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9301B1 - 접이식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접이식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9301B1
KR102349301B1 KR1020150075816A KR20150075816A KR102349301B1 KR 102349301 B1 KR102349301 B1 KR 102349301B1 KR 1020150075816 A KR1020150075816 A KR 1020150075816A KR 20150075816 A KR20150075816 A KR 20150075816A KR 102349301 B1 KR102349301 B1 KR 102349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area
plate
disposed
fold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5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3789A (ko
Inventor
명노진
장세진
곽태형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US14/982,644 priority Critical patent/US10042394B2/en
Priority to CN201511021010.4A priority patent/CN105741688B/zh
Publication of KR20160083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3789A/ko
Priority to US16/032,196 priority patent/US1024816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플레이트 및 이를 구비하는 접이식 표시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의 접이식 플레이트 및 이를 구비하는 접이식 표시장치는 제 1 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1 영역과 상기 제 1 영역과 이격하고, 제 1 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2 영역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영역과 제 2 영역 사이에 배치되고, 제 2 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영역을 중심으로 상기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이 서로 대칭인 것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접이식 플레이트 및 이를 구비하는 접이식 표시장치의 주름 및 광학적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이식 표시장치{FOLDA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접이식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표시장치를 접었다 폈을 때 표시장치 표면 및 배면의 주름(waviness) 및 광학적 왜곡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접이식 플레이트 및 이를 구비하는 접이식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 태블릿과 같은 휴대 장치에서도 대형 화면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접이식 표시장치(Foldable Display Device)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접이식 표시장치는 휴대가 간편하면서도 큰 크기의 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접이식 표시장치는 사용되는 커버 윈도우 및 백 플레이트 등의 플레이트 역시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두께가 매우 얇거나 다중층으로 구성된 플레이트 사용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두께가 얇은 플레이트의 경우, 충격에 약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해, 표시패널의 소자에도 충격이 전달되어, 소자의 손상이 발생하고, 손상이 발생한 부분은 암점이 발생하며, 얇은 두께로 인해 형상 유지력이나 탄성 복원에너지가 약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두께가 얇은 필름을 다중층으로 구성한 플레이트의 경우, 충격에는 강하나, 각 층의 연결 영역이 시인되어 표시패널의 중앙에 어두운 선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자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주름 및 광학적 왜곡을 방지할 수 있는 접이식 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접이식 플레이트 및 이를 구비하는 접이식 표시장치는 제 1 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1 영역과 상기 제 1 영역과 이격하고, 제 1 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2 영역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영역과 제 2 영역 사이에 배치되고, 제 2 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영역을 중심으로 상기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이 서로 대칭인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물질은 경질이고, 제 2 물질은 연질일 수 있으며, 상기 접이식 플레이트는 상기 제 3 영역 영역에서 접힐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플레이트 및 이를 구비하는 접이식 표시장치는, 제 1 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1 영역과 제 2 영역 및 제 2 물질로 이루어지고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제 3 영역을 포함함으로써, 접이식 플레이트의 주름 및 광학적 왜곡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내지 3 영역의 경계가 시인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플레이트의 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플레이트의 접힌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표시장치의 단면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플레이트의 주름(waviness) 및 광학적 왜곡 발생 여부를 평가한 사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비교예와 제 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플레이트의 광학적 왜곡 발생 여부를 평가한 사진이다.
도 9a 및 도 9b는 종래의 PET 백 플레이트와 제 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플레이트의 주름 발생 여부를 평가한 사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종래의 PET 백 플레이트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플레이트의 평탄도 여부를 평가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상으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소자(element)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beneath)", "하부 (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 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표시장치는 상부 플레이트(300), 표시패널(200), 하부 플레이트(230)을 포함한다.
자세하게는, 상기 표시패널(200) 상에 상부 플레이트(300)가 중첩하여 배치되고, 상기 표시패널(200) 배면에 상기 하부 플레이트(230)가 중첩하여 배치된다. 이 때, 상기 표시패널(200)은 접이식 표시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접이식 표시패널(200)일 수 있으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 및 하부 플레이트(230)는 완전히 폴딩(folding)할 수 있는 접이식 플레이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는 접이식 커버 윈도우일 수 있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230)는 접이식 백 플레이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패널(200)과 상부 플레이트(300) 사이에 터치 패널(210) 및 편광판(220)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표시패널(200) 상에 터치 패널(210)이 배치되고, 상기 터치 패널(210) 상에 편광판(220)이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터치 패널(210) 및 편광판(220)은 접이식 표시장치를 구현할 수 있도록 플렉서블(flexible)할 수 있다.
접이식 표시장치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상부 플레이트(300) 및 하부 플레이트(230) 역시 손상 없이 폴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부 플레이트(300)와 하부 플레이트(230)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거나, 다수의 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다중층의 상부 플레이트(300) 및 하부 플레이트(230)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두께가 얇은 상부 플레이트(300) 및 하부 플레이트(230)를 사용할 경우, 표시장치의 소자에 충격이 전달됨으로써, 소자의 손상이 발생하며, 형상 유지력이나 탄성 복원 에너지가 약한 문제가 있다. 또한, 다중층의 상부 플레이트(300) 및 하부 플레이트(230)의 경우 충격에는 강할 수 있으나, 서로 다른 층들의 굴절률 차이로 인해 상기 서로 다른 층의 경계가 시인되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표시장치의 상부 플레이트(300) 또는 하부 플레이트(230)는 제 1 영역, 제 2 영역 및 제 3 영역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은 서로 이격하여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 사이에 제 3 영역이 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 각각의 상부와 하부에서도 상기 제 3 영역이 접하여 배치된다. 이를 통해,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 또는 하부 플레이트(230)의 폴딩 능력이 향상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 또는 하부 플레이트(230)가 접히는 영역이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와 하부 플레이트(230)의 제 1 및 제 2 영역은 제 1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3 영역은 제 2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 1 물질은 경질이고, 상기 제 2 물질은 연질일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의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은 경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PMMA), 폴리이미드(polyimide;PI),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PC),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ABS),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의 물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의 물질은 경질이면 충분하다.
또한,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 및 하부 플레이트(230)의 제 3 영역은 탄성 구간이 긴 연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polyurethane;PU),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 plastic polyurethane;TPU), 폴리아미드(Polyamide;PA), 실리콘(silicon) 또는 고무(rubb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3 영역의 물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 3 영역의 물질은 연질이면 충분하다.
또한,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는 커버 윈도우 일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가 커버 윈도우일 경우,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의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은 투명한 경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PMMA), 폴리이미드(polyimide;PI),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PC),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ABS),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또는 투명한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의 물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의 물질은 투명한 경질이면 충분하다.
또한,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가 커버 윈도우일 경우,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의 제 3 영역은 투명한 연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polyurethane;PU),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 plastic polyurethane;TPU), 폴리아미드(Polyamide;PA) 또는 투명한 고무(rubb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3 영역의 물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 3 영역의 물질은 투명한 연질이면 충분하다.
상기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이 투명한 경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3 영역이 투명한 연질로 이루어짐으로써, 각각의 커버 윈도우의 경계가 시인되지 않고, 주름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접이식 커버 윈도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플레이트(230)는 백 플레이트일 수 있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230)가 백 플레이트일 경우, 상기 하부 플레이트(230)의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은 투명하거나 불투명한 경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230)가 백 플레이트일 경우, 상기 하부 플레이트(230)의 제 3 영역은 투명하거나 불투명한 연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 및 하부 플레이트(230)는 상기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제 3 영역에서 접힐 수 있다. 즉, 연질로 이루어지는 제 3 영역에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 및 하부 플레이트(230)가 접힘으로써,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 및 하부 플레이트(230)가 접힌 영역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영역과 제 3 영역 사이의 경계와 제 2 영역과 제 3 영역 사이의 경계가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접이식 표시장치가 액정표시장치일 경우, 표시패널(200) 배면에 배치되는 백라이트 유닛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 및 상기 광원을 둘러싸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하우징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플레이트는 커버윈도우, 백 플레이트 또는 하우징 등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의 구체적인 형상은 도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플레이트(230)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와 동일한 형상일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상부 플레이트(300)를 중심으로 그 기능 및 형상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 플레이트(300)는 제 1 영역(304), 제 2 영역(307) 및 제 3 영역(301)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 1 영역(304)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의 일 측에 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영역(307)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의 타측에 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304) 및 제 2 영역(307)은 서로 이격하여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3 영역(301)은 상기 제 1 영역(304) 및 제 2 영역(307) 각각의 상부, 하부 및 일 측부에 접하여 배치된다. 이를 통해,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는 상기 제 3 영역(301)과 제 1 영역(304)의 접착 면적이 늘어남으로써,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제 3 영역(301)과 제 2 영역(307)의 접착 면적이 늘어남으로써,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304)은 제 1 몸체부(303)와 제 1 연장부(30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몸체부(303)와 제 1 연장부(302)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1 영역(304)을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몸체부(303)는 제 1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 1 변(303a), 제 2 변(303b), 제 3 변(303c) 및 제 4 변(303d)으로 둘러싸인 형상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변(303a)은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 3 변(303c)은 상기 제 1 변(303a)과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 2 변(303b)은 상기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과 수직한 방향인 제 3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 변(303a)과 제 3 변(303c)의 일 끝 단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 4 변(303d)은 상기 제 2 변과(303b)과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 1 변(303a)과 제 3 변(303c)의 다른 끝 단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 4 변(303d)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의 일 측변의 일부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연장부(302)는 상기 제 1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일 변이 곡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 1 연장부(302)는 제 1 곡선부(302a) 및 제 1 직선부(302b)로 이루어진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곡선부(302a)의 일 끝 단은 상기 제 1 몸체부(303)의 제 2 변(303b)의 일 끝 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 1 직선부(302b)의 일 끝 단은 상기 제 2 변(303b)의 다른 끝 단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연장부(302)는 상기 제 1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사분원의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영역(304)의 제 1 몸체부(303)와 제 1 연장부(302)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몸체부(303)와 제 1 연장부(302)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의 일 면에서부터 상기 일 면이 마주보는 다른 일 면까지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307)은 제 2 몸체부(306)와 제 2 연장부(30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몸체부(306)와 제 2 연장부(305)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2 영역(307)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몸체부(306)는 제 1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 5 변(306a), 제 6 변(306b), 제 7 변(306c) 및 제 8 변(306d)으로 둘러싸인 형상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5 변(306a)은 상기 제 2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 7 변(306c)은 상기 제 5 변(306a)과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 6 변(306b)은 상기 제 3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5 변(306a)과 제 7 변(306c)의 일 끝 단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 8 변(306d)은 상기 제 6 변과(306b)과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 5 변(306a)과 제 7 변(306c)의 다른 끝 단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연장부(305)는 상기 제 1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일 변이 곡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 2 연장부(305)는 제 2 곡선부(305a) 및 제 2 직선부(305b)로 이루어진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곡선부(305a)의 일 끝 단은 상기 제 2 몸체부(306)의 제 6 변(306b)의 일 끝 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 2 직선부(305b)의 일 끝 단은 상기 제 6 변(303b)의 다른 끝 단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연장부(305)는 상기 제 1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사분원의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영역(307)의 제 2 몸체부(306)와 제 2 연장부(305)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몸체부(306)와 제 2 연장부(305)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의 일 면에서부터 상기 일 면이 마주보는 다른 일 면까지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영역(304)의 제 1 연장부(302) 및 제 2 영역(307)의 제 2 연장부(305)를 상기 제 1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사분원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제 1 영역(304)과 제 3 영역(301)의 경계 및 제 2 영역(307)과 제 3 영역(301)의 경계가 시점을 기준으로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연장부(302)의 제 1 곡선부(302a)와 상기 제 2 연장부(305)의 제 2 곡선부(305a)가 직선으로 이루어질 경우, 즉 상기 제 1 연장부(302) 및 제 2 연장부(305)를 상기 제 1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때, 상기 제 1 영역(304)과 제 3 영역(301)의 경계 및 제 2 영역(307)과 제 3 영역(301)의 경계가 시점을 기준으로 시인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 1 영역(304)과 제 3 영역(301)의 경계면 및 상기 제 2 영역(307)과 제 3 영역(301)의 경계면에서 사분원의 곡면이 시점 기준으로 폴딩 영역 안쪽으로 향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각 영역의 경계가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의 제 1 연장부(302) 및 제 2 연장부(307)를 상기 제 1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제 1 연장부(302) 및 제 2 연장부(307)가 곡선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각 영역의 경계가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영역(304) 및 제 2 영역(307)은 상기 제 1 영역(304) 및 제 2 영역(307) 사이에 배치되는 제 3 영역(301)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일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304) 및 제 2 영역(307)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의 접힘 영역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일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 2 영역(307)은 상기 제 3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영역(304)과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 2 영역(307)의 제 2 몸체부(306)는 상기 제 1 영역(304)의 제 1 몸체부(303)와 상기 제 3 방향을 기준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영역(307)의 상기 제 2 연장부(305)는 상기 제 1 영역(304)의 제 1 연장부(302)와 상기 제 3 방향을 기준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상기 제 2 몸체부(306)와 제 1 몸체부(303)를 상기 제 1 방향으로 바라봤을 때, 상기 제 2 몸체부(306)의 제 5 변(306a)은 상기 제 1 몸체부(303)의 제 1 변(303a)과 상기 제 3 방향을 기준으로 대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몸체부(306)의 제 6 변(306a)은 상기 제 1 몸체부(303)의 제 2 변(303a)과 상기 제 3 방향을 기준으로 대칭일 수 있다. 상기 제 2 몸체부(306)의 제 7 변(306c)은 상기 제 1 몸체부(303)의 제 3 변(303c)과 상기 제 3 방향을 기준으로 대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몸체부(306)의 제 8 변(306d)은 상기 제 1 몸체부(303)의 제 4 변(303d)과 상기 제 3 방향을 기준으로 대칭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연장부(305)와 제 1 연장부(302)를 상기 제 1 방향으로 바라봤을 때, 상기 제 2 연장부(305)의 제 2 곡선부(305a)는 상기 제 1 연장부(302)의 제 1 곡선부(302a)과 제 3 방향을 기준으로 대칭일 수 있다. 상기 제 2 연장부(305)의 제 2 직선부(305b)는 상기 제 1 연장부(302)의 제 1 직선부(302b)와 제 3 방향을 기준으로 대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를 제 1 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제 1 영역(303)의 하단부와 상기 제 2 영역(307)의 하단부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기 제 1 연장부(302)의 제 1 곡선부(302a) 또는 제 2 연장부(305)의 제 2 곡선부 (305a)의 곡률 반경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303)과 제 2 영역(307) 사이의 이격거리의 최소값은 상기 사분원의 곡률 반경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가 완전히 접힐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의 두께는 상기 제 1 영역(304) 및 제 2 영역(307)의 높이보다 높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의 각 영역의 경계가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의 각 영역 사이의 접착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가 커버 윈도우일 경우,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의 두께는 1 mm 내지 2 mm 일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의 두께가 1 mm 미만일 경우,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의 파손이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의 두께가 2 mm를 초과할 경우,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각 영역의 경계가 시인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영역(304) 및 제 2 영역(307)의 높이는 0.2 mm 내지 0.8 mm일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304) 및 제 2 영역(307)의 높이가 0.2 mm 미만일 경우, 상기 제 1 영역(304) 및 제 2 영역(307)를 형성하는 공정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영역(304) 및 제 2 영역(307)의 높이가 0.8 mm을 초과할 경우, 상기 제 1 연장부(302)의 제 1 곡선부(302a) 및 제 2 연장부(305)의 제 2 곡선부(305a)의 곡률반경이 커짐으로써,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에 가해지는 스트레스(stress)가 커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부 플레이트(230)의 두께 역시 상기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의 높이보다 높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하부 플레이트(230)의 각 영역 사이의 접착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가 커버 윈도우일 경우,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의 상기 제 3 영역(301)의 굴절률과 제 1 영역(304)의 굴절률은 0.03 이하의 차이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의 제 3 영역(301)의 굴절률과 제 2 영역(307)의 굴절률 역시 0.03 이하의 차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3 영역(301)의 굴절률과 상기 제 1 영역(304) 및 제 2 영역(307)의 굴절률 차이가 0.03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 3 영역(301)와 제 1 영역(304) 및 제 2 영역(307) 사이의 경계에서 광학적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은 굴절률 관계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가 커버 윈도우일 경우에만 적용될 수 있다. 즉, 하부 플레이트(230)의 각 영역의 굴절률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230)는 상기 표시패널(200)의 배면에 배치되므로, 상기와 같은 굴절률 관계가 성립되지 않아도 상기 하부 플레이트(230)의 각 영역의 경계가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플레이트가 하우징일 경우에도, 상기 접이식 플레이트의 각 영역의 굴절률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 플레이트(300) 및 하부 플레이트(230)가 제 1 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1 영역(304), 제 2 영역(307) 및 제 2 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3 영역(301)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각 영역 사이의 경계가 시인되지 않고, 주름이 발생하지 않는 접이식 플레이트를 구현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플레이트의 접힌 형상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 플레이트의 접힌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하부 플레이트 역시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동일한 형상으로 접힐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상부 플레이트를 중심으로 그 형상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 플레이트(300)는 제 1 영역(304), 제 2 영역(307) 및 제 3 영역(301)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는 상기 제 1 영역(304) 및 제 2 영역(307) 사이에 배치된 제 3 영역(301) 영역에서 완전히 접힐 수 있다. 다만,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가 접히는 형상은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 3 영역(301)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접힐 수 있으며, 연질로 이루어지는 제 3 영역에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가 접힘으로써,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가 접힌 영역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가 커버 윈도우일 경우, 상기 제 3 영역(301)의 굴절률과 상기 제 1 영역(304) 및 제 2 영역(307)의 굴절률 차이가 0.03 이하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를 접었다 폈을 경우에도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의 광학적 왜곡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접이식 플레이트가 백 플레이트 또는 하우징일 경우, 제 1 내지 제 3 영역의 굴절률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표시장치를 자세히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표시장치의 단면도 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표시장치는 표시패널의 기판(100) 배면에 하부 플레이트(230)가 배치되고, 상기 기판(100)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Tr) 및 유기전계발광 소자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r) 및 유기전계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기판(100) 상에는 상부 플레이트(300)가 배치된다. 이 때, 상기 하부 플레이트(230), 표시패널 및 상부 플레이트(300)는 각각 접이식 백 플레이트, 접이식 표시패널 및 접이식 커버 윈도우일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유기전계발광 표시패널을 개시하고 있으나, 본원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원발명의 표시패널이 액정표시패널일 경우, 상기 액정표시패널 배면에 백라이트 유닛이 배치되고,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 및 광원을 둘러싸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본원발명의 접이식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의 배면에 배치되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230)는 제 1 영역, 제 2 영역 및 제 3 영역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제 3 영역은 연질로 이루어지며, 제 1 및 제 2 영역은 경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230)는 상기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제 3 영역에서 완전히 접힐 수 있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230)의 제 3 영역은 상기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 각각의 상부, 하부 및 일 측부에 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 각각 몸체부와 연장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장부는 사분원의 형상일 수 있다.
상기 기판(100) 상에 배치되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r)는 반도체층(101), 게이트 전극(103), 소스전극(105) 및 드레인전극(106)을 포함한다. 또한, 유기전계발광 소자는 제 1 전극(109), 유기발광층(111) 및 제 2 전극(112)을 포함한다.
자세하게는, 기판(100) 상에 박막 트랜지스터(Tr)의 반도체층(101)이 배치된다. 상기 반도체층(101)은 소스영역(101a), 채널영역(101b) 및 드레인영역(101c)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반도체층(101)을 포함하는 기판(100) 상에 게이트 절연막(102)이 배치된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102)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Tr)의 게이트 전극(103)이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게이트 전극(103)은 상기 제 1 채널영역(101b)과 중첩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게이트 전극(103)을 포함하는 기판(100) 상에 층간절연막(104)이 배치된다. 상기 층간절연막(104) 상에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r)의 소스전극(105)과 드레인전극(106)이 배치된다. 이 때, 상기 소스전극(105)과 드레인전극(106)은 상기 층간절연막(104) 및 게이트 절연막(102)에 형성된 컨택홀을 통해 각각 상기 반도체층(101)의 소스영역(101a) 및 드레인영역(101c)과 연결된다. 이와 같이, 상기 기판(100) 상에 박막 트랜지스터(Tr)가 배치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r)가 배치된 기판(100) 상에 보호막(107)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보호막(107)을 포함하는 기판(100) 상에 평탄화막(108)이 배치된다.
상기 평탄화막(108)의 상면에 일부에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r)의 드레인전극(106)과 연결되는 유기전계발광 소자의 제 1 전극(109)이 배치된다. 상기 제 1 전극(109)은 유기전계발광 소자의 애노드(anode)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캐소드(cathode)일 수도 있다.
상기 제 1 전극(109)이 배치된 평탄화막(108) 상에 뱅크 패턴(110)이 배치된다. 상기 뱅크 패턴(110)은 상기 제 1 전극(109)의 상면의 일부를 노출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표시패널의 발광영역과 비발광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뱅크 패턴(110)이 배치되지 않은 영역은 발광영역이며, 상기 뱅크 패턴(110)이 배치된 영역은 비 발광영역이다.
상기 뱅크 패턴(110)으로 둘러싸인 영역에는 유기발광층(111)이 배치된다. 상기 유기발광층(111)은 발광물질로 이루어진 단일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발광층(111)은 발광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HIL),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HTL), 발광층 (Emitting Material Layer;EML),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및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의 다중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뱅크 패턴(110) 및 유기발광층(111) 상에는 상기 유기전계발광 소자의 제 2 전극(112)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전극(112) 상에는 상기 유기전계발광 소자를 수분 및 산소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봉지층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전극(112)까지 배치된 기판(100) 상에 점착층(113)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점착층(113)의 상부면에는 터치패널(21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널(210)은 베이스 기판(211)과 상기 베이스 기판(211)의 일면에 배치되는 터치 전극(212)을 포함한다. 상기 터치 전극(212)은 다수개의 터치 전극(212)이 상기 베이스 기판(211)의 일면에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패널(210)은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온셀 타입(On-cell Type) 또는 인셀 타입(In-cell Type)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패널(2100)은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stylus) 펜 등을 이용하여 표시 장치의 전면(front face)에서 접촉하는 방식으로 입력을 할 수 있는 입력 장치이면 충분하다. 즉, 상기 터치패널(210)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널(210) 상에는 편광판(22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편광판(220)은 단일층으로 이루어지거나, 광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중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편광판(220) 상에는 상부 플레이트(3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편광판(200)과 상부 플레이트(300) 사이에는 점착층 또는 접착층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는 제 1 영역, 제 2 영역 및 제 3 영역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의 제 3 영역은 투명한 연질로 이루어지며,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은 투명한 경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는 상기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제 3 영역 영역에서 완전히 접힐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의 제 3 영역은 상기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 각각의 상부, 하부 및 일 측부에 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은 각각 몸체부와 연장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장부는 사분원의 형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이식 표시장치가 제 1 영역, 제 2 영역 및 제 3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접이식 상부 플레이트 및 접이식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함으로써, 광학적 왜곡 없이 상기 접이식 표시장치가 완전히 접힐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플레이트를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플레이트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플레이트(400)의 구체적인 형상은 도 5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접이식 플레이트(400)는 표시패널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플레이트 또는 표시패널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플레이트일 수 있다. 상기 접이식 플레이트(400)가 상부 플레이트일 경우, 상기 접이식 플레이트(400)는 커버 윈도우일 수 있으며, 상기 접이식 플레이트(400)가 하부 플레이트일 경우, 백 플레이트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플레이트(400)가 상부 플레이트인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이 때, 본 발명의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40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상부 플레이트(400)는 제 1 영역(404), 제 2 영역(407) 및 제 3 영역(401)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영역(404) 및 제 2 영역(407)은 상기 제 1 영역(404) 및 제 2 영역(407) 사이에 배치되는 제 3 영역(401)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일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404) 및 제 2 영역(407)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400)의 접힘 영역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영역(401)은 상기 제 1 영역(404) 및 제 2 영역(407) 각각의 상부와 하부에 더 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영역(404)은 제 1 몸체부(303)와 제 1 연장부(40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영역(407)은 제 2 몸체부(306)와 제 2 연장부(405)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연장부(402) 및 제 2 연장부(405)를 제 1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제 1 연장부(402) 및 제 2 연장부(405)는 각각 일 변이 곡선 형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 1 연장부(402)는 제 1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 1 곡선부(402a)와 제 1 직선부(402b)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 2 연장부(405)는 제 2 곡선부(405a)와 제 2 직선부(405b)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 1 연장부(402) 및 제 2 연장부(405)는 상기 제 1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부채꼴의 형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연장부(402) 및 제 2 연장부(405)는 상기 제 1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사분원의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플레이트(400)를 제 1 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제 1 영역(404)의 상단부와 상기 제 2 영역(407)의 상단부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기 제 1 연장부(402)의 제 1 곡선부(402a) 또는 제 2 연장부(405)의 제 2 곡선부(405a)의 곡률 반경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404)과 제 2 영역(407) 사이의 이격거리의 최소값은 상기 사분원의 곡률 반경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404)의 상단부와 상기 제 2 영역(407)의 상단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1 곡선부(402a) 또는 제 2 곡선부(405a)의 곡률반경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상부 플레이트(400)가 완전히 접힐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영역(404)의 상단부와 상기 제 2 영역(407)의 상단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1 영역(404)의 하단부와 제 2 영역(407)의 하단부 사이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 1 영역(404)과 제 3 영역(401) 경계가 시인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제 2 영역(407)과 제 3 영역(401)의 경계가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 1 영역(404)과 제 3 영역(401)의 경계면 및 상기 제 2 영역(407)과 제 3 영역(401)의 경계면에서 사분원의 곡면이 시점 기준으로 폴딩 영역 안쪽으로 향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각 영역의 경계가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플레이트(400)의 제 1 연장부(402) 및 제 2 연장부(405)를 상기 제 1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제 1 연장부(402) 및 제 2 연장부(405)가 곡선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각 영역의 경계가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영역(403)과 제 2 영역(407)는 투명한 경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3 영역(401)은 투명한 연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접이식 플레이트가 백 플레이트일 경우, 상부 플레이트(400)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상기 백 플레이트의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은 투명하거나 불투명한 경질로 이루어지고, 제 3 영역은 투명하거나 불투명한 연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상부 플레이트(400)는 제 1 영역(404), 제 2 영역(407) 및 제 3 영역(401)를 포함함으로써, 주름이 발생하지 않는 접이식 플레이트의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상부 플레이트(400)는 제 3 영역(401)과 제 1 영역(404) 사이의 경계가 시인되지 않고, 상기 제 3 영역(401)과 제 2 영역(407)의 경계가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플레이트를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플레이트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플레이트(500)의 구체적인 형상은 도 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접이식 플레이트(500)는 표시패널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플레이트 또는 표시패널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플레이트일 수 있다. 상기 접이식 플레이트(400)가 상부 플레이트일 경우, 상기 접이식 플레이트(400)는 커버 윈도우일 수 있으며, 상기 접이식 플레이트(400)가 하부 플레이트일 경우, 백 플레이트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플레이트(500)가 상부 플레이트인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이 때, 본 발명의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50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하부 플레이트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상부 플레이트(500)와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상부 플레이트(500)는 제 1 영역(504), 제 2 영역(507) 및 제 3 영역(501)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영역(504)은 제 1 몸체부(303)와 제 1 연장부(50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영역(507)는 제 2 몸체부(306)와 제 2 연장부(505)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 1 연장부(502) 및 제 2 연장부(505)를 제 1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제 1 연장부(502) 및 제 2 연장부(505)는 반원의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영역(504)과 제 2 영역(507) 사이의 이격거리의 최소값은 반원의 곡률반경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커버 윈도우(500)가 완전히 접힐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상부 플레이트(500)는 제 1 영역(504), 제 2 영역(507) 및 제 3 영역(501)을 포함함으로써, 주름이 발생하지 않는 접이식 플레이트의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상부 플레이트(500)의 제 1 연장부(502) 및 제 2 연장부(505)가 반원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제 3 영역(501) 제 1 영역(504) 사이의 경계면이 보이지 않고, 상기 제 3 영역(501)과 제 2 영역(507)의 경계가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 1 영역(504)과 제 3 영역(501)의 경계면 및 상기 제 2 영역(507)과 제 3 영역(501)의 경계면에서 반원의 곡면이 시점 기준으로 폴딩 영역 안쪽으로 향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각 영역의 경계가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연장부(502) 및 제 2 연장부(505)가 직선이 아닌 곡선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각 영역의 경계가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이어서,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따른 접이식 플레이트의 주름(waviness) 및 광학적 왜곡 발생 여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플레이트의 주름(waviness) 및 광학적 왜곡 발생 여부를 평가한 사진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플레이트를 약 2.5R 정도의 곡률로 접었을 때, 접이식 플레이트의 일 끝단과 상기 접이식 플레이트의 다른 끝단이 맞닿도록 접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접이식 플레이트를 접었다 폈을 때, 상기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 윈도우에 주름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광학적 왜곡 현상 역시 발생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어서,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따른 접이식 플레이트의 형상에 따른 광학적 왜곡 발생 여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8a 및 도 8b는 비교예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플레이트의 광학적 왜곡 발생 여부를 평가한 사진이다.
도 8a는 비교예에 따른 광학적 왜곡 발생 여부를 관찰한 이미지이다. 비교예에 따른 접이식 플레이트는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제 1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사각형 형상인 접이식 플레이트이다. 상기 비교예에 따른 접이식 플레이트를 각각 0o, 20o, 40o, 60o, 70o의 시야각에서 관찰하였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0o의 시야각, 즉, 정면에서 바라볼 경우만 광학적 왜곡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20o, 40o, 60o, 70o의 시야각에서는 모두 광학적 왜곡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8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학적 왜곡 발생 여부를 관찰한 이미지이다. 상기 제 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플레이트를 각각 0o, 20o, 40o, 60o, 70o의 시야각에서 관찰하였을 때,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야각의 변화함에도 광학적 왜곡현상은 발생하지 않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이어서,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종래의 PET 백 플레이트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플레이트를 접은 후 다시 폈을 때, 주름 발생 여부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도 9a 및 도 9b는 종래의 PET 백 플레이트와 제 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플레이트의 주름 발생 여부를 평가한 사진이다.
도 9a는 종래의 PET 백 플레이트를 접은 후 다시 폈을 때의 형상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9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플레이트를 접은 후 다시 폈을 때의 형상을 나타낸 사진이다. 종래의 PET 백 플레이트의 경우, 접힌 영역에서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접이식 플레이트 경우, 접힌 영역에서 주름이 발생하지 않고, 외형에 변화가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어서,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종래의 PET 백 플레이트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플레이트를 접은 후 다시 폈을 때 평탄도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a 및 도 10b는 종래의 PET 백 플레이트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플레이트의 평탄도 여부를 평가한 사진이다.
도 10a는 종래의 PET 백 플레이트를 접었다 편 후, PET 백 플레이트에 레이저(laser)를 조사하여 발생하는 반사율을 통해 평탄도를 측정하여 나타낸 사진이고, 도 10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플레이트를 접었다 편 후, 제 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플레이트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발생하는 반사율을 통해 평탄도를 측정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종래의 PET 백 플레이트의 경우, 상기 백 플레이트를 접은 후 다시 폈을 때, 백 플레이트의 평탄도가 매우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접힌 영역(중심부)과 접힌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서 평탄도 차이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플레이트를 접은 후 다시 폈을 때, 상기 접이식 플레이트가 거의 평탄하게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접힌 영역에서도 평탄도가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200: 표시패널 210: 터치패널
220: 편광판 230: 하부 플레이트
300: 상부 플레이트

Claims (17)

  1. 제 1 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1 영역;
    상기 제 1 영역과 이격하고, 상기 제 1 물질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2 영역; 및
    상기 제 1 영역과 제 2 영역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물질과 다른 제 2 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이 서로 대칭이며,
    상기 제 3 영역은 상기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 각각의 상부, 하부, 및 일 측부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접이식 플레이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접이식 플레이트의 일 측에 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제 1 영역이 배치되는 일 측과 대향하는 접이식 플레이트의 타측에 접하는 접이식 플레이트.
  3. 삭제
  4. 삭제
  5. 제 1 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1 영역;
    상기 제 1 영역과 이격하고, 상기 제 1 물질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2 영역; 및
    상기 제 1 영역과 제 2 영역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물질과 다른 제 2 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은 제 1 몸체부 및 상기 제 1 몸체부 일측에 배치되는 제 1 연장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영역은 제 2 몸체부 및 상기 제 2 몸체부 일측에 배치되는 제 2 연장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연장부 및 제 2 연장부는 서로 대면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제 1 영역의 제 1 연장부 및 제 2 영역의 제 2 연장부는 수직으로 잘랐을 때 단면이 부채꼴 형상인 접이식 플레이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 사이의 이격거리의 최소값은 상기 부채꼴의 곡률반경보다 큰 것인 접이식 플레이트.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부채꼴은 사분원이고,
    상기 제 1 영역 하단부와 상기 제 2 영역 하단부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기 제 1 영역 상단부와 제 2 영역 상단부 사이의 이격거리보다 짧은 접이식 플레이트.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부채꼴은 사분원이고,
    상기 제 1 영역 상단부와 제 2 영역 상단부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기 제 1 영역 하단부와 제 2 영역 하단부 사이의 이격거리보다 짧은 접이식 플레이트.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부채꼴은 반원이고,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 사이의 이격거리의 최소값은 상기 반원의 곡률반경보다 큰 것인 접이식 플레이트.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플레이트의 높이는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의 높이보다 높은 접이식 플레이트.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물질은 경질이고,
    상기 제 2 물질은 연질인 접이식 플레이트.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플레이트는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제 3 영역에서 접히는 접이식 플레이트.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플레이트는 커버 윈도우, 백 플레이트 또는 하우징인 접이식 플레이트.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플레이트는 커버 윈도우이고,
    상기 접이식 플레이트의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의 제 1 물질은 투명한 경질이고,
    상기 접이식 플레이트의 제 3 영역의 제 2 물질은 투명한 연질인 접이식 플레이트.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플레이트는 커버 윈도우이고,
    상기 접이식 플레이트의 제 3 영역의 굴절률과 상기 접이식 플레이트의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의 굴절률 차이는 0.03 이하인 접이식 플레이트.
  16. 삭제
  17.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접이식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접이식 플레이트는,
    제 1 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1 영역;
    상기 제 1 영역과 이격하고, 상기 제 1 물질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2 영역; 및
    상기 제 1 영역과 제 2 영역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물질과 다른 제 2 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영역은 상기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 각각의 상부, 하부 및 일 측부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표시 장치.
KR1020150075816A 2014-12-31 2015-05-29 접이식 표시장치 KR102349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982,644 US10042394B2 (en) 2014-12-31 2015-12-29 Foldable plate and foldable display device with the same
CN201511021010.4A CN105741688B (zh) 2014-12-31 2015-12-30 可折叠板和具有可折叠板的可折叠显示装置
US16/032,196 US10248165B2 (en) 2014-12-31 2018-07-11 Foldable plate and foldable display device with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837 2014-12-31
KR20140195837 2014-12-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3789A KR20160083789A (ko) 2016-07-12
KR102349301B1 true KR102349301B1 (ko) 2022-01-12

Family

ID=56505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5816A KR102349301B1 (ko) 2014-12-31 2015-05-29 접이식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93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2718B1 (ko) 2016-11-03 2023-08-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27344B1 (ko) * 2018-09-13 2024-01-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윈도우 및 이를 이용한 유연한 표시장치
KR102150392B1 (ko) * 2019-04-15 2020-09-02 (주)유티아이 시인성이 개선된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KR102068729B1 (ko) 2019-04-26 2020-01-28 (주)유티아이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KR102150391B1 (ko) * 2019-06-12 2020-09-02 (주)유티아이 폴딩부가 형성된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및 폴딩부가 형성된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
US11132087B2 (en) 2019-06-14 2021-09-2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102102688B1 (ko) 2019-07-03 2020-04-23 (주)유티아이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KR102111138B1 (ko) * 2019-10-15 2020-05-15 (주)유티아이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
KR102162567B1 (ko) * 2019-11-26 2020-10-08 (주)유티아이 플렉시블 커버 윈도우
KR20220039004A (ko) * 2020-09-21 2022-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0111B1 (ko) * 2012-08-28 2018-10-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 장치
KR20140120585A (ko) * 2013-04-03 2014-10-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3789A (ko) 2016-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9301B1 (ko) 접이식 표시장치
US10248165B2 (en) Foldable plate and foldable display device with the same
KR102541453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631252B1 (ko) 디스플레이 패널
US9947882B2 (en) Electronic devices with robust flexible displays
US10732674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substrate curved around support substrate
TWI675236B (zh) 觸控螢幕面板
KR102572724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US20180034001A1 (en) Window for a display device and a flexi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570693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60308152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9584720A (zh) 偏振板和包括其的柔性显示装置
US9335855B2 (en) Top-emitting OLED display having transparent touch panel
KR102402874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CN104345975A (zh) 柔性触摸屏面板及具有柔性触摸屏面板的柔性显示装置
KR20150144913A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CN106354296B (zh) 显示设备
KR20200138557A (ko) 표시 장치
TWI453501B (zh) 觸控面板之製造方法
TWI592844B (zh) 製造顯示設備之方法
US10955976B2 (en) Flexible display
EP2808731A2 (en) Display device comprising protective films
KR102283402B1 (ko) 접이식 표시장치
US11469393B2 (en) Display device
KR102658713B1 (ko) 포스 터치 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