레이돔의 경우 외부 환경의 열, 습기, 및 기계적 충격을 보호하는 단순구조물에 그치고 있으며, 우천 시의 낙뢰로부터 레이돔(레이더)에 구비되는 전자통신설비의 시설물을 보호하기 위해 별도의 피뢰침 장치가 레이돔의 주변에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피뢰침 장치는 레이돔(레이더)의 주변에 고정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레이더의 탐지 방향이 변경되는 경우 레이더의 탐지에 방해가 될 뿐만 아니라, 그로인한 정상적인 레이더의 탐지 운용을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군사용 레이더의 경우에 발생되는 레이더의 탐지 성능의 방해는 탐지 정확도 및 분해능 저하에 치명적이고, 탐지 시에 거리 오차와 각도 오차를 발생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대하여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는 레이돔의 둘레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대차본체에 피뢰침을 설치하여 낙뢰를 회피할 수 있었다.
그러나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대차본체가 눈/비에 의해 미끄러지거나 강풍에 의해 밀려 주기적인 이동이 원활하지 못하고,
트로리바의 지면 접지가 불안정하여 피뢰침으로 낙뢰를 받더라도 지면으로 흐르지 못하고 반사하여 레이돔에 충격을 주어 내부 레이더 장비의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일반 철도 레일로 적용되어 있어 급선회시 또는 강풍에 의해 쓰러지므로 안정성 확보에 어려움이 있다.
KR 10-1884340 B1 KR 10-2194945 B1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레이돔의 주변에 설치되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대차본체에 피뢰침을 설치하여 레이더의 탐지 방향에 방해되지 않는 위치로 이동되면서도 우천 시의 발생하는 낙뢰에 레이돔의 레이더 또는 전자통신설비를 낙뢰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이동식 선회 낙뢰보호 대차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레이더 또는 전자통신설비가 내부에 마련되는 레이돔의 주변에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전기대차와; 상기 이동전기대차의 상단 중앙에 소정의 높이로 수직 설치되는 마스트와; 상기 마스트의 상단에 연결 설치되는 낙뢰를 직접적으로 유도하는 피뢰침과; 상기 마스트를 따라 상기 피뢰침과 하기 접지바를 연결하여 피뢰침을 통해 접수된 낙뢰의 충격전류를 접지바까지 전달하는 인하도선과; 지면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전기대차의 하부에 접지 구비되는 접지바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지면에 설치되어 상기 접지바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전류를 전송하는 트로리바를 포함하여 최종 처리하는 접지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전기대차의 피뢰침을 레이더의 탐지 방향에 방해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하여 우천시 발생하는 낙뢰로부터 레이돔을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선회 낙뢰보호 대차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전기대차는 구동전원부 및 구동모터가 내장되며, 상기 마스트가 상단에 장착 가능한 대차본체본체와; 상기 대차본체본체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전원부 및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레일부를 따라 회전 구동하는 구동휠부와;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동전기대차 원리로 구동하여 레일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구동전원부는 동모터에 주전원을 제공하는 메인배터리와; 상기 메인배터리의 방전시 AC 220V 단상전력 방식으로 보조전원으로 제공하는 보조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무선으로 원격 제어하는 무선제어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유선으로 원격 제어하는 유선제어기 중 어느 한가지를 이용하는 자동제어 방식으로 구성되거나, 자동제어가 불가능한 경우 인력으로 이동시키는 수동제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에는 평상시에 DC 60V 전력이 충전기를 통해 메인배터리에 충전된 상태에서 구동모터의 구동으로 인해 이동하는 경우 AC 60V 전력으로 구동모터에 변환 제공하는 DC/AC컨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접지바의 단부에는 상기 이동전기대차의 이동시 트로리바로부터 접지바의 접촉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인크로저 타입의 접지커넥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레이더의 탐지 방향에 방해되지 않는 위치로 이동되면서도 우천 시의 발생하는 낙뢰에 레이돔의 레이더 또는 전자통신설비를 낙뢰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선회 낙뢰보호 대차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선회 낙뢰보호 대차 시스템에 적용되는 이동전기대차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선회 낙뢰보호 대차 시스템에 적용되는 이동전기대차를 나타내는 측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선회 낙뢰보호 대차 시스템에 적용되는 이동전기대차의 구동관계를 나타내는 개념도.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동일한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동식 선회 낙뢰보호 대차 시스템(2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돔(10)의 주변에 위성 방식으로 피뢰침(400)을 이동시키는 구조를 제안하여 레이더의 안테나 방향에 따라 피뢰침(400) 및 마스트(300)가 전파의 영향이 없도록 이동을 시켜서 낙뢰가 발생시 접지하도록 필요 시 움직이도록 제작 운영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레이더 또는 전자통신설비(이하, 통신설비)가 내부에 마련되는 레이돔(10)의 주변에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레일부(100)와; 상기 레일부(100)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전기대차(200)를 포함하여 레이돔(10)의 주변에 이동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전기대차(200)는 필요 시 움직여야 하기 때문에 1차적으로는 배터리로 항상 이동전기대차(200)와 같이 이동하고, 2차적으로는 비상시 배터리가 안될 시를 대비하여 AC 220V 단상전원을 필요 시 언제든지 연결하여 이동전기대차(200)를 움직일 수 있는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이동전기대차(200)의 상단 중앙에 소정의 높이로 수직 마스트(300)가 설치되고, 그 상단 단부에는 낙뢰를 직접적으로 유도하는 피뢰침(400)이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마스트(300)는 레이돔(10)의 통상 높이 12.5m 보다 더 높은 위치에 피뢰침(400)이 설치치되록 20m 이상의 길이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접지바(600)의 단부에는 상기 이동전기대차(200)의 이동시 트로리바(710)로부터 접지바(600)의 접촉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인크로저 타입의 접지커넥터(61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피뢰침(400)과 마스트(300)의 높이에 따라 피뢰침(400)을 레이돔(10) 보다 높은 곳에 설치하여 낙뢰를 유도할 수 있어 마스트(300)를 따라 연결되는 인하도선(500)을 따라 지면에 설치하는 접지커넥터(610)로 보내어 접지바(600)를 통하여 충격전류를 지상의 트로리바(710)를 통해 흘려보내어 낙뢰에 의한 통신설비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전기대차(200)는 마스트(300)를 운영자가 쉽게 움직이도록 지상에서 레이더의 운영자가 피뢰침(400)의 위치를 바꾸고자 원할 때 언제든지 쉽게 이동하도록 이동전기대차(200)로 제작하여 움직이도록 구성해야 한다.
이러한, 이동전기대차(200)의 이동방법은 사용자가 언제든지 전기로 충전된 이동전기대차(200)를 움직이기를 원할시는 언제든지 무선제어기(251)로 이동전기대차(200)를 움직일 수 있으며, 무선이 고장나면 유선으로 원격 조정이 가능하다.
즉, 이동전기대차(200)의 전기적 구동력이 상실되면, 수동으로 인력을 이용하여 밀어서 움직이도록 한다.
낙뢰가 피뢰침(400)에 유도되어 대차본체(210)의 하단에 설치되어있는 트로리바(710)에 충격전류를 유도시키어 언제든지 이동전기대차(200)가 움직이더라도 지면의 접지시스템(700)에 유도하도록 한다.
기존의 시스템에 비해 이동전기대차(200)가 움직일 때 접지커넥터(610)가 트로리바(710)에서 자주 빠져서 문제점이 있던 것을 인크로져 타입으로 만들어 접지커넥터(610)가 빠지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레이돔(10)의 높이는 통상 12.5m 정도이고 피뢰침(400)의 설치되는 높이는 레이돔(10) 보다 높게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마스트(300)의 높이는 18m로 설치하고 그 위에 2m 높이로 피뢰침(400)을 설치하여 총 높이를 20m 이상으로 하여 지면에 트로리바(710)를 설치하여 충격전류를 유도한다.
이때, 피뢰침(400)은 형태(OMNI SK-9)가 쌍극자를 설치하여 뇌운(번개, 천둥 등) 발생 시 전기 쌍극자 이론에 의해 일반 피뢰침(400)보다 빠르게 많은 이온을 발생하여 대기중으로 방출 하며, 피뢰침(400)에서 방출된 이온은 주변의 반대 극성 이온과 결합하여 주변 전계를 감소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전기대차(200)의 하부에는 지면에 대응하여 접지바(600)가 접지 구비된다.
피뢰침(400)을 통해 접수된 낙뢰의 충격전류를 접지바(600)까지 전달하는 인하도선(500)이 상기 마스트(300)를 따라 상기 피뢰침(400)과 하기 접지바(600)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레일부(100)를 따라 지면에는 상기 접지바(600)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전류를 전송하는 트로리바(710)를 포함하여 최종 처리하는 접지시스템(700)이 설치될 수 있다.
레일부(100)의 레일은 일반 철도의 전용 레일이 아닌 본 장치에 최적화 되는 것으로 레일을 지면에 강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고정쇠는 500미터 간격으로 지면콘크리트에 앙커(ANCHOR)를 박아서 레일을 고정하여 레일을 설치하고 장비를 설치 할 때에는 구조진단을 받아서 설치 하여 안전에 기하도록 한다.
상기 레일부(100)를 따라 이동전기대차(200)의 피뢰침(400)을 레이더의 탐지 방향에 방해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하여 우천시 발생하는 낙뢰로부터 레이돔(10)을 보호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전기대차(200)는 구동전원부(220) 및 구동모터(230)가 내장되며, 상기 마스트(300)가 상단에 장착 가능한 대차본체(210)와; 상기 대차본체(210)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전원부(220) 및 구동모터(230)의 구동에 의해 상기 레일부(100)를 따라 회전 구동하는 구동휠부(240)와; 상기 구동모터(230)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부(250)를 포함하여 이동전기대차(200)의 원리로 구동하여 레일부(10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한편, 상기 구동전원부(220)는 메인배터리(221), 보조전원부(223) 및 충전기(227)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배터리(221)는 구동모터(230)에 주전원을 제공하는 것으로 대차본체(210)에 내장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보조전원부(223)는 AC 220V 단상전력 방식으로 보조전원으로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메인배터리(221)의 방전시 충전기(227)를 거치지 않고 변압기를 통해 구동모터(230)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제어부(250)는 상기 구동모터(230)의 구동을 무선으로 원격 제어하는 무선제어기(251)와; 상기 구동모터(230)의 구동을 유선으로 원격 제어하는 유선제어기(253) 중 어느 한가지를 이용하는 자동제어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자동제어가 불가능한 경우 인력으로 이동시키는 수동제어도 가능하다.
즉, 구동제어부(250)를 이용하여 1차 및 2차 단계를 적용할 수 있다.
1차적으로는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와 같은, 무선제어기(251)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제어하여 이동전기대차(200)의 이동 및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2차적으로는 구동제어부(250)에 직접 연결된 케이블 컨트롤러(cable controller)와 같은, 유선제어기(253)를 이용하여 이동전기대차(200)의 이동 및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3차적으로는 1차 및 2차에서 자동제어가 불가능한 경우 즉, 배터리 또는 전원 이상으로 전력을 공급받지 못하는 경우 제동을 풀어 인력으로 견인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모터(230)에는 평상시에 DC 60V 전력이 충전기(227)를 통해 메인배터리(221)에 충전된 상태에서 구동모터(230)의 구동으로 인해 이동하는 경우 AC 60V 전력으로 구동모터(230)에 변환 제공하는 DC/AC컨버터(2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시스템에 적용되는 구동모터(230), 충전기(227) 및 구동휠부(240)에 경우 아래와 같이, 각 부품의 사양을 설명한다.
구동모터(230)는 평상시는 항상 DC 60V전기를 충전기(227)를 통하여 DC전기를 배터리가 충전하고 있다가 이동전기대차(200)가 움직일 때 DC 60V전기를 AC 60V로 바꾸어서 모터를 움직여서 동력을 발생한다.
충전기(227)는 이동전기대차(200)를 움직이지 않을 때 배터리에 DC 60V전기를 항시 충전을 하여 필요 시 사용토록 한다.
구동휠부(240)에 경우 각 모터에 대응하여 앞바퀴와 뒷바퀴 축에 직접 연결하여 구동모터(230)의 동력을 축에 직접 전달하여 큰 동력을 갖도록 한다.
또한, 구동모터(230)에서 나온 동력을 바퀴로 전달하는 축인 '드라이브 샤프트'와 바퀴에 연결하는 '휠 베어링'을 한 몸으로 구성하여 강성을 높이고 중량은 낮추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구동휠부(240)와 구동모터(230)의 사이에 감속기(235)를 더 구비하여 각 구동모터(230)에 대해 100:1로 감속 하여 힘을 많이 얻도록 한다. 감속기(235)는 보통 일련의 기어장치와 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해진 감속비로 구동기어의 회전력을 감소시켜 종동기어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이동전기대차(200)에 구동모터(230)는 모터와 감속기(235)가 일체형인 기성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이동전기대차(200)의 전장에 경우 길이(L)는 3300MM이고, 폭(W)은 2600MM이며, 높이(T)는 350MM로 제공된다.
이동전기대차(200)에 적재하여 최대로 운행할 수 있는 무게로 최대 1000kg을 적재할 수 있다.
최대 시속 4KM이며, 저속으로 운행하고 언제든지 0~4KM사이로 조정 가능하며, 이동전기대차(200)의 무게는 2500kg으로 마스트(300)를 뺀 무게이다.
연속주행은 이동전기대차(200)의 자체 메인배터리(221)의 충전용량으로 이동전기대차(200)를 운행시 연속적으로 120분간 운행할 수 있고, 운행시 무선제어기(251)에서 전방으로 주행할 수도 있고 후방으로도 운행 할 수 있으며, 필요시에 정지 버튼을 눌러 이동전기대차(200)를 멈출 수 있다.
구동모터(230)는 60V 2.2KW의 모터를 사용하며 감속기(235)는 일반적으로 동력원인 모터에 결합하며, 출력 회전수를 감속 시키어 높은 회전출력 토크를 얻을 수 있도록 모터의 부속품으로 100배의 큰 힘을 만들도록 1/100로 감속 사용할 수 있다.
모터의 힘이 앞바퀴 또는 뒷바퀴에 모두 적용하는 고출력 이동전기대차(200)에 적합하도록 하여, 레일 위에서 주행 되어야 하므로 비 또는 눈에 미끄러지지 않도록 4륜구동 방식으로 구성된다.
메인배터리(221)를 사용하여 평상시 60V 200A 용량으로 충전하여 이동전기대차(200)의 운전시 충전된 전원을 사용하여 60V 배터리는 12V 배터리 5개를 모은 리튬으로 구성할 수 있다.
메인배터리(221)에 전기를 충전하기 위하여 이동전기대차(200)를 운영하지 않을 시는 AC 220V 단상을 충전기(227) 코드에 연결하여 충전하며, 완충 되었을 경우 충전표시등에 표시되어 AC 220V 전원이 구비될 수 있다.
최대 등판은 경사도가 10%까지도 전기적인 동력으로 등판 할 수가 있다.
이동전기대차(200)의 운전을 무선제어기(251)로 조작하여 운행을 할 수 있고, 무선이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는 유선제어기(253)를 조작하여 운영 할 수 있다.
무선제어기(251)에 경우 구동제어부(250)에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 무선주파수가 315MHZ 주파수를 사용하고, 평상시는 DC 배터리 전력을 사용하여 이동전기대차(200)를 운영하는데 비상시 배터리전원을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 즉시 AC 220V 전원을 비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동전기대차(200)는 이동전기대차(200) 3대를 동시에 운영할 수가 있어 이동전기대차(200) 한대가 운영 중에 다른 차와 접근하면 센서가 작동하여 경고가 울리도록 하고 이동전기대차(200)가 상호 근접 시 이동전기대차(200) 상호간에 센서를 통해 자동으로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레이더의 탐지 방향에 방해되지 않는 위치로 이동되면서도 우천 시의 발생하는 낙뢰에 레이돔(10)의 레이더 또는 전자통신설비를 낙뢰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레이돔 20: 이동식 선회 낙뢰보호 대차 시스템
100: 레일부 200: 이동전기대차
210: 대차본체 220: 구동전원부
221: 메인배터리 223: 보조전원부
225: DC/AC컨버터 230: 구동모터
240: 구동휠부 250: 구동제어부
251: 무선제어기 253: 유선제어기
300: 마스트 400: 피뢰침
500: 인하도선 600: 접지바
610: 접지커넥터 700: 접지시스템
710: 트로리바

Claims (6)

  1. 레이더 또는 전자통신설비가 내부에 마련되는 레이돔의 주변에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전기대차와;
    상기 이동전기대차의 상단 중앙에 소정의 높이로 수직 설치되는 마스트와;
    상기 마스트의 상단에 연결 설치되는 낙뢰를 직접적으로 유도하는 피뢰침과;
    상기 마스트를 따라 상기 피뢰침과 하기 접지바를 연결하여 피뢰침을 통해 접수된 낙뢰의 충격전류를 접지바까지 전달하는 인하도선과;
    지면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전기대차의 하부에 접지 구비되는 접지바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지면에 설치되어 상기 접지바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전류를 전송하는 트로리바를 포함하여 최종 처리하는 접지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전기대차의 피뢰침을 레이더의 탐지 방향에 방해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하여 우천시 발생하는 낙뢰로부터 레이돔을 보호하는 구성이고,
    상기 접지바의 단부에는 상기 이동전기대차의 이동시 트로리바로부터 접지바의 접촉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인크로저 타입의 접지커넥터가 더 구비되어
    낙뢰의 충건전류가 피뢰침, 인하도선 및 접지바를 따라 순차적으로 유도되어 접지바 단부의 접지커텍터를 통해 트로리바로 스파크 없이 유도시켜 안전하게 회수할 수 있도록 최종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선회 낙뢰보호 대차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전기대차는,
    구동전원부 및 구동모터가 내장되며, 상기 마스트가 상단에 장착 가능한 대차본체본체와;
    상기 대차본체본체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전원부 및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레일부를 따라 회전 구동하는 구동휠부와;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동전기대차 원리로 구동하여 레일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선회 낙뢰보호 대차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동전원부는,
    구동모터에 주전원을 제공하는 메인배터리와;
    상기 메인배터리의 방전시 AC 220V 단상전력 방식으로 보조전원으로 제공하는 보조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선회 낙뢰보호 대차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부는,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무선으로 원격 제어하는 무선제어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유선으로 원격 제어하는 유선제어기 중 어느 한가지를 이용하는 자동제어 방식으로 구성되거나,
    자동제어가 불가능한 경우 인력으로 이동시키는 수동제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선회 낙뢰보호 대차 시스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에는,
    평상시에 DC 60V 전력이 충전기를 통해 메인배터리에 충전된 상태에서 구동모터의 구동으로 인해 이동하는 경우 AC 60V 전력으로 구동모터에 변환 제공하는 DC/AC컨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선회 낙뢰보호 대차 시스템.
  6. 삭제
KR1020210065623A 2021-05-21 2021-05-21 이동식 선회 낙뢰보호 대차 시스템 KR102349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623A KR102349431B1 (ko) 2021-05-21 2021-05-21 이동식 선회 낙뢰보호 대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623A KR102349431B1 (ko) 2021-05-21 2021-05-21 이동식 선회 낙뢰보호 대차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9431B1 true KR102349431B1 (ko) 2022-01-12

Family

ID=79339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5623A KR102349431B1 (ko) 2021-05-21 2021-05-21 이동식 선회 낙뢰보호 대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94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8586B1 (ko) * 2023-07-05 2023-09-13 강호준 군사 시설물용 이동식 낙뢰방지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5838A (ko) * 2013-06-14 2014-12-24 김미자 크레인용 트로리바
KR20150121639A (ko) * 2014-04-21 2015-10-29 삼성전기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구동회로 및 그 제어방법
KR101676315B1 (ko) * 2015-04-14 2016-11-18 이준 친환경 장애인 전동차
KR101884340B1 (ko) 2017-07-28 2018-08-09 도파니 주식회사 회전 이동식 낙뢰보호 시스템
KR102194945B1 (ko) 2020-09-11 2020-12-24 (주)제이에스이앤씨 자동 이동식 피뢰침 기반 낙뢰 보호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5838A (ko) * 2013-06-14 2014-12-24 김미자 크레인용 트로리바
KR20150121639A (ko) * 2014-04-21 2015-10-29 삼성전기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구동회로 및 그 제어방법
KR101676315B1 (ko) * 2015-04-14 2016-11-18 이준 친환경 장애인 전동차
KR101884340B1 (ko) 2017-07-28 2018-08-09 도파니 주식회사 회전 이동식 낙뢰보호 시스템
KR102194945B1 (ko) 2020-09-11 2020-12-24 (주)제이에스이앤씨 자동 이동식 피뢰침 기반 낙뢰 보호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8586B1 (ko) * 2023-07-05 2023-09-13 강호준 군사 시설물용 이동식 낙뢰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520411736B1 (ar) محطة شحن قابلة للسحب
US11027838B2 (en) In flight charging system
CN102695629B (zh) 用于电动车辆的感应充电系统
RU2554723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электроснабжения воздушного лет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варианты)
EP2753490B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drahtlosen übertragen von elektrischer energie auf fahrzeuge in der art "mobiler zapfsäulen"
CN204945251U (zh) 一种基于无人机的防雷检测系统
KR102349431B1 (ko) 이동식 선회 낙뢰보호 대차 시스템
CN101196551A (zh) 高压输电线路地线巡检机器人
CN107994529A (zh) 一种基于高性能无人机的组合式智能融雪除冰装置及方法
CN201741812U (zh) 一种车载卫星通信天线
CN108859773A (zh) 纯电动矿车运输系统
CN109305061B (zh) 采用接触网供电的公路运输系统
CN206290288U (zh) 一种矿用巷道自动巡检装置
US9511459B2 (en) Automatic system for quick dropping of the battery, integrated to an electrical or hybrid vehicle, and consequences on its maximum loading weight
CN105480417A (zh) 一种智能无人飞行器
CN202749743U (zh) 一体化智能配电设备
RU85224U1 (ru) Установка движущейся мишени (варианты)
CN111917180A (zh) 一种智能电力塔架监控系统
CN207853176U (zh) 一种智能车载直击雷防护系统
CN212148509U (zh) 基于车库的可移动安全充电桩
CN110549881B (zh) 一种移动式电动汽车无线充电地面发射设备
CN105207162A (zh) 一种高压线离线除冰装置
CN218001046U (zh) 一种智慧型围界巡查小车
CN215600909U (zh) 一种沿导线移动的线路通道可视化清障装置
CN102475945B (zh) 智能防坠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